KR20240144173A -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의 (재)선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의 (재)선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44173A KR20240144173A KR1020247025527A KR20247025527A KR20240144173A KR 20240144173 A KR20240144173 A KR 20240144173A KR 1020247025527 A KR1020247025527 A KR 1020247025527A KR 20247025527 A KR20247025527 A KR 20247025527A KR 20240144173 A KR20240144173 A KR 202401441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link
- terminal
- threshold value
- carrier
- carrie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40—Resource management for direct mode communication, e.g. D2D or sidelin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을 (재)선택하는 방법들 및 장치들이 제공된다. 단말의 동작 방법은 피어 단말로부터 RSRP를 수신하는 단계; 사이드링크 전송에 대한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이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에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이 이용 가능하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CBR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CBR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수신된 RSRP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 중에서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SL: sidelink) 캐리어 집성(CA: carrier aggregation)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의 (재)선택에 관한 것이다.
5G 이동통신 기술은 빠른 전송 속도와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넓은 주파수 대역을 정의하고 있으며, 3.5 기가헤르츠(3.5GHz) 등 6GHz 이하 주파수(‘Sub 6GHz’) 대역은 물론 28GHz와 39GHz 등 밀리미터파(㎜Wave)로 불리는 초고주파 대역(‘Above 6GHz’)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5G 통신 이후(Beyond 5G)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는 6G 이동통신 기술의 경우, 5G 이동통신 기술 대비 50배 빨라진 전송 속도와 10분의 1로 줄어든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테라헤르츠(Terahertz) 대역(예를 들어, 95GHz에서 3 테라헤르츠(3T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초기에는, 초광대역 서비스(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고신뢰/초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대규모 기계식 통신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에 대한 서비스 지원과 성능 요구사항 만족을 목표로,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초고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뉴머롤로지 지원(복수 개의 서브캐리어 간격 운용 등)와 슬롯 포맷에 대한 동적 운영, 다중 빔 전송 및 광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초기 접속 기술, BWP(Band-Width Part)의 정의 및 운영,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와 제어 정보의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한 폴라 코드(Polar Code)와 같은 새로운 채널 코딩 방법, L2 선-처리(L2 pre-processing),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등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현재, 5G 이동통신 기술이 지원하고자 했던 서비스들을 고려하여 초기의 5G 이동통신 기술 개선(improvement) 및 성능 향상(enhancement)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으며, 차량이 전송하는 자신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판단을 돕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하기 위한 V2X(Vehicle-to-Everything), 비면허 대역에서 각종 규제 상 요구사항들에 부합하는 시스템 동작을 목적으로 하는 NR-U(New Radio Unlicensed), NR 단말 저전력 소모 기술(UE Power Saving), 지상 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단말-위성 직접 통신인 비 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 위치 측위(Positioning) 등의 기술에 대한 물리계층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뿐만 아니라, 타 산업과의 연계 및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지원을 위한 지능형 공장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무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를 통합 지원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한 노드를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조건부 핸드오버(Conditional Handover) 및 DAPS(Dual Active Protocol Stack) 핸드오버를 포함하는 이동성 향상 기술(Mobility Enhancement), 랜덤액세스 절차를 간소화하는 2 단계 랜덤액세스(2-step RACH for NR) 등의 기술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아키텍쳐/프로토콜 분야의 표준화 역시 진행 중에 있으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기술의 접목을 위한 5G 베이스라인 아키텍쳐(예를 들어, Service based Architecture, Service based Interface),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 등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쳐/서비스 분야의 표준화도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이며, 이에 따라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강화와 커넥티드 기기들의 통합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및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ML)을 활용한 5G 성능 개선 및 복잡도 감소, AI 서비스 지원, 메타버스 서비스 지원, 드론 통신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이러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6G 이동통신 기술의 테라헤르츠 대역에서의 커버리지 보장을 위한 신규 파형(Waveform),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기술 뿐만 아니라, 6G 이동통신 기술의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5G(5th generation) 또는 NR(new radio) 이동 통신이 산업계와 학계의 다양한 후보 기술들에 대한 전세계적 기술 활동으로 탄력을 받고 있다. 5G/NR 이동 통신을 위한 후보 조력자들로는, 빔포밍 이득의 제공 및 증가된 용량의 지원을 위해 기존 셀룰러 주파수 대역에서 고주파에 이르는 대규모 안테나 기술, 요구사항들이 다른 다양한 서비스들/어플리케이션들을 유연하게 수용하는 새로운 파형(예를 들어,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 대규모 연결을 지원하는 새로운 다중 액세스 방식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의 (재)선택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은 피어 단말로부터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송수신부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이드링크(SL: sidelink) 전송에 대한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확인하고,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이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에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이 이용 가능하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채널 번잡 비율(CBR: channel busy ratio)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CBR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수신된 RSRP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 중에서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피어 단말로부터 RSRP를 수신하는 단계; 사이드링크 전송에 대한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이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에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이 이용 가능하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CBR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CBR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수신된 RSRP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 중에서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 제공된다. 상기 기지국은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 중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통해 수행되는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CBR은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의 이용 가능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측정된 CBR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RSRP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캐리어가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 중에서 선택된다.
다른 기술적 특징들은 다음의 도면, 설명 및 청구범위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하기 전에, 이 특허 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 및 구문들의 정의를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연결"이라는 용어 및 그 파생어들은 두 개 이상의 요소들이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둘 이상의 요소들 간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통신을 의미한다. "전송", "수신", 및 "통신"이라는 용어들과 그 파생어들은 직접 및 간접 통신을 모두 포함한다. "포함하다" 및 "구비하다"라는 용어들 및 그 파생어들은 제한 없이 포함함을 의미한다. "또는"이라는 용어는 "및/또는"이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무엇에 관련된"이라는 구문과 그 파생어들은 무엇을 포함하다, 무엇 안에 포함되다, 무엇에 상호 연결되다, 무엇을 함유하다, 무엇 내에 들어있다, 무엇에 또는 무엇과 연결하다, 무엇에 또는 무엇과 결합하다, 무엇과 통신할 수 있다, 무엇에 협력하다, 무엇을 끼워 넣다, 무엇을 나란히 놓다, 무엇에 근사하다, 무엇에 또는 무엇과 경계를 이루다, 무엇을 가지다, 무엇의 특징을 가지다 등을 의미한다. "컨트롤러"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어떤 장치, 시스템 또는 그것들의 일부를 의미한다. 그러한 컨트롤러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개별 컨트롤러에 관련된 기능은 국부적이거나 또는 원격으로, 중앙 집중되거나 또는 분산될 수 있다. 항목들의 목록과 함께 사용될 때 "적어도 하나"라는 문구는 나열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상이한 조합들이 사용될 수 있고 목록에서 단지 하나의 항목만 필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는 다음 조합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A, B, C, A와 B, A와 C, B와 C, A와 B와 C.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로 형성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구현된다. 용어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은 적절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에서 구현하기 위해 조정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명령어 집합들, 절차들, 기능들, 객체들, 클래스(class)들, 인스턴스(instance)들, 관련 데이터 또는 그 일부를 나타낸다. 구문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는 소스 코드, 오브젝트 코드, 및 실행 코드를 포함하여, 모든 형식의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구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는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CD(compact disc), DVD(digital video disc),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 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일시적인 전기 또는 다른 신호들을 전송하는 유선, 무선, 광학(optical),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배제한다.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체 및 예를 들어 재기록이 가능한(rewritable) 광 디스크 또는 소거 가능 메모리 장치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고 나중에 덮어 쓸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용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이 본 특허 문서 전체에 걸쳐 제공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대부분의 경우에, 그렇지 않더라도 많은 경우에, 상기 정의들이 그러한 단어들과 구문들의 이후 사용에 뿐만 아니라 이전의 사용에도 적용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를 (재)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 및 그 이점들에 대한 보다 충분한 이해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경로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경로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를 통한 V2X 통신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사이드링크 제어 및 사용자 평면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향상된 (재)선택을 위한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향상된 (재)선택을 위한 단말 절차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향상된 (재)선택을 위한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향상된 (재)선택을 위한 단말 절차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간 조정 요청 MAC CE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간 조정 정보 MAC CE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 동작의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의 (재)선택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경로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경로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를 통한 V2X 통신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사이드링크 제어 및 사용자 평면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향상된 (재)선택을 위한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향상된 (재)선택을 위한 단말 절차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향상된 (재)선택을 위한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향상된 (재)선택을 위한 단말 절차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간 조정 요청 MAC CE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간 조정 정보 MAC CE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 동작의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의 (재)선택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되는 도 1 내지 도 14 및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들은 적절히 마련된 어느 시스템이나 장치에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의 문서들은 본 명세서에 완전히 설명된 것과 같이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3GPP TS 38.211 v.16.7.0, "NR; 물리 채널 및 변조(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3GPP TS 38.212 v16.7.0, "NR; 다중화 및 채널 코딩(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 3GPP TS 38.213 v16.7.0, "NR; 제어에 대한 물리 계층 절차(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Control)"; 3GPP TS 38.214 v16.7.0, "NR; 데이터에 대한 물리 계층 절차(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Data)"; 3GPP TS 38.321 v16.6.0, "NR;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 규격(protocol specification)"; 3GPP TS 38.331 v16.6.0, "NR;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프로토콜 규격)"; 3GPP TR 38.885, "NR 차량 대 사물(V2X: Vehicle-to-Everything)에 대한 연구"; 및 3GPP TS 23.287, "차량 대 사물(V2X)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5G 시스템(5GS)의 아키텍처 개선."
4G 통신 시스템의 구축 이후 증가하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하고 다양한 수직적 응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5G/NR 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어 현재 구축되고 있다. 5G/NR 통신 시스템은 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28 GHz 또는 60 GHz 대역과 같은 더 높은 주파수(mmWave) 대역에서 구현되거나, 견고한 커버리지 및 이동성 지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6 GHz와 같은 더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구현되는 것이 고려된다. 전파의 경로 손실을 줄이고 전송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NR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 입출력(FD(full dimension)-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NR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s),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Radio Access Network)),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간 통신(D2D(device-to-device) communication),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다지점 협력(CoMP: coordinated multi-points), 수신 간섭 제거(reception-end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5G 시스템 및 그와 관련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논의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5G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참조용이다. 다만, 본 발명은 5G 시스템 또는 이와 관련된 주파수 대역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어떠한 주파수 대역과도 연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5G 통신 시스템, 6G 또는 심지어 테라헤르츠(THz: terahertz) 대역들을 사용할 수 있는 향후 릴리스의 효율적 사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
아래의 도 1 내지 도 3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의 설명은 상이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물리적 또는 구조적 제한을 암시하지는 않는다. 적절하게 배열된 임의의 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100)의 다른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는 기지국(gNB, 예를 들어, base station, BS)(101), 기지국(102), 및 기지국(103)을 포함한다. 기지국(101)은 기지국(102) 및 기지국(103)과 통신한다. 또한, 기지국(101)은 인터넷, 전용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또는 기타 데이터 네트워크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130)와 통신한다.
기지국(102)은 그의 커버리지 영역(120) 내에서 복수의 제1 단말(UE: user equipment)들에 대한 네트워크(130) 무선 광대역 접속을 제공한다. 복수의 제1 단말들은 소기업(SB: small business)에 위치할 수 있는 단말(111); 대기업(E: enterprise)에 위치할 수 있는 단말(112); WiFi 핫스팟(HS: hotspot)에 위치할 수 있는 단말(113); 제1 주거지역(R: residence)에 위치할 수 있는 단말(114); 제2 주거지역에 위치할 수 있는 단말(115); 그리고 휴대 전화, 무선 랩탑, 무선 PDA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M: mobile device)일 수 있는 단말(114)을 포함한다. 기지국(103)은 그의 커버리지 영역(125) 내에서 복수의 제2 단말들에 대한 네트워크(130) 무선 광대역 접속을 제공한다. 복수의 제2 단말들은 단말(115) 및 단말(11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01-103)은 5G/NR, LTE, LTE-A, WiMAX, WiFi, 또는 기타 무선 통신 기술들을 사용하여 서로 간에 그리고 단말들(111-116)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단말(116)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안에 있을 수 있고, 다른 단말(예를 들어, 111A-111C)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두 단말은 모두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지국들(101-103) 중 하나 이상은 5G/NR, LTE, LTE-A, WiMAX, WiFi 또는 기타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서로 간에 그리고 단말들(111-116)과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말들(111-116)은 통신을 위해 PC5(예를 들어, 물리 계층에서 사이드링크(sidelink)라고도 알려짐)라고 불리는 기기간(D2D: device to device)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BS"라는 용어는 전송 포인트(TP: transmit point), 송수신 포인트(TRP: transmit-receive point), 향상된 기지국(enhanced base station, eNodeB, eNB), 5G/NR 기지국(gNB), 매크로셀(macrocell), 펨토셀(femtocell), WiFi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기타 무선 지원 장치와 같이 네트워크에 무선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구성요소(또는 구성요소들의 집합)를 지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예를 들어 5G/NR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R,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고속 패킷 액세스(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Wi-Fi 802.11a/b/g/n/ac 등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및 "송수신 포인트"라는 용어는 원격 단말들에 대한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또는 "단말(UE)"이라는 용어는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수신 포인트(receive point)",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와 같은 구성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 및 "단말"이라는 용어는 단말이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인지 고정 장치(예를 들어,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자판기)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기지국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원격 무선 장치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점선은 커버리지 영역들(120, 125)의 대략적인 범위를 도시하며, 단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대략 원형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커버리지 영역들(120, 125)과 같은 기지국 관련 커버리지 영역들은 기지국들의 구성 및 자연적, 인공적 장애물과 관련된 무선 환경의 변화에 따라 불규칙한 형태를 비롯하여 다른 형태들을 가질 수 있음을 명백히 이해하여야 한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말들(111-116) 중 하나 이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의 (재)선택을 위한 회로, 프로그래밍,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기지국들(101-103) 중 하나 이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의 (재)선택을 위한 회로, 프로그래밍,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도 1은 무선 네트워크의 일 예를 도시하지만, 다양한 변경들이 도 1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는 임의의 개수의 기지국들 및 임의의 개수의 단말들을 적절한 배치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1)은 임의의 개수의 단말들과 직접 통신할 수 있고, 그 단말들에게 네트워크(130)에 대한 무선 광대역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기지국(102-103)은 네트워크(130)와 직접 통신할 수 있고 단말들에게 네트워크(103)에 대한 직접적인 무선 광대역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들(101, 102, 및/또는 103)은 외부 전화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형의 데이터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또는 추가적인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100)는 단말(111)과 사이드링크 통신을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장치들(예를 들어, 단말들(111A 내지 111C))을 통해 용이하게 통신할 수 있다. 단말(111)은 예를 들어, 단말들(111A 내지 111C)이 원격에 위치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전통적인 프런트홀 및/또는 백홀 연결들/인터페이스들을 넘어서거나 그에 더하여 네트워크 액세스 연결(예를 들어, 기지국(102))을 용이하게 해야 하는 상황에서 사이드라인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사이드링크들(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들)의 집합을 통해 단말들(111A 내지 111C)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단말(111)은 기지국(102)의 지원 여부에 관계없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통해 단말들(111A 내지 111C)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단말들(예를 들어, 단말들(112 내지 116)로 도시된 바와 같이)은 그들의 다른 단말들(예를 들어, 단말(111)의 경우 단말들(111A 내지 111C))과 하나 이상의 통신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기지국(gNB)(102)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기지국(102)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도 1의 기지국들(101, 103)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들은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의 범위를 기지국의 임의의 특정한 구현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2)은 다수의 안테나들(205a-205n), 다수의 송수신기들(210a-210n), 컨트롤러/프로세서(225), 메모리(230), 및 백홀(backhaul)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5)를 포함한다.
송수신기들(210a-210n)은 네트워크(100)에서 단말들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과 같은 입력(incoming) RF 신호들을 안테나들(205a-205n)로부터 수신한다. 송수신기들(210a-210n)은 중간 주파수(IF) 또는 베이스밴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입력 RF 신호들을 하향 변환한다. IF 또는 베이스밴드 신호들은 송수신기들(210a-210n) 및/또는 컨트롤러/프로세서(225) 내의 수신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되고, 이는 베이스밴드 또는 IF 신호들을 필터링하고, 디코딩하고, 및/또는 디지털화함으로써 처리된 베이스밴드 신호들을 생성한다. 컨트롤러/프로세서(225)는 베이스밴드 신호들을 추가로 처리한다.
송수신기들(210a-210n) 및/또는 컨트롤러/프로세서(225) 내의 송신 처리 회로는 컨트롤러/프로세서(225)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데이터(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웹 데이터, 이메일, 또는 대화형 비디오 게임 데이터)를 수신한다. 송신 처리 회로는 처리된 베이스밴드 또는 I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출력(outgoing)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인코딩, 다중화, 및/또는 디지털화한다. 송수신기들(210a-210n)은 베이스밴드 또는 IF 신호들을 안테나들(205a-205n)을 통해 송신되는 RF 신호들로 상향 변환한다.
컨트롤러/프로세서(225)는 기지국(10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또는 그 밖의 다른 처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프로세서(225)는 잘 알려진 원리들에 따라 송수신기들(210a-210n)에 의한 상향링크 채널 신호들의 수신 및 하향링크 채널 신호들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프로세서(225)는 보다 진보된 무선 통신 기능들과 같은 추가 기능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프로세서(225)는 원하는 방향으로 출력 신호들을 효과적으로 조종하기 위해 다중 안테나(205a-205n)로부터/로 입력되는/출력되는 신호들이 다르게 가중되는 빔 형성 또는 방향성 라우팅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기능들 중에서 임의의 기능은 컨트롤러/프로세서(225)에 의해 기지국(102)에서 지원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프로세서(225)는 OS와 같이 메모리(230)에 상주하는 프로그램들 및 기타 프로세스들을 실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프로세서(225)는 실행 프로세스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메모리(230)의 내부로 또는 외부로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프로세서(225)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재)선택을 위한 프로세스와 같이 메모리(230)에 상주하는 프로그램 및 기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프로세서(225)는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5)에 연결된다.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5)는 기지국(102)이 백홀 연결을 통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들 또는 시스템들과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235)는 임의의 적절한 유선 또는 무선 접속(들)을 통해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2)이 셀룰러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5G/NR, LTE, 또는 LTE-A를 지원하는)의 일부로서 구현되는 경우, 인터페이스(235)는 기지국(102)이 유선 또는 무선 백홀 연결을 통해 다른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게 한다. 기지국(102)이 액세스 포인트로서 구현되는 경우, 인터페이스(235)는 기지국(102)이 유선 또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더 큰 네트워크(인터넷과 같은)로의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통신하게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35)는 이더넷(Ethernet) 또는 송수신기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한 통신을 지원하는 임의의 적절한 구조를 포함한다.
메모리(230)는 컨트롤러/프로세서(225)에 연결된다. 메모리(230)의 일부는 RAM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의 다른 일부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RO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기지국(102)의 한 예를 도시하지만, 도 2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2)은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를 임의의 개수만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결합되거나, 더 세분화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특정 필요에 따라 추가 구성요소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단말(UE)(116)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단말(116)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도 1의 단말들(111-115)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단말들은 다양한 구성들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범위를 단말의 임의의 특정한 구현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16)은 안테나(들)(305), 송수신기(들)(310), 및 마이크(320)를 포함한다. 단말(116)은 또한 스피커(330), 프로세서(340), 입/출력(I/O) 인터페이스(IF)(345), 터치스크린(350), 디스플레이(355), 및 메모리(360)를 포함한다. 메모리(360)는 운영 체제(OS)(361) 및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362)을 포함한다.
송수신기(들)(310)는 안테나(305)로부터 네트워크(100)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입력 RF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기(들)(310)는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 또는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입력 RF 신호를 하향 변환한다. IF 또는 베이스밴드 신호는 송수신기(들)(310) 및/또는 프로세서(340) 내의 수신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되고, 이는 베이스밴드 또는 IF 신호를 필터링, 디코딩, 및/또는 디지털화함으로써 처리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수신 처리 회로는 처리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스피커(330)로 전송하거나(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의 경우) 또는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340)로 전송한다(예를 들어, 웹 브라우징 데이터의 경우).
송수신기(들)(310) 및/또는 프로세서(340) 내의 송신 처리 회로는 마이크(320)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프로세서(340)로부터 다른 출력 베이스밴드 데이터(예를 들어, 웹 데이터, 이메일, 또는 대화형 비디오 게임 데이터)를 수신한다. 송신 처리 회로는 처리된 베이스밴드 또는 IF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출력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인코딩, 다중화, 및/또는 디지털화한다. 송수신기(들)(310)는 베이스밴드 또는 IF 신호를 안테나(305)를 통해 송신되는 RF 신호로 상향 변환한다.
프로세서(34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또는 그 밖의 다른 처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116)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360)에 저장된 OS(361)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잘 알려진 원리들에 따라 송수신기(310)에 의한 하향링크 및/또는 사이드링크 채널 및/또는 신호들의 수신 및 상향링크 및/또는 사이드링크 채널 및/또는 신호들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4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재)선택을 위한 프로세스들과 같은 메모리(360)에 상주하는 다른 프로세스들 및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실행 프로세스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메모리(360)의 내부로 또는 외부로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40)는 OS(361)에 기초하여 또는 기지국들이나 운영자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들(362)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I/O 인터페이스(345)에 연결되는데, 이는 단말(116)이 랩탑 컴퓨터들 및 핸드헬드 컴퓨터들과 같은 다른 장치들에 연결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I/O 인터페이스(345)는 이들 액세서리들과 프로세서(340) 사이의 통신 경로이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입력부(350)(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등을 포함) 및 디스플레이(355)와 연결된다. 단말(116)의 운영자는 단말(116)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입력부(350)를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55)는 액정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또는 텍스트 및/또는 적어도 제한된 그래픽(예를 들어 웹 사이트로부터)을 렌더링(rendering)할 수 있는 다른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메모리(360)는 프로세서(340)에 연결된다. 메모리(360)의 일부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360)의 다른 일부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롬(ROM: read-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단말(116)의 한 예를 도시하지만, 다양한 변경들이 도 3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결합되거나, 더 세분화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고, 특정한 요구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이 더해질 수 있다. 특정 예로서, 프로세서(340)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들 및 하나 이상의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들과 같은 다수의 프로세서들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도 3이 모바일 전화 또는 스마트폰으로서 구성된 단말(116)을 도시하지만, 단말들은 다른 유형의 이동형 또는 고정형 장치들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송수신 경로들을 도시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송신 경로(400)는 기지국(예를 들어, 기지국(102))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는 반면, 수신 경로(500)는 단말(예를 들어, 단말(116))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수신 경로(500)는 기지국에서 구현될 수 있고 송신 경로(400)는 단말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 경로(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2D 안테나 어레이들을 가지는 시스템들에 대한 코드북 설계 및 구조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경로(400)는 채널 코딩 및 변조 블록(405, channel coding and modulation block), 직렬-병렬 블록(410, serial-to-parallel (S-to-P) block), 크기 N의 역 고속 푸리에 변환 블록(415, size N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block), 병렬-직렬 블록(420, parallel-to-serial (P-to-S) block), 순환 전치 추가 블록(425, add cyclic prefix block), 및 상향 변환기(430, up-converter (UC))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경로(500)는 하향 변환기(555, down-converter (DC)), 순환 전치 제거 블록(560, remove cyclic prefix block), 직렬-병렬 블록(565), 크기 N의 고속 푸리에 변환 블록(570, size N fast Fourier transform (FFT) block), 병렬-직렬 블록(575), 및 채널 디코딩 및 복조 블록(580, channel decoding and demodulation block)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코딩 및 변조 블록(405)은 주파수-영역 변조 심볼들의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정보 비트들의 집합을 수신하고, 코딩(예를 들어, LDPC(low-density parity check) 코딩)을 적용하고, 입력 비트들을 변조(예를 들어, 직교 위상 편이 키잉(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또는 직교 진폭 변조(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한다.
직렬-병렬 블록(410)은 직렬 변조된 심볼들을 병렬 데이터로 변환(즉, 역다중화)하여 N개의 병렬 심볼 스트림들을 생성한다. 이때 N은 기지국(102) 및 단말(116)에서 사용되는 IFFT/FFT 크기이다. 크기 N의 IFFT 블록(415)은 N개의 병렬 심볼 스트림들에 대하여 IFFT 동작을 수행하여 시간-영역 출력 신호들을 생성한다. 병렬-직렬 블록(420)은 크기 N의 IFFT 블록(415)으로부터의 병렬 시간-영역 출력 심볼들을 변환(즉, 다중화)하여 직렬 시간-영역 신호들을 생성한다. 순환 전치 추가 블록(425)은 시간-영역 신호에 순환 전치를 삽입한다. 상향 변환기(430)는 무선 채널을 통한 송신을 위해 순환 전치 추가 블록(425)의 출력을 RF 주파수로 변조(즉, 상향 변환)한다. 이 신호는 RF 주파수로 변환하기 전에 베이스밴드에서 필터링될 수도 있다.
기지국(102)에서 송신된 RF 신호는 무선 채널을 거쳐 단말(116)에 도달하고, 기지국(102)에서의 동작들과 반대의 동작들이 단말(116)에서 수행된다. 제1 단말에서 송신된 RF 신호는 무선 채널을 거쳐 제2 단말에 도달하고, 제2 단말에서는 제1 단말에서의 동작들과 반대의 동작들이 수행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변환기(555)는 수신된 신호를 베이스밴드 주파수로 하향 변환하고, 순환 전치 제거 블록(560)은 직렬 시간-영역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순환 전치를 제거한다. 직렬-병렬 블록(565)은 시간-영역 베이스밴드 신호를 병렬 시간-영역 신호들로 변환한다. 크기 N의 FFT 블록(570)은 N개의 병렬 주파수-영역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FFT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병렬-직렬 블록(575)은 병렬 주파수-영역 신호들을 변조된 데이터 심볼들의 시퀀스로 변환한다. 채널 디코딩 및 복조 블록(580)은 원래의 입력 데이터 스트림을 복원하기 위해 변조된 심볼들을 복조한 다음 디코딩한다.
기지국들(101-103) 각각은 하향 링크에서 단말들(111-116)로 송신하는 것과 유사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송신 경로(400)를 구현할 수 있고, 상향 링크에서 단말들(111-116)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유사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신 경로(500)를 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들(111-116) 각각은 상향 링크에서 기지국들(101-103)로 송신하고/하거나 사이드링크에서 다른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경로(400)를 구현할 수 있고 하향 링크에서 기지국들(101-103)로부터 수신하고/하거나 사이드링크에서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신 경로(50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 및 5의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드웨어만 사용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펌웨어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도 4 및 5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구성요소들은 설정 가능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설정 가능한 하드웨어의 혼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FT 블록(570) 및 IFFT 블록(515)은 설정 가능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크기 N의 값은 구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고속 푸리에 변환(FFT) 및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산 푸리에 변환(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및 역 이산 푸리에 변환(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기능들과 같은 다른 유형의 변환을 사용할 수 있다. 변수 N의 값은 DFT 및 IDFT 기능들에 대하여 임의의 정수(1, 2, 3, 4 등)일 수 있는 반면, FFT 및 IFFT 기능들에 대하여 2의 거듭제곱(즉, 1, 2, 4, 8, 16 등)인 임의의 정수일 수 있다.
도 4 및 5는 무선 송신 및 수신 경로들의 예들을 도시하지만, 도 4 및 5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5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결합되거나, 추가로 세분화되거나, 생략될 수 있고, 특정 필요에 따라 추가 구성요소들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5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는 송신 및 수신 경로들 유형 예들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아키텍처들이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3GPP 무선 표준에는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NR)이 5G 무선 통신으로 명시되어 있다. NR 특징들 중 하나는 차량 대 사물(V2X: vehicle-to-everything) 통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SL, 600)를 통한 V2X 통신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사이드링크(600)를 통한 V2X 통신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6은 차량 대 차량 통신의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묘사한다. 두 대 이상의 차량들은 차량 간 직접 링크/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제어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차량 간 또는 차량과 그 밖의 사물들 간의 직접적인 링크/인터페이스를 3GPP에서는 사이드링크라고 부르기 때문에, "V2X 통신" 대신에 "사이드링크 통신"도 흔히 사용된다.
도 6은 차량들이 사이드링크 자원, 사이드링크 무선 베어러 설정 등을 획득하기 위해 여전히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설명하지만, 기지국과의 상호작용 없이도 차량들은 사이드링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링크 자원, 사이드링크 무선 베어러 설정 등은 사전 설정된다(예를 들어, V2X 서버 또는 그 밖의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해).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링크인 상향링크(UL: uplink)와 비교하면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메커니즘이다. 상향링크에서는 전송을 위한 자원을 기지국이 할당하지만, 사이드링크에서는 단말 자체가 자신의 채널 센싱 결과와 데이터/제어 전송에 필요한 자원들의 양을 토대로 사이드링크 자원 풀 내에서 자원을 선택한다. 이때 사이드링크 자원 풀은 기지국이 설정하며 만약 다수의 사이드링크 자원 풀들이 설정된 경우 단말이 선택한다.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하여, 무선 인터페이스 L1/L2/L3(Layer 1/Layer 2/Layer 3) 프로토콜들은 3GPP 표준 TS 38.211, 38.212, 38.213, 38.214 및 38.215에 규정된 물리 프로토콜(PHY: physical protocol), 3GPP 표준 TS 38.321에 규정된 매체 접근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3GPP 표준 TS 38.322에 규정된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 3GPP 표준 TS 38.323에 규정된 패킷 데이터 변환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3GPP 표준 TS 38.331에 규정된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및 3GPP 표준 TS 37.324에 규정된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로 구성된다.
도 7은 사이드링크 제어 및 사용자 평면 무선 프로토콜 스택(700)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사이드링크 제어 및 사용자 평면 무선 프로토콜 스택(7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7은 (사이드링크-RRC를 위한) 사이드링크 제어 평면 무선 프로토콜 스택(예를 들어, 도 7의 (a)) 및 NR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사이드링크 사용자 평면 데이터 무선 프로토콜 스택(예를 들어, 도 7의 (b))의 예를 묘사한다.
물리 프로토콜 계층은 물리 계층 신호들/채널들 및 물리 계층 절차들(예를 들어, 물리 계층 채널 구조, 물리 계층 신호 인코딩/디코딩, 사이드링크 전력 제어 절차, 사이드링크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us information) 관련 절차)을 처리한다.
주요 물리 사이드링크 채널들 및 신호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 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은 PSSCH를 위해 단말이 사용하는 자원들과 기타 전송 파라미터들을 지시한다; (2)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 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은 데이터 자체의 TB들과 CSI 피드백 정보 등을 전송한다; (3) 물리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PSFCH: physical sidelink feedback channel)은 PSSCH 전송의 의도된 수신자인 단말로부터 해당 전송을 수행한 단말로 사이드링크를 통해 HARQ 피드백을 전송한다; (4) 사이드링크 동기화 신호는 사이드링크 프라이머리 및 사이드링크 세컨더리 동기화 신호들(S-PSS, S-SSS: sidelink primary and sidelink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s)을 포함한다; (5) 물리 사이드링크 브로드캐스트 채널(PSBCH: 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은 사이드링크 동작에 필요한 필수 시스템 정보를 지시한다.
MAC 프로토콜 계층은 패킷 필터링(예: MAC 헤더의 L2 출발지 및 목적지 ID를 기반으로 수신된 패킷이 실제로 단말을 향하는지 여부를 결정), 사이드링크 캐리어/자원 풀/자원 풀 내 자원 (재)선택, 주어진 단말에 대한 사이드링크와 상향링크 간의 우선순위 처리, 사이드링크 논리 채널 우선순위 지정, 해당 패킷 다중화(예: 여러 MAC SDU들을 주어진 MAC PDU로 다중화) 및 사이드링크 HARQ 재전송/수신을 수행한다. RLC 프로토콜 계층은 RLC SDU 분할/SDU 재조립, RLC SDU 세그먼트 재분할, ARQ를 통한 오류 정정(AM 데이터 전송에만 해당)을 수행한다.
PDCP 프로토콜 계층은 헤더 압축/압축해제, 암호화 및/또는 무결성 보호, 중복 검출, 재정렬 및 상위 계층으로의 순차 패킷 전달과 상위 계층으로의 비순차 패킷 전달을 수행한다. RRC 프로토콜 계층은 피어 단말들(peer UEs) 간 PC5-RRC(PC5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단말들 간의 참조 포인트를 나타냄)라고도 하는 사이드링크-RRC 메시지의 전달, 두 단말들 간의 사이드링크-RRC 연결 유지 및 해제, 및 사이드링크-RRC 연결에 대한 사이드링크 무선 링크 실패의 검출을 수행한다. SDAP 프로토콜 계층은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흐름과 사이드링크 데이터 무선 베어러 간의 매핑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이드링크(SL)-RRC 또는 PC5-RRC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3GPP Rel-18에서는 사이드링크 통신에 더욱 향상된 특징들을 도입할 계획이며, 후보 특징들 중 하나는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캐리어 집성(CA: Carrier Aggregation)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캐리어 집성은 여러 캐리어들을 통해 제어/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메커니즘이다. 상향링크 캐리어 집성에서는 서빙 기지국이 캐리어 집성 동작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을 설정하지만, 사이드링크 통신에서는 단말이 스스로 자원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자원 할당 모드 2) 단말이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 동작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을 (재)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 동작에서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향상된 (재)선택을 위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
LTE에서는 V2X 캐리어 집성 동작에서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재)선택을 위해 기지국은 3GPP 표준 규격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음 파라미터들을 설정한다. 이들은 커버리지 밖(OOC: out-of-coverage)의 단말에 대하여 기지국의 개입 없이 사전 설정될 수도 있다.
IE SL-V2X-FreqSelectionConfigList는 단말 자율 자원 선택을 이용하여 V2X 사이드링크 통신 전송을 위한 캐리어 선택을 위한 설정 정보를 명시한다. 표 1은 SL-V2X-FreqSelectionConfigList 정보 요소를 보여준다.
표 1. SL-V2X-FreqSelectionConfigList 정보 요소
표 2는 SL-V2X-FreqSelectionConfig 필드 설명을 보여준다.
표 2. SL-V2X-FreqSelectionConfig 필드 설명
위와 같은 설정으로, LTE V2X 캐리어 집성 동작에서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재)선택을 위한 단말 동작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3GPP 표준 규격에 예시된 바와 같이, MAC 엔티티(entity)는 CBR 측정 결과가 이용 가능하면 캐리어의 채널 번잡 비율(CBR: channel busy ratio)을 하위 계층이 측정한 값으로 고려할 수 있고, 또는 CBR 측정 결과가 표 3과 같이 이용 가능하지 않으면 캐리어에 대하여 상위 계층이 설정한 해당 defaultTxConfigIndex를 고려할 수 있다.
[표 3]
NR 사이드링크 통신에서는 LTE V2X 통신과 달리 두 개의 피어(peer) 단말들이 PC5-RRC 절차를 통해 전용 연결(dedicated connection)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UniCast: UC)라고 한다. 사이드링크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절차는 PC5-RRC 연결을 수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DRB들을 수립/수정/해제(establish/modify/release)하고, NR 사이드링크 측정 및 보고를 (재)설정하고, 사이드링크 CSI 기준 신호 자원들(reference signal resources) 및 CSI 보고 지연 범위(reporting latency bound)를 (재)설정한다. 단말은 NR 사이드링크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기 위해 피어 단말의 (재)설정을 위한 사이드링크 RRC 재설정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단말은 RRCReconfigurationSidelink 메시지에 의한 유니캐스트에 대한 NR 사이드링크 측정 설정에 따라 해당 PC5-RRC 연결에서 NR 사이드링크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도록 연관된 피어 단말을 설정할 수 있다.
NR 사이드링크 측정 설정은 PC5-RRC 연결에 대한 다음 파라미터 예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NR 사이드링크 측정 대상들(objects): 연관된 피어 단말이 NR 사이드링크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는 대상(들).
다른 예에서, NR 사이드링크 측정에 대하여, NR 사이드링크 측정 대상은 측정될 기준 신호들의 NR 사이드링크 주파수를 나타낸다.
NR 사이드링크 보고 설정들의 또 다른 예에서: NR 사이드링크 측정 대상마다 하나 또는 다수의 NR 사이드링크 보고 설정(들)일 수 있는 NR 사이드링크 측정 보고 설정(들). 각각의 NR 사이드링크 보고 설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 보고 기준(reporting criterion): 단말이 NR 사이드링크 측정 보고를 전송하도록 트리거하는 기준이다. 이는 주기적이거나 단일 이벤트 설명(single event description)일 수 있다; (2) RS 유형(RS type): 단말이 NR 사이드링크 측정 결과를 위해 사용하는 RS. 이번 릴리스에서는 DMRS만 NR 사이드링크 측정에 대하여 지원된다; (3) 보고 형식(reporting format): 단말이 측정 보고에 포함하는 수량들(quantities). 이번 릴리스에서는 RSRP 측정만 지원된다.
또 다른 예에서, NR 사이드링크 측정 ID들(identities): 각 NR 사이드링크 측정 ID가 하나의 NR 사이드링크 측정 대상을 하나의 NR 사이드링크 보고 설정과 연결하는 NR 사이드링크 측정 ID들의 목록. 여러 NR 사이드링크 측정 ID들을 설정함으로써, 하나보다 많은 NR 사이드링크 보고 설정을 동일한 NR 사이드링크 측정 대상에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보다 많은 NR 사이드링크 측정 대상을 동일한 NR 사이드링크 보고 설정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NR 사이드링크 측정 ID는 보고를 트리거한 NR 사이드링크 측정 보고에 포함되어 네트워크에 대한 참조 역할을 한다.
NR 사이드링크 수량 설정들의 또 다른 예에서, NR 사이드링크 수량 설정은 모든 이벤트 평가 및 관련 보고에 대하여 그리고 해당 NR 사이드링크 측정의 주기적 보고에 대하여 사용되는 NR 사이드링크 측정 필터링 설정을 정의한다. 각 설정에서, 서로 다른 필터 계수들이 서로 다른 NR 사이드링크 측정 수량들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PC5-RRC 연결의 두 단말들은 NR 사이드링크 측정 대상 목록, NR 사이드링크 보고 설정 목록, 및 NR 사이드링크 측정 ID 목록을 유지한다.
NR 사이드링크 측정 설정을 위한 ASN.1은 표 4와 같이 정의된다. 각 설정에서 자세한 단말 동작에 대해서는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다.
표 4. NR 사이드링크 측정 설정을 위한 ASN.1
IE SL-MeasObjectList는 표 5에서와 같이 목적지(destination)에 대하여 추가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사이드링크 측정 대상들의 목록에 관한 것이다.
표 5. SL-MeasObjectList 정보 요소
IE SL-ReportConfigList는 표 6에서와 같이 목적지에 대하여 추가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사이드링크 측정 보고 설정들의 목록에 관한 것이다.
표 6. SL-ReportConfigList 정보 요소
IE SL-MeasIdList는 표 7에서와 같이, 각 항목에 대하여 sl-MeasId, 관련 sl-MeasObjectId, 및 관련 sl-ReportConfigId를 포함하여, 목적지에 대하여 추가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사이드링크 측정 ID들의 목록에 관한 것이다.
표 7. SL-MeasIdList 정보 요소
IE SL-QuantityConfig는 목적지에 대하여 NR 사이드링크 RSRP 측정을 위한 계층 3 필터링 계수들을 명시한다.
표 8. SL-QuantityConfig 정보 요소
사이드링크 측정 설정이 사이드링크 RRC 재설정 절차에 의해 설정되면, 해당 피어 단말은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UC) 목적지의 사이드링크 DMRS를 기반으로 사이드링크 측정들을 수행하고, 단말은 PC5-RRC MeasurementReportSidelink 메시지를 통해 사이드링크 측정 설정을 설정한 단말로 사이드링크 측정 결과를 전달한다. SL 측정 결과는 측정된 사이드링크 RSRP 값을 포함한다. MeasurementReportSidelink에 대한 ASN.1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easurementReportSidelink 메시지는 표 9 및 표 10과 같이 NR 사이드링크의 측정 결과들의 지시를 위해 사용된다.
표 9. MeasurementReportSidelink 메시지
표 10. MeasurementReportSidelink 메시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향상된 (재)선택을 위한 시그널링 흐름(800)을 도시한다. 이 시그널링 흐름(800)은 단말(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111-116) 및 기지국(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101-10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시그널링 흐름(8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언급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특수 회로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언급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SL CA)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향상된 (재)선택을 위한 전체 시그널링 흐름들의 일 예를 묘사한다. 801은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의 (재)선택을 수행하는 사이드링크 송신 단말(SL TX UE)을 나타내고, 803은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SL UC) 통신을 위한 801 단말의 피어 단말(peer UE)을 나타낸다. 805는 801 단말의 (서빙) 기지국(gNB) 또는 801 단말에 대한 사이드링크 사전 설정(SL pre-configurations)을 담당하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core NW entity)를 나타낸다. 811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 사이드링크 우선순위 범위별 임계값들(임계값 #1, 임계값 #2, 임계값 #3, 및 임계값 #4), 및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또는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 대신, L2 출발지 ID 및/또는 L2 목적지 ID, 또는 L2 출발지 ID와 목적지 ID의 쌍)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의 정보는 시스템 정보 및/또는 단말 전용 RRC 메시지 및/또는 사전 설정을 통해 801 단말에 제공된다.
일부 정보(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또는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 대신, L2 출발지 ID 및/또는 L2 목적지 ID, 또는 L2 출발지 ID와 목적지 ID의 쌍)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는 사전 설정에 의해서만 제공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의 정보는 801 단말이 제공되거나 위치하는 특정 셀 또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서 전체 사이드링크 통신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을 나타낸다. 사이드링크 우선순위 범위별 임계값들의 정보는 사이드링크 우선순위 범위별 각각의 임계값을 나타내며, 이들은 도 9에서 설명된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재)선택에서 사용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향상된 (재)선택을 위한 단말 절차(9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 단말 절차(900)는 단말(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111-11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단말 절차(9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언급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특수 회로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언급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또는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 대신, L2 출발지 ID 및/또는 L2 목적지 ID, 또는 L2 출발지 ID와 목적지 ID의 쌍)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의 정보는 특정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또는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 대신, L2 출발지 ID 및/또는 L2 목적지 ID, 또는 L2 출발지 ID와 목적지 ID의 쌍)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는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을 나타낸다. 전송을 수행하고자 하는 801 단말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과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또는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 대신, L2 출발지 ID 및/또는 L2 목적지 ID, 또는 L2 출발지 ID와 목적지 ID의 쌍)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의 정보는 다를 수 있다.
821에서, 사이드링크 단말 능력(sidelink UE capability)이 전달된다. 821은 PC5-RRC를 통한 사이드링크 단말 능력 전달 절차를 나타낸다. 사이드링크 단말 능력 전달 절차 동안, 단말(801) 및/또는 단말(803)은 자신의 피어 단말에게 자신이 지원하는 능력 정보를 알려준다. 이러한 능력 정보는 동시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해 지원되는 사이드링크 대역 조합들도 포함한다.
831에서, 사이드링크 RRC 재설정이 전송된다. 831은 PC5-RRC를 통한 사이드링크 RRC 재설정 절차를 나타낸다. 사이드링크 RRC 재설정 절차 동안, 사이드링크 측정 설정이 단말(803)에 대하여 설정된다.
841에서, 측정 보고 사이드링크가 전송된다. 841은 831에서의 사이드링크 측정 설정에 따라 단말(803)이 사이드링크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된 RSRP를 전달함을 나타낸다.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재)선택이 트리거되면, 851에서 단말(801)은 도 9에서 설명할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재)선택을 수행한다.
도 9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향상된 (재)선택을 위한 단말 절차의 일 예를 묘사한다. 901에서, 단말은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의 (재)선택을 트리거한다. 예시적인 트리거 조건들은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 동작이 설정 및/또는 활성화되는 경우, 단말이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 동작에 있는 동안 (재)선택된 후보 캐리어(들)가 해제되는 경우(예를 들어, 절차 963의 출력으로서), 또는 새로운 서비스 유형(또는 새로운 서비스 유형 대신, 새로운 L2 출발지 ID 및/또는 L2 목적지 ID, 또는 L2 출발지 ID와 목적지 ID의 쌍)에 대한 사이드링크 통신이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되는 경우 등이다.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의 (재)선택이 트리거되면, 911에서 단말은 811에서의 이용 가능한 사이드링크 캐리어 정보 및 821에서의 단말 능력 정보(예를 들어, 지원되는 사이드링크 대역 조합)를 기반으로 캐리어(들)를 선택한다. 단말은 사이드링크 통신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또는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 대신, L2 출발지 ID 및/또는 L2 목적지 ID, 또는 L2 출발지 ID와 목적지 ID의 쌍)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 및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동시 전송을 위한 801 단말의 능력과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동시 수신을 위한 803 단말의 능력 모두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캐리어들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통신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시스템 정보/단말 전용 RRC 설정/사전 설정을 통해 시그널링됨)이 캐리어 #1, 캐리어 #2, 캐리어 #3, 캐리어 #4, 및 캐리어 #5를 나타내고, 단말(801)이 전송하고자 하는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사전 설정을 통해 시그널링됨)이 캐리어 #1, 캐리어 #2, 캐리어 #3, 및 캐리어 #4를 나타내며, 캐리어 #1, 캐리어 #2, 및 캐리어 #3이 801 단말 능력에 의한 동시 전송과 803 단말 능력에 의한 동시 수신을 모두 지원한다면, 단말은 911에서 캐리어 #1, 캐리어 #2, 및 캐리어 #3을 선택한다.
921에서, 단말은 911에서 선택된 캐리어(들) 중, 과거에 941 및/또는 961의 출력으로서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로 이미 (재)선택된 캐리어(들)이 있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로서, 단말은 {(과거에 941 및/또는 961의 출력으로서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로 이미 (재)선택된 캐리어(들)이 있는지)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사이드링크 논리 채널에 대하여 이미 (재)선택된 후보 캐리어에서 데이터 전송이 허용되는지)} 확인한다.
921에서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예를 들어, 상위 계층에서 지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가 이용 가능한 사이드링크 논리 채널에 대하여 허용되는 임의의 캐리어에 설정된 사이드링크 그랜트가 없는 경우), 931에서 단말은 911에서 선택된 캐리어들 중 각 캐리어에 대하여 조건 {(측정된 CBR < 임계값 #1) 및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유효/최신 RSRP(예를 들어, 도 8의 841에서) > 임계값 #2)}가 충족되는지 확인한다. 931에서 조건이 캐리어에 대하여 충족되면, 941에서 단말은 해당 캐리어를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들)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로 간주한다. 931에서 조건이 캐리어에 대하여 충족되지 않으면, 943에서 단말은 해당 캐리어를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로 간주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931에서 단말은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각 후보 캐리어에 대하여 조건 (측정된 CBR < 임계값 #1) 또는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유효/최신 RSRP(예를 들어, 도 8의 841에서) > 임계값 #2)가 충족되는지 확인한다. 이러한 또는 조건은 임계값 #1과 임계값 #2 모두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이나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SL/V2X 사전 설정을 담당하는 SL/V2X 기능)가 임계값 #1만 또는 임계값 #2만 설정/사전 설정하는 경우, 단말은 설정된/사전 설정된 임계값에 관련된 조건만 확인한다. 또는, 기지국이나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SL/V2X 사전 설정을 담당하는 SL/V2X 기능)는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RSRP 또는 측정된 CBR이 해당 조건에서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별도의 명시적 정보를 설정/사전 설정한다.
921에서 조건이 충족되면, 951에서 단말은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각 후보 캐리어에 대하여 조건 {(측정된 CBR < 임계값 #3) 및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유효/최신 RSRP(예를 들어, 도 8의 841에서) > 임계값 #4)}가 충족되는지 확인한다. 951에서 조건이 충족되면, 961에서 단말은 해당 캐리어를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들)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로 유지한다. 단말은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로 유지하기로 961에서 결정한 캐리어들 중에서 자원 풀과 캐리어 내의 자원을 선택한다. 951에서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963에서 단말은 해당 캐리어를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들)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로부터 해제한다. 단말은 해제된 캐리어(들)를 더 이상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로 간주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951에서 단말은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각 후보 캐리어에 대하여 조건 (측정된 CBR < 임계값 #3) 또는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유효/최신 RSRP(예를 들어, 도 8의 841에서) > 임계값 #4)가 충족되는지 확인한다. 이러한 또는 조건은 임계값 #3과 임계값 #4 모두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이나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SL/V2X 사전 설정을 담당하는 SL/V2X 기능)가 임계값 #3만 또는 임계값 #4만 설정/사전 설정하는 경우, 단말은 설정/사전 설정된 임계값에 관련된 조건만 확인한다. 또는, 기지국이나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SL/V2X 사전 설정을 담당하는 SL/V2X 기능)는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RSRP 또는 측정된 CBR이 해당 조건에서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별도의 명시적 정보를 설정/사전 설정한다.
물리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사이드링크 RSRP(계층 3 필터링 적용 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easurementReportSidelink는 계층 3 필터링을 적용한 후 측정된 사이드링크 RSRP를 포함한다. 표 11은 PSBCH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을 나타낸다.
표 11. PSBCH 기준 신호 수신 전력(PSBCH-RSRP: PSBCH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일 예에서, PSBCH-RSRP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고려된 측정 주파수 대역폭 및 측정 기간 내의 자원 요소들의 수는 해당 측정 정확도 요구사항이 충족되어야 한다는 제한과 함께 단말 구현에 달려 있다.
일 예에서, 자원 요소당 전력은 CP를 제외하고 심볼의 유용한 부분 동안 수신된 에너지로부터 결정된다.
일 예에서, PSBCH-RSRP에 대하여 PSBCH DMRS만 사용하거나 S-SSS와 PSBCH DMRS 모두를 사용하는 것은 단말 구현에 달려 있다. 표 12는 PSBCH 기준 신호 수신 전력(PSBCH-RSRP)을 나타낸다.
표 12. PSSCH 기준 신호 수신 전력(PSSCH-RSRP)
일 예에서, 자원 요소당 전력은 CP를 제외하고 심볼의 유용한 부분 동안 수신된 에너지로부터 결정된다. 표 13은 PSCCH 기준 신호 수신 전력(PSCCH-RSRP)을 나타낸다.
표 13. PSCCH 기준 신호 수신 전력(PSCCH-RSRP)
일 예에서, 자원 요소당 전력은 CP를 제외하고 심볼의 유용한 부분 동안 수신된 에너지로부터 결정된다.
물리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사이드링크 CBR(계층 3 필터링 적용 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easurementReportSidelink는 표 14와 같이 계층 3 필터링을 적용한 후 측정된 사이드링크 CBR을 포함한다.
표 14. 사이드링크 채널 번잡 비율(SL CBR: sidelink channel busy ratio)
일 예에서, 슬롯 인덱스는 물리적 슬롯 인덱스에 기초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향상된 (재)선택을 위한 시그널링 흐름(1000)을 도시한다. 이 시그널링 흐름(1000)은 단말(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111-116) 및 기지국(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101-10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시그널링 흐름(10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언급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특수 회로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언급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SL CA)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향상된 (재)선택을 위한 전체 시그널링 흐름들의 다른 예를 묘사한다. 1001은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의 (재)선택을 수행하는 사이드링크 송신 단말(SL TX UE)을 나타내고, 1003은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SL UC) 통신을 위한 단말(1001)의 피어 단말(peer UE)을 나타낸다. 1005는 단말(1001)의 (서빙) 기지국(gNB) 또는 단말(1001)에 대한 사이드링크 사전 설정(SL pre-configurations)을 담당하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core NW entity)를 나타낸다. 1011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 사이드링크 우선순위 범위별 임계값들(임계값 #1, 임계값 #2, 임계값 #3, 및 임계값 #4), 및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또는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 대신, L2 출발지 ID 및/또는 L2 목적지 ID, 또는 L2 출발지 ID와 목적지 ID의 쌍)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의 정보는 시스템 정보 및/또는 단말 전용 RRC 메시지 및/또는 사전 설정을 통해 단말(1001)에 제공된다.
일부 정보(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또는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 대신, L2 출발지 ID 및/또는 L2 목적지 ID, 또는 L2 출발지 ID와 목적지 ID의 쌍)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는 사전 설정에 의해서만 제공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의 정보는 1001 단말이 제공되거나 위치하는 특정 셀 또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서 전체 사이드링크 통신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을 나타낸다. 사이드링크 우선순위 범위별 임계값들의 정보는 사이드링크 우선순위 범위별 각각의 임계값을 나타내며, 이들은 도 11에서 설명된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재)선택에서 사용된다.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또는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 대신, L2 출발지 ID 및/또는 L2 목적지 ID, 또는 L2 출발지 ID와 목적지 ID의 쌍)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의 정보는 특정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또는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 대신, L2 출발지 ID 및/또는 L2 목적지 ID, 또는 L2 출발지 ID와 목적지 ID의 쌍)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는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을 나타낸다. 전송을 수행하고자 하는 단말(1001)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과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또는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 대신, L2 출발지 ID 및/또는 L2 목적지 ID, 또는 L2 출발지 ID와 목적지 ID의 쌍)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의 정보는 다를 수 있다. 1021은 PC5-RRC를 통한 사이드링크 단말 능력 전달 절차를 나타낸다.
사이드링크 단말 능력 전달 절차 동안, 단말(1001) 및/또는 단말(1003)은 자신의 피어 단말에게 자신이 지원하는 능력 정보를 알려준다. 이러한 능력 정보는 동시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해 지원되는 사이드링크 대역 조합들도 포함한다. 1031은 PC5-RRC를 통한 사이드링크 RRC 재설정 절차를 나타낸다. 사이드링크 RRC 재설정 절차 동안, 사이드링크 측정 설정이 단말(1003)에 대하여 설정된다.
1031에서, 새로운 설정(측정된 CBR)은 사이드링크 측정 보고 수량(SL-MeasReportQuantity)에 포함될 수 있고 및/또는 새로운 설정(CBR 측정)은 사이드링크 측정 보고 트리거링 수량(SL-MeasTriggerQuantity)에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측정된 CBR이 SL-MeasReportQuantity에 설정된 경우 단말(1003)이 측정된 CBR을 캐리어에 대한 MeasurementReportSidelink에 포함하고 및/또는 CBR 측정이 SL-MeasTriggerQuantity에 설정되고 사이드링크 측정 보고 이벤트가 CBR 측정에 기초하여 충족되는 경우 단말(1003)이 캐리어에 대한 MeasurementReportSidelink의 전송을 트리거함을 의미한다. 1041에서, 측정 보고 사이드링크가 전송된다. 1041은 1031에서의 사이드링크 측정 설정에 따라 단말(1003)이 사이드링크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된 CBR을 전달함을 나타낸다.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의 (재)선택이 트리거되면, 1051에서 단말(1001)은 후보 캐리어의 (재)선택을 수행하며, 이는 도 11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향상된 (재)선택을 위한 단말 절차(11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 단말 절차(1100)는 단말(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111-11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단말 절차(11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언급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특수 회로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언급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의 향상된 (재)선택을 위한 단말 절차의 다른 예를 묘사한다. 1101에서, 단말은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의 (재)선택을 트리거한다. 예시적인 트리거 조건들은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 동작이 설정 및/또는 활성화되는 경우, 단말이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 동작에 있는 동안 (재)선택된 후보 캐리어(들)가 해제되는 경우(예를 들어, 절차 1163의 출력으로서), 또는 새로운 서비스 유형(또는 새로운 서비스 유형 대신, 새로운 L2 출발지 ID 및/또는 L2 목적지 ID, 또는 L2 출발지 ID와 목적지 ID의 쌍)에 대한 사이드링크 통신이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되는 경우 등이다.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의 (재)선택이 트리거되면, 1111에서 단말은 1011에서의 이용 가능한 사이드링크 캐리어 정보 및 1021에서의 단말 능력 정보(예를 들어, 지원되는 사이드링크 대역 조합)를 기반으로 캐리어(들)를 선택한다. 단말은 사이드링크 통신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또는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 대신, L2 출발지 ID 및/또는 L2 목적지 ID, 또는 L2 출발지 ID와 목적지 ID의 쌍)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 및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동시 전송을 위한 단말(1001)의 능력과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동시 수신을 위한 단말(1003)의 능력 모두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캐리어들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통신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시스템 정보/단말 전용 RRC 설정/사전 설정을 통해 시그널링됨)이 캐리어 #1, 캐리어 #2, 캐리어 #3, 캐리어 #4, 및 캐리어 #5를 나타내고, 단말(1001)이 전송하고자 하는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에 이용 가능한 캐리어들(사전 설정을 통해 시그널링됨)이 캐리어 #1, 캐리어 #2, 캐리어 #3, 및 캐리어 #4를 나타내며, 캐리어 #1, 캐리어 #2, 및 캐리어 #3이 단말(1001) 능력에 의한 동시 전송과 단말(1003) 능력에 의한 동시 수신을 모두 지원한다면, 단말은 1111에서 캐리어 #1, 캐리어 #2, 및 캐리어 #3을 선택한다.
1121에서, 단말은 1111에서 선택된 캐리어(들) 중, 과거에 1141 및/또는 1161의 출력으로서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로 이미 (재)선택된 캐리어(들)이 있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로서, 단말은 {(과거에 1141 및/또는 1161의 출력으로서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로 이미 (재)선택된 캐리어(들)이 있는지)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사이드링크 논리 채널에 대하여 이미 (재)선택된 후보 캐리어에서 데이터 전송이 허용되는지)} 확인한다.
1121에서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예를 들어, 상위 계층에서 지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가 이용 가능한 사이드링크 논리 채널에 대하여 허용되는 임의의 캐리어에 설정된 사이드링크 그랜트가 없는 경우), 1131에서 단말은 1111에서 선택된 캐리어들 중 각 캐리어에 대하여 조건 {(자신의 측정된 CBR < 임계값 #1) 및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유효/최신 CBR(예를 들어, 도 10의 1041에서) < 임계값 #2)}가 충족되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로, 임계값 #2 대신에 임계값 #1이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유효/최신 CBR과의 비교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는 임계값 #2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1131에서 조건이 캐리어에 대하여 충족되면, 1141에서 단말은 해당 캐리어를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로 간주한다. 1131에서 조건이 캐리어에 대하여 충족되지 않으면, 1143에서 단말은 해당 캐리어를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로 간주하지 않는다. 1121에서 조건이 충족되면, 1151에서 단말은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각 후보 캐리어에 대하여 조건 {(자신의 측정된 CBR < 임계값 #3) 및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유효/최신 CBR(예를 들어, 도 10의 1041에서) < 임계값 #4)}가 충족되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로, 임계값 #4 대신에 임계값 #3이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유효/최신 CBR과의 비교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는 임계값 #4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1151에서 조건이 충족되면, 1161에서 단말은 해당 캐리어를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들)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로 유지한다. 단말은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로 유지하기로 1161에서 결정한 캐리어들 중에서 자원 풀과 캐리어 내의 자원을 선택한다. 1151에서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1163에서 단말은 해당 캐리어를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들)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로부터 해제한다. 단말은 해제된 캐리어(들)를 더 이상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들)로 간주하지 않는다.
물리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사이드링크 CBR(계층 3 필터링 적용 전)은 전술한 것과 동일한 정의를 가지며 MeasurementReportSidelink는 계층 3 필터링 적용 후 측정된 사이드링크 CBR을 포함한다.
PSCCH의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는 두 가지 SCI 포맷들을 포함한다. 1단계 SCI 포맷은 SCI 포맷 1-A이고, 2단계 SCI 포맷은 SCI 포맷 2-A 및/또는 SCI 포맷 2-B이다. 각각의 SCI 포맷은 다음 정보를 가진다.
SCI 포맷 1-A는 PSSCH 및 PSSCH에서의 2단계 SCI의 스케줄링에 대하여 사용된다. 다음 정보는 SCI 포맷 1-A에 의하여 전송된다:
- 우선순위(priority)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3 비트;
- 주파수 자원 할당(frequency resource assignment)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상위 계층 파라미터 sl-MaxNumPerReserve의 값이 2로 설정된 경우 비트; 그렇지 않으면 상위 계층 파라미터 sl-MaxNumPerReserve의 값이 3으로 설정된 경우 비트;
- 시간 자원 할당(time resource assignment)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상위 계층 파라미터 sl-MaxNumPerReserve의 값이 2로 설정된 경우 5 비트; 그렇지 않으면, 상위 계층 파라미터 sl-MaxNumPerReserve의 값이 3으로 설정된 경우 9 비트;
- 자원 예약 기간(resource reservation period)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비트. 여기서 는 상위 계층 파라미터 sl-MultiReserveResource가 설정된 경우 상위 계층 파라미터 sl-ResourceReservePeriodList의 항목들의 수; 그렇지 않으면 0 비트;
- DMRS 패턴(DMRS pattern)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비트, 여기서 Npattern은 상위 계층 파라미터 sl-PSSCH-DMRS-TimePatternList에 의해 설정된 DMRS 패턴들의 수; sl-PSSCH-DMRS-TimePatternList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0 비트;
- 2단계 SCI 포맷(2nd-stage SCI format)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2 비트;
- Beta_offset 지시자(Beta_offset indicator)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상위 계층 파라미터 sl-BetaOffsets2ndSCI에 의해 제공되는 2 비트;
- DMRS 포트의 수(number of DMRS port)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1 비트;
-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5 비트;
- 추가 MCS 테이블 지시자(additional MCS table indicator)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음: 하나의 MCS 테이블이 상위 계층 파라미터 sl-Additional-MCS-Table에 의해 설정되는 경우 1 비트; 2개의 MCS 테이블들이 상위 계층 파라미터 sl-Additional-MCS-Table에 의해 설정되는 경우 2 비트; 그렇지 않으면 0 비트;
- PSFCH 오버헤드 지시(PSFCH overhead indication)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상위 계층 파라미터 sl-PSFCH-Period = 2 또는 4인 경우 1 비트; 그렇지 않으면 0 비트;
- 예비(reserved) - 상위 계층 파라미터 sl-NumReservedBits에 의해 결정되는 비트들의 수, 그 값은 0으로 설정됨.
표 15. 2단계 SCI 포맷
표 16. Beta_offset 지시자 값들과 인덱스들의 매핑
표 17. DMRS 포트(들)의 수
SCI 포맷 2-A는 PSSCH의 디코딩을 위해 사용되며, HARQ-ACK 정보가 ACK 또는 NACK를 포함하는 경우 HARQ 동작과 함께, 또는 HARQ-ACK 정보의 피드백이 없는 경우.
다음 정보는 SCI 포맷 2-A에 의하여 전송된다:
-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new data indicator)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1 비트;
- 리던던시 버전(redundancy version)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2 비트;
- 출발지 ID(source ID)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8 비트;
- 목적지 ID(destination ID)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16 비트;
- HARQ 피드백 활성화/비활성화 지시자(HARQ feedback enabled/disabled indicator)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1 비트;
- 캐스트 유형 지시자(cast type indicator)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2 비트;
- CSI 요청(CSI request)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1 비트.
표 18. 캐스트 유형 지시자
SCI 포맷 2-B는 PSSCH의 디코딩을 위해 사용되며, HARQ-ACK 정보가 NACK만 포함하는 경우 HARQ 동작과 함께, 또는 HARQ-ACK 정보의 피드백이 없는 경우.
다음 정보는 SCI 포맷 2-B에 의하여 전송된다.
-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1 비트;
- 리던던시 버전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2 비트;
- 출발지 ID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8 비트;
- 목적지 ID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16 비트;
- HARQ 피드백 활성화/비활성화 지시자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1 비트;
- 영역 ID(zone ID)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12 비트;
- 통신 범위 요구사항(communication range requirement)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4 비트.
3GPP Rel-16에서는 기본 사이드링크 통신 기능들이 지원되며, Rel-17에서는 사이드링크에 더욱 향상된 특징들이 도입되었다. Rel-17 특징들 중 하나는 송신 단말(사이드링크를 통해 데이터/제어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 자신의 사이드링크 채널 센싱 외에 다른 단말의 사이드링크 채널 센싱 결과도 고려하는 향상된 사이드링크 자원 할당 메커니즘이다. 다른 단말(들)은 단말간 조정 정보(inter-UE coordination(IUC) 정보(INFO))라고 불리는 제어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채널 센싱으로부터 비롯된 선호 및/또는 비-선호 자원 정보의 집합을 송신 단말에게 알릴 수 있니다. IUC 전송은 다른 단말(들) 자체적으로 또는 송신 단말의 요청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IUC 요청(REQ)을 보낼 수 있고 다른 단말(들)은 이에 따라 IUC INFO에 응답한다.
사이드링크 단말은 모드 2에서 단말간 조정(IUC)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A가 자원들에 대한 정보를 단말-B로 전송하면, 단말-B는 이를 자원 (재)선택에 사용한다. 단말간 조정의 다음 방식들이 지원된다: (1) IUC 방식 1, 여기서 단말-A가 단말-B로 전송하는 조정 정보는 단말-B의 전송을 위한 선호 및/또는 비-선호 자원이고, (2) IUC 방식 2, 여기서 단말-A가 단말-B로 전송하는 조정 정보는 단말-B의 SCI가 지시하는 자원들에 대한 예상/잠재적 자원 충돌의 존재이다.
방식 1에서, 단말간 조정은 단말-B의 명시적인 요청에 의해 또는 단말-A의 조건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단말-A는 단말-B의 의도된 수신자인 단말-A가 반-이중(half-duplex) 동작으로 인해 단말-B로부터 사이드링크 수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 다른 단말들 또는 슬롯들에 의해 예약된 자원들의 집합을 결정한다. 단말-A는 이러한 자원들을 비-선호 자원 집합으로 사용하거나, 이러한 자원들을 제외하여 선호 자원 집합을 결정하고 선호/비-선호 자원들을 단말-B로 전송한다. 자원 (재)선택을 위한 단말-B의 자원들은 단말-B의 센싱 결과(가능한 경우) 및 단말-A로부터 수신된 조정 정보 모두에 기초할 수도 있고, 단말-A로부터 수신된 조정 정보에만 기초할 수도 있다. 방식 1의 경우, MAC CE와 2단계 SCI 또는 MAC CE만 단말간 조정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유니캐스트 방식의 단말간 조정에 대한 명시적 요청 및 보고가 지원된다.
방식 2에서, 단말-A는 단말-B의 SCI가 지시하는 자원들 내에서 예상되는/잠재적인 자원 충돌을, 다른 단말들에 의해 예약되고 단말-B의 SCI에 의해 지시된 자원들과 완전히/부분적으로 중복된다고 단말-A에 의해 확인된 자원들로 결정하거나, 또는 단말-A가 단말-B의 의도된 수신자이고 반-이중 동작으로 인해 해당 슬롯들에서 사이드링크 수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슬롯들로 결정한다. 단말-B는 충돌 자원들을 이용하여 재선택될 자원들을 결정하고 충돌 자원들을 재선택된 자원들에서 제외한다. 방식 2의 경우, PSFCH가 단말간 조정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SCI 포맷 2-C는 PSSCH의 디코딩 및 단말간 조정 정보의 제공 또는 요청에 사용된다.
다음 정보는 SCI 포맷 2-C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정의된다:
- HARQ 프로세스 번호 - 4 비트;
-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 - 1 비트;
- 리던던시 버전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2 비트;
- 출발지 ID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8 비트;
- 목적지 ID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16 비트;
- HARQ 피드백 활성화/비활성화 지시자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1 비트;
- CSI 요청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1 비트;
- 제공/요청 지시자(providing/requesting indicator) - 1 비트, 여기서 값 0은 SCI 포맷 2-C가 단말간 조정 정보의 제공에 사용됨을 나타내고, 값 1은 SCI 포맷 2-C가 단말간 조정 정보의 요청에 사용됨을 나타낸다.
- Y=이고 Nrsv_period는 상위 계층 파라미터 sl-MultiReserveResource가 설정된 경우 상위 계층 파라미터 sl-ResourceReservePeriodList 내의 항목들의 수이며; 그렇지 않으면 Y=0이다;
- 제1 자원 위치 - 3GPP 표준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8 비트;
- 자원 집합 유형 - 1 비트, 여기서 값 0은 선호 자원 집합을 나타내고 값 1은 비-선호 자원 집합을 나타낸다;
"제공/요청 지시자" 필드가 1로 설정되면, 나머지 모든 필드들은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 우선순위 -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바와 같이 3 비트. 우선순위 필드의 값 "000"은 우선순위 값 "1"에 해당하고, 우선순위 필드의 값 "001"은 우선순위 값 "2"에 해당하는 식이다;
여기서 Nrsv_period는 상위 계층 파라미터 sl-MultiReserveResource가 설정된 경우 상위 계층 파라미터 sl-ResourceReservePeriodList 내의 항목들의 수이고; 그렇지 않으면 0 비트;
- 자원 집합 유형 - 1 비트, 여기서 상위 계층 파라미터 determinResourceSetTypeScheme1이 "단말-B의 요청"으로 설정된 경우, 값 0은 선호 자원 집합을 제공하는 단말간 조정 정보에 대한 요청을 나타내고, 값 1은 비-선호 자원 집합을 제공하는 단말간 조정 정보에 대한 요청을 나타낸다; 그렇지 않으면 0이다;
- 패딩 비트.
동일한 자원 풀에서의 동작을 위해, 페이로드 크기가 "제공/요청 지시자" 필드가 0으로 설정된 SCI 포맷 2-C의 페이로드 크기와 같아질 때까지 "제공/요청 지시자" 필드가 1로 설정된 SCI 포맷 2-C에 0이 부가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간 조정 요청 MAC CE(1200)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a에 도시된 단말간 조정 요청 MAC CE(12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12a는 단말간 조정 요청(IUC REQ) MAC CE를 보여준다. 단말간 조정 요청 MAC CE는 LCID를 갖는 MAC 하위 헤더에 의해 식별된다. 단말간 조정 요청 MAC CE의 우선순위는 "1"로 고정된다.
이는 다음 필드들을 포함하는 48 비트의 고정 크기를 갖는다.
- RT: sl-DetermineResourceType(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됨)의 값이 "ueb"로 설정된 경우, 이 필드는 자원 집합 유형(즉, 선호 자원 집합 또는 비-선호 자원 집합)을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SCI 포맷 2-C resourceSetType 필드의 코드포인트 값으로 지시한다. 이 필드는 sl-DetermineResourceType 값이 "uea"로 설정된 경우 무시된다;
- RP: 이 필드는 자원 예약 주기를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SCI 포맷 2-C resourceReservationPeriod 필드의 코드포인트 값으로 지시한다. 이 필드의 길이는 4 비트이다.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SCI 포맷 2-C의 resourcesReservationPeriod 필드의 길이가 4 비트보다 짧은 경우, 이 필드는 LSB 비트를 사용하는 resourcesReservationPeriod 필드를 포함한다;
- 우선순위: 이 필드는 우선순위를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SCI 포맷 2-C 우선순위 필드의 코드포인트 값으로 지시한다. 필드의 길이는 3 비트이다;
- RSWL: 이 필드는 자원 선택 윈도우 위치를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SCI 포맷 2-C resourceSelectionWindowLocation 필드의 코드포인트 값으로 지시한다. 이 필드의 길이는 34 비트이다.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SCI 포맷 2-C의 resourcesSelectionWindowLocation 필드의 길이가 34 비트보다 짧은 경우, 이 필드는 LSB 비트를 사용하는 resourcesSelectionWindowLocation 필드를 포함한다;
- 서브채널 수: 이 필드는 서브채널들의 개수를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SCI 포맷 2-C numberOfSubchannel 필드의 코드포인트 값으로 지시한다. 이 필드의 길이는 5 비트이다.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SCI 포맷 2-C의 numberOfSubchannel 필드의 길이가 5 비트보다 짧은 경우, 이 필드는 LSB 비트를 사용하는 numberOfSubchannel 필드를 포함한다;
- R: 예비 비트, 0으로 설정된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간 조정 정보 MAC CE(1250)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b에 도시된 단말간 조정 요청 MAC CE(125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12b는 단말간 조정 정보(IUC INFO) MAC CE를 보여준다. 단말간 조정 정보 MAC CE는 LCID를 갖는 MAC 하위 헤더에 의해 식별된다. 단말간 조정 정보 MAC CE의 우선순위는 "1"로 고정된다.
이는 다음 필드들을 포함하는 가변 크기를 갖는다.
- RT: 이 필드는 자원 집합 유형(즉, 선호 자원 집합/비-선호 자원 집합)을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SCI 포맷 2-C resourceSetType 필드의 코드포인트 값으로 지시한다;
- RSL: 이 필드는 기준 슬롯의 위치를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SCI 포맷 2-C referenceSlotLocation 필드의 코드포인트 값으로 지시한다. 이 필드의 길이는 17 비트이다.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SCI 포맷 2-C의 referenceSlotLocation 필드의 길이가 17 비트보다 짧은 경우, 이 필드는 LSB 비트를 사용하는 referenceSlotLocation 필드를 포함한다.
- LSIi: 이 필드는 각 TRIV의 첫 번째 자원 위치에 대한 가장 낮은 서브채널 인덱스들을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SCI 포맷 2-C lowerIndices 필드의 코드포인트 값으로 지시한다. LSI0은 첫 번째 자원 조합 내 TRIV의 첫 번째 자원 위치에 대한 가장 낮은 서브채널 인덱스들을 나타내고, LSI1은 두 번째 자원 조합 내 TRIV의 첫 번째 자원 위치에 대한 가장 낮은 서브채널 인덱스들을 나타내는 식이다. 이 필드의 길이는 5 비트이다.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SCI 포맷 2-C의 lowIndices 필드의 길이가 5 비트보다 짧은 경우, 이 필드는 LSB 비트를 사용하는 lowIndices 필드를 포함한다.
- RCi: 이 필드는 자원 조합을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SCI 포맷 2-C resourceCombination 필드의 코드포인트 값으로 지시한다. RC0은 첫 번째 자원 조합을 나타내고, RC1은 두 번째 자원 조합을 나타내는 식이다. 이 필드의 길이는 26 비트이다.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SCI 포맷 2-C의 resourcesCombination 필드의 길이가 26 비트보다 짧은 경우, 이 필드는 LSB 비트를 사용하는 resourcesCombination 필드를 포함한다.
- 첫 번째 자원 위치i-1: 이 필드는 첫 번째 자원 위치를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SCI 포맷 2-C firstResourceLocation 필드의 코드포인트 값으로 지시한다. 첫 번째 자원 위치0은 두 번째 자원 조합에 대한 첫 번째 자원 위치를 나타내고, 첫 번째 자원 위치1은 세 번째 자원 조합에 대한 첫 번째 자원 위치를 나타내는 식이다. 이 필드의 길이는 13 비트이다.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된 SCI 포맷 2-C의 firstResourceLocation 필드의 길이가 13 비트보다 짧은 경우, 이 필드는 LSB 비트를 사용하는 firstResourceLocation 필드를 포함한다.
- R: 예비 비트, 0으로 설정된다.
Rel-18에서는 사이드링크에 보다 향상된 특징들이 도입될 수 있으며, 그 특징들 중 하나가 캐리어 집성(CA: carrier aggregation)일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 효율적인 SCI를 제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 동작의 시그널링 흐름(1300)을 도시한다. 이 시그널링 흐름(1300)은 단말(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111-116) 및 기지국(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101-10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시그널링 흐름(13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언급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특수 회로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언급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실시예의 예를 묘사한다. 1301은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또는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사이드링크 단말#1이고, 1302는 사이드링크 단말#1(1301)의 피어 단말이면서(또는 사이드링크 단말#1(1301)과 통신하면서) 및/또는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되지 않은(또는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를 가지지 않은) 사이드링크 단말#2이고, 705는 사이드링크 단말#1(1301) 및 사이드링크 단말#2(1302)의 서빙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다. 사이드링크 단말#1(1301)의 서빙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과 사이드링크 단말#2(1302)의 서빙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일 수 있으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기지국이 둘 모두를 서비스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 동작을 위해, 기지국(1305)은 사이드링크 단말#1(1301)에 대한 각각의 사이드링크 캐리어에 대하여 송신 자원 풀들 및/또는 수신 자원 풀들을 설정한다. 기지국(1305)은 사이드링크 단말#1(1301) 및/또는 사이드링크 단말#2(1302)에 대한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에 대하여 송신 자원 풀들 및/또는 수신 자원 풀들을 설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1311, 1313). 각각의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은 자원 풀 인덱스(또는 풀 ID)로 설정되고, 각각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는 캐리어 인덱스(또는 캐리어 ID)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에 대하여 3개의 송신 자원 풀들 및/또는 3개의 수신 자원 풀들이 설정된다고 가정한다:
- 캐리어 인덱스 #0을 갖는 사이드링크 캐리어(사이드링크 캐리어 #0이라고 부른다):
o 자원 풀 인덱스 #0을 갖는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송신 자원 풀 #0 및/또는 수신 자원 풀 #0이라고 부른다),
o 자원 풀 인덱스 #1을 갖는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송신 자원 풀 #1 및/또는 수신 자원 풀 #1이라고 부른다),
o 자원 풀 인덱스 #2를 갖는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송신 자원 풀 #2 및/또는 수신 자원 풀 #2라고 부른다);
- 캐리어 인덱스 #1을 갖는 사이드링크 캐리어(사이드링크 캐리어 #1이라고 부른다):
o 자원 풀 인덱스 #0을 갖는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송신 자원 풀 #0 및/또는 수신 자원 풀 #0이라고 부른다),
o 자원 풀 인덱스 #1을 갖는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송신 자원 풀 #1 및/또는 수신 자원 풀 #1이라고 부른다),
o 자원 풀 인덱스 #2를 갖는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송신 자원 풀 #2 및/또는 수신 자원 풀 #2라고 부른다).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에 대한 송신 자원 풀들 및/또는 수신 자원 풀들에 대한 설정의 다른 예로,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를 사용하는 대신에, 자원 풀 인덱스(또는 풀 ID)만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에 걸쳐 동일한 자원 풀 인덱스가 사용되지 않음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에 대하여 3개의 자원 풀들 및/또는 3개의 수신 자원 풀들이 설정된다고 가정한다:
- 첫 번째 사이드링크 캐리어(사이드링크 캐리어 #0이라고 부른다):
o 자원 풀 인덱스 #0을 갖는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송신 자원 풀 #0 및/또는 수신 자원 풀 #0이라고 부른다),
o 자원 풀 인덱스 #1을 갖는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송신 자원 풀 #1 및/또는 수신 자원 풀 #1이라고 부른다),
o 자원 풀 인덱스 #2를 갖는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송신 자원 풀 #2 및/또는 수신 자원 풀 #2라고 부른다);
- 두 번째 사이드링크 캐리어(사이드링크 캐리어 #1이라고 부른다):
o 자원 풀 인덱스 #0을 갖는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송신 자원 풀 #0 및/또는 수신 자원 풀 #3이라고 부른다),
o 자원 풀 인덱스 #1을 갖는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송신 자원 풀 #1 및/또는 수신 자원 풀 #4라고 부른다),
o 자원 풀 인덱스 #2를 갖는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송신 자원 풀 #2 및/또는 수신 자원 풀 #5라고 부른다).
자원 풀 인덱스(또는 풀 id) 및/또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또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id)에 대한 명시적인 설정 없이도, 사이드링크 단말 #1(1301) 및/또는 사이드링크 단말 #2(1302)는 설정의 순서에 기초하여 자원 풀 인덱스 및/또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의 첫 번째 사이드링크 캐리어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 #0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고, 설정의 두 번째 사이드링크 캐리어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 #1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며, 각 사이드링크 캐리어의 첫 번째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은 자원 풀 인덱스 #0을 갖는 자원 풀로 간주되고, 각 사이드링크 캐리어의 두 번째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은 자원 풀 인덱스 #1을 갖는 자원 풀로 간주되며, 각 사이드링크 캐리어의 세 번째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은 자원 풀 인덱스 #2를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고 자원 풀 인덱스만 사용하는 경우(1311 및 1313의 다른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이드링크 단말 #1(1301) 및/또는 사이드링크 단말 #2(1302)는 설정의 순서에 기초하여 자원 풀 인덱스만을 도출한다. 예를 들어, 설정의 첫 번째 사이드링크 캐리어에서, 첫 번째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은 자원 풀 인덱스 #0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고, 두 번째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은 자원 풀 인덱스 #1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며, 세 번째 TX 자원 풀 및/또는 RX 자원 풀은 자원 풀 인덱스 #2를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면 설정의 두 번째 사이드링크 캐리어에서, 첫 번째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은 자원 풀 인덱스 #3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고, 두 번째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은 자원 풀 인덱스 #4를 갖는 것으로 간주되며, 세 번째 송신 자원 풀 및/또는 수신 자원 풀은 자원 풀 인덱스 #5를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1311 및 1313은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또는 단말 전용 RRC 메시지(예를 들어, RRC 재설정)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링크 단말 #1(1301)과 사이드링크 단말 #2(1302)가 커버리지 안에 위치한다고 가정하지만, 단말들이 커버리지 밖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1311 및 1313에서의 정보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사전 설정될 수 있다. 1311 및 1313에서 설정된 송신 및 수신 자원 풀들은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 동작 전용일 수 있다. 이 경우, 이 자원 풀들은 Rel-16 및/또는 Rel-17 자원 풀들과 비교하여 별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단지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들만이 이 자원 풀들을 사용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단말 #1(1301)과 사이드링크 단말 #2(1303) 간의 사이드링크 통신이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UC: unicast)인 경우, 단말들은 PC5-RRC 연결을 수립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 동작을 위한 사이드링크 캐리어들과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들의 후보들을 제한(또는 설정)할 수 있다(1321). 예를 들어, 1311 및/또는 1313에서 2개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 및 각각의 사이드링크 캐리어에 대한 3개의 송신 자원 풀들 및/또는 3개의 수신 자원 풀들이 설정되는 경우, 사이드링크 단말#1(1301) 및/또는 사이드링크 단말#2(1302)는 1311 및/또는 1313에서의 설정들 중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과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들의 후보를 추가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311 및/또는 1313에서 2개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 내의 총 6개의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들 중에서, 단말은 다음과 같이 후보 사이드링크 캐리어들과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들을 3개의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들로 추가 제한할 수 있다. 각각의 추가 제한된(설정된) 사이드링크 캐리어들과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은 스케줄링 인덱스(또는 스케줄링 ID)로 설정될 것이다.
스케줄링 인덱스는 설정 순서에 기초하여 명시적으로 설정되거나 암시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0,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 인덱스#1 (스케줄링 인덱스#0);
-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1,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 인덱스#0 (스케줄링 인덱스#1);
-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1,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 인덱스#2 (스케줄링 인덱스#2).
또는 자원 풀 인덱스만 사용되는 경우(1311 및 1313의 다른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 인덱스#1 (스케줄링 인덱스#0);
-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 인덱스#3 (스케줄링 인덱스#1);
-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 인덱스#5 (스케줄링 인덱스#2).
1321에서의 정보는 PC5-RRC 재설정 및 PC5-RRC 재설정 완료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모드 1 자원 할당에서는 기지국이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고, 모드 2 자원 할당에서는 단말 자신이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한다. 모드 1 자원 할당이 적용되고 단말이 RRC 연결 상태에 있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 전용 RRC 메시지(예를 들어, RRC 재설정)를 통해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 동작을 위한 사이드링크 캐리어들과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들의 후보들을 추가로 제한(또는 설정)할 수 있다(1331).
1331은 1321이 1331에 의해 트리거되는 경우 1321보다 일찍 발생할 수 있다. 후보 사이드링크 캐리어들과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들에 대한 추가 제한(또는 설정)이 1321 및/또는 1331에서 수행되지 않으면, 사이드링크 단말#1(1301) 및 사이드링크 단말#2(1302)는 단말이 두 캐리어들을 모두 지원하는 경우(관심 서비스 유형 또는 관심 L2 목적지 ID에 대하여) 후보 사이드링크 캐리어들과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들이 1311 및/또는 1313에서 설정된 것으로 간주한다.
1311과 1313에서는 2개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을 가정할 수 있지만, 1311과 1313에서 설정된 3개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이 있고 단말이 마지막 2개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만 지원하는 경우(관심 서비스 유형 또는 관심 L2 목적지 ID에 대하여), 단말은 마지막 2개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에서의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들만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 동작을 위한 후보들로 간주한다. 이 경우, 다른 예로서 단말은 단말이 (관심 서비스 유형 또는 관심 L2 목적지 ID에 대하여) 지원하는 설정의 첫 번째 사이드링크 캐리어로부터 시작하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 및 자원 풀 인덱스를 고려한다(예를 들어, 단말이 지원하는 첫 번째 사이드링크 캐리어에 대한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 #0 및 그 사이드링크 캐리어에서 첫 번째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에 대한 자원 풀 인덱스 #0).
모드 1 자원 할당에서,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단말#1(1301)로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한다(예를 들어, 1333). 1333에서 할당된 자원 정보는 DCI에 의해 시그널링된다. 1331에서 후보 사이드링크 캐리어들과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들에 대한 추가 제한(또는 설정)이 수행되는 경우, DCI는 어떤 사이드링크 캐리어와 그 사이드링크 캐리어의 어떤 송신 자원 풀이 사이드링크 통신에 할당된 자원에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는 스케줄링 인덱스를 포함한다. 1331에서 후보 사이드링크 캐리어들과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들에 대한 추가 제한(또는 설정)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DCI는 어떤 사이드링크 캐리어가 할당된 자원에 사용되는지 나타내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 및 그 사이드링크 캐리어의 어떤 송신 자원 풀이 할당된 자원에 사용되는지 나타내는 자원 풀 인덱스를 포함한다.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가 사용되지 않고 자원 풀 인덱스만 사용되는 경우(1311 및 1313의 다른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DCI는 모든 후보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에 걸쳐 어떤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이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에 사용되는지 나타내는 자원 풀 인덱스만 포함한다. 다른 예로, 할당된 자원에 대한 사이드링크 캐리어가 DCI가 전송되는 하향링크 캐리어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캐리어와 동일한 경우(또는 할당된 자원에 대한 사이드링크 캐리어가 상향링크 캐리어의 일부인 경우) 스케줄링 인덱스(또는 자원 풀 인덱스 및/또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는 DCI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모드 2 자원 할당에서 자원 할당 이후 또는 모드 1 자원 할당에서 1331 이후, 사이드링크 단말#1(1301)은 할당된 자원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SCI를 사이드링크 단말#2(1302)로 전송한다(예를 들어, 1333). 후보 사이드링크 캐리어들과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들에 대한 추가 제한(또는 설정)이 모드 2 자원 할당의 경우 1321에서 수행되거나 모드 1 자원 할당의 경우 1333에서 단말이 수신하는 경우, SCI는 어떤 사이드링크 캐리어와 어떤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이 사이드링크 전송(사이드링크 단말#1(1301)의 관점에서) 또는 사이드링크 수신(사이드링크 단말#2(1302)의 관점에서)을 위해 할당된 자원에 사용되는지 나타내는 스케줄링 인덱스를 포함한다.
1321 및/또는 1331에서 후보 사이드링크 캐리어들과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들에 대한 추가 제한(또는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SCI는 어떤 사이드링크 캐리어가 할당된 자원에 사용되는지 나타내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 및 그 사이드링크 캐리어의 어떤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이 할당된 자원에 사용되는지 나타내는 자원 풀 인덱스를 포함한다.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가 사용되지 않고 자원 풀 인덱스만 사용되는 경우(1311 및 1313의 다른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CI는 모든 후보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에 걸쳐 어떤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이 할당된 자원에 사용되는지 나타내는 자원 풀 인덱스만 포함한다. 다른 예로, 할당된 자원에 대한 사이드링크 캐리어 및/또는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이 SCI가 전송되는 경우의 것과 동일한 경우 스케줄링 인덱스(또는 자원 풀 인덱스 및/또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는 SCI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1341a는 SCI와 그 SCI에 의해 할당된 자원의 데이터가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1341b 및 1343b는 SCI가 먼저 전송되고 이어서 SCI에 의해 할당된 자원의 데이터가 SCI 후에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는 사이드링크 단말#2(1302)가 할당된 자원의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전에 SCI로부터 스케줄링 인덱스(또는 자원 풀 인덱스 및/또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를 디코딩하는 데 더 많은 처리 시간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간 간격의 길이는 고정되거나 설정되거나 사전 설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사이드링크 단말#2(1302)가 사이드링크 수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을 알 수 있도록(사이드링크 단말#2(1302)의 관점에서) SCI에서의 스케줄링 인덱스(또는 자원 풀 인덱스 및/또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를 가정하지만, SCI의 스케줄링 인덱스(또는 자원 풀 인덱스 및/또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는 다른 송신 단말들(사이드링크 단말#1(1301) 외에 사이드링크 전송을 수행하려는 단말들)에서도 채널 센싱 및 자원 할당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송신 단말들은 그들의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에서 스케줄링 인덱스(또는 자원 풀 인덱스 및/또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가 지시하는 할당된 자원을 후보 자원들에서 제외하고, 단말간 조정 기반 자원 할당(SCI 포맷 2C의 경우)(예를 들어, SCI 포맷 2C를 통한 IUC REQ 및/또는 IUC INFO)은 어떤 사이드링크 캐리어 및 그 사이드링크 캐리어의 어떤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이 IUC REQ 및/또는 IUC INFO에 사용되는지 나타내기 위해 스케줄링 인덱스(또는 자원 풀 인덱스 및/또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를 포함한다.
동일한 이유로, IUC REQ 및/또는 IUC INFO MAC CE도 스케줄링 인덱스(또는 자원 풀 인덱스 및/또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의 정보 필드를 포함한다. 스케줄링 인덱스(또는 자원 풀 인덱스 및/또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는 예비 필드 또는 기존 필드의 다른 해석을 사용하여 기존 SCI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 동작에 새로운 SCI 포맷을 사용하는 것이다.
1351은 설정된 사이드링크 캐리어들 및/또는 1311 또는 1321/1331에서 설정된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들 중 하나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를 알리기 위해 새로운 MAC CE가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활성화/비활성화 MAC CE는 논리 채널 ID 값을 갖는 MAC 하위 헤더에 의해 식별된다. 활성화/비활성화 MAC CE는 활성화/비활성화 지시와 함께 스케줄링 인덱스(또는 자원 풀 인덱스 및/또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를 포함한다. 사이드링크 단말#2(1302)가 사이드링크 캐리어 및/또는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에 대한 활성화를 수신하면, 단말은 활성화된 사이드링크 캐리어 및/또는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에 대한 모니터링(또는 수신)을 시작한다. 사이드링크 단말#2(1302)가 사이드링크 캐리어 및/또는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에 대한 비활성화를 수신하면, 단말은 비활성화된 사이드링크 캐리어 및/또는 송신 및/또는 수신 자원 풀에 대한 모니터링(또는 수신)을 중단한다. 다른 예로, 활성화/비활성화는 SCI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이드링크 단말#2(1302)가 지시된 사이드링크 캐리어 내의 모든 설정된 수신 자원 풀들 중 할당된 자원에서 CRC 검사에 기초하여 데이터 수신을 위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경우, 사이드링크 캐리어 인덱스만 자원 풀 인덱스 없이 사용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의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의 (재)선택을 위한 방법(14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 방법(1400)은 단말(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111-11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방법(14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언급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특수 회로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언급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1400)은 1402 단계에서 시작한다. 1402 단계에서, 단말은 RSRP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피어 단말로부터 RSRP를 수신한다. 1404 단계에서, 단말은 사이드링크 전송에 대한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확인한다. 1404 단계에서,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과 제1 및 제2 임계값들에 대한 정보가 시스템 파라미터로서 미리 설정된다. 1404 단계에서,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은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 또는 L2 목적지 ID별로 설정되고,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은 사이드링크 우선순위 범위별로 설정된다.
1406 단계에서, 단말은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이 사이드링크 전송에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1408 단계에서, 단말은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이 이용 가능하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CBR을 측정한다.
1410 단계에서, 단말은 측정된 CBR이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수신된 RSRP가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 중에서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 또는 단말 전용 RRC 메시지를 통해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에 대한 정보와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은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제3 임계값 및 제4 임계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확인하고, 측정된 CBR이 제3 임계값보다 작고 수신된 RSRP가 제4 임계값보다 큰 경우 선택된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계속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은 측정된 CBR 또는 수신된 RSRP를 사이드링크 캐리어 선택에 사용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시스템 정보 또는 단말 전용 RRC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고, 측정된 CBR이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수신된 RSRP가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로부터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은 피어 단말이 측정한 피어 단말 CBR을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제3 임계값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며, 측정된 CBR이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수신된 피어 단말 CBR이 제3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SCI에 포함된 자원 인덱스에 기초하여 사이드링크 자원을 스케줄링하며, 여기서 자원 인덱스는 선택된 사이드링크 캐리어 및 그 선택된 사이드링크 캐리어 내의 선택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을 지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자원 인덱스는 PC5-RRC 재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피어 단말로 설정된다.
위의 흐름도들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도시하며, 흐름도에 도시된 방법들에 다양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들로 도시되는 반면, 각 도면의 다양한 단계들이 겹치거나 병렬로 발생하거나 다른 순서로 발생하거나 여러 번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단계들은 생략되거나 다른 단계들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본 출원에서의 어떠한 설명도 특정 구성요소, 단계, 또는 기능이 청구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는 필수 요소라고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특허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130: 네트워크
Claims (15)
-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피어 (peer) 단말로부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을 수신하고,
사이드링크(SL: sidelink) 전송에 대한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확인하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이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에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이 이용 가능하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채널 번잡 비율(CBR: channel busy ratio)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CBR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수신된 RSRP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 중에서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 또는 단말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임계값과 상기 제2 임계값을 포함하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과 상기 제1 및 제2 임계값들에 대한 정보는 시스템 파라미터로서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은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 또는 계층 2(L2: layer 2) 목적지 식별자(ID: identifier)별로 설정되고;
상기 제1 임계값과 상기 제2 임계값은 사이드링크 우선순위 범위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제3 임계값 및 제4 임계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측정된 CBR이 상기 제3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수신된 RSRP가 상기 제4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선택된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계속 사용하도록 추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측정된 CBR 또는 상기 수신된 RSRP를 상기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시스템 정보 또는 단말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CBR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상기 수신된 RSRP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로부터 상기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선택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피어 단말이 측정한 피어 단말 CBR을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제3 임계값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CBR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수신된 피어 단말 CBR이 상기 제3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선택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 SL control information)에 포함된 자원 인덱스에 기초하여 사이드링크 자원을 스케줄링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자원 인덱스는 상기 선택된 사이드링크 캐리어 및 상기 선택된 사이드링크 캐리어 내의 선택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을 지시하며,
상기 자원 인덱스는 PC5-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재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피어 단말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피어 단말로부터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을 수신하는 단계;
사이드링크(SL: sidelink) 전송에 대한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이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에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이 이용 가능하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채널 번잡 비율(CBR: channel busy ratio)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CBR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수신된 RSRP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 중에서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 또는 단말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임계값과 상기 제2 임계값을 포함하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제3 임계값 및 제4 임계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CBR이 상기 제3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수신된 RSRP가 상기 제4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선택된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계속 사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과 상기 제1 및 제2 임계값들에 대한 정보는 시스템 파라미터로서 미리 설정되며,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은 사이드링크 서비스 유형 또는 계층 2(L2: layer 2) 목적지 식별자(ID: identifier)별로 설정되고,
상기 제1 임계값과 상기 제2 임계값은 사이드링크 우선순위 범위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CBR 또는 상기 수신된 RSRP를 상기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시스템 정보 또는 단말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CBR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상기 수신된 RSRP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로부터 상기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피어 단말이 측정한 피어 단말 CBR을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3 임계값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CBR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상기 수신된 피어 단말 CBR이 상기 제3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 SL control information)에 포함된 자원 인덱스에 기초하여 사이드링크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원 인덱스는 상기 선택된 사이드링크 캐리어 및 상기 선택된 사이드링크 캐리어 내의 선택된 사이드링크 자원 풀을 지시하며,
상기 자원 인덱스는 PC5-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재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피어 단말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 중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통해 수행되는 사이드링크(SL: sidelink) 전송을 위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채널 번잡 비율(CBR: channel busy ratio)은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의 이용 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측정된 CBR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캐리어가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임계값과 상기 제2 임계값을 포함하는 상기 정보, 또는 시스템 파라미터로서 미리 설정되는 상기 다수의 사이드링크 캐리어들과 상기 제1 및 제2 임계값들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 또는 단말 전용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제3 임계값 및 제4 임계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사이드링크 캐리어의 선택을 위해 상기 측정된 CBR 또는 상기 수신된 RSRP를 사용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상기 시스템 정보 또는 상기 단말 전용 RRC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2263306869P | 2022-02-04 | 2022-02-04 | |
US63/306,869 | 2022-02-04 | ||
US202263353399P | 2022-06-17 | 2022-06-17 | |
US63/353,399 | 2022-06-17 | ||
US18/160,300 | 2023-01-26 | ||
US18/160,300 US20230254819A1 (en) | 2022-02-04 | 2023-01-26 |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lection of candidate carriers for transmission in sl ca |
PCT/KR2023/001590 WO2023149750A1 (en) | 2022-02-04 | 2023-02-03 |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lection of candidate carriers for transmission in sl ca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44173A true KR20240144173A (ko) | 2024-10-02 |
Family
ID=8752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25527A Pending KR20240144173A (ko) | 2022-02-04 | 2023-02-03 |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의 (재)선택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254819A1 (ko) |
EP (1) | EP4461075A4 (ko) |
KR (1) | KR20240144173A (ko) |
WO (1) | WO202314975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30371061A1 (en) * | 2020-09-09 | 2023-11-16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sl communication and ul transmission on basis of different rats |
CN119896012A (zh) * | 2022-08-19 | 2025-04-25 | 苹果公司 | 用于使用载波聚合的侧链路通信的方法和用户装备 |
WO2025086131A1 (en) * | 2023-10-25 | 2025-05-01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and indication in sidelink communication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76098A1 (ko) * | 2016-04-07 | 2017-10-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레이턴시 요구를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v2x 통신을 수행할 자원을 선택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
EP3574694A4 (en) * | 2017-03-24 | 2021-04-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SOURCE SELECTION PROCESS IN A COMMUNICATION FROM VEHICLE TO ALL AND ASSOCIATED DEVICE |
EP3689060B1 (en) * | 2017-09-28 | 2023-08-16 | ZTE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ggregation in sidelink communication |
AU2017433873A1 (en) * | 2017-09-28 | 2019-05-02 | Zte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carrier aggregation in sidelink communications |
US11902866B2 (en) * | 2017-11-17 | 2024-02-13 | Innovative Technology Lab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vehicle communication |
KR102674243B1 (ko) * | 2019-11-06 | 2024-06-13 |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 Sl 캐리어 집성 향상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
CN116326050A (zh) * | 2020-11-30 | 2023-06-23 | 华为技术有限公司 | 侧行链路载波管理方法、装置和系统 |
US11737096B2 (en) * | 2021-08-02 | 2023-08-22 | Qualcomm Incorporated | Sidelink bandwidth parts with sidelink carrier aggregation |
-
2023
- 2023-01-26 US US18/160,300 patent/US20230254819A1/en active Pending
- 2023-02-03 WO PCT/KR2023/001590 patent/WO202314975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02-03 EP EP23749983.5A patent/EP4461075A4/en active Pending
- 2023-02-03 KR KR1020247025527A patent/KR20240144173A/ko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461075A1 (en) | 2024-11-13 |
WO2023149750A1 (en) | 2023-08-10 |
US20230254819A1 (en) | 2023-08-10 |
EP4461075A4 (en) | 2025-04-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051681A (ko) | 고속 빔 인디케이션 방법 및 장치 | |
US11832220B2 (en) | Sidelink TX resource pool selection | |
KR20240144173A (ko) |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의 (재)선택 방법 및 장치 | |
CN116057881A (zh) | 侧行链路载波聚合建立、激活和去激活 | |
US12177863B2 (en) | Techniques for joint UE relay selection and activation | |
KR20230157941A (ko) |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센싱 동작들을 위한 사용자장비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40071381A (ko) | 전-이중 시스템의 초기 액세스에 대한 조기 지시 | |
US20240049286A1 (en) | Sl resource selection and reselection for sl transmission | |
KR20240159912A (ko) | 물리적 사이드 링크 피드백 채널을 위한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결정 방법 및 장치 | |
CN117099473A (zh) | 针对mr-dc中基于son的优化的ue报告方法和装置 | |
KR20240128864A (ko) | Ue 간 조정 시그널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20240031312A (ko) | 비면허 대역을 통한 sl 전송을 위한 채널 액세스 절차 | |
KR20240039034A (ko) | 사이드링크를 통한 ue 채널 점유 공유 방법 및 장치 | |
EP4226712A1 (en) | Techniques for sidelink resource cancellation using time domain resource allocation | |
KR20250016449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sidelink)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에서 UE 간 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12041009B2 (en) | Techniques for assisted downlink HARQ feedback in carrier aggregation mode | |
US2023039723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on upon rlf detection in sl ca | |
WO2025152102A1 (en) | Aggregated capability signaling for carrier aggregation and dual connectivity modes | |
US20250175986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hroughput enhancement in non-terrestrial networks using orthogonal cover code spreading | |
EP4510728A1 (en) |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cooperation information between terminals for side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CN119631432A (zh) | 用于管理无线通信系统中的两个远程终端之间的通过中继终端的中继通信的方法和设备 | |
KR20240166508A (ko) | Lte/nr sl 공존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 |
KR20250048260A (ko) | 사이드링크 초기 빔 획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20240167015A (ko) | 사이드링크에서의 채널 액세스 절차 우선순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20240044204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캐스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7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