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951U -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1951U KR20240001951U KR2020230001066U KR20230001066U KR20240001951U KR 20240001951 U KR20240001951 U KR 20240001951U KR 2020230001066 U KR2020230001066 U KR 2020230001066U KR 20230001066 U KR20230001066 U KR 20230001066U KR 20240001951 U KR20240001951 U KR 2024000195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
- side wall
- line
- floor
- cooking vess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 B21D51/2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pots, e.g. for coo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판의 프레스 성형시 측벽(60) 및 바닥(70)의 경계로부터 동일한 높이의 측벽(60)의 하부에 안팎으로 동시 프레싱되어 마련된 응력라인(61)에 의해 물체의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려는 힘, 즉 원판의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 가려는 힘(탄성)이 측벽(60)의 안팎으로 마련된 응력라인(61)에 의해 최소화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가스레인지나 인덕션레인지에 의한 고열이 가해지더라도 측벽(60)의 변형이 응력라인(61)에 의해 바닥(70)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 특히 측벽(60) 및 바닥(70)의 경계에서의 열변형에 의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가장 큰 힘이 응력라인(61)에 의해 차단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바닥(70)의 열변형을 최소화시켜 바닥(70)의 중심이 하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는 현상을 없앰으로써 바닥(70)의 착지력을 보장함과 동시에 인덕션레인지와의 접촉면적을 보장하여 가열의 효과 역시 상승시킬 수 있는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응력라인을 수용부의 안쪽을 향하는 내향꺾임라인으로 형성하여 원판의 프레싱에 의한 측벽 및 바닥 사이의 외향의 곡면에 의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힘을 내향꺾임라인의 응력라인을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상쇄시켜 바닥의 평탄도를 철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는 알루미늄, 철, 구리 또는 스테인리스스틸 등으로 제작되어 음식물을 익히거나 굽거나 찔 수 있도록 하는 냄비 또는 프라이팬 등을 일컫는다.
이때, 조리용기를 제작할 때 소재로서, 알루미늄이나 철 등은 다이캐스팅으로 제작되고, 구리나 스테인리스스틸 등은 프레스 성형으로 제작된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00513호)에 따른 조리용기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조리용기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 절단, 드로잉, 가열판 부착, 코팅의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1) 성형
스테인리스판(10)의 일측 표면 전체에 음각부(a)와 양각부(b)를 한 쌍의 롤러 즉 하부롤러(20)와 상부롤러(21)의 사이에 투입하여 롤링한다.
롤링 방법으로는 표면이 매끈한 하부롤러(20)와 표면에 성형돌기가 형성된 상부롤러(21) 사이에 스테인리스판(10)을 통과시키면 된다.
음각부(a)와 양각부(b)는 벌집 형상이 바람직하나, 삼각형, 사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2) 절단
조리용기의 크기에 부합하도록 원형판(11)으로 절단한다.
3) 드로잉
절단된 원형판(11)을 금형에 내입한 상태에서 프레스로 가압하여 조리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3)가 형성된 용기본체(2)를 제조한다.
4)가열판 부착
용기본체(2)의 바닥에 알루미늄 재질의 가열판(6)을 배치하고, 그 외부에 용기본체(2)에 용접 고정되는 스테인리스재질의 커버(7)를 씌워서 고정한다.
5)코팅
상기와 같이 제조된 용기본체(2)의 수용부(3)인 내벽에 코팅액을 도포하여 음각부(a)와 양각부(b)에 고르게 코팅층(4)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한다.
이때, 사용하는 코팅액은 불소주지로 알려진 테프론(상표명)을 사용할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한 다양한 코팅액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g는 2022.10.14.자로 유튜브(https://www.youtube.com/watch?v=WRHY64qsi5c; 이하, 유튜브 공지라 함)에 공개된 스테인리스 냄비 공장 대량생산 과정을 보여주는 동영상을 일부 캡처한 사진이다.
유튜브 공지의 스테인리스 냄비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스틸로 된 원형판(11)을 확인할 수 있고, 도 2b의 하부금형(G1)에 도 2c와 같이 원형판(11)을 올려놓고서 도 2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금형(G2)으로 프레싱하여 도 2e 내지 도 2g와 같이 용기본체(2)를 성형한 후 미 도시의 연마 및 손잡이 장착 등의 공정을 거쳐 조리용기를 완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3a는 일반적인 스테인리스 조리용기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3b는 일반적인 스테인리스 조리용기를 가스레인지나 인덕션레인지를 통해 음식물을 조리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조리용기 제조방법 중 드로잉 단계를 살펴보면 절단된 원형판(11)을 금형에 내입한 상태에서 프레스로 가압하여 용기본체(2)를 제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때, 선행기술문헌의 도 1 그리고 유튜브 공지의 도 2e 내지 도 2g 나아가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기본체(2)의 측벽(2a) 및 바닥(2b)이 부드러운 곡면(2c)으로 이어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고가의 원자재의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얇은 스테인리스스틸로 된 원형판(11)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할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나 인덕션레인지의 고열에 의해 측벽(2a) 및 바닥(2b) 사이의 부드러운 곡면(2c)의 영향으로 바닥(2b)의 중심이 하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는 현상을 초래하여 음식물의 조리 후 용기본체(2)를 식탁 등에 올려놓을 경우 바닥(2b)이 안정된 착지를 하지 못하고 빙글빙글 돌거나 미끄러지는 현상을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물체는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려는 힘, 즉 탄성을 지니고 있는데, 원형판(11)을 하부금형(G1)에 올려놓고 상부금형(G2)으로 프레싱하여 측벽(2a) 및 바닥(2b)을 지니도록 제작할 때 도 2e 내지 도 2g 나아가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측벽(2a) 및 바닥(2b)이 서로 부드러운 곡면(2c)으로 이어질 경우 물체의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형태, 즉 원형판(11)의 형태를 유지하려는 힘(탄성)이 발휘되어, 특히 가스레인지나 인덕션레인지를 통한 가열시 팽창에 의한 열변형에 의해 원형판(11)의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힘이 발휘되어 측벽(2a) 및 바닥(2b)의 사이의 곡면(2c)의 펼쳐지려는 힘이 바닥(2b)에 그대로 반영되면서 결국 바닥(2b)의 중심이 하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는 현상을 초래하는 현상을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위 유튜브 공지에 디스플레이되는 스테인리스 냄비 공장 대량생산 과정 중 후공정을 캡처한 사진이다.
스테인리스스틸로 된 용기본체(2)의 사용시 가스레인지나 인덕션레인지의 고열에 의해 측벽(2a) 및 바닥(2b) 사이의 부드러운 곡면(2c)의 영향으로 바닥(2b)의 중심이 하측으로 볼록해지는 변형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아가 열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행기술문헌과 같이 용기본체(2)에 가열판(6)을 부착하거나 도 4a 및 도 4b의 유튜브 공지와 같이 추가의 밑판(6)을 부착할 수 있는데, 이러할 경우 공정 복잡 및 생산단가 상승이라는 여러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유튜브 공지(https://www.youtube.com/watch?v=WRHY64qsi5c)
본 고안의 목적은 원판의 프레스 성형시 측벽 및 바닥의 경계로부터 동일한 높이의 측벽의 하부에 안팎으로 동시 프레싱되어 마련된 응력라인에 의해 물체의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려는 힘, 즉 원판의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 가려는 힘(탄성)이 측벽의 안팎으로 마련된 응력라인에 의해 최소화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가스레인지나 인덕션레인지에 의한 고열이 가해지더라도 측벽의 변형이 응력라인에 의해 바닥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 특히 측벽 및 바닥의 경계에서의 열변형에 의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가장 큰 힘이 응력라인에 의해 차단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바닥의 열변형을 최소화시켜 바닥의 중심이 하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는 현상을 없앰으로써 바닥의 착지력을 보장함과 동시에 인덕션레인지와의 접촉면적을 보장하여 가열의 효과 역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응력라인을 수용부의 안쪽을 향하는 내향꺾임라인으로 형성하여 원판의 프레싱에 의한 측벽 및 바닥 사이의 종래의 외향의 곡면에 의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힘을 내향꺾임라인의 응력라인을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상쇄시켜 바닥의 평탄도를 철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응력라인의 내향꺾임라인과 상반된 측벽 및 바닥의 경계에서의 외향꺾임라인의 조합으로 가스레인지나 인덕션레인지에 의한 고열이 가해지더라도 내향꺾임라인과 더불어 외향꺾임라인의 중복된 응력으로 바닥으로의 열변형 영향을 보다 적극적으로 없앨 수 있도록 한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측벽 및 바닥을 지닌 용기본체를 포함하는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판의 프레스 성형시 상기 측벽 및 바닥의 경계로부터 동일한 높이의 상기 측벽의 하부에 안팎으로 동시 프레싱되어 마련된 응력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원판의 프레스 성형시 측벽 및 바닥의 경계로부터 동일한 높이의 측벽의 하부에 안팎으로 동시 프레싱되어 마련된 응력라인에 의해 물체의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려는 힘, 즉 원판의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 가려는 힘(탄성)이 측벽의 안팎으로 마련된 응력라인에 의해 최소화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가스레인지나 인덕션레인지에 의한 고열이 가해지더라도 측벽의 변형이 응력라인에 의해 바닥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 특히 측벽 및 바닥의 경계에서의 열변형에 의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가장 큰 힘이 응력라인에 의해 차단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바닥의 열변형을 최소화시켜 바닥의 중심이 하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는 현상을 없앰으로써 바닥의 착지력을 보장함과 동시에 인덕션레인지와의 접촉면적을 보장하여 가열의 효과 역시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응력라인을 수용부의 안쪽을 향하는 내향꺾임라인으로 형성하여 원판의 프레싱에 의한 측벽 및 바닥 사이의 종래의 외향의 곡면에 의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힘을 내향꺾임라인의 응력라인을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상쇄시켜 바닥의 평탄도를 철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내향꺾임라인에서의 소재의 밀도를 높여 열변형에 대한 단위면적당 저항력, 즉 응력의 극대화를 통해 바닥의 평탄도를 더욱 적극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응력라인의 내향꺾임라인과 상반된 측벽 및 바닥의 경계에서의 외향꺾임라인의 조합으로 가스레인지나 인덕션레인지에 의한 고열이 가해지더라도 내향꺾임라인과 더불어 외향꺾임라인의 중복된 응력으로 바닥으로의 열변형 영향을 보다 적극적으로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내향꺾임라인으로부터 상단에 이르기까지 확대되다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직경으로 볼록하게 상승되는 구간에서의 열변형이 내향꺾임라인에 의해 상쇄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향꺾임라인으로부터 내향꺾임라인에 이르기까지 직선구간에 의해 재차 열변형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향꺾임라인에 의한 다중의 열변형 상쇄로서 궁극적으로 바닥으로의 열변형을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되고 수명이 긴 조리용기의 사용을 보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조리용기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2a 내지 도 2g는 2022.10.14.자로 유튜브(https://www.youtube.com/watch?v=WRHY64qsi5c; 이하, 유튜브 공지라 함)에 공개된 스테인리스 냄비 공장 대량생산 과정을 보여주는 동영상을 일부 캡처한 사진.
도 3a는 일반적인 스테인리스 냄비를 촬영한 사진.
도 3b는 일반적인 스테인리스 냄비를 가스레인지나 인덕션레인지를 통해 음식물을 조리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위 유튜브 공지에 디스플레이된 스테인리스 냄비 공장 대량생산 과정 중 후공정을 캡처한 사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를 서로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를 서로 다른 방향의 사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a 내지 도 2g는 2022.10.14.자로 유튜브(https://www.youtube.com/watch?v=WRHY64qsi5c; 이하, 유튜브 공지라 함)에 공개된 스테인리스 냄비 공장 대량생산 과정을 보여주는 동영상을 일부 캡처한 사진.
도 3a는 일반적인 스테인리스 냄비를 촬영한 사진.
도 3b는 일반적인 스테인리스 냄비를 가스레인지나 인덕션레인지를 통해 음식물을 조리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위 유튜브 공지에 디스플레이된 스테인리스 냄비 공장 대량생산 과정 중 후공정을 캡처한 사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를 서로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를 서로 다른 방향의 사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를 서로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를 서로 다른 방향의 사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는 도 5a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부(50)를 형성하는 측벽(60) 및 바닥(70)을 지닌 용기본체(B)를 포함한다.
이때, 원판은 열전도율이 좋은 구리일 수 있고, 나아가 때가 끼지 않고 얼룩지지 않으며 녹슬지 않는 스테인리스스틸일 수 있으며, 이러한 원판은 종래 설명에서 언급한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의 프레싱으로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부(50)를 형성하는 측벽(60) 및 바닥(70)을 지닌 용기본체(B)로서 마련될 수 있고, 이후 미 도시의 연마 공정 등을 거친 후 손잡이(H)를 장착시켜 미 도시의 뚜껑과 함께 최종 제품(주방용기)으로 완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원판의 프레스 성형시 측벽(60) 및 바닥(70)의 경계로부터 동일한 높이의 측벽(60)의 하부에 안팎으로 동시 프레싱되어 마련된 응력라인(61)을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원판의 프레스 성형시 측벽(60) 및 바닥(70)의 경계로부터 동일한 높이의 측벽(60)의 하부에 안팎으로 동시 프레싱되어 마련된 응력라인(61)에 의해 물체의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려는 힘, 즉 원판의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 가려는 힘(탄성)이 측벽(60)의 안팎으로 마련된 응력라인(61)에 의해 최소화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가스레인지나 인덕션레인지에 의한 고열이 가해지더라도 측벽(60)의 변형이 응력라인(61)에 의해 바닥(70)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 특히 측벽(60) 및 바닥(70)의 경계에서의 열변형에 의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가장 큰 힘이 응력라인(61)에 의해 차단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바닥(70)의 열변형을 최소화시켜 바닥(70)의 중심이 하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는 현상을 없앰으로써 바닥(70)의 착지력을 보장함과 동시에 인덕션레인지와의 접촉면적을 보장하여 가열의 효과 역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응력라인(61)은 수용부(50)의 안쪽을 향하는 내향꺾임라인(61a)으로 이루어져 원판의 프레싱에 의한 측벽(60) 및 바닥(70) 사이의 외향의 곡면(도 2f 내지 도 3b의 2c)에 의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힘을 내향꺾임라인(61a)의 응력라인(61)을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상쇄시켜 바닥(70)의 평탄도를 철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내향꺾임라인(61a)은 원판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로 프레스 성형되도록 하여, 내향꺾임라인(61a)에서의 소재의 밀도를 높여 열변형에 대한 단위면적당 저항력, 즉 응력의 극대화를 통해 바닥(70)의 평탄도를 더욱 적극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측벽(60) 및 바닥(70)의 경계는 원판의 프레스 성형에 의해 수용부(50)의 바깥쪽을 향하는 외향꺾임라인(80)을 가지도록 하여, 측벽(60) 및 바닥(70)의 경계가 곡면(도 2f 내지 도 3b의 2c)일 경우보다 응력라인(61)의 내향꺾임라인(61a)과 상반된 측벽(60) 및 바닥(70)의 경계에서의 외향꺾임라인(80)의 조합으로 가스레인지나 인덕션레인지에 의한 고열이 가해지더라도 내향꺾임라인(61a)과 더불어 외향꺾임라인(80)의 중복된 응력으로 바닥(70)으로의 열변형 영향을 보다 적극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다.
그리고, 측벽(60)은 외향꺾임라인(80)으로부터 내향꺾임라인(61a)에 이르기까지의 직선으로 상승되는 한편 내향꺾임라인(61a)으로부터 상단에 이르기까지 확대되다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직경으로 볼록하게 상승되도록 하여, 내향꺾임라인(61a)으로부터 상단에 이르기까지 확대되다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직경으로 볼록하게 상승되는 구간에서의 열변형이 내향꺾임라인(61a)에 의해 상쇄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향꺾임라인(80)으로부터 내향꺾임라인(61a)에 이르기까지 직선구간에 의해 재차 열변형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향꺾임라인(80)에 의한 다중의 열변형 상쇄로서 궁극적으로 바닥(70)으로의 열변형을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되고 수명이 긴 조리용기의 사용을 보장토록 한다.
본 고안은 음식물을 익히거나 굽거나 찔 수 있는 조리용기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B : 용기본체 H : 손잡이
50 : 수용부 60 : 측벽
61 : 응력라인 61a : 내향꺾임라인
70 : 바닥 80 : 외향꺾임라인
50 : 수용부 60 : 측벽
61 : 응력라인 61a : 내향꺾임라인
70 : 바닥 80 : 외향꺾임라인
Claims (5)
- 원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부(50)를 형성하는 측벽(60) 및 바닥(70)을 지닌 용기본체(B)를 포함하는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판의 프레스 성형시 상기 측벽(60) 및 바닥(70)의 경계로부터 동일한 높이의 상기 측벽(60)의 하부에 안팎으로 동시 프레싱되어 마련된 응력라인(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라인(61)은 상기 수용부(50)의 안쪽을 향하는 내향꺾임라인(61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향꺾임라인(61a)은 상기 원판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로 프레스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60) 및 바닥(70)의 경계는 상기 원판의 프레스 성형에 의해 상기 수용부(50)의 바깥쪽을 향하는 외향꺾임라인(8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60)은 상기 외향꺾임라인(80)으로부터 상기 내향꺾임라인(61a)에 이르기까지 직선으로 상승되는 한편 상기 내향꺾임라인(61a)으로부터 상단에 이르기까지 확대되다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직경으로 볼록하게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30001066U KR20240001951U (ko) | 2023-05-26 | 2023-05-26 |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30001066U KR20240001951U (ko) | 2023-05-26 | 2023-05-26 |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1951U true KR20240001951U (ko) | 2024-12-03 |
Family
ID=93846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30001066U Pending KR20240001951U (ko) | 2023-05-26 | 2023-05-26 |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01951U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00513A (ko) | 2009-03-06 | 2010-09-15 | 주식회사 케이에이치 | 조리용기 제조방법 |
-
2023
- 2023-05-26 KR KR2020230001066U patent/KR20240001951U/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00513A (ko) | 2009-03-06 | 2010-09-15 | 주식회사 케이에이치 | 조리용기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유튜브 공지(https://www.youtube.com/watch?v=WRHY64qsi5c)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27812B2 (ja) | 調理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17531472A (ja) | 部分的に被覆されたステンレス鋼の内部表面を備える調理用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WO2007025200A2 (en) | Cookware with flat interior surface | |
EP1327408B1 (en) | Cookware with undulating cooking surface | |
EP0928587A1 (en) | Cookware with steel capped base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same | |
KR101392095B1 (ko) | 조리용기 제조방법 | |
KR20240001951U (ko) | 프레스 성형 조리용기 | |
KR102074055B1 (ko) | 금속판재 3장이 개재된 인덕션용 프라이팬 및 인덕션 프라이팬 제조방법 | |
JP2001238791A (ja) | 炊飯器用内釜 | |
KR101468795B1 (ko) | 조리용기 | |
JP3758974B2 (ja) | 調理用容器の製造方法 | |
KR102397743B1 (ko) | 조리용기 제조방법 | |
CN101530281B (zh) | 一种带手柄炊具的制作方法 | |
JPS6127103Y2 (ko) | ||
CN102144883A (zh) | 煎炒锅及制备煎炒锅的方法 | |
WO2019111761A1 (ja) | 調理器具 | |
JP2001353068A (ja) | 加熱調理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2444917B1 (ko) | 열변형 저감형 바닥구조를 갖는 조리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80001912U (ko) | 조리 공간이 구획된 냄비 | |
KR101366411B1 (ko) | 조리 용기 | |
KR200483587Y1 (ko) | 조리 공간이 구획된 냄비 | |
KR200242490Y1 (ko) | 전자파 유도가열기 겸용 조리용기 구조 | |
JP6956342B2 (ja) | 改善されたサンドイッチ構造と、減少された基部の移動とを有する調理器具と、製造方法および使用 | |
JP3216553U (ja) | 調理具 | |
KR20180119283A (ko) | 메탈라스 형상의 통공을 포함하는 석쇠 구이판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3052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