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876A -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 - Google Patents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73876A KR20230173876A KR1020220074657A KR20220074657A KR20230173876A KR 20230173876 A KR20230173876 A KR 20230173876A KR 1020220074657 A KR1020220074657 A KR 1020220074657A KR 20220074657 A KR20220074657 A KR 20220074657A KR 20230173876 A KR20230173876 A KR 202301738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lug
- sheet
- crops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4000017020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08 swee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8—Special sorting and cleaning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06—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rollers or disc scree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에 관한 발명으로, 작물 수확장치의 본체 전방에 설치하고 두둑을 구굴하여 작물을 수집하도록 구비하는 수집모듈(110)과, 수집모듈(110)의 후방에서 본체의 내부에 복수를 배치하여 회동하면서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구비하는 러그모듈(120)과, 구동수단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를 탑재하여 상기 수집모듈(110) 및 러그모듈(120)을 각각 구동하도록 구비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에 있어서, 러그모듈(120)의 상측에는, 연성 시트 상으로 마련하여 상기 러그모듈(120)의 회동 시 러그 돌기와 간헐적으로 접촉하면서 상, 하로 작용하여 작물과 마찰하도록 구비하는 시트모듈(130)을 포함하고, 시트모듈(130)은, 본체 내부에서 전, 후방으로 전개되도록 구비하는 PE 재질의 시트부(131)와, 시트부(131)의 선단을 폭 방향으로 고정하여 전개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비하고 본체의 전측 수평프레임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도록 구비하는 시트장착부(132)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수확된 작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작물 표면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늘, 양파, 고구마, 감자 등과 같이 두둑을 구굴하여 수확하는 작물 수확장치에 있어서, 수확된 작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작물 표면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하는 불순물 제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 양파, 고구마, 감자 등의 작물은 농경지의 지상부에 줄기가 자라고 지중에 실과가 열리는 뿌리작물이다.
이와 같은 뿌리작물의 수확 작업은 작물이 심어진 두둑을 구굴하여 지중에 있던 작물을 지상으로 노출한 상태에서 수확하는 형태의 수작업이 대부분이었으나 작업성 및 효율성, 생산성이 낮으므로 최근에는 뿌리작물을 기계적으로 수확할 수 있는 작물 수확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작물 수확장치는 본체에 구동부 또는 동력전달부를 탑재하고 본체의 전방부에는 구동부와 연동하여 작물을 굴취하는 굴취부를 구비하고, 그 후방에는 구동부와 연동하여 작물을 후방 선별부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작물을 선별하는 선별부를 탑재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지중으로부터 굴취하는 뿌리작물의 경우 작물의 표면에 흙이나 불순물이 다량 잔존하는바, 작업 과정에서 불순물이 임의로 탈락하면서 기계적인 고장을 야기하거나 선별부의 작업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작물 수확장치에는 흙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탑재하여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작물에 달라붙은 흙 등을 분리하도록 구성한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 10 - 0967990 호에는 땅속의 근채 작물을 뽑아 올려 후방으로 반송하는 좌우 한쌍의 뽑아올림 반송 벨트를 구비하고, 뽑아올림 반송 벨트의 하방에 그 반송 방향을 따라 흙 털기 장치와 털뿌리의 절단 장치를 구비하는 근채 작물 수확기로서, 흙 털기 장치는 근채 작물의 줄기나 견부에 그 반송 경로의 측방으로부터 접촉하여 진흙 털기를 행하는 빗살형상의 브러쉬로 이루어지는 근채 작물 수확기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940578 호에는 주행 차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노지를 따라 주행하면서 채굴된 양파를 노면에서 수집하여 주행 차체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채집 컨베이어부와, 주행 차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주행 차체와 함께 이동하며 채집 컨베이어부를 통해 채집되는 양파들을 직경별로 선별 배출하고 망자루에 수납하는 선별 포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채집 컨베이어부와 선별 컨베이어부 사이에는 이동되는 양파들의 표면을 회전 브러쉬를 통해 마찰시켜 채집된 양파의 표면에 묻은 흙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가 배치되는 자주식 양파 선별 수확장치를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967419 호에는 프레임의 선단에 설치되어 구근작물을 채굴하는 작물굴취부와, 작물굴취부로부터 굴취된 구근작물로부터 흙을 분리하는 구근 흙분리부와, 구근흙분리부를 거친 구근작물을 작물굴취부 반대편으로 이송하는 작물 이송부를 포함하는 구근채취유닛을 구비하고, 구근 흙분리부는 작물굴취부를 거쳐 진입되는 구근작물에 잔류하는 흙을 분리하도록 다수의 방사돌기를 갖는 제1흙제거롤러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실린더돌기를 갖는 제2흙제거롤러를 구비하는 구근작물 수확기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작물 수확장치에는, 브러쉬나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흙 털기 장치를 구비하여 작물을 이송하면서 표면을 쓸어 흙을 제거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작물 재배지의 토질이나 수확 시기의 기후에 따라서 토질이 상이하므로, 예컨대 진흙 상태에서 작물 표면에 붙어 굳어진 경우 종래와 같은 단순 브러쉬에 의한 작용만으로는 흙이 분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작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브러쉬의 회전에 의해 진행 방향으로 작물이 쓸려 나가게 되므로 작물 표면에 대한 브러쉬의 작용 범위가 미미하여 사실상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인지하여 일부 다른 종래 기술에서는 이송부를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하고 소정의 진동수단을 장착하여 이송 과정에서 작물에 진동을 가하는 방식으로 흙을 털어주는 구성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진동수단을 컨베이어 벨트에 적용할 경우 체인 등의 부품에 흙이나 모래가 유입되어 기계적인 고장을 유발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작물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 진동을 가하더라도 작물의 표면 전반에 부착된 흙을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실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작물 수확장치의 본체 전방에 설치하고 두둑을 구굴하여 작물을 수집하도록 구비하는 수집모듈(110)과,
상기 수집모듈(110)의 후방에서 본체의 내부에 복수를 배치하여 회동하면서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구비하는 러그모듈(120)과,
구동수단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를 탑재하여 상기 수집모듈(110) 및 러그모듈(120)을 각각 구동하도록 구비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에 있어서,
상기 러그모듈(120)의 상측에는,
연성 시트 상으로 마련하여 상기 러그모듈(120)의 회동 시 러그 돌기와 간헐적으로 접촉하면서 상, 하로 작용하여 작물과 마찰하도록 구비하는 시트모듈(130)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모듈(130)은,
본체 내부에서 전, 후방으로 전개되도록 구비하는 PE 재질의 시트부(131)와,
시트부(131)의 선단을 폭 방향으로 고정하여 전개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비하고 본체의 전측 수평프레임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도록 구비하는 시트장착부(132)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확된 작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작물 표면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마늘, 양파, 고구마, 감자 등과 같이 두둑을 구굴하여 수확하는 작물 수확장치에 있어서, 수확된 작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작물 표면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 유닛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의 단순 브러쉬를 이용한 흙 제거 구성과 같이 작물의 이송 과정에서 작물에 불순물이 미쳐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후방으로 쓸려나가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작물 표면 전반에 시트모듈(130)을 작용하여 불순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진동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흙 제거 장치와 같이 체인 등 각종 부품에 불순물이 유입되어 기계적 고장을 유발하는 복잡한 구성를 배제하고 간소화된 구성 및 작동 메커니즘에 의해 작물에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불순물 제거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의 시트모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의 시트작용모듈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의 시트작용모듈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의 시트모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의 시트작용모듈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의 시트작용모듈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의 시트모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의 시트작용모듈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의 시트작용모듈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은 마늘, 양파, 고구마, 감자 등과 같이 두둑을 구굴하여 수확하는 작물 수확장치에 의해 수확된 작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작물 표면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하는 불순물 제거 유닛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은 작물 수확장치 본체의 수집모듈(110)의 후방에서 작물을 이송하도록 마련되는 러그모듈(120)의 상측에 구비하여 불순물 제거 작용을 구현하도록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불순물 제거 유닛이 적용되는 작물 수확장치는 두둑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작물을 수확하도록 구비하여 본체의 전, 후방으로 수집모듈(110)과, 러그모듈(120)과, 구동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수확한 작물을 후방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작물 수확장치 본체는 좌, 우 대칭하는 측면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을 형성하여 원동기에 본체를 연결하거나 내부 각 모듈 및 부품을 배치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수집모듈(110)은 작물 수확장치의 본체 전방에 설치하고 두둑을 구굴하여 작물을 수집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수집모듈(110)은 본체의 전방 하측에서 소정의 구굴판을 구동모듈과 연동하여 일정 각도로 작동하도록 구비하여 두둑을 구굴하고 작물을 굴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굴판의 후단에는 본체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하는 가이드봉을 배치하여 굴취된 작물이 가이드봉을 따라서 본체 내부의 러그모듈(120)로 이송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러그모듈(120)은 상기 수집모듈(110)의 후방에서 본체의 내부에 복수를 배치하여 회동하면서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러그모듈(120)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수집모듈(110)로부터 본체 내부로 진입하는 작물을 본체의 후방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작물과 함께 유입되는 불순물을 두둑으로 탈락시키도록 구비한다.
상기 러그모듈(120)은 본체의 양측 프레임에 장착하여 구동모듈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축과,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러그 돌기를 돌출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가 배치되는 러그모듈(120)은 각각의 러그 돌기와 간극이 상호 교번하여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러그모듈(120)이 일 방향으로 일괄 회전하는 과정에서 간극에 개재되는 작물이 유기적으로 후방으로 인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러그모듈(120)은 작물이 손상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 재질로 형성한다.
상기 구동모듈은 구동수단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를 탑재하여 상기 수집모듈(110) 및 러그모듈(120)을 각각 구동하도록 구비한다.
본 발명의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은 상기 러그모듈(120)의 상측에 구비하여 러그모듈(120)에 의해 이송되는 작물에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작용을 하도록 구비하며, 시트모듈(130)과, 시트작용모듈(140)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모듈(130)은 연성 시트 상으로 마련하여 상기 러그모듈(120)의 회동 시 러그 돌기와 간헐적으로 접촉하면서 상, 하로 작용하여 작물과 마찰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시트모듈(130)은 시트장착부(132) 및 시트부(131)로 이루어져 상기 러그모듈(120)의 상측에서 작물의 표면에 상, 하로 작용하면서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시트부(131)는 PE 재질의 시트 상으로 마련하여 작물 수확장치 본체 내부에서 전, 후방으로 전개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시트부(131)는 상기 러그모듈(120)의 상측에서 러그모듈(120)의 좌, 우 폭에 상응하면서 본체 내부의 전, 후방 전반에 걸쳐 전개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시트부(131)는 투명 PE 재질로 형성하여 하측에서 회동하는 상기 러그모듈(120)에 의해 이송되는 작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트부(131)는 재질적으로 연성을 가지면서 상기 러그모듈(120)의 상측에서 팽만하지 않고 비교적 느슨한 상태, 즉 상기 러그모듈(120)의 러그 돌기에 접촉 시 상, 하로 파형을 형성하면서 작물에 작용 가능 가능하도록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시트장착부(132)는 상기 시트부(131)의 선단을 폭 방향으로 고정하여 전개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비하고 본체의 전측 수평프레임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시트장착부(132)는 상기 시트부(131)의 좌, 우 폭에 상응하는 시트고정프레임(133)을 시트부(131) 선단에 결합하여 시트부(13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시트장착부(132)의 시트고정프레임(133)에는 상기 작물 수확장치 본체의 전측에 마련되는 프레임에 결합하도록 복수의 시트착탈후크(134)를 배치한다.
상기 시트장착부(132)는 상기 시트부(131)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본체에 장착하도록 구비하여 후술하게 될 시트작용모듈(140)에 의한 시트부(131)의 작용력을 용이하게 확보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시트모듈(130)의 시트부(131) 상측 면에 간헐적으로 접촉하면서 시트부(131)가 상기 러그모듈(120)의 작물에 상, 하 작용하도록 구비하는 시트작용모듈(140)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작용모듈(140)은 상기 시트모듈(130)의 상측에서 상기 시트부(131)에 하방 작용력을 부여하여 상기 러그모듈(120)에 의해 이송되는 작물에 시트부(131)가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시트작용모듈(140)은 회전몸체(141) 및 작용브러쉬(142)로 구성한다.
상기 회전몸체(141)는 상기 시트모듈(130)의 상측에서 상기 러그모듈(120)과 상, 하 대칭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구동모듈에 의해 회동하는 원통상으로 구비한다.
상기 회전몸체(141)의 표면에는 다수의 작용브러쉬(142)를 상기 시트부(131)에 접촉하여 작물에 작용하도록 배치한다.
상기 작용브러쉬(142)는 상기 러그모듈(1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시트모듈(130)이 상, 하로 작용 시 상기 시트모듈(130)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회전몸체(141)에 의해 회전하면서 시트부(131)를 하방 작용하여 작물의 표면에 시트부(131)가 마찰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시트작용모듈(140)은 승강몸체(143) 및 판스프링(144)으로 구성한다.
상기 승강몸체(143)는 상기 시트모듈(130)의 상측에서 상기 러그모듈(120)과 상, 하 대칭하도록 배치하고 본체 내부의 프레임에 장착하여 상기 시트모듈(130)을 향해 탄발력을 작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승강몸체(143)의 하단에는 판스프링(144)을 상기 시트부(131)에 접촉하여 작물에 작용하도록 배치한다.
상기 판스프링(144)은 상기 러그모듈(1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시트모듈(130)이 상, 하로 작용 시 상기 승강몸체(143)에 의해 상기 시트모듈(130)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면서 시트부(131)를 하방 작용하여 작물의 표면에 시트부(131)가 마찰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불순물 제거 유닛이 적용되는 작물 수확장치는 본체에 수집모듈(110), 러그모듈(120),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체의 전방 수집모듈(110)의 구굴판이 구동모듈과 연동하여 두둑을 구굴하고 작물을 굴취하여 러그모듈(120)로 이송한다.
상기 러그모듈(120)은 본체의 전, 후방으로 복수를 상호 유기적으로 배치하는바, 구동모듈과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한다.
상기 러그모듈(120)의 상측에는 시트모듈(130)이 전개되어 배치된다. 시트모듈(130)은 본체의 전측에 마련되는 프레임에 시트장착부(132)를 장착하여 선단을 고정하며, 상기 러그모듈(120)의 일 방향 회동에 의해 본체의 후방으로 자연스럽게 전개된다.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시트부(131)는 상기 러그모듈(120)의 러그 돌기에 간헐적으로 접촉하면서 상, 하로 파형을 형성하여 작물 표면에 작용함으로써 불순물을 털어준다.
상기 시트모듈(130)의 상측에는 시트작용모듈(140)을 구비하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트작용모듈(140)은 회전몸체(141) 및 작용브러쉬(142)로 이루어져 시트모듈(130)에 하방 작용력을 부가한다.
시트작용모듈(140)의 작용브러쉬(142)는 상기 러그모듈(120)에 의해 파형을 형성하여 상, 하로 작용하는 시트부(131)의 상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구동모듈에 의해 회전몸체(141)가 회전하면서 시트부(131)를 하방 작용하여 작물 표면에 시트부(131)가 더 큰 작용력에 의해 불순물을 털어주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트작용모듈(140)은 승강몸체(143) 및 판스프링(144)으로 이루어져 시트모듈(130)에 하방 작용력을 부가한다.
시트작용모듈(140)의 판스프링(144)은 상기 러그모듈(120)에 의해 파형을 형성하여 상, 하로 작용하는 시트부(131)의 상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몸체(143)의 탄발력에 의해 시트부(131)를 하방 작용하여 작물 표면에 시트부(131)가 더 큰 작용력에 의해 불순물을 털어주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은 수확된 작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작물 표면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 유닛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의 작물 수확장치에 탑재하는 단순 브러쉬를 이용한 흙 제거 구성의 문제점인 작물에 불순물이 미쳐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브러쉬에 의해 후방으로 쓸려나가는 문제를 방지하고 작물의 표면 전반에 시트모듈(130)을 작용하여 불순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진동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흙 제거 장치와 같이 체인 등 각종 부품에 불순물이 유입되어 기계적 고장을 유발하는 복잡한 구성를 배제하고 보다 간소화된 구성 및 작동 메커니즘에 의해 작물에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불순물 제거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물 수확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110: 수집모듈
120: 러그모듈
130: 시트모듈
131: 시트부
132: 시트장착부
133: 시트고정프레임
134: 시트착탈후크
140: 시트작용모듈
141: 회전몸체
142: 작용브러쉬
143: 승강몸체
144: 판스프링
120: 러그모듈
130: 시트모듈
131: 시트부
132: 시트장착부
133: 시트고정프레임
134: 시트착탈후크
140: 시트작용모듈
141: 회전몸체
142: 작용브러쉬
143: 승강몸체
144: 판스프링
Claims (4)
- 작물 수확장치의 본체 전방에 설치하고 두둑을 구굴하여 작물을 수집하도록 구비하는 수집모듈(110)과,
상기 수집모듈(110)의 후방에서 본체의 내부에 복수를 배치하여 회동하면서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구비하는 러그모듈(120)과,
구동수단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를 탑재하여 상기 수집모듈(110) 및 러그모듈(120)을 각각 구동하도록 구비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에 있어서,
상기 러그모듈(120)의 상측에는,
연성 시트 상으로 마련하여 상기 러그모듈(120)의 회동 시 러그 돌기와 간헐적으로 접촉하면서 상, 하로 작용하여 작물과 마찰하도록 구비하는 시트모듈(130)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모듈(130)은,
본체 내부에서 전, 후방으로 전개되도록 구비하는 PE 재질의 시트부(131)와,
시트부(131)의 선단을 폭 방향으로 고정하여 전개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비하고 본체의 전측 수평프레임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도록 구비하는 시트장착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시트모듈(130)의 시트부(131) 상측 면에 간헐적으로 접촉하면서 시트부(131)가 상기 러그모듈(120)의 작물에 상, 하 작용하도록 구비하는 시트작용모듈(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작용모듈(140)은,
시트모듈(130)의 상측에서 상기 러그모듈(120)과 상, 하 대칭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구동모듈에 의해 회동하는 원통상의 회전몸체(141)를 구비하고, 회전몸체(141)의 표면에는 다수의 작용브러쉬(142)를 상기 시트부(131)에 접촉하여 작물에 작용하도록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작용모듈(140)은,
시트모듈(130)의 상측에서 상기 러그모듈(120)과 상, 하 대칭하도록 배치하고 본체 내부의 프레임에 장착하여 상기 시트모듈(130)을 향해 탄발력을 작용하는 승강몸체(143)를 구비하고, 승강몸체(143)의 하단에는 판스프링(144)을 상기 시트부(131)에 접촉하여 작물에 작용하도록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4657A KR20230173876A (ko) | 2022-06-20 | 2022-06-20 |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4657A KR20230173876A (ko) | 2022-06-20 | 2022-06-20 |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73876A true KR20230173876A (ko) | 2023-12-27 |
Family
ID=8937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4657A Ceased KR20230173876A (ko) | 2022-06-20 | 2022-06-20 |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73876A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7990B1 (ko) | 2003-10-03 | 2010-07-08 |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근채 작물 수확기 |
KR101228886B1 (ko) | 2011-07-21 | 2013-02-01 | 박종희 | 마늘 수확기 |
KR101940578B1 (ko) | 2018-09-21 | 2019-01-21 | 서후원 | 선별 포장구조를 갖는 자주식 양파 선별 수확장치 |
KR101967419B1 (ko) | 2017-12-08 | 2019-04-09 | (주)죽암엠앤씨 | 구근 작물 수확기 |
-
2022
- 2022-06-20 KR KR1020220074657A patent/KR20230173876A/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7990B1 (ko) | 2003-10-03 | 2010-07-08 |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근채 작물 수확기 |
KR101228886B1 (ko) | 2011-07-21 | 2013-02-01 | 박종희 | 마늘 수확기 |
KR101967419B1 (ko) | 2017-12-08 | 2019-04-09 | (주)죽암엠앤씨 | 구근 작물 수확기 |
KR101940578B1 (ko) | 2018-09-21 | 2019-01-21 | 서후원 | 선별 포장구조를 갖는 자주식 양파 선별 수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60008A (en) | Root crop harvester | |
KR101771239B1 (ko) | 비닐 회수 및 구근작물 수확기 | |
KR20200062622A (ko) | 땅속작물 수확기 | |
JP6941854B2 (ja) | 地下茎作物の掘り取り装置 | |
KR101967419B1 (ko) | 구근 작물 수확기 | |
US2703953A (en) | Peanut harvesting and separating machine | |
CN204762131U (zh) | 一种牵引式马铃薯分秧收获机 | |
KR20230173876A (ko) | 작물 수확장치의 불순물 제거 유닛 | |
CN108811667A (zh) | 红薯收获机 | |
KR102216837B1 (ko) |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벨트형 땅속 작물 수확기 및, 이에 구비되는 이물질 자동 제거 유닛 | |
KR101938782B1 (ko) | 땅속작물 수확기 | |
JP6115984B2 (ja) | 農作業機 | |
US2462128A (en) | Beet harvesting means | |
JPS646023Y2 (ko) | ||
KR20230030796A (ko) | 뿌리작물 수확기 | |
JP3507942B2 (ja) | 長根菜収穫機 | |
KR20220061051A (ko) | 비늘줄기 채소 수확기 | |
KR102833717B1 (ko) | 이송체인 진동 조절기능을 갖는 땅속작물 수확기 | |
JP4116403B2 (ja) | 根菜作物収穫機 | |
JP3647617B2 (ja) | 根菜収穫機 | |
JP2000004629A (ja) | 収穫機 | |
JP4628522B2 (ja) | 根菜収穫機 | |
JP2000032824A (ja) | 収穫機及び、収穫機の選別コンベア | |
JP2001069833A (ja) | 根菜作物収穫機の根切断装置 | |
US20160081265A1 (en) | Guayule Harvester And Related Process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501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