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443A - Automatic jig operation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and automatic jig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utomatic jig operation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and automatic jig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62443A KR20230162443A KR1020220062345A KR20220062345A KR20230162443A KR 20230162443 A KR20230162443 A KR 20230162443A KR 1020220062345 A KR1020220062345 A KR 1020220062345A KR 20220062345 A KR20220062345 A KR 20220062345A KR 20230162443 A KR20230162443 A KR 202301624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pper
- tool
- area
- information
- friction st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3—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welding proc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007—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while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013—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찰교반용접을 실행시에 마찰교반용접장치에 대한 쉬운 설치와 셋업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설비에 대한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마찰교반용접용 지그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ig operating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that provides easy installation and convenience of setup for the friction stir welding device when performing friction stir welding and can reduce the cost burden on equipment.
자동차나 항공기 등과 같은 운송장치 그리고 건축/토목 분야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등 경량소재를 활용한 경량합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Lightweight alloys using lightweight materials such as aluminum and magnesium are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transportation devices such as automobiles and aircraft, and construction/civil engineering fields.
이러한 경량합금을 이용하여 각종 기기, 구조물 등을 생산/제작하기 위해서는 이들 경량합금을 용접에 의하여 접합하게 되는 경우가 빈발하다.In order to produce/manufacture various devices, structures, etc. using these lightweight alloys, these lightweight alloys are often joined by welding.
따라서 이들 경량합금을 용접하는 기술이 널리 연구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마찰 교반 용접(Friction Stir Welding; FSW)이 적용되고 있다.Therefore, technologies for welding these lightweight alloys are being widely researched, and in recent years, friction stir welding (FSW) has been applied.
마찰 교반 용접이란 금속의 접합 부위에 회전도구를 설치하여 회전도구와 접합 금속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하여 분할된 금속을 접합하는 방법을 말한다. Friction stir welding refers to a method of joining divided metals by installing a rotating tool at the joint area of metals and using frictional heat generated between the rotating tool and the joining metal.
이러한 마찰 교반 용접은 고온의 용융 용접 시에 용접 균열과 용접변형이 발생하기 쉬운 석출경화형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비철재료의 판재에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열감수성이 높은 철강재료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This type of friction stir welding is mainly used for non-ferrous plates such as precipitation hardening aluminum alloys, which are prone to weld cracks and weld deformation during high-temperature melt welding, and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o apply it to steel materials with high heat sensitivity. It is becoming.
일반적으로 마찰 교반 용접 장치는 접합되는 부재보다 경도가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 승강 가능한 회전도구와 상기 회전도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한다. Generally, a friction stir welding device includes a rotary tool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and made of a material with higher hardness than the members to be joined, and a driving member that rotates the rotary tool.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는 분할된 금속의 접합부에 설치된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면서 접합부를 따라 회전 부재를 이송한다. And the driving member rotates the rotating member installed at the joint of the divided metal and transfers the rotating member along the joint.
이에 따라 회전 부재와 접합부 사이에는 마찰열이 발생하고 이러한 마찰열과 회전 부재가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연화된 접합부에 소성 유동에 의해 재질의 교반 작용이 활성화되면서 고상 접합이 이루어진다.Accordingly, frictional heat is generated between the rotating member and the joint, and the stirring action of the material is activated by plastic flow in the joint softened by the frictional heat and the pressure applied by the rotating member, thereby forming a solid-state joint.
근래에는 상술한 마찰교반용접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운영하기 위해 사용자에 대하여 운영이 용이하되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마찰교반용접장치용 시스템에 대한 구축이 절실한 필요성을 갖게 된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operate the device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friction stir welding, there is an urgent need to build a system for a friction stir welding device that is easy to operate and safely accessible to users.
본 발명은 상술한 배경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마찰교반용접을 실행시에 마찰교반용접장치에 대한 쉬운 설치와 셋업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설비에 대한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마찰교반용접용 지그 운영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jig operating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that provides easy installation and convenience of setup for the friction stir welding device when performing friction stir welding based on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and can reduce the cost burden on equipm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마찰교반용접용 자동 지그 운영시스템은 지그(40)에 안착된 작업대상물을 마찰교반용접 하기 위해 공구 툴(6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립퍼(50)를 자동제어하는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그립퍼(50)에 대한 고정 또는 해제가 실행되는 높이조절영역(10)을 설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높이입력부(100) 및 높이조절영역(10)을 설정하기 위해 선택된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확인영역(30)의 확인과 동작영역(20)을 설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기준설정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the automatic jig operating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또한, 상기 높이입력부(100)는 높이조절영역(10)을 설정하기 위해 선택된 그립퍼(50)의 번호정보, 선택된 동작모드정보, 공구툴(60)에 대한 반경정보, 설정된 높이조절영역(10)에 대한 그립퍼(50)와 공구툴(60) 간의 안전거리정보, 높이조절영역(10)을 설정하기 위한 Z축으로의 최소값정보 및 높이조절영역(10)을 설정하기 위한 Z축으로의 최대값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ight input unit 100 includes number information of the
또한, 상기 기준설정부(200)는 동작영역(20)에 대한 좌표설정정보, 확인영역(30)에 대한 좌표확인정보,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의 동작영역(20)에 대한 거리정보,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의 동작영역(20)에 대한 거리정보,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상측방향으로의 동작영역(20)에 대한 거리정보 및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으로의 동작영역(20)에 대한 거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ference setting unit 200 provides coordinate setting information for the
또한, 상기 운영시스템(1)은 모니터링부(300) 또는 모드전환설정부(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부(300)는 각각의 그립퍼(50)에 대한 번호정보, 중심좌표, 상태정보, 타입정보 및 현재사용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모드전환설정부(400)는 상기 높이입력부(100)와 상기 기준설정부(200)의 동작, 자동 및 수동 전환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마찰교반용접장치에 대하여 그립퍼와 툴에 대한 입력된 설정값을 통해 쉬운 설치와 셋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툴과 그립퍼에 대한 높이조절영역, 동작영역 및 확인영역의 설정을 통하여 기구 간의 마찰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원하는 용접부위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어 설비에 대한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마찰교반용접용 지그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of easy installation and setup through input setting values for the gripper and tool for the friction stir welding device, unlike the conventional one, and to provide the height adjustment area and operating area for the tool and gripper. By setting the confirmation area, friction between device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the desired welding area can be easily performed, thereby realizing the effect of providing a friction stir welding jig operating system that can reduce the cost burden on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찰교반용접용 자동 지그 운영시스템이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대한 높이입력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도 2를 통한 마찰교반용접장치에 설정된 높이조절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대한 그립퍼와 툴 간의 최소안전거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대한 기준설정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5에 대한 설정된 동작영역과 설정된 확인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대한 동작영역 형상의 다른 실시예.
도 8은 도 1에 대한 모니터링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9는 도 1에 대한 모드전환설정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찰교반용접용 자동 지그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지그 운영방법을 나타낸 흐름도.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automatic jig operating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ed on a monitor.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height input unit of Figure 1.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area set in the friction stir welding device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minimum safety distance between the gripper and the tool for Figure 2.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tandard setting unit for Figure 1.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set operation area and a set confirmation area for FIG. 5.
Figure 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ng area shape relative to Figure 6.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monitoring unit of Figure 1.
Figure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mode switching setting unit for Figure 1.
Figure 10 is a flow chart showing a jig operation method using the automatic jig operation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Specific embodiments may be depic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embodiments.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ttached drawing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terms. The above-mentioned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abbreviated or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찰교반용접용 자동 지그 운영시스템(이하, 간략하게 '운영시스템'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의 운영시스템(1)은 모니터 등과 같은 영상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소지한 이동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 PC 및 노트북 등)을 통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한다.Hereinafter, the automatic jig operating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briefly referred to as the 'operating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ior to the description, the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영시스템(1)은 크게 높이입력부(100), 기준설정부(200), 모니터링부(300) 및 모드전환설정부(400)를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ure 1, the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높이입력부(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40)에 안착한 작업대상물을 고정 또는 해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립퍼(50)에 대한 Z축 방향으로의 높이조절영역(10)을 설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구성이다.In more detail, the height input unit 100 is positioned in the Z-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이를 위해, 높이입력부(1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등에 의한 선택이 가능한 그립퍼 번호설정 컨텐츠(110), 모드 확인 컨텐츠(120), 툴 레디우스 컨텐츠(130), 세이프 디스턴스 컨텐츠(140), Z축 최소값 입력 컨텐츠(150) 및 Z축 최고값 입력 컨텐츠(160)를 포함한다.For this purpose, as shown, the height input unit 100 includes gripper number setting content 110 that can be selected by touch, etc., mode confirmation content 120, tool radius content 130, safe distance content 140, It includes Z-axis minimum value input content 150 and Z-axis maximum value input content 160.
그립퍼 번호설정 컨텐츠(110)는 높이조절영역(10)을 설정하고자 선택된 그립퍼(50)에 대한 번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며, 그립퍼(50)에 대한 번호설정은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미리 설정된 상기 그립퍼(50)에 대한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넘버링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The gripper number setting content 110 displays number information on the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그립퍼 번호설정 컨텐츠(110)가 선택되면 설비라인에 구비된 다수의 그립퍼(50)에 해당하는 목록이 개별번호를 부여받아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모니터 상에 팝업창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어 원하는 번호에 해당하는 그립퍼(50)를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when the gripper number setting content 110 is selected, a lis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아울러, 모니터 상에는 그립퍼 번호설정 컨텐츠(110)에 의해 선택된 설비라인에 구비된 그립퍼(50)가 램프 등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추가로 표시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다수의 그립퍼(50) 중 어느 그립퍼(50)가 그립퍼 번호설정 컨텐츠(110)에 의해 설정되었는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on the monitor, the
모드 확인 컨텐츠(120)는 후에 설명하는 모드전환설정부(400)에 의해 선택된 본 발명인 운영시스템(1)에 대한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된다.The mode confirmation content 120 is displayed to confirm whether the
툴 레디우스 컨텐츠(130)는 작업대상물에 대한 마찰교반용접(FSW:Friction Stir Welding)을 실행하는 공구 툴(Tool)의 반경(Radius)를 입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구성이다.The tool radius content 130 is a configuration displayed to input the radius of a tool that performs friction stir welding (FSW) on a work object.
세이프 디스턴스 컨텐츠(140)는 그립퍼(50)와 툴(60) 간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안전거리를 설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구성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그립퍼(50)의 폭 이상의 값을 입력한다.Safe distance content 140 is displayed in order to set the minimum safe distanc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이때, 툴 레디우스 컨텐츠(130)와 세이프 디스턴스 컨텐츠(140)를 통해 설정된 값을 통하여 후에 설명하는 확인영역(30)에 대한 설정값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며, 확인영역(30)에 대한 설정값은 툴 레디우스 컨텐츠(130)와 세이프 디스턴스 컨텐츠(140)의 설정값을 합산한 수치에 2배를 임의의 사각 형상을 갖게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산한 수치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ttings for the
Z축 최소값 입력 컨텐츠(150) 및 Z축 최고값 입력 컨텐츠(160)는 승강가능한 실린더(미도시)에 장착된 툴(60)이 승강할 수 있는 높이조절영역(10)을 입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높이조절영역(10)의 설정을 통해 그립퍼(50)의 고정 또는 해지 기능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The Z-axis minimum value input content 150 and the Z-axis maximum value input content 160 are displayed to input the
높이조절영역(10)의 설정값은 지그(40)에 안착하는 작업대상물의 높이나 툴(60)의 수직길이 등과 같은 작업환경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게 입력된다.The setting value of the
그리고, 상기 기준설정부(2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하여 작업대상물을 용접하는 툴(60)의 이동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상기 그립퍼(50)가 자동으로 고정 또는 해지될 수 있는 각각 사각의 영역으로 제공되는 동작영역(20)의 설정과 확인영역(3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구성이다. And, as shown in FIGS. 5 to 7, the reference setting unit 200 interferes with the movement of the
설명에 앞서, 동작영역(20)은 툴(60)이 자동운전상태(마찰교반용접이 실행되는 상태)에서 설정된 해당 동작영역(20)을 출입시에 그립퍼(50)가 자동으로 고정 또는 해지를 실행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Prior to explanation, the
즉, 툴(60)이 동작영역(20)에 진입하면 그립퍼(50)는 해지상태를 실행하여 원활한 용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툴(60)이 해당 동작영역(20)을 벗어나면 상기 그립퍼(50)가 작업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는 영역이다.That is, when the
아울러, 확인영역(30)은 상술한 동작영역(20) 내에 툴(60)이 진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립퍼(50)의 자동 실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툴(60)과 상기 그립퍼(50)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구역을 의미하며, 해당 확인영역(30)은 동작영역(20)이 설정되면 상술한 높이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값을 통하여 모니터링 된다.In addition, the
나아가, 동작영역(20)과 확인영역(30)은 각각의 그립퍼(50)에 대하여 작업자의 제어를 통해 서로 다른 설정값을 갖도록 입력되는데 이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지그(40)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간격을 갖도록 다수의 그립퍼(50)가 존재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영역(20)과 확인영역(30)의 설정을 위해 본 발명에서의 기준설정부(200)는 제1 및 제2 세트 포지션 컨텐츠(210,220), 제1 및 제2 체크 포지션 컨텐츠(230,240), X1 디스턴스 컨텐츠(250), X2 디스턴스 컨텐츠(260), Y1 디스턴스 컨텐츠(270) 및 Y2 디스턴스 컨텐츠(280)를 포함한다.As shown, in order to set the
예컨대 제1 및 제2 세트 포지션 컨텐츠(210,220)은 동작영역(20)에 대한 좌표를 설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되는 구성이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et position contents 210 and 220 are displayed to set coordinates for the
제1 세트 포지션 컨텐츠(210)는 선택된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사각의 영역으로 표시될 수 있는 동작영역(20)의 우측(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기준) 상부의 모서리부분을 포인트(P1)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set position content 210 is the upper corner of the right side (based 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제2 세트 포지션 컨텐츠(220)는 선택된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사각의 영역으로 표시될 수 있는 동작영역(20)의 좌측 하부의 모서리부분을 포인트(P2)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입력값에 대응하는 포인트(P1,P2)들을 통하여 모니터 상에 임의의 사각 형상을 갖는 동작영역(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set position content 220 can set the lower left corner of the
제1 및 제2 체크 포지션 컨텐츠(230,240)은 설정된 동작영역(20) 내에 존재하는 확인영역(30)에 대한 좌표값을 확인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술한 툴 레디우스 컨텐츠(130)와 세이프 디스턴스 컨텐츠(140)에 의해 설정된 값을 기준으로 좌표값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and second check position contents 230 and 240 are configured to check the coordinate value of the
여기서, 제1 체크 포지션 컨텐츠(230)은 선택된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사각 형상을 갖는 우측 상부의 모서리부분에 대한 좌표값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first check position content 230 allow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upper right corner portion having a square shape to be displayed based on an arbitrary center point (C-P) of the selected
아울러, 제2 체크 포지션 컨텐츠(240)은 선택된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사각 형상을 갖는 좌측 하부의 모서리부분에 대한 좌표값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heck position content 240 allow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lower left corner portion having a square shape to be displayed based on an arbitrary center point (C-P) of the select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상에 동작영역(20)만 디스플레이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2 체크 포지션 컨텐츠(230,240)의 좌표값에 해당하는 임의의 사각 형상을 갖는 확인영역(30)이 해당 동작영역(20)과 함께 서로 다른 색상 등으로 식별가능하게 디스플레이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X1 디스턴스 컨텐츠(250)와 X2 디스턴스 컨텐츠(260) 선택된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방향으로의 동작영역(20)에 대한 거리값이 거리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The distance value for the
Y1 디스턴스 컨텐츠(270)와 Y2 디스턴스 컨텐츠(280)는 선택된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방향으로의 동작영역(20)에 대한 거리값이 거리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Y1 distance content 270 and Y2 distance content 280 can display distance information of the distance value for the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부(3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상물을 고정 또는 해지하기 위해 지그(40)에 설치된 그립퍼(50)에 대한 번호정보, 중심좌표, 상태정보, 타입정보 및 현재사용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모니터링부(300)를 통해 작업자는 각각의 그립퍼(50)에 대한 상태정보 전체를 한번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And, as shown in FIG. 8, the monitoring unit 300 records number information, center coordinates, status information, type information, and current information about the
예컨대 모니터링부(300)는 번호 컨텐츠(310), 중심좌표 컨텐츠(320), 상태표시 컨텐츠(330), 타입 컨텐츠(340) 및 사용확인 컨텐츠(350)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monitoring unit 300 includes number content 310, center coordinate content 320, status display content 330, type content 340, and usage confirmation content 350.
번호컨텐츠(310)는 각각의 그립퍼(50)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임의의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사용하며, 부여된 번호는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혼동의 여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number content 310 is used by assigning a different, arbitrary unique number to each
아울러, 모니터링되는 번호정보는 상술한 높이입력부(100) 또는 기준설정부(200)를 설정시에도 디스플레이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어느 그립퍼(50)에 대하여 현재 설정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ed number information is displayed even when setting the height input unit 100 or the standard setting unit 200, allowing the operator to visually identify which gripper 50 is currently being set. You can.
중심좌표 컨텐츠(320)는 각각의 그립퍼(50)에 대한 임의의 중심좌표값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The center coordinate content 320 allows arbitrary center coordinate values for each gripper 50 to be displayed.
상태표시 컨텐츠(3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온/오프(ON/OFF)되는 엘이디의 형식으로 각각의 그립퍼(50)에 대하여 작업대상물의 파지 상태 즉, 고정상태(CLAMP) 및 해지상태(UNCLAMP)가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the status display content 330 is in the form of an LED that is turned on/off, and the gripping state of the work object for each
타입 컨텐츠(340)는 지그(40)에 설치된 그립퍼(50)에 대한 타입(Type)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그립퍼(50)의 동작 방식(예를 들어, 회전에 의한 파지, 승강에 의한 파지, 크기 등)에 따라 임의의 약속된 번호를 부여하여 해당 번호를 통해 작업자가 그립퍼(50)에 대한 타입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Type content 340 allows the type of the
사용확인 컨텐츠(350)은 각각의 그립퍼(50)에 대한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구성이며, 일예로 사용중인 상태는 'O'로 표시하며, 비사용상태는 'X"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The usage confirmation content 350 is a configuration that is displayed to check whether or not each
그리고, 상기 모드전환설정부(4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영시스템(1)에 대한 전반적인 옵션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And, as shown in FIG. 9, the mode change setting unit 400 is configured to provide overall options for the
예컨대 모드전환설정부(4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또는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전환 컨텐츠(410), 선택된 그립퍼(50)에 대한 임의의 중심점(C-P)으로 동작영역(20)과 확인영역(30)을 설정하기 위한 제1 포지션 세트 컨텐츠(420) 및 선택된 그립퍼(50)의 현재 기계좌표를 중심좌표로 하여 동작영역(20)과 확인영역(30)을 설정할 수 있는 제2 포지션 세트 컨텐츠(430)를 포함한다.For example, as shown, the mode change setting unit 400 includes mode change content 410 that can select either automatic or manual mode, and an operation area with an arbitrary center point (C-P) for the selected
아울러, 모드전환설정부(400)는 옵션의 기능으로 선택 가능한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동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선택된 그립퍼(50) 또는 사용중인 그립퍼(50)에 대한 고정 또는 해지 여부를 확인 및 개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클램프 컨텐츠(440), 현재 선택된 그립퍼(50)에 대한 타입을 변경하기 위한 타입 체인지 컨텐츠(450), 현재 선택된 그립퍼(50)에 대하여 사용 여부를 임의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 변경 컨텐츠(460) 및 본 발명에 따른 운영시스템(1)의 종료 이후에 메인화면으로 전환 또는 상기 운영시스템(1)을 시작하기 위한 동작 컨텐츠(4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e change setting unit 400 can provide a plurality of contents that can be selected as an optional function, preferably fixing or fixing the selec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찰교반용접용 자동 지그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지그 운영방법(이하, '운영방법'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automatic jig opera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peration method') using the automatic jig operation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먼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영방법(2)은 크게 1)지그(40)에 설치된 툴(6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립퍼(50)에 대한 데이터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00) 및 2)입력된 데이터정보를 기반으로 작업대상물을 툴(60)로 가공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 10, the operating method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the steps of 1) inputting data information about the
설명에 앞서, 하기에는 수동모드가 아닌, 자동모드에 의해 툴(60)과 그립퍼(50)에 대한 동작 구현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음에 유의한다.Prior to the explanation, please note that the following describes the implementation of operations for the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업자는 상술한 운영시스템(1)의 메인화면에서 동작컨텐츠(470)에 의해 클릭 등에 의해 선택하여 설정화면으로 전환시켜 툴(60)에 대한 Z축 방향으로의 높이조절영역(10)을 설정, 높이가 설정된 툴(60)의 이동에 따라 그립퍼(50)가 자동으로 고정 또는 해지될 수 있는 X축과 Y축 방향으로의 동작영역(20) 및 툴(60)이 동작영역(20)에 진입한 상태에서 그립퍼(50)가 동작하지 않을 시에 툴(60)과 그립퍼(50)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X축과 Y축 방향으로의 확인영역(30)에 대한 데이터정보를 입력하는 1)단계(S100)을 실행한다(도 2 내지 도 4 참조).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operator selects the operation content 470 on the main screen of the above-described
부연하면, 작업자는 높이조절영역(10)의 설정을 위해 높이입력부(100)를 구성하는 그립퍼 번호설정 컨텐츠(110)를 통해 어느 하나의 그립퍼(50)를 모니터 상에서 선택 후, Z축 최소값 입력 컨텐츠(150)와 Z축 최대값 입력 컨텐츠(160)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영역(10)을 설정한다.To elaborate, the operator selects one
여기서, 작업자는 하나의 지그(40)를 기준으로 다수의 그립퍼(50)가 존재하는 경우, 그립퍼 번호설정 컨텐츠(110)를 통해 개별적으로 해당 그립퍼(50)를 선택 후, 선택된 그립퍼(50)에 대하여 각각 Z축 최소값 입력 컨텐츠(150)와 Z축 최대값 입력 컨텐츠(160)를 통해 높이조절영역(10)이 설정될 수 있도록 입력한다.Here, when a plurality of
한편, 높이조절영역(10)은 지그(40)에 안착하는 작업대상물의 높이 또는 툴(60)의 수직길이에 대응하여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desirable to input the
아울러, 작업자는 높이조절영역(10)에 대한 입력작업이 마감 또는 그 이전에 툴 레디우스 컨텐츠(130)와 세이프 디스턴스 컨텐츠(140)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용접을 실행하는 툴(60)의 반경값 및 선택된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그립퍼(50)와 툴(60) 간의 최소안전거리에 대한 수치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입력값은 확인영역(30)의 설정에 도움이 되게 된다.In addition, the operator selects the tool radius content 130 and the safe distance content 140 sequentially at or before the end of the input operation for the
이후, 작업자는 동작영역(20)의 설정을 위해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된 선택된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우측 상부의 모서리부분을 포인트(P1)로 제1 세트 포지션 컨텐츠(210)를 통해 지정한 이후에 해당 그립퍼(50) 입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좌측 하부의 모서리부분을 또 다른 포인트(P2)로 지정하여 임의의 사각 형상을 갖는 동작영역(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수치값을 입력한다.(도 5 참조)Thereafter, in order to set the operating
이때, 모니터에는 상술한 툴 레디우스 컨텐츠(130)와 세이프 디스턴스 컨텐츠(140)의 입력값을 기반으로 하는 확인영역(30)에 대한 수치값이 제1 및 제2 체크 포지션(230,24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onitor displays numerical values for the
아울러, 동작영역(20)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모니터 상에는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된 동작영역(20) 간의 우측 및 좌측 간의 거리는 물론, 상부와 하부 간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게 X1 및 X2 디스턴스 컨텐츠(250,260) 그리고 Y1 및 Y2 디스턴스 컨텐츠(270,280)에 의해 수치값이 자동으로 연산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etting the
한편, 본 발명에서의 동작영역(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정사각의 형상으로 실행되는 것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 또는 상기 그립퍼(50)가 구비된 기계좌표을 중심으로 직사각의 형상으로도 임의의 영역이 설정될 수 있도록 상술한 컨텐츠를 통해 입력이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하며, 이를 통해 작업대상물에 대한 용접의 제한성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도 7 참조).Meanwhile, the operating
하여, 작업자는 이러한 동작영역(20) 및 확인영역(30)을 기반으로 툴(60)의 반경값과 그립퍼(50)의 폭 길이에 대응하여 해당 툴(60)이 용접을 위한 동작이 2)단계(S200)가 실행시에 그립퍼(50)와 툴(60) 간의 충돌을 방지되어 작업대상물에 대한 마찰교반용접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worker moves the
한편, 본 발명에서의 운영방법(2)은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상물의 가공이 종료된 이후에 용접의 퀄리티에 따라 툴(60)의 교체나 추가적인 용접이 필요한 경우, 상술한 컨텐츠들을 기반으로 높이조절영역(10), 동작영역(20) 및 확인영역(30)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입력값을 재설정하여 추가적인 용접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품의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설정 동작단계(S300)가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the operation method (2)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placement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영시스템(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마찰교반용접장치에 대하여 그립퍼(50)와 툴(60)에 대한 입력된 설정값을 통해 쉬운 설치와 셋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툴(60)과 그립퍼(50)에 대한 높이조절영역(10), 동작영역(20) 및 확인영역(30)의 설정을 통하여 기구 간의 마찰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원하는 용접부위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어 설비에 대한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마찰교반용접용 지그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as well as all thing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is patent claim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본 발명에 따른 마찰교반용접용 자동 지그 운영시스템
2: 본 발명에 따른 마찰교반용접용 자동 지그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지그 운영방법
100: 높이입력부
200: 기준설정부
300: 모니터링부
400: 모드전환설정부
10: 높이조절영역
20: 동작영역
30: 확인영역
40: 지그
50: 그립퍼
60: 툴1: Automatic jig operating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utomatic jig operating method using the automatic jig operating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Height input unit
200: Standard setting unit
300: Monitoring unit
400: Mode switching setting unit
10: Height adjustment area
20: operating area
30: Confirmation area
40: Jig
50: Gripper
60: Tool
Claims (7)
그립퍼(50)에 대한 고정 또는 해제가 실행되는 높이조절영역(10)을 설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높이입력부(100); 및
높이조절영역(10)을 설정하기 위해 선택된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확인영역(30)의 확인과 동작영역(20)을 설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기준설정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교반용접용 자동 지그 운영시스템.
In the operating 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tool 60 and at least one gripper 50 to friction stir weld the workpiece mounted on the jig 40,
A height input unit 100 displayed to set a height adjustment area 10 in which the gripper 50 is fixed or released; and
A gripper 50 selected to set the height adjustment area 10; a reference setting unit 200 displayed to confirm the confirmation area 30 and set the operation area 20 based on an arbitrary center point (CP); An automatic jig operating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comprising:
상기 높이입력부(100)는
높이조절영역(10)을 설정하기 위해 선택된 그립퍼(50)의 번호정보, 선택된 동작모드정보, 공구툴(60)에 대한 반경정보, 설정된 높이조절영역(10)에 대한 그립퍼(50)와 공구툴(60) 간의 안전거리정보, 높이조절영역(10)을 설정하기 위한 Z축으로의 최소값정보 및 높이조절영역(10)을 설정하기 위한 Z축으로의 최대값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교반용접용 자동 지그 운영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eight input unit 100 is
Number information of the gripper 50 selected to set the height adjustment area 10, selected operation mode information, radius information for the tool tool 60, gripper 50 and tool tool for the set height adjustment area 10. (60)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is displayed among safety distance information, minimum value information on the Z axis for setting the height adjustment area (10), and maximum value information on the Z axis for setting the height adjustment area (10). An automatic jig operating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기준설정부(200)는
동작영역(20)에 대한 좌표설정정보, 확인영역(30)에 대한 좌표확인정보,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의 동작영역(20)에 대한 거리정보,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의 동작영역(20)에 대한 거리정보,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상측방향으로의 동작영역(20)에 대한 거리정보 및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으로의 동작영역(20)에 대한 거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교반용접용 자동 지그 운영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andard setting unit 200 is
Coordinate setting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area 20, coordinate confirmation information for the confirmation area 30, distance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area 20 in the left direction based on the arbitrary center point (CP) of the gripper 50, gripper (50) Distanc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area 20 in the right direction based on an arbitrary center point (CP), gripper 50,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area 20 in the upper direction based on an arbitrary center point (CP) Automatic for friction stir welding,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area 20 in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an arbitrary center point (CP) of the gripper 50 can be displayed. Jig operating system.
상기 운영시스템(1)은 모니터링부(300) 또는 모드전환설정부(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부(300)는 각각의 그립퍼(50)에 대한 번호정보, 중심좌표, 상태정보, 타입정보 및 현재사용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모드전환설정부(400)는 상기 높이입력부(100)와 상기 기준설정부(200)의 동작, 자동 및 수동 전환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교반용접용 자동 지그 운영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operating system 1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monitoring unit 300 or a mode switching setting unit 400,
The monitoring unit 300 displays at least one of number information, center coordinates, status information, type information, and current use information for each gripper 50,
The mode switching setting unit 400 is an automatic jig operating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allows selection of the operation of the height input unit 100 and the standard setting unit 200 and whether to switch automatically or manually.
1)지그(40)에 설치된 툴(6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립퍼(50)에 대한 데이터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및
2)입력된 데이터정보를 기반으로 작업대상물을 툴(60)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1)단계에서의 데이터정보는
툴(60)에 대한 Z축 방향으로의 높이조절영역(10)을 설정, 높이가 설정된 툴(60)의 이동에 따라 그립퍼(50)가 자동으로 고정 또는 해지될 수 있는 X축과 Y축 방향으로의 동작영역(20) 및 툴(60)이 동작영역(20)에 진입한 상태에서 그립퍼(50)가 동작하지 않을 시에 툴(60)과 그립퍼(50)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X축과 Y축 방향으로의 확인영역(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교반용접용 자동 지그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지그 운영방법.
In the jig operating method using an operat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tool tool 60 and at least one gripper 50 to friction stir weld the workpiece mounted on the jig 40,
1) Entering data information about the tool 60 and at least one gripper 50 installed on the jig 40; and
2) Processing the work object with the tool 60 based on the input data information;
The data information in step 1) above is
A height adjustment area 10 is set in the Z-axis direction for the tool 60, and the gripper 50 can be automatically fixed or relea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ool 60 with the set height in the In order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tool 60 and the gripper 50 when the gripper 50 does not operate while the tool 60 enters the operation area 20, An automatic jig operating method using an automatic jig operating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firmation area (30) in the Y-axis direction.
높이조절영역(10)의 설정은
그립퍼 번호설정 컨텐츠(110)를 통해 어느 하나의 그립퍼(50)를 모니터 상에서 선택 후, Z축 최소값 입력 컨텐츠(150)와 Z축 최대값 입력 컨텐츠(160)에 의해 설정되되 설정하고자 하는 높이조절영역(10)은 지그(40)에 안착하는 작업대상물의 높이 또는 툴(60)의 수직길이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교반용접용 자동 지그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지그 운영방법.
According to clause 5,
Setting of the height adjustment area (10) is
After selecting any one gripper (50) on the monitor through the gripper number setting content (110), the height adjustment area to be set is set by the Z-axis minimum value input content (150) and the Z-axis maximum value input content (160). (10) is an automatic jig operation method using an automatic jig operation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workpiece seated on the jig 40 or the vertical length of the tool 60.
동작영역(20)의 설정은 모니터 상에서
선택된 그립퍼(50)를 기준으로 우측 상부의 모서리부분을 포인트(P1)로 제1 세트 포지션 컨텐츠(210)를 통해 지정한 이후에 선택된 그립퍼(50)를 기준으로 좌측 하부의 모서리부분을 또 다른 포인트(P2)로 지정하여 임의의 사각 형상으로 설정되며,
확인영역(30)의 설정은
툴(60)의 반경값을 입력하는 툴 레디우스 컨텐츠(130) 및 그립퍼(50)와 상기 툴 레디우스 컨텐츠(130)를 통해 입력된 툴(60)의 반경값에 대하여 세이프 디스턴스 컨텐츠(140)에 입력되는 그립퍼(50)와 툴(60) 간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안전거리값의 기반으로 설정되고,
동작영역(20)과 확인영역(30)은 그립퍼(50) 임의의 중심점(C-P)을 기준으로 임의의 사각 형상을 갖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교반용접용 자동 지그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지그 운영방법.According to clause 5,
The operating area (20) can be set on the monitor.
After designating the upper right corner as the point P1 based on the selected gripper 50 through the first set position content 210, the lower left corner based on the selected gripper 50 is designated as another point (P1). It is set to a random square shape by specifying it as P2),
The settings of the confirmation area (30) are
Tool radius content 130 and gripper 50 for inputting the radius value of the tool 60, and safe distance content 140 for the radius value of the tool 60 input through the tool radius content 130. It is set as the basis for the minimum safety distance valu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gripper 50 and the tool 60 entered in,
The operation area 20 and the confirmation area 30 are displayed to have an arbitrary square shape based on an arbitrary center point (CP) of the gripper 50. Automatic jig operation using an automatic jig operation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2345A KR102721556B1 (en) | 2022-05-20 | 2022-05-20 | Automatic jig operation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and automatic jig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2345A KR102721556B1 (en) | 2022-05-20 | 2022-05-20 | Automatic jig operation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and automatic jig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2443A true KR20230162443A (en) | 2023-11-28 |
KR102721556B1 KR102721556B1 (en) | 2024-10-25 |
Family
ID=8895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62345A Active KR102721556B1 (en) | 2022-05-20 | 2022-05-20 | Automatic jig operation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and automatic jig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21556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29079A (en) * | 1997-10-29 | 1999-05-18 | Hitachi Ltd | Thermal processing method and thermal processing apparatus |
KR20090069612A (en) | 2007-12-26 | 2009-07-01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Friction Stir Welding System and Friction Stir Welding Method |
KR20110099169A (en) * | 2010-03-01 | 2011-09-07 |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 Clamp checking system, welding robot system, clamp jig control device and clamp checking method |
KR102263886B1 (en) | 2019-12-13 | 2021-06-15 | 서진산업 주식회사 | Angle adjusting JIG system using Friction Stir Welding |
-
2022
- 2022-05-20 KR KR1020220062345A patent/KR10272155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29079A (en) * | 1997-10-29 | 1999-05-18 | Hitachi Ltd | Thermal processing method and thermal processing apparatus |
KR20090069612A (en) | 2007-12-26 | 2009-07-01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Friction Stir Welding System and Friction Stir Welding Method |
KR20110099169A (en) * | 2010-03-01 | 2011-09-07 |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 Clamp checking system, welding robot system, clamp jig control device and clamp checking method |
KR102263886B1 (en) | 2019-12-13 | 2021-06-15 | 서진산업 주식회사 | Angle adjusting JIG system using Friction Stir Weld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21556B1 (en) | 2024-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48851B2 (en) | Controller of work piece-conveying robot | |
EP1749621B1 (en) | Robot programming device | |
US9802286B2 (en) | Robot control system provided in machining system including robot and machine tool | |
EP3680051A1 (en) | Method for operating double-action friction stir welding device, and double-action friction stir welding device | |
WO2014140771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ing, configuration, calibration and identification of welding equipment | |
JP2012035308A (en) | Offline teaching method | |
KR20230162443A (en) | Automatic jig operation system for friction stir welding and automatic jig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 |
US20190217437A1 (en) | Machining system | |
Lee et al. | Design of a ceiling glass installation robot | |
US11662499B2 (en) | Foreign object detecting device | |
WO2016140001A1 (en) | Industrial machine system | |
CN117755983A (en) | A tower crane remote collaborative hoisting operation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
Yoon et al. | Comparing dynamic viewpoint control techniques for teleoperated robotic welding in construction | |
CN108311832B (en) |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spot welding workpiece of spot welding robot workstation | |
JPH10161719A (en) | System constructing simulation device for industrial robot | |
KR102756666B1 (en) | Apparatus for setting and correcting operation path of tracking type multi-axial robot | |
JP5544275B2 (en) | Robot controller | |
KR102726408B1 (en) | Automated Welding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 |
CN108188619B (en) | Automatic welding system | |
Lee et al. | Human robot cooperative control and task planning for a glass ceiling installation robot | |
US20240375266A1 (en) | Remotely deployable collaborative robot fabrication system | |
de Leon | Automating Welding Processes With Dual-Robot Systems | |
CN221363123U (en) | Radiation-resistant special welding device and system | |
KR101494130B1 (en) | Controller of index table | |
Ferreira | The Use of Collaborative Robots for Tasks with Arc Wel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