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949A - 시료 검사 장치, 검사 시스템, 박편 시료 제작 장치 및 시료의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시료 검사 장치, 검사 시스템, 박편 시료 제작 장치 및 시료의 검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54949A KR20230154949A KR1020237034028A KR20237034028A KR20230154949A KR 20230154949 A KR20230154949 A KR 20230154949A KR 1020237034028 A KR1020237034028 A KR 1020237034028A KR 20237034028 A KR20237034028 A KR 20237034028A KR 20230154949 A KR20230154949 A KR 202301549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mple
- probe
- conductor
- defective
- cont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02—Contactless testing
- G01R31/305—Contactless testing using electron beams
- G01R31/307—Contactless testing using electron beams of integrated circui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26—Electron or ion microscopes; Electron or ion diffraction tubes
- H01J37/28—Electron or ion microscopes; Electron or ion diffraction tubes with scanning bea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2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using digital techniques or performing arithmetic oper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12—Measuring electrostatic fields or voltage-potential
- G01R29/14—Measuring field distribu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5—Contactless testing
- G01R31/2653—Contactless testing using electron bea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20—Means for supporting or positioning the object or the material; Means for adjusting diaphragms or lenses associated with the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22—Optical, image processing or photographic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tube
- H01J37/222—Image process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tub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244—Detectors; Associated components or circuits theref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26—Electron or ion microscopes; Electron or ion diffraction tubes
- H01J37/261—Details
- H01J37/265—Controlling the tube; circuit arrangements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not otherwise provided, e.g. bright-field-dark-field illumin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244—Detection characterized by the detecting means
- H01J2237/2448—Secondary particle det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245—Detection characterised by the variable being measured
- H01J2237/24564—Measurements of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e.g. voltage, current, frequenc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245—Detection characterised by the variable being measured
- H01J2237/24592—Inspection and quality control of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26—Electron or ion microscopes
- H01J2237/28—Scanning microscopes
- H01J2237/2813—Scanning microscop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H01J2237/2817—Pattern inspection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시료 검사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시료 검사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요부 모식도이다.
도 4는 CURR 모드, DIFF 모드 및 DI-EBAC 모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CURR 모드, DIFF 모드 및 DI-EBAC 모드에서 얻어진 히스토그램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DI-EBAC 모드에 있어서의 전위차의 변화의 미분값과, 불량 개소의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시료의 검사 방법(검사 수단)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a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DI-EBAC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b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SEM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c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SEM상과 DI-EBAC상을 중첩시킨 합성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d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SEM상과 DI-EBAC상을 중첩시킨 합성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박편 시료 제작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시료의 검사 방법(제작 수단)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박편 시료 제작 장치를 조작 중인 화면이다.
3 전자원 4 전자 광학계
5 콘덴서 렌즈 6 주사 코일
7 대물 렌즈 8 스테이지
9 검출기 10a, 10b 탐침
11 시료 11a, 11b 도전체
12 불량 개소 20 차동 증폭기
21a, 21b 가변 저항 소자 22a, 22b 정전압 전원
23a, 23b 콘덴서 24a, 24b 저항 소자
30 컴퓨터 31 표시 장치
32 입력 장치 33 기억 장치
34 불량 위치의 표시 버튼 35 불량 방향의 표시 버튼
41~43 EBAC상 44, 45 히스토그램
46 암부 47 명부
48 불량 개소의 방향 49 SEM상
50, 51 합성상(중첩상) 61 시료실
62 이온빔 칼럼 63 이온원
64 전자빔 칼럼 65 전자원
66 스테이지 67 검출기
68 착탈기 100 검사 시스템
200 시료 검사 장치 300 박편 시료 제작 장치
BL 베이스 라인 C1 제1 컨트롤러
C2 제2 컨트롤러 CP 크로스 포인트
EB1, EB2 전자빔 IB 이온빔
Claims (14)
- 전자빔을 조사 가능한 전자원과,
상기 전자빔의 집속 및 주사가 가능한 전자 광학계와,
그 표면에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가 형성된 시료를 설치 가능한 제1 스테이지와,
상기 전자빔이 상기 시료에 조사되었을 때, 상기 시료로부터 발생하는 이차 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와,
제1 탐침과,
제2 탐침과,
상기 전자원, 상기 전자 광학계, 상기 제1 스테이지, 상기 검출기, 상기 제1 탐침 및 상기 제2 탐침의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시료가 상기 제1 스테이지 상에 설치되었을 때 실행되는 검사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검사 수단은,
(a) 상기 제1 탐침을 상기 제1 도전체에 접촉시키고, 또한, 상기 제2 탐침을 상기 제2 도전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자빔을 상기 시료의 표면 상에서 주사하는 스텝,
(b) 상기 스텝 (a)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빔의 주사와 동기시키면서, 상기 제1 탐침과 상기 제2 탐침 사이의 전위차의 변화의 미분값을 계측하는 스텝,
(c) 상기 스텝 (b)에서 계측된 상기 전위차의 변화의 미분값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 사이에 존재하는 불량 개소가 명부(明部) 및 암부(暗部)로서 나타난 DI-EBAC상을 취득하는 스텝,
(d) 상기 스텝 (c)에서 취득된 상기 DI-EBAC상으로부터, 상기 불량 개소의 방향을 특정하는 스텝
을 갖는, 시료 검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c)는,
(c1) 상기 스텝 (b)에서 계측된 상기 전위차의 변화의 미분값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스텝,
(c2) 상기 히스토그램 중 상기 전위차의 변화의 미분값이 가장 작은 개소를 베이스 라인으로 하고, 상기 베이스 라인에 대해 상기 전위차의 변화의 미분값이 충분히 큰 개소를, 상기 불량 개소로서 특정하는 스텝,
(c3) 상기 스텝 (c2)에서 특정된 상기 불량 개소가 상기 명부 및 상기 암부로서 나타난 상기 DI-EBAC상을 취득하는 스텝
을 갖는, 시료 검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d)에서는, 상기 명부와 상기 암부의 경계에 대해 수직인 방향이, 상기 불량 개소의 방향으로서 특정되는, 시료 검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탐침 및 상기 제2 탐침은, 차동 증폭기를 통해 상기 제1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탐침과 상기 제2 탐침 사이에는, 상기 제1 탐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가변 저항 소자와, 상기 제1 가변 저항 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정전압 전원과, 상기 제1 정전압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정전압 전원과, 상기 제2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제2 탐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가변 저항 소자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가변 저항 소자와 상기 차동 증폭기 사이에는, 제1 콘덴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변 저항 소자와 상기 차동 증폭기 사이에는, 제2 콘덴서가 설치되고,
상기 스텝 (a)에서는, 상기 불량 개소에는, 상기 제1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제2 정전압 전원으로부터 항상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시료 검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수단은,
(e) 상기 스텝 (a)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빔의 주사와 동기시키면서, 상기 검출기에서 상기 시료로부터 발생하는 이차 전자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가 촬상된 SEM상을 취득하는 스텝,
(f) 상기 SEM상과, 상기 DI-EBAC상을 중첩시킨 제1 합성상을 취득함으로써, 상기 불량 개소의 위치를 특정하는 스텝
을 더 갖는, 시료 검사 장치. - 제5항에 기재된 시료 검사 장치와, 박편 시료 제작 장치를 포함하는 검사 시스템으로서,
상기 박편 시료 제작 장치는,
이온빔을 조사 가능한 이온원과,
상기 시료를 설치 가능한 제2 스테이지와,
상기 이온원 및 상기 제2 스테이지의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제1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컨트롤러와,
상기 시료가 상기 제2 스테이지 상에 설치되었을 때 실행되는 제작 수단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작 수단은,
(g) 상기 스텝 (f)에서 취득된 상기 제1 합성상과, 상기 스텝 (d)에서 특정된 상기 불량 개소의 방향의 정보를, 상기 제1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2 컨트롤러에 도입하는 스텝,
(h) 상기 스텝 (g) 후, 상기 제1 합성상에 상기 불량 개소의 방향을 나타내는 스텝,
(i) 상기 스텝 (h) 후, 상기 불량 개소의 방향을 참조해서, 상기 시료의 절단 방향을 결정하는 스텝,
(j) 상기 스텝 (i) 후, 상기 절단 방향에 의거하여, 상기 이온빔을 상기 시료에 대해 조사하여, 상기 시료의 일부를 가공함으로써, 상기 불량 개소의 단면(斷面)이 포함된 박편 시료를 제작하는 스텝
을 갖는, 검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수단은,
(e) 상기 시료의 설계 데이터이고, 또한, 상기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가 나타난 CAD상을, 상기 제1 컨트롤러에 도입하는 스텝,
(f) 상기 CAD상과, 상기 DI-EBAC상을 중첩시킨 제2 합성상을 취득함으로써, 상기 불량 개소의 위치를 특정하는 스텝
을 더 갖는, 시료 검사 장치. - 제7항에 기재된 시료 검사 장치와, 박편 시료 제작 장치를 포함하는 검사 시스템으로서,
상기 박편 시료 제작 장치는,
이온빔을 조사 가능한 이온원과,
상기 시료를 설치 가능한 제2 스테이지와,
상기 이온원 및 상기 제2 스테이지의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제1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컨트롤러와,
상기 시료가 상기 제2 스테이지 상에 설치되었을 때 실행되는 제작 수단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작 수단은,
(g) 상기 스텝 (f)에서 취득된 상기 제2 합성상과, 상기 스텝 (d)에서 특정된 상기 불량 개소의 방향의 정보를, 상기 제1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2 컨트롤러에 도입하는 스텝,
(h) 상기 스텝 (g) 후, 상기 제2 합성상에 상기 불량 개소의 방향을 나타내는 스텝,
(i) 상기 스텝 (h) 후, 상기 불량 개소의 방향을 참조해서, 상기 시료의 절단 방향을 결정하는 스텝,
(j) 상기 스텝 (i) 후, 상기 절단 방향에 의거하여, 상기 이온빔을 상기 시료에 대해 조사하여, 상기 시료의 일부를 가공함으로써, 상기 불량 개소의 단면이 포함된 박편 시료를 제작하는 스텝
을 갖는, 검사 시스템. - 이온빔을 조사 가능한 이온원과,
그 표면에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가 형성된 시료를 설치 가능한 제2 스테이지와,
상기 이온원 및 상기 제2 스테이지의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컨트롤러와,
상기 시료가 상기 제2 스테이지 상에 설치되었을 때 실행되는 제작 수단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작 수단은,
(a) 상기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가 촬상된 SEM상, 또는, 상기 시료의 설계 데이터이고, 또한, 상기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가 나타난 CAD상과,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 사이에 존재하는 불량 개소가 명부 및 암부로서 나타난 DI-EBAC상을 중첩시킨 합성상으로서, 상기 불량 개소의 방향이 나타나 있는 상기 합성상을 준비하는 스텝,
(b) 상기 스텝 (a) 후, 상기 합성상에 나타나 있는 상기 불량 개소의 방향을 참조해서, 상기 시료의 절단 방향을 결정하는 스텝,
(c) 상기 스텝 (b) 후, 상기 절단 방향에 의거하여, 상기 이온빔을 상기 시료에 대해 조사하여, 상기 시료의 일부를 가공함으로써, 상기 불량 개소의 단면이 포함된 박편 시료를 제작하는 스텝
을 갖는, 박편 시료 제작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상은, 시료 검사 장치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이고,
상기 시료 검사 장치는,
전자빔을 조사 가능한 전자원과,
상기 전자빔의 집속 및 주사가 가능한 전자 광학계와,
상기 시료를 설치 가능한 제1 스테이지와,
상기 전자빔이 상기 시료에 조사되었을 때, 상기 시료로부터 발생하는 이차 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와,
제1 탐침과,
제2 탐침과,
상기 전자원, 상기 전자 광학계, 상기 제1 스테이지, 상기 검출기, 상기 제1 탐침 및 상기 제2 탐침의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컨트롤러
를 구비하고 있는, 박편 시료 제작 장치. - 시료 검사 장치 및 박편 시료 제작 장치를 사용해서 행해지는 시료의 검사 방법으로서,
상기 시료 검사 장치는,
전자빔을 조사 가능한 전자원과,
상기 전자빔의 집속 및 주사가 가능한 전자 광학계와,
그 표면에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가 형성된 시료를 설치 가능한 제1 스테이지와,
상기 전자빔이 상기 시료에 조사되었을 때, 상기 시료로부터 발생하는 이차 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와,
제1 탐침과,
제2 탐침과,
상기 전자원, 상기 전자 광학계, 상기 제1 스테이지, 상기 검출기, 상기 제1 탐침 및 상기 제2 탐침의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컨트롤러
를 구비하고,
상기 박편 시료 제작 장치는,
이온빔을 조사 가능한 이온원과,
상기 시료를 설치 가능한 제2 스테이지와,
상기 이온원 및 상기 제2 스테이지의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제1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컨트롤러
를 구비하고,
(a) 상기 시료를 상기 제1 스테이지 상에 설치하는 스텝,
(b) 상기 스텝 (a) 후, 상기 제1 탐침을 상기 제1 도전체에 접촉시키고, 또한, 상기 제2 탐침을 상기 제2 도전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자빔을 상기 시료의 표면 상에서 주사하는 스텝,
(c) 상기 스텝 (b)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빔의 주사와 동기시키면서, 상기 제1 탐침과 상기 제2 탐침 사이의 전위차의 변화의 미분값을 계측하는 스텝,
(d) 상기 스텝 (c)에서 계측된 상기 전위차의 변화의 미분값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 사이에 존재하는 불량 개소가 명부 및 암부로서 나타난 DI-EBAC상을 취득하는 스텝,
(f) 상기 스텝 (d)에서 취득된 상기 DI-EBAC상으로부터, 상기 불량 개소의 방향을 특정하는 스텝,
(g) 상기 스텝 (a)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빔의 주사와 동기시키면서, 상기 검출기에서 상기 시료로부터 발생하는 이차 전자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가 촬상된 SEM상을 취득하는 스텝이거나, 상기 시료의 설계 데이터이고, 또한, 상기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가 나타난 CAD상을, 상기 제1 컨트롤러에 도입하는 스텝,
(h) 상기 스텝 (f) 및 상기 스텝 (g) 후, 상기 SEM상 또는 상기 CAD상과, 상기 DI-EBAC상을 중첩시킨 합성상을 취득함으로써, 상기 불량 개소의 위치를 특정하는 스텝,
(i) 상기 스텝 (h) 후, 상기 시료를 상기 시료 검사 장치로부터 박편 시료 제작 장치로 반송하고, 상기 시료를 상기 제2 스테이지 상에 설치하는 스텝,
(j) 상기 스텝 (h)에서 취득된 상기 합성상과, 상기 스텝 (f)에서 특정된 상기 불량 개소의 방향의 정보를, 상기 제1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2 컨트롤러에 도입하는 스텝,
(k) 상기 스텝 (j) 후, 상기 합성상에 상기 불량 개소의 방향을 나타내는 스텝,
(l) 상기 스텝 (k) 후, 상기 불량 개소의 방향을 참조해서, 상기 시료의 절단 방향을 결정하는 스텝,
(m) 상기 스텝 (l) 후, 상기 절단 방향에 의거하여, 상기 이온빔을 상기 시료에 대해 조사하여, 상기 시료의 일부를 가공함으로써, 상기 불량 개소의 단면이 포함된 박편 시료를 제작하는 스텝
을 갖는, 시료의 검사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d)는,
(d1) 상기 스텝 (c)에서 계측된 상기 전위차의 변화의 미분값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스텝,
(d2) 상기 히스토그램 중 상기 전위차의 변화의 미분값이 가장 작은 개소를 베이스 라인으로 하고, 상기 베이스 라인에 대해 상기 전위차의 변화의 미분값이 충분히 큰 개소를, 상기 불량 개소로서 특정하는 스텝,
(d3) 상기 스텝 (d2)에서 특정된 상기 불량 개소가 상기 명부 및 상기 암부로서 나타난 상기 DI-EBAC상을 취득하는 스텝
을 갖는, 시료의 검사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e)에서는, 상기 명부와 상기 암부의 경계에 대해 수직인 방향이, 상기 불량 개소의 방향으로서 특정되는, 시료의 검사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탐침 및 상기 제2 탐침은, 차동 증폭기를 통해 상기 제1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탐침과 상기 제2 탐침 사이에는, 상기 제1 탐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가변 저항 소자와, 상기 제1 가변 저항 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정전압 전원과, 상기 제1 정전압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정전압 전원과, 상기 제2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제2 탐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가변 저항 소자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가변 저항 소자와 상기 차동 증폭기 사이에는, 제1 콘덴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가변 저항 소자와 상기 차동 증폭기 사이에는, 제2 콘덴서가 설치되고,
상기 스텝 (b)에서는, 상기 불량 개소에는, 상기 제1 정전압 전원 및 상기 제2 정전압 전원으로부터 항상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시료의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21/015247 WO2022219695A1 (ja) | 2021-04-13 | 2021-04-13 | 試料検査装置、検査システム、薄片試料作製装置および試料の検査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4949A true KR20230154949A (ko) | 2023-11-09 |
KR102823844B1 KR102823844B1 (ko) | 2025-06-24 |
Family
ID=8363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34028A Active KR102823844B1 (ko) | 2021-04-13 | 2021-04-13 | 시료 검사 장치, 검사 시스템, 박편 시료 제작 장치 및 시료의 검사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128047A1 (ko) |
JP (1) | JP7538339B2 (ko) |
KR (1) | KR102823844B1 (ko) |
CN (1) | CN117242355A (ko) |
TW (1) | TWI824474B (ko) |
WO (1) | WO2022219695A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66702A (ja) * | 2006-12-06 | 2008-07-17 | Jeol Ltd | 荷電粒子ビーム装置 |
JP2008203075A (ja) | 2007-02-20 | 2008-09-04 | Jeol Ltd | 荷電粒子ビーム装置の吸収電流検出装置 |
WO2010089959A1 (ja) * | 2009-02-06 | 2010-08-12 | 株式会社 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吸収電流像を利用した半導体検査方法及び装置 |
WO2017038293A1 (ja) | 2015-09-02 | 2017-03-09 | 株式会社 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回路検査方法および試料検査装置 |
KR20180130049A (ko) * | 2017-05-26 | 2018-12-06 | (주)코셈 | 시료 가공 장치 통합 주사전자현미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입체 이미지 획득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50212B2 (ja) | 1999-03-15 | 2003-09-22 |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非破壊検査用半導体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非破壊検査方法および非破壊検査装置 |
US6734687B1 (en) * | 2000-02-25 | 2004-05-11 | Hitachi, Ltd. | Apparatus for detecting defect in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defect |
JP3955450B2 (ja) | 2001-09-27 | 2007-08-08 |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 試料検査方法 |
JP2005114578A (ja) | 2003-10-08 | 2005-04-28 | Jeol Ltd | 試料作製方法および試料作製装置ならびに試料観察装置 |
JP4733959B2 (ja) * | 2003-12-24 | 2011-07-27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プローブ接触方法及び荷電粒子線装置 |
JP2006105960A (ja) * | 2004-09-13 | 2006-04-20 | Jeol Ltd | 試料検査方法及び試料検査装置 |
KR102352023B1 (ko) * | 2014-06-25 | 2022-01-14 | 디씨지 시스템스 인코포레이티드 | 반도체 웨이퍼 상에서 인-라인 나노프로빙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반도체에서 디바이스들의 전기적 테스팅을 수행하는 방법 |
TW201704766A (zh) * | 2015-03-19 | 2017-02-01 | 帝喜科技股份有限公司 | 加熱粒子束以識別缺陷 |
CN112313782B (zh) | 2018-06-28 | 2023-10-13 | 株式会社日立高新技术 | 半导体检查装置 |
JP7271358B2 (ja) | 2019-07-25 | 2023-05-11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 | 電気特性を導出するシステム及び非一時的コンピューター可読媒体 |
-
2021
- 2021-04-13 KR KR1020237034028A patent/KR102823844B1/ko active Active
- 2021-04-13 CN CN202180097029.4A patent/CN117242355A/zh active Pending
- 2021-04-13 WO PCT/JP2021/015247 patent/WO202221969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04-13 US US18/286,607 patent/US20240128047A1/en active Pending
- 2021-04-13 JP JP2023514206A patent/JP7538339B2/ja active Active
-
2022
- 2022-04-11 TW TW111113622A patent/TWI824474B/zh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66702A (ja) * | 2006-12-06 | 2008-07-17 | Jeol Ltd | 荷電粒子ビーム装置 |
JP2008203075A (ja) | 2007-02-20 | 2008-09-04 | Jeol Ltd | 荷電粒子ビーム装置の吸収電流検出装置 |
WO2010089959A1 (ja) * | 2009-02-06 | 2010-08-12 | 株式会社 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吸収電流像を利用した半導体検査方法及び装置 |
WO2017038293A1 (ja) | 2015-09-02 | 2017-03-09 | 株式会社 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回路検査方法および試料検査装置 |
KR20180036739A (ko) * | 2015-09-02 | 2018-04-09 |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하이테크놀로지즈 | 회로 검사 방법 및 시료 검사 장치 |
KR20180130049A (ko) * | 2017-05-26 | 2018-12-06 | (주)코셈 | 시료 가공 장치 통합 주사전자현미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입체 이미지 획득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2307902A (zh) | 2023-02-16 |
KR102823844B1 (ko) | 2025-06-24 |
CN117242355A (zh) | 2023-12-15 |
JPWO2022219695A1 (ko) | 2022-10-20 |
WO2022219695A1 (ja) | 2022-10-20 |
JP7538339B2 (ja) | 2024-08-21 |
US20240128047A1 (en) | 2024-04-18 |
TWI824474B (zh) | 2023-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22551B2 (ja) | 欠陥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 |
JP5202071B2 (ja) | 荷電粒子顕微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処理方法 | |
WO2011083540A1 (ja) | Semを用いた欠陥検査方法及び装置 | |
US20060012385A1 (en) | Integration of photon emission microscope and focused ion beam | |
US11719746B2 (en) | Semiconductor inspection device | |
JP5622398B2 (ja) | Semを用いた欠陥検査方法及び装置 | |
US9805910B1 (en) | Automated SEM nanoprobe tool | |
JP2008251766A (ja) | 半導体デバイスの欠陥観察方法及びその装置 | |
CN107923939B (zh) | 电路检查方法以及样品检查装置 | |
JP2005259396A (ja) | 欠陥画像収集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US20110291009A1 (en) | Semiconductor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that consider the effects of electron beams | |
JP2005134196A (ja) | 非破壊解析方法及び非破壊解析装置 | |
JP2010103320A (ja) | 半導体検査装置 | |
KR102823844B1 (ko) | 시료 검사 장치, 검사 시스템, 박편 시료 제작 장치 및 시료의 검사 방법 | |
JP6033325B2 (ja) | 半導体検査装置、及び荷電粒子線を用いた検査方法 | |
JP5296751B2 (ja) | 試料検査装置及び吸収電流像の作成方法 | |
TWI780880B (zh) | 檢查方法 | |
JP2005061998A (ja) | 表面電位測定方法及び試料観察方法 | |
JP5386519B2 (ja) | 半導体検査装置、及び荷電粒子線の画像、或いは光学条件の選択装置 | |
JP2000162143A (ja) | 回路パターン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 |
JP5163731B2 (ja) | 欠陥候補の画像表示方法 | |
TWI862021B (zh) | 檢查方法及帶電粒子線裝置 | |
JP2006337203A (ja) | 位置出し方法と装置 | |
JP2010123934A (ja) | 半導体検査装置のデータ処理方法とデータ表示方法と半導体検査装置 | |
JP2012079939A (ja) | 解析装置、解析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0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