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36852A -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 - Google Patents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6852A
KR20230136852A KR1020220034383A KR20220034383A KR20230136852A KR 20230136852 A KR20230136852 A KR 20230136852A KR 1020220034383 A KR1020220034383 A KR 1020220034383A KR 20220034383 A KR20220034383 A KR 20220034383A KR 20230136852 A KR20230136852 A KR 20230136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straw
holder
disposable
disposable hybr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철
최제우
Original Assignee
최명철
최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철, 최제우 filed Critical 최명철
Priority to KR102022003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6852A/ko
Publication of KR20230136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85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1Drinking straws or the like combined with cutlery or other eat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47G21/023Forks; Forks with e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6Details of bendable stra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크의 포크 날과 관통 빨대는 홀더 및 주름 부를 통해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어 금형에서 일체형으로 동시에 성형할 수 있으며, 컵라면 또는 국물 면류를 젓가락 사용에 서투른 어린이, 젊은이 그리고 글로벌 시대의 해외 각 외국인들 누구나 쉽게 취향에 따라 포크 날로 돌돌 말거나 찍어서 먹을 수 있는 포크 날과 국물에는 밑에 양념 찌꺼기가 있고 위에는 기름띠가 있어 성향에 따라 각각 분리하여 건강하고 편안하게 빨아 마실 수 있는 관통 빨대를 가지며, 빨대의 편리한 기능을 위해 빨대의 편리한 사용을 더 하고자 홀더(포크 손잡이) 중간 상단부에 주름 부를 주어 방향성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완성품 포장에서도 부피를 줄여 휴대가 용이할 수 있도록 금형에서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는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에 관한다.

Description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Disposable Hybrid Fork}
본 발명은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라면 또는 국물 면류를 누구나 쉽게 취향에 따라 포크 날로 돌돌 말거나 찍어서 먹을 수 있고, 국물에는 밑에 양념 찌꺼기가 있고 위에는 기름띠가 있어 성향에 따라 각각 분리하여 건강하고 편안하게 빨아 마실 수 있는 빨대를 동시에 가지며, 빨대의 편리한 사용을 더 하고자 홀더(포크 손잡이) 중간 상단부에 주름 부를 형성하여 방향성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라면 또는 국물 면류를 먹게 되면 주로 젓가락을 사용하여 면류를 먹고, 국물은 그릇 용기를 직접 접촉하여 마시는 것이 일상화되어 왔다.
이때 면류 먹기 위해 젓가락 사용에 서투른 어린이, 젊은이 그리고 글로벌 시대의 해외 각 외국인들은 매우 불편함을 하소연하였고, 컵라면 용기는 스틸렌 수지 제작하여 에틸렌 수지로 코팅된 종이 덮개를 가열 압착하여 생산되는 컵라면의 종이 뚜껑이 탈거된 부분에 입으로 접촉하여 국물을 마시는 것은 환경호르몬 섭취에 따른 위생 및 건강상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국물에는 밑에 양념 찌꺼기가 있고 위에는 기름띠가 이루어져 국물 섭취에 쉽지 않음을 경험하여 왔다.
이에 따라 컵라면 구입 시 나무젓가락 또는 플라스틱 소형 포크 내장 또는 별도로 포함하여 지급하고 있으나 실제 사용하기에는 나무젓가락에 대한 위생관련 의구심과 플라스틱 소형 포크 사용에 불편함으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젓가락과 스푼 기능을 병행할 수 있는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를 금형에서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이 내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은 컵라면이나 국물 면류에서 면류를 돌돌 말거나 찍어서 먹을 수 있는 포크 날과 국물에는 밑에 양념 찌꺼기가 있고 위에는 기름띠가 있어 성향에 따라 각각 분리하여 건강하고 편안하게 빨아 마실 수 있는 관통 빨대, 빨대의 편리한 기능을 위해 빨대의 편리한 사용을 더 하고자 홀더(포크 손잡이) 중간 상단부에 주름 부를 주어 방향성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완성품 포장에서도 부피를 줄여 휴대가 용이할 수 있도록 금형에서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는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크(10)의 다수 개의 포크 날(20)이 구비되고, 홀더(30)는 빨대 기능이 가능한 내부 관통형이고, 홀더(30) 중간 상단부에는 방향성 구분 없이 자유롭게 꺽을 수 있는 주름부(40)를 주고, 국물을 건강하고 편안하게 빨아 마실 수 있는 관통 빨대(50)를 갖는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컵라면 또는 국물 면류를 섭취 시 1회용 나무젓가락의 위생관련 의구심 및 젓가락 사용에 서투른 어린이, 젊은이 그리고 글로벌 시대의 해외 각 외국인들에게 포크 날과 홀더(포크 손잡이)를 이용하여 면류는 돌돌 말거나 짝지어서 편리하게 먹을 수 있고, 국물에는 밑에 양념 찌꺼기가 있고 위에는 기름띠가 있어 성향에 따라 각각 분리하여 건강하고 편안하게 빨아 마실 수 있으며, 또한 컵라면 용기는 스틸렌 수지 제작하여 에틸렌 수지로 코팅된 종이 덮개를 가열 압착하여 생산되는 컵라면의 종이 뚜껑이 탈거된 부분에 입으로 접촉하여 국물을 마시는 것은 환경호르몬 섭취에 따른 위생 및 건강상 좋지 않음으로 홀더(포크 손잡이) 상단의 관통 빨대를 활용하여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마실 수 있다.
그리고 빨대의 편리한 기능을 위해 빨대의 편리한 사용을 더 하고자 홀더(포크 손잡이) 중간 상단부에 주름 부를 주어 방향성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완성품 포장에서도 부피를 줄여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가 컵라면 용기에 포장 내장 상태 정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의 우측 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가 컵라면 용기에 포장 내장 상태 정면도이다.
도 1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는 포크 날(20), 홀더(30), 주름부(40), 관통 빨대(50)로 이루어저 있고, 포크 날(20)과 관통 빨대(50)는 홀더(30) 및 주름부(50)를 통해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어, 단품으로 별도 상품 포장이 용이하다.
상기 홀더(30)는 컵라면 및 국물 면류를 포크 날(20)로 찍고 돌돌 말거나 회전할 때 용이하고, 또한 홀더(30)의 길이 충분하여 손으로 잡을 때 안정된 그립감이 확보된다.
상기 관통 빨대(50)는 컵라면 및 용기 내의 국물을 마실 때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마실 수 있도록 홀더(30)를 관통하여 기존에 빨대 사용과 같이 흡입 섭취할 수 있고, 홀더(30) 중간 상단부에 주름부(40)를 주어 방향성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에서 홀더(30) 내부에는 관통 홀이 뚫려있어 빨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외부는 원형 및 사각으로 둥글게 하여 포크 날(20)로 면류를 찍고 돌돌 말거나 회전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가 컵라면 용기에 포장 내장 상태로서 주름부(50)가 꺾여 관통 빨대(50)가 용기 측면에 밀착되어 상품 포장 시 부피 및 공간을 줄일 수 있다.
10 : 포크 20 : 포크 날
30 : 홀더(포크 손잡이) 40 : 주름부
50 : 관통 빨대 60 : 컵라면 용기

Claims (4)

  1. 일회용 포크에 있어서 포크 날, 홀더(포크 손잡이), 주름부, 관통 빨대가 일체형으로 금형에서 동시에 사출 성형으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에 관한 것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는 포크 홀더(포크 손잡이)의 내부는 관통 빨대로 국물이 이동할 수 있는 관통형이고, 외부는 포크 사용자가 편리성을 위해 사각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에 관한 것이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는 관통 빨대를 방향에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홀더(포크 손잡이) 중간 상단부에 주름 부가 이루어지는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에 관한 것이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는 사용자가 용도에 따라 크기를 조절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에 관한 것이다.
KR1020220034383A 2022-03-20 2022-03-20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 Ceased KR20230136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383A KR20230136852A (ko) 2022-03-20 2022-03-20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383A KR20230136852A (ko) 2022-03-20 2022-03-20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852A true KR20230136852A (ko) 2023-09-27

Family

ID=8818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383A Ceased KR20230136852A (ko) 2022-03-20 2022-03-20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68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395B1 (ko) 컵라면용 이중용기
JP3143055U (ja) 携帯用のカトラリーセットおよびその容器
KR20230136852A (ko)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
KR20230001883U (ko) 일회용 하이브리드 포크
KR20190109697A (ko) 가루 받침대가 있는 밀어먹는 떡 통
KR20140060838A (ko) 소스 수용부 형성을 위한 절취면을 구비한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CN201135382Y (zh) 一种盖带勺的调味瓶
KR20160064708A (ko) 젓가락 포장 용지
KR200298724Y1 (ko) 누룽지 스낵
CN201480401U (zh) 一种带餐具的旅行杯
CN217199663U (zh) 环保零食盒
CN209661188U (zh) 折叠收纳式儿童组合器皿
CN201073179Y (zh) 一种米饭盛放结构
KR930007468Y1 (ko) 1회용 도시락 용기
CN201492191U (zh) 防洒防烫杯
CN101926544A (zh) 一种带餐具的旅行杯
CN202054277U (zh) 具有容置袋的杯盖
CN208371148U (zh) 儿童便携餐盒
KR100598483B1 (ko) 포크가 구비된 일회용 용기
CN203173182U (zh) 一种带有隔板的方便面碗
JP3079880U (ja) 調味料入り箸
JP2891658B2 (ja) 即席食品用容器と同容器を用いた容器入り即席食品
JPS592677Y2 (ja) 飲・食品容器
CN2544637Y (zh) 一次性卫生筷子套
TWM644093U (zh) 具有可拆式湯匙的蓋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11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