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614A - 바닥재용 언더레이 요소 및 플로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바닥재용 언더레이 요소 및 플로어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24614A KR20230124614A KR1020237023323A KR20237023323A KR20230124614A KR 20230124614 A KR20230124614 A KR 20230124614A KR 1020237023323 A KR1020237023323 A KR 1020237023323A KR 20237023323 A KR20237023323 A KR 20237023323A KR 20230124614 A KR20230124614 A KR 202301246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derlay element
- underlay
- limiting member
- base matrix
- element accor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for securing layers together; for attaching the product to another member, e.g. to a support, or to another product, e.g. groove/tongue, interlo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6—Vegetal particles
- B32B2264/062—Cellulose particles, e.g. cotton
- B32B2264/067—Wood p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30—Particles characterised by physical dimension
- B32B2264/303—Average diameter greater than 1µ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28—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64—Polyes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6—Open cell fo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8—Closed cell fo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플로어 커버링(10)과 서브플로어(12) 사이에 제공되도록 구성된 언더레이 요소(1)가 개시된다. 언더레이 요소는 베이스 매트릭스(2) 및 베이스 매트릭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복수의 제한 부재(3)를 포함한다. 베이스 매트릭스는 압축성이고, 바람직하게는 포말화되는 제1 물질을 포함한다. 제한 부재는 제2 물질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한 부재의 크기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0.25 mm를 초과한다. 언더레이 요소의 압축은 제한 부재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플로어 커버링 및 언더레이 요소를 포함하는 상응하는 플로어 조립체(20)가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바닥재(flooring)를 위한 언더레이 요소(underlay element)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플로어 커버링(floor covering)과 서브플로어(subfloor) 사이에 제공되도록 구성된 언더레이 요소에 관한 것이다. 언더레이 요소는 서브플로어 상에 느슨하게 제공될 수 있고, 플로어 커버링은 언더레이 요소 상에 부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언더레이 요소는 플로어 커버링 및/또는 서브플로어에 부착될 수 있다. 언더레이 요소는 열가소성-기반 플로어 커버링 또는 얇은 라미네이트 플로어 커버링과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다른 플로어 커버링도 동등하게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플로어 커버링 및 언더레이 요소를 포함하는 플로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포말과 같은 언더레이먼트는 플로어 배치물(floor arrangement)을 서브플로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언더레이먼트는 서브플로어의 불균일성을 보상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로어 타일과 같은 플로어 배치물의 구성요소를 손상시킬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언더레이먼트는 플로어 배치물의 특징, 예를 들어, 이의 편안함 및/또는 소리 특성, 예를 들어, 반사성 보행 소리 및/또는 충격 소리를 개선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언더레이먼트는 수분 장벽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언더레이먼트 상에 제공된 일부 유형의 플로어 타일은 특히, 높은 국부력이 발생할 수 있는 캐스터 체어 시험(Castor chair test)과 같이 장기간 동안 하중 또는 응력을 받을 때 더욱 변형되거나 심지어 손상되기 쉽다. 특히, 플로어 타일에 제공된 기계적 잠금 시스템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문제는 특히 얇은 플로어 타일 및/또는 낮은 탄성 계수를 갖는 플로어 타일에 대해 발생할 수 있다. 예로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플로어 및 얇은 라미네이트 플로어를 포함한다. 하중 또는 응력 동안 플로어 타일의 특정 부분의 변위는 너무 커질 수 있다. 실제로, 2 mm의 두께를 갖는 포말은 플로어 타일을 2 mm까지 변위시킬 수 있다.
또한, 언더레이먼트는 전형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압축되어, 이에 의해 원래 기능의 일부를 잃을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언더레이먼트의 적어도 일부 양태를 개선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언더레이먼트는 예를 들어, 더 강성화되거나 더 높은 밀도를 가짐으로써 더 강하게 만들어질 수 있거나, 더 얇게 만들어질 수 있다. 더 얇은 언더레이먼트의 압축성은 적어도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언더레이먼트의 이러한 임의의 변형은 상기 언급된 이점 중 하나 또는 여러 개를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언더레이먼트는 너무 비싸고/거나 너무 무거워질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언더레이먼트의 편안함 또는 단열 특성은 때때로 불만족스러울 수 있다. 또한, 이의 단열 특성은 일부 응용 분야에서 불충분할 수 있다. 발생할 수 있는 다른 문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들의 탄성 및/또는 형상을 잃을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논의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된 이점 중 적어도 일부를 보존하면서 상기 언급된 문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는 개선된 밑언더레이먼트에 대한 필요가 있음이 명백하다.
개요
따라서, 본 개시의 적어도 구체예의 목적은 압축 정도가 더 제어되는 플로어 커버링용 언더레이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적어도 구체예의 또 다른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연장된 시간 동안 압축이 제한되는 언더레이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한된 압축은 지속적인 정적 부하로부터의 압력(예를 들어, 플로어 덮개 자체 및/또는 가구로부터의 압력) 및/또는 동적 압력 변동(예를 들어, 플로어 커버링 위를 걷는 사람으로부터의 압력)을 포함할 수 있는, 매일 사용함으로써 유도된 장기간 동안의 플로어 커버링으로부터의 압력으로 처리된 후에도 심지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본 개시의 구체예의 목적은 사용 동안 언더레이 요소에 제공된 플로어 커버링의 적어도 일부의 열화, 특히 플로어 커버링에 제공된 플로어 패널의 에지에 제공된 잠금 장치의 열화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언더레이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플로어 패널의 커핑 또는 컬링 효과(바람직하게는, 폭 및/또는 길이, 표면 평탄도)가 감소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구체예의 또 다른 목적은 공지된 언더레이먼트의 전형적인 특징, 예컨대 서브플로어의 불균일성을 보정하는 능력, 쿠션 효과, 방음 특성, 비용 효율성 또는 단열 특성 중 적어도 일부를 유지하거나 심지어 개선하는 언더레이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적어도 본 개시의 구체예의 추가적인 목적은 상기 목적 중 임의의 것에 따른 플로어 커버링 및 언더레이 요소를 포함하는 플로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이러한 및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 기재된 다양한 양태, 구체예 및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었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플로어 커버링과 서브플로어 사이에 제공되도록 구성된 언더레이 요소가 제공된다. 언더레이 요소는 베이스 매트릭스 및 베이스 매트릭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복수의 제한 부재를 포함한다. 베이스 매트릭스는 제1 물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물질은 압축성이며, 제1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포말화된다. 제한 부재는 제2 물질을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제한 부재의 크기는 언더레이 요소의 두께 방향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0.25 mm를 초과한다. 전체 언더레이 요소와 같은 언더레이 요소의 적어도 일부의 압축은 제한 부재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언더레이 요소는 시간 경과에 따라 이의 두께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물질은 압축의 특정 완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언더레이 요소의 압축은 예를 들어, 주어진 순간에 또는 장기간에 걸쳐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언더레이 요소 상에 제공된 플로어 커버링과 함께 사용하는 동안, 언더레이 요소는 잠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는 플로어 커버링에 제공된 플로어 패널의 에지에서와 같이, 언더레이 요소에 제공된 플로어 커버링의 적어도 일부의 변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로어 커버링의 적어도 일부의 열화가 감소될 수 있다.
제2 물질은 언더레이 요소를 보강할 수 있다. 게다가, 이는 언더레이 요소의 압축률 및/또는 압축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언더레이 요소는 예를 들어, 서브플로어의 불균일성을 보상하고/거나 완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특정 정도로 탄력적이다. 선택적으로, 제2 물질은 또한 개선된 단열 및/또는 수분 장벽을 제공할 수 있다.
저비용 베이스 매트릭스 및/또는 저비용 제한 부재를 가짐으로써, 공지된 언더레이먼트의 전형적인 특성(상기 논의 참조)의 적어도 일부를 유지하거나 심지어 개선시키면서 비용 효과적인 언더레이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압축되지 않은 두께는 언더레이 요소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최대 두께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압축은 1.90 MPa의 가해진 압력에서 0.60 mm를 초과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0.30 mm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는 압축에 대한 절대 한계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에 있어서, 그 위에 제공된 플로어 커버링의 적어도 일부의 열화는 특히, 비제한적으로 1.0-3.0 mm의 언더레이 요소의 두께에 대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플로어 커버링에 제공된 플로어 패널의 에지에 제공된 잠금 장치에 특히 해당된다. 또한, 이는 본원에 개시된 열가소성 플로어 커버링 및 얇은 라미네이트 플로어 커버링에 특히 해당된다.
전체 언더레이 요소와 같은 언더레이 요소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압축은 언더레이 요소의 압축되지 않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두께의 50%를 초과하지 않음으로써, 예컨대, 30%를 초과하지 않음으로써 또는 20%를 초과하지 않음으로써 제한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압축에 대한 상대적 한계로 지칭될 수 있는 임의의 이러한 한계는 본원에 개시된 절대 압축에 대한 임의의 한계와 조합될 수 있음이 강조된다.
언더레이 요소 및/또는 베이스 매트릭스의 두께는 0.4-3.0 mm, 예컨대, 1.0-2.5 mm일 수 있다.
0.4-0.6 mm의 언더레이 요소의 두께에 있어서, 압축은 1.90 MPa의 가해진 압력에서 0.20 mm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언더레이 요소는 본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언더레이 요소,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매트릭스는 단일 시트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시트를 포함하는 시트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 부재는 시트 조립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및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시트(들)는 제한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언더레이 요소의 두께는 약간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물결 모양 또는 리브가 있는 것과 같이, 상단 표면 및/또는 하단 표면 상에 돌출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언더레이 요소는 가요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롤 상에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접힌 섹션으로 접힐 수 있다. 언더레이 요소는 예컨대, 칼 또는 가위에 의해 적절한 크기로 절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어진 서브플로어 상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치수를 추정할 수 있다.
언더레이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플로어 패널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는 플로어 커버링과 조합하여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한 부재의 크기는 언더레이 요소의 두께 방향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0.30 mm를 초과하거나, 0.40 mm를 초과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크기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 예를 들어, 상기 두께 방향으로 1.00 mm를 초과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제한 부재의 크기는 2개 또는 3개의 수직 방향으로 0.25 mm를 초과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제한 부재의 크기는 2개 또는 3개의 수직 방향으로 0.30 mm를 초과하거나, 0.40 mm를 초과하거나, 심지어 1.00 mm를 초과할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구체예에서, 이러한 방향 중 하나는 상기 두께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분명히, 한 방향에서의 제한 부재의 크기는 두께 방향에 따른 언더레이 요소의 두께에 의해 제한된다.
제한 부재는 대략 동일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구체예에서, 제한 부재는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한 부재(들), 예를 들어, 이의 외부 표면은 구, 원통, 직육면체, 불규칙한 표면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베이스 매트릭스 및/또는 언더레이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압출 및/또는 캘린더링되지만, 몰딩,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제2 물질은 재활용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언더레이 요소의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제한 부재는 입자 예컨대, 과립 또는 플레이크, 및/또는 스트립, 예컨대, 스트링, 코드 또는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립은 5 mm를 초과할 수 있는, 예를 들어, 10 mm 또는 심지어 20 mm를 초과할 수 있는 장방향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제한 부재는 베이스 매트릭스 전반에 걸쳐 본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이는 제한 부재가 대략 동일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가질 때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구체예에서, 제한 부재가 베이스 매트릭스 전반에 걸쳐 불규칙하게 분포되는 것이 동등하게 고려될 수 있다.
제2 물질의 밀도는 제1 물질의 밀도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 부재 및/또는 제2 물질은 고체일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구체예에서, 제2 물질의 밀도는 제1 물질의 밀도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 부재 및/또는 제2 물질은 중공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물질의 밀도는 700 kg/m3 미만 또는 600 kg/m3 미만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제1 물질의 밀도는 500 kg/m3 미만, 예를 들어, 20-350 kg/m3 또는 70-250 kg/m3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언더레이 요소의 중량 및/또는 재료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2 물질의 밀도는 200-2700 kg/m3, 바람직하게는 800-1200 kg/m3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거나 완전히 이로 구성되는 제2 물질의 밀도는400-2100 kg/m3, 바람직하게는 800-1500 kg/m3일 수 있다. 제2 물질은 본원의 다른 곳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물질의 탄성 계수, 또는 영 계수 E는 제1 물질의 탄성 계수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그리고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열가소성 물질은 가교된 열가소성 물질과 구별될 수 있다. 열가소성 물질은 열연화 플라스틱 물질일 수 있고, 가교된 열가소성 물질은 가교된 중합체 및 임의적으로, 열연화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교는 화학 반응에 의해 또는 조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1 물질은 열가소성 물질 또는 가교된 열가소성 물질과 같은 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물질은 개선된 반발 탄성을 갖는 더 부드럽고 더 가요성인 베이스 매트릭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교된 열가소성 물질은 더 강성일 수 있고, 증가된 유리 전이 온도 및/또는 내화학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매트릭스 또는 언더레이 요소는 전체로서 40% 내지 80%의 가교도를 갖는 가교된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일부 경우에 완전히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물질의 중합체 물질은, 예를 들어, 발포제에 의해 포말화된다. 예를 들어, 제1 물질은 폴리에틸렌(PE), 바람직하게는 조사 가교된 PE(IX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바람직하게는 압출된 PP(XPP) 또는 가교된 PP(IXPP), 폴리스티렌(PS), 바람직하게는 압출된 PS(XPS) 또는 팽창된 PS(EPS), 또는 폴리올레핀(PO), 바람직하게는 가교된 PO(XPO)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물질은 셀룰러 포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또는 공극 크기는 10 내지 1300 미크론의 범위일 수 있다. 셀룰러 포말은 보다 강성인 베이스 매트릭스를 제공할 수 있고 개선된 단열 및/또는 수분 장벽을 제공할 수 있는 폐쇄된-셀 포말일 수 있다. 그러나, 보다 가벼운 베이스 매트릭스를 제공할 수 있고 개선된 방음을 제공할 수 있는 개방-셀 포말이 동등하게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매트릭스에 필요한 물질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제1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제는 유기 충전제 및/또는 무기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충전제는 언더레이 요소의 굴곡 강도 및/또는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유기 충전제는 또한 언더레이 요소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경량 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충전제는 코르크 입자 및/또는 목재-기반 입자, 예컨대, 목질 섬유 또는 목분을 포함할 수 있다. 목재-기반 입자의 탑 컷, 예를 들어, 입자 크기 D98은 1000 μm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ASTM E11-17에 따라 1000 μm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자 크기는 0-250 μm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의 40%가 75 μm 초과일 수 있다. 목재-기반 입자의 벌크 밀도는 100-250 kg/m3일 수 있다. 코르크 입자는 8-20 MPa의 압축 계수 및/또는 55-320 kg/m3, 예컨대, 55-240 kg/m3의 벌크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물질은 코르크 입자를 최대 70 wt%의 정도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 충전제는 탄산칼슘(CaCO3), 바륨 설페이트, 규회석, 탈크, 모래 물질, 점토 물질, 예를 들어, 벤토나이트, 또는 유리 섬유와 같은 광물-기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및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특히, 제1 및/또는 제2 물질에서의, 바람직하게는 무기, 충전제에 대해,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2개 또는 3개의 수직 치수로 바람직하게는 평균 0.106 mm를 초과하지 않는, 예컨대, 0.10 mm를 초과하지 않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물질에서 유기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개의 수직 치수로 0.25 mm 미만의 바람직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원의 일부 구체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물질에서 무기 및/또는 유기 충전제의 입자 크기는 ASTM E11-17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구체예에서, 제1 물질은 코르크 및/또는 목재-기반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또한 제2 물질은 코르크 및/또는 목재-기반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다.
제2 물질은 압축성일 수 있다.
제2 물질의 압축 강도는 제1 물질의 압축 강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의해, 언더레이 요소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전체로서의 언더레이 요소의 압축 강도(CS)는 예를 들어, 단지 제1 물질만을 포함하는 베이스 매트릭스 자체와 비교하여 증가될 수 있다.
제1 물질의 압축 강도는 20-800 kPa, 예컨대, 60-250 kPa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5 mm 변형에서 압축 강도를 측정하는 표준 CEN/TS 16354:2013(SS-EN 826:2013 참조)이 사용된다.
제2 물질은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물질 또는 가교된 열가소성 물질과 같은 중합체 물질, 및/또는 탄산칼슘(CaCO3) 또는 모래 물질과 같은 광물-기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제는 유기 충전제 및/또는 무기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고, 기능성 충전제 및/또는 증량제일 수 있다. 무기 충전제는 탄산칼슘과 같은 광물-기반 물질 또는 모래 분말과 같은 모래 물질 또는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충전제는 유기 섬유, 예를 들어, 코르크 입자, 목재-기반 입자, 예를 들어, 목질 섬유 또는 목분, 또는 왕겨를 포함할 수 있다. 코르크 입자 및/또는 목재-기반 입자의 입자 크기, 압축 계수, 밀도 및 정도의 비제한적인 예는 상기 특정된 제1 물질에 대한 것과 동일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참조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충전제는 카올린과 같은 점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물질에서 충전제의 양은 5-20 wt% 또는 20-90 wt%, 예컨대, 40-80 wt%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제2 물질은 경화되거나 굳어진 접착제를 포함한다.
제2 물질 및/또는 제한 부재는 고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물질은 비-포말화된다. 그러나, 일부 구체예에서, 제2 물질 및/또는 제한 부재는 예를 들어, 언더레이 요소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중공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물질의 물질 조성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물질은 열가소성 물질과 같은 상이한 유형의 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제1 및 제2 물질의 물질 조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물질은 동일한 유형의 중합체 물질, 예컨대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중합체 물질은 등급, 밀도, 혼화성, 가교도, 충전제(들)의 양, 및 첨가제의 양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만큼 상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물질은 동일한 유형의 열가소성 물질을 기반으로 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물질은 열가소성 물질이고, 제2 물질은 가교된 열가소성 물질이다. 예를 들어, 제2 물질은 화학 반응에 의해 또는 제1 물질의 열가소성 물질의 선택된 부분을 조사함으로써 가교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제1 및 제2 물질은 각각 PE 및 IXPE, 또는 각각 PP 및 IXPP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제2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입자로서 포함된 코르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한 부재는 코르크 요소를 포함할 수 있거나 완전히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르크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본원의 다른 곳에 기재된 바와 같이 2개 또는 3개의 수직 방향으로 0.25-3.0 mm, 예를 들어, 0.25-0.40 mm일 수 있다.
제한 부재는 베이스 매트릭스에 완전히 매립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이들 모두와 같은 제한 부재의 적어도 일부의 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제한 부재는 베이스 매트릭스로부터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매트릭스는 공동을 포함할 수 있고, 제한 부재는 공동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예에서, 공동은 관통 구멍이며, 이에 의해 언더레이 요소를 완전히 관통한다. 제2 예에서, 공동은 언더레이 요소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는 블라인드 구멍이다.
제한 부재는 예컨대, 접착제에 의해 베이스 매트릭스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한 부재는 예를 들어, 공동에 제공될 때 압입에 의해 베이스 매트릭스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제2 물질은 제1 물질에 캡슐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물질은 언더레이 요소의 형성 동안 예컨대 압출에 의해 제1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또는 제2 물질은 중합체 물질, 예를 들어, 열가소성 물질 또는 열경화성 물질, 예를 들어, 고무 물질, PU,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에폭시의 수지, 규소의 수지, 멜라민 수지 또는 푸란 수지 및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를 포함한다. 제2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압출에 의한 것과 같이 언더레이 요소의 형성 하에 제2 물질이 임의의 실질적인 정도로 용융되지 않도록 제1 물질보다 더 높은 용융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1 물질 및 제2 물질이 동일한 온도로서, 바람직하게는 제1 물질의 유리 전이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제공되는 경우, 제2 물질은 제1 물질보다 더 높은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베이스 매트릭스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물질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부재, 예컨대, 비드 또는 구체 또는 직육면체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한 부재는 별도로 형성된다. 제1 물질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물질을 포함한다. 언더레이 요소는 베이스 부재 및 제한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호일과 같은 제1 및 제2 시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부재 및 제한 부재는 예컨대, 접착제에 의해 제1 및 제2 시트에 부착된다. 시트는 별도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 및 제한 부재를 적소에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예의 이점은 바람직하게는, 경량인 언더레이 요소의 제조가 단순화될 수 있고/있거나 더 저렴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통합된 수분 장벽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 따르면, 제한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단일 시트와 같은 시트 조립체로서 제공되는 베이스 매트릭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물질은 동일한,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물질, 예컨대, PP, PE 또는 PVC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물질은 열가소성 물질일 수 있고, 제2 물질은 가교된 열가소성 물질일 수 있다. 제2 물질은 제1 물질을 포함하는 시트를 압출한 직후에, 예를 들어, 화학 반응에 의해 또는 제1 물질의 선택적 조사에 의해 가교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서브플로어 상에 제공되도록 구성된 플로어 조립체가 제공된다. 플로어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는 플로어 커버링, 및 언더레이 요소를 포함한다. 언더레이 요소 및/또는 플로어 커버링은 제1 양태와 관련하여 기재된 임의의 구체예에서와 같이 구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원에 참조된다. 또한, 하기 구체예가 고려될 수 있다.
플로어 패널(들)은 잠금 장치에 의해 수직으로 및/또는 수평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예를 들어, 텅 및 그루브를 포함하는 수직 잠금 장치 및/또는 잠금 요소 및 잠금 그루브를 포함하는 수평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기계적 잠금 장치일 수 있다.
플로어 커버링은 제1 및 제2 플로어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언더레이 요소는 적어도 제1 및 제2 플로어 패널의 연결 에지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기계적) 잠금 장치가 제공되는 위치에서 연결 에지를 따라 플로어 커버링의 변위가 감소될 수 있다. 변위는 수직 방향으로 즉, 언더레이 요소 및/또는 플로어 커버링의 두께 방향을 따라 감소될 수 있다.
언더레이 요소는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플로어 커버링에 부착, 예를 들어, 사전-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언더레이 요소는 플로어 커버링의 후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일부 구체예에서, 플로어 커버링은 언더레이 요소 상에 느슨하게 제공되어 그 위에 부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구체예에서, 언더레이 요소는 플로어 커버링이 언더레이 요소에 반-부착될 수 있도록 마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 부재는 언더레이 요소에 대한 플로어 커버링의 슬라이딩에 대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는 주로 몇몇 구체예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개시된 것들 이외의 다른 구체예가 본 개시의 양태의 범위 내에서 동등하게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청구범위 및 하기 구체예 섹션의 항목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원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 분야에서 이들의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한다. "a/an/the [요소, 장치, 성분, 수단, 단계 등]"에 대한 모든 언급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상기 요소, 장치, 성분, 수단, 단계 등의 적어도 하나의 경우를 언급하는 것으로 공개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하나, 둘 또는 복수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 등에 대한 언급은 간단히 "요소(들)"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는 하기에서 예시적인 구체예와 관련하여 그리고 첨부된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1b는 플로어 커버링 및 언더레이 요소를 포함하는 플로어 조립체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사시도(도 1a) 및 측단면도(도 1b)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c-1g는 투시도(도 1c 및 1d), 평면도(도 1e) 및 측면도(도 1f)의 언더레이 요소의 예시적인 구체예 및 측면도(도 1g)의 언더레이 요소의 단면의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a-2f는 예를 들어, 도 1a의 단면 A-A 및/또는 B-B를 따른 측단면도로 언더레이 요소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3d는 예를 들어, 도 1b의 단면 C-C를 따른 평면도 또는 저면도 및/또는 단면 평면도의 언더레이 요소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a-4b는 제한 부재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c-4f는 예를 들어, 도 4c의 단면 A-A 및/또는 B-B를 따른 투시도(도 4c) 및 측단면도(도 4d-4f)로 언더레이 요소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g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측면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a-5e는 하부도(도 5d)에서 언더레이 요소 및 압력 장치의 압축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측면도 또는 측단면도(도 5a-5b 및 5e) 및 평면도(도 5c)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a-6d는 언더레이 요소의 샘플을 시험할 때 사용되지만, 본원의 임의의 구체예에서 고려될 수 있는 기계적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측단면도(도 6a-6c) 및 평면도(도 6d)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e는 커핑 효과를 시험할 때 사용되는 언더레이 요소의 샘플 상에 위치된 맞물린 플로어 패널의 예시적인 디스크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f는 언더레이 요소의 샘플의 시험으로부터 생성된 예시적인 압력-압축 그래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a-1b는 플로어 커버링 및 언더레이 요소를 포함하는 플로어 조립체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사시도(도 1a) 및 측단면도(도 1b)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c-1g는 투시도(도 1c 및 1d), 평면도(도 1e) 및 측면도(도 1f)의 언더레이 요소의 예시적인 구체예 및 측면도(도 1g)의 언더레이 요소의 단면의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a-2f는 예를 들어, 도 1a의 단면 A-A 및/또는 B-B를 따른 측단면도로 언더레이 요소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3d는 예를 들어, 도 1b의 단면 C-C를 따른 평면도 또는 저면도 및/또는 단면 평면도의 언더레이 요소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a-4b는 제한 부재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c-4f는 예를 들어, 도 4c의 단면 A-A 및/또는 B-B를 따른 투시도(도 4c) 및 측단면도(도 4d-4f)로 언더레이 요소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g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측면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a-5e는 하부도(도 5d)에서 언더레이 요소 및 압력 장치의 압축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측면도 또는 측단면도(도 5a-5b 및 5e) 및 평면도(도 5c)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a-6d는 언더레이 요소의 샘플을 시험할 때 사용되지만, 본원의 임의의 구체예에서 고려될 수 있는 기계적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측단면도(도 6a-6c) 및 평면도(도 6d)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e는 커핑 효과를 시험할 때 사용되는 언더레이 요소의 샘플 상에 위치된 맞물린 플로어 패널의 예시적인 디스크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f는 언더레이 요소의 샘플의 시험으로부터 생성된 예시적인 압력-압축 그래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세한 설명
다음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가 언더레이 요소(1)의 구체예, 플로어 커버링(10) 및 언더레이 요소(1)를 포함하는 플로어 조립체(20)의 구체예, 및 언더레이 요소의 압축의 구체예를 예시하는, 예를 들어, 도 1a-1g, 2a-2f, 3a-3d, 4a-4g, 5a-5e 및 6a-6d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언더레이 요소(1)는 바람직하게는, 실내 사용에 적합하고, 플로어 커버링(10)과 서브플로어(12) 사이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사용 동안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와 접촉한다. 언더레이 요소는 서브플로어 상에 느슨하게 제공될 수 있고, 플로어 커버링은 언더레이 요소 상에 부유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구체예에서, 이는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에 의해 플로어 커버링 및/또는 서브플로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로서, 언더레이 요소는 예를 들어, 2.0-8.0 mm, 바람직하게는 4.0-6.0 mm의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플로어 커버링, 또는 예를 들어, 6.0-8.0 mm의 두께를 갖는 얇은 라미네이트 플로어 커버링과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플로어 커버링 및 두께가 동일하게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플로어 커버링은 소위 럭셔리 비닐 타일(LVT 타일), 스톤 플라스틱(폴리머) 복합 패널(SPC 패널), 또는 방수 코어 패널(WPC 패널)로도 알려진 팽창형 폴리머 코어 패널(EPC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플로어 커버링은 폴리우레탄(PU)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0-8.0 mm, 바람직하게는 4.0-6.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a-1b 및 또한 하기 논의되는 도 6a-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상기 예에서와 같은 플로어 커버링은 플로어 패널(들), 예를 들어, 제1(11) 및 제2(11') 플로어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의 에지는 잠금 장치(13)에 의해 상호연결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예를 들어, 텅(13a) 및 그루브(13b)를 포함하는 수직 잠금 장치 및/또는 잠금 요소(13c) 및 잠금 그루브(13d)를 포함하는 수평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기계적 잠금 장치일 수 있다. 텅(13a)은 변위 그루브(13e)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분리된, 바람직하게는 가요성인 텅일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a-1b 참조). 대안적으로, 텅(13a)은 플로어 패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a-6d 참조). 언더레이 요소(1)는 적어도, 예를 들어, 장측(15) 및/또는 단측(16)일 수 있는 패널의 연결 에지(11a, 11a')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도 1c 및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레이 요소(1)는 가요성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롤 상에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그리고 또한 도 1e-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접힘부(1")를 따라 복수의 접힌 섹션(1')으로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언더레이 요소는 균일한 두께(T0)를 가지며, 단일 시트(6a) 또는 다중 시트(6a, 6b)와 같은 시트 조립체(6)로서 제공될 수 있다. 언더레이 요소의 바람직한 두께 T0는 0.4-3.0 mm, 예컨대 1.0-2.5 mm이다. 언더레이 요소는 사용시 주위 수직 방향 Z와 평행한 이의 두께 방향(TD)을 따라 압축 가능하다. 이의 가요성 및/또는 압축성에 의해, 언더레이 요소는 이의 형태 및/또는 형상을 서브플로어(12)에 맞출 수 있다.
도 1a-1g, 2a-2f, 3a-3d 및 5a-5e 중 어느 하나와 같은 본원의 임의의 구체예에서, 베이스 매트릭스(2)는 예컨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의, 바람직하게는 포말화된 시트(6a)를 포함하거나,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시트(6a) 및 제2 시트(6b)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6a)를 포함하는 시트 조립체(6)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1 시트(6a) 및/또는 제2 시트(6b)는 포말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시트(6a) 및 제2 시트(6b)는 서로 결합된다. 제한 부재(3)는 시트(6a, 6b)와 같은 시트 조립체(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될 수 있다.
언더레이 요소(1)는 베이스 매트릭스(2) 및 베이스 매트릭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복수의 제한 부재(3)를 포함한다. 도 2a-2f 및 3a-3d는 이러한 구체예를 측단면도 및 평면도로 도시한다. 베이스 매트릭스(2)는 제1 물질을 포함하고, 제한 부재(3)는 제2 물질을 포함한다. 언더레이 요소(1)의 적어도 일부의 압축은 제한 부재(3)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언더레이 요소(1)가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는 플로어 커버링(10) 아래에 제공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제한 부재(들)(3)가 플로어 패널(들)의 에지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이는 잠금 장치(13)를 포함할 수 있다(도 1a-1b 및 6a-6d 참조).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언더레이 요소(1)는 제한 부재(3)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사용 동안,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언더레이 요소를 향한 방향으로 플로어 커버링의 상부면에 압력 Q가 가해진다.
제1 물질은 압축성이며,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물질 또는 가교된 열가소성 물질과 같은 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물질은 PE, IXPE, EVA, PET, PP, XPP, PS, XPS, PS, EPS, PO 또는 XPO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시된 바와 같이, 제1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포말화되어, 폐쇄형 또는 개방형 셀 구조의 셀 또는 기공(4)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물질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700 kg/m3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 kg/m3 미만이다.
언더레이 요소(1)의 일부 또는 전체는 두께 방향(TD)을 따라 압축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두께 T0가 1.0-3.0 mm일 경우, 최대 압축 Zm과 같은 압축은 1.90 MPa의 가해진 압력 P에서 0.60 mm를 초과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0.30 mm를 초과하지 않는다. 도 5a-5b는 예를 들어, 도 1a에서 또는 도 2a-2f에서 유추에 의해 섹션 A-A 및/또는 B-B를 따른 언더레이 요소의 압축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도 5c는 도 5a-5b 중 어느 하나의 압축을 평면도로 도시한다. 압력 장치(30)는 바람직하게는 압력 장치의 사용 동안 두께 방향(TD)과 평행한 방향(D)을 따라 변위될 수 있으며, 이는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는 압력 플레이트(31)를 통해 상단 표면(1a) 상에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5 cm x 10 cm 치수를 갖는 직사각형 압력 플레이트는 9.5 kN의 힘이 바람직하게는, 0.1 mm/min의 속도로 가해질 때 1.90 MPa의 압력 P를 제공할 수 있다. 최대 압축(Zm)과 같은 압축은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상단 표면(1a)으로부터 압축된 상태의 언더레이 요소(1)의 바람직하게는, 가장 안쪽의 압축된 부분(1a')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예를 들어, 도 5a 참조). 도 5e는 제한 부재(3)가 예를 들어, 이들 중 일부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압축을 추가로 제한할 때 언더레이 요소의 추가 압축을 예시하는 도 5b의 구체예의 측단면도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압축은 완전히 제한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언더레이 요소(1)의 두께 T0가 0.4-0.6 mm일 때, 최대 압축 Zm과 같은 압축은 1.90 MPa의 가해진 압력에서 0.20 mm를 초과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a-2c의 구체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 부재(3)는 베이스 매트릭스(2)에 완전히 매립될 수 있다. 제한 부재는 베이스 매트릭스로부터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한 부재는 예를 들어, 제1 물질의 화학 반응 또는 선택적 조사에 의해 형성되어 제2 물질을 형성하는 베이스 매트릭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d-2f 및 3a-3d의 구체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별도로 형성된 제한 부재(3)는 베이스 매트릭스(2)에 부분적으로 매립될 수 있다. 제한 부재(3)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한 부재(3)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제1 물질을 향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언더레이 요소의 상단(1a) 및/또는 하단(1b) 표면을 향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는 것과 같이, 제1 물질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그리고 예를 들어, 도 2d-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매트릭스(2)는 공동(5)을 포함할 수 있고, 제한 부재(3)는 공동에 제공될 수 있다. 제한 부재는 베이스 매트릭스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d, 2f 및 2e는 각각 관통 구멍 및 블라인드 구멍 형태의 공동(5)을 도시한다. 제한 부재의 부분(3', 3")은 상단(1a) 및/또는 하단(1b) 표면을 따라 제공된 수평면(HP' 및/또는 HP'')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2d-2f 참조). 도 2f에서, 공동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전부는 제한 부재에 의해 완전히 충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동의 플로어 부분은 공간(5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구체예에서, 도 2f를 반전시킴으로써 수득된 바와 같이, 공동의 상단 부분은 공간(5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d 및 3a에 도시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도 2a-2f, 3a-3d의 임의의 구체예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공동의 수평 치수 Xc, Yc는 5 mm보다 작을 수 있고, 2 mm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의 수평 치수(들)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 예컨대 2개의 수직 방향으로 1-5 mm, 예컨대, 1-2 mm일 수 있으며, 이는 상단(1a) 및/또는 하단(1b) 표면과 평행한 수평면(HP)을 따라 제공된다(도 2d 참조). 명백히, 각각의 공동의 높이 Zc는 두께 T0에 의해 제한된다(도 2e 참조).
각각의 제한 부재의 크기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 예를 들어, 2개 또는 3개의 수직 방향으로 0.25 mm를 초과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크기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 예를 들어, 2개 또는 3개의 수직 방향으로 0.30 mm, 0.40 mm 또는 심지어 1.00 mm를 초과한다. 임의의 이러한 경우에, 하나의 방향은 언더레이 요소(1)의 두께 방향(TD)과 평행할 수 있다. 다른 2개의 방향은 언더레이 요소의 제1 X 및 제2 Y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이는 짧은 에지(1c, 1d) 및 긴 에지(1e, 1f)와 같은 언더레이 요소의 에지의 각각의 쌍과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및 2d-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 부재(3)는 대략 동일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 부재(3)는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상 및/또는 크기는 불규칙할 수 있다. 임의의 구체예에서, 제한 부재는 베이스 매트릭스(2) 전반에 걸쳐 본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제2 물질은 압축성이다. 제2 물질은 열가소성 물질 또는 가교된 열가소성 물질과 같은 중합체 물질 및 임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물질은 PVC 및 충전제, 또는 고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물질의 밀도 및/또는 탄성 계수 E 및/또는 압축 강도 CS는 제1 물질의 것보다 크다.
일부 구체예에서, 제2 물질은 실질적으로 강성 및/또는 비압축성이다. 예를 들어, 제2 물질은 광물-기반 물질, 예컨대 CaCO3 또는 모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3d는 단면 C-C를 따른 평면도 또는 저면도 및/또는 단면 평면도의 언더레이 요소의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도 1b 참조). 도 3a, 3b, 3c 및 3d의 언더레이 요소는 도 2a-2f 중 임의의 언더레이 요소에 상응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구체예 중 임의의 것이 조합될 수 있다. 도 3c에서, 제한 부재(3)는 언더레이 요소의 한 쌍의 에지 사이, 예를 들어, 한 쌍의 짧은 에지(1c, 1d)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3a, 3b 및 3d에서, 제한 부재(3)는 에지로부터, 예를 들어, 모든 4개의 에지(1c, 1d, 1e, 1f)로부터 이격된다. 에지(1e, 1f)는 긴 에지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그리고 예를 들어, 도 3a-3d 중 임의의 것에서 생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한 부재(3)의 크기는 예를 들어, 도 3a-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적어도 2개의 수직 방향, 바람직하게는 3개의 수직 방향 X, Y, Z로 언더레이 요소(1) 및/또는 베이스 매트릭스(2)의 두께(T0)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 부재는 과립 또는 플레이크와 같은 입자(3a), 및/또는 스트링, 코드 또는 스트랜드와 같은 스트립(3b)을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입자(3a) 및 스트립(3b)의 구체예가 각각 도 4a 및 4b에 도시되어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그리고 생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 3a-3d의 임의의 구체예에서, 제한 부재(3)는 한 방향 또는 2개의 수직 방향 X, Y에서 두께(T0)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 부재는 과립 또는 플레이크와 같은 입자(3a), 및/또는 스트링, 코드 또는 스트랜드와 같은 스트립(3b)을 포함할 수 있다.
언더레이 요소(1)는 0.01 vol%를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75 vol%를 초과하지 않는 정도로 제2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예를 들어, 구체 형상의 제한 부재(3)가 베이스 매트릭스(2)에 완전히 매립되는 경우, 언더레이 요소는 0.03-50 vol%의 정도로 제2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한 부재(3)의 적어도 일부가 임의적으로 도 3c 또는 3d의 구체예와 조합되어 예컨대, 도 2d-2f 중 임의의 것의 구체예에서와 같이 노출되는 경우, 언더레이 요소는 제2 물질을 38 vol%를 초과하지 않는 정도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및 본 개시 전반에 걸쳐, vol%는 언더레이 요소의 총 부피의 백분율을 의미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그리고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한 부재(3)는 바람직하게는 단일 시트(6a)와 같은 시트 조립체(6)로서 제공되는 베이스 매트릭스(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2f 및 3a-3d에 도시된 임의의 구체예는 일체로 형성된 제한 부재(3)에 상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언더레이 요소(1)는 가능한 포밍을 제외하고, 내부에 제공되는 임의의 공동 또는 구멍 없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물질은 열가소성 물질일 수 있고, 제2 물질은 가교된 열가소성 물질일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및 제2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PP, PE 또는 PVC와 같은 동일한 유형의 열가소성 물질을 기반으로 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예를 들어, 도 4c-4g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레이 요소(1)는 바람직하게는 포말화되는 제1 물질을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물질, 예컨대 EPS를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부재(2'), 예컨대 비드 또는 구체 또는 직육면체를 포함하는 베이스 매트릭스(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2')는 바람직하게는 별도로 형성된다. 언더레이 요소는 예를 들어, 비드 또는 구체로서 제공되는 복수의 별도로 형성된 제한 부재(3)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한 부재(3)는 베이스 부재(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고/있거나 이와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베이스 매트릭스(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일부 제한 부재 및 베이스 부재는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제한 부재(3)의 크기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 예를 들어, 2개 또는 바람직하게는 3개의 수직 방향 X, Y, Z에서 0.25 mm를 초과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크기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 예를 들어, 2개 또는 3개의 수직 방향 X, Y, Z로 0.30 mm, 0.40 mm, 또는 심지어 1.00 mm를 초과한다. 예를 들어, 제한 부재(3)의 크기는 0.35-2.95 mm일 수 있다.
제1 예에서, 베이스 부재(2') 및 제한 부재(3)의 크기 및/또는 형상은 본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예에서, 베이스 부재(2') 및 제한 부재(3)의 크기 및/또는 형상은 상이할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예에서, 베이스 부재(2')의 크기는 0.35-2.95 mm일 수 있다.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두께 방향(TD)을 따라 상이한 경우, 보강 효과는 언더레이 요소의 압축의 상이한 스테이지에서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이의 완충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 언더레이 요소는 제1 및 제2 호일과 같은 제1 시트(6a) 및 제2 시트(6b)를 포함하는 시트 조립체(6)를 포함한다. 시트의 두께는 0.025 내지 0.20 mm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호일은 예를 들어, PE, PET 또는 PP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호일일 수 있다. 제1 시트(6a) 및 제2 시트(6b)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2') 및 제한 부재(3)는 제1 시트(6a) 및 제2 시트(6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완전히 둘러싸인다. 예를 들어, 이들은 접착제에 의해 시트(6a, 6b)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4g에서 언더레이 요소(1)의 두께(T0)는 0.4-3.0 mm, 바람직하게는 0.4-2.0 mm일 수 있다.
도 4d-4e에서, 언더레이 요소(1)의 두께(T0)는 본질적으로 일정하다. 제1 예에서, 시트(6a, 6b)는 강성이며, 예를 들어, 플로어 커버링(10)으로부터의 압력 하에 상당히 변형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을 수 있다. 제2 예에서, 시트(6a, 6b)는 가요성이다. 일부 경우에, 시트는 본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얻기 위해 신장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그리고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 및 제한 부재(3)의 수직 연장부는 본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그리고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 부재(3)의 수직 연장부는 베이스 부재(2')의 수직 연장부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이스 부재(2')는 제1 스테이지에서 압축될 수 있고, 제한 부재, 및 임의적으로 베이스 부재(2')는 이후 제2 스테이지에서 압축될 수 있다.
도 4f에서, 언더레이 요소(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두께일 수 있는 두께(T0)와 내부 두께(T0') 사이에서 변한다. 예를 들어, 시트(6a, 6b)는 가요성일 수 있고, 이들의 형상을 베이스 부재(2') 및 제한 부재(3)의 일부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출 수 있다. 시트(6a, 6b)는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단일 시트(6a)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별도로 형성된 제한 부재(3) 및 베이스 부재(2')는 시트(6a, 6b) 사이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제한 부재(3)는 베이스 부재(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완전히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예를 들어, 도 4c-4f 중 임의의 것의 베이스 부재 및/또는 제한 부재 중 임의의 것 또는 심지어 모두는 예를 들어, 도 4g의 임의의 구체예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특히 도 4c-4g의 언더레이 요소의 경우, 별도로 형성된 제한 부재(3)에서 제2 물질의 압축 강도는 베이스 부재(2')의 제1 물질의 압축 강도의 적어도 1.5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4g에서 언더레이 요소의 압축 특성의 다른 구체예는 예를 들어, 도 1a-1g, 2a-2f, 3a-3d, 4a-4b 및 5a-5e와 관련하여 설명된 구체예의 것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참조된다. 제1 예에서, 압축은 1.90 MPa의 가해진 압력 P에서 0.60 mm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30 mm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예에서, 별도로 형성된 제한 부재(3)의 압축은 1.90 MPa의 가해진 압력(P)에서 0.60 mm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30 mm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또는 제2 물질, 밀도, 또는 E-계수(들)와 관련하여, 도 4c-4g의 구체예의 다른 구체예 및 예는 도 1a-1g, 2a-2f, 3a-3d, 4a-4b 및 5a-5e의 구체예의 것들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참조된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예를 들어, 도 1a-1g, 2a-2f, 3a-3d, 4a-4g 및 5a-5e의 임의의 구체예에서, 압축은 언더레이 요소의 압축되지 않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두께의 50%를 초과하지 않음으로써, 예를 들어, 30%를 초과하지 않음으로써 또는 20%를 초과하지 않음으로써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언더레이 요소(1)는,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플로어 커버링(1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플로어 조립체(20)는 도 1a-1b에서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언더레이 요소(1) 및/또는 플로어 커버링(20)은 도 1a-1g, 2a-2f, 3a-3d, 4a-4g, 5a-5b 및 6a-6d 중 임의의 것에서와 같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참조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플로어 패널(11, 11')은 바람직하게는, 플로어 패널의 후면에 제공되는 그루브(1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어 패널 및/또는 그루브는 예를 들어, WO 2020/180237 A1의 44면, 7-19행 및 49면, 21행 내지 51면, 2행 및 도 13a-13d, 및 도 14a-14g에 기재된 보드 요소 또는 패널 및/또는 그루브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실시예 1
하기 실시예는 본 개시의 범위 내의 구체예를 추가로 기술하고 입증한다. 실시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본원에 기재된 양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이의 많은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개시의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언더레이 요소의 샘플 S1(j), S2(j) 및 S3(j)(j=0, 1, 2,…)의 3개의 군에 위치된 플로어 커버링을 ISO 표준 4918:2016(타입 W 캐스터 및 권장 언더레이를 샘플로 대체)에 따라 캐스터 체어(CC) 테스트로 처리하였다. 각 군의 샘플은 동일한 유형의 베이스 매트릭스(BM)(2)를 포함하지만, 상이한 구성의 제한 부재(3)를 가졌다. 각 군 Si(j)(i = 1, 2, 3)은 군의 다른 샘플에서와 동일한 종류의 베이스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참조 샘플 Si(O)을 포함하였으나, 임의의 제한 부재는 제공되지 않았다. S1(j), S2(j) 및 S3(j)는 각각 포말화된 EVA-기반 시트, 포말화된 XPS 시트, 및 포말화된 PO 시트의 형태로 베이스 매트릭스 BM1, BM2 및 BM3을 포함하였으며, 160, 500 및 60 kPa의 0.5 mm 변형에서의 각각의 CS 값 및 각각 밀도 160 kg/m3, 110 kg/m3 및 85 kg/m3을 갖는다. 표 1은 샘플의 최대 두께(T0)를 개시한다.
S1(1) 및 S2(1)는 각각 도 3c 및 3d, 및 도 2f의 구체예의 조합으로 구현되었다. 제한 부재는 폭이 7 mm이고 높이가 1.3 mm이고, PVC, 가소제, 첨가제 및 광물 충전제를 포함하고, 7.1 MPa의 굴곡 강도, 397 MPa의 E-계수 및 1970 kg/m3의 밀도를 갖는 직육면체로서 형상화된 LVT 스트립을 포함하였다. S1(1)의 LVT 스트립은 각각 폭이 20 mm이고 높이가 1.5 mm인 베이스 매트릭스 스트립에 의해 분리되었다. LVT 스트립 및 베이스 매트릭스 스트립은 언더레이 요소의 한 쌍의 대향 에지 사이에서 인접하여 나란히 연장되었다. S2(1)의 LVT 스트립은 50 mm의 길이를 갖고, 베이스 매트릭스에 제공된 공동에 삽입되었고, 여기서 각각의 공동은 위쪽을 향하는 S2(1)에서 약 0.2 mm의 공간(5a)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응하는 LVT 스트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가졌다. LVT 스트립은 X = 50 mm 및 Y = 20 mm의 거리만큼 분리되었다(도 3d 참조). S1(1) 및 S2(1)의 LVT 스트립 및 베이스 매트릭스(세그먼트)는 상단(1a) 또는 하단(1b) 표면을 따라 제공된 접착 테이프에 의해 함께 유지되었다.
각각의 S3(j)(j>0의 경우)는 도 2f 및 3a의 구체예의 조합으로 구현되었다. BM3은 제한 부재가 제공된 직경 2.5 mm의 관통 구멍 형태의 원통형 공동의 정사각형 격자를 포함하였다. 공동은 8.2 mm만큼 분리되었다. S3(1) 및 S3(3)의 제한 부재는 공동에 제공된 목재 아교 및 PU-기반 아교를 각각 포함하였다. 목재 아교는 46 vol%의 고체 함량을 갖는 백색 일-성분 PVAc 아교였다. 아교의 경화 후에 작은 공간(5a)이 형성되었다. S3(2)의 제한 부재는 약 1.8 mm의 높이 및 1.75 mm의 반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상화된 폴리락트산(PLA) 펠렛을 포함하였다.
시험 동안, 열가소성-기반 패널을 포함하는 4 mm 플로어 커버링을 샘플 상에 위치시켰다. 보다 구체적으로, PVC 및 광물 충전제를 포함하고, 27.2 MPa의 굴곡 강도, 6320 MPa의 E-계수 및 2000 kg/m3의 밀도를 갖는 SPC 패널 형태의 제1 유형의 플로어 커버링을 S1(j)에 사용하고, PVC 및 광물 충전제를 포함하고, 30.0 MPa의 굴곡 강도, 6022 MPa의 E-계수 및 2008 kg/m3의 밀도를 갖는 SPC 패널 형태의 제2 유형의 플로어 커버링은 S2(j) 및 S3(j)에 사용하였다. 패널(11, 11', 11")은 에지에 일체로 형성된 기계적 잠금 장치(13)를 포함하였고, 이에 의해 패널은 수평 및 수직으로 맞물렸다. 패널의 장측(15)(도 6a 참조)은 패널(11, 11')의 각도(A)에 의해 잠금되도록 구성되었고, 텅(13a) 및 그루브(13b) 뿐만 아니라 잠금 요소(13c) 및 잠금 그루브(13d)를 포함하였다. 단측(16)(도 6b-6c 참조)은 다른 패널(11)에 대해 하나의 패널(11")의 수직 접힘(V)에 의해 잠기게 되도록 구성되었고, 수평 잠금을 위한 잠금 요소(13c) 및 잠금 홈(13d)을 포함하였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형의 플로어 커버링의 단측 수직 잠금은 잠금 요소 및 잠금 그루브 상의 경사면(13f, 13g)을 맞물림으로써 제공되었으며, 이 경사면은 또한 수평 잠금을 제공하였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형의 플로어 커버링의 단측 수직 잠금은 수직 폴딩을 가능하게 하는 작은 텅(13a) 및 작은 그루브(13b)에 의해 제공되었다. 맞물림 표면(13f, 13g)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었다. 도 6d는 도 6a-6c 중 임의의 것의 패널(11)을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6e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은 상기 명시된 언더레이 요소의 샘플을 포함하는 디스크 구성(17)으로 맞물렸다.
ISO 표준 4918:2016에 따른 CC 시험의 결과는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플로어 커버링의 일부가 박리되는 경우(DL) 및/또는 표면에서와 같이 내부에 균열(CR)이 형성될 경우 시험이 중단되었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 주기 수를 포화시킨 S3(3)의 시험을 제외한 모든 시험은 중단되었고, 따라서 표준에 따라 "실패"하였다. 중단될 경우, 수행된 주기 수를 판독하였다. 참조 샘플 Si(0)과 비교하여,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샘플 S1(j), S2(j) 및 S3(j)에 대해 주기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샘플의 제한된 압축으로 인해, 패널의 에지에 제공된 기계적 잠금 장치가 덜 손상되었다. 또한, 개선은 시각적으로, 예를 들어, 플로어 커버링에서 감소된 정도의 박리 및/또는 감소된 균열의 외관의 형태로 보여졌다는 것이 주목된다.
표 1 - 캐스터 체어 측정 결과
동일한 CC 시험을 또한 제1 군에 속하는 제2 하이브리드 샘플 S1(2)에 대해 수행하였다. 평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S1(2)의 절반은 S1(0)으로 구현되었고, 나머지 절반은 S1(1)로 구현되었으며, 샘플의 중심에 대해 CC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은 S1(0)으로 구체화된 S1(2)의 절반에 균열이 형성되었을 경우, 6000 주기 후에 중단되었다. S1(1)로서 구체화되어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S1(2)의 절반에서는 가시적인 균열 또는 박리의 징후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언더레이 요소의 샘플 T(j)(j=0, 1, 2)의 군 상에 위치된 플로어 커버링은 ISO 표준 4918:2016에 따라 유사한 CC 시험으로 처리하였다. 샘플 T(j)는 참조 샘플 T(0) 및 제한 부재(3)의 2개의 구성(샘플 T(1) 및 T(2))을 포함하였다. T(j)의 베이스 매트릭스 BM은 알루미늄 및 PE를 포함하는 호일의 형태로 통상적인 0.03 mm 두께의 수분 장벽을 포함하는 포말화된 XPS 시트의 형태로 제공되었다. 베이스 매트릭스 BM은 700 kPa의 0.5 mm 변형 CS 값 및 127 kg/m3의 밀도를 가졌다. 최대 두께(T0)는 1 mm였다.
T(1) 및 T(2)는 각각 도 3a 및 3c, 및 도 2e의 구체예의 조합으로 형성되었다(여기에 도시된 언더레이 요소는 뒤집어짐). T(1)에는 직경 3.4 mm 및 높이 0.8 mm의 블라인드 구멍 형태의 원통형 공동의 정사각형 격자가 제공되었다. 공동은 4.6 mm만큼 분리되었다. T(2)에는 3.0 mm의 폭 및 0.8 mm의 높이를 갖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블라인드 홀의 형태로 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이고 평행한 공동이 제공되었다. 공동은 4 mm만큼 가로로 분리되었다. T(1) 및 T(2)의 제한 부재는 공동에 제공된 83.3 wt%의 폴리올 및 충전제 및 16.7 wt%의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PU-기반 아교에 의해 형성되었다. 아교를 적어도 1주일 동안 경화시키고 41의 경도(쇼어 D)를 수득하였다.
시험 동안, SPC 패널을 포함하는 4 mm 플로어 커버링을 샘플 T(j) 상에 위치시켰다. SPC 패널은 PVC 및 광물 충전제를 포함하고, 22.0 MPa의 굴곡 강도, 6184 MPa의 E-계수 및 1989 kg/m3의 밀도를 가졌다. 패널은 상기 기술되고 도 6a 및 도 6b-6c에 각각 도시된 것과 유사한 긴 에지 및 짧은 에지에 일체로 형성된 기계적 잠금 장치(13)를 포함하였다. 실제로, 단측 수직 잠금은 작은 텅 및 그루브(13a, 13b) 뿐만 아니라 맞물리는 경사면(13f, 13g)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유형의 플로어 커버링의 조합이었다.
CC 시험은 표준 ISO 4918:2016에 따라 수행되었다. T(0), T(1) 및 T(2) 각각에 대해 발생하는 플로어 커버링의 일부가 박리될 때(DL) 시험이 중단되었다. 표준에 따라 "실패"로 인해 중단될 때, 수행된 주기 수를 판독하였다: T(0) 시험은 3000 주기에서 중단된 반면, T(1) 및 T(2)는 각각 7000 주기에서 중단되었다. 따라서, T(0)과 비교하여, "실패" 전의 주기 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샘플 T(1) 및 T(2)에 대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리고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 시험으로부터 특정된 다양한 수의 주기를 수행한 후 샘플 T(j) 상에 위치된 플로어 커버링에 대해 다수의 커핑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은 표준 ISO 10582:2017(부록 B)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샘플 T(j)를 포함하는 8개의 SPC 패널이 상기 명시된 ISO 4918:2016에 따라 디스크 구성(17)에 맞물리는 변형을 갖는다(도 6e 참조). 또한, 측정은 각각 위에서 세 번째 및 두 번째 행의 우측 및 좌측 패널(11)의 짧은 에지(16)로부터 50 mm에 위치한 2개의 위치 L1 및 L2에서 일관되게 수행되었다(도 6e 참조). L1 및 L2에서의 커핑 효과(CE)를 결정하고, 백분율로 표시하고, 화학식 100%*(C(W)-C(0))/d에 따라 0 주기에서 0 커핑으로 표준화하였으며, 여기서 C(W)는 W 사이클에서의 폭 표면 평탄도이고, d = 229 mm는 상기 부록 B에 정의되어 있다. 표 2로부터, 주어진 주기 수에 대해, T(0)과 비교하여 샘플 T(1) 및 T(2)에 대해 CE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모든 패널은 0이 아닌 주기에서 오목하게 되었다.
표 2 - 커핑 측정 결과
실시예 2
언더레이 요소(1)의 3개의 샘플 U(0), U(1) 및 U(2)를 도 5a-5d와 관련하여 상세히 기재된 직사각형 5 x 10 cm 압력 플레이트(31)를 포함하는 압력 장치(30)에 의해 압축하였다. 각각의 샘플 U(j)(j=0, 1, 2)는 상기 기재된 BM1의 것과 동일한 물질을 갖는 베이스 매트릭스를 포함하였다. U(0)은 어떠한 제한 부재도 없는 참조 샘플이었다. U(1)은, LVT 스트립이 15 mm의 폭 및 1.3 mm의 높이를 갖고, 베이스 매트릭스 스트립이 15 mm의 폭 및 1.5 mm의 높이를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고 LVT 스트립의 특징 및 물질 조성을 포함하는 S1(1)와 완전히 유사하게 구현되었다. U(2)는, 제한 부재가 70의 경도(쇼어 A) 및 1.6 mm의 직경을 갖는 2개의 니트릴 고무 코드, NBR을 대신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U(1)과 동일하게 구현되었다. 코드는 접합부에서 나란하게 연장되었고 베이스 매트릭스 스트립 사이에 끼워졌다.
샘플 U(j)의 압축의 함수로서 일시적으로 가해진 압력의 결과는 도 6f에 도시되어 있다. 보다 정확한 측정을 수득하기 위해, 압력 플레이트에 의해 5 N의 예압을 가함으로써 수득된 샘플의 사전-압축된 상태로부터 압축을 결정하였다. 또한, 예압으로부터 9.5 kN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힘을 0.1 mm/min의 속도로 가하였다. 샘플 U(1) 및 U(2)의 압축은 기준 샘플 U(0)에 비해 더 제한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U(1) 및 U(2)를 1.90 MPa의 가해진 압력 P에서 각각 약 0.7 mm 및 약 0.2 mm로 압축하였다.
본 개시의 양태는 주로 몇몇 구체예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개시된 것들 이외의 다른 구체예가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동등하게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원의 임의의 구체예에서, 언더레이 요소는 임의적으로 예를 들어, PE를 포함하거나 베이스 매트릭스에 금속화, 부착, 예를 들어, 라미네이팅되는 얇은 호일 또는 필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01-0.05 mm 또는 0.20 mm 두께의 이러한 호일 또는 필름은 언더레이 요소에 추가적인 수분 장벽 및/또는 증기 장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예를 들어, 도 1a-1g, 2a-2f, 3a-3d, 4a-4g 및 5a-5e 중 어느 것의 제한 부재(3)가 0.25-3.0 mm의 크기, 예컨대, 0.25-0.40 mm의 크기, 및 T0가 0.4-3.0 mm인 경우, 예컨대, 1.0-2.5 mm의 크기를 갖는 코르크 요소를 포함하거나 완전히 이로 구성됨이 강조된다. 또한, 제1 물질이 포말화되지 않은 구체예가 본 개시에 포함된다.
구체예
본 개시의 추가 양태는 하기에 제공된다. 이러한 양태의 구체예, 예 등은 상기 기재된 구체예, 예 등과 대체로 유사하며, 이에 의해 상세한 설명을 위해 상기가 참조된다.
항목 1. 플로어 커버링(10)과 서브플로어(12) 사이에 제공되도록 구성된 언더레이 요소(1)로서, 언더레이 요소가 베이스 매트릭스(2) 및 상기 베이스 매트릭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복수의 제한 부재(3)를 포함하며,
베이스 매트릭스(2)는 제1 물질을 포함하고, 제1 물질은 압축성이며, 바람직하게는 포말화되고,
제한 부재(3)는 제2 물질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한 부재의 크기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0.25 mm를 초과하고,
언더레이 요소(1)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전체 언더레이 요소의 압축은 제한 부재(3)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언더레이 요소.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압축이 1.90 MPa의 가해진 압력(P)에서 0.60 mm를 초과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0.30 mm를 초과하지 않는, 언더레이 요소.
항목 3. 항목 1 또는 2에 있어서, 언더레이 요소의 두께(T0)가 0.4-3.0 mm인, 언더레이 요소.
항목 4. 항목 1 내지 항목 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한 부재의 크기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1.00 mm를 초과하는, 언더레이 요소.
항목 5. 항목 1 내지 항목 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한 부재의 크기가 2개 또는 3개의 수직 방향으로 0.25 mm를 초과하며, 예를 들어, 1.00 mm를 초과하는, 언더레이 요소.
항목 6. 항목 1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한 부재(3)가 대략 동일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갖는, 언더레이 요소.
항목 7. 항목 1 내지 항목 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한 부재(3)가 대략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갖는, 언더레이 요소.
항목 8. 항목 1 내지 항목 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한 부재(3)가 입자(3a) 및/또는 스트립(3b)을 포함하는, 언더레이 요소.
항목 9. 항목 1 내지 항목 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물질의 밀도가 제1 물질의 밀도보다 큰, 언더레이 요소.
항목 10. 항목 1 내지 항목 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물질의 밀도가 700 kg/m3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 kg/m3 미만인, 언더레이 요소.
항목 11. 항목 1 내지 항목 1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물질의 탄성 계수가 제1 물질의 탄성 계수보다 큰, 언더레이 요소.
항목 12. 항목 1 내지 항목 1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물질이 중합체 물질, 예컨대 열가소성 물질 또는 가교된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언더레이 요소.
항목 13. 항목 1 내지 항목 1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물질이 압축성인, 언더레이 요소.
항목 14. 항목 1 내지 항목 1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물질의 압축 강도가 제1 물질의 압축 강도보다 큰, 언더레이 요소.
항목 15. 항목 1 내지 항목 1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물질이 중합체 물질, 예컨대 열가소성 물질 또는 가교된 열가소성 물질 및/또는 광물-기반 물질을 포함하는, 언더레이 요소.
항목 16. 항목 1 내지 항목 1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한 부재(3)가 상기 베이스 매트릭스(2)에 완전히 매립되는, 언더레이 요소.
항목 17. 항목 1 내지 항목 1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베이스 매트릭스(2)가 공동(5)을 포함하고, 제한 부재(3)가 공동에 제공되는, 언더레이 요소.
항목 18. 항목 1 내지 항목 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베이스 매트릭스(2)가 복수의 베이스 부재(2')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한 부재(3)가 별도로 형성되고, 언더레이 요소(1)가 베이스 부재 및 제한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1 시트(6a) 및 제2 시트(6b)를 추가로 포함하는, 언더레이 요소.
항목 19. 항목 1 내지 항목 1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물질이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유기 충전제 및/또는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언더레이 요소.
항목 20. 서브플로어(12) 상에 제공되도록 구성된 플로어 조립체(20)로서, 플로어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플로어 패널(11)을 포함하는 플로어 커버링(10), 및 항목 1 내지 항목 1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언더레이 요소(1)를 포함하는, 플로어 조립체.
항목 21. 항목 20에 있어서, 플로어 커버링(10)이 제1(11) 및 제2(11') 플로어 패널을 포함하고, 언더레이 요소(1)가 제1 및 제2 플로어 패널의 적어도 연결 에지(11a; 11a)를 따라 제공되는, 플로어 조립체.
항목 22. 항목 20 또는 21에 있어서, 언더레이 요소(1)가 예컨대, 접착제에 의해 플로어 커버링(20)에 부착되는, 플로어 조립체.
Claims (18)
- 플로어 커버링(floor covering)(10)과 서브플로어(subfloor)(12) 사이에 제공되도록 구성된 언더레이 요소(underlay element)(1)로서, 언더레이 요소는 베이스 매트릭스(base matrix)(2) 및 상기 베이스 매트릭스(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복수의 제한 부재(3)를 포함하며,
베이스 매트릭스(2)는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물질을 포함하고, 제1 물질은 포말화되고, 제1 물질은 압축성이며, 제1 물질은 700 kg/m3 미만의 밀도를 가지며,
제한 부재(3)는 제2 물질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한 부재의 크기는 2개 또는 3개의 수직 방향으로 0.25 mm를 초과하고, 이러한 방향 중 하나는 언더레이 요소(1)의 두께 방향(TD)과 평행하고,
언더레이 요소(1)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전체 언더레이 요소의 압축은 제한 부재(3)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언더레이 요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이 1.90 MPa의 가해진 압력(P)에서 0.60 mm를 초과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0.30 mm를 초과하지 않는, 언더레이 요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언더레이 요소의 두께(T0)가 0.4-3.0 mm인, 언더레이 요소.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한 부재의 크기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1.00 mm를 초과하는, 언더레이 요소.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한 부재의 크기가 2 또는 3개의 수직 방향으로 1.00 mm를 초과하고, 이러한 방향 중 하나가 상기 두께 방향(TD)과 평행한, 언더레이 요소.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한 부재(3)가 대략 동일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갖는, 언더레이 요소.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한 부재(3)가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갖는, 언더레이 요소.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한 부재(3)가 입자(3a) 및/또는 스트립(3b)을 포함하는, 언더레이 요소.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물질의 밀도가 제1 물질의 밀도보다 큰, 언더레이 요소.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물질의 밀도가 500 kg/m3 미만인, 언더레이 요소.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물질이 열가소성 물질 또는 가교된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언더레이 요소.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물질이 압축성이며, 제2 물질의 압축 강도가 제1 물질의 압축 강도보다 큰, 언더레이 요소.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물질이 중합체 물질, 예컨대 열가소성 물질 또는 가교된 열가소성 물질 및/또는 광물-기반 물질을 포함하는, 언더레이 요소.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한 부재(3)가 상기 베이스 매트릭스(2)에 완전히 매립되는, 언더레이 요소.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매트릭스(2)가 공동(5)을 포함하고, 제한 부재(3)가 공동에 제공되는, 언더레이 요소.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매트릭스(2)가 복수의 베이스 부재(2')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한 부재(3)는 별도로 형성되고, 언더레이 요소(1)는 베이스 부재 및 제한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1 시트(6a) 및 제2 시트(6b)를 추가로 포함하는, 언더레이 요소.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물질이 유기 충전제 및/또는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언더레이 요소.
- 플로어 커버링(10);
서브플로어(12); 및
플로어 커버링(10)과 서브플로어(12) 사이에 배치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언더레이 요소(1)를 포함하는, 플로어 조립체(2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SE2051516 | 2020-12-21 | ||
SE2051516-9 | 2020-12-21 | ||
PCT/SE2021/051288 WO2022139664A1 (en) | 2020-12-21 | 2021-12-20 | Underlay element for flooring and floor assemb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24614A true KR20230124614A (ko) | 2023-08-25 |
Family
ID=8202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23323A Pending KR20230124614A (ko) | 2020-12-21 | 2021-12-20 | 바닥재용 언더레이 요소 및 플로어 조립체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2) | US12084871B2 (ko) |
EP (1) | EP4263971A4 (ko) |
JP (1) | JP2023554359A (ko) |
KR (1) | KR20230124614A (ko) |
CN (1) | CN116710621A (ko) |
AU (1) | AU2021408916A1 (ko) |
CA (1) | CA3202064A1 (ko) |
WO (1) | WO2022139664A1 (ko) |
Family Cites Families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91722A (en) * | 1972-12-26 | 1980-03-04 | Gould Walter M | Method of molding a composite synthetic resin foam roofing structure having an integral skin thereon |
US4694627A (en) | 1985-05-28 | 1987-09-22 | Omholt Ray | Resiliently-cushioned adhesively-applied floor syste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AT406606B (de) * | 1988-07-14 | 2000-07-25 | Greiner Schaumstoffwerk | Formteil aus schaumstoffplatten |
US6383608B1 (en) * | 1998-09-16 | 2002-05-07 | William Burkett | Method for forming a foam product with enhanced fire resistance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
BE1012565A3 (nl) | 1999-03-22 | 2000-12-05 | Tech Bureel Panigo Nv | Ondervloerfolie, werkwijze voor het verwezenlijken van zulke ondervloerfolie, en inrichting die deze werkwijze toepast. |
FI20002605L (fi) | 2000-11-28 | 2002-05-29 | Vircon Oy | Parketin alusmateriaali |
US7081300B2 (en) * | 2001-01-22 | 2006-07-25 | Formica Corporation | Decorative laminate assembly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
JP3835999B2 (ja) * | 2001-07-23 | 2006-10-18 |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 防振床施工用組合せ型枠 |
US20030219582A1 (en) | 2002-05-24 | 2003-11-27 | Sealed Air Corporation | Combined sound and moisture vapor barrier sheet materials for flooring underlayment and construction applications |
US7972698B2 (en) * | 2004-10-21 | 2011-07-05 | Graftech International Holdings Inc. | Carbon foam core panels |
US8056292B2 (en) | 2004-10-28 | 2011-11-15 | Diversified Foam Products, Inc. | Low relflected-sound-pressure-level, low moisture-vapor-transmission-rate flooring system |
US8007886B2 (en) | 2005-12-21 | 2011-08-30 | Johns Manville | Performance enhancing underlayment, underlayment assembly, and method |
US7886488B2 (en) | 2006-06-19 | 2011-02-15 |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 Acoustical isolation floor underlayment system |
GB0620110D0 (en) * | 2006-10-11 | 2006-11-22 | Stirling Moulded Composites Lt | A flexible,impact-resistant laminat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US7851048B2 (en) * | 2008-02-12 | 2010-12-14 | Milliken & Co. | Fiber reinforced core panel |
WO2011032075A2 (en) | 2009-09-14 | 2011-03-17 | Tandus Flooring Inc. | Tile connector |
GB2476686A (en) * | 2010-01-05 | 2011-07-06 | Intelligent Engineering | Sandwich panel having light hydrophobic forms in core |
US8347575B2 (en) | 2010-09-02 | 2013-01-08 |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 Lightweight acoustical flooring underlayment |
US20120238168A1 (en) * | 2011-03-14 | 2012-09-20 | Michael Tompkins | Fiber reinforced core panel able to be contoured |
CA2836457C (en) | 2011-05-16 | 2017-02-21 | Craig Patrick Keane | Luxury vinyl tile flooring system |
US20170316670A1 (en) * | 2011-08-12 | 2017-11-02 | Abcd Innovation | Floor covering |
US9744707B2 (en) * | 2013-10-18 | 2017-08-29 | Eastman Chemical Company | Extrusion-coated structural members having extruded profile members |
JP6226707B2 (ja) * | 2013-11-13 | 2017-11-08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床下地材、フローリング材、床構造体および床下地材の製造方法 |
CN106460266B (zh) * | 2014-06-04 | 2019-04-26 | 布莱特利特结构公司 | 具有高弯曲刚度的复合材料夹层 |
US20190242068A1 (en) * | 2014-09-19 | 2019-08-08 | Quality Mat Company | Hybrid industrial mats |
US20170312148A1 (en) * | 2014-10-24 | 2017-11-02 | Basf Se | Fluid-absorbent article |
DE202015100204U1 (de) | 2015-01-19 | 2015-02-05 | Selit Dämmtechnik GmbH | Tritt- und Raumschalldämmunterlage |
BR112017024381A2 (pt) * | 2015-05-14 | 2018-07-24 | Zephyros Inc | dispositivo |
CA2928447A1 (en) | 2016-04-29 | 2017-10-29 | Topfloor Underlayment Inc. | Sound proof underlayment membrane |
BE1024723B1 (nl) * | 2016-11-10 | 2018-06-11 | Ivc Bvba | Vloerpane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vloerpaneel. |
WO2018156691A1 (en) | 2017-02-23 | 2018-08-30 | Zephyros, Inc. | Nonwoven fiber structure for use as an insulator |
EP3645133B1 (en) | 2017-06-01 | 2024-07-17 | Mission V Sports, LLC | Flooring system including a dilatant, non-newtonian material, and method of assembling such flooring system |
US20200232133A1 (en) | 2017-07-18 | 2020-07-23 | Zephyros, Inc. | Nonwoven composite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requiring low flammability, smoke, and toxicity |
US11585102B2 (en) | 2018-11-07 | 2023-02-21 | Viconic Sporting Llc | Load distribution and absorption underpayment system |
CN113439023A (zh) | 2019-02-14 | 2021-09-24 | 泽费罗斯股份有限公司 | 缓冲地板衬垫 |
WO2020180237A1 (en) | 2019-03-05 | 2020-09-10 | Ceraloc Innovation Ab | Methods for forming grooves in a board element and an associated panel |
CA3154991A1 (en) | 2019-10-04 | 2021-04-08 | Per Josefsson | A method and system for attaching an underlay element to a board element and an associated board element |
-
2021
- 2021-12-20 KR KR1020237023323A patent/KR20230124614A/ko active Pending
- 2021-12-20 JP JP2023536137A patent/JP2023554359A/ja active Pending
- 2021-12-20 EP EP21911674.6A patent/EP4263971A4/en active Pending
- 2021-12-20 US US17/645,082 patent/US12084871B2/en active Active
- 2021-12-20 CA CA3202064A patent/CA3202064A1/en active Pending
- 2021-12-20 WO PCT/SE2021/051288 patent/WO202213966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2-20 CN CN202180084950.5A patent/CN116710621A/zh active Pending
- 2021-12-20 AU AU2021408916A patent/AU2021408916A1/en active Pending
-
2024
- 2024-08-13 US US18/802,508 patent/US20240401345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401345A1 (en) | 2024-12-05 |
JP2023554359A (ja) | 2023-12-27 |
CA3202064A1 (en) | 2022-06-30 |
US20220195740A1 (en) | 2022-06-23 |
WO2022139664A1 (en) | 2022-06-30 |
US12084871B2 (en) | 2024-09-10 |
AU2021408916A1 (en) | 2023-06-22 |
EP4263971A4 (en) | 2024-12-18 |
CN116710621A (zh) | 2023-09-05 |
EP4263971A1 (en) | 2023-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250644A1 (en) |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 |
KR20190084075A (ko) |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 |
CN110325362A (zh) | 适于组装防水地板或墙壁覆盖物的面板、生产面板的方法 | |
US12168877B2 (en) |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a panel | |
US9415565B2 (en) | Underlayment with of non-woven polyethylene mesh | |
EP3908719B1 (en) |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floor covering | |
KR20230124614A (ko) | 바닥재용 언더레이 요소 및 플로어 조립체 | |
US20220403670A1 (en) | Floor covering and set of components for such a floor covering | |
NL2025119B1 (en) |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a panel | |
KR200493148Y1 (ko) | 강화 마루 바닥재 및 층간 소음 방지재 | |
KR20060097228A (ko) | 복합방음판 및 그의 제조방법 | |
JP6421005B2 (ja) | 衝撃吸収用床材 | |
EP3862180B1 (en) | Floor underlayment | |
JP6514470B2 (ja) | 衝撃吸収用床材 | |
US20250012094A1 (en) | Sports flooring in tile or plank form | |
WO2024206391A2 (en) | Decorative article with multilayered porosity base | |
KR101674174B1 (ko) | 안전 방음 매트 소재의 제조 방법 | |
KR101239750B1 (ko) |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 |
JP2025022121A (ja) | 床構造 | |
KR101393531B1 (ko) | 사출성형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 |
JP2530583Y2 (ja) | 防音床材 | |
JPH09177293A (ja) | 畳 床 | |
KR20110006109A (ko) | 백킹층의 구조가 개선된 카펫 타일 | |
JP2006342665A (ja) | 床仕上げ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7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