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062A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20062A KR20230120062A KR1020220056262A KR20220056262A KR20230120062A KR 20230120062 A KR20230120062 A KR 20230120062A KR 1020220056262 A KR1020220056262 A KR 1020220056262A KR 20220056262 A KR20220056262 A KR 20220056262A KR 20230120062 A KR20230120062 A KR 202301200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displayed
- electronic device
- content
- contex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센서, 디스플레이, 센서 및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UI(user interface) 구성 요소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UI 구성 요소에 포함된 컨텍스트(context)의 특성을 결정하고, 컨텍스트의 특성 및 전자 장치의 자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contents)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고,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른 전자 장치의 회전 각도를 센서를 통해 확인하고, 회전 각도가 제 1 값 이상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 1 값은 컨텍스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 sensor, a display, and a processor operabl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display, and the processor includes a user interface (UI) component based on a result of analysis of the context (user interface) included in the UI component. context, determine the display direction of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and the pos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n a state where the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pos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rotation angl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change may be checked through a sensor, and based on the confirmation that the rotation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value,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content may be changed. The first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Description
본 문서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서 화면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document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rot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휴대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현대인의 필수품이 된 휴대용 전자 장치는 음성 및 영상 통화기능, 정보 입출력 기능 및 데이터 저장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더욱이, 휴대용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표시 면적을 증가시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Portable electronic devices, which have become necessities of modern people due to their ease of portability, are evolving into multimedia devices that provide various service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s, information input/output functions, and data storage. Furthermor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may efficiently provide various multimedia services by increasing a display area using a touch screen.
휴대용 전자 장치의 표시 영역은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상이한 직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화면 회전(rotation)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different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may provide a screen rotation function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ultimedia services.
화면 회전 기능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회전 방향을 고려하여 표시 영역의 표시 방향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표시 영역의 표시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The screen rotation function may refer to a function of rotating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rotated clockwise by 90°, the portable terminal may rotate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by 90° counterclockwise to display the display.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회전 방향만을 고려하여 화면 회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표시 영역의 표시 방향이 회전시키는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a screen rotation function by considering only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ly,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cause inconvenience that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is rotated in a situation not intended by the user.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화면과 표시되는 화면의 방향이 어긋나지 않도록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각도 변화를 계산하고, 각도 변화값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회전 방향을 계산하고, 전자 장치의 회전 방향에 기초하여 화면 회전을 시킬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calculates the angle chang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an inertial sensor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screen viewed by the user and the displayed screen do not deviate, calculat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angle change value, and rotates the electronic device. You can rotate the screen based on orientation.
그러나 이러한 화면 회전 방법은 정량적인 물리 변화량만을 기반으로 화면 회전 여부를 결정할 뿐, 실제 화면에 표시되는 컨텍스트(context)의 사용성을 고려하지 않아 실 사용 상황에 부합하지 않을 수 있다. However, this method of screen rotation only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rotate the screen based only on a quantitative amount of physical change, and may not conform to the actual use situation because it does not consider the usability of the context displayed on the actual screen.
여기서 컨텍스트(context)는 운영 체제 내에서 작업(task)이 수행될 때 해당 작업(task)의 실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컨텍스트(context)의 사용성은 전자 장치 상에서 컨텍스트(context)가 사용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는데, 이 때 컨텍스트(context)는 문자(text)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문자(text)가 많이 포함된 페이지에 대해 내용 파악의 유리함 및 타이핑(typing)의 용이함을 이유로 가로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세로로 사용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문자(text)가 많이 포함된 페이지의 컨텍스트(context)의 사용성은 세로 방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Here, the context may mean configuring information about an execution state of a task when a task is performed in the operating system. The usability of a context may refer to a method in which a context is used on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n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message on a screen, and in this case, a context may mean text. Electronic devices may be used more vertically than horizontally for reasons of an advantage in understanding content and ease of typing on a page containing a lot of text.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may define that the usability of the context of a page containing a lot of text is vertical.
정량적인 물리 변화량만을 기반으로 화면 회전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 전자 장치 상에서 표시되는 컨텍스트(context)의 사용성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의도한 화면 방향과는 다르게 화면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Whe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rotate the screen based only on the quantitative amount of physical change, the usability of the context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considered, so the screen is displayed differently from the screen orientation intended by the user,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there is.
다만,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may be expand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센서, 디스플레이, 센서 및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UI(user interface) 구성 요소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UI 구성 요소에 포함된 컨텍스트(context)의 특성을 결정하고, 컨텍스트의 특성 및 전자 장치의 자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contents)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고,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른 전자 장치의 회전 각도를 센서를 통해 확인하고, 회전 각도가 제 1 값 이상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 1 값은 컨텍스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 sensor, a display, and a processor operabl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display, and the processor includes a user interface (UI) component based on a result of analysis of the context (user interface) included in the UI component. context, determine the display direction of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and the pos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n a state where the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pos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rotation angl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change may be checked through a sensor, and based on the confirmation that the rotation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value,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content may be changed. The first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은 UI 구성 요소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UI 구성 요소에 포함된 컨텍스트의 특성을 결정하는 동작, 컨텍스트의 특성 및 전자 장치의 자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contents)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른 전자 장치의 회전 각도를 센서를 통해 확인하는 동작 및 회전 각도가 제 1 값 이상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값은 컨텍스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A method of displaying a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n operation of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a context included in a UI component based on an analysis result of a UI component, and a display imag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and the pos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operation of check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change in pos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a senso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An operation of changing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content may be included based on confirming that the cont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alue. The first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표시될 컨텍스트(context)의 사용성에 기반해서 화면 회전 여부를 결정하여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회전시키거나 위치를 변화시킬 때 사용자가 의도한 화면 방향과 동일하게 화면이 표시되어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rotate the screen based on the usability of a context to be displayed, so that when the user rotates or changes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screen is display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creen intended by the user. It can be displayed to provide convenient usability.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표시될 컨텍스트(context)의 사용성에 기반해서 화면 회전 여부를 결정하여 관성 센서에 의한 정량적인 물리 변화량만을 기반으로 화면 회전 여부를 결정할 때 실제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whether to rotate the screen based on the usability of a context to be displayed and determines whether to rotate the screen based only on the amount of quantitative physical change by an inertial sensor, in a situation where the actual display is used.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not reflecting the user's intention.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various effects identified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this document may be provid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펼침 상태(unfolded stat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접힘 상태(folded stat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화면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및 회전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회전 기준선 및 기준선의 변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회전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순서도로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nfolded state of the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2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mediate state of the
3 is a plan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4A and 4B are block diagrams of a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creen rot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5A to 5C illustrate screen display and rotation situation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6A to 6C illustrate screen rotation reference lines and changes in reference line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llustrates a screen rotation situ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8 illustrates a situation of determining a main usability attribute of an application executed o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rot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The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The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The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전자 장치(1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The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peripheral devices (eg, a bus, 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GPIO), 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or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and signal ( e.g. commands or data)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 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mands or data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devices of various types.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g, a smart phone), a computer device,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 portable medical device, a camera, a wearable device, or a home appliance.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ocument is not limited to the aforementioned devices.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폴더블 전자 장치)의 펼침(unfolding)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힘(folding)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nfolded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eg,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lding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C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 1a 및 도 1b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도 2a 내지 도 2c에 개시된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c에 개시된 전자 장치(200)는 도 1a에 개시된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안테나 모듈(197) 및/또는 가입자 식별 모듈(19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개시된 전자 장치는 폴더블 전자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FIGS. 1A and 1B may be included i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FIGS. 2A to 2C. For example, the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200)는, 힌지 모듈(예: 도 2b의 힌지 모듈(264))을 기준으로 서로에 대하여 마주보며 접히는 한 쌍의 하우징(예: 제 1 하우징(210), 제 2 하우징(220))(예: 폴더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블 전자 장치(200)는 한 쌍의 하우징(예: 제 1 하우징(210), 제 2 하우징(220))의 접힘 가능한 부분을 커버하는 힌지 커버(예: 도 2b의 힌지 커버(265)) 및 한 쌍의 하우징(예: 제 1 하우징(210), 제 2 하우징(2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예: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A to 2C , the foldabl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하우징(예: 제 1 하우징(210), 제 2 하우징(2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또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가 배치된 면은 폴더블 전자 장치(200)의 전면(또는 제 1 면)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전면의 반대 면은 폴더블 전자 장치(200)의 후면(또는 제 2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은 폴더블 전자 장치(200)의 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ide on which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하우징(예: 제 1 하우징(210), 제 2 하우징(220))은 센서 영역(231d)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210), 제 2 하우징(220), 제 1 후면 커버(240), 및 제 2 후면 커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200)의 한 쌍의 하우징(210, 220)는 도 2a 및 도 2c에 도시된 형태 및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1 하우징(210)과 제 1 후면 커버(24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하우징(220)과 제 2 후면 커버(25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pair of housings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은 폴딩 축(A 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폴딩 축(A 축)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210) 및 제 2 하우징(220)은 폴더블 전자 장치(200)의 상태가 펼침(unfolding 또는 flat) 상태, 또는 접힘(folding) 상태, 또는 중간(intermediate)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210)은 제 2 하우징(220)과 달리 다양한 센서들이 배치되는 센서 영역(231d)을 추가로 포함하지만,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영역(231d)은 제 2 하우징(2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추가로 배치되거나 대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이 폴딩 축(A)을 기준으로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접힘 상태일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일부가 전자 장치(2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이 폴딩 축(A)을 중심으로 비대칭 형태로 접힐 수도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210)은, 폴더블 전자 장치(200)의 펼침 상태에서, 힌지 모듈(예: 도 2b의 힌지 모듈(264))에 연결되며, 폴더블 전자 장치(2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 1 면(211), 상기 제 1 면(21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212), 및 상기 제 1 면(211)과 제 2 면(212)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 1 측면 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측면 부재(213)는 폴딩 축(A 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측면(213a), 상기 제 1 측면(213a)의 일단으로부터 폴딩 축(A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측면(213b) 및 상기 제 1 측면(213a)의 타단으로부터 폴딩 축(A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측면(213c)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220)은, 전자 장치(200)의 펼침 상태에서, 힌지 모듈(예: 도 2b의 힌지 모듈(264))과 연결되며, 폴더블 전자 장치(2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 3 면(221), 상기 제 3 면(22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4 면(222), 및 상기 제 3 면(221) 및 제 4 면(222)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 2 측면 부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측면 부재(223)는 폴딩 축(A 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4 측면(223a), 상기 제 4 측면(223a)의 일단으로부터 폴딩 축(A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5 측면(223b) 및 상기 제 4 측면(223a)의 타단으로부터 폴딩 축(A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6 측면(223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면(221)은 접힘 상태에서 제 1 면(211)과 마주보도록 대면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블 전자 장치(200)는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구조적인 결합을 통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리세스(recess, 201)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2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영역(231d)으로 인해, 리세스(201)는 폴딩 축(A 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201)는 제 2 하우징(220)의 제 1 부분(220a)과 제 1 하우징(210) 중 센서 영역(231d)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 1 부분(210a) 사이의 제 1 폭(W1), 및 제 2 하우징(220)의 제 2 부분(220b)과 제 1 하우징(210) 중 센서 영역(231d)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폴딩 축(A 축)에 평행한 제 2 부분(210b)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폭(W2)은 제 1 폭(W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201)는 상호 비대칭 형상을 갖는 제 1 하우징(210)의 제 1 부분(210a)으로부터 제 2 하우징(220)의 제 1 부분(220a)까지 형성되는 제 1 폭(W1)과, 상호 대칭 형상을 갖는 제 1 하우징(210)의 제 2 부분(210b)으로부터 제 2 하우징(220)의 제 2 부분(220b)까지 형성되는 제 2 폭(W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210)의 제 1 부분(210a) 및 제 2 부분(210b)은 폴딩 축(A 축)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201)의 폭은 도시된 예시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영역(231d)의 형태 또는 제 1 하우징(210) 및 제 2 하우징(220)의 비대칭 형상을 갖는 부분에 의해 리세스(201)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도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oldabl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210) 및 제 2 하우징(220)의 적어도 일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기 위해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t least a portion of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영역(231d)은 제 1 하우징(210)의 일측 코너에 인접하여 소정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영역(231d)은, 전자 장치(2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하부에 배치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센서 영역(231d)의 배치, 형상, 또는 크기는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영역(231d)은 제 1 하우징(210)의 다른 코너 혹은 상단 코너와 하단 코너 사이의 임의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영역(231d)은 제 2 하우징(2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센서 영역(231d)은 제 1 하우징(210) 및 제 2 하우징(220)에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블 전자 장치(200)는 센서 영역(213d)을 통하거나, 또는 센서 영역(231d)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통해 폴더블 전자 장치(200)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다양한 부품들(components)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양한 부품들은,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장치, 리시버, 근접 센서, 조도 센서, 홍채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인디케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후면 커버(240)는 제 1 하우징(210)의 제 2 면(212)에 배치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가장자리(periphery)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하우징(21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제 2 후면 커버(250)는 제 2 하우징(220)의 제 4 면(222)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하우징(220)에 의해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감싸질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후면 커버(240) 및 제 2 후면 커버(250)는 폴딩 축(A 축)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후면 커버(240) 및 제 2 후면 커버(250)는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후면 커버(240)는 제 1 하우징(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후면 커버(250)는 제 2 하우징(2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후면 커버(240), 제 2 후면 커버(250), 제 1 하우징(210), 및 제 2 하우징(220)은 서로 결합된 구조를 통해 폴더블 전자 장치(200)의 다양한 부품들(예: 인쇄 회로 기판, 안테나 모듈(예: 도 1a의 안테나 모듈(197)), 센서 모듈(예: 도 1a의 센서 모듈(176)), 또는 배터리(예: 도 1a의 배터리(189)))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블 전자 장치(200)의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부품(components)이 배치되거나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후면 커버(240)의 제 1 후면 영역(241)을 통해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센서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 후면 카메라 장치, 및/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후면 커버(250)의 제 2 후면 영역(251)을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252)의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252)는 제 2 후면 커버(250)의 제 4 면(222)의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예: 도 1a의 디스플레이 모듈(160))는, 한 쌍의 하우징 (예: 제 1 하우징(210), 제 2 하우징(220))에 의해 형성된 공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한 쌍의 하우징(210, 220)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201)에 안착될 수 있으며, 폴더블 전자 장치(200)의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블 전자 장치(200)의 전면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에 인접한 제 1 하우징(21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 및 제 2 하우징(22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블 전자 장치(200)의 후면은 제 1 후면 커버(240), 제 1 후면 커버(240)에 인접한 제 1 하우징(21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 제 2 후면 커버(250) 및 제 2 후면 커버(250)에 인접한 제 2 하우징(22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lexible display 230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벤딩 영역(231c)(예: 폴딩 영역), 상기 벤딩 영역(231c)을 기준으로 일측(예: 벤딩 영역(231c)의 우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평면 영역(231a) 및 타측(예: 폴딩 영역(231c)의 좌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평면 영역(231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평면 영역(231a)은 제 1 하우징(210)의 제 1 면(211)에 배치되고, 제 2 평면 영역(231b)은 제 2 하우징(220)의 제 3 면(22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영역 구분은 예시적인 것이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구조 또는 기능에 따라 복수(예를 들어, 4개 이상 또는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y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벤딩 영역(231c) 또는 폴딩 축(A 축)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영역이 구분될 수 있으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다른 벤딩 영역(예: x축에 평행한 폴딩 영역) 또는 다른 폴딩 축(예: x축에 평행한 폴딩 축)을 기준으로 영역이 구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영역 구분은 한 쌍의 하우징(210, 220) 및 힌지 모듈(예: 도 2b의 힌지 모듈(264))에 의한 물리적 구분일 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실질적으로 한 쌍의 하우징(210, 220) 및 힌지 모듈(예: 도 2b의 힌지 모듈(264))을 통해 하나의 전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평면 영역(231a)과 제 2 평면 영역(231b)은 벤딩 영역(231c)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평면 영역(231a)은, 제 2 평면 영역(231b)과 달리, 센서 영역(231d)의 존재에 따라 컷(cut)된 노치(notch) 영역(예: 도 2b의 노치 영역(233))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의 영역에서는 제 2 평면 영역(231b)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평면 영역(231a)과 제 2 평면 영역(231b)은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과, 서로 비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영역(231d)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아래(예: -Z방향)에 배치되거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노치(notch) 영역(233)이 생략됨에 따라, 제 1 평면 영역(231a)과 제 2 평면 영역(231b)은 벤딩 영역(231c)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도 2b를 참조하면, 폴더블 전자 장치(200)는 힌지 커버(265)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커버(265)는,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부품(예: 도 2b의 힌지 모듈(264))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커버(265)는, 폴더블 전자 장치(200)의 작동 상태(예: 펼침(unfolding) 상태 또는 접힘(folding) 상태)에 따라, 제 1 하우징(210) 및 제 2 하우징(2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 커버(265)는 힌지 모듈(예: 도 2b의 힌지 모듈(264))을 지지하고, 폴더블 전자 장치(200)가 접힘 상태일 때, 외부로 노출되고, 펼침 상태일 때, 제 1 공간(예: 제 1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 및 제 2 공간(예: 제 2 하우징(22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 the foldabl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일 때, 힌지 커버(265)는 제 1 하우징(210) 및 제 2 하우징(220)에 의해 가려져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전자 장치(200)가 접힘 상태일 때, 힌지 커버(265)는 제 1 하우징(210) 및 제 2 하우징(220)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210) 및 제 2 하우징(220)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folded with a certain angle)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265)는 제 1 하우징(210) 및 제 2 하우징(220)의 사이에서 폴더블 전자 장치(200)의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노출되는 영역은 폴더블 전자 장치(200)가 완전히 접힌 상태보다 적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커버(265)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shown in FIG. 2A , when the foldabl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블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예: 도 2a)일 때, 제 1 하우징(210) 및 제 2 하우징(220)은 실질적으로 약 180°의 각도를 이루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제 1 평면 영역(231a) 및 제 2 평면 영역(231b)은 동일 방향(예: 수평)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벤딩 영역(231c)은 제 1 평면 영역(231a) 및 제 2 평면 영역(231b)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foldabl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블 전자 장치(200)가 접힘 상태(예: 도 2b 상태)일 때, 제 1 하우징(210) 및 제 2 하우징(22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제 1 평면 영역(231a)과 제 2 평면 영역(231b)은 서로 소정의 각도(예: 약 0°내지 10°사이)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이 경우, 벤딩 영역(231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구부려질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foldabl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블 전자 장치(200)가 중간 상태인 경우, 제 1 하우징(210) 및 제 2 하우징(220)은 서로 소정의 각도(예: 약 85°내지 약 95° 사이)로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제 1 평면 영역(231a)과 제 2 평면 영역(231b)은 접힘 상태보다 크고, 펼침 상태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벤딩 영역(231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구부려질 수 있다. 이 경우, 벤딩 영역(231c)의 곡률은 접힘 상태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foldable
도 2c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는 힌지 모듈(예: 도 2b의 힌지 커버(265))을 통해 중간 상태를 유지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상태는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펼침 상태와 접힘 상태의 사이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로,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폴딩 각도가 제 3 기준 범위(예: 약 20도 ~ 약 170도)에 포함되는 동작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중간 상태에서 힌지 모듈(예: 도 2b의 힌지 커버(265))을 통해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이 다양한 각도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예로,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펼침 상태는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폴딩 각도가 제 1 기준 범위(예: 약 170도 ~ 약 180도)에 포함되는 동작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접힘 상태는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폴딩 각도가 제 2 기준 범위(예: 약 0도 ~ 약 20도)에 포함되는 동작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C ,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폴딩 각도에 기반하여 제 1 디스플레이(23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235)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제 1 범위(예: 약 20도 ~ 약 75도)에 포함되는 경우, 제 2 디스플레이(235)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제 2 범위(예: 약 75도 ~ 약 170도)에 포함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23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제 1 면(211)과 대응하는 제 1 디스플레이(230)의 제 1 영역과, 제 3 면(221)과 대응하는 제 1 디스플레이(230)의 제 2 영역에 서로 다른 콘텐트가 표시되도록 제 1 디스플레이(2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예로, 지정된 제 1 범위 및/또는 지정된 제 2 범위는 중간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제 3 기준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평면도이다. 일예로, 도 3의 전자 장치(3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3 is a plan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an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 of FIG. 3 may be at least partially similar to the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 1 하우징(310), 제 2 하우징(320), 제 1 안테나(301), 제 2 안테나(302), 인쇄 회로 기판(330) 및 힌지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n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 first housing 310, a second housing 320, a first antenna 301, a second antenna 302, a printed circuit board ( 330) and a hinge module 3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301)는 제1하우징(310)의 끝 단(예: +y 방향의 끝단) 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안테나(302)는 제2하우징(320)의 끝 단(예: - y방향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antenna 301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first housing 310 (eg, an end in the +y direction), and the second antenna 302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housing 320. It can be placed at the end of (eg - the end of the y direc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310)은 힌지 모듈(340)의 제 1 측과 적어도 일부가 결합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310)은 제 1 측면(313a), 제 1 측면(313a)의 일단으로부터 폴딩 축(A 축) 방향(예: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측면(313b) 및 제 1 측면(313a)의 타단으로부터 폴딩 축(A 축) 방향(예: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측면(31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310)은 힌지 모듈(340)의 폴딩 축(A 축)을 중심으로 제 2 하우징(320)과 접힘 및 펼침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housing 310 may be at least partially coupled to the first side of the hinge module 340 . The first housing 310 includes a first side surface 313a, a second side surface 313b extending in a folding axis (A axis) direction (eg, -y axis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first side surface 313a, and a first housing 313b. A third side surface 313c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ide surface 313a in a folding axis (A-axis) direction (eg, -y-axis direction) may be included. The first housing 310 may be configured to be folded and unfolded with the second housing 320 around the folding axis (axis A) of the hinge module 34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320)은 힌지 모듈(340)의 제 2 측과 적어도 일부가 결합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320)은 제 4 측면(323a), 제 4 측면(323a)의 일단으로부터 폴딩 축(A 축) 방향(예: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5 측면(323b) 및 제 4 측면(323a)의 타단으로부터 폴딩 축(A 축) 방향(예: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6 측면(32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320)은 힌지 모듈(340)의 폴딩 축(A 축)을 중심으로 제 1 하우징(310)과 접힘 및 펼침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housing 320 may be at least partially coupled to the second side of the hinge module 340 . The second housing 320 includes a fourth side surface 323a, a fifth side surface 323b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ourth side surface 323a in a folding axis (A-axis) direction (eg, a y-axis direction), and a fourth side surface. A sixth side surface 323c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323a in a folding axis (A-axis) direction (eg, a y-axis direction) may be included. The second housing 320 may be configured to be folded and unfolded with the first housing 310 around the folding axis (A axis) of the hinge module 340 .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310), 힌지 모듈(340) 및 제 2 하우징(320)의 상부(예: -z축 방향)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예: 도 2a 또는 도 2b의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230))가 접힘 및/또는 펼침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lexible display 230 (eg,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310, the hinge module 340, and the second housing 320 (eg, in the -z-axis direction) is provided. At least on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모듈(340)은 제 1 하우징(310) 및 제 2 하우징(32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하우징(310) 및 제 2 하우징(320)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 모듈(340)은 제 1 하우징(310) 및 제 2 하우징(320)이 폴딩 축(A 축)을 기준으로 접힘 상태 및/또는 펼침 상태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힌지 모듈(340)은 제 1 측이 제 1 하우징(310)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고, 제 2 측이 제 2 하우징(320)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inge module 34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using 310 and the second housing 320, and the first housing 310 and the second housing 320 are configured to be rotatable. can The hinge module 340 may be arranged so that the first housing 310 and the second housing 320 are in a folded state and/or an unfolded state based on a folding axis (A axis). The hinge module 340 may have a first side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310 and a second side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32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301) 는 제 1 하우징(310)의 제 1 측면(313a)에 형성된 제 1 분절부(311) 및 제 2 분절부(3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안테나(301)는 인쇄 회로 기판(330)에 배치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및 급전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안테나(301)는 지정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antenna 30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gment 311 and the second segment 312 formed on the first side surface 313a of the first housing 310 . The first antenna 30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ocessor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301)는 내측에 일체로 결합된 제 1 급전 포인트(3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급전 포인트(351)는 인쇄 회로 기판(330)에 연결된 제 1 신호 연결 부재(3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신호 연결 부재(341)는 동축 케이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FRC(FPCB type RF cable)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antenna 301 may include a first feed point 351 integrally coupled to the inner side. The first power supply point 35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ignal connection member 341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330 . For example, the first signal connection member 341 may include one of a coaxial cabl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or an FPCB type RF cable (FRC).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안테나(302)는 제 2 하우징(320)의 제 4 측면(323a)에 형성된 제 3 분절부(321) 및 제 4 분절부(3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안테나(302)는 인쇄 회로 기판(330)에 배치된 프로세서(120) 및 급전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안테나(302)는 지정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antenna 30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segments 321 and 322 formed on the fourth side surface 323a of the second housing 320 . The second antenna 30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안테나(302)는 내측에 일체로 결합된 제 2 급전 포인트(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급전 포인트(352)는 인쇄 회로 기판(330)에 연결된 제 2 신호 연결 부재(3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신호 연결 부재(342)는 동축 케이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FRC(FPCB type RF cable)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antenna 302 may include a second feed point 352 integrally coupled thereto. The second power supply point 35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ignal connection member 342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330 . The second signal connection member 342 may include one of a coaxial cabl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or an FPCB type RF cable (FRC).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회로 기판(330)은 제 1 신호 연결 부재(341)를 이용하여 제 1 안테나(301)의 제 1 급전 포인트(3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급전 포인트(351)는 제 1 안테나(30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inted circuit board 3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feed point 351 of the first antenna 301 using the first signal connecting member 341 . The first feed point 351 may supply power to the first antenna 301 .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회로 기판(330)은 제 2 신호 연결 부재(342)를 이용하여 제 2 안테나(302)의 제 2 급전 포인트(3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급전 포인트(352)는 제 2 안테나(30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inted circuit board 3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eed point 352 of the second antenna 302 using the second signal connection member 342 . The second feed point 352 may supply power to the second antenna 302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예: 도 1의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300)의 힌지 모듈(340)을 기준으로 제 1 하우징(310) 및 제 2 하우징(320)이 펼침(unfolding) 상태 또는 접힘(folding)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제 1 하우징(310) 및 제 2 하우징(320)의 펼침 상태 또는 접힘 상태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를 프로세서(120)에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or module (eg, the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화면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a의 전자 장치(4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a 내지 2c의 전자 장치(200)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4A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creen rot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프로세서(410), 제 1 디스플레이(420), 제 1 센서(440), 및/또는 메모리(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도 1의 프로세서(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프로세서(120)에 포함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420) 는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16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60)에 포함될 수 있다. 제 1 센서(440)는 도 1의 센서 모듈(176)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센서 모듈(176)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460)는 도 1의 메모리(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메모리(130)에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420)는 도 2a의 제 1 디스플레이(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제 1 디스플레이(230)에 포함될 수 있다. 제 1 센서(440)는 도 2a의 제 1 관성 센서(283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제 1 관성 센서(283a)에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420) 는 전자 장치(4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420) 는 프로세서(410)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420) 는 전자 장치(400)가 대기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는 경우, 저전력 표시 모드(예: AOD(always on display))와 관련된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전자 장치(400)의 대기 모드는 프로세서(41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구동이 제한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센서(440)는 전자 장치(400)의 제 1 하우징(예: 도 2a의 제 1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센서(440)는 제 1 하우징(예: 도 2a의 제 1 하우징(210))의 정적인 정보(예: 전자 장치(400)의 자세) 또는 움직임과 관련된 정보(예: 각속도 및/또는 가속도)를 수집하여 프로세서(410)로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센서(440)는 관성 센서, 모션 센서, 6축 센서, 제 1 자이로 센서 및/또는 제 1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1 디스플레이(420) 및/또는 제 1 센서(4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프로세서(4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센서 허브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전자 장치(400)가 고성능 및 저전력 모드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제 1 센서(440)는 고성능 및/또는 저전력 모드에서 구동되고, 제 1 디스플레이(420)는 고성능 모드에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메인 프로세서(예: 도 1의 메인 프로세서(121)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함께 구동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보조 프로세서(예: 도 1의 보조 프로세서(123), supplementary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구동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제 1 센서(440)는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메인 프로세서(121)가 휴면(sleep) 중인 상태에서 보조 프로세서(123)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제 1 센서(440)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동작(awake) 중인 상태에서 보조 프로세서(121) 및/또는 메인 프로세서(121)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예로, 제 1 디스플레이(420)의 활성 상태(예: 메인 프로세서(121)가 동작 중인 상태)는 디스플레이(예: 제 1 디스플레이(420))의 모든 픽셀이 활성화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센서(440) 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또는 보조 프로세서(123)(예: 센서 허브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ctive state of the first display 420 (eg, the state in which the
일예로, 제 1 디스플레이(420) 의 비활성 상태(예: 메인 프로세서(121)가 휴면 중인 상태)는 디스플레이(예: 제 1 디스플레이(420)) 의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 비활성화된 상태 또는 모든 픽셀이 비활성화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디스플레이(420)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메인 프로세서(1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비활성화되고, 보조 프로세서(123)(예: 센서 허브 프로세서)가 제 1 센서(440)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an inactive state of the first display 420 (eg, a state in which the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화면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b의 전자 장치(4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a 내지 2c의 전자 장치(200)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4B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creen rot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프로세서(410), 제 1 디스플레이(420), 제 2 디스플레이(430), 제 1 센서(440), 제 2 센서(450) 및/또는 메모리(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400)가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센서의 수는 2개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일 예시일 뿐 전자 장치(400)가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센서의 수가 반드시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성에 따라 전자 장치(400)는 더 많은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도 1의 프로세서(120) 및 도 4a의 프로세서(4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프로세서(120)에 포함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420) 및/또는 제 2 디스플레이(430)는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16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60)에 포함될 수 있다. 제 1 센서(440) 및/또는 제 2 센서(450)는 도 1의 센서 모듈(176)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센서 모듈(176)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460)는 도 1의 메모리(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메모리(130)에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420)는 도 2a의 제 1 디스플레이(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제 1 디스플레이(230)에 포함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430)는 도 2a의 제 2 디스플레이(23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제 2 디스플레이(235)에 포함될 수 있다. 제 1 센서(440)는 도 2a의 제 1 관성 센서(283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제 1 관성 센서(283a)에 포함될 수 있다. 제 2 센서(450)는 도 2a의 제 2 관성 센서(283b)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제 2 관성 센서(283b)에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420)는 전자 장치(400)의 제 1 하우징(예: 도 2a의 제 1 하우징(210))의 제 1 면(예: 도 2a의 제 1 면(211))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 2 하우징(예: 도 2a의 제 2 하우징(220))의 제 3 면(예: 도 2a의 제 3 면(221))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420)는 제 1 하우징(예: 도 2a의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예: 도 2a의 제 2 하우징(220))의 폴딩 각도에 기반하여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경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디스플레이(430)는 전자 장치(400)의 제 2 하우징(예: 도 2a의 제 2 하우징(220))의 내부 공간에서 제 4 면(예: 도 2a의 제 4 면(222))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여지도록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420) 및/또는 제 2 디스플레이(430)는 전자 장치(4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420) 및/또는 제 2 디스플레이(430)는 프로세서(410)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420) 및/또는 제 2 디스플레이(430)는 전자 장치(400)가 고성능 및/또는 저전력 모드를 의미하는 대기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는 경우, 저전력 표시 모드(예: AOD(always on display))와 관련된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전자 장치(400)의 대기 모드는 프로세서(41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의 적어도 일부 구동이 제한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센서(440)는 전자 장치(400)의 제 1 하우징(예: 도 2a의 제 1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센서(440)는 제 1 하우징(예: 도 2a의 제 1 하우징(210))의 정적인 정보(예: 전자 장치(400)의 자세) 또는 움직임과 관련된 정보(예: 각속도 및/또는 가속도)를 수집하여 프로세서(410)로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센서(440)는 관성 센서, 모션 센서, 6축 센서, 제 1 자이로 센서 및/또는 제 1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센서(450)는 전자 장치(400)의 제 2 하우징(예: 도 2a의 제 2 하우징(220))의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센서(450)는 제 2 하우징(예: 도 2a의 제 2 하우징(220))의 정적인 정보(예: 전자 장치(400)의 자세) 또는 움직임과 관련된 정보(예: 각속도 및/또는 가속도)를 수집하여 프로세서(410)로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센서(450)는 관성 센서, 모션 센서, 6축 센서, 제 2 자이로 센서 및/또는 제 2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1 디스플레이(420), 제 2 디스플레이(430), 제 1 센서(440) 및/또는 제 2 센서(4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프로세서(4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센서 허브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전자 장치(400)의 폴딩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1 디스플레이(420) 및/또는 제 2 디스플레이(430)가 활성 상태(예: 메인 프로세서(121)가 동작 중인 상태)인 경우, 제 1 센서(440) 및 제 2 센서(450)를 통해 수집한 센서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 1 하우징(예: 도 2a의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예: 도 2a의 제 2 하우징(220))의 폴딩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제 1 디스플레이(420) 및/또는 제 2 디스플레이(430)가 활성 상태인 경우, 제 1 센서(440), 제 2 센서(450) 및 자기 감지 센서(예: hall IC)를 이용하여 제 1 하우징(예: 도 2a의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예: 도 2a의 제 2 하우징(220))의 폴딩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일예로, 자기 감지 센서는 제 1 하우징(또는 제 2 하우징)에 배치되어 제 2 하우징(또는 제 1 하우징)에 배치된 자성체에서 발생되는 자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디스플레이(420) 및/또는 제 2 디스플레이(430)의 활성 상태는 디스플레이(예: 제 1 디스플레이(420) 및/또는 제 2 디스플레이(430))의 모든 픽셀이 활성화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프로세서(41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제 1 디스플레이(420) 및/또는 제 2 디스플레이(430)의 활성 상태인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센서(440) 및/또는 제 2 센서(45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또는 보조 프로세서(123)(예: 센서 허브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1 디스플레이(420) 및 제 2 디스플레이(430)가 비활성 상태(예: 메인 프로세서(121)가 휴면 중인 상태)인 경우, 제 1 센서(440)의 적어도 일부(예: 제 1 가속도 센서) 및/또는 제 2 센서(450)의 적어도 일부(예: 제 2 가속도 센서)를 통해 수집한 센서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 1 하우징(예: 도 2a의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예: 도 2a의 제 2 하우징(220))의 폴딩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디스플레이(420) 및/또는 제 2 디스플레이(430)의 비활성 상태는 디스플레이(예: 제 1 디스플레이(420) 및/또는 제 2 디스플레이(430))의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 비활성화된 상태 또는 모든 픽셀이 비활성화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디스플레이(420) 및/또는 제 2 디스플레이(430)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410)의 메인 프로세서(1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비활성화되고, 보조 프로세서(123)(예: 센서 허브 프로세서)가 제 1 센서(440) 및/또는 제 2 센서(450)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화면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400)의 형태는 도 4a 내지 도 4b의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롤러블(rollable)이나 멀티 폴딩(multi-folding)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The form of the
도 5a 내지 도 5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및 회전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5A to 5C illustrate screen display and rotation situation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5a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4a의 전자 장치(400))는 제1디스플레이(예: 도 4a의 제1디스플레이(420)) 상에서 표시되는 전자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510)를 제공할 수 있다. UI(user interface)(510)는 화면 자동 회전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아이콘(515)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아이콘(515) 상의 사용자 입력(예: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화면 자동 회전 기능을 켜거나 끌 수 있다.According to FIG. 5A, an electronic device (eg, the
도 5a의 그림 520 및 그림 530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아이콘(515) 상의 사용자 입력(예: 프레스 입력)에 기반하여 제1디스플레이(420) 상에 화면 자동 회전 기능과 관련된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설정 화면 상에 자동 회전 기능이 사용 중인지 여부, 회전 버튼 표시 여부 및 가로 모드로 회전하는 상황에 대한 설정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S. 520 and 530 of FIG. 5A , the
도 5b는 전자 장치(400)의 사용자가 보행 중이거나 서 있는 상황에서 전자 장치(400)를 파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5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user of the
그림 540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사용자가 보행 중일 때 지면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가로로 눕혀진 상태일 수 있다. 지면을 기준으로 가로로 눕혀진 상태는 지면에 더 가까운 전자 장치(400)의 일면이 상단(예: 도 2b의 음향 출력 장치(227)를 포함하는 커버 부분) 및/또는 하단(예: 도 2b의 음향 출력 장치(228)를 포함하는 커버 부분)이 아닌, 측면(예: 도 2b의 힌지 커버(265)가 위치한 부분)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측면(예: 도 2b의 힌지 커버(265)가 위치한 부분)은 일반적으로 상단(예: 도 2b의 음향 출력 장치(227)를 포함하는 커버 부분) 및 하단(예: 도 2b의 음향 출력 장치(228)를 포함하는 커버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0)가 폴더블(foldable) 디바이스의 형태를 포함하는 경우, 그림 540은 폴딩(folding)상태의 전자 장치(400)를 기준으로 전자 장치(400)가 가로로 눕혀진 상태로 해석될 수 있다. According to Figure 540, the
전자 장치(400)는 제1센서(44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400)의 파지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림 540의 상황에서, 전자 장치(400)는 지면을 기준으로 가로로 눕혀진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고, 자동 회전 기능을 활성화하고, 제1디스플레이(420)가 가로 모드(landscape mode)로 동작하도록 제1디스플레이(420)를 제어할 수 있다. 가로 모드는 제1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큰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세로 모드는 제1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큰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에 대해서는 도 5c에서 설명될 것이다. The
그림 550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400)를 사용하기 위해 바라보는 상황에서 제1디스플레이(420)의 전면(예: 화면이 표시되는 면)이 사용자를 향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400)는 여전히 제1디스플레이(420) 상에 가로로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세로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편리한 상태인 경우에도, 가로로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According to Figure 550, the
도 5c는 전자 장치(400)의 제1디스플레이(420)상에 표시되는 가로 모드(570) 및 세로 모드(560)을 도시한 것이다.FIG. 5C illustrates a
세로 모드(560)은 제1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세로 길이(h1)가 가로 길이(w1)보다 큰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세로 모드(portrait mode)로 동작하는 경우, 세로 모드(56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 1 디스플레이(420)를 제어할 수 있다. 가로 모드(570)은 제1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가로 길이(w2)가 세로 길이(h2)보다 큰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가로 모드(landscape mode)로 동작하는 경우, 가로 모드(57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 1 디스플레이(4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전자 장치(400)는 제1센서(4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파지 상태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파지 상태에 기반하여 제1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제1센서(예: 도 4a의 제1센서(44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400)의 화면이 회전된 방향을 감지하고, 회전된 방향에 대응하도록 표시되는 화면을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400)는 센서(예: 도 4a의 제1센서(440))를 이용하여 정량적인 물리 변화량만을 기준으로 획일적으로 화면을 회전시켜 전자 장치(400)의 실제 사용 환경과는 부합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다수의 사용자가 세로로 사용하는 속성의 어플리케이션(예: 텍스트(text)를 포함하는 노트(not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때 세로 회전 반응성이 느려 사용자에게 회전 지연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 지연은 사용자가 세로로 전자 장치(400)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가로 모드가 세로 모드로 회전되어 제공되어야 하는데, 회전 판단이 느려서 여전히 가로 모드가 제공되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회전 지연은 가로로 전자 장치(400)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세로 모드가 가로 모드로 회전되어 제공되어야 하는데, 회전 판단이 느려서 여전히 세로 모드가 제공되는 상황을 의미할 수도 있다. 화면 지연 상황은 도 7에서 설명될 것이다. The
이하 도 6a 내지 도 9 에서는 표시되는 컨텍스트의 사용성 속성을 기반으로 전자 장치의 회전을 제어하여 전자 장치의 회전 지연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6A to 9 , a method of preventing a rotation delay of an electronic device by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usability property of the displayed context will be described.
도 6a 내지 도 6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회전 기준선 및 기준선의 변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6A to 6C illustrate screen rotation reference lines and changes in reference line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4a의 전자 장치(40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web)사이트의 주 사용성과 관련된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주 사용성은 표시되는 컨텍스트(context)의 사용성을 의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electronic device (eg, the
여기서 컨텍스트(context)는 운영 체제 내에서 작업(task)이 수행될 때 해당 작업(task)의 실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컨텍스트(context)의 사용성은 전자 장치 상에서 컨텍스트(context)가 사용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는데, 이 때 컨텍스트(context)는 문자(text)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context may mean configuring information about an execution state of a task when a task is performed in the operating system. The usability of a context may refer to a method in which a context is used on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n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message on a screen, and in this case, a context may mean tex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포어 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web)의 주 사용성과 관련된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포어 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web)은 그래픽 구성을 위한 스크린(screen), 윈도우(window) 또는 가젯(gadge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 구성 요소(component)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 중 복수의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구성 중 더 많이 포함된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특성(예: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 및 이미지(image)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고, 전체 컨텐츠 상에서 문자(text)가 차지하는 비율 및 전체 컨텐츠 상에서 이미지(image)가 차지하는 비율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비율을 갖는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예: 제1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contents)의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컨텍스트(context)는 운영 체제 내에서 작업(task)이 수행될 때 해당 작업(task)의 실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컨텐츠(contents)는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의 내용을 의미할 수 있다. 컨텐츠(contents)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하기는 어려운 컨텍스트(context)와는 달리 디스플레이(4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문자(text)를 더 많이 포함하는지 또는 문자(text)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을 더 많이 포함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 및 이미지(image)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고, 전체 컨텐츠 상에서 문자(text)가 차지하는 비율 및 전체 컨텐츠 상에서 이미지(image)가 차지하는 비율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비율을 갖는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예: 제1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contents)의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전자 장치(400)는 이러한 결정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를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정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은 세로 사용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문자(text)를 더 많이 포함하는지 또는 문자(text)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을 더 많이 포함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포함하는 경우, 세로 모드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400)는 문자(text)가 다른 영상(video)이나 이미지(image)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된 컨텍스트(context)의 사용성은 세로 모드 사용성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The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이미지(image)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출력하도록 설정된 경우, 출력되는 정보를 가로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영상(video)을 포함하는 컨텍스트에 대해 세로 모드보다는 가로 모드에서 화면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표시되는 것을 이유로 컨텍스트를 세로로 표시하는 경우보다 가로로 표시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400)는 영상(video) 또는 이미지(image)가 문자(text)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된 컨텍스트의 사용성은 가로 모드 사용성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컨텍스트의 사용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400)는 컨텍스트의 사용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표시 방향의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의 표시 방향의 변경은,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모드(예: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컨텍스트의 사용성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회전 기준을 결정할 수 있다. 회전 기준은, 전자 장치(400)가 컨텐츠의 표시 방향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400)는, 전자 장치(400)의 회전 각도 및/또는 기울기 각도가 지정된 크기 이상(또는, 초과)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전자 장치(400)는, 컨텍스트의 사용성(예: 세로 모드 사용성, 가로 모드 사용성)에 따라서, 다른 회전 기준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의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400)는, 세로 모드 사용성을 갖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전자 장치(400)의 회전 각도 및/또는 기울기 각도가 제 1 값 이상(또는, 초과)인지 여부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가로 모드 사용성을 갖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전자 장치(400)의 회전 각도 및/또는 기울기 각도가 제 2 값 이상(또는, 초과)인지 여부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제 1 값을 제 2 값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세로 모드 사용성을 갖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컨텐츠의 표시 방향의 변경을 세로 모드 변경 대비 가로 모드 변경이 상대적으로 더 어렵게 발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제 1 값을 제 2 값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가로 모드 사용성을 갖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컨텐츠의 표시 방향의 변경을 가로 모드 변경 대비 세로 모드 변경이 상대적으로 더 쉽게 발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컨텍스트의 사용성에 기반하여 다른 회전 기준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서술한다. The
도 6a에 따르면, 전자 장치(600)는 도 4의 전자 장치(400)의 구성 및/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600)는 센서(예: 도 4의 제1센서(44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600)의 기울기 방향 및 회전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600)는 y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각도가 측정될 수 있다. 도 6a 에 따르면 전자 장치(600)는 디스플레이(예: 도 4의 제1디스플레이(420))가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상태에서 y축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약 45도 회전 시 회전 각도를 약 45도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600)는 디스플레이(예: 도 4의 제1디스플레이(420)가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상태에서 y축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약 45도 회전 시 회전 각도를 약 315도(= 360도 - 45도)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 6A , an
도 6b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410))는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가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함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예: 가로 방향에서 세로 방향으로 회전)이 상대적으로 덜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6B , a processor (eg, the
프로세서(410)는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값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예: 가로 방향에서 세로 방향으로 회전)이 상대적으로 쉽게 일어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값은 사전에 설정된 전자 장치(600)의 회전 각도를 의미하며, 컨텍스트의 주 사용성 속성에 기반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그림 610은 및 그림 620은 전자 장치(600)의 자동 회전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경계선을 도시한 것이다. 그림 610 및 그림 620은 각각 다른 수준의 경계선을 포함하며, 경계선의 설정에 따라, 프로세서(410)는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가로 회전을 세로 회전보다 상대적으로 쉽게 실행할 수도 있고, 세로 회전을 가로 회전보다 상대적으로 더 쉽게 실행할 수도 있다. 그림 610의 상한 경계선(605)은 제 2 사분면을 기준으로 약 35도이고, 그림 620의 상한 경계선(605)은 제 2 사분면을 기준으로 약 25도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610의 경우, 상한 경계선(605)의 각도가 그림 620의 상한 경계선(605)의 각도보다 상대적으로 커서 가로 전환 시 약 25도 보다 더 큰 약 35도를 회전시켜야만 화면이 전환될 수 있다. 그래서 그림 610처럼 상한 경계선(605)의 각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되는 경우 프로세서(410)는 컨텐츠의 가로 회전보다는 세로 회전을 상대적으로 더 쉽게 실행할 수 있다. Figures 610 and 620 show boundary line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automatically rotate the
그림 610에 따르면, 전자 장치(600)의 자동 회전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1수준은 초기 경계선(601), 상한 경계선(605) 및 하한 경계선(603)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ure 610, the first level for determining whether to automatically rotate the
전자 장치(600)는 초기 경계선(601)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600)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놓여있는지 또는 가로 방향으로 놓여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전자 장치(600)는 도 6b의 제4사분면을 기준으로 y축과 초기 경계선(601) 사이에 전자 장치(600)의 기울기 각도가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600)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놓여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600)는 도 6b의 제4사분면을 기준으로 x축과 초기 경계선(601) 사이에 전자 장치(600)의 기울기 각도가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600)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놓여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도 6b상의 초기 경계선(601)은 일 예시일 뿐이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전자 장치(600)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놓여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전자 장치(600)는 상한 경계선(605)을 이용하여 표시되는 컨텐츠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킬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 610에서, 전자 장치(600)는 도 6b의 제4사분면에서 y축을 기준으로 x축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황에서, 전자 장치(600)의 회전 각도가 일정 수준(예: 약 30도)인 경우 약 35도를 지시하는 상한 경계선(605)을 초과하지 않았으므로 표시되는 컨텐츠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그림 620에서, 전자 장치(600)는 도 6b의 제4사분면에서 y축을 기준으로 x축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황에서, 전자 장치(600)의 회전 각도가 일정 수준(예: 약 30도)인 경우 약 25도를 지시하는 상한 경계선(605)을 초과하였으므로 표시되는 컨텐츠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도 6b상의 상한 경계선(605)은 일 예시일 뿐이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또는 전자 장치(600)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놓여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전자 장치(600)는 하한 경계선(603)을 이용하여 표시되는 컨텐츠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킬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 610에서, 전자 장치(600)는 도 6b의 제1사분면에서 y축을 기준으로 x축을 향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황에서, 전자 장치(600)의 회전 각도가 일정 수준(예: 약 -30도 또는 약 330도)인 경우 약 -35도(또는 약 325도)를 지시하는 하한 경계선(603)을 초과하지 않았으므로 표시되는 컨텐츠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그림 620에서, 전자 장치(600)는 도 6b의 제1사분면에서 y축을 기준으로 x축을 향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황에서, 전자 장치(600)의 회전 각도가 일정 수준(예: 약 -30도 또는 약 330도)인 경우 약 -25도(또는 약 335도)를 지시하는 하한 경계선(603)을 초과하여 회전하였으므로 표시되는 컨텐츠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도 6b상의 하한 경계선(603)은 일 예시일 뿐이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ernative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0)는 그림 620처럼 대칭을 이루는 초기 경계선(601), 상한 경계선(605) 및 하한 경계선(603)을 가질 수 있으나, 그림 610처럼 비대칭적인 초기 경계선(601), 상한 경계선(605) 및 하한 경계선(603)을 가질 수 있다. 전자 장치(600)는 초기 경계선(601), 상한 경계선(605) 또는 하한 경계선(6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비대칭으로 설정하여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의 회전 민감도를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비대칭은 x축 및 y축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림 620에서, 상한 경계선(605)이 약 115도 및 약 295도를 갖는 경우, 전자 장치(600)는 대칭적인 상한 경계선(605)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600)는 대칭적인 상한 경계선(605)을 갖고,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하는 경우의 회전 민감도와 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민감도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그림 610에서 상한 경계선(605)이 약 95도 및 약 295도를 갖는 경우, 전자 장치(600)는 비대칭적인 상한 경계선(605)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600)는 비대칭적인 상한 경계선(605)을 갖고,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하는 경우의 회전 민감도와 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민감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한 경계선(605)이 약 95도 및 약 295도를 갖는 경우, 전자 장치(400)는 가로 방향에서 세로 방향으로의 회전은 상대적으로 쉽게 일어나지만,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의 회전은 상대적으로 잘 일어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b의 각도는 일 예시일 뿐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400)는 초기 경계선(601), 상한 경계선(605) 또는 하한 경계선(6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정을 다르게 조절하여 가로 방향에서 세로 방향으로의 회전은 상대적으로 쉽고,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의 회전은 상대적으로 어렵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반대로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의 회전은 상대적으로 쉽고, 가로 방향에서 세로 방향으로의 회전은 상대적으로 어렵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In Figure 610, when the
도 6c에 따르면, 전자 장치(600)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놓인 제1상태(630) 및 제3상태(6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태(630)는 전자 장치(600)가 제4사분면을 기준으로 초기 경계선(601)과 y축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제1상태(630)는 전자 장치(600)가 제1사분면을 기준으로 초기 경계선(601)과 y축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3상태(634)는 전자 장치(600)가 제3사분면을 기준으로 초기 경계선(601)과 y축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제3상태(634)는 전자 장치(600)가 제2사분면을 기준으로 초기 경계선(601)과 y축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 6C , the
전자 장치(600)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놓인 제2상태(632) 및 제4상태(6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상태(632)는 전자 장치(600)가 제4사분면을 기준으로 초기 경계선(601)과 x축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제2상태(632)는 전자 장치(600)가 제3사분면을 기준으로 초기 경계선(601)과 x축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4상태(636)는 전자 장치(600)가 제1사분면을 기준으로 초기 경계선(601)과 x축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제4상태(636)는 전자 장치(600)가 제2사분면을 기준으로 초기 경계선(601)과 x축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The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회전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7 illustrates a screen rotation situ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는 리시버 위치를 구분하기 위해서, 자동 회전 설정을 켠 상태에도 reverse portrait(세로 역방향) 회전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400)는 세로 사용성 강화가 필요한 경우 세로 역방향으로 디바이스 orientation 감지 시 세로방향(예: 세로 역방향)으로 회전이 필요할 수 있다. 세로 회전은 reverse portrait(세로 역방향)으로 감지 될 경우 세로 방향으로의 회전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electronic device (eg, the
예를 들어, 그림 701은 전자 장치(400)가 사용자에게 가로로 파지된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400)는 컨텐츠를 가로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 상에서 reverse portrait(세로 역방향)으로 회전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그림 703처럼 전자 장치(400)가 사용자에게 세로로 파지된 상황에서 여전히 전자 장치(400)는 컨텐츠를 가로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은 세로인데, 전자 장치(400)의 화면은 가로로 표시되어 서로 일치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불편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Figure 701 may indicate a situation in which th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예: 도 4의 제1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결정하고, 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 및 세로 중 어느 방향으로 주로 표시될 지 지시하는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The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리시버 위치를 구분하기 위해서 reverse portrait(세로 역방향) 회전을 지원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컨텍스트의 주 사용성 속성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400)는 reverse portrait(세로 역방향) 회전을 지원하는 단말과 마찬가지로 그림 705 내지 그림 707의 상황에서, 전자 장치(400)의 회전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방향을 회전시켜 사용자에게 편안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8 illustrates a situation of determining a main usability attribute of an application executed o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8에서는 본 문서의 실시를 위해 필요한 내용을 기재한 것이며, 구현에 따라 도 8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엔티티 또는 레이어(예: HAL(hardware abstract layer), Kernel driver 등)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FIG. 8, contents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document are described, an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at least one entity or layer (eg, HAL (hardware abstract layer), Kernel driver, etc.) not shown in FIG. 8 may be further included. may b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는 컨텍스트 상의 패키지 명(package name)에 기반하여 컨텍스트의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하며, 패키지 명은 컨텍스트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과정에서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electronic device (eg, the
전자 장치(400)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810)은 프레임워크(820) 계층으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810)의 사용성 속성 또는 패키지 명(package nam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워크(framework) 계층(820)은 전자 장치(400)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 들로부터 제공되는 기능 또는 정보가 어플리케이션(8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810) 계층(layer)으로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820)는 전자 장치(400)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810)의 사용성을 확인하고,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810)의 사용성이 변경되는 것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MCU(micro controller unit)(또는 보조 프로세서(예: 센서 허브 프로세서))(830)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810)의 사용성이 변경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CU(micro controller unit)(830)는 전자 장치(400)에 포함된 다양한 하드웨어들을 의미할 수 있다. MCU(micro controller unit)(8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합 관리하고, 적은 전력 소모량으로 센싱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MCU(micro controller unit)(830)는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810)의 사용성이 변경되는 것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컨텍스트의 표시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다.The application 810 running on the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순서도로 도시한 것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rot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시된 방법(900)은 앞서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한 전자 장치(예: 도 4a 또는 4b의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4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 있는 기술적 특징은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통하여 설명되는 동작들은 컴퓨터 기록 매체 또는 메모리(예: 도 4의 메모리(460))에 저장될 수 있는 인스트럭션들 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illustrated method 900 may be executed by a processor (eg, the
동작 905에서, 전자 장치(40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web)사이트의 주 사용성과 관련된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주 사용성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web)사이트 상의 컨텍스트(context)의 사용성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컨텍스트(context)의 사용성 속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사용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컨텍스트(context)가 상대적으로 문자(text)를 많이 포함하는 경우, 문자(text)는 주로 세로 모드로 사용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web)사이트의 주 사용성은 세로 모드 사용성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400)는 컨텍스트(context)가 상대적으로 영상(video)이나 이미지(image)를 많이 포함하는 경우, 영상(video)이나 이미지(image)는 주로 가로 모드로 사용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web)사이트의 주 사용성은 가로 모드 사용성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여기서 컨텍스트(context)는 운영 체제 내에서 작업(task)이 수행될 때 해당 작업(task)의 실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컨텍스트(context)의 사용성은 전자 장치 상에서 컨텍스트(context)가 사용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는데, 이 때 컨텍스트(context)는 문자(text)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context may mean configuring information about an execution state of a task when a task is performed in the operating system. The usability of a context may refer to a method in which a context is used on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n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message on a screen, and in this case, a context may mean tex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포어 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web)의 주 사용성과 관련된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포어 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web)은 그래픽 구성을 위한 스크린(screen), 윈도우(window) 또는 가젯(gadge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 구성 요소(component)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 중 복수의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더 많이 포함된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 및 이미지(image)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고, 전체 컨텐츠 상에서 문자(text)가 차지하는 비율 및 전체 컨텐츠 상에서 이미지(image)가 차지하는 비율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비율을 갖는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를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또는 이미지(image)를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이러한 결정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를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정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은 세로 사용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를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또는 이미지(image)를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출력하도록 설정된 경우, 메시지의 내용 파악 및 타이핑(typing)을 위하여 출력되는 정보를 세로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400)는 문자(text)가 다른 영상(video)이나 이미지(image)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된 컨텐츠의 사용성은 세로 방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이미지(image)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출력하도록 설정된 경우, 출력되는 정보를 가로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영상(video)을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해 세로 방향보다는 가로 방향에서 화면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표시되는 것을 이유로 컨텐츠를 세로로 표시하는 경우보다 가로로 표시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400)는 영상(video) 또는 이미지(image)가 문자(text)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된 컨텐츠의 사용성은 가로 방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컨텍스트의 사용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400)는 컨텍스트의 사용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표시 방향의 회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컨텍스트의 사용성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 회전 시 회전 기준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동작 910에서,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은 컨텍스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컨텍스트의 종류는 예를 들어, 문자(text),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텍스트의 주 사용성 속성은 예를 들어, 가로 사용성 또는 세로 사용성을 포함할 수 있다. I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컨텍스트(예: 어플리케이션) 상의 패키지 명(package name)에 기반하여 컨텍스트(예: 어플리케이션)의 주 사용성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이름인 패키지 명(package name)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패키지 명(package name)은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과정에서 어플리케이션 상에 등록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패키지 명(package name)에 어플리케이션이 주로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결정되는 사용성 속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성 속성 정보는 예를 들어, 가로 사용성 또는 세로 사용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컨텍스트(예: 어플리케이션) 상의 패키지 명(package name)에 기반하여 컨텍스트(예: 어플리케이션)의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상황에서 특정한 구성 요소의 사용 여부에 기반하여 컨텍스트(예: 어플리케이션)의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코덱(codec)이 사용되는 것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 (예: 어플리케이션)의 주 사용성 속성이 가로 사용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하기 용이하도록 부호화 시키고, 다시 데이터를 읽기 위해 복호화 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음성이나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용이하도록 디지털화 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크기를 압축시킬 수 있다. 코덱(codec)은 데이터의 크기를 압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문자(text) 데이터보다는 영상(video)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자 장치(400)는 코덱(codec)이 사용되는 상황에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예: 어플리케이션)의 주 사용성 속성이 가로 사용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전자 장치(400) 상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는 코덱(codec)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camera), 네비게이션, GPS 및 관성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예: 어플리케이션)의 주 사용성 속성이 가로 사용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Components used on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에 기반하여 컨텐츠(예: 어플리케이션)의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은 화면 상에 단위 시간(예: 1초) 당 얼마나 많은 장면을 표시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수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이 60Hz인 경우,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상에 1초 동안 60개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이 120Hz인 경우,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상에 1초 동안 120개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컨텍스트가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문자(text)를 더 많이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컨텍스트가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문자(text)를 더 많이 포함하는 것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을 표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주사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The
전자 장치(400)는 문자(text)를 표시함에 있어서, 이미지(image), 영상(video) 또는 3D 렌더링(renderin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화면 전환이 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주사율을 가질 수 있다.In displaying text, the
반대로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컨텍스트가 이미지(image), 영상(video) 또는 3D 렌더링(renderin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문자(text)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포함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Conversely,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게임 서비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패키지 명(package name) 또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게임 서비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게임 서비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게임 서비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것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보다는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보다는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함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을 가로 모드 사용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게임 서비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지 않은 것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보다는 문자(text)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보다는 문자(text)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함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을 세로 모드 사용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response to confirming that at least one application including a game service is not running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UI components, the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컨텍스트가 이미지(image), 영상(video) 또는 3D 렌더링(renderin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일정 비율을 초과하여 포함하는 것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문자(text)가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때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주사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이미지(image), 영상(video) 또는 3D 렌더링(renderin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함에 있어서, 문자(text)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화면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주사율을 가질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현재 컨텐츠의 화면 전환 횟수에 기반하여 주사율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변경된 주사율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현재 컨텐츠의 주 사용성을 결정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이 제1수준(예: 약 60Hz) 미만인 경우 화면 전환이 상대적으로 빈번하지 않은 문자(text)를 많이 포함하는 컨텍스트로 판단하고, 현재 컨텍스트의 주 사용성이 세로 사용성에 가까운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문자(text)를 포함하는 컨텍스트의 주 사용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다. 또는,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이 제2수준(예: 약 100Hz)을 초과하는 경우 화면 전환이 상대적으로 빈번한 영상(video)을 많이 포함하는 컨텍스트로 판단하고, 현재 컨텍스트의 주 사용성이 가로 사용성에 가까운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video)을 포함하는 컨텍스트의 주 사용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다.For example, if the refresh rate of the display is less than the first level (eg, about 60 Hz), the
동작 910에서,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이 변경되지 않았음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기존 속성을 유지하고, 동작 930에서, 전자 장치(400)의 화면이 회전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In
동작 920에서,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이 변경됨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주 사용성이 가로인지 또는 세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가 컨텍스트의 주 사용성을 판단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컨텍스트의 패키지 명(package name)을 이용하거나, 특정 구성요소(예: 코덱)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을 이용하는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동작 922에서,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이 가로 속성인 것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400)의 회전 알고리즘 민감도를 제1수준(예: 약 90도)에서 제2수준(예: 약 110도)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이 가로 속성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일 예시일 뿐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이 세로 속성인 경우, 전자 장치(400)는 전자 장치(400)의 회전 알고리즘 민감도를 제2수준(예: 약 110도)에서 제1수준(예: 약 90도)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In
전자 장치(400)는 일정 수준 회전(rotation)시 회전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데, 전자 장치(400)의 회전 알고리즘 민감도는 회전된 것으로 인식하는 회전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준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회전 알고리즘 민감도를 제2수준으로 변경하는 경우, 제1수준(예: 약 90도)을 회전하더라도 회전된 것으로 인식하지 않으며 제2수준(예: 약 110도)을 초과하여야만 회전이 이루어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회전 알고리즘 민감도를 제2수준으로 변경하는 경우, 전자 장치(400)는 회전 알고리즘 민감도를 제1수준으로 적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화면을 회전시키도록 결정하는 비율이 줄어들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화면의 회전을 의도하지 않은 경우 더 만족스러운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이 가로 속성인 경우, 컨텐츠는 화면 전환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영상(video)을 문자(text)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영상(video) 재생 시 세로 방향보다는 가로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가 가로 방향으로 위치한 전자 장치(400)를 세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보다, 세로 방향으로 위치한 전자 장치(400)를 가로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이러한 결정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400)가 세로 방향으로 위치한 경우, 회전 민감도를 제2수준(예: 약 110도)보다는 작은 제1수준(예: 약 90도)로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설정하여 가로 방향으로의 전환을 상대적으로 쉽게 제어할 수 있다. 회전 민감도를 제2수준(예: 약 110도)보다는 낮은 제1수준(예: 약 90도)로 설정하는 경우, 전자 장치(400)가 제1수준을 초과하여 회전함에 대응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When the main usability property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the horizontal property, the content may include more video than text, the screen transition of which exceeds a certain level. The
반대로 전자 장치(400)는 전자 장치(400)가 가로 방향으로 위치한 경우, 회전 민감도를 제1수준(예: 약 90도)보다는 높은 제2수준(예: 약 110도)으로 상대적으로 둔감하게 설정하여 가로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회전이 잘 일어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회전 민감도를 제1수준(예: 약 90도)보다는 높은 제2수준(예: 약 110도)으로 설정하는 경우, 전자 장치(400)가 제1수준으로 회전하더라도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지 않고, 제2수준을 초과하여 회전함에 대응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동작 924에서,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이 세로 속성인 것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400)의 회전 알고리즘 민감도를 민감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In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이 세로 속성인 경우, 컨텐츠는 화면 전환이 일정 수준 미만인 문자(text)를 영상(video)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main usability property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a vertical property, the content may include text with a screen transition less than a certain level relatively more than video.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를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또는 이미지(image)를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이러한 결정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를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정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은 세로 사용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를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가 text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 요소(component), edit을 위한 구성 요소 및/또는 세팅 메뉴(setting menu) 또는 앱 스토어(app store)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리스트(list) 형식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문자(text)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구성에 기반하여 컨텐츠가 문자(text)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것을 결정함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컨텐츠를 세로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문자(text)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출력하도록 설정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가로 모드보다는 세로 모드에서 상대적으로 읽기에 용이하고, 타이핑(typing)에도 용이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전자 장치(400)는 문자(text)가 포함된 컨텍스트를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가 세로 방향으로 위치한 전자 장치(400)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보다, 가로 방향으로 위치한 전자 장치(400)를 세로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이러한 결정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400)가 가로 방향으로 위치한 경우, 회전 민감도를 제2수준(예: 약 110도)보다는 낮은 제1수준(예: 약 90도)으로 민감하게 설정하여 세로 방향으로의 전환을 상대적으로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전자 장치(400)는 전자 장치(400)가 세로 방향으로 위치한 경우, 회전 민감도를 제1수준(예: 약 90도)보다는 높은 제2수준(예: 약 110도)으로 상대적으로 둔감하게 설정하여 세로 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의 회전이 상대적으로 잘 일어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이 가로 속성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일 예시일 뿐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주 사용성 속성이 세로 속성인 경우, 전자 장치(400)는 전자 장치(400)의 회전 알고리즘 민감도를 제2수준(예: 약 110도)에서 제1수준(예: 약 90도)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The
동작 930에서, 전자 장치(400)는 앞서 결정된 회전 알고리즘 민감도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400)의 회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전자 장치(400)가 회전하지 않은 것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다시 동작 905에서, 실행중인 컨텍스트의 주 사용성 속성을 체크하거나 또는 화면 회전 제어 동작을 종료시킬 수 있다.In
동작 932에서, 전자 장치(400)는 전자 장치(400)가 회전된 것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컨텐츠의 사용성(예: 가로 사용성 또는 세로 사용성)에 기반한 회전 알고리즘 민감도를 다시 적용하고, 전자 장치의 회전 적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컨텐츠의 사용성에 따른 회전 적용 유무를 판단하고, 회전 적용이 필요하다고 결정함에 대응하여 동작 934에서, 화면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400)는 컨텐츠의 사용성에 따른 회전 적용 유무를 판단하고, 회전 적용이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함에 대응하여 다시 동작 905로 되돌아가 실행 중인 컨텐츠의 사용성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In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10 is a flowchart of a screen display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의 화면 표시 방법은 UI 구성 요소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UI 구성 요소에 포함된 컨텍스트의 특성을 결정하는 동작, 컨텍스트의 특성 및 전자 장치(400)의 자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예: 도 4의 제1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contents)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컨텐츠가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전자 장치(400)의 자세 변화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회전 각도를 센서(예: 도 1의 제1센서(440))를 통해 확인하는 동작 및 회전 각도가 제 1 값 이상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displaying a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eg, the
동작 1010에서, 전자 장치(400)는 UI 구성 요소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UI 구성 요소에 포함된 컨텍스트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In
일 실시예에 따르면, UI 구성 요소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UI 구성 요소에 포함된 컨텍스트의 특성을 결정하는 동작은 디스플레이(420)의 주사율에 기반하여 컨텍스트의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included in the UI compon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UI component further includes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main usability property of the context based on the refresh rate of the
동작 1020에서, 전자 장치(400)는 컨텍스트의 특성 및 전자 장치의 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contents)의 표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In
동작 1030에서, 전자 장치(400)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전자 장치(400)의 자세 변화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회전 각도를 센서(44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In
동작 1040에서, 전자 장치(400)는 회전 각도가 제 1 값 이상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 값은 사전에 설정된 전자 장치(400)의 회전 각도를 의미하며, 컨텍스트의 주 사용성 속성에 기반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In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각도가 제 1 값 이상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은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가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함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빈도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based on confirmation that the rotation ang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content has horizontal usability in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각도가 제 1 값 이상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은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세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세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함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빈도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420)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content, based on confirming that the rotation ang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indicates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센서, 디스플레이, 센서 및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UI(user interface) 구성 요소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UI 구성 요소에 포함된 컨텍스트(context)의 특성을 결정하고, 컨텍스트의 특성 및 전자 장치의 자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contents)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고,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른 전자 장치의 회전 각도를 센서를 통해 확인하고, 회전 각도가 제 1 값 이상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 1 값은 컨텍스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 sensor, a display, and a processor operabl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display, and the processor includes a user interface (UI) component based on a result of analysis of the context (user interface) included in the UI component. context, determine the display direction of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and the pos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n a state where the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pos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rotation angl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change may be checked through a sensor, and based on the confirmation that the rotation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value,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content may be changed. The first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컨텍스트 상의 패키지 명(package name)에 기반하여 컨텍스트의 특성을 결정하며, 패키지 명은 컨텍스트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과정에서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rocessor determines characteristics of a context based on a package name on the context, and the package name may be determined during development of an application including the context.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 상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사용되는 것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가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has horizontal usability, mainly display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use of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상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코덱(codec), 카메라(camera), 네비게이션, GPS 및 관성 센서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dec, a camera, a navigation system, GPS, and an inertial sens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에 기반하여 컨텍스트의 특성을 결정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based on the refresh rate of the display.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이 사전에 설정된 제1수준을 초과함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가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has horizontal usability mainly display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response to a refresh rate of the display exceeding a first preset level.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이 사전에 설정된 제1수준 미만인 것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세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세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has vertical usability mainly display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response to confirming that the refresh rate of the display is less than a preset first level.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가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함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빈도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일어나도록 제어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has horizontal usability mainly display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vertical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horizontally. By setting the first value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e case displayed as ,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is controlled to occur at a relatively low frequency, and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vertically,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is displayed horizontally, the first value may be set relatively low to control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to occur at a relatively high frequency.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세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세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함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빈도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일어나도록 제어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has vertical usability mainly display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horizontal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vertically. By setting the first value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e case displayed as ,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is controlled to occur at a relatively low frequency, and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horizontally,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is displayed vertically, the first value may be set relatively low to control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to occur at a relatively high frequency.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은 UI 구성 요소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UI 구성 요소에 포함된 컨텍스트의 특성을 결정하는 동작, 컨텍스트의 특성 및 전자 장치의 자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contents)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른 전자 장치의 회전 각도를 센서를 통해 확인하는 동작 및 회전 각도가 제 1 값 이상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값은 컨텍스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A method of displaying a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n operation of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a context included in a UI component based on an analysis result of a UI component, and a display imag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and the pos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operation of check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change in pos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a senso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An operation of changing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content may be included based on confirming that the cont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alue. The first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일 실시예에 따르면, UI 구성 요소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UI 구성 요소에 포함된 컨텍스트의 특성을 결정하는 동작은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에 기반하여 컨텍스트의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included in the UI compon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UI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 main usability property of the context based on the refresh rate of the display.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각도가 제 1 값 이상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가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함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빈도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based on confirming that the rotation ang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content corresponds to determining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has horizontal usability mainly display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horizontall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vertically,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content displayed by setting the first value relatively high occurs at a relatively low frequency.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vertically,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content displayed by setting the first value to be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horizontally. An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to occur at a higher frequency may be further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각도가 제 1 값 이상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세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세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함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빈도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based on confirming that the rotation ang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content corresponds to determining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has vertical usability mainly displa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verticall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horizontally,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occurs at a relatively low frequency by setting the first value relatively high.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horizontally,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content displayed by setting the first value to be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vertically. An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to occur at a higher frequency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nd terms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bers may be used for like or related elements. The singular form of a noun corresponding to an item may include one item or a plurality of items, unless the relevant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document,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Each of the phrases such as "at least one of , B, or C" may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at phrase, or all possible combinations there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ary" may simply be used to distinguish a given component from othe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may be used to refer to a given component in another aspect (eg, importance or order) is not limited. A (e.g., first) component is said to be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When mentioned, it means that the certain component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directly (eg by wire), wirelessly, or through a third component.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 "modul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is interchangeable with terms such as, for example, logic, logical blocks, parts, or circuits. can be used as A module may be an integrally constructed component or a minimal unit of components or a portion thereof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provid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included and provi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er program products may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A computer program product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 or on two user devices (e.g.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online, directly between smart phones.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part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created in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manufacturer's server, an application store server, or a relay server's memory.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문서의 실시예는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문서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component (eg, module or program)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le object or a plurality of entities,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entities may be separately disposed in other components. there i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components or operations among the aforementioned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a plurality of components (eg modules or programs) may be integrated into a single component. In this case,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ose performed by a corresponding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prior to the integration.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ac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ar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iteratively, or heuristically, or one or more of the actions ar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r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provide specific examples to easily describe technical conten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and help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It is only presented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Therefore, the scop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variations derived from the technical ideas of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Claims (20)
센서;
디스플레이;
상기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UI(user interface) 구성 요소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UI 구성 요소에 포함된 컨텍스트(context)의 특성을 결정하고,
상기 컨텍스트의 특성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contents)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회전 각도를 상기 센서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회전 각도가 제 1 값 이상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 1 값은
상기 컨텍스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전자 장치.
In electronic devices,
sensor;
display;
a processor in operative connection with the sensor and the display;
The processo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user interface (UI) component,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included in the UI component;
determining a display direction of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and the attitude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 state where th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checking a rotation angl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change in pos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ensor;
Based on confirming that the rotation ang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value,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content is set to be changed;
The first value is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텍스트 상의 패키지 명(package name)에 기반하여 상기 컨텍스트의 특성을 결정하며,
상기 패키지 명은 컨텍스트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과정에서 결정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determining properties of the context based on a package name on the context;
The package name is determined during a development process of an application including a context.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 상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사용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가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An electronic device that determines tha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has horizontal usability, mainly display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use of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전자 장치 상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코덱(codec), 카메라(camera), 네비게이션, GPS 및 관성 센서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t least one component on the electronic devic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dec, a camera, navigation, GPS, and an inertial sensor.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에 기반하여 상기 컨텍스트의 특성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An electronic device that deter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based on the refresh rate of the display.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이 사전에 설정된 제1수준을 초과함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가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processor
In response to the refresh rate of the display exceeding a preset first level
An electronic device that determines tha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has horizontal usability mainly displayed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이 사전에 설정된 제1수준 미만인 것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세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세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processor
In response to confirming that the refresh rate of the display is less than a preset first level
An electronic device that determines tha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has vertical usability mainly displayed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가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함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빈도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has horizontal usability mainly display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horizontall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vertically,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is relatively lower by setting the first value relatively high. Control to occur with frequency,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verticall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horizontally,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is relatively higher by setting the first value relatively low. An electronic device that controls what happens with frequency.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세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세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함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빈도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has vertical usability mainly displa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verticall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horizontally,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is relatively lower by setting the first value relatively high. Control to occur with frequency,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horizontall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vertically,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is relatively higher by setting the first value relatively low. An electronic device that controls what happens with frequency.
힌지 모듈;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의 제 1 공간을 둘러싸는 제 1 측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제 1 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 3 면, 상기 제 3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4 면 및 상기 제 3 면과 상기 제 4 면 사이의 제 2 공간을 둘러싸는 제 2 측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3 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제 1 디스플레이;
상기 제 2 공간에서, 상기 제 4 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있게 배치되는 제 2 디스플레이;
상기 제 1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의 움직임과 관련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1 센서;
상기 제 2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의 움직임과 관련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2 센서;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UI(user interface) 구성 요소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UI 구성 요소에 포함된 컨텍스트(context)의 특성을 결정하고,
상기 컨텍스트의 특성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contents)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회전 각도를 상기 제 1 센서 또는 상기 제 2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회전 각도가 제 1 값 이상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 1 값은
상기 컨텍스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전자 장치.
In electronic devices,
hinge module;
A first housing connected to the hinge module and including 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fa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a first side surface surrounding a first space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
A third surface connected to the hinge module so as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and fac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surface in an unfolded state, a fourth surface fac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hird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a second housing including a second side surface surrounding a second space between a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a first display dispose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ide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side;
a second display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so as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fourth surface;
a first sensor disposed i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pace and collecting sensor data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housing;
a second sensor dispos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pace and collecting sensor data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housing; and
a processor in operative connection with the first display, the second display,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the processor,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ontext included in a user interface (UI) component based on an analysis result of the UI component;
determining a display direction of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and the attitude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content is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a rotation angl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change in attitud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check through
Based on confirming that the rotation ang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value,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content is set to be changed;
The first value is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텍스트 상의 패키지 명(package name)에 기반하여 상기 컨텍스트의 특성을 결정하며,
상기 패키지 명은 컨텍스트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과정에서 결정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processor
determining properties of the context based on a package name on the context;
The package name is determined during a development process of an application including a context.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 상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사용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가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processor
An electronic device that determines that content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has horizontal usability mainly display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use of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전자 장치 상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코덱(codec), 카메라(camera), 네비게이션, GPS 및 관성 센서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At least one component on the electronic devic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dec, a camera, navigation, GPS, and an inertial sensor.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주사율에 기반하여 상기 컨텍스트의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processor
An electronic device that determines a main usability property of the context based on a refresh rat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가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함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1수준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덜 발생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1수준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쉽게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processor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has horizontal usability mainly display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content is displayed horizontally, compared to when the content is displayed vertically, the first level is set relatively high to control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to occur relatively less,
When the content is displayed vertically,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s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to occur relatively easily by setting the first level relatively low compared to when the content is displayed horizontally.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세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세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함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1수준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빈도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1수준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processor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has vertical usability mainly displayed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content is displayed vertically, the first level is set relatively high compared to when the content is displayed horizontally to control automatic rot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to occur at a relatively low frequency,
When the content is displayed horizontally, compared to when the content is displayed vertically, the electronic device sets the first level relatively low to control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to occur at a relatively high frequency.
UI 구성 요소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UI 구성 요소에 포함된 컨텍스트의 특성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컨텍스트의 특성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contents)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회전 각도를 센서를 통해 확인하는 동작;및
상기 회전 각도가 제 1 값 이상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값은
상기 컨텍스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방법.
A screen display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a context included in the UI component based on an analysis result of the UI component;
determining a display direction of contents displayed on a displa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and the pos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An operation of checking a rotation angl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change in pos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a senso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Based on confirming that the rotation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value, changing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content;
The first value is
A method that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UI 구성 요소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UI 구성 요소에 포함된 컨텍스트의 특성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에 기반하여 상기 컨텍스트의 주 사용성 속성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7,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included in the UI compon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UI component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es determining a main usability property of the context based on the refresh rate of the display.
상기 회전 각도가 제 1 값 이상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가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함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빈도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동작;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7,
Based on confirming that the rotation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value,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content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has horizontal usability mainly display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horizontall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vertically,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is relatively lower by setting the first value relatively high. Controlling operations to occur with frequency; and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verticall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horizontally,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is relatively higher by setting the first value relatively low. A method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frequency to occur.
상기 회전 각도가 제 1 값 이상임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주로 세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세로 사용성을 갖는 것으로 결정함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빈도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동작;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가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세로로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값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여 표시되는 컨텐츠의 자동 회전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7,
Based on confirming that the rotation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value,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content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has vertical usability mainly displa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verticall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horizontally,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is relatively lower by setting the first value relatively high. Controlling operations to occur with frequency; and
Whe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horizontall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vertically,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displayed content is relatively higher by setting the first value relatively low. A method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frequency to occur.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2/018426 WO2023153595A1 (en) | 2022-02-08 | 2022-11-21 |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EP22926193.8A EP4435574A4 (en) | 2022-02-08 | 2022-11-21 |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CN202280090257.3A CN118541664A (en) | 2022-02-08 | 2022-11-21 |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thereof |
US18/080,121 US20230254402A1 (en) | 2022-02-08 | 2022-12-13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6445 | 2022-02-08 | ||
KR20220016445 | 2022-02-0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20062A true KR20230120062A (en) | 2023-08-16 |
Family
ID=8784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6262A Pending KR20230120062A (en) | 2022-02-08 | 2022-05-06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20062A (en) |
-
2022
- 2022-05-06 KR KR1020220056262A patent/KR20230120062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185508A1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various user interfaces through plurality of displays, and method therefor | |
EP4177717A1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creen ro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 |
KR20220017203A (en) |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operation method thereof | |
US12333974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xpandable display and content provision method | |
KR20220016734A (en) |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input mode according to folding angle and Method thereof | |
KR20220000729A (en) | Method of use according to folding state of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KR20220039085A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US20230053032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KR20220109760A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KR20220114424A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keys and method for thereof | |
KR20220074165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of flexible display | |
US12131676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review images for background screen for flexibl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230236705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foldable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KR20230043549A (en) |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screen of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KR20230120062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thereof | |
KR20230023416A (en) | Method of processing touch inpu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US20230254402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thereof | |
KR20220069780A (en)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ng flexible display | |
KR20220078423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lide based on multi touch | |
KR20220073943A (en) |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stylus and electronic device receiving input from stylus using the same method | |
KR20220055297A (en) | 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user interface | |
KR20220014968A (en) | Method for providing screen division according to use electronic pen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EP4583136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ide key | |
CN118541664A (en) |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thereof | |
KR20220169635A (en) |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a screen on a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3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