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085A - Foldable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oldable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9085A KR20220039085A KR1020200121731A KR20200121731A KR20220039085A KR 20220039085 A KR20220039085 A KR 20220039085A KR 1020200121731 A KR1020200121731 A KR 1020200121731A KR 20200121731 A KR20200121731 A KR 20200121731A KR 20220039085 A KR20220039085 A KR 202200390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display
- area
- electronic device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힌지 모듈과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는 제 2 하우징과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펼침 상태에서 제 1 콘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콘텐트에 대응하는 제 2 콘텐트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콘텐트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ent in an electronic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hinge module, a first housing connected to the hinge module, a second housing connected to the hinge module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a display,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display Including, wherein the processor displays the first content on the display in an unfolded state, When the folding angles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satisfy a specified rang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is generat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and display at least another part of the second content o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Other embodiments may be possible.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ent in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전자 장치는 점차 슬림화되어가고 있으며, 디자인적 측면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그 기능적 요소를 차별화시키기 위하여 개선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장방형 형태의 획일적인 형상에서 벗어나, 점차 다양한 형상으로 변모되어 가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휴대성 및 사용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변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변형 가능한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하우징들이 서로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폴더블(foldable)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Electronic devices are gradually becoming slimmer, and are being improved in order to strengthen design aspects and differentiate functional elements thereof. BACKGROUND ART Electronic devices are being transformed from a uniform shape of a rectangular shape to a variety of shapes.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may have a deformabl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display to satisfy portability and usability of the electronic devic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eformable structure may include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 which at least two housings are folded or unfold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폴더블 전자 장치는 힌지 모듈을 통해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됨으로써 인폴딩(in-folding), 아웃 폴딩(out folding), 인/아웃 폴딩, 슬라이딩(sliding) 및/또는 롤링(rolling)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The foldable electronic device is configured to be in-folding, out-folding, in-/out-folding, sliding and/or rolling by rota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rough a hinge module. (rolling) may be operated.
폴더블 전자 장치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이 힌지 모듈을 통해 회전되므로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의 구조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콘텐트를 시청하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더블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하는 콘텐트의 다양한 시청 방향에 기반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foldable electronic device, since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rotated through the hinge module,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disposed to cross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 user of the foldable electronic device may change a viewing direction of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displays. Accordingly, the foldabl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various functions based on various viewing direction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various types of display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형태에 기반하여 콘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ent based on a display shape in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힌지 모듈과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의 제 1 공간을 둘러싸는 제 1 측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제 1 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 3 면, 상기 제 3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4 면 및 상기 제 3 면과 상기 제 4 면 사이의 제 2 공간을 둘러싸는 제 2 측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 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3 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펼침 상태에서 제 1 콘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콘텐트에 대응하는 제 2 콘텐트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이한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콘텐트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a hinge module and the hinge module, and includes 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fa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a first surface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 first housing including a first side surrounding the space and a third surface connected to the hinge module so as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and fac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surface in an unfolded state, the third surface The third surface from at least a portion of a second housing and the first surface and a second housing including a fourth surface fa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surface and a second side surrounding a second space between the third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a display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display, wherein the processor displays first content on the display in an unfolded state, and folds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When the angle satisfies the specified range, generating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and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tent o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At least another part of the second content may be displayed in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의 제 1 공간을 둘러싸는 제 1 측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제 1 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 3 면, 상기 제 3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4 면 및 상기 제 3 면과 상기 제 4 면 사이의 제 2 공간을 둘러싸는 제 2 측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제 1 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3 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 1 콘텐트를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콘텐트에 대응하는 제 2 콘텐트를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콘텐트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first surface connected to a hinge module, a second surface fa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a first space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 first housing including a first side surrounding the first housing and a third surface connected to the hinge module so as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and fac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surface in an unfolded state, the third surface A folding angle of the second housing including a fourth surface fa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rface and a second side surrounding a second space between the third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in an unfolded state When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first content through a display disposed on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surface and the folding angles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satisfy a specified range, the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2 I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generating content, an operation of displaying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ontent o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and an operation of displaying at least another part of the second content o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there i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힌지 모듈과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의 제 1 공간을 둘러싸는 제 1 측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제 1 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 3 면, 상기 제 3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4 면 및 상기 제 3 면과 상기 제 4 면 사이의 제 2 공간을 둘러싸는 제 2 측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 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3 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카메라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펼침 상태에서 콘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된 상기 콘텐트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 1 서브 콘텐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이한 제 2 영역에 표시된 상기 콘텐트의 다른 일부에 대응하는 제 2 서브 콘텐트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서브 콘텐트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서브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hinge module and a first surface connected to the hinge module, 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fa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a first surface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 first housing including a first side surrounding the space and a third surface connected to the hinge module so as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and fac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surface in an unfolded state, the third surface a second housing including a fourth surface fa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surface and a second side surface surrounding a second space between the third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a display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display and the camera, wherein the processor displays content on the display in an expanded state, When the folding angle satisfies the specified range, the first sub-content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and the other part of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A corresponding second sub content may be generated, the first sub content may be displayed o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and the second sub content may be displayed o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형태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생성 및 표시함으로써, 폴더블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generating and display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based on the shape of the display in the foldable electronic device, various types of content are provided to the user of the foldable electronic device. can provide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flat state 또는 unfolding state)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folding state)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를 생성 및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의 일예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에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일예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 상태에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일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 분리 기준에 기반하여 콘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 분리 기준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콘텐트의 일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의 일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의 다른 일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를 생성 및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의 다른 일예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에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다른 일예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 상태에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다른 일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 분리 기준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콘텐트의 다른 일예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in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illustrating a flat state or unfolding st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B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ront side of an electronic device in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C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in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D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illustrating a folding st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conten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n example of a flowchar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content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5A is an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for outputting an image in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5B is an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for outputting an image in an intermediate st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flowchart for outputting content based on a content separation criterion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n example of content generated based on a content separation criterion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n example of a flowchart for outputting content from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nother example of a flowchart for outputting content from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nother example of a flowchar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content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1A is another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for outputting an image in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1B is another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for outputting an image in an intermediate st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2 is another example of content generated based on a content separation criterion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The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The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전자 장치(1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The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peripheral devices (eg, a bus, 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GPIO), 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or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and a signal (eg, : commands or data)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 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mand or data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devices of various types.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g, a smart phone), a computer device,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 portable medical device, a camera, a wearable device, or a home appliance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ocu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evices.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nd terms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a specific embodim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ions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The singular form of the noun corresponding to the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item, unless the relevant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 B, or C" each may include any one of, or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phrases.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be used simply to distinguish an element from other elements in question, and may refer elements to other aspects (e.g., importance or order) is not limited. It is said that one (eg, first) component is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When referenced, it means that one component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directly (eg by wire), wirelessly, or through a third component.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term “modul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is, for exampl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logic, logic block, component, or circuit. can be used A module may be an integrally formed part or a minimum unit or a part of the part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는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provided. Computer program products may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via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 TM ) or on two user devices (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between smartphones (eg: smartphones) and online.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a part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generated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of a server of a manufacturer, a server of an application store, or a relay server.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component (eg, module or program)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ular or a plurality of entities,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entities may be separately disposed in other components.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components or operations among the above-described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a plurality of components (eg, a module or a program)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In this case,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ose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among the plurality of components prior to the integration.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ar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iteratively, or heuristically, or one or more of the operations ar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mitted, or , or one or more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flat state 또는 unfolding state)를 도시한 전자 장치(20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에서, 전자 장치(200)의 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에서, 전자 장치(200)의 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folding state)를 도시한 전자 장치(200)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 내지 도 2d의 전자 장치(2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2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도 2a 내지 도 2d를 참고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힌지 모듈(예: 도 2b의 힌지 모듈(240))을 기준으로 서로에 대하여 마주보며 접히도록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210, 220)(예: 폴더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모듈(240)은 X 축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Y 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모듈(240)은 동일한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폴딩되도록 2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한 쌍의 하우징(210, 220)에 의해 형성된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디스플레이(270)(예: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은 폴딩 축(축 A)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폴딩 축(축 A)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210) 및 제 2 하우징(220)은 전자 장치(200)의 상태가 펼침 상태(flat state 또는 unfolding state)인지, 접힘 상태(folding state)인지, 또는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지의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펼침 상태는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폴딩 각도가 제 1 기준 범위(예: 약 170도 ~ 약 180도)에 포함되는 동작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접힘 상태는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폴딩 각도가 제 2 기준 범위(예: 약 0도 ~ 약 20도)에 포함되는 동작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중간 상태는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펼침 상태와 접힘 상태의 사이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로,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폴딩 각도가 제 3 기준 범위(예: 약 20도 ~ 약 170도)에 포함되는 동작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전자 장치(200)는 중간 상태에서 힌지 모듈(240)을 통해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이 다양한 각도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2A to 2D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하우징(210, 220)은 힌지 모듈(240)과 결합되는 제 1 하우징(210)(예: 제 1 하우징 구조) 및 힌지 모듈(240)과 결합되는 제 2 하우징(220)(예: 제 2 하우징 구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210)은 펼침 상태에서, 제 1 방향(예: 전면 방향)(z 축 방향)을 향하는 제 1 면(211) 및 제 1 면(211)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예: 후면 방향)(-z 축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220)은 펼침 상태에서, 제 1 방향(z 축 방향)을 향하는 제 3 면(221) 및 제 2 방향(- z 축 방향)을 향하는 제 4 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펼침 상태에서, 제 1 하우징(210)의 제 1 면(211)과 제 2 하우징(220)의 제 3 면(221)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 1 방향(z 축 방향)을 향하고, 접힘 상태에서 제 1 면(211)(또는 제 2 면(212))과 제 3 면(221)(또는 제 4 면(222))이 서로 마주보는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예: 인폴딩 방식).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펼침 상태에서, 제 1 하우징(210)의 제 2 면(212)과 제 2 하우징(220)의 제 4 면(222)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 2 방향(- z 축 방향)을 향하고, 접힘 상태에서 제 2 면(212)(또는 제 1 면(211))과 제 4 면(222)(또는 제 3 면(221))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예로, 접힘 상태에서 제 2 면(212)은 제 1 방향(z 축 방향)을 향할 수 있고, 제 4 면(222)은 제 2 방향(- z 축 방향)을 향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air of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펼침 상태에서, 제 1 하우징(210)의 제 1 면(211)과 제 2 하우징(212)의 제 3 면(221)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 1 방향(z 축 방향)을 향하고, 접힘 상태에서 제 1 면(211)과 제 3 면(221)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예: 아웃 폴딩 방식). 예를 들어, 접힘 상태에서 제 1 면(211)은 제 1 방향(z 축 방향)을 향할 수 있고, 제 3 면(222)은 제 2 방향(- z 축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펼침 상태에서, 제 1 하우징(210)의 제 2 면(212)과 제 2 하우징(220)의 제 4 면(222)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 2 방향(- z 축 방향)을 향하고, 접힘 상태에서 제 2 면(212)과 제 4 면(222)이 서로 마주보는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2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자 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측면 프레임(213) 및 제 1 측면 프레임(213)과 결합되고, 전자 장치(200)의 제 2 면(21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후면 커버(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측면 프레임(213)은 제 1 측면(213a), 제 1 측면(213a)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측면(213b) 및 제 1 측면(213a)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 측면(213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측면 프레임(213)은 제 1 측면(213a), 제 2 측면(213b) 및 제 3 측면(213c)을 통해 장방형(예: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22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자 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측면 프레임(223) 및 제 2 측면 프레임(223)과 결합되고, 전자 장치(200)의 제 4 면(22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후면 커버(2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측면 프레임(223)은 제 4 측면(223a), 제 4 측면(223a)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5 측면(223b) 및 제 4 측면(223a)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6 측면(223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측면 프레임(223)은 제 4 측면(223a), 제 5 측면(223b) 및 제 6 측면(223c)을 통해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하우징(210, 220)은 도시된 형태 및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측면 프레임(213)은 제 1 후면 커버(21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측면 프레임(223)은 제 2 후면 커버(22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air of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펼침 상태에서, 제 1 측면 프레임(213)의 제 2 측면(213b)과 제 2 측면 프레임(223)의 제 5 측면(223b)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펼침 상태에서, 제 1 측면 프레임(213)의 제 3 측면(213c)과 제 2 측면 프레임(223)의 제 6 측면(223c)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펼침 상태에서, 제 2 측면(213b)과 제 5 측면(223b)의 합한 길이가 제 1 측면(213a) 및/또는 제 4 측면(223a)의 길이보다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측면(213c)과 제 6 측면(223c)의 합한 길이가 제 1 측면(213a) 및/또는 제 4 측면(223a)의 길이보다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측면 프레임(213) 및/또는 제 2 측면 프레임(223)은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금속에 사출되는 폴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측면 프레임(213) 및/또는 제 2 측면 프레임(223)은 폴리머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분절부(2161, 2162 및/또는 2261, 2262)를 통해 전기적으로 분절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부분(216 및/또는 226)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부분(216 및/또는 226)은 전자 장치(200)에 포함된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예: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후면 커버(214) 및/또는 제 2 후면 커버(224)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또는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270)는 제 1 하우징(210)의 제 1 면(211)으로부터 힌지 모듈(240)을 가로질러 제 2 하우징(220)의 제 3 면(221)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270)는 실질적으로 제 1 면(211)과 대응하는 제 1 영역(230a), 제 2 면(221)과 대응하는 제 2 영역(230b) 및 제 1 영역(230a)과 제 2 영역(230b)을 연결하고, 힌지 모듈(240)과 대응하는 폴딩 영역(230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예: 도 2a의 상태)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270)의 제 1 영역(230a), 폴딩 영역(230c) 및 제 2 영역(230b)은 동일 평면을 이루며,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접힘 상태(예: 도 2d의 상태)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270)의 제 1 영역(230a)과 제 2 영역(230b)은 폴딩 영역(230c)을 통해, 서로 좁은 각도(예: 약 0도 ~ 10도 범위)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예로, 폴딩 영역(230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중간 상태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270)의 제 1 영역(230a)과 제 2 영역(230b)은 접힘 상태보다 크고, 펼침 상태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폴딩 영역(230c)의 곡률은 접힘 상태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은, 힌지 모듈(240)을 통해,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 사이의 지정된 폴딩 각도에서 멈출 수 있는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free stop 기능).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 1 하우징(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는 제 1 보호 커버(215)(예: 제 1 보호 프레임 또는 제 1 장식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 2 하우징(220)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는 제 2 보호 커버(225)(예: 제 2 보호 프레임 또는 제 2 장식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보호 커버(215) 및/또는 제 2 보호 커버(225)는 금속 또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보호 커버(215) 및/또는 제 2 보호 커버(225)는 장식 부재(decoration member)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270)는 제 1 영역(230a)의 가장자리가 제 1 하우징(210)과 제 1 보호 커버(215) 사이에 개재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270)는 제 2 영역(230b)의 가장자리가 제 2 하우징(220)과 제 2 보호 커버(225) 사이에 개재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270)는 힌지 모듈(240)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보호 캡(235)을 통해, 보호 캡에 대응되는 제 1 디스플레이(270)의 가장자리가 보호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디스플레이(270)는 실질적으로 가장자리가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힌지 모듈(240)을 지지하고, 전자 장치(200)가 접힘 상태일 때, 외부로 노출되고, 펼힘 상태일 때, 제 1 공간(예: 제 1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 및 제 2 공간(예: 제 2 하우징(22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배치되는 힌지 하우징(241)(예: 힌지 커버)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 1 디스플레이(270)와 별도로 배치되는 제 2 디스플레이(231)(예: 서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디스플레이(231)는 제 1 하우징(210)의 제 2 면(212)의 전체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접힘 상태일 경우, 제 1 디스플레이(270)의 표시 기능을 대체하는, 전자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디스플레이(231)는 제 1 후면 커버(214)의 전체 영역 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디스플레이(231)는 제 2 하우징(220)의 제 4 면(222)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2 디스플레이(231)는 제 2 후면 커버(224)의 전체 영역 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입력 장치(203)(예: 마이크), 음향 출력 장치들(201, 202), 센서 모듈(204), 카메라 모듈들(205, 208, 209), 키 입력 장치(206) 또는 커넥터 포트(20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입력 장치(203)(예: 마이크), 음향 출력 장치들(201, 202), 센서 모듈(204), 카메라 모듈들(205, 208, 209), 키 입력 장치(206) 또는 커넥터 포트(207)는 제 1 하우징(210) 또는 제 2 하우징(220)에 형성된 홀 또는 형상을 지칭하고 있으나, 전자 장치(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홀 또는 형상을 통해 동작하는 실질적인 전자 부품(예: 입력 장치(203), 음향 출력 장치들(201,202), 센서 모듈(204) 또는 카메라 모듈들(205, 208, 209))을 포함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들(205, 208, 209)은, 전자 장치(200)의 제 1 하우징(210)의 제 1 면(211)에 배치된 제 1 카메라 장치(205), 제 1 하우징(210)의 제 2 면(212)에 배치된 제 2 카메라 장치(208), 및/또는 플래시(209)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카메라 장치(208)는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다수 개의 카메라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카메라 장치(208)는 광각 카메라, 초광각 카메라 또는 망원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들(205, 208) 중 일부 카메라 모듈(예: 제 1 카메라 장치(205)) 또는 센서 모듈(204)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70)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카메라 장치(205) 또는 센서 모듈(204)은 전자 장치(200)의 내부 공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7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오프닝(예: 관통홀)을 통해 외부 환경과 접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일부 센서 모듈(204)은 전자 장치(200)의 내부 공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70)를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러한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70)의, 센서 모듈과 대면하는 영역은 오프닝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some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의 전자 장치(3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a의 전자 장치(20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3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conten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프로세서(302), 디스플레이 모듈(304), 센서 모듈(306), 카메라 모듈(308) 및/또는 메모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도 1의 프로세서(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프로세서(120)에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04)은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16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60)에 포함될 수 있다. 센서 모듈(306)는 도 1의 센서 모듈(176)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센서 모듈(176)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08)은 도 1의 카메라 모듈(18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카메라 모듈(18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310)는 도 1의 메모리(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메모리(130)에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작동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모듈(304), 센서 모듈(306), 카메라 모듈(308)) 및/또는 메모리(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프로세서(302)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image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에 기반하여 콘텐트 생성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펼침 상태에서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모듈(304)(예: 도 2a의 제 1 디스플레이(270))에 제 1 콘텐트가 표시된 경우,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콘텐트는, 제 1 카메라(308)를 통해 획득한 동영상 콘텐트,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및/또는 서버(108))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콘텐트 및/또는 메모리(310)에 저장된 동영상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에 제 1 콘텐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각도 범위(예: 약 20도 ~ 약 170도)에 포함되는 경우, 전자 장치(300)의 동작 모드를 콘텐트 생성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320 determines that the folding angles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included in a designated angle range (eg, about 20 degrees to about 170 degrees)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에 제 1 콘텐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각도 범위(예: 약 20도 ~ 약 170도)에 포함되는 경우, 콘텐트 생성 모드의 전환과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예: 도 2a의 제 1 디스플레이(27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에 표시된 콘텐트 생성 모드의 전환과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락" 입력을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300)의 동작 모드를 콘텐트 생성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예로, 콘텐트 샌성 모드의 전환과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1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게 표시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에 제 1 콘텐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각도 범위(예: 약 20도 ~ 약 170도)에 포함되는 경우, 콘텐트 생성 모드로의 전환 메뉴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02)는 콘텐트 생성 모드로의 전환 메뉴가 설정된 경우, 전자 장치(300)의 동작 모드를 콘텐트 생성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예로, 콘텐트 생성 모드로의 전환 메뉴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에 제 1 콘텐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센서 모듈(306)을 통해 획득한 센서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 1 하우징(예: 도 2a의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예: 도 2a의 제 2 하우징(220))의 폴딩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에 제 1 콘텐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콘텐트 생성 모드로 전환된 경우, 제 1 콘텐트에 대응하는 제 3 콘텐트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전자 장치(300)의 동작 모드가 콘텐트 생성 모드로 전환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304)에 표시된 제 1 콘텐트를 복사하여 제 2 콘텐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제 3 콘텐트는 제 2 콘텐트의 생성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콘텐트(예: 동영상 콘텐트)로, 제 1 콘텐트 및 제 2 콘텐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2)는 제 3 콘텐트를 생성한 경우, 콘텐트 분리 기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 1 콘텐트의 일부를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표시하고, 제 2 콘텐트의 다른 일부를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콘텐트의 다른 일부는 제 1 콘텐트 중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에 표시된 제 1 콘텐트의 일부와 다른 나머지 일부에 대응될 수 있다. 일예로, 콘텐트 분리 기준은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과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을 구분하는 힌지 모듈(예: 도 2a의 힌지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전자 장치(300)의 동작 모드가 콘텐트 생성 모드로 전환된 경우, 콘텐트 분리 기준에 기반하여 분리된 제 1 콘텐트에 일부에 대응하는 제 1 서브 콘텐트 및 제 1 콘텐트의 다른 일부에 대응하는 제 2 서브 콘텐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제 3 콘텐트는 제 1 서브 콘텐트 및 제 2 서브 콘텐트의 생성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콘텐트(예: 동영상 콘텐트)로, 제 1 서브 콘텐트 및 제 2 서브 콘텐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2)는 제 3 콘텐트를 생성한 경우, 제 1 서브 콘텐트를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표시하고, 제 2 서브 콘텐트를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제 3 콘텐트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독립적으로 또는 연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을 감지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을 통해 제 1 콘텐트(또는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은 제 2 콘텐트의 다른 일부(또는 제 2 서브 콘텐트)에 대응하는 정지 화면의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제 1 입력에 기반하여 제 1 콘텐트(또는 제 1 서브 콘텐트) 재생 중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을 감지한 경우, 제 1 콘텐트(또는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은 제 1 콘텐트(또는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이 중단된 시점(예: 제 2 입력이 감지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콘텐트(또는 제 1 서브 콘텐트)의 정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에 표시된 제 2 콘텐트(또는 제 2 서브 콘텐트)의 정지 화면은 제 1 콘텐트(또는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도록 갱신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제 1 입력에 기반하여 제 1 콘텐트(또는 제 1 서브 콘텐트) 재생 중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3 입력을 감지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을 통해 제 1 콘텐트(또는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제 2 콘텐트(또는 제 2 서브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은 제 1 콘텐트(또는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시점과 동기화된 시점부터 재생되는 제 2 콘텐트(또는 제 2 서브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제 1 입력 및 제 3 입력에 기반하여 제 1 콘텐트(또는 제 1 서브 콘텐트) 및 제 2 콘텐트(또는 제 2 서브 콘텐트) 재생 중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4 입력을 감지한 경우, 제 1 콘텐트(또는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은 제 1 콘텐트(또는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이 중단된 시점(예: 제 2 입력이 감지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콘텐트(또는 제 1 서브 콘텐트)의 정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은 제 2 콘텐트(또는 제 2 서브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304)은 전자 장치(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304)은 프로세서(302)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304)은 프로세서(302)에 의해 제 1 콘텐트에 대응하는 제 3 콘텐트가 생성된 경우, 제 3 콘텐트가 제 1 콘텐트에 기반하여 생성된 콘텐트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콘텐트에 기반하여 생성된 콘텐트임을 나타내는 정보는 아이콘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304)은 카메라 모듈(308)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예: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304)은 힌지 모듈(예: 도 2b의 힌지 모듈(240))을 기준으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예로, 디스플레이 모듈(304)은 도 2a의 제 1 디스플레이(270) 및/또는 도 2c의 제 2 디스플레이(231)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06)은 전자 장치(300)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302)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06)은 전자 장치(300)의 제 1 하우징(예: 도 2a의 제 1 하우징(210))에 배치되어 제 1 하우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 1 센서, 제 2 하우징(예: 도 2a의 제 2 하우징(220))에 배치되어 제 2 하우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 2 센서 또는 자기 감지 센서(예: hall I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6)는 센서 모듈(306)에 포함되는 제 1 센서, 제 2 센서 또는 자기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 1 하우징(예: 도 2a의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예: 도 2a의 제 2 하우징(220))의 폴딩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센서 및/또는 제 2 센서는 관성 센서, 모션 센서, 6축 센서, 자이로 센서 및/또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 감지 센서는 제 1 하우징(또는 제 2 하우징)에 배치되어 제 2 하우징(또는 제 1 하우징)에 배치된 자성체에서 발생되는 자력을 검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308)은 정지 영상 및/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308)은 다수 개의 카메라 장치들(예: 도 2a의 제 1 카메라 장치(205) 및/또는 도 2c의 제 2 카메라 장치(20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 개의 카메라 장치들은 서로 다른 촬영 방향 및/또는 서로 다른 화각을 지원할 수 있다. 일예로, 카메라 모듈(308)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또는 이미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10)는 전자 장치(3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302), 디스플레이 모듈(304), 센서 모듈(306) 또는 카메라 모듈(308))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전자 장치(30)의 동작 상태를 구분하기 위한 지정된 범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데이터는 센서 모듈(306)에 의해 수집되는 센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모듈(304)를 통해 제 3 콘텐트를 출력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을 통해 제 1 콘텐트(또는 제 1 서브 콘텐트)의 정지 화면을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을 통해 제 2 콘텐트(또는 제 2 서브 콘텐트)의 정지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모듈(304)를 통해 제 3 콘텐트를 출력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을 통해 제 1 콘텐트(또는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을 통해 제 2 콘텐트(또는 제 2 서브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모듈(304)를 통해 제 3 콘텐트를 출력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을 통해 제 1 콘텐트(또는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을 통해 제 2 콘텐트(또는 제 2 서브 콘텐트)의 정지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펼침 상태(또는 바 타입의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 분리 기준에 기반하여 콘텐트 생성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펼침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콘텐트 분리 기준이 설정되는 경우, 콘텐트 생성 모드를 활성화하여 디스플레이 모듈(304)에 표시된 제 1 콘텐트에 대응하는 제 3 콘텐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콘텐트 분리 기준은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일부 영역으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가변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a의 전자 장치(200)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300))는, 힌지 모듈(예: 도 2a의 힌지 모듈(240))과,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의 제 1 공간을 둘러싸는 제 1 측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예: 도 2a의 제 1 하우징(210))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제 1 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 3 면, 상기 제 3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4 면 및 상기 제 3 면과 상기 제 4 면 사이의 제 2 공간을 둘러싸는 제 2 측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예: 도 2a의 제 2 하우징(220))과 상기 제 1 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3 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160), 도 2a의 제 1 디스플레이(270), 또는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3의 프로세서(302)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펼침 상태에서 제 1 콘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콘텐트에 대응하는 제 2 콘텐트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이한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콘텐트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콘텐트를 복사하여 상기 제 2 콘텐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folding angles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satisfy a specified range, the processor may generate the second content by copying the first conten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공간 및/또는 상기 제 2 공간에 배치되는 카메라(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 도 2c의 카메라 모듈(208), 또는 도 3의 카메라 모듈(308))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콘텐트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camera disposed in the first space and/or the second spa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저장하는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 또는 도 3의 메모리(3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콘텐트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t further includes a memory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콘텐트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제 1 콘텐트 중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 1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일부에 대응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t least another portion of the second content may correspond to a portion of the first content other tha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은, 상기 제 2 콘텐트와 관련된 정지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controls the display to display a reproduction screen of the first content through a first area of the display based on a first inp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I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a still image related to the second content may be display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중단 시점과 관련된 상기 제 1 콘텐트의 정지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중단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콘텐트의 정지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stops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based on a second inp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and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stops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A still image of the first content related to a viewpoint may be displayed, and a still image of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a time when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is stopped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3 입력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콘텐트의 재생 시점부터 상기 제 2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detecting a third inpu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the processor checks a playback time of the first content, and uses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to determine the first content The display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a playback screen of the second content from a playback timing of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a playback timing of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a의 전자 장치(200)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300))는, 힌지 모듈(예: 도 2a의 힌지 모듈(240))과,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의 제 1 공간을 둘러싸는 제 1 측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예: 도 2a의 제 1 하우징(210))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제 1 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 3 면, 상기 제 3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4 면 및 상기 제 3 면과 상기 제 4 면 사이의 제 2 공간을 둘러싸는 제 2 측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예: 도 2a의 제 2 하우징(220))과 상기 제 1 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3 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160), 도 2a의 제 1 디스플레이(270), 또는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3의 프로세서(302)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펼침 상태에서 콘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된 상기 콘텐트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 1 서브 콘텐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이한 제 2 영역에 표시된 상기 콘텐트의 다른 일부에 대응하는 제 2 서브 콘텐트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서브 콘텐트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서브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은, 상기 제 2 서브 콘텐트와 관련된 정지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controls the display to display a reproduction screen of the first sub-content through a first area of the display based on a first inp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I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a still image related to the second sub content may be display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중단 시점과 관련된 상기 제 1 서브 콘텐트의 정지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중단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서브 콘텐트의 정지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stops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sub-content based on a second inp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ion of the display, and the first region of the display includes A still image of the first sub-content related to the playback stop time may be displayed, and i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a still image of the second sub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layback stop time of the first sub content may be displayed. .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3 입력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서브 콘텐트의 재생 시점부터 상기 제 2 서브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detecting a third inpu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the processor checks a playback time of the first sub-content, and uses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to determine the first sub-content. The display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a playback screen of the second sub-content from a playback timing of the second sub-content corresponding to a playback timing of the sub-content.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를 생성 및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400)의 일예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4의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a의 전자 장치(200)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300)일 수 있다. 일예로, 도 4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에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일예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 상태에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일예이다.4 is an example of a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3의 프로세서(302))는 동작 4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가 펼침 상태에서 제 1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도 5a와 같이, 전자 장치(3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카메라 모듈(308)(예: 도 2c의 제 2 카메라 장치(208))를 통해 획득한 제 1 콘텐트(500)(예: 프리뷰 이미지 또는 동영상 콘텐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예: 도 2a의 제 1 디스플레이(27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입력을 검출한 경우, 메모리(310)에 저장된 콘텐트 목록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2)는 도 5a와 같이, 콘텐트 목록에서 선택된 제 1 콘텐트(50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예: 도 2a의 제 1 디스플레이(270))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디스플레이 모듈(304)은 콘텐트 목록 중 콘텐트 생성 모드에 기반하여 생성된 콘텐트를 다른 콘텐트와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동작 403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가 콘텐트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각도 범위(예: 약 20도 ~ 약 170도)에 포함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2)는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각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전자 장치(300)의 동작 모드를 콘텐트 생성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02)는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각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300)의 동작 모드를 콘텐트 생성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프로세서(302)는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가 제 1 기준 범위(예: 약 170도 ~ 약 180도)에 포함되는 경우, 전자 장치(300)의 펼침 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304)은 도 5a와 같이, 제 1 콘텐트(500)의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프로세서(302)는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가 제 2 기준 범위(예: 약 0도 ~ 약 20도)에 포함되는 경우, 전자 장치(300)가 접힘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304)(예: 도 2a의 제 1 디스플레이(270))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각도 범위(예: 약 20도 ~ 약 170도)에 포함되는 경우, 콘텐트 생성 모드로의 전환 메뉴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2)는 콘텐트 생성 모드로의 전환 메뉴가 설정된 경우, 전자 장치(300)의 동작 모드를 콘텐트 생성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02)는 콘텐트 생성 모드로의 전환 메뉴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300)의 동작 모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304)은 중간 상태에서 제 1 콘텐트(500)의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일예로, 콘텐트 생성 모드로의 전환 메뉴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에 제 1 콘텐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folding angle of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각도 범위(예: 약 20도 ~ 약 170도)에 포함되는 경우, 콘텐트 생성 모드의 전환과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에 표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락" 입력을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300)의 동작 모드를 콘텐트 생성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에 표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거절" 입력을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300)의 동작 모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302)은 중간 상태에서 제 1 콘텐트(500)의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일예로, 콘텐트 생성 모드의 전환과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에 표시된 제 1 콘텐트(500)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게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folding angle of the
다양한 실시에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가 콘텐트 생성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예: 동작 403의 '아니오'),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된 제 1 콘텐트와 관련된 제 3 콘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종료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가 콘텐트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예: 동작 403의 '예'), 동작 405에서, 콘텐트 생성 모드에 기반하여 제 1 콘텐트에 대응하는 제 2 콘텐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에 표시된 제 1 콘텐트를 복사하여 제 2 콘텐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동작 407에서, 콘텐트 분리 기준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제 1 콘텐트의 일부를 표시하고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에 제 2 콘텐트의 다른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전자 장치(300)의 동작 모드가 콘텐트 생성 모드로 전환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304)에 표시된 제 1 콘텐트를 복사하여 제 2 콘텐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2)는 도 5b와 같이, 콘텐트 분리 기준(510)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 1 콘텐트의 일부(522)를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표시하고, 제 2 콘텐트의 다른 일부(526)를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콘텐트의 다른 일부(526)는 제 1 콘텐트 중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에 표시된 제 1 콘텐트의 일부(522)와 다른 나머지 일부에 대응될 수 있다. 일예로, 콘텐트 분리 기준(510)은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과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을 구분하는 힌지 모듈(예: 도 2a의 힌지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콘텐트 생성 모드에 기반하여 제 1 콘텐트를 복사하여 제 2 콘텐트를 생성한 경우, 제 1 콘텐트 및 제 2 콘텐트에 의해 구성되는 제 3 콘텐트가 생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제 1 콘텐트를 복사하여 제 2 콘텐트를 생성함으로써, 제 1 콘텐트 및 제 2 콘텐트를 포함하는 제 3 콘텐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 분리 기준에 기반하여 콘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6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의 동작들은 도 4의 동작 407의 상세한 동작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6의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a의 전자 장치(200)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300)일 수 있다. 일예로, 도 6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 분리 기준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콘텐트의 일예이다.6 is a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3의 프로세서(302))는 콘텐트 생성 모드에 기반하여 제 1 콘텐트에 대응하는 제 2 콘텐트를 생성한 경우(예: 도 4의 동작 405), 동작 601에서, 콘텐트 분리 기준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한 경우, 도 7과 같이, 제 1 콘텐트(700)를 복사하여(710) 제 2 콘텐트(720)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과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을 구분하는 힌지 모듈(예: 도 2a의 힌지 모듈(240))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예: 도 2b의 폴딩 영역(230c))을 콘텐트 분리 기준(730)으로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동작 603에서, 콘텐트 분리 기준에 기반하여 제 1 콘텐트의 일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도 7과 같이, 콘텐트 분리 기준(730)에 기반하여 제 1 콘텐트(700)의 일부(702)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동작 605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제 1 콘텐트의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과 관련된 버퍼 중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예: 제 1 버퍼)에 제 1 콘텐트(700)의 일부(702)와 관련된 정보를 드로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04)는 디스플레이 모듈(304)과 관련된 버퍼 중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예: 제 1 버퍼)에 드로잉된 제 1 콘텐트(700)의 일부(702)와 관련된 정보를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동작 607에서, 콘텐트 분리 기준에 기반하여 제 2 콘텐트의 다른 일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도 7과 같이, 콘텐트 분리 기준(730)에 기반하여 제 2 콘텐트(720)의 다른 일부(722)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콘텐트(720)의 다른 일부(722)는 제 1 콘텐트(700) 중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에 표시된 제 1 콘텐트(700)의 일부(702)를 제외한 나머지 일부(704)에 대응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동작 609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에 제 2 콘텐트의 다른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과 관련된 버퍼 중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다른 일부(예: 제 2 버퍼)에 제 2 콘텐트(720)의 다른 일부(722)와 관련된 정보를 드로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04)는 디스플레이 모듈(304)과 관련된 버퍼 중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다른 일부(예: 제 2 버퍼)에 드로잉된 제 2 콘텐트(720)의 다른 일부(722)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800)의 일예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의 동작들은 도 4의 동작 407의 상세한 동작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8의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a의 전자 장치(200)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300)일 수 있다. 8 is an example of a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3의 프로세서(302))는 콘텐트 생성 모드에 기반하여 제 1 콘텐트에 대응하는 제 2 콘텐트를 생성한 경우(예: 도 4의 동작 405), 동작 801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제 1 콘텐트의 일부를 표시하고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에 제 2 콘텐트의 다른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도 6의 동작 601 내지 609와 같이, 콘텐트 분리 기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 1 콘텐트(700)의 일부(702)를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표시하고, 제 2 콘텐트(720)의 다른 일부(722)를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은 제 1 콘텐트(700)의 일부(702)에 대응하는 정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은 제 2 콘텐트(720)의 다른 일부(722)에 대응하는 정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동작 803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예: 탭(tap), 더블 탭 또는 스와이프)이 검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을 수신한 경우(예: 동작 803의 '예'), 동작 805에서, 제 1 콘텐트를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을 통해 제 1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은 제 2 콘텐트(720)의 다른 일부(722)에 대응하는 정지 화면의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304)은 도 5b와 같이, 제 1 영역에 "파도"와 관련된 제 1 콘텐트의 재생 화면(522)을 출력하고, 제 2 영역에 "사용자의 발"과 관련된 제 2 콘텐트의 정지 화면(526)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동작 807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예: 탭(tap), 더블 탭 또는 스와이프)이 검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입력은 제 1 입력과 동일하거나 다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대응하는 제 1 입력 및/또는 제 2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예: 동작 803의 '아니오' 및 동작 807의 '아니오'), 제 1 콘텐트 및 제 2 콘텐트를 포함하는 제 3 콘텐트의 출력을 위한 일 실시예를 종료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을 수신한 경우(예: 동작 807의 '예'), 동작 809에서, 제 1 콘텐트의 재생을 정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을 통해 제 1 콘텐트의 재생이 중지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콘텐트의 정지 화면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콘텐트의 재생이 중지된 시점은 제 2 입력의 검출 시점 또는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제 1 콘텐트의 재생 중지를 결정한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동작 811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에 제 1 콘텐트의 재생 시점과 동기화된 제 2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제 2 콘텐트 중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제 1 콘텐트의 재생이 중지된 시점에 대응하는 재생 시점의 정지 화면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에 표시된 제 2 콘텐트의 정지 화면을 제 1 콘텐트의 재생이 중지된 시점에 대응하는 재생 시점의 제 2 콘텐트의 정지 화면으로 갱신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900)의 다른 일예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의 동작들은 도 4의 동작 407의 상세한 동작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9의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a의 전자 장치(200)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300)일 수 있다. 9 is another example of a
도 9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3의 프로세서(302))는 콘텐트 생성 모드에 기반하여 제 1 콘텐트에 대응하는 제 2 콘텐트를 생성한 경우(예: 도 4의 동작 405), 동작 901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 및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에 제 1 콘텐트의 일부 및 제 2 콘텐트의 다른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도 5b와 같이, 콘텐트 분리 기준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 1 콘텐트의 일부(522)를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표시하고, 제 2 콘텐트의 다른 일부(526)를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은 제 1 콘텐트의 일부(522)에 대응하는 정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일예로,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은 제 2 콘텐트의 다른 일부(526)에 대응하는 정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동작 903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예: 탭(tap), 더블 탭 또는 스와이프)이 검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을 수신한 경우(예: 동작 903의 '예'), 동작 905에서, 제 1 콘텐트를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을 통해 제 1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은 제 2 콘텐트(720)의 다른 일부(722)에 대응하는 정지 화면의 표시가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동작 907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에 대응하는 제 3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 내에서 터치 정보(예: 탭(tap), 더블 탭 또는 스와이프)가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제 3 입력은 제 1 입력과 동일하거나 다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이 수신되지 않거나(예: 동작 903의 '아니오),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에 대응하는 제 3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예: 동작 907의 '아니오'), 제 1 콘텐트 및 제 2 콘텐트를 포함하는 제 3 콘텐트의 출력을 위한 일 실시예를 종료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대응하는 제 3 입력을 수신한 경우(예: 동작 907의 '예'), 동작 909에서, 제 1 콘텐트의 재생 시점에 기반하여 제 2 콘텐트를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3 입력에 기반하여 제 2 콘텐트를 재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을 통해 제 1 콘텐트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제 2 콘텐트의 재생 시점부터 제 2 콘텐트가 재생 화면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콘텐트의 재생 시점은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을 통해 출력되는 제 1 콘텐트의 재생 화면에 대응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대응하는 제 3 입력을 수신한 경우(예: 동작 907의 '예'), 제 1 콘텐트의 재생 시점과 무관하게 제 2 콘텐트를 재생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를 생성 및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1000)의 다른 일예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0의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a의 전자 장치(200)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300)일 수 있다. 일예로, 도 10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11a, 도 11b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에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다른 일예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 상태에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다른 일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 분리 기준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콘텐트의 다른 일예이다.10 is another example of a
도 10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3의 프로세서(302))는 동작 10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가 펼침 상태에서 제 1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도 11a와 같이,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300)가 펼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 1 콘텐트(1100)(예: 프리뷰 이미지 또는 동영상 콘텐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예: 도 2a의 제 1 디스플레이(27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콘텐트(1100)는 카메라 모듈(308)을 통해 획득한 콘텐트 또는 메모리(310)에 저장된 콘텐트들 중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선택된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n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동작 1003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가 콘텐트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각도 범위(예: 약 20도 ~ 약 170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콘텐트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각도 범위(예: 약 20도 ~ 약 170도) 내에 포함되고, 콘텐트 생성 모드로의 전환 메뉴가 설정된 경우, 콘텐트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각도 범위(예: 약 20도 ~ 약 170도) 내에 포함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콘텐트 생성 모드로의 전환을 수락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콘텐트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다양한 실시에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가 콘텐트 생성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예: 동작 1003의 '아니오'),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된 제 1 콘텐트와 관련된 제 3 콘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종료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에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0))의 폴딩 각도가 콘텐트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예: 동작 1003의 '예'), 동작 1005에서, 콘텐트 생성 모드에 기반하여 제 1 콘텐트에 대응하는 제 1 서브 콘텐트 및 제 2 서브 콘텐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도 12와 같이, 콘텐트 분리 기준(1210)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304)에 표시된 제 1 콘텐트(1100)를 제 1 구간(1202)과 제 2 구간(1204)으로 분할할 수 있다. 프로세서(302)는 제 1 콘텐트(1100)의 제 1 구간(1202)을 포함하는 제 1 서브 콘텐트(1122) 및 제 1 콘텐트(1100)의 제 2 구간(1204)을 포함하는 제 2 서브 콘텐트(1126)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에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2))는 동작 1007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예: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제 1 서브 콘텐트를 표시하고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에 제 2 서브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도 11b와 같이, 콘텐트 분리 기준(1110)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 1 서브 콘텐트(1122)를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예: 도 2b의 제 1 영역(230a))에 표시하고, 제 2 서브 콘텐트(1126)를 제 2 영역(예: 도 2b의 제 2 영역(230b))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과 관련된 버퍼 중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예: 제 1 버퍼)에 제 1 서브 콘텐트(1122)와 관련된 정보를 드로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04)는 디스플레이 모듈(304)과 관련된 버퍼 중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예: 제 1 버퍼)에 드로잉된 제 1 서브 콘텐트(1122)와 관련된 정보를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디스플레이 모듈(304)과 관련된 버퍼 중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다른 일부(예: 제 2 버퍼)에 제 2 서브 콘텐트(1126)와 관련된 정보를 드로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04)는 디스플레이 모듈(304)과 관련된 버퍼 중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다른 일부(예: 제 2 버퍼)에 드로잉된 제 2 서브 콘텐트(1126)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콘텐트 생성 모드에 기반하여 제 1 콘텐트에 대응하는 제 1 서브 콘텐트 및 제 2 서브 콘텐트를 생성한 경우, 제 1 서브 콘텐트 및 제 2 서브 콘텐트에 의해 구성되는 제 3 콘텐트가 생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제 1 콘텐트를 분할하여 제 1 서브 콘텐트와 제 2 서브 콘텐트를 생성함으로써, 제 1 콘텐트에 대응하는 제 3 콘텐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1 영역에 표시된 제 1 서브 콘텐트와 제 2 영역에 표시된 제 2 서브 콘텐트를 독립적으로 또는 연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도 8의 동작 801 내지 811과 같이,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이 정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304)의 제 2 영역을 통해,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이 중지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2 콘텐트의 정지 화면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4)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2)는 도 9의 동작 901 내지 909와 같이,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중 제 2 서브 콘텐트가 재생되는 경우,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시점에 기반하여 제 2 서브 콘텐트를 재생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2a의 전자 장치(200)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힌지 모듈(예: 도 2a의 힌지 모듈(240))에 연결되고,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의 제 1 공간을 둘러싸는 제 1 측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예: 도 2a의 제 1 하우징(210)) 및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제 1 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 3 면, 상기 제 3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4 면 및 상기 제 3 면과 상기 제 4 면 사이의 제 2 공간을 둘러싸는 제 2 측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예: 도 2a의 제 2 하우징(220))의 폴딩 각도가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제 1 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3 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160), 도 2a의 제 1 디스플레이(270), 또는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304))를 통해 제 1 콘텐트를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콘텐트에 대응하는 제 2 콘텐트를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콘텐트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콘텐트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콘텐트를 복사하여 상기 제 2 콘텐트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generating of the second content may include, when the folding angles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satisfy a specified range, copying the first content to generate the second content It can include action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콘텐트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 도 2c의 카메라 모듈(208), 또는 도 3의 카메라 모듈(308))를 통해 획득한 상기 제 1 콘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displaying of the first content may include a camera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콘텐트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 또는 도 3의 메모리(3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displaying of the first content may include any one of at least one content stored in a memory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콘텐트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제 1 콘텐트 중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 1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일부에 대응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t least another portion of the second content may correspond to a portion of the first content other tha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은, 상기 제 2 콘텐트와 관련된 정지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method further includes displaying a reproduction screen of the first content through a first area of the display based on a first inp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wherei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In the area, a still image related to the second content may be display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을 중단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중단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중단 시점과 관련된 상기 제 1 콘텐트의 정지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중단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콘텐트의 정지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method further includes stopping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based on a second inp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where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includes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A still image of the first content related to the time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is stopped is displayed based on the stop, and i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is stopped is displayed An image may be display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3 입력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시점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콘텐트의 재생 시점부터 상기 제 2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a third inpu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is detected, the operation of confirming a reproduction time of the first content, and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through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playback screen of the second content from a playback timing of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iming.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for specific examples in order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s not what you want to do. Therefore, in the scop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technical ideas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힌지 모듈;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의 제 1 공간을 둘러싸는 제 1 측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제 1 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 3 면, 상기 제 3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4 면 및 상기 제 3 면과 상기 제 4 면 사이의 제 2 공간을 둘러싸는 제 2 측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3 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펼침 상태에서 제 1 콘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콘텐트에 대응하는 제 2 콘텐트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이한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콘텐트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hinge module;
A first housing connected to the hinge module and including 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fa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a first side surrounding a first space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
It is connected to the hinge module so as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and in an unfolded state, a third surface fac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surface, a fourth surface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hird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a second housing including a second side surface surrounding a second space between the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a display dispose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ide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side;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upled to the display;
The processor is
Displaying the first content on the display in the unfolded state,
When the folding angles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satisfy a specified range, generating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tent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An electronic device that displays at least another part of the second content in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콘텐트를 복사하여 상기 제 2 콘텐트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may generate the second content by copying the first content when the folding angles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satisfy a specified range.
상기 제 1 공간 및/또는 상기 제 2 공간에 배치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콘텐트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mera disposed in the first space and / or the second space,
The first content is an electronic devic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콘텐트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content,
The first content is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y one of at least on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상기 제 2 콘텐트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제 1 콘텐트 중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 1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일부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another portion of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s to a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content other tha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은, 상기 제 2 콘텐트와 관련된 정지 영상이 표시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controls the display to display a reproduction screen of the first content through a first area of the display based on a first inp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displays a still image related to the second content.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중단 시점과 관련된 상기 제 1 콘텐트의 정지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중단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콘텐트의 정지 영상이 표시되는 전자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rocessor stops playing the first content based on a second inp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a still image of the first content related to a time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is stopped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a still image of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a time when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is stopped is displayed.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3 입력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콘텐트의 재생 시점부터 상기 제 2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processor detects a third inpu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gion of the display, the processor checks a playback time of the first content;
A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the display to display a playback screen of the second content from a playback timing of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a playback timing of the first content through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의 제 1 공간을 둘러싸는 제 1 측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제 1 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 3 면, 상기 제 3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4 면 및 상기 제 3 면과 상기 제 4 면 사이의 제 2 공간을 둘러싸는 제 2 측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제 1 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3 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 1 콘텐트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콘텐트에 대응하는 제 2 콘텐트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콘텐트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irst housing connected to the hinge module and comprising 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fa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a first side surrounding a first space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t is connected to the hinge module so as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and in an unfolded state, a third surface fac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surface, a fourth surface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hird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A display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surface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in a state in which a folding angle of a second housing including a second side surrounding a second space between the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is unfolded displaying the first content through the
generating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when the folding angles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satisfy a specified range;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tent o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and
and displaying at least another portion of the second content o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상기 제 2 콘텐트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1 콘텐트를 복사하여 상기 제 2 콘텐트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enerating of the second content includes generating the second content by copying the first content when the folding angles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satisfy a specified range.
상기 제 1 콘텐트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상기 제 1 콘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isplaying of the first content includes displaying the first content acquired through a camera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on the display.
상기 제 1 콘텐트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first content includes:
and displaying any one of at least one content stored in a memory of the electronic device on the display.
상기 제 2 콘텐트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제 1 콘텐트 중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 1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일부에 대응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t least another portion of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s to a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content other tha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은, 상기 제 2 콘텐트와 관련된 정지 영상이 표시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a reproduction screen of the first content through a first area of the display based on a first inp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I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a still image related to the second content is displayed.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을 중단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중단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중단 시점과 관련된 상기 제 1 콘텐트의 정지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중단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콘텐트의 정지 영상이 표시되는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the operation of stopping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based on a second inp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a still image of the first content related to the time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is stopped is displayed based on the stop of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I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a still image of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a time when reproduction of the first content is stopped is displayed.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3 입력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시점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콘텐트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콘텐트의 재생 시점부터 상기 제 2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checking a playback time of the first content when a third inpu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is detected; and
and displaying a playback screen of the second content from a playback timing of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layback timing of the first content through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힌지 모듈;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의 제 1 공간을 둘러싸는 제 1 측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고,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제 1 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 3 면, 상기 제 3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4 면 및 상기 제 3 면과 상기 제 4 면 사이의 제 2 공간을 둘러싸는 제 2 측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 3 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펼침 상태에서 콘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폴딩 각도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된 상기 콘텐트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 1 서브 콘텐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이한 제 2 영역에 표시된 상기 콘텐트의 다른 일부에 대응하는 제 2 서브 콘텐트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서브 콘텐트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서브 콘텐트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hinge module;
A first housing connected to the hinge module and including 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fa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a first side surrounding a first space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
It is connected to the hinge module so as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and in an unfolded state, a third surface fac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surface, a fourth surface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hird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a second housing including a second side surface surrounding a second space between the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a display dispose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ide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side;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upled to the display;
The processor is
Displaying content on the display in an unfolded state;
When the folding angles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satisfy a specified range, a first sub-content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display and a first sub-content different from the first region of the display generating a second sub-content corresponding to another part of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displaying the first sub content o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An electronic device that displays the second sub content o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은, 상기 제 2 서브 콘텐트와 관련된 정지 영상이 표시되는 전자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processor controls the display to display a reproduction screen of the first sub-content through a first area of the display based on a first inp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displays a still image related to the second sub content.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중단 시점과 관련된 상기 제 1 서브 콘텐트의 정지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중단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서브 콘텐트의 정지 영상이 표시되는 전자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processor stops reproducing the first sub-content based on a second inp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a still image of the first sub-content related to a playback stop time of the first sub-content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a still image of the second sub-content corresponding to a time when reproduction of the first sub-content is stopped is displayed.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3 입력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서브 콘텐트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서브 콘텐트의 재생 시점부터 상기 제 2 서브 콘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19. The method of claim 18,
When the processor detects a third inpu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the processor checks a playback time of the first sub-content;
A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the display to display a playback screen of the second sub-content from a playback timing of the second sub-content corresponding to a playback timing of the first sub-content through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1731A KR20220039085A (en) | 2020-09-21 | 2020-09-21 | Foldable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PCT/KR2021/012436 WO2022060041A1 (en) | 2020-09-21 | 2021-09-13 | Foldable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1731A KR20220039085A (en) | 2020-09-21 | 2020-09-21 | Foldable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9085A true KR20220039085A (en) | 2022-03-29 |
Family
ID=8077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1731A Pending KR20220039085A (en) | 2020-09-21 | 2020-09-21 | Foldable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39085A (en) |
WO (1) | WO2022060041A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29748A1 (en) * | 2022-08-05 | 2024-0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screens of plurality of applications on basis of form of flexible display |
WO2024034823A1 (en) * | 2022-08-09 | 2024-02-1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change of folded state using same |
WO2024048966A1 (en) * | 2022-08-31 | 2024-03-0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
WO2025037781A1 (en) * | 2023-08-17 | 2025-02-2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substan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9776B1 (en) * | 2009-01-09 | 2015-11-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olding display par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
KR20160143115A (en) * | 2015-06-04 | 2016-1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device thereof |
US10878771B2 (en) * | 2016-07-13 | 2020-12-29 | Motorola Mobility Llc |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 remediation to compensate performance degradation |
KR20200045241A (en) * | 2018-10-22 | 2020-05-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method for Displaying Plurality of Pages of Contents thereof |
KR102661614B1 (en) * | 2019-02-11 | 2024-04-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Screen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2020
- 2020-09-21 KR KR1020200121731A patent/KR20220039085A/en active Pending
-
2021
- 2021-09-13 WO PCT/KR2021/012436 patent/WO202206004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29748A1 (en) * | 2022-08-05 | 2024-0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screens of plurality of applications on basis of form of flexible display |
WO2024034823A1 (en) * | 2022-08-09 | 2024-02-1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change of folded state using same |
WO2024048966A1 (en) * | 2022-08-31 | 2024-03-0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
WO2025037781A1 (en) * | 2023-08-17 | 2025-02-2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substan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060041A1 (en) | 2022-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039085A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2256292B1 (en) | A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multiple windows using an expandable display | |
KR20220017078A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creen ro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20220017152A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the foldable electronic device | |
KR20220032875A (en) | 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 |
KR20220033247A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20220000729A (en) | Method of use according to folding state of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KR20220161960A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according to changing of state of flexible display thereof | |
US20230122806A1 (en) | Electronic device for moving position of visual object located in folding area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KR20230054227A (en) | An electronic device for moving a location of a visual object located in a folded area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220050404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based on shape thereof | |
US20230247130A1 (en) | Method for providing screen by us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 |
KR20220014968A (en) | Method for providing screen division according to use electronic pen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KR20220069780A (en)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ng flexible display | |
KR20230023416A (en) | Method of processing touch inpu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KR20230043549A (en) |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screen of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KR20220074165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of flexible display | |
KR20220078423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lide based on multi touch | |
KR20220118196A (en) | Call functio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KR20220073943A (en) |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stylus and electronic device receiving input from stylus using the same method | |
KR20220078184A (en) | An electronic device for moving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bject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flexible displa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240043038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hovering in folded state | |
KR20240118627A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identifying folded state or unfolded state | |
KR20240021045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 screeen through plurality of displays | |
KR20230120062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