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383A -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90383A KR20230090383A KR1020210178254A KR20210178254A KR20230090383A KR 20230090383 A KR20230090383 A KR 20230090383A KR 1020210178254 A KR1020210178254 A KR 1020210178254A KR 20210178254 A KR20210178254 A KR 20210178254A KR 20230090383 A KR20230090383 A KR 202300903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window
- base layer
- disposed
- electronic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4383 yel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6254 polymer fil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2284 Cellulose triacet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433 Thermoplastic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NNLVGZFZQQXQNW-ADJNRHBOSA-N [(2r,3r,4s,5r,6s)-4,5-diacetyloxy-3-[(2s,3r,4s,5r,6r)-3,4,5-triacetyloxy-6-(acetyloxymethyl)oxan-2-yl]oxy-6-[(2r,3r,4s,5r,6s)-4,5,6-triacetyloxy-2-(acetyloxymethyl)oxan-3-yl]oxyoxan-2-yl]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C(C)=O)[C@H]1OC(C)=O)O[C@H]1[C@@H]([C@@H](OC(C)=O)[C@H](OC(C)=O)[C@@H](COC(C)=O)O1)OC(C)=O)COC(=O)C)[C@@H]1[C@@H](COC(C)=O)O[C@@H](OC(C)=O)[C@H](OC(C)=O)[C@H]1OC(C)=O NNLVGZFZQQXQNW-ADJNRHBO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30040373 Paraformaldehyde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873 Polyethylenimi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230 polyary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312 polyamide-i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955 polyphenylene eth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962 Polyamide-i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695 Polyether sulf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6393 polyether sulf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9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101100347958 Arabidopsis thaliana NAP1;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1100347962 Arabidopsis thaliana NAP1;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101150046077 nfa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346 layers by fun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01100347966 Arabidopsis thaliana NAP1;3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100347970 Arabidopsis thaliana NAP1;4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100532584 Clostridium perfringens (strain 13 / Type A) sspC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100256651 Homo sapiens SENP6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100095550 Homo sapiens SENP7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AFCARXCZXQIEQB-UHFFFAOYSA-N 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AFCARXCZXQIE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1150038317 SSP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150098865 SSP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100125020 Schizosaccharomyces pombe (strain 972 / ATCC 24843) pss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100018019 Schizosaccharomyces pombe (strain 972 / ATCC 24843) ssc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100023713 Sentrin-specific protease 6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2100031406 Sentrin-specific protease 7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13 adhesiv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40 adhesiv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223 adhesiv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10 reflec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LIVNPJMFVYWSIS-UHFFFAOYSA-N silic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Si-]#[O+] LIVNPJMFVYWSI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IPNSKYNPDTRPC-UHFFFAOYSA-N N-[2-oxo-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NIPNSKYNPDTR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16 anti-fingerprint coat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18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2 fibre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YLZOPXRUQYQQID-UHFFFAOYSA-N 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1-[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propan-1-one Chemical compound N1N=NC=2CN(CCC=21)CCC(=O)N1CCN(CC1)C=1C=NC(=NC=1)NCC1=CC(=CC=C1)OC(F)(F)F YLZOPXRUQYQQI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2266 Poly(ether sulfone) P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22 acrylic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6 anti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4 continuous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949 i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1 inorganic composite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4 in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98 laser cu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96 quantum d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73 silicon-contain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464 silicon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61 standard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UONOETXJSWQNOL-UHFFFAOYSA-N tungsten carbide Chemical compound [W+]#[C-] UONOETXJSWQNO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08J7/0423—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with at least one layer of inorganic material and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10—Esters of organic acids
- C08J2301/12—Cellulose acet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의 윈도우는 베이스층, 및 베이스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실리콘옥사이드 및 알루미늄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무기층을 포함하고, 무기층에서 실리콘옥사이드 100wt%를 기준으로 한 알루미늄옥사이드의 함량은 1wt% 이상 10wt% 미만으로 우수한 광학 특성 및 개선된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기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내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 부재를 구비하여 폴딩 또는 롤링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플렉서블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의 표시면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도 고분자 필름 등을 기재로 사용하고 있으나, 고분자 필름 사용 시 윈도우의 광학 특성 및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 특성 및 내충격성이 모두 개선된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학 특성 및 내충격성이 모두 개선된 윈도우를 포함하여 표시 품질 및 내구성이 개선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는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실리콘옥사이드 및 알루미늄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무기층; 을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옥사이드 100wt%를 기준으로 한 상기 알루미늄옥사이드의 함량은 1wt% 이상 10wt% 미만인 윈도우를 제공한다.
상기 무기층의 두께는 40nm 이상 90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베이스층의 하부에 배치된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하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무기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직접 배치된 상부 무기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하면에 직접 배치된 하부 무기층;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은 고분자 필름층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의 두께는 5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가시광 영역에서의 투과도가 90% 이상이고, 헤이즈값은 1.5% 이하이며, 황색화도가 2.0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 상측에 배치된 윈도우; 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실리콘옥사이드 및 알루미늄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무기층; 을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옥사이드 100wt%를 기준으로 한 상기 알루미늄옥사이드의 함량은 1wt% 이상 10wt% 미만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무기층의 두께는 40nm 이상 90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베이스층의 하부에 배치된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하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무기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된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설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릴레이트,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비폴딩 영역으로 구분되고,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하측에 배치된 지지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 상측에 배치된 윈도우; 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실리콘옥사이드 및 알루미늄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무기층; 을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옥사이드 100wt%를 기준으로 한 상기 알루미늄옥사이드의 함량은 1wt% 이상 10wt% 미만이며, 상기 무기층의 두께는 40nm 이상 90nm 이하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윈도우는 가시광 영역에서의 투과도가 90% 이상이고, 헤이즈값은 1.5% 이하이며, 황색화도가 2.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는 실리콘옥사이드와 알루미늄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무기층을 포함하여 우수한 광학 특성 및 개선된 내충격 특성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전자 모듈 상부에 배치된 윈도우에 실리콘옥사이드와 알루미늄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무기층을 포함하여 양호한 표시 품질, 개선된 내충격 특성, 및 우수한 가요성(flexibility)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인-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c는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아웃-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인-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인-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c는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아웃-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인-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에 추가되는 층, 막, 영역, 판 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두 개의 층 또는 두 개의 부재들 사이에 접착 부재 등의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에 배치되는" 것은 어느 하나의 부재의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인-폴딩(inner-folding)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아웃-폴딩(outer-folding)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ED)는 휴대폰, 태블릿, 자동차 내비게이션, 게임기, 또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등의 본 발명 명세서에서는 전자 장치(ED)가 휴대폰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a 내지 도 1c에서는 전자 장치(ED)가 폴딩된 형태로 변형되는 폴더블 전자 장치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휘어지거나 롤링되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한편, 도 1a 및 이하 도면들에서는 제1 방향축(DR1) 내지 제4 방향축(DR4)을 도시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제1 내지 제4 방향축들(DR1, DR2, DR3, DR4)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방향축들(DR1, DR2, DR3, DR4)이 지시하는 방향은 제1 내지 제4 방향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제1 방향축(DR1) 및 제1 방향축(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표시면(FS)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ED)는 표시면(FS)을 통해 이미지(IM)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제1 방향축(DR1) 및 제2 방향축(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FS)으로 제3 방향축(DR3) 방향을 향해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미지(IM)가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구성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IM)가 표시되는 방향인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하고, 제4 방향축(DR4)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의 방향과 서로 대향(opposing)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입력은 전자 장치(ED)의 외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은 사용자의 손 등 신체의 일부에 의한 접촉은 물론 전자 장치(ED)와 근접하거나, 소정의 거리로 인접하여 인가되는 외부 입력(예를 들어, 호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힘, 압력, 온도, 광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자 장치(ED)의 표시면(FS)은 액티브 영역(F-AA) 및 주변 영역(F-NAA)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F-AA)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액티브 영역(F-AA)을 통해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영역(F-AA)에서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주변 영역(F-NAA)은 액티브 영역(F-AA)에 인접한다. 주변 영역(F-NA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주변 영역(F-NAA)은 액티브 영역(F-AA)을 에워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액티브 영역(F-AA)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주변 영역(F-NA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주변 영역(F-NAA)은 액티브 영역(F-A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다양한 형상의 액티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액티브 영역(F-AA)에는 센싱 영역(SA)이 포함될 수 있다. 센싱 영역(SA)에는 다양한 전자 모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은 카메라 모듈, 스피커, 광 감지 센서, 및 열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영역(SA)은 표시면(FS)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피사체를 감지하거나 표시면(FS)을 통해 음성 등의 소리 신호를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전자 모듈은 복수의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센싱 영역(SA)은 액티브 영역(F-AA) 및 주변 영역(F-NA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싱 영역(SA)은 액티브 영역(F-AA)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 등에서는 하나의 센싱 영역(SA)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센싱 영역(SA)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 영역(SA)은 액티브 영역(F-AA)의 일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ED)는 센싱 영역(SA)에서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센싱 영역(SA)에 배치된 전자 모듈들이 비활성화될 때 센싱 영역(SA)은 표시면으로서 영상 또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의 배면(RS)은 표시면(FS)과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면(RS)은 전자 장치(ED)의 외부면으로 영상 또는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면(RS)은 영상 또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2 표시면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배면(RS)에 배치된 센싱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면(RS)에 배치된 센싱 영역에도 카메라, 스피커, 광 감지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ED)는 폴딩 영역(FA1)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ED)는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폴딩 영역(FA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a 내지 도 1c에서는 하나의 폴딩 영역(FA1)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ED)의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ED)에는 복수 개의 폴딩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복수 개의 폴딩 축들을 기준으로 폴딩되어 표시면(FS)의 일부가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으며, 폴딩축의 개수 및 이에 따른 비폴딩 영역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제1 폴딩축(FX1)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제1 폴딩축(FX1)은 제1 방향축(DR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축으로 제1 폴딩축(FX1)은 전자 장치(ED)의 장변 방향과 나란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폴딩축(FX1)의 연장 방향은 제1 방향축(DR1)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폴딩축(FX1)은 표시면(FS) 상에서 제1 방향축(DR1)을 따라 연장되거나 배면(RS) 하부에서 제1 방향축(DR1)을 따라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서로 마주보고, 전자 장치(ED)는 표시면(FS)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될 수 있다. 또한, 도 1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제1 폴딩축(FX1)을 기준으로 폴딩되어 배면(RS) 중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중첩하는 일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중첩하는 타 영역이 서로 마주하는 아웃-폴딩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인-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a)는 제1 방향축(DR1)과 나란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폴딩축(FX2)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b에서 제2 폴딩축(FX2)의 연장 방향이 전자 장치(ED-a)의 단변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a)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FA2) 및 폴딩 영역(FA2)에 인접한 비폴딩 영역들(NFA3, NFA4)을 포함할 수 있다. 비폴딩 영역들(NFA3, NFA4)은 폴딩 영역(FA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2)은 소정의 곡률 및 곡률반경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비폴딩 영역(NFA3) 및 제2 비폴딩 영역(NFA4)은 서로 마주보고, 전자 장치(ED-a)는 표시면(FS)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inner-folding)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것과 달리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D-a)는 표시면(FS)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아웃-폴딩(outer-folding)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D-a)는 비폴딩된 상태에서 제1 표시면(FS)이 사용자에게 시인되고, 인-폴딩된 상태에서 제2 표시면(RS)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제2 표시면(RS)은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전자 모듈이 배치되는 전자 모듈 영역(EM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a)는 제2 표시면(RS)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표시면(RS)은 제1 표시면(FS)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인-폴딩된 상태에서 제2 표시면(RS)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제2 표시면(RS)은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전자 모듈이 배치되는 전자 모듈 영역(EMA)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제2 표시면(RS)을 통해 이미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D, ED-a)는 펼침 동작으로부터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 동작이 상호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D, ED-a)는 펼침 동작, 인-폴딩 동작, 및 아웃-폴딩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2b에서는 전자 장치(ED, ED-a)가 폴딩된 형태로 변형되는 폴더블 전자 장치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휘어지거나 롤링되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I-I'선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표시 모듈(DM), 및 표시 모듈(DM) 상측에 배치된 윈도우(WM)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표시 모듈(DM) 하측에 배치된 지지 모듈(SM), 및 윈도우(WM) 상측에 배치된 보호층(PF)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층(PF)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도 1a 내지 도 1c에서 도시된 전자 장치(ED)를 일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이후 설명하는 내용은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된 전자 장치(ED-a)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표시 모듈(DM)의 외측 전체를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윈도우(WM)는 표시 모듈(DM)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표시 모듈(DM) 및 지지 모듈(SM) 등을 수납하는 하우징(HAU)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HAU)은 윈도우(WM)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HAU)은 폴딩 또는 벤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힌지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에서 표시 모듈(DM)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고, 외부 입력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영역(DP-DA) 및 비표시 영역(DP-NDA)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P-DA)은 표시 모듈(DM)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출사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DP-NDA)은 표시 영역(DP-DA)에 인접한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DP-NDA)은 표시 영역(DP-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비표시 영역(DP-NDA)은 다양한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모듈(DM)의 표시 영역(DP-DA)은 액티브 영역(F-AA, 도 1a)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에서 표시 모듈(DM)은 폴딩 표시부(FA-D) 및 비폴딩 표시부(NFA1-D, NFA2-D)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폴딩 표시부(FA-D)는 폴딩 영역(FA1, 도 1a)에 대응하는 부분이고, 비폴딩 표시부(NFA1-D, NFA2-D)는 비폴딩 영역(NFA1, NFA2, 도 1a)에 대응하는 부분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 상에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WM)가 배치된다. 윈도우(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표시 패널(DP) 및 센서층(IS) 등을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윈도우(WM)는 표시 모듈(DM)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 윈도우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서 생성된 이미지(IM, 도 1a)는 윈도우(WM)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전자 장치(ED)의 터치면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폴딩 영역(FA1)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ED)에서 윈도우(WM)는 폴딩될 수 있는 플렉서블 윈도우일 수 있다.
윈도우(WM)는 표시면 및 터치면으로 제공되며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380nm 내지 780nm의 가시광 영역에서 90% 이상의 높은 투과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낮은 헤이즈값(Haze value) 및 낮은 황색화도(Yellow Index)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1.5% 이하의 헤이즈값과 2.0 이하의 황색화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가요성을 갖는 필름 형태의 베이스층(BS, 도 5) 및 베이스층(BS, 도 5)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무기층(IL-U, IL-B, 도 5 내지 도 7)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무기층(IL-U, IL-B, 도 5 내지 도 7)은 윈도우(WM)의 광학 특성을 개선하는 광학 프라이머층의 기능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에 대하여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및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센서층(IS)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모듈(DM)은 센서층(IS) 상에 배치된 광학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미도시)은 외부광에 의한 반사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층(미도시)은 편광층 또는 컬러필터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영상을 실질적으로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 패널, 무기발광 표시 패널, 퀀텀닷 표시 패널, 마이크로 엘이디 표시 패널, 나노 엘이디 표시 패널, 또는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표시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센서층(IS)은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층(IS)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입력은 사용자의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펜,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에서 센서층(IS)은 연속된 공정을 통해 표시 패널(DP) 상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센서층(IS)은 표시 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된다고 표현될 수 있다.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센서층(IS)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제3 의 구성요소가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센서층(IS)과 표시 패널(DP) 사이에는 별도의 접착 부재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층(IS)은 표시 패널(DP)과 접착 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PF)은 윈도우(WM)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PF)은 윈도우(WM) 상면을 보호하는 기능층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PF)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te,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en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페닐렌에테르(modified polyphenylene ether, m-PPO),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폴리설폰(Polysulfone, PSU),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PE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 imide, PAI),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itc polyurethane, TPU) 중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호층(PF)은 고분자 필름층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보호층(PF)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필름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보호층 접착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 접착층(미도시)은 윈도우(WM)와 보호층(PF)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 접착층(미도시)에 의해 윈도우(WM) 상에 보호층(PF)이 부착될 수 있다. 보호층 접착층(미도시)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보호층(PF)은 지문방지코팅제, 대전방지제, 하드코팅제 등의 재료를 더 포함하여 기능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보호층(PF)는 다층의 적층 구조일 수 있으며, 지문방지코팅층, 대전방지코팅층, 하드코팅층 등의 별도의 기능층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접착층(AP-W)은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층(OCR,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표시 모듈(DM) 하측에 배치된 하부 필름(LF)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필름(LF)은 표시 모듈(DM) 아래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DP)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표시 모듈(DM)과 하부 필름(LF)을 결합시키는 하부 접착층(AP-L)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필름(LF)은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필름(LF)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PI)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필름(LF)은 표시 패널(DP) 제조 공정 중에 표시 패널(DP)의 배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필름(LF)은 외부에서 제공되는 압력에 대하여 표시 패널(DP)을 보호하는 것으로 표시 패널(DP)의 변형을 막아줄 수 있다. 하부 필름(LF)은 하나의 필름층 또는 복수의 필름층들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하부 접착층(AP-L)은 표시 패널(DP)과 하부 필름(LF)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접착층(AP-L)은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층(OCR,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접착층(AP-L)은 아크릴계 접착제 또는 실리콘계 접착제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부 접착층(AP-L)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표시 모듈(DM) 하부에 배치된 지지 모듈(SM)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모듈(SM)은 지지 플레이트(MP) 및 하부 지지부재(BSM)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MP)는 표시 모듈(DM) 하측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MP)는 금속 재료 또는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MP)는 스테인레스스틸,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지지 플레이트(MP)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등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플레이트(MP)는 비금속 물질, 플라스틱,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유리를 포함 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MP)에는 복수 개의 개구부들(OP)이 정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MP)는 복수 개의 개구부들(OP)을 포함하는 개구 패턴(OP-PT)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개구 패턴(OP-PT)은 폴딩 영역(FA1)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하부 지지부재(BSM)는 지지부재(SPM) 및 충전부(SA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지지부재(SPM)는 표시 모듈(DM)의 대부분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일 수 있다. 충전부(SAP)는 지지부재(SPM)의 외측에 배치되고 표시 모듈(DM)의 외곽에 중첩하는 부분일 수 있다.
하부 지지부재(BSM)는 지지층(SP), 쿠션층(CP), 차폐층(EMP), 및 층간접합층(IL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하부 지지부재(BSM)의 구성은 도 4 등에서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부 지지부재(BSM)의 구성은 전자 장치(ED)의 크기, 형상, 또는 전자 장치(ED)의 동작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층(SP), 쿠션층(CP), 차폐층(EMP), 및 층간접합층(ILP)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이들의 적층 순서가 도 4와 다른 순서로 변형되거나, 또는 도시된 구성 이외의 추가 구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지지부재(BSM)는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SP)은 금속 재료 또는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지지층(SP)은 지지 플레이트(MP) 하측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층(SP)은 박막의 금속 기판일 수 있다.
지지층(SP)은 제2 방향축(DR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서브지지층(SSP1) 및 제2 서브지지층(SS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지지층(SSP1) 및 제2 서브지지층(SSP2)은 폴딩축(FX1)에 대응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것일 수 있다. 지지층(SP)은 폴딩 영역(FA1)에서 서로 이격되어 제1 서브지지층(SSP1) 및 제2 서브지지층(SSP2)으로 제공됨으로써 전자 장치(ED)의 폴딩 또는 벤딩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쿠션층(CP)은 지지층(SP) 하측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쿠션층(CP)은 외부의 충격 및 힘에 의한 지지 플레이트(MP)의 눌림 현상 및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쿠션층(CP)은 전자 장치(ED)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쿠션층(CP)은 스펀지, 발포폼, 또는 우레탄 수지와 같은 탄성 중합체(elastom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쿠션층(CP)은 아크릴계 고분자, 우레탄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및 이미드계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쿠션층(CP)은 제2 방향축(DR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서브쿠션층(CP1) 및 제2 서브쿠션층(C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쿠션층(CP1) 및 제2 서브쿠션층(CP2)은 폴딩축(FX1)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서로 이격된 것일 수 있다. 쿠션층(CP)은 폴딩 영역(FA1)에서 서로 이격되어 제1 서브쿠션층(CP1) 및 제2 서브쿠션층(CP2)으로 제공됨으로써 전자 장치(ED)의 폴딩 또는 벤딩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차폐층(EMP)은 전자파 차폐층 또는 방열층일 수 있다. 또한, 차폐층(EMP)은 접합층의 기능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층간접합층(ILP)은 지지 플레이트(MP)와 하부 지지부재(BSM)를 접합시킬 수 있다. 층간접합층(ILP)은 접합수지층 또는 접착테이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층간접합층(ILP)이 폴딩 영역(FA1)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부분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층간접합층(ILP)은 폴딩 영역(FA1)에서 서로 이격되지 않은 하나의 층으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충전부(SAP)는 지지층(SP) 및 쿠션층(CP)의 외곽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충전부(SAP)는 지지 플레이트(MP)와 하우징(HAU)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부(SAP)는 지지 플레이트(MP)와 하우징(HAU)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지지 플레이트(MP)를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표시 모듈(DM)과 지지 모듈(SM) 사이에 배치된 모듈 접착층(AP-D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접착층(AP-DM)은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층(OCR,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일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 모듈(SM)에 포함된 각 부재들 사이에 추가로 접착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 등에서 도시된 일 실시예의 윈도우(WM)일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7 등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윈도우(WM, WM-1, WM-2)는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 ED-a)의 커버 윈도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윈도우(WM, WM-1, WM-2)는 베이스층(BS), 및 베이스층(BS)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무기층(IL-U, IL-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베이스층(BS) 및 베이스층(BS) 상면에 배치된 무기층(IL-U)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층(IL-U)은 베이스층(BS)의 상면에 직접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에서 베이스층(BS)은 고분자 필름층일 수 있다. 베이스층(BS)은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층(BS)은 광학적으로 투명하며 가요성을 갖는 재질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WM)는 베이스층(BS)으로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S)의 두께(tBS)는 5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베이스층(BS)의 두께(tBS)가 50㎛ 미만인 경우 무기층(IL-U) 등이 제공되는 지지층의 역할 또는 하부의 표시 모듈(DM, 도 3)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없다. 또한, 베이스층(BS)의 두께(tBS)가 100㎛ 보다 두꺼울 경우 전자 장치(ED, 도 3) 전체의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ED, ED-a)가 도 1a 내지 도 2b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되는 것일 경우 베이스층(BS)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폴딩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하나의 베이스층(BS)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에서 베이스층(BS)은 하나의(single) 고분자 필름층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무기층(IL-U)은 실리콘옥사이드(SiOX) 및 알루미늄옥사이드(Al2O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무기층(IL-U)에서 실리콘옥사이드 100wt%를 기준으로 한 알루미늄옥사이드의 함량은 1wt% 이상 10wt%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층(IL-U)에서 실리콘옥사이드 100wt%를 기준으로 한 알루미늄옥사이드의 함량은 2wt% 이상 3wt%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무기층(IL-U)에 포함된 실리콘옥사이드는 SiOX에서, X는 0<X<3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옥사이드는 SiO2 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무기층(IL-U)에 실리콘옥사이드 및 알루미늄옥사이드를 모두 포함하며, 알루미늄옥사이드가 실리콘옥사이드를 기준으로 1wt% 이상 10wt% 미만으로 포함된 경우에 있어서, 높은 투과도와 낮은 반사율, 낮은 헤이즈값, 및 낮은 황색화도의 우수한 광학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무기층(IL-U)에서 알루미늄옥사이드가 실리콘옥사이드를 기준으로 1wt% 이상 10wt% 미만으로 포함된 경우에 있어서,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우수한 내충격성 등의 개선된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무기층(IL-U)은 가시광 영역에서 빛의 흡수가 없고 굴절률이 1.8 내지 2.0으로 상대적으로 고굴절인 알루미늄옥사이드를 실리콘옥사이드와 혼합하여 포함함으로써 베이스층(BS)의 광학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알루미늄옥사이드가 실리콘옥사이드를 기준으로 2wt% 이상 3wt% 이하로 포함된 경우에 있어서,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보다 개선된 광학 특성과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기층(IL-U)의 두께(tIL-U)는 40nm 이상 90nm 이하일 수 있다. 무기층(IL-U)이 40nm 이상 90nm 이하의 두께 범위를 갖는 경우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높은 투과도와 낮은 반사율, 낮은 헤이즈값, 및 낮은 황색화도의 우수한 광학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40nm 이상 90nm 이하의 두께 범위를 갖는 무기층(IL-U)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우수한 내충격성 등을 가지며 개선된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베이스층(BS), 및 베이스층(BS) 상에 배치되고 실리콘옥사이드 및 알루미늄옥사이드를 모두 포함하는 무기층(IL-U)을 포함하여 우수한 광학 특성, 우수한 내충격성, 및 양호한 폴딩 특성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무기층(IL-U)이 40nm 이상 90n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실리콘옥사이드에 대하여 알루미늄옥사이드를 1wt% 이상 10wt% 미만의 함량비로 포함하는 경우 우수한 광학 특성과 우수한 내충격성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베이스층(BS) 및 무기층(IL-U)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는 가시광 영역에서의 투과도가 90% 이상이고, 헤이즈값은 1.5% 이하이며, 황색화도가 2.0 이하인 우수한 광학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베이스층(BS) 하부에 배치된 하드코팅층(HC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HCL)은 윈도우(WM)의 베이스층(BS) 또는 표시 모듈(DM, 도 3)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윈도우(WM)에서 무기층(IL-U)은 베이스층(BS)의 상면(BS-U)에 직접 배치되고, 하드코팅층(HCL)은 베이스층(BS)의 하면(BS-B)에 직접 배치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하드코팅층(HCL)의 배치 위치는 도 5 등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베이스층(BS) 상부에 배치된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HCL)은 유기계 조성물, 무기계 조성물, 및 유무기 복합체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층 수지로부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하드코팅제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실록산 화합물, 또는 실세스퀴옥산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하드코팅제는 무기 입자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드코팅층(HCL)은 유기층, 무기층, 또는 유무기 복합 재료층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에서 하드코팅층(HCL)의 두께(tHC)는 1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코팅층(HCL)의 두께(tHC)는 5㎛ 이상 10㎛ 이하일 수 있다. 하드코팅층(HCL)의 두께(tHC)가 5㎛ 미만인 경우 베이스층(BS)을 보호하는 기능이 저하되어 윈도우(WM)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하드코팅층(HCL)의 두께(tHC)가 5㎛ 미만인 경우 표시 모듈(DM, 도 3) 보호를 위한 충분한 표면 경도를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하드코팅층(HCL)의 두께가 10㎛ 초과일 경우 윈도우(WM)의 두께가 두꺼워져 얇은 두께의 전자 장치, 또는 폴더블 전자 장치의 구현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드코팅층(HCL)은 3% 이상의 연신율 값을 가질 수 있다. 하드코팅층(HCL)은 3% 이상의 연신율 값을 가짐으로써 가요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WM)는 양호한 폴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윈도우(WM-1)는 베이스층(BS), 베이스층(BS) 상부에 배치된 상부 무기층(IL-U), 및 베이스층(BS) 하부에 배치된 하부 무기층(IL-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상부 무기층(IL-U)은 베이스층(BS) 상면(BS-U)에 직접 배치되고 하부 무기층(IL-B)은 베이스층(BS) 하면(BS-B)에 직접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무기층(IL-U)과 베이스층(BS) 사이, 및 하부 무기층(IL-B)과 베이스층(BS)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예의 윈도우(WM-1)는 예를 들어 하부 무기층(IL-B)과 베이스층(BS) 사이에 하드코팅층(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드코팅층(미도시) 등의 기능층은 상부 무기층(IL-U)의 상측 또는 하부 무기층(IL-B)의 하측 등에도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윈도우(WM-1)의 베이스층(BS), 상부 무기층(IL-U) 및 하부 무기층(IL-B)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베이스층(BS)과 무기층(IL-U)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1)에서 상부 무기층(IL-U) 및 하부 무기층(IL-B) 각각은 실리콘옥사이드(SiOX) 및 알루미늄옥사이드(Al2O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부 무기층(IL-U) 및 하부 무기층(IL-B) 각각에서 실리콘옥사이드 100wt%를 기준으로 한 알루미늄옥사이드의 함량은 1wt% 이상 10wt%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층(IL-U)에서 실리콘옥사이드 100wt%를 기준으로 한 알루미늄옥사이드의 함량은 2wt% 이상 3wt%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1)에서 상부 무기층(IL-U) 및 하부 무기층(IL-B) 각각의 두께(tIL-U, tIL-B)는 독립적으로 40nm 이상 90nm 이하일 수 있다. 상부 무기층(IL-U)의 두께(tIL-U)와 하부 무기층(IL-B)의 두께(tIL-B)가 동일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윈도우(WM-1)는 상부 무기층(IL-U) 및 하부 무기층(IL-B) 각각에서 실리콘옥사이드 및 알루미늄옥사이드를 모두 포함하며, 알루미늄옥사이드를 실리콘옥사이드를 기준으로 1wt% 이상 10wt% 미만으로 포함하고 상부 무기층(IL-U) 및 하부 무기층(IL-B) 각각의 두께(tIL-U, tIL-B)가 독립적으로 40nm 이상 90nm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 높은 투과도와 낮은 반사율, 낮은 헤이즈값, 및 낮은 황색화도의 우수한 광학 특성과 우수한 내충격성의 내구성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고분자 재료의 베이스층(BS) 및 실리콘옥사이드 및 알루미늄옥사이드를 모두 포함하는 상부 무기층(IL-U)과 하부 무기층(IL-B)을 포함하여 양호한 폴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윈도우(WM-2)는 베이스층(BS) 및 베이스층(BS) 하부에 배치된 무기층(IL-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2)는 베이스층(BS)과 무기층(IL-B) 사이에 배치된 하드코팅층(HC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윈도우(WM-2)의 베이스층(BS), 무기층(IL-B, 및 하드코팅층(HCL)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베이스층(BS), 무기층(IL-U), 및 하드코팅층(HCL)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드코팅층(HCL)은 베이스층(BS) 하면에 직접 배치되고 무기층(IL-B)은 하드코팅층(HCL) 하면에 직접 배치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드코팅층(HCL)이 무기층(IL-B) 하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WM-2)는 베이스층(BS) 하면에 배치된 하드코팅층(HCL) 이외에 베이스층(BS) 상부에 배치된 추가의 하드코팅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달리 베이스층(BS) 하부에 배치된 하드코팅층(HCL)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의 윈도우(WM-2)는 베이스층(BS), 베이스층(BS) 하면에 직접 배치된 무기층(IL-B), 및 베이스층(BS) 상면에 배치된 하드코팅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윈도우(WM-2)는 베이스층(BS) 하부에 배치된 무기층(IL-B)에 실리콘옥사이드 및 알루미늄옥사이드를 모두 포함하며, 알루미늄옥사이드를 실리콘옥사이드를 기준으로 1wt% 이상 10wt% 미만으로 포함하고 무기층(IL-B)의 두께가 40nm 이상 90nm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 높은 투과도와 낮은 반사율, 낮은 헤이즈값, 및 낮은 황색화도의 우수한 광학 특성과 우수한 내충격성의 내구성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고분자 재료의 베이스층(BS) 및 실리콘옥사이드 및 알루미늄옥사이드를 모두 포함하는 무기층(IL-B)을 포함하여 양호한 폴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비교예와 실시예의 윈도우에 대한 평가 결과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 표 1 내지 표 3에서는 비교예와 실시예 윈도우의 광학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1 내지 표 3에서 투과율, 반사율, 및 황색화도는 CM-3700A(KONICA MINOLTA 사)의 장비로 측정되었다. 투과율, 반사율, 및 황색화도 측정 시 D65 광원이 사용되었고, 2° 시야각 조건에서 측정되었다. 헤이즈는 NDH200(NIPPON DENSHOKU 사) 장비로 D65 광원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황색화도는 ASTM D1925 방법으로 측정되었고, 투과율은 ISO 13468의 표준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압입경도(indentation hardness)는 압입경도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값이다. 압입경도는 시료에 로딩(loading) 및 언로딩(unloading) 속도를 15s로 하여 30mN의 하중을 가하고 측정하였다. 압입경도로 측정된 값은 비커스 경도(Vickers Hardness, Hv) 값이다. 연필경도는 연필경도기를 이용하여 1kg의 하중에서 측정되었다.
내충격성은 펜 드롭 테스트(pen drop test)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내충격성은일정 무게의 펜을 윈도우 상면으로 낙하시키고 윈도우 상면이 손상되는 높이(cm)로 나타내었다. 내충격성 테스트 시 사용된 펜의 일단의 직경은 0.3mm이고, 스프링이 없는 텅스텐카바이드계의 펜이 사용되었다. 펜은 스프링이 없는 것으로 무게가 약 5.81g인 것이 사용되었다.
표 3에서 크랙 스트레인(crack strain)은 테스트 시료를 인장할 때 최초의 테스트 시료에 대한 인장 후의 시료의 크기의 증가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크랙 스트레인 측정 시의 테스트 시료는 1.0㎝ X 10㎝의 크기로 레이저 컷팅하여 준비하였다. 인장 속도는 10㎜/min 로 하였으며, 인장 가한 후 현미경으로 크랙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이 때의 시료 크기의 증가 정도를 확인하여 평가하였다.
상온의 폴딩 특성은 비교예 및 실시예의 윈도우를 상온에서 200,000회 폴딩 동작 반복하여 양호한 경우를 "OK"로 평가하였고, 고온고습 폴딩 특성은 비교예 및 실시예의 윈도우를 60℃, 93% 습도 조건에서 150,000회 폴딩 동작 반복하여 양호한 경우를 "OK"로 평가하였다.
표 1 내지 표 3에서 비교예 1은 무기층이 도입되지 않은 윈도우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해당하며, 비교예 1의 윈도우 두께는 50㎛이다. 표 1 및 표 2에서 비교예 2는 베이스층 및 무기층을 포함하는 윈도우로, 베이스층으로 5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하고, 무기층은 30nm 두께로 실로콘옥사이드만을 포함하는 것에 해당한다.
표 1은 무기층 내에서의 실리콘옥사이드에 대한 알루미늄옥사이드의 함량비에 따른 윈도우의 광학 특성 및 내구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1에서 나타낸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 및 실험예 1-1은 도 5 등에서 도시된 무기층이 베이스층의 일면 상에 배치된 윈도우의 실시예에 해당한다.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 및 실험예 1-1은 무기층에서 실리콘옥사이드에 대한 알루미늄옥사이드의 함량을 다르게 하여 평가한 것이다. 실험예 1-2는 실리콘옥사이드에 대한 알루미늄옥사이드의 함량을 10wt% 초과로 한 것이며, 이 경우에는 무기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의 형성 및 이를 베이스층에 제공하여 무기층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윈도우의 물성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 및 실험예 1-1은 베이스층으로 5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하였고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 및 실험예 1-1에서의 무기층 두께는 30nm에 해당한다.
구분 | 비교예 1 | 비교예 2 | 실험예 1-1 | 실시예 1-1 | 실시예 1-2 | 실시예 1-3 | 실험예 1-2 |
Al2O3의 혼합 비율(wt%) | - | 0 | <1 | 2~3 | 5~6 | 7~9 | >10 |
투과도(%) | 91 | 91.4 | 91.5 | 92.1 | 92.0 | 91.8 | 평가 불가 |
반사율(%) | 5.6 | 5.6 | 5.4 | 4.8 | 4.9 | 5.1 | |
황색화도 | 1.73 | 2.75 | 1.85 | 1.75 | 1.84 | 1.85 | |
헤이즈(%) | 1.50 | 1.00 | 1.38 | 1.27 | 1.39 | 1.42 | |
압입경도(Hv) | ≤27 | 27~28 | 27.1 | 26.9 | 26.8. | 26.5 | |
내충격성(㎝) | 3 | <4 | ≥4 | ≥4 | <4 | <4 |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의 윈도우는 비교예들에 비하여 우수한 광학 특성 및 우수한 내충격성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비교하여 높은 투과도, 낮은 반사율 등의 광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유사한 수준의 황색화도와 헤이즈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은 실험예 1-1과 비교하여 낮은 반사율 특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비교하여 개선된 내충격성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유사한 수준의 압입경도 값을 나타내었다.
즉, 실리콘옥사이드와 알루미늄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무기층을 포함하는 윈도우는 무기층 내에서 실리콘옥사이드에 대하여 알루미늄옥사이드를 1wt% 이상 10wt% 미만으로 함량비로 포함하여 우수한 광학 특성 및 우수한 내충격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는 무기층의 두께에 따른 실시예 윈도우의 광학 특성 및 내구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2에서 나타낸 실시예 2-1, 실험예 2-1 내지 실험예 2-3은 도 5 등에서 도시된 무기층이 베이스층의 일면 상에 배치된 윈도우의 실시예 또는 실험예에 해당한다. 실시예 2-1, 및 실험예 2-1 내지 실험예 2-3에서는 베이스층으로 5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하였고 실시예 2-1, 및 실험예 2-1 내지 실험예 2-3에서의 무기층은 실리콘옥사이드에 대한 알루미늄옥사이드의 함량을 2~3wt%로 한 것이다.
구분 | 비교예 1 | 비교예 2 | 실험예 2-1 | 실시예 2-1 | 실험예 2-2 | 실험예 2-3 |
무기층 두께(nm) | - | 30 | 30 | 60 | 100 | 200 |
투과도(%) | 91 | 91.4 | 92.1 | 93.6 | 92.1 | 91.7 |
반사율(%) | 5.6 | 5.6 | 4.8 | 3.3 | 4.7 | 5.1 |
황색화도 | 1.73 | 2.75 | 1.75 | 0.68 | 2.39 | -0.14 |
헤이즈(%) | 1.50 | 1.00 | 1.27 | 1.22 | 1.28 | 1.28 |
압입경도(Hv) | ≤27 | 27~28 | 26.9 | 26.7 | 27.3 | 28.5 |
내충격성(㎝) | 3 | <4 | ≥4 | ≥4 | ≥4 | ≥4 |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2-1의 윈도우는 비교예들에 비하여 우수한 광학 특성 및 우수한 내충격성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1의 윈도우는 실험예 2-1 내지 실험예 2-3과 비교하여서도 우수한 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1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비교하여 높은 투과도, 낮은 반사율, 및 낮은 황색화도 값 등의 광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2-1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유사한 수준의 헤이즈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2-1은 실험예 2-1 내지 실험예 2-3과 비교하여 높은 투과도, 낮은 반사율, 낮은 황색화도, 및 낮은 헤이즈값 등의 광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1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비교하여 개선된 내충격성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2-1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유사한 수준의 압입경도 값을 나타내었다.
즉, 실리콘옥사이드와 알루미늄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무기층을 포함하는 윈도우는 무기층의 두께가 40nm 내지 90nm인 경우에 우수한 광학 특성 및 우수한 내충격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3은 도 6에 도시된 윈도우의 구조를 갖는 실시예 3과 비교예 1의 윈도우의 광학 특성 및 내구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3에서 실시예 3은 베이스층으로 5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하였고 상부 무기층 및 하부 무기층 각각은 60nm로 형성하였다. 상부 무기층 및 하부 무기층 각각은 실리콘옥사이드에 대한 알루미늄옥사이드의 함량을 2~3wt%로 한 것이다.
구분 | 비교예 1 | 실시예 3 | |
투과도(%) | 91 | 91 | |
반사율(%) | 5.6 | 3.3 | |
황색화도 | 1.73 | 0.68 | |
헤이즈(%) | 1.50 | 1.22 | |
압입경도(Hv) | ≤27 | ≤27 | |
내충격성(㎝) | 3 | ≥4 | |
크랙 스트레인(%) | ≤8 | ≥5 | |
폴딩 특성 | 상온 | OK | OK |
고온고습 | OK | OK |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3의 윈도우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낮은 반사율, 낮은 황색화도 및 낮은 헤이즈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3은 비교예 1과 유사한 투과도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의 윈도우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우수한 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개선된 내충격성을 나타내었으며, 압입경도와 폴딩 특성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즉, 실시예 3의 윈도우는 우수한 내구성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 내지 표 3의 결과를 참조할 때, 실리콘옥사이드와 알루미늄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무기층을 포함하는 윈도우는 무기층 내에서 실리콘옥사이드에 대하여 알루미늄옥사이드를 1wt% 이상 10wt% 미만으로 함량비로 포함하고, 무기층의 두께가 40nm 내지 90nm인 경우에 우수한 광학 특성, 개선된 내충격성, 및 양호한 폴딩 특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는 베이스층 및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고 실리콘옥사이드와 알루미늄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무기층을 포함하고, 무기층 내에서 실리콘옥사이드에 대하여 알루미늄옥사이드를 1wt% 이상 10wt% 미만으로 함량비로 포함하여 우수한 광학 특성 및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윈도우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유연성을 가지면서 하부에 배치된 표시 모듈을 보호하는 내충격성과 표시 모듈의 표시 품질을 개선하는 우수한 광학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실리콘옥사이드와 알루미늄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무기층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포함하여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우수한 내구성과 우수한 폴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실리콘옥사이드와 알루미늄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무기층을 포함하여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갖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우수한 표시 품질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ED, ED-a : 전자 장치 WM, WM-1, WM-2 : 윈도우
DM : 표시 모듈 IL-U, IL-B : 무기층
DM : 표시 모듈 IL-U, IL-B : 무기층
Claims (20)
-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실리콘옥사이드 및 알루미늄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무기층; 을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옥사이드 100wt%를 기준으로 한 상기 알루미늄옥사이드의 함량은 1wt% 이상 10wt% 미만인 윈도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층의 두께는 40nm 이상 90nm 이하인 윈도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직접 배치된 윈도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하부에 배치된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하면에 직접 배치된 윈도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무기층 사이에 배치된 윈도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직접 배치된 상부 무기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하면에 직접 배치된 하부 무기층; 을 포함하는 윈도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고분자 필름층인 윈도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윈도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두께는 50㎛ 이상 100㎛ 이하인 윈도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가시광 영역에서의 투과도가 90% 이상이고,
헤이즈값은 1.5% 이하이며, 황색화도가 2.0 이하인 윈도우. -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 상측에 배치된 윈도우; 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실리콘옥사이드 및 알루미늄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무기층; 을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옥사이드 100wt%를 기준으로 한 상기 알루미늄옥사이드의 함량은 1wt% 이상 10wt% 미만인 전자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층의 두께는 40nm 이상 90nm 이하인 전자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베이스층의 하부에 배치된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하면에 직접 배치된 전자 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무기층 사이에 배치된 전자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인 전자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된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설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릴레이트,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비폴딩 영역으로 구분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하측에 배치된 지지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 상측에 배치된 윈도우; 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실리콘옥사이드 및 알루미늄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무기층; 을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옥사이드 100wt%를 기준으로 한 상기 알루미늄옥사이드의 함량은 1wt% 이상 10wt% 미만이며,
상기 무기층의 두께는 40nm 이상 90nm 이하인 전자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가시광 영역에서의 투과도가 90% 이상이고,
헤이즈값은 1.5% 이하이며, 황색화도가 2.0 이하인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8254A KR20230090383A (ko) | 2021-12-14 | 2021-12-14 |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US17/876,886 US20230184998A1 (en) | 2021-12-14 | 2022-07-29 | Window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CN202211597025.5A CN116403475A (zh) | 2021-12-14 | 2022-12-12 | 窗和电子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8254A KR20230090383A (ko) | 2021-12-14 | 2021-12-14 |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0383A true KR20230090383A (ko) | 2023-06-22 |
Family
ID=8669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8254A Pending KR20230090383A (ko) | 2021-12-14 | 2021-12-14 |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184998A1 (ko) |
KR (1) | KR20230090383A (ko) |
CN (1) | CN116403475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0734A (ko) * | 2021-11-30 | 2023-06-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968774B1 (fr) * | 2010-12-10 | 2013-02-08 | Essilor Int | Article d'optique comportant un revetement antireflet a faible reflexion dans le domaine ultraviolet et le domaine visible |
JP2013218172A (ja) * | 2012-04-10 | 2013-10-24 | Seiko Epson Corp | 光学素子、撮像装置、電子機器及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
US9772509B2 (en) * | 2013-07-05 | 2017-09-26 |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 Optical article comprising an antireflective coating with a very low reflection in the visible region |
KR102348582B1 (ko) * | 2016-09-01 | 2022-01-07 |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
CN110475006A (zh) * | 2019-07-31 | 2019-11-19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柔性保护盖板及显示装置 |
US20230097067A1 (en) * | 2020-03-26 | 2023-03-30 | Kolon Industries, Inc. | Optical film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
-
2021
- 2021-12-14 KR KR1020210178254A patent/KR20230090383A/ko active Pending
-
2022
- 2022-07-29 US US17/876,886 patent/US20230184998A1/en active Pending
- 2022-12-12 CN CN202211597025.5A patent/CN116403475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6403475A (zh) | 2023-07-07 |
US20230184998A1 (en) | 2023-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96151B2 (en) | Protective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441930B1 (ko) |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
KR102508672B1 (ko) | 표시 장치 | |
CN113542459A (zh) | 柔性盖板、柔性屏和可折叠电子设备 | |
CN114067678A (zh) | 显示设备 | |
KR20180136038A (ko) | 표시 장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EP3657767A2 (en) | Protective film,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and method for attaching protection film | |
KR20220112104A (ko) |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30090383A (ko) |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30135214A (ko) | 표시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하부 모듈 제조 방법 | |
KR20180039219A (ko) |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US12265420B2 (en) | Display device | |
KR20240059697A (ko) |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
US20220404529A1 (en) | Window,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window | |
CN115705797A (zh) | 显示装置 | |
US20240022657A1 (en) | Window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20164830A (ko) | 윈도우 및 그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US20240107696A1 (en) |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30066172A (ko) | 전자 장치 | |
KR20220007750A (ko) | 표시 장치 | |
CN218497723U (zh) | 显示装置 | |
EP4586233A1 (en) | Display device | |
US20240049414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EP4560436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 |
KR20240119966A (ko) |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