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096A - Carpet - Google Patents
Carp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61096A KR20230061096A KR1020210145997A KR20210145997A KR20230061096A KR 20230061096 A KR20230061096 A KR 20230061096A KR 1020210145997 A KR1020210145997 A KR 1020210145997A KR 20210145997 A KR20210145997 A KR 20210145997A KR 20230061096 A KR20230061096 A KR 202300610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carpet
- fabric
- upper ma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06—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protect the underlying surface, e.g. temporary covers, disposable carpets, absorbent pads, wheelchair pads, hearth ru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페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상면에 친환경 원단으로 형성된 상부매트, 하면에 미끄럼방지 바닥재가 적용되고, 일반 접착제 대신 저융점(LM)섬유가 사용됨으로써, 친환경적인 특성을 가지며 재사용이 가능한 카페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pet, and more particularly, an upper mat formed of eco-friendly fabric on the upper surface, an anti-slip flooring material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and low melting point (LM) fibers are used instead of general adhesives, thereby having eco-friendly characteristics and being reusable. It's about carpet.
일반적으로, 스포츠의 발달과 시민과 학생들의 체육 발전을 위해 도시 및 지방단지단체나 각 학교에는 실내 체육관 시설이 있다.In general, for the development of sports and physical development of citizens and students, there are indoor gym facilities in cities and local complex organizations or in each school.
이런 실내 체육관 시설은 운동 경기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모여 각종 행사들도 행하여지고 있다.In this indoor gym facility, not only athletic games but also various events are held where people gather.
그러나 이러한 체육관의 바닥은 값이 비싼 고급 마감재로 되어 있으므로, 많은 사람들이 일반 운동화나 구두를 신고 반복적으로 체육관 바닥에 들어가는 경우에 바닥에 흠집이 생겨 고금 마감재 바닥이 망가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체육관 바닥을 다시 많은 비용을 들여 보수공사를 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However, since the floor of such a gym is made of an expensive high-end finishing material, when many people repeatedly enter the gym floor wearing general sneakers or shoes, the floor may be scratched and the floor of the high-end finishing material may be damaged. Therefore, the gym floor had to be renovated at great expense.
따라서 각 학교나 지자체에서는 이와 같이 체육관 바닥에 흠집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에 들어올 때 신발을 벗고 들어오게 하거나 골판지나 부직포 등을 바닥에 깐 이후에 바닥에 들어오게 하는 실정이다. 또한 체육관 바닥에 신발을 벗고 들어오게 하거나 바닥에 보호덮개를 깔고 들어오게 하는 것은 사용자들에게 대단히 불편함을 제공하게 되며, 더불어 체육관 주변이 골판지나 부직포로 지저분하게 되었다.또한, 이러한 보호덮개는 신발 등으로 인한 오염으로 인해 재사용이 어려워 자원 낭비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Therefore, in each school or local government, in order to prevent scratches on the floor of the gymnasium, when entering the floor, take off shoes or put corrugated cardboard or non-woven fabric on the floor before entering the floor. In addition, having them take off their shoes on the gym floor or put a protective cover on the floor would be very inconvenient for users, and the area around the gym was messy with cardboard or non-woven fabric. Due to pollution caused by the etc., it is difficult to reuse, leading to a problem that leads to resource waste.
이에 따라, 실내 체육관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행사에 따른 체육관 바닥을 보호함은 물론, 각종 체육 경기에 맞는 경기 코트 라인을 바로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사용이 가능한 카페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arpet capable of protecting the gym floor according to various events held in an indoor gymnasium, directly installing a game court line suitable for various sports games, and reusing the carpet.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75131호 "카펫트"가 있다.As a prior art, there i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5131 "Carpet".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상면에 친환경 원단으로 형성된 상부매트, 하면에 미끄럼방지 바닥재가 적용되고, 일반 접착제 대신 저융점(LM)섬유가 사용됨으로써, 친환경적인 특성을 가지며 재사용이 가능한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co-friendly characteristic and can be reused by applying an upper mat formed of eco-friendly fabric on the upper surface, a non-slip flooring material on the lower surface, and using low melting point (LM) fibers instead of general adhesive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arp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페트는 폴리염화비닐 원단, 복지 원단, 캔버스 원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친환경 원단으로 제조되는 상부매트 및 상기 상부매트 하면에 부착되되, 논슬립 기능을 갖도록 폴리우레탄, 실리콘,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필름층으로 형성된 바닥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매트 및 바닥재가 저융점(LM) 섬유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ar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n upper mat made of an eco-friendly fabric including at least one of polyvinyl chloride fabric, welfare fabric, and canvas fabric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at, It includes a flooring material formed of a film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polyurethane, silicone, polyvinyl chloride, and polyester to have a non-slip function, and the upper mat and the flooring material are bonded with low melting point (LM) fibers.
또한, 상기 상부매트는, 상기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원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지 원단 또는 캔버스 원단을 더 포함하여 이중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ma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ual structure including the polyvinyl chloride (PVC) fabric and further including the welfare fabric or canvas fabric.
또한, 상기 바닥재는, 상기 필름층 하면에 형성되는 마찰층 및 상기 마찰층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마찰층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oring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a friction laye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lm layer and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riction layer to prevent damage to the friction layer.
또한, 상기 마찰층은, 폴리머 8 내지 12중량부, 경화제 1.5 내지 3중량부, 점도조절제 2 내지 4중량부 및 분말 혼화제 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iction layer may include 8 to 12 parts by weight of a polymer, 1.5 to 3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2 to 4 parts by weight of a viscosity modifier, and 1 to 2 parts by weight of a powder admixture.
또한, 상기 점도조절제는, 분자량이 8,000 내지 120,000인 폴리비닐알코올 및 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0인 폴리비닐피롤리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scosity modifi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olyvinyl alcohol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8,000 to 120,000 and polyvinylpyrrolidon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5,000 to 100,000.
또한, 상기 분말 혼화제는, 유리섬유촙 및 규조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der admixtur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glass fiber chop and diatomaceous earth.
또한, 상기 보호층은, 셀룰로스 20 내지 35중량부, 알코올 50 내지 60중량부, 증류수 45 내지 55중량부, 불소계면활성제 0.1 내지 0.5중량부 및 경화제 0.8 내지 1.7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20 to 35 parts by weight of cellulose, 50 to 60 parts by weight of alcohol, 45 to 55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0.1 to 0.5 parts by weight of a fluorine surfactant, and 0.8 to 1.7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은 상면에 친환경 원단으로 형성된 상부매트, 하면에 미끄럼방지 바닥재가 적용되고, 일반 접착제 대신 저융점(LM)섬유가 사용됨으로써, 친환경적인 특성을 가지며 외부 오염물질 및 습기의 침투를 차단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arp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co-friendly by applying an upper mat formed of eco-friendly fabric on the upper surface, a non-slip flooring material on the lower surface, and using low melting point (LM) fibers instead of general adhesiv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reusable by blocking the penetration of external contaminants and moisture.
또한, 상면에 엠보가 형성되어 미끄럼방지 효과가 있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embossing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 is an anti-slip effect, so that stability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페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내장재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상부매트에 엠보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r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material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mbossing is formed on the upper mat of FIG. 1;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 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 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 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combina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components,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combinations of steps, components, etc.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Here, repeated descriptions, well-known func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ar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페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장재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상부매트에 엠보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r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material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embossing on the upper mat of FIG. 1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페트(1)는 체육관 등 실내 시설 바닥을 보호하고, 미끄러운 바닥면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하여,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카페트(1)는 야외 행사 중 지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카페트 등 다양한 공간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페트(1)는 상부매트(10) 및 바닥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a
먼저, 상부매트(10)는 PVC 원단, 복지 원단, 캔버스 원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친환경 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First, the
이때, 상부매트(10)는 이중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매트(10)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원단을 포함하고, 복지 원단 또는 캔버스 원단을 더 포함하여 이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카페트(1)의 형태가 오래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이때, 상부매트(10)의 이중 구조를 이루는 원단 간의 접착은 저융점 섬유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친환경 접착제 등이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nding between the fabrics constituting the double structure of the
또한 상부매트(10)는 열 용접을 통해 모서리 등의 마감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내구성이 보다 극대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부매트(10)는 도 3과 같이 표면 전반에 걸쳐 양각 엠보를 부여하여 미끄럼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또한, 상부매트(10)는 설치되는 공간의 폭과 길이만큼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부매트(10)는 0.2 내지 0.8 c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0.4 내지 0.5 cm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이때, 상부매트(10)가 0.2cm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상부매트(10)가 찢겨지거나 훼손되어 바닥을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0.8 cm를 초과할 경우 단가가 높아짐으로 인해 생산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보관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At this time, if the
이에, 상부매트(10)는 상기와 같은 두께로 형성됨에 따라 설치되는 바닥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권취하여 쉽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us, the
바닥재(20)는 미끄럼 방지 돌기 등의 형태적 특징 또는 소재적 특징을 통해 논슬립 기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부매트(10) 하면에 부착되어 카페트(1)가 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카페트(1)의 밀림에 의한 부상 등의 사고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이러한 바닥재(20)는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실리콘, 폴리에스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필름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이러한, 바닥재(20)는 상부매트(10)에 저융점 섬유를 이용하여 접착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접착제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또한, 바닥재(20)는 마찰층 및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마찰층은 필름층 하면에 부착되어 바닥재(20)의 바닥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카페트(1)의 밀림방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friction layer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lm layer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러한 마찰층은 폴리머 8 내지 12중량부, 경화제 1.5 내지 3중량부, 점도조절제 2 내지 4중량부 및 분말 혼화제 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폴리머 10 내지 11중량부, 경화제 2.2 내지 2.5중량부, 점도조절제 2.8 내지 3.1중량부 및 분말 혼화제 1.7 내지 1.9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friction layer may include 8 to 12 parts by weight of a polymer, 1.5 to 3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2 to 4 parts by weight of a viscosity modifier, and 1 to 2 parts by weight of a powder admixture, and 10 to 11 parts by weight of a polymer and 2.2 to 2.5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It is most preferable to include 2.8 to 3.1 parts by weight of a viscosity modifier and 1.7 to 1.9 parts by weight of a powder admixture.
폴리머는 구조 중에 다수의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고분자량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에폭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오르가노 실록산 및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Polymer refers to a high molecular weight compound containing a plurality of repeating units in its structure, and may include one or more of polyvinyl acetate, polyurethane, epoxy,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organosiloxane, and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
폴리머는 8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경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마찰력 증진이 어려우며, 12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경화 후 잔류하고 있는 폴리머가 존재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When the polymer is added in an amount of less than 8 parts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harden and thus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frictional force, and if it exceeds 12 parts by weight, the polymer remaining after curing may exist, which is not preferabl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는 알코올계 용매를 사용하고 라디칼 개시제로서 벤조일 퍼옥시드를 이용하여 원료 비닐아세테이트를 라디칼 중합반응시켜 생성된 것으로 경화제와 혼합되어 마찰층과 필름층의 결합력을 부여할 수 있다.The polyvinyl acetate resin is produced by radical polymerization of vinyl acetate as a raw material using an alcohol-based solvent and benzoyl peroxide as a radical initiator, and may be mixed with a curing agent to impart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riction layer and the film layer.
또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는 적어도 온도가 60 내지 65 또는 그 이상의 고온에서 작업하는 것이 조성물의 결속력 및 유연성을 좋게 하며, 혼합이 잘 되게 할 수 있어 가장 바람직한 온도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polyvinyl acetate resin has a temperature of at least 60 to 65 Working at a high temperature higher than or equal to is the most preferable temperature because it improves the coherence and flexibility of the composition and enables good mix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폴리우레탄 수지는 인장강도, 내약품성 및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폴리머로, 글리콜과 아민류를 사용하는 하드 세그먼트(hard segment), 폴리머릭 글리콜을 사용하는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합성은 폴리우레탄 글리콜과 쇄연장제의 혼화재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한번에 반응시키는 원-샷(One-Shot)법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과량으로 반응시킨 후 프리폴리머를 다시 쇄연장하는 프리폴리머법 중 어느 하나로 합성할 수 있다.Polyurethane resin is a polymer used to improve tensile strength, chemical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The hard segment using glycol and amines, the soft segment using polymeric glycol, and polyisocyanate are the main raw materials. It can be manufactured using Polyurethane synthesis is synthesized by one of the one-shot method in which a mixture of polyurethane glycol and chain extender reacts with polyisocyanate at once, and the prepolymer method in which polyisocyanate is reacted in excess and then chain extension is performed again. can do.
또한, 폴리우레탄 수지는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내약품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엘라스토머(Elastomer), 연성포옴(Flexible Foam), 리지스틱 포옴(Rigistic Foam), 플라스틱(Plastic), 도료, 접착제, 섬유합성 피혁 등 고분자 재료의 거의 모든 분야에 통용되고 있다.In addition, polyurethane resin has excellent tensile strength, chemical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so it can be used as elastomer, flexible foam, rigid foam, plastic, paint, adhesive, and synthetic leather. It is commonly used in almost all fields of polymer materials such as
에폭시 수지는 내약품성, 내구성, 내수성 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경도가 높은 특성이 있다. Epoxy resin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such as chemical resistance, durability, and water resistance, and has characteristics of high hardness.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 중 밀도가 0.94보다 낮은 것으로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의 특성을 가지나 분자 구조가 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resin has a density lower than 0.94 among polyethylene resins, and has characteristics of the low-density polyethylene resin, bu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lecular structure is linear.
폴리오르가노 실록산은 실리콘(silicone)의 일종으로 유기기(organic groups)로 치환된 실록산 결합을 주축으로 하는 중합체를 의미하는데, 무색무취이며 산화가 느리고 상온에서도 안정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olyorganosiloxane is a type of silicone and refers to a polymer having a siloxane bond substituted with organic groups as a main axis.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의 부가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열가소성 고분자 물질이다.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resin is a thermoplastic polymer material prepared by addition polymerization of ethylene and vinyl acetate.
상기에서 나열한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머를 제조함으로써, 마찰층에 적합한 폴리머로 사용할 수 있다.By preparing a polymer comprising one or more of the resins listed above, it can be used as a suitable polymer for the friction layer.
경화제는 폴리머를 경화시키는 것으로, 1.5 내지 3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uring agent cures the polymer, and is most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1.5 to 3 parts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경화제가 1.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됐을 경우 폴리머의 경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미경화된 폴리머가 잔류하여 마찰층이 형성되기 어렵고, 3중량부를 초과했을 경우 경도가 높아져 카페트 보관 시 권취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잔류하는 경화제로 인해 카페트의 물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If less than 1.5 parts by weight of the curing agent is used, the polymer does not cure well and uncured polymer remains, making it difficult to form a friction layer. Residual curing agent may adversely affec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arpet.
이때, 경화제로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에틸렌디아민, N-[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에틸렌디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N-숙시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 silane coupling agent may be used as the curing agent,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N-[3-(trimethoxysilyl) )propyl]ethylenediammonium chloride and (N-succin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점도조절제는, 점도를 조절하여 마찰층의 두께를 형성하고, 하기에서 설명할 분말 혼화제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viscosity modifier is capable of adjusting the viscosity to form the thickness of the friction layer and increasing bonding strength with a powder admixture to be described below,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olyvinyl alcohol and polyvinylpyrrolidone.
이때, 점도조절제는 2 내지 4중량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2 미만일 경우 점도조절제의 효과가 미미하며, 4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전체적으로 경화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점도가 높아짐으로 인해 코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At this time,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viscosity modifier is 2 to 4 parts by weight, and if it is less than 2, the effect of the viscosity modifier is insignificant, and if it exceeds 4 parts by weight, not only does not cure as a whole, but also the coating is not smoothly performed due to the high viscosity. There are downsides to not having
이때, 점도조절제로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의 분자량은 8,000 내지 120,000이며, 폴리비닐피롤리돈의 분자량은 5,000 내지 100,00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molecular weight of polyvinyl alcohol used as the viscosity modifier is 8,000 to 120,000, and the molecular weight of polyvinylpyrrolidone is most preferably 5,000 to 100,0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의 분자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 점도조절제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너무 많이 상승하여 마찰층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각각의 재료를 혼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마찰층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다.When the molecular weight of polyvinyl alcohol and polyvinylpyrrolidone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the effect of the viscosity modifier is insignificant, and when it exceeds the upper limit, the viscosity increases too much, making it difficult to mix each material in forming the friction layer.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friction layer becomes excessively thick.
분말 혼화제는 마찰층에 마찰력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 유리섬유촙 및 규조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wder admixture is for adding frictional force to the friction lay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glass fiber chops and diatomaceous earth.
이때, 분말 혼화제는 1 내지 2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powder admixture is most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1 to 2 parts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분말 혼화제가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분말 혼화제의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나며, 2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분말 혼화제가 전체적으로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폴리머 및 경화제와 혼합되지 않는 상태의 분말 혼화제가 잔류하여 뭉친 부분이 생길 수 있으며, 해당 부분에서 경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owder admixture is added in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the powder admixture is insignificant, and when it exceeds 2 parts by weight, a problem in that the powder admixture is not mixed well as a whole may occur. As a result, the powder admixture in a state that is not mixed with the polymer and the curing agent may remain and form agglomerated parts,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curing is not performed in the corresponding part.
유리섬유촙은 유리섬유를 촙 형태로 성형한 복합재료로 1 내지 3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The glass fiber chop is a composite material formed by molding glass fibers in a chopped form, and may include 1 to 3 parts by weight.
이때, 유리섬유촙이 1중량부 미만일 경우 유리섬유촙으로 인한 마찰력 증대 효과가 미흡하고, 3중량부 초과일 경우 마찰층 구성 간의 혼합을 방해하여 마찰층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amount of glass fiber chop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due to glass fiber chop is insufficient, and when it is more than 3 parts by weight, mixing between components of the friction layer may be hindered, thereby deteriorating physical properties of the friction layer.
또한, 유리섬유촙은 길이가 0.1 내지 0.5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0.2mm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glass fiber chop may be formed in a size of 0.1 to 0.5 mm in length, and most preferably formed in 0.2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유리섬유촙의 길이가 0.1mm미만일 경우 마찰력 증진 효과를 내기 어렵고, 0.5mm 초과했을 경우 카페트(1)가 설치되는 바닥면이 유리섬유촙으로 인해 훼손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At this time, when the length of the glass fiber chop is less than 0.1 mm, it is difficult to obtain a frictional force enhancing effect, and when the length exceeds 0.5 mm, the floor surface on which the
규조토는 카페트(1)의 습도 조절 및 마찰층 구성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마찰층의 내구성을 보다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3 내지 5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Diatomaceous earth is intended to further enhance the durability of the friction layer by controlling the humidity of the
이때, 규조토가 3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5중량부 초과일 경우 마찰층 구성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마찰층의 결합력이 낮아질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amount of diatomaceous earth is less than 3 parts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exhibit the above effect, and when it is greater than 5 parts by weight, the mixing of the composition of the friction layer is not performed well, and the bonding force of the friction layer may be lowered.
보호층은 마찰층 하면에 도포되어 마찰층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셀룰로스, 알코올, 증류수, 불소계면활성제 및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riction layer to prevent damage to the friction layer, and may include cellulose, alcohol, distilled water, a fluorosurfactant, and a curing agent.
이때, 보호층은 상부매트(10) 상면에도 형성되어 상부매트(10) 표면을 보호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protective layer may also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층은 셀룰로스 20 내지 35중량부, 알코올 50 내지 60중량부, 증류수 45 내지 55중량부, 불소계면활성제 0.1 내지 0.5중량부 및 경화제 0.8 내지 1.7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20 to 35 parts by weight of cellulose, 50 to 60 parts by weight of alcohol, 45 to 55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0.1 to 0.5 parts by weight of a fluorine surfactant, and 0.8 to 1.7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셀룰로스는 마찰층에 투명한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바인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메칠셀룰로스, 카르복실메칠셀룰로스, 에칠셀룰로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가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Cellulose serves as a binder so that a transparent coating can be made on the friction layer, and may include one or more of methyl cellulose, carboxylmethyl cellulose, ethyl cellulose, and hydroxypropyl cellulose, and hydroxypropyl cellulose is most preferably used. .
이때, 셀룰로스가 20중량부 미만일 경우 보호층이 형성되는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3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셀룰로스로 인해 코팅이 매끄럽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두께가 두꺼워져 바람직하지 않다.At this time, when the cellulose is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the coating on which 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is not made, and when it exceeds 35 parts by weight, the coating is not made smoothly due to the cellulose and the thickness is not preferred.
불소계면활성제는 보호층의 코팅성 향상을 위한 것으로, 불소계면활성제가 첨가됨으로써 보호층을 마찰층에 코팅했을 때, 균일한 코팅이 되도록 할 수 있다.The fluorosurfactant is for improving the coatability of the protective layer, and when the protective layer is coated on the friction layer by adding the fluorosurfactant, it can be uniformly coated.
더욱 자세하게는 불소계면활성제를 통해 보호층의 표면장력을 저하시킬 수 있고, 코팅 시 레벨링성이 얻어질 뿐만 아니라 거품 등 문제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urface tension of the protective layer can be reduced through the fluorosurfactant, leveling properties can be obtained during coating, and problems such as bubbles can be suppressed.
이러한 불소계면활성제가 0.1중량부 미만일 경우 불소계면활성제로 인한 효과가 미미하고, 0.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보호층 물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When the fluorosurfactant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effect due to the fluorosurfactant is insignificant, and when it exceeds 0.5 part by weight,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may affec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tective layer.
경화제는 보호층을 경화시키는 것으로, 0.8 내지 1.5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uring agent is to cure the protective layer, and is most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0.8 to 1.5 parts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경화제가 0.8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됐을 경우 보호층의 경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마찰층 보호 효과가 미미하고, 1.5중량부를 초과했을 경우 빠른 경화로 인해 코팅이 매끄럽게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less than 0.8 parts by weight of the curing agent is used, the protective layer does not harden well and the friction layer protection effect is insignificant, and if it exceeds 1.5 parts by weight, the coating may not be smooth due to rapid curing.
이때, 경화제로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에틸렌디아민, N-[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에틸렌디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N-숙시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 silane coupling agent may be used as the curing agent,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N-[3-(trimethoxysilyl) )propyl]ethylenediammonium chloride and (N-succin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또한, 보호층은 자외선 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UV stabilizer.
자외선 안정제는 보호층이 외부 환경에 노출됐을 경우, 자외선에 의한 광분해 억제를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1 내지 1.5중량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1 미만일 경우 자외선 안정제의 효과가 미미하며,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자외선 안정제로 인해 코팅 혼합물에 영향을 끼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The UV stabilizer is added to inhibit photodegradation by ultraviolet rays when the protective layer is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s most preferably 1 to 1.5 parts by weight, and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1, the effect of the UV stabilizer is negligible. UV stabilizers may affect the coating mixture, which is undesirable.
이때, 자외선 안정제는, 벤조옥사진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및 HALS계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UV stabilizer is most preferably added by selecting one or more of benzoxazine-based compounds, benzotriazole-based compounds, and HALS-based compoun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형성된 보호층은 마찰층 하면에 코팅되어 바닥재를 보호하여 카페트(1)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thus formed is co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iction layer to protect the floor material, thereby increasing durability of the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examples.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원단과 캔버스 원단을 포함하여 이중 구조로 형성된 상부매트 및 상부매트 하면에 부착되되, 논슬립 기능을 갖도록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필름층으로 형성된 바닥재를 포함하는 카페트를 제조하였다.Manufactures a carpet including an upper mat formed of a double structure including polyvinyl chloride (PVC) fabric and canvas fabric, and a flooring material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at and formed of a film layer containing polyurethane to have a non-slip function. did
[실시예 2][Example 2]
바닥재에 마찰층이 더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카페트를 제조하였다.A carpet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friction layer was further formed on the flooring material.
이때, 마찰층은 폴리머 10중량부, 경화제 2.3중량부, 점도조절제(분자량이 8,000인 폴리비닐피롤리돈) 2.9중량부 및 분말 혼화제(길이가 0.2mm인 유리섬유촙) 1.8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하였다.At this time, the friction layer is prepared by including 10 parts by weight of a polymer, 2.3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2.9 parts by weight of a viscosity modifier (polyvinylpyrrolidon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8,000), and 1.8 parts by weight of a powder admixture (glass fiber chops having a length of 0.2 mm). did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2의 카페트에 보호층을 더 형성하여 카페트를 제조하였다.A protective layer was further formed on the carpet of Example 2 to manufacture a carpet.
이때, 보호층은 셀룰로스 27중량부, 알코올 55중량부, 증류수 51중량부, 불소계면활성제 0.3중량부 및 경화제 1.2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하였다.At this time, the protective layer was prepared by including 27 parts by weight of cellulose, 55 parts by weight of alcohol, 51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0.3 parts by weight of a fluorosurfactant and 1.2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폴리머가 5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카페트를 제조하였다.The same carpet as in Example 2 was prepared except that the polymer was 5 parts by weight.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유리섬유촙의 길이가 0.05mm 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카페트를 제조하였다.The same carpet as in Example 2 was manufactured except that the length of the glass fiber chop was 0.05 mm.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셀룰로스가 18중량부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카페트를 제조하였다.The same carpet as in Example 3 was prepared except that the cellulose was 18 parts by weight.
[실험예] 카페트의 미끄럼방지 및 내구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Anti-slip and durability evaluation of carpet
미끄럼방지 성능평가Non-slip performance evaluation
상온에서의 마찰계수를 측정함으로써, 미끄럼방지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때, 마찰계수가 2.5 이상을◎, 2.0 이상 및 2.5 미만은 ○, 1.5 이상 및 2.0 미만은 △, 1.5 미만은 Х로 나타내었다. Anti-slip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t room temperature. At this time, a coefficient of friction of 2.5 or more is indicated by ◎, 2.0 or more and less than 2.5 by ○, 1.5 or more by less than 2.0 by △, and less than 1.5 by Х.
내구성 평가durability evaluation
염수분무 시험 1000시간 이상 경과 후, 바닥재의 박리 현상이 발생하는지를 관찰함으로써,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박리 현상의 발생이 염수분무 시험 1500시간 이상 경과 후 있다면◎, 1000시간 이상 및 1500시간 미만 경과 후 있다면 ○, 500시간 이상 및 1000시간 미만 경과 후 있다면 △, 500시간 미만 경과 후 있다면 Х로 나타내었다.After 1000 hours or more of the salt spray test, durability was evaluated by observing whether peeling of the flooring material occurred. At this time, if the occurrence of the peeling phenomenon occurs after 1500 hours or more of the salt spray test, ◎, 1000 hours or more and less than 1500 hours ○, 500 hours or more and less than 1000 hours △, if less than 500 hours, Х showed up
결과는 표 1과 같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은 우수한 미끄럼방지 성능 및 내구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1, it was confirmed that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had excellent anti-slip performance and durability.
실시예 1 및 2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1 보다 실시예 2의 미끄럼방지 성능이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2와 비교예 1 및 2를 비교한 결과, 비교예 1 및 2의 경우 각각 폴리머 중량부 및 유리섬유촙의 길이가 실시예 2와 다름으로 인해 미끄럼방지 성능의 증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Comparing Examples 1 and 2, it can be seen that the anti-slip performance of Example 2 is better than that of Example 1.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comparing Example 2 with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he weight part of the polymer and the length of the glass fiber chop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Example 2, so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nti-slip performance was not exhibited. I was able to confirm what was missing.
또한, 실시예 2 및 3을 비교해보면, 실시예 2 보다 실시예 3의 내구성이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3과 비교예 3을 비교한 결과, 비교예 3의 경우 셀룰로스 중량부가 실시예 3과 다름으로 인해 내구성 증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when comparing Examples 2 and 3, it can be seen that the durability of Example 3 is better than that of Example 2.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comparing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3,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increasing durability did not appear due to the weight part of cellulose being different from that of Example 3.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As above, a specific part of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ese specific description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It will be clear. Accordingly,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카페트
10: 상부매트
20: 바닥재1: carpet
10: upper mat
20: flooring
Claims (7)
상기 상부매트 하면에 부착되되, 논슬립 기능을 갖도록 폴리우레탄, 실리콘,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필름층으로 형성된 바닥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매트 및 바닥재가 저융점(LM) 섬유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
An upper mat made of eco-friendly fabric including at least one of polyvinyl chloride fabric, welfare fabric, and canvas fabric, and
A flooring material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at and formed of a film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polyurethane, silicone, polyvinyl chloride, and polyester to have a non-slip function,
The carpe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mat and the floor material are bonded with low melting point (LM) fibers.
상기 상부매트는,
상기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원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지 원단 또는 캔버스 원단을 더 포함하여 이중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mat,
A carpe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ual structure including the polyvinyl chloride (PVC) fabric and further including the welfare fabric or canvas fabric.
상기 바닥재는,
상기 필름층 하면에 형성되는 마찰층 및
상기 마찰층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마찰층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카페트.
According to claim 1,
The flooring material is
A friction lay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m layer and
The carpet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riction layer to prevent damage to the friction layer.
상기 마찰층은,
폴리머 8 내지 12중량부, 경화제 1.5 내지 3중량부, 점도조절제 2 내지 4중량부 및 분말 혼화제 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카페트.
According to claim 3,
The friction layer,
A carpet comprising 8 to 12 parts by weight of a polymer, 1.5 to 3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2 to 4 parts by weight of a viscosity modifier and 1 to 2 parts by weight of a powder admixture.
상기 점도조절제는,
분자량이 8,000 내지 120,000인 폴리비닐알코올 및 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0인 폴리비닐피롤리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카페트.
According to claim 4,
The viscosity modifier,
A carpet comprising at least one of polyvinyl alcohol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8,000 to 120,000 and polyvinylpyrrolidon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5,000 to 100,000.
상기 분말 혼화제는,
유리섬유촙 및 규조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카페트.
According to claim 4,
The powder admixture,
A carpet comprising at least one of fiberglass chop and diatomaceous earth.
상기 보호층은,
셀룰로스 20 내지 35중량부, 알코올 50 내지 60중량부, 증류수 45 내지 55중량부, 불소계면활성제 0.1 내지 0.5중량부 및 경화제 0.8 내지 1.7중량부를 포함하는 카페트.
According to claim 3,
The protective layer,
A carpet comprising 20 to 35 parts by weight of cellulose, 50 to 60 parts by weight of alcohol, 45 to 55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0.1 to 0.5 parts by weight of a fluorosurfactant and 0.8 to 1.7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5997A KR102705068B1 (en) | 2021-10-28 | 2021-10-28 | Carp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5997A KR102705068B1 (en) | 2021-10-28 | 2021-10-28 | Carp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1096A true KR20230061096A (en) | 2023-05-08 |
KR102705068B1 KR102705068B1 (en) | 2024-09-09 |
Family
ID=8638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5997A Active KR102705068B1 (en) | 2021-10-28 | 2021-10-28 | Carp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5068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0344U (en) * | 1994-06-11 | 1996-01-17 | 김일 | Mat for moisture removal with anti-glare layer |
JP3042597U (en) * | 1997-04-16 | 1997-10-21 | ヨシミツ毛織株式会社 | carpet |
JP2015198791A (en) * | 2014-04-08 | 2015-11-12 | 株式会社大和 | Nonwoven-fabric back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42597B2 (en) * | 1996-05-21 | 2000-05-15 |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 Machine tool tool changer |
-
2021
- 2021-10-28 KR KR1020210145997A patent/KR10270506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0344U (en) * | 1994-06-11 | 1996-01-17 | 김일 | Mat for moisture removal with anti-glare layer |
JP3042597U (en) * | 1997-04-16 | 1997-10-21 | ヨシミツ毛織株式会社 | carpet |
JP2015198791A (en) * | 2014-04-08 | 2015-11-12 | 株式会社大和 | Nonwoven-fabric back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05068B1 (en) | 2024-09-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85583B2 (en) | Wood base material used for flooring cosmetics | |
JP7309707B2 (en) | Thermoplastic polymer film with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 |
KR20130125129A (en) | Coating composition with excellent touch propert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ating composition and transfer shteet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 | |
KR102111355B1 (en) | Environmentally friendly flooring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EP2891555A1 (en) | Hybrid flooring products | |
KR101930708B1 (en) | Transparent film for floor material,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floor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 |
KR20110126934A (en) | Radiation shielding composition and radiation shielding material using same | |
JP6060412B2 (en) | Floor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oor material | |
KR20230061096A (en) | Carpet | |
JP6750243B2 (en) | Floor cosmetics | |
KR102552819B1 (en) | Flooring for Noise Prevention between Floors | |
JP7135439B2 (en) | Coating liquid and its uses | |
KR102350031B1 (en) | A Mat for Jiu-Jitsu | |
JP6985874B2 (en) | Flooring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2389558B1 (en) | Multi-layered photocurable sheet composition with enhanced flame retardancy and heat resistance, prepreg inlin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is | |
US20190063007A1 (en) | Filler for artificial gras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filler | |
KR20200090443A (en) | Protective film for curved display | |
KR101442038B1 (en) | Elastic Paving Material Comprising Pre-treated Tire Chips and Pav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509725B1 (en) | Integrated soft polyurethane wall with improved workability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KR102294979B1 (en) | Coating composition for non-slip having improving durability and elastic mat for playground | |
JP2014083750A (en) | Polyolefin decorative sheet having antistatic function | |
KR102540984B1 (en) | Non-slip flooring | |
JP2006002518A (en) | Floor material | |
US20230398765A1 (en) | High-gloss pattern film f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517836B1 (en) | Eco-friendly deck material utilizing composite comprising carbon compound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