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692A -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57692A KR20230057692A KR1020210141757A KR20210141757A KR20230057692A KR 20230057692 A KR20230057692 A KR 20230057692A KR 1020210141757 A KR1020210141757 A KR 1020210141757A KR 20210141757 A KR20210141757 A KR 20210141757A KR 20230057692 A KR20230057692 A KR 202300576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smart glasses
- mode
- control system
- transmittan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0 laminat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39—Clusters of instrument input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5—Videos and anim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6—Navig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6—Camera im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5—Remote control arrangements
- B60K2360/56—Remote control arrangements using mobile devices
- B60K2360/566—Mobile devices displaying vehicle inform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5—Remote control arrangements
- B60K2360/56—Remote control arrangements using mobile devices
- B60K2360/573—Mobile devices controlling vehicle fun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85—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or in relation to the windshield or windows
-
- B60K2370/15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과율이 가변되거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은, 차량(1)의 글래스에 구비되고 투과율이 가변되거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스마트 글래스(20);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의 모드가 입력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로 입력된 모드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의 투과율을 조절하거나,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통하여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은, 차량(1)의 글래스에 구비되고 투과율이 가변되거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스마트 글래스(20);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의 모드가 입력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로 입력된 모드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의 투과율을 조절하거나,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통하여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글래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과율이 가변되거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면과 후면 및 도어 등에는 시야확보와 채광을 위한 윈도우글래스, 도어글래스 등이 설치된다.
상기 윈도우글래스 또는 상기 도어글래스에는 사생활보호와 일사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틴팅필름을 부착하여, 상기 윈도우글래스, 상기 도어글래스의 투과율을 조절한다.
하지만, 상기 틴팅필름은 부착 후에는 투과율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투과율이 낮으면, 주간에 일사량을 낮출 수 있으나 야간에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웠다. 한편, 투과율이 높으면, 주간에 일사량이 너무 많고, 사생활보호에서 불리하였다.
아울러, 상기 틴팅필름은 단순히, 투과율을 조절하는 기능 밖에 없어, 상기 윈도우글래스, 상기 도어글래스를 이용하여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었다.
한편, 아동과 함께 탑승하는 경우, 차량의 실내에서 아동에 적합한 컨텐츠가 없어, 장시간 이동에 따라 아동이 불편하였고, 1열에서 용이하게 2열 또는 그 후방에 착석한 아동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의 글래스의 투과율이 변경되도록 하거나, 글래스에 이미지가 도시되도록 한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은, 차량의 글래스에 구비되고 투과율이 가변되거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스마트 글래스;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 글래스의 모드가 입력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로 입력된 모드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글래스의 투과율을 조절하거나, 상기 스마트 글래스를 통하여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스마트 글래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는, a) 스마트 글래스를 작동시키지 않는 오프모드; b) 스마트 글래스의 투과율이 조절되는 가변투과율모드; c) 미리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모드; d) 차량의 운행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운행정보모드; e) 스마트 글래스의 투과율을 조절하면서, 미리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키즈모드; 상기 a) ~ 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재는, USM(User Setting Mode)이 적용된 상기 차량의 계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차량과 커넥티드카 서비스로 연결되는 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재는, 디스플레이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선택된 모드로 상기 차량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상기 차량의 스마트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투과율모드에서는, 상기 스마트 글래스에서 선택된 영역별로 투과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투과율모드에서는, 상기 스마트 글래스에서 일정 방향에 대하여 투과율이 순차적으로 달라지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가 키즈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차일드락을 잠금상태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가 키즈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카메라가 후석에 탑승한 탑승자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후석 탑승자의 모습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글래스는,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글래스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글래스는, 후석 도어의 도어글래스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따르면, USM(User setting mode)나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차량에 설치되는 글래스의 투과율을 변경하거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글래스의 투과율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상황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의 투과율로 글래스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없다.
또한, 상기 글래스에 원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 미적효과를 얻을 수 있거나, 차량주행 정보의 공유가 가능해진다.
아울러, USM이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편리하게 상기 글래스의 투과율을 조절하거나, 상기 글래스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글래스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를 아동에 적합한 이미지가 되도록 하면서,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카메라, AVN의 디스플레이와 연동함으로써, 키즈모드(kids mode)의 구현이 가능하다. 키즈모드를 구현함에 따라, 장거리 주행시 아동이 느끼는 불편함으로 해소함과 동시에 1열에서 고개를 뒤로 돌리지 않고도 아동의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에서 계기판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에서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에서 모드선택 메뉴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에 따라 스마트 글래스가 오프(OFF)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에 따라 스마트 글래스의 투과율이 가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c 내지 도 6f는 b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에 따라 스마트 글래스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에 따라 키즈모드가 구현되는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에서 계기판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에서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에서 모드선택 메뉴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에 따라 스마트 글래스가 오프(OFF)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에 따라 스마트 글래스의 투과율이 가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c 내지 도 6f는 b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에 따라 스마트 글래스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에 따라 키즈모드가 구현되는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은, 차량(1)의 글래스에 구비되고 투과율이 가변되거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스마트 글래스(20)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의 모드가 입력되는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로 입력된 모드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의 투과율을 조절하거나,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통하여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스마트 글래스(20)는 차량(1)의 글래스에 적용되어, 고정된 투과율이나 이미지가 아닌 투과율이 가변되도록 하거나, 변경가능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상기 글래스에 플렉시블한 형태로 제작되어, 투과율의 조절,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필름을 부착하여, 스마트 글래스(20)가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글래스의 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차량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글래스(20)가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글래스(20)가 적용되는 부위는 차량(1)의 전방과 후방의 시야확보를 위한 윈도우글래스, 도어글래스, 상기 차량(1)의 도어(10)에 설치되는 도어글래스, 차량(1)의 루프에 설치되는 루프글래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에 설치되는 다른 글래스나 미러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글래스(20)가 상기 도어글래스로서 적용된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투과율이 가변되거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적용부위(A)가 도시되어 있다.
조작부재는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의 모드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운전자, 동승자)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의 모드가 입력되도록 한다.
제어부(50)는 상기 조작부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에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제어하는 로직과,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로부터 입력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조작부재,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비롯하여, 상기 차량(1)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EMS(Engine Management System). 차속센서 등과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재의 일례로서, 상기 차량(1)의 계기판(31)이 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계기판(31)은 운전자가 상기 차량(1)에 대한 각종 정보를 보여줌과 동시에 상기 차량(1)에 대한 각종 설정을 할 수 있다. 상기 계기판(31)에 상기 차량에 대한 설정을 위하여, 사용자 설정메뉴(USM: User Setting Mode)가 적용되어 있는데, 이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의 모드를 선택하도록 한다. 상기 USM가 적용되면, 상기 계기판(31)을 통하여 설정 메뉴를 보여주면서, 상기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버튼(예컨데, 스티어링휠에 설치된 버튼)을 통하여 메뉴를 선택하는데, 이를 통하여 작동모드를 선택하도록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기판(31)에서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설정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메뉴에 진입할 수 있고, 상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재의 다른 예로서, 상기 차량(1)과 커넥티드카 서비스로 연결되는 통신 단말기(60)가 될 수 있다. 각 자동차 제조사들은 자사 차량과 무선통신을 통하여 원격지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60)로 상기 차량(1)의 시동 온/오프, 도어락/언락, 공조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상기 통신 단말기(60)를 상기 작동모드를 선택하는 조작부재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량(1)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60)을 상기 통신 단말기(60)로 하여, 상기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에 커넥티트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무선통신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를 원격지에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의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차량(1)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이 될 수 있다.
최근에는 운전자의 편의 및 동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차량(1)의 내부에 다양한 디스플레이 유닛(33)이 장착되고 있다. 예컨대, 멀티미디어의 재생, 경로안내 및 각종 편의기능의 설정을 위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33), 후석 탑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1열시트의 후면에 설치되는 후석모니터 등과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유닛(33)가 설치되는데, 이를 상기 조작부재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1)의 스마트키 중에서, 디스플레이를 내장한 스마트키(미도시)도 상기 조작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키는 상기 차량(1)과 이격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로 선택한 메뉴대로 상기 차량(1)의 상태를 미리 조절할 수 있는 바, 상기 스마트키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를 적용하여 모드를 선택하도록 한다.
한편, 모드는 도 6a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프모드 내지 키즈모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선택된 모드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제어한다.
a) 오프모드
오프모드는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사용하지 않는 모드다.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로 전원과 제어신호를 보내지 않는 상기 오프모드에서는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통하여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의 고유 투과율로 햇빛의 양을 조절한다. 도 6a에서는 상기 스마트 글래스(20)가 작동하지 않아, 최저투과율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는 1번 메뉴에 해당한다.
b) 가변투과율모드
가변투과율모드에서는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의 투과율을 사용자가 원하는 투과율로 조절가능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조작부재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의 모드를 가변투과율모드를 선택하면(예컨대, 도 5에서 2번을 선택한 경우), 그 세부메뉴로서 가변투과율을 설정하는 메뉴가 제공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최대투과율과 최저투과율 사이에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투과율로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의 투과율을 조절된다.
한편, 투과율은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조절도 가능하지만, 선택된 영역별로 차등을 두고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B1 영역에서는 투과율을 높게 하고, B2 영역에서는 투과율을 낮게 유지하거나, 최저투과율(예컨대, 도 6a와 같은 투과율)이 되도록 한다. 영역별로 투과율을 달리하면, 탑승자의 사생활을 보호하면서 외부 시야는 확보할 수 있다. 또는, 탑승자의 눈으로 햇빛이 조사되는 부위만 투과율을 낮게 하면서, 나머지는 투과율을 높게 하면, 눈부심은 방지하면서 외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의 영역별로 투과율을 다르게 함으로써, 탑승자가 원하는 상태로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통한 햇빛의 일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영역별 투과율의 조절도 상기 조작부재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변투과율모드에서는 특정 방향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투과율이 달라지도록, 그라데이션(gradation) 형식으로 투과율을 조절할 수도 있다.
c) 이미지모드
이미지모드에서는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통하여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상기 이미지모드에서는 제어부(50)에 저장된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재를 선택하면,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이미지모드에서는, 차량의 제작시 미리 저장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차 제조사의 로고, 차량 브랜드 로고, 차량의 이미지 등과 같이, 차량의 제작시 미리 저장된 이미지가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도 5의 메뉴에서 3번을 선택한 경우, 도 6c에서와 같이 상기 차량의 이미지(B3)가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모드에서는, 차량 제작 후 추가로 저장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도 있다. 도 5의 메뉴에서 4번을 선택한 경우, 추가로 저장된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된다.
예컨대, 차량 제공 업체(렌터가 업체, 공유차량 서비스업체 등)에서 광고이미지, 차량 사용 안내 문구 등을 저장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광고이미지의 노출에 따라 상기 차량 제공 업체는 추가 수입이 기대할 수 있다. 또는 차량 안내 문구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면, 차량 이용이 편리해지고, 필수 안내 사항을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업체에서 추가로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상기 업체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제공 업체에서는 광고 노출에 따른 추가 수입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차량 안내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면, 이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추가가 이미지들을 저장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d에는 사용자가 추가로 저장한 풍경이미지(B4)가 디스플레이 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d) 운행정보모드
운행정보모드는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통하여, 후석의 탑승자도 차량의 운행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e에는 도 5의 메뉴에서 5번을 선택한 경우,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에 차량의 속도, 엔진회전수, 연료량, 실내온도 등과 같은 차량의 주행정보에 관한 이미지(B5)가 디스플레이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6f와 같이, 상기 스마트 글래스(20)가 지동, 목적지 정보, 경로 안내 등과 같은 네비케이션 정보에 관한 이미지(B6)가 디스플레이된 예가 되어 있다. 도 5의 메뉴에서 6번을 선택하면,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통하여 네이게이션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e) 키즈모드
키즈모드는 후석에 어린이와 같이,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스스로 제어하기 어려운 탑승자가 탑승되었을 때, 작동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키즈모드는 도 5의 메뉴에서 7번을 선택하여 진입할 수 있다.
상기 키즈모드에서는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의 투과율을 조절하면서, 상기 스마트 글래스(20)를 통하여 미리 저장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투과율은 1열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상기 키즈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아동용 캐릭터에 관한 이미지(B7)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상기 키즈모드에서는 도어(10)의 차일드락(11)과 연동하여, 상기 키즈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차일드락(11)이 잠금상태로 작동하도록 하여, 의도치 않은 내부조작으로 상기 도어(1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후석에 탑승한 어린이의 상태를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실내에 카메라(43)를 설치하고, 상기 카메라(43)로 촬영한 영상을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유닛(33)을 통해 재생되도록 상기 제어부(50)가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차량(1)의 인사이드미러(41)에 후석을 촬영할 수 있도록 추가로 카메라(43)를 설치하거나, 블랙박스에서 실내를 촬영하도록 설치된 카메라를 활용하여 후석에 탑승한 어린이를 촬영하도록 한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유닛(33), 예컨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33)를 통하여 재생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후석에 탑승한 어린이의 모습(C)이 재생되도록 하면, 1열 탑승자는 상기 스마트 글래스(20)의 투과율을 추가로 적절하게 더 조절할 수 있다.
1 : 차량
10 : 도어
11 : 차일드락
20 : 스마트 글래스
31 : 계기판
33 :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41 : 인사이드미러
43 : 카메라
50 : 제어부
60 : 스마트폰
10 : 도어
11 : 차일드락
20 : 스마트 글래스
31 : 계기판
33 :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41 : 인사이드미러
43 : 카메라
50 : 제어부
60 : 스마트폰
Claims (12)
- 차량의 글래스에 구비되고 투과율이 가변되거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스마트 글래스;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마트 글래스의 모드가 입력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로 입력된 모드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글래스의 투과율을 조절하거나, 상기 스마트 글래스를 통하여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스마트 글래스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a) 스마트 글래스를 작동시키지 않는 오프모드;
b) 스마트 글래스의 투과율이 조절되는 가변투과율모드;
c) 미리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모드;
d) 차량의 운행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운행정보모드;
e) 스마트 글래스의 투과율을 조절하면서, 미리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키즈모드;
상기 a) ~ e)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USM(User Setting Mode)이 적용된 상기 차량의 계기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차량과 커넥티드카 서비스로 연결되는 통신 단말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디스플레이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선택된 모드로 상기 차량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상기 차량의 스마트키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투과율모드에서는,
상기 스마트 글래스에서 선택된 영역별로 투과율을 조절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투과율모드에서는,
상기 스마트 글래스에서 일정 방향에 대하여 투과율이 순차적으로 달라지도록 조절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가 키즈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차일드락을 잠금상태로 작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가 키즈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카메라가 후석에 탑승한 탑승자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후석 탑승자의 모습을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글래스는,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글래스에 적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글래스는,
후석 도어의 도어글래스에 적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1757A KR20230057692A (ko) | 2021-10-22 | 2021-10-22 |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
US17/886,260 US12252013B2 (en) | 2021-10-22 | 2022-08-11 | Control system of smart glass for vehicle |
CN202211049486.9A CN116009255A (zh) | 2021-10-22 | 2022-08-30 | 用于车辆的智能玻璃的控制系统、方法及可读存储介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1757A KR20230057692A (ko) | 2021-10-22 | 2021-10-22 |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7692A true KR20230057692A (ko) | 2023-05-02 |
Family
ID=86027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1757A Pending KR20230057692A (ko) | 2021-10-22 | 2021-10-22 |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2252013B2 (ko) |
KR (1) | KR20230057692A (ko) |
CN (1) | CN116009255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97227A (ko) | 2008-01-09 | 2010-09-02 |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 플라스틱 필름 삽입 적층 유리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023028B2 (en) * | 2011-12-21 | 2018-07-17 | Gentex Corporation | Switchable variable transmittance window assembly |
US9340155B2 (en) * | 2013-09-17 | 2016-05-17 | Toyota Motor Sales, U.S.A., Inc. | Interactive vehicle window display system with user identification |
US9387824B2 (en) * | 2013-09-17 | 2016-07-12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Interactive vehicle window display system with user identification and image recording |
US9733467B2 (en) * | 2014-12-03 | 2017-08-15 | Hyundai Motor Company | Smart glass using guided self-assembled photonic crystal |
KR102521487B1 (ko) * | 2015-09-15 | 2023-04-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마트 윈도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1901799B1 (ko) * | 2016-10-05 | 2018-11-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KR102699136B1 (ko) * | 2016-10-05 | 2024-08-2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주행 환경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CN111999926A (zh) * | 2020-09-10 | 2020-11-27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调光玻璃 |
CN114194006B (zh) * | 2020-09-17 | 2024-01-26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智能车窗及智能车窗系统 |
-
2021
- 2021-10-22 KR KR1020210141757A patent/KR20230057692A/ko active Pending
-
2022
- 2022-08-11 US US17/886,260 patent/US12252013B2/en active Active
- 2022-08-30 CN CN202211049486.9A patent/CN116009255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97227A (ko) | 2008-01-09 | 2010-09-02 |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 플라스틱 필름 삽입 적층 유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6009255A (zh) | 2023-04-25 |
US20230127726A1 (en) | 2023-04-27 |
US12252013B2 (en) | 2025-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050636A1 (en) | Virtual panoramic roof or sunroof assembly | |
US7413233B1 (en) | Vehicle sun visor with auto-shading prompter screen | |
US8733938B2 (en) | Virtual convertible tops, sunroofs, and back window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ame | |
JP6806650B2 (ja) | 車両用表示システム | |
EP1798588B1 (de) | Bediensystem zum Bedienen von Funktionen in einem Fahrzeug | |
US7306276B2 (en) | Cover module | |
US20120268665A1 (en) | Vehicle with Flexible Display | |
US20140043479A1 (en) | Vehicle vision system | |
KR20130126034A (ko) | 선루프 일체형 모니터 장치 | |
JP2020189618A (ja) | 車両用体験装置 | |
EP1527606B1 (en) | Viewing system | |
WO2018225472A1 (ja) | 車室内区画システム | |
JP2005534246A5 (ko) | ||
KR20210052616A (ko) | 자동차용 선바이저 | |
JP2008524732A (ja) | 車両用の操作制御システム | |
JP2019206192A (ja) | 表示装置および車室内システム | |
KR20230057692A (ko) | 차량용 스마트 글래스의 제어시스템 | |
CN106994885A (zh) | 汽车用智能遮阳板 | |
JP5236359B2 (ja) | 車載用情報表示装置 | |
GB2593876A (en) | Displaying an image in a vehicle | |
JP2004136837A (ja) | 車載用表示システム | |
JP4239756B2 (ja) | 車載映像投射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自動車 | |
CN217425915U (zh) | 车载投影系统及车辆 | |
JP3092719U (ja) | 車両用安全確認装置 | |
JP2019119416A (ja) | 車両用環境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