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55147A - 환봉 지지 연결구 - Google Patents

환봉 지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147A
KR20230055147A KR1020210138513A KR20210138513A KR20230055147A KR 20230055147 A KR20230055147 A KR 20230055147A KR 1020210138513 A KR1020210138513 A KR 1020210138513A KR 20210138513 A KR20210138513 A KR 20210138513A KR 20230055147 A KR20230055147 A KR 20230055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lamp band
bolt
fastening
support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그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그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그린테크
Priority to KR1020210138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5147A/ko
Publication of KR20230055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14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 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 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봉 지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실링패드의 손상에 의한 작업 불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볼트와 너트를 통한 체결과정에서 작업성이 향상되어 시공비를 절감하고,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일정두께의 철판으로 절곡되며 양단부에 복수의 절취홀(12)들이 형성된 체결고리부(11)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클램프밴드(10)와, 이 클램프밴드(10)의 체결고리부(11)에 끼워지며 볼트(B)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보스(21) 위치로 구멍(22)이 관통되는 지지봉(20)과, 상기 지지봉(20)의 구멍(22)으로 볼트(B)를 끼워 너트(N)와 체결되는 클램프밴드(10)의 개방부 위치로 배수관(1)의 이음부 둘레를 감싸는 연질의 실링패드(2)에 밀착된 상태로 가압되는 가압부재(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봉 지지 연결구{round pipe support connector}
본 발명은 환봉 지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실링패드의 손상에 의한 작업 불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볼트와 너트를 통한 체결과정에서 작업성이 향상되어 시공비를 절감하고,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사용하고 버리는 생활하수를 일정한 장소 즉, 생활하수를 정화하는 하수정화 처리장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지하에 매설하는 관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수관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관 연결구를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배수관을 연결구 구조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내부식성이 양호한 일정두께의 철판을 완만한 호형상으로 절곡하여 클램프밴드(10)를 완성하고, 그 양단부에는 원형으로 체결고리부(11)를 일체로 또는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으로 고정 부착시키게 된다.
체결고리부(11)의 내부에는 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보스(21) 위치로 구멍(22)이 관통된 지지봉(20)을 조립하게 된다.
체결고리부(11)에는 지지봉(20)에 일체로 돌출되게 성형된 조립된 상태에서 볼트의 체결 각도에 따라 보스(21)가 선회될 수 있도록 절취홀(12)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종래 관 연결구는 하수관(1)의 연결부에 기밀 유지를 위해 설치되는 연질의 실링패드(2) 원주 둘레를 모두 감싸질 수 있도록 일측 체결고리부(11)의 위치로 연장부(13)가 완만한 호 형상으로 더 연장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하수관(1)의 둘레에 연질의 실링패드(2)를 감싸게 한 후 클램프밴드(10)의 체결고리부(11)에 삽입된 지지봉(20)의 구멍(22)을 통해 볼트를 끼우고 너트로 강하게 조여서 체결하는 과정에서 직경을 줄이도록 조이면 조일수록 비교적 예리한 연장부(13)의 끝단부가 실링패드(2)의 외주면을 파고 들어 가면서 훼손시키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이때, 실링패드(2)의 일부분이 심하게 파이거나 절단되어 실링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누수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체결하기 위해 체결고리부(11)의 내부로는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구멍(22)들이 파여진 지지봉(20)이 조립되는데, 종래 이 지지봉(20)은 도 2에서와 같이 하나의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따라서 철판으로 이루어진 클램프밴드(10)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지지봉(20)의 구멍(22)들이 모두 동시에 어느 동일한 방향으로 모두 치우쳐 경사지게 되므로, 볼트를 끼워 조립하는 각도가 어긋나서 체결작업에 많은 불편함과 작업 시간을 지체하는 원인이 되었다.
아울러 체결작업에 숙련을 필요로 하므로 인건비 상승으로 경제적 손실을 주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국내 등록 특허공보 제10-0339648호 (등록일자 2002년05월23일) 국내 등록 특허공보 제10-1454488호 (등록일자 2014년10월17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특히 클램프밴드와 별도로 실링패드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를 통해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링패드의 손상을 통한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환봉 지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봉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볼트를 통한 체결과정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환봉 지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비를 절감하여 경제적이면서 상품성이 우수한 환봉 지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두께의 철판으로 절곡되며 양단부에 복수의 절취홀(12)들이 형성된 체결고리부(11)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클램프밴드(10)와,
이 클램프밴드(10)의 체결고리부(11)에 끼워지며 볼트(B)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보스(21) 위치로 구멍(22)이 관통되는 지지봉(20)과,
상기 지지봉(20)의 구멍(22)으로 볼트(B)를 끼워 너트(N)와 체결되는 클램프밴드(10)의 개방부 위치로 배수관(1)의 이음부 둘레를 감싸는 연질의 실링패드(2)에 밀착된 상태로 가압되는 가압부재(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재(30)는 일정두께의 금속판재로 중앙에 마련된 중첩부(31)에 지지봉(20)의 구멍(22)과 대응되는 위치로 수직방향의 장홀형태의 볼트홀(32)들이 뚫어진다.
상기 지지봉(20)은 체결고리부(11)의 절취홀(12)들 중간부 위치에서 각각 복수개로 분리 성형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클램프밴드의 체결할 때 개방부 위치로 배수관의 이음부 둘레를 감싸는 연질의 실링패드의 외부면에 별도의 가압부재를 밀착시킨 상태로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조여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실링패드에 흠집이나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관의 이음부에서 누수 염려가 없다.
또, 체결고리부에 조립되어 볼트가 관통된 상태로 너트와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지봉을 복수개로 분할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위치에서 자유롭게 구멍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볼트를 끼워 조립하는 공정이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시공비 절감으로 경제적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배수관 연결구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2는 종래 지지봉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의 구성을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관 연결구가 체결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관 연결구가 체결된 상태의 회단면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수관 및 하수관 등을 비롯하여 각종 배수관(1)은 서로 이음되어 긴 관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관 연결구를 통해 이음부에 수밀성을 유지한 상태로 관을 연결시키게 된다.
관 연결구의 메인 몸체를 형성하는 상기 클램프밴드(10)는 일정두께의 철판으로 완만한 호형상으로 절곡되며 양쪽 단부에는 체결고리부(11)가 일체로 절곡시켜 둥근 원형으로 성형하게 된다.
체결고리부(11)의 내경은 대략 지지봉(20)의 외경보다 약간 큰 치수로 성형되어 후술하는 복수의 지지봉(20)들이 원주방향으로 선회가 가능하게 끼워 조립된다.
그리고, 지지봉(20)에 살짝 돌출되게 성형되는 보스(21)가 위치된 상태에서 지지봉(20)의 선회는 가능하게 하되, 길이 방향으로의 이탈은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절취홀(12)들이 형성된다.
절취홀(12)의 위치는 지지봉(20)에 조립되는 보스(21)의 위치로 성형된다.
상기 지지봉(20)은 체결용 볼트(B)가 관통되어 너트(N)의 조임으로 클램프밴드(10)의 직경을 조여지게 하는 요소로,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된다.
이 지지봉(20)은 클램프밴드(10)의 체결고리부(11)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B)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보스(21) 위치로 구멍(22)이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봉(20)이 체결고리부(11)에 조립된 후 클램프밴드(10)와 체결고리부(11)의 끝단부분을 스폿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견고히 부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지지봉(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수관 또는 하수관을 포함하는 배수관(1)의 이음부에는 주로 연질의 고무재로 된 실링패드(2)를 감싸지게 한 상태에서 그 외측을 클램프밴드(10)로 가압하여 수밀성을 유지하게 되는데, 원형으로 감겨지는 클램프밴드(10)의 양쪽 체결고리부(11) 사이에는 개방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 개방부 위치에서는 실링패드(2) 가압력이 발생되지 못하게 되어 수밀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 양쪽 체결고리부(11) 사이에 형성된 개방부 위치로는 별도의 가압부재(30)를 더 설치하게 된다.(도 5)
상기 가압부재(30)는 일정두께의 탄력성 금속판재로 완만한 호의 일부분 또는 도면에서와 같이 대칭되게 경사면을 이루도록 성형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부재(30)는 도 6에서와 같이 실링패드(2)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외측 부분이 클램프밴드(10)의 내경부와 접촉된 상태로 볼트(B)와 너트(N)를 강하게 체결할 때 직경이 조여질 때 개방부 위치에서도 탄력적으로 실링패드(2)의 외측면을 가압시키는 것이다.
가압부재(30)는 그 중앙에 마련된 중첩부(31)에 상기 지지봉(20)의 구멍(22)과 대응되는 위치로 볼트홀(32)들이 뚫어진다.
클램프밴드(10)의 체결용 볼트(B)는 양쪽 지지봉(20)의 구멍(22)과, 가압부재(30)의 볼트홀(32)을 각각 통과한 상태에서 일측 지지봉(20)의 외측에서 너트(N)를 나사 체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볼트홀(32)는 수직방향의 장홀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끼워지는 체결용 볼트(B)를 보다 효율적으로 끼울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지지봉(20)은 체결고리부(11)의 체결홀(12)들 중간부 위치에서 각각 복수개로 분리 성형된다.(도 4)
따라서, 볼트(B)들이 너트(N)와 나사 체결되기 위해 통과되는 각 지지봉(20)들의 구멍(22)들 위치와 각도를 자유롭게 선회시키면서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양쪽 지지봉(20)들의 구멍(22)들을 일직선으로 유지한 상태로 쉽게 볼트(B)를 끼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연결구는 실링패드(2)의 외부면에 가압부재(30)를 밀착시킨 상태로 배수관(1)의 중심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면서 직경이 조여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실링패드(2)에 흠집이나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관(1)의 이음부에 안정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어 누수 염려가 없다.
또, 지지봉(20)을 복수개로 분할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위치에서 자유롭게 구멍(22)의 위치를 조절하여 볼트(B)를 쉽게 조립하는 것에 의해 작업성 향상으로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클램프밴드
11 - 체결고리부 12 - 절취홀
20 - 지지봉
21 - 보스 22 - 구멍
30 - 가압부재
31 - 중첩부 32 - 볼트홀
1 - 배수관
2 - 실링패드
B - 볼트
N - 너트

Claims (3)

  1. 일정두께의 철판으로 절곡되며 양단부에 복수의 절취홀(12)들이 형성된 체결고리부(11)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클램프밴드(10)와,
    이 클램프밴드(10)의 체결고리부(11)에 끼워지며 볼트(B)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보스(21) 위치로 구멍(22)이 관통되는 지지봉(20)과,
    상기 지지봉(20)의 구멍(22)으로 볼트(B)를 끼워 너트(N)와 체결되는 클램프밴드(10)의 개방부 위치로 배수관(1)의 이음부 둘레를 감싸는 연질의 실링패드(2)에 밀착된 상태로 가압되는 가압부재(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지지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30)는 중앙에 마련된 중첩부(31)와 양측으로 가압부가 갖춰지되, 상기 중앙에 마련된 중첩부(31)에는 지지봉(20)의 구멍(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방향의 장홀형상의 볼트홀(32)이 갖춰진 박판형의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지지지연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0)은 체결고리부(11)의 절취홀(12)들 중간부 위치에서 각각 복수개로 분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지지 연결구.
KR1020210138513A 2021-10-18 2021-10-18 환봉 지지 연결구 Ceased KR20230055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513A KR20230055147A (ko) 2021-10-18 2021-10-18 환봉 지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513A KR20230055147A (ko) 2021-10-18 2021-10-18 환봉 지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147A true KR20230055147A (ko) 2023-04-25

Family

ID=8610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513A Ceased KR20230055147A (ko) 2021-10-18 2021-10-18 환봉 지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514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648B1 (ko) 1999-01-13 2002-06-05 장상명 배수관 연결용 체결판의 제조방법
KR101454488B1 (ko) 2005-11-23 2014-10-27 스트라우브 베르케 아게 파이프 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648B1 (ko) 1999-01-13 2002-06-05 장상명 배수관 연결용 체결판의 제조방법
KR101454488B1 (ko) 2005-11-23 2014-10-27 스트라우브 베르케 아게 파이프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9785A (en) Mechanical pipe outlet
US10927988B2 (en) Pipe joint restraint
US6830268B2 (en) Pipe repair clamp
US3944265A (en) Exhaust system connector seal
US6435565B2 (en) Clamp for closely spaced pipes
US10107428B2 (en) Clamp for connecting pipe and device for connecting pipe including the same
US8439408B2 (en) Pipe clamp
JP4055755B2 (ja) パイプクランプ
US8651530B2 (en) Mechanical fastener for clamp
WO2015170407A1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US4630647A (en) Pipe repair clamp
KR20230055147A (ko) 환봉 지지 연결구
KR101844820B1 (ko) 내압성능이 향상된 신축 관 이음장치
KR200451092Y1 (ko) 체결이 용이한 환봉 지지형 연결구
US3584352A (en) Pipe clamp with bridge bolt
KR200390447Y1 (ko) 대형 배수관 연결용 볼클립 조인트
KR100555145B1 (ko) 상수도관 연결구조
KR960001359Y1 (ko) 관 연결용 클램프
KR200216805Y1 (ko) 상·하수관 연결구조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JP2005273808A (ja) 管継手
KR102277149B1 (ko)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KR200296078Y1 (ko)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KR200363189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242177Y1 (ko)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5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