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52640A -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 Google Patents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640A
KR20230052640A KR1020210135917A KR20210135917A KR20230052640A KR 20230052640 A KR20230052640 A KR 20230052640A KR 1020210135917 A KR1020210135917 A KR 1020210135917A KR 20210135917 A KR20210135917 A KR 20210135917A KR 20230052640 A KR20230052640 A KR 20230052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ontainer
main body
beverages
body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수
황현중
Original Assignee
가치플러스 사회적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치플러스 사회적협동조합 filed Critical 가치플러스 사회적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210135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2640A/ko
Publication of KR20230052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640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 타입의 음료수나 커피를 포함한 다양한 차(Tea), 각종 국물요리 등을 운반할 수 있도록 종이를 접어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되, 가방 내부에 식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를 함께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높인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개된 상태의 판재를 접어서 내부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손잡이부를 형성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내용물백이 배치되되, 상기 내용물백의 토출구가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부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배출구멍과, 상기 본체부의 수공용간에 내용물백의 일측에 설치되고, 거치구멍이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다수의 용기가 거치구멍에 적층되는 형태로 끼워지는 용기거치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는 용기인출부가 더 형성되되, 외부에서 본체부 내부로 손을 집어넣어 용기거치대의 용기를 꺼낼 수 있도록 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Prefab Bag for Carrying Drinks}
본 발명은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 타입의 음료수나 커피를 포함한 다양한 차(Tea), 각종 국물요리 등을 운반할 수 있도록 종이를 접어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되, 가방 내부에 식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를 함께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높인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포장 및 배달문화가 활성화됨에 따라 식음료를 운반하기 위한 도구가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음료전문점이나 커피숍과 같은 가게에 판매하는 과일주스나 커피와 같은 음료를 매장에서 먹지 않고, 다른 장소에서 먹게 될 때 해당 가게에 구비된 전용 트레이를 이용하여 음료를 테이크아웃을 하게 된다.
기존의 트레이는 종이를 접어서 만든 구획공간에 음료가 채워진 컵을 각각 끼워서 4개 내지 6개 정도의 음료를 한번에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음료를 컵에 채운 상태로 운반하게 되면, 운반과정에서 컵에 채워진 음료가 쏟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음료는 대부분 뜨겁거나 차가운 상태로 매장에서 만들어지지만, 컵이나 트레이는 보온, 보냉기능이 전혀 없기 때문에 운반시간이 길거나 날씨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소비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마실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코로나 19와 같은 전염병의 확산으로 인해 외식을 최소화하고, 국, 탕, 전골과 같은 국물요리를 배달이나 포장을 통해 가정에서 먹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러한 국물요리는 단순히 봉지에 넣거나, 전용용기에 담아서 뚜껑을 덮는 형태로 포장 및 배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봉지에 넣는 방식은 봉지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내용물이 전부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가정에서 봉지에 담긴 뜨거운 국물요리를 다른 용기에 옮겨 담는 작업이 매우 어려웠다. 전용용기 역시 덮개를 매장에서 제대로 닫지 않거나, 운반과정에서 충격으로 인해 덮개가 들어올려 지게 되면, 덮개 틈새로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전용용기 그 자체로는 보온기능이 있지 않아 운반과정에서 내용물이 쉽게 식어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729038호(음료용기 홀더 백)에는 단일체 전개도로 형성되어 제작이 간편하면서 각각의 음료용기 바닥 및 바닥과 이격된 상측부분이 지지됨과 동시에 용기 전체를 격리 포장하여 운반 중 뜨거운 내용물로 부터 안전성이 확보되면서 용기 내부로 이물질유입이 차단되도록 보호하기 위해 바닥판, 한 쌍의 포장판, 한 쌍의 거치판 구성이 단일체 전개도로 형성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거치판을 경사진 형태로만 설치되기 때문에, 컵의 크기가 작다면 경사진 방향으로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컵에 음료를 채운 상태로만 운반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음료를 운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은 등록특허 제10-1546330호(음료용기 운반수단)에는 하나 이상의 컵을 운반하는 음료용기 운반수단으로서, 장방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측이 마주볼 수 있도록 구부러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캐리어판지와, 상기 캐리어판지에 형성되고 컵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컵홀과, 상기 캐리어판지의 양단측에 형성되어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한 손으로 파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홀 및 상기 캐리어판지의 모서리부위에서 하나의 라인으로 절취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분리된 상태에서 컵을 감싸 과도한 열전달을 방지하는 홀더판지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역시 반드시 컵에 음료를 채운 상태로 운반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많은 양의 음료를 운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컵의 바닥부분을 전혀 지지해줄 수 없기 때문에, 음료와 컵의 무게로 인해 컵이 강하게 끼워지며, 그로 인해 컵을 분리할 때 쉽게 빠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강한힘을 이용하여 빼려고 할 때 컵이 빠지면서 음료가 쏟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729038호(음료용기 홀더 백) 등록특허 제10-1546330호(음료용기 운반수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조립식 가방 형태로 제공하되, 가방의 내부공간에 식음료가 담겨져 있는 별도의 내용물백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내용물백 일측에 식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이나 용기도 함께 거치 되도록 하여, 대용량의 식음료를 한번에 옮길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갖고, 내용물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가방의 내부공간에서 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뜨거운 음식이 식거나 차가운 음식이 미지근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식음료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한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전개된 상태의 판재를 접어서 내부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손잡이부를 형성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내용물백이 배치되되, 상기 내용물백의 토출구가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부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배출구멍과, 상기 본체부의 수공용간에 내용물백의 일측에 설치되고, 거치구멍이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다수의 용기가 거치구멍에 적층되는 형태로 끼워지는 용기거치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는 용기인출부가 더 형성되되, 외부에서 본체부 내부로 손을 집어넣어 용기거치대의 용기를 꺼낼 수 있도록 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거치대는 "
Figure pat00001
" 형상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구멍은 구멍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복수의 지지면이 하향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거치된 용기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인출부는 본체부에 절개선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시 절개선을 따라 본체부를 뜯어내는 형태로 관통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립식 가방의 내측 수용공간에 식음료가 담겨있는 내용물백과, 용기를 거치하는 용기거치대를 구성함으로써, 대용량의 식음료와 다량의 용기를 한번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내용물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보온 및 보냉기능을 강화하고, 가방의 본체부를 분해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내용물백의 식음료를 따를 수 있도록 하고, 용기 역시 쉽게 인출하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에서 용기인출부가 형성된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본체부를 일부 절개하여 내구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본체부에서 용기거치대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용기거치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용기거치대에 끼움돌부를 더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거치대에 형성된 끼움돌부에 지지단턱을 도 형성한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은 액상 타입의 커피나 다양한 음료와 각종 국물요리 등을 운반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개된 상태의 판재를 접어서 내부의 수용공간(110)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손잡이부(120)를 형성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10)에 내용물백(10)이 배치되되, 상기 내용물백(10)의 토출구(11)가 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부(10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배출구멍(200)과, 상기 본체부(100)의 수공용간에 내용물백(10)의 일측에 설치되고, 거치구멍(310)이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다수의 용기(20)가 거치구멍(310)에 적층되는 형태로 끼워지는 용기거치대(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용기인출부(400)가 더 형성되되, 외부에서 본체부(100) 내부로 손을 집어넣어 용기거치대(300)의 용기(20)를 꺼낼 수 있도록 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본체부(100)는 전개된 상태의 판재를 접어서 박스형태로 형성하고, 상부에는 손잡이부(120)를 일체로 형성하여 운반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0)의 재질은 종이로 적용되어 생산성 및 제조 편의성을 높이고 종이 중에서도 단단한 재질로 적용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본체부(100)가 변형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의 전개구조는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서로 맞닿는 측면부는 접착제를 통해 서로 부착되고, 개방된 상면부와 하면부는 접어서 끼우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수용공간(110)에는 액상타입의 음료나 커피 또는 국이나 찌개, 전골과 같은 국물요리가 채워지는 내용물백(10)이 배치된다. 이때 내용물백(10)의 토출구(11)는 본체부(100)에 형성된 배출구멍(200)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내용물백(10)의 식음료를 마시기 위해 따를 때 본체부(100)에서 내용물백(10)을 꺼내지 않고도 본체부(100)의 손잡이를 잡고 기울이는 형태로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용기(20)에 옮겨 담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용물백(10)의 토출구(11)에는 마개가 결합되어 있어서, 운반중에는 식음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10)에는 내용물백(10)에 있는 식음료의 온도에 따라 보온재 또는 냉각제를 내용물백(10)의 옆에 함께 넣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거치대(300)는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용물백(10)의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 용기거치대(300)의 상부에는 거치구멍(310)이 수직으로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다수의 용기(20)가 거치구멍(310)에 적층되는 형태로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거치대(300)가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10) 내에 설치됨에 따라, 용기(20)가 외부로 노출되기 않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운반할 수 있고, 용기(2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용공간(110) 내에서 용기(20)가 흐트러지거나 용기(20)의 찌그러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용기거치대(300)의 재질 역시 종이재질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으로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용기거치대(30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
Figure pat00002
" 형상으로 접어서 양측에 지지다리(320)를 형성하고, 상부는 지지다리(320)를 거치판(330)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용기거치대(300)의 폭은 설치되는 수용공간(110)의 폭에 맞게 형성되도록 하여, 용기거치대(300)가 폭 방향으로 크게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거치대(300)에 형성된 거치구멍(31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절개부(311)를 통해 복수의 지지면(312)이 하향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거치된 용기(20)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즉, 거치구멍(310)에는 최하단에 위치한 용기(20)가 걸릴 수 있도록 하되, 최하단의 용기(20) 둘레면을 지지면(312)이 지지하고 있고, 최하단의 용기(20)를 하부로 인출함에 따라 인출된 용기(20)의 상부에 위치한 용기(20)가 다시 지지면(312)에 순차적으로 지지되는 방식으로 용기(20) 인출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부(100)의 일측에 용기인출부(400)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용기인출부(400)는 본체부(100) 내부에 위치한 용기거치대(300)를 외부로 꺼내지 않고, 용기인출부(400)를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로 손을 집어넣어서 용기(20)를 꺼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인출부(400)는 배출구멍(200)의 반대편 본체부(100)에 형성되도록 하여, 용기(20)를 꺼내는 손이 내용물백(10)과 최대한 멀리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백(10)의 뜨거운 열기가 사용자의 손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상기 용기인출부(40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0)에 일정간격을 두고 절개된 형태의 절개선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시 절개선을 따라 본체부(100)의 일부분을 뜯어내는 형태로 관통형성되는 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될 경우, 이동과정에서는 닫혀져 있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보온 및 보냉기능을 유지하면서 용기(20)가 외부로 쏟아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용기인출부(400)를 관통형성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용기인출부(40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구멍(310)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용기거치대(300)에 끼워진 용기(20)를 아래쪽으로 빼는 형태로 용기(20)를 인출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용기거치대(300)의 지지다리(320) 하부에 지지다리(320)의 폭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끼움돌부(321)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끼움돌부(321)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바닥면에 끼움슬릿(130)이 각각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다리(320)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돌부(321)를 본체부(100)의 바닥면의 끼움슬릿(130)에 끼워질 경우, 용기거치대(300)가 본체부(100)에 제대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끼움돌부(321)의 양측 끝 부분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턱부(321a)를 더 형성하여 본체부(100) 바닥면의 외측에 지지되게 끼워질 경우, 더욱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내용물백 11 : 토출구
20 : 용기 100 : 본체부
110 : 수용공간 120 : 손잡이부
130 : 끼움슬릿 200 : 배출구멍
300 : 용기거치대 310 : 거치구멍
311 : 절개부 312 : 지지면
320 : 지지다리 321 : 끼움돌부
321a : 단턱부 330 : 거치판
400 : 용기인출부

Claims (4)

  1. 전개된 상태의 판재를 접어서 내부의 수용공간(110)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손잡이부(120)를 형성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10)에 내용물백(10)이 배치되되, 상기 내용물백(10)의 토출구(11)가 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부(10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배출구멍(200)과,
    상기 본체부(100)의 수공용간에 내용물백(10)의 일측에 설치되고, 거치구멍(310)이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다수의 용기(20)가 거치구멍(310)에 적층되는 형태로 끼워지는 용기거치대(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용기인출부(400)가 더 형성되되, 외부에서 본체부(100) 내부로 손을 집어넣어 용기거치대(300)의 용기(20)를 꺼낼 수 있도록 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거치대(300)는 "
    Figure pat00003
    " 형상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구멍(310)은 구멍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절개부(311)를 통해 복수의 지지면(312)이 하향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거치된 용기(20)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인출부(400)는 본체부(100)에 절개선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시 절개선을 따라 본체부(100)를 뜯어내는 형태로 관통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KR1020210135917A 2021-10-13 2021-10-13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Pending KR20230052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917A KR20230052640A (ko) 2021-10-13 2021-10-13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917A KR20230052640A (ko) 2021-10-13 2021-10-13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640A true KR20230052640A (ko) 2023-04-20

Family

ID=8614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917A Pending KR20230052640A (ko) 2021-10-13 2021-10-13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264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330B1 (ko) 2013-05-21 2015-08-24 유길호 음료용기 운반수단
KR101729038B1 (ko) 2016-04-06 2017-04-21 (주)삼일포장 음료용기 홀더 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330B1 (ko) 2013-05-21 2015-08-24 유길호 음료용기 운반수단
KR101729038B1 (ko) 2016-04-06 2017-04-21 (주)삼일포장 음료용기 홀더 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3401A (en) Beverage container
US5715992A (en) Beverage container
US7587883B2 (en) Portable food dispenser
US3637130A (en) Container and blanks for making same
US10017317B2 (en) Food package and method for transfer of food
US3295737A (en) Tray
JP2001511026A (ja) 飲料製造用の煎じ出し装置
KR20030032974A (ko) 음료 및 음식 운반기
US20080105695A1 (en) Insert for a carrier bag
EP1333740A1 (en) Bag for foods intended to be consumed with a sauce
US20080217207A1 (en) Carrier for beverage and/or food
EP1719715A1 (en) Heat Barrier Paper Cup
US20080093433A1 (en) Condiment receptacle for food container
JPH0513322Y2 (ko)
KR20230052640A (ko)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US20030010777A1 (en) Food package
WO2011029009A1 (en) Food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JP2023525319A (ja) 飲料を輸送するための断熱ホルダー及び方法
EP4357263A1 (en) A foldable container holder for a paper bag
CN101166669A (zh) 用于购物袋的插入件
US20220411160A1 (en) Carton box embodied with a supporting base
KR200487454Y1 (ko) 즉석 식품 포장 세트
KR200398299Y1 (ko) 햄버거 포장용 박스
GB2240323A (en) Food delivery box
JP3237929U (ja) 組み立て式飲食物収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