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640A - Prefab Bag for Carrying Drinks - Google Patents
Prefab Bag for Carrying Drink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52640A KR20230052640A KR1020210135917A KR20210135917A KR20230052640A KR 20230052640 A KR20230052640 A KR 20230052640A KR 1020210135917 A KR1020210135917 A KR 1020210135917A KR 20210135917 A KR20210135917 A KR 20210135917A KR 20230052640 A KR20230052640 A KR 202300526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g
- container
- main body
- beverages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 타입의 음료수나 커피를 포함한 다양한 차(Tea), 각종 국물요리 등을 운반할 수 있도록 종이를 접어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되, 가방 내부에 식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를 함께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높인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개된 상태의 판재를 접어서 내부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손잡이부를 형성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내용물백이 배치되되, 상기 내용물백의 토출구가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부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배출구멍과, 상기 본체부의 수공용간에 내용물백의 일측에 설치되고, 거치구멍이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다수의 용기가 거치구멍에 적층되는 형태로 끼워지는 용기거치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는 용기인출부가 더 형성되되, 외부에서 본체부 내부로 손을 집어넣어 용기거치대의 용기를 꺼낼 수 있도록 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ag for transporting food and beverages, which can accommodate liquid type beverages, various teas including coffee, various soup dishes, etc. by folding paper, but can contain food and beverages inside the bag.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bag for transporting food and beverages, in which the convenience of use is enhanced by enabling containers to be mounted together.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folds a plate material in a unfolded state to form an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handle portion formed thereon, and a content bag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content bag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 container hold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tent bag between a discharge hole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o be exposed and a hand hole of the body portion, and a mounting hole formed therethrough, so that a plurality of containers are stacked in the mounting hole; It is made of,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iner withdrawal portion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formed in one position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taken out of the container holder by inserting a hand into the body portion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 타입의 음료수나 커피를 포함한 다양한 차(Tea), 각종 국물요리 등을 운반할 수 있도록 종이를 접어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되, 가방 내부에 식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를 함께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높인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ag for transporting food and beverages, which can accommodate liquid type beverages, various teas including coffee, various soup dishes, etc. by folding paper, but can contain food and beverages inside the bag.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bag for transporting food and beverages, in which the convenience of use is enhanced by enabling containers to be mounted together.
근래에 들어 포장 및 배달문화가 활성화됨에 따라 식음료를 운반하기 위한 도구가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packaging and delivery culture has been activated, tools for transporting food and beverages are being used in various forms.
특히, 음료전문점이나 커피숍과 같은 가게에 판매하는 과일주스나 커피와 같은 음료를 매장에서 먹지 않고, 다른 장소에서 먹게 될 때 해당 가게에 구비된 전용 트레이를 이용하여 음료를 테이크아웃을 하게 된다.In particular, when a beverage such as fruit juice or coffee sold in a store such as a beverage shop or coffee shop is not eaten at the store, but is eaten at another place, the beverage is taken out using a dedicated tray provided in the store.
기존의 트레이는 종이를 접어서 만든 구획공간에 음료가 채워진 컵을 각각 끼워서 4개 내지 6개 정도의 음료를 한번에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음료를 컵에 채운 상태로 운반하게 되면, 운반과정에서 컵에 채워진 음료가 쏟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음료는 대부분 뜨겁거나 차가운 상태로 매장에서 만들어지지만, 컵이나 트레이는 보온, 보냉기능이 전혀 없기 때문에 운반시간이 길거나 날씨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소비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마실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Existing trays are constructed so that 4 to 6 beverages can be transported at once by inserting cups filled with beverages into compartments made by folding paper, but when the beverages are transported in a filled state, There is a problem such as spilling of the beverage filled in the cup, and most of the beverage is made in the store in a hot or cold state, but the cup or tray does not have a warming or cooling function at all, so if the transportation time is long or weather problems occur, consumers There was a problem that you could not drink a drink at a desired temperature.
최근, 코로나 19와 같은 전염병의 확산으로 인해 외식을 최소화하고, 국, 탕, 전골과 같은 국물요리를 배달이나 포장을 통해 가정에서 먹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러한 국물요리는 단순히 봉지에 넣거나, 전용용기에 담아서 뚜껑을 덮는 형태로 포장 및 배달이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 19, more and more people are minimizing eating out and eating soup dishes such as soup, soup, and hot pot at home through delivery or take-out. These soup dishes are simply packaged and delivered in the form of putting them in a bag or putting them in a dedicated container and covering the lid.
그러나 봉지에 넣는 방식은 봉지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내용물이 전부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가정에서 봉지에 담긴 뜨거운 국물요리를 다른 용기에 옮겨 담는 작업이 매우 어려웠다. 전용용기 역시 덮개를 매장에서 제대로 닫지 않거나, 운반과정에서 충격으로 인해 덮개가 들어올려 지게 되면, 덮개 틈새로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전용용기 그 자체로는 보온기능이 있지 않아 운반과정에서 내용물이 쉽게 식어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method of putting in a bag has a problem that all contents pour out when a problem such as tearing of the bag occurs, and it is very difficult to transfer the hot soup dish contained in the bag to another container at home. Exclusive containers also have a problem in that if the cover is not properly closed at the store or the cover is lifted due to impact during the transport process, the contents pour through the gap in the cover. There are problems such as easy cooling.
관련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729038호(음료용기 홀더 백)에는 단일체 전개도로 형성되어 제작이 간편하면서 각각의 음료용기 바닥 및 바닥과 이격된 상측부분이 지지됨과 동시에 용기 전체를 격리 포장하여 운반 중 뜨거운 내용물로 부터 안전성이 확보되면서 용기 내부로 이물질유입이 차단되도록 보호하기 위해 바닥판, 한 쌍의 포장판, 한 쌍의 거치판 구성이 단일체 전개도로 형성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As a related prior art, Registration Patent No. 10-1729038 (beverage container holder bag) is formed with a single development view,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supports the bottom of each beverage container and the upper par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and at the same time isolates and wraps the entire container. Disclosed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bottom plate, a pair of packaging plates, and a pair of support plates are formed in a unitary development view to protect the container from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while securing safety from hot contents during transportation.
상기 선행기술은 거치판을 경사진 형태로만 설치되기 때문에, 컵의 크기가 작다면 경사진 방향으로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컵에 음료를 채운 상태로만 운반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음료를 운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since the holder plate is installed only in an inclined shape, if the size of the cup is small, there is a problem of pouring in an inclined direction, and since the beverage can be transported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cup is filled,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a large amount of beverage. There are problems that can't be solved.
또 다른 선행기술은 등록특허 제10-1546330호(음료용기 운반수단)에는 하나 이상의 컵을 운반하는 음료용기 운반수단으로서, 장방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측이 마주볼 수 있도록 구부러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캐리어판지와, 상기 캐리어판지에 형성되고 컵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컵홀과, 상기 캐리어판지의 양단측에 형성되어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한 손으로 파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홀 및 상기 캐리어판지의 모서리부위에서 하나의 라인으로 절취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분리된 상태에서 컵을 감싸 과도한 열전달을 방지하는 홀더판지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Another prior art is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for carrying one or more cups in Registered Patent No. 10-1546330 (drink container carrier), a carrier made of a rectangular shape and made of a material that is bent so that both ends face each other. A cardboard, at least one cup hole formed in the carrier cardboard and into which a cup is inserted and supported, a handle hole formed on both ends of the carrier cardboard to be gripped with one hand whil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corner of the carrier cardboard Disclosed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holder cardboard that is formed to be cut in one line at a site and prevents excessive heat transfer by wrapping the cup in a separated state.
상기 선행기술역시 반드시 컵에 음료를 채운 상태로 운반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많은 양의 음료를 운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컵의 바닥부분을 전혀 지지해줄 수 없기 때문에, 음료와 컵의 무게로 인해 컵이 강하게 끼워지며, 그로 인해 컵을 분리할 때 쉽게 빠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강한힘을 이용하여 빼려고 할 때 컵이 빠지면서 음료가 쏟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above prior art is also transported with a beverage filled in the cup,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beverage cannot be transported, and since the bottom part of the cup cannot be supported at all, due to the weight of the beverage and the cup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up is strongly inserted, so that the cup does not easily fall out when separating the cup, and when the cup is pulled out using strong force, the drink may spill while the cup is pulled ou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조립식 가방 형태로 제공하되, 가방의 내부공간에 식음료가 담겨져 있는 별도의 내용물백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내용물백 일측에 식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이나 용기도 함께 거치 되도록 하여, 대용량의 식음료를 한번에 옮길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갖고, 내용물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가방의 내부공간에서 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뜨거운 음식이 식거나 차가운 음식이 미지근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식음료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한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refabricated bag, so that a separate content bag containing food and beverages can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g, and one side of the content bag can contain food and beverag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arry large amounts of food and beverages at once by allowing cups and containers to be placed together, and keeping warm in the inner space of the bag without exposing the contents bag to the outside, so that hot food does not cool down or cold food becomes lukewarm. The purpose is to solve the problem and provide a prefabricated bag for transporting food and beverages so that food and beverages can be easily consumed.
본 발명은 전개된 상태의 판재를 접어서 내부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손잡이부를 형성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내용물백이 배치되되, 상기 내용물백의 토출구가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부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배출구멍과, 상기 본체부의 수공용간에 내용물백의 일측에 설치되고, 거치구멍이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다수의 용기가 거치구멍에 적층되는 형태로 끼워지는 용기거치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는 용기인출부가 더 형성되되, 외부에서 본체부 내부로 손을 집어넣어 용기거치대의 용기를 꺼낼 수 있도록 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by folding a sheet material in a unfolded state,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handle portion formed thereon, and a content bag are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outlet of the content bag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 discharge hole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a container hold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tents bag between the hand hole of the main body part and having a mounting hol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containers ar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in a stacked manner. In addition, a container take-out portion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a position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taken out of the container holder by inserting a hand into the body portion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용기거치대는 "" 형상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holder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folding into a shape.
또한 상기 거치구멍은 구멍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복수의 지지면이 하향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거치된 용기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ounting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upport surfaces are formed in a downwardly inclined shape through a cutout formed radially around the hole to suppor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ed container.
또한 상기 용기인출부는 본체부에 절개선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시 절개선을 따라 본체부를 뜯어내는 형태로 관통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take-out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incision in the main body,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hrough the body in the form of tearing off the main body along the incision during use.
본 발명은 조립식 가방의 내측 수용공간에 식음료가 담겨있는 내용물백과, 용기를 거치하는 용기거치대를 구성함으로써, 대용량의 식음료와 다량의 용기를 한번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내용물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보온 및 보냉기능을 강화하고, 가방의 본체부를 분해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내용물백의 식음료를 따를 수 있도록 하고, 용기 역시 쉽게 인출하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bag containing food and beverages in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prefabricated bag and a container holder for holding the containers, so that a large amount of food and beverages and a large amount of containers can be transported at once, while the contents bag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o keep warm. And it has the effect of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use by strengthening the cold preservation function, allowing food and beverages to be easily poured from the contents bag without disassembling the main body of the bag, and allowing the container to be easily withdrawn.
도 1은 본 발명의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에서 용기인출부가 형성된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본체부를 일부 절개하여 내구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본체부에서 용기거치대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용기거치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용기거치대에 끼움돌부를 더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거치대에 형성된 끼움돌부에 지지단턱을 도 형성한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bag for carrying food and bever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fabricated bag for carrying food and bever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the container withdrawal portion is formed in the prefabricated bag for transporting food and bever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urable configuration by partially cutting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assembled state of the container holder in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projections are further formed on the contai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 support step is also formed on a fitting protrusion formed on a contai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은 액상 타입의 커피나 다양한 음료와 각종 국물요리 등을 운반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개된 상태의 판재를 접어서 내부의 수용공간(110)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손잡이부(120)를 형성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10)에 내용물백(10)이 배치되되, 상기 내용물백(10)의 토출구(11)가 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부(10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배출구멍(200)과, 상기 본체부(100)의 수공용간에 내용물백(10)의 일측에 설치되고, 거치구멍(310)이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다수의 용기(20)가 거치구멍(310)에 적층되는 형태로 끼워지는 용기거치대(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용기인출부(400)가 더 형성되되, 외부에서 본체부(100) 내부로 손을 집어넣어 용기거치대(300)의 용기(20)를 꺼낼 수 있도록 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fabricated bag for transporting food and bever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arrying liquid type coffee, various beverages, and various soup dishes. As shown in FIGS. 1 to 3, the unfolded plate material is folded to accommodate the interior space. 110 is formed, and the
본 발명의 본체부(100)는 전개된 상태의 판재를 접어서 박스형태로 형성하고, 상부에는 손잡이부(120)를 일체로 형성하여 운반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0)의 재질은 종이로 적용되어 생산성 및 제조 편의성을 높이고 종이 중에서도 단단한 재질로 적용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본체부(100)가 변형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좋다.The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의 전개구조는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서로 맞닿는 측면부는 접착제를 통해 서로 부착되고, 개방된 상면부와 하면부는 접어서 끼우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unfolding structure of the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수용공간(110)에는 액상타입의 음료나 커피 또는 국이나 찌개, 전골과 같은 국물요리가 채워지는 내용물백(10)이 배치된다. 이때 내용물백(10)의 토출구(11)는 본체부(100)에 형성된 배출구멍(200)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내용물백(10)의 식음료를 마시기 위해 따를 때 본체부(100)에서 내용물백(10)을 꺼내지 않고도 본체부(100)의 손잡이를 잡고 기울이는 형태로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용기(20)에 옮겨 담을 수 있는 것이다.In the inner
상기 내용물백(10)의 토출구(11)에는 마개가 결합되어 있어서, 운반중에는 식음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10)에는 내용물백(10)에 있는 식음료의 온도에 따라 보온재 또는 냉각제를 내용물백(10)의 옆에 함께 넣을 수 있다. A stopper is coupled to the
본 발명의 용기거치대(300)는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용물백(10)의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 용기거치대(300)의 상부에는 거치구멍(310)이 수직으로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다수의 용기(20)가 거치구멍(310)에 적층되는 형태로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거치대(300)가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10) 내에 설치됨에 따라, 용기(20)가 외부로 노출되기 않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운반할 수 있고, 용기(2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용공간(110) 내에서 용기(20)가 흐트러지거나 용기(20)의 찌그러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상기 용기거치대(300)의 재질 역시 종이재질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으로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of the
상기 용기거치대(30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 " 형상으로 접어서 양측에 지지다리(320)를 형성하고, 상부는 지지다리(320)를 거치판(330)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용기거치대(300)의 폭은 설치되는 수용공간(110)의 폭에 맞게 형성되도록 하여, 용기거치대(300)가 폭 방향으로 크게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그리고 상기 용기거치대(300)에 형성된 거치구멍(31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절개부(311)를 통해 복수의 지지면(312)이 하향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거치된 용기(20)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즉, 거치구멍(310)에는 최하단에 위치한 용기(20)가 걸릴 수 있도록 하되, 최하단의 용기(20) 둘레면을 지지면(312)이 지지하고 있고, 최하단의 용기(20)를 하부로 인출함에 따라 인출된 용기(20)의 상부에 위치한 용기(20)가 다시 지지면(312)에 순차적으로 지지되는 방식으로 용기(20) 인출이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in the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부(100)의 일측에 용기인출부(400)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용기인출부(400)는 본체부(100) 내부에 위치한 용기거치대(300)를 외부로 꺼내지 않고, 용기인출부(400)를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로 손을 집어넣어서 용기(20)를 꺼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인출부(400)는 배출구멍(200)의 반대편 본체부(100)에 형성되도록 하여, 용기(20)를 꺼내는 손이 내용물백(10)과 최대한 멀리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백(10)의 뜨거운 열기가 사용자의 손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상기 용기인출부(40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0)에 일정간격을 두고 절개된 형태의 절개선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시 절개선을 따라 본체부(100)의 일부분을 뜯어내는 형태로 관통형성되는 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될 경우, 이동과정에서는 닫혀져 있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보온 및 보냉기능을 유지하면서 용기(20)가 외부로 쏟아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용기인출부(400)를 관통형성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아울러, 상기 용기인출부(40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구멍(310)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용기거치대(300)에 끼워진 용기(20)를 아래쪽으로 빼는 형태로 용기(20)를 인출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용기거치대(300)의 지지다리(320) 하부에 지지다리(320)의 폭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끼움돌부(321)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끼움돌부(321)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바닥면에 끼움슬릿(130)이 각각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다리(320)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돌부(321)를 본체부(100)의 바닥면의 끼움슬릿(130)에 끼워질 경우, 용기거치대(300)가 본체부(100)에 제대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each of the
그리고 상기 끼움돌부(321)의 양측 끝 부분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턱부(321a)를 더 형성하여 본체부(100) 바닥면의 외측에 지지되게 끼워질 경우, 더욱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at both ends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내용물백 11 : 토출구
20 : 용기 100 : 본체부
110 : 수용공간 120 : 손잡이부
130 : 끼움슬릿 200 : 배출구멍
300 : 용기거치대 310 : 거치구멍
311 : 절개부 312 : 지지면
320 : 지지다리 321 : 끼움돌부
321a : 단턱부 330 : 거치판
400 : 용기인출부10: contents bag 11: discharge port
20: container 100: body part
110: accommodation space 120: handle part
130: fitting slit 200: discharge hole
300: container holder 310: mounting hole
311: incision 312: support surface
320: support leg 321: fitting protrusion
321a: Stepped part 330: Mounting plate
400: container withdrawal unit
Claims (4)
상기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10)에 내용물백(10)이 배치되되, 상기 내용물백(10)의 토출구(11)가 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부(10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배출구멍(200)과,
상기 본체부(100)의 수공용간에 내용물백(10)의 일측에 설치되고, 거치구멍(310)이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다수의 용기(20)가 거치구멍(310)에 적층되는 형태로 끼워지는 용기거치대(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용기인출부(400)가 더 형성되되, 외부에서 본체부(100) 내부로 손을 집어넣어 용기거치대(300)의 용기(20)를 꺼낼 수 있도록 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A body portion 100 in which an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110 is formed by folding a plate material in a unfolded state and a handle portion 12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The content bag 10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discharge port 11 of the content bag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00. A discharge hole 200 formed through one side;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tents bag 10 between the hand holes of the main body part 100, and a holding hole 310 is formed through it, so that a plurality of containers 20 are inserted into the holding hole 310 in a stacked manner. It consists of; a container holder 300;
A container take-out part 400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100,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so that the container 20 of the container holder 300 can be taken out by inserting a hand into the main body part 100 from the outside. Prefabricated bag for carrying food and beverag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상기 용기거치대(300)는 "" 형상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iner holder 300 is " " A prefabricated bag for transporting food and beverag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folding into a shape
상기 거치구멍(310)은 구멍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절개부(311)를 통해 복수의 지지면(312)이 하향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거치된 용기(20)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hole 310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upporting surfaces 312 are formed in a downwardly inclined shape through a radially formed cutout 311 around the hole to suppor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ed container 20. A prefabricated bag for transporting food and beverages
상기 용기인출부(400)는 본체부(100)에 절개선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시 절개선을 따라 본체부(100)를 뜯어내는 형태로 관통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운반용 조립식 가방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iner withdrawal part 40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ncision in the main body part 100, and when used, the main body part 100 is formed through the incision in the form of tearing off, prefabricated bag for transporting food and beverag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5917A KR20230052640A (en) | 2021-10-13 | 2021-10-13 | Prefab Bag for Carrying Drink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5917A KR20230052640A (en) | 2021-10-13 | 2021-10-13 | Prefab Bag for Carrying Drink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2640A true KR20230052640A (en) | 2023-04-20 |
Family
ID=8614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5917A Pending KR20230052640A (en) | 2021-10-13 | 2021-10-13 | Prefab Bag for Carrying Drink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52640A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6330B1 (en) | 2013-05-21 | 2015-08-24 | 유길호 | Carrier of drink container |
KR101729038B1 (en) | 2016-04-06 | 2017-04-21 | (주)삼일포장 | Beverage container holder bag |
-
2021
- 2021-10-13 KR KR1020210135917A patent/KR20230052640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6330B1 (en) | 2013-05-21 | 2015-08-24 | 유길호 | Carrier of drink container |
KR101729038B1 (en) | 2016-04-06 | 2017-04-21 | (주)삼일포장 | Beverage container holder ba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53401A (en) | Beverage container | |
US5715992A (en) | Beverage container | |
US7587883B2 (en) | Portable food dispenser | |
US3637130A (en) | Container and blanks for making same | |
US10017317B2 (en) | Food package and method for transfer of food | |
US3295737A (en) | Tray | |
JP2001511026A (en) | Infusion device for beverage production | |
KR20030032974A (en) | Beverage and Food Carrier | |
US20080105695A1 (en) | Insert for a carrier bag | |
EP1333740A1 (en) | Bag for foods intended to be consumed with a sauce | |
US20080217207A1 (en) | Carrier for beverage and/or food | |
EP1719715A1 (en) | Heat Barrier Paper Cup | |
US20080093433A1 (en) | Condiment receptacle for food container | |
JPH0513322Y2 (en) | ||
KR20230052640A (en) | Prefab Bag for Carrying Drinks | |
US20030010777A1 (en) | Food package | |
WO2011029009A1 (en) | Food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 |
JP2023525319A (en) | Insulated holde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beverages | |
EP4357263A1 (en) | A foldable container holder for a paper bag | |
CN101166669A (en) | Insert for shopping bag | |
US20220411160A1 (en) | Carton box embodied with a supporting base | |
KR200487454Y1 (en) | Instant food set | |
KR200398299Y1 (en) | Packaging box of a hamburger | |
GB2240323A (en) | Food delivery box | |
JP3237929U (en) | Assembled food and beverage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