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914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46914A KR20230046914A KR1020210164090A KR20210164090A KR20230046914A KR 20230046914 A KR20230046914 A KR 20230046914A KR 1020210164090 A KR1020210164090 A KR 1020210164090A KR 20210164090 A KR20210164090 A KR 20210164090A KR 20230046914 A KR20230046914 A KR 202300469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ing
- tray
- disposed
- heaters
- he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stoves or ranges, e.g. each having a different kind of energy supply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기기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외부 하우징, 조리실이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 조리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히터, 복수의 히터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는 복수의 조리면을 포함하는 트레이로서, 조리실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트레이, 트레이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턴테이블 및 트레이와 턴테이블의 사이의 영역으로 고주파를 조사하도록 트레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조리실의 외측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의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 조리 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리 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 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히터 등의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원을 통해 음식물에 직접 열을 전달하거나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를 가열원으로 하여 음식물의 분자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분자 간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조리기기는 이러한 오븐과 전자 레인지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실의 일 측에는 히터가 배치되고 타 측에는 마그네트론이 배치되어 조리물이 여러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히터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실 내에 장착되는 트레이는 복수의 히터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되는 복수의 조리면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마그네트론의 배치 위치가 개선된 조리 기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외부 하우징, 조리실이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히터, 상기 복수의 히터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는 복수의 조리면을 포함하는 트레이로서, 상기 조리실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턴테이블 및 상기 트레이와 상기 턴테이블의 사이의 영역으로 고주파를 조사하도록 상기 트레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상기 조리실의 외측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하우징은 조리실의 일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측면판의 외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론은 상기 측면판과 상기 측벽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트레이가 안착되도록 상기 조리실을 향해 돌출되는 트레이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론은 상기 트레이 안착부 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복수의 히터와 마주보도록 상면에 마련되는 조리부 및 상기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진되는 고주파를 흡수하여 상기 조리부로 열을 전달하도록 하면에 형성되는 발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트론은 상기 트레이에 배치된 제1조리물을 상기 발열부를 통해 가열하고 상기 턴테이블에 배치된 제2조리물을 가열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트레이의 상기 복수의 조리면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히터의 하면까지의 길이는 100mm 이하로 마련된다.
상기 트레이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까지의 길이는 90mm 이상 130mm 이하로 마련된다.
상기 트레이에는 제1조리물이 배치되고, 상기 턴테이블에는 제2조리물이 배치되어 상기 제1조리물은 상기 복수의 히터에 의해 조리되고 상기 제2조리물은 상기 마그네트론에 의해 동시에 조리된다.
상기 트레이의 상측에는 상기 복수의 히터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가 진행되는 조리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는 상기 마그네트론에 의해 조리가 진행되는 조리영역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내부하우징은 상기 조리실의 일 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판, 상기 제1측면판과 마주보는 제2측면판 및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의 사이에서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면판으로서, 상기 복수의 히터가 장착되는 상면판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제1측면판에서 상기 제2측면판을 향하는 제1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히터, 제2히터, 제3히터 및 제4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히터 및 상기 제3히터와 마주하는 제1조리면, 상기 제2히터와 마주하는 제2조리면 및 상기 제4히터와 마주하는 제3조리면을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분할되는 상기 제1조리면, 제2조리면 및 제3조리면을 포함하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조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리부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하게 마련되는 제2방향으로의 길이의 1.4배 이상 2.0배 이하로 마련된다.
상기 마그네트론은 상기 턴테이블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내부하우징은 상기 턴테이블이 장착되는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바닥판과 상기 외부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기계실에 배치되어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외부 하우징, 조리실이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으로서, 상기 조리실의 일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판과 상기 조리실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판을 포함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상면판에 장착되는 복수의 히터, 상기 복수의 히터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는 복수의 조리면을 포함하는 트레이로서, 상면에 제1조리물이 안착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제2조리물이 안착되는 턴테이블 및 상기 제2조리물을 향해 고주파를 조사하도록 상기 트레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상기 측면판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복수의 히터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조리면이 형성되는 조리부 및 상기 턴테이블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진되는 고주파를 흡수하는 발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조리부로 열을 전달하여 상기 제1조리물의 하면을 가열한다.
상기 마그네트론은 상기 트레이의 상기 발열부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된다.
상기 트레이의 상기 복수의 조리면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히터의 하면까지의 길이는 100mm 이하로 마련된다.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진되는 고주파가 트레이의 발열부로 용이하게 흡수되어 조리물의 조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트레이에 놓여지는 제1조리물과 턴테이블에 놓여지는 제2조리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의 배치에 따라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크기가 컴팩트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복수의 히터와 트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트레이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트레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조리 기기에서 트레이와 복수의 히터 및 턴테이블 간의 길이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복수의 히터와 트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트레이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트레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조리 기기에서 트레이와 복수의 히터 및 턴테이블 간의 길이를 표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복수의 히터와 트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11)과, 외부 하우징(11) 내부에 마련되어 조리실(30)이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30)은 내부에 조리물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1)과 내부 하우징(12)은 조리 기기(1)의 전방 방향(A)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전방 방향(A)은 제1방향(A)으로 명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리 기기(1)의 제1방향(A)으로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12)의 개구를 통해 조리물을 조리실(30)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조리실(30)은 조리 기기(1)의 제1방향(A)에 대해 직교되는 좌우 방향(B)으로 장변(30L)을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좌우 방향(B)은 제2방향(B)으로 명명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본체(10)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사용자가 조리 기기(1)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입력부(40)의 형태가 노브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입력부(4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40)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50) 또는 화상을 터치하여 신호가 입력되게 마련되는 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도어(20)가 폐쇄된 경우 사용자가 조리실(3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투명 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조리실(30)의 내부에 거치되고, 사용자가 조리물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트레이(20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200)는 조리실(3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조리실(30)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트레이(200)가 조리실(30)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거치되도록 조리실(3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트레이 안착부(1221, 12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트레이 안착부(1221, 1231)는 내부 하우징(12)의 제1 측면판(122)과 제2 측면판(123)으로부터 조리실(30)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복수의 트레이 지지부(1222, 12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트레이 지지부(1222, 1232)는 복수의 트레이 안착부(1221, 1231)의 상측에 형성되어 트레이(2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트레이(200)는 조리물이 위치될 수 있는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은 트레이(200)가 조리실(30)의 내부에 거치될 시 조리실(30)의 상면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은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턴테이블(60)을 포함할 수 있다.
턴테이블(60)의 상면에는 조리물이 배치될 수 있다. 턴테이블(60)의 상면은 조리실(30)의 바닥면(31)을 형성할 수 있다. 턴테이블(60)에 안착된 조리물은 턴테이블(60)이 회전함에 따라 턴테이블(6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턴테이블(60)에 놓여진 조리물에 고주파가 균일하게 흡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1)는 조리물이 열에 의해 조리되도록 조리실(30) 내부에 열을 제공하는 복수의 가열원(1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열원(100)은 트레이(200)에 위치하는 조리물에 열을 제공하여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은 트레이(200) 없이 조리실(30)의 바닥면(31)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에도 복수의 가열원(100)은 조리실(30)의 바닥면(31)에 위치한 조리물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가열원(100)은 조리실(30)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가열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열원(100)은 조리실(3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가열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가열원(120)은 조리실(30)의 측방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2 가열원(12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리실(3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제1 가열원(110)은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는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복사시켜 조리물에 직접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는 내부 하우징(12)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는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해 내부 하우징(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는 내부 하우징(12)의 상면판(121)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가열원(120)은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121)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121)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는 조리물의 내부로 주사되어 조리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분자들 사이의 마찰열에 의해 조리물의 내부가 조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121)은 조리실(3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그네트론(121)은 조리실(30)의 제1 측면판(122)과 외부 하우징(11)의 제1 측벽(1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반대로 마그네트론(121)은 조리실(30)의 제2측면판(123)과 외부 하우징(11)의 제2측벽(11b)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마그네트론(121)은 트레이(200)와 턴테이블(60)사이의 영역으로 고주파를 조사하도록 트레이(200)보다 낮은 높이에서 조리실(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제1 가열원(110)과 제2 가열원(120)을 포함함으로써 단일한 조리물의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되거나, 복수의 조리물의 조리가 각각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조리실(30)의 내부 영역을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상하 방향(C)으로 조리실(30)의 내부를 트레이(20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조리영역(30a), 제2 조리영역(30b), 제3 조리영역(30c)과 트레이(20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4 조리영역(30d)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하 방향(C)은 제3방향(C)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트레이(200)는 조리물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는 복수의 조리영역(30a, 30b, 30c, 3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리영역(30a), 제2 조리영역(30b) 및 제3 조리영역(30c)은 제1 가열원(110)과 제2 가열원(12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물이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조리영역(30a), 제2 조리영역(30b) 및 제3 조리영역(30c)에 배치되는 조리물은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 및 후술할 트레이(200)의 발열부(213)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조리가 될 수 있다.
제4 조리영역(30d)은 제2 가열원(12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물이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 조리영역(30d)에 배치되는 조리물은 제2 가열원(12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에 의해 조리가 될 수 있다.
트레이(200)에 의해 조리실(30)의 내부가 구획되어, 조리실(30) 내부에 서로 다른 조리 방법을 가지는 복수의 조리물이 배치되어 조리실(30)에서 동시에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즉, 제1 조리영역(30a), 제2 조리영역(30b), 제3 조리영역(30c)에 복사열에 의해 조리될 수 있는 조리물과 제4 조리영역(30d)에 고주파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물이 각각 배치되어도 제1 가열원(110)과 제2 가열원(120)의 작동으로 각각의 조리물이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조리방법으로 조리되는 조리물이 한번에 동일한 조리실(30)에서 조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트레이(200)의 전체 면적은 조리실(30)의 면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조리영역(30a), 제2 조리영역(30b) 및 제3 조리영역(30c)에서 제1 가열원(110)에 의해 발생된 열이 제4 조리영역(30d)으로 전달되는 것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4 조리영역(30d)에서 발진된 고주파가 제1 조리영역(30a), 제2 조리영역(30b) 및 제3 조리영역(30c)으로 이동되는 것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조리영역(30a), 제2 조리영역(30b) 및 제3 조리영역(30c)과 제4 조리영역(30d)에서는 독립적인 조리가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가 조리실(30)의 상면에 배치될 시, 조리실(30) 내부에서는 제3방향(C)으로 각각의 히터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히터에서 제공되는 열과 대응되는 온도를 갖는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트레이(200)의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 상에는 서로 제공되는 온도가 다르게 형성되는 영역들이 구획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 상에서 제3방향(C)으로 각각의 히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복수의 조리영역(30a, 30b, 30c)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조리영역은 각각의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직접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온도가 다른 복수의 조리물을 동시에 조리실(30)에 넣어도, 각각의 조리물을 온도 차이로 구획되는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 상측의 복수의 조리영역(30a, 30b, 30c)에 각각 배치할 시 각각의 조리물은 서로 다른 조리 온도에 따라 조리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의 조리물을 위치시킬 시 각각의 조리물은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될 수 있다.
조리실(30)은 제2방향(B)으로 연장되는 장변(30L)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이에 대응되는 트레이(200) 또한 제2방향(B)으로 장변(30L)을 가지고 제1방향(A)으로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조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는 제1방향(A)으로 연장되는 장축(110L)을 각각 포함하도록 마련되고, 각각의 히터는 조리실(30)의 장변(30L)의 연장 방향과 대응되는 제2방향(B)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200)의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의 상측에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받는 복수의 조리영역(30a, 30b, 30c)이 제2방향(B)을 따라 구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 및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에 따라 트레이(200)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조리영역(30a, 30b, 30c)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는 제1 히터(111), 제2 히터(112), 제3 히터(113) 및 제4 히터(114)로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히터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히터(111)와 제2 히터(112)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4개의 히터보다 더 많은 개수의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히터(111)는 제2방향(B)으로 일 측에 배치되고 제2 히터(112)는 제2방향(B)으로 제1 히터(111)의 반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방향(B)을 따라 트레이(200)의 중심선(G)을 기준으로 제1 히터(111)는 트레이(200)의 일 측에, 제2 히터(112)는 트레이(200)의 반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히터(113)는 제1 히터(111)와 인접하게 트레이(20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히터(114)는 제2 히터(112)와 인접하게 트레이(200)의 반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히터(113)는 제1 히터(111)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히터(114)는 제2 히터(112)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히터(111)와 제3 히터(113)는 동일한 온도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히터(112)와 제4 히터(114)는 동일한 온도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히터(111) 및 제3 히터(113)와 제2 히터(112) 및 제4 히터(114)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트레이(200)로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중심선(G)을 기준으로 중심선(G)의 일 측에서 트레이(200)에 전달되는 온도와 중심선(G)의 반대 측에서 트레이(200)에 전달되는 온도는 각각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 자체는 모두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조리 기기(1)가 구동되는 동안, 조리 기기(1)는 제1 히터(111)와 제3 히터(113)는 지속적으로 구동되고 제2 히터(112)와 제4 히터(114)는 on/off를 반복하면서 구동되도록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는, 제1 히터(111)와 제3 히터(113)는 on/off를 반복하면서 구동되고 제2 히터(112)와 제4 히터(114)는 지속적으로 구동되도록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히터(111)와 제3 히터(113)에서 같은 시간동안 발생되는 열의 총 온도와 제2 히터(112)와 제4 히터(114)에서 같은 시간동안 발생되는 열의 총 온도는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히터(111)와 제3 히터(113)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와 제2 히터(112)와 제4 히터(114)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 자체가 다르도록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는 제2방향(B)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200)의 제1 조리면(2121), 제2 조리면(2122) 및 제3 조리면(2123)은 제2방향(B)을 따라 분할될 수 있다.
제1 조리영역(30a), 제2 조리영역(30b) 및 제3 조리영역(30c)은 제1 히터(111) 및 제3 히터(113)와 제2 히터(112) 및 제4 히터(114)에 의해 좌우 방향인 제2방향(B)으로 서로 다른 조리 온도를 가지는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1 조리영역(30a)은 제1 히터(111) 및 제3 히터(113)와 대응되는 영역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2 조리영역(30b)과 제3 조리영역(30c)은 제2 히터(112) 및 제4 히터(114)와 대응되는 영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조리영역(30a)은 트레이(200)의 제1 조리면(2121)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고, 제2 조리영역(30b)은 트레이(200)의 제2 조리면(2122)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고, 제3 조리영역(30c)은 트레이(200)의 제3 조리면(2123)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조리물이 제1 조리영역(30a), 제2 조리영역(30b), 제3 조리영역(30c)에서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은 제4 조리영역(30d)에서도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제1 조리영역(30a)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을 제1조리물이라고 하고, 제2 조리영역(30b)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을 제2조리물이라고 하고, 제3 조리영역(30c)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을 제3조리물이라고 하고, 제4 조리영역(30d)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을 제4조리물이라고 할 때, 제1조리물 내지 제4조리물은 각각 다른 외부온도와 고주파에 의해 조리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조리 방법 또는 서로 다른 조리 온도를 갖는 조리물이 동시에 단일한 조리실(30) 내부에서 조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많은 개수의 다른 조리방법 또는 서로 다른 조리온도를 가지는 조리물이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상하 방향인 제3방향(C)을 따라 제1 가열원(110)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200)의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 간의 온도 차이를 일정 범위 이상 구현하기 위해, 트레이(200)와 제1 가열원(1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조리 기기(1)는 제1 히터(111)와 제3 히터(113)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1 조리영역(30a)에 전달되고, 제2 히터(112)와 제4 히터(114)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2 조리영역(30b)과 제3 조리영역(30c)에 최대한 손실 없이 전달되도록 마련되는 반사 부재(9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부재(90)는 제3방향(C)으로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부재(90)는 제3방향(C)으로 각각의 히터의 상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 각각에서 발생되는 열이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 하부의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으로 집중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의 하측에는 보호 부재(91)가 배치될 수 있다. 보호 부재(91)는 조리 중 조리물이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로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호 부재(91)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여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조리실(30)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턴테이블(60)과 턴테이블(60)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 구동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턴테이블(60)은 조리 기기(1)의 바닥면(31)을 형성할 수 있다. 턴테이블(60)은 내부 하우징(12)의 바닥판(12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턴테이블 구동부(80)는 턴테이블(6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81)과,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82)를 포함할 수 있다.
턴테이블 구동부(80)는 조리 기기(1)의 기계실(70)에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70)은 내부 하우징(12)의 바닥판(126)과 외부 하우징(1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턴테이블 구동부(8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트레이 안착부(1221, 1231)는 제1 트레이 안착부(1221) 및 제2 트레이 안착부(1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이 안착부(1221)는 내부 하우징(12)의 제1 측면판(122)에서 조리실(30)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트레이 안착부(1231)는 내부 하우징(12)의 제2 측면판(123)에서 조리실(30)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트레이 안착부(1221)와 제2 트레이 안착부(1231)는 내부 하우징(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트레이 안착부(1221, 1231)의 형성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리 기기(1)는 복수의 트레이 안착부(1221, 1231)의 상부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트레이 지지부(1222, 12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트레이 지지부(1222, 1232)는 복수의 트레이 안착부(1221, 1231)에 안착된 트레이(200)의 상방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트레이 지지부(1222, 1232)는 제1 트레이 지지부(1222) 및 제2 트레이 지지부(1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이 지지부(1222)는 제1 트레이 안착부(1221)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트레이 지지부(1222)는 내부 하우징(12)의 제1 측면판(122)에서 조리실(30)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트레이 지지부(1222)는 제1 측면판(12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트레이 지지부(1232)는 제2 트레이 안착부(1231)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트레이 지지부(1232)는 내부 하우징(12)의 제2 측면판(123)에서 조리실(30)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트레이 지지부(1232)는 제2 측면판(123)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트레이 안착부(1221, 1231)와 복수의 트레이 지지부(1222, 1232)의 사이에 트레이(200)의 양 단이 각각 지지되어 트레이(200)가 조리실(30)의 내부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200)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트레이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트레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트레이(200)는 조리가 수행되는 플레이트(210) 및 플레이트(210)의 양 측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트레이 홀더(22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10)는 엣지부(211) 및 조리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부(212)는 조리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을 포함할 수 있다.
엣지부(211)는 조리부(212)의 테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조리부(212)는 엣지부(211)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만큼 단차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리부(212)에 조리물이 배치될 때 조리물이 외부로 넘치거나 트레이(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레이트(210)의 조리부(212)에는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은 제1 조리면(2121), 제2 조리면(2122) 및 제3 조리면(2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리면(2121)은 상술한 제1 조리영역(30a)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조리면(2122)은 제2 조리영역(30b)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제3 조리면(2123)은 제3 조리영역(30c)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중심선(G, 도 3 참고)를 기준으로 트레이(200)의 일 측에는 제1 조리면(2121)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제2 조리면(2122)과 제3 조리면(21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리면(2121)은 제3방향(C)으로 제1 히터(111)와 제3 히터(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조리면(2122)과 제3 조리면(2123)은 제3방향(C)으로 각각 제2 히터(112)와 제4 히터(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히터(111) 및 제3 히터(113)와 제2 히터(112) 및 제4 히터(114)에서 전달되는 열이 각각 상이하므로 제1 조리면(2121)과 제2 조리면(2122) 및 제3 조리면(2123)에 전달되는 열의 온도가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조리면(2121)과 제2 조리면(2122) 및 제3 조리면(2123)에 각각 조리 온도가 다르게 마련되는 조리물을 위치시키고 이를 동시에 조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조리 기기(1) 구동 중 실시간으로 서로 다른 조리물의 조리과정을 투명 부재(21)를 통해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플레이트(210)는 발열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213)는 플레이트(21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발열부(213)를 통해 마그네트론(121)으로부터 발생하는 고주파가 트레이(200)로 흡수되어 조리부(212)에 놓여진 조리물의 하측이 가열될 수 있다.
트레이(200)홀더는 제1 트레이 홀더(220) 및 제2 트레이 홀더(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이 홀더(220)는 플레이트(210)의 일 측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트레이 홀더(230)는 플레이트(210)의 타 측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트레이 홀더(220)와 제2 트레이 홀더(230)는 상술한 제1 트레이 안착부(1221) 및 제2 트레이 안착부(1231)와 각각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트레이 홀더(220)와 제2 트레이 홀더(230)가 플레이트(210)의 양 측부를 지지하여 플레이트(210)가 조리실(30) 내부에 고정배치 될 수 있다.
제1 트레이 홀더(220)는 전방에 형성되는 제1 간섭부재(22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간섭부재(221)는 제1 트레이 홀더(22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간섭부재(221)는 제1 트레이 안착부(1221)와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간섭부재(221)는 제1 트레이 안착부(1221)의 전방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간섭부재(221)는 돌기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트레이 안착부(1231)와 간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트레이 홀더(230)는 전방에 형성되는 제2 간섭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트레이 홀더(230)와 제1 트레이 홀더(220)는 서로 대칭의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제2 간섭부재(231)와 제1 간섭부재(221)는 중심선(G)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간섭부재(231)는 제2 트레이 안착부(1231)와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간섭부재(231)는 제2 트레이 안착부(1231)의 전방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간섭부재(231)는 돌기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트레이 안착부(1221)와 간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제1 간섭부재(221)가 형성된 전방과 반대되는 후방이 조리실(30)을 향하도록 조리실(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트레이(200)의 정방향 삽입이라 명명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착오로 인해 제1 간섭부재(221)가 형성된 트레이(200)의 전방이 조리실(30)을 향하도록 트레이(200)가 조리실(30)에 삽입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트레이(200)의 역방향 삽입이라 명명할 수 있다.
트레이(200)의 역방향 삽입 시, 트레이(20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된 제1 간섭부재(221)와 조리실(30) 내측으로 돌출된 내부 하우징(12)의 제1 트레이 안착부(1221)가 서로 간섭되므로 트레이(200)의 오삽입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간섭부재(231) 역시 상술한 제1 간섭부재(221)와 동일한 역할을 하도록 마련되는 바, 이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트레이(200)는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되는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을 포함하므로, 트레이(200)의 좌우 방향이 바뀌어 오삽입되는 경우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에 대응되는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의 위치가 변경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트레이(200)의 좌우 방향 오삽입이 방지될 필요성이 존재하고, 트레이(200)의 전방에 형성된 복수의 간섭부재에 의해 트레이(200)의 오삽입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트레이 홀더(220)는 복수의 제1 이격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이격부재(222)는 제1 트레이 홀더(22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이격부재(222)는 제1 트레이 홀더(2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트레이 홀더(230)는 복수의 제2 이격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이격부재(232)는 제2 트레이 홀더(23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이격부재(232)는 제2 트레이 홀더(23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이격부재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제1 이격부재(222)와 복수의 제2 이격부재(232)는 트레이(200)가 상하 방향으로 뒤집혀서 조리실(30) 내부의 바닥면(31)에 놓였을 때, 바닥면(31)과 트레이(200)의 조리면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200)에 제1 이격부재(222)와 제2 이격부재(232)가 형성됨에 따라, 트레이(200)가 상하 방향으로 뒤집혀 조리실(30)의 바닥면(31)에 놓이는 경우에도 트레이(200)의 상면과 조리실(30)의 바닥면(31) 사이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주파가 트레이(200)와 조리실(30)의 바닥면(31) 사이에 갇히지 않고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트레이(200)는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이 형성되는 조리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부(212)는 트레이(2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조리부 장변(212L)과 트레이(20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조리부 단변(212S)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리면(2121)과 제2 조리면(2122) 및 제3 조리면(2123)은 트레이(2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분할될 수 있다.
트레이(200)의 좌우 방향에 따른 제1 조리면(2121)의 너비(2121L)와 제2 조리면(2122)의 너비(2122L)와 제3 조리면(2123)의 너비(2123L)의 합은 조리부 장변(212L)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00)의 상하 방향에 따른 제1 조리면(2121)과 제2 조리면(2122) 및 제3 조리면(2123)의 너비는 조리부 단변(212S)과 각각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조리부 장변(212L)은 조리부 단변(212S)의 길이의 1.4배 이상 2.0배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리부(212)의 좌우 방향으로의 길이는 이와 수직하게 마련되는 조리부(212)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의 1.4배 이상 2.0배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200)의 조리부(212)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획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조리물의 조리가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조리 기기에서 트레이와 복수의 히터 및 턴테이블 간의 길이를 표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외부 하우징(11)은 상벽(11a), 제1 측벽(11b), 제2 측벽(11c)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 하우징(11)은 후벽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의 내부 하우징(12)은 상면판(121), 제1 측면판(122), 제2 측면판(123), 바닥판(126), 후면판(12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12)은 전면판(125)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2)의 상면판(121)에는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가 장착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2)의 상면판(121)은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벽(11b)은 제1 측면판(122)의 외측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벽(11c)은 제2 측면판(123)의 외측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벽(11a)은 상면판(121)의 외측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2)의 제1 측면판(122)은 조리실(30)의 일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2)의 제2 측면판(123)은 조리실(30)의 다른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측면판(122)과 제2 측면판(123)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면판(121)은 제1 측면판(122)과 제2 측면판(123)의 사이에서 조리실(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는 제1 측면판(122)에서 제2 측면판(123)을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히터(111), 제2 히터(112), 제3 히터(113) 및 제4 히터(114)는 제1 측면판(122)에서 제2 측면판(123)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121)을 포함하는 제2 가열원(120)은 트레이(200)와 턴테이블(60)의 사이의 영역으로 고주파를 조사하도록 트레이(200)보다 낮은 높이에서 조리실(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론(121)은 내부 하우징(12)에 형성되는 트레이 안착부(1221, 1231)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그네트론(121)은 내부 하우징(12)의 제1 측면판(122)과 외부 하우징(11)의 제1측벽(11b)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측면판(122)과 제1측벽(11b)사이의 공간은 제1공간(13)이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그네트론(121)은 내부 하우징(12)의 제2측면판(123)과 외부 하우징(11)의 제2측벽(11c)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측면판(123)과 제2측벽(11c)사이의 공간은 제2공간(14)이다.
따라서, 마그네트론(121)은 트레이(200)보다 낮은 높이에서 제1공간(13)에 배치되거나 제2공간(14)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121)은 턴테이블(60)에 위치하는 조리물을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동시에, 마그네트론(121)은 트레이(200)에 위치하는 조리물을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마그네트론(121)은 트레이(200)에 배치된 제1조리물을 가열하면서 턴테이블(60)에 배치된 제2조리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이 때, 제1조리물을 가열하는 방식은 복사열에 의한 가열이며 제2조리물을 가열하는 방식은 고주파에 의한 가열일 수 있다.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를 포함하는 제1 가열원(110)은 조리실(30)의 상면에 배치되는 바 조리부(212)에 배치되는 조리물의 상측에는 복사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나, 조리물의 하측에는 열이 전달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트레이(200)의 발열부(213)가 트레이(200)의 하측에 마련되는 마그네트론(121)으로부터 발진되는 고주파를 흡수하여 발생되는 열을 조리부(212)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론(121)이 트레이(200)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됨으로써 트레이(200)의 발열부(213)가 마그네트론(121)으로부터 발진되는 고주파를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트레이(200)의 상면에 놓여지는 조리물의 하측이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론(121)은 트레이(200)의 하면의 높이(F)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동일 시간 동안에 조리물을 조리하는 조리 기기(1)의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트레이(200)의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으로부터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의 하면까지의 길이(h1)는 100mm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레이(200)의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으로부터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의 하면까지의 거리(h1)는 대략 85mm로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200)와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 사이의 거리(h1)는 트레이(200)의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의 온도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트레이(200)와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 사이의 거리(h1)가 멀어질수록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 간의 각각의 온도 차이가 감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 간의 온도 차이의 비율이 30%이상으로 구현되도록 트레이(200)와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 간 거리를 설계하였다.
트레이(200)와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 간 거리(h1)가 너무 멀어지게 되면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 간의 온도 차이가 제대로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에 각각의 조리물을 놓고 조리를 수행한다 한들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되는 것이 필요한 각각의 조리물이 완벽히 조리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200)의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으로부터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의 하면 까지의 거리(h1)를 100mm이하로 마련함으로써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 간의 적절한 온도 차이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의 출력은 230V/400W로 구현되어 최대 소비전력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200)의 하면으로부터 턴테이블(60)의 상면까지의 길이(h2)는 90mm 이상 130mm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턴테이블(60)에는 고주파에 의해 가열되는 여러 조리물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턴테이블(60)에는 액체가 담긴 머그컵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머그컵 등의 높이를 고려하여, 트레이(200)의 하면과 턴테이블(60)의 상면까지의 길이(h2)를 설계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주파에 의해 조리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용기를 턴테이블(60)에 용이하게 올려놓을 수 있다.
또한 도 8에는 마그네트론(121)이 트레이(200)와 턴테이블(6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마그네트론(12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론(121)은 턴테이블(6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마그네트론(121)은 내부 하우징(12)의 바닥판(126)과 외부하우징(11)의 사이에 형성되는 기계실(7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론(121)은 트레이(200)의 하면에 형성되는 발열부(213)가 고주파를 흡수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면 족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조리기기
11; 외부하우징
11a; 상벽
11b, 11c; 제1측벽, 제2측벽
12; 내부하우징
121; 상면판
122, 123; 제1측면판, 제2측면판
126; 바닥판
20; 도어
30; 조리실
110; 제1가열원
120; 제2가열원
111, 112, 113, 114; 제1히터, 제2히터, 제3히터, 제4히터
121; 마그네트론
60; 턴테이블
200; 트레이
2121, 2122, 2123; 제1조리면, 제2조리면, 제3조리면
13, 14; 제1공간, 제2공간
70; 기계실
11; 외부하우징
11a; 상벽
11b, 11c; 제1측벽, 제2측벽
12; 내부하우징
121; 상면판
122, 123; 제1측면판, 제2측면판
126; 바닥판
20; 도어
30; 조리실
110; 제1가열원
120; 제2가열원
111, 112, 113, 114; 제1히터, 제2히터, 제3히터, 제4히터
121; 마그네트론
60; 턴테이블
200; 트레이
2121, 2122, 2123; 제1조리면, 제2조리면, 제3조리면
13, 14; 제1공간, 제2공간
70; 기계실
Claims (20)
- 외부 하우징;
조리실이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히터;
상기 복수의 히터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는 복수의 조리면을 포함하는 트레이로서, 상기 조리실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턴테이블; 및
상기 트레이와 상기 턴테이블의 사이의 영역으로 고주파를 조사하도록 상기 트레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상기 조리실의 외측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은
조리실의 일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측면판의 외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론은 상기 측면판과 상기 측벽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조리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트레이가 안착되도록 상기 조리실을 향해 돌출되는 트레이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론은 상기 트레이 안착부 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되는 조리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복수의 히터와 마주보도록 상면에 마련되는 조리부; 및
상기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진되는 고주파를 흡수하여 상기 조리부로 열을 전달하도록 하면에 형성되는 발열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은 상기 트레이에 배치된 제1조리물을 상기 발열부를 통해 가열하고 상기 턴테이블에 배치된 제2조리물을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복수의 조리면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히터의 하면까지의 길이는 100mm 이하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까지의 길이는 90mm 이상 130mm 이하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는 제1조리물이 배치되고, 상기 턴테이블에는 제2조리물이 배치되어 상기 제1조리물은 상기 복수의 히터에 의해 조리되고 상기 제2조리물은 상기 마그네트론에 의해 동시에 조리되는 조리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측에는 상기 복수의 히터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가 진행되는 조리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는 상기 마그네트론에 의해 조리가 진행되는 조리영역이 각각 형성되는 조리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은
상기 조리실의 일 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판;
상기 제1측면판과 마주보는 제2측면판; 및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의 사이에서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면판으로서, 상기 복수의 히터가 장착되는 상면판;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제1측면판에서 상기 제2측면판을 향하는 제1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히터, 제2히터, 제3히터 및 제4히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히터 및 상기 제3히터와 마주하는 제1조리면;
상기 제2히터와 마주하는 제2조리면; 및
상기 제4히터와 마주하는 제3조리면;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분할되는 상기 제1조리면, 제2조리면 및 제3조리면을 포함하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조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리부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하게 마련되는 제2방향으로의 길이의 1.4배 이상 2.0배 이하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은 상기 턴테이블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리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은
상기 턴테이블이 장착되는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외부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기계실에 배치되어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 외부 하우징;
조리실이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으로서, 상기 조리실의 일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판과 상기 조리실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판을 포함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상면판에 장착되는 복수의 히터;
상기 복수의 히터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는 복수의 조리면을 포함하는 트레이로서, 상면에 제1조리물이 안착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제2조리물이 안착되는 턴테이블; 및
상기 제2조리물을 향해 고주파를 조사하도록 상기 트레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상기 측면판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복수의 히터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조리면이 형성되는 조리부; 및
상기 턴테이블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진되는 고주파를 흡수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조리부로 열을 전달하여 상기 제1조리물의 하면을 가열하는 조리 기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은 상기 트레이의 상기 발열부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되는 조리 기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복수의 조리면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히터의 하면까지의 길이는 100mm 이하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22876639.0A EP4336103A4 (en) | 2021-09-30 | 2022-07-12 | COOKING APPLIANCE |
PCT/KR2022/010111 WO2023054864A1 (ko) | 2021-09-30 | 2022-07-12 | 조리 기기 |
US17/874,740 US20230095490A1 (en) | 2021-09-30 | 2022-07-27 | Cook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9808 | 2021-09-30 | ||
KR20210129808 | 2021-09-3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6914A true KR20230046914A (ko) | 2023-04-06 |
Family
ID=85918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4090A Pending KR20230046914A (ko) | 2021-09-30 | 2021-11-25 | 조리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46914A (ko) |
-
2021
- 2021-11-25 KR KR1020210164090A patent/KR20230046914A/ko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4495B1 (ko) | 복합형 전자레인지 | |
US20100282742A1 (en) | Cooker | |
JP5152971B2 (ja) | 加熱調理器 | |
CN109548214B (zh) | 微波炉 | |
US12219683B2 (en) | Cooking appliance | |
JP2004108756A (ja) | 電子レンジ | |
KR102803079B1 (ko) | 조리기기 | |
KR20230046914A (ko) | 조리기기 | |
KR102803121B1 (ko) | 조리 기기 | |
JP2014052152A (ja) | 加熱調理器 | |
EP4336103A1 (en) | Cooking apparatus | |
KR102805215B1 (ko) | 조리기기 | |
KR20220136024A (ko) | 조리기기 | |
KR100826702B1 (ko) | 오븐 | |
KR20220136025A (ko) | 조리기기 | |
EP4221463A1 (en) | Cooking device | |
KR20220136028A (ko) | 조리기기 | |
US20240011643A1 (en) | Cooking tray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same | |
KR100739158B1 (ko) | 플랫 테이블형 전자레인지의 균일 가열 장치 | |
KR102749460B1 (ko) | 조리기기 | |
KR102803127B1 (ko) | 조리기기 | |
KR100685987B1 (ko) | 전자 레인지 | |
CN114207358B (zh) | 抽屉式加热烹调器 | |
JP3558041B2 (ja) | 高周波加熱装置 | |
KR101003668B1 (ko) | 조리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