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43828A - 커피 콩을 로스팅하고 배출하기 위한 장치 및 공정 - Google Patents

커피 콩을 로스팅하고 배출하기 위한 장치 및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3828A
KR20230043828A KR1020237001816A KR20237001816A KR20230043828A KR 20230043828 A KR20230043828 A KR 20230043828A KR 1020237001816 A KR1020237001816 A KR 1020237001816A KR 20237001816 A KR20237001816 A KR 20237001816A KR 20230043828 A KR20230043828 A KR 20230043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ffee beans
discharge port
air
roas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레고리 사비오즈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3004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828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23N12/125Accessories o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23F5/046Methods of roasting coffee with agitation or transportation of the beans by gases; Fluidised-bed roasting or fluidised-bed cooling afte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08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with stirring, vibrating or gr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의 더 편리한 로스팅을 위한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장치(1)는, 특히, 그렇게 로스팅된 커피 콩을 장치(1)로부터 배출 또는 방출하기 위한 개선된 수단을 용이하게 한다. 가전 기기 장치일 수 있는 장치(1)는 커피 콩이 로스팅을 위해 수용될 수 있는 챔버(10)를 포함한다. 장치(1)는 챔버(10)에 의해 수용된 커피 콩을 교반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챔버(10)는 하단부(11), 상단부(12), 및 하단부(11)로부터 상단부(12)까지 연장되는 측벽(13)에 의해 경계설정되고, 측벽(13)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배출 포트(30)를 포함하여서, 배출 포트(3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이 커피 콩을 배출 포트(30)를 통해 구동하여 챔버(10)로부터 배출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커피 콩을 로스팅하고 배출하기 위한 장치 및 공정
본 발명은 커피 콩을 로스팅(roasting)하기 위한 장치,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커피 콩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피 콩을 로스팅하는 것은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을 로스팅된 커피 콩으로 변환시킨다.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은, 전형적으로, 생두 및/또는 건조된 커피 콩이고, 로스팅된 커피 콩은, 특히, (분쇄된) 로스팅된 커피 콩으로부터 제조되는 커피 음료의 향미에 기여한다. 커피 콩을 로스팅하는 것은 대규모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소규모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커피 콩의 소규모 로스팅에서는, 고객에 대한 사업체(상점, 커피 숍 등) 또는 고객, 예컨대 커피 음료의 소비자가 커피 콩을 로스팅한다. 소비자에 의해 커피 콩을 로스팅하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데, 왜냐하면 소비자가, 예를 들어 취미로서, 상이한 향미 프로파일을 실험하기 위해 그리고 커피 콩의 특히 신선한 로스트를 보장하기 위해 가정에서 커피 콩을 로스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커피 콩의 로스팅이 완료될 때, 로스팅된 커피 콩은 분쇄 및/또는 커피 음료 제조(예컨대, 커피 추출)와 같은 추가 처리를 위해 공급될 필요가 있다. 로스팅된 커피 콩의 제거는 전형적으로 수동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이는 로스팅된 커피 콩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사용자가 기계의 고온 부분 및/또는 (고온) 로스팅된 커피 콩과 접촉함으로 인해 다칠 수 있기 때문에 불리하다. 추가로, 로스팅된 커피 콩을 수동으로 취급하는 것은, 사용자가 커피 로스터(기계)로부터 커피 콩을 제거하고 로스팅된 커피 콩을 추가 처리를 위해 추가 장치, 예컨대 커피 분쇄기 및/또는 커피 음료 기계에 수동으로 삽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다지 효율적이지 않다.
장치로부터의 로스팅된 커피 콩의 제거는 또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로스팅된 커피 콩들은 각각 (예컨대, 분말 형태의 분쇄된 커피와 비교할 때) 비교적 높은 중량을 갖기 때문에, 커피 콩을 구동하고 그에 따라 챔버로부터 커피 콩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소정 양의 에너지가 요구된다. 추가로, 로스팅된 커피 콩을 제거하는 것의 자동화는, 특히 커피 콩을 로스팅 및/또는 냉각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이 장치 내측의 커피 콩을 교반시킨다는 이유로,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단점을 극복하는 장치 및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로스팅된 커피 콩이 추가로 처리될 필요가 있을 때, 소비자에게 커피 콩의 더 효율적이고 편리한 로스팅을 제공하는 장치 및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기의 설명을 읽을 시에 명백해지는 이들 및 다른 목적은 독립항의 요지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언급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커피 콩을 로스팅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커피 콩이 로스팅을 위해 수용될 수 있는 챔버, 및 챔버에 의해 수용된 커피 콩을 교반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챔버는 하단부,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연장되는 측벽에 의해 경계설정되며, 여기에서 측벽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배출(또는 방출) 포트를 포함하여서, 배출 포트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이 커피 콩을 배출 포트를 통해 구동하여 챔버로부터 배출(즉, 방출)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장치는, 특히, 로스팅된 커피 콩을 챔버로부터(그리고 그에 따라 장치 밖으로) 배출(또는 방출)하기 위해 배출 포트만이 작동될 필요가 있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따라서, 배출 포트는 "트랩도어(trapdoor)"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다시 말해서, 로스팅된 커피 콩을 챔버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을 변경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디바이스는 로스팅된 커피 콩을 챔버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공기의 흐름(예컨대, 로스팅 및/또는 냉각을 위한 공기의 흐름)의 속도 및/또는 압력을 상승시키도록 작동될 필요가 없다. 추가로, 배출 포트가 상단부 상이 아니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벽 내에 배열되기 때문에, 로스팅된 커피 콩을 수직 방향으로 그리고 배출 포트로부터 배출되도록 배출 포트로 수송하는 데 더 적은 위치 에너지가 사용된다. 배출 포트가 배열되는 측벽은, 추가로, 배출 포트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공기의 흐름에 의해 구동되는 커피 콩이 측벽을 따라 그리고 배출 포트로 이동하여, 이어서, 챔버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요컨대, 장치는, 특히, 로스팅된 커피 콩을 배출하기 위해 더 적은 (전기) 전력 또는 에너지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챔버 내측에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디바이스(예컨대, 팬)는 소형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특히,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의 모터를 대형화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장치의 전체 크기도 최적화되어, 그에 의해 장치(또는 기계)를 콤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추가로, 장치는, 특히 로스팅된 커피 콩과 직접 접촉할 필요 없이 그리고/또는 선택적으로 제공된 온도 센서와 충돌 또는 상충하지 않고서, 사용자가 추가 처리를 위해 로스팅된 커피 콩을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편리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에 의해 장치의 고온 부분과 접촉할 위험도 감소된다.
배출 포트는 상단부보다 하단부에 더 가깝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커피 콩이 챔버로부터 배출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 많은 위치 에너지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챔버로부터 커피 콩을 배출하는 데 특히 더 적은 에너지가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배출 포트는 하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배열되고, 거리는 챔버의 높이의 0% 또는 5% 또는 10% 또는 20% 또는 30% 또는 40% 또는 50% 또는 60% 또는 70% 내지 챔버의 높이의 5% 또는 10% 또는 20% 또는 30% 또는 40% 또는 50% 또는 60% 또는 70% 또는 80%의 범위 내에 있으며, 챔버의 높이는 챔버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이다. 따라서, 커피 콩이 챔버로부터 배출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 많은 위치 에너지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챔버로부터 커피 콩을 배출하는 데 특히 더 적은 에너지가 요구된다.
배출 포트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출 포트를, 예컨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의 근력만으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추가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의 배출 포트의 이동은 전기 구성요소(예컨대, 구동 유닛) 및/또는 전력의 이용가능성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배출 포트는, 또한, 장치의 단순화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장치는 배출 포트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배열되는 구동 유닛(예컨대, (전기) 모터)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출 포트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그의 근력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배출 포트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매우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그 외에도, 구동 유닛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의 배출 포트의 이동이 자동화될 수 있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배출 포트는 배출 포트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활주가능하게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이는, 따라서, 배출 포트를 활주시킴으로써, 배출 포트가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출 포트가 배열될 수 있기 때문에, 장치를 특히 콤팩트하게 만든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배출 포트는 배출 포트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피벗가능하게 이동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포트는 회전 이동 축을 중심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 축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포트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측벽은 배출 포트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이동가능할 수 있으며, 예컨대 피벗가능하게 이동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포트의 일부, 예컨대 커버링 요소는 정지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측벽은 개구를 포함하여서, 측벽을 이동시킴으로써, 개구가 커버링 요소에 대해 이동하게 한다. 이어서, 커버링 요소는, 폐쇄 위치에서, 이러한 개구를 완전히 덮을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개방 위치에서, 측벽은 이러한 개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이동되어서, 커피 콩이 개구를 통해 구동되어 챔버로부터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측벽은 전형적으로 배출 포트보다 크기 때문에, 특히 각자의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한 접촉 표면에 대해, 예컨대 수동으로 또는 구동 유닛(위 참조)에 의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의 배출 포트의 이동이 단순화된다. 물론, 다른 예에서, 배출 포트의 일부, 예컨대 커버링 요소는 이동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측벽은 정지되어 있다. 추가로, 또한, 배출 포트의 일부(예컨대, 커버링 요소) 및 측벽(예컨대, 개구) 둘 모두가 배출 포트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챔버에 의해 수용된 커피 콩을 로스팅하기 위한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은 커피 콩을 로스팅하기 위해, 즉 (로스팅된) 커피 콩을 로스팅하기 위한 화학적 반응을 달성하기 위해 열을 커피 콩으로 전달되도록 수송할 수 있다. 장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할 수 있어서, 그렇게 가열된 공기가 디바이스에 의해 챔버 내로 취입되어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는 커피 콩을 로스팅하기 위한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매우 용이하게 제어가능하다. 특히, 히터는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에 대해 하류에 배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바이스는 챔버에 의해 수용된 커피 콩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가열되지 않은 (주변의 신선한) 공기를 챔버 내로 수송하여, 커피 콩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고; 이어서, 공기의 흐름은 (이미 로스팅된) 커피 콩과 접촉하고, 그에 따라 열이 커피 콩으로부터 공기의 흐름으로 전달되어서, 커피 콩이 냉각되게 한다. 예를 들어, 커피 콩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 히터는 단순히 비활성화되거나 꺼질 수 있다.
장치는 장치를 로스팅 모드와 배출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로스팅 모드에서 배출 포트는 폐쇄 위치에 있고, 배출 모드에서 배출 포트는 개방 위치에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장치가, 예를 들어, 예컨대 소정 기간이 커피 콩을 로스팅하기 위해 경과한 후에, 로스팅 모드와 배출 모드 사이에서 자동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커피 콩을 로스팅하고 커피 콩을 배출하는 것이 단순화된다.
로스팅 모드에서, 장치는, 예컨대 디바이스가 챔버 내측에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함으로써, 챔버에 의해 수용된 커피 콩을 로스팅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배출 모드에서, 장치는,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을 사용하여 커피 콩을 배출 포트를 통해 구동하여 챔버로부터 배출되게 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스팅 모드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공기의 흐름이, 커피 콩을 배출 포트를 통해 구동하여 챔버로부터 배출되게 하기 위해 배출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배출 포트를 포함하는 측벽의 단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면의 형상은, 챔버로부터 커피 콩을 배출하기 위해 커피 콩을 측벽을 따라 그리고 후속적으로 배출 포트로 구동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그 후, 이어서 배출 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 콩은 단면의 형상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갖는 단면의 일부는 배출 포트, 특히 배출 포트의 개구와 연속적으로 병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술된 단면은 닫힌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갖는다.
하단부는 공기 입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디바이스는 챔버 내측에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입구를 통해 공기를 취입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장치 내에 매우 효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챔버의 상단부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개방 위치에서, 출구는 공기 및/또는 커피 채프(chaff)가 챔버로부터 배출되도록 허용한다. 다시 말해서, 출구는 챔버를 위한 통기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출구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총) 흐름을 강화하지 않고서, 커피 콩을 배출 포트를 통해 구동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의 일부가 매우 용이하게 강화될 수 있다. 즉, 챔버로부터 공기 및/또는 채프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의 일부는 배출 포트를 통해 커피 콩을 배출하기 위해 매우 용이하게 방향전환될 수 있다.
장치는 채프 수집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채프 수집기는, 예컨대 출구를 통해, 커피 콩의 채프를 수집하도록 배열되고,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공기의 흐름을 사용하여 채프를 채프 수집기 내로 구동하도록 적응된다. 로스팅된 커피 콩이 어떠한 채프 없이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채프 수집기는, 로스팅된 커피 콩으로부터 채프를 분리하고 채프를 수집하기 위한 용이한 수단을 제공한다. 이어서, 채프 수집기는 장치로부터 제거되거나 탈착될 수 있고, 이어서, 채프는 채프 수집기로부터 제거되고, 예를 들어, 쓰레기통 내로 버려지거나 채프의 다른 처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장치는 가전 기기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장치는, 예컨대 커피 분쇄기 및/또는 음료 제조 기계 옆에 배열되는, 가정의 주방에서 사용되기 위한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장치는 커피 로스팅을 위한 가정내 해결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 및 추가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추가 장치는 장치로부터 배출 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 콩을 처리하기 위해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시스템은 시스템의 사용자가 추가 장치에 사용되도록 장치로부터 커피 콩을 수동으로, 특히 그 자신의 손으로 취급할 필요가 없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시스템의 사용자는 커피 콩을 매우 용이하게 로스팅하고 그렇게 로스팅된 커피 콩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가전 기기 장치이고/이거나 (단일) 유닛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장치는 (로스팅된)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를 포함할 수 있다(또는 그일 수 있음). 따라서, 분쇄기는 로스팅된 커피 콩을 (예컨대, 분말 형태의) 분쇄된 커피로 변환시키며, 이는, 이어서, 커피 추출에 의해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추가 장치는, 예컨대 커피 추출에 의해, 커피 콩으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 기계를 포함할 수 있다(또는 그일 수 있음). 예를 들어, 분쇄기가 존재하는 경우, 음료 제조 기계는 분쇄된 커피로부터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분쇄기에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분쇄기와 음료 제조 기계는 유닛으로서 제공될 수 있고/있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챔버로부터 커피 콩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챔버 내에, 커피 콩이 로스팅을 위해 수용되며, 여기에서 챔버는 하단부,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연장되는 측벽에 의해 경계설정된다. 본 방법은 챔버에 의해 수용된 커피 콩을 교반하고 바람직하게는 로스팅하거나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챔버의 측벽 내에 또는 그 상에 배열되는 배출 포트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공기의 흐름이 커피 콩을 배출 포트를 통해 구동하여 챔버로부터 배출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장치의 설명 및 이점은 방법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특히, 본 방법은, (로스팅된) 커피 콩을 챔버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배출 포트만이 작동될 필요가 있는 결과를 가져온다. 즉, 특히, 커피 콩을 챔버 밖으로 구동하기 위해 공기의 흐름의 속도 또는 압력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동봉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상이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장치의 일부는 챔버 및 배출 포트를 개략적으로 예시하기 위해 생략되고, 배출 포트는 상이한 위치에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상단부를 확대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이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장치는 채프 수집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특히 장치와 추가 장치 사이의 기능적 연결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도 14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수평 단면 평면을 따른) 개략적인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수직 단면 평면을 따른) 개략적인 사시 단면도이다.
도 17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위한 예시적인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장치(1)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장치(1)는 커피 콩을 로스팅하도록 적응된다. 더 구체적으로, 장치(1)는, 예를 들어 생두 커피 콩 및/또는 건조된 커피 콩 형태의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을 로스팅된 커피 콩으로 변환시키도록 적응된다. 더 구체적으로, 커피 콩의 로스팅은, 로스팅된 커피 콩 및 그에 따른, 그렇게 로스팅된 커피 콩으로부터 제조되는 커피 음료의 특징적인 향미를 생성하기 위해,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의 화학적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을 변환시킨다. 즉, 커피 콩의 로스팅은, 예를 들어 마이야르 반응(Maillard reaction) 및 다른 화학 반응에 의해, 로스팅된 커피 콩의 특정 맛을 달성한다. 따라서, 커피 콩을 로스팅하는 공정은, 커피 분쇄 및/또는 커피 브루잉(brewing)과 같은,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데 요구되는 다른 공정에 선행한다.
도면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장치(1)는 소규모 커피 로스팅을 위해 적응되고, 그에 따라, 특히, 대규모(산업용) 로스팅 장치 또는 기계가 아니다. 따라서, 장치(1)는 사업체와 고객간(예컨대, 커피 숍) 및/또는 전형적으로 커피 음료의 소비자인 소비자의 측면에서 사용되기에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가전 기기 장치이다. 이와 같이, 장치(1)는 가정 또는 주방에서, 특히 테이블 상판 상에서, 예컨대 커피 분쇄기 및/또는 음료 제조 기계 옆에 또는 그와 (기능적으로) 통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전용 수송 메커니즘의 필요 없이, 한 사람이 수송할 수 있는 크기 및 중량을 갖는다.
장치(1)는 로스팅을 위해 커피 콩이 수용될 수 있는 챔버(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챔버(10)는 하단부(11), 상단부(12), 및 하단부(11)로부터 상단부(12)까지 연장되는 측벽(13)에 의해 경계설정된다. 따라서, 커피 콩이 챔버(10)에 의해 수용될 때, 커피 콩은, 바람직하게는, 하단부(11) 상에 지지되고, 측벽(13)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한다. 챔버(10)는, 특히 열 및/또는 가열된 공기가 커피 콩을 로스팅하기 위해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를 갖고; 예를 들어, 하단부(11) 및/또는 측벽(13)은 비교적 높은 열 전도율을 갖는 재료, 예컨대 금속을 포함하거나 그로 구성되는 재료로 제조된다. 하단부(11) 및/또는 측벽(13)은 복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가열 및/또는 냉각을 위한) 열 및/또는 공기의 흐름이 그에 따라 커피 콩을 처리하기 위해 챔버(10) 내로 유동할 수 있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단부(12)는 바람직하게는 측벽(13)의 원위 단부에 의해 한정되고/되거나 하단부(11)의 반대편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부(12)는 평면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단부(12)는 챔버(10)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거나 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단부(12)를 통해, 커피 콩은 챔버(10)로부터 제거되고/되거나 챔버(10)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즉 챔버(10)는 상단부(12)에 의해 커피 콩으로 충전될 수 있다. 챔버(10)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측벽(13) 및/또는 하단부(11) 내에 배열된 개구에 의해, 커피 콩으로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는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 즉 생두 및/또는 건조된 커피 콩을 수용하는 호퍼(hopper)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이어서,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은 로스팅을 위해 챔버(10) 내에 수용되기 위해 호퍼, 예컨대 상기 개구로부터 챔버(10)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퍼는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이 중력에 의해서만 호퍼로부터 챔버(10) 내로 이동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챔버(10)는, 예컨대 형태 및/또는 마찰 끼워맞춤에 의해, 장치(1)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는 챔버(10)가 장치(1)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챔버(10)를 포함하는 리셉터클(receptacle)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은, 예컨대 챔버(10)를 장치(1)로부터 탈착시키고/시키거나 챔버(10)를 장치(1)에 부착하기 위해, 리셉터클 및 그에 따라 챔버(10)를 수동으로 취급하기 위한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장치(1)는, 적어도 챔버(10)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0)은 베이스(21) 및 상단부(22)를 가지며, 여기에서 챔버(10)는 (챔버(10)의) 상단부(12)가 하우징(20)의 상단부(22)에 배열되거나 그이도록 배열된다. 이와 같이, 상단부(12)는,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0)의 원위 단부에 의해 한정되는 상단부(22)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하우징(20)은, 또한, 하단부(21)로부터 상단부(22)까지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챔버(10)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는 측벽(2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은 특정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하우징(20)은 비대칭 또는 대칭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0)은 실질적으로 원통 또는 (절두) 원추체의 형태를 갖는다.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분할될 수 있으며, 즉 여러 부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0)은 하부 부분(24) 및 상부 부분(25)을 포함한다. 상부 부분(25)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형태 및/또는 마찰 끼워맞춤에 의해, 하부 부분(24)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다. 상부 부분(25)은, 바람직하게는, 챔버(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하거나 상단부(2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부 부분(25)과 챔버(10)는 동심으로 배열된다. 하부 부분(24)은 챔버(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고/있거나 하우징(20)의 하단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분(24)은 챔버 내의 커피 콩을 로스팅하기 위한 구성요소, 예컨대 (공기 생성) 디바이스 및/또는 히터(아래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하부 부분(24)은 로스터일 수 있다. 하부 부분(24)과 상부 부분(25)은 동일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부분(24)과 상부 부분(25)은, 부분들(24, 25)이 함께 조립될 때, 예를 들어 원통과 같은 기하학적 (대칭)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20), 특히 측벽(23)은, 예를 들어 측벽(23)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는 복수의 통기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통기 구멍은 하우징(20)에 의해 수용된 구성요소를 냉각시키는 것을 돕는다. 따라서, 통기 구멍은, 특히, 챔버(10)가 냉각되도록 챔버(10)로부터 멀리 열을 전달하는 것을 돕는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부분(24)은 장치(1)의 하단부 또는 지지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하부 부분(24)은, 장치(1)가 표면(테이블 상판 등) 상에 배치되고/되거나 음료 제조 기계에 대해 또는 그 상에 배열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단부(21)는 테이블 상판과 같은 표면 상에 배치되도록 적응되고/되거나, 분쇄기 및/또는 음료 제조 기계와 같은 추가 장치에 또는 그 상에 장착되도록(예컨대, 예를 들어 형태 및/또는 마찰 끼워맞춤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1)는 챔버(10)에 의해 수용된 커피 콩을 교반하기 위해 챔버(10) 내측에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히, 디바이스는 팬일 수 있고/있거나, 디바이스는 유체 베드(bed) 기술을 사용하여 챔버(10) 내측에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 콩은 커피 콩이 측벽(13)을 향해 그리고 이어서 그를 따라 그리고 선택적으로 챔버의 상단부(12)를 향해 이동하도록 공기의 흐름에 의해 교반된다. 특히 커피 콩의 로스팅 및/또는 냉각을 개선하기 위해, 챔버(10) 내에서 커피 콩을 교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챔버(10)에 의해 수용된 커피 콩을 로스팅하기 위한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 또는 (공기 흐름 생성) 디바이스는 (신선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디바이스는 이러한 가열된 공기를 챔버(10) 내로 수송하거나 취입한다. 따라서, (고온) 공기의 흐름은 커피 콩과 접촉하고, 그에 따라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 반응을 달성하여 커피 콩을 로스팅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바이스는 챔버(10)에 의해 수용된 (이미 로스팅된) 커피 콩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 콩을 냉각시키기 위해,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은 (예컨대, 단순히 히터를 비활성화되거나 꺼지도록 제어함으로써) 가열되지 않아서, 예를 들어, (신선한) 공기, 예컨대 외기만이 챔버(10) 내로 취입되게 한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챔버(10) 내에 공기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는 한, 특정 위치에 배열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단부(11)는, 예컨대 (단일) 구멍 또는 복수의 구멍 형태의 공기 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이 디바이스로부터 공기 입구를 통해 그리고 챔버(10) 내로 유동하여 그에 의해 챔버(10) 내측에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하단부(11)는 일 측부 상의 챔버(10)와 타 측부 상의 디바이스 및 선택적으로 히터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공기 입구는, 바람직하게는, 측벽(13)의 원위 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배열되지 않으며, 즉 공기 입구는 챔버(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프셋되는 하단부(11)의 일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단부(11)의 리세스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배출 포트(30)가 하단부(11)에 제공되는 경우, 즉 배출 포트(30)와 하단부(11) 사이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때, 배출 포트(30)는 공기 입구에 대해 일정 거리를 두고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배출 포트(30)는 (고온) 공기 입구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0), 예를 들어 하부 (하우징) 부분(24)은 디바이스 및/또는 히터를 수용한다. 다른 예에서, 상부 (하우징) 부분(25)도 디바이스 및/또는 히터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벽(13)은 배출 포트(3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출 포트(30)는 폐쇄 위치(예를 들어, 도 2 및 도 3 참조)와 개방 위치(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6 및 도 8 참조)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예를 들어, 배출 포트(30)는 개구(31) 및 커버링 요소(32)를 포함하여서, 커버링 요소(32)가 개구(31)를 선택적으로 (완전히) 덮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게 한다. 따라서, 커버링 요소(32)가 개구(31)를 (완전히) 덮을 때, 배출 포트(30)는 바람직하게는 폐쇄 위치에 있는 반면, 커버링 요소(32)가 개구(3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지 않을 때, 배출 포트(30)는 바람직하게는 개방 위치에 있다. 개구(31)는, 즉 측벽(13)을 통해 연장되는 개구로서, 측벽(13) 상에 배열되거나 그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링 요소(32)는 측벽(13) 상에 배열될 수 있거나, 또한 측벽(13)에 대해 별도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커버링 요소(32)는 챔버(10) 내에, 예컨대 챔버(10) 내측으로 지향되는 측벽(13)의 표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커버링 요소(32)는, 또한, 챔버(10) 외측에, 예컨대 챔버(10)로부터 멀리 향하는 측벽(13)의 표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공기의 흐름에 의해 교반되는 커피 콩은 배출 포트(30)를 통해 챔버(10)를 빠져나갈 수 없다. 예를 들어, 이동하거나 교반되는 커피 콩은, 커버링 요소(32)가 개구(31)를 덮기 때문에, 배출 포트(30)를 통해 구동될 수 없다. 이와 같이, 커피 콩은 커버링 요소(32)와 접촉할 수 있지만, 개구(31)를 통해 챔버(10)를 빠져나갈 수 없다. 따라서, 폐쇄 위치에서,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은 챔버(10)에 의해 수용된 커피 콩을 로스팅 및/또는 냉각할 수 있다.
배출 포트(30)의 개방 위치에서, 챔버(10)에 의해 수용된 커피 콩은,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배출 포트(30)를 통해 구동되어, 그에 따라 챔버(10)로부터, 특히 장치(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 포트(3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배출 포트(30)는 하나 이상의 커피 콩이 동시에 배출 포트(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적응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링 요소(32)는 챔버(10)로부터 커피 콩을 배출하기 위한 개구(3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따라서, 개구(31)와 커버링 요소(32)는 개구(31)보다 작을 수 있는 개구를 한정할 수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커피 콩이 동시에 상기 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이러한 개구는, 적어도 단일 커피 콩의 크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개방 위치에서, 커버링 요소(32)는 개구(31)를 전혀 덮지 않아서, 개구(31)의 전체 범위가 챔버(10)로부터 커피 콩을 배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커버링 요소(32)는 개구(31)가 절반만 개방되도록 개방 위치에서 개구(31)를 부분적으로만 덮을 수 있다.
따라서, 배출 포트(30)를 통해 챔버(10)로부터 배출되는 커피 콩은 챔버(10)로부터 멀어지는, 특히 측벽(1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그렇게 배출된 커피 콩은, 이제, 예를 들어 전용 저그(jug)에서의 추가 처리를 위해 그리고/또는 분쇄 및/또는 커피 음료 제조, 예컨대 커피 추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10)로부터 배출되는 커피 콩은, 추가 처리를 위해 커피 콩을 안내하도록 배열되는 도관 또는 파이프(33)로 지향된다. 도관(33)은 커피 콩을, 바람직하게는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 및/또는 커피 콩으로부터 또는 커피 콩으로부터 제조된 분쇄된 커피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 기계와 같은 추가 장치에서 처리되기 위해, 챔버(10)와는 상이한 위치로, 예컨대 장치(1)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관(33)은 배출 포트(30)에 대해 일정 거리를 두고 배열될 수 있거나, 배출 포트(30)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개구(31)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도관(33)은 하우징(20)을 통해, 예컨대 상부 하우징 부분(25)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관(33)은 챔버(10)가 제공되는 하우징(20)의 내측으로부터 하우징(20)의 외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관(33)은, 노즐, 슬라이드, 채널, 파이프, 튜브 또는 호스의 설계 또는 형태와 같은, 배출된 커피 콩을 안내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설계 또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커피 콩은, 측벽(13)과 교차하거나 교차하지 않는 방향으로 챔버(1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피 콩은, 측벽(13) 및/또는 배출 포트(30), 예컨대 개구(31)의 범위에 대해 실질적으로 접하는 방향으로 배출 포트(30)를 통해 챔버(10)로부터 배출된다. 배출 포트(30)를 통해 그리고 그에 따라 챔버(10) 밖으로 커피 콩을 배출하는 방향은 (공기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의 방향에 의해 그리고/또는 측벽(13)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벽(13)은, 그에 따라, 배출 포트(30)를 통한 커피 콩의 유리한 배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적어도 배출 포트(30)를 포함하는 측벽(13)의 단면(즉, "내부 표면"으로도 지칭되는, 챔버(10)의 내측으로 지향되는 측벽(13)의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단면은 닫힌 원 또는 타원의 형태이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상화되는 단면에 의해, 측벽(13)과 접촉하는 커피 콩은 측벽(13)을 따라 매끄럽게 이동하여 배출 포트(30)를 통해 후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피 콩은, 특히,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에 접하는 방향으로 배출 포트(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벽(13), 적어도 측벽(13)의 내부 표면은 챔버(10)의 (대칭) 축을 따라 동일한 단면을 갖는다.
배출 포트(30)는, 예를 들어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챔버(10)의 상단부(12)보다 하단부(11)에 더 가깝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예에서, 배출 포트(30)는 하단부(11) 옆에 또는 심지어 그에 배열된다. 따라서, 배출 포트(30)가 개구(31)를 포함하는 경우, 개구(31)의 하부 측부 에지는 하단부(11)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배출 포트(30)를 하단부(11)에 가깝게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그러면, 디바이스가 챔버(10)로부터 커피 콩을 배출하기 위해 각자의 커피 콩을 긴 수직 방향을 따라 구동할 수 있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다시 말해서, 챔버(10)로부터 커피 콩을 배출하기 위해 많은 위치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배출 포트(30)는 하단부(11)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거리는 하단부(11)로부터 배출 포트(30)의 하부 측부 에지까지 측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측부 에지 위로 커피 콩이 이동하여 챔버(10)로부터 배출되며; 예를 들어, 하부 측부 에지는 개구(31)의 하부 측부 에지일 수 있다. 거리는 챔버(10)의 높이의 0% 또는 5% 또는 10% 또는 20% 또는 30% 또는 40% 또는 50% 또는 60% 또는 70% 내지 챔버(10)의 높이의 5% 또는 10% 또는 20% 또는 30% 또는 40% 또는 50% 또는 60% 또는 70% 또는 8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여기에서 챔버(10)의 높이는 챔버(10)의 하단부(11)로부터 상단부(12)까지이다(그까지 측정됨).
개구(31)는 슬릿의 형태와 같은 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개구(31)는, 하나 이상의 커피 콩이 동시에 개구(3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한, 특정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개구(31)는 또한 둥근형, 타원형, 다각형, 정사각형, 및/또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개구(31)는, 특히, 측벽(13)의 원주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31)는 둥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커버링 요소(32)는 적어도 개구(31)의 크기를 가질 수 있어서, 특히 커버링 요소(32)가 개구(31)를 적절하게 덮을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커버링 요소(32)의 형태는 개구(31)의 형태에 대응하여서, 커버링 요소(32)가, 예를 들어,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커버링 요소(32)는 또한 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커버링 요소(32)는, 예컨대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긴) 일편의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일편의 재료는 시트, 예컨대 금속의 시트일 수 있다. 일편의 재료는 개구(31)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링 요소(32)는 플랩(flap), 개구부 또는 도어일 수 있고/있거나 얇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배출 포트(30)는 배출 포트(30)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활주가능하게 이동가능할 수 있다. 배출 포트(30)는, 예컨대 하나의 자유도, 즉 활주 이동만을 갖는 활주 요소에 의해 한정되는 활주 이동으로 배출 포트(30)를 작동시키거나 이동시키는 것이 배출 포트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링 요소(32)는, 커버링 요소(32)가 측벽(13)에 대해 활주하여 그에 따라 개구(31)를 선택적으로 덮거나 덮지 않을 수 있도록 측벽(13) 상에 배열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배출 포트(30)는 배출 포트(30)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피벗가능하게 이동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31) 및/또는 커버링 요소(32)는 특정 이동 축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게(즉, 회전가능하게)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축은 수직 방향으로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동 축은, 예를 들어, 챔버(10)의 대칭 축일 수 있다.
개구(31), 즉 개구(31)를 포함하는 측벽(13)과 커버링 요소(32)는 배출 포트(30)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31)(즉, 측벽(13)) 및 커버링 요소(32) 중 하나는 (장치(1)에 대해) 정지 상태로 유지되며, 여기에서 개구(31) 및 커버링 요소(32) 중 각자의 다른 하나는 이동하고 있다. 다른 예에서, 개구(31) 및 커버링 요소(32) 둘 모두는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이동한다. 그에 의해, 특히 측벽(13)은 배출 포트(30)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이동가능할 수 있으며, 예컨대 피벗가능하게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벽(13)은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예컨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측벽(13)은 하우징(20) 상에, 예컨대 하부 하우징 부분(24) 상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배출 포트(30)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즉, 배출 포트(30)는, 바람직하게는, 배출 포트(30)가 장치(1)의 사용자의 (손의) 근력만으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적응된다. 예를 들어, 배출 포트(30)는 배출 포트(30)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요소를 포함한다. 조작 요소는 예를 들어 돌출부(34)일 수 있다. 돌출부(34)는 커버링 요소(32)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예컨대 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링 요소(32)는, 예컨대 돌출부(34) 형태의 조작 요소가 개구(31) 또는 추가 개구(35)(측벽(13)을 통해 연장됨)를 통해 챔버(10)에 대해 외측까지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조작 요소, 즉 돌출부(34)는, 또한, 개구부(31)와 커버링 요소(32) 사이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로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장치(1)는 배출 포트(30)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36)(예컨대, 모터 구동부)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닛(36)은 (전기) 모터(37) 및/또는 변속기(3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변속기(38)는 배출 포트(30)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37)의 동력을 배출 포트(30)로 전달하도록 적응된다. 예를 들어, 구동 유닛(36)은, 그에 따라 배출 포트(30)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개구(31)를 덮거나 덮지 않도록 커버링 요소(32)를 이동시킨다. 장치(1)의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유닛(36)은, 측벽(13)으로(예컨대, 측벽(13)의 외부 표면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그에 의해, 배출 포트(30)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측벽(13)을 이동시키도록 적응된다. 예를 들어, 구동 유닛(36)은, 예컨대 변속기(38)로, 측벽(13)과 맞물려서, 구동 유닛(36)의 (회전) 이동이 측벽(13)을 (회전)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그에 의해 배출 포트(30)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게 한다. 구동 유닛(36)의 변속기(38)는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측부 상에서 측벽(13) 상에 배열된 치형부와 맞물리고, 다른 측부 상에서 구동 유닛(36)의 모터(37)와 맞물린다.
구동 유닛(36)은 특정 위치에 배열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유닛(36)은 하우징(20) 내에, 예컨대 하부 부분(24) 및/또는 상부 부분(25) 내에 배열된다. 구동 유닛(36)은, 바람직하게는, 챔버(10) 내에 배열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동 유닛(36)은 측벽(13)과 하우징(20)의 측벽, 예컨대 측벽(23) 사이에 배열된다.
장치(1)는, 또한, 예컨대 특히 미리정의된 로스팅 및/또는 온도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커피 콩의 로스팅 및 배출을 그에 맞춰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특히, 장치(1)를 로스팅 모드와 배출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로스팅 모드에서, 배출 포트(30)는 폐쇄 위치에 있고/있거나, 장치(1)는, 예컨대 그에 따라 챔버(10) 내측에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공기 흐름 생성)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챔버(10)에 의해 수용된 커피 콩을 로스팅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은 챔버(10) 내측에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제공하도록 디바이스 및 히터 둘 모두를 제어하거나 활성화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특히, 디바이스 및/또는 히터에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제어 유닛은, 장치(1)가 제어 유닛에 저장될 수 있는 미리정의된 로스팅 프로그램(또는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로스팅 모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리정의된 로스팅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챔버(10)에 의해 수용된 커피 콩을 로스팅하기 위한 공정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공정 파라미터는 (가열된) 공기의 흐름의 온도, 속도 및/또는 압력, 및/또는 커피 콩의 로스팅 및/또는 냉각을 위한 특정 (총)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은, 특정 시간이 경과한 후, 제어 유닛이 장치(1)를 배출 모드로 자동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이 장치(1)를 배출 모드로 스위칭할 때, 제어 유닛은 배출 포트(30)를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그에 따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출 포트(30)를 제어하기 위해, 배출 포트(30), 특히 그의 구동 유닛(36)에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또한, 로스팅 모드와 배출 모드 사이에서 (수동으로) 스위칭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예컨대 아래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모드에서, 장치(1)는,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을 사용하여 커피 콩을 배출 포트(30)를 통해 구동하여 챔버(10)로부터 배출되게 하도록 배열된다. 제어 유닛은, 배출 모드에서 히터가 꺼지거나 비활성화되게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제어 유닛이 배출 모드를 떠나기 위한, 예컨대 로스팅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장치(1)가 배출 모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는,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일 수 있다. 제어 유닛은, 또한, 배출 포트(30)가 폐쇄 위치에 있고 히터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되는, 냉각 모드와 같은 상이한 모드로 장치(1)를 스위칭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하우징(20) 내에, 예를 들어 하부 부분(24) 및/또는 상부 부분(25)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도 1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0)는 장치(1)의 사용자가 그에 따라 장치(1)를, 특히 커피 콩을 로스팅 및/또는 배출하기 위해, 즉, 특히 배출 포트(30)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제어할 수 있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0)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서, 제어 유닛이, 예컨대 로스팅 모드와 배출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60)로부터 사용자 입력 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0)는 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예컨대 하나 이상의 버튼 또는 다른 터치 감응형 요소(터치스크린 등) 형태의, 하나 이상의(예컨대, 단지 4개의) 제어 요소(6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어 요소(61)는 로스팅 공정을 시작하기 위한, 즉 로스팅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 요소, 및 로스팅 공정을 정지시키기 위한, 예컨대 냉각 모드 및/또는 배출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 요소를 포함한다. 제어 요소(61)는, 또한, 장치(1)에 전력을 공급하기(그리고 그를 끄기) 위한 제어 요소(예컨대, 온/오프 제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장치(1)의 사용자 측부 상에 배열된다. 장치(1)의 사용자 측부는, 바람직하게는, 장치(1)의 전면 및/또는 커피 콩이 챔버(10)로부터 배출되는 장치(1)의 측부이다.
장치(1)는, 예컨대 전력 플러그 형태의 전력 입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입구에 의해, 전기 에너지(전압 및/또는 전류)와 같은 에너지를 요구하는 장치(1)의 부분에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다. 이들 부분은, 특히, 디바이스, 히터, 구동 유닛(36), 제어 유닛,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0)이다. 전력 플러그는 장치(1)의 후면 상에 그리고/또는 하우징(20) 상에, 예컨대 하부 부분(24) 또는 상부 부분(25)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장치(1)의 후면은 사용자 측부의 반대편인 장치(1)의 측부일 수 있다.
특히 도 10 및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단부(12)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출구(14)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출구(14)는 (고온 또는 저온) 공기 및/또는 커피 채프("채프"로도 지칭됨)가 챔버(10)로부터 배출되도록 허용한다.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은, 특히 그가 커피 나무에서 처음 채취될 때, 전형적으로, (생피 및/또는 건조된) 외피를 갖는다. 채프는, 또한, 커피 콩의 껍질로 지칭될 수 있다. 커피 콩의 로스팅 동안, 이러한 외피는 커피 콩으로부터 벗겨지고, 그에 따라 채프로서 남는다. 즉, 특히 로스팅의 높은 온도는, 추가 작업의 필요 없이, 채프가 커피 콩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분쇄기 및/또는 음료 제조 기계 내측에 그리고 그에 따라 커피 음료 내측에 채프가 있는 것을 원하지 않으므로, 그렇게 로스팅된 커피 콩의 이러한 채프가 로스팅된 커피 콩과 함께 남아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채프는 바람직하게는 챔버(10)로부터 배출되고, 예를 들어 장치(1) 외측에서 수집된다. 따라서, 채프는 로스팅된 커피 콩인 완제품과 함께 남아 있지 않을 것이다.
즉,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은 공기 및/또는 채프를 상단부(12)로 구동하여 후속적으로 출구(14)를 통해 배출되게 그리고 그에 따라 챔버(10)로부터 배출되게 한다. 출구(14)는 다이어프램일 수 있다. 출구(14)는 이동가능 요소(15) 및 하나 이상의 개구(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이동가능 요소(15)와 하나 이상의 개구(16)는 출구(14)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예를 들어, 요소(15)는 (고정) 개구(16)에 대해 이동하고 있다. 요소(15)는 개구(16)에 대해 회전식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어서, 폐쇄 위치에서, 요소(15)는 바람직하게는 개구(16)를 (완전히) 덮으며, 여기에서 개방 위치에서, 요소(15)는 개구(1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지 않아, 그에 의해 공기 및/또는 채프가 챔버(10)로부터 배출되도록 허용한다. 폐쇄 위치에서는, 출구(1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실질적으로 없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된 양의 공기가 출구를 통해 유동한다. 따라서,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의 전체 또는 적어도 증가된 부분이, 예를 들어, 커피 콩을 챔버(10)로부터 배출되도록 구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개구(16)는 하우징(20)의 상단부(22) 내에 배열되거나 형성된다. 요소(15)는 하우징(20) 또는 상부 하우징 부분(25), 예컨대 상단부(22)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출구(14)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서, 제어 유닛이 출구(14)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은, 로스팅 모드에서(만) 출구(14)가 개방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 유닛은, 배출 모드에서(만) 출구(14)가 폐쇄 위치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출구(14)는 출구의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수동으로 조작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치(1)는 챔버(10)에 의해 로스팅된 커피 콩의 채프를 수집하기 위한 채프 수집기(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채프 수집기(50)는, 바람직하게는, 채프가 챔버(10)로부터 출구(14)를 통해 채프 수집기(50)로 유동하여 채프 수집기(50)에 의해 수집되도록 배열된다. 채프 수집기(50)는, 채프가 수집되고, 챔버(10)로 복귀하는 것이 방지되는 격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프 수집기(50)는, 채프가 채프 수집기(50)에 의해 수집되도록 채프의 단방향 유동만을 허용하는 입구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입구는 격실 내로의 채프(50)의 유동을 허용할 수 있지만, 격실 밖으로의, 특히 챔버(10)를 향한 채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채프 수집기(50)에 의한 채프의 특히 양호한 수집을 제공하기 위해, 채프 수집기(50)와 디바이스는 그에 따라 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이 커피 콩의 채프를 채프 수집기(50)를 향해 구동하여서, 채프가 채프 수집기(50)에 의해 수집되게 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채프 수집기(50)는, 수집된 채프를 버리거나 달리 사용하기 위해, 채프 수집기(50) 또는 존재하는 경우 격실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채프를 용이하게 버리기 위해, 채프 수집기(50)는 탈착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어서, 채프 수집기(50)가 장치(1)로부터 탈착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채프 수집기(50)는, 예컨대 형태 및/또는 마찰 끼워맞춤 또는 그에 따라 설계된 체결 요소에 의해, 하우징(20)에(예를 들어, 하우징(20)의 상단부(22) 상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채프 수집기(50)는 장치(1)의 상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100)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1), 및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제조 기계(101), 예컨대 (전)자동 음료 제조 기계인 추가 장치를 포함한다. 장치(1)는 음료 제조 기계(101)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서, 음료 제조 기계(101)가 장치(1)로부터 배출 포트(30)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 콩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즉, 음료 제조 기계(101)는 배출된 커피 콩으로부터 음료를 제조한다. 다른 예에서, 추가 장치는, 또한, 배출된 커피 콩을 처리하기 위한 상이한 장치, 예컨대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일 수 있다.
장치(1)는 음료 제조 기계(101)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서, 챔버(10)로부터 배출된 커피 콩이 장치(1)의 (공기 흐름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음료 제조 기계(101)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커피 콩은, 특히 커피 콩의 어떠한 추가 조작 없이, 음료 제조 기계(101)를 통해 장치(1)로부터 직접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는 도관(33)을 포함하여서, 커피 콩이 (로스팅된) 커피 콩의 추가 처리를 위해 장치(1)로부터 음료 제조 기계(101) 내로 이동되도록 적어도 도관(33)을 따라 이동하게 한다. 특히 도 1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도관(33)은 호퍼(102)(예컨대, 연통(chimney)의 형태로 설계됨)에 연결될 수 있어서, 도관(33)을 통해 이동하는 로스팅된 커피 콩이 도관(33)으로부터 배출되어 호퍼(102) 내로 충전되게 할 수 있다. 호퍼(102)에는 음료 제조 기계(101)가 일체로 제공될 수 있고/있거나, 호퍼(102)는 음료 제조 기계(101)에 대해 또는 그 상에 탈착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호퍼(102) 및/또는 도관(33)과 호퍼(102) 사이의 연결부는 바람직하게는 밀봉되어서, 실질적으로, 공기가 호퍼(102)로 들어가, 호퍼(102) 내로 충전된 로스팅된 커피 콩과 접촉할 수 없게 한다. 따라서, 호퍼(102) 내로 충전된 로스팅된 커피 콩은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신선한 로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101)는, 바람직하게는, 장치(1)로부터 배출된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커피 분쇄기는 호퍼(102)가, 예컨대 커피 콩을 중력에 의해 호퍼(102)로부터 분쇄기 내로 이동시킴으로써, 커피 분쇄기에 공급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분쇄기는 커피 콩을 분쇄된 커피로 분쇄하고, 이어서, 그로부터 음료 제조 기계(101)가 커피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제조 기계(101)는 로스팅된 커피 콩으로부터, 즉 분쇄된 커피로부터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물 탱크, 물 펌프, 및/또는 히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음료 제조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1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음료 제조 기계(101)는 커피 음료의 분배를 위한 음료 분배 측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측부(103)는, 예를 들어, 커피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출구(104), 및/또는 기계(101)로부터, 예컨대 출구(104)로부터 분배되는 커피 음료로 커피 컵이 충전되도록 커피 컵이 배치될 수 있는 지지체 또는 트레이(105)를 포함한다.
음료 제조 기계(101)는 하우징(106)을 포함한다. 하우징(106) 내에, 음료 제조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배열될 수 있다. 하우징(106)은 하단부(107) 및 상단부(108)를 갖는다. 하단부(107)는, 바람직하게는, 음료 제조 기계(101) 및 그에 따라 시스템(100)이 테이블 상판과 같은, 가정 또는 주방 내의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적응된다.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6)의 상단부(108) 상에 배열된다. 따라서, 장치(1)는 음료 제조 기계(101)에 대해 매우 효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장치(1)는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을 (밀봉식으로) 저장하도록 적응되는 호퍼(2)(예컨대, 커피 (콩) 입구 챔버 및/또는 원통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2)는 챔버(10)에 연결되어서, 호퍼(2)에 저장된 커피 콩이, 예컨대 중력에 의해서만, (후속 로스팅을 위해) 챔버(10) 내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호퍼(2)에 저장된 커피 콩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포트("삽입 포트(3)"로도 지칭됨)에 의해 챔버(10) 내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방 위치에서는,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이 이러한 포트를 통해 호퍼(2)로부터 챔버(10) 내로 이동할 수 있는 반면, 폐쇄 위치에서는, 어떠한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도 호퍼(2)로부터 챔버(10) 내로 이동할 수 없다. 이러한 포트는 제어 유닛에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서, 제어 유닛이 이러한 포트를 폐쇄 위치 또는 개방 위치에 있도록 제어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은, 로스팅 모드로 스위칭하기 전에, 이러한 포트를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포트는, 또한, 폐쇄 위치로 또는 개방 위치로 이동되도록 수동으로, 즉 근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호퍼(2)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은, 또한, 직접, 즉 수동으로 챔버(10) 내로 충전될 수 있다.
도 1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치(1)는, 적어도 배출 포트(30)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메커니즘(17)을 포함할 수 있다. 메커니즘(17)은 측벽(13)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챔버(10)를 경계설정한다. 하단부(11)는, 바람직하게는, 메커니즘(17)의 일체형 부분이 아니며, 그에 따라 하단부(11)는, 바람직하게는, 메커니즘(17)에 대해 별도로 제공된다. 메커니즘(17)은, 바람직하게는, 측벽(13)도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도록 이동가능하게(예컨대, 회전가능하게) 배열된다. 그에 의해, 배출 포트(30)는 메커니즘(17) 및 그에 따라 측벽(13)을 이동시킴으로써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17에서, 또한, 메커니즘(17)이 구동 유닛(36)에 의해, 예컨대 구동 유닛(36)이 메커니즘(17) 또는 측벽(13) 상에 배열된 선택적인 치형부와 캐밍(camming)함으로써 이동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배출 포트(30)를 메커니즘(17)에 의해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측벽(13)은 바람직하게는 개구(31)를 포함하여, 그에 의해, 예컨대 커버링 요소(32)(위 참조)에 대해, 개구(31)를 또한 이동시킨다.
따라서, 메커니즘(17)은 배출 포트(30)를 통해 챔버(10)로부터 커피 콩을 배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메커니즘(17)은, 또한,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을 챔버(10) 내로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커니즘(17)은, 적어도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회전가능하게) 이동가능하도록 적응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1 위치에서(만) 배출 포트(30)가 개방 위치에 있고, 제2 위치에서(만) (커피 콩) 삽입 포트(3)(위 참조)가 개방 위치에 있다. 따라서, 제1 위치에서, 삽입 포트(3)는 바람직하게는 폐쇄 위치에 있고, 제2 위치에서, 배출 포트(30)는 바람직하게는 폐쇄 위치에 있다. 이어서, 제2 위치에서,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은 후속 로스팅을 위해 챔버(10)로 들어갈 수 있다.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은, 바람직하게는, 호퍼(2)로부터 삽입 포트(3)를 통해 챔버(10) 내로 (중력) 공급된다. 삽입 포트(3)는, 측벽(13) 내에 형성되거나 관통되는 개구(예컨대, 구멍 또는 슬롯)이거나 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 포트(3)의 개방 위치에서, 개구는 덮이지 않아서, 즉 차단되지 않아서,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이 삽입 포트(3)를 통해 챔버(10)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하며, 여기에서 폐쇄 위치에서, 개구는 덮여서, 즉 차단되어서,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이 삽입 포트(3)를 통해 챔버(10) 내로 삽입될 수 없게 한다.
메커니즘(17)은, 커피 콩의 채프가 커피 수집기(50)에 의해 수집되기 위해 채프 수집기(50)를 향해 유동할 수 있는 위치(예컨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이외의 위치, 즉 제3 위치)로 (예컨대, 회전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커니즘(17)은 하나 이상의(예컨대, 단지 2개의) 채프 포트(51)(예컨대, 측벽(13)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됨)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채프가 채프 수집기(50)에 의해 수집되기 위해 채프 포트(51)를 통해 채프 수집기(50)를 향해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이동 또는 유동하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위치에서, (각자의) 채프 포트(51)는 개방 위치에 있다. 이러한 (제3) 위치 이외의 임의의 위치에서, 예컨대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채프 포트(51)는 바람직하게는 폐쇄 위치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폐쇄 위치에서, 채프 포트(51)를 통해 채프 수집기(50)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는 (상당히) 감소되거나 차단되어서, 공기의 흐름이, 예컨대 챔버(10)로부터 배출 포트(30)를 통해 커피 콩을 배출하기 위해, 유리하게는 방향전환되게 한다. 채프 포트(51)의 폐쇄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채프가 챔버(10)로부터 채프 포트(51)를 통해 채프 수집기(50)를 향해 유동할 수 없다. 채프 포트(51)의 폐쇄 위치에서, 채프 수집기(50)에 의해 수집된 채프는 채프 포트(51)를 통해 챔버(10) 내로 다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채프 포트(51)는, 측벽(13) 내에 형성되거나 관통되는 개구(예컨대, 슬롯 또는 구멍)이거나 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프 포트(51)의 개방 위치에서, 개구는 덮이지 않아서, 즉 차단되지 않아서, 공기 및 채프의 유동이 채프 수집을 위해 개구를 통해 그리고 채프 수집기(50)를 향해 유동할 수 있게 하며, 여기에서 폐쇄 위치에서, 개구는 덮여서, 즉 차단되어서, 공기 및 채프의 유동이 채프 수집을 위해 개구를 통해 그리고 채프 수집기(50)를 향해 유동할 수 없게 한다.
측벽(13)은, 삽입 포트(3) 및 채프 포트(51) 둘 모두를 포함하는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삽입 포트(3) 및 채프 포트(51)는 챔버(10)의 높이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예컨대 챔버(10)의 상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배출 포트(30)는, 바람직하게는, 삽입 포트(3) 및/또는 채프 포트(51)를 포함하는 측벽(13)의 단면 내에 배열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일 측부 상의 배출 포트(30)와 타 측부 상의 삽입 포트(3) 및/또는 채프 포트(51)는 챔버(10)의 높이에 대해 상이한 높이에 배열될 수 있으며, 예컨대, 배출 포트(30)는 삽입 포트(3) 및/또는 채프 포트(51)보다 낮은 높이에 배열될 수 있다. 구동 유닛(36)과 캐밍하는 메커니즘(17)의 치형부는, 바람직하게는, 배출 포트(30)와 채프 포트(51) 사이에 배열된다.
따라서, 메커니즘(17)은, 바람직하게는, 작동 중인 장치(1)의 상이한 상태, 예컨대, (로스팅되지 않은 커피 콩을 챔버(10) 내로 삽입하기 위한) 커피 삽입 상태, (로스팅되는 커피 콩의 채프를 수집하기 위한) 커피 로스팅 상태, 및 (그렇게 로스팅된 커피 콩을 배출하기 위한) 커피 배출 또는 방출 상태에 대응하는 상이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방향전환 메커니즘이다. 메커니즘(17)은, 특히 각자의 상태(로스팅, 배출 등)의 특정 기능에 대해, 디아비스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이 유리하게는 방향전환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메커니즘(17)은 공기의 흐름에 대한 선택기로서 작용한다. 메커니즘(17)은 특정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커니즘(17)은 링, 탱크 및/또는 슬리브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메커니즘(17)은 방향전환 링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이지만, 장치(1) 또는 시스템(100)의 다른 설계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여야 한다. 특히, 호퍼(2) 및/또는 호퍼(102) 및/또는 분쇄기와 같은 시스템(100)의 특징부는 또한 장치(1)의 특징부일 수 있다.

Claims (15)

  1. 커피 콩을 로스팅(roasting)하기 위한 장치(1)로서,
    커피 콩이 로스팅을 위해 수용될 수 있는 챔버(10); 및
    상기 챔버(10)에 의해 수용된 상기 커피 콩을 교반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10)는 하단부(11), 상단부(12), 및 상기 하단부(11)로부터 상기 상단부(12)까지 연장되는 측벽(13)에 의해 경계설정되고, 상기 측벽(13)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배출 포트(30)를 포함하여서, 상기 배출 포트(30)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상기 공기의 흐름이 상기 커피 콩을 상기 배출 포트(30)를 통해 구동하여 상기 챔버(10)로부터 배출될 수 있게 하는,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포트(30)는 상기 상단부(12)보다 상기 하단부(11)에 더 가깝도록 배열되고/되거나, 상기 배출 포트(30)는 상기 하단부(11)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거리는 상기 챔버(10)의 높이의 0% 또는 5% 또는 10% 또는 20% 또는 30% 또는 40% 또는 50% 또는 60% 또는 70% 내지 상기 챔버(10)의 높이의 5% 또는 10% 또는 20% 또는 30% 또는 40% 또는 50% 또는 60% 또는 70% 또는 80%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챔버(10)의 높이는 상기 챔버(10)의 상기 하단부(11)로부터 상기 상단부(12)까지인,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포트(30)는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가능하고/하거나, 상기 장치(1)는 상기 배출 포트(30)를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배열되는 구동 유닛(36)을 포함하는, 장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포트(30)는 상기 배출 포트(30)를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활주가능하게 또는 피벗가능하게 이동가능하고/하거나, 상기 측벽(13)은 상기 배출 포트(30)를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가능한, 예컨대 피벗가능하게 이동가능한, 장치(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챔버(10)에 의해 수용된 상기 커피 콩을 로스팅하기 위한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여서, 상기 그렇게 가열된 공기가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챔버(10) 내로 취입되어 상기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게 하고/하거나,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챔버(10)에 의해 수용된 상기 커피 콩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적응되는, 장치(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상기 장치(1)를 로스팅 모드와 배출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로스팅 모드에서 상기 배출 포트(30)는 상기 폐쇄 위치에 있고, 상기 배출 모드에서 상기 배출 포트(30)는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장치(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 모드에서, 상기 장치(1)는, 예컨대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챔버(10) 내측에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챔버(10)에 의해 수용된 상기 커피 콩을 로스팅하도록 배열되는, 장치(1).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모드에서, 상기 장치(1)는,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상기 공기의 흐름을 사용하여 상기 커피 콩을 상기 배출 포트(30)를 통해 구동하여 상기 챔버(10)로부터 배출되게 하도록 배열되는, 장치(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배출 포트(30)를 포함하는 상기 측벽(13)의 단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갖는, 장치(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11)는 공기 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챔버(10) 내측에 상기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입구를 통해 공기를 취입하도록 배열되는, 장치(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12)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출구(14)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출구(14)는 공기 및/또는 커피 채프(chaff)가 상기 챔버(10)로부터 배출되도록 허용하는, 장치(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프 수집기(5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채프 수집기(50)는, 예컨대 상기 출구(14)를 통해, 상기 커피 콩의 채프를 수집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의 흐름을 사용하여 상기 채프를 상기 채프 수집기(50) 내로 구동하도록 적응되는, 장치(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1) 및 추가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추가 장치는 상기 장치(1)로부터 상기 배출 포트(3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커피 콩을 처리하기 위해 상기 장치(1)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시스템(10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장치는 상기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를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추가 장치는 상기 커피 콩으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 기계(101)를 포함하는, 시스템(100).
  15. 커피 콩이 로스팅을 위해 수용되는 챔버(10)로부터 상기 커피 콩을 방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챔버(10)는 하단부(11), 상단부(12), 및 상기 하단부(11)로부터 상기 상단부(12)까지 연장되는 측벽(13)에 의해 경계설정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챔버(10)에 의해 수용된 상기 커피 콩을 교반 및/또는 로스팅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챔버(10)의 측벽(13) 내에 제공되는 배출 포트(30)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공기의 흐름이 상기 커피 콩을 상기 배출 포트(30)를 통해 구동하여 상기 챔버(10)로부터 배출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01816A 2020-07-24 2021-06-24 커피 콩을 로스팅하고 배출하기 위한 장치 및 공정 Pending KR202300438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87611 2020-07-24
EP20187611.7 2020-07-24
PCT/EP2021/067310 WO2022017718A1 (en) 2020-07-24 2021-06-24 Apparatus and process for roasting and discharging coffee bea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828A true KR20230043828A (ko) 2023-03-31

Family

ID=7178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816A Pending KR20230043828A (ko) 2020-07-24 2021-06-24 커피 콩을 로스팅하고 배출하기 위한 장치 및 공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30263207A1 (ko)
EP (1) EP4185120B1 (ko)
JP (1) JP2023534908A (ko)
KR (1) KR20230043828A (ko)
CN (1) CN116193998A (ko)
AU (1) AU2021310885A1 (ko)
BR (1) BR112022025439A2 (ko)
CA (1) CA3179670A1 (ko)
ES (1) ES3031987T3 (ko)
IL (1) IL298247A (ko)
MX (1) MX2022016268A (ko)
WO (1) WO2022017718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4175A (en) * 1974-11-11 1976-06-22 Michael Sivetz Coffee roasting system
JPH01190317A (ja) * 1988-01-25 1989-07-31 Mutsuo Tanaka 全自動コーヒー抽出装置
US5322005A (en) * 1988-09-02 1994-06-21 Nichimen Corporation High capacity coffee maker with improved filtration
ATE88862T1 (de) * 1988-12-22 1993-05-15 Bersten Ian J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oesten von nahrungsmitteln.
RU2556513C2 (ru) * 2010-02-17 2015-07-10 Конинклейке Дауве Егбертс Б.В. Картридж упаковки кофейных зерен и система варки кофе,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подобный
WO2014207616A1 (en) * 2013-06-26 2014-12-31 Koninklijke Philips N.V.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ffee beans
WO2018053436A1 (en) * 2016-09-16 2018-03-22 Integrated Roasting Technologies, Inc.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of substance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63207A1 (en) 2023-08-24
IL298247A (en) 2023-01-01
BR112022025439A2 (pt) 2023-01-31
EP4185120A1 (en) 2023-05-31
MX2022016268A (es) 2023-03-03
EP4185120B1 (en) 2025-04-02
ES3031987T3 (en) 2025-07-14
JP2023534908A (ja) 2023-08-15
AU2021310885A1 (en) 2022-12-22
CA3179670A1 (en) 2022-01-27
WO2022017718A1 (en) 2022-01-27
CN116193998A (zh) 202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6679B (fi) Anordning foer rostning av speciellt smao maengder groena kaffeboenor.
US5638607A (en) Coffee roaster
KR101073072B1 (ko) 커피 로스터
US20190039096A1 (en) Separation apparatus, grinding apparatus and beverage producing apparatus
CN112584727A (zh) 烹饪装置及其部件
JP2013544601A (ja) 飲料機の為の簡単な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US20190298106A1 (en) An air-based cooker
CN211749120U (zh) 与一个或多个混合装置一起使用的手持混合器和具有软化功能的混合器
KR20230043828A (ko) 커피 콩을 로스팅하고 배출하기 위한 장치 및 공정
RU2836836C1 (ru) Аппарат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жаривания кофейных зерен
CN214231006U (zh) 料理机
JP7676528B2 (ja) コーヒー豆焙煎装置
CN109528502B (zh) 一种面膜机
EP41644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asting coffee beans
KR101583799B1 (ko) 음식물 가공기
RU282035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жаривания кофейных зерен и сбора кофейной шелухи
JP7641286B2 (ja) コーヒー豆の焙煎用及びコーヒーチャフの収集用装置
JPH1014774A (ja) 全自動コーヒーメ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4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