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389A -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1389A KR20230031389A KR1020210113559A KR20210113559A KR20230031389A KR 20230031389 A KR20230031389 A KR 20230031389A KR 1020210113559 A KR1020210113559 A KR 1020210113559A KR 20210113559 A KR20210113559 A KR 20210113559A KR 20230031389 A KR20230031389 A KR 202300313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mp
- cover
- container
- insertion space
- part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7 insec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 구조를 개선한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liquid injection with an improved passage structure through which contents are discharged.
화장품 용기 등에 있어서 펌프는 향수 등과 같은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의 상부 입구에 결합되어 정량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 분사하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는 액상의 내용물을 분사하기 위해서 버튼에 해당하는 노즐을 하향 가압하면, 펌프의 내부에 유입되어 있는 내용물이 가압되어 배출 통로를 따라서 상승하여 노즐을 통해서 분사된다. 그리고 노즐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배출 통로는 노즐의 상승에 의해서 기구적으로 폐쇄되고 펌프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면서 이를 보충하기 위해서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유입된다. In a cosmetic container or the like, a pump is coupled to an upper entrance of a container for storing liquid contents such as perfume and the like, and functions to discharge and spray a fixed quantity of contents to the outside. When the user presses the nozzl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downward to spray the liquid content, the content flowing into the pump is pressurized and rises along the discharge passage to be sprayed through the nozzle. When the pressurization of the nozzle is released, the discharge passage is mechanically closed by the elevation of the nozzle, and as the pressure inside the pump decreases, contents are introduced from the container to compensate for this.
이와 같은 펌프는 향수 및 화장품은 물론 방향제, 살충제 등과 같이 다양한 내용물을 분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한 번의 노즐 가압에 의해서 내용물을 정량 토출할 수 있고, 내용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해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펌프와, 펌프가 결합된 용기의 일반적인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6361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Such a pump is used for spraying various contents such as fragrances and cosmetics as well as fragrances and insecticides. In particular, the amount of content can be discharged by one-time nozzle pressurization, and since the conten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convenient to use, and the demand is increasing. A gener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ump and a container in which the pump is coupled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963619 and the like.
한편, 펌프는 내용물이 보관된 바디(본체)로부터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해서 길이가 긴 호스와 연결되고, 호스의 하단부는 바디의 바닥면과 접하고 있다. 펌프의 흡입력이 호스에 전달되어서 바디에 보관된 내용물이 호스를 통해서 펌프에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호스는 바디에 보관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하지만, 바디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부에서 보이기 때문에 바디의 심미감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특히, 바디가 화장품 용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심미감 저하의 문제가 더욱 부각된다. 따라서 펌프를 사용하는 용기는 호스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바디를 투명하지 않은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On the other hand, the pump is connected to a long hose to discharge the contents from the body (main body) in which the contents are stored, and the lower end of the hos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The suction power of the pump is transmitted to the hose, and the contents stored in the body flow into the pump through the hose. Such a hose makes it possible to use all contents stored in the body, but is a factor that deteriorates the aesthetics of the body because it is inserted into the body and visible from the outside. In particular, when the body corresponds to a cosmetic container,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in aesthetics is further highlighted. Therefore, the container using the pump is often made of a non-transparent material to prevent the hos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 구조를 개선해서 호스를 제거할 수 있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intended to provide a container for liquid injection capable of removing a hose by improving a passage structure through which contents are discharg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clearer through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파티션에 의해서 충진공간 및 바디유출통로로 구분되고, 파티션의 하부에는 바디유출통로의 입구에 해당하는 하부바디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파티션의 상부에는 바디유출통로의 출구에 해당하는 상부바디홀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와, 바디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부바디홀와 연통되는 커버채널과, 커버채널과 연통되는 펌프삽입공간을 구비하는 바디커버와, 펌프삽입공간에 삽입되어 내용물을 흡입해서 분사하는 펌프와, 바디커버의 상부에 결합하고 펌프삽입공간으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펌프서포트를 포함한다. A container for liquid injec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filling space and a body outflow passage by a partition formed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wer body hole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of the body outflow passage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In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a body having an upper body hole corresponding to the outlet of the body outflow passage, a cover channel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body hole, and a pump insertion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cover channel It includes a body cover provided, a pump inserted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to inhale and spray contents, and a pump suppor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cover and blocking external air inflow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티션은 바디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은 바디의 둘레 방향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the parti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Also, the partition may have a convex curved shap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펌프서포트는 커버채널을 커버할 수 있다. The pump support may cover the cover channel.
펌프삽입공간은 커버채널에 비해서 낮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ump insertion space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cover channel.
펌프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펌프삽입공간과 연통되는 하부유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ump may include a housing, and a lower inle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pump insertion space may b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펌프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펌프삽입공간의 내주면과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ump may include a housing, and a predetermined gap may be formed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mp insertion sp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는, 내용물을 흡입해서 배출할 수 있는 펌프와, 펌프가 삽입되는 펌프삽입공간을 구비하고, 내부에 파티션을 구비해서 파티션에 의해 구분되는 바디유출통로를 구비하는 바디와, 바디의 상부에 결합하고, 펌프의 둘레에 밀착되어 펌프삽입공간으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펌프서포트를 포함하고, 바디의 상부에는 바디유출통로 및 펌프삽입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커버채널이 형성된다. A container for liquid injec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mp capable of inhaling and discharging contents, a pump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pump is inserted, and a body outflow passage separated by the partition having a partition therein. A body having a bod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a pump support that is closely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pump to block external air inflow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and the upper part of the body communicates with the body outlet passage and the pump insertion space, respectively A cover channel is form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stablished when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exerted.
본 발명은 내용물 배출을 위한 호스를 제거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ntainer capable of removing a hose for discharging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중심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펌프를 제거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예시된 용기의 바디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베이스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웨이트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바디커버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사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펌프서포트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사시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숄더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사시단면도이다.
도 14는 바디커버, 펌프서포트 및 숄더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디의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디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for liquid eje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entr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with the pump removed.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body of the container illustrated in FIG. 1 .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e.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ight.
8 and 9 are perspective and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body cover.
10 and 11 are perspective and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ump support.
12 and 13 are perspective and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houlder.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ody cover, a pump support, and a shoulder are coupled.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d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ncludes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 is omitted.
본 실시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는 화장품, 향수, 샴푸, 각종 세제, 소독제, 약품 등 다양한 종류의 액체를 분사할 수 있으며, 분사 대상이 되는 내용물의 종류, 성질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The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pray various types of liquids such as cosmetics, perfumes, shampoos, various detergents, disinfectants, and medicines, and is not limited by the type and nature of the contents to be spray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10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중심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펌프(230)를 제거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3에 표시된 화살표는 내용물의 배출 흐름을 예시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을 보관하는 바디(110)의 충진공간(112)에 호스를 제거하고,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바디(110)의 측면에 파티션(114) 등을 통해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바디(110)의 재질을 투명하게 하더라도 그 내부에 호스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용기의 심미감을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된다. 1 to 3,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바디(110), 바디커버(150), 펌프서포트(170), 숄더(200), 노즐캡(220), 펌프(230) 및 상부캡(250)을 포함한다. The
상부캡(250)은 중공의 기둥 형상을 갖고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상부캡(250)은 숄더(200)의 둘레에 결합해서 노즐캡(220)을 커버한다. The
노즐캡(220)은 숄더(200)의 내부에 삽입되고, 그 내부에 구비된 노즐(222)은 펌프(230)의 밸브(234)와 별도의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결합한다. 밸브(234)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캡(220)도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서 상승할 수 있다. 펌프(230)의 밸브(234)를 통과한 내용물은 노즐(222)를 통해서 용기(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펌프(230)는 바디커버(150)에 형성된 펌프삽입공간(154)에 그 하부가 삽입되고 숄더(200)의 걸림돌기(214)에 의해서 하우징(232)이 하향 가압되어서 위치 고정된다. 펌프(230)는 펌프삽입공간(154)의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내용물을 그 내부로 흡입해서 노즐(222)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The lower part of the
펌프(230)는 하우징(232), 밸브(234), 하우징캡(236), 피스톤(238), 가이드(240) 및 디스크(242)를 포함하는데, 이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63619호에 기재된 펌프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하우징(232)의 하부는 펌프삽입공간(154)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다. 하우징(232)의 외주면과 펌프삽입공간(154)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232)의 바닥면에는 펌프삽입공간(154)과 연통되는 하부유입홀(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32)의 둘레면에는 숄더(170)의 밀착돌기(192)에 의해 가압되어 외부의 공기 유입이 차단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도 4 및 도 5는 도 1에 예시된 용기(100)의 바디(110)에 대한 사시도이다.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바디(110)는 내용물을 보관하는 충진공간(112)을 구비하고, 충진공간(112)은 파티션(114)에 의해서 바디유출통로(113)와 구분된다. 파티션(114)은 바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바디(110)의 내부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파티션(114)의 하단부에는 하부바디홀(11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서 충진공간(112)의 내용물이 바디유출통로(113)로 유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to 5 , the
본 발명은 파티션(114)의 하부에 하부바디홀(116)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충진공간(112)에서 바디유출통로(113)로 유입되는 통로의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은 하부바디홀(116)을 구비하지 않고 베이스(134)의 바닥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파티션(114)이 바디(110)와 별도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디는 그 내부에 파티션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emplified as having the
바디유출통로(113)는 충진공간(112)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구비하는 것으로, 내용물이 상향 이동하는 통로에 해당한다. 즉, 펌프(230)의 작동에 의해서 내용물은 하부바디홀(116)을 통해서 바디유출통로(113)로 유입되어 상승하고 상부바디홀(126) 및 커버채널(158)을 통해서 펌프삽입공간(154)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바디유출통로(113)는 바디(110)의 일 측에 구비되어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The
바디유출통로(113)의 내부에는 웨이트(140)가 삽입될 수 있다. 웨이트(140)는 바디유출통로(113)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지만 다소 축소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바디유출통로(113)의 내부에 웨이트(140)를 삽입함으로써, 내용물 이동을 위한 미세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A
바디유출통로(113)의 단면적이 충분히 작은 경우에는 웨이트(140)를 삽입하지 않을 수도 있다.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의 바디(110)는 대체적으로 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바디(110)의 단면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바디가 원형,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The
바디(110)의 상부에는 결합면(118)이 형성될 수 있고, 바디(110)의 하부는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결합면(118)의 중앙에는 센터홀(120) 및 센터돌기(1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일 측에는 에어노즐(132) 및 바디돌기(125)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면(118)은 바디(110)의 상단부에서 약간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바디(110)의 상부는 결합면(118)에 의해서 오목한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는 바디커버((150), 펌프서포트(170) 및 숄더(200)가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A
결합면(118)의 중앙에는 센터홀(120) 및 센터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센터홀(120)은 센터돌기(12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돌기(122)의 내부에는 바디커버(150)의 펌프삽입공간(154)이 삽입된다. 센터홀(120)을 통해서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고, 센터홀(120)은 바디커버(150)를 위치 고정하고 바디(110)에 결합할 수 있게 한다. A
바디돌기(125)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결합면(118)에 의해 폐쇄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바디돌기(125)의 내부 위치하는 결합면(118)에는 상부바디홀(1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돌기(125)의 내부에는 바디커버(150)의 하면에 형성된 통로돌기(162)가 삽입되어 연통된다. 이와 같이, 바디돌기(125)는 내용물이 유출되는 통로에 해당하는 상부바디홀(126)과 커버채널(158)을 상호 연결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일정한 내부공간을 가져서 유출 통로의 부피를 일정하게 제한하고 폐쇄된 유출 통로를 형성한다. The
바디(110)의 상부 내주면에는 둘레 전체에 걸쳐서 결합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30)에는 숄더(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206)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숄더(200)가 바디(110) 상부에 결합된다. Coupling
에어노즐(132)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하단부는 충진공간(112)과 연통되어 있다. 에어노즐(132)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충진공간(1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충진공간(112)의 압력 저하가 방지되고 대기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에어노즐(132)은 바디커버(150)에 형성된 에어유입돌기(167)에 삽입되어 그 상단부가 개방된다. The
도 6은 베이스(134)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6을 참고하면, 바디(110)의 개방된 하부에는 베이스(134)가 결합할 수 있다. 베이스(134)는 바디(110)와 동일한 단면을 갖고 얇게 형성된 플레이트에 해당할 수 있다. 베이스(134)에는 삽입홈(136)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홈(136)에는 웨이트(140)의 하부돌기(142)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134)는 바디(110)의 하부에 접착 또는 융착 등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to 3 and 6 , a
도 7은 웨이트(14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7을 참고하면, 웨이트(140)는 바디유출통로(113)와 동일한 형상 및 다소 작은 사이즈의 단면을 갖는다. 그리고 웨이트(140)의 상부에는 상부홈(14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부바디홀(126)을 통해서 내용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웨이트(14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돌기(142)는 베이스(134)의 삽입홈(136)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웨이트(140)가 바디유출통로(113)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to 3 and 7 , the
도 8 및 도 9는 바디커버(150)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사시 단면도이다. 8 and 9 are perspective and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8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바디커버(150)는 바디(110)의 상부에 결합하고, 그 상부에는 펌프서포트(170) 및 숄더(200)가 순차적으로 결합한다. 바디커버(150)는 바디(110)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커버면(152)과, 커버면(152)의 일 면에서 상향 돌출되고 상부가 개방된 링 형상의 상부둘레면(16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부둘레면(164)의 내부에는 펌프삽입공간(154), 커버채널(158), 고정돌기(163), 에어유입돌기(167)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면(152)의 하면에는 통로돌기(162)가 하향 돌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S. 2 to 3 and 8 to 9 , the
펌프삽입공간(154)은 커버면(152)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으로서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펌프삽입공간(154)의 내부에는 펌프(230)의 하우징(232)이 삽입된다. 그리고 하우징(232)의 하면에는 홀(도면부호 업음)이 형성되어 있는데, 펌프삽입공간(154)으로 유입된 내용물은 하우징(232) 하면의 홀을 통해서 하우징(232)의 내부로 유입된다. The
펌프삽입공간(154)은 커버면(152)에서 하향 돌출되어 있고, 이 부분은 바디(110)의 센터돌기(122)의 내부에 삽입된다. The
펌프삽입공간(154)의 상부 일 측은 커버채널(158)과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펌프삽입공간(154)은 커버채널(158)에 비해서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채널(158)을 통해서 유입된 내용물이 펌프삽입공간(154)의 바닥면으로 하강해서 하우징(232)의 내부로 유입된다. One upper side of the
펌프삽입공간(154)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이격돌기(156)가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격돌기(156)는 일정한 높이를 갖고, 다수 개가 상호 일정 간격을 갖고 배치될 수 있다. 펌프(230)의 하우징(232)은 이격돌기(156)와 접하면서 펌프삽입공간(154)의 바닥면에서 그 높이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펌프삽입공간(154)으로 유입된 내용물은 이격돌기(156)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서 하우징(23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커버면(152)에는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는 커버채널(158)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채널(158)은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일단은 커버유입홀(160)과 연통되고 타단은 펌프삽입공간(154)과 연통된다. 그리고 커버채널(158)은 바닥면 및 두 개의 측면으로 규정되고, 그 개방된 상부는 펌프서포트(170)에 의해서 폐쇄된다. A
커버채널(158)의 일단에 형성된 커버유입홀(160)은 커버면(152)을 관통해서 형성된 것으로, 통로돌기(162)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The
통로돌기(162)는 커버면(152)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하단부는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통로돌기(162)의 상단부는 커버면(152)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고, 커버유입홀(160)을 통해서만 커버채널(158)과 연통된다. 통로돌기(162)는 바디(110)의 상부에 형성된 바디돌기(125)의 내부에 삽입된다. The
고정돌기(163)는 커버면(152) 상에 두 개가 형성되어 있고, 에어유입돌기(167)와 함께 3개가 정삼각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돌기(163)는 펌프서포트(170)의 하부에 형성된 두 개의 제2 삽입홈(188)에 각각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바디커버(150)의 상부에 펌프서포트(170)가 결합된다. Two fixing
상부둘레면(164)의 외주면에는 결합돌기(166)가 형성되어 있다. 바디커버(150)의 상부에 펌프서포트(170)가 결합하는 경우 그 외부둘레면(172)과 내부둘레면(174) 사이에 형성된 결합홈(176)에 상부둘레면(164)의 외부에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돌기(166)가 외부둘레면(172)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도면부호 없음)에 삽입될 수 있다.A
상부둘레면(164)의 내부에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 에어유입돌기(167)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유입돌기(167)의 상단 및 하단은 모두 개방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바디(110)의 에어노즐(132)이 삽입된다. 에어노즐(132)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서 바디(110)의 충진공간(112)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An
도 10 및 도 11은 펌프서포트(170)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사시단면도이다. 10 and 11 are perspective and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펌프서포트(170)는 바디커버(150)의 상부에 결합되어 펌프(2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펌프삽입공간(154)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펌프서포트(170)는 커버채널(158) 및 커버유입홀(160)을 포함해서 바디커버(15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2 to 3 and 10 to 11, the
펌프서포트(170)는 중앙에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 서포트바디(180)와, 그 둘레에 형성된 외부둘레면(172) 및 내부둘레면(174)을 구비한다. The
외부둘레면(172) 및 내부둘레면(174)은 링 형상의 횡단면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는 간격에 해당하는 결합홈(176)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76)에는 바디커버(150)의 상부둘레면(164)이 억지끼워맞춤(press fitting)에 의해서 삽입된다. 그리고 외부둘레면(172)의 상부에는 안착단턱(178)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상면은 숄더(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가압돌기(208)에 의해서 하향 가압된다. The outer
서포트바디(180)는 내부둘레면(174)의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둘레면(174)에 비해서 더 큰 높이를 갖는다. 서포트바디(180)의 외주면에는 바디걸림홈(182)이 형성되어 있고, 바디결합홈(182)의 내부에는 숄더(20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결합돌기(212)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바디걸림홈(182) 및 내부결합돌기(212)에 의해서 펌프서포트(170)에 숄더(2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The
서포트바디(180)의 내부 빈 공간에는 펌프(230)의 하우징(232)이 삽입된다. 그리고 서포트바디(180)의 하부 내주면에는 링 형상을 갖는 밀착돌기(192)가 형성되어 있다. 밀착돌기(192)는 펌프(230)의 하우징(232)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밀착되는데, 이로 인해 펌프삽입공간(154)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The
서포트바디(180)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그 상단에서 시작해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서포트에어홈(190)이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에어홈(190)과 펌프(230)의 하우징(232)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을 통해서 바디(110)의 에어노즐(132)의 상단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A
내부둘레면(174)과 서포트바디(180)의 사이에는 링 형상의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에는 각각의 상면(187, 189)을 갖는 하나의 제1 삽입홈(186) 및 두 개의 제2 삽입홈(18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홈(186) 및 제2 삽입홈(188)은 상부는 상면(187, 189)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고 하부가 개방된 빈 공간에 해당한다. A ring-shaped empty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제1 삽입홈(186)에는 커버바디(150)에 형성된 에어유입돌기(167)가 삽입된다. 그리고 에어유입돌기(167)의 상단부는 상면(187)과 접하지 않기 때문에 그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삽입홈(188)의 내부에는 고정돌기(163)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바디커버(150)의 상부에 펌프서포트(17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An
도 12 및 도 13은 숄더(200)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사시단면도이다.12 and 13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숄더(200)는 펌프서포트(170)의 상부에 결합해서 펌프(230)를 하향 가압하는 것으로 그 상부에는 노즐캡(220)이 결합한다. 숄더(200)는 중공 원기둥 형상의 펌프결합부(210)와, 그 둘레에 형성되고 하부만 개방된 바디결합부(202)로 이루어진다. 2 to 3 and 12 to 13, the
바디결합부(202)는 결합둘레면(204)을 구비하는데, 이는 바디(110)의 상부에서 결합면(118)에 의해서 형성된 홈 부분에 삽입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바디결합부(202)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내부에 바디커버(150) 및 펌프서포트(170)가 수용된다. The
바디결합부(202)는 상면(도면부호 없음)을 구비하고 상면은 바디(110)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면의 중앙에는 펌프결합부(21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에는 가압돌기(208)가 바디결합부(202)의 내부에서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가압돌기(208)는 펌프서포트(170)의 안착단턱(178)을 하향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 펌프서포트(170) 및 펌프(230)가 안정적으로 바디(110)에 결합된다. The
펌프결합부(21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상단 및 하단은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펌프결합부(210)의 내부에는 펌프(230) 및 서포트바디(180)가 삽입된다. 그리고 펌프결합부(210)의 하단부는 바디결합부(202)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The
펌프결합부(210)의 내부에는 링 형상의 걸림돌기(214)가 내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214)는 부분적으로 절개된 숄더에어홀(216)을 구비한다. 걸림돌기(214)는 펌프(230)의 하우징(232)의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233)를 하향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 펌프(230)가 펌프삽입공간(154)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도 2를 참고하면, 플랜지(233)는 펌프서포트(170)의 서포트바디(180)의 상단부와 접촉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간격에 의해서 용기(100) 외부의 공기가 숄더에어홀(216), 서포트에어홈(190) 및 에어노즐(132)을 통해서 충진공간(1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Inside the
숄더에어홀(216)은 걸림돌기(214)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아크(arc) 형상의 홀에 해당한다. 그리고 숄더에어홀(216)의 하부에는 내부결합돌기(2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The
내부결합돌기(212)는 펌프결합부(210)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된다. 내부결합돌기(212)는 서포트바디(18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182)에 삽입된다. The
도 14는 바디커버(150), 펌프서포트(170) 및 숄더(200)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4의 점선 화살표는 공기의 유입 방향을 예시한다.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14를 참고하면, 펌프(230)의 흡입력에 의해서 충진공간(112)에 있는 내용물은, 파티션(114)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바디홀(116)를 통해서 바디유출통로(113)로 유입된 후 상승해서 상부바디홀(126)을 통해서 바디유출통로(113)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내용물은 상부바디홀(126)을 나온 후 통로돌기(16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커버유입홀(160) 및 커버채널(158)을 통해서 펌프삽입공간(154)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내용물은 펌프삽입공간(154)에서 펌프(230)의 흡입력에 의해서 하우징(232)의 내부로 유입된 후 노즐캡(220)에 구비된 노즐(222)을 통해서 용기(100) 외부로 배출된다. 2 to 3 and 14, the content in the filling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바디(110)의 내부에 내용물을 흡입하기 위한 호스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호스에 의해서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충진공간(112)의 내부에서 내용물이 펌프(230)에 의해서 유출되면서 충진공간(112) 내부의 압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진공간(112) 내부의 압력 저하는 펌프(230)의 흡입력 저하를 유발하기 때문에, 충진공간(112) 내부의 압력을 일정 압력(예를 들면, 대기압)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As the contents are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filling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외부의 공기가 노즐캡(220)과 펌프결합부(21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도면 부호 없음)을 통해서 펌프결합부(2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펌프결합부(210)에 유입된 공기는 숄더에어홀(216), 서포트에어홀(190) 및 에어노즐(132)을 통해서 충진공간(112)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충진공간(112)의 내부로 유입되어 대기압을 유지함으로써 펌프(230)의 흡입력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In the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디(310)의 횡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도 15를 참조하면, 바디(310)의 내부에는 파티션(312)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310)를 사출 성형할 때 파티션(312)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312)은 바디(310)의 둘레면 방향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 a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디(41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도 16을 참고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디(410)는 제1 실시예의 바디(110)와 바디커버(150)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바디(410)의 상부에 바디커버(15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고 바디(41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파티션 및 바디유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410)의 상부에 형성된 커버면(152), 펌프삽입공간(154), 커버채널(158), 커버유입홀(160), 고정돌기(163), 상부둘레면(164), 에어유입돌기(167)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16 ,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100: 액체 분사 용기
110: 바디
150: 커버바디
170: 펌프서포트
180: 서포트바디
200: 숄더
220: 노즐캡
230: 펌프
250: 상부캡100: liquid injection container
110: body
150: cover body
170: pump support
180: support body
200: shoulder
220: nozzle cap
230: pump
250: upper cap
Claims (8)
상기 바디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바디홀와 연통되는 커버채널과, 상기 커버채널과 연통되는 펌프삽입공간을 구비하는 바디커버;
상기 펌프삽입공간에 삽입되어 내용물을 흡입해서 분사하는 펌프; 및
상기 바디커버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펌프삽입공간으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펌프서포트를 포함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It is divided into a filling space and a body outflow passage by a parti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a lower body hole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of the body outflow passage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and the body outflow passag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A body in which an upper body hole corresponding to the exit of is formed;
a body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cover channel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body hole and a pump insertion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cover channel;
a pump that is inserted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to suction and spray contents; and
A container for liquid injection including a pump suppor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cover and blocking an inflow of external air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상기 파티션은 상기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artition is a container for liquid inje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상기 파티션은 상기 바디의 둘레 방향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2,
The partition is a container for liquid inje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상기 펌프서포트는 상기 커버채널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ump support is a container for liquid inj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cover the cover channel.
상기 펌프삽입공간은 상기 커버채널에 비해서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ump insertion space is a container for liquid inje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ower than the cover channel.
상기 펌프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펌프삽입공간과 연통되는 하부유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ump has a housing, and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lower inle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pump insertion space.
상기 펌프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펌프삽입공간의 내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ump is provided with a housing, and a container for liquid inje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constant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mp insertion sp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펌프가 삽입되는 펌프삽입공간을 구비하고, 내부에 파티션을 구비해서 상기 파티션에 의해 구분되는 바디유출통로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펌프의 둘레에 밀착되어 상기 펌프삽입공간으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펌프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상부에는 상기 바디유출통로 및 상기 펌프삽입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커버채널이 형성된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A pump capable of inhaling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a body having a pump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pump is inserted, and having a partition therein and having a body outflow passage separated by the partition;
A pump suppor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closely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pump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A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with a cover channel communicating with the body outflow passage and the pump insertion space, respective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3559A KR102643135B1 (en) | 2021-08-27 | 2021-08-27 |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3559A KR102643135B1 (en) | 2021-08-27 | 2021-08-27 |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1389A true KR20230031389A (en) | 2023-03-07 |
KR102643135B1 KR102643135B1 (en) | 2024-03-04 |
Family
ID=8551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3559A Active KR102643135B1 (en) | 2021-08-27 | 2021-08-27 |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3135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3600Y1 (en) * | 2002-02-09 | 2002-05-03 | 심충택 | A valve of tube |
KR200416530Y1 (en) * | 2006-02-18 | 2006-05-16 | 강성일 | Cosmetic container with airless discharge pump |
KR20130068276A (en) * | 2011-12-15 | 2013-06-26 | 이기선 | Economy Pump Container |
KR20190142046A (en) * | 2018-06-15 | 2019-12-26 | 양형택 | Pump type liquid airtight container |
-
2021
- 2021-08-27 KR KR1020210113559A patent/KR10264313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3600Y1 (en) * | 2002-02-09 | 2002-05-03 | 심충택 | A valve of tube |
KR200416530Y1 (en) * | 2006-02-18 | 2006-05-16 | 강성일 | Cosmetic container with airless discharge pump |
KR20130068276A (en) * | 2011-12-15 | 2013-06-26 | 이기선 | Economy Pump Container |
KR20190142046A (en) * | 2018-06-15 | 2019-12-26 | 양형택 | Pump type liquid airtight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43135B1 (en) | 2024-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59499B2 (en) | Fluid-dispensing pump and container provided therewith | |
CN101384190A (en) | e.g. dispensers for cosmetics | |
KR102403988B1 (en) |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 |
US20130068797A1 (en) | Manual pump type fluid dispenser | |
KR101817077B1 (en) | Hand-Operated Dual Spray Device | |
US11259617B2 (en) | Device for dispensing and applying a product | |
US20150260179A1 (en) | Fluent Product Dispensing Package and Diaphragm Pump For Use Therein | |
IT9021979A1 (en) | PUMP DEVICE FOR DOSING OR DISPENSING HAND-OPERATED FLUIDS | |
JPS6312461A (en) | Dispenser | |
KR102356611B1 (en) |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 |
JPH10263444A (en) | Pump mechanism for liqiud injection | |
KR102383616B1 (en) |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 |
KR102573274B1 (en) | Tubeless dispenser container | |
KR102427023B1 (en) | Pump for dispensing fluid | |
KR102573275B1 (en) |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 |
KR20230031389A (en) |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 |
KR102176512B1 (en) |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vessel | |
JP7196191B2 (en) | cosmetic container | |
KR20230031388A (en) |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 |
KR102478899B1 (en) | Tubeless dispenser container | |
KR101923389B1 (en) | Fluid dispenser | |
KR102427032B1 (en) | Pump | |
KR20240000843U (en) | Spray liquid container with anti-loosening stopper structure | |
CN116997421A (en) | Fluid dispenser with priming device | |
JP2024531640A (en) | Liquid Dispens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