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31388A -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388A
KR20230031388A KR1020210113558A KR20210113558A KR20230031388A KR 20230031388 A KR20230031388 A KR 20230031388A KR 1020210113558 A KR1020210113558 A KR 1020210113558A KR 20210113558 A KR20210113558 A KR 20210113558A KR 20230031388 A KR20230031388 A KR 20230031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tube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5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9766B1 (en
Inventor
이경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to KR102021011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766B1/en
Publication of KR20230031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3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76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는 내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튜브와, 튜브가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와, 튜브의 외주면과 바디의 내주면 사이에 바디유출통로가 형성되고, 튜브의 하부에는 바디유출통로의 입구에 해당하는 하부튜브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의 상부에는 바디유출통로의 출구에 해당하는 상부이동홀이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을 흡입해서 배출할 수 있는 펌프와, 상부이동홀와 연통되는 커버채널과, 커버채널과 연통되고 펌프가 삽입되는 펌프삽입공간을 구비하는 바디커버와, 바디커버의 상부에 결합하고, 펌프의 둘레에 밀착되어 펌프삽입공간으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펌프서포트를 포함한다. A container for dispensing a liquid is disclosed. A container for liquid injec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in which a filling space is formed therein, a body into which the tube is inserted, and a body outflow passage formed betwee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A lower tube hole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the body outflow passag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an upper mov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outlet of the body outflow passag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a pump capable of sucking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A cover channel communicating with the moving hole, a body cover communicating with the cover channel and having a pump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pump is inserted,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cover, and closely adher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pump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Includes a pump support that

Description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CONTAINER FOR SPRAYING LIQUID}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본 발명은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 구조를 개선한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liquid injection with an improved passage structure through which contents are discharged.

화장품 용기 등에 있어서 펌프는 향수 등과 같은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의 상부 입구에 결합되어 정량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 분사하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는 액상의 내용물을 분사하기 위해서 버튼에 해당하는 노즐을 하향 가압하면, 펌프의 내부에 유입되어 있는 내용물이 가압되어 배출 통로를 따라서 상승하여 노즐을 통해서 분사된다. 그리고 노즐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배출 통로는 노즐의 상승에 의해서 기구적으로 폐쇄되고 펌프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면서 이를 보충하기 위해서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유입된다. In a cosmetic container or the like, a pump is coupled to an upper entrance of a container for storing liquid contents such as perfume and the like, and functions to discharge and spray a fixed quantity of contents to the outside. When the user presses the nozzl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downward to spray the liquid content, the content flowing into the pump is pressurized and rises along the discharge passage to be sprayed through the nozzle. When the pressurization of the nozzle is released, the discharge passage is mechanically closed by the elevation of the nozzle, and as the pressure inside the pump decreases, contents are introduced from the container to compensate for this.

이와 같은 펌프는 향수 및 화장품은 물론 방향제, 살충제 등과 같이 다양한 내용물을 분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한 번의 노즐 가압에 의해서 내용물을 정량 토출할 수 있고, 내용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해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펌프와, 펌프가 결합된 용기의 일반적인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6361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Such a pump is used for spraying various contents such as fragrances and cosmetics as well as fragrances and insecticides. In particular, the amount of content can be discharged by one-time nozzle pressurization, and since the conten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convenient to use, and the demand is increasing. A gener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ump and a container in which the pump is coupled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963619 and the like.

한편, 펌프는 내용물이 보관된 바디(본체)로부터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해서 길이가 긴 호스와 연결되고, 호스의 하단부는 바디의 바닥면과 접하고 있다. 펌프의 흡입력이 호스에 전달되어서 바디에 보관된 내용물이 호스를 통해서 펌프에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호스는 바디에 보관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하지만, 바디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부에서 보이기 때문에 바디의 심미감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특히, 바디가 화장품 용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심미감 저하의 문제가 더욱 크게 부각된다. 따라서 펌프를 사용하는 용기는 호스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바디를 투명하지 않은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On the other hand, the pump is connected to a long hose to discharge the contents from the body (main body) in which the contents are stored, and the lower end of the hos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The suction power of the pump is transmitted to the hose, and the contents stored in the body flow into the pump through the hose. Such a hose makes it possible to use all contents stored in the body, but is a factor that deteriorates the aesthetics of the body because it is inserted into the body and visible from the outside. In particular, when the body corresponds to a cosmetic container,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in aesthetics is more prominent. Therefore, in many cases, the container using the pump is made of a non-transparent material to prevent the hos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 구조를 개선해서 호스를 제거할 수 있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intended to provide a container for liquid injection capable of removing a hose by improving a passage structure through which contents are discharg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clearer through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는, 내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튜브와, 튜브가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와, 튜브의 외주면과 바디의 내주면 사이에 바디유출통로가 형성되고, 튜브의 하부를 통해서 내용물이 바디유출통로로 유입되며, 바디의 상부에는 바디유출통로의 출구에 해당하는 상부이동홀이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을 흡입해서 배출할 수 있는 펌프와, 상부이동홀와 연통되는 커버채널과, 커버채널과 연통되고 펌프가 삽입되는 펌프삽입공간을 구비하는 바디커버와, 바디커버의 상부에 결합하고, 펌프의 둘레에 밀착되어 펌프삽입공간으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펌프서포트를 포함한다. A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having a filling space formed therein, a body into which the tube is inserted, and a body outflow passage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the tube The contents flow into the body outflow passage through the lower part, and an upper mov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outlet of the body outflow passag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 pump capable of sucking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and a cover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moving hole Includes a channel, a body cover communicating with the cover channel and having a pump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pump is inserted, and a pump support coupled to the top of the body cover and closely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pump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do.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펌프서포트는 커버채널을 커버할 수 있다.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the pump support may cover the cover channel.

바디의 상부에는 상부이동홀과 연통되고 상향 돌출된 유출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바디커버는 유출돌기가 삽입되고 커버채널과 연통되는 통로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An outflow protrusion communicating with an upper moving hole and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body cover may include a passage protrusion into which the outflow protrusion is inserted and communicates with the cover channel.

펌프삽입공간은 커버채널에 비해서 낮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ump insertion space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cover channel.

펌프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펌프삽입공간과 연통되는 하부유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ump may include a housing, and a lower inle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pump insertion space may b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펌프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펌프삽입공간의 내주면과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와 바디커버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ump may include a housing, and a predetermined gap may be formed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mp insertion sp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body and the body cover may b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는, 내용물을 흡입해서 배출할 수 있는 펌프와, 내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튜브와, 튜브가 내부에 삽입되고 펌프가 삽입되는 펌프삽입공간을 구비하는 바디와, 바디의 상부에 결합하고, 펌프의 둘레에 밀착되어 펌프삽입공간으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펌프서포트를 포함하고, 튜브의 외주면과 바디의 내주면 사이에 바디유출통로가 형성되고, 튜브의 하부를 통해서 내용물이 바디유출통로로 유입되며, 바디의 상부에는 바디유출통로 및 펌프삽입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커버채널이 형성된다. A container for liquid injec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mp capable of sucking and discharging contents, a tube having a fill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 pump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tube is inserted and the pump is inserted. It includes a body and a pump support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closely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pump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and a body outflow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the tube The contents flow into the body outflow passage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a cover channel communicating with the body outflow passage and the pump insertion spac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stablished when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exerted.

본 발명은 내용물 배출을 위한 호스를 제거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ntainer capable of removing a hose for discharging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용기 상부를 예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예시된 용기의 바디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예시된 용기의 튜브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바디커버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사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펌프서포트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사시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숄더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사시단면도이다.
도 14는 노즐을 예시하는 사시단면도이다.
도 15는 펌프를 예시하는 사시단면도이다.
도 16은 바디커버가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튜브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for liquid eje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op of the container of Figure 2;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body of the container illustrated in FIG. 1 .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tube of the container illustrated in FIG. 1 .
8 and 9 are perspective and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body cover.
10 and 11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ump support.
12 and 13 are perspective and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houlder.
14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nozzle.
15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ump.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ube with a body cover integrally formed there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ncludes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 is omitted.

본 실시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는 화장품, 향수, 샴푸, 각종 세제, 소독제, 약품 등 다양한 종류의 액체를 분사할 수 있으며, 분사 대상이 되는 내용물의 종류, 성질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The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pray various types of liquids such as cosmetics, perfumes, shampoos, various detergents, disinfectants, and medicines, and is not limited by the type and nature of the contents to be spray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10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용기(100)의 상부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3에 표시된 화살표는 내용물의 배출 흐름을 예시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100 for spraying liqui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0 in FIG. For reference, the arrows shown in FIG. 3 illustrate the discharge flow of the contents.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을 보관하는 튜브(140)의 충진공간(112)에 호스를 제거하고,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바디(110)의 내부에 튜브(140)를 삽입해서 원형의 바디유출통로(11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바디(110) 및 튜브(140)의 재질을 투명하게 하더라도 그 내부에 호스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용기의 심미감을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된다. 1 to 3, the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removes the hose from the filling space 112 of the tube 140 for storing the contents (not shown), and open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e 140 is inserted into the body 110 to form a circular body outflow passage 113. For this reason, the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implify the structure, and even if the materials of the body 110 and the tube 140 are made transparent, the aesthetics of the container is further improved because the hose is not visible therein. You can do it.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바디(110), 튜브(140), 바디커버(160), 펌프서포트(180), 숄더(210), 노즐(230), 펌프(240) 및 상부캡(260)을 포함한다. The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110, a tube 140, a body cover 160, a pump support 180, a shoulder 210, a nozzle 230, a pump 240, and an upper cap ( 260).

상부캡(260)은 중공의 기둥 형상을 갖고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상부캡(260)은 숄더(210)의 둘레에 결합해서 노즐(230)을 커버한다. The upper cap 260 has a hollow column shape and has a structure with an open bottom. The upper cap 260 is coupl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shoulder 210 to cover the nozzle 230 .

도 4 및 도 5는 도 1에 예시된 용기(100)의 바디(110)에 대한 사시도이다.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body 110 of the vessel 100 illustrated in FIG. 1 .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바디(110)의 내부에는 내용물을 보관하는 충진공간(112)이 형성되고, 충진공간(112)은 튜브(140)에 의해서 바디유출통로(113)와 구분된다. 튜브(140)는 바디(110)와 동일하게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바디(110)의 내부에 삽입되고, 그 외주면과 바디(11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는 바디유출통로(113)가 형성된다. 따라서 바디유출통로(113)는 링 형상의 횡단면과 함께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외주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바디유출통로(113)는 그 간격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유출통로(113)는 상부이동홀(130)을 통해서 바디커버(160)의 펌프삽입공간(164)으로 유입될 수 있다. 2 to 5, a filling space 112 for storing contents is formed inside the body 110, and the filling space 112 is separated from the body outflow passage 113 by a tube 140. . The tube 140 has the same hollow cylindrical shape as the body 110 and is inserted into the body 110, and the body outflow passage 113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 Therefore, the body outflow passage 113 has a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tial shape as a whole with a ring-shaped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body outflow passage 113 may be formed with a small interval. In addition, the body outflow passage 113 may flow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of the body cover 160 through the upper moving hole 130 .

바디유출통로(113)는 내용물이 상향 이동하는 통로에 해당한다. 즉, 펌프(240)의 작동에 의해서 내용물은 바디유출통로(113)로 유입되어 상승하고 상부이동홀(130) 및 커버채널(168)을 통해서 펌프삽입공간(164)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바디유출통로(113)는 바디(110)의 내주면 전체에 구비되어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The body outflow passage 113 corresponds to a passage through which contents move upward. That is,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240, the contents flow into the body outflow passage 113, rise, and flow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through the upper moving hole 130 and the cover channel 168. In this way, the body outflow passage 113 is provided on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contents can move.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의 바디(110)는 대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바디(110)의 단면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바디가 삼각형,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는 튜브의 형상도 바디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body 110 of the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illustrated as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ody 110. Therefor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triangles, polygons including quadrangles, and ellipses.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tube inserted into the body may als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바디(110)의 일단부에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 바디결합부(118)가 형성되어 있다. 바디결합부(118)에는 바디커버(160), 펌프서포트(180) 및 숄더(210)가 결합한다. One end of the body 110 is formed with a body coupling portion 118 having a concave shape. The body cover 160, the pump support 180 and the shoulder 210 are coupled to the body coupling part 118.

바디결합부(118)의 중앙에는 바디센터홀(120)이 형성되어 있고, 그 둘레에는 센터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바디센터홀(120)은 충진공간(112)과 연통되고, 그 내부에는 바디커버(160)의 펌프삽입공간(164)이 삽입된다. 그리고 센터돌기(122)는 ㄱ 형상의 단면을 갖고 그 내부에는 펌프삽입공간(164)이 삽입된다. 또한, 센터돌기(122)의 내측 단부는 펌프삽입공간(164)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바디센터홀(120)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나 이물질이 충진공간(112)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A body center hole 12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coupling part 118, and a center protrusion 122 is formed around it. The body center hole 120 communicates with the filling space 112, and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of the body cover 160 is inserted therein. And the center protrusion 122 has a cross-section of a shape and a pump insertion space 164 is inserted therein. In addition, the inner end of the center protrusion 122 may pressuriz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so that outside air or foreign substances flow into the filling space 112 through the body center hole 120. will not become

바디센터홀(120)의 일 측에는 충진공간(112)과 연통되는 에어홀(124)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홀(124)에는 튜브(140)의 에어노즐(146)이 삽입되는데, 에어노즐(146)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충진공간(112)의 내부로 유입된다. An air hole 124 communicating with the filling space 1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center hole 120 . An air nozzle 146 of the tube 140 is inserted into the air hole 124 , and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lling space 112 through the air nozzle 146 .

바디센터홀(120)의 타 측에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 유출돌기(128)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바닥면 일부에는 충진공간(112)과 연통될 수 있는 상부이동홀(130)이 형성되어 있다. 바디유출통로(113)를 통해서 유입되는 내용물은 상부이동홀(130) 및 유출돌기(128)를 통해서 이동한 후 바디커버(160)의 커버채널(168)을 통해서 펌프삽입공간(164)으로 이동한다. 유출돌기(128)의 내부에는 바디커버(160)의 하면에 형성된 통로돌기(172)가 삽입된다. An outflow protrusion 128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center hole 120, and an upper moving hole 130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filling space 112 is formed on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 The contents introduced through the body outflow passage 113 move through the upper moving hole 130 and the outflow protrusion 128 and then move to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through the cover channel 168 of the body cover 160. do. A passage protrusion 17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cover 160 is inserted into the outflow protrusion 128 .

바디결합부(118)에서 바디센터홀(120)의 둘레에는 상부단턱(1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단턱(126)의 둘레에는 바디결합홈(136)이 형성되어 있다. 바디결합홈(136)에는 숄더(210)의 결합둘레면(214)이 삽입된다. An upper step 126 is formed around the body center hole 120 in the body coupling part 118 . In addition, a body coupling groove 136 is formed around the upper step 126. The coupling circumferential surface 214 of the shoulder 210 is inserted into the body coupling groove 136.

바디결합부(118)를 형성하는 상부 내주면에는 바디걸림홈(134)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걸림홈(134)에는 숄더(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216)가 삽입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숄더(210)가 바디(1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A body locking groove 134 may be form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ing the body coupling portion 118 . A coupling protrusion 216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oulder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body locking groove 134 , whereby the shoulder 210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body 110 .

바디(110)의 타단부에는 하부단턱(132)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단턱(132)에는 베이스(138)가 결합해서 바디(110)의 하단부를 밀폐한다. A lower step 132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 The base 138 is coupled to the lower step 132 to seal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베이스(138)가 바디(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138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110.

도 6 및 도 7은 도 1에 예시된 용기(100)의 튜브(140)에 대한 사시도이다.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tube 140 of the vessel 100 illustrated in FIG. 1 .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튜브(140)는 바디(110)에 대응하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내부에는 내용물이 보관되는 충진공간(112)이 형성된다. 튜브(140)는 바디(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그 외주면과 바디(110)의 내주면 사이에 내용물이 이동하는 통로에 해당하는 링 형상의 바디유출통로(113)를 형성한다. 튜브(140)는 바디(110)와 유사하게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는 부분적으로 밀폐된 구조를 갖는다. 2 to 3 and 6 to 7, the tube 140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110, and a filling space 112 in which contents are stored is formed therein. The tube 140 is inserted into the body 110 to form a ring-shaped body outflow passage 113 corresponding to a passage through which contents mov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 Similar to the body 110, the tube 140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part is open and an upper part is partially sealed.

튜브(140)는 바디(110)의 내부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110)가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경우 튜브(140)도 동일한 횡단면을 갖고 바디(110)와 동일한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바디(110)가 타원형 및 다각형 등의 횡단면을 갖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Tube 140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body (110). For example, when the body 110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tube 140 may also have the same cross section and be located at the same center as the body 110 . This is the same even when the body 110 has a cross section such as an ellipse or a polygon.

튜브(140)의 상부 중앙에는 튜브센터홀(142)이 형성되어 있다. 튜브센터홀(142)은 바디(110)의 바디센터홀(120)과 연통되고, 그 내부에는 펌프삽입공간(164)이 삽입된다. 그리고 튜브센터홀(142)의 둘레에는 센터돌기(144)가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센터돌기(144)는 바디(110)의 센터돌기(122)의 내부에 삽입된다. A tube center hole 142 is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tube 140 . The tube center hole 142 communicates with the body center hole 120 of the body 110, and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is inserted therein. A center protrusion 144 is formed around the tube center hole 142 to protrude upward. The center protrusion 144 is inserted into the center protrusion 122 of the body 110 .

튜브(140)의 상부에서 튜브센터홀(142)의 일 측에는 에어노즐(146)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에어노즐(146)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타단부는 튜브(140)의 내부(즉, 충진공간(112))와 연통된다. 그리고 에어노즐(146)은 바디커버(160)에 형성된 에어유입돌기(177)에 삽입된다. 에어노즐(146)을 통해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충진공간(112)의 내부로 유입되어 압력 저하를 방지한다. An air nozzle 146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tube center hole 142 at the top of the tube 140. The air nozzle 146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its other end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tube 140 (ie, the filling space 112). And the air nozzle 146 is inserted into the air inlet protrusion 177 formed on the body cover 160.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nozzle 146 is introduced into the filling space 112 to prevent a decrease in pressure.

튜브(140)의 상부에는 튜브돌기(147)가 형성되어 있다. 튜브돌기(147)는 튜브(140)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바디(110)의 바디결합홈(136)의 하부에 밀착된다. A tube protrusion 147 is formed on the top of the tube 140. The tube protrusion 147 corresponds to the upper end of the tube 14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coupling groove 136 of the body 110.

튜브(140)의 상부에 형성된 튜브돌기(147)에는 상부튜브홀(148)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튜브홀(148)은 바디유출통로(113)의 출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부튜브홀(148)을 통해서 내용물이 통로돌기(172) 및 커버채널(168)을 통해서 이동한다. An upper tube hole 148 is formed in the tube protrusion 147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tube 140. The upper tube hole 148 corresponds to the outlet of the body outflow passage 113, and the contents move through the passage protrusion 172 and the cover channel 168 through the upper tube hole 148.

튜브(140)의 하부에는 하부튜브홀(150)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튜브홀(150)은 바디유출통로(113)의 입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부튜브홀(150)을 통해서 내용물이 바디유출통로(113)로 유입된다. A lower tube hole 15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ube 140 . The lower tube hole 150 corresponds to the inlet of the body outflow passage 113, and the contents flow into the body outflow passage 113 through the lower tube hole 150.

상부튜브홀(148) 및 하부튜브홀(150)은 튜브(140)의 외주면에서 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튜브홀(148) 및 하부튜브홀(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두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tube hole 148 and the lower tube hole 150 may be positioned on one straight lin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140 .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upper tube hole 148 and the lower tube hole 150 may be provided with two or more.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내용물이 하부튜브홀(150)을 통해서 바디유출통로(113)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충진공간(112)에서 바디유출통로(113)의 내부로 유입되는 구조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튜브가 하부튜브홀(150)을 구비하지 않고 튜브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서 튜브의 하단부 둘레 전체를 통해서 내용물이 바디유출통로(113)로 유입될 수 있다. The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llustrated as the contents flowing into the body outflow passage 113 through the lower tube hole 15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dy outflow passage 113 in the filling space 112 It is not limited by the structure flowing into the inside. Therefore, in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e does not have the lower tube hole 150 and the length of the tube is short, so that the contents can flow into the body outlet passage 113 through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of the tube. .

도 8 및 도 9는 바디커버(160)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사시 단면도이다. 8 and 9 are perspective and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body cover 160.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8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바디커버(160)는 바디(110)의 상부에 결합하고, 그 상부에는 펌프서포트(180) 및 숄더(210)가 순차적으로 결합한다. 바디커버(160)는 커버면(162)과, 커버면(162)의 일 면에서 상향 돌출되고 상부가 개방된 링 형상의 상부둘레면(17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부둘레면(174)의 내부에는 펌프삽입공간(164), 커버채널(168), 고정돌기(173), 에어유입돌기(177)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면(162)의 하면에는 통로돌기(172)가 하향 돌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ures 2 to 3 and 8 to 9, the body cover 16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the pump support 180 and the shoulder 210 are sequenti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The body cover 160 includes a cover surface 162 and a ring-shaped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174 protruding upward from one surface of the cover surface 162 and having an open top. A pump insertion space 164, a cover channel 168, a fixing protrusion 173, and an air inlet protrusion 177 are provided inside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174. Further, a passage protrusion 172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surface 162 .

펌프삽입공간(164)은 커버면(162)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으로서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펌프삽입공간(164)의 내부에는 펌프(240)의 하우징(246)이 삽입된다. 그리고 하우징(246)의 하면에는 하부유입홀(247)이 형성되어 있는데, 펌프삽입공간(164)으로 유입된 내용물은 하부유입홀(247)을 통해서 하우징(246)의 내부로 유입된다.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is a groove formed concavely in the center of the cover surface 162 and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housing 246 of the pump 240 is inserted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 A lower inlet hole 247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46, and the contents introduced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ar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246 through the lower inlet hole 247.

펌프삽입공간(164)은 커버면(162)에서 하향 돌출되어 있고, 이 부분은 바디(110)의 바디센터홀(120)의 내부 및 튜브(140)의 튜브센터홀(142)의 내부에 삽입된다.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protrudes downward from the cover surface 162, and this par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center hole 120 of the body 110 and the tube center hole 142 of the tube 140. do.

펌프삽입공간(164)의 상부 일 측은 커버채널(168)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채널(168)을 통해서 유입된 내용물이 펌프삽입공간(164)의 바닥면으로 하강해서 하우징(246)의 내부로 유입된다. One upper side of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channel 168 . Therefore, the content introduced through the cover channel 168 descen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and flows into the housing 246 .

펌프삽입공간(164)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이격돌기(166)가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격돌기(166)는 일정한 높이를 갖고, 다수 개가 상호 일정 간격을 갖고 배치될 수 있다. 펌프(240)의 하우징(246)은 이격돌기(166)와 접하면서 펌프삽입공간(164)의 바닥면에서 그 높이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하우징(246)의 외주면과 펌프삽입공간(164)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용물은 하우징(246)과 펌프삽입공간(164) 사이의 간격 및 하우징(246)의 바닥면과 펌프삽입공간(164)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통해서 하우징(246)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paced protrusions 166 may be circular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 Spaced protrusions 166 may have a constant height, and a plurality of them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The housing 246 of the pump 24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by its height while in contact with the separation protrusion 166 . A constant gap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246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 Therefore, the contents may flow into the housing 246 through the gap between the housing 246 and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and the gap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246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there is.

커버면(162)에는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는 커버채널(168)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채널(168)은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일단은 커버유입홀(170)과 연통되고 타단은 펌프삽입공간(164)과 연통된다. 그리고 커버채널(168)은 바닥면 및 두 개의 측면으로 규정되고, 그 개방된 상부는 펌프서포트(180)에 의해서 폐쇄된다. A cover channel 168 having a constant width and depth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on the cover surface 162 . The cover channel 168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ne end communicates with the cover inlet hole 170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s with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 And the cover channel 168 is defined by a bottom surface and two side surfaces, and its open top is closed by the pump support 180.

커버채널(168)의 일단에 형성된 커버유입홀(170)은 커버면(162)을 관통해서 형성된 것으로, 통로돌기(172)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The cover inlet hole 170 formed at one end of the cover channel 168 penetrates the cover surface 162 and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passage protrusion 172 .

통로돌기(172)는 커버면(162)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하단부는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통로돌기(172)의 상단부는 펌프서포트(180)에 의해서 폐쇄되고, 커버유입홀(170)을 통해서만 커버채널(168)과 연통된다. 통로돌기(172)는 바디(110)의 상부에 형성된 유출돌기(128)의 내부에 삽입된다. The passage protrusion 172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surface 162 and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open lower end. The upper end of the passage protrusion 172 is closed by the pump support 180 and communicates with the cover channel 168 only through the cover inlet hole 170 . The passage protrusion 172 is inserted into the outflow protrusion 128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

고정돌기(173)는 커버면(162) 상에 두 개가 형성되어 있고, 에어유입돌기(177)와 함께 3개가 정삼각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돌기(173)는 펌프서포트(180)의 하부에 형성된 두 개의 삽입홈(196)에 각각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바디커버(190)의 상부에 펌프서포트(180)가 결합된다. Two fixing protrusions 173 are formed on the cover surface 162, and three together with the air inlet protrusion 177 may be arranged in an equilateral triangle shape. The fixing protrusions 173 are each inserted into the two insertion grooves 196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ump support 180, whereby the pump support 18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body cover 190.

상부둘레면(174)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는 각각 펌프서포트(180)의 내부둘레면(184) 및 외부둘레면(182)이 각각 위치한다. 따라서 상부둘레면(174)은 내부둘레면(184) 및 외부둘레면(182) 사이에 형성된 결합홈(186)에 삽입된다.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84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82 of the pump support 180 are positioned on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174, respectively. Therefore,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174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86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84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82 .

상부둘레면(174)의 내부에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 에어유입돌기(177)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유입돌기(177)의 상단 및 하단은 모두 개방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튜브(140)의 에어노즐(146)이 삽입된다. 에어노즐(146)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서 바디(110)의 충진공간(112)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An air inlet protrusion 177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is formed inside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174.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ir inlet protrusion 177 are open, and the air nozzle 146 of the tube 140 is inserted therein.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lling space 112 of the body 110 through the open upper end of the air nozzle 146 .

도 10 및 도 11은 펌프서포트(180)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사시단면도이다. 10 and 11 are perspective and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pump support 180.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펌프서포트(180)는 바디커버(160)의 상부에 결합되어 펌프(2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펌프삽입공간(164) 및 펌프(240)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한다. 펌프서포트(180)는 중앙에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 서포트바디(190)와, 그 둘레에 형성된 외부둘레면(182) 및 내부둘레면(184)을 구비한다. 2 to 3 and 10 to 11, the pump support 18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cover 160 to stably support the pump 240 and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and the pump 240 ) to prevent outside air from entering the inside. The pump support 180 includes a support body 190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in the center,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82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84 formed around the support body 190 .

외부둘레면(182) 및 내부둘레면(184)은 링 형상의 횡단면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는 간격에 해당하는 결합홈(186)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86)에는 바디커버(160)의 상부둘레면(174)이 억지끼워맞춤(press fitting)에 의해서 삽입된다. 그리고 외부둘레면(182)의 상부에는 안착단턱(188)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상면은 숄더(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가압돌기(218)에 의해서 하향 가압된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8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84 have a ring-shaped cross section, and a coupling groove 186 corresponding to a gap is formed therebetwee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174 of the body cover 16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86 by press fitting. In addition, a seating step 188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82, and the upper surface is pressed downward by the pressing protrusion 218 provided inside the shoulder 210.

서포트바디(190)는 내부둘레면(184)의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둘레면(184)에 비해서 더 큰 높이를 갖는다. 서포트바디(190)의 외주면에는 바디걸림홈(192)이 형성되어 있고, 바디걸림홈(192)의 내부에는 숄더(21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결합돌기(222)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바디걸림홈(192) 및 내부결합돌기(222)에 의해서 펌프서포트(180)에 숄더(210)가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The support body 190 is located insid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84 and has a greater height tha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84 . A body locking groove 19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90, and an internal coupling protrusion 222 formed inside the shoulder 210 is inserted into the body locking groove 192. The shoulder 210 is stably coupled to the pump support 180 by the body locking groove 192 and the internal coupling protrusion 222.

서포트바디(190)의 내부 빈 공간에는 펌프(240)의 하우징(246)이 삽입된다. 그리고 서포트바디(190)의 하부 내주면에는 링 형상을 갖는 밀착돌기(204)가 형성되어 있다. 밀착돌기(204)는 펌프(240)의 하우징(246)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밀착되는데, 이로 인해 펌프삽입공간(164) 및 하우징(246)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The housing 246 of the pump 240 is inserted into the empty space inside the support body 190 . Further, contact protrusions 204 having a ring shape are formed on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90 . The contact protrusion 204 presses and adheres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246 of the pump 240, thereby preventing outside air from entering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246.

서포트바디(190)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그 상단에서 시작해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서포트에어홈(202)이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에어홈(202)과 펌프(240)의 하우징(246)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을 통해서 튜브(140)의 에어노즐(146)의 상단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90, a support air groove 202 having a certain length starting from the upp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 certain gap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air groove 202 and the housing 246 of the pump 240, and air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end of the air nozzle 146 of the tube 140 through the gap.

내부둘레면(184)과 서포트바디(190)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빈 공간에는 각각의 상면(197, 199)을 갖는 하나의 제1 삽입홈(196) 및 두 개의 제2 삽입홈(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홈(196) 및 제2 삽입홈(198)의 상부는 상면(197, 199)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고 하부가 개방된 빈 공간에 해당한다. An empty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84 and the support body 190, and in the empty space, one first insertion groove 196 having upper surfaces 197 and 199 and two second An insertion groove (no reference numeral) is formed.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196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98 are closed by the upper surfaces 197 and 199 and correspond to empty spaces with open lower portions.

제1 삽입홈(196)에는 커버바디(160)에 형성된 에어유입돌기(177)가 삽입된다. 그리고 에어유입돌기(177)의 상단부는 상면(197)과 접하지 않기 때문에 그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삽입홈의 내부에는 고정돌기(173)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바디커버(160)의 상부에 펌프서포트(18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An air inlet protrusion 177 formed on the cover body 16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96 . And since the upper end of the air inlet protrusion 177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97,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move is formed therebetween. In addition, a fixing protrusion 17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whereby the pump support 18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top of the body cover 160 .

도 12 및 도 13은 숄더(210)를 예시하는 사시도 및 사시단면도이다.12 and 13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shoulder 210 .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숄더(210)는 펌프서포트(180)의 상부에 결합해서 펌프(240)를 하향 가압하는 것으로 그 상부에는 노즐(230)이 결합한다. 숄더(210)는 중공의 펌프결합부(220)와, 그 둘레에 형성되고 하부만 개방된 숄더결합부(212)로 이루어진다. 2 to 3 and 12 to 13, the shoulder 21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pump support 180 to press down the pump 240, and the nozzle 230 is coupled to the top. The shoulder 210 is composed of a hollow pump coupling portion 220 and a shoulder coupling portion 212 formed around it and open only at the bottom.

숄더결합부(212)는 결합둘레면(214)을 구비하는데, 이는 바디결합부(118)의 내부에 삽입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숄더결합부(212)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내부에 바디커버(160) 및 펌프서포트(180)가 수용된다. The shoulder coupling portion 212 has a coupling circumferential surface 214, which is inserted into the body coupling portion 118 as described above. And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joint 212 is open, the body cover 160 and the pump support 180 are accommodated therein.

숄더결합부(212)는 상면(도면부호 없음)을 구비하고, 상면의 중앙에는 펌프결합부(2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숄더결합부(212)의 둘레에는 결합돌기(216)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16)는 바디결합부(118)의 내주면에 형성된 바디걸림홈(134)의 내부에 삽입된다. The shoulder coupling portion 212 has an upper surface (no reference numeral), and a pump coupling portion 220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In addition, a coupling protrusion 216 may be formed around the shoulder coupling portion 212 . The coupling protrusion 216 is inserted into the body locking groove 134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coupling portion 118.

펌프결합부(220)의 내부에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가압돌기(218)가 형성된다. 가압돌기(218)는 펌프서포트(180)의 안착단턱(188)을 하향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 펌프서포트(180) 및 펌프(240)가 안정적으로 바디(110)에 결합된다. Inside the pump coupling part 220 is formed a pressure protrusion 218 in the shape of a hollow cylinder. The pressure protrusion 218 presses the seating step 188 of the pump support 180 downward, whereby the pump support 180 and the pump 240 are stably coupled to the body 110.

펌프결합부(220)는 중공의 원뿔대 형상을 갖고 그 상단 및 하단은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펌프결합부(220)의 내부에는 펌프(240) 및 서포트바디(190)가 삽입된다. 그리고 펌프결합부(220)의 하단부는 숄더결합부(212)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The pump coupling part 220 has a hollow truncated cone shape, and both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have an open structure. Inside the pump coupling part 220, the pump 240 and the support body 190 are inserted. And the lower end of the pump coupling portion 220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shoulder coupling portion 212 .

펌프결합부(220)의 내부에는 링 형상의 걸림돌기(224)가 내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224)는 부분적으로 절개된 숄더에어홀(226)을 구비한다. 걸림돌기(224)는 펌프(240)의 하우징(246)의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245)를 하향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 펌프(240)가 펌프삽입공간(164)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도 2를 참고하면, 플랜지(245)는 펌프서포트(180)의 서포트바디(190)의 상단부와 접촉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간격에 의해서 용기(100) 외부의 공기가 숄더에어홀(226), 에어유입돌기(177) 및 에어노즐(146)을 통해서 충진공간(1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Inside the pump coupling part 220, a ring-shaped locking protrusion 224 protrudes inwardly. And the protrusion 224 has a shoulder air hole 226 partially cut out. The protrusion 224 presses the flange 245 formed around the housing 246 of the pump 240 downward, thereby stably fixing the pump 240 to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 Referring to FIG. 2 , the flanges 245 do not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190 of the pump support 180 and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ir outside the container 100 may flow into the filling space 112 through the shoulder air hole 226, the air inlet protrusion 177, and the air nozzle 146 due to the above interval.

숄더에어홀(226)은 걸림돌기(224)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아크(arc) 형상의 홀에 해당한다. 그리고 숄더에어홀(226)의 하부에는 내부결합돌기(2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The shoulder air hole 226 corresponds to an arc-shaped hole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protrusion 224 . In addition, an internal coupling protrusion 222 protru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air hole 226.

내부결합돌기(222)는 펌프결합부(220)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된다. 내부결합돌기(222)는 서포트바디(190)의 외주면에 형성된 바디걸림홈(192)에 삽입된다. The internal coupling protrusions 222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mp coupling portion 220 to form a plurality of dogs. The internal coupling protrusion 222 is inserted into the body locking groove 19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90 .

도 14는 노즐(230)을 예시하는 사시 단면도이고, 도 15는 펌프(240)를 예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14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nozzle 230, and FIG. 15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pump 240.

도 14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노즐(230)은 펌프(240)의 밸브(244)에 결합하는 노즐돌기(232)를 구비하고, 노즐돌기(232)는 배출구(234)와 연통된다. 그리고 밸브(244)는 노즐둘레면(236)을 구비하는데, 이는 숄더(210)의 펌프결합부(220)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밸브(244)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데, 이로 인해 노즐(23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노즐(230)은 상부캡(260)에 의해서 커버된다. 14 to 15, the nozzle 230 has a nozzle protrusion 232 coupled to the valve 244 of the pump 240, and the nozzle protrusion 232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234. And the valve 244 has a nozzle circumferential surface 236, which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pump coupling part 220 of the shoulder 210. The valve 244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not shown), so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nozzle 230 is removed, it rises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And the nozzle 230 is covered by the top cap 260.

펌프(240)는 바디커버(160)에 형성된 펌프삽입공간(164)에 그 하부가 삽입되고 숄더(210)의 걸림돌기(224)에 의해서 하우징(246)이 하향 가압되어서 위치 고정된다. 펌프(240)는 펌프삽입공간(164)의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내용물을 그 내부로 흡입해서 노즐(230)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The lower part of the pump 240 is inserted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formed in the body cover 160, and the housing 246 is pressed downward by the protrusion 224 of the shoulder 210 to be fixed in position. The pump 240 allows contents to flow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and sucks the contents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so that they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230 .

펌프(240)는 하우징(246), 밸브(244), 하우징커버(250), 피스톤(248) 및 가이드(242)를 포함하는데, 이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63619호에 기재된 펌프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pump 240 includes a housing 246, a valve 244, a housing cover 250, a piston 248 and a guide 242, which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pump structure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963619.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3을 참고하면, 펌프(240)의 흡입력에 의해서 충진공간(112)에 있는 내용물은, 튜브(14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튜브홀(150)를 통해서 바디유출통로(113)로 유입된 후 상승해서 상부이동홀(130)을 통해서 바디유출통로(113)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내용물은 상부이동홀(130)을 통해 배출되어 통로돌기(17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커버유입홀(170) 및 커버채널(168)을 통해서 펌프삽입공간(164)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내용물은 펌프삽입공간(164)에서 펌프(240)의 흡입력에 의해서 하우징(246)의 내부로 유입된 후 노즐(230)을 통해서 용기(100) 외부로 배출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tents in the filling space 112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240 are introduced into the body outflow passage 113 through the lower tube hole 15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ube 140, and then It rises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outflow passage 113 through the upper moving hole 130. T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moving hole 130 and introduced into the passage protrusion 172,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through the cover inlet hole 170 and the cover channel 168. In addition, the contents ar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246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240 in the pump insertion space 164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00 through the nozzle 230 .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바디(110)의 내부에 내용물을 흡입하기 위한 호스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호스에 의해서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include a hose for inhaling the contents inside the body 110, the structure is simple an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in aesthetics due to the hose.

충진공간(112)의 내부에서 내용물이 펌프(240)에 의해서 유출되면서 충진공간(112) 내부의 압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진공간(112) 내부의 압력 저하는 펌프(240)의 흡입력 저하를 유발하기 때문에, 충진공간(112) 내부의 압력을 일정 압력(예를 들면, 대기압)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As the contents are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filling space 112 by the pump 240, the pressure inside the filling space 112 may decrease. Since such a decrease in pressure inside the filling space 112 causes a decrease in suction power of the pump 240,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pressure inside the filling space 112 at a constant pressure (eg, atmospheric pressure).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외부의 공기가 노즐(230)과 펌프결합부(22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도면 부호 없음)을 통해서 펌프결합부(22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펌프결합부(220)에 유입된 공기는 숄더에어홀(226), 서포트에어홈(202) 및 에어노즐(146)을 통해서 충진공간(112)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충진공간(112)의 내부로 유입되어 대기압을 유지함으로써 펌프(230)의 흡입력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In the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pump coupling portion 220 through a gap (no reference numeral) formed between the nozzle 23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mp coupling portion 220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ump coupling part 220 is introduced into the filling space 112 through the shoulder air hole 226, the support air groove 202, and the air nozzle 146. In this way, the suction power of the pump 230 may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by introducing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filling space 112 to maintain atmospheric pressure.

도 16은 바디커버가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바디(21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dy 210 with a body cover integrally formed thereon.

도 1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바디(21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디(110)와 바디커버(16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바디(110)의 상단부에 바디커버(160)가 사출 성형 등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 the body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body cover 160 are integrally formed. That is, the body cover 16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by injection molding or the like.

바디(210)의 상부 구조는 바디커버(160)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바디(21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디(110)의 바디결합부(118), 바디센터홀(120), 센터돌기(122) 및 상부단턱(126) 등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튜브(140)는 바디(21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서 바디(2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An upper structure of the body 21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body cover 160 . Therefore, the body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body coupling part 118 of the body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body center hole 120, the center protrusion 122, and the upper step 126. may not Also, the tube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body 210 through the open lower part of the body 210 .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100: 액체 분사 용기
110: 바디
140: 튜브
160: 커버바디
180: 펌프서포트
210: 숄더
230: 노즐
240: 펌프
100: liquid injection container
110: body
140: tube
160: cover body
180: pump support
210: shoulder
230: nozzle
240: pump

Claims (7)

내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튜브;
상기 튜브가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
상기 튜브의 외주면과 상기 바디의 내주면 사이에 바디유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튜브의 하부를 통해서 내용물이 상기 바디유출통로로 유입되며,
상기 바디의 상부에는 상기 바디유출통로의 출구에 해당하는 상부이동홀이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을 흡입해서 배출할 수 있는 펌프;
상기 상부이동홀와 연통되는 커버채널과, 상기 커버채널과 연통되고 상기 펌프가 삽입되는 펌프삽입공간을 구비하는 바디커버;
상기 바디커버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펌프의 둘레에 밀착되어 상기 펌프삽입공간으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펌프서포트를 포함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A tube having a filling space formed therein;
a body into which the tube is inserted;
A body outflow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the contents flow into the body outflow passage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tube,
An upper moving hole corresponding to an outlet of the body outflow passag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 pump capable of inhaling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a body cover having a cover channel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moving hole and a pump insertion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cover channel and into which the pump is inserted;
A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including a pump suppor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cover and closely attached to a circumference of the pump to block an inflow of external air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서포트는 상기 커버채널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ump support is a container for liquid inj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cover the cover chan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이동홀과 연통되고 상향 돌출된 유출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커버는 상기 유출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커버채널과 연통되는 통로돌기를 구비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n outflow protrusion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moving hole and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The body cover has a passage protrusion into which the outflow protrusion is inserted and communicates with the cover chan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삽입공간은 상기 커버채널에 비해서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ump insertion space is a container for liquid inje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ower than the cover chan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펌프삽입공간과 연통되는 하부유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ump has a housing, and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lower inle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pump insertion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펌프삽입공간의 내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ump is provided with a housing, and a container for liquid inje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constant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mp insertion sp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내용물을 흡입해서 배출할 수 있는 펌프;
내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튜브;
상기 튜브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펌프가 삽입되는 펌프삽입공간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펌프의 둘레에 밀착되어 상기 펌프삽입공간으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펌프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의 외주면과 상기 바디의 내주면 사이에 바디유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튜브의 하부를 통해서 내용물이 상기 바디유출통로로 유입되며,
상기 바디의 상부에는 상기 바디유출통로 및 상기 펌프삽입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커버채널이 형성된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A pump capable of inhaling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A tube having a filling space formed therein;
a body having a pump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tube is inserted and into which the pump is inserted;
A pump suppor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closely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pump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into the pump insertion space;
A body outflow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the contents flow into the body outflow passage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tube,
A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with a cover channel communicating with the body outflow passage and the pump insertion space, respectively.
KR1020210113558A 2021-08-27 2021-08-27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Active KR1025797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558A KR102579766B1 (en) 2021-08-27 2021-08-27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558A KR102579766B1 (en) 2021-08-27 2021-08-27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388A true KR20230031388A (en) 2023-03-07
KR102579766B1 KR102579766B1 (en) 2023-09-18

Family

ID=8551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558A Active KR102579766B1 (en) 2021-08-27 2021-08-27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76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600Y1 (en) * 2002-02-09 2002-05-03 심충택 A valve of tube
KR20130068276A (en) * 2011-12-15 2013-06-26 이기선 Economy Pump Container
KR20160129661A (en)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Closing apparatus fog liquis case
KR20190142046A (en) * 2018-06-15 2019-12-26 양형택 Pump type liquid airtight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600Y1 (en) * 2002-02-09 2002-05-03 심충택 A valve of tube
KR20130068276A (en) * 2011-12-15 2013-06-26 이기선 Economy Pump Container
KR20160129661A (en)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Closing apparatus fog liquis case
KR20190142046A (en) * 2018-06-15 2019-12-26 양형택 Pump type liquid airtight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766B1 (en) 202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53074B2 (en) Double container
US11259617B2 (en) Device for dispensing and applying a product
KR102403988B1 (en)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US20130068797A1 (en) Manual pump type fluid dispenser
KR101817077B1 (en) Hand-Operated Dual Spray Device
JPH06191571A (en) Dispenser for dispensing liquid substances or substances in cream or paste form
US20150260179A1 (en) Fluent Product Dispensing Package and Diaphragm Pump For Use Therein
JP2016529169A5 (en)
KR101403741B1 (en) Cosmetics container
KR102356611B1 (en)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KR102494299B1 (en) Cosmetic container
WO2001089984A1 (en) Dispensing container
US20220401990A1 (en) Dispensing assembly including an additive mixing device
KR102573274B1 (en) Tubeless dispenser container
US7597216B2 (en) Fluid product dispenser
KR102383616B1 (en)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KR20230031388A (en)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KR102573275B1 (en)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KR102176512B1 (en)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vessel
KR102643135B1 (en)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US20030183664A1 (en) Fluid dispenser
KR102478899B1 (en) Tubeless dispenser container
KR101923389B1 (en) Fluid dispenser
KR102427032B1 (en) Pump
KR20240000843U (en) Spray liquid container with anti-loosening stopp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