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27908A - 에어 마사지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마사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908A
KR20230027908A KR1020210110197A KR20210110197A KR20230027908A KR 20230027908 A KR20230027908 A KR 20230027908A KR 1020210110197 A KR1020210110197 A KR 1020210110197A KR 20210110197 A KR20210110197 A KR 20210110197A KR 20230027908 A KR20230027908 A KR 20230027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valve
cell
air ce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철
최상호
김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라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라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라젬
Priority to KR1020210110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7908A/ko
Priority to CN202280056883.0A priority patent/CN117915877A/zh
Priority to PCT/KR2022/012403 priority patent/WO2023022557A1/ko
Publication of KR20230027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908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6Control means thereof pneumatically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마사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의 에어 펌프를 이용해서 복수의 에어 셀에 공기를 공급하되, 에어 펌프를 통해 일부 에어 셀에 공기를 공급하는 푸쉬 동작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다른 에어 셀에는 공기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홀드 동작이나, 공기가 배출되는 드레인 동작이 진행되더라도 일부 에어 셀의 푸쉬 동작이 독립적이고,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에어 마사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 마사지 장치{AIR MASS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 마사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의 에어 펌프를 이용해서 복수의 에어 셀에 공기를 공급하되, 에어 펌프를 통해 일부 에어 셀에 공기를 공급하는 푸쉬 동작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다른 에어 셀에는 공기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홀드 동작이나, 공기가 배출되는 드레인 동작이 진행되더라도 일부 에어 셀의 푸쉬 동작이 독립적이고,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에어 마사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 사회는 많은 문명의 이기를 바탕으로 편리하게 의식주의 생활을 영위하게 되었으며, 장단거리를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인 승용차와 버스 및 철도 차량을 비롯하여 도심지에 백화점과 시장 또는 각종 유희시설 등이 들어서고 있음으로 생활의 불편함을 모르고 살아가는 가운데 그 식생활이 점차 윤택해지고 서구화되어 감에 따라 영양의 과잉 섭취와 그에 따른 운동 부족으로 말미암아 비만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이러한 문명의 이기에서 나타나게 되는 환경의 오염과 사회생활에 따른 시간의 부족과 여기서 발생하게 되는 스트레스 등이 겹치게 되어 각종 질환을 유발케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각종 질환의 원인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깨끗한 공기를 들이마시면서 충분한 휴식과 적당한 운동만이 최선의 방법이기는 하나 그 여건이 충분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그에 대신한 여러 가지 운동용 보조 기구와 마사지기가 등장하게 되었다.
마사지기는 기구적인 힘을 이용한 마사지기와 공기압을 이용한 에어 마사지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공기압을 이용한 에어 마사지기는 개략적인 구성은 외부의 공기를 가압하기 위한 수단인 펌프와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여과 수단 등이 구비된 가압부 및 가압부의 공기를 압력에 따라 또는 순서에 따라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한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로부터 가압된 공기를 저장하거나 배출시키기 위한 가압식 에어 패드로 구비된다.
상기 가압식 에어 패드는 내피와 외피로 겹쳐지고 신체의 일부를 삽입하거나 감을 수 있도록 재봉이 되어 있어 외부에서 주입구를 통해 가한 압력에 공기를 공급하면 부풀려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내피는 평탄하게 된 것과 단면적을 넓히고 마사지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자바라 형태로 되어 있는 것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압을 이용한 에어 마사지기는 에어 패드를 사용자의 다리나 팔 등에 씌운 후 주입구와 컨트롤부에 호스로 연결한 가운데 작동시키게 되면 외부의 공기가 펌프에 의해 압축이 되고, 이때 압축된 공기가 컨트롤부의 제어에 의해 호스와 주입구를 통해 번갈아 반복적으로 주입됨에 따라 에어 패드 내부의 내피가 팽창하게 되며 그 압력으로 신체의 일부를 눌러 주게 되는 작용으로 마사지기의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한 에어 마사지기는 신체를 균일하게 마사지하기 위해 복수의 에어 패드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단일의 펌프를 이용해서 복수의 에어 패드에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일부 에어 패드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과정이 진행될 경우 펌프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함께 배출되면서 다른 에어 패드의 공기 압력이 의도하지 않게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단일의 펌프를 이용해서 복수의 에어 패드에 공기를 주입하더라도 각 에어 패드 별로 공기 주입, 공기압 유지, 공기 배출이 독립적으로 가능한 에어 마사지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2021-016409호 (2021.02.15 공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일의 에어 펌프를 이용해서 복수의 에어 셀에 공기를 공급하되, 에어 펌프를 통해 일부 에어 셀에 공기를 공급하는 푸쉬 동작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다른 에어 셀에는 공기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홀드 동작이나, 공기가 배출되는 드레인 동작이 진행되더라도 일부 에어 셀의 푸쉬 동작이 독립적이고,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에어 마사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는 복수의 에어 셀과, 각각의 상기 에어 셀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일의 에어 펌프와, 상기 에어 셀과 상기 에어 펌프 및 상기 에어 셀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부와, 상기 유로부에 배치되어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유로 조절부 및 상기 에어 펌프 및 상기 유로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 조절부는 각각의 상기 에어 셀로 공급되는 공기 및 상기 에어 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되, 상기 에어 셀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된 복수의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로부는 상기 에어 셀과 상기 에어 펌프를 연통시키는 급기 유로와, 상기 에어 셀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기 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급기 유로는 각각의 상기 에어 셀을 상기 에어 펌프와 연통시키는 복수의 단위 급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유로는 각각의 상기 에어 셀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복수의 단위 배기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단위 급기 유로에 구비된 제1 밸브와, 상기 단위 배기 유로에 구비된 제2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밸브는 전류 인가 시 상기 에어 셀이 상기 에어 펌프와 연통되도록 상기 단위 급기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밸브는 전류 인가 시 상기 에어 셀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단위 배기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상기 에어 셀은 제1 단위 에어 셀과 제2 단위 에어 셀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단위 에어 셀로 공급되는 공기 및 상기 제1 단위 에어 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단위 에어 셀로 공급되는 공기 및 상기 제2 단위 에어 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셀로 공기가 공급되는 푸쉬 동작, 상기 에어 셀 내부의 공기가 유지되는 홀드 동작 및 상기 에어 셀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드레인 동작이 각각의 상기 에어 셀마다 독립적으로 진행되도록 각각의 상기 밸브 어셈블리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단위 에어 셀과 상기 제2 단위 에어 셀에서 모두 푸쉬 동작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펌프가 동작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1 밸브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2 밸브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단위 에어 셀은 푸쉬 동작이 진행되고, 상기 제2 단위 에어 셀은 홀드 동작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펌프가 동작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구비된 상기 제1 밸브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구비된 상기 제2 밸브와 상기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구비된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단위 에어 셀은 푸쉬 동작이 진행되고, 상기 제2 단위 에어 셀은 드레인 동작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펌프가 동작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구비된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구비된 상기 제2 밸브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구비된 상기 제2 밸브와 상기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구비된 상기 제1 밸브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밸브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에어 펌프를 연통시키는 제1-1 포트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에어 셀을 연통시키는 제1-2 포트와, 상기 제1-1 포트를 개폐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제1-1 포트를 폐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체와, 전류 인가 시 상기 제1-1 포트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 도어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밸브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에어 셀을 연통시키는 제2-1 포트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2 포트와, 상기 제2-1 포트를 개폐하는 제2 도어와,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제2-1 포트를 폐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체와, 전류 인가 시 상기 제2-1 포트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2 도어를 이동시키는 제2 구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추가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3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1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도어에 인가되는 공기의 압력은 상기 제2 탄성체가 탄성 변형되는 방향으로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기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 급기 유로는 상기 제1 밸브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단위 급기 유로와 상기 제1 밸브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단위 급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배기 유로는 상기 제2 밸브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단위 배기 유로와 상기 제2 밸브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단위 배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단위 급기 유로와 상기 전방 단위 배기 유로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 셀과 연통되도록 단위 분기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 급기 유로는 상기 제1 밸브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단위 급기 유로와 상기 제1 밸브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단위 급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배기 유로는 상기 제2 밸브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단위 배기 유로와 상기 제2 밸브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단위 배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단위 급기 유로와 상기 전방 단위 배기 유로는 상기 에어 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에어 마사지 장치는 단일의 에어 펌프를 이용해서 복수의 에어 셀에 공기를 공급하되, 밸브 어셈블리가 각각의 에어 셀마다 구비되므로 각각의 에어 셀이 상호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에어 셀에 각각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단위 급기 유로와 복수 에어 셀로부터 각각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단위 배기 유로가 구비되고, 각각의 단위 급기 유로에는 제1 밸브가 구비되고, 각각의 단위 배기 유로에는 제2 밸브가 구비되어 각각의 에어 셀이 상호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밸브와 제2 밸브의 전류 인가 여부를 통해 단위 급기 유로와 단위 배기 유로의 개폐가 가능하게 되므로 에어 셀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에어 셀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단위 에어 셀마다 각각의 단위 밸브 어셈블리가 구비되고, 이러한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1 밸브와 제2 밸브의 인가 전류를 조절하여 각각의 단위 에어 셀에서 독립적으로 푸쉬 동작, 홀드 동작, 드레인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밸브와 제2 밸브에 전류가 인가되면 이들 밸브에 각각 구비된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제1 구동체와 제2 구동체에 의해 이동하면서 유로가 개방되므로 구성이 단순화되어 고장의 우려가 적고 제조 원가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도어에 인가되는 공기의 압력이 제2 탄성체가 탄성 변형되는 방향으로 인가되면 에어 셀 내부에 이상 고압이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이상 고압의 공기에 의해 제2 도어가 밀려나면서 에어 셀의 이상 고압 상태가 임의로 해소(안전 기능)됨으로써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급기 유로에 구비된 압력 센서를 통해 각각의 상황에 맞는 공기압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에어 펌프를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안전한 공기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제1 밸브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단위 급기 유로와 제2 밸브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단위 배기 유로는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하되, 이들 유로에서 분기되는 단위 분기 유로를 통해 에어 셀과 연통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로의 구성이 단순화되어 전체 장치의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에 구비된 제1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에 구비된 제1 밸브에 전류가 인가되면서 급기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에 구비된 제2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에 구비된 제2 밸브에 전류가 인가되면서 배기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에서 푸쉬 동작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에서 푸쉬 동작과 홀드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에서 푸쉬 동작과 드레인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의 에어 셀에 이상 고압이 발생한 경우 제2 밸브를 통해 고압이 해소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는 복수의 에어 셀(100)과, 각각의 에어 셀(100)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일의 에어 펌프(200)와, 에어 셀(100)과 에어 펌프(200) 및 에어 셀(100)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부(300)와, 유로부(300)에 배치되어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유로 조절부(400) 및 상기한 에어 펌프(200) 및 유로 조절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며, 유로 조절부(400)는 각각의 에어 셀(100)로 공급되는 공기 및 에어 셀(1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되, 에어 셀(100)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된 복수의 밸브 어셈블리(410)를 포함한다. 일 예로, 이러한 복수의 에어 셀(100)은 사용자의 다리를 기준으로 발, 종아리 하부, 종아리 상부, 대퇴부 하부, 대퇴부 상부 등 다양한 위치에서 독립적인 에어 마사지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에어 셀(100)은 사용자의 팔을 기준으로 손, 손목, 상박, 하박 등 다양한 위치에서 독립적인 에어 마사지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에어 펌프(200)를 이용해서 이러한 복수의 에어 셀(100)에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데 단일의 에어 펌프(200)를 이용해서 복수의 에어 셀(100)에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전체 장치의 크기나 무게가 감소하게 되고, 제조 원가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유로부(300)는 이러한 복수의 에어 셀(100)과 단일의 에어 펌프(200)를 연결할 뿐만 아니라 에어 셀(100)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에어 셀(100)과 외부를 연통시키게 된다. 이러한 유로부(300)에는 유로 조절부(400)가 구비되어 에어 펌프(200)에서 에어 셀(100)로 공급되는 공기나, 에어 셀(100)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500)는 에어 펌프(200)의 동작 및 유로 조절부(40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이 단일의 에어 펌프(200)를 이용해서 복수의 에어 셀(100)에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각각의 에어 셀(100)에서 상이한 동작이 진행되더라도 상호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 셀(100)과 동일한 개수의 밸브 어셈블리(410)가 구비된다. 즉, 밸브 어셈블리(410)가 각각의 에어 셀(100)마다 구비되므로 단일의 에어 펌프(200)를 이용해서 공기를 공급하더라도 각각의 에어 셀(100)이 상호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부(300)는 에어 셀(100)과 에어 펌프(200)를 연통시키는 급기 유로(310)와, 에어 셀(100)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기 유로(320)를 포함하되, 급기 유로(310)는 각각의 에어 셀(100)을 에어 펌프(200)와 연통시키는 복수의 단위 급기 유로(310a)를 포함하고, 배기 유로(320)는 각각의 에어 셀(100)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복수의 단위 배기 유로(320a)를 포함하며, 밸브 어셈블리(410)는 단위 급기 유로(310a)에 구비된 제1 밸브(411)와, 단위 배기 유로(320a)에 구비된 제2 밸브(4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에어 펌프(200)의 동작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급기 유로(310)를 통해 에어 셀(100)로 이동하게 되고, 에어 셀(100) 내부에 공기가 공급되면 에어 셀(100)이 부풀어 오르면서 사용자의 신체를 가압하게 된다. 에어 셀(100)이 사용자의 신체를 일정 시간 가압한 후에는 에어 셀(100) 내부의 공기가 배기 유로(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에어 셀(100)에 의한 가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에어 셀(100)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면서 사용자의 신체를 마사지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신체의 다양한 위치를 에어 마사지하기 위해 복수의 에어 셀(100)이 구비되며, 이러한 복수의 에어 셀(100)에 각각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단위 급기 유로(310a)와 복수 에어 셀(100)로부터 각각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단위 배기 유로(320a)가 구비된다. 또한, 각각의 단위 급기 유로(310a)에는 제1 밸브(411)가 구비되고, 각각의 단위 배기 유로(320a)에는 제2 밸브(412)가 구비되어 각각의 에어 셀(100)로 공급되는 공기와 각각의 에어 셀(1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에어 셀(100)이 상호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에 구비된 제1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에 구비된 제1 밸브에 전류가 인가되면서 급기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에 구비된 제2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에 구비된 제2 밸브에 전류가 인가되면서 배기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밸브(411)는 전류 인가 시 에어 셀(100)이 에어 펌프(200)와 연통되도록 단위 급기 유로(310a)를 개방하게 된다. 즉, 제1 밸브(411)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오프 상태에서는 에어 셀(100)이 에어 펌프(200)와 연통되지 않도록 단위 급기 유로(310a)가 폐쇄되고, 전류가 인가되는 온 상태에서는 에어 셀(100)이 에어 펌프(200)와 연통되도록 단위 급기 유로(310a)가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밸브(412)는 전류 인가 시 에어 셀(100)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단위 배기 유로(320a)를 개방하게 된다. 즉, 제2 밸브(412)의 경우에도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오프 상태에서는 에어 셀(100)이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단위 배기 유로(320a)가 폐쇄되고, 전류가 인가되는 온 상태에서는 에어 셀(100)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단위 배기 유로(320a)가 개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밸브(411)와 제2 밸브(412)의 전류 인가 여부를 통해 단위 급기 유로(310a)와 단위 배기 유로(320a)의 개폐가 가능하게 되므로 에어 셀(100)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에어 셀(100)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에서 푸쉬 동작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에서 푸쉬 동작과 홀드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에서 푸쉬 동작과 드레인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에어 셀(100)은 제1 단위 에어 셀(110)과 제2 단위 에어 셀(120)을 포함하고, 복수의 밸브 어셈블리(410)는 제1 단위 에어 셀(110)로 공급되는 공기 및 제1 단위 에어 셀(1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와, 제2 단위 에어 셀(120)로 공급되는 공기 및 제2 단위 에어 셀(1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를 포함하며, 제어부(500)는 에어 셀(100)로 공기가 공급되는 푸쉬 동작, 에어 셀(100) 내부의 공기가 유지되는 홀드 동작 및 에어 셀(100)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드레인 동작이 각각의 에어 셀(100)마다 독립적으로 진행되도록 각각의 밸브 어셈블리(410)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에어 셀(100)은 전술한 제1 단위 에어 셀(110)과 제2 단위 에어 셀(120) 뿐만 아니라 제3 단위 에어 셀(130)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 셀(10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 가능하다. 제1 단위 에어 셀(110)에는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가 구비되고, 제2 단위 에어 셀(120)에는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가 구비되어 각각의 에어 셀(100)로 공급되는 공기와 각각의 에어 셀(1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즉, 에어 셀(100)로 공기가 공급되는 푸쉬 동작이 진행되는 경우 제어부(500)는 제1 밸브(411)에 전류를 인가해서 단위 급기 유로(310a)를 개방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 밸브(412)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해서 단위 배기 유로(320a)를 폐쇄함으로써 에어 셀(100) 내부 공기압이 증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에어 셀(100)에 공기가 어느 정도 공급됨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단수(압력)에 따른 마사지 강도가 확보되면 에어 셀(100)에 더 이상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홀드 동작이 진행되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500)는 제1 밸브(411)와 제2 밸브(412)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단위 급기 유로(310a)와 단위 배기 유로(320a)를 폐쇄하게 된다. 아울러 에어 셀(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서 에어 셀(100) 내부의 공기압을 감소시키는 드레인 동작이 진행되는 경우 제2 밸브(412)에 전류를 인가해서 단위 배기 유로(320a)를 개방하게 되고, 제1 밸브(411)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해서 단위 급기 유로(310a)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구비된 제1 밸브(411)와 제2 밸브(412)의 인가 전류를 조절하여 각각의 에어 셀(100)에서 독립적으로 푸쉬 동작, 홀드 동작, 드레인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3 단위 에어 셀(130)에는 제3 단위 밸브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전술한 푸쉬 동작, 홀드 동작, 드레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에어 셀(110)과 제2 단위 에어 셀(120)에서 모두 푸쉬 동작이 진행되는 경우, 제어부(500)는 에어 펌프(2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게 되는데, 공급되는 공기가 제1 단위 에어 셀(110)과 제2 단위 에어 셀(120)에 공급되도록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500)는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와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에 각각 구비된 제1 밸브(411)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와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에 각각 구비된 제2 밸브(412)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에어 펌프(20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각각의 제1 밸브(411)의 동작을 통해 제1 단위 에어 셀(110)과 제2 단위 에어 셀(120)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며, 제1 단위 에어 셀(110)과 제2 단위 에어 셀(12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각각의 제2 밸브(412)는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제3 단위 에어 셀(130)에도 푸쉬 동작이 진행되도록 제3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에 구비된 제1 밸브(411)에 전류를 인가해서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제3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에 구비된 제2 밸브(412)는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에어 셀(110)은 푸쉬 동작이 진행되고, 제2 단위 에어 셀(120)은 홀드 동작이 진행되는 경우, 제어부(500)는 에어 펌프(2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게 되는데, 공급되는 공기가 제1 단위 에어 셀(110)에만 공급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500)는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에 구비된 제1 밸브(411)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에 구비된 제2 밸브(412)와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에 구비된 상기 제1 밸브(411)와 상기 제2 밸브(412)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단위 에어 셀(110)에서는 푸쉬 동작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므로 에어 펌프(20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제1 밸브(411)의 동작을 통해 제1 단위 에어 셀(110)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2 단위 에어 셀(120)의 경우 내부 공기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에어 펌프(20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흐르지 않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밸브(411)는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각각의 제2 밸브(412)는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3 단위 에어 셀(130)에도 푸쉬 동작, 홀드 동작, 드레인 동작이 개별적으로 진행되도록 제3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에 구비된 제1 밸브(411) 및 제2 밸브(412)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에어 셀(110)은 푸쉬 동작이 진행되고, 제2 단위 에어 셀(120)은 드레인 동작이 진행되는 경우, 제어부(500)는 에어 펌프(2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게 되는데, 공급되는 공기가 제1 단위 에어 셀(110)에만 공급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500)는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에 구비된 제1 밸브(411)와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에 구비된 제2 밸브(412)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에 구비된 제2 밸브(412)와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에 구비된 제1 밸브(411)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단위 에어 셀(110)에서는 푸쉬 동작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므로 에어 펌프(20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제1 밸브(411)의 동작을 통해 제1 단위 에어 셀(110)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2 단위 에어 셀(120)의 경우 내부 공기압이 감소되어야 하므로 에어 펌프(20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흐르지 않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제2 단위 에어 셀(12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밸브(411)는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에 구비된 제2 밸브(412)는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되나,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에 구비된 제2 밸브(412)는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3 단위 에어 셀(130)에도 푸쉬 동작, 홀드 동작, 드레인 동작이 개별적으로 진행되도록 제3 단위 밸브 어셈블리(410)에 구비된 제1 밸브(411) 및 제2 밸브(412)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밸브(411)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411a)과, 제1 하우징(411a)의 내부와 에어 펌프(200)를 연통시키는 제1-1 포트(411b)와, 제1 하우징(411a)의 내부와 에어 셀(100)을 연통시키는 제1-2 포트(411c)와, 제1-1 포트(411b)를 개폐하는 제1 도어(411d)와, 제1 도어(411d)가 제1-1 포트(411b)를 폐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체(411e)와, 전류 인가 시 제1-1 포트(411b)가 개방되도록 제1 도어(411d)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체(411f)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411a)에는 제1-1 포트(411b)와 제1-2 포트(411c)가 구비되나, 제1 도어(411d)를 이용해서 제1-1 포트(411b)를 개폐하도록 구성하면 에어 펌프(2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제1 하우징(411a)의 내부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제1-2 포트(411c)의 개폐 유무와 무관하게 에어 펌프(2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1 도어(411d)가 제1-2 포트(411c)를 개폐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500)를 통해 제1 밸브(411)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1 포트(411b)와 제1-2 포트(411c)가 연통되도록 제1 구동체(411f)를 통해 제1 도어(411d)를 이동시키게 된다. 일 예로 제1 구동체(411f)는 전자석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제1 도어(411d)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밸브(412)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2 하우징(412a)과, 제2 하우징(412a)의 내부와 에어 셀(100)을 연통시키는 제2-1 포트(412b)와, 제2 하우징(412a)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2 포트(412c)와, 제2-1 포트(412b)를 개폐하는 제2 도어(412d)와, 제2 도어(412d)가 제2-1 포트(412b)를 폐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체(412e)와, 전류 인가 시 제2-1 포트(412b)가 개방되도록 제2 도어(412d)를 이동시키는 제2 구동체(412f)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412a)에는 제2-1 포트(412b)와 제2-2 포트(412c)가 구비되나, 제2 도어(412d)를 이용해서 제2-1 포트(412b)를 개폐하도록 구성하면 에어 펌프(2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제1 하우징(411a)의 내부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제2-2 포트(412c)의 개폐 유무와 무관하게 에어 펌프(2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2 도어(412d)가 제2-2 포트(412c)를 개폐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하우징(412a)에 제2-3 포트(412g)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경우 제2 도어(412d)는 제2-3 포트(412g)도 함께 개폐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500)를 통해 제2 밸브(41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2-1 포트(412b)와 제2-2 포트(412c)가 연통되도록 제2 구동체(412f)를 통해 제2 도어(412d)를 이동시키게 된다. 일 예로 제2 구동체(412f)는 전자석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제2 도어(412d)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즉, 제1 밸브(411)와 제2 밸브(412)에 전류가 인가되면 이들 밸브에 각각 구비된 제1 도어(411d)와 제2 도어(412d)가 제1 구동체(411f)와 제2 구동체(412f)에 의해 이동하면서 유로가 개방되므로 구성이 단순화되어 고장의 우려가 적고 제조 원가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밸브(412)는 제2 하우징(412a)의 내부와 외부를 추가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3 포트(412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밸브(412)의 경우 제2-2 포트(412c)와 제2-3 포트(412g)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에어 셀(100) 내부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2 포트(412c)와 제2-3 포트(412g)는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2 밸브(412)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도어(412d)는 제2-1 포트(412b)를 폐쇄하고, 제2-2 포트(412c)와 제2-3 포트(412g)는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의 에어 셀에 이상 고압이 발생한 경우 제2 밸브를 통해 고압이 해소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 포트(412b)를 통해 제2 도어(412d)에 인가되는 공기의 압력(Pr)은 제2 탄성체(412e)가 탄성 변형되는 방향(S)으로 인가될 수 있다. 즉, 에어 셀(100) 내부의 공기 배출 시 제2 밸브(412)의 제2 도어(412d)가 개방되면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며, 기본적으로 에어 셀(100) 내부에 고압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500)는 제2 밸브(412)를 개방해서 고압을 해소하게 된다. 다만, 에어 셀(100) 내부에 이상 고압이 발생한 상황에서도 제어부(500)가 이를 감지하지 못함으로 인해 제2 밸브(412)가 개방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도어(412d)에 인가되는 공기의 압력(Pr)이 제2 탄성체(412e)가 탄성 변형되는 방향(S)으로 인가되면 에어 셀(100) 내부에 이상 고압이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이상 고압의 공기에 의해 제2 도어(412d)가 밀려나면서 에어 셀(100)의 이상 고압 상태가 임의로 해소(안전 기능)됨으로써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 유로(3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에어 셀(100)에 공기가 공급되는 푸쉬 동작이 진행되다가, 일부 에어 셀(100)에만 공기가 공급되는 푸쉬 동작이 진행되고, 다른 에어 셀(100)에는 공기압이 유지되는 홀드 동작이나, 공기가 배출되는 드레인 동작이 진행되는 경우 에어 펌프(20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급기 유로(310)에 압력 센서(600)가 구비되며, 제어부(500)는 각각의 상황에 맞는 공기압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에어 펌프(200)를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안전한 공기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 센서(600)는 공기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에어 셀(100) 내부에 이상 고압이 발생하는지 여부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급기 유로(310a)는 제1 밸브(411)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단위 급기 유로(311)와 제1 밸브(411)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단위 급기 유로(312)를 포함하고, 단위 배기 유로(320a)는 제2 밸브(412)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단위 배기 유로(321)와 제2 밸브(412)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단위 배기 유로(322)를 포함하고, 후방 단위 급기 유로(312)와 전방 단위 배기 유로(321)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에어 셀(100)과 연통되도록 단위 분기 유로(3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밸브(411)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단위 급기 유로(311)와 제2 밸브(412)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단위 배기 유로(322)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나, 제1 밸브(411)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단위 급기 유로(312)와 제2 밸브(412)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단위 배기 유로(321)는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하고, 이들 유로에서 분기되는 단위 분기 유로(330)를 통해 에어 셀(100)과 연통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로의 구성이 단순화되어 전체 장치의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급기 유로(310a)는 제1 밸브(411)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단위 급기 유로(311)와 제1 밸브(411)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단위 급기 유로(312)를 포함하고, 단위 배기 유로(320a)는 제2 밸브(412)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단위 배기 유로(321)와 제2 밸브(412)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단위 배기 유로(322)를 포함하고, 후방 단위 급기 유로(312)와 전방 단위 배기 유로(321)는 에어 셀(100)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 마사지 장치는 단일의 에어 펌프(200)를 이용해서 복수의 에어 셀(100)에 공기를 공급하되, 밸브 어셈블리(410)가 각각의 에어 셀(100)마다 구비되므로 각각의 에어 셀(100)이 상호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에어 셀 110 : 제1 단위 에어 셀
120 : 제2 단위 에어 셀 130 : 제3 단위 에어 셀
200 : 에어 펌프 300 : 유로부
310 : 급기 유로 310a : 단위 급기 유로
311 : 전방 단위 급기 유로 312 : 후방 단위 급기 유로
320 : 배기 유로 320a : 단위 배기 유로
321 : 전방 단위 배기 유로 322 : 후방 단위 배기 유로
330 : 단위 분기 유로 400 : 유로 조절부
410 : 밸브 어셈블리 410a : 제1 단위 밸브
410b : 제2 단위 밸브 410c : 제3 단위 밸브
411 : 제1 밸브 411a : 제1 하우징
411b : 제1-1 포트 411c : 제1-2 포트
411d : 제1 도어 411e : 제1 탄성체
411f : 제1 구동체 412 : 제2 밸브
412a : 제2 하우징 412b : 제2-1 포트
412c : 제2-2 포트 412d : 제2 도어
412e : 제2 탄성체 412f : 제2 구동체
412g : 제2-3 포트 500 : 제어부
600 : 압력 센서
Pr : 제2 도어에 인가되는 압력
S : 제2 탄성체가 탄성 변형되는 방향

Claims (14)

  1. 복수의 에어 셀;
    각각의 상기 에어 셀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일의 에어 펌프;
    상기 에어 셀과 상기 에어 펌프 및 상기 에어 셀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에 배치되어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유로 조절부; 및
    상기 에어 펌프 및 상기 유로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 조절부는 각각의 상기 에어 셀로 공급되는 공기 및 상기 에어 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되, 상기 에어 셀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된 복수의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에어 마사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에어 셀과 상기 에어 펌프를 연통시키는 급기 유로와, 상기 에어 셀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기 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급기 유로는 각각의 상기 에어 셀을 상기 에어 펌프와 연통시키는 복수의 단위 급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유로는 각각의 상기 에어 셀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복수의 단위 배기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단위 급기 유로에 구비된 제1 밸브와, 상기 단위 배기 유로에 구비된 제2 밸브를 포함하는 에어 마사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전류 인가 시 상기 에어 셀이 상기 에어 펌프와 연통되도록 상기 단위 급기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밸브는 전류 인가 시 상기 에어 셀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단위 배기 유로를 개방하는 에어 마사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에어 셀은 제1 단위 에어 셀과 제2 단위 에어 셀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단위 에어 셀로 공급되는 공기 및 상기 제1 단위 에어 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단위 에어 셀로 공급되는 공기 및 상기 제2 단위 에어 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셀로 공기가 공급되는 푸쉬 동작, 상기 에어 셀 내부의 공기가 유지되는 홀드 동작 및 상기 에어 셀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드레인 동작이 각각의 상기 에어 셀마다 독립적으로 진행되도록 각각의 상기 밸브 어셈블리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에어 마사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에어 셀과 상기 제2 단위 에어 셀에서 모두 푸쉬 동작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펌프가 동작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1 밸브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2 밸브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에어 마사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에어 셀은 푸쉬 동작이 진행되고, 상기 제2 단위 에어 셀은 홀드 동작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펌프가 동작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구비된 상기 제1 밸브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구비된 상기 제2 밸브와 상기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구비된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에어 마사지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에어 셀은 푸쉬 동작이 진행되고, 상기 제2 단위 에어 셀은 드레인 동작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펌프가 동작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구비된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구비된 상기 제2 밸브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구비된 상기 제2 밸브와 상기 제2 단위 밸브 어셈블리에 구비된 상기 제1 밸브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에어 마사지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에어 펌프를 연통시키는 제1-1 포트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에어 셀을 연통시키는 제1-2 포트와, 상기 제1-1 포트를 개폐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제1-1 포트를 폐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체와, 전류 인가 시 상기 제1-1 포트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 도어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체를 포함하는 에어 마사지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에어 셀을 연통시키는 제2-1 포트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2 포트와, 상기 제2-1 포트를 개폐하는 제2 도어와,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제2-1 포트를 폐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체와, 전류 인가 시 상기 제2-1 포트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2 도어를 이동시키는 제2 구동체를 포함하는 에어 마사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추가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3 포트를 더 포함하는 에어 마사지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도어에 인가되는 공기의 압력은 상기 제2 탄성체가 탄성 변형되는 방향으로 인가되는 에어 마사지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에어 마사지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급기 유로는 상기 제1 밸브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단위 급기 유로와 상기 제1 밸브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단위 급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배기 유로는 상기 제2 밸브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단위 배기 유로와 상기 제2 밸브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단위 배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단위 급기 유로와 상기 전방 단위 배기 유로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 셀과 연통되도록 단위 분기 유로가 구비되는 에어 마사지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급기 유로는 상기 제1 밸브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단위 급기 유로와 상기 제1 밸브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단위 급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배기 유로는 상기 제2 밸브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단위 배기 유로와 상기 제2 밸브의 후방에 배치된 후방 단위 배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단위 급기 유로와 상기 전방 단위 배기 유로는 상기 에어 셀에 각각 연결되는 에어 마사지 장치.
KR1020210110197A 2021-08-20 2021-08-20 에어 마사지 장치 Pending KR20230027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197A KR20230027908A (ko) 2021-08-20 2021-08-20 에어 마사지 장치
CN202280056883.0A CN117915877A (zh) 2021-08-20 2022-08-19 空气按摩装置
PCT/KR2022/012403 WO2023022557A1 (ko) 2021-08-20 2022-08-19 에어 마사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197A KR20230027908A (ko) 2021-08-20 2021-08-20 에어 마사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908A true KR20230027908A (ko) 2023-02-28

Family

ID=8524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197A Pending KR20230027908A (ko) 2021-08-20 2021-08-20 에어 마사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27908A (ko)
CN (1) CN117915877A (ko)
WO (1) WO202302255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6409A (ja) 2019-07-17 2021-02-15 ファミリーイナダ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267A (ko) * 2001-10-13 2003-04-21 김효중 공압을 이용한 마사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073234A (ja) * 2002-08-09 2004-03-11 Sanyo Electric Co Ltd エアーマッサージ装置
JP2006187517A (ja) * 2005-01-07 2006-07-20 Omron Healthcare Co Ltd エアーバルブ、電子血圧計及びエアーマッサージ機
KR101468501B1 (ko) * 2013-05-15 2014-12-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석자 체형 자동 맞춤형 의자 시스템
KR101535839B1 (ko) * 2014-03-14 2015-07-13 (주)우리 에어 마사지용 에어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6409A (ja) 2019-07-17 2021-02-15 ファミリーイナダ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15877A (zh) 2024-04-19
WO2023022557A1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7982B2 (en) Massage apparatus
US7591796B1 (en) Automatic portable pneumatic compression system
US20180104138A1 (en) Residual pressure control in a compression device
US8784346B2 (en) Portable ambulant pneumatic compression system
JP2009523590A (ja) 制御ユニットアセンブリ
US7976486B2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circulation
US8043238B1 (en) Disposable decubitus preventing and treating mattress with ancillary applications
US20090240179A1 (en) Pneumatic massage apparatus
KR20230027908A (ko) 에어 마사지 장치
JP7283816B1 (ja) 給排気装置
US20150094629A1 (en) Compression garment controlling
KR200498354Y1 (ko) 차량용 안마기
KR200444112Y1 (ko) 안부 안마기
JP4689228B2 (ja) エアマッサージ器異常検出システム
US20230190571A1 (en) Air pump system for massager
KR20080097670A (ko) 하중이 많이 발생되는 부분에만 공기분사수단을 갖는 욕창방지매트
KR20010103116A (ko) 약액 공급량 조절기
CN103505348A (zh) 空气按摩装置
CN103505355B (zh) 空气按摩装置
KR20250107412A (ko) 강제 배기가 가능한 에어 마사지 장치
CN108066118A (zh) 一种水液压按摩装置及沙发
KR20080097961A (ko) 욕창방지매트에 사용되는 공기분사장치
CN114376884A (zh) 一种空气压力治疗仪及单向减压阀
IT201600068859A1 (it) Apparecchiatura per effettuare trattamenti sul corpo umano
JP2003052774A (ja) マッサージ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8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