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396A - 통합된 폐쇄부들을 포함하는 무매듭 봉합사 - Google Patents
통합된 폐쇄부들을 포함하는 무매듭 봉합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12396A KR20230012396A KR1020217003955A KR20217003955A KR20230012396A KR 20230012396 A KR20230012396 A KR 20230012396A KR 1020217003955 A KR1020217003955 A KR 1020217003955A KR 20217003955 A KR20217003955 A KR 20217003955A KR 20230012396 A KR20230012396 A KR 202300123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ture
- self
- openings
- retaining
- need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7—Suture clamps, clips or locks, e.g. for replacing suture knots;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5—Devices or means, e.g. loops, for capturing the suture thread and threading it through an opening of a suturing instrument or needle eyel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61B90/92—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coded with colou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or resorpt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4—Material properties low friction
- A61B2017/00845—Material properties low friction of moving part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53—Material properties low friction, hydrophobic and corrosion-resistant fluorocarbon resin coating (ptf,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89—Material properties antimicrobial, disinfecta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93—Material properties pharmaceutically effect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6—Means for attaching and blocking the suture in the suture anchor
- A61B2017/0459—Multiple holes in the anchor through which the suture extends and locking the suture when tension is appli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495—Reinforcements for suture li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2—Needle-suture combinations in which a suture is extending inside a hollow tubular needle, e.g.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need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8—Sutures elastic, e.g. stretch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4—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parts of the device itse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자기 유지 봉합사는 조직을 뚫고들어가기 위한 제1 단부 및 연장된 봉합사 몸체를 갖고, 이때, 상기 연장된 봉합사 몸체는 무매듭 봉합사 루프 폐쇄부들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조화된 복수의 단속 개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무매듭 봉합사 루프 폐쇄부들은, 상기 봉합사를 통한 상기 단속 개구부들의 존재로 인해, 대향 조직 면들을 확실하게 붙잡으며, 상기 단속 개구부들은 상기 봉합사 몸체의 일방향 통행을 허용하여, 상기 봉합사에 자기 유지 또는 자기 체결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봉합사가 후진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봉합사 실의 단속 개구부들 중 하나를 통해 봉합사를 당김으로써, 조직 면들 사이에 원하는 루프 크기가 형성되면, 봉합사 실은 절단되고,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나머지 봉합사 실을 사용하여 추가 루프가 시작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외과적 상처 폐쇄용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그 배경은 기존의 봉합사 및 이의 사용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상처 폐쇄 방식은 상처 유형, 깊이, 봉합할 조직(tissue) 유형, 필요한 긴장 정도, 및 원하는 미용 결과에 따라 다르다. 상처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스테이플, 봉합사, 및 접착제를 사용하여 폐쇄된다.
봉합사는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폐쇄 방식이며, 봉합사는 생체 흡수성 (bioabsorbable) 재료(궁극적으로 신체에서 완전히 분해됨) 또는 비 생체 흡수성(영구적, 비 분해성) 재료를 포함한 많은 재료로 만들어졌다. 봉합사는 별도의 바늘을 통해 실을 꿸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 바늘에 부착된 봉합사로 구성된다. 비 생체 흡수성 봉합사는 대략적으로 더 큰 인장 강도가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 비 생체 흡수성 봉합사는 장기간의 상처 치유가 필요한 상처에 사용되며 장기간의 물리적 지원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생체 흡수성 봉합사는 봉합사 제거가 회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거나 완전한 상처 치유 후 장기적인 물리적 지원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된다. 필요한 경우, 생체 흡수성 봉합사로 이중층 폐쇄를 사용하여 인장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외상 폐쇄에서, 생체 흡수성 봉합사는 감소된 인장이 허용되는 곳에서 사용될 수 있고 더 나은 상처 가장자리 봉합 및 미적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수술용 바늘이 사용될 수 있다. 바늘 몸체의 형상과 크기 및 바늘 선단(needle tip)의 구성은 전형적으로 특정 적용 분야의 필요에 따라 선택된다.
봉합사 적용을 위한 다양한 기술은 오랫동안 알려져 왔으며, 상처의 유형, 수술 상황, 필요한 장력 및 원하는 미용 결과를 기준으로 선택된다. 출혈이나 긴 상처를 신속하게 제어하기 위해, 연속 봉합사(running suture)를 사용하여 상처의 길이를 따라 장력이 배분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연속 바늘땀(running stitch)의 경우, 어느 바늘땀의 실패 또는 감염으로 인해 전체 상처가 열릴 수 있다. 피하 및 외부 폐쇄 모두에 대해, 단속 봉합(interrupted sutures)은 피부 순환 장애의 위험을 줄이고 피부와 근막의 정밀한 봉합을 허용한다. 감염시, 부분적인 상처 회복이 가능하다. 그러나, 단속 봉합은 시간, 훈련, 및 상당한 손재주가 필요한 반복적인 매듭 묶기가 요구된다. 매듭 묶기에 소요되는 노동 강도와 시간 외에도, 매듭 묶기와 관련된 까다로운 문제에는: (a) 피하 폐쇄 후 매듭이 있는 봉합사가 피부를 꿰뚫고 나오는(pushes through) 꿰뚫림(spitting), (b) 매듭 틈새의 감염에 대한 더 큰 병소(nidus), (c) 더 큰 이물질 자극 및 흉터를 초래하는 매듭의 양(mass) 증가, 및 (d) 매듭을 느슨하게 하거나 풀리게 하는 미끄러짐(slippage)이 포함된다. 매듭 묶기와 관련된 봉합 루프는 조여진(strangulated) 조직에서 허혈을 유발하고 수술 상처에서 열개(dehiscence) 또는 파열(rupture)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매듭 묶기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은 미늘이 있는 봉합사(barbed sutures) 또는 자기 유지 봉합사(self-retaining sutures)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것은 1964년에 Alcamo에 의해 미국 특허 제 3,123,077호에 처음 개시되었다. 미늘이 있는 봉합사에 대한 추가 특허에는 미국 특허 제 5,374,268호(미늘 모양의 돌출부를 갖는 보강된 앵커), 미국 특허 제 5,374,268호 및 제 5,584,859호 및 제 6,264,675호(미늘이 있는 측방향 부재를 갖는 봉합사 어셈블리), 및 미국 특허 제 5,931,855호 및 미국 특허 제 6,241,747호(양방향 미늘 봉합사)가 포함된다. 미국 특허 제 8,795,332호, 제 8,915,943호 및 제 10,016,196호는 말단 루프 요소를 갖는 앵커가 포함된, 앵커가 있는 일방향 봉합사를 설명한다.
봉합사 재료 상의 미늘은 후진 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자기 유지가 될 수 있으므로 무매듭 봉합을 허용하여, 수술실에서 상당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미늘 봉합사의 도입 이후, 미늘 봉합사는 다양한 수술 용도에 사용되었으며, 생체 흡수성 및 비 생체 흡수성 모노필라멘트 재료로 뿐만 아니라 편조 형태(braided form)로도 이용가능하다. 널리 사용되는 미늘이 있는 봉합사에는 양방향 미늘을 가진 Quill SRS(Quill Self-Retaining System; Angiotech Pharmaceuticals,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선단에 바늘 1개와 고리를 갖춘 일방향 미늘이 있는, V-Loc 흡수성 상처 폐쇄 장치(Covidien, Mansfield, MA, USA); 및 미늘과 앵커의 나선형 분포를 나타내는, Stratafix(STRATAFIX 무매듭 조직 제어 장치, Ethicon Inc., Somerville, NJ, USA);가 포함한다. 미늘 봉합사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열개(dehiscence)를 방지하기 위한 폐쇄부의 충분한 강도는 여전히 달성하기 어렵다.
단속 봉합 방법에 의해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는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자기 유지 폐쇄를 제공하는 무매듭 봉합 재료에 대한 충족되지 않은 요구가 남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구현예에 따르면,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또는 부착가능한 봉합사를 포함하는 자기 유지 봉합사가 제공되며, 여기서, 봉합사는 바늘에 부착된 또는 부착가능한 제1 단부 및 봉합사 몸체를 따라 봉합사 몸체를 통해 측방향으로(laterally) 고정된 종방향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들을 갖는 연장된 무매듭(elongated knotless)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 봉합사 몸체를 포함하고, 개구부들을 통과하고 그에 따라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측방향으로 통과하는 봉합사 바늘의 통행(passage)을 개구부들이 허용하고, 제1 단부의 전개(deployment)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후진 방향 이동에 대해 개구부들이 저항함으로써, 대향 조직 표면들(opposing tissue surfaces) 사이에 전개될 때 봉합사에 일방향 자기 유지 루프들(one-way self-retaining loops)을 형성하도록 하는 치수(dimension)를 개구부들이 가지며, 여기서 복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들은, 매듭을 사용하지 않은 채, 나머지 자기 유지 봉합사를 사용해 상처를 가로지르는 일련의 일방향 자기 유지 루프들의 형성을 허용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개구부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인접한 개구부들의 연쇄(a chain of adjacent apertures)를 형성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개구부들은 개구부의 직경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봉합사 재료의 세그먼트들(segments)에 의해 분리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개구부들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반면, 다른 구현예에서는 인접한 개구부들은 더 큰 직경의 개구부와 더 작은 직경의 개구부가 교번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봉합사 몸체는 유연하고 충분히 신장가능하여, 장력하에 개구부들을 변형(deform)시키고 평탄화(flatten)시킬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개구부들을 형성하는 재료는 미늘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자기 유지 봉합사는 생체 흡수성이거나 또는 생체 흡수성이 아닐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봉합사의 개구부 사이트는 즉각적인 식별을 위해 차별되게 채색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또는 부착가능한 봉합사를 포함하는자기 유지 봉합사가 제공되며, 봉합사는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또는 부착가능한 제1 단부, 및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포함하고,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는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따라 고정된 종방향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들 및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따라 고정된 종방향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돌출부들을 갖고, 복수의 돌출부들(prominences) 중 하나 이상 및 복수의 개구부들 중 하나 이상은 반복(repeating) 교번(alternating) 패턴으로 배열되며, 개구부들은 유연하며, 봉합사 바늘을 전진 방향으로 당기는 것에 의한 장력 하에서 개구부들을 통과하는 돌출부들의 통행을 개구부들이 허용하되, 제1 단부의 전개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개구부를 통과하는 봉합사의 후진 방향 이동에 대해 개구부들이 저항함으로써, 대향 조직 표면들 사이에서 봉합사에 일방향 자기 유지 루프(one-way self-retaining loop)를 형성하도록 하는 치수(dimension)를 개구부들이 가지며, 복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들은, 매듭을 사용하지 않은 채, 일련의 일방향 자기 유지 루프들이 상처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것을 허용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봉합사 몸체의 돌출부들은 구형인 반면, 다른 구현예에서는 봉합사 몸체의 돌출부들은 원추 형상이며, 봉합사의 제1 단부를 향하는 원추 형상의 선두 에지(leading edge)는 원추 형상의 말단 단부(terminal end)보다 더 작은 원주(circumference)를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돌출부들은 변형 가능하며, 그에 따라, 상처 폐쇄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개구부를 통과하여 당겨지는 돌출부는 예를 들어, 바늘 드라이버, 클램프, 지혈기 또는 집게와 같은 수술 도구로 평탄화(flatten)되도록 설계되어, 루프 형성 개구부를 통해 후진 방향으로 당길 수 없는 치수를 달성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봉합사를 포함하는 자기 유지 봉합사가 제공되며, 봉합사는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포함하고,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는 봉합사 몸체의 종방향 평면을 통해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따라 고정된 종방향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들을 가지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는,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미늘을 포함하며, 개구부들은 개구부들을 통과하는, 그리고 그에 따라 따라서,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측방향으로 통과하는 봉합사 바늘의 통행을 허용하도록 하는 치수를 가지며, 미늘들은 제1 단부의 전개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봉합사의 후진 방향 이동에 대해 저항함으로써, 대향 조직 표면들 사이에서 전개될 때 봉합사에 일방향 잠금(one-way locking) 또는 자기 유지 루프를 형성하며, 복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들은, 매듭을 사용하지 않은 채, 일련의 일방향 자기 유지 루프들이 상처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것을 허용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는 대략적으로 둥근 단면을 갖는 반면, 다른 구현예에서 봉합사 몸체는 대략적으로 타원형이거나, 또는 일부 구현예에서 리본형, 또는 모래시계형 형상인 단면을 갖는다. 미늘들은, 개구부들을 통과하는 봉합사 재료의 후진 방향 통행(backward passage)을 방지하도록 적합화된 이빨(teeth), 비늘(scales), 돌기(projections), 커팅된 부분(cuts), 및 침상체(spicules) 중 하나 이상의 형태일 수 있다. 미늘들은 엇갈린(staggered) 배치, 꼬임 커팅된 다중 나선(twist cut multiple spiral) 배치, 나선형 배치, 중첩 배치, 무작위 배치,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배치로 봉합사의 몸체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미늘, 교번하는 미늘, 또는 단속 미늘(intermittent barb)에서, 종축의 슬릿 형태의 개구부는 이 코어를 통해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위치에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개구부들의 위치는 차별화된 채색을 통해 또는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차별화된 채색을 갖는 복수의 로케이터 밴드들 중 하나에 배치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하다.
특정 구현예에서, 개구부들은 봉합사 몸체를 통해 측방향 슬릿들로서 형성된다. 개구부 슬릿들은 통상적으로 닫혀 있지만 수술용 바늘 및 고정된 봉합사 몸체에 의해 개방되고, 수술용 바늘 및 고정된 봉합사 몸체의 통행을 허용하는 치수를 갖는다. 루프가 필요한 경우, 봉합사의 코어에 개구부가 배치되고, 봉합사는 개구부를 통과하여 당겨져 원하는 크기의 일방향 루프를 형성하며, 그 크기는 봉합사 몸체의 앵커들 또는 미늘들에 의해 후진 방향으로 당겨지지 않도록 고정되거나 잠기는 크기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봉합사 코어는 개구부 위치에서 더 강하다. 봉합사 몸체에 사용되는 재료, 필요한 인장 강도, 및 봉합사 재료가 종방향으로 쪼개지는(split) 경향에 따라, 특정 구현예에서, 개구부들을 함유하는 봉합사들의 적어도 그 해당 구역들은, 예를 들어 봉합사 몸체를 통해 원주 방향으로 또는 측방향으로 연장(running)하는 나노섬유들을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종방향 파열(tearing)에 대항하여 강화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대칭 쌍으로 봉합사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이격된 일련의 일방향 앵커들 또는 미늘들을 갖는 중실 코어(solid core)를 갖는 봉합사가 제공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앵커들 또는 미늘들은 코어의 종축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앵커들 또는 미늘들은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엇갈리게(staggered) 배치되는 형태,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꼬임 커팅된 다중 나선 형태로 배치되는 형태,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형태,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무작위로 배치되는 형태, 및 이들의 조합으로 배치된다. 종방향 슬릿 형태의 개구부들은 미늘 위치들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의 개구부들은 코어를 통해 측방향으로 이어진다. 특정 구현예에서, 개구부들의 위치들은 차별화된 채색을 통해 또는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차별화된 채색을 갖는 복수의 로케이터 밴드들 중 하나에 배치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하다.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색상은 봉합사의 개구부가 없는 부분들과는 다른 시각적 신호를 제공하는 염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식별가능한 색상은 전자기 복사의 여기 파장에 의해 활성화될 때 차별화된 위치 신호를 제공하고 혈액으로 가려지는 수술장에서 조차도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형광 염료와 같은 염료에 의해 제공된다.
특정 구현예에서,자기 유지 봉합사는 날카롭거나, 무디거나 또는 테이퍼된 근위 바늘 선단으로부터 넓은 원위 바늘 허브로 가면서 테이퍼되는 봉합사 바늘을 포함하며, 넓은 원위 바늘 허브는, 충분히 조직을 신장시켜 다중 개구부 구역 내의 통행을 제공하도록 하는 치수를 갖는 최외부 원주를 갖는다.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는 넓은 원위 바늘 허브로부터 다중 개구부 구역까지 연장하는 선두 구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선두 구역은 넓은 원위 바늘 허브의 최외부 치수와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외부 치수를 갖는다.
추가 구현예에서, 자기 유지 봉합사는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포함하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는 봉합사 바늘과 다중 개구부 구역 사이에서 연장하는 테이퍼된 선두를 포함하고, 테이퍼된 선두는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제1 좁은 선두 단부로부터, 다중 개구부 구역으로 연장하는 넓은 말단 선두 단부로 가면서 테이퍼되며, 넓은 말단 선두 단부는, 충분히 조직을 신장시켜 다중 개구부 구역 내의 통행을 제공하도록 하는 치수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봉합사 몸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직 봉합의 신규 방법이 제공되며, 봉합사 몸체는 바늘에 부착된 또는 부착가능한 제1 단부, 및 봉합사 몸체를 따라 고정된 종방향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들을 갖는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포함하고,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들을 통과하는 그리고 그에 따라 연장된 봉합사 몸체를 측방향으로 통과하는 봉합사 바늘의 통과를 개구부들이 허용하고, 제1 단부의 전개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봉합사의 후진 방향 이동에 대해 개구부들이 저항함으로써, 대향 조직 표면들 사이에서 봉합사에 일방향 자기 유지 루프를 형성하도록,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상기 개구부들이 적합화 및 치수조정된다. 전개될 때, 봉합사 몸체는 상처의 제1 및 제2 측면을 통과하여 당겨지되 상처의 제2 측면 외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를 포함하는 봉합사의 말단 꼬리(terminal tail)를 남긴다.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는 상처의 제2 측면 외부에 배치된 말단 꼬리로 식별되며, 바늘은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며, 봉합사 몸체는 상처의 제1 및 제2 측면을 함께 당기는 자기 유지 루프가 형성될 때까지, 개구부를 통과하여 당겨진다. 단속 봉합을 수행할 때, 봉합사는 자기 유지 루프를 형성하는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를 지나서(past), 절단(clipped)되고, 봉합사 몸체의 나머지 부분 및 바늘은 상처가 점진적으로 닫히면서 추가적인 자기 유지 루프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원하는 경우, 일련의 루프들을 상처의 길이를 가로질러 느슨하게 배치한 다음, 외과의가 뒤로 돌아가서, 상처 폐쇄의 모든 장력을 지탱하는 단일 루프없이 상처 에지들이 봉합되도록, 원하는대로 루프들을 조일 수 있다. 상처 폐쇄가 완료될 때까지 루프들은 반복적으로 조여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봉합사는 또한, 연속 봉합(running suture)에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연속 봉합은 연속 봉합의 시작과 끝 부분에서 고정된다. 예를 들어, 절단에 의해, 또는 끝 매듭이 조직을 통과하여 당겨져서, 끝을 고정하는 것이 실패하거나, 또는 봉합사가 길이를 따라 어디에선가 끊어지면, 전체 상처 폐쇄가 실패할 수 있다. 반대로, 봉합사 몸체를 따라 복수의 루프들 또는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제공된 봉합사를 사용하여, 연속 봉합을 수행할 때, 외과의사는 봉합사 몸체의 시작과 끝 사이에서 봉합사 몸체의 하나 이상의 개구부들을 통해 봉합사를 통과시킨다. 봉합사 몸체의 하나 이상의 개구부들을 통해 고정(securing)함으로써, 진행하는 봉합사에 대한 내부 개구부들은, 끝을 고정(securing)하는 것이 실패하더라도 전체 상처 폐쇄의 손실을 방지한다.
특징 및 장점을 포함한 본 발명의 더욱 완전한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다음과 같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참조한다:
도 1의 (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중 개구부 구현예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의 (b) 내지 (e)는 상처를 폐쇄(close)하기 위한 도 1의 (a)의 구현예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1의 (f)는 미늘이 없는 도 1의 (a)의 구현예에 의해 형성된 폐쇄부(closure)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의 (g)는, 봉합사 실에 미늘이 형성되어 있는 도 1의 (a)의 구현예에 의해 형성된 폐쇄부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의 (a)는, 인접한 개구부들의 직경이 더 큰 개구부와 더 작은 개구부 사이에서 교번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중 개구부 구현예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의 (b) 내지 (e)는 상처를 폐쇄하기 위한 도 2의 (a)의 구현예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2의 (f)는 미늘이 없는 도 2의 (a)의 구현예에 의해 형성된 폐쇄부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의 (g)는 봉합사 실에 미늘이 형성되어 있는 도 2의 (a)의 구현예에 의해 형성된 폐쇄부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a의 (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무매듭 봉합사의 구 및 루프 구현예(sphere and loop embodiment)의 일 구현예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a의 (b) 내지 (e)는 상처를 폐쇄하기 위한 도 3a의 (a)의 구현예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3b의 (f) 내지 (h)는, 구(spherical) 또는 종(bell) 형상의 돌출부와 같은 돌출부가 변형가능(deformable)하며, 그에 따라, 루프 형성 개구부를 통해 후진 방향으로 당길 수 없는 치수를 얻도록, 돌출부가 수술 기구에 의해 평탄화가능하도록 설계된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4의 (a)는 대략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barbed knotless suture)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의 (b) 내지 (e)는 상처를 폐쇄하기 위한 도 4의 (a)의 구현예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5의 (a)는 비원형(non-circular) 단면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의 (b) 내지 (e)는 상처를 폐쇄하기 위한 도 5의 (a)의 구현예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6은, 봉합사의 몸체의 색상과 다른 색상의 밴드를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의 구조를 도시하는데, 이 구현예에서는, 각각의 밴드(band)가 개구부를 포함하고 또한 각각의 밴드가 개구부 위치들의 즉시 식별을 가능하게 한다.
도 7의 (a) 내지 (c)는, 조직 관통 선단(tissue piercing tip)으로부터 넓은 허브(hub)로 가면서 테이퍼된 바늘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하는데, 이 구현예에서는, 상기 바늘 이후에, 다양한 디자인(예를 들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늘달린 구역,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 및 루프 구역, 및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접한 개구부들의 연쇄(chain of adjacent apertures))의 다중 개구부 구역까지 연장하는 상대적으로 넓은 선두(leader)가 이어진다.
도 8의 (a) 내지 (c)는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하며, 이 구현예에서는, 상기 바늘 이후에, 다양한 디자인(예를 들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늘달린 구역,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 및 루프 구역, 및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접한 개구부들의 연쇄)의 다중 개구부 구역까지 연장하는 테이퍼된 선두가 이어진다.
도 9의 (a)는,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비교적 큰 미늘을 특징으로 하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barbed multiple aperture section)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원형 삽입도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봉합사가 화살표 방향으로 조직을 통과하여 당겨지면, 미늘이 중앙 봉합사 필라멘트 쪽으로 들어눕게 되고, 개구부들은 평탄화된다.
도 9의 (b)는,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각각의 미늘이 바로 인접한 미늘에 각각 엇갈리게 배치된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원형 삽입도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봉합사가 화살표 방향으로 조직을 통과하여 당겨지면, 미늘이 중앙 봉합사 필라멘트 쪽으로 들어눕게 되고, 개구부들은 평탄화된다.
도 9의 (c)는, 마이크로-기계가공(micro-machining)을 사용하여 기부 필라멘트를 커팅(cutting)함으로써 미늘들 및 개구부들이 형성되는 다중 개구부 봉합사의 제조 방법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비교적 작은 미늘을 특징으로 하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봉합사의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난 개구부를 특징으로 하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비교적 큰 미늘 및 각진 개구부(angular apertures)를 특징으로 하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비교적 작은 미늘들 및 산재된 각진 개구부들(interspersed angular apertures)을 특징으로 하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개구부들이 미늘들의 평면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배치되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봉합사의 몸체에 매달린(pendant) 개구부들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봉합사의 몸체 내로 융합되거나(fused), 꼬이거나(twisted), 또는 직조된(woven) 목들(necks)을 갖는 개구부 루프들을 갖는 다중 필라멘트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multifilament barbed knotless suture)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미늘 위치들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들을 갖는 직조된 다중 필라멘트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woven multifilamentous barbed knotless suture)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8a는, 중실 코어(solid core)를 갖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의 일 구현예의 일 구역의 확대도를 도시하는데, 이 구현예에서, 상기 중실 코어에는, 일련의 단방향 앵커들(unidirectional anchors)이, 봉합사의 길이를 따라서 균일한 간격을 두고, 서로 180°위치에서 대칭적으로 배향된 쌍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있다. 도 18의 (b)의 단면도에 묘사된 바와 같이, 코어는 단면이 본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도 18의 (c)에 도시된 다른 구현예에서, 코어는 평탄화될 수 있고, 따라서, 단면도에서 타원 형태 또는 리본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도 18의 (d)에 도시된 구현예에서는, 봉합사 몸체는 덤벨 형상 또는 모래시계 형상을 갖는다.
도 19는, 미늘 위치들 사이에 배치되는 종방향 슬릿들(longitudinal slits)의 형태를 갖는 개구부들을 갖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의 대안적인 구현예의 일 구역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0의 (a) 내지 (c)는 자기 잠금 미늘달린 봉합사(self-locking barbed suture)의 실제작업 구현예를 도시하는데, 이 구현예에서, 상기 자기 잠금 미늘달린 봉합사는 자기 자신에게 잠겨지게 되거나, 또는 상기 자기 잠금 미늘달린 봉합사가 통과하면서 배치되어 있는 조직에 잠겨지게 된다.
도 1의 (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중 개구부 구현예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의 (b) 내지 (e)는 상처를 폐쇄(close)하기 위한 도 1의 (a)의 구현예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1의 (f)는 미늘이 없는 도 1의 (a)의 구현예에 의해 형성된 폐쇄부(closure)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의 (g)는, 봉합사 실에 미늘이 형성되어 있는 도 1의 (a)의 구현예에 의해 형성된 폐쇄부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의 (a)는, 인접한 개구부들의 직경이 더 큰 개구부와 더 작은 개구부 사이에서 교번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중 개구부 구현예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의 (b) 내지 (e)는 상처를 폐쇄하기 위한 도 2의 (a)의 구현예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2의 (f)는 미늘이 없는 도 2의 (a)의 구현예에 의해 형성된 폐쇄부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의 (g)는 봉합사 실에 미늘이 형성되어 있는 도 2의 (a)의 구현예에 의해 형성된 폐쇄부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a의 (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무매듭 봉합사의 구 및 루프 구현예(sphere and loop embodiment)의 일 구현예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a의 (b) 내지 (e)는 상처를 폐쇄하기 위한 도 3a의 (a)의 구현예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3b의 (f) 내지 (h)는, 구(spherical) 또는 종(bell) 형상의 돌출부와 같은 돌출부가 변형가능(deformable)하며, 그에 따라, 루프 형성 개구부를 통해 후진 방향으로 당길 수 없는 치수를 얻도록, 돌출부가 수술 기구에 의해 평탄화가능하도록 설계된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4의 (a)는 대략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barbed knotless suture)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의 (b) 내지 (e)는 상처를 폐쇄하기 위한 도 4의 (a)의 구현예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5의 (a)는 비원형(non-circular) 단면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의 (b) 내지 (e)는 상처를 폐쇄하기 위한 도 5의 (a)의 구현예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6은, 봉합사의 몸체의 색상과 다른 색상의 밴드를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의 구조를 도시하는데, 이 구현예에서는, 각각의 밴드(band)가 개구부를 포함하고 또한 각각의 밴드가 개구부 위치들의 즉시 식별을 가능하게 한다.
도 7의 (a) 내지 (c)는, 조직 관통 선단(tissue piercing tip)으로부터 넓은 허브(hub)로 가면서 테이퍼된 바늘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하는데, 이 구현예에서는, 상기 바늘 이후에, 다양한 디자인(예를 들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늘달린 구역,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 및 루프 구역, 및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접한 개구부들의 연쇄(chain of adjacent apertures))의 다중 개구부 구역까지 연장하는 상대적으로 넓은 선두(leader)가 이어진다.
도 8의 (a) 내지 (c)는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하며, 이 구현예에서는, 상기 바늘 이후에, 다양한 디자인(예를 들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늘달린 구역,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 및 루프 구역, 및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접한 개구부들의 연쇄)의 다중 개구부 구역까지 연장하는 테이퍼된 선두가 이어진다.
도 9의 (a)는,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비교적 큰 미늘을 특징으로 하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barbed multiple aperture section)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원형 삽입도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봉합사가 화살표 방향으로 조직을 통과하여 당겨지면, 미늘이 중앙 봉합사 필라멘트 쪽으로 들어눕게 되고, 개구부들은 평탄화된다.
도 9의 (b)는,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각각의 미늘이 바로 인접한 미늘에 각각 엇갈리게 배치된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원형 삽입도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봉합사가 화살표 방향으로 조직을 통과하여 당겨지면, 미늘이 중앙 봉합사 필라멘트 쪽으로 들어눕게 되고, 개구부들은 평탄화된다.
도 9의 (c)는, 마이크로-기계가공(micro-machining)을 사용하여 기부 필라멘트를 커팅(cutting)함으로써 미늘들 및 개구부들이 형성되는 다중 개구부 봉합사의 제조 방법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비교적 작은 미늘을 특징으로 하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봉합사의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난 개구부를 특징으로 하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비교적 큰 미늘 및 각진 개구부(angular apertures)를 특징으로 하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비교적 작은 미늘들 및 산재된 각진 개구부들(interspersed angular apertures)을 특징으로 하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개구부들이 미늘들의 평면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배치되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봉합사의 몸체에 매달린(pendant) 개구부들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봉합사의 몸체 내로 융합되거나(fused), 꼬이거나(twisted), 또는 직조된(woven) 목들(necks)을 갖는 개구부 루프들을 갖는 다중 필라멘트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multifilament barbed knotless suture)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미늘 위치들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들을 갖는 직조된 다중 필라멘트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woven multifilamentous barbed knotless suture)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8a는, 중실 코어(solid core)를 갖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의 일 구현예의 일 구역의 확대도를 도시하는데, 이 구현예에서, 상기 중실 코어에는, 일련의 단방향 앵커들(unidirectional anchors)이, 봉합사의 길이를 따라서 균일한 간격을 두고, 서로 180°위치에서 대칭적으로 배향된 쌍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있다. 도 18의 (b)의 단면도에 묘사된 바와 같이, 코어는 단면이 본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도 18의 (c)에 도시된 다른 구현예에서, 코어는 평탄화될 수 있고, 따라서, 단면도에서 타원 형태 또는 리본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도 18의 (d)에 도시된 구현예에서는, 봉합사 몸체는 덤벨 형상 또는 모래시계 형상을 갖는다.
도 19는, 미늘 위치들 사이에 배치되는 종방향 슬릿들(longitudinal slits)의 형태를 갖는 개구부들을 갖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의 대안적인 구현예의 일 구역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0의 (a) 내지 (c)는 자기 잠금 미늘달린 봉합사(self-locking barbed suture)의 실제작업 구현예를 도시하는데, 이 구현예에서, 상기 자기 잠금 미늘달린 봉합사는 자기 자신에게 잠겨지게 되거나, 또는 상기 자기 잠금 미늘달린 봉합사가 통과하면서 배치되어 있는 조직에 잠겨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의 제작 및 사용이 아래에서 상세하게 논의되지만, 이해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우 다양한 구체적 맥락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많은 적용 가능한 발명 개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특정 구현예는 단지 본 발명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특정 방식을 예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대향하는 조직면들을 함께 확실하게 유지하는 무매듭 봉합사 루프 폐쇄부의 형성을 가능하도록 구조화된 특수한 봉합사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다. 봉합사는 다양한 구성의 수술용 바늘의 한쪽 또는 양쪽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외과용 바늘은 조직을 뚫고 관통하며 봉합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조직에 경로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완전한 조직 봉합을 위해서는 상처 주위의 조직을 통한 바늘과 봉합사의 수많은 통과가 필요하다. 고전적인 단속 봉합을 수행할 때, 봉합사는 대향하는 조직면들을 통과하여 당겨지고 매듭되거나 묶여서, 대향하는 조직들을 함께 유지하는 봉합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를 뒤따르는 봉합사 몸체는 절단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봉합사는 연장된 봉합사 몸체를 통해 측방향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개구부들의 존재로 인해 동일한 봉합사 장치를 사용하여 복수의 무매듭 루프의 형성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매듭을 묶는 것은 회피된다. 봉합 라인의 가장 약한 부분은 매듭이며, 그 다음으로 가장 약한 지점은 이 매듭에 바로 인접한 부분이다. 봉합사 매듭과 관련된 인장 강도의 감소는 35% 내지 95 %로 보고되었다. 더욱이, 외과수술의 매듭 묶기는 시간을 소모하고, 인간의 실수와 가변성을 도입하고, 감염에 대한 병소(nidus)를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중 개구부 봉합사의 사용을 통해, 매듭 묶기는 회피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봉합사 몸체의 개구부들은 선택된 개구부를 통한 봉합사의 일방향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적합화되어, 후진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는 봉합사에 자기 유지 또는 자가-결합 루프를 형성한다. 봉합사 루프 폐쇄부(suture loop closure)를 형성할 때, 다중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봉합사의 근위 단부에 부착된 바늘은, 복수의 개구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봉합사 몸체의 말단 원위 단부 만이 상처의 제1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남을 때까지, 바늘을 뒤따르는 봉합사와 함께 상처의 제1 및 제2 대향하는 면들을 통해 전달된다. 말단 개구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시각적으로 확인되고, 바늘은 상처의 제1 및 제2 대향하는 측면을 함께 봉합하는 원하는 크기의 자기 유지 루프가 형성될 때까지 개구부를 통과한 다음 봉합사 몸체를 통과한다. 봉합사 몸체의 말단 개구부를 통해 봉합사를 당김으로써 원하는 루프 크기가 형성되면, 봉합사 실은 말단 루프가 개구부를 형성한 후에 절단(clipped)되고, 봉합사 몸체의 나머지 부분을 사용하여 그 과정이 반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봉합사는 생체 흡수성 또는 비 생체 흡수성(non-bioresorbable)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봉합사는 또한, 연속 봉합을 실행하는 데 적합하며 중요한 이점을 제공한다. 봉합사 몸체를 따라 복수의 루프들 또는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봉합사를 사용하여, 외과의사는 자기 유지 루프가 필요한 곳에 연속 봉합사를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들을 선택하였다. 외과의사는 연속 봉합을 수행할 때 봉합사 몸체의 시작과 끝 사이에 있는 봉합사 몸체의 하나 이상의 선택된 개구부들을 통과하여 봉합사 바늘을 진행한다. 봉합사 몸체의 하나 이상의 개구부들을 통과하여 봉합사를 고정함으로써, 진행하는 봉합사에 대한 내부 개구부들은 봉합사를 통한 봉합사의 후진 방향 이동을 방지할 것이고, 종방향으로 상처가 뭉치는 것을 방지할 것이며, 진행하는 봉합사의 끝을 고정(securing)하는 것이 실패하더라도, 전체 상처 폐쇄의 손실을 방지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봉합사는 수동 봉합, 내시경, 복강경 및 로봇 봉합에 사용될 수 있다. 매듭 묶기는 특히 내시경 및 복강경 수술에서 손으로 묶인 매듭이나 로봇 매듭보다 전형적으로 더 약한 매듭이 형성되는 것이 문제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봉합사는 내시경 복강경 상처 폐쇄에서 오랫동안 느꼈던 필요성을 경감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 본 출원의 청구 범위를 해석함에 있어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특정 용어들이 다음에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는 본 발명과 관련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는, 청구 범위에 요약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 용어는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단일 실체(single entity)를 지칭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을 뿐 아니라, 설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특정 예의 일반적인 부류를 포함한다. 청구항 및/또는 명세서에서 "포함하는(comprising)"과 함께 사용될 때 단수 용어의 사용은 "하나"를 의미할 수 있지만, "하나 이상", "적어도 하나", 및/또는 "하나 또는 하나보다 많은"과 일맥상통할 것이다.
청구항에서 "또는(or)"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상호 배타적인 대안을 명시적으로 지시하지 않는 한, "및/또는(and/or)"을 의미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대안물 군(group)에서 용어 "또는(or)"은 군의 구성원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또한, 상호 배타적인 대안물들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A, B 및/또는 C"라는 문구는 요소 A 만, 요소 B 만, 요소 C 만, 또는 A, B 및 C 중 함께 취해진 임의의 조합을 갖는 구현예를 의미한다.
유사하게,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그리고 대안물들을 상호 배타적이라고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라는 문구는 항목들의 목록과 결합될 때 목록의 단일 항목 또는 목록의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라는 문구는 "A, B, C 군,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따라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이 문구는 나열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반드시 전부는 아님)을 요구한다.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및 "포함하다(comprise 및 comprises)"와 같은 이것의 임의의 형태), "갖는(having)"(및 "갖다(have 및 has)"와 같은 이것의 임의의 형태), "포함하는(including)"(및 "포함하다(includes 및 include)"와 같은 이것의 임의의 형태), 또는 "함유하는(containing)"(및 "함유하다(contains 및 contain)"와 같은 이것의 임의의 형태)은 포괄적이거나 개방형이며, 추가의, 언급되지 않은 요소 또는 방법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 "효과적인(effective)"은 원하는, 예상되는, 또는 의도된 결과를 제공하거나 달성하기에 적합한 것을 의미한다.
용어 앵커(anchor) 및 미늘(barb)은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용어 "약" 또는 "대략"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가까운 것으로 정의되고, 비제한적인 일 구현예에서, 이 용어는 10% 이내, 5% 이내, 1% 이내, 및 특정 측면들에 있어서는 0.5% 이내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 및 그에 첨부된 청구 범위의 목적을 위해, 용어 "봉합사 장치(suture device)"는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연장된 봉합사 몸체를 지칭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에 제공된 봉합사 몸체는 단면이 원형이거나 또는 통상적으로 원형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봉합사 몸체는 원형이 아니고, 타원형이거나 평탄화된 리본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봉합사 몸체"는 봉합사의 필라멘트상 몸체(filamentous body) 구성요소를 말하며 봉합사 바늘을 포함하지 않는다. 봉합사 몸체는 모노필라멘트(monofilament)일 수 있고, 따라서 단일 필라멘트로 형성되거나 멀티필라멘트(multifilament)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복수의 필라멘트들, 예를 들어, 꼬임 또는 편조 방식(braided manner)으로 배열된 2개 이상의 필라멘트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자기 유지(self-retaining)", "자기 체결(self-engaging)" 또는 "자기 잠금(self-locking)" 봉합사는 매듭 폐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그 자체에 고정(anchor)하여 봉합사에 안정한 루프를 형성하는 봉합사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특정 구현예에서, 미늘있는 봉합사 재료는 다중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봉합사 몸체의 적어도 일 부분에 사용된다. 미늘있는 봉합사 재료는 통상적으로 몸체의 길이를 따라 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미늘들을 갖는 연장된 몸체를 포함한다. 미늘들은 조직을 통해 한 방향으로 봉합사의 통행을 허용하지만 반대 방향으로의 움직임에는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미늘들"은, 봉합사의 몸체에 개구부를 걸리게(snag) 하여 봉합사 몸체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 봉합사의 후진 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봉합사의 거친 부분(roughening) 또는 돌출부를 의미한다. 이러한 거친 부분 또는 돌출부들은 하나 이상의 치아, 비늘, 원추형 돌출부, 커팅된 부분(cut) 및 침상체(spicules)의 형태일 수 있으며, 앞에서 언급된 개구부들을 통한 봉합사 재료의 후진 방향 통행을 방지하도록 적합화되었다.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바와 같이, 미늘들은 미국 특허 제3,123,077호(Alcamo), 미국 특허 제7,056,331호(Kaplan) 및 미국 특허 제9,248,580호(Leung)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제한 없이 무수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양방향 미늘의 비제한적인 예는 미국 특허 제D870,283호(Adams), 미국 특허 제5,931,855호(Buncke) 및 미국 특허 제6,241,747호(Ruff)에 개시되었다.
미늘들 또는 앵커들은 봉합사의 몸체 상에, 대칭 쌍으로 봉합사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이격된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선택된 배치로, 코어의 종축을 따라 나선형 배치로,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엇갈리는(staggered) 배치로,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꼬임 커팅된 다중 나선 배치(twist cut multiple spiral disposition)로,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중첩하는 배치로,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무작위 배치로, 및 이들의 조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그에 첨부된 청구 범위의 목적을 위해, 용어 "생체 적합성"은, 일단 이식되면, 상처 치유 및/또는 조직 재생을 크게 방해하지 않고 중대한 대사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재료를 지칭한다. "생분해성" 및 "생체 흡수성"은 자발적으로 및/또는 포유류 신체에 의해 구성성분으로 분해되는 재료를 지칭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며, 이들은 상처 치유 및/또는 조직 재생을 크게 방해하지 않고 임의의 심각한 대사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방식으로 소모되거나 제거된다.
봉합사 재료에 적합한 생체 흡수성 재료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라이콜라이드, 폴리카프로락톤 및 이들의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노산), 코폴리 (에테르-에스테르), 폴리알킬렌 옥살레이트, 폴리디옥사논, 결정성 p-디옥사논/락타이드 코폴리머, 폴리아미드, 티로신 유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옥사에스테르, 폴리아미도에스테르, 아민기를 함유하는 폴리옥사에스테르, 폴리(무수물), 폴리포스파젠, 폴리펩티드, 폴리뎁시펩티드, 나일론 코폴리아미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디하이드로피란, 폴리포스파젠, 폴리(오르토 에스테르), 폴리(시아노 아크릴레이트), 폴리무수물, 변형된 다당류 및 변형된 단백질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머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천연 폴리머에는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라미닌, 및 젤라틴, 케라틴,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및 탈세포화된 조직(decellularized tissue)이 포함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생체 흡수성 봉합사 재료의 예에는 폴리(p-디옥사논)(외과수술용 봉합사를 위해 Ethicon에서 PDS® II로 판매됨), 약 33%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및 약 67%의 글라이콜과 디에틸렌 글라이콜의 코폴리머(예를 들어, MAXONTM, Medtronic), 약 60% 글라이콜라이드, 약 26%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및 약 14% 디옥사논으로 이루어진 터폴리머(terpolymer)(예를 들어, BIOSYNTM Medtronic), 글라이콜라이드, 카프로락톤,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및 락타이드의 코폴리머(예를 들어, CAPROSYNTM, Medtronic), 약 75% 글라이콜라이드와 약 25% 카프로락톤의 코폴리머(봉합사 용도로 Johnson & Johnson에 의해 MONOCRYL®로 판매), 및 폴리글락틴 910(글라이콜라이드와 락타이드의 90/10 랜덤 코폴리머로 형성된 코팅 봉합사(Ethicon에 의해 VICRYLTM으로 판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비분해성 봉합사는 아크릴,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아릴에테르케톤(PAEK),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P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일명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일명 나일론, 예를 들어, 나일론 6 및 나일론 6.6),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예를 들어, 확장형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부트에스테르(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테트라 메틸렌 에테르 글라이콜의 블록 코폴리머)와 같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금속 합금, 금속(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 실크 및 면은 비분해성 봉합사에도 또한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분해성 봉합사의 예에는 폴리프로필렌 봉합사(Ethicon의 PROLENE 블루 모노필라멘트),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Ethicon PRONOVA 폴리(헥사플루오로 프로필렌-VDF 봉합사)과 같은 폴리머 블렌드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비분해성 봉합사 재료로 만들어진 봉합사는, 봉합사가 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거나 신체로부터 물리적으로 제거되어야 하는 용도에 특히 적합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봉합사 장치는 윤활성, 내구성, 및 치료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표면에 종래의 코팅 및 그의 등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은 봉합사 표면 상에 담그거나(dipping), 분사하거나(spraying), 닦거나(wiping), 굴려서(rolling) 도포될 수 있다. 윤활성 코팅에는 실리콘, 밀랍, 및 파라핀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코팅은 또한, 폴리부틸레이트, 테플론, 폴리글락틴 370, 폴리카프롤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과 같은 생체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폴리머로 만들어 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코팅은 추가적으로 항생제, 항균제(예를 들어, 은, 디아이오도메틸-p-톨릴 술폰, 2,4,4'-트리클로로-2'-하이드록디페닐 에테르 및 트리클로산(5-클로로-2-(2,4-디클로로페녹시)페놀)과 같은 폴리클로로 페녹시 페놀 및 이들의 조합), 진통제 및 진통제 조합, 항염증제, 항소양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항증식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치료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봉합사 몸체를 형성하는 재료는 압출, 직조, 편조, 편직, 3-D 프린팅, 및 전기방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절차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개구부 루프로부터 연장하는 목(neck)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구부는, 봉합사 몸체에 직조, 편조 또는 꼬임, 레이저 절단, 용접, 접착, 압출, 3D 프린팅, 또는 디스펜서를 통해 용융 도포되는 다수의 수단에 의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개구부들을 함유하는 봉합사들의 적어도 그 해당 구역들은, 예를 들어 봉합사 몸체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또는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나노섬유들을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종방향 파열에 대항하여 강화된다.
"봉합사 바늘"은 봉합사를 조직 내에 전개하는 데 사용되는 바늘을 의미한다. 봉합사 바늘은 다양한 형상, 크기 및 조성으로 제공된다. 바늘에는 외상성(traumtic) 바늘과 비외상성(atraumtic) 바늘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외상성 바늘에는 채널 또는 천공된 단부(즉, 구멍 또는 눈)이 있으며 봉합 실과 별도로 공급되며 현장에서 실에 꿰어진다. 비외상성 바늘은 눈이 없으며 기계식 스웨이징(mechanical swaging), 접착, 접합(cementing), 열 수축 튜빙, 등과 같이 공장에서 봉합사에 부착된다. 스웨이징 부착의 경우, 봉합사 재료를 바늘의 무딘 단부의 채널 또는 허브에 삽입한 다음 봉합사와 바늘을 함께 고정하도록 최종 형상으로 변형한다. 비외상성 바늘은 현장에서 실을 꿰기 위한 추가 시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바늘 부착 부위의 봉합사 단부가 바늘 몸체보다 더 작다. 따라서, 대부분의 현대 봉합사는 스웨이징된(swaged) 비외상성 바늘로 제공된다. 봉합사 바늘은 직선이거나 또는 곡선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반원(half curved), 1/4 원, 3/8 원, 1/2 원, 5/8 원, 및 복합 곡선과 같은 곡선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봉합사 장치와 함께 유용한 수술용 바늘은, 수술용 스테인리스 스틸, 고강도 금속 합금, 고탄성 금속 합금, 내화성 금속 합금, 등과 같은 종래의 재료 및 이들의 등가물로 제조될 수 있는 비절단 테이퍼 선단 바늘(non-cutting tape tip needle)이다.
일 구현예에서 조직을 봉합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봉합사 몸체를 제공하는 단계(여기서 봉합사 몸체는 봉합사 몸체의 종방향 평면을 통해 측방향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함); (b) 상처의 제1 및 제2 측면의 조직을 통해 바늘을 전개하는 단계; c) 봉합사 몸체를 제1 및 제2 측면을 통과하여 당기고, 상처의 제2 측면 외부에 배치된 봉합사의 말단 꼬리(terminal tail)를 남기는 단계; d) 봉합사의 단부 꼬리에 개구부를 위치시키고 상처의 제1 및 제2면을 함께 당겨 루프가 형성될 때까지 봉합사 실을 개구부를 통과하여 당기는 단계; e) 루프를 형성하는 개구부를 지나서(past) 봉합사 실을 절단(clipp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단계 a) 내지 e)를 반복하여 추가 바늘땀을 형성한다.
기존의 봉합사 실은 모노필라멘트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편조(braided), 꼬임(twisted) 또는 직조된(woven) 두 개 이상의 필라멘트가 있는 멀티필라멘트 형태로 제공되어, 하나의 연장된 실을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구현예에서, 봉합사 몸체는 매듭이 없고 모노필라멘트이므로 외래성 물질의 성장을 지원하는 간극을 최소화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구현예에서, 봉합사 몸체는 매듭이 없고 멀티필라멘트이다. 다른 멀티필라멘트 봉합사 몸체에서, 봉합사는 코팅되어 외래성 물질의 성장을 지원하는 간극을 최소화한다.
이제 도 1의 (a)를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봉합사 장치(10)는 바늘(22) 및 봉합사 몸체(11)를 포함하고, 봉합사 몸체(11)는 복수의 개구부들(17)을 갖는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multiple aperture segment)(16)를 포함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16)는 선두 세그먼트(leader segment)(14)를 통해 봉합사 바늘(12)에 부착된다. 이러한 선두 세그먼트는 짧거나, 길거나, 또는 없을 수 있다. 도 1의 (b)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땀(stitch)을 시작할 때, 봉합사 바늘(12)은 상처(6)의 제1 및 제2 측면들(18)을 통과한다. 하나 이상의 봉합사 말단 개구부(20)는,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처로부터 돌출된 채로 남는다.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 말단 개구부(20)는 외과의에 의해 시각을 통해 그 위치가 발견되고, 봉합사 바늘(12)이 봉합사 말단 개구부(20)를 통과한 후, 이어서,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16)의 충분한 부분이 거기를 통과함으로써, 상처(6)의 제1 및 제2 측면들(18)을 함께 당기기 위해 조여지는 루프(23)를 형성한다. 도 1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원주길이를 갖는 루프(23)가 형성된 후,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16)의 나머지는 말단 개구부(20)를 지나서 절단되고, 봉합사 장치의 나머지는 다음 바늘땀을 시작하는 데 사용된다.
도 1의 (e)의 영역 A는 도 1의 (f)에서 확대되어 도시된다. 도 1의 (f)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봉합사 재료는 유연하고, 또한 봉합사 재료는, 장력이 없을 때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16)가, 함께 연결된 일련의 대략적으로 원형 형상들의 형태로서 나타나도록 하기에 충분한 소성(plasticity)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개구부들은 나란히있는 반면,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개구부들은, 개구부를 갖지 않는 짧은 세그먼트들에 의해 개입됨으로써, 서로 분리된다. 봉합사 재료의 소성 및 유연성으로 인해, 대략적으로 원형인 형상들은, 장력을 받을 때, 접혀서 편평한 또는 타원형 구조체들로 변할 수 있다. 따라서,도 1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 말단 개구부(20)를 화살표 방향으로 통과하면, 말단 개구부를 지나간 봉합사 실의 개구부들(17)은, 장력이 풀리자 마자, 그것들의 대략적으로 원형인 형상을 회복하고, 말단 개구부(20)를 통과하는 후진 방향 이동에 대해 저항하게 되며, 이때, 말단 개구부(20)는, 루프가 조직의 두 측면들을 함께 불잡고 있는 것에 따른 루프의 장력으로 인해, 평탄화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구부의 내부 직경은 외부 직경보다 작다. 말단 개구부를 통과하여 당겨지고 있는 해당 개구부의 더 큰 외부 직경은, 말단 개구부의 더 작은 내부 직경을 통해 이루어지는 후진 방향 통행에 대해 저항하게 된다. 도 1의 (e)의 영역 B는 도 1의 (g)에서 확대되어 도시된다. 도 1의 (g)에 도시된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16)의 봉합사 실은 미늘이 형성된 상태이고, 따라서, 복수의 미늘들(8)을 함유한다. 봉합사 말단 개구부(20)를 화살표 방향으로 통과하면, 미늘들(8)은 말단 개구부(20)를 통과하는 후진 방향 이동에 대해 저항한다. 이 구현예에서 제공되는 연속적인 개구부들의 줄(string)은 개구부의 즉각적인 식별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 봉합사는 개구부를 통과하여 당겨져서 자기 체결 루프(self-engaging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이제 도 2의 (a)를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봉합사 장치(20)는, 인접한 개구부들의 직경이 더 큰 개구부와 더 작은 개구부 사이에서 교번하는 복수의 개구부들(27)을 갖는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26)를 포함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26)는 선두 세그먼트(24)를 통해 봉합사 바늘(22)에 부착된다. 이러한 선두 세그먼트는 짧거나, 길거나, 또는 없을 수 있다. 도 2의 (b)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땀을 시작할 때, 봉합사 바늘(22)은 상처(21)의 제1 및 제2 측면들(28)을 통과한다. 봉합사 말단 개구부(30)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처로부터 돌출된 채로 남아 있다.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작은 직경의 봉합사 말단 개구부(30)는 외과의에 의해 시각을 통해 그 위치가 확인되고, 봉합사 바늘(22)이 더 작은 직경의 봉합사 말단 개구부(20)를 통과한 후, 이어서,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26)의 충분한 부분이 거기를 통과하여, 루프(31)를 형성하게 되고, 루프(31)는 상처(21)의 제1 및 제2 측면들(28)을 함께 당기도록 조여진다. 도 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원주길이를 갖는 루프(31)가 형성된 후,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26)의 나머지는 더 작은 직경의 말단 개구부(30)를 지나서 절단되고, 봉합사 장치의 나머지는 다음 바늘땀을 시작하는 데 사용된다.
도 2의 (e)의 영역 A는 도 2의 (f)에서 확대되어 도시된다. 도 2의 (f)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봉합사 재료는 유연하며, 또한 봉합사 재료는, 장력이 없을 때,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26)가, 서로 연결된 더 작은 직경의 개구부들(23) 및 더 큰 직경의 개구부들(27)의 대략적으로 원형인 일련의 형상들의 형태로 나타나도록 하기에 충분한 소성을 갖는다. 여기서도, 봉합사 재료의 소성 및 유연성으로 인해, 대략적으로 원형인 형상들은, 장력을 받을 때, 평탄한 또는 타원형 구조로 접힐 수 있으며, 더 큰 직경의 개구부들은, 평탄화된 더 큰 개구부들을 수용하기 위해 늘어나는 더 작은 직경의 개구부들을 통과하여 당겨질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더 작은 직경의 봉합사 말단 개구부(29)를 통과하면, 봉합사의 더 큰 개구부들(27)은 그것들의 대략적으로 원형인 형상을 회복하고, 더 작은 직경의 말단 개구부(29)를 통한 후진 방향 이동에 대해 저항하게 되며, 이때, 더 작은 직경의 말단 개구부(29)는 실의 장력으로 인해 평탄화된 형상을 더 유지할 수 있다. 더 큰 직경의 다음 외부 개구부에 더하여, 장력에 의해 유도된 평탄화된 형상의 말단 개구부(29)는, 더 작은 직경의 말단 개구부를 통한 후진 방향 통행에 대해 저항한다. 도 2의 (e)의 영역 B는 도 2의 (g)에서 확대되어 도시된다. 도 2의 (g)에 도시된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26)의 봉합사 실은 복수의 미늘들(25)을 함유한다. 화살표 방향으로 더 작은 직경의 말단 개구부(29)를 통과하면, 미늘(25)은 더 작은 직경의 말단 개구부(29)를 통한 후진 방향 이동에 대해 저항한다. 이 구현예에서 제공되는 연속적인 개구부들의 줄(string)은 개구부의 즉각적인 식별을 제공하며, 봉합사는 개구부를 통과하여 당겨져서 자기 체결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더 작은 개구부들은 더 큰 직경의 개구부들과 다른 색상을 가지므로, 바늘이 통과하는 말단 개구부를 형성하는 더 작은 직경의 개구부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제 도 3a의 (a)를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봉합사 장치(30)는 중실 돌출부들(solid prominences)(37) 사이의 봉합사 실(41)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들(33)을 갖는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36)를 포함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하나의 개구부 다음에 2개의 돌출부들이 따르지만, 예를 들어, 교번하는 개구부들 및 돌출부들, 2개 이상의 돌출부들과 교번하는 2개 이상의 개구부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수 많은 다른 배열들이 고려된다. 중실 돌출부들(37)은 확대된 삽입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둥글 수 있거나, 또는 확대된 삽입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 또는 피라미드 형상과 같은 원뿔형일 수 있으며, 이때, 바늘을 향하는 원뿔의 선두 에지(leading edge)는 원뿔의 말단 단부보다 더 작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36)는 선두 세그먼트(34)를 통해 봉합사 바늘(32)에 부착된다. 이러한 선두 세그먼트는 짧거나, 길거나, 또는 없을 수 있다. 도 3a의 (b)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땀을 시작할 때, 봉합사 바늘(32)은 상처(42)의 제1 및 제2 측면들(38)을 통과한다. 봉합사 말단 개구부(40)는 도 3a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처로부터 돌출된 채로 남는다. 도 3a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 말단 개구부(40)는 외과의에 의해 시각을 통해 그 위치가 확인되고, 봉합사 바늘(32)이 봉합사 말단 개구부(40)를 통과한 후, 이어서,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36)의 충분한 부분이 거기를 통과함으로써, 루프(43)가 형성되며, 루프(43)는 상처(42)의 제1 및 제2 측면들(38)을 함께 당기도록 조여진다. 도 4a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원주길이의 루프(43)가 형성된 후,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36)의 나머지는 말단 개구부(40)를 지나서 절단되고, 봉합사 장치의 나머지는 다음 바늘땀을 시작하는 데 사용된다.
도 3a의 (a) 내지 (e)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봉합사 재료는 유연하고, 충분한 소성을 가지며, 그에 따라, 장력의 부재 하에서, 다수의 개구부들(33)은 대략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인 형상으로서 나타난다. 봉합사 재료의 소성 및 유연성으로 인해, 대략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인 형상들은 돌출부들(37)을 수용하도록 늘어난다. 루프 형성 개구부(40)를 통과한 후, 돌출부들(37)은 루프 형성 개구부(40)를 통한 후진 방향 이동에 대해 저항하며, 이때, 루프 형성 개구부(40)는, 조직을 바깥 쪽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봉합사 루프 상의 장력으로 인해, 평탄화된 형상을 얻는다. 후속하는 돌출부의 대략적으로 단단한(unyielding) 직경에 추가하여, 루프 형성 개구부(40)의 장력 유도된 평탄화된 형상(tension induced flattened shape)은, 말단 개구부(40)의 내벽이 봉합사 실(41)에 기대어 있게됨(rest against)에 따라, 루프 형성 개구부를 통한 봉합사의 후진 방향 통행에 대해 저항한다. 특정 구현예들에서, 개구부들은 돌출부들과 다른 색상을 가지며, 그에 따라, 바늘이 통과하는 말단 개구부의 식별을 돕는다.
루프 형성의 진행의 예를 보여주는 도 3b의 (f) 내지 (h)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봉합사 재료는 압력에 의해 변형가능하도록 설계되며, 그에 따라, 압축에 의해 납작하게 압착되어(crimped), 루프 형성 개구부를 통해 후진 방향으로 당길 수 없는 치수를 얻게 된다. 구형 또는 종 형상의 돌출부(37)와 같은 돌출부가 루프 형성 개구부(40)를 통과하여 당겨져 상처 폐쇄 루프(wound closure loop)를 형성하면, 돌출부(37)는 도시된 지혈겸자(hemostat)(44)와 같은 수술기구에 의해 납작하게 압착된다(crimped). 이 구현예에서, 봉합사가 선택된 루프 형성 개구부를 통과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지고, 루프가 상처의 가장자리에 근접하도록 딱 맞추어지고(snugged), 외과의가 상처를 따라 각각의 루프 치수에 만족한 후, 외과의는 돌출부(37)를 납작하게 압착하여(crimp), 그것을 평탄화(flatten)시키며, 그에 따라, 돌출부(37)의 직경이, 돌출부(37)가 그것을 통과하여 당겨져 있는 해당 개구부의 직경에 비해, 20 내지 40% 만큼 더 커지게 된다. 납작하게 조여질 수 있고 납작하게 조여진 상태의 치수를 유지할 수 있는 봉합사 재료의 한 가지 비제한적인 예는 Ethicon에 의해 "PDS"로 지칭되는 폴리디옥사논이다.
이제, 확대도 A 및 B를 포함하는 도 4의 (a)를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봉합사 장치(50)는,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56)에 대해, 미늘달린 봉합사 재료를 사용하며, 이때,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56)는, 봉합사 실(51)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개구들(59) 및 복수의 미늘들(62)을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늘들(62)은, 개구부를 통과하는 봉합사 재료의 후진 방향 이동에 대해 저항하면서, 개구부들을 통과하는 일방 통행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수 많은 형상들 및 배향들을 가질 수 있다. 화살표(53)는 개구부 간격의 일 구현예에 따른 봉합사 장치의 일 세그먼트에 있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가리킨다. 개구부들(59)은,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56)의 전체 길이를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개구부들은 원형으로 보이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개구부들은 난형(ovoid) 또는 세장형(elongated)일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56)는 선두 세그먼트(54)를 통해 봉합사 바늘(52)에 부착된다. 이러한 선두 세그먼트는 짧거나, 길거나, 또는 없을 수 있다. 도 4의 (a)의 삽입도 B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봉합사 실(51)은 대략적으로 둥근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5의 (a) 내지 (e)에 도시된 대안적인 구현예들에서, 봉합사 실은 평탄화된(flattened) 유형 또는 리본(ribbon) 유형이다. 도 4의 (b)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땀을 시작할 때, 봉합사 바늘(52)은 상처(61)의 제1 및 제2 측면들(58)을 통과한다. 봉합사 말단 개구부(60)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처로부터 돌출된 채로 남아있다.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 말단 개구부(60)는 외과의에 의해 시각을 통해 그 위치가 확인되고, 봉합사 바늘(52)이 봉합사 말단 개구부(60)를 통과한 후, 이어서,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56)의 충분한 부분이 거기를 통과함으로써, 루프(63)가 형성되고, 루프(63)는 상처(61)의 제1 및 제2 측면들(58)을 함께 당기도록 조여진다.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합한 원주길이를 갖는 루프(63)가 형성된 후,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66)의 나머지는 말단 개구부(60)를 지나서 절단되고, 봉합사 장치의 나머지는 다음 바늘땀을 시작하는 데 사용된다.
도 4의 (a) 내지 (e)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봉합사 재료는, 봉합사 재료를 측방향으로 통과하는 복수의 개구부들(59)을 갖는다. 말단 개구부(60)를 통과하면, 미늘들(62)은 말단 개구부(60)를 통한 후진 방향 이동에 대해 저항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개구부들이 위치되는 봉합사 몸체의 위치들은 차별화된 색상으로 표시되며, 그에 따라, 바늘이 통과하는 말단 개구부의 식별을 돕는다.
이제, 확대도 A 및 B를 포함하는 도 5의 (a)를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봉합사 장치(70)는,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76)에 대해, 미늘달린 봉합사 재료를 사용하며, 이때,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76)는 봉합사 실(77)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들(79)을 포함하고, 봉합사 실(77)은 복수의 미늘들(82)을 포함한다. 화살표들(73)은, 개구부 간격의 일 구현예에 따른, 봉합사 장치의 일 세그먼트에 있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가리킨다. 개구부들(79)은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76)의 전체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늘들(82)은 무수히 많은 형상들 및 배향들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76)는 선두 세그먼트(74)를 통해 봉합사 바늘(72)에 부착된다. 이러한 선두 세그먼트는 짧거나, 길거나, 또는 없을 수 있다. 도 5의 (a)의 삽입도 B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봉합사(77)는 평탄화된 유형 또는 리본 유형이다.
이제, 확대도 A 및 B를 포함하는 도 6을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봉합사 장치(90)는,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56)에 대해, 미늘달린 봉합사 재료를 사용하되, 이때, 다중 개구부 세그먼트(56)는, 봉합사 실(51)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로케이터 밴드들(96)에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들(99), 및 복수의 미늘들(102)을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늘들(102)은, 개구부를 통한 봉합사 재료의 후진 방향 이동에 대해 저항하면서, 개구부들을 통한 일방 통행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무수한 형상들 및 배향들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개구부들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둥글거나 타원형일 수 있거나,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slit)일 수 있다. 각각의 로케이터 밴드(96)는 봉합사의 몸체(51)와 구별되는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색상을 가지며, 또한 각각의 로케이터 밴드(96)는 개구부(99)를 포함한다.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색상은, 봉합사의 개구부 무함유 부분과 다른 시각적 신호를 제공하는 염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들에서, 식별가능한 색상은, 전자기 복사선의 여기 파장에 의해 활성화될 때 차별화된 위치 신호를 제공하고, 또한 혈액에 의해 가려진 수술 영역에서도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형광 염료와 같은 염료에 의해 제공된다. 형광 염료는, 여기되어 빛을 방출할 수 있는 생체적합성의 임의의 화합물들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인도시아닌 그린(ICG), IRDye 800CW, ZW800-1과 같은 시아닌계 형광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형광 염료는 플루오레세인, 인도메타신 유도체화된 나프탈리민, 프로토포르피린 IX, 및 중금속 무함유 양자점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형광 분홍색 또는 녹색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모노필라멘트 비흡수성 외과용 봉합사(monofilament non-absorbable surgical sutures)는 현재 수의학 용도로 이용가능하지만, 단색 봉합사로서만 이용가능하다(참조: VISIPROTM (Riverpoint Medical)).
식별가능한 로케이터 밴드들 내에 개구부들을 배치하면, 개구부 위치들을 즉각적으로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개구부들은 원형으로 보이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개구부들은 난형 또는 세장형일 수 있다. 로케이터 밴드들은, 예를 들어, 도 2의 (a), 도 3a의 (a), 도 4의 (a), 및 도 5의 (a)에 도시된 다중 개구부 구현예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의 봉합사 재료에서 개구부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7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봉합사 장치는, 예리한 선단(111)으로부터 넓은 허브(113)로 가면서 테이퍼된 바늘(112), 및, 그에 이어지는, 다양한 디자인(예를 들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 개구부 미늘달린 구역,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 및 루프 구역과 같은 돌출부 및 루프 구역, 및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접한 개구부들의 연쇄)의 다중 개구부 구역까지 연장하는 비교적 넓은 선두(114)를 사용한다. 넓은 허브(113) 및 그에 이어지는 상대적으로 넓은 선두(114)는: 바늘 및 선두가 점차 조직들을 넓혀서, 후속하는 다중 개구부 구역(예를 들어, 다중 개구부 구역 56, 36, 또는 16)이, 둘레의 길이(girth)의 증가로 인해, 달라 붙지 않은 채 조직들을 통과하여 당겨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치수(dimension)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대안적인 구현예들에서, 다중 개구부 구역은, 바늘 단부 또는 허브의 외부 치수에 근접하는 감소된 외부 치수를 가지면서, 바늘 허브에서 시작하여, 비교적 짧은 거리에 걸쳐 점진적으로 두꺼워져서, 그것의 고유한 다중 개구부 자기 유지 시스템을 갖는 최종 봉합사의 요구되는 두께에 도달할 수 있다. 이렇게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것은, 표준 바늘에 맞도록 좁혀진 동일한 봉합사 디자인으로 시작한 후 점진적으로 두꺼워져서, 잠금 봉합사가 조직을 통해 전진방향으로(anterograde) 점진적으로(progressively) 통과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경향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는 임의의 구현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8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봉합사 장치는, 테이퍼된 선두 구역(124)에 연결되는 허브 또는 단부(123)를 갖는 통상적인 테이퍼된 바늘(122)을 사용하며, 이때, 테이퍼된 선두 구역(124)은, 바늘(122) 내로 스웨이징된(swaged) 제1 좁은 단부(126)로부터, 다양한 디자인(예를 들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 개구부 미늘달린 구역, 도 8의 (b)에 도시된 구 및 루프 구역과 같은 돌출부 및 루프 구역, 및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접한 개구부들의 연쇄)의 다중 개구부 구역까지 연장하는 넓은 말단 단부(128)로 가면서 테이퍼된다. 테이퍼된 선두 구역(124)은, 예를 들어 다중 개구부 구역(56, 36, 또는 16)과 같은, 후속 다중 개구부 구역이, 둘레길이의 증가로 인해 달라 붙지 않은 채, 조직들을 통과하여 당겨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선두가 조직들을 점진적으로 넓히도록 하는 치수를 갖는다.
도 9의 (a)는,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12)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비교적 큰 미늘들(134)을 특징으로 하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132)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개구부(136)는, 봉합사 몸체의 바람직한 두께를 감소시키는 봉합사 몸체 내의 구멍들(holes)의 형태가 아니라, 봉합사 필라멘트(137)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를 갖는 벽들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개구부들(136) 및 미늘들(134)은, 미늘들이 개구부들을 덮지 않도록,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도시된 봉합사 단부는, 실제로 봉합사의 제1 루프를 형성하게 되는 말단 개구부(138)를 포함한다. 원형 삽입도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봉합사가 화살표 방향으로 조직을 통과하여 당겨지면, 미늘들은 중앙 봉합사 필라멘트 쪽으로 드러눕게 되고, 개구부들은 평탄화된다.
도 9의 (b)는,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12)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각각의 미늘(134)이 바로 인접한 미늘에 대해 엇갈리게 배치된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132)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개구부들(136)은, 봉합사 몸체의 바람직한 두께를 감소시키는 봉합사 몸체 내의 구멍들의 형태로서가 아니라, 봉합사 필라멘트(137)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를 갖는 벽들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개구부들(136) 및 미늘들(134)은, 미늘들이 개구부들을 덮지 않도록,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원형 삽입도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봉합사가 화살표 방향으로 조직을 통과하여 당겨지면, 미늘들은 중앙 봉합사 필라멘트 쪽으로 드러눕게 되고, 개구부들은 평탄화된다.
도 9의 (c)는, 마이크로-기계가공(micro-machining)을 사용하여, 기부 필라멘트를 커팅(cutting)함으로써 미늘들 및 개구부들이 형성되는 다중 개구 봉합사의 제조 방법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최소 봉합사 질량은 봉합사의 바람직한 인장 강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기부 필라멘트 치수(base filament dimensions)는, 미늘들(134)이 미늘 커팅 블레이드(barb cutting blade)(131)에 의해 기부 필라멘트에서 커팅되고, 개구부들(136)이 개구부 커팅 블레이드(aperture cutting blade)(133)에 의해 기부 필라멘트에서 커팅된 후, 최소 봉합사 질량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개구부들(136)은, 슬릿들이 기부 필라멘트의 중간선(midline)에서 커팅되어, 이러한 슬릿들이 개구부들이 됨으로써 형성된다. 미늘들 및 슬릿들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8,926,659(Genova/Ethicon)에 개시된 것들과 같은) 관절 블레이드, 왕복 블레이드, 회전 블레이드, 및 중공 연마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커팅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기부 필라멘트를 커팅함으로써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레이저를 사용하여 미늘들 및 개구부들을 커팅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들에서, 개구부들은, 수술 동안 개구부들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부 봉합사 필라멘트에 있는 채색된 밴드들(colored bands)에 의해 식별된다.
도 10은,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12)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상대적으로 작은 미늘들(144) 및 복수의 개구부들(146)를 특징으로 하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142)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개구부들(146) 및 미늘들(144)은, 미늘들이 개구부들을 덮지 않도록,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현예들의 각각에서, 인접한 개구부들 사이의 거리는, 수술 유형에 따라, 그리고 봉합사에 의해 포획되어야 하지만 조직의 찢어짐에 저항해야 하는 관련 조직들의 예상되는 강도 및 조직 반응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육 섬유들 또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의 결합 조직 및 콜라겐을 함유하는 조직은 더 작은 봉합사 루프에 대항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의 경우, 선택된 봉합사는 더 작은 루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서로 더 가까운 개구부들을 가질 것이다. 대조적으로, 지방 조직은 더 큰 루프가 필요할 수 있으며, 그러한 목적을 위한 봉합사는 개구부들의 더 긴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개구부들의 간격 및 개재하는 미늘들의 수는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이다.
도 11은,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봉합사의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개구부들을 특징으로 하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152)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비교적 큰 미늘들 및 각진 개구부들(angular apertures)(166)을 특징으로 하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162)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하며, 이때, 각각의 개구부는 일 세트의 두 개의 미늘들(164)의 가랑이(crotch)(167)에 형성된다.
도 13은,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비교적 작은 미늘들 및 산재된 각진 개구부들(interspersed angular apertures)(176)을 특징으로 하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172)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이 구현예에서, 봉합사가 조직을 통과하여 당겨져서 봉합사의 전체 직경을 감소시킬 때, 개구부들은 함께 접히게(collapse or fold)게 된다.
도 14는,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12)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개구부들(186)이 미늘들(184)의 평면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배치되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182)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12)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개구부들(196)이 개구부 목(197)을 통해 봉합사의 몸체로부터 매달려(pendant) 있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192)을 갖는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종래의 테이퍼된 바늘(12)을 갖고, 또한, 그에 이어서, 개구부들(206)이 목들(necks)(208)을 갖는 미늘달린 다중 개구부 구역(200)을 갖는 다중 필라멘트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하며, 이때, 목들(necks)(208)은 2개 이상의 봉합사 필라멘트들(209)과 함께 융합(fused), 꼬임(twisted), 또는 직조(woven)되어 있다.
도 17은, 특정 미늘들(204)의 위치들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들(206)을 갖는 직조된 다중 섬유 미늘달린 무매듭 봉합사의 일 구역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8의 (a)는 단일 필라멘트 봉합사의 일 구현예의 일 구역의 확대도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봉합사 몸체는 중실 코어(solid core)(250), 및 일련의 일방향 앵커들 또는 미늘들(252)을 포함하고, 일련의 일방향 앵커들 또는 미늘들(252)은 봉합사의 종축을 따라 균일하게 이격되면서 대칭 쌍들을 형성하고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미늘들은 코어의 종축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열된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앵커들 또는 미늘들은 다음과 같은 배치 형태로 배치된다: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엇갈리게(staggered) 배치된 형태;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꼬임 커팅된 다중 나선형 배치(twist cut multiple spiral disposition) 형태;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중첩되어 배치된 형태;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무작위 배치된 형태; 및 이들의 조합.
앵커들 또는 미늘들이 코어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코어의 강도 및 일체성이 유지된다. 도 18의 (a)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는 그 단면이 본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도 18의 (c)에 도시된 다른 구현예에서, 코어는 평탄화될 수 있고, 따라서, 그 단면이 타원형 또는 리본형일 수 있으며, 한편, 도 18의 (d)에 도시된 구현예에서는. 봉합사 몸체는 덤벨 또는 모래시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앵커들 또는 미늘들은 코어보다 더 얇고 더 유연하며, 또한, 조직을 통과하여 당겨질 때 코어 표면 쪽으로 접힌다. 각각의 미늘에서, 교번하는 미늘들에서, 또는 단속 미늘들(intermittent barbs)에서, 종방향 슬릿 형태의 개구부(254)가, 코어를 통해 측방향으로 진행(run)하도록 배치된다. 특정 구현예들에서, 개구들의 위치들은, 차별화된 채색을 통해, 또는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차별화된 채색을 갖는 복수의 로케이터 밴드들 중 하나에 배치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하다.
슬릿은 대략적으로 닫혀 있지만, 슬릿은, 수술용 바늘 및 그에 부착된 봉합사 몸체에 의해 열리고, 또한 이들을 통한 통행을 허용하도록 하는 치수를 갖는다. 앞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이용될 때, 루프가 바람직한 경우, 봉합사의 코어에 개구부가 위치되고, 봉합사는 개구부를 통과하여 당겨져서, 원하는 크기의 일방향 루프를 형성하고, 이 일방향 루프는, 앵커들 또는 미늘들에 의해, 뒤로 당겨지지 않도록 고정되거나(fixed) 잠겨진다(locked). 원하는 경우, 일련의 루프들이, 상처의 길이에 걸쳐 느슨하게 놓여지고, 그 다음, 외과의는 원하는대로 되돌아가 루프들을 조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처의 모서리들이 근접하게 되고, 단일 루프가 상처 폐쇄의 모든 장력을 지탱하지는 않게 된다. 루프들은, 상처 폐쇄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조여질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개구부들은 미늘 위치들에서 코어 내부에 있는 상태로서 식별된다. 특정 구현예들에서, 미늘들의 기부가 도 18의 (b) 내지 (d)의 단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미늘들(52)의 기부에 의해 지지되기(buttressed) 때문에, 봉합사 코어는 개구부 위치들에서 더 강하다. 봉합사 몸체에 사용된 재료에 따라, 특정 구현예들에서, 개구부들을 함유하는 봉합사들의 적어도 상기 구역들은, 예를 들어 봉합사 몸체를 통해 원주 방향으로 또는 측방향으로 이어지는 나노섬유들을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종방향 파열에 대해 강화된다.
도 19는 중실 코어(solid core)(250)를 갖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의 대안적 구현예의 일 구역의 확대도를 도시하며, 이때, 일련의 일방향 앵커들 또는 미늘들(252)이 봉합사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이격되면서 대칭 쌍들을 형성하고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앵커들 또는 미늘들은 코어의 종축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된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앵커들 또는 미늘들은 다음과 같은 배치 형태로 배치된다: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엇갈리게(staggered) 배치된 형태;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꼬임 커팅된 다중 나선형 배치(twist cut multiple spiral disposition) 형태;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중첩되어 배치된 형태;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무작위 배치된 형태; 및 이들의 조합. 이 구현예에서, 종방향 슬릿 형태의 개구부들(256)은 미늘 위치들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의 개구부는 코어를 통해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은 특정 구현예들에서, 개구부들의 위치들은,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차별화된 채색을 갖는 복수의 로케이터 밴드들(258) 중 하나에 배치됨으로써, 또는 차별화된 채색을 통해,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하다.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색상은, 봉합사의 개구부 무함유 부분들과 다른 시각적 신호를 제공하는 염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들에서, 식별가능한 색상은, 전자기 복사선의 여기 파장에 의해 활성화될 때 차별화된 위치 신호를 제공하고, 혈액으로 가려진 수술 영역에서도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형광 염료와 같은 염료에 의해 제공된다. 형광 염료는, 여기되어 빛을 방출할 수 있는 생체적합성의 임의의 화합물들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인도시아닌 그린(ICG), IRDye 800CW, ZW800-1과 같은 시아닌계 형광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형광 염료는 플루오레세인, 인도메타신 유도체화된 나프탈리민, 프로토포르피린 IX, 및 중금속 무함유 양자점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0의 (a) 내지 (c)는 자기 잠금 미늘달린 봉합사(self-locking barbed suture)의 실제작업 구현예를 도시하는데, 이 구현예에서, 자기 잠금 미늘달린 봉합사는 자기 자신에게 잠겨지게 되거나, 또는 자기 잠금 미늘달린 봉합사가 통과하면서 배치되어 있는 조직에 잠겨지게 된다. 묘사된 바와 같이, 봉합사는, 절개를 폐쇄하는 단속 봉합(interrupted suture)으로서 적용되었다. 시연(demonstration)에 사용된 조직 모델은 감귤류 과일이다. 묘사된 실시예를 형성할 때, STRATAFIX 브랜드 미늘달린 봉합사가, 봉합사의 몸체(300)를 통해 개구부들(302)을 형성함으로써, 개조되었다. 착색된 봉합사 몸체 상의 각 개구부 위치는, 개구부가 쉽게 위치확인될 수 있도록, 흰색 로케이터 색상(304)으로 표시되었다.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는 부착된 바늘을 통해 모델 조직의 절개부의 양쪽 측면들을 통과하여 당겨져서, 조직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꼬리를 남긴다.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말단 개구부의 위치가 확인되고, 바늘이 개구부를 통과한 후, 후속 봉합사는, 절개의 양 측면들의 원하는 근접이 얻어질 때까지, 개구부를 통과하여 당겨진다. 봉합사의 미늘들은, 봉합사가 그것들을 통과하여 당겨져 있는 개구부들에 대해 잠그어 진다. 도 2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는, 각각의 말단 개구부 후에 봉합사의 작은 꼬리를 남기고, 잘려진다. 그 다음, 봉합사의 나머지 부분은 일련의 봉합들 중 다음 봉합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원하는 경우, 어떠한 하나의 봉합사도 절개의 양 측면들을 최종 위치로 당기는 데(이는 조직을 통과하는 봉합사의 파열의 내재적 위험을 수반한다) 요구되지 않은 채, 봉합사들은, 점진적으로 절개의 측면들을 근접시키기 위해 최종적으로 원하는 것보다, 더 느슨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모든 봉합사들이 제자리에 있게 된 후, 각각의 개별 봉합사는, 봉합사 상의 다음 미늘을 당기고 그것과 체결함으로써, 더 단단하게 당겨질 수 있다. 이것은 단속 봉합(intermittent suturing)에서의 특별한 개선을 제공하는데, 이는, 기존 봉합사들은 매듭 후 조절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봉합사들은 단속(interrupted) 또는 연속되도록(running) 배치될 수 있으며, 후진하거나 느슨해지지 않을 것이다. 본 봉합사는 근막, 근육, 피하 조직, 또는 피부에 적합하다. 본 봉합사는 복강경에 의한, 내시경에 의한, 로봇에 의한, 또는 전통적인 봉합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봉합사는, 기존의 미늘달린 봉합사 및 미늘달리지 않은 봉합사를 포함하는 근막 복구(fascial repair)용 기존 봉합사를 대체하는 데 적합하며, 일반적인 수술에는 물론 성형 수술, 정형 외과, 부인과, 심장, 소아과, 및 비뇨기과 수술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봉합사의 조성은 영구적(permanent) 또는 생체 흡수성(bioresorbable)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처럼,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구현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들뿐만 아니라 예시적인 구현예들의 다양한 수정 및 조합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그러한 수정 및 향상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41)
- 자기 유지 봉합사(self-retaining suture)로서,
상기 자기 유지 봉합사는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또는 부착가능한 봉합사를 포함하고,
상기 봉합사는 상기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또는 부착가능한 제1 단부, 및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elongated knotless suture body)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는,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의 종방향 축을 따라 고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다중 개구부 구역(multiple aperture section)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들을 통과하고 그에 따라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측방향으로(laterally) 통과하는 상기 봉합사 바늘의 통행(passage)을 상기 개구부들이 허용하고, 상기 제1 단부의 전개(deployment)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봉합사의 후진 방향 이동에 대해 상기 개구부들이 저항함으로써, 상처의 대향 조직 표면들(opposing tissue surfaces) 사이에 전개될 때 상기 봉합사에 일방향 자기 유지 루프들(one-way self-retaining loops)을 형성하도록 하는 치수(dimension)를 상기 개구부들이 가지며,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의 복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상기 개구부들은, 매듭을 사용하지 않은 채, 상기 상처를 가로지르는 일련의 일방향 자기 유지 루프들의 형성을 허용하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개구부들의 연쇄(chain of apertures)를 형성하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2 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개구부들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2 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개구부들에 있어서, 더 큰 직경의 개구부와 더 작은 직경의 개구부가 교번하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몸체는 유연하고 신장가능하여, 장력하에 상기 개구부들을 변형(deforming) 및 평탄화(flattening)시키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몸체는 미늘(barb)을 갖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몸체는 생체 흡수성(bioresorbable)인,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몸체는 생체 흡수성이 아닌,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개구부들의 각각은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차별화된 채색(distinctive coloring)을 갖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개구부들의 각각은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차별화된 채색을 갖는 복수의 로케이터 밴드들(locator bands) 중 하나에 위치되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바늘은 날카로운 근위 바늘 선단(sharp proximal needle tip)으로부터 넓은 원위 바늘 허브(wide distal needle hub)로 가면서 테이퍼되고, 상기 넓은 원위 바늘 허브는 상기 다중 개구부 구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의 최외부 치수(outermost dimension)에 근접하는 최외부 치수를 갖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는, 상기 넓은 원위 바늘 허브로부터 상기 다중 개구부 구역까지 연장하는 선두 구역(leader section)을 더 포함하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구역은 상기 넓은 원위 바늘 허브의 최외부 치수의 외부 치수(outer dimension)와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외부 치수를 갖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는 상기 봉합사 바늘과 상기 다중 개구부 구역 사이에서 연장하는 테이퍼된 선두(tapered leader)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된 선두는, 상기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제1 좁은 선두 단부(first narrow leader end)로부터, 상기 다중 개구부 구역까지 연장하는 넓은 말단 선두 단부(wide terminal leader end)로 가면서 테이퍼되며, 상기 넓은 말단 선두 단부는, 상기 다중 개구부 구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의 최외부 치수에 근접하는 최외부 치수를 갖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자기 유지 봉합사로서,
상기 자기 유지 봉합사는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또는 부착가능한 봉합사를 포함하며,
상기 봉합사는 상기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또는 부착가능한 제1 단부, 및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는: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따라 고정된 종방향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다중 개구부 구역; 및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따라 고정된 종방향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돌출부들(prominences);을 갖고,
복수의 상기 돌출부들 중 하나 이상 및 복수의 상기 개구부들 중 하나 이상은 반복(repeating), 교번(alternating), 또는 단속(intermittent) 패턴으로 배열되며,
상기 개구부들은 유연하며,
상기 봉합사 바늘을 전진 방향으로 당기는 것에 의한 장력 하에서 상기 개구부들을 통과하는 상기 돌출부들의 통행을 상기 개구부들이 허용하되, 상기 제1 단부의 전개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상기 봉합사의 후진 방향 이동에 대해 상기 개구부들이 저항함으로써, 대향 조직 표면들 사이에서 상기 봉합사에 일방향 잠금 루프(one-way locked loop)를 형성하도록 하는 치수(dimension)를 상기 개구부들이 가지며,
복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상기 개구부들은, 매듭을 사용하지 않은 채, 일련의 일방향 자기 유지 루프들이 상처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것을 허용하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상기 돌출부들은 실질적으로 구형 인,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상기 돌출부들은 실질적으로 원추 형상을 갖고, 상기 봉합사의 상기 제1 단부를 향하는 상기 원추 형상의 선두 에지(leading edge)는 상기 원추 형상의 말단 단부(terminal end)보다 더 작은 원주(circumference)를 갖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는 생체 흡수성 재료 또는 비 생체 흡수성(non-bioresorbable material) 재료로 형성되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압축(compression)에 의해 변형가능하고(deformable) 압착가능한(crimpable) 재료로 형성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후진 방향으로 당길 수 없는 치수를 달성하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5 항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상기 개구부들의 각각은 차별화된 채색에 의해 식별되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5 항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상기 개구부들의 각각은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차별화된 채색을 갖는 복수의 로케이터 밴드들 중 하나에 위치되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바늘은 날카로운 근위 바늘 선단으로부터 넓은 원위 바늘 허브로 가면서 테이퍼되고, 상기 넓은 원위 바늘 허브는 상기 다중 개구부 구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의 최외부 치수에 근접하는 최외부 치수를 갖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는, 상기 넓은 원위 바늘 허브로부터 상기 다중 개구부 구역까지 연장하는 선두 구역을 더 포함하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구역은, 상기 넓은 원위 바늘 허브의 최외부 치수의 외부 치수와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외부 치수를 갖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는 테이퍼된 선두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된 선두는 상기 봉합사 바늘과 상기 다중 개구부 구역 사이에서 연장하고, 또한 상기 테이퍼된 선두는 상기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제1 좁은 선두 단부로부터, 상기 다중 개구부 구역으로 연장하는 넓은 말단 선두 단부로 가면서 테이퍼되며, 상기 넓은 말단 선두 단부는, 상기 다중 개구부 구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의 최외부 치수에 근접하는 최외부 치수를 갖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자기 유지 봉합사로서,
상기 자기 유지 봉합사는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또는 부착가능한 봉합사를 포함하고,
상기 봉합사는 상기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또는 부착가능한 제1 단부, 및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는,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의 종방향 평면을 통해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따라 고정된 종방향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들을 갖는 다중 개구부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는,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미늘들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들을 통과하고 그에 따라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측방향으로 통과하는 상기 봉합사 바늘의 통행을 허용하도록 하는 치수를 상기 개구부들이 갖고, 상기 미늘들은 상기 제1 단부의 전개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봉합사의 후진 방향 이동에 대해 저항함으로써, 대향 조직 표면들 사이에서 상기 봉합사에 일방향 자기 유지 루프를 형성하며,
복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상기 개구부들은, 매듭을 사용하지 않은 채, 일련의 일방향 자기 유지 루프들이 상처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것을 허용하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는 대략적으로 둥근 단면을 갖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는 대략적으로 타원형, 리본형 또는 모래시계형 형상인 단면을 갖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는 생체 흡수성인, 자기 유지 봉합사 장치.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는 비 생체 흡수성인, 자기 유지 봉합사 장치.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들은, 상기 개구부들을 통과하는 봉합사 재료의 후진 방향 통행(backward passage)을 방지하도록 적합화된 이빨(teeth), 비늘(scales), 돌기(projections), 커팅된 부분(cuts), 및 침상체(spicules) 중 하나 이상의 형태인, 자기 유지 봉합사 장치.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들은 다음 배치 형태들 중에서 선택된 배치 형태로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에 배치된, 자기 유지 봉합사 장치: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쌍을 이루도록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형태;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형태;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엇갈리게(staggered) 배치되는 형태;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꼬임 커팅된 다중 나선(twist cut multiple spiral) 형태로 배치되는 형태;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형태;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의 종축을 따라 무작위로 배치되는 형태; 및
이들의 조합. - 제 26 항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상기 개구부들의 각각은 차별화된 채색에 의해 식별되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26 항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상기 개구부들의 각각은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차별화된 채색을 갖는 복수의 로케이터 밴드들 중 하나에 위치되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바늘은, 날카로운 근위 바늘 선단으로부터 넓은 원위 바늘 허브로 가면서 테이퍼되고, 상기 넓은 원위 바늘 허브는 상기 다중 개구부 구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의 최외부 치수에 근접하는 최외부 치수를 갖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는, 상기 넓은 원위 바늘 허브로부터 상기 다중 개구부 구역까지 연장하는 선두 구역을 더 포함하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구역은, 상기 넓은 원위 바늘 허브의 최외부 치수의 외부 치수와 대략 일치하는 외부 치수를 갖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는, 상기 봉합사 바늘과 상기 다중 개구부 구역 사이에서 연장하는 테이퍼된 선두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된 선두는, 상기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제1 좁은 선두 단부로부터, 상기 다중 개구부 구역으로 연장하는 넓은 말단 선두 단부로 가면서 테이퍼되고, 상기 넓은 말단 선두 단부는, 상기 다중 개구부 구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의 최외부 치수에 근접하는 최외부 치수를 갖는, 자기 유지 봉합사.
- 조직 봉합 방법으로서,
상기 조직 봉합 방법은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봉합사 몸체를 포함하는 무매듭 봉합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봉합사 몸체는 복수의 통합된 폐쇄부들(integrated closures)을 포함하고,
상기 봉합사 몸체는: 상기 봉합사 바늘에 부착된 또는 부착가능한 제1 단부; 및 상기 봉합사 몸체를 따라 고정된 종방향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들을 갖는 연장된 무매듭 봉합사 몸체;를 포함하며,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상기 개구부들을 통과하고 그에 따라 상기 연장된 봉합사 몸체를 측방향으로 통과하는 상기 봉합사 바늘의 통과를 상기 개구부들이 허용하고, 상기 제1 단부의 전개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봉합사의 후진 방향 이동에 대해 상기 개구부들이 저항함으로써, 대향 조직 표면들 사이에서 상기 봉합사에 일방향 자기 유지 루프를 형성하도록,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상기 개구부들이 적합화 및 치수조정되는,
조직 봉합 방법. -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몸체는, 상처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통과하여 당겨지되 상기 상처의 상기 제2 측면의 외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를 포함하는 상기 봉합사의 말단 꼬리(terminal tail)를 남기도록 적합화되고,
상기 상처의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을 함께 당기는 자기 유지 루프가 형성될 때까지, 상기 상처의 상기 제2 측면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개구부를 통과하여 당겨지도록, 상기 봉합사 몸체가 적합화 및 치수조정되는,
조직 봉합 방법.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는, 상기 자기 유지 루프를 형성하는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상기 개구부를 지나서(past), 절단(clipped)되도록 적합화되고,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머지 부분 및 상기 봉합사 바늘은 추가적인 자기 유지 루프들을 형성하도록 적합화되는, 조직 봉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2063025433P | 2020-05-15 | 2020-05-15 | |
US63/025,433 | 2020-05-15 | ||
US202063047104P | 2020-07-01 | 2020-07-01 | |
US63/047,104 | 2020-07-01 | ||
PCT/US2020/049494 WO2021230900A1 (en) | 2020-05-15 | 2020-09-04 | Knotless sutures including integrated closur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2396A true KR20230012396A (ko) | 2023-01-26 |
Family
ID=78085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03955A Pending KR20230012396A (ko) | 2020-05-15 | 2020-09-04 | 통합된 폐쇄부들을 포함하는 무매듭 봉합사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2) | US11172926B1 (ko) |
EP (1) | EP3934547A4 (ko) |
JP (1) | JP2023524918A (ko) |
KR (1) | KR20230012396A (ko) |
CN (1) | CN114206231A (ko) |
AU (1) | AU2020294238A1 (ko) |
CA (1) | CA3105911A1 (ko) |
MX (1) | MX2021000872A (ko) |
WO (1) | WO202123090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138355B2 (en) * | 2020-12-10 | 2024-11-12 | Covidien Lp | Suture with tension indicator |
US20220273298A1 (en) * | 2021-03-01 | 2022-09-01 | Filippo Concetto Chillemi | Self-locking suture strand |
JP2024516135A (ja) * | 2021-04-14 | 2024-04-12 | アース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手術における検出可能な放射線を使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USD1038394S1 (en) * | 2021-08-13 | 2024-08-06 | Samyang Holdings Corporation | Medical thread |
CN115094552B (zh) * | 2022-06-17 | 2024-08-23 | 北京诺康达医药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提拉线及其制备方法 |
TWI827460B (zh) * | 2023-02-08 | 2023-12-21 | 欣華健康資訊有限公司 | 無須打結的傷口縫合組件 |
Family Cites Families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23077A (en) | 1964-03-03 | Surgical suture | ||
US3762418A (en) * | 1972-05-17 | 1973-10-02 | W Wasson | Surgical suture |
US4069825A (en) * | 1976-01-28 | 1978-01-24 | Taichiro Akiyama | Surgical thread and cutting apparatus for the same |
US5269783A (en) | 1991-05-13 | 1993-12-14 |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torn tissue |
US6241747B1 (en) | 1993-05-03 | 2001-06-05 | Quill Medical, Inc. | Barbed Bodily tissue connector |
US8795332B2 (en) | 2002-09-30 | 2014-08-05 | Ethicon, Inc. | Barbed sutures |
US5500000A (en) * | 1993-07-01 | 1996-03-19 |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 Soft tissue repair system and method |
US5584859A (en) | 1993-10-12 | 1996-12-17 | Brotz; Gregory R. | Suture assembly |
US5683417A (en) * | 1996-08-14 | 1997-11-04 | Cooper; William I. | Suture and method for endoscopic surgery |
US5931855A (en) | 1997-05-21 | 1999-08-03 | Frank Hoffman | Surgical methods using one-way suture |
US6015428A (en) * | 1997-06-03 | 2000-01-18 | Anthony C. Pagedas | Integrally formed suture and suture lock |
JP2001198131A (ja) * | 2000-01-18 | 2001-07-24 | Matsuda Ika Kk | 輪をもつ手術用縫合糸 |
US6264675B1 (en) | 2000-02-04 | 2001-07-24 | Gregory R. Brotz | Single suture structure |
US6475229B1 (en) * | 2000-05-15 | 2002-11-05 | Ancel Surgical R&D, Inc. | Moldable crimpable suture thread and method for making same |
US7056331B2 (en) | 2001-06-29 | 2006-06-06 | Quill Medical, Inc. | Suture method |
US6848152B2 (en) | 2001-08-31 | 2005-02-01 | Quill Medical, Inc. | Method of forming barbs on a sutur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
US8100940B2 (en) | 2002-09-30 | 2012-01-24 | Quill Medical, Inc. | Barb configurations for barbed sutures |
MXPA06013177A (es) | 2004-05-14 | 2007-02-14 | Quill Medical Inc | Metodos y dispositivos de sutura. |
US20080132943A1 (en) * | 2006-12-05 | 2008-06-05 | Nicholas Maiorino | Knotless wound closure device |
US20080255612A1 (en) | 2007-04-13 | 2008-10-16 | Angiotech Pharmaceuticals, Inc. | Self-retaining systems for surgical procedures |
BRPI0813757A2 (pt) * | 2007-06-18 | 2014-12-30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Sistema de implante, e, método |
EP2526975B1 (en) * | 2007-09-27 | 2014-06-04 | Ethicon, LLC | Self-retaining sutures including tissue retainers having improved strength |
US20090099597A1 (en) * | 2007-10-12 | 2009-04-16 | Isse Nicanor G | Suture assembly with tissue engaging elements |
EP3533399A3 (en) | 2008-02-21 | 2019-10-23 | Ethicon LLC | Method for elevating retainers on self-retaining sutures |
WO2009151876A2 (en) * | 2008-05-16 | 2009-12-17 | Angiotech Pharmaceuticals, Inc. | Coded heterofunctional sutures and methods |
US8961560B2 (en) * | 2008-05-16 | 2015-02-24 | Ethicon, Inc. | Bidirectional self-retaining sutures with laser-marked and/or non-laser marked indicia and methods |
US8100941B2 (en) | 2008-06-17 | 2012-01-24 | Ethicon, Inc. | Collapsible barbed sutures having reduced drag and methods therefor |
US8202297B2 (en) * | 2008-06-19 | 2012-06-19 | Arthrex, Inc. | Technique for tissue fixation by reeling in and anchoring suture attached to tissue |
US10016196B2 (en) | 2008-09-11 | 2018-07-10 | Covidien Lp | Tapered looped suture |
MX381532B (es) | 2008-11-03 | 2025-03-12 | Ethicon Llc | Longitud de sutura autorretenible y metodo y dispositivo para su uso. |
US8210085B2 (en) | 2009-08-27 | 2012-07-03 | Ethicon, Inc. | Autom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braided barbed sutures |
US9095336B2 (en) * | 2009-12-18 | 2015-08-04 | Ethicon, Inc. | Knotless suture device |
JP5763173B2 (ja) * | 2010-04-27 | 2015-08-12 | ジンテ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 拡張可能なアンカを有するアンカアセンブリ |
EP3138506B1 (en) * | 2010-11-09 | 2020-08-26 | Ethicon, LLC | Emergency self-retaining sutures |
CN103889340B (zh) | 2011-03-23 | 2018-09-28 | 伊西康有限责任公司 | 自固位式可变套环缝合线 |
US9220492B2 (en) * | 2012-02-01 | 2015-12-29 | Covidien Lp | Wound closure device |
US9463013B2 (en) * | 2013-03-13 | 2016-10-11 | Stryker Corporation | Adjustable continuous filament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
NL2011328C2 (en) * | 2013-08-22 | 2015-02-24 | Maritiem Consultants B V | Net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
MX381534B (es) * | 2014-01-27 | 2025-03-12 | Ethicon Inc | Dispositivo de sutura de autoretención con retenedores asimétricos y método para fabricarlo. |
EP3085820B1 (en) | 2015-04-22 | 2017-12-20 | Sofradim Production | A method for forming a barbed suture and the barbed suture thus obtained |
USD870283S1 (en) | 2016-04-12 | 2019-12-17 | Jason P. Adams | Single strand bi-directional suture with coating shield |
USD872861S1 (en) | 2016-04-12 | 2020-01-14 | Jason P. Adams | Double strand twist bi-directional barb suture with single coating shield |
CN107890360B (zh) * | 2017-11-13 | 2020-08-11 | 南通华利康医疗器械有限公司 | 一种免打结的手术缝合线 |
-
2020
- 2020-09-04 WO PCT/US2020/049494 patent/WO2021230900A1/en unknown
- 2020-09-04 CN CN202080005614.2A patent/CN114206231A/zh active Pending
- 2020-09-04 US US17/013,069 patent/US11172926B1/en active Active
- 2020-09-04 KR KR1020217003955A patent/KR20230012396A/ko active Pending
- 2020-09-04 EP EP20845766.3A patent/EP3934547A4/en not_active Withdrawn
- 2020-09-04 JP JP2021505947A patent/JP2023524918A/ja active Pending
- 2020-09-04 MX MX2021000872A patent/MX2021000872A/es unknown
- 2020-09-04 CA CA3105911A patent/CA3105911A1/en active Pending
- 2020-09-04 AU AU2020294238A patent/AU202029423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1
- 2021-11-02 US US17/516,973 patent/US20220054128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934547A4 (en) | 2022-08-10 |
US20210353283A1 (en) | 2021-11-18 |
US11172926B1 (en) | 2021-11-16 |
JP2023524918A (ja) | 2023-06-14 |
AU2020294238A1 (en) | 2021-12-02 |
MX2021000872A (es) | 2022-04-18 |
EP3934547A1 (en) | 2022-01-12 |
CA3105911A1 (en) | 2021-11-15 |
US20220054128A1 (en) | 2022-02-24 |
CN114206231A (zh) | 2022-03-18 |
WO2021230900A1 (en) | 2021-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72926B1 (en) | Knotless sutures including integrated closures | |
US9675341B2 (en) | Emergency self-retaining sutures and packaging | |
CN101969861B (zh) | 包括编织线的手术缝合材料 | |
CA2798479C (en) | Surface texture configuration for self-retaining suture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 |
RU2372100C2 (ru) | Конфигурации заусениц для шовных нитей с заусеницами | |
EP1857236B1 (en) | Barbed sutures | |
AU2003279048B2 (en) | Barbed suture in combination with surgical needle | |
US2011010615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elf-retaining sutures | |
CN210990479U (zh) | 缝合线与手术缝合装置 | |
AU2013200710A1 (en) | Barb configurations for barbed sutur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2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