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01670A -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670A
KR20230001670A KR1020210084477A KR20210084477A KR20230001670A KR 20230001670 A KR20230001670 A KR 20230001670A KR 1020210084477 A KR1020210084477 A KR 1020210084477A KR 20210084477 A KR20210084477 A KR 20210084477A KR 20230001670 A KR20230001670 A KR 20230001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solvent
adsorption
unit
tank
flow sy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현
Original Assignee
(주)에어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릭스 filed Critical (주)에어릭스
Priority to KR102021008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670A/ko
Publication of KR20230001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67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54Controll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6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 B01J20/0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comprising aluminium oxide or hydroxide; comprising baux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comprising 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01J20/165Natural alumino-silicates, e.g. 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83Regenerating or reactivating by thermal treatment not covered by groups B01J20/3441 - B01J20/3475, e.g. by heating or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는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흡착 탱크를 포함하여 배출가스 내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제거 및 회수하는 시스템으로, 각 흡착 탱크 내에서 흡착제를 통해 유기용제를 제거하는 흡착공정이 흡착제를 재생하는 재생공정보다 동일하거나 그 이상 소요되도록 운용하며 흡착 탱크에서 배출된 물에 포함된 잔존 유기용제를 추가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이 추가된 시스템이다.

Description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 {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COVERY SYSTEM}
본 발명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고 회수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은 자연적으로 토양 등에서도 일부 발생되나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산업 활동에 의해 대부분 발생되고 있다.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VOC는 유기용제로부터 발생된다.
VOC 중 벤젠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는 강한 발암성 및 백혈병, 중추신경 장애, 염색체 이상 등을 유발시키며, 염화탄화수소는 오존층 파괴와, 지구온난화, 그리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쇄반응에 의하여 광화학 산화물이 생성되어 광화학 스모그 등을 일으킨다.
다양한 VOC 제거 기술이 사용되고 있거나 개발 중에 있으며, VOC 제거 기술은 크게 연소기술, 흡착농축 기술, 흡수응축 기술, 생물학적 처리기술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공정조전 및 VOC 특성에 따라 적절한 기술을 선택한다.
대형 산업시설 등에 주로 사용되는 흡착법은 기체 상태의 VOC 분자를 활성탄 등의 고체 흡착제에 흡착시킨 후 VOC는 회수하고 흡착제는 재생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흡착법 등의 VOC 제거 기술은 VOC 제거 효율 및 회수 효율이 중요하며 효율을 높이기 위한 요구가 꾸준히 있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10599호
본 발명은 흡착공정과 재생공정의 운영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회수 효율을 증대시키는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는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은 유기용제 흡착부와, 유기용제 회수부를 포함한다.
유기용제 흡착부는 흡착공정 유동계를 통해 공급된 유기용제 함유 가스로부터 유기용제를 흡착제를 통해 흡착하는 흡착공정과, 흡착제에 흡착된 유기용제를 스팀공정 유동계를 통해 공급된 스팀을 이용하여 흡착제로부터 액체 상태로 분리시켜 배출하고 건조공정 유동계를 통해 공급된 건조공기로 흡착제를 건조시키는 재생공정을 수행한다.
유기용제 회수부는 유기용제 흡착부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 액체로부터 유기용제와 물을 분리하여 별도로 회수하는 회수 공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유기용제 흡착부는 내부에서 흡착공정 또는 재생공정 중 하나가 수행되는 흡착 탱크를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고,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은 연속공정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흡착 탱크에서 상기 흡착공정이 수행되도록 공정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 양상에 따르면, 유기용제 흡착부는 밸브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밸브 제어부는 흡착 탱크에서 수행되는 공정에 따라 각 흡착 탱크에 연결된 흡착공정 유동계, 스팀공정 유동계 및 건조공정 유동계의 밸브들의 개폐를 제어하되, 각 흡착 탱크의 흡착공정 시간이 적어도 재생공정 시간의 1배 이상이 되도록 각 흡착 탱크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유기용제 회수부는 유기용제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유기용제 분리부는 유기용제 흡착부로부터 배출된 액체를 공급받은 후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유기용제와 물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 양상에 따르면, 유기용제 회수부는 임시 저장부와, 제1 물탱크와, 제2 물탱크와, 공기탈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임시 저장부는 유기용제 흡착부로부터 배출된 액체를 저장한 후 유기용제 분리부에 공급하고, 제1 물탱크는 유기용제 분리부로부터 분리 배출된 물을 저장하고, 공기탈기부는 제1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공기탈기(Air stripping) 공정으로 잔존 유기용제를 제거하고, 제2 물탱크는 공기탈기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저장한 후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임시 저장부, 유기용제 분리부, 제1 물탱크, 공기탈기부 및 제2 물탱크에서 증발되는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증발가스는 연결된 증발가스 유동계를 통해 흡착공정 유동계로 유동된다.
본 발명의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에 의하면 흡착공정과 재생공정의 운영이 효과적으로 제어가능 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기용제 흡착부의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기용제 흡착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이 3개의 흡착 탱크를 운용하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유기용제 회수부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 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 예 내에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블록도의 각 블록은 어느 경우에 있어서 물리적인 부품을 표현할 수 있으나 또 다른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물리적인 부품의 기능의 일부 혹은 복수의 물리적인 부품에 걸친 기능의 논리적인 표현일 수 있다. 때로는 블록 혹은 그 일부의 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의 집합(set)일 수 있다. 이러한 블록들은 전부 혹은 일부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는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10)은 유기용제 흡착부(100)와, 유기용제 회수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10)을 다양한 VOC 제거 기술 중 흡착농축 기술의 흡착법을 사용한다. 흡착법은 기체상태의 VOC 분자(예, Trichloroethylene)를 흡착제에 접촉시켜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과 같은 약한 힘으로 VOC 분자와 흡착제를 결합시켜 오염가스(유기용제 함유 가스)로부터 VOC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VOC는 일반적으로 상온 및 상압에서 기체 상태로 배출되므로 유기용제 함유 가스는 배출원에 설치된 후드 등을 통해 포집하여 덕트 등으로 구성되는 흡착공정 유동계(121)를 통해 제거시설로 이송된다.
유기용제 흡착부(100)는 내부의 흡착제를 통해 유기용제 함유 가스로부터 유기용제를 제거하는 흡착 탱크(110)를 포함하며, 흡착 탱크(110) 내에서 흡착공정과, 재생공정이 수행된다.
흡착공정은 흡착공정 유동계(121)를 통해 공급된 유기용제 함유 가스로부터 유기용제를 흡착제를 통해 흡착하는 공정이다.
흡착제는 활성탄, 실리카겔,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카본 섬유(Carbon Fiber)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활성탄은 VOC 제거를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흡착제이며, 나무, 석탄, 코코넛 열매와 같은 탄소함유 물질을 사용하며 분말탄, 입상탄 또는 섬유상 활성탄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표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기공(Pore) 크기가 미세공으로만 이루어져 흡착과 탈착 속도가 빠르며 다양한 모양으로 제조할 수 있는 섬유상 활성탄이 사용될 수 있다. 실리카겔은 콜로이드 실리카를 구형으로 뭉쳐놓은 무정형체로 수분에 큰 친화성을 가진다. 알루미나는 알루미나 수화물을 탈수과정을 거쳐 제조하는 알루미늄 산화물 중 Y 알루미나를 사용한다. 제올라이트는 알루미늄규산염으로 기공구조가 조절될 수 있는 화학적으로 안정된 흡착제이다. 또한 흡착제는 제올라이트를 활성탄에 고정화시킨 활성탄/제올라이트 복합재가 흡착제로 사용될 수 있다.
유기용제 흡착부(100)는 흡착공정 유동계(121)를 통해 공급된 유기용제 함유 가스로부터 유기용제를 제거하고, 유기용제가 제거된 가스 즉 정화된 공기를 스택(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재생공정은 흡착제에 흡착된 유기용제를 스팀공정 유동계(123)를 통해 공급된 스팀을 이용하여 흡착제로부터 액체 상태로 분리시켜 배출하고 건조공정 유동계(125)를 통해 공급된 건조공기로 흡착제를 건조시키는 공정이다. 이때 유기용제가 폭발성이 높은 경우 안전을 위하여 건조공기 대신 질소(N2)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기용제 흡착부의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유기용제 흡착부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이 2개 또는 3개의 흡착 탱크를 운용하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는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10)의 유기용제 흡착부(100)는 흡착 탱크(11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흡착 탱크(110)는 내부에서 흡착공정 또는 재생공정 중 하나가 수행된다.
흡착공정 시 스팀공정 유동계(123)와 연결된 밸브와 건조공정 유동계(125)와 연결된 밸브가 닫히고 흡착공정 유동계(121)와 연결된 밸브가 개방되어 유기용제가 함유된 가스가 흡착 탱크(110)로 공급되어 흡착 탱크 내부의 흡착제에 의해 VOC가 제거된 후 스택(300)과 연결된 함유 가스 유동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재생공정은 흡착된 유기용제를 회수하고 흡착 탱크(110)의 흡착 능력을 재생시키는 공정으로 스팀공정과 건조공정으로 구성된다.
스팀공정 시 흡착공정 유동계(121)와 연결된 밸브와 건조공정 유동계(125)와 연결된 밸브가 닫히고 스팀공정 유동계(123)와 연결된 밸브가 개방되어 보일러에 의해 가열된 스팀이 흡착 탱크(110)로 공급되어 흡착 탱크 내부의 흡착제에 결합된 VOC를 탈착한다. 흡착제로부터 탈착된 VOC는 흡착 탱크 하부에서 액체 상태로 배출된다.
건조공정 시 흡착공정 유동계(121)와 연결된 밸브와 스팀공정 유동계(123)와 연결된 밸브가 닫히고 건조공정 유동계(125)와 연결된 밸브가 개방되어 제1 열교환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송풍 수단을 거쳐 흡착 탱크(110)로 공급되어 흡착 탱크 내부의 흡착제를 건조시키고 다시 해당 공기는 흡착공정 유동계(121)로 이송된다. 흡착 탱크(110) 내에 증기 형태로 남아있는 VOC가 제거될 수 있도록 건조공정 유동계(125)는 다시 흡착공정 유동계(121)에 연결되어 흡착 탱크(110) 내의 잔존 VOC를 함유한 증발가스가 흡착공정 유동계(121)를 거쳐 다시 흡착 탱크(110)에서 제거되도록 하여 VOC 제거 효율 및 VOC 회수 효율을 높인다. 이때 흡착 탱크(110)에서 함유 가스 유동계 사이의 건조가스 유동계에 제2 열교환기를 추가하여 건조가스를 응축시켜 온도를 낮출 수도 있다.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10)은 연속적으로 흡착공정이 수행되도록 2개 이상의 흡착 탱크(110)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흡착 탱크(110)에서 흡착공정이 수행되도록 운용된다.
연속공정을 위하여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10)의 유기용제 흡착부(100)는 밸브 제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제어부(130)는 흡착 탱크(110)에서 수행되는 공정에 따라 각 흡착 탱크(110)에 연결된 흡착공정 유동계(121), 스팀공정 유동계(123) 및 건조공정 유동계(125)의 밸브들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에는 3개의 흡착 탱크(110_1, 110-2, 110-3)와, 각 유동계에의 각각의 흡착 탱크로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경로 상에 밸브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흡착 탱크 #1(110_1)과 흡착 탱크 #2(110_2)에서는 흡착공정이 수행되고 흡착 탱크 #3(110_3)에서는 재생공정 중 스팀공정이 수행되는 경우라면 밸브 제어부(130)는 흡착 탱크 #1(110_1)과 흡착 탱크 #2(110_2)에 연결된 스팀공정 유동계(123) 밸브와 건조공정 유동계(125) 밸브를 닫고 흡착공정 유동계(121)의 밸브는 열어 용제 함유 가스가 흡착 탱크 #1(110_1)과 흡착 탱크 #2(110_2)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흡착 탱크 #3(110_3)에 연결된 흡착공정 유동계(121) 밸브와 건조공정 유동계(125) 밸브를 닫고 스팀공정 유동계(123)의 밸브는 열어 스팀이 흡착 탱크 #3(110_3)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정해진 스팀공정이 완료되면 밸브 제어부(130)는 개방된 흡착 탱크 #3(110_3)에 연결된 스팀공정 유동계(123)의 밸브를 닫고, 흡착 탱크 #3(110_3)에 연결된 건조공정 유동계(125)의 밸브를 개방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밸브 제어부(130)는 각 흡착 탱크(110_1, 110_2)의 흡착공정 시간이 적어도 재생공정 시간과 동일하도록 각 흡착 탱크(110_1, 110_2)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흡착 탱크(110_1, 110_2)의 재생공정이 2 단위시간 동안 수행되면, 흡착공정은 2 단위시간 동안 수행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흡착 탱크가 2개가 사용되는 예시에는 각 단위시간마다 항상 하나의 흡착 탱크(110_1 또는 110_2)에서 흡착공정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밸브 제어부(130)는 각 흡착 탱크(110_1, 110_2, 110_3)의 흡착공정 시간이 적어도 재생공정 시간의 2배가 되도록 각 흡착 탱크(110_1, 110_2, 110_3)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흡착 탱크(110_1, 110_2, 110_3)의 재생공정이 2 단위시간 동안 수행되면, 흡착공정은 4 단위시간 동안 수행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흡착 탱크(110)가 3개가 사용되는 예시에는 각 단위시간마다 항상 2개의 흡착 탱크(110)에서는 흡착공정이 수행되도록 제어하여 VOC 제거 성능이 떨어지지 않도록 제어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흡착 탱크의 수는 예시로 유기용제의 농도에 따라 더 많은 흡착 탱크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흡착 탱크가 5개가 운용될 경우 3개의 흡착 탱크에서는 흡착공정이 수행되고, 1개의 흡착 탱크에서는 스팀공정이 수행되고 나머지 하나의 흡착 탱크에서는 건조공정이 수행될 수 있고, 4개의 흡착 탱크에서 흡착공정이 수행되고, 나머지 1개의 흡착 탱크에서 스팀공정과 건조공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유기용제 회수부(200)는 흡착 탱크(110)의 스팀공정 시 유기용제 흡착부(100)에서 배출된 액체로부터 유기용제와 물을 분리하여 별도로 회수하는 회수 공정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유기용제 회수부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10)의 유기용제 회수부(200)는 유기용제 분리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용제 분리부(210)는 스팀공정 시 유기용제 흡착부(100)에서 배출된 액체를 공급받아 저장한 후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유기용제와 물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물보다 비중이 가볍거나 무거운 유기용제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물과 유기용제가 분리된다. 유기용제 분리부(210)는 일정시간 경과 후 상부의 유기용제와 하부의 물 또는 상부의 물과 하부의 유기용제로 분리된 물과 유기용제를 각각 분리하여 배출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 양상에 따르면, 유기용제 회수부(200)는 임시 저장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임시 저장부(Buffer Tank, 220)는 유기용제 흡착부(100)에서 배출된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로 유기용제와 물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유기용제 분리부(210)에 저장된 액체를 공급한다. 즉, 유기용제 분리부(210)의 유기용제와 물의 분리에 필요한 시간동안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 양상에 따르면, 유기용제 회수부(200)는 제1 물탱크(230)와, 제2 물탱크(240)와, 공기탈기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물탱크(230)는 유기용제 분리부(210)로부터 분리 배출된 물을 저장하였다가 공기탈기부(250)에 공급하는 물탱크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탈기부(250)에 공급되는 물은 공기탈기부(250)의 상부로 공급되므로 공기탈기부(250)로 물을 이송하기 위한 펌프 등과 같은 송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탈기부(250)는 제1 물탱크(23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공기탈기(Air stripping) 공정으로 잔존 유기용제를 제거할 수 있다. 공기탈기 공정은 물에 잔존하고 있는 유기용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깨끗한 공기 또는 정화된 질소 가스(N2)를 오염된 물과 높은 표면적에 접촉시켜 유기용제가 물에서 공기로 전달(transfer)되도록 하는 공정이다.
제2 물탱크(240)는 공기탈기부(25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저장한 후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임시 저장부(220)와, 유기용제 분리부(210)와, 제1 물탱크(230)와, 공기탈기부(250)와, 제2 물탱크(240)는 내부에서 증발되는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증발가스를 연결된 증발가스 유동계(201)를 통해 흡착공정 유동계(121)로 이송시킨다. 유기용제가 포함된 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임시 저장부(220)와, 유기용제 분리부(210)와, 제1 물탱크(230)와, 제2 물탱크(240)는 저장되는 시간 동안 유기용제가 증발되어 물과 분리되므로 이 분리된 유기용제가 포함된 증발가스에서도 유기용제를 회수하여 유기용제 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유동계(201)를 통해 흡착공정 유동계(121)로 이송되어 다시 처리된다. 또한, 공기탈기부(250)는 공기탈기 공정에서 물에서 공기로 전달된 유기용제를 증발가스 유동계(201)를 통해 흡착공정 유동계(121)로 이송하여 처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의 전체 공정에 대한 플로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전체 공정의 플로우를 설명하면, 3개의 흡착 탱크 중에서 2개의 흡착 탱크에서는 흡착공정이 1개의 흡착 탱크에서는 재생공정이 수행되고 있다. 흡착공정이 수행되고 있는 흡착 탱크(110)에는 용제 함유 가스가 흡착공정 유동계(121)를 통해 공급되며 재생공정이 수행되고 있는 흡착 탱크(110)에는 스팀 또는 건조공기가 각각 스팀공정 유동계(123) 또는 건조공정 유동계(125)를 통해 공급되고 있다. 스팀은 보일러를 통해 공급되어 흡착제에 흡착된 유기용제를 탈착시킨 후 냉각되어 유기용제와 함께 액체 상태로 흡착 탱크(110)에 배출되고 배출된 유기용제가 포함된 물은 제3 열교환기에서 온도가 낮춰진 후 임시 저장부(220)에 저장된다. 건조공기는 깨끗한 공기 또는 정화된 질소 가스(N2)로 제1 열교환기를 통해 가열되어 공급된다. 재생공정 중 건조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흡착 탱크(110)의 흡착제를 건조시키며 배출된 공기가 제2 열교환기에서 온도가 낮춰져 물을 생성하고, 생성된 물은 유기용제 분리부(210) 또는 임시 저장부(220)로 공급되고, 온도가 낮춰진 공기는 흡착공정 유동계(121)로 공급되어 다시 흡착 탱크(110)로 이송된다. 임시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동안 증발된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유동계(201)를 통해 흡착공정 유동계(121)로 이송되어 흡착 탱크(110)에 다시 공급된다. 임시 저장부(220)에 저장된 물은 유기용제 분리부(210)에 공급되며 유기용제 분리부(210)에서 비중 차이에 의해 유기용제와 물이 분리되어 유기용제는 회수 용제 탱크로 이송되고 물은 제1 물탱크(230)로 이송된다. 이때, 유기용제 분리부(210)와 회수 용제 탱크와 제1 물탱크(230)에서 증발된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유동계(201)를 통해 흡착공정 유동계(121)로 이송되어 흡착 탱크(110)에 다시 공급된다. 제1 물탱크(230)에 저장된 물은 공기탈기부(250)에 공급되어 공기탈기법에 의해 추가적으로 잔존 유기용제를 제거하고 제거된 유기용제는 기체 상태로 증발가스 유동계(201)를 통해 흡착공정 유동계(121)로 이송되어 흡착 탱크(110)에 다시 공급된다. 공기탈기부(250)에서 공기탈기법을 거친 물은 제2 물탱크(240)로 이송되어 최종적으로 폐수로 배출된다. 이때, 제2 물탱크(240)에서도 마찬가지로 증발된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유동계(201)를 통해 흡착공정 유동계(121)로 이송되어 흡착 탱크(110)에 다시 공급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10)은 유기용제의 제거가 흡착 탱크(110)에서 일어나지만 흡착 탱크(110)에서 배출된 물에 포함된 잔존 유기용제를 추가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증발되거나 공기탈기법으로 물에서 기체로 전이된 유기용제를 다시 흡착 탱크(110)로 보내 유기용제 제거 및 회수 효율을 높이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로부터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변형 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었다.
10 :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
100 : 유기용제 흡착부
110 : 흡착 탱크 121 : 흡착공정 유동계
123 : 스팀공정 유동계 125 : 건조공정 유동계
130 : 밸브 제어부
200 : 유기용제 회수부
201 : 증발가스 유동계
210 : 유기용제 분리부 220 : 임시 저장부
230 : 제1 물탱크 240 : 제2 물탱크
250 : 공기탈기부
300 : 스택

Claims (8)

  1. 흡착공정 유동계를 통해 공급된 유기용제 함유 가스로부터 유기용제를 흡착제를 통해 흡착하는 흡착공정과, 흡착제에 흡착된 유기용제를 스팀공정 유동계를 통해 공급된 스팀을 이용하여 흡착제로부터 액체 상태로 분리시켜 배출하고 건조공정 유동계를 통해 공급된 건조공기로 흡착제를 건조시키는 재생공정을 수행하는 유기용제 흡착부; 및
    유기용제 흡착부로부터 배출된 액체로부터 유기용제와 물을 분리하여 별도로 회수하는 회수 공정을 수행하는 유기용제 회수부;
    를 포함하는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용제 흡착부는 :
    내부에서 흡착공정 또는 재생공정 중 하나가 수행되는 흡착 탱크를 2개 이상 포함하고,
    연속공정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흡착 탱크에서 상기 흡착공정이 수행되는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유기용제 흡착부는 :
    흡착 탱크에서 수행되는 공정에 따라 각 흡착 탱크에 연결된 흡착공정 유동계, 스팀공정 유동계 및 건조공정 유동계의 밸브들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밸브 제어부는 각 흡착 탱크의 흡착공정 시간이 적어도 재생공정 시간의 2배가 되도록 각 흡착 탱크의 밸브를 제어하는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흡착제는 활성탄, 실리카겔,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카본 섬유(Carbon Fiber) 중 어느 하나인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유기용제 회수부는 :
    유기용제 흡착부로부터 배출된 액체를 공급받은 후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유기용제와 물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유기용제 분리부를 포함하는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유기용제 회수부는 :
    유기용제 흡착부로부터 배출된 액체를 저장한 후 유기용제 분리부에 공급하는 임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유기용제 회수부는 :
    유기용제 분리부로부터 분리 배출된 물을 저장하는 제1 물탱크와, 제1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공기탈기(Air stripping) 공정으로 잔존 유기용제를 제거하는 공기탈기부와, 공기탈기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저장한 후 배출하는 제2 물탱크를 더 포함하는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임시 저장부, 유기용제 분리부, 제1 물탱크, 공기탈기부 및 제2 물탱크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서 증발되는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증발가스를 연결된 증발가스 유동계를 통해 흡착공정 유동계로 유동시키는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
KR1020210084477A 2021-06-29 2021-06-29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 Ceased KR20230001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77A KR20230001670A (ko) 2021-06-29 2021-06-29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77A KR20230001670A (ko) 2021-06-29 2021-06-29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70A true KR20230001670A (ko) 2023-01-05

Family

ID=84926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477A Ceased KR20230001670A (ko) 2021-06-29 2021-06-29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67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599A (ko) 2001-03-29 2004-01-31 셀라니즈 아세테이트 엘엘씨 탄소 흡착제 베드로부터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회수하는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599A (ko) 2001-03-29 2004-01-31 셀라니즈 아세테이트 엘엘씨 탄소 흡착제 베드로부터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회수하는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6344B1 (ko) 휘발성유기물의 회수방법
AU708270B2 (en) Pressure and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and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US4842621A (en) Recovery process
JP7380571B2 (ja)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WO2020093584A1 (zh) 一种有机废气的吸附处理及其吸附剂的脱附再生工艺
JP2004042013A (ja) 揮発性炭化水素含有排ガスの処理方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US9889404B2 (en) Process for capturing a heavy metal contained in a moist gas, integrating a heat pump to heat the gas introduced into a capture mass
AU2019372694B2 (en) Carbon dioxide separation recovery system and method
WO2007000960A1 (ja) 希薄な揮発性炭化水素を含む大量の排ガス浄化方法
US8709135B2 (en) Vapor recovery system utilizing compression-condensation processes and related methods
KR100698764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 응축식 회수 방법 및 회수 장치
KR20230001670A (ko) 유기용제 회수 시스템
KR100375079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응축식 회수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KR100266479B1 (ko) 휘발성석유화합물의흡착식포집및회수장치
RU2622310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содержащей ртуть и кислые газы газовой смеси с высо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углеводородов
JP2925522B2 (ja) ガス状炭化水素を含む廃棄ガスから炭化水素を液状で回収する方法
JP2000300955A (ja) 廃棄ガス中に含まれる希薄なガス状炭化水素の処理装置
JP2000262806A (ja) 吸着剤の再生方法
AU773355B2 (en) Method for reclamation and/or separation of sulphur oxyfluorides from gas mixtures
JP4669231B2 (ja) 超臨界あるいは液体の二酸化炭素を用いた洗浄装置、乾燥装置、抽出装置、高分子材料の加工のいずれかで用いられた二酸化炭素の再生回収装置
JP2009142719A (ja) 揮発性有機物回収処理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揮発性有機物回収処理システム
RU2768922C1 (ru) Блок комплексной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RU2760529C1 (ru) Адсорбер
RU2757132C1 (ru) Блок комплексной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JP4332608B2 (ja) 溶剤含有ガス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2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1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