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232A - 통모양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파일 편성포 - Google Patents
통모양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파일 편성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7232A KR20220167232A KR1020220070145A KR20220070145A KR20220167232A KR 20220167232 A KR20220167232 A KR 20220167232A KR 1020220070145 A KR1020220070145 A KR 1020220070145A KR 20220070145 A KR20220070145 A KR 20220070145A KR 20220167232 A KR20220167232 A KR 202201672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itting
- pile
- yarn
- knitted fabric
- yar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9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5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422033 Thesty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25—Elongated tubular articles of small diameter, e.g. coverings or reinforcements for cables or hos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4—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elongated tubular articles of small diameter, e.g. coverings f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편기에 의한 통모양의 파일편성에 있어서, 전후경계에 생기는 스플릿을 개선한다.
(해결수단)
통모양 파일 편성포(10)는, 1사이클의 파일편성을 반복하여 형성된다. 1사이클의 파일편성에서는, 파일사(3) 및 바탕사(5)를 급사하여, 뒤쪽 외향 파일 편성포(10aB), 앞쪽 외향 파일 편성포(10aF), 뒤쪽 내향 파일 편성포(10ab) 및 앞쪽 내향 파일 편성포(10af)가 형성된다. 1사이클의 파일편성에는, 파일사(3) 및 바탕사(5)와는 다른 부가사(7)에 의한 자루부가편성을 포함시킨다. 자루부가편성에서는, 단부영역(10c)에 자루편성(7c)이 이루어지고, 자루편성(7c)을 실시하는 파일 편성포에 대향하여, 단부영역(10c)을 제외한 스티치에는 스티치(7b)가 포개진다. 단부영역(10c)의 자루편성(7c)은 전후경계 측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스플릿이 눈에 띄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도2는, 도1에 이어지는 편성공정도이다.
도3은, 도1 및 도2의 편성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통모양 파일 편성포(10)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도1 및 도2의 편성공정에 사용하는 편침(20) 및 캠시스템(30)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캠배치도이다.
도5는, 도4의 캠시스템(30)에 의하여 파일편성을 실시할 때의 동작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자루부가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루편성(7c)에 대하여, 개략적인 형상과 전후경계(10d)로 당겨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도3의 통모양 파일 편성포(10)의 외관의 예를, 전후경계에 있어서 스플릿(1b)이 생기는 통모양 파일 편성포(1)의 예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인 편성방법의 일부를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5 : 바탕사
7 : 부가사
7c : 자루편성
9a, 9b, 9c : 급사구
10 : 통모양 파일 편성포
10aF : 앞쪽 외향 파일 편성포
10af : 앞쪽 내향 파일 편성포
10aB : 뒤쪽 외향 파일 편성포
10ab : 뒤쪽 내향 파일 편성포
10c : 단부영역
10d : 전후경계
20 : 편침
23a, 25a : 버트
30 : 캠시스템
31 : 니들 레이징 캠
31a : 상승캠면
33 : 스티치캠
33a : 제1인입면
35 : 루트전환캠
35a : 제2인입면
40 : 프레서군
45 : 루트전환프레서
Claims (5)
- 전후방향으로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 상방에 복수의 얀가이드 레일(yarn guide rail)을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의하여,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편사(編絲)로서 파일사(pile yarn)와 바탕사(ground yarn)를 각각 급사하는 선행(先行)의 급사구(給絲口)와 후행(後行)의 급사구를 서로 다른 트랙에서 왕복주행시키면서,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에 있어서 베이스가 되는 스티치를 파일사 및 바탕사로 형성하고,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에 있어서 파일루프(pile loop)를 파일사로 형성하는 파일편성을 일방과 타방을 교대하여 실시하고, 미리 정한 조합이 되는 1사이클의 파일편성을 반복하여 통모양 파일 편성포를 형성하는 편성방법에 있어서,
1사이클의 파일편성에, 편사로서 파일사 및 바탕사와 다른 부가사를 베이스가 되는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編針)에 급사하여 부가편성을 실시하는 것을 추가하고,
부가편성은, 자루부가편성을 포함하고,
자루부가편성은,
적어도 파일사와 바탕사의 교차가 일어나는 측의 전후경계를 사이에 두는 편성포의 단부영역(端部領域)이며, 또한 파일편성으로 형성된 베이스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이 속하는 니들베드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에서 자루편성을 실시하고,
편성포의 다른 영역에서는, 상기 베이스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편성은,
상기 베이스의 스티치의 형성 후의 공정 중에서, 대향하는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파일루프를 해제하면, 통모양 파일 편성포의 내주측(內周側)을 향하는 파일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공정 중에서, 대향하는 니들베드에 있어서 파일루프를 결합하고 있는 편침 사이의 공침(空針)으로 트랜스퍼한 후에 파일루프를 해제하면, 통모양 파일 편성포의 외주측(外周側)을 향하는 파일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편성은, 백스티치(back stitch)인 베이스의 스티치에 계속하여 플레인 편성(plain knitting)의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로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가편성은, 상기 편성포의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의 전후경계를 각각 사이에 두도록 형성하는 단부영역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 전후로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의하여 편사로서 파일사 및 바탕사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통모양 파일 편성포에 있어서,
전후의 니들베드에 각각 편성된 파일 편성포에 있어서, 적어도 파일사와 바탕사가 교차하는 측의 편성폭 단부의 전후경계를 사이에 두는 단부영역에, 파일사 및 바탕사와 다른 부가사에 의한 자루편성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파일 편성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1098171A JP7628059B2 (ja) | 2021-06-11 | 2021-06-11 | 筒状パイル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パイル編地 |
JPJP-P-2021-098171 | 2021-06-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7232A true KR20220167232A (ko) | 2022-12-20 |
KR102679571B1 KR102679571B1 (ko) | 2024-06-27 |
Family
ID=8419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0145A Active KR102679571B1 (ko) | 2021-06-11 | 2022-06-09 | 통모양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파일 편성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7628059B2 (ko) |
KR (1) | KR102679571B1 (ko) |
CN (1) | CN115467072B (ko) |
DE (1) | DE102022205817A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21283U (ja) | 2006-01-05 | 2006-05-18 | 株式会社豊中産業 | レザー調ドア |
KR20070089676A (ko) * | 2004-12-28 | 2007-08-31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2중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
KR20100080359A (ko) * | 2008-12-29 | 2010-07-08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및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
KR20150066462A (ko) * | 2013-12-06 | 2015-06-16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편성포의 편성방법 |
KR20170102421A (ko) * | 2016-03-01 | 2017-09-11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1486017A (en) * | 1974-10-08 | 1977-09-14 | By Ltd | High pile fabrics |
JPS6059333B2 (ja) | 1979-09-13 | 1985-12-24 | 株式会社島アイデア・センタ− | パイル編編成方法 |
DE3039398A1 (de) * | 1980-10-18 | 1982-05-19 | Heinrich Ruff GmbH & Co, 7450 Hechingen | Zweiflaechige gestrickte plueschwar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
DE3406113A1 (de) * | 1984-02-21 | 1985-08-22 | Heinrich Ruff GmbH & Co, 7450 Hechingen | Zweiflaechige gestrickte plueschwar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
JP3121283B2 (ja) | 1997-03-26 | 2000-12-25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筒状編地の編成方法 |
WO2009133684A1 (ja) | 2008-05-02 | 2009-11-05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
JP5330188B2 (ja) * | 2009-10-20 | 2013-10-30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
JP5452791B2 (ja) | 2010-03-15 | 2014-03-26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側端部を補強した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
CN102517770B (zh) * | 2011-12-12 | 2014-07-30 | 西安工程大学 | 一种在普通手动横机上编织毛圈的方法 |
JP2016017252A (ja) * | 2014-07-09 | 2016-02-01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
-
2021
- 2021-06-11 JP JP2021098171A patent/JP7628059B2/ja active Active
-
2022
- 2022-06-08 DE DE102022205817.8A patent/DE102022205817A1/de active Pending
- 2022-06-09 KR KR1020220070145A patent/KR102679571B1/ko active Active
- 2022-06-10 CN CN202210651769.4A patent/CN115467072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89676A (ko) * | 2004-12-28 | 2007-08-31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2중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
JP3121283U (ja) | 2006-01-05 | 2006-05-18 | 株式会社豊中産業 | レザー調ドア |
KR20100080359A (ko) * | 2008-12-29 | 2010-07-08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및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
KR20150066462A (ko) * | 2013-12-06 | 2015-06-16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편성포의 편성방법 |
KR20170102421A (ko) * | 2016-03-01 | 2017-09-11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22205817A1 (de) | 2022-12-15 |
KR102679571B1 (ko) | 2024-06-27 |
CN115467072A (zh) | 2022-12-13 |
JP7628059B2 (ja) | 2025-02-07 |
JP2022189540A (ja) | 2022-12-22 |
CN115467072B (zh) | 2024-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51922A (en) | Method of knitting inlaid fabric and inlaid fabric knitted by the method | |
KR100768350B1 (ko) | 개구부를 구비하는 니트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 |
KR20080088456A (ko) |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성된 편성포 | |
KR101347648B1 (ko) | 편성포의 편성시작방법 | |
US6966202B2 (en) | Method of knitting intersia pattern knitted fabric | |
JP4852092B2 (ja) | 増し目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編地の編幅方向端部よりも内側に増し目が形成されている編地 | |
KR101449913B1 (ko) | 편성포의 편성방법 | |
US6178782B1 (en) | Stitch loop retaining method by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 |
KR100249120B1 (ko) | 리브편지의 내증방법 | |
JP3121283B2 (ja) | 筒状編地の編成方法 | |
KR101356985B1 (ko) | 편성포의 편성시작 방법, 및 편성포 | |
JP3757073B2 (ja) | 2層構造部を有する衿付き身頃の編成方法 | |
CN102345197B (zh) | 针织物的编织方法及针织物 | |
EP0940491B1 (en) | A widening method | |
JPH101852A (ja) | インターシャ部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 | |
KR101356440B1 (ko) | 브이-넥 포인트를 구비하는 칼라를 부착한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 |
KR20070087591A (ko) | 횡편기로 편성되는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 |
KR20220167232A (ko) | 통모양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파일 편성포 | |
KR102602203B1 (ko) | 편성포의 편성방법 | |
JP3126272B2 (ja) | 天竺ジャカードの筒状編地編成方法 | |
JP3673107B2 (ja) | 増目形成方法 | |
JP2010281010A (ja) | ニットウエアのv首部編成方法 | |
JP7607516B2 (ja) | 編地の編成方法 | |
KR20230154246A (ko) |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 |
KR20220148105A (ko) |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3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