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257A -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46257A KR20220146257A KR1020210053307A KR20210053307A KR20220146257A KR 20220146257 A KR20220146257 A KR 20220146257A KR 1020210053307 A KR1020210053307 A KR 1020210053307A KR 20210053307 A KR20210053307 A KR 20210053307A KR 20220146257 A KR20220146257 A KR 202201462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ular body
- duct device
- vortex
- fluid duct
- automobil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4—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by means within the induction channel, e.g. defle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02M35/10118—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with variable cross-sections of intake ducts along their length; Venturis; Diffus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62—Flow guides, obstructions, deflectors or the li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16—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a plurality of holes, slits, protrusions, perforations, ribs or the like; Surface structures; Turbulence gener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를 유체 유입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에 포함되는 연결 고정 부재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에 포함되는 연결 고정 부재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에 포함되는 연결 고정 부재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의 다른 변형 예에서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에 포함되는 베이스 관형체의 변형 예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에서 다른 형태의 외곽 관형체가 포함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를 자동차 흡기계통에 설치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01: 기류 유동공
110: 제1 베이스 관형체
120: 제2 베이스 관형체
200: 와류 형성 부재
210: 상류측 트위스트부(제1 트위스트부)
220: 하류측 트위스트부(제2 트위스트부)
300: 외곽 관형체
400: 연결 고정 부재
410: 환형링부
411: 관통공
420: 고정 돌기부
Claims (7)
- 자동차의 흡기 계통에 구비되는 유체 덕트 장치로서,
베이스 관형체;
상기 베이스 관형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와류 흐름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와류 형성 부재;
상기 베이스 관형체의 외측에 고정되어 그 베이스 관형체와의 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외곽 관형체; 및
상기 베이스 관형체와 외곽 관형체 간에 공간을 형성시키면서 연결 고정하는 연결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관형체의 내연에는 유체 흐름 방향으로 바라볼 때 상기 와류 형성 부재와 겹치지 않게 돌출 형성되는 서브 와류 형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형성 부재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소정 각도로 트위스트(twist)된 판형의 제1 트위스트부와 제2 트위스트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트위스트부의 선형 단과 이에 연속하는 제2 트위스트부의 선형 단은 서로 교차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관형체는 벤츄리 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 고정 부재는 환형링부, 및 상기 환형링부의 내연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고정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링부는 유체 흐름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 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부는 유체 흐름 방향에서 바라볼 때, 단면 삼각형의 돌기부로 형성되며,
상기 단면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돌기부에서 그 삼각형의 빗면은 유체 흐름 방향으로 가면서 트위스트된 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부를 통과하는 유체가 와류 흐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관형체는 복수의 기류 유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외곽 관형체는 중앙부의 직경이 양단부 측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3307A KR102529284B1 (ko) | 2021-04-23 | 2021-04-23 |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3307A KR102529284B1 (ko) | 2021-04-23 | 2021-04-23 |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6257A true KR20220146257A (ko) | 2022-11-01 |
KR102529284B1 KR102529284B1 (ko) | 2023-05-03 |
Family
ID=8404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3307A Active KR102529284B1 (ko) | 2021-04-23 | 2021-04-23 |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9284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0734A (ko) * | 1992-06-22 | 1994-01-03 | 박춘근 | 내연기관의 흡입공기 강제압축방법 및 그 장치 |
JP2001201275A (ja) * | 2000-01-21 | 2001-07-27 | Daikin Ind Ltd | 二重管式熱交換器 |
KR101277033B1 (ko) * | 2012-05-22 | 2013-06-24 | 손계동 | 최적 설계가 가능한 차량용 머플러 장치 및 그의 제작 방법 |
KR101314900B1 (ko) * | 2013-02-06 | 2013-10-04 | 손계동 | 흡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흡기계통의 다중유로 흡기 덕트 장치 |
KR101365892B1 (ko) | 2012-11-10 | 2014-02-21 | 손계동 | 차량용 흡기계통의 흡기효율향상 흡기 덕트 장치 |
KR20200058719A (ko) | 2018-11-20 | 2020-05-28 | 이영석 |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
-
2021
- 2021-04-23 KR KR1020210053307A patent/KR10252928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0734A (ko) * | 1992-06-22 | 1994-01-03 | 박춘근 | 내연기관의 흡입공기 강제압축방법 및 그 장치 |
JP2001201275A (ja) * | 2000-01-21 | 2001-07-27 | Daikin Ind Ltd | 二重管式熱交換器 |
KR101277033B1 (ko) * | 2012-05-22 | 2013-06-24 | 손계동 | 최적 설계가 가능한 차량용 머플러 장치 및 그의 제작 방법 |
KR101365892B1 (ko) | 2012-11-10 | 2014-02-21 | 손계동 | 차량용 흡기계통의 흡기효율향상 흡기 덕트 장치 |
KR101314900B1 (ko) * | 2013-02-06 | 2013-10-04 | 손계동 | 흡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흡기계통의 다중유로 흡기 덕트 장치 |
KR20200058719A (ko) | 2018-11-20 | 2020-05-28 | 이영석 |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9284B1 (ko) | 2023-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57484B2 (en) | Exhaust treatment device having flow-promoting end caps | |
JP5047352B2 (ja) | 排気ターボ過給機のハウジング構造 | |
KR101314900B1 (ko) | 흡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흡기계통의 다중유로 흡기 덕트 장치 | |
KR101771384B1 (ko) | 내연기관용 와류 발생기 | |
JP6035987B2 (ja) | 排気再循環用ベンチュリ | |
JP6434749B2 (ja) | 排ガス還流装置及び該排ガス還流装置を備えるエンジンシステム | |
KR101853601B1 (ko) | 소음 저감 구조 및 과급 장치 | |
SE523479C2 (sv) | Behållaranordning inrättad att anordnas i ett avgassystem för en förbränningsmotor | |
CN110741143B (zh) | 废气管、内燃机和机动车 | |
KR200246432Y1 (ko) | 내연기관용 흡기관의 와류 발생장치 | |
JP5938974B2 (ja) | ベンチュリ | |
KR102529284B1 (ko) |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 | |
KR102208180B1 (ko) | 내연기관 흡기용 와류발생기 | |
KR101365892B1 (ko) | 차량용 흡기계통의 흡기효율향상 흡기 덕트 장치 | |
JP2018025191A (ja) | 吸気口消音器 | |
JPH11210563A (ja) | エンジンのegr装置 | |
KR200466707Y1 (ko) | 자동차의 배기 장치용 서브 머플러 | |
US11391195B2 (en) | Exhaust system and muffler | |
CN111692023B (zh) | 可双向置入内燃机的导流装置 | |
RU150274U1 (ru) | Система выпуска в двигателе (варианты) | |
KR101887000B1 (ko) | 차량용 와류장치 | |
KR20200058719A (ko) |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 |
KR200484057Y1 (ko) | 자동차용 서브 머플러 | |
CN209942971U (zh) | 切割气体进入内燃机的导流装置 | |
KR20010025656A (ko) | 자동차 흡기의 고속와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