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719A -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8719A KR20200058719A KR1020180143177A KR20180143177A KR20200058719A KR 20200058719 A KR20200058719 A KR 20200058719A KR 1020180143177 A KR1020180143177 A KR 1020180143177A KR 20180143177 A KR20180143177 A KR 20180143177A KR 20200058719 A KR20200058719 A KR 202000587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ake
- vortex
- internal combustion
- spiral
- combustion eng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4—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by means within the induction channel, e.g. defle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1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using spirally or helically shaped channe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서 와류를 발생시켜서 연소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흡기 와류 발생 장치에 있어서, 흡기관 내부에 나선형의 나선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와류유도부재의 외주면이 흡기관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와류유도부재의 나선부가 축방향 중심에 동축방향으로 나선형을 따라 나선형의 내주면이 형성되어 나선부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 흡기의 중심부에 직류의 흡기가 형성되어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에서 실린더의 연소실로 공급되는 흡기와 배기 매니폴드로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엔진효율과 연소효율을 증대시켜서 불완전 연소된 배기가스의 배출을 감소시키고, 배기의 흐름을 빠르게 함으로써 엔진의 출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서 와류를 발생시켜서 연소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흡기 와류 발생 장치에 있어서, 흡기관 내부에 나선형의 나선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와류유도부재의 외주면이 흡기관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와류유도부재의 나선부가 축방향 중심에 동축방향으로 나선형을 따라 나선형의 내주면이 형성되어 나선부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 흡기의 중심부에 직류의 흡기가 형성되어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에서 실린더의 연소실로 공급되는 흡기와 배기 매니폴드로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엔진효율과 연소효율을 증대시켜서 불완전 연소된 배기가스의 배출을 감소시키고, 배기의 흐름을 빠르게 함으로써 엔진의 출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에서 흡기가 최대한 혼합된 이후애 흡입포트(suction port)를 통해 연소실로 유입되도록 하여 에미션의 안정화를 제공하게 되는 내연기관의 와류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내연기관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intake manifold)에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흡기 매니폴드를 통해 실린더의 연소실로 흡기되는 혼합기가 연소실 내에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혼합기가 연소실 내에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하고, 연료 무화의 촉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여 엔진의 저속과 중속 영역에서 출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엔진효율을 증대시키며, 공기와 혼합된 연료에 와류를 형성하여 실린더의 연소실 내부로 분사시킴으로써 연소효율을 증가시켜서 불완전 연소된 배기가스의 배출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연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은 엔진 내부에서 연료를 연소시켜서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하여 차량에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로써, 사용하는 연료에 의해 가스기관, 가솔린기관, 디젤기관 등으로 분류된다.
엔진의 흡기 계통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 클리너와, 여과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는 트로틀 바디(throttle body)와, 상기 트로틀 바디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일시 저장하는 서지 탱크(surge tank)와, 상기 서지 탱크와 실린더 헤드의 연소실을 연통시키는 흡기 매니폴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는 에어 클리너에서 통과되어 트로틀 바디로 유입되며, 상기 트로틀 바디로 유입된 공기는 트로틀 밸브(throttle valve)에 의해 그 흡기량이 조절되어 서지 탱크에 유입되며, 서지 탱크에 유입된 공기는 흡기밸브의 열림시 부압에 의하여 실린더 헤드의 연소실에 유입되면서 연료와 혼합되어 연소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내연기관은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에 연료가 혼합된 흡기의 흡기량을 트로틀 바디로 조절하여 연소실에 유입되는 흡기의 유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엔진의 폭발력을 조절하여 출력을 제어하게 되는데, 흡입포트를 통해 연소실 내부로 연료가 분사되기 때문에 연료와 공기가 적절하게 혼합되지 않음은 물론 배기포트(exhaust port) 측으로 연료가 분포되지 않아 탄화수소(HC), 일산화탄소(CO), 산화질소(NOx)등의 불완전연소된 배기가스가 배기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대기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엔진의 출력을 저하시키고 연료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특히 트로틀 바디를 통하여 서지 탱크의 챔버로 흡입된 후, 이 챔버의 일측에 그 흐름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흡기 매니폴드로 흡기를 분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엔진 흡기장치의 경우, 서지 탱크로 흡입되는 흡기가 흡기 매니폴드의 흡입 포트가 그 흐름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음으로 서지 탱크로 흡입되는 흡기가 각 매니폴드에 균등하게 공급되지 못하여, 연소실의 연소 효율을 떨어트림과 동시에 그에 따른 배출가스도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내연기관의 실린더에서 폭발행정 이후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 매니폴드(Exhaust manifold)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배기구에는 내연기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장치로 배기 머플러(Exhaust muffler)가 된다.
여기서 배기 머플러의 소음감소 효과를 높이게 되면, 배기의 흐름에 대한 저항이 증가되어 엔진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차량의 설계자는 소음감소 효과와 엔진의 출력 사이의 균형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소음감소 효과를 만족시키면서도 배기의 흐름 저항을 감소시켜 엔진의 출력 감소를 방지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위와 같이 배기의 흐름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트로틀 바디에서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에서 배기의 흐름 방향으로 와류를 형성시켜 주면 배기의 흐름을 빠르게 하여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엔진의 출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엔진의 연소실로 흡입되고 배출되는 흡배기의 흐름 상태는 엔진의 출력과 에미션 및 연비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엔진의 흡기 계통은 흡입 공기의 흐름 저항이 최소가 되도록 하면서, 또한 엔진의 운전 조건에 따라 이에 알맞은 흡기와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연기관에서 트로틀 바디를 통과하여 엔진의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와류를 형성시켜주면 엔진 출력이 증대되고 연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임은 자명한 사실이며, 이를 위하여 내연기관에 흡입되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시키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치들의 일례로 '내연기관의 흡기 와류 장치'가 도 1에 예시되어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강철판을 파발하여 형성되는 고정단부(100)로부터 중앙의 통공(101)을 향하여 경사지게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날개(102)를 일정한 각도로 절곡 형성하여 와류가 형성되게 하는 것인데, 이러한 구조에서는 유입되는 공기가 고정날개(102)에 충돌하면서 공기의 흐름에 저항이 발생하여 출력 향상을 저해하고 진동과 소음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와 달리 와류를 형성하는 날개가 회전이 되게하여 공기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는 '내연기관의 흡배기 와류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장치는 도 2에서 보듯이 와류를 형성하는 날개(200)가 흡기의 유입로 중앙에 놓여지는 고정축(201)에 고정되는 프로펠러 방식으로 되어 흡기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효용성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와류를 형성하는 날개(200)가 흡기 유입로 중앙의 고정축(201)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고정축(201)을 고정시키는 구조가 흡기 유입로에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원형관(202)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3~4개의 리브(203)가 교차하는 중앙부에 축을 고정하기 위한 보스(204)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와류를 발생시키는 날개에서는 흡기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날개를 설치하기 위한 리브(203)와 보스(204)의 구조에서 또다른 흡기의 마찰 저항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원형관을 흡기 유입로에 삽입하는 구조는 설치와 분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내연기관의 와류는 흡배기관 내에서 공기 흐름에 저항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와류가 충분히 형성됨과 동시에 흡배기 공기 흐름의 기류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흡기 와류 장치의 문제점을 해여 내연기관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서 효과적으로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흡기가 최대한 혼합된 이후애 흡입포트를 통해 연소실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혼합기가 연소실 내에서 균일하게 분포되어 에미션의 안정화가 이루어지게 되며, 엔진의 저속과 중속 영역에서 출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엔진효율과 연소효율을 증대시켜서 불완전 연소된 배기가스의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 매니폴드에서 배기의 흐름 방향으로 와류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배기의 흐름을 빠르게 함으로써 엔진의 출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은 내연기관의 흡배기관 내에서 발생하는 와류의 흐름을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흡배기관 내에서 공기흐름에 따르는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내연기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흡입포트 일측에 서지탱크로 부터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 매니폴드가 연결되고, 상기 흡기포트와 흡기 매니폴드의 경계 부위에는 연소실내에 공기를 난류로 분사시켜 완전연소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와류 유도 부재에 의해 의해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내연기관에서 와류를 발생시켜서 연소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흡기 와류 장치에 있어서, 흡기관 내부에 나선형의 나선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와류유도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라 상기 와류유도부재가 나선부의 외주면이 흡기관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라 상기 와류유도부재의 나선부는 축방향 중심에 동축방향으로 나선부의 나선형을 따라 나선형의 내주면이 형성되어 나선부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 흡기의 중심부에 직류의 흡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라 상기 나선형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직경은 흡기관 직경의 1/3~1/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라 상기 와류유도부재는 나선부가 한쪽 전단부로부터 다른 한쪽의 후단부까지 0.8~1.2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라 상기 와류유도부재가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는 흡기관의 내경이 이루는 길이보다 2~4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에서 서지탱크로부터 흡입포트를 통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를 연소실 내에 난류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와류유도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연소실 내부로 연료가 적절하게 혼합된 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실린더 연소실로 유입되는 흡기에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와류를 발생시켜서 기화된 연료와 공기를 고르게 혼합시켜서 완전 연소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와류 생성에 따르는 소음을 방지하고, 연료의 완전연소가 가능함에 따라 탄화수소(HC), 일산화탄소(CO), 산화질소(NOx) 등과 같은 불완전 연소가스의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어 이에 따라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연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연기관의 흡배기관 내에서 발생하는 와류의 흐름을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흡배기관 내에서 공기흐름에 따르는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내연기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와류 발생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입체도
도 2는 종래 와류 발생 장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1 실시예의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1 실시예의 일부를 절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1 실시예의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1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1 실시예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2 실시예의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2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와류 발생 장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1 실시예의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1 실시예의 일부를 절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1 실시예의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1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1 실시예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2 실시예의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2 실시예의 정면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공지된 구성에 관하여 도면의 도시와 부호의 기재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1 실시예의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1 실시예의 일부를 절개한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1 실시예의 분해 입체도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1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1 실시예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내연기관을 구성하는 엔진의 흡기 계통은 주지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 클리너와, 여과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는 트로틀 바디와, 상기 트로틀 바디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일시 저장하는 서지 탱크와, 상기 서지 탱크와 실리더 헤드의 연소실을 연통시키는 흡기 매니폴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는 에어 클리너에서 통과되어 드르틀 바디로 유입되며, 상기 트로틀 바디로 유입된 공기는 트로틀 밸브에 의해 그 흡기량이 조절되어 서지 탱크에 유입되며, 서지 탱크에 유입된 공기는 흡기밸브의 열림시 부압에 의하여 실린더 헤드의 연소실에 유입되면서 연료와 혼합되어 연소되는 구조로 된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류유도부재(30)는 흡기 매니폴드의 흡기관(40)들이 일체로 연결되는 다수의 흡기 매니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엔진의 흡기장치에 설치된다.
와류유도부재(30)는 나선형의 나선부(300)가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흡기 매니폴드의 흡기관(40)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흡기 매니폴드의 흡기관(40)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와류유도부재(30)의 외주면(310)은 흡기관(40)의 내주면(400)에 밀착되도록 접촉된다.
그리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나선형의 나선부(300)는 한쪽 전단부(320)로부터 다른 한쪽의 후단부(330)까지 0.8~1.2 회전되게 형성된다.
나선부(300)가 한쪽의 전단부(320)로부터 다른 한쪽의 후단부(330)까지 0.8회전 이하일 경우에는 와류의 발생량이 감소되어 와류발생에 따르는 효과 또한 감소되며, 1.2회전 이상일 경우에는 와류 발생량이 증가되지만 흡기의 유속이 점자 감소되어 의도하는 와류에 의한 효과가 감소된다.
또한, 상기 와류유도부재(30)가 한쪽 전단부(320)로부터 다른 한쪽의 후단부(330)까지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는 흡기관(40)의 내경이 이루는 길이보다 2~4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류유도부재(30)의 한쪽 전단부(320)로부터 다른 한쪽의 후단부(330)까지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가 흡기관(40)의 내경이 이루는 길이보다 2배 이하일 경우에는 와류의 발생량이 감소되어 와류발생에 따르는 효과 또한 감소되며, 4배 이상일 경우에는 와류 발생량이 증가되지만 흡기의 유속이 점자 감소되어 의도하는 와류에 의한 효과가 감소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와류유도부재(30)는 흡기 매니폴드를 통하여 유입되는 흡기에 와류를 형성하여 각각의 연소실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와류유도부재(30)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로 공급되는 흡기는 매니폴드 바디의 캐비티에서 맥동이 방지되고, 매니폴드와 각각의 흡기포트를 통하여 실린더 연소실로 균등하게 배분되며 공급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2 실시예의 입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2 실시예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와류유도부재(30a)의 나선부(300a)는 축방향 중심에 동축방향으로 나선부(300a)의 나선형을 따라 나선형의 내주면(3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선부(300a)의 외주면(310a)은 흡기관(40a)의 내주면(400a)에 밀착되도록 접촉된다.
축방향 중심에 형성되는 내주면(340)은 와류 흡기의 중심부에 직류의 흡기가 형성되게 한다.
따라서 흡기관(40a) 내부에서 나선부(300a)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면서, 그 와류의 중심부에는 직류의 흡기 기류가 형성되어 와류와 직류가 공존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와류와 직류는 흡기 매니폴드를 통해서 각 실린더 연소실에 분배되는데, 직류의 흡기에 의해 흡기 매니폴드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공기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고 흡배기의 유속을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나선형의 내주면(340)을 형성하는 직경은 흡기관(30a) 직경의 1/3~1/4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선형의 내주면(340)을 형성하는 직경이 흡기관(40) 직경의 1/3배 이하일 경우에는 축방향 중심에 형성되는 직류의 기류가 미미하여 빠른 유속에 의한 유입 효과가 감소되며, 1/4배 이상일 경우에는 축방향 중심에 형성되는 직류의 기류가 커지게 되어 공기저항이 일부 감소될 수 있으나, 와류의 발생량이 적어지게 되어 와류발생에 따르는 효과가 감소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와류유도부재(30)가 흡기 매니폴드의 흡기관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배기 매니폴드의 배기관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배기 매니폴드의 배기관에 설치되는 와류유도부재 또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와 같이 나선부의 외주면이 흡기관의 내주면에 접촉되며, 상기 나선부의 나선형을 따라 나선형의 내주면이 형성되어 나선부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 흡기의 중심부에 직류의 흡기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 나선형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직경은 흡기관 직경의 1/3~1/4배로 형성되고, 와류유도부재가 나선부가 한쪽 전단부로부터 다른 한쪽의 후단부까지 0.8~1.2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와류유도부재가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는 흡기관의 내경이 이루는 길이보다 2~4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30, 30a: 와류유도부재 40: 흡기관
300, 30a: 나선부 310, 310a: 외주면
320, 320a: 전단부 330, 330a: 후단부
340: 내주면 400, 400a: 내주면
300, 30a: 나선부 310, 310a: 외주면
320, 320a: 전단부 330, 330a: 후단부
340: 내주면 400, 400a: 내주면
Claims (6)
- 내연기관에서 와류를 발생시켜서 연소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흡기 와류 발생 장치에 있어서,
흡기관 내부에 나선형의 나선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와류유도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유도부재가 나선부의 외주면이 흡기관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유도부재의 나선부는 축방향 중심에 동축방향으로 나선부의 나선형을 따라 나선형의 내주면이 형성되어 나선부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 흡기의 중심부에 직류의 흡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직경은 흡기관 직경의 1/3~1/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유도부재가 나선부가 한쪽 전단부로부터 다른 한쪽의 후단부까지 0.8~1.2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유도부재가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는 흡기관의 내경이 이루는 길이보다 2~4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3177A KR20200058719A (ko) | 2018-11-20 | 2018-11-20 |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3177A KR20200058719A (ko) | 2018-11-20 | 2018-11-20 |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8719A true KR20200058719A (ko) | 2020-05-28 |
Family
ID=7092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3177A Abandoned KR20200058719A (ko) | 2018-11-20 | 2018-11-20 |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5871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6257A (ko) | 2021-04-23 | 2022-11-01 | 손계동 |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2880Y1 (ko) | 1990-12-28 | 1993-05-24 | 주식회사 금성사 | 전자악기의 건반 장치 |
KR200263017Y1 (ko) | 2001-10-16 | 2002-02-01 | 송철 | 내연기관의 흡기 와류 장치 |
-
2018
- 2018-11-20 KR KR1020180143177A patent/KR20200058719A/ko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2880Y1 (ko) | 1990-12-28 | 1993-05-24 | 주식회사 금성사 | 전자악기의 건반 장치 |
KR200263017Y1 (ko) | 2001-10-16 | 2002-02-01 | 송철 | 내연기관의 흡기 와류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6257A (ko) | 2021-04-23 | 2022-11-01 | 손계동 |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1384B1 (ko) | 내연기관용 와류 발생기 | |
US7028663B1 (en) | Fluid swirling device | |
US7490467B2 (en) | Gas flow enhancer for combustion engines | |
GB2410296A (en) | Speed increaser for engine intake air | |
JP3088005U (ja) | 内燃機関の吸排気スワール生成用翼、内燃機関の吸排気スワール生成装置及び内燃機関 | |
JPWO2006129371A1 (ja) | Egrガス混合装置 | |
KR200246432Y1 (ko) | 내연기관용 흡기관의 와류 발생장치 | |
US6701964B1 (en) | Vortex generating airfoil fuel saver | |
KR20200058719A (ko) |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 |
JP2013204455A (ja) | 燃料噴射弁 | |
KR101198552B1 (ko) | 자동차 엔진의 연소효율 최적화장치 | |
CN111692024A (zh) | 量子内燃机活氧导流装置 | |
KR100757293B1 (ko) | 자동차 엔진의 출력증대장치 | |
US7464691B2 (en) | Mixing element for creating a vortex motion in an inlet manifol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101365892B1 (ko) | 차량용 흡기계통의 흡기효율향상 흡기 덕트 장치 | |
KR100245646B1 (ko) | 가솔린 엔진의 혼합기 와류 형성장치 | |
KR102529284B1 (ko) |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 | |
KR100515267B1 (ko) | 차량용 엔진의 출력 배가장치 | |
CN209942971U (zh) | 切割气体进入内燃机的导流装置 | |
RU12843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ижения токсичности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 |
CN111692023A (zh) | 可双向置入内燃机的导流装置 | |
KR200350212Y1 (ko) | 연료절약 강력 엔진 가속기 | |
JP2019183791A (ja) | 内燃機関の制御装置 | |
KR200263051Y1 (ko) | 내연기관 흡배기 회전장치용 날개 | |
KR20010025656A (ko) | 자동차 흡기의 고속와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