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31687A - 유축기용 클립 - Google Patents

유축기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687A
KR20220131687A KR1020210036664A KR20210036664A KR20220131687A KR 20220131687 A KR20220131687 A KR 20220131687A KR 1020210036664 A KR1020210036664 A KR 1020210036664A KR 20210036664 A KR20210036664 A KR 20210036664A KR 20220131687 A KR20220131687 A KR 20220131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breast pump
clip
breast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메디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메디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메디케어
Priority to KR102021003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1687A/ko
Publication of KR2022013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68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축기용 클립에 관한 발명으로서, 상방과 하방이 개방된 통 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를, 산모의 가슴에 부착시켜 모유를 유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축기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와, 한 쌍의 집게편으로 구성되고, 본체부와 한 쌍의 집게편 사이에서 모유 저장 용기의 입구부를 협지하여, 모유 저장 용기가 상기 본체부에 유지하도록 하는 1조의 집게부를 구비하고, 1조의 집게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집게편이 서로 대향 배치되도록, 본체부의 외주 표면 상에 상기 집게편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모가 간이한 방법으로 유축기와 저장 용기를 결합시킴으로써, 유축기에 의해 유축되는 모유를 직접 별도의 저장 용기에 직접 옮겨 담을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것과 함께 모유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축기용 클립{A CLIP FOR BREAST PUMP}
본 발명은 유축기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축기에 의해 유축된 모유를 간이한 방법에 의해 저장 용기로 곧바로 옮길 수 있도록 하는 유축기용 클립에 관한 발명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유축기는 산모가 외출 시 모유를 일시적으로 외부에 보관하거나, 또는 출산 직후 젖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에 젖을 짜서 모아두었다가 한번에 수유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다. 그런데, 유축기를 이용하여 유축된 모유는 유축된 시점으로부터 시간이 경과될수록 산화 부패되어 유아에게 수유하기 부적합한 상태로 변질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축기에 의해 유축된 모유를, 지퍼백 등과 같이 밀폐가 가능한 별도의 모유 저장팩에 옮겨 담음으로써, 모유가 공기와 접촉하여 산폐하는 것을 막아 안전하게 보관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3723호 (2007.11.29.)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941151호 (2019.01.23.)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와 같은 방식의 경우, 유축기에 의해 유축된 모유를 젖병에 수집하고, 수집된 모유를 젖병으로부터 다시 모유 저장팩으로 옮겨 담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모유 저장팩에 모유를 옮겨 담는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모유를 모유 저장팩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모유가 공기와 접하거나 오염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모유의 일부가 유실될 가능성도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특허문헌 2에도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유 저장팩의 경우, 통상 지퍼백과 같은 연질의 봉투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젖병에 수집된 모유를 모유 저장팩에 옮겨 닮을 때에, 모유 저장팩을 정위치에 세운 상태에서 작업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축기와 모유 저장 용기를 직접 결합시켜 유축기로부터 유축되는 모유가 곧바로 모유 저장 용기 내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산모가 유축 자세에서도 간편하게 유축기와 모유 저장 용기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유 유실을 방지하고 모유의 산폐를 방지할 수 있는 유축기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축기용 클립으로서, 상방과 하방이 개방된 통 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를, 산모의 가슴에 부착시켜 모유를 유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축기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와, 한 쌍의 집게편으로 구성되고, 본체부와 한 쌍의 집게편 사이에서 모유 저장 용기의 입구부를 협지하여, 모유 저장 용기가 상기 본체부에 유지하도록 하는 1조의 집게부를 구비하고, 1조의 집게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집게편이 서로 대향 배치되도록, 본체부의 외주 표면 상에 집게편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집게편은 각각, 집게편 본체, 집게편 본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 본체부의 외주 표면과의 사이에서, 개방된 상태의 모유 저장 용기의 입구부의 한쪽면을 협지하기 위한 걸림턱부; 가압부와 걸림턱부의 사이에서, 집게편 본체와 본체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집게편 본체가 탄성 복원되도록, 집게편 본체와 본체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밀착될 수 있도록, 집게편 본체의 외측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걸림턱부는, 본체부를 향해, 집게편 본체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부를, 모유 저장 용기의 입구부에 형성된 지퍼부와 맞물리도록 구성할 수 있어, 모유 저장 용기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축기용 클립에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는 본체부의 상방에 구비되고, 집게부는 결합부의 하방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집게부와 유축기 사이의 거리를 일정 이상 확보할 수 있어 유축기와 유축기용 클립이 일체화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집게부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체부는, 하방을 향할 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 상방의 본체 입구부보다 본체부 하방의 본체 출구부의 직경을 작게할 수 있어, 본체부 상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모유를 수집할 수 있게 하면서도, 모유 저장 용기의 입구부가 작은 경우에도 손쉽게 모유 저장 용기를 유축기용 클립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체부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결합부는, 본체부와 유축기가 나사식으로 결합되게 하는 나사산부 일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를 유축기와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간이하게 유축기용 클립을 유축기와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집게편의 집게편 본체는, 그 하부가 본체부의 외주 표면을 향해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집게편 본체를 포함한 유축기용 클립의 폭 방향 크기를 작게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손이 작은 산모라도 쉽게 유축기용 클립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체부는, 걸림턱부의 돌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본체부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턱부의 복수의 돌기부와 본체부의 복수의 돌기부 사이에서 모유 저장 용기의 입구부를 가압할 수 있어 모유 저장 용기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축기용 클립에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는 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산모는 본체부 내에서 모유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유축 상태 및 모유 수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립의 일단이 유축기와 결합되고, 타단이 모유 저장 용기와 결합되도록 하여, 유축기에 의해 유축된 모유가 직접 클립의 본체를 통해 모유 저장용기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어, 모유와 공기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유의 산폐를 막고, 모유의 수집 과정에서 모유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산모가 한 손으로 유축기가 결합된 클립을 벌린 후, 다른 손에 파지된 모유 저장 용기를 클립을 향해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유축기와 모유 저장 용기를 연결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축기용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축기용 클립이 전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축기용 클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축기용 클립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축기용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축기용 클립이 전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축기용 클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축기용 클립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축기용 클립(1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축기용 클립(10)은 본체부(100), 결합부(200) 및 집게부(300)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00)는, 상방에 본체 입구부(110)를 구비하고, 하방에 본체 출구부(120)를 구비하여, 상방과 하방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00)는, 산모의 가슴에 부착된 유축기(20)에 의해 유축된 모유가 모유 저장 용기(30)로 흘러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유축 상태나 모유의 수집 상태를 산모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00)는 유축기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젖병의 소재로도 사용되는 유리, PPSU, PP, PA 또는 PES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하방을 향할 수도록 외경이 감소하는 통 형상을 가져도 된다. 이 경우, 유축기(20)를 향하는 본체부(100)의 본체 입구부(110)보다, 모유 저장 용기(30) 내로 삽입되는 본체부(100)의 본체 출구부(120)의 직경을 더 작게할 수 있어 모유 저장 용기(30)의 입구부(31)가 작은 경우에도 모유 저장 용기(30)를 쉽게 본체부(100) 상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 출구부(120)의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써, 유축기(20)로부터 유축된 모유를 모유 저장 용기(30)로 전달할 때에, 모유 저장 용기(30)의 외부로 모유가 유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상방에는, 본체 입구부(1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결합부(200)가 구비된다. 결합부(200)는, 본체부(100)를 유축기(20)와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00)는 본체 입구부(110)의 형성과 대응되도록, 상방과 하방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원통 형상의 외주면에는 유축기(20)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결합부(200)의 형상은 일 예시에 불과하며, 결합부(200)는 유축기(20)의 대응 결합부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결합 양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결합부(200)는 유축기(20)의 걸어 맞춤 구멍과 걸어 맞춤되는 걸림턱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체부(100)의 외주면 상에는, 후술하는 1조의 집게부(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집게편(300a, 300b)의 힌지부(340)와 힌지 연결되도록, 한 쌍의 본체부측 지지 브래킷(14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200)의 하방에 있어서, 본체부(100)의 외주면 상에는, 한 쌍의 집게편(300a, 300b)가 1조로 구성되는 집게부(300)가 구비된다.
집게부(300)는, 본체부(100)의 외주면과, 각각의 집게편(300a, 300b) 사이에서 모유 저장 용기(30)의 용기 입구부(31)를 협지하여, 모유 저장 용기(30)가 본체부(100)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기 위한 구성이다.
1조의 집게부(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집게편(300a, 300b)은, 각각 본체부(1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0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집게편(300a, 300b)은, 집게편 본체(310), 걸림턱부(320), 가압부(330), 힌지부(340) 및 탄성 부재(3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편 본체(310)는 기본적으로는 장척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중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집게편 본체(310)는 본체부(100)와 동일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힘을 받는 부재이므로, 본체부(100) 보다 강성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편 본체(31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그 하부가 본체부(100)의 외주면을 향해 절곡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집게편 본체(310)가 편평한 형태를 가지는 것과 대비하여, 유축기용 클립(10)의 크기를 보다 컴팩트하게 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손이 작은 산모의 경우에도 한손으로 본체부(100)의 양쪽에 배치된 집게편 본체(310)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가압부(330)는, 집게편 본체(310)의 상부이고, 본체부(100)를 향하는 면과는 반대쪽 면상에 형성된다. 가압부(330)는, 유축기용 클립(10)을 모유 저장 용기(30)와 결합 시킬 때에, 산모의 손의 손가락에 의해 본체부(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모의 손가락 끝의 볼록한 형상과 대응되도록, 가압부(330)는 집게편 본체(310)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갖는 바람직하다. 가압부(330)가 상기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산모가 유축기용 클립(10)을 파지할 때 보다 손가락의 끝 부분과 가압부(330)가 밀착되도록 하여, 유축기용 클립(10)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힌지부(3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330)의 하방에 있어서, 집게편 본체(310)의 내측면으로부터 본체부(10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집게부 측 지지 브라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와 집게부(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집게편(300a, 300b)은, 본체부측 지지 브라켓(140) 및 집게부측 지지 브라켓(340)과, 양자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핀 형상의 힌지축(150)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탄성 부재(350)는 본체부(100)와, 집게부(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집게편(300a, 300b) 사이에 구비된다. 탄성 부재(350)는, 후술하는 집게부(300)의 걸림턱부(320)가 본체부(10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집게편 본체(310)가 회동하도록, 본체부(100) 및 집게부(300)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수단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350)는, 탄성 소재가 소정 지름을 갖도록 권취된 형태의 토션 스프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탄성 부재(350)의 일단은 본체부(100)의 외주면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집게부(300)의 집게편 본체(310)에 의해 지지되며, 힌지축(150)이 토션 스프링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걸림턱부(320)는 힌지부(340)의 하방에 구비되어, 탄성 부재(350)에 의해 집게편 본체(310)가 회동할 때에 본체부(10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개방된 상태의 모유 저장 용기(30)의 입구부(31)의 한쪽면을 협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바람직하게는, 걸림턱부(32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를 향해, 집게편 본체(310)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돌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유 저장 용기(30)가 지퍼백과 같이 입구부(31)에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지퍼(32)를 구비한 연질 봉투인 경우, 모유 저장 용기(30)의 돌출된 지퍼(32)가, 복수의 돌기부 사이에서 맞물리게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모유 저장 용기(30)를 본체부(100)에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부(320)와 대향하는 본체부(100)의 외주면에도 복수의 돌기부(130)를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에 형성된 돌기부(130)는, 걸림턱부(320)와 본체부(100)의 외주면이 맞닿을 때에, 걸림턱부(320)를 형성하는 돌기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모유 저장 용기(30)의 지퍼(32)의 돌출 부분이, 걸림턱부(320)를 형성하는 돌기부와, 본체부(100)에 형성된 돌기부(130)로 둘러쌓이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모유 저장 용기(30)를 본체부(100)에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축기용 클립을 이용하여 유축기(20)와 모유 저장 용기(30)를 결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축기용 클립(10)은 본체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200)가 유축기(20)의 하부와 나사 결합된 상태이다. 즉, 유축기용 클립(10)과 유축기(20)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유축기용 클립(10)과 모유 저장 용기(30)를 결합하게 된다.
이 때, 결합에 앞서, 산모는 연질 봉투 형태의 모유 저장 용기(30)의 입구부(31)를 양 손으로 벌려 모유 저장 용기(30)의 입구부(31)의 양면이 서로 벌어져 간극을 두고 떨어지도록 한다. 모유 저장 용기(30)의 입구부(31)에 지퍼(32)가 구비된 경우, 지퍼(32)를 개방하여 입구부(31)가 벌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산모는 한 쪽 손의 엄지와 검지가 각각 집게부(300)의 가압부(330)에 맞닿는 방식으로, 한 손으로 유축기(20)와 일체화된 유축기용 클립(30)을 파지한다. 그리고, 산모는 다른 한 손으로 모유 저장 용기(30)를 움켜쥔다.
다음으로, 산모는 유축기용 클립(30)을 파지한 손의 엄지와 검지에 힘을 주어 가압부(330)를 가압하여, 탄성 부재(350)의 탄성력에 반하도록 집게편 본체(310)를 회동시켜, 걸림턱부(320)가 본체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양손 또는 한쪽 손을 이용하여, 각각의 집게편 본체(310)의 걸림턱부(320)와 본체부(300)의 외주면이 이격하여 생긴 간극에, 모유 저장 용기(30)의 입구부(31)의 벌어진 면들이 각각 삽입되도록 유축기용 클립(10)과 모유 저장 용기(30)를 상대 이동시킨다.
그리고, 본체부(100)의 본체 출구부(120)가 모유 저장 용기(30) 내부의 일정 위치 이상 삽입되고 나서, 산모가 유축기용 클립(30)을 파지한 손의 엄지와 검지에 힘을 풀게 되면, 탄성 부재(350)에 의해 걸림턱부(320)가 원위치로 돌아가면서, 걸림턱부(320)와 본체부(100)의 외주면 사이에 모유 저장 용기(30)의 입구부(31)의 한쪽면이 양 쪽 집게부(300)에 의해 각각 협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산모가 양 손을 이용하여 극히 제한적인 동작만으로도 모유 저장 용기(30)를 유축기용 클립(10)이 일체화된 유축기(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산모가 유축 자세에 있는 경우에도 간이하게 모유 저장 용기(30)를 유축기용 클립(10)이 일체화된 유축기(20)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0: 유축기용 클립 20: 유축기
30: 모유 저장 용기 100: 본체부
110: 본체 입구부 120: 본체 출구부
130: 본체 돌기부 200: 결합부
210: 나사산부 300: 집게부
310: 집게편 본체 320: 걸림턱부
330: 가압부 340: 힌지부
350: 탄성부재

Claims (10)

  1. 유축기용 클립으로서,
    상방과 하방이 개방된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산모의 가슴에 부착시켜 모유를 유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축기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와,
    한 쌍의 집게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한 쌍의 집게편 사이에서 모유 저장 용기의 입구부를 협지하여, 상기 모유 저장 용기가 상기 본체부에 유지하도록 하는 1조의 집게부를 구비하고,
    상기 1조의 집게부를 구성하는 상기 한 쌍의 집게편이 서로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외주 표면 상에 상기 집게편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축기용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편은 각각,
    집게편 본체,
    상기 집게편 본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외주 표면과의 사이에서, 개방된 상태의 상기 모유 저장 용기의 상기 입구부의 한쪽면을 협지하기 위한 걸림턱부;
    상기 가압부와 상기 걸림턱부의 사이에서, 상기 집게편 본체와 상기 본체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집게편 본체가 탄성 복원되도록, 상기 집게편 본체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축기용 클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집게편 본체의 외측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유축기용 클립.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본체부를 향해, 상기 집게편 본체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기부로 구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모유 저장 용기의 입구부에 형성된 지퍼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상기 유축기용 클립.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집게부는 상기 결합부의 하방에 구비되는, 유축기용 클립.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하방을 향할 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통 형상을 갖는, 유축기용 클립.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유축기가 나사식으로 결합되게 하는 나사산부인, 유축기용 클립.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집게편의 상기 집게편 본체는, 그 하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외주 표면을 향해 절곡되도록 구성되는 유축기용 클립.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걸림턱부의 상기 돌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본체부의 상기 외주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유축기용 클립.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투명 재질로 구성되는, 유축기용 클립.
KR1020210036664A 2021-03-22 2021-03-22 유축기용 클립 Ceased KR20220131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664A KR20220131687A (ko) 2021-03-22 2021-03-22 유축기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664A KR20220131687A (ko) 2021-03-22 2021-03-22 유축기용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687A true KR20220131687A (ko) 2022-09-29

Family

ID=8346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664A Ceased KR20220131687A (ko) 2021-03-22 2021-03-22 유축기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168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723A (ko) 2006-05-26 2007-11-29 신재곤 유축기
KR101941151B1 (ko) 2018-02-12 2019-01-23 (주)시밀레 모유 저장팩용 멀티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723A (ko) 2006-05-26 2007-11-29 신재곤 유축기
KR101941151B1 (ko) 2018-02-12 2019-01-23 (주)시밀레 모유 저장팩용 멀티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0191A (en) Eyeglass holder and securing device
KR20120007846U (ko)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US3648701A (en) Forcep instrument for stripping the contents of flexible tubes
CN109622103A (zh) 一种稳定性高的检验科试管夹
JP2014054507A (ja) 衣類ハンガー
KR20220131687A (ko) 유축기용 클립
JP5828411B2 (ja) 孫の手
KR200461800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US20230149265A1 (en) Medicine applicator, medicine application kit, and pressing tool for medicine applicator
JP6798896B2 (ja) 搾乳器本体と母乳収容袋との接続構造
KR102264149B1 (ko) 마스크 목걸이줄
EP1584340B1 (fr) Appareil pour moucher les personnes
CN207898309U (zh) 一种中医取药工具
JP2018057529A (ja) コンタクトレンズ装着具
JP2021140080A (ja) コンタクトレンズ装着器具
CN215134869U (zh) 防脱落的输液辅助连接装置
CN215021248U (zh) 一种便携手持式弯盘
CN217066416U (zh) 一种心腔内超声导管外固定器
CN211417962U (zh) 一种带开口器的组合式骨袋
CN211122131U (zh) 取样装置
CN215023857U (zh) 一种输液器固定结构
RU2754296C2 (ru) Адаптер, используемый с молокоотсосом,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молокоотсоса и узел молокоотсоса
CN213569458U (zh) 一种安瓿瓶用指套
CN214751879U (zh) 一种手持式翻译机
CN214167321U (zh) 一种医用多功能开启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2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