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5135A -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콘텐츠가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콘텐츠가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5135A KR20220125135A KR1020210114473A KR20210114473A KR20220125135A KR 20220125135 A KR20220125135 A KR 20220125135A KR 1020210114473 A KR1020210114473 A KR 1020210114473A KR 20210114473 A KR20210114473 A KR 20210114473A KR 20220125135 A KR20220125135 A KR 202201251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activation
- electronic terminal
- identification number
- tok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26 mechanical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콘텐츠가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콘텐츠가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콘텐츠 | 보조 식별번호 | 식별 토큰 |
콘텐츠 1 | 1233 | 식별 토큰 1 |
콘텐츠 2 | 2344 | 식별 토큰 2 |
콘텐츠 3 | 3455 | 식별 토큰 3 |
111: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112: 정품인증 확인부
113: 정품인증 확인 메시지 전송부 114: 보조 식별번호 추출부
115: 연산 결과 확인부 116: 확인 처리부
117: 확인 이력 정보 생성부 118: 등록 요청부
11, 12, 13, 14: 복수의 노드 장치들
150: 사용자
160: 제1 전자 단말
170: 제2 전자 단말
Claims (12)
-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콘텐츠가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에 있어서,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사전 지정된 복수의 콘텐츠들 -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 각각에는, 각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n(n은 2이상의 자연수임) 자릿수의 주 식별번호와 k(k는 2이상의 자연수임) 자릿수의 보조 식별번호가 사전 할당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콘텐츠에 대한 주 식별번호와 보조 식별번호가 사전 설정된 토큰 생성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되어 산출된 출력 값인 식별 토큰이 사전 할당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 각각에는, 각 콘텐츠에 대한 주 식별번호 및 식별 토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2차원 코드가 사전 삽입되어 있음 - 각각에 대한 보조 식별번호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 각각에 대한 식별 토큰이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콘텐츠를 구매한 사용자가 제1 전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1 콘텐츠를 화면 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제2 전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콘텐츠에 삽입된 2차원 코드를 스캔하여 인식시킴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콘텐츠에 삽입된 2차원 코드로부터 추출된 제1 주 식별번호와 제1 식별 토큰이 수신되면서,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콘텐츠가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주 식별번호와 상기 제1 식별 토큰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콘텐츠가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정품인증 확인부; 및
상기 제1 콘텐츠가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콘텐츠가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임을 지시하는 정품인증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정품인증 확인 메시지 전송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생성 함수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에 사전 할당된 n 자릿수의 주 식별번호와 k 자릿수의 보조 식별번호가 입력으로 인가되면, 입력으로 인가된 n 자릿수의 주 식별번호를 구성하는 n개의 숫자들을 성분으로 갖는 행벡터와, 입력으로 인가된 k 자릿수의 보조 식별번호를 구성하는 k개의 숫자들을 성분으로 갖는 행벡터 간의 크로네커 곱(Kronecker Product)을 연산하여 1 x nk 크기의 연산 행렬을 생성하고, 상기 연산 행렬을 구성하는 nk개의 성분들로 구성되는 데이터열을 생성한 후, 상기 데이터열을 사전 설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산출된 해시 값을, 상기 어느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식별 토큰으로 산출하는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 확인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전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콘텐츠에 삽입된 2차원 코드를 스캔하여 인식시킴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콘텐츠에 삽입된 2차원 코드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1 주 식별번호와 상기 제1 식별 토큰이 수신되면서,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콘텐츠가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식별 토큰과 동일한 식별 토큰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보조 식별번호를 추출하는 보조 식별번호 추출부;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식별 토큰과 동일한 식별 토큰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보조 식별번호로, 제1 보조 식별번호가 추출되면, 상기 제2 전자 단말로 수신된 상기 제1 주 식별번호와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1 보조 식별번호를 상기 토큰 생성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였을 때 산출되는 연산 결과가,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식별 토큰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연산 결과 확인부; 및
상기 연산 결과가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식별 토큰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콘텐츠가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 것으로 확인하는 확인 처리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 확인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제1 콘텐츠가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콘텐츠가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임을 지시하는 정품인증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전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정품인증 확인 메시지를 사전 구축된 음성 합성 모델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음성 합성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정품인증 확인 메시지에 대한 합성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제2 전자 단말로 상기 정품인증 확인 메시지에 대한 합성 음성 데이터를 추가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 확인 메시지가 상기 제2 전자 단말로 전송되면,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전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품인증 확인 메시지가 상기 제2 전자 단말로 전송된 현재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시간 정보, 상기 제1 주 식별번호 및 상기 제1 보조 식별번호로 구성된 확인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확인 이력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확인 이력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확인 이력 정보가 포함된 트랜잭션을 생성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노드 장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상기 제1 노드 장치로, 상기 트랜잭션을 전송하면서, 상기 트랜잭션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등록 요청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노드 장치는
상기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로부터 상기 트랜잭션과 상기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노드 장치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된 이전 블록을 기초로, 상기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1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저장을 완료한 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상기 제1 노드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 장치들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 -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콘텐츠가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사전 지정된 복수의 콘텐츠들 -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 각각에는, 각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n(n은 2이상의 자연수임) 자릿수의 주 식별번호와 k(k는 2이상의 자연수임) 자릿수의 보조 식별번호가 사전 할당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콘텐츠에 대한 주 식별번호와 보조 식별번호가 사전 설정된 토큰 생성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되어 산출된 출력 값인 식별 토큰이 사전 할당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 각각에는, 각 콘텐츠에 대한 주 식별번호 및 식별 토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2차원 코드가 사전 삽입되어 있음 - 각각에 대한 보조 식별번호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 각각에 대한 식별 토큰이 서로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콘텐츠를 구매한 사용자가 제1 전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1 콘텐츠를 화면 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제2 전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콘텐츠에 삽입된 2차원 코드를 스캔하여 인식시킴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콘텐츠에 삽입된 2차원 코드로부터 추출된 제1 주 식별번호와 제1 식별 토큰이 수신되면서,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콘텐츠가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주 식별번호와 상기 제1 식별 토큰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콘텐츠가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콘텐츠가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콘텐츠가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임을 지시하는 정품인증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의 동작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생성 함수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에 사전 할당된 n 자릿수의 주 식별번호와 k 자릿수의 보조 식별번호가 입력으로 인가되면, 입력으로 인가된 n 자릿수의 주 식별번호를 구성하는 n개의 숫자들을 성분으로 갖는 행벡터와, 입력으로 인가된 k 자릿수의 보조 식별번호를 구성하는 k개의 숫자들을 성분으로 갖는 행벡터 간의 크로네커 곱(Kronecker Product)을 연산하여 1 x nk 크기의 연산 행렬을 생성하고, 상기 연산 행렬을 구성하는 nk개의 성분들로 구성되는 데이터열을 생성한 후, 상기 데이터열을 사전 설정된 해시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산출된 해시 값을, 상기 어느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식별 토큰으로 산출하는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의 동작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전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콘텐츠에 삽입된 2차원 코드를 스캔하여 인식시킴에 따라,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콘텐츠에 삽입된 2차원 코드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1 주 식별번호와 상기 제1 식별 토큰이 수신되면서,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콘텐츠가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식별 토큰과 동일한 식별 토큰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보조 식별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식별 토큰과 동일한 식별 토큰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보조 식별번호로, 제1 보조 식별번호가 추출되면, 상기 제2 전자 단말로 수신된 상기 제1 주 식별번호와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1 보조 식별번호를 상기 토큰 생성 함수에 입력으로 인가하였을 때 산출되는 연산 결과가,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식별 토큰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 결과가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식별 토큰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콘텐츠가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의 동작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콘텐츠가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콘텐츠가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임을 지시하는 정품인증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전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정품인증 확인 메시지를 사전 구축된 음성 합성 모델에 입력으로 인가하여 음성 합성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정품인증 확인 메시지에 대한 합성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제2 전자 단말로 상기 정품인증 확인 메시지에 대한 합성 음성 데이터를 추가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의 동작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 확인 메시지가 상기 제2 전자 단말로 전송되면, 상기 제2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전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품인증 확인 메시지가 상기 제2 전자 단말로 전송된 현재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시간 정보, 상기 제1 주 식별번호 및 상기 제1 보조 식별번호로 구성된 확인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이력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확인 이력 정보가 포함된 트랜잭션을 생성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노드 장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상기 제1 노드 장치로, 상기 트랜잭션을 전송하면서, 상기 트랜잭션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노드 장치는
상기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로부터 상기 트랜잭션과 상기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노드 장치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된 이전 블록을 기초로, 상기 트랜잭션이 포함된 제1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체인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저장을 완료한 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블록을, 상기 복수의 노드 장치들 중 상기 제1 노드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 장치들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의 동작 방법. -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8768 | 2021-03-04 | ||
KR20210028768 | 2021-03-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5135A true KR20220125135A (ko) | 2022-09-14 |
KR102559485B1 KR102559485B1 (ko) | 2023-07-25 |
Family
ID=8327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4473A Active KR102559485B1 (ko) | 2021-03-04 | 2021-08-30 |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콘텐츠가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948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6325B1 (ko) * | 2019-06-07 | 2020-05-28 | 허지미 | 블록체인 기반 정품 및 거래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KR20200092194A (ko) * | 2019-01-24 | 2020-08-03 | 주식회사 하나은행 | 블록체인을 이용한 상품 위변조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KR102155855B1 (ko) * | 2020-02-24 | 2020-09-15 | 홍주표 |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
KR20200126313A (ko) * | 2019-04-29 | 2020-11-06 | 박제규 | 조회 이력 통지에 의하여 인증 기능이 강화된 문서 인증 방법 및 문서 인증 시스템 |
-
2021
- 2021-08-30 KR KR1020210114473A patent/KR10255948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2194A (ko) * | 2019-01-24 | 2020-08-03 | 주식회사 하나은행 | 블록체인을 이용한 상품 위변조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KR20200126313A (ko) * | 2019-04-29 | 2020-11-06 | 박제규 | 조회 이력 통지에 의하여 인증 기능이 강화된 문서 인증 방법 및 문서 인증 시스템 |
KR102116325B1 (ko) * | 2019-06-07 | 2020-05-28 | 허지미 | 블록체인 기반 정품 및 거래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KR102155855B1 (ko) * | 2020-02-24 | 2020-09-15 | 홍주표 |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59485B1 (ko) | 2023-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141887B2 (en) | Image synthesis device and method for embedding watermark | |
KR20220125130A (ko) | 2차원 코드를 활용하여 당사자 간의 전자 계약을 처리하는 전자 계약 처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US20150067798A1 (en) | Selective complex data entry from one time passwords for authentication | |
KR102479477B1 (ko) | 실물 상품에 인쇄된 2차원 코드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실물 상품에 매칭되는 아이템을 메타버스 환경 상에 제공할 수 있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운영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319663B1 (ko) | 귀금속 상품에 삽입된 2차원 코드와의 연동을 통해 콘텐츠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559485B1 (ko) |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콘텐츠가 저작권에 대한 정품인증이 완료된 콘텐츠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콘텐츠 정품인증 확인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CN110197245B (zh) | 一种双码制二维码及其跨平台交互方法 | |
KR102565114B1 (ko) |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의약품이 정품인증을 받은 의약품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의약품 정품인증 확인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508523B1 (ko) |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실물 상품에 매칭되는 아이템을 메타버스 환경 상에 제공할 수 있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메타버스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363064B1 (ko) |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귀금속 상품에 대한 정품 인증을 수행하는 귀금속 상품 정품 인증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805759B1 (ko) | 블록 완구로 조립한 건축물에 대한 3d 모델링을 제공할 수 있는 3d 모델링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802915B1 (ko) | 공공기관에서 발급된 정식 공문서임을 증명하기 위한 2차원 코드가 삽입된 공문서용 전자 문서를 제공할 수 있는 문서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30078119A (ko) | Nft의 대상이 되는 원본 콘텐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관리할 수 있는 nft 관리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361231B1 (ko) |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마스크에 대한 정품 인증을 수행하는 마스크 정품 인증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622454B1 (ko) |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농산물이 친환경 인증을 받은 농산물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농산물 친환경 인증 확인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636312B1 (ko) |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지역 특화상품이 정품인증을 받은 지역 특화상품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지역 특화상품 확인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602214B1 (ko) |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신용카드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2채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535682B1 (ko) |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웹 사이트가 정상 웹 사이트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웹 사이트 확인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781394B1 (ko) | 서명이 진본임을 검증하기 위한 검증용 서명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검증용 서명 이미지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440901B1 (ko) | 실시간 영상에 콘텐츠 데이터의 조회에 사용되는 2차원 코드를 삽입할 수 있는 라이브 스트리밍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650176B1 (ko) | 2차원 코드가 인쇄된 결제용 플라스틱 카드를 이용한 대금 결제 처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카드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809674B1 (ko) | 입력 필드의 셀 서식 정보를 기초로, 전자 문서에 대한 위변조 방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문서 폼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574299B1 (ko) | 2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자격증에 대한 진위여부 검증을 수행하는 자격증 검증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602202B1 (ko) | 상품에 인쇄되어 있는 2차원 코드의 인식을 통해 증강 현실을 기반으로 상품에 대한 정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602213B1 (ko) | 2차원 코드 인식과 생체 정보 인증을 기반으로 상품에 대한 정품 인증 및 부가 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