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297A - 사용자 단말을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을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8297A KR20220118297A KR1020217035762A KR20217035762A KR20220118297A KR 20220118297 A KR20220118297 A KR 20220118297A KR 1020217035762 A KR1020217035762 A KR 1020217035762A KR 20217035762 A KR20217035762 A KR 20217035762A KR 20220118297 A KR20220118297 A KR 202201182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charging
- charging device
- case
- repeater
- user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5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01F27/36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made of ferromagnet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5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02J50/5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the energy repeater being integrated together with the emitter or the receiv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및 수직 회동 가능한 리피터를 통해 송신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을 변화시키고, 리피터와 평행하게 사용자 단말을 거치함으로써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평판 코어, 상기 평판 코어 상에서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의 송신 코일, 내부에 리피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단말 거치대 및 상기 단말 거치대를 상기 송신 코일의 배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평 및 수직 회동 가능한 리피터를 통해 송신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을 변화시키고, 리피터와 평행하게 사용자 단말을 거치함으로써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을 충전하는 기술이 상용화되고 있다.
무선 충전 방식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이 충전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이 무선 충전 장치에 거치됨으로써 무선 충전 장치 내 송신 코일과 사용자 단말 내 수신 코일이 자기 결합(magnetic coupling)되면 무선 충전 장치는 송신 코일에 전류를 인가한다.
송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송신 코일에서는 자기장이 발생하고, 송신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수신 코일에 전류를 유도한다. 수신 코일에 유도된 전류는 사용자 단말 내 배터리로 공급됨으로써 사용자 단말은 충전된다.
전술한 무선 충전 방식에서 전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송신 코일에서 발생하여 수신 코일에 쇄교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커야하고, 이를 위해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은 평행하게 대향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사용자 단말은 무선 충전 장치의 상부에 항상 평평하게 거치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거치 형태에서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시청하면서 사용자 단말을 충전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무선 충전 장치의 상부에 평평하게 거치해야 하는데, 이 경우 화면의 출력 방향은 위 방향이 되어 사용자가 무선 충전 장치의 전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시청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거치 형태와 관계 없이 사용자 단말을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송신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을 전환하는 리피터 상에 사용자 단말을 거치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된 사용자 단말을 수직 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수평 방향으로 회동 및 이동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이 경사지게 거치됨으로 인해 사용자 단말 내 수신 코일에 제공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송신 코일과 평행한 케이스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단말 거치대 내부에 리피터를 포함시킴으로써, 송신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을 전환하는 리피터 상에 사용자 단말을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상면에 대해 일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케이스의 상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동 및 이동할 수 있는 단말 거치대를 포함함으로써, 거치된 사용자 단말을 수직 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수평 방향으로 회동 및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상면에 투영된 리피터의 투영 영역이 항상 송신 코일이 형성하는 영역보다 넓도록 리피터를 형성 및 배치함으로써, 사용자 단말 내 수신 코일에 제공되는 자기장의 세기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송신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을 전환하는 리피터 상에 사용자 단말을 거치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거치 형태에 관계 없이 사용자 단말 내 수신 코일이 배치된 방향으로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을 이격시킴으로써 무선 충전에 의한 발열량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된 사용자 단말을 수직 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수평 방향으로 회동 및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 단말을 무선으로 충전하고 있는 동안에도 사용자가 다양한 위치에서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이 경사지게 거치됨으로 인해 사용자 단말 내 수신 코일에 제공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거치 형태에 관계 없이 사용자 단말에 언제나 최대 효율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사용자 단말이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충전 장치의 구성요소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모듈의 분해도.
도 5 및 도 6은 이동 부재과 전력 송신 모듈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의 분해도.
도 8 및 도 9는 단말 거치대와 이동 부재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단말 거치대와의 결합을 위한 이동 부재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이동 부재와의 결합 및 사용자 단말의 거치를 위한 단말 거치대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단말 거치대를 구성하는 회전판과 거치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각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전력 송신 모듈의 케이스 상면에 투영되는 리피터의 넓이를 단말 거치대의 각도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충전 장치의 구성요소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모듈의 분해도.
도 5 및 도 6은 이동 부재과 전력 송신 모듈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의 분해도.
도 8 및 도 9는 단말 거치대와 이동 부재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단말 거치대와의 결합을 위한 이동 부재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이동 부재와의 결합 및 사용자 단말의 거치를 위한 단말 거치대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단말 거치대를 구성하는 회전판과 거치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각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전력 송신 모듈의 케이스 상면에 투영되는 리피터의 넓이를 단말 거치대의 각도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수평 및 수직 회동 가능한 리피터를 통해 송신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을 변화시키고, 리피터와 평행하게 사용자 단말을 거치함으로써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사용자 단말이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충전 장치의 구성요소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이동 부재와 전력 송신 모듈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의 분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단말 거치대와 이동 부재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단말 거치대와의 결합을 위한 이동 부재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이동 부재와의 결합 및 사용자 단말의 거치를 위한 단말 거치대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단말 거치대를 구성하는 회전판과 거치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각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전력 송신 모듈의 케이스 상면에 투영되는 리피터의 넓이를 단말 거치대의 각도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는 사용자 단말(2)을 거치할 수 있고, 거치된 사용자 단말(2)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을 충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충전 장치(1)는 휴대용 장치로 구현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사용자 단말(2)을 충전시킬 수도 있고, 다른 장치들과 구조적으로 결합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2)을 충전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무선 충전 장치(1)는 차량 내부, 구체적으로는 대시보드(dashboard)에 매립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무선 충전 장치(1)에 사용자 단말(2)을 거치하면, 거치된 사용자 단말(2)을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는 기본적으로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2)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장치(1)와 이에 거치된 사용자 단말(2)이 정렬(aligned)된 경우, 무선 충전 장치(1)는 사용자 단말(2)과 자기 결합(magnetic coupling)되어 사용자 단말(2)에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충전 장치(1)는 그 내부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1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선 충전 장치(1)는 내부에 구비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140)을 통해 사용자 단말(2)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의 전력 송신 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2)이 무선 충전 장치(1)에 거치되면, 사용자 단말(2) 내 수신 코일과 무선 충전 장치(1) 내 송신 코일(140)은 자기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무선 충전 장치(1)는 송신 코일(14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고, 송신 코일(140)에서는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송신 코일(140)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수신 코일에 전달되어 수신 코일에 전류를 유도할 수 있고, 수신 코일에 유도된 전류는 사용자 단말(2) 내 배터리로 공급됨으로써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무선 충전 동작을 위해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1)는 크게 전력 송신 모듈(100), 이동 부재(200) 및 단말 거치대(3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무선 충전 장치(1)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력 송신 모듈(10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송신 모듈(100)은 케이스(110)와, 그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120), 기판(120) 상에 배치되는 평판 코어(130), 평판 코어(130) 상에서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의 송신 코일(140)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탑 케이스(110t)와 바텀 케이스(110b)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탑 케이스(110t)와 바텀 케이스(110b)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을 기밀할 수 있다.
기판(120)에는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송신 코일(140)에 전류를 인가하는 제어 회로가 탑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 회로는 PCB(Printed Circuit Board), IC(Integrated Circui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평판 코어(130)는 높은 투자율을 가지며 쉽게 깨지지 않는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판 코어(130)는 코발트(Co), 철(Fe), 니켈(Ni), 붕소(B), 규소(Si) 등의 비 정질 금속 재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시트 또는 박막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평판 코어(130)는 페라이트(ferrite) 코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평판 코어(130)는 송신 코일(14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의 자속 밀도를 높이고 자기장의 자로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송신 코일(140)은 평판 코어(130)의 상부에서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평판형 코일로서,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송신 코일(140)은 평판 코어(130)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서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송신 코일(140)은 동일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송신 코일(140)은 각 송신 코일(140)의 중심간의 거리(d1)가 동일하도록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서 복수의 송신 코일(140)은 평판 코어(130) 상에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코일(140a)과, 복수의 제1 코일(140a)과 일부 중첩되도록 복수의 제1 코일(140a)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코일(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140a)과 제2 코일(140b)의 개수는 제한하지 않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송신 코일(140)이 두 개의 제1 코일(140a)과 단일의 제2 코일(140b)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1 코일(140a)은 평판 코어(130)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서 평판 코어(130) 상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단일의 제2 코일(140b)은 두 개의 제1 코일(140a)의 일부와 모두 중첩되도록 두 개의 제1 코일(140a) 상에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코일(140a) 및 제2 코일(140b) 각각은 동일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코일(140a)과 제2 코일(140b)은 각 코일의 중심간의 거리(d2)가 동일하도록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각 송신 코일(140)의 양 단부에는 전술한 제어 회로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단자가 구비될 수 있고, 제어 회로는 송신 코일(140)에 구비된 단자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1)에 사용자 단말(2)이 거치된 경우, 제어 회로는 복수의 송신 코일(140) 중, 수신 코일과 자기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140)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 코일(140)에서는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고, 송신 코일(140)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사용자 단말(2) 내 수신 코일에 전류를 유도할 수 있다. 수신 코일에 유도된 전류는 사용자 단말(2)의 내부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이동 부재(200)의 기능 및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동 부재(200)는 전술한 전력 송신 모듈(100)과 결합되어 후술하는 단말 거치대(300)를, 송신 코일(140)의 배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송신 코일(140)은 특정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단말 거치대(300)와 결합된 이동 부재(200)는, 전력 송신 모듈(100) 상에서 이동함으로써 단말 거치대(300)를 송신 코일(140)이 배열된 방향(이하, 배열 방향(arrangement direction))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200)가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이동했는지에 관계 없이 단말 거치대(300)의 위치는 항상 송신 코일(140)이 배열된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 거치대(300)는 항상 임의의 송신 코일(14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단말 거치대(300)를 송신 코일(140)의 배열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 부재(200)는 전력 송신 모듈(100)의 케이스(1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송신 코일(140)의 배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부재(200)는 케이스(110)의 상면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케이스(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송신 코일(140)의 배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200)는 송신 코일(140)이 배열된 직선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1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부재(200)와 케이스(110)의 상면은 다양한 체결 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송신 코일(140)의 배열 방향에 따라 레일(rail)이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이동 부재(200)는 해당 레일과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송신 코일(140)의 배열 방향에 따라 형성된 홈이 구비될 수 있고, 이동 부재(200)는 해당 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송신 코일(140)이 배열된 직선상에서, 송신 코일(140)의 배열 방향에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11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홈(111)은 케이스(110)의 상면에서 함몰 형성됨으로써 케이스(110)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이동 부재(200)는 슬라이딩 홈(111)에 결합되어 송신 코일(140)의 배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200)는 평판형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동 부재(200)의 양 측단은 케이스(110) 상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111)의 만곡된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부재(200)의 양 측단이 슬라이딩 홈(111)에 끼워짐으로써 이동 부재(200)는 슬라이딩 홈(111)에 결합될 수 있고, 송신 코일(140)의 배열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딩 홈(1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 거치대(300)의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 거치대(300)는 전력 송신 모듈(100)의 케이스(1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고, 케이스(110)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을 거치할 수 있다.
한편, 전력 송신 효율성이 증가되기 위해서는 송신 코일(140)에서 발생하여 수신 코일에 쇄교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커야하고, 이를 위해 송신 코일(140)과 수신 코일은 평행하게 대향 배치되어야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 거치대(300)가 케이스(110)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2)이 이러한 단말 거치대(300)에 평행하게 거치되는 경우, 전력 송신 모듈(100) 내 송신 코일(140)과 사용자 단말(2) 내 수신 코일은 평행하게 대향 배치되지 못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송신 코일(140)에서 발생하여 수신 코일에 쇄교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지므로 전력 송신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단말 거치대(300)는 송신 코일(14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을 수신 코일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리피터(repeater, 31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 거치대(300)는 사용자 단말(2)이 거치되었을 때 사용자 단말(2) 내 수신 코일과 평행하게 대향 배치되는 리피터(31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코일(140)에서 위쪽으로 발생한 자기장은 리피터(310)에 쇄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피터(310)에는 전류가 유도될 수 있다. 리피터(310)에 유도된 전류는 리피터(310)에 수직인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송신 코일(140)에서 위쪽으로 발생한 자기장은 리피터(310)를 통과함에 따라 리피터(310)에 수직인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때, 리피터(310)와 수신 코일이 대향 배치되므로 수신 코일에는 많은 양의 자기장이 쇄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력 송신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신 코일(140)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을 전환하는 리피터(310) 상에 사용자 단말(2)을 거치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의 거치 형태에 관계 없이 사용자 단말(2) 내 수신 코일이 배치된 방향으로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신 코일(140)과 수신 코일을 이격시킴으로써 무선 충전에 의한 발열량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단말 거치대(300)의 구조와 단말 거치대(300)와 이동 부재(200) 간의 연결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 거치대(300)는 리피터(310) 외에도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이동 부재(200)와 결합되는 회전판(320), 회전판(320)에 결합되는 거치판(330) 및 단말 거치대(300)의 외부 케이스로서 사용자 단말(2)과 직접 접하는 단말 거치 케이스(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말 거치대(300)는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이동 부재(20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 거치대(300)의 회전판(320)은 이동 부재(200)에 결합될 수 있고, 고정된 이동 부재(200)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단말 거치대(300)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 거치대(300)가 이동 부재(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해, 이동 부재(200)에는 원형의 함몰부(210)가 형성될 수 있고, 단말 거치대(300)의 회전판(320)은 함몰부(210)에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함몰부(210)는 하방으로 함몰된 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단말 거치대(300)의 회전판(320)은 함몰부(210)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판 형상을 가짐으로써 함몰부(210)에 삽입될 수 있다.
단말 거치대(300)의 회전판(320)은 함몰부(210)에 삽입되어 회동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판(320)은 함몰부(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판(320)에 결합된 리피터(310), 거치판(330) 및 단말 거치 케이스(340) 또한 회전판(3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거치대(300)와 이동 부재(200)가 결합되는 경우, 이동 부재(200)에 형성된 함몰부(210)의 내측 원주면에는 원주 방향에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의 회동 홈(2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단말 거치대(300)는 복수의 회동 홈(220)에 결합되어 단위 각도만큼 수평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함몰부(210)의 내측 원주면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의 회동 홈(2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회동 홈(220)의 중심각(θ1)은 단위 각도로 모두 동일할 수 있다.
회전판(320)이 함몰부(210)에 삽입되면, 회전판(320)은 함몰부(210)의 내측 원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회동 홈(2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판(320)은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회전판(320)은 그 외측 원주면에 구비된 임의의 결합 부재를 통해 함몰부(210)의 내측 원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회동 홈(22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회동 홈(220)에 결합된 회전판(320)은 각 회동 홈(220)에 결합된 결합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나, 외력(예컨대, 사용자가 인가하는 회전력)에 의해 각 회동 홈(220)이 형성하는 중심각(단위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동 홈에 결합된 결합 부재는 그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나, 사용자가 회전판(320)을 회전시키는 경우 해당 결합 부재는 단위 각도만큼 회전하여 제1 회동 홈에 인접한 제2 회동 홈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판(320)은, 복수의 회동 홈(220)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회동 돌기(321)를 결합 부재로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형의 회전판(320)은 외측 원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동 돌기(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회전판(320)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동 돌기(321)는 이동 부재(200)의 함몰부(210)에 형성된 복수의 회동 홈(2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회동 돌기(321)의 중심각 또한 단위 각도로 모두 동일할 수 있다.
회동 돌기(321)는 탄성을 가진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판(320)이 함몰부(210)에 끼워지게 되면 각 회동 돌기(321)는 회동 홈(220)에 완전히 결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회전판(320)에 회전력을 가하는 경우, 각 회동 돌기(321)는 단위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복수의 회동 홈(220)에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단말 거치대(300)를 회전시킬 때, 사용자에게 딸깍거리는 느낌을 주어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거치판(330)은 회전판(32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회전판(320)에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부재(200)은 전력 송신 모듈(100)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회전판(320) 또한 이동 부재(200)에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단말 거치대(300)가 케이스(110)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20)에 결합된 거치판(330)은 회전판(32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치판(330)의 일 측단은 힌지 축을 통해 회전판(320)과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판(330)은 이동 부재(200)에 고정된 회전판(32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회전판(320)이 케이스(110)의 상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회전판(320)과 거치판(330)이 형성하는 각도(θ2)는, 단말 거치대(300)에 거치된 사용자 단말(2)이 케이스(110)의 상면에 대해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거치판(330)은 회전판(320)에 대해 일정 범위 내에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거치판(330)은 회전판(320)에 대해 최대각도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치판(330)과 회전판(320)을 연결하는 힌지 축에는 각도를 제한하는 임의의 부재가 다양한 형상으로 부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대각도를 제한하는 것은 리피터(310)를 통해 전력을 송신할 때 높은 전력 송신 효율을 담보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회전판(320)은 거치판(330)의 배면에 함몰 형성된 수납 홈(331)에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치판(330)의 전면에는 단말 거치 케이스(340)가 결합될 수 있고, 거치판(330)의 배면에는 회전판(320)의 형상에 대응되는 수납 홈(33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320)에 대해 거치판(330)이 회동함에 따라 거치판(330)과 회전판(320) 사이의 각도(θ2)가 0도가 되면, 회전판(320)은 거치판(330)의 배면에 형성된 수납 홈(33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판(330)은 케이스(11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2)을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무선 충전 장치와 같이 사용자 단말(2)을 평평하게 거치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사용예에서, 단말 거치대(300)는 송신 코일(140)의 배열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z축 방향)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단말 거치대(300)는 이동 부재(200)를 통해 송신 코일(140)의 배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거치대(300)의 전방(+x축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에서 출력되는 화면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 단말(2)은 단말 거치대(300)의 위치(x축 위치)에 따라 복수의 송신 코일(140) 중 어느 한 송신 코일(14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충전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사용예에서, 단말 거치대(300)는 송신 코일(140)의 배열 방향에 수평적으로 수직인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z축 방향)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단말 거치대(300)는 이동 부재(200)를 통해 송신 코일(140)의 배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거치대(300)의 측방(+y축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에서 출력되는 화면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 단말(2)은 단말 거치대(300)의 위치(x축 위치)에 따라 복수의 송신 코일(140) 중 어느 한 송신 코일(14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충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치된 사용자 단말(2)을 수직 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수평 방향으로 회동 및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 단말(2)을 무선으로 충전하고 있는 동안에도 사용자가 다양한 위치에서 사용자 단말(2)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피터(310)는 송신 코일(14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수신 코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수신 코일에 제공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송신 코일(140)에서 발생하여 리피터(310)에 쇄교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커야한다.
리피터(310)에 쇄교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리피터(310)를 케이스(110)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투영하였을 때 케이스(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리피터 투영 영역(R1)의 넓이는 각 송신 코일(140)이 형성하는 영역(R2)보다 넓을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거치판(330)과 회전판(320)이 형성하는 각도가 0도일 때, 즉 단말 거치대(300)가 전력 송신 모듈(100)의 케이스(110)와 평행하게 배치될 때, 리피터 투영 영역(R1)은 실제 리피터(310)가 형성하는 영역과 동일할 수 있고, 그 넓이가 최대일 수 있다. 이 때, 리피터 투영 영역(R1)은 복수의 송신 코일(140) 중 임의의 송신 코일(140)이 형성하는 영역(R2)보다 넓을 수 있다.
한편, 도 16을 참조하면, 거치판(330)과 회전판(320)이 형성하는 각도가 최대일 때, 즉 단말 거치대(300)가 전력 송신 모듈(100)의 케이스(110)의 상면에 대해 최대 경사를 형성할 때, 리피터 투영 영역(R1)은 그 넓이가 최소일 수 있다. 이 때, 리피터 투영 영역(R1)은 복수의 송신 코일(140) 중 임의의 송신 코일(140)이 형성하는 영역(R2)보다 넓을 수 있다.
즉, 리피터 투영 영역(R1)은 단말 거치대(300)가 케이스(110)의 상면에 대해 얼마만큼의 각도를 형성하는지에 관계 없이, 항상 송신 코일(140)이 형성하는 영역보다 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의의 송신 코일(140)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대부분이 리피터(310)에 쇄교할 수 있고, 리피터(310)는 높은 효율로 수신 코일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2)이 경사지게 거치됨으로 인해 사용자 단말(2) 내 수신 코일에 제공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감소하는 것을, 리피터(310)의 형상 및 배치를 통해 방지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의 거치 형태에 관계 없이 사용자 단말(2)에 언제나 최대 효율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3)
-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평판 코어;
상기 평판 코어 상에서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의 송신 코일;
내부에 리피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단말 거치대; 및
상기 단말 거치대를 상기 송신 코일의 배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은
상기 평판 코어 상에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코일과,
상기 제1 코일과 일부 중첩되도록 상기 제1 코일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은 동일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송신 코일의 배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송신 코일의 배열 방향에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결합되어 상기 송신 코일의 배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거치대는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부재에 결합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에는 원형의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말 거치대는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동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내측 원주면에는 원주 방향에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의 회동 홈이 구비되고,
상기 단말 거치대는 상기 복수의 회동 홈에 결합되어 단위 각도만큼 수평 방향으로 회동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거치대는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부재에 결합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는 거치판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8항 및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복수의 회동 홈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회동 돌기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거치판의 배면에 형성된 수납 홈에 삽입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피터를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투영하였을 때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는 리피터 투영 영역의 넓이는 각 송신 코일이 형성하는 영역보다 넓은
무선 충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거치대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대해 최대 경사를 형성할 때, 상기 리피터를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투영하였을 때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는 리피터 투영 영역의 넓이는 각 송신 코일이 형성하는 영역보다 넓은
무선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9/018736 WO2021137311A1 (ko) | 2019-12-30 | 2019-12-30 | 사용자 단말을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8297A true KR20220118297A (ko) | 2022-08-25 |
Family
ID=7668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35762A Ceased KR20220118297A (ko) | 2019-12-30 | 2019-12-30 | 사용자 단말을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032749A1 (ko) |
KR (1) | KR20220118297A (ko) |
DE (1) | DE112019008014T5 (ko) |
WO (1) | WO202113731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0782U (ko) * | 2022-11-01 | 2024-05-08 | 주식회사 워로브라더스 | 핑거훅이 구비된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447863B2 (ja) * | 2021-04-26 | 2024-03-12 | 株式会社デンソー | 非接触給電用のコイルアッセンブリーおよび給電システム |
CN113644722B (zh) * | 2021-10-14 | 2021-12-07 | 商客通尚景科技江苏有限公司 | 一种用于电子产品的保护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441Y1 (ko) * | 2011-07-06 | 2013-06-14 | 성부현 |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
WO2013138500A1 (en) * | 2012-03-14 | 2013-09-19 | Popsockets Llc | Docking connector platfor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
KR20150115256A (ko) * | 2014-04-03 | 2015-10-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용 충전장치 |
WO2017052623A1 (en) * | 2015-09-25 | 2017-03-30 | Intel Corporation | Wireless charging stand |
KR102661490B1 (ko) * | 2016-12-23 | 2024-04-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충전 장치 |
KR102381711B1 (ko) * | 2017-03-22 | 2022-03-31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거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이동통신 디바이스 거치대 |
KR101944856B1 (ko) * | 2017-09-13 | 2019-02-07 | 경문건 | 슬라이드 베어링 방식을 이용한 무선충전용 x-y 가이드 |
-
2019
- 2019-12-30 US US17/790,266 patent/US20230032749A1/en active Pending
- 2019-12-30 WO PCT/KR2019/018736 patent/WO202113731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12-30 KR KR1020217035762A patent/KR20220118297A/ko not_active Ceased
- 2019-12-30 DE DE112019008014.8T patent/DE112019008014T5/de active Pend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0782U (ko) * | 2022-11-01 | 2024-05-08 | 주식회사 워로브라더스 | 핑거훅이 구비된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 |
KR20240000783U (ko) * | 2022-11-01 | 2024-05-08 | 주식회사 워로브라더스 | 사용자 단말이 안치되도록 설계된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30032749A1 (en) | 2023-02-02 |
DE112019008014T5 (de) | 2022-10-27 |
WO2021137311A1 (ko) | 2021-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118297A (ko) | 사용자 단말을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 |
JP6903179B2 (ja) | 誘導相互接続システム用のアタッチメントデバイス | |
US8288899B2 (en)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
CN106067719B (zh) | 发电开关 | |
JP5365748B2 (ja) | 携帯型電子デバイス用の再充電または接続トレイ | |
US8829731B2 (en) | Magnetic positioning for inductive coupling | |
KR101734564B1 (ko) | 코일의 위치 정렬이 가능한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 | |
CN205960733U (zh) | 一种无线充电装置 | |
US8803373B2 (en) | Linear vibration motor | |
US9515540B2 (en) | Linear vibrator | |
CN112234664A (zh) | 一种充电装置 | |
CN105449766B (zh) | 无线充电设备 | |
CN106655695B (zh) | 一种线性振动马达 | |
JPWO2019073767A1 (ja) | 発電装置、及び入力装置 | |
US20150069961A1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 |
KR20220118298A (ko) | 사용자 단말을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 |
KR102300573B1 (ko) | 틸트 기능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동시에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 | |
CN203632323U (zh) | 一种非接触电能传输智能手机充电支架 | |
CN112615439B (zh) | 无线充电底座、定位套、装置、系统及电子设备 | |
KR20180072516A (ko) | 무선 충전 송신모듈 | |
JP2010029037A (ja) | リニアモータおよびリニアモータを備える携帯機器 | |
KR20180032349A (ko) | 코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 |
KR20190006427A (ko) | 무선 충전 송신모듈 | |
KR101671244B1 (ko) | 스마트폰 충전이 가능 스마트폰 케이스 | |
KR102690494B1 (ko) | 노트북용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1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505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