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32349A - 코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349A
KR20180032349A KR1020160121451A KR20160121451A KR20180032349A KR 20180032349 A KR20180032349 A KR 20180032349A KR 1020160121451 A KR1020160121451 A KR 1020160121451A KR 20160121451 A KR20160121451 A KR 20160121451A KR 20180032349 A KR20180032349 A KR 20180032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agnetic
wireless power
magnetic field
coil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두영
노영승
정인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1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2349A/ko
Priority to CN201710412737.8A priority patent/CN107871600B/zh
Publication of KR20180032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34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02J7/02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66Printed inductances with a magnetic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73Printed inductances with a special conductive pattern, e.g. flat spi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내부에 코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모듈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 모듈에 의해 생성된 제1 자기장이 형성되는 제1 면 및 상기 코일 모듈의 타 측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 모듈에 의하여 형성된 제2 자기장이 형성되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모듈은 자성체 판과, 상기 자성체 판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상이한 공진 특성을 가지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COIL MODULE AND APPARATUS FOR TRANSMITING POWER WIRELESSL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무선 기술은 데이터뿐만 아니라 전력까지 전송하는 등 다양하게 발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비 접촉 상태에서도 전자 기기에 전력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송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전력 충전 기술이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됨에 따라, 다양한 전자 장치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무선 전력 송신 기술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자동차 내부 등 다양한 환경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소형화에 대한 요구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2934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300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087223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충전을 지원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소형화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내부에 코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모듈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 모듈에 의해 생성된 제1 자기장이 형성되는 제1 면 및 상기 코일 모듈의 타 측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 모듈에 의하여 형성된 제2 자기장이 형성되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모듈은 자성체 판과, 상기 자성체 판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상이한 공진 특성을 가지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코일 모듈을 제안한다. 상기 코일 모듈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적용 가능한 코일 모듈로서, 자성체 판, 상기 자성체 판의 일 면에 구비되고, 제1 자기장을 생성하는 제1 코일 및 상기 자성체 판의 타 면에 구비되고, 제2 자기장을 생성하는 제2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은 서로 상이한 공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소형화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모듈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제1 면(101)과 제2 면(102)을 포함하며, 제1 면(101)과 제2 면(102) 사이의 내부에는 코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 모듈은 자성체 판(110)과, 상기 자성체 판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상이한 공진 특성을 가지는 제1 코일(120) 및 제2 코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 판(110)은 제1 면(101)과 제2 면(102) 사이에 구비된다.
제1 코일(120)는 제1 면(101)에 인접한 자성체 판(110)의 일 면에 구비되고, 제1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코일(130)는 제2 면(102)에 인접한 자성체 판(110)의 타 면에 구비되고, 제2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양 면에서 각각 서로 다른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1 면(101)은 제2 면(102)과 다른 면적을 가지나, 제2 면(10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예에서, 제1 면(101)은 스마트 폰을 충전하므로, 보다 작은 웨어러블 기기를 충전하는 제2 면(102)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각 면에 충전 대상이 되는 전자 기기의 크기에 따라 각 면의 면적이 다르도록 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충전 대상을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제1 면(101)과 제2 면(102)은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고, 또는 서로 상이한 형상일 수도 있다.
제1 면(101)은 코일 모듈의 일 측에 구비되고, 코일 모듈에 의해 생성된 제1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면(102)은 코일 모듈의 타 측에 구비되고, 코일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제2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양 면에는 각각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200, 201)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가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예컨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도 1a에 도시된 예는, 제1 면(101)에 형성된 제1 자기장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200)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210)에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1a에 도시된 예는, 제2 면(102)에 형성된 제2 자기장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기기(201)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211)에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양 면에 각각 서로 독립적인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를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전자 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자기장과 제2 자기장이 서로 다른 공진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제1 자기장을 생성하는 제1 코일은 스마트 폰을 대상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제1 공진 특성을 만족하고, 제2 자기장을 생성하는 제2 코일은 웨어러블 기기를 대상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제2 공진 특성을 만족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양 면에 형성되는 제1 자기장과 제2 자기장은 같은 공진 특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예는 예컨대, 스마트 폰을 양면에 두고 동시에 충전을 제공하는 등과 같은 예에서 보다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스위치부(310), 공진부(320), 제어부(330) 및 전원 공급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40)는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을 입력받고, 그로부터 일정한 직류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스위치부(31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스위치부(310)는 전원 공급부(34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원에 대하여 상기 스위칭 동작하여 교류 전류를 생성하고 이를 공진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공진부(320)는 코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 모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성체 기판의 양 면에 형성된 코일을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코일 모듈이 공진부(32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공진부(320)는 코일 모듈과, 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패시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모듈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코일 모듈의 다양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코일 모듈은 자성체 판(110), 제1 코일(120) 및 제2 코일(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 판(110)은 자기장의 필드를 크게 하거나 또는 결합 계수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자성체 판(110)은 투자율을 지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나노 크리스탈, 페라이트, 비결정질(amorphous) 등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코일(120)는 자성체 판(110)의 일 면에 구비되고, 제1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코일(130)는 자성체 판(110)의 타 면에 구비되고, 제2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코일(120) 및 제2 코일(130)는 다양한 방식의 코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코일(120) 및 제2 코일(130)는 도전선을 스파이럴 형태로 고정하여 형성되는 스파이럴 코일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코일(120) 및 제2 코일(130)는 기판 상에 또는 기판 내부에 형성된 도전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패턴 방식의 코일일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제1 코일(120) 및 제2 코일(13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 모듈은 하나의 자성체 판(110)의 양 면에 각각 서로 다른 자기장을 형성하는 서로 다른 코일을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슬림화 및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도 4는 돌출부가 구비된 코일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코일 모듈은 자성체 판(110), 제1 코일(120) 및 제2 코일(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 판(110)은 제1 코일(120)의 외측에 형성되는 돌기(111) 및 제2 코일(130)의 외측에 형성되는 돌기(112)를 포함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자성체 판(110)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돌출부(111, 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11, 112)는 제1 코일(120) 또는 제2 코일(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는, 돌출부(111, 112)는 자성체 판(110) 상에 제1 코일(120) 또는 제2 코일(130)을 형성하는 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복수의 단위 코일로 코일이 형성되는 코일 모듈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코일 모듈은 자성체 판(110), 제1 코일 및 제2 코일(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121, 122, 123)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동작하여 제1 자기장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단위 코일(121, 122, 12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단위 코일(121, 122, 123)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위치에 따라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동작되거나, 또는 전체가 동시에 동작하여 넓고 강력한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코일(121, 122, 123)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동작하여 제1 자기장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단위 코일(121, 122, 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일(131, 132, 133)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동작하여 제1 자기장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단위 코일(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 모듈의 코일들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7은 서로 다른 자성체 레이어를 포함하는 자성체 판을 포함하는 코일 모듈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코일 모듈은 자성체 판(110), 제1 코일(120) 및 제2 코일(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 판(110)은 제1 자성체 레이어(113) 및 제2 자성체 레이어(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성체 레이어(113)는 제1 자성체로 형성되고, 일면에 제1 코일(120)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자성체 레이어(114)는 제1 자성체와 상이한 제2 자성체로 형성되고, 일면에 제2 코일(13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의 자성 특성은 상이하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충전 대상에 따라 상이한 자성체를 제공할 수 있어 전자 기기에 따른 자기 특성을 보다 세분화하여 효율적인 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몸체부(140), 힌지부(150) 및 고정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40)는 코일 모듈(110, 120, 130),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한다.
고정체부(160)는 수평 지지면을 포함하고, 힌지부(150)가 고정된다.
힌지부(150)는 몸체부(140)의 일 측 및 고정체부(160)에 결합하여, 몸체부(140)를 회전 구동 시킬 수 있다. 힌지부(150)에 의하여 몸체부(140)가 회전 구동 됨에 따라, 몸체부의 상면을 제2 면에서 제1 면으로, 또는 제1 면에서 제2 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8a는 제1 면이 상면이 되어, 스마트 폰(200)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210)가 제1 코일(120)과 연동하여 무선 충전을 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의 상태에서 힌지부(150)에 의하여 몸체부(140)가 회전 되면, 도 8b의 상태와 같이 제2 면이 상면이 되어 웨어러블 기기(201)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211)가 제2 코일(130)과 연동하여 무선 충전 할 수 있다.
힌지부(150)는 몸체부(1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힌지부(150)는 몸체부(140)의 일 측 및 고정체부(160)에 결합하여, 몸체부(140)와 고정체부(16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예는 자동차나 테이블 등 홈이 형성된 영역에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가 적용된 예이다.
도시된 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양 면에는 각각 서로 상이한 전자 기기가 배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코일(120)은 제1 전자 기기(200)를, 제2 코일(130)은 제2 전자 기기(201)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동시에 제1 전자 기기(200) 및 제2 전자 기기(201)를 충전시킬 수 있다.
즉, 제1 코일(120)은 제2 코일(130)과 동시에 동작하고, 제1 자기장을 이용하여 제1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130)은 제1 코일(120)과 동시에 동작하고, 제2 자기장을 이용하여 제1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상이한 제2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예는 양면형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로서, 충전 대상이 되는 전자 기기의 외형에 대응하여 하우징에 굴곡이나 요철을 구비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예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양 면은 각각 서로 상이한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코일(120)은 제1 전자 기기(200)를, 제2 코일(130)은 제2 전자 기기(201)를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양 면은 각각 충전 대상이 되는 전자 기기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굴곡이나 요철을 포함할 수 있어, 전자 기기가 안정적으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 안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10 : 자성체판
120 : 제1 코일
130 : 제2 코일
310 : 스위치부
320 : 공진부
330 : 제어부
340 : 전원 공급부
200 : 제1 전자 기기
210 : 제1 무선 전력 수신 장치
201 : 제2 전자 기기
211 : 제2 무선 전력 수신 장치

Claims (15)

  1. 내부에 코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모듈의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 모듈에 의해 생성된 제1 자기장이 형성되는 제1 면; 및
    상기 코일 모듈의 타 측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 모듈에 의하여 형성된 제2 자기장이 형성되는 제2 면;
    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모듈은
    자성체 판과, 상기 자성체 판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상이한 공진 특성을 가지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모듈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자성체 판;
    상기 제1 면에 인접한 상기 자성체 판의 일 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자기장을 생성하는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면에 인접한 상기 자성체 판의 타 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자기장을 생성하는 상기 제2 코일;
    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판은
    제1 자성체로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제1 코일이 구비되는 제1 자성체 레이어; 및
    상기 제1 자성체와 상이한 제2 자성체로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제2 코일이 구비되는 제2 자성체 레이어;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판은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의 외측에 형성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스마트 폰을 대상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제1 공진 특성을 만족하고,
    상기 제2 코일은
    웨어러블 기기를 대상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제2 공진 특성을 만족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제1 자기장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단위 코일;
    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제2 코일과 동시에 동작하고, 상기 제1 자기장을 이용하여 제1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코일과 동시에 동작하고, 상기 제2 자기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상이한 제2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2 면과 다른 면적을 가지나 상기 제2 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코일 모듈,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결합하여, 상기 몸체부를 회전 구동 시키는 힌지부;
    수평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가 고정되는 고정체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수평 지지면을 포함하는 고정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측 및 상기 고정체부에 결합하여,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체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힌지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1.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적용 가능한 코일 모듈로서,
    자성체 판;
    상기 자성체 판의 일 면에 구비되고, 제1 자기장을 생성하는 제1 코일; 및
    상기 자성체 판의 타 면에 구비되고, 제2 자기장을 생성하는 제2 코일;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은 서로 상이한 공진 특성을 가지는 코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판은
    제1 자성체로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제1 코일이 구비되는 제1 자성체 레이어; 및
    상기 제1 자성체와 상이한 제2 자성체로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제2 코일이 구비되는 제2 자성체 레이어;
    를 포함하는 코일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판은
    상기 제1 코일 또는 상기 제2 코일의 외측에 형성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코일 모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제1 자기장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단위 코일;
    를 포함하는 코일 모듈.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스마트 폰을 대상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제1 공진 특성을 만족하고,
    상기 제2 코일은
    웨어러블 기기를 대상으로 무선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제2 공진 특성을 만족하는 코일 모듈.
KR1020160121451A 2016-09-22 2016-09-22 코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Withdrawn KR20180032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451A KR20180032349A (ko) 2016-09-22 2016-09-22 코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N201710412737.8A CN107871600B (zh) 2016-09-22 2017-06-05 线圈模块及利用该线圈模块的无线电力发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451A KR20180032349A (ko) 2016-09-22 2016-09-22 코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349A true KR20180032349A (ko) 2018-03-30

Family

ID=6176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451A Withdrawn KR20180032349A (ko) 2016-09-22 2016-09-22 코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32349A (ko)
CN (1) CN1078716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1956A (zh) * 2018-04-27 2018-10-26 苏州威斯东山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无线充电的多频率发射端线圈模组
US11437861B2 (en) 2018-08-22 2022-09-06 Apple Inc. Test object holder
CN109036796A (zh) * 2018-08-30 2018-12-18 江苏金羿先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双面无线充电发射端模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2630B2 (ja) * 2005-09-22 2011-10-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非接触式データキャリアインレットの製造方法、非接触式データキャリアインレット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非接触式データキャリアの製造方法
JP6048800B2 (ja) * 2012-09-06 2016-12-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非接触アダプタ
CN203826559U (zh) * 2013-12-27 2014-09-10 无锡村田电子有限公司 线圈天线及天线装置
KR101443007B1 (ko) * 2014-01-15 2014-09-23 (주)디아이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CN205070620U (zh) * 2015-06-25 2016-03-02 薛寿贞 无线充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71600B (zh) 2020-07-14
CN107871600A (zh) 201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2298B2 (ja) 送電装置、受電装置及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US9577468B2 (en) Wireless charging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the same
US9306633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reof
US20170256990A1 (en) Receiver Coil Arrangements for Indu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for Portable Devices
EP2869315B1 (en) Wireless power relay apparatus and case including the same
JP5587165B2 (ja) 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受電アンテナ
CN108109831B (zh) 一种电能发射线圈模组及电能发射电路
WO2017100747A1 (en) System for indu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for portable devices
KR101744590B1 (ko) 수직형 전력 전송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장치
KR20160030672A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KR102637679B1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KR20180101070A (ko) 코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EP3291407A1 (en)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KR101670128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180032349A (ko) 코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40021694A (ko) 이중모드 안테나
CN110323838A (zh) 线圈单元、无线供电装置、无线受电装置及无线电力传输系统
KR20160001366U (ko) 무선충전장치
KR20140021693A (ko) 이중모드 안테나
JPWO2015115334A1 (ja)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KR20140021695A (ko) 이중모드 안테나
JP2017005952A (ja) 非接触電力送電装置、非接触電力受電装置、及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JP2017163670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7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