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10210A - 스펀본드 부직포,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 집진기 플리츠 필터 및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 - Google Patents

스펀본드 부직포,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 집진기 플리츠 필터 및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0210A
KR20220110210A KR1020227019082A KR20227019082A KR20220110210A KR 20220110210 A KR20220110210 A KR 20220110210A KR 1020227019082 A KR1020227019082 A KR 1020227019082A KR 20227019082 A KR20227019082 A KR 20227019082A KR 20220110210 A KR20220110210 A KR 20220110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spunbond nonwoven
dust collector
fusion
l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노부 미조가미
준 요시다
코지 키타무라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1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210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01D39/16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sintered or bo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3/011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16Bicomponent or multicomponent fibres
    • B01D2239/0233Island-in-s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27Spun-bo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77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by spot-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33Fibre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58Perme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75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91Other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4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고융점 성분과 저융점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로 구성되는 스펀본드 부직포로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통기량 CV값이 15% 이하, MD 방향의 강연도가 40mN 이상 80mN 이하이며, 부직포 단면에 있어서, 비융착의 볼록부의 일표면으로부터 타표면까지의 두께(tA)와, 융착되어서 이루어지는 오목부의 일표면으로부터 타표면까지의 두께(tB)와, 볼록부의 일표면으로부터 오목부의 일표면까지의 거리를 각각 tC, tD(tC<tD)로 하고, 하기 식 (1), (2)로 나타내어지는 관계에 있다.
0.5≤1-tB/tA<1.0···(1)
0.65<tC/tD<1.0···(2)

Description

스펀본드 부직포,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 집진기 플리츠 필터 및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
본 발명은 강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 집진기 플리츠 필터 및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환경에 대해서 분진의 제거 및 회수를 목적으로 하는 집진기가 사용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필터의 교환 빈도를 저감할 수 있는 펄스제트 타입의 집진기가 알려져 있다. 이 펄스제트 타입의 집진기에서는 필터의 외측이 여과면이 되고, 이 필터가 필터 게이지에 장착되어서 운전된다. 펄스제트 타입의 집진기는 필터가 일정 압력에 도달했을 때에 필터 내부에 압축공기를 보내는, 역세를 행할 수 있는 기구를 갖고 있고, 역세에 의해 필터의 외측표면에 퇴적한 분진을 떨어뜨려서 반복해서 사용된다. 이 집진기의 필터는 플리츠 형상으로 접혀진 형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알려져 있고, 플리츠 형상으로 함으로써 여과 면적을 대폭 향상시켜서, 압력손실을 저감시키거나, 포집 효율을 높이거나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집진기의 필터용의 재료로서 사용되는 부직포 중에서도, 특히 스펀본드 부직포는 단섬유 부직포에 대해서 린트프리성이 우수하고, 강도적 성능도 우수한 것을 얻기 쉽기 때문에, 가정이나 사무소용의 공조기나 산업용의 분진 포집기 등의 필터로서 사용되고 있다.
집진기의 필터에 사용되는 스펀본드 부직포에는 분진의 포집 성능과 통기성을 양립시킬 필요가 있어 지금까지 여러가지 부직포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는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를 미리 한쌍의 플랫 롤로 가열융착한 후에 한쌍의 조각이 실시된 엠보스 롤로 부분적으로 융착한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고융점 성분의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와 저융점 성분의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를 혼섬시킨 부직포나, 고융점 성분과 저융점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다엽형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5422874호 공보 일본 특허 제5298803호 공보 일본 특허 제4522671호 공보
상기의 펄스제트 타입의 집진기에서, 화학 공장과 같이 미분체의 분진을 포함한 대량의 공기를 1분간당 300∼1500L로 처리를 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는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에 사용되는 필터에는 대풍량의 공기(기체)의 통과와, 역세가 반복해서 행해지므로, 박리 등의 우려가 있는 PTFE막 등의 기재는 접합되지 않고, 스펀본드 부직포 단체가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사용되는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에는 대풍량 하에서의 분진 포집과, 반복해서 행해지는 역세를 견디기 위한 플리츠 형상 유지성을 가진 강성이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집진 제거에 사용되는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에서는 분진 포집 성능과 통기성의 밸런스를 양립하면서, 대풍량 하에서의 플리츠 형상 유지성과 플리츠 가공성에 충분한 강성을 갖는 것이 얻어지고 있지 않다. 즉 포집 성능을 향상시키고자해서 섬유끼리의 융착을 강고하게 하면 메시크기가 작아져서 통기성의 저하로 이어지고, 한편 통기성을 향상시키고자해서 섬유끼리의 융착을 느슨하게 하면 메시크기가 커져 분진의 포집 성능이 저하되어 버릴 뿐만 아니라, 강성의 저하에 의해 대풍량 하에서는 플리츠 형상을 유지할 수 없게 됨과 아울러, 보풀이 발생하여 외관상에도 문제가 된다라는 과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나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충분한 통기성과 강성을 양립하는 것이 곤란했다.
한편, 특허문헌 3에서는 섬유끼리의 융착이 약하고, 플리츠 가공시에 융착부의 파단에 의해 부직포의 강성이 저하되어 필터로서 사용한 경우에 대풍량 하에서는 플리츠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고, 통기성이 저하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분진의 포집 성능과 통기성의 밸런스를 양립하면서, 또한 대풍량 하에서의 플리츠 형상 유지성과 플리츠 가공성이 우수한 높은 강성을 가진 스펀본드 부직포,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 집진기 플리츠 필터 및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부분적으로 융착한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통기량 CV값 및 부직포의 단면으로부터 얻어지는 볼록부의 두께와 오목부의 두께의 비, 볼록부의 표면으로부터 오목부의 표면까지의 거리의 비가 특정 값의 범위인 부직포에 의해, 분진의 포집 성능과 통기성의 밸런스를 양립하면서, 플리츠 가공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가 얻어진다는 지견을 얻었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에 의거하여 완성에 이른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발명이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고융점 성분과 저융점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로 구성되고, 부분적으로 융착되어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로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통기량 CV값이 15% 이하, MD 방향의 강연도가 40mN 이상 80mN 이하이며, 비융착의 볼록부와, 융착되어서 이루어지는 오목부를 갖고, 부직포 단면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일표면으로부터 타표면까지의 두께(tA)와, 상기 오목부의 일표면으로부터 타표면까지의 두께(tB)와, 상기 볼록부의 일표면으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일표면까지의 거리를 각각 tC, tD(tC<tD)로 하고, 하기 식 (1), (2)로 나타내어지는 관계에 있다.
0.5≤1-tB/tA<1.0···(1)
0.65<tC/tD<1.0···(2)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 오목부의 융착면적의 비율이 5% 이상 2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의 평균 단섬유 직경이 12.0㎛ 이상 26.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는 집진기 플리츠 필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집진기 플리츠 필터는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진의 포집 성능과 통기성의 밸런스가 우수하고, 대풍량 하에서의 플리츠 형상 유지성과 플리츠 가공성이 우수한 높은 강성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포의 단면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집 성능 시험을 실시하는 시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리츠 형상 유지성 시험을 실시하는 시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리츠 형상 유지성 시험에 있어서의 측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이다.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는 고융점 성분과 저융점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포의 단면 사진이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스펀본드 부직포는 사용시, 위에서 아래를 향해서 통기한다. 스펀본드 부직포는 부분적으로 융착된 것으로서, 상기 부직포의 통기량 CV값이 15% 이하, MD 방향의 강연도가 40mN 이상 80mN 이하이다. 스펀본드 부직포는 비융착의 볼록부(11)(비융착부)와, 융착되어서 이루어지는 오목부(12)(융착부)를 갖고, 부직포 단면에 있어서, 볼록부의 일표면으로부터 타표면까지의 두께(tA)와, 오목부의 일표면으로부터 타표면까지의 두께(tB)와, 볼록부의 일표면으로부터 오목부의 일표면까지의 거리를 각각 (tC), (tD) (tC<tD)로 하고, 하기 식의 관계에 있는 스펀본드 부직포이다.
0.50≤1-tB/tA<1.0···(1)
0.65<tC/tD<1.0···(2)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MD 방향이란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시의 시트 반송 방향, 즉 부직포 롤에 있어서의 권취 방향을 가리키는 것이며, 후술하는 CD 방향은 시트 반송 방향, 즉 부직포 롤에 있어서의 권취 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이다. 스펀본드 부직포가 절단된 경우 등에서 롤 상태에 없는 경우에는 이하의 순서에 의해 MD 방향, CD 방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한다.
(a)스펀본드 부직포의 면내에 있어서, 임의의 일방향을 정하고, 그 방향을 따라, 길이 38.1mm, 폭 25.4mm의 시험편을 채취한다.
(b)채취한 방향으로부터 30도, 60도, 90도 회전시킨 방향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길이 38.1mm, 폭 25.4mm의 시험편을 채취한다.
(c)각 방향의 시험편에 대해서 후술하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강연도의 측정 방법에 의거하여 각 시험편의 강연도를 측정한다.
(d)측정에 의해 얻어진 값이 가장 높은 방향을 그 스펀본드 부직포의 MD 방향으로 하고, 이것에 직교하는 방향을 CD 방향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필터, 예를 들면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에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요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21)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되접어서 이루어지는 산부(22) 및 곡부(23)를 갖는다.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 등으로부터 MD 방향, CD 방향을 결정할 때에 있어서,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21)의 경우에는 산부(22)의 능선과 평행한 방향(파선 화살표(25))이 CD 방향, CD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파선 화살표(24))이 MD 방향인 것으로 한다.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의 원료가 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특히,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는 산 성분과 알콜 성분을 모노머로 해서 이루어지는 고분자 중합체이다. 산 성분으로서는 프탈산(오르토체),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의 방향족 카르복실산, 아디프산이나 세바신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알콜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락트산 및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후술하는 고융점 중합체로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로서는 융점이 높고 내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강성도 우수한 PET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들 폴리에스테르 원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 핵제, 광택 제거제, 안료, 곰팡이방지제, 항균제, 난연제, 금속산화물, 지방족 비스아미드 및/또는 지방족 모노아미드, 및 친수제 등의 첨가재를 첨가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산화티탄 등의 금속산화물은 섬유의 표면마찰을 저감하여 섬유끼리의 융착을 방지함으로써 방사성을 향상시키고, 또 부직포의 열 롤에 의한 융착 성형시, 열전도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부직포의 융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틸렌비스스테아르산 아미드 등의 지방족 비스아미드 및/또는 알킬 치환형의 지방족 모노아미드는 열 롤과 부직포 웹간의 이형성을 높이고, 반송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는 고융점 성분과 저융점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는 고융점 성분인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의 둘레에, 그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의 융점에 대해서 10℃ 이상 140℃ 이하 낮은 융점을 갖는 저융점 성분인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중합체를 배치한 복합형 필라멘트인 양태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융착에 의해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하여 사용했을 때,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복합형 폴리에스테르 섬유(필라멘트)끼리가 강고하게 융착하므로, 스펀본드 부직포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대풍량 하에서의 분진 처리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은 시차주사형 열량계(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 퍼킨엘머 재팬사제 「DSC-2」형)를 사용하여, 승온속도 20℃/분, 측정 온도범위 30℃로부터 300℃의 조건으로 측정하고, 얻어진 융해 흡열 곡선에 있어서 극값을 주는 온도를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으로 한다. 또한 시차주사형 열량계에 있어서 융해 흡열 곡선이 극값을 나타내지 않는 수지에 대해서는 핫플레이트 상에서 가열하고, 현미경 관찰에 의해 수지가 용융한 온도를 융점으로 한다.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 쌍이 되는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와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중합체의 조합(이하,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중합체의 순으로 기재하는 일이 있다)으로서는 예를 들면PET/PBT, PET/PTT, PET/폴리락트산, 및 PET/공중합 PET 등의 조합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방사성이 우수한 점에서 PET/공중합 PET의 조합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공중합 PET의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특히 방사성이 우수한 점에서 이소프탈산 공중합 PET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복합형 필라멘트의 복합 형태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동심 심초형, 편심 심초형 및 해도형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필라멘트끼리를 균일하고 또한 강고하게 융착시킬 수 있는 점에서 동심 심초형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복합형 필라멘트의 단면형상으로서는 원형 단면, 편평 단면, 다각형 단면, 다엽 단면 및 중공 단면 등의 형상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필라멘트의 단면형상으로서는 원형 단면의 형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양태이다.
그런데, 상기의 복합형 필라멘트의 형태에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와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혼섬시키는 방법도 있지만, 혼섬시키는 방법의 경우, 균일한 융착이 어렵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가 밀집하고 있는 경우에서는 융착이 약해지고, 기계적 강도나 강성이 떨어져서 스펀본드 부직포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이 된다. 한편,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에 대해서 저융점 중합체를 침지나 스프레이 등으로 부여하는 방법도 있지만, 모두 표층이나 두께 방향에서 균일한 부여가 어렵고, 기계적 강도나 강성이 떨어져서 스펀본드 부직포로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중합체의 융점은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의 융점에 대해서 10℃ 이상 140℃ 이하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낮게 함으로써, 스펀본드 부직포에 있어서 적당한 융착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중합체의 융점은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의 융점보다 140℃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낮게 함으로써 스펀본드 부직포의 내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의 융점은 200℃ 이상 32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의 융점을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20℃ 이상으로 함으로써, 내열성이 우수한 필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의 융점을 바람직하게는 3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80℃ 이하로 함으로써, 부직포 제조시에 용융하기 위한 열 에너지를 다대하게 소비하여 생산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중합체의 융점은 160℃ 이상 25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중합체의 융점을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80℃ 이상으로 함으로써, 플리츠 가공시의 열 셋트 등, 플리츠 필터 제조시에 열이 가해지는 공정을 통과해도 형상 유지성이 우수하다. 한편,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중합체의 융점을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 이하로 함으로써, 부직포 제조시의 융착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필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와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중합체의 함유 비율은 질량비로 90:10∼60:4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85:15∼70:3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한 양태이다.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를 6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스펀본드 부직포의 강성과 내열성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10질량% 이상 40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융착에 의해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하여 사용했을 때,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복합형 폴리에스테르 섬유(필라멘트)끼리를 강고하게 융착할 수 있고, 기계 강도가 우수하고, 대풍량 하에서의 분진 포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복합형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복합 형태에 대해서도, 예를 들면 동심 심초형, 편심 심초형 및 해도형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필라멘트끼리를 균일하고 또한 강고하게 융착시킬 수 있는 점에서 복합 형태에 대해서는 동심 심초형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필라멘트(단섬유)의 단면형상으로서는 원형 단면, 편평 단면, 다각형 단면, 다엽 단면 및 중공 단면 등의 형상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필라멘트(단섬유)의 단면형상으로서는 원형 단면의 형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양태이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12.0㎛ 이상 26.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의 평균 단섬유 직경을 12.0㎛ 이상,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 이상으로 함으로써, 스펀본드 부직포의 통기성을 향상시켜서, 압력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를 형성할 때에 실의 끊어짐 횟수를 저하시켜서, 생산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한편,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의 평균 단섬유 직경을 26.0㎛ 이하,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 이하로 함으로써 스펀본드 부직포의 균일성을 향상시켜서, 부직포 표면을 치밀한 것으로 할 수 있고, 더스트를 표층에서 여과하기 쉽게 하는 등, 포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스펀본드 부직포의 평균 단섬유 직경(㎛)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값을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i)스펀본드 부직포로부터 랜덤으로 작은 조각 샘플 10개를 채취한다.
(ii)채취한 작은 조각 샘플의 표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 등으로 500∼2000배의 범위에서 섬유의 굵기를 계측하는 것이 가능한 사진을 촬영한다.
(iii)각 샘플로부터 10개씩, 합계 100개의 섬유를 임의로 골라 내고, 그 굵기를 측정한다. 섬유는 단면이 원형이라고 가정하고, 굵기를 단섬유 직경으로 한다.
(iv)이들의 산술 평균값의 소수점 이하 제2자리를 사사오입해서 산출하고, 평균 단섬유 직경으로 했다.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
다음에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하기 (a)∼(c)의 공정을 순차 실시함으로써 제조된다.
(a)열가소성 중합체를 방사구금으로부터 용융 압출한 후, 이것을 에어 사커에 의해 견인, 연신해서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를 얻는 공정.
(b)얻어진 필라멘트를 개섬하고, 이동하는 네트 컨베이어 상에 개섬판에 의해 섬유배열을 규제하여 퇴적시켜서 섬유 웹을 형성하는 공정.
(c)얻어진 섬유 웹에 부분적 융착을 실시하는 공정.
이하에, 각 공정에 대해서, 더 상세를 설명한다.
(a)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 형성 공정
우선, 열가소성 중합체를 방사구금으로부터 용융 압출한다. 특히,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로서,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의 둘레에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의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중합체를 배치한 복합형 필라멘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와,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중합체를 각각 융점 이상 융점+70℃ 이하에서 용융하고,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의 둘레에, 그 폴리에스테르계 고융점 중합체의 융점에 대해서 10℃ 이상 140℃ 이하 낮은 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중합체를 배치한 복합형 필라멘트로서, 구금 온도가 융점 이상 융점+70℃ 이하의 방사구금에서 세공으로부터 방출한 후, 에어 사커에 의해 방사속도 4000m/분 이상 6000m/분 이하로 견인, 연신해서 원형 단면형상의 필라멘트를 방사한다.
(b)섬유 웹 형성 공정
본 발명의 부직포는 소위 스펀본드 부직포이며, 방사한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를 이젝터로 흡인하고, 이젝터의 하부에 슬릿형상을 갖는 개섬판으로부터 분사해서 이동하는 네트 컨베이어 상에 퇴적시켜서 섬유 웹을 얻는 공정을 갖는다.
또, 복합형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한 경우이어도 상기의 필라멘트(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인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연속의 섬유로 구성된 단섬유 부직포의 경우에 비해서 강성이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스펀본드 부직포로서 바람직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서는 네트 컨베이어 상에 포집한 섬유 웹을 가융착하는 것도 바람직한 양태이다. 가융착은 포집한 섬유 웹을 한쌍의 플랫 롤에 의해 융착하거나, 네트 컨베이어 상에 플랫 롤을 설치하고, 네트 컨베이어와 상기 플랫 롤 사이에서 융착하거나 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가융착하기 위한 융착의 온도는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중합체의 융점에 대해서 70℃ 이상 120℃ 이하 낮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온도 설정함으로써, 섬유끼리를 과도하게 융착시키지 않고, 반송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가융착하기 위한 선압은 30kg/cm 이상 70kg/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융착하기 위한 선압은 30kg/c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kg/cm 이상으로 함으로써, 섬유 웹을 다음 공정에 반송함에 있어서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가융착하기 위한 선압은 70kg/c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kg/cm 이하로 함으로써 섬유끼리의 과도한 융착을 방지할 수 있다.
(c)부분적 융착 공정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부분적으로 융착된 것이지만, 부분적으로 융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스펀본드 부직포의 융착되어 있는 부분을 융착부, 그 이외의 융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비융착부라고 칭한다. 열 엠보스 롤에 의한 융착, 혹은 초음파 발진 장치와 엠보스 롤의 조합에 의한 융착이 바람직한 것이다. 특히 열 엠보스 롤에 의한 융착은 부직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부분적 융착 공정은 상기 웹 형성 공정으로부터 계속해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웹 형성 공정으로부터 계속해서 가공함으로써 융착부의 밀도를 높게 하고, 스펀본드 부직포로서 플리츠 성형성이 우수한 강도의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열 엠보스 롤에 의한 융착의 온도는 부직포의 섬유표면에 존재하는 가장 융점이 낮은 폴리머의 융점에 대해서 5℃ 이상 60℃ 이하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 50℃ 이하 낮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 엠보스 롤에 의한 부직포의 섬유표면에 존재하는 가장 융점이 낮은 폴리머의 융점의 온도차를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으로 함으로써, 과도한 융착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융점의 온도차를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로 함으로써, 부직포 내에 있어서 균일한 융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융착하기 위한 선압은 30kg/cm 이상 90kg/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착하기 위한 선압을 30kg/c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kg/cm 이상으로 함으로써 스펀본드 부직포로서 사용했을 때에 플리츠 가공성에 필요한 강도를 부직포에 부여할 수 있다. 융착하기 위한 선압을 90kg/c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kg/cm 이하로 함으로써 과도한 융착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부분적인 융착의 융착면적률은 융착부(오목부)의 부직포 전체의 면적에 차지하는 비율인 것이며, 부직포 전체 면적에 대해서 5%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한 범위이다. 상기 융착면적률이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 이상이면, 부직포의 기계적 강도가 충분히 얻어지고, 또한 표면이 보풀이 일어나기 쉬워지는 일이 없다. 한편, 융착면적률이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6% 이하이면, 섬유간의 공극이 적어져서 압력손실이 상승하고, 포집 성능이 저하되는 일도 없다.
또, 스펀본드 부직포의 융착면적률의 측정에는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 기엔스제 「VHX-5000」)를 사용하고, 스펀본드 부직포의 임의의 부분으로부터 마이크로스코프의 배율 20배로 부직포의 MD 방향 및 CD 방향에 평행한 1.0cm×1.0cm의 직사각형 프레임을 100개소 취하고, 100개소 각각에 대해서 상기 면적에 대한 직사각형 프레임 내의 융착부의 면적을 측정해서 평균값을 취하고, 백분률로 해서 소수점 이하 제1자리를 사사오입한 것을 융착면적률(%)로 한다. 또, 백분률로서 표기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 내의 융착부의 면적(㎠)을 직사각형 프레임의 면적인 1.0㎠로 나눈 후, 소수점 이하 제3자리를 사사오입함으로써 융착면적률을 산출할 수 있다.
융착부는 함몰부를 형성하고 있고,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끼리가 열과 압력에 의해 융착해서 형성되어 있다. 즉, 다른 부분에 비해서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가 융착해서 응집하고 있는 부분이 융착부이다. 융착하는 방법으로서 열 엠보스 롤에 의한 융착을 채용한 경우에는 엠보스 롤의 볼록부에 의해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가 융착해서 응집하고 있는 부분이 융착부가 된다. 예를 들면 상측 또는 하측에만 소정의 패턴의 요철을 갖는 롤을 사용하고, 다른 롤은 요철이 없는 플랫 롤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융착부란 요철을 갖는 롤의 볼록부와 플랫 롤에서 융착되어서 부직포의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가 응집된 부분을 말한다. 또한 예를 들면 표면에 복수의 평행하게 배치된 직선적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상측 롤과 하측 롤로 이루어지고, 그 상측 롤의 홈과 그 하측 롤의 홈이 어느 각도로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엠보스 롤을 사용할 경우, 융착부란 상측 롤의 볼록부와 하측 롤의 볼록부에서 융착되어서 부직포의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가 응집된 부분을 말한다. 이 경우, 상측의 볼록부와 하측의 오목부 혹은 상측의 오목부와 하측의 볼록부에서 융착되는 부분은 여기에서 말하는 융착부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융착부의 1개당 면적으로서는 0.3㎟ 이상 5.0㎟ 이하가 바람직하다. 0.3㎟ 이상으로 함으로써, 스펀본드 부직포로서 충분한 기계적 강도가 얻어지고, 또한 부직포 표면의 보풀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5.0㎟ 이하로 함으로써, 스펀본드 부직포로서의 기계적 강도에 추가하여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어 충분한 포집 성능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에 있어서의 융착부의 형상은 특별히 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측 또는 하측에만 소정의 패턴의 요철을 갖는 롤을 이용하고, 다른 롤은 요철이 없는 플랫 롤을 사용하는 경우나 표면에 복수의 평행하게 배치된 직선적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상측 롤과 하측 롤로 이루어지고, 그 상측 롤의 홈과 그 하측 롤의 홈이 어느 각도로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엠보스 롤에 있어서, 상측 롤의 볼록부와 하측 롤의 볼록부에서 융착된 경우에 있어서도, 그 융착부의 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평행사변형, 타원형, 마름모형 등이어도 좋다. 이들 융착부분의 배열은 특별히 규정되는 것은 아니고, 등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된 것, 랜덤으로 배치된 것, 상이한 형상이 혼재한 것이라도 좋다. 그 중에서도, 부직포의 균일성의 점으로부터, 융착부분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직포를 박리하지 않고 부분적인 융착을 하는 점에서, 표면에 복수의 평행하게 배치된 직선적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상측 롤과 하측 롤로 이루어지고, 그 상측 롤의 홈과 그 하측 롤의 홈이 어느 각도로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엠보스 롤을 사용하고, 상측 롤의 볼록부와 하측 롤의 볼록부에서 융착되어 형성되는 평행사변형의 융착부가 바람직하다.
(스펀본드 부직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통기량은 10(㎤/(㎠·초)) 이상 130(㎤/(㎠·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량이 10(㎤/(㎠·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13(㎤/(㎠·초)) 이상이면 압력손실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통기량이 130(㎤/(㎠·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105(㎤/(㎠·초)) 이하이면 더스트가 내부에 체류하기 어려운 것에 의해 필터로서 포집 성능이 양호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스펀본드 부직포의 통기량(㎤/(㎠·초))은 이하와 같이 JIS L1913:2010 「일반 부직포 시험 방법」 6.8 「통기성(JIS법)」의 6.8.1 「푸라질 형법」에 의거하여 측정되는 값을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i)스펀본드 부직포의 CD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세로 150mm×가로 150mm의 시험편을 10매 채취한다.
(ii)시험기의 원통의 일단에 시험편을 부착한 후, 하한 저항기에 의해 경사형 기압계가 125Pa의 압력을 나타내도록 흡입 팬 및 공기구멍을 조정하여 그 때의 수직형 기압계가 나타내는 압력을 계측한다.
(iii)측정한 압력과 사용한 공기구멍의 종류로부터, 시험기에 부속된 환산표에 의해 시험편을 통과하는 공기량(㎤/(㎠·초))을 구한다.
(iv)얻어진 10점의 시험편의 통기량의 산술 평균값을 소수점 이하 제1자리를 사사오입해서 스펀본드 부직포의 통기량(㎤/(㎠·초))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통기량 CV값이 15% 이하이다. 통기량 CV값이 15% 이하, 바람직하게는 14%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3% 이하이면, 통기량의 균일성이 향상되고, 스펀본드 부직포를 필터로서 사용한 경우에, 필터로부터의 분진누설을 억제할 수 있어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스펀본드 부직포의 통기량을 일정량 확보하고, 압력손실을 작게 함으로써, 필터의 수명을 길게 하기 쉬우므로, 통기량 CV값이 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펀본드 부직포의 통기량 CV값(%)은 다음과 같이 해서 측정되어서 얻어지는 값을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i)스펀본드 부직포로부터 MD 방향, CD 방향으로 150mm×150mm의 작은 조각을 각각 10개씩, 합계 50개 채취한다.
(ii)각 작은 조각의 통기량(㎤/(㎠·초))을 각각 측정한다.
(iii) (ii)에서 얻어진 값으로부터 평균값(Aave)과 표준편차(Asdv)를 구한다.
(iv) (i)∼(iii)의 결과를 기초로, 이하의 식에 의해 통기량 CV값(%)을 계산하고, 소수점 이하 제1자리를 사사오입한다.
통기량 CV값(%)=(Asdv)/(Aave)×100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부직포의 MD 방향에서 40mN 이상 80mN 이하의 강연도를 갖는다. 강연도가 40mN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5mN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0mN 이상이면, 부직포의 강도나 형태 유지성을 유지하면서 플리츠 가공이 가능하다. 한편, 80mN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mN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70mN 이하이면, 플리츠 가공시의 절첩 저항을 완화해서 플리츠의 산곡형 형상이 샤프하게 마무리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강연도는 JIS L1913:2010 「일반 부직포 시험 방법」 6.7 「강연도(JIS법 및 ISO법)」의 6.7.4 「걸리법(JIS법)」에 준해서 이하와 같이 되어서 얻어진 값으로 한다.
(i)시료로부터 길이 38.1mm(유효 시료 길이 L=25.4mm), 폭 d=25.4mm의 시험편을 시료의 임의의 5점으로부터 채취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직포의 길이 방향을 시료의 세로 방향으로 한다.
(ii)채취한 시험편을 각각 척에 부착하고, 가동 암 A 상의 눈금 1-1/2"(1.5인치=38.1mm)에 맞춰서 척을 고정한다. 이 경우, 시료 길이의 1/2"(0.5인치=12.7mm)은 척에 1/4"(0.25인치=6.35mm), 시료의 자유단에서 진자의 선단에 1/4"(0.25인치=6.35mm)이 걸리므로 측정에 걸리는 유효 시료 길이 L은 시험편 길이로부터 1/2"(0.5인치=12.7mm)을 뺀 것이 된다.
(iii)다음에 진자 B의 지점으로부터 하부의 추 부착 구멍 a, b, c(mm)에 적당한 추 Wa, Wb, Wc(g)를 부착해서 가동 암 A를 정속 회전시켜서, 시험편이 진자 B로부터 떨어질 때의 눈금 RG(mgf)를 읽는다. 눈금은 소수점 이하 제1자리의 자리수로 읽는다. 여기에서 추 부착 구멍에 부착하는 추는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지만, 눈금 RG가 4∼6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v)측정은 시험편 5점에 대해서 표리 각 5회, 합계 50회 실시한다.
(v)얻어진 눈금 RG의 값으로부터 하기 식 (3)을 사용해서 강연도의 값을 소수점 이하 제2자리에서 사사오입해서 각각 구한다. 50회의 측정의 평균값을 소수점 이하 제1자리를 사사오입해서 산출한 값을 MD 방향의 강연도로 한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부직포 단면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일표면으로부터 타표면까지의 두께(tA)와, 오목부의 일표면으로부터 타표면까지의 두께(tB)가 상기 식(1)의 관계에 있는 스펀본드 부직포이다. 상기 식(1)의 값이 0.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55 이상이면, 섬유끼리의 융착이 강고해지고, 집진기 플리츠 필터로서 사용했을 경우에 대풍량 하에서도 뛰어난 형상 유지성이 얻어진다. 한편, 상기 식(1)의 값이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80 이하이면, 섬유끼리의 융착이 느슨해져서 뛰어난 통기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부직포 단면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일표면으로부터 오목부의 일표면까지의 거리를 각각 (tC), (tD) (tC<tD)로 하고, 상기 식(2)의 관계에 있는 스펀본드 부직포이다. 상기 식(2)의 값이 0.6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66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67 이상이면, 부직포의 요철이 작아져서 플리츠 가공시, 플리츠의 산곡형 형상이 샤프하게 마무리된다. 한편, 상기 식(2)의 값이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80 이하이면, 부직포 내에 융착부와 비융착부가 공존하여 통기성과 강성의 밸런스가 취해진 부직포가 얻어진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일표면으로부터 타표면까지의 두께(tA)와, 오목부의 일표면으로부터 타표면까지의 두께(tB)와 상기 식(1)의 값, 및, 볼록부의 일표면으로부터 오목부의 일표면까지의 거리를 각각 (tC), (tD) (tC<tD)와 상기 식(2)의 값은 이하와 같이 해서 구한 값을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i)임의의 융착부(오목부)에 있어서, MD 방향의 중심선과 CD 방향의 중심선의 교점을 융착부(오목부)의 중심점으로 한다.
(ii)상기의 융착부(오목부)의 중심점을 지나고, CD 방향과 평행한 직선을 긋는다.
(iii)상기의 융착부(오목부)의 중심점으로부터 0.5cm 떨어진 상기 직선 상의 2점을 기점으로 해서, MD 방향을 따라 직선을 1.0cm 긋고, 그 끝점끼리를 연결하는 직선을 긋는다.
(iv) (i)∼(iii)에서 형성된 1.0cm×1.0cm의 정방형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을 면도날로 잘라낸다.
(v)동일하게 해서 스펀본드 부직포 내의 임의의 장소로부터 1.0cm×1.0cm의 측정 샘플을 합계 100개 채취한다.
(vi)주사형 전자현미경(SEM)(예를 들면 기엔스사제 「VHX-D500))을 사용해서 측정 샘플 내의 융착부를 중심으로 하고, 단면을 배율 100배로 조절해서 관찰하여 촬영한다.
(vii)인접하는 비융착부(볼록부)의 최정부 2점으로부터 접선을 긋고, 그 접선에 대한 평행선간의 거리로부터 하기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단면 두께(tA∼tD)의 길이(tC<tD)를 측정한다.
tA:일표면으로부터 타표면까지의 비융착부(볼록부) 최정부간 거리
tB:일표면으로부터 타표면까지의 융착부(오목부) 최정부간 거리
tC, tD:일표면의 비융착부(볼록부) 최정부-융착부(오목부) 최정부간 거리(tC<tD)
(viii)측정 결과로부터 tB/tA, tC/tD의 비율을 산출한다.
(ix)각 측정 샘플로부터 얻어지는 tB/tA, tC/tD의 산술 평균값을 산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150g/㎡ 이상 300g/㎡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면적당 질량이 150g/㎡ 이상이면, 플리츠에 필요한 강성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단위면적당 질량이 300g/㎡ 이하, 바람직하게는 270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60g/㎡ 이하이면, 압력손실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비용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단위면적당 질량은 세로 50cm×가로 50cm의 사이즈의 시료를 3개 채취해서 각 질량을 각각 측정하고, 얻어진 값의 평균값(g)을 단위면적당(1㎡)으로 환산하고, 소수점 이하 제1자리를 사사오입함으로써 구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두께는 0.50mm 이상 0.8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mm 이상 0.78mm 이하이다. 두께를 0.50mm 이상으로 함으로써, 강성을 향상시켜서, 필터로서의 사용에 적합한 부직포로 할 수 있다. 또한 두께를 0.80mm 이하로 함으로써, 필터로서의 핸들링성이나 가공성이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스펀본드 부직포의 두께(mm)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되어서 얻어지는 값을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i)두께계(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로크제 "TECLOCK"(등록상표) SM-114 등)를 사용해서 부직포의 두께를 CD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10점 측정한다.
(ii)상기 산술 평균값으로부터 소수점 이하 제3자리를 사사오입해서 부직포의 두께(mm)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겉보기 밀도는 0.25g/㎤ 이상 0.4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겉보기 밀도가 0.25g/㎤ 이상 0.40g/㎤ 이하이면, 스펀본드 부직포는 치밀한 구조로 되어 더스트가 내부에 들어가기 어렵고, 더스트 떨어짐성이 우수하다. 보다 바람직한 겉보기 밀도의 범위는 0.26g/㎤ 이상 0.38g/㎤ 이하의 범위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스펀본드 부직포의 겉보기 밀도(g/㎤)는 상기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질량, 두께의 값으로부터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해진 값의 소수점 이하 제3자리를 사사오입한 값을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겉보기 밀도(g/㎤)=단위면적당 질량(g/㎡)/두께(mm)/100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분진의 포집 성능과 통기성의 밸런스를 양립하고, 또한 강성, 및 플리츠 가공성이 우수하므로,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 집진기 플리츠 필터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부직포 단체로, 유량이 300L/분을 초과하는 대풍량 하에서의 분진 포집과 반복의 역세에 견딜 수 있는 플리츠 형상 유지성이 필요로 되는,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용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용 필터로서 특히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는 예를 들면 상기의 스펀본드 부직포를 플리츠 형상으로 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이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는 그 전체를 원통형상으로 한 후에, 원통의 상단과 하단이 고정되어서 이루어지는, 원통형 집진기 필터, 또는 금속재료나 고분자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각형이나 환형이라는 프레임재의 내벽에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의 단부가 고정되어서 이루어지는, 패널형 집진기 필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는 상기의 집진기용 플리츠 필터를 사용한 것이며, 특히, 유량 300L/분을 초과하는 대풍량 하에서의 분진 포집과 반복의 역세를 행하는,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이다. 이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의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의 집진기 필터는 1개의 집진기 필터당의 유량이 3.0L/분 이상 5.0L/분 이하, 1개의 집진기 필터에 가해지는 처리 공기의 압력이 0.5㎫ 이상 0.7㎫ 이하의 분위기 하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는 집진 대상 설비로부터의 집진을 여과하는 적어도 1개의 집진기 필터를 구비하고, 집진기 필터의 내측면에 압축공기를 펄스상으로 분사해서 필터의 외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떨어뜨리는 펄스제트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펄스제트 기구는 집진기의 송풍기용 모터가 운전하고 있는 동안에 가동할 수 있는, 온라인 펄스 방식의 기구로 해도 좋고, 집진을 중단한 상태 동안 가동할 수 있는, 오프라인 펄스 방식의 기구로 해도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상세를 더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 방법]
하기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특성값은 다음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단, 각 물성의 측정에 있어서, 특별히 기재가 없는 것은 상기의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을 행한 것이다.
(1)폴리에스테르의 융점(℃)
시차 주사형 열량계로서, 가부시키가이샤 퍼킨엘머 재팬제 「DSC-2형」을 사용했다.
(2)폴리에스테르의 고유 점도(IV)
폴리에스테르의 고유 점도(IV)는 다음 방법으로 측정했다.
오르소클로로페놀 100mL에 대해서 시료 8g을 용해하고, 온도 25℃에 있어서 오스왈드 점도계를 이용하여 상대 점도 ηr을 하기 식에 의해 구했다.
ηr=η/η0=(t×d)/(t0×d0)
(여기에서, η은 폴리머 용액의 점도, η0은 오르소클로로페놀의 점도, t는 용액의 낙하 시간(초), d는 용액의 밀도(g/㎤), t0은 오르소클로로페놀의 낙하 시간(초), d0은 오르소클로로페놀의 밀도(g/㎤)를 각각 나타낸다.) 이어서, 상대 점도 ηr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고유 점도(IV)를 산출했다.
고유 점도(IV)=0.0242ηr+0.2634
(3)스펀본드 부직포의 단면의 두께(mm)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 횡단면을 융착부(오목부)의 중심점을 지나도록 단면을 면도날에 의해 절단하고, 그 단면을 가부시키가이샤 기엔스제 주사형 전자현미경(형번:VHX-950F)에 의해 촬영하고, 인접하는 비융착부(볼록부)의 최정부 2점으로부터 접선을 긋고, 그 접선에 대한 평행선간의 거리로부터 부직포 시트 단면 두께(tA∼tD)의 길이(tC<tD)를 측정하고, tB/tA, tC/tD의 비율을 산출했다. 이 비율에 있어서의 각종 선분의 측정은 화상촬영에 사용한 현미경 소프트웨어 부속의 계측 기능을 사용해서 산출했다. 본 산출은 부직포의 상이한 위치 5개소로부터 채취한 시트에 대해서 측정하고, 그 평균을 구했다.
·tA:일표면으로부터 타표면까지의 비융착부(볼록부) 최정부간 거리
·tB:일표면으로부터 타표면까지의 융착부(오목부) 최정부간 거리
·tC, tD:일표면의 비융착부(볼록부) 최정부-융착부(오목부) 최정부간 거리(tC<tD)
(4)스펀본드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질량(g/㎡)
스펀본드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질량은 상기의 방법으로 산출했다.
(5)스펀본드 부직포의 두께(mm)
두께계로서,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로크제 "TECLOCK"(등록상표) SM-114를 사용했다.
(6)스펀본드 부직포의 겉보기 밀도(g/㎤)
스펀본드 부직포의 겉보기 밀도는 「(4)스펀본드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질량(g/㎡)」에서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질량과 「(5)스펀본드 부직포의 두께(㎛)」에서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두께로부터 상기의 방법으로 산출했다.
(7)스펀본드 부직포의 통기량(㎤/(㎠·초))
통기량의 측정에는 스위스·텍스 테스트사제 통기성 시험기 「FX3300-III」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8)스펀본드 부직포의 통기량 CV값(%)
스펀본드 부직포의 통기량 CV값의 측정에는 스위스·텍스 테스트사제 통기성 시험기 「FX3300-III」를 이용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산출했다.
(9)스펀본드 부직포의 MD 방향의 강연도(mN)
스펀본드 부직포의 MD 방향의 강연도는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에이 세이키 세이사쿠쇼제 걸리·유연도 시험기 「GAS-10」을 사용해서 측정했다.
(10)스펀본드 부직포의 플리츠 가공성(점)
(1)스펀본드 부직포를 240mm 폭으로 자르고, 이 스펀본드 부직포를 150℃로 가열해서 압축하면서, 플리츠 성형체의 정점부의 능선으로부터 다음 정점부의 능선까지의 거리가 35mm가 되도록 플리츠 가공하여 플리츠 성형체를 얻었다.
(2)이 플리츠 성형체를 폴리프로필렌제의 다공성 원통형 코어에 45산 감고, 플리츠 성형체의 단끼리를 가열 시일한 후, 원통형 상의 양단에 사출성형으로 제작한 캡을 접착시켜서 플리츠 필터를 제작했다.
(3)패널리스트 20명이 제작한 플리츠 필터의 외관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부직포의 플리츠 가공성을 하기 기준의 5단계 평가로 판단했다. 따라서 합계 점수는 최저 0점으로부터 최고 100점이 되고, 80점 이상을 합격이라고 판단했다.
5점: 매우 좋다
(플리츠 성형체의 산끼리의 접촉이나 플리츠 형상에 변형이 없고, 이웃하는 산이 평행하게 직선으로 배열되어 있다.)
4점: 좋다
(5점과 3점의 중간)
3점
(플리츠 성형체의 산끼리의 접촉은 없지만, 플리츠 형상에 변형이 있다.)
2점
(3점과 1점의 중간)
1점
(플리츠 형상에 변형이 있고, 플리츠 성형체의 산끼리가 접촉하고 있다.)
(11)스펀본드 부직포의 보풀 발생(점)
(1)스펀본드 부직포로부터 MD 방향 250mm×CD 방향 25mm의 시료를 스펀본드 부직포의 CD 방향 등간격으로 5점, 스펀본드 부직포의 표리 각 1매의 합계 10매 잘라낸다.
(2)학진형 염색물 마모견뢰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하중 300gf, 마모 횟수 200왕복으로 마모시킨다.
(3)패널리스트 20명이 시험 후의 스펀본드 부직포를 육안 및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의 촉감으로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의 보풀 발생을 하기 기준의 5단계 평가로 판단했다. 각각의 패널리스트가 판단한 합계의 점수로, 스펀본드 부직포의 보풀 발생성을 평가했다. 따라서 합계 점수는 최저 0점으로부터 최고 100점이 되고, 80점 이상을 합격이라고 판단했다.
5점: 매우 좋다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에 보풀이 발생하고 있지 않고,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에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이 보슬보슬한 촉감이며, 손가락에 저항을 느끼지 않는다.)
4점: 좋다
(5점과 3점의 중간)
3점:보통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에 보풀이 발생하고 있지 않지만,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에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에 거슬거슬한 것 같은 촉감이 있고, 손가락에 저항을 느낀다.)
2점: 나쁘다
(3점과 1점의 중간)
1점: 매우 나쁘다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에 보풀이 발생하고,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에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에 거슬거슬한 것 같은 촉감이 있고, 손가락에 저항을 느낀다.)
(12)스펀본드 부직포의 포집 성능(%)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집 성능 시험을 실시하는 시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시험 시스템(31)은 시험 샘플(M)을 셋트하는 샘플 홀더(32)와, 유량계(33)와, 유량 조정 밸브(34)와, 블로어(35)와, 더스트 공급 장치(36)와, 스위칭 코크(37)와, 파티클 카운터(38)를 구비한다. 유량계(33), 유량 조정 밸브(34), 블로어(35) 및 더스트 공급 장치(36)는 샘플 홀더(32)와 연결되어 있다. 유량계(33)는 유량 조정 밸브(34)를 통해 블로어(35)에 접속하고 있다. 샘플 홀더(32)에는 블로어(35)의 흡기에 의해, 더스트 공급 장치(36)로부터 더스트가 공급된다. 샘플 홀더(32)에 파티클 카운터(38)를 접속하고, 스위칭 코크(37)를 통해 시험 샘플(M)의 상류측의 더스트 개수와 하류측의 더스트 개수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우선, 부직포의 임의의 부분으로부터 15cm×15cm의 샘플을 3개 채취하고, 채취한 시험 샘플(M)을 샘플 홀더(32)에 셋트한다. 시험 샘플의 평가 면적은 115㎠로 했다. 포집 성능의 측정에 있어서는 폴리스티렌 0.309U 10중량% 용액(나카라이테스크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증류수로 200배까지 희석하고, 더스트 공급 장치(36)에 충전했다. 풍량을 필터 통과 속도가 3.0m/min이 되도록 유량 조정 밸브(9)로 조정하고, 더스트 농도를 2만∼7만개/(2.83×10-4m3(0.01ft3))의 범위에서 안정시켜서, 시험 샘플(M)의 상류의 더스트 개수 및 하류의 더스트 개수를 파티클 카운터(38)(리온 가부시키가이샤제, KC-01D)로 더스트 입경 0.3∼0.5㎛의 범위에 대해서 각각 측정했다. 얻어진 값을 하기 계산식에 대입해서 구한 수치의 소수점 이하 제1자리를 사사오입해서 포집 성능(%)을 구했다.
포집 성능(%)=〔1-(D1/D2)〕×100
여기에서, D1:하류의 더스트 개수(3회의 합계), D2:상류의 더스트 개수(3회의 합계)이다.
(13)플리츠 형상 유지성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리츠 형상 유지성 시험을 실시하는 시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시험 시스템(41)은 시험 샘플을 셋트하는 샘플 홀더(42)와, 압력계(43)와, 유량계(44)와, 유량 조정 밸브(45)와, 블러워(46)를 구비한다. 유량계(44), 유량 조정 밸브(45), 및 블러워(46)는 샘플 홀더(42)와 연결되어 있다. 이 시험 시스템(41)에서는 블러워(46)에 의해 에어가 보내지고, 에어 취출구(47)로부터 화살표(48)의 방향으로 에어가 배출된다.
우선, 스펀본드 부직포를 산높이가 48mm가 되도록 플리츠 가공한다. 다음에 도 5와 같이, 플리츠 기재를 산 피치(51)가 1.3mm, 산 수가 23개가 되도록, 유닛 세로길이(52)를 30cm, 유닛 가로길이(53)를 30cm, 유닛 높이(54)를 48mm가 되는 프레임재(55)로 둘러싼 평가용 유닛(U)을 3개 작성한다. 프레임재(55)는 측정시에 상기 프레임재(55)로부터의 에어 누설이 없는 소재이면, 특별히 지정은 되지 않는다. 다음에 작성한 평가용 유닛(U)을 샘플 홀더(42)에 셋트한다. 풍량을 2.0, 4.0, 5.0, 6.0, 7.0㎥/min(계 5점)이 되도록 유량 조정 밸브(45)로 조정하고, 각 유량에 있어서의 압력손실을 측정했다. 평가용 유닛(U) 3개의 압력손실 측정 결과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풍속을 가로축, 압력손실을 세로축에 취한 그래프를 작성하여 선형 2승 근사로 결정 계수(R2)를 산출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플리츠 형상 유지성 A: R2>0.995
·플리츠 형상 유지성 B: 0.990≤R2≤0.995
·플리츠 형상 유지성 C: R2<0.990
플리츠 형상 유지성의 평가는 A를 양호, B를 A에 다음으로 양호, C를 불량으로 했다. 또, 표 1, 표 2에 있어서, A·B·C의 평가 후의 괄호 내의 숫자는 상기의 결정 계수(R2)의 값이다.
플리츠 형상 유지성이 높은 부직포에서는 대풍량 하에 있어서도 플리츠가 변형하지 않고 여과 면적이 감소하지 않으므로, 압력손실은 풍량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그 때문에 결정 계수(R2)는 1에 가까워진다. 한편, 플리츠 형상 유지성이 낮은 부직포에서는 대풍량이 됨에 따라 플리츠가 풍압에 의해 붕괴 유효 여과 면적이 감소하고, 압력손실이 상승하므로, 선형 상승하지 않고 결정 계수(R2)가 낮아진다.
(14)압력손실(Pa)
상기 포집 성능 측정시의 시험 샘플(M)의 상류와 하류의 정압차를 압력계(39)로 판독하고, 3샘플로부터 얻어진 값의 평균값의 소수점 이하 제1자리를 사사오입해서 산출했다.
[사용한 수지]
다음에 실시예·비교예에 있어서 사용한 수지에 대해서, 그 상세를 기재한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수분율 50질량ppm 이하로 건조한, 고유 점도(IV)가 0.65이며 융점이 26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B:수분율 50질량ppm 이하로 건조한 고유 점도(IV)가 0.64, 이소프탈산 공중합율이 11mol%이고 융점이 230℃인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CO-PET)
[실시예 1]
상기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와 상기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B를 각각 295℃와 280℃의 온도에서 용융시켰다. 그 후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를 심성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B를 초성분으로 해서, 구금 온도가 295℃이며, 심:초=80:20의 질량비율로 세공으로부터 방출한 후, 에어 사커에 의해 방사속도 4900m/분으로 원형 단면 형상의 필라멘트를 방사하고, 이동하는 네트 컨베이어 상에 개섬판에 의해 섬유배열을 규제하여 퇴적시켜서, 평균 단섬유 직경이 14.8㎛인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 웹을 포집했다. 포집한 섬유 웹에 한쌍의 플랫 롤로 이루어지는 캘린더 롤에 의해, 온도가 140℃이며, 선압이 50kg/cm인 조건으로 가융착했다. 또한 계속해서, 융착면적률 10%, 융착부 1개당 면적이 1.6㎟가 되는 한쌍의 조각 롤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롤을 사용하고, 상하의 엠보스 롤의 온도를 모두 200℃로 해서 섬유 웹에 가해지는 선압이 70kg/cm가 되는 조건으로 융착시켜서, 단위면적당 질량이 260g/㎡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시트 단면 두께인 1-tB/tA와 tC/tD는 각각 0.67, 0.68, 통기량 CV값은 7.3%, 시트 두께는 0.74mm, MD 방향의 강연도는 53mN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2]
상하의 엠보스 롤의 온도를 모두 200℃로부터 180℃로 변경하여 융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해서, 단위면적당 질량이 260g/㎡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시트 단면 두께인 1-tB/tA와 tC/tD는 각각 0.53, 0.66, 통기량 CV값은 7.6%, 시트 두께는 1.02mm, MD 방향의 강연도는 57mN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상하의 엠보스 롤의 온도를 모두 200℃로부터 각각 180, 210℃로 변경하여 융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해서, 단위면적당 질량이 260g/㎡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시트 단면 두께인 1-tB/tA와 tC/tD는 각각 0.70, 0.82, 통기량 CV값은 7.5%, 시트 두께는 0.93mm, MD 방향의 강연도는 61mN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상하의 엠보스 롤을, 융착면적률 10%, 융착부 1개당의 면적이 1.6㎟가 되는 한쌍의 조각 롤로부터 융착면적률 6%, 융착부 1개당의 면적이 1.6㎟가 되는 한쌍의 조각 롤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롤로 교체해서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해서, 단위면적당 질량이 260g/㎡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시트 단면 두께인 1-tB/tA와 tC/tD는 각각 0.79, 0.66, 통기량 CV값은 7.2%, 시트 두께는 1.21mm, MD 방향의 강연도는 73mN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상하의 엠보스 롤을, 융착면적률 10%, 융착부 1개당의 면적이 1.6㎟가 되는 한쌍의 조각 롤로부터 융착면적률 18%, 융착부 1개당의 면적이 1.6㎟가 되는 한쌍의 조각 롤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롤로 교체해서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해서, 단위면적당 질량이 260g/㎡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시트 단면 두께인 1-tB/tA와 tC/tD는 각각 0.68, 0.73, 통기량 CV값은 8.7%, 시트 두께는 0.73mm, MD 방향의 강연도는 41mN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평균 단섬유 직경이 24.6㎛가 되도록 토출량, 방출 속도를 변경한 한편, 단위면적당 질량을 실시예 1과 같게 하기 위해서 네트 컨베이어의 속도를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단위면적당 질량이 260g/㎡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시트 단면 두께인 1-tB/tA와 tC/tD는 각각 0.52, 0.69, 통기량 CV값은 10.8%, 시트 두께는 0.96mm, MD 방향의 강연도는 53mN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특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실시예 1∼6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모두 MD 방향의 강연도가 41mN 이상, 통기량 CV값이 11.0% 이하, 포집 효율이 50% 이상이며, 강성이나 통기량 균일성, 포집 효율이 우수하고, 스펀본드 부직포로서 양호한 특성을 나타낸 것이었다. 또한 플리츠 가공성, 플리츠 형상 유지성, 압력손실 및 보풀 발생성의 결과도, 플리츠 가공성은 87점 이상, 플리츠 형상 유지성은 B 이상, 압력손실은 50Pa 이하, 보풀 발생성도 87점 이상으로 모두 양호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포집한 섬유 웹을 가융착하는 공정과 엠보스 롤을 이용하여 융착하는 공정 사이에, 가융착하는 공정에서 얻어진 시트를 한번 권취한 후에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이 시트를 엠보스 롤로 보내는 공정을 설치하도록 바꾼 것, 즉, 엠보스 롤을 사용해서 융착하는 공정을 가융착 공정에 계속해서 행하지 않도록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해서, 단위면적당 질량이 260g/㎡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시트 단면 두께인 1-tB/tA와 tC/tD는 각각 0.40, 0.69, 통기량 CV값은 10.5%, 시트 두께는 0.72mm, MD 방향의 강연도는 37mN이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비교예 2]
상하의 엠보스 롤을 융착면적률 10%, 융착부 1개당의 면적이 1.6㎟가 되는 한쌍의 조각 롤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롤로부터, 융착면적률 15%, 융착부 1개당의 면적이 0.5㎟가 되는 조각 롤과 플랫 롤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롤로 교체하여 융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해서, 단위면적당 질량이 260g/㎡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시트 단면 두께인 1-tB/tA와 tC/tD는 각각 0.61, 0.45, 통기량 CV값은 16.9%, 시트 두께는 0.61mm, MD 방향의 강연도는 25mN이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상하의 엠보스 롤을, 융착면적률 10%, 융착부 1개당의 면적이 1.6㎟가 되는 한쌍의 조각 롤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롤로부터, 융착면적률 3%, 융착부 1개당의 면적이 1.6㎟가 되는 한쌍의 조각 롤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롤로 교체하여 융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해서, 단위면적당 질량이 260g/㎡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시트 단면 두께인 1-tB/tA와 tC/tD는 각각 0.79, 0.62, 통기량 CV값은 8.9%, 시트 두께는 1.13mm, MD 방향의 강연도는 85mN이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상하의 엠보스 롤을, 융착면적률 10%, 융착부 1개당의 면적이 1.6㎟가 되는 한쌍의 조각 롤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롤로부터, 융착면적률 24%, 융착부 1개당의 면적이 1.6㎟가 되는 한쌍의 조각 롤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롤로 교체하여 융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해서, 단위면적당 질량이 260g/㎡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시트 단면 두께인 1-tB/tA와 tC/tD는 각각 0.65, 0.55, 통기량 CV값은 15.2%, 시트 두께는 0.62mm, MD 방향의 강연도는 21mN이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5]
평균 단섬유 직경이 29.2㎛가 되도록 토출량, 방출 속도를 변경한 한편, 단위면적당 질량을 실시예 1과 같게 하기 위해서 네트 컨베이어의 속도를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단위면적당 질량이 260g/㎡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시트 단면 두께인 1-tB/tA와 tC/tD는 각각 0.45, 0.68, 통기량 CV값은 15.6%, 시트 두께는 1.01mm, MD 방향의 강연도는 81mN이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6]
평균 단섬유 직경이 11.2㎛가 되도록 토출량, 방출 속도를 변경한 한편, 단위면적당 질량을 실시예 1과 같게 하기 위해서 네트 컨베이어의 속도를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단위면적당 질량이 260g/㎡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시트 단면 두께인 1-tB/tA와 tC/tD는 각각 0.70, 0.69, 통기량 CV값은 7.0%, 시트 두께는 0.53mm, MD 방향의 강연도는 36mN이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7]
상기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와 상기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B를 각각 295℃와 280℃의 온도에서 용융시켰다. 그 후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를 심성분으로 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B를 초성분으로 해서, 구금 온도가 300℃이며, 심:초=80:20의 질량비율로 세공으로부터 방출한 후, 에어 사커에 의해 방사속도 4400m/분으로 원형 단면형상의 필라멘트를 방사하고, 에어 사커 출구에 설치된 금속 충돌판에 필라멘트를 충돌시켜서, 마찰대전에 의해 섬유를 대전해서 개섬시켜서, 평균 단섬유 직경이 14.8㎛인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 웹이 이동하는 네트 컨베이어 상에 포집했다. 또한 계속해서 융착면적률 18%, 융착부 1개당의 면적이 0.7㎟가 되는 한쌍의 조각 롤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롤에 의해, 상하의 엠보스 롤의 온도를 205℃로 하고, 섬유 웹에 따른 선압이 70kg/cm가 되는 조건으로 융착해서 단위면적당 질량이 260g/㎡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시트 단면 두께인 1-tB/tA와 tC/tD는 각각 0.61, 0.57, 통기량 CV값은 17.4%, 시트 두께는 0.51mm, MD 방향의 강연도는 25mN이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지만, 비교예 1은 시트 단면 두께(1-tB/tA)가 낮고, 보풀 발생성, 플리츠 형상 유지성이 열위였다. 비교예 2, 3, 4, 7은 시트 단면 두께(tC/tD)가 낮고, 플리츠 가공성이 열위이며, 비교예 2, 3, 7에 있어서는 플리츠 형상 유지성도 열위였다. 비교예 2, 4, 5, 7은 통기량 CV값이 높고, 비교예 4, 5, 7에 있어서는 포집 효율도 열위였다. 비교예 2의 편면조각 롤에 의해 융착을 실시한 것에서는 강연도가 낮아지고, 플리츠 가공성이 열위였다. 비교예 3의 융착면적률 3%의 엠보스 롤로 융착을 실시한 것에서는 두께가 두꺼워지고, MD 방향의 강연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고, 플리츠 가공성이 열위였다. 비교예 4의 융착면적률 24%의 엠보스 롤로 융착을 실시한 것에서는 두께가 얇기 때문에, MD 방향의 강연도가 낮고, 플리츠 가공성이 열위였다. 비교예 5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평균 단섬유 직경을 굵게 한 것에서는 두께가 두꺼워지고, MD 방향의 강연도가 높고, 플리츠 가공성이 열위였다. 비교예 6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평균 단섬유 직경을 가늘게 한 것에서는 두께가 얇기 때문에, 강연도가 낮고, 플리츠 가공성이 열위였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 집진기 플리츠 필터 및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는 분진의 포집 성능과 통기성의 밸런스를 양립하면서, 또한 대풍량 하에서의 플리츠 형상 유지성과 플리츠 가공성이 우수한 높은 강성을 갖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지만, 적용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11 볼록부(비융착부)
12 오목부(융착부)
21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
22 산부
23 곡부
24 MD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파선 화살표)
25 CD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파선 화살표)
31, 41 시험 시스템
M 시험 샘플
32 샘플 홀더
33 유량계
34 유량 조정 밸브
35 블로어
36 더스트 공급 장치
37 스위칭 코크
38 파티클 카운터
39 압력계
42 샘플 홀더
43 압력계
44 유량계
45 유량 조정 밸브
46 블로어
47 에어 취출구
48 에어 취출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U 평가용 유닛
51 산 피치
52 유닛 세로 길이
53 유닛 가로 길이
54 유닛 높이
55 프레임재

Claims (6)

  1. 고융점 성분과 저융점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로 구성되고, 부분적으로 융착되어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로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통기량 CV값이 15% 이하, MD 방향의 강연도가 40mN 이상 80mN 이하이며,
    비융착의 볼록부와, 융착되어서 이루어지는 오목부를 갖고,
    부직포 단면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일표면으로부터 타표면까지의 두께(tA)와, 상기 오목부의 일표면으로부터 타표면까지의 두께(tB)와, 상기 볼록부의 일표면으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일표면까지의 거리를 각각 tC, tD(tC<tD)로 하고, 하기 식 (1), (2)로 나타내어지는 관계에 있는 스펀본드 부직포.
    0.5≤1-tB/tA<1.0···(1)
    0.65<tC/tD<1.0···(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융착면적의 비율이 5% 이상 20% 이하인 스펀본드 부직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연속 필라멘트의 평균 단섬유 직경이 12.0㎛ 이상 26.0㎛ 이하인 스펀본드 부직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펀본드 부직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
  5. 제 4 항에 기재된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집진기 플리츠 필터.
  6. 제 5 항에 기재된 집진기 플리츠 필터를 사용한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
KR1020227019082A 2019-12-23 2020-12-23 스펀본드 부직포,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 집진기 플리츠 필터 및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 Pending KR202201102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31586 2019-12-23
JPJP-P-2019-231586 2019-12-23
PCT/JP2020/048313 WO2021132410A1 (ja) 2019-12-23 2020-12-23 スパンボンド不織布、集塵機プリーツフィルター用濾材、集塵機プリーツフィルターおよび大風量パルスジェットタイプ集塵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210A true KR20220110210A (ko) 2022-08-05

Family

ID=7657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082A Pending KR20220110210A (ko) 2019-12-23 2020-12-23 스펀본드 부직포,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 집진기 플리츠 필터 및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410046A1 (ko)
EP (1) EP4083294A4 (ko)
JP (1) JP6962496B1 (ko)
KR (1) KR20220110210A (ko)
CN (1) CN114846189B (ko)
CA (1) CA3165603A1 (ko)
WO (1) WO20211324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46276B2 (en) * 2019-12-23 2025-03-11 Toray Industries, Inc. Spunbond non-woven fabric, filter material for pleated filter for dust collector, pleated filter for dust collector, and large air volume pulse-jet type dust collector
JP7631789B2 (ja) 2019-12-23 2025-02-19 東レ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集塵機プリーツフィルター用濾材、集塵機プリーツフィルターおよび大風量パルスジェットタイプ集塵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2671B2 (ja) 2003-06-18 2010-08-11 ユニチカ株式会社 フィルター用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5298803B2 (ja) 2008-11-20 2013-09-25 東レ株式会社 フィルター用不織布
JP5422874B2 (ja) 2006-02-01 2014-02-19 東レ株式会社 フィルター用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2874B2 (ko) 1972-08-30 1979-08-09
US6485811B1 (en) * 1994-09-28 2002-11-26 Toray Industries, Inc. Nonwoven fabric for pleated filters, and a production process therefor
JP3339283B2 (ja) * 1996-01-19 2002-10-28 東レ株式会社 エアーフィルター用不織布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エアーフィルター装置
DE19628184A1 (de) * 1996-07-12 1998-01-15 Irema Filter Gmbh Partikelfilter in Form eines plissierten schichtförmigen Vliesmaterials
WO1999013150A1 (fr) * 1997-09-11 1999-03-18 Toray Industries, Inc. Tissu
JPH11293555A (ja) * 1998-04-14 1999-10-26 Unitika Ltd 通気性に優れた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不織布からなるフィルター材
EP1932575B1 (en) * 2005-10-04 2014-11-26 Toray Industries, Inc. Nonwoven fabric for filters
WO2007088824A1 (ja) * 2006-02-01 2007-08-09 Toray Industries, Inc. フィルター用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8149737A1 (ja) * 2007-05-31 2008-12-11 Toray Industries, Inc. 円筒状バグフィルター用不織布、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からなる円筒状バグフィルター
KR101012401B1 (ko) * 2008-06-04 2011-02-09 (주) 신우피앤씨 고통기성 단섬유 부직포 지지체를 포함하는 공기필터 및 그제조방법
US20180245253A1 (en) * 2015-09-03 2018-08-30 Toray Industries, Inc. Spunbond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JP2017127832A (ja) * 2016-01-22 2017-07-27 東レ株式会社 フィルター用不織布
WO2018221122A1 (ja) * 2017-05-30 2018-12-06 東レ株式会社 フィルター用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3102518A1 (en) * 2018-06-25 2020-01-02 Toray Industries, Inc. Spunbond nonwoven fabric for use in filt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2671B2 (ja) 2003-06-18 2010-08-11 ユニチカ株式会社 フィルター用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5422874B2 (ja) 2006-02-01 2014-02-19 東レ株式会社 フィルター用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98803B2 (ja) 2008-11-20 2013-09-25 東レ株式会社 フィルター用不織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132410A1 (ja) 2021-12-23
CA3165603A1 (en) 2021-07-01
WO2021132410A1 (ja) 2021-07-01
US20220410046A1 (en) 2022-12-29
CN114846189B (zh) 2023-03-28
JP6962496B1 (ja) 2021-11-05
EP4083294A4 (en) 2023-06-14
CN114846189A (zh) 2022-08-02
EP4083294A1 (en)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9315B1 (ja) フィルター用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80376B2 (ja) フィルター用スパンボンド不織布の製造方法
US8308833B2 (en) Nonwoven fabric for filters
CN114867897B (zh) 纺粘无纺布、过滤器层叠滤材及褶皱过滤器、集尘器
KR20220110210A (ko) 스펀본드 부직포,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 집진기 플리츠 필터 및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
KR20220112773A (ko) 스펀본드 부직포, 집진기 플리츠 필터용 여과재, 집진기 플리츠 필터 및 대풍량 펄스제트 타입 집진기
JP7552346B2 (ja) 自動車オイルフィルター用スパンボンド不織布、自動車オイルフィルター用濾材および自動車オイルフィルター
JP2022132085A (ja) 積層不織布、フィルター用濾材、集塵機用プリーツフィルター、ならびに、パルスジェットタイプ集塵機
JP2021098929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集塵機プリーツフィルター用濾材、集塵機プリーツフィルターおよび大風量パルスジェットタイプ集塵機
JP2021098195A (ja) フィルター用スパンボンド不織布、粉体塗装フィルター用濾材および粉体塗装フィルター
JP2021098928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フィルター積層濾材、集塵機プリーツフィルター用濾材、集塵機プリーツフィルターおよび中風量パルスジェットタイプ集塵機
JP7631789B2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集塵機プリーツフィルター用濾材、集塵機プリーツフィルターおよび大風量パルスジェットタイプ集塵機
JP7593099B2 (ja) プリーツ成形体、集塵機フィルターおよび大風量パルスジェットタイプ集塵機
WO2021132409A1 (ja) フィルター用スパンボンド不織布、粉体塗装フィルター用濾材および粉体塗装フィルター
WO2021132411A1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フィルター積層濾材、プリーツフィルター用濾材およびプリーツフィルター
JP7552345B2 (ja) フィルター用スパンボンド不織布、自動車オイルフィルター用濾材および自動車オイルフィルター
JP2021098927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集塵機プリーツフィルター用濾材、集塵機プリーツフィルターおよび大風量パルスジェットタイプ集塵機
JP2021098924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プリーツ成形体、集塵機フィルターおよび大風量パルスジェットタイプ集塵機
JP2021098926A (ja) プリーツ成形体、集塵機プリーツフィルターおよび大風量パルスジェットタイプ集塵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