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06799A - Dna-pk 억제제로서의 피리미도이미다졸계 화합물 - Google Patents

Dna-pk 억제제로서의 피리미도이미다졸계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799A
KR20220106799A KR1020227021633A KR20227021633A KR20220106799A KR 20220106799 A KR20220106799 A KR 20220106799A KR 1020227021633 A KR1020227021633 A KR 1020227021633A KR 20227021633 A KR20227021633 A KR 20227021633A KR 20220106799 A KR20220106799 A KR 20220106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mmol
reaction
solution
reaction solu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빈 엑스 첸
샹후아 시아
자오구오 첸
주하오 구오
얀신 유
카이 조우
보유 후
리 장
펜 지앙
징징 왕
구오핑 후
지안 리
슈후이 첸
Original Assignee
메드샤인 디스커버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드샤인 디스커버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메드샤인 디스커버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220106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79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an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or 6, but not in both
    • C07D473/32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system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53/00 or C07D455/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861,4-Oxazines, e.g. morpholine spiro-condensed or forming part of bridged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6
    • C07D473/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6 one oxygen and one nitrogen atom, e.g. guan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DNA-PK 억제제이며, 구체적으로 식(IV)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DNA-PK 억제제 관련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이의 용도이다.
Figure pct00171

Description

DNA-PK 억제제로서의 피리미도이미다졸계 화합물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우선권을 주장한다:
CN201911164961.5, 출원일: 2019년 11월 25일,
CN202010209352.3, 출원일: 2020년 03월 23일,
CN202010911879.0, 출원일: 2020년 09월 02일,
CN202011269768.0, 출원일: 2020년 11월 13일.
본 발명은 DNA-PK 억제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식(IV)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DNA-PK 억제제 관련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NA 절단, 특히 이중 가닥 절단(DSBs)은 매우 심각한 손상으로서, 유전 물질의 손실, 유전자 재조합을 일으킴으로써 암 또는 세포 사멸을 유발하게 한다. 진핵 세포는 DNA 이중 가닥 절단으로 인한 심각한 위협에 대처하도록 DNA 손상 검출, 신호 전달 및 손상 복구를 주로 포함하는 DNA 손상 반응 메커니즘(DDR) 등 다양한 메커니즘이 진화되어 왔다. DNA 이중 가닥 절단 복구는 주로 상동 말단 연결(HR) 복구 및 비상동 말단 연결(NHEJ) 복구를 포함한다. 고등 진핵 생물에서는 우선적으로 초기 G1/S 단계에서 사용된 NHEJ 복구는 주요 메커니즘이 된다. MRN과 같은 DDR 초기 손상 인자는 손상 사이트를 검출하여 인식하고, 포스포이노시티드 키나아제 패밀리 구성원(ATM, ATR, DNA-PK)을 모집하며, H2AX를 인산화시켜 γH2AX의 형성을 촉진하도록 하고, 다운스트림 신호의 전달을 유도하여 관련 단백질을 모집함으로써 손상된 DNA가 복구되도록 한다.
포스포이노시티드-3-키나아제 관련 단백질(PI3K-related kinase, PIKK) 족에 속하는 DNA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의 촉매 서브유닛(DNA-PKcs)은 DNA 손상 복구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주로 DNA 이중 가닥 절단에 대한 비상동 말단 연결(NHEJ) 복구에 관련된 것이다. DNA 이중 가닥 손상 복구될 경우, Ku70/Ku80 이종이량체는 하나의 미리 형성된 채널을 통해 이중 가닥 손상 부위에 특이적으로 연결되고, 이중 가닥 절단을 인식하여 절단된 말단에 각각 결합한 후, ATP 의존적으로 DNA 가닥을 따라 각각 양단을 향해 일정한 거리를 슬라이딩하여 KU-DNA 복합체를 형성하며, DNA-PKcs를 이중 가닥 절단 부위에 모집하여 결합시키고, 그 후에 Ku 이량체는 내측으로 이동하여 DNA-PKcs를 활성화시키면서 그 자체를 인산화시키고, 마지막으로 인산화된 DNA-PKcs는 손상 신호 전달을 유도하여 PNKP, XRCC4, XLF, Pol X 및 DNA 리가제 IV 등과 같은 DNA 말단 처리에 관련된 단백질을 모집하여 이중 가닥 절단 복구를 수행하도록 한다.
현재, 종양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DNA 손상 화학 요법용 약물(예: 블레오마이신, 그리고 에토포사이드 및 독소루비신과 같은 토포이소머라제 II 억제제) 및 방사선 요법은 주요 메커니즘으로 DNA 분자에 치명적인 이중 가닥 절단을 일으키고 나아가 종양 세포 사멸을 유도함으로써 작용한다. 연구에 의하면, 방사선 및 화학 요법으로 치료된 종양 조직에서 DNA-PK의 높은 발현이 발견되고, DNA-PKcs의 활성 증가는 손상된 DNA의 복구를 어느 정도로 강화시켜 종양 세포 사멸을 저지하고 방사선 및 화학 요법에 대한 내성을 일으키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방사선 및 화학 요법으로 치료된 종양 조직에서 생존했던 세포는 치료에 민감하지 않고 DNA-PKcs 활성이 높은 세포인 경우가 많고, 이는 좋지 않은 치료 효과 및 나쁜 예후의 원인이기도 하다. DNA-PK 억제제는 방사선 및 화학 요법과의 병용에 의해, DNA-PKcs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으로써 종양 DNA 복구를 크게 줄이고 세포가 자멸사 과정에 들어가도록 유도하여 더 나은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ATM은 상동 말단 연결(HR) 복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종양 세포에 결함으로 인해 ATM이 결핍되면 DNA 절단 복구는 DNA-PKcs에 따른 NHEJ 복구에 더 의존하여 생존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DNA-PK 억제제는 다른 DNA 복구 경로 결함이 있는 종양에서 단일 약물로서 치료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DNA 복구 경로 결함이 있는 종양에서 단일 약물로서 치료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방사선 및 화학 요법과의 병용에 의해 방사선 및 화학 요법에 대한 종양 조직의 감수성을 강화시켜 약물 내성 문제를 극복하고 다양한 고형 종양 및 혈액 종양에 대한 억제 효 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DNA-PK 소분자 억제제를 발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좋은 활성을 갖고, 우수한 효과 및 역할을 나타내며, 넓은 전망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식(IV)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며: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구조 단위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
Figure pct00004
,
Figure pct00005
,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로부터 선택되고,
E1은 단일 결합, -O- 및 -C(R6R7)-로부터 선택되고,
R1, R2, R3, R4,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H, F 및 Cl로부터 선택되고,
또는 R1과 R2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또는 R3과 R4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또는 R1과 R4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또는 R2, R''는 이들이 공동으로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C3-5시클로알킬기를 형성하고,
R5는 F, Cl, Br, I, 시클로프로필기 및 C1-3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C1-3알킬기는 OH 또는 1, 2 또는 3개의 Ra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F, Cl, Br, I 및 CN으로부터 선택되고,
또는 R6, R7은 이들이 공동으로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시클로프로필기 또는 4원 옥세타닐기를 형성하고,
고리 A는 C3-5시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Y1은 시클로프로필기 및 C1-3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C1-3알킬기는 1, 2, 3, 4 또는 5개의 F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Ra는 H, F, Cl, Br 및 I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식(II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며:
Figure pct00016
상기 식에서,
구조 단위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
Figure pct00019
,
Figure pct00020
,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로부터 선택되고,
E1은 단일 결합, -O- 및 -C(R6R7)-로부터 선택되고,
R1, R2, R3, R4,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H, F 및 Cl로부터 선택되고,
또는 R1과 R2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또는 R3과 R4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또는 R1과 R4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또는 R2, R''는 이들이 공동으로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C3-5시클로알킬기를 형성하고,
R5는 F, Cl, Br, I, 시클로프로필기 및 C1-3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C1-3알킬기는 OH 또는 1, 2 또는 3개의 Ra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F, Cl, Br, I 및 CN으로부터 선택되고,
또는 R6, R7은 이들이 공동으로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시클로프로필기 또는 4원 옥세타닐기를 형성하고,
고리 A는 C3-5시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Ra는 H, F, Cl, Br 및 I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식(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며:
Figure pct00031
상기 식에서,
E1은 단일 결합, -O- 및 -C(R6R7)-로부터 선택되고,
R1, R2, R3, R4,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H, F 및 Cl로부터 선택되고,
또는 R1과 R2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또는 R3과 R4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또는 R1과 R4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038
Figure pct00039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또는 R2, R''는 이들이 공동으로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C3-5시클로알킬기를 형성하고,
R5는 F, Cl, Br, I, 시클로프로필기 및 C1-3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C1-3알킬기는 OH 또는 1, 2 또는 3개의 Ra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F, Cl, Br, I 및 CN으로부터 선택되고,
또는 R6, R7은 이들이 공동으로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시클로프로필기 또는 4원 옥세타닐기를 형성하고,
고리 A는 C3-5시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Ra는 H, F, Cl, Br, I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며:
Figure pct00040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F 및 Cl로부터 선택되고,
또는 R1과 R2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가 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또는 R3과 R4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가 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R5는 F, Cl, Br, I, 시클로프로필기 및 C1-3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C1-3알킬기는 OH 또는 1, 2 또는 3개의 Ra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Ra는 H, F, Cl, Br, I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Figure pct00045
Figure pct00046
Figure pct00047
Figure pct00048
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식에서, 고리 B는 C3-5시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고리 C는 시클로프로필기 또는 4원 옥세타닐기이고,
n은 0 및 1로부터 선택되고,
고리 A, R1, R2, R3, R4, R5, R6 및 R7은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Figure pct00049
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식에서, R5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R1과 R2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050
Figure pct00051
,
Figure pct00052
,
Figure pct00053
Figure pct00054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다른 변수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R3 과 R4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055
Figure pct00056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다른 변수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R1과 R4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057
Figure pct00058
Figure pct00059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다른 변수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고리 A는
Figure pct00060
Figure pct00061
로부터 선택되고, 다른 변수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R6, R7은 이들이 공동으로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62
또는
Figure pct00063
를 형성하고, 다른 변수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R2, R''는 이들이 공동으로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64
또는
Figure pct00065
를 형성하고, 다른 변수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R1과 R2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066
Figure pct00067
가 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다른 변수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R3과 R4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068
Figure pct00069
가 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다른 변수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구조 단위
Figure pct00070
Figure pct00071
,
Figure pct00072
Figure pct00073
로부터 선택되고, 다른 변수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R5는 F, Cl, CH2OH, CF3 및 CH3으로부터 선택되고, 다른 변수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R5는 F, Cl 및 CH3으로부터 선택되고, 다른 변수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형태는 또한 상기 변수가 임의로 조합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더 제공한다:
Figure pct00074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DNA-PK 억제제 관련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DNA-PK 억제제 관련 약물은 단일 약물로서 다른 DNA 복구 경로 결함이 있는 종양에서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DNA-PK 억제제 관련 약물은 방사선 및 화학 요법 약물과의 병용에 의해 고형 종양 및 혈액 종양에 대한 억제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DNA-PK 억제제로, 현저한 DNA-PK 키나아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PK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더 긴 반감기, 더 낮은 클리어런스 및 더 높은 약물 노출량을 갖고, 약동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경구 투여용으로 개발될 수 있는 좋은 분자임을 나타낸다. 생체내 약효과의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현저한 종양 억제 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도 1은 인간 NCI-H1703 비소세포폐암의 체내 약력학 연구에 따른 21일째의 종양 사진이다.
정의 및 설명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본문에서 사용된 하기 용어와 단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나의 특정된 용어 또는 단어는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 한 불확실하거나 불명확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통상적인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문에서 상품명이 나타나면 해당 상품 또는 그의 활성 성분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라는 용어는 그러한 화합물, 재료, 조성물 및/또는 제형들이 신뢰할 수 있는 의학적 판단 범위 내에서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기타 문제점이나 합병증이 없이 인간 및 동물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율에 상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염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발견된 특정 치환기를 가진 화합물과 상대적인 독성이 없는 산 또는 염기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상대적인 산성인 관능기가 함유될 경우, 순수한 용액 또는 적합한 불활성 용매에서 충분한 양의 염기와 이러한 화합물의 접촉에 의해 염기 부가염을 얻을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부가염은 나트륨, 칼륨, 칼슘, 암모늄, 유기 아민 또는 마그네슘염 또는 유사한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상대적인 염기성의 관능기가 함유될 경우, 순수한 용액 또는 적합한 불활성 용매에서 충분한 양의 산과 이러한 화합물의 접촉에 의해 산 부가염을 얻을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부가염의 구현예로,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탄산, 중탄산기, 인산, 인산일수소기, 인산이수소기, 황산, 황산수소기, 요오드화수소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의 무기산염,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이소부티르산, 말레산, 말론산, 벤조산, 숙신산, 수베린산, 푸마르산, 락트산, 만델린산, 프탈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구연산, 타르타르산 및 메탄술폰산 등과 같은 유사한 유기산의 유기산염, 아미노산(예: 아르기닌 등)의 염, 및 글루쿠론산 등과 같은 유기산의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특정 화합물은 염기성과 산성 관능기를 포함함으로써 임의의 염기 부가염 또는 산 부가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산기 또는 염기를 함유한 모체 화합물이 통상적인 화학적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염은, 물 또는 유기 용매 또는 그들의 혼합물에서 유리산 또는 염기 형태의 이러한 화합물을 화학양론적 양의 적절한 염기 또는 산과 반응시킨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특정 기하학적 또는 입체 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스 및 트랜스 이성질체, (-)- 및 (+)-거울상 이성질체, (R)- 및 (S)-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D)-이성질체, (L)-이성질체, 및 그의 라세미체 혼합물과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 이성질체가 농축된 혼합물과 같은 기타 혼합물을 포함한 화합물을 고려할 수 있고, 이들 혼합물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알킬기 등 치환기에는 다른 비대칭 탄소 원자가 존재할 수 있다. 이들 이성질체 및 그들의 혼합물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광학 이성질체"라는 용어는 서로 거울상 관계에 있는 입체 이성질체를 의미한다.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시스-트랜스 이성질체" 또는 "기하학적 이성질체"라는 용어는 이중 결합 또는 고리 형성 탄소 원자의 단일 결합으로 인해 자유롭게 회전 할 수 없어서 발생한 것이다.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부분입체 이성질체"라는 용어는 분자가 두 개 또는 복수개의 카이랄(Chiral) 중심을 가지고 분자 사이가 거울상 관계에 있지 않는 입체 이성질체를 의미한다.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는 우선, "(-)"는 좌선, "(±)"는 라세미를 나타낸다.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쐐기형 실선 결합(
Figure pct00075
) 및 쐐기형 점선 결합(
Figure pct00076
)으로 하나의 입체 중심의 절대 배열을 나타내고, 직선형 실선 결합(
Figure pct00077
) 및 직선형 점선 결합(
Figure pct00078
)으로 입체 중심의 상대적 배열을 나타내며, 물결선(
Figure pct00079
)으로 쐐기형 실선 결합(
Figure pct00080
) 또는 쐐기형 점선 결합(
Figure pct00081
)을 나타내거나, 물결선(
Figure pct00082
)으로 직선형 실선 결합(
Figure pct00083
) 또는 직선형 점선 결합(
Figure pct00084
)을 나타낸다.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하나의 이성질체가 풍부하게 함유", "이성질체가 농축", "하나의 거울상 이성질체가 풍부하게 함유"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가 농축"이라는 용어는 그중에서 하나의 이성질체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의 함량이 100%미만이며, 이 이성질체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의 함량이 60%이상이고, 또는 70%이상이고, 또는 80%이상이고, 또는 90%이상이고, 또는 95%이상이고, 또는 96%이상이고, 또는 97%이상이고, 또는 98%이상이고, 또는 99%이상이고, 또는 99.5%이상이고, 또는 99.6%이상이고, 또는 99.7%이상이고, 또는 99.8%이상이고, 또는 99.9%이상임을 의미한다.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이성질체 초과량"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초과량"이라는 용어는 두 이성질체 또는 두 거울상 이성질체의 상대적 백분율 간의 차이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그중에서 하나의 이성질체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의 함량이 90%이고 다른 이성질체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의 함량이 10%일 경우, 이성질체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초과량(ee 값)은 80%이다.
카이랄(Chiral) 합성 또는 카이랄 시약 또는 기타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광학 활성을 가진 (R)-와 (S)-이성질체 및 DL 이성질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떤 화합물의 거울상 이성질체을 얻으려면, 비대칭 합성 또는 카이랄 보조제에 의한 유도 작용을 통해 제조할 수 있는 데, 얻은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을 분리하고, 보조 그룹을 절단하여 순수한 원하는 거울상 이성질체를 제공하게 된다. 또는, 분자에 염기성 관능기(예: 아미노기) 또는 산성 관능기(예: 카르복실기)가 함유될 경우, 적절한 광학 활성을 가진 산 또는 염기와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염을 형성하고, 그 후에 본 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분해한 후, 회수하여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를 얻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거울상 이성질체와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분리는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법은 카이랄 고정상을 사용하며 선택적으로 화학적 유도법과 결합한다(예: 아민으로 카바메이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이 화합물을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원자 위치에 비자연적인 비율의 원자 동위원소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튬(3H), 요오드-125(125I) 또는 C-14(14C)와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로 화합물을 표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중수소로 수소를 치환하여 중수소 치환 약물을 형성할 수 있고, 듀테륨과 탄소로 구성된 결합은 일반 수소와 탄소로 구성된 결합보다 견고하고, 중수소화되지 않는 약물에 비해 중수소 치환 약물은 독성 부작용 감소, 약물의 안정성 증가, 약물의 치료효과 향상, 및 약물의 생물학적 반감기 연장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모든 동위원소로 구성된 변환은 방사성이든 아니든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치환된"이라는 용어는 특정 원자 위치에서의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수소 원자가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것을 의미하며, 단지 특정 원자의 원자가 상태가 정상적이고 치환된 후의 화합물이 안정적이면 중수소 및 수소의 변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치환기가 산소(즉=O)일 경우, 두 개의 수소 원자가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산소 치환은 아릴기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치환된"이라는 용어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하고, 별다른 정의가 없는 한, 치환기의 종류와 개수는 화학적으로 구현 가능한 것이라면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어떤 변수(예: R)가 화합물의 조성이나 구성에서 한번 이상 나타날 경우, 각 경우에서의 정의는 독립적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만약 하나의 그룹이 0 내지 2 개의 R에 의해 치환되면, 상기 그룹은 선택적으로 최대 2개의 R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각 경우에서의 R은 독립적인 옵션이 있다. 또한, 치환기 및/또는 그의 변이체의 조합은 이러한 조합이 안정적인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는 경우에만 허용된다.
-(CRR)0-과 같이 하나의 연결 그룹의 개수가 0일 경우, 이 연결 그룹이 단일 결합임을 나타낸다.
하나의 치환기의 개수가 0일 경우, 이 치환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데, 예를 들어 -A-(R)0은 이 구조가 실제로 -A임을 나타낸다.
하나의 치환기가 비어 있을 경우, 이 치환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데, 예를 들어 A-X에서 X가 비어 있을 경우, 이 구조가 실제로 A임을 나타낸다.
변수 중 하나가 단일 결합으로부터 선택될 경우, 이에 연결된 두 개의 그룹이 직접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데, 예를 들어 A-L-Z에서 L이 단일 결합일 경우 이 구조가 실제로 A-Z임을 나타낸다.
하나의 치환기의 결합은 하나의 고리의 두개 이상의 원자에 가교될 수 있을 경우, 이러한 치환기는 상기 고리의 임의의 원자와 결합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구조 단위
Figure pct00085
또는
Figure pct00086
는 그의 치환기 R이 시클로헥실기 또는 시클로헥사디엔의 임의의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 나열된 치환기가 어느 원자를 통해 치환된 그룹에 연결되는지를 명시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치환기는 임의의 원자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피리디닐기는 치환기로서 피리딘 고리의 임의의 하나의 탄소원자를 통해 치환된 그룹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나열된 연결 그룹이 연결 방향을 명시하지 않을 경우 연결 방향은 임의적인 것인 데, 예를 들어
Figure pct00087
에서 연결 그룹 L은 -M-W-이고, 이 때, -M-W-는 고리 A와 고리 B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기 순서와 같은 방향에 따라 연결하여
Figure pct00088
를 형성할 수도 있고, 고리 A와 고리 B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기 순서와 반대 방향에 따라 연결하여
Figure pct00089
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 그룹, 치환기 및/또는 그의 변이체의 조합은 이러한 조합이 안정적인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는 경우에만 허용된다.
별다른 정의가 없는 한, 어떤 그룹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연결 가능한 사이트가 있을 경우, 이 그룹의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사이트는 화학 결합을 통해 다른 그룹에 연결될 수 있다. 이 화학 결합의 연결 방식은 위치가 결정되지 않고, 연결 가능한 사이트에 H 원자가 있을 경우, 화학 결합이 연결되면, 이 사이트의 H 원자의 개수는 연결된 화학 결합의 개수만큼 감소되어 대응된 가를 가진 그룹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이트가 다른 그룹에 연결된 화학 결합은 직선형 실선 결합(
Figure pct00090
), 직선형 점선 결합(
Figure pct00091
), 또는 물결선(
Figure pct00092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OCH3의 직선형 실선 결합은 이 그룹의 산소 원자를 통해 다른 그룹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93
의 직선형 점선 결합은 이 그룹의 질소 원자의 양단을 통해 다른 그룹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며,
Figure pct00094
의 물결선은 이 페닐기 그룹의 사이트 1 및 사이트 2의 탄소 원자를 통해 다른 그룹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95
는 이 피페리디닐기의 임의의 연결 가능한 사이트가 하나의 화학 결합을 통해 다른 라디칼에 연결될 수 있음을 나타내어, 적어도
Figure pct00096
,
Figure pct00097
,
Figure pct00098
,
Figure pct00099
등 4가지 연결 방식을 포함하는 데, -N-에 H 원자를 그려도,
Figure pct00100
는 여전히
Figure pct00101
와 같은 연결 방식의 그룹을 포함하며, 단지 하나의 화학 결합을 연결할 경우, 이 사이트의 H는 그 만큼 하나가 감소되면서 1가 피페리디닐기로 될 수 있다.
별다른 정의가 없는 한, 고리의 원자수는 일반적으로 고리 구성원의 수로 정의되는 데, 예를 들어 "5-7원 고리"는 5-7개의 원자가 둘러싸게 배열된 "고리"를 의미한다.
별다른 정의가 없는 한, "C1-3알킬기"라는 용어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로 구성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탄화수소기 그룹을 나타낸다. 상기 C1-3 알킬기는 C1-2 및 C2-3 알킬기 등을 포함하고, 1가(예: 메틸기), 2가(예: 메틸렌기) 또는 다가(예: 메틴기)일 수 있다. C1-3 알킬기의 예로는 메틸기(Me), 에틸기(Et), 프로필기(n-프로필기 및 이소프로필기가 포함됨)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별다른 정의가 없는 한, "C3-5 사이클로알킬기"라는 용어는 3 내지 5개의 탄소원자로 구성된 포화 고리형 탄화수고기를 나타내고, 단일고리계로서 상기 C3-5 사이클로알킬기는 C3-4 및 C4-5 사이클로알킬기 등을 포함하고, 1가, 2가 또는 다가일 수 있다. C3-5 사이클로알킬기의 예로는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별다른 정의가 없는 한, Cn-n+m 또는 Cn-Cn+m은 n개 내지 n+m개의 탄소의 어느 한 구체적인 경우를 포함하는 데, 예를 들어 C1-12는 C1, C2, C3, C4, C5, C6, C7, C8, C9, C10, C11, 및 C12를 포함하고, 또한 n 내지 n+m 중 어느 하나의 범위를 포함하는 데, 예를 들어 C1-12 는 C1-3, C1-6, C1-9, C3-6, C3-9, C3-12, C6-9, C6-12, 및 C9-12 등을 포함하고, 마찬가지로, n원 내지 n+m원은 고리의 원자 개수가 n개 내지 n+m개임을 나타내는 데, 예를 들어 3원 내지 12원 고리는 3원 고리, 4원 고리, 5원 고리, 6원 고리, 7원 고리, 8원 고리, 9원 고리, 10원 고리, 11원 고리, 및 12원 고리를 포함하고, 또한 n 내지 n+m 중 어느 하나의 범위를 포함하는 데, 예를 들어 3원 내지 12원 고리는 3원 내지 6원 고리, 3원 내지 9원 고리, 5원 내지 6원 고리, 5원 내지 7원 고리, 6원 내지 7원 고리, 6원 내지 8원 고리, 및 6원 내지 10원 고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이하 나열된 구체적인 실시 형태, 다른 화학적 합성 방법과 결합하여 형성된 실시 형태 및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동등한 대체 방식을 포함하며,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구조를 확인할 수 있고, 본 발명이 화합물의 절대 배열에 관한 것이면, 이 절대 배열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수단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결정 X선 회절법(SXRD)은 배양된 단결정에 대해 Bruker D8 venture 회절계로 회절 강도 데이터를 수집하고(광원이 CuKα 방사이고, 스캐닝 방법이 φ/ω 스캐닝임), 관련 데이터를 수집한 후, 직접법(Shelxs97)을 더 이용하여 결정체 구조를 해석하여 절대 배열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매는 시중에서 구입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약어는, eq가 당량, DMSO가 디메틸설폭사이드, ATP가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EDTA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DNA가 데옥시리보핵산, PEG가 폴리에틸렌글리콜, Balb/c가 마우스 라인임을 나타낸다.
화합물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명명원칙에 따라 또는 ChemDraw®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명명되고, 시판되는 화합물은 공급업체의 목록명칭을 사용한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지만, 본 발명에 대한 어떤 불리한 제한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고, 또한 이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도 개시하였으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 및 개선하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Figure pct00102
제1 단계
0℃에서, 화합물 1a(2.91 g, 15.0 mmol, 1 eq)가 1,4-디옥산(50 mL)에 용해된 용액에 화합물 1b(1.84 g, 18.0 mmol, 1.2 eq)를 첨가하고, 그 다음에 0℃에서 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 석유 에테르=0:1 내지 1:3)로 정제하여 화합물 1c를 얻었다. MS: m/z. 259.8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08 (s, 1H), 9.06 (s, 1H), 3.84-4.06 (m, 4H), 2.93-3.11 (m, 4H).
제2 단계
화합물 1c(1.1 g, 4.24 mmol, 1 eq)가 에탄올(10 mL) 및 물(10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철 분말(1.18 g, 21.18 mmol, 5 eq) 및 염화 암모늄(1.13 g, 21.18 mmol, 5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8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이를 물(5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50 mL*2)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 1d를 얻었다. MS: m/z. 229.9 [M+H]+.
제3 단계
화합물 1d(0.69 g, 3.0 mmol, 1 eq)가 아세토니트릴(15 mL)에 용해된 용액에 N,N'- 카르보닐디이미다졸(0.97 g, 6.0 mmol, 1.22 mL, 2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8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4:1)로 정제하여 화합물 1e를 얻었다. MS: m/z 255.9 [M+H]+.
1H NMR (400 MHz, CDCl3) δ:8.09 (s, 1H), 3.86-3.97 (m, 4H), 3.45-3.65 (m, 4H).
제4 단계
화합물 1e(1.1 g, 2.15 mmol, 1 eq)가 N,N-디메틸포름아미드(50 mL)에 용해된 용액에 탄산세슘(3.5 g, 10.76 mmol, 5 eq) 및 요오도메탄(1.06 g, 7.45 mmol, 465 μL,3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2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50 mL)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 mL*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1f를 얻었다. MS: m/z 269.8 [M+H]+.
제5 단계
화합물 1f(0.13 g, 500 μmol, 1 eq), 화합물 1g(1 88.9 mg, 600.00 μmol, 1.2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90.6 mg, 100.00 μmol, 0.2 eq) 및 탄산세슘(325.8 mg, 1.00 mmol, 2 eq)이 다이옥세인(5 mL) 및 물(0.5 mL)에 용해된 용액을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100℃에서 질소 분위기 보호 하에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Welch Xtimate C18 150*25mm*5μm, 이동상:[물(0.225% 포름산)-아세토니트릴], B(아세토니트릴)%:8%-38%,8 min)로 정제하여 화합물 1을 얻었다. MS: m/z 382.2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81 (s, 1H), 8.27 (s, 1H), 7.94 (s, 1H), 7.58 (s, 1H), 6.80 (s, 1H), 3.96 (t, J=4.6 Hz, 4H), 3.47-3.55 (m, 4H), 3.42 (s, 3H), 2.53 (s, 3H).
실시예 2
Figure pct00103
제1 단계
화합물 2a(10.18 g, 40 mmol, 1 eq)가 톨루엔(80 mL)에 용해된 용액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탈(14.30 g, 120 mmol, 15.94 mL, 3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11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인 화합물 2b를 얻었다. MS: m/z 309.8 [M+H]+.
제2 단계
화합물 2b(12.38 g, 40 mmol, 1 eq)가 메탄올(100 mL)에 용해된 용액에 염산하이드록실아민(5.56 g, 80 mmol, 2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7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인 화합물 2c를 얻었다. MS: m/z 297.7 [M+H]+.
제3 단계
0℃에서, 화합물 2c(11.90 g, 40 mmol, 1 eq)가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0 mL)에 용해된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12.60 g, 60 mmol, 8.35 mL, 1.5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농축된 반응액에 물(10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 300 mL(100 mL*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3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2d를 얻었다. MS: m/z 279.7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9.55 (s, 1H), 8.51 (s, 1H), 8.26 (s, 1H).
제4 단계
화합물 2d(3.91g, 14 mmol, 1 eq), 화합물 2e(2.79 g, 15.40 mmol, 1.1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641 mg, 700 μmol, 0.05 eq),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810.1 mg, 1.4 mmol, 0.1 eq) 및 탄산세슘(9.12 g, 28 mmol, 2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30 mL)를 첨가하고 80℃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었다. 조생성물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0 mL)에 용해시키고, 그에 3N 염산(20mL)을 첨가하여 2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물(100 mL)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0 mL*3)로 추출하여 유기상을 버리고, 수상에 암모니아(30 mL)를 첨가하여 pH를 알칼리성으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0 mL*3)로 다시 추출하며,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 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0)로 정제하여 화합물 2f를 얻었다. MS: m/z 168.8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28 (s, 1H), 8.26 (s, 1H), 7.96 (s, 1H), 5.35-5.43 (m, 2H).
제5 단계
화합물 2f(67.4 mg, 400 μmol, 1 eq), 화합물 1f(107.8 mg, 400 μmol, 1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36.6 mg, 40 μmol, 0.1 eq),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46.3 mg, 80 μmol, 0.2 eq) 및 탄산세슘(195.5 mg, 600 μmol, 1.5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8 mL)을 첨가하고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 :메탄올 =10 :1)로 정제하여 화합물 2를 얻었다. MS: m/z 401.9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10.24 (s, 1H), 8.31 (s, 1H), 7.98 (s, 1H), 7.87 (s, 1H), 7.47 (s, 1H), 3.96 (t, J=4.69 Hz, 4H), 3.51-3.57 (m, 4H), 3.43 (s, 3H).
실시예 3
Figure pct00104
제1 단계
화합물 3a(6.7 g, 35.08 mmol, 1 eq)가 톨루엔(100 mL)에 용해된 용액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탈(12.54 g, 105.25 mmol, 3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110℃에서 1.5사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인 화합물 3b를 얻었다.
제2 단계
화합물 3b(8.3 g, 33.73 mmol, 1 eq)가 메탄올(100 mL)에 용해된 용액에 염산하이드록실아민(4.69 g, 67.46 mmol, 2 eq)을 첨가하고, 8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인 화합물 3c를 얻었다. MS: m/z 233.8 [M+H]+.
제3 단계
0℃에서, 화합물 3c(12.9 g, 55.12 mmol, 1 eq)가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0 mL)에 용해된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15.33 mL, 100.24 mmol, 2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21℃에서 2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얻은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2)로 정제하여 화합물 3d를 얻었다. MS: m/z 217.8 [M+H]+.
제4 단계
화합물 3d(1 g, 4.63 mmol, 1 eq)가 톨루엔(50 mL)에 용해된 용액에 1,1'-비나프탈렌-2,2'-비스디페닐포스핀(288.3 mg, 462.94 μmol, 0.1 eq), 화합물 2e(922.9 mg, 5.09 mmol, 1.1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211.9 mg, 231.47 μmol, 0.05 eq), 포타슘 터트-부톡사이드(1.04 g, 9.26 mmol, 2 eq)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11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농축된 반응액에 물(5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 mL*2)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었다. 그 다음에 에탄올(20 mL)로 용해시키고 1 N 염산(12 mL)을 첨가하여 0.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종료 후 암모니아를 첨가하여 pH를 알칼리성으로 조절하고,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 :디클로로메탄 =0:1 내지 1:6)로 정제하여 화합물 3f를 얻었다.
제5 단계
화합물 3f(132 mg, 489.46 μmol, 1.02 eq) 및 화합물 1f(80 mg, 525.87 μmol, 1.1eq)가 다이옥세인(20 mL)에 용해된 용액에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21.7 mg, 20.93 μmol, 0.05 eq) 및 탄산세슘(311.5 mg, 956.13 μmol, 2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얻은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9)로 정제하여 화합물 3을 얻었다. MS: m/z 386.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10.15 (br d, J=7.03 Hz, 1H), 8.28 (s, 1H), 7.99 (s, 1H), 7.47 (br d, J=9.54 Hz, 1H), 3.96 (br s, 4H), 3.53 (br s, 4H), 3.43 (s, 3 H).
실시예 4
Figure pct00105
제1 단계
0℃에서, 화합물 4a(2.99 g, 20 mmol, 1 eq, 염산염)가 아세트산(30 mL) 및 물(9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질산나트륨(1.52 g, 22 mmol, 1.1 eq)이 물(3 mL)에 용해된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물(5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 300 mL(100 mL*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4b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5.08 (br d, J=7.03 Hz, 1H), 4.89 (br d, J=6.27 Hz, 1H), 3.77-3.93 (m, 2H), 3.54-3.68 (m, 2H), 2.05-2.22 (m, 3H), 1.78-1.94 (m, 1H).
제2 단계
0℃에서, 화합물 4b(2.56 g, 18 mmol, 1 eq)가 메탄올(20 mL)에 용해된 용액에 아연 분말(4.71 g, 72 mmol, 4 eq) 및 아세트산(20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0 mL)로 세척하며,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인 화합물 4c를 얻었다.
제3 단계
0℃에서, 화합물 1a(6.21g, 32 mmol, 2 eq)가 다이옥세인(150 mL)에 용해된 용액에 화합물 4c(3.01 g, 16 mmol, 1 eq, 아세트산염) 및 트리에틸아민(8.10 g, 80 mmol, 5 eq,11.14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물(10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 300 mL(100 mL*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4e를 얻었다. MS: m/z 285.9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29 (br s, 1H), 9.04 (s, 1H), 4.02 (d, J=11.13 Hz, 2H), 3.64 (dd, J=11.32, 1.94 Hz, 2H), 3.48 (br d, J=2.88 Hz, 2H), 2.07-2.21 (m, 4H).
제4 단계
화합물 4e(2.03 g, 6.4 mmol, 1 eq)가 에탄올(16 mL) 및 물(4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철 분말(1.79 g, 32 mmol, 5 eq) 및 염화 암모늄(1.71 g, 32 mmol, 5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75℃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그에 에틸아세테이트(300 mL)를 첨가하여 희석하고,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인 화합물 4f를 얻었다. MS: m/z 256.0 [M+H]+.
제5 단계
화합물 4f(1.28 g, 5 mmol, 1 eq)가 아세토니트릴(20 mL)에 용해된 용액에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1.62 g, 10 mmol, 2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8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얻은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0)및 고해(메탄올/디클로로메탄:2 mL/10 mL, 25℃, 15 min)로 정제하여 화합물 4g을 얻었다. MS: m/z 281.2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1.63 (br s, 1H), 8.09 (s, 1H), 3.76-3.86 (m, 4H), 3.59 (br d, J=8.63 Hz, 2H), 2.27-2.36 (m, 2H), 1.90-1.99 (m, 2H).
제6 단계
화합물 4g(0.282 g, 1 mmol, 1 eq)이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mL)에 용해된 용액에 탄산세슘(0.489 g, 1.5 mmol, 1.5 eq) 및 요오도메탄(0.177 g, 1.25 mmol, 1.25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1℃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물(2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 90 mL(30 mL*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4:1)로 정제하여 화합물 4h를 얻었다. MS: m/z 295.9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99 (s, 1H), 4.10 (d, J=10.51 Hz, 2H), 3.83-3.91 (m, 2H), 3.68 (dd, J=10.63, 2.00 Hz, 2H), 3.42 (s, 3H), 2.39-2.47 (m, 2H), 2.12-2.20 (m, 2H).
제7 단계
화합물 4h(221.8 mg, 0.75 mmol, 1 eq), 화합물 1g(88.9 mg, 0.6 mmol, 0.8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136 mg, 150 μmol, 0.2 eq) 및 탄산세슘(366.6 mg, 1.13 mmol, 1.5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20 mL)을 첨가하고 10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그 다음에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9) 및 고해(디클로로메탄/에틸아세테이트:3 mL/3 mL, 25℃, 15 min)로 정제하여 화합물 4를 얻었다. MS: m/z 408.2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77 (s, 1H), 8.26 (s, 1H), 7.89 (s, 1H), 7.57 (s, 1H), 6.72 (s, 1H), 4.15 (d, J=10.54 Hz, 2H), 3.84-3.90 (m, 2H), 3.71 (br d, J=10.54 Hz, 2H), 3.39 (s, 3H), 2.51 (s, 3H), 2.37-2.46 (m, 2H), 2.09-2.18 (m, 2H).
실시예 5
Figure pct00106
제1 단계
0℃에서, 화합물 5a(4.49 g, 30 mmol, 1 eq, 염산염)가 아세트산(50 mL) 및 물(18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질산나트륨(2.28 g, 33 mmol, 1.1 eq)이 물(4.5 mL)에 용해된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물(50 mL)를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150 mL(50 mL*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3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5b를 얻었다. MS: m/z. 143.0 [M+H]+.
제2 단계
0℃에서, 화합물 5b(3.70 g, 26 mmol, 1 eq)가 메탄올(20 mL)에 용해된 용액에 아연 분말(6.80 g, 104 mmol, 4 eq) 및 아세트산(20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0 mL)로 세척하며,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인 화합물 5c를 얻었다.
제3 단계
0℃에서, 화합물 1a(10.09 g, 52 mmol, 2 eq)가 다이옥세인(150 mL)에 용해된 용액에 화합물 5c(4.89 g, 26 mmol, 1 eq) 및 트리에틸아민(13.15 g, 130 mmol, 5 eq,18.09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물(10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 300 mL(100 mL*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5e를 얻었다. MS: m/z 285.9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05 (s, 1H), 8.97 (br s, 1H), 4.43 (br dd, J=4.44, 2.06 Hz, 2H), 2.94-3.06 (m, 4H), 2.19-2.28 (m, 2H), 1.90-2.03 (m, 2H).
제4 단계
화합물 5e(2.43 g, 8.5 mmol, 1 eq)가 에탄올(120 mL) 및 물(30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철 분말(2.37 g, 42.5 mmol, 5 eq) 및 염화 암모늄(2.27 g, 42.5 mmol, 5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75℃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그에 에틸아세테이트(20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며,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인 화합물 5f를 얻었다. MS: m/z 256.0 [M+H]+.
제5 단계
화합물 5f(2.17 g, 8.5 mmol, 1 eq)가 아세토니트릴(30 mL)에 용해된 용액에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2.76 g, 17 mmol, 2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8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0)로 정제하여 화합물 5g을 얻었다. MS: m/z 281.9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1.61 (br s, 1H), 8.12 (s, 1H), 4.38 (br d, J=2.01 Hz, 2H), 3.73 (dd, J=9.91, 1.63 Hz, 2H), 2.81 (d, J=9.54 Hz, 2H), 1.99-2.09 (m, 2H), 1.78-1.87 (m, 2H).
제6 단계
화합물 5g(1.24 g, 4.4 mmol, 1 eq)이 N,N-디메틸포름아미드(40 mL)에 용해된 용액에 탄산세슘(2.15 g, 6.6 mmol, 1.5 eq) 및 요오도메탄(780 mg, 5.5 mmol, 1.25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1℃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물(5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 180 mL(60 mL*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4:1)로 정제하여 화합물 5h를 얻었다. MS: m/z 295.9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98-8.05 (m, 1H), 4.45 (br d, J=2.25 Hz, 2H), 3.99 (dd, J=9.69, 1.81 Hz, 2H), 3.41 (s, 3H), 2.80 (br d, J=9.51 Hz, 2H), 2.23-2.31 (m, 2H), 1.94-2.04 (m, 2H).
제7 단계
화합물 5h(502.7 mg, 1.7 mmol, 1 eq), 화합물 1g(201.5 mg,1.36 mmol, 0.8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231.2 mg, 255μmol, 0.15 eq) 및 탄산세슘(830.8 mg, 2.55 mmol, 1.5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30 mL)을 첨가하고 10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그 다음에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 내지 10%) 및 고해(디클로로메탄/에틸아세테이트:1.5 mL/3 mL, 25℃, 15 min)로 정제하여 화합물 5를 얻었다. MS: m/z 408.2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87 (s, 1H), 8.26 (s, 1H), 7.91 (s, 1H), 7.57 (s, 1H), 6.76 (s, 1H), 4.48 (br d, J=2.25 Hz, 2H), 4.04 (dd, J=9.76, 1.88 Hz, 2H), 3.40 (s, 3H), 2.85 (d, J=9.51 Hz, 2H), 2.53 (s, 3H) 2.29-2.37 (m, 2H), 2.00-2.10 (m, 2H).
실시예 6
Figure pct00107
제1 단계
0℃에서, 화합물 6a(350 mg, 1.29 mmol, 1 eq, p-톨루엔설포네이트)가 아세트산(5 mL) 및 물(1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질산나트륨(97.90 mg, 1.42 mmol, 1.1 eq)이 물(1 mL)에 용해된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물(3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 60 mL(20 mL*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6b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4.79-4.87 (m, 1H), 4.68-4.76 (m, 2H), 4.59-4.66 (m, 1H), 4.20 (d, J=15.26 Hz, 1H), 3.61-3.73 (m, 1H), 3.29-3.40 (m, 1H), 1.79 (d, J=9.51 Hz, 1H).
제2 단계
0℃에서, 화합물 6b(625 mg, 4.88 mmol, 1 eq)가 메탄올(7 mL)에 용해된 용액에 아연 분말(1.28 g, 19.51 mmol, 4 eq) 및 아세트산(7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0 mL)로 세척하며,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6c를 얻었다.
제3 단계
0℃에서, 화합물 1a(1.72 g, 8.89 mmol, 2.5 eq)가 다이옥세인(35 mL)에 용해된 용액에 화합물 6c(1.92 g, 3.56 mmol, 1 eq, 아세트산염)를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물(3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30 mL*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3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6e를 얻었다. MS: m/z 271.9 [M+H]+.
제4 단계
화합물 6e(228 mg, 839.28 μmol, 1 eq)가 에탄올(5 mL) 및 물(5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철 분말(234.35 mg, 4.2 mmol, 5 eq) 및 염화 암모늄(224.47 mg, 4.2 mmol, 5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7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에탄올(20 mL)으로 세척하고, 세척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조생성물을 25℃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20 mL:2 mL)의 혼합 용액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6f를 얻었다.
제5 단계
화합물 6f(155 mg, 641.35 μmol, 1 eq)가 아세토니트릴(6 mL)에 용해된 용액에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207.99 mg, 1.28 mmol, 2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8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9)로 정제하여 화합물 6g을 얻었다. MS: m/z 267.9 [M+H]+.
1H NMR (400 MHz, CD3OD) δ ppm 9.00 (s, 1H), 5.38 (d, J=6.13 Hz, 2H), 4.76 (d, J=10.13 Hz, 2H), 4.04-4.13 (m, 2H), 3.80-3.91 (m, 1H), 3.21 (d, J=8.38 Hz, 1H).
제6 단계
화합물 6g(105 mg, 392.27 μmol, 1 eq)이 N,N-디메틸포름아미드(6 mL)에 용해된 용액에 탄산세슘(255.62 mg, 784.54 μmol, 2 eq) 및 요오도메탄(0.58 g, 4.09 mmol, 1.2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물(1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 mL*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9)로 정제하여 화합물 6h를 얻었다. MS: m/z 281.8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38 (s, 1H), 4.54 (d, J=6.13 Hz, 2H), 3.90 (d, J=10.13 Hz, 2H), 3.35 (s, 3 H), 3.23-3.28 (m, 2H), 2.96-3.03 (m, 1H), 2.37 (d, J=8.38 Hz, 1H).
제7 단계
화합물 6h(95 mg, 337.24 μmol, 1 eq), 화합물 1g(44.97 mg, 303.52 μmol, 0.9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61.14 mg, 67.45 μmol, 0.2 eq) 및 탄산세슘(219.76 mg, 674.48 μmol, 2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7 mL)을 첨가하고 10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분취용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Welch Xtimate C18 100*40mm*3μm, 이동상: [물0.225% 포름산)-아세토니트릴], B(아세토니트릴)%:6%-36%,8 min)로 정제하여 화합물 6을 얻었다. MS: m/z 394.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85 (s, 1H), 8.26 (s, 1H), 7.95 (s, 1H), 7.57 (s, 1H), 6.80 (s, 1H), 4.68 (d, J=6.53 Hz, 2H), 4.23 (d, J=9.79 Hz, 2H), 3.45-3.48 (m, 1H), 3.44 (s, 3H), 3.42-3.44 (m, 1H), 3.19-3.31 (m, 1H), 2.71 (d, J=8.53 Hz, 1H), 2.52 (s, 3H).
실시예 7
Figure pct00108
제1 단계
0℃에서, 화합물 7a(2.3 g, 18.99 mmol, 1 eq)가 아세트산(24 mL) 및 물(8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질산나트륨(1.31 g, 18.99 mmol, 1 eq)이 물(2.4 mL)에 용해된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1.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물(2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30 mL*3)로 추출하며,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3)로 정제하여 화합물 7b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4.32-4.36 (m, 2H), 3.84-3.89 (m, 2H), 2.17 (tt, J=12.89, 6.31 Hz, 2H), 1.90 (tt, J=13.05, 6.40 Hz, 2H).
제2 단계
0℃에서, 화합물 7b(1.79 g, 11.92 mmol, 1 eq)가 아세트산(10 mL) 및 메탄올(10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연 분말(3.12 g, 47.69 mmol, 4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0.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에틸아세테이트(40 mL)를 첨가하여 희석하고,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7c를 얻었다.
제3 단계
0℃에서, 화합물 1a(7.51 g, 38.74 mmol, 2 eq)가 다이옥세인(100 mL)에 용해된 용액에, 화합물 7c(3.8 g, 19.37 mmol, 1 eq, 아세트산염)가 다이옥세인(80 mL)에 용해된 용액 및 트리에틸아민(7.84 g, 77.47 mmol, 4 eq, 10.78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10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0 mL*3)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4)로 정제하여 화합물 7e를 얻었다. MS: m/z 293.8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12 (s, 1H), 9.08 (s, 1H), 3.13 (t, J=5.65 Hz, 4H), 2.20-2.30 (m, 4H).
제4 단계
화합물 7e(0.5 g, 1.70 mmol, 1 eq)가 에탄올(20 mL) 및 물(5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철 분말(475.47 mg, 8.51 mmol, 5 eq) 및 염화 암모늄(455.38 mg, 8.51 mmol, 5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7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조생성물을 25℃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20 mL:2 mL) 혼합 용액에서 15분 동안 교반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7f를 얻었다. MS: m/z 263.8 [M+H]+.
제5 단계
화합물 7f(460 mg, 1.74 mmol, 1 eq)가 아세토니트릴(10 mL)에 용해된 용액에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848.64 mg, 5.23 mmol, 3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8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7g을 얻었다. MS: m/z 289.7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32 (br s, 1H), 7.99 (s, 1H), 3.53 (br t, J=5.52 Hz, 4H), 2.13-2.25 (m, 4H).
제6 단계
화합물 7g(539 mg, 1.86 mmol, 1 eq)이 N,N-디메틸포름아미드(6 mL)에 용해된 용액에 탄산세슘(2.43 g, 7.44 mmol, 4 eq) 및 요오도메탄(792.34 mg, 5.58 mmol, 3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6 mL)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물(6 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10 mL*3)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7h를 얻었다. MS: m/z 303.8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06 (s, 1H), 3.59 (br t, J=5.52 Hz, 4H), 3.46 (s, 3H), 2.24-2.34 (m, 4H).
제7 단계
화합물 7h(218 mg, 717.82 μmol, 1 eq), 화합물 1g(95.72 mg, 646.04 μmol, 0.9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130.14 mg, 143.56 μmol, 0.2 eq) 및 탄산세슘(350.82 mg, 1.08 mmol, 1.5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6 mL)을 첨가하고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9)로 정제하여 화합물 7을 얻었다. MS: m/z 416.1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75 (s, 1H), 8.28 (s, 1H), 7.94 (s, 1H), 7.60 (s, 1H), 6.79 (s, 1H), 3.56-3.66 (m, 4H), 3.43 (s, 3H), 2.54 (s, 3H), 2.30 (s, 4H).
실시예 8 및 9
Figure pct00109
제1 단계
0℃에서, 화합물 8a(5 g, 36.88 mmol, 1 eq, 염산염)가 아세트산(50 mL) 및 물(17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질산나트륨(2.54 g, 36.88 mmol, 1 eq)가 물(5 mL)에 용해된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물(4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 mL*8)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2:1)로 정제하여 화합물 8b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5.47 (s, 1H), 4.79 (s, 1H), 4.02 (s, 2H), 3.46-3.62 (m, 2H), 2.12 (d, J=10.29 Hz, 1H), 1.96 (dd, J=10.29, 2.26 Hz, 1H).
제2 단계
0℃에서, 화합물 8b(1.93 g, 15.06 mmol, 1 eq)가 아세트산(10 mL) 및 메탄올(10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연 분말(3.94 g, 60.25 mmol, 4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8c를 얻었다.
제3 단계
0℃에서, 화합물 1a(9.80 g, 50.52 mmol, 2 eq)가 다이옥세인(140 mL)에 용해된 용액에, 화합물 8c(4.4 g, 25.26 mmol, 1 eq, 아세트산염)가 다이옥세인(80 mL)에 용해된 용액 및 트리에틸아민(12.78 g, 126.29 mmol, 5 eq, 17.58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10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0 mL*3)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2)로 정제하여 화합물 8e를 얻었다. MS: m/z 272.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37 (br s, 1H), 8.99 (s, 1H), 4.48 (s, 1H), 4.11 (d, J=9.29 Hz, 1H), 3.95 (s, 1H), 3.72 (dd, J=9.16, 1.63 Hz, 1H), 3.39-3.48 (m, 1H), 2.90-2.97 (m, 1H), 2.11 (d, J=10.29 Hz, 1H), 1.81-2.02 (m, 1H).
제4 단계
화합물 8e(0.5 g, 1.84 mmol, 1 eq)가 에탄올(5 mL) 및 물(5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철 분말(513.97 mg, 9.20 mmol, 5 eq) 및 염화 암모늄(492.25 mg, 9.20 mmol, 5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75℃에서 0.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조생성물을 25℃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10 mL:1 mL) 용액에서 15분 동안 교반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8f를 얻었다. MS: m/z 242.0 [M+H]+.
제5 단계
화합물 8f(380 mg, 1.57 mmol, 1 eq)가 아세토니트릴(8 mL)에 용해된 용액에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509.91 mg, 3.14 mmol, 2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80℃에서 1.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0)로 정제하여 화합물 8g을 얻었다. MS: m/z 267.8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00 (s, 1H), 4.63 (s, 1H), 4.21 (d, J=7.53 Hz, 1H), 3.76-3.83 (m, 2H), 3.71 (dd, J=7.78, 1.76 Hz, 1H), 3.60 (d, J=10.04 Hz, 1H), 2.73 (d, J=10.04 Hz, 1H), 1.87 (d, J=10.79 Hz, 1H).
제6 단계
화합물 8g(520 mg, 1.94 mmol, 1 eq)이 N,N-디메틸포름아미드(6 mL)에 용해된 용액에 탄산세슘(2.53 g, 7.77 mmol, 4 eq) 및 요오도메탄(827.22 mg, 5.83 mmol, 3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5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시키고,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그 다음에 물(5 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10 mL*6)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4:1)로 정제하여 화합물 8h를 얻었다. MS: m/z 281.8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05 (s, 1H), 4.71 (s, 1H), 4.28 (d, J=7.78 Hz, 1H), 3.82-3.88 (m, 2H), 3.79 (dd, J=7.78, 1.76 Hz, 1H), 3.66 (d, J=9.29 Hz, 1H), 3.47 (s, 3H), 2.81 (d, J=8.53 Hz, 1H), 1.95 (d, J=11.04 Hz, 1H).
제7 단계
화합물 8h(160 mg, 567.98 μmol, 1 eq), 화합물 1g(75.74 mg, 511.18 μmol, 0.9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102.98 mg, 113.60 μmol, 0.2 eq) 및 탄산세슘(277.59 mg, 851.97 μmol, 1.5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5 mL)을 첨가하고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9)로 정제하여 라세미체를 얻었고, 그 다음에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칼럼: Phenomenex-Cellulose-2 (250mm*30mm,10μm), 이동상: [0.1%암모니아-이소프로판올], -B(0.1% 암모니아/이소프로판올)%: 55%-55%)로 정제하여 화합물 89를 얻었다.
화합물 8: (유지 시간 9.25 분) MS: m/z 394.1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86 (s, 1H), 8.29 (s, 1H), 7.95 (s, 1H), 7.59 (s, 1H), 6.85 (s, 1H), 4.77 (s, 1H), 4.32 (d, J=8.03 Hz, 1H), 3.99 (d, J=9.79 Hz, 1H), 3.91 (s, 1H), 3.83 (dd, J=7.78, 1.51 Hz, 1H), 3.70 (d, J=8.78 Hz, 1H), 3.44 (s, 3H), 2.75 (d, J=10.29 Hz, 1H), 2.54 (s, 3H), 1.97 (d, J=10.04 Hz, 1H).
화합물 9: (유지 시간 11.75 분) MS: m/z 394.1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86 (s, 1H), 8.29 (s, 1H), 7.95 (s, 1H), 7.59 (s, 1H), 6.84 (s, 1H), 4.77 (s, 1H), 4.32 (d, J=7.78 Hz, 1H), 3.99 (d, J=9.79 Hz, 1H), 3.91 (s, 1H), 3.83 (dd, J=7.78, 1.76 Hz, 1H), 3.70 (d, J=9.79 Hz, 1H) 3.45 (s, 3H), 2.75 (d, J=8.53 Hz, 1H), 2.54 (s, 3 H) 1.97 (d, J=10.04 Hz, 1H).
실시예 10
Figure pct00110
제1 단계
0℃에서, 화합물 10a(1 g, 1.29 mmol, 1 eq, 염산염)가 아세트산(12 mL) 및 물(4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질산나트륨(507.3 mg, 7.35 mmol, 1.1 eq)이 물(1 mL)에 용해된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물(3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30 mL*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10b를 얻었다.
제2 단계
0℃에서, 화합물 10b(860 mg, 6.05 mmol, 1 eq)가 메탄올(5 mL)에 용해된 용액에 아연 분말(1.58 g, 24.2 mmol, 4 eq) 및 아세트산(5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에틸아세테이트(100 mL)를 첨가하여 희석하고,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0c를 얻었다.
제3 단계
0℃에서, 화합물 1a(1.75 g, 9 mmol, 2. eq)가 다이옥세인(60 mL)에 용해된 용액에 화합물 10c(1.41 g, 4.5 mmol, 1 eq, 아세트산염) 및 트리에틸아민(910.7 mg, 9 mmol, 2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물(10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0 mL*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10e를 얻었다. MS: m/z 285.9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32 (br s, 1H), 9.07 (s, 1H), 3.90-3.99 (m, 2H), 3.12-3.22 (m, 2H), 3.03 (s, 2H), 0.89-0.97 (m, 2H), 0.64-0.75 (m, 2H).
제4 단계
화합물 10e(160 mg, 560.05 μmol, 1 eq)가 에탄올(8 mL) 및 물(2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철 분말(156.38 mg, 2.8 mmol, 5 eq) 및 염화 암모늄(149.79 mg, 2.8 mmol, 5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75℃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에탄올(100 mL)로 세척하고, 세척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 10f를 얻었다.
제5 단계
화합물 10f(150 mg, 586.62 μmol, 1 eq)가 아세토니트릴(4 mL)에 용해된 용액에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190.24 mg, 1.17 mmol, 2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8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0)로 정제하여 화합물 10g을 얻었다. MS: m/z 281.8 [M+H]+.
제6 단계
화합물 10g(140 mg, 496.99 μmol, 1 eq)이 N,N-디메틸포름아미드(6 mL)에 용해된 용액에 탄산세슘(242.89 mg, 745.48 μmol, 1.5 eq) 및 요오도메탄(88.18 mg, 624.23 μmol, 1.25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1℃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물(1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 mL*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1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0)로 정제하여 화합물 10h를 얻었다. MS: m/z 296.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02 (s, 1H), 3.92-4.00 (m, 2H), 3.52-3.64 (m, 2H), 3.39-3.46 (m, 5H), 0.84-0.97 (m, 2H), 0.64-0.71 (m, 2H).
제7 단계
화합물 10h(59.14 mg, 200 μmol, 1 eq), 화합물 1g(26.67mg, 180 μmol, 0.9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36.26 mg, 40 μmol, 0.2 eq) 및 탄산세슘(97.75 mg, 300 μmol, 1.5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5 mL)을 첨가하고 10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그 다음에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먼저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9)로 정제하고, 그 다음에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DAICEL CHIRALPAK AD-H(250mm*30mm,5μm), 이동상:[0.1%암모니아/에탄올],-B(0.1%암모니아/에탄올)%:30%-30%)로 정제하여 화합물 10(유지 시간 1.59 분)을 얻었다. MS: m/z 430.0 [M+Na]+.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83 (s, 1H), 8.26 (s, 1H), 7.92 (s, 1H), 7.57 (s, 1H), 6.77 (s, 1H), 3.96-4.04 (m, 2H), 3.60-3.69 (m, 2H), 3.44-3.50 (m, 2H), 3.41 (s, 3H), 2.53 (s, 3H), 0.91-1.03 (m, 2H), 0.62-0.76 (m, 2H).
실시예 11
Figure pct00111
제1 단계
0℃에서, 화합물 11a(1.25 g, 7.27 mmol, 1 eq, 헤미옥사레이트)가 아세트산(15 mL) 및 물(5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질산나트륨(501.83 mg, 7.27 mmol, 1 eq)이 물(1.5 mL)에 용해된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2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30 mL*6)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2:1)로 정제하여 화합물 11b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4.53 (q, J=6.00 Hz, 4H), 4.17-4.22 (m, 2H), 3.74-3.79 (m, 2H), 2.09-2.16 (m, 2H), 1.83-1.90 (m, 2H).
제2 단계
0℃에서, 화합물 11b(343 mg, 2.20 mmol, 1 eq)가 아세트산(2 mL) 및 메탄올(2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연 분말(574.43 mg, 8.78 mmol, 4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에틸아세테이트(30 mL)를 첨가하여 희석하고,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1c를 얻었다.
제3 단계
0℃에서, 화합물 1a(724.11 mg, 3.73 mmol, 2 eq)가 다이옥세인(30 mL)에 용해된 용액에, 화합물 11c(755 mg, 1.87 mmol, 1 eq, 아세트산염)가 다이옥세인(5 mL)에 용해된 용액 및 트리에틸아민(755.48 mg, 7.47 mmol, 5 eq, 1.04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5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 mL*3)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11e를 얻었다. MS: m/z 299.8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06 (s, 1H), 9.01 (br s, 1H), 4.48 (s, 4H), 2.89 (t, J=5.14 Hz, 4H), 2.11 (t, J=5.52 Hz, 4H).
제4 단계
화합물 11e(0.1 g, 333.65 μmol, 1 eq)가 에탄올(2 mL) 및 물(2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철 분말(93.17 mg, 1.67 mmol, 5 eq) 및 염화 암모늄(89.24 mg, 1.67 mmol, 5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7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조생성물을 25℃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10 mL:1 mL) 용액에서 15분 동안 교반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1f를 얻었다.
제5 단계
화합물 11f(67 mg, 248.40 μmol, 1 eq)가 아세토니트릴(2 mL)에 용해된 용액에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120.83 mg, 745.19 μmol, 3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8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1:0)로 정제하여 화합물 11g을 얻었다. MS: m/z 295.8 [M+H]+.
제6 단계
화합물 11g(64 mg, 216.42 μmol, 1 eq)이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에 용해된 용액에 탄산세슘(282.05 mg, 865.67 μmol, 4 eq) 및 요오도메탄(92.16 mg, 649.25 μmol, 3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3 mL)로 켄칭시키며 감압농축하고, 그 다음에 물(3 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10 mL*6)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1h를 얻었다.
제7 단계
화합물 11h(21 mg, 67.80 μmol, 1 eq), 화합물 1g(9.04 mg, 61.02 μmol, 0.9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12.29 mg, 13.56 μmol, 0.2 eq) 및 탄산세슘(33.13 mg, 101.69 μmol, 1.5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3 mL)을 첨가하고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1:20)로 정제하여 화합물 11을 얻었다. MS: m/z 422.4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69 (s, 1H), 8.26 (s, 1H), 7.91 (s, 1H), 7.57 (s, 1H), 6.75 (s, 1H), 4.52 (s, 4H), 3.39 (s, 7H) 2.50 (s, 3H), 2.13 (t, J=4.64 Hz, 4H).
실시예 12
Figure pct00112
Figure pct00113
제1 단계
0℃에서, 화합물 12a(3.55 g, 12.09 mmol, 1 eq, 헤미옥사레이트)가 아세트산(35 mL) 및 물(12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질산나트륨(834.47 mg, 12.09 mmol, 1 eq)이 물(3.5 mL)에 용해된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10 mL)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감압농축하고 물(15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 mL*6)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12b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4.52-4.69 (m, 2H), 4.40-4.50 (m, 2H), 4.09-4.17 (m, 1H), 3.25-3.34 (m, 1H), 2.43-2.54 (m, 2H), 2.24-2.33 (m, 1H), 2.02-2.11 (m, 1H), 1.88-1.99 (m, 1H), 1.61-1.70 (m, 1H).
제2 단계
0℃에서, 화합물 12b(0.95 g, 6.08 mmol, 1 eq)가 아세트산(5 mL) 및 메탄올(5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연 분말(1.59 g, 24.33 mmol, 4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에틸아세테이트(50 mL)를 첨가하여 희석하고,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2c를 얻었다.
제3 단계
0℃에서, 화합물 1a(2.59 g, 13.35 mmol, 2 eq)가 다이옥세인(100 mL)에 용해된 용액에, 화합물 12c(2.7 g, 6.67 mmol, 1 eq, 아세트산염)가 다이옥세인(35 mL)에 용해된 용액 및 트리에틸아민(2.70 g, 26.70 mmol, 4 eq, 3.72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50 mL)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물(25 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50 mL*3)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12e를 얻었다. MS: m/z 299.8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05 (s, 2H), 4.55 (t, J=7.78 Hz, 2H), 2.90-3.07 (m, 4H), 2.46 (t, J=7.78 Hz, 2H), 2.13-2.22 (m, 2H), 2.04-2.11 (m, 2H).
제4 단계
화합물 12e(252 mg, 840.80 μmol, 1 eq)가 에탄올(12 mL) 및 물(4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철 분말(234.79 mg, 4.20 mmol, 5 eq) 및 염화 암모늄(224.87 mg, 4.20 mmol, 5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7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조생성물을 25℃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10 mL:1 mL) 용액에서 15분 동안 교반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2f를 얻었다.
제5 단계
화합물 12f(100 mg, 370.74 μmol, 1 eq)가 아세토니트릴(3 mL)에 용해된 용액에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180.35 mg, 1.11 mmol, 3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8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1:0)로 정제하여 화합물 12g을 얻었다. MS: m/z 296.0 [M+H]+.
제6 단계
화합물 12g(132 mg, 446.36 μmol, 1 eq)이 N,N-디메틸포름아미드(4 mL)에 용해된 용액에 탄산세슘(581.73 mg, 1.79 mmol, 4 eq) 및 요오도메탄(190.07 mg, 1.34 mmol, 3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5 mL)을 첨가하여 켄칭시키며, 감압농축하고 물(5 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10 mL*6)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인 화합물 12h를 얻었다.
제7 단계
화합물 12h(55 mg, 177.56 μmol, 1 eq), 화합물 1g(23.68 mg, 159.81 μmol, 0.9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32.19 mg, 35.51 μmol, 0.2 eq) 및 탄산세슘(86.78 mg, 266.34 μmol, 1.5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3 mL)을 첨가하고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1:20)로 정제하여 화합물 12를 얻었다. MS: m/z 422.2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70 (s, 1H), 8.25 (s, 1H), 7.89 (s, 1H), 7.57 (s, 1H), 6.85 (s, 1H), 4.57 (t, J=7.69 Hz, 2H), 3.58 (br s, 2H), 3.39 (s, 3H), 3.36 (br s, 2H), 2.50 (s, 3H), 2.45-2.49 (m, 2H), 2.07-2.23 (m, 4H).
실시예 13
Figure pct00114
제1 단계
0℃에서, 화합물 13a(800 mg, 6.29 mmol, 1 eq)가 아세트산(8 mL) 및 물(3.2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질산나트륨(477.39 mg, 6.92 mmol, 1.1 eq)을 천천히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13b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4.18-4.23 (m, 2H), 3.86 (s, 1H), 3.78-3.83 (m, 2H), 3.53-3.59 (m, 1H), 2.0-2.12 (m, 3H), 1.63-1.95 (m, 3H).
제2 단계
0℃에서, 화합물 13b(895 mg, 5.73 mmol, 1 eq)가 아세트산(5 mL) 및 메탄올(5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연 분말(1.5 g, 22.92 mmol, 4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에틸아세테이트(100 mL)로 희석하고,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3c를 얻었다.
제3 단계
0℃에서, 화합물 1a(2.22 g, 11.44 mmol, 2 eq)가 다이옥세인(50 mL)에 용해된 용액에 화합물 13c(813.37 mg, 5.72 mmol, 1 eq, 아세트산염)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13e를 얻었다. MS: m/z 299.9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07 (s, 1H), 9.03 (s, 1H), 3.80-3.83 (m, 2H), 2.93-2.98 (m, 4H), 2.08-2.22 (m, 4H), 1.83-1.94 (m, 1H), 1.61-1.74 (m, 1H).
제4 단계
화합물 13e(140 mg, 467.11 μmol, 1 eq)가 에탄올(3 mL) 및 물(3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철 분말(130.43 mg, 2.34 mmol, 5 eq) 및 염화 암모늄(124.93 mg, 2.34 mmol, 5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7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이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에탄올(20 mL)로 세척하고, 세척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조생성물을 25℃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10 mL:1 mL) 용액에서 15분 동안 교반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3f를 얻었다.
제5 단계
화합물 13f(145 mg,537.57 μmol, 1 eq)가 아세토니트릴(4 mL)에 용해된 용액에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174.33 mg, 1.08 mmol, 2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8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10)로 정제하여 화합물 13g을 얻었다. MS: m/z 295.8 [M+H]+.
제6 단계
화합물 13g(125 mg, 422.69 μmol, 1 eq)이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에 용해된 용액에 탄산세슘(275.44 mg, 845.38 μmol, 2 eq) 및 요오도메탄(71.9 mg, 507.22 μmol, 1.2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10 mL)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10 mL*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10)로 정제하여 화합물 13h를 얻었다. MS: m/z 309.9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02 (s, 1H), 3.83-3.84 (m, 2H), 3.40-3.44 (m, 7H), 2.10-2.24 (m, 4H), 1.81-1.90 (m, 1H), 1.56-1.63 (m, 1H).
제7 단계
화합물 13h(45 mg, 145.28 μmol, 1 eq), 화합물 1g(19.37 mg, 130.75 μmol, 0.9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26.34 mg, 29.06 μmol, 0.2 eq) 및 탄산세슘(94.67 mg, 290.56 μmol, 2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2 mL)을 첨가하고 10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10)로 정제하여 화합물 13을 얻었다. MS: m/z 422.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84 (s, 1H), 8.26 (s, 1H), 7.92 (s, 1H), 7.57 (s, 1H), 6.74 (s, 1H), 3.83-3.88 (m, 2H), 3.43-3.51 (m, 4H), 3.41 (s, 3H), 2.53 (s, 3H), 2.18-2.29 (m, 3H), 2.10-2.16 (m, 1H), 1.79-1.94 (m, 1H), 1.59-1.69 (m, 1H).
실시예 14
Figure pct00115
제1 단계
0℃에서, 화합물 14a(1 g, 9.08 mmol, 1 eq)가 아세트산(10 mL) 및 물(4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질산나트륨(688.97 mg, 9.99 mmol, 1.1 eq)을 천천히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14b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4.31-4.46 (m, 2H), 3.97-4.10 (m, 1H), 3.73-3.85 (m, 1H), 2.99-3.11 (m, 1H), 2.05-2.18 (m, 2H), 1.77-1.91 (m, 2H).
제2 단계
0℃에서, 화합물 14b(998 mg, 7.17 mmol, 1 eq)가 아세트산(8 mL) 및 메탄올(8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연 분말(1.88 g, 28.69 mmol, 4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에틸아세테이트(20 mL)를 첨가하여 희석하고,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4c를 얻었다.
제3 단계
0℃에서, 화합물 1a(2.78 g, 14.34 mmol, 2 eq)가 다이옥세인(26 mL)에 용해된 용액에 화합물 14c(897.48 mg, 7.17 mmol, 1 eq, 아세트산염)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14e를 얻었다. MS: m/z 282.9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11 (s, 1H), 9.08 (s, 1H), 3.10-3.19 (m, 2H), 3.01-3.09 (m, 2H), 2.77-2.86 (m, 1H), 2.09-2.20 (m, 4H).
제4 단계
화합물 14e(98 mg, 346.67 μmol, 1 eq)가 에탄올(2 mL) 및 물(2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철 분말(96.80 mg, 1.73 mmol, 5 eq) 및 염화 암모늄(92.72 mg, 1.73 mmol, 5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7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에탄올(20 mL)로 세척하고, 세척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조생성물을 25℃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10 mL:1 mL) 용액에서 15분 동안 교반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4f를 얻었다.
제5 단계
화합물 14f(73 mg, 288.88 μmol, 1 eq)가 아세토니트릴(2 mL)에 용해된 용액에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93.68 mg, 577.75 μmol, 2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8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10)로 정제하여 화합물 14g을 얻었다. MS: m/z 278.9 [M+H]+.
제6 단계
화합물 14g(58 mg, 208.11 μmol, 1 eq)이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에 용해된 용액에 탄산세슘(135.61 mg, 416.22 μmol, 2 eq) 및 요오도메탄(35.45 mg, 249.73 μmol, 1.2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10 mL)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30 mL(10 mL*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10)로 정제하여 화합물 14h를 얻었다. MS: m/z 292.9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03 (s, 1H), 3.51-3.59 (m, 2H), 3.44-3.50 (m, 2H), 3.43 (s, 3H), 2.61-2.93 (m, 1H), 2.13-2.24 (m, 4H).
제7 단계
화합물 14h(38 mg, 129.82 μmol, 1 eq), 화합물 1g(17.31 mg, 116.83 μmol, 0.9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23.54 mg, 25.96 μmol, 0.2 eq) 및 탄산세슘(84.59 mg, 259.63 μmol, 2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2 mL)을 첨가하고 10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1:10)로 정제하여 화합물 14를 얻었다. MS: m/z 405.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75 (s, 1H), 8.27 (s, 1H), 7.93 (s, 1H), 7.58 (s, 1H), 6.81 (s, 1H), 3.52-3.62 (m, 4H), 3.41 (s, 3H), 2.75-2.87 (m, 1H), 2.51 (s, 3H), 2.16-2.24 (m, 4H).
실시예 15
Figure pct00116
제1 단계
0℃에서, 화합물 15a(3 g, 20.32 mmol, 1 eq, 염산염)가 아세트산(30 mL) 및 물(10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질산나트륨(1.40 g, 20.32 mmol, 1 eq)이 물(3 mL)에 용해된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10 mL)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감압농축하고 물(3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50 mL*3)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2)로 정제하여 화합물 15b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4.43 (dd, J=12.69, 7.82 Hz, 1H), 4.10 (dd, J=12.63, 4.50 Hz, 1H), 3.79 (dd, J=15.20, 8.69 Hz, 1H), 3.42 (dd, J=15.32, 4.69 Hz, 1H), 2.69-2.89 (m, 2H), 1.85-2.00 (m, 2H), 1.61-1.82 (m, 2H), 1.41-1.56 (m, 2H).
제2 단계
0℃에서, 화합물 15b(0.81 g, 5.78 mmol, 1 eq)가 아세트산(5 mL) 및 메탄올(5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연 분말(1.51 g, 23.11 mmol, 4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에틸아세테이트(100 mL)를 첨가하여 희석하고,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5c를 얻었다.
제3 단계
0℃에서, 화합물 1a(2.71 g, 13.96 mmol, 2 eq)가 다이옥세인(100 mL)에 용해된 용액에, 화합물 15c(2.6 g, 6.98 mmol, 1 eq, 아세트산염)가 다이옥세인(3 mL)에 용해된 용액 및 트리에틸아민(2.83 g, 27.92 mmol, 4 eq, 3.89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30 mL)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감압농축하며 물(5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60 mL*4)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6)로 정제하여 화합물 15e를 얻었다. MS: m/z 284.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04 (s, 1H), 8.99 (br s, 1H), 3.37 (br t, J=7.94 Hz, 2H), 2.76 (br s, 2H), 2.50-2.59 (m, 2H), 1.65-1.77 (m, 4H), 1.25 (br s, 2H).
제4 단계
화합물 15e(115 mg, 405.34 μmol, 1 eq)가 에탄올(2 mL) 및 물(2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철 분말(113.19 mg, 2.03 mmol, 5 eq) 및 염화 암모늄(108.41 mg, 2.03 mmol, 5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7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조생성물을 25℃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10 mL:1 mL) 용액에서 15분 동안 교반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5f를 얻었다.
제5 단계
화합물 15f(120 mg, 472.94 μmol, 1 eq)가 아세토니트릴(4 mL)에 용해된 용액에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230.06 mg, 1.42 mmol, 3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8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1:0)로 정제하여 화합물 15g을 얻었다. MS: m/z 280.0 [M+H]+.
제6 단계
화합물 15g(37 mg, 132.27 μmol, 1 eq)이 N,N-디메틸포름아미드(1.5 mL)에 용해된 용액에 탄산세슘(172.39 mg, 529.09 μmol, 4 eq) 및 요오도메탄(56.32 mg, 396.82 μmol, 3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3 mL)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감압농축하고 물(3 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10 mL*2)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인 화합물 15h를 얻었다.
제7 단계
화합물 15h(26.5 mg, 90.21 μmol, 1 eq), 화합물 1g(12.03 mg, 81.19 μmol, 0.9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16.36 mg, 18.04 μmol, 0.2 eq) 및 탄산세슘(44.09 mg, 135.32 μmol, 1.5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2 mL)을 첨가하고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1:20)로 정제하여 화합물 15를 얻었다. MS: m/z 406.2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70 (s, 1H), 8.24 (s, 1H), 7.89 (s, 1H), 7.55 (s, 1H), 6.80 (s, 1H), 3.58 (s, 2H), 3.39 (s, 3H), 3.29 (s, 2H), 2.79 (s, 2H), 2.48 (s, 3H), 1.62-1.89 (m, 6H).
실시예 16
Figure pct00117
제1 단계
0℃에서, 화합물 16a(1 g, 8.36 mmol, 1 eq, 염산염)가 아세트산(10 mL) 및 물(3.5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질산나트륨(634.66 mg, 9.20 mmol, 1.1 eq)이 물(1 mL)에 용해된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200 mL)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100 mL*2)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4)로 정제하여 화합물 16b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4.51 (d, J=12.05 Hz, 1H), 4.31 (dd, J=11.92, 4.14 Hz, 1H), 4.08 (d, J=14.4 Hz, 1H), 3.38 (ddd, J=14.31, 4.64, 1.13 Hz, 1H), 1.57-1.73 (m, 2H), 0.83-0.95 (m, 1H), 0.08-0.20 (m, 1H).
제2 단계
0℃에서, 화합물 16b(0.73 g, 6.51 mmol, 1 eq)가 아세트산(3 mL) 및 메탄올(3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아연 분말(1.70 g, 26.04 mmol, 4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에틸아세테이트(50 mL)를 첨가하여 희석하고,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6c를 얻었다.
제3 단계
0℃에서, 화합물 1a(4.35 g, 22.42 mmol, 1 eq)가 에탄올(30 mL)에 용해된 용액에 화합물 16c(2.2 g, 22.42 mmol, 1 eq)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4.49 g, 112.08 mmol, 5 eq, 19.52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100 mL)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디클로로메탄(100 mL*2)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9)로 정제하여 화합물 16e를 얻었다. MS: m/z 255.7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03 (s, 1H), 8.99 (br s, 1H), 3.37 (d, J=8.25 Hz, 2H), 3.09 (br d, J=7.88 Hz, 2H), 1.55-1.58 (m, 2H), 0.87 (q, J=4.17 Hz, 1H), 0.58-0.68 (m, 1H).
제4 단계
화합물 16e(100 mg, 391.14 μmol, 1 eq)가 에탄올(2 mL) 및 물(2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철 분말(87.37 mg, 1.56 mmol, 4 eq) 및 염화 암모늄(83.69 mg, 1.56 mmol, 4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8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에탄올(50 mL)로 세척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조생성물을 25℃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50 mL:10 mL) 용액에서 15분 동안 교반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6f를 얻었다.
제5 단계
화합물 16f(100 mg, 443.11 μmol, 1 eq)가 아세토니트릴(2 mL)에 용해된 용액에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71.85 mg, 443.11 μmol, 1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8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에틸아세테이트(20 mL*2)로 추출하고, 물(20 mL*2)로 세척하며,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1:2)로 정제하여 화합물 16g을 얻었다. MS: m/z 252.0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12 (s, 1H), 3.73 (d, J=7.03 Hz, 2H), 3.11 (d, J=7.78 Hz, 2H), 1.55-1.61 (m, 2H), 0.73-0.77 (m, 1H), 0.57-0.65 (m, 1H).
제6 단계
화합물 16g(20 mg, 79.47 μmol, 1 eq)이 N,N-디메틸포름아미드(3 mL)에 용해된 용액에 탄산세슘(51.78 mg, 158.94 μmol, 2 eq) 및 요오도메탄(11.28 mg, 79.47 μmol, 1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5℃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물(5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 mL*2)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인 화합물 16h를 얻었다.
제7 단계
화합물 16h(28 mg, 105.38 μmol, 1 eq), 화합물 1g(14.05 mg, 94.84 μmol, 0.9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19.11 mg, 21.08 μmol, 0.2 eq) 및 탄산세슘(51.50 mg, 158.07 μmol, 1.5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3 mL)을 첨가하고 10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여과허며 에틸아세테이트(50 mL)로 세척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그 다음에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1:20)로 정제하여 화합물 16을 얻었다. MS: m/z 378.3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9.16 (s, 1H), 8.72 (s, 1H), 8.36 (s, 1H), 8.08 (s, 1H), 7.69 (s, 1H), 3.76 (br d, J=7.03 Hz, 2H), 3.27 (s, 3H), 3.11 (br d, J=7.78 Hz, 2H), 2.39 (s, 3H), 1.52-1.61 ( m, 2H), 0.70-0.76 (m, 1H), 0.53-0.62 (m, 1H).
실시예 17
Figure pct00118
제1 단계
15℃에서, 화합물 17a(5.18 g, 30.0 mmol, 1 eq)가 1,4-디옥산(30 mL)에 용해된 용액에 히드라진 일수화물(4.61 g, 120.0 mmol, 4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15℃에서 8사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여과하며, 필터 케이크를 물(50 mL)로 세척하고 감압 건조하여 화합물 17b를 얻었다. MS: m/z. 168.9 [M+H]+.
제2 단계
25℃에서 화합물 17b(5.04 g, 30 mmol, 1 eq)가 디클로로메탄(60 mL)에 용해된 용액에 트리메틸 오르토포르메이트(12.73 g, 120 mmol, 4 eq)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684 g, 6 mmol, 0.2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25℃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9)로 정제하여 화합물 17c를 얻었다. MS: m/z. 178.9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9.70 (s, 1H), 9.35 (s, 1H), 7.84 (s, 1H), 2.59 (s, 3H).
제3 단계
화합물 17c (3.92 g, 22 mmol, 1 eq)가 에탄올(80 mL) 및 물(20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철 분말(6.14 g, 110 mmol, 5 eq) 및 염화 암모늄(5.88 g, 110 mmol, 5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7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여과하며 에탄올(20 mL)로 세척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9)로 정제하여 화합물 17d를 얻었다. MS: m/z 148.8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11 (s, 1H), 8.07 (s, 1H), 7.46 (s, 1H), 5.01 (s, 2H), 2.25 (d, J=0.88 Hz, 3H).
제4 단계
화합물 17d(29.63 mg, 200 μmol, 1 eq), 화합물 5h(59.14 mg, 200.00 μmol, 1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27.19 mg, 30.00 μmol, 0.15 eq) 및 탄산세슘(97.75 mg, 300 μmol, 1.5 eq)이 다이옥세인 (2.5 mL)에 용해된 용액을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100℃에서 질소 분위기 보호 하에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조생성물을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1:12)로 정제하여 화합물 17을 얻었다. MS: m/z 408.2 [M+H] +.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88 (s, 1H), 8.28 (s, 1H), 7.91 (s, 1H), 7.60 (s, 1H), 6.93 (s, 1H), 4.46-4.54 (m, 2H), 4.05 (dd, J=9.88, 2.13 Hz, 2H), 3.41 (s, 3H), 2.86 (d, J=9.63 Hz, 2H), 2.55 (s, 3H), 2.29-2.36 (m, 2H), 2.01-2.09 (m, 2H).
실시예 18
Figure pct00119
화합물 17d(29.63 mg, 200 μmol, 1 eq), 화합물 4h(59.14 mg, 200.00 μmol, 1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27.19 mg, 30.00 μmol, 0.15 eq) 및 탄산세슘(97.75 mg, 300 μmol, 1.5 eq)이 다이옥세인 (2.5 mL)에 용해된 용액을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100℃에서 질소 분위기 보호 하에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조생성물을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1:12)로 정제하여 화합물 18을 얻었다. MS: m/z 408.1 [M+H] +.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77 (s, 1H), 8.27 (s, 1H), 7.90 (s, 1H), 7.59 (s, 1H), 6.77 (s, 1H), 4.13-4.22 (m, 2H), 3.85-3.94 (m, 2H), 3.69-3.75 (m, 2H), 3.40 (s, 3H), 2.52 (s, 3H), 2.37-2.46 (m, 2H), 2.09-2.18 (m, 2H).
실시예 19
Figure pct00120
제1 단계
화합물 19a(1 g, 6.53 mmol, 1 eq)가 에탄올(10 mL)에 용해된 용액에 클로로아세트알데히드(1.92 g, 9.80 mmol, 1.58 mL, 순도 40%, 1.5 eq)를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7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9)로 정제하여 화합물 19b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9.95 (s, 1H), 8.34 (d, J=1.50 Hz, 1H), 8.15 (d, J=1.88 Hz, 1H), 7.93 (s, 1H), 2.71 (s, 3H).
제2 단계
화합물 19b(1.2 g, 6.77 mmol, 1 eq)가 에탄올(6 mL) 및 물(6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철 분말(1.51 g, 27.09 mmol, 4 eq) 및 염화 암모늄(1.45 g, 27.09 mmol, 4 eq)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8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로 여과하며,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조생성물을 25℃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30 mL:3 mL) 혼합 용액에서 5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여 화합물 19c를 얻었다. MS: m/z 147.9 [M+H]+.
제3 단계
화합물 5h(50 mg, 169.08 μmol, 1 eq), 화합물 19c(22.40 mg, 152.17 μmol, 0.9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30.65 mg, 33.82 μmol, 0.2 eq) 및 탄산세슘(82.63 mg, 253.61 μmol, 1.5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한 후,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2 mL)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잔존물을 먼저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9)로 정제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그 다음에 분취용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중성 조건:컬럼: Phenomenex Gemini-NX 80*30mm*3μm, 이동상:[물(10mM 탄산수소암모늄)-아세토니트릴], 아세토니트릴%:16%-46%, 9 min)로 정제하여 화합물 19를 얻었다. MS: m/z 407.3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46 (s, 1H), 7.91 (s, 1H), 7.62 (s, 1H), 7.56 (s, 1H), 7.48 (s, 1H), 6.77 (s, 1H), 4.47-4.56 (m, 2H), 4.07-4.15 (m, 2H), 3.39 (s, 3H), 2.82-2.93 (m, 2H), 2.46 (s, 3H), 2.26-2.35 (m, 2H), 2.01-2.11 (m, 2H).
실시예 20
Figure pct00121
제1 단계
화합물 4h(50 mg, 169.08 μmol, 1 eq), 화합물 19c(22.40 mg, 152.17 μmol, 0.9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30.65 mg, 33.82 μmol, 0.2 eq) 및 탄산세슘(82.63 mg, 253.61 μmol, 1.5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한 후,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2 mL)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먼저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9)로 정제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그 다음에 분취용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중성 조건:컬럼:Phenomenex Gemini-NX 80*30mm*3μm, 이동상:[물(10mM 탄산수소암모늄)-아세토니트릴],아세토니트릴 %:13%-43%, 9 min)로 정제하여 화합물 20을 얻었다. MS: m/z 407.3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20 (s, 1H), 7.87 (s, 1H), 7.57 (s, 1H), 7.51 (s, 1H), 7.47 (s, 1H), 6.65 (s, 1H), 4.07-4.16 (m, 2H), 3.79-3.88 (m, 2H), 3.66-3.75 (m, 2H), 3.38 (s, 3H), 2.35-2.47 (m, 5H), 2.05-2.15 (m, 2H).
실시예 21
Figure pct00122
제1 단계
화합물 21a(3 g,12.66 mmol, 1 eq)가 다이옥세인(20 mL)에 용해된 용액에 2,2-디메톡시벤질아민(6.35 g, 37.97 mmol, 5.72 mL, 3 eq)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4.91 g, 37.97 mmol, 6.61 mL, 3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110℃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3)로 정제하여 화합물 21b를 얻었다. MS: m/z 385.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84 (s, 1H), 7.16-7.20 (m, 1H), 6.95 (s, 1H), 6.40-6.48 (m, 2H), 4.78 (s, 1H), 4.31-4.37 (m, 2H), 3.83 (s, 3H), 3.79 (s, 3H), 2.22 (s, 3H).
제2 단계
화합물 21b(865 g,2.25 mmol, 1 eq)가 디클로로메탄(9 mL)에 용해된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6.93 g, 60.78 mmol, 4.5 mL, 27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포화 탄산수소나트륨(20 mL)을 첨가하여 pH를 8 내지 9로 조절하며 에틸아세테이트(10 mL*3)로 추출하고, 포화 식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21c를 얻었다. MS: m/z 234.9 [M+H] +.
제3 단계
화합물 21c(375 mg,1.6 mmol, 1 eq)가 톨루엔(4 mL)에 용해된 용액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탈(572.80 mg, 4.81 mmol, 638.58 μL, 3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11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생성물인 화합물 21d를 얻었다.
제4 단계
화합물 21d (620 mg, 2.14 mmol, 1 eq)가 메탄올(6 mL)에 용해된 용액에 염산하이드록실아민(298.04 mg, 4.29 mmol, 2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7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21e를 얻었다.
제5 단계
0℃에서, 화합물 21e(1.14 g, 4.11 mmol, 1 eq)가 테트라하이드로푸란(12 mL)에 용해된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1.30 g, 6.17 mmol, 858.47 μL, 1.5 eq)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20℃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21f를 얻었다. MS: m/z 259.9 [M+H] +.
제6 단계
화합물 21f(175 mg, 675.55 μmol, 1 eq), 벤조페노이민(134.68 mg, 743.11 μmol, 124.70 μL, 1.1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12.37 mg, 13.51 μmol, 0.02 eq), 1,1'-비나프탈렌-2,2'-비스디페닐포스핀(11.74 mg, 20.29 μmol, 0.03 eq) 및 나트륨 터트-부톡사이드(97.38 mg, 1.01 mmol, 1.5 eq)를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한 후, 혼합물에 무수 톨루엔(3 mL)을 첨가하고, 그 다음에 9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그 다음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 mL) 및 3 mol/L 염산 용액(3 mL)을 첨가하여 2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2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15 mL*2)로 추출하여 유기상을 버렸다. 수상에 적정량의 암모니아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9 내지 11로 조절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10mL*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9)로 정제하여 화합물 21g을 얻었다. MS: m/z 148.9 [M+H] +.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20 (s, 1H), 8.08 (s, 1H), 6.78 (s, 1H), 4.17 (s, 2H), 2.20-2.24 (m, 3H).
제7 단계
화합물 21g(22.55 mg, 152.17 μmol, 0.9 eq), 화합물 5h(50 mg, 169.08 μmol, 1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30.65 mg, 33.82 μmol, 0.2 eq) 및 탄산세슘(110.18 mg, 338.15 μmol, 2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2 mL)을 첨가하고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1:10)로 정제하여 화합물 21을 얻었다. MS: m/z 408.1 [M+H] +.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03 (s, 1H), 8.35 (s, 1H), 8.21 (s, 1H), 7.97 (s, 1H), 7.11 (s, 1H), 4.46-4.54 (m, 2H), 4.01-4.11 (m, 2H), 3.42 (s, 3H), 2.80-2.91 (m, 2H), 2.45 (s, 3H), 2.30-2.39 (m, 2H), 2.01-2.08 (m, 2H).
실시예 22
Figure pct00123
제1 단계
화합물 4h(50 mg, 169.08 μmol, 1 eq), 화합물 21g(22.55 mg, 152.17 μmol, 0.9 eq), 메탄술폰산(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아미노-1,1'-비페닐-2-일)팔라듐(II)(30.65 mg, 33.82 μmol, 0.2 eq) 및 탄산세슘(110.18 mg, 338.15 μmol, 2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3 mL)을 첨가하고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1:10)로 정제하여 화합물 22를 얻었다. MS: m/z 430.1 [M+Na] +.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97 (s, 1H), 8.34 (s, 1H), 8.21 (s, 1H), 7.96 (s, 1H), 7.10 (s, 1H), 4.13-4.19 (m, 2H), 3.87-3.93 (m, 2H), 3.70-3.76 (m, 2H), 3.41 (s, 3H), 2.41-2.49 (m, 5H), 2.14-2.20 (m, 2H).
실시예 23
Figure pct00124
제1 단계
화합물 23a(4.2 g, 22.34 mmol, 1 eq)가 에탄올(42 mL) 및 물(17.5 mL)에 용해된 혼합 용액에 클로로아세트알데히드(5.26 g, 26.80 mmol, 670.12 μL, 순도 40%, 1.2 eq)를 첨가하고, 그 다음에 반응액을 100℃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용액(6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 mL*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3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 내지 1:1)로 정제하여 화합물 23b를 얻었다. MS: m/z 213.8 [M+H+2]+.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57 (s, 1H), 7.84-7.86 (m, 1H), 7.48-7.50 (m, 1H), 2.79 (s, 3H).
제2 단계
화합물 23b(1 g, 4.72 mmol, 1 eq), 벤조페노이민(940.15 mg, 5.19 mmol, 870.51 μL, 1.1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431.85 mg, 471.59 μmol, 0.1 eq),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545.75 mg, 943.19 μmol, 0.2 eq) 및 탄산세슘(3.07 g, 9.43 mmol, 2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무수 다이옥세인(30 mL)을 첨가하고 12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그 다음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 mL) 및 3 mol/L 염산 용액(12 mL)을 첨가하고 2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2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 mL*3)로 추출하여 유기상을 버렸다. 수상에 적정량의 암모니아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9 내지 11로 조절한 다음, 이 수상을 직접적으로 감압농축하며 컬럼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0:1 내지 1:9)로 정제하여 화합물 23c를 얻었다. MS: m/z 148.8 [M+H] +.
제3 단계
화합물 23c(40.08 mg, 270.52 μmol, 2 eq), 화합물 5h(40 mg, 135.26 μmol, 1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12.39 mg, 13.53 μmol, 0.1 eq),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15.65 mg, 27.05 μmol, 0.2 eq) 및 탄산세슘(88.14 mg, 270.52 μmol, 2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2 mL)을 첨가하고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1:10)로 정제하여 화합물 23을 얻었다. MS: m/z 408.2 [M+H] +.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74 (s, 1H), 7.93 (s, 1H), 7.73 (s, 1H), 7.53 (s, 1H), 6.83 (s, 1H), 4.48-4.54 (m, 2H), 4.03-4.10 (m, 2H), 3.41 (s, 3H), 2.84-2.90 (m, 2H), 2.74 (s, 3H), 2.25-2.32 (m, 2H), 2.03-2.11 (m, 2H).
실시예 24
Figure pct00125
제1 단계
화합물 4h(40 mg, 135.26 μmol, 1 eq), 화합물 23c(40.08 mg, 270.52 μmol, 2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12.39 mg, 13.53 μmol, 0.1 eq),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15.65 mg, 27.05 μmol, 0.2 eq) 및 탄산세슘(88.14 mg, 270.52 μmol, 2 eq)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가스로 3회 교체하고, 그 다음에 혼합물에 무수 다이옥세인(2 mL)을 첨가하고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고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1:10)로 정제하여 화합물 24를 얻었다. MS: m/z 408.1 [M+H] +.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60 (s, 1H), 7.89 (s, 1H), 7.74 (s, 1H), 7.43-7.50 (m, 1H), 6.76 (s, 1H), 4.06-4.14 (m, 2H), 3.79-3.86 (m, 2H), 3.67-3.75 (m, 2H), 3.39 (s, 3H), 2.72 (s, 3H), 2.39-2.47 (m, 2H), 2.09-2.18 (m, 2H).
생물학적 테스트 데이터:
실험예 1: DNA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DNA-PK) 억제 활성 선별 실험
본 실험은 Eurofins에서 테스트하였다.
시료 및 방법:
인간 유래 DNA-PK, Mg / ATP, GST-cMyc-p53, EDTA, Ser15 항체, ATP:10 μM.
실험 방법(Eurofins Pharma Discovery Service):
DNA-PK(h)를 50nM GST-cMyc-p53 및 Mg/ATP(필요에 의한 농도)가 함유되는 측정 완충액에서 배양하였다. Mg/ATP 혼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유발하였다. 실온에서 30분 동안 배양한 후, EDTA가 함유되는 정지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마지막으로, 검출 완충액(태그된 항-GST 모노클론 항체 및 인산화된 p53에 대해 유로퓸 태그된 항인산 Ser15항체가 함유됨)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에 시간 분해 형광 모드에서 플레이트를 읽고, 공식 HTRF=10000 Υ (Em665nm/Em620nm)에 따라 균일한 시간 분해 형광(HTRF) 신호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표 1] DNA-PK 키나아제 활성 테스트 결과
Figure pct00126
결론: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유의한 DNA-PK 키나아제 억제 활성을 갖는다.
실험예 2: 약동학 평가 (가)
1. 실험 방법
시험 화합물(화합물 1, 4, 10, 17)을 DMSO 10% /PEG200 50% /물 40%와 혼합하거나 시험 화합물(화합물 5)을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0%/물 80%와 혼합하여 볼텍싱하며 초음파 처리하고, 거의 투명한 용액 0.08 mg/mL(화합물 1, 4, 10, 17) 또는 0.5 mg/mL(화합물 5)를 제조하며, 미세다공성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준비해두었다. 18g 내지 20g의 Balb/c 수컷 마우스를 선발하고, 후보 화합물 용액을 정맥 주사 투여하며, 투여량은 0.4 mg/kg(화합물 1, 4, 10, 17) 또는 1 mg/kg(화합물 5)이였다. 시험 화합물(화합물 1, 4, 10, 17)을 DMSO 10% /PEG200 50% /물 40%와 혼합하거나 시험 화합물(화합물 5)을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20%와 혼합하여 볼텍싱하며 초음파 처리하고, 거의 투명한 용액 0.2 mg/mL(화합물 1, 4, 10, 17) 또는 1 mg/mL(화합물 5)를 제조하며, 미세다공성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준비해두었다. 18g 내지 20g의 Balb/c 수컷 마우스를 선발하고, 후보 화합물 용액을 경구 투여하며, 투여량은 2 mg/kg(화합물 1, 4, 10, 17) 또는 5 mg/kg(화합물 5)이였다. 일정한 시간 경과 후의 전혈을 채취하여 혈장을 제조하고, LC-MS/MS 방법에 의해 약물 농도를 분석하고, Phoenix WinNonlin 소프트웨어(Pharsight 회사, 미국)로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계산하였다.
각 파라미터의 정의:
IV: 정맥 주사, PO: 경구, C0: 정맥 주사 후 순간 필요 농도, Cmax: 투여 후 나타난 혈중 약물 농도 최고값, Tmax: 투여 후 약물 피크 농도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 T1/2: 혈중 약물 농도가 절반으로 낮아지는데 필요한 시간, Vdss: 겉보기 분포 용적으로서, 약물이 체내에서 동적 평형에 도달할 경우 체내 약물의 양과 혈중 약물 농도의 비율 상수, Cl: 청소율로서, 단위 시간당 체내에서 청소된 약물의 겉보기 분포 용적수, Tlast: 마지막 검출 지점의 시점, AUC0-last: 약물-시간 곡선하 면적으로서, 시간축에 대한 혈중 약물 농도 곡선으로 둘러싸인 면적, F: 약물이 흡수되어 혈액 순환에 진입하는 속도와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의 하나로, 약물 흡수 정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테스트 결과:
실험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화합물의 혈장중 카세트 PK 테스트 결과
Figure pct00127
ND: 검출되지 않음.
"--"는 테스트되지 않거나 데이터가 획득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결론: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더 긴 반감기, 더 낮은 청소율 및 더 높은 약물 노출량을 보이고, 더 우수한 체내 약동학적 특성을 갖는다.
실험예 3: 마우스에서의 약동학 평가 (나)
실험 방법:
시험 화합물을 DMSO 10%/PEG200 50%/물 40%와 혼합하여 볼텍싱하며 초음파 처리하고, 거의 투명한 용액 0.4 mg/mL(화합물 5)를 제조하며, 미세다공성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준비해두었다. 18g 내지 20g의 Balb/c 수컷 마우스를 선발하고, 후보 화합물 용액을 정맥 주사 투여하며, 투여량은 2 mg/kg이였다. 시험 화합물을 DMSO 10% /PEG200 50% /물 40%와 혼합하여 볼텍싱하며 초음파 처리하고, 거의 투명한 용액 1 mg/mL를 제조하며, 미세다공성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준비해두었다. 18g 내지 20g의 Balb/c 수컷 마우스를 선발하고, 후보 화합물 용액을 경구 투여하며, 투여량은 10 mg/kg이였다. 일정한 시간 경과 후의 전혈을 채취하여 혈장을 제조하고, LC-MS/MS 방법에 의해 약물 농도를 분석하고, Phoenix WinNonlin 소프트웨어(Pharsight 회사, 미국)로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계산하였다.
테스트 결과:
실험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화합물의 혈장중 PK 테스트 결과
Figure pct00128
"--"는 테스트되지 않거나 데이터가 획득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결론: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더 긴 반감기, 더 낮은 청소율 및 더 높은 약물 노출량을 보이고, 더 우수한 체내 약동학적 특성을 갖는다.
실험예 4: 랫트에서의 약동학적 및 뇌 노출량 평가
실험 방법:
시험 화합물을 DMSO 10% /PEG200 50% /물 40%와 혼합하여 볼텍싱하며 초음파 처리하고, 거의 투명한 용액0.5 mg/mL(화합물 5) 또는 1 mg/mL(화합물 17)를 제조하며, 미세다공성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준비해두었다. SD 수컷 랫트를 선발하고, 후보 화합물 용액을 정맥 주사 투여하며, 투여량은 1 mg/kg(화합물 5) 또는 2 mg/kg(화합물 17)이였다. 시험 화합물을 DMSO 10% /PEG200 50% /물 40%와 혼합하여 볼텍싱하며 초음파 처리하고, 균질 현탁액(화합물 5) 4 mg/mL 또는 거의 투명한 용액(화합물 17) 1 mg/mL를 제조했다. SD 수컷 랫트를 선발하고, 후보 화합물 용액을을 경구 투여하며, 투여량은 40 mg/kg(화합물 5) 또는 10 mg/kg(화합물 17)이였다. 일정한 시간 경과 후의 전혈, 뇌척수액, 뇌조직을 채취하여 혈장을 제조하며, LC-MS/MS 방법에 의해 약물 농도를 분석하고, Phoenix WinNonlin 소프트웨어(Pharsight 회사, 미국)로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계산하였다.
테스트 결과:
실험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화합물의 혈장, 뇌척수액, 뇌조직 내 PK 테스트 결과
Figure pct00129
ND: 검출되지 않음.
"--"는 테스트되지 않거나 데이터가 획득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a: 단위 nmol/kg, b: 단위 h*nmol/kg.
결론: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더 긴 반감기, 더 낮은 청소율 및 더 높은 약물 노출량을 보이고, 더 우수한 체내 약동학적 특성을 갖으면서 더 나은 뇌 노출량을 갖는다.
실험예 5: 비글견에서의 약동학 평가
실험 방법:
시험 화합물을 DMSO 10% /PEG200 50% /물 40%와 혼합하여 볼텍싱하며 초음파 처리하고, 거의 투명한 용액 1 mg/mL를 제조하며, 미세다공성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준비해두었다. 수컷 Beagle견을 선발하고, 후보 화합물 용액을 정맥 주사 투여하며, 투여량은 1 mg/kg이였다. 시험 화합물을 DMSO 10% /PEG200 50% /물 40%와 혼합하여 볼텍싱하며 초음파 처리하고, 거의 투명한 용액 1 mg/mL를 제조하며, 미세다공성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준비해두었다. 수컷 Beagle견을 선발하고, 후보 화합물 용액을 경구 투여하며, 투여량은 5 mg/kg이였다. 일정한 시간 경과 후의 전혈을 채취하여 혈장을 제조하고, LC-MS/MS 방법에 의해 약물 농도를 분석하고, Phoenix WinNonlin 소프트웨어(Pharsight 회사, 미국)로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계산하였다.
테스트 결과:
실험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화합물의 혈장중 PK 테스트 결과
Figure pct00130
"--"는 테스트되지 않거나 데이터가 획득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결론: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더 긴 반감기, 더 낮은 청소율 및 더 높은 약물 노출량을 보이고, 더 우수한 체내 약동학적 특성을 갖는다.
실험예 6: 필리핀원숭이에서의 약동학 평가
실험 방법:
시험 화합물을 DMSO 10% /PEG200 50% /물 40%와 혼합하여 볼텍싱하며 초음파 처리하고, 거의 투명한 용액 1 mg/mL를 제조하며, 미세다공성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준비해두었다. 수컷 필리핀원숭이를 선발하고, 후보 화합물 용액을 정맥 주사 투여하며, 투여량은 1 mg/kg이였다. 시험 화합물을 DMSO 10% /PEG200 50% /물 40%와 혼합하여 볼텍싱하며 초음파 처리하고, 거의 투명한 용액 1 mg/mL를 제조하며, 미세다공성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준비해두었다. 수컷 필리핀원숭이를 선발하고, 후보 화합물 용액을 경구 투여하며, 투여량은 5 mg/kg이였다. 일정한 시간 경과 후의 전혈을 채취하여 혈장을 제조하고, LC-MS/MS 방법에 의해 약물 농도를 분석하고, Phoenix WinNonlin 소프트웨어(Pharsight 회사, 미국)로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계산하였다.
테스트 결과:
실험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화합물의 혈장중 PK 테스트 결과
Figure pct00131
ND:검출되지 않음.
"--"는 테스트되지 않거나 데이터가 획득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결론: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더 긴 반감기, 더 낮은 청소율 및 더 높은 약물 노출량, 그리고 더 높은 경구 생체 이용도를 보이고, 더 우수한 체내 약동학적 특성을 갖는다.
실험예 7: 인간 비소세포폐암 NCI-H1703 세포 피하 이종이식 종양 BALB/c 누드 마우스 모델에서의 체내 약력학 연구
실험 목적: 인간 비소세포폐암 NCI-H1703 세포 피하 이종이식 종양 BALB/c 누드 마우스 모델에 대한 테스트 대상 화합물의 체내 약력학 연구
실험 동물: 수컷 BALB/c 누드 마우스, 6 내지 8 주령, 체중 15 내지 22g, 공급업체: 상해시푸얼-비카이실험동물유한회사(Shanghai Xipuer-Bikai Laboratory Animal Co., Ltd.)
실험 방법과 단계:
7.1 세포의 배양
인간 비소세포폐암 NCI-H1703 세포의 체외 배양은 RPMI1640 배지에 우태아혈청 10% 및 페니실린 100 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μg/mL를 첨가하고 37℃, 5% CO2 하에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트립신-EDTA를 사용하여 주 2회로 정상적으로 소화처리하여 계대 배양하였다. 세포의 포화도가 80% 내지 90%이며 개수가 요구에 도달하면 세표를 수집하여 카운팅하고 접종하였다.
7.2 종양 세포의 접종 (종양 접종)
NCI-H1703 세포(마트리겔 첨가,부피비는 1:1임) 0.2 ml (5×106 개)를 각 마우스의 오른쪽 등에 피하 접종하고, 평균 종양 부피가 약 130 mm3 에 도달하면 군을 나누어 투여를 시작하였다.
7.3 시험 물질의 준비:
화합물 5를 3 mg/mL, 6 mg/mL, 9 mg/mL의 현탁액, 화합물 17을 9 mg/mL의 현탁액으로 준비하고, 용매는 0.5% HPMC + 1% Tween 80이였다.
7.4 종양의 측정 및 실험 지표
종양 직경은 주 2회로 버어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종양 부피의 계산식은 V=0.5a × b 2이며, 여기서 a와 b는 각각 종양의 장경과 단경을 나타낸다.
화합물의 종양 억제 효능은 TGI(%) 또는 상대 종양 증식률 T/C(%)를 통해 평가되었다. 상대 종양 증식률 T/C(%)=TRTV / CRTV × 100%(TRTV: 처리군의 RTV 평균치, CRTV: 음성 대조군의 RTV 평균치). 종양 측정 결과에 따라 상대 종양 부피(Relative Tumor Volume, RTV)를 계산하였으며, 계산식은 RTV=Vt/V0이며, 여기서 V0은 군을 나누어 투여하기 시작한 시점(즉, Day 0)에 측정된 종양 부피이고, Vt는 어느 한번의 측정에서 종양 부피이고, TRTV 및 CRTV는 동일한 날의 데이터를 취한다.
TGI(%)는 종양 성장 억제율을 반영한다. TGI(%)=[1-(어느 처리군에서 투여 종료 시점의 평균 종양 부피 - 이 처리군에서 투여 시작 시점의 평균 종양 부피) / (용매 대조군에서 치료 종료 시점의 평균 종양 부피 - 용매 대조군에서 치료 시작 시점의 평균 종양 부피)] × 100%. 실험 종료 후, 종양 중량을 측정하고 T 중량%를 계산할 것이며, T 중량 및 C 중량은 각각 투여군 및 용매 대조군의 종양 중량을 나타낸다.
7.5 통계 분석
통계 분석은 시험 종료 시점의 RTV 데이터에 기반하여 SPS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투여군은 시험 종료 시점에 투여 후 21일째에 가장 우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학 분석을 수행하여 군 간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두개 군 간의 비교는 T-test로 분석하고, 세개 군 또는 복수개 군 간의 비교는 one-way ANOVA로 분석하며, 평균편차가 동일하면(F값에 유의한 차이가 없으면), Tukey's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평균편차가 상이하면(F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으면), Games-Howell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p<0.05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7.6 실험 결론 및 검토
본 실험에서, 화합물 5는 투여량이 60mg/kg 및 90mg/kg(1일 2회 투여), 화합물 17은 투여량이 90mg/kg(1일 2회 투여)일 경우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종양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합물 5는 투여량이 30 mg/kg/kg(1일 2회 투여)일 경우 일정한 종양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합물 5의 치료 효과는 모두 투여량 의존적이고, 실험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21일째의 종양 중량 및 종양 사진의 결과는 표 8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7] 인간 폐암 NCI-H1703 이종이식 종양 모델에 대한 화합물의 억제 효과
Figure pct00132
참고: a. 평균치 ± SEM, n=9(화합물 5) 또는 n=6(화합물 17).
b. 종양 생장 억제는 T/C 및 TGI(TGI(%)=[ 1- (T21 -T0 )/(V21 -V0 )] ×100)에 의해 계산되었다.
c. p 값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상대 종양 부피(RTV)를 분석하여 얻었다.
[표 8] 실험군별 종양 중량 및 사진
Figure pct00133
참고: a. 평균치 ± SEM, n=9(화합물 5) 또는 n=6(화합물 17).
b. 종양 생장 억제는 T/Cweight=TWtreatment/TW용매에 의해 계산되었다.
c. p 값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용매 대조군과 종양 중량을 비교 분석하여 얻고, F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Games-Howell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론: 본 실험에서, 화합물 5는 투여량이 60mg/kg 및 90mg/kg(1일 2회 투여), 화합물 17은 투여량이 90mg/kg(1일 2회 투여)일 경우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종양 억제 효과가 있고, 그리고 화합물 5의 치료 효과는 투여량 의존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 종양이 있는 랫트는 화합물에 대해 좋은 내성을 보이고 모든 처리군에서 유의한 체중 감소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4)

  1. 식(IV)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ct00134

    상기 식에서,
    구조 단위
    Figure pct00135
    Figure pct00136
    ,
    Figure pct00137
    ,
    Figure pct00138
    ,
    Figure pct00139
    Figure pct00140
    로부터 선택되고,
    E1은 단일 결합, -O- 및 -C(R6R7)-로부터 선택되고,
    R1, R2, R3, R4,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H, F 및 Cl로부터 선택되고,
    또는, R1과 R2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141
    Figure pct00142
    ,
    Figure pct00143
    Figure pct00144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또는 R3과 R4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145
    Figure pct00146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또는, R1과 R4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147
    Figure pct00148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또는, R2, R''는 이들이 공동으로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C3-5시클로알킬기를 형성하고,
    R5는 F, Cl, Br, I, 시클로프로필기 및 C1-3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C1-3알킬기는 OH 또는 1, 2 또는 3개의 Ra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H, F, Cl, Br, I 및 CN으로부터 선택되고,
    또는, R6, R7은 이들이 공동으로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시클로프로필기 또는 4원 옥세타닐기를 형성하고,
    고리 A는 C3-5시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Y1은 시클로프로필기 및 C1-3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C1-3알킬기는 1, 2, 3, 4 또는 5개의 F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Ra는 H, F, Cl, Br 및 I로부터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IV)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식(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ct00149

    상기 식에서, W, E1, R1, R2, R3, R4, R5, R' 및 R''는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식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ct00150

    Figure pct00151

    Figure pct00152
    Figure pct00153

    상기 식에서, 고리 B는 C3-5시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고리 C는 시클로프로필기 또는 4원 옥세타닐기이고,
    n은 0 및 1로부터 선택되고,
    고리 A, R1, R2, R3, R4, R5, R6 및 R7은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과 R2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154
    Figure pct00155
    ,
    Figure pct00156
    ,
    Figure pct00157
    Figure pct00158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과 R4는 구조 단위
    Figure pct00159
    Figure pct00160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과 R4 구조 단위
    Figure pct00161
    Figure pct00162
    Figure pct00163
    로부터 선택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리 A는
    Figure pct00164
    Figure pct00165
    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6, R7은 이들이 공동으로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166
    또는
    Figure pct00167
    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 R''는 이들이 공동으로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168
    또는
    Figure pct00169
    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는 F, Cl, CH2OH, CF3 및 CH3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1.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ct00170
  12. DNA-PK 억제제 관련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NA-PK 억제제 관련 약물은 단일 약물로서 다른 DNA 복구 경로에 결함이 있는 종양에서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NA-PK 억제제 관련 약물은 방사선 및 화학 요법 약물과의 병용에 의해 고형 종양 및 혈액 종양에 대한 억제 효과를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KR1020227021633A 2019-11-25 2020-11-25 Dna-pk 억제제로서의 피리미도이미다졸계 화합물 Ceased KR202201067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164961.5 2019-11-25
CN201911164961 2019-11-25
CN202010209352.3 2020-03-23
CN202010209352 2020-03-23
CN202010911879.0 2020-09-02
CN202010911879 2020-09-02
CN202011269768.0 2020-11-13
CN202011269768 2020-11-13
PCT/CN2020/131275 WO2021104277A1 (zh) 2019-11-25 2020-11-25 作为dna-pk抑制剂的嘧啶并咪唑类化合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799A true KR20220106799A (ko) 2022-07-29

Family

ID=7612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1633A Ceased KR20220106799A (ko) 2019-11-25 2020-11-25 Dna-pk 억제제로서의 피리미도이미다졸계 화합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026616A1 (ko)
EP (1) EP4067359A4 (ko)
JP (1) JP7383818B2 (ko)
KR (1) KR20220106799A (ko)
CN (1) CN114728969B (ko)
AU (1) AU2020390962B2 (ko)
CA (1) CA3159290A1 (ko)
IL (1) IL293318A (ko)
TW (1) TWI807228B (ko)
WO (1) WO20211042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1573A (zh) * 2019-12-31 2021-07-16 成都百裕制药股份有限公司 嘌呤衍生物及其在医药上的应用
TWI765640B (zh) * 2020-04-10 2022-05-21 大陸商南京明德新藥研發有限公司 作為dna-pk抑制劑的氨基嘧啶化合物及其衍生物
WO2022017368A1 (zh) * 2020-07-20 2022-01-27 首药控股(北京)股份有限公司 Dna-pk选择性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4249753A (zh) * 2020-09-22 2022-03-29 山东轩竹医药科技有限公司 三唑并吡啶类激酶抑制剂
TW202229281A (zh) * 2020-12-24 2022-08-01 大陸商江蘇恆瑞醫藥股份有限公司 嘌呤酮類化合物、其製備方法及其在醫藥上的應用
US20240254145A1 (en) * 2021-05-19 2024-08-01 Zai Lab (Shanghai) Co., Ltd. Salt form and crystal form of heterocyclic substituted purinone derivative
WO2023274310A1 (zh) * 2021-06-29 2023-01-05 成都百裕制药股份有限公司 嘌呤衍生物的晶型及其药物组合物
WO2023165603A1 (en) * 2022-03-03 2023-09-07 Zai Lab (Shanghai) Co., Ltd. Dna-pk inhibitor and combination use thereof
WO2024229406A1 (en) 2023-05-04 2024-11-07 Revolution Medicines, Inc. Combination therapy for a ras related disease or disorder
US20250049810A1 (en) 2023-08-07 2025-02-13 Revolution Medicines, Inc. Methods of treating a ras protein-related disease or disord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52708A1 (en) * 2007-05-23 2010-02-17 Pharmacopeia, LLC Purinones and 1h-imidazopyridinones as pkc-theta inhibitors
WO2009062059A2 (en) * 2007-11-08 2009-05-14 Pharmacopeia, Inc. Isomeric purinones and 1h-imidazopyridinones as pkc-theta inhibitors
US8575340B2 (en) * 2010-02-10 2013-11-05 Glaxosmithkline Llc Purine derivatives and their pharmaceutical uses
MX373925B (es) * 2011-10-19 2020-07-10 Signal Pharm Llc Tratamiento del cancer con inhibidores de tor cinasa.
MY183036A (en) * 2016-12-20 2021-02-08 Astrazeneca Ab Amino-triazolopyridine compounds and their use in treating cancer
JP7047772B2 (ja) * 2016-12-21 2022-04-05 小野薬品工業株式会社 Brk阻害化合物
TWI820146B (zh) * 2018-06-15 2023-11-01 瑞典商阿斯特捷利康公司 嘌呤酮化合物及其在治療癌症中之用途
WO2021098813A1 (zh) * 2019-11-22 2021-05-27 南京明德新药研发有限公司 作为dna-pk抑制剂的嘧啶并吡咯类螺环化合物及其衍生物
TWI765640B (zh) * 2020-04-10 2022-05-21 大陸商南京明德新藥研發有限公司 作為dna-pk抑制劑的氨基嘧啶化合物及其衍生物
CN113956272A (zh) * 2020-07-20 2022-01-21 首药控股(北京)有限公司 Dna-pk选择性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22017368A1 (zh) * 2020-07-20 2022-01-27 首药控股(北京)股份有限公司 Dna-pk选择性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20240254145A1 (en) * 2021-05-19 2024-08-01 Zai Lab (Shanghai) Co., Ltd. Salt form and crystal form of heterocyclic substituted purinone deriva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390962B2 (en) 2023-09-28
JP7383818B2 (ja) 2023-11-20
CA3159290A1 (en) 2021-06-03
CN114728969A (zh) 2022-07-08
TW202120506A (zh) 2021-06-01
IL293318A (en) 2022-07-01
TWI807228B (zh) 2023-07-01
US20230026616A1 (en) 2023-01-26
EP4067359A4 (en) 2024-01-10
AU2020390962A1 (en) 2022-07-14
JP2023504021A (ja) 2023-02-01
CN114728969B (zh) 2024-03-08
EP4067359A1 (en) 2022-10-05
WO2021104277A1 (zh)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06799A (ko) Dna-pk 억제제로서의 피리미도이미다졸계 화합물
JP7565626B2 (ja) ピリミドヘテロ環式化合物およびその応用
TWI765640B (zh) 作為dna-pk抑制劑的氨基嘧啶化合物及其衍生物
EP4273137A1 (en) Series of piperidine-substituted benzoic acid compounds, and use thereof
EP4186903A1 (en) Quinazoline compound
KR102605291B1 (ko) 트리사이클릭 퓨란에 의해 치환된 피페리디온 화합물
TWI768550B (zh) 作為dna-pk抑制劑的嘧啶并吡咯類螺環化合物及其衍生物
KR20220107020A (ko) Erk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스피로 화합물 및 이의 응용
JP2021514997A (ja) ピラゾロピリミジン誘導体及びその使用
CN116234551A (zh) 一类1,7-萘啶类化合物及其应用
TW202144361A (zh) 作為dna-pk抑制劑的大環類化合物
JP7418051B2 (ja) フルオロピロロピリジン系化合物及びその使用
KR20220027183A (ko) Dna-pk 억제제로서의 퀴놀린 및 시놀린 유도체
KR20240004495A (ko) 이소퀴놀론 화합물과 이의 용도
EP3978501A1 (en) Tetracyclic compounds as cdc7 inhibitors
RU2796163C1 (ru) Пиримидоимидазольные соединения, применяемые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днк-pk
TWI811656B (zh) 嘧啶并雜環類化合物及其應用
KR102792835B1 (ko) Mnk 억제제로서의 피롤로트리아진 화합물
RU2819762C1 (ru) Соеди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а циклинзависимой киназы 9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EA047880B1 (ru) Пиримидо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ие соединения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JP2025506367A (ja) インドール含有大環系化合物及びその使用
JP2024510647A (ja) オキサジアゾール置換スピロ環系化合物とそ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1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