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04191A - 고성능 시멘트를 위한 신규한 공정 - Google Patents

고성능 시멘트를 위한 신규한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191A
KR20220104191A KR1020227019951A KR20227019951A KR20220104191A KR 20220104191 A KR20220104191 A KR 20220104191A KR 1020227019951 A KR1020227019951 A KR 1020227019951A KR 20227019951 A KR20227019951 A KR 20227019951A KR 20220104191 A KR20220104191 A KR 20220104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ve
cement
composition
glycol
surfact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즐렘 아칼린
Original Assignee
플러스테크노 다느슈만르크 베 야프 키미아살라르 산. 티아이씨.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러스테크노 다느슈만르크 베 야프 키미아살라르 산. 티아이씨.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플러스테크노 다느슈만르크 베 야프 키미아살라르 산. 티아이씨.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20104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19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9Premixtures of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2Alcohols; Phenols;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4Carboxylic acids;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C04B24/06Carboxylic acids;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rganic derivatives of hydrazine
    • C04B24/121Amines, 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rganic derivatives of hydrazine
    • C04B24/122Hydroxy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04B24/2647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containing polyether side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88Compounds chosen for their latent hydraulic characteristics, e.g. pozzuol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04B2103/406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non-io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2Grinding aids; Additives added during gri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10Production of cement, e.g. improving or optimising the production methods; Cement gri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성능 시멘트의 신규한 제조 방법, 에스테르 및/또는 에테르 폴리카르복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신규한 분쇄 보조제 조성물, 이러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기타 첨가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시멘트 제조에서의 이러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및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고성능 시멘트의 제조에서 분쇄 보조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신규한 수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성능 시멘트를 위한 신규한 공정
본 발명은 고성능 시멘트의 신규한 제조 방법, 에스테르 및/또는 에테르 폴리카르복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신규한 분쇄(grinding) 보조제 조성물, 이러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기타 첨가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시멘트 제조에서의 이러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 시멘트, 바람직하게는 포틀랜드 시멘트의 생산을 위해, 클링커(clinker)는 먼저 로터리 킬른(rotary kiln)에서 실리카, 알루미나 및 석회석 함유 물질의 혼합물을 고열에서 분쇄하여 생산된다. 상기 고열은 1.400 ℃ 초과이다. 그런 다음, 클링커와 석고를 적절한 마쇄기(mill)에서 분쇄하여 시멘트가 생산된다. 27가지 유형의 시멘트가 DIN-EN 197-1에 나열되어 있다.
시멘트 생산에는 클링커를 생산하는 동안 로터리 킬른에서 에너지 소비로 인해 발생하고 석회석의 소성으로 인해서도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이산화탄소의 방출을 동반한다. 예를 들어, 시멘트 1톤을 생산하는 동안, 1톤의 이산화탄소가 방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행 기술에서, 이산화탄소의 방출은 클링커 생성의 감소를 통해 감소되도록 시도된다. 클링커의 양이 약 35% 감소하면, 시멘트 생산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클링커 대신, 미네랄 첨가제가 시멘트에 첨가된다. 그러나, 클링커의 낮은 함량 및 미네랄 첨가제의 높은 함량은 강도, 경도, 세팅 시간과 같은 시멘트 및 콘크리트의 요구되는 사양을 저하시킨다.
분쇄(grinding) 또는 마쇄(milling) 공정을 가속화하여 에너지 이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행 기술에서는 첨가제의 사용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가소제, 지연제, 촉진제 및/또는 안정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들은 사용되는 에너지를 낮추어 시멘트 생산의 분쇄 단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2,673,810호는 질산칼륨이 효과적인 지연제임을 개시하고 있다. 트리알칸올아민과 같은 유기 아민은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시멘트 및 콘크리트 연구)", Ramachandran(1973)에 개시된 바와 같이 클링커의 분쇄에 사용되는 촉진제의 예이다. 또한, 폴리카르복실레이트는 시멘트의 생산 동안 분쇄 보조제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첨가제는 에너지 활용을 개선하면서 시멘트의 사양의 변경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면서, 더 강력하고 비용-효과적이며 생태학적인 콘크리트를 제공하기 위한 신규한 방법 및 조성물이 여전히 당업계에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측면은 시멘트 클링커의 분쇄에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수성 조성물 및 첨가제 조성물을 함께 또는 별도로 도입함으로써, 고성능 시멘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고성능 시멘트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분쇄 보조제 조성물로서, 여기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 아민 및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 알코올을 포함하는 제1 첨가제, 및 적어도 하나의 알칸올아민 및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을 포함하는 제2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고성능 시멘트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분쇄 보조제 조성물로서, 여기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및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인, 분쇄 보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고성능 시멘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 적어도 하나의 유기 아민 및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 알코올을 혼합하여 제1 첨가제를 제공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알칸올아민 및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을 혼합하여 제2 첨가제를 제공하는 단계,
c) 제1 첨가제를 제2 첨가제와 혼합하여 첨가제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d)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수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수성 조성물을 시멘트 클링커의 분쇄에 함께 또는 별도로 도입하는 단계.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된 고성능 시멘트로서, 여기서 시멘트가 시멘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45%의 미네랄 첨가제, 또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의 미네랄 첨가제를 포함하는, 고성능 시멘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성능 시멘트의 제조에서 분쇄 보조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신규한 수성 조성물로서, 여기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및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규한 수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개질된 지방 알코올 또는 비이온성 지방산 에스테르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또한 1 내지 10%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는 중합체-유사(polymer-like) 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는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 또는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스테르 중합체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는 분쇄 효율 및 시멘트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조성물을 첨가하여 분쇄 동안 시멘트 클링커의 분산성이 개선된다. 또한, 분쇄 보조제로서 사용되는 이러한 조성물은 감소된 에너지 소비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수성 조성물은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를 비이온수(non-ionized water) 및 계면활성제로 30 내지 40분 동안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수득된다. 희석은 바람직하게는 30 ℃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신규한 고성능 시멘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 적어도 하나의 유기 아민 및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 알코올을 혼합하여 제1 첨가제를 제공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알칸올아민 및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을 혼합하여 제2 첨가제를 제공하는 단계,
c) 제1 첨가제를 제2 첨가제와 혼합하여 첨가제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d)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수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수성 조성물을 시멘트 분쇄에 함께 또는 별도로 도입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방법은 클링커에 대한 미네랄 및 첨가제의 치환량의 증가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제2 첨가제는 반응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알칸올아민 및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알칸올아민과 글리콜의 상기 혼합 단계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50 ℃,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이다. 알칸올아민과 글리콜의 혼합 시간은 균질한 혼합물을 얻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1시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첨가제 및/또는 제2 첨가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분쇄 보조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0.5%,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 알코올은, 1-(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프로판-2-올 (디에탄올이소프로판올아민, DEIPA로도 알려짐),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부틸디에탄올아민, M-메틸디에탄올아민, 디아미노메탄알 (우레아), N-에틸디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메틸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테트라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 트리메틸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아미노 알코올은 디에탄올이소프로판올아민 (DEIPA)이다. 아미노알코올은 제1첨가제의 3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아민은 2-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DIPEA/EDIPA),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민 피리딘,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프로카인, 디벤질아민, N-메틸모르폴린, 디하이드로아비에틸아민, 1-에페나민, 메틸-피페리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유기 아민은 2-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DIPEA)이다. 유기 아민은 제1 첨가제의 50 내지 7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칸올아민은 2,2,2-니트릴로트리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1,1,1-니트릴로프로판-2-올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에톡실화 이소프로필아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알칸올아민은 트리에탄올아민이다. 알칸올아민은 제2 첨가제의 7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리콜은 2-(하이드록시에톡시)에탄-2-올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프로판-1,2,3-트리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글리콜은 글리세롤 및/또는 디에틸렌 글리콜이다. 글리콜은 제2 첨가제의 10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첨가제는 디아미노메탄알 (우레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우레아의 양은 제1 첨가제의 중량에 대해 5 중량%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20 중량%이다.
제1 및 제2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는 30 내지 65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첨가제 대 제2 첨가제의 비가 1:0.5 내지 4:1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마쇄기가 더 적은 에너지로 짧은 시간 내에 더 작은 크기로 클링커를 분쇄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 밝혀졌다. 필요한 에너지의 양의 감소는 시멘트 클링커 생산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미네랄(들)의 대체로 크게 줄일 수 있다. 밀도가 1.0 내지 1.10 g/cm3이고 pH가 7 내지 9인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조성물 및 방법은 또한 증가된 1-일, 2-일, 7-일 및 28-일 압축 강도를 갖는 시멘트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분쇄 동안 또는 분쇄 전에 지연제, 부식 방지제, 건조제, 유동화제, 소포제, 동결 방지제 및 감수제와 같은 기타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고성능 시멘트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조성물 및 상기 제1 및 제2 첨가제의 혼합물은 분쇄 보조제 및 시멘트 화학 혼화제(admixture) 조성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들 혼화제 조성물은 볼 마쇄기 또는 롤러 마쇄기와 같은 통상적인 분쇄 마쇄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시멘트 클링커의 분쇄는 분쇄 마쇄기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분쇄 보조제로서 시멘트 제조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수성 조성물 및 제1 첨가제 및 제2 첨가제의 혼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시멘트 및 콘크리트 혼합물의 정상(normal) 세팅 시간 및 정상 압축 강도를 증가시킨다. 강도는 단기적으로 첫째 날, 장기적으로 28일 후에 강화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EN 197-1, EN 197-2 또는 ASTMC150/150 M-18과 같은 선행 기술의 표준 시험에 대해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EN196-7, EN 196-2, EN 196-3, EN 196-6, EN 196-1 또는 ASTM C595/C595M, ASTM C109/C109M, ASTM C150.
시멘트는 규산질 비산재, 석회질 비산재, 용광로 슬래그, 석회석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규사), 천연 포졸란, 산업용 포졸란 및 연소된 셰일(burnt shal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미네랄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시멘트 조성물의 종류와 비율에 따라 시멘트의 종류가 결정된다. 이에 따라 총 27종의 시멘트가 규정된다. 기본 시멘트 유형은 포틀랜드 시멘트 (CEM I), 포틀랜드 복합 시멘트 (CEM II), 용광로 시멘트 (CEM III), 포졸란 시멘트 (CEM IV), 수경성 시멘트, 슬래그 시멘트 또는 복합 시멘트 (CEM V)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 등이 바람직하다.
점토 및 석회석은 시멘트 생산에 주로 사용되는 수경성 화합물인 클링커를 생산하는 원재료이다. 클링커는 트리칼슘 실리케이트, 디칼슘 실리케이트일 수 있는 칼슘 실리케이트, 트리칼슘 알루미네이트 및 알루미노페라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시멘트는 나노-크기 미네랄, 예컨대 실리카, 알루미늄 및 페라이트 산화물의 마이크로 및 나노 입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되는 고성능 시멘트에는 나노-크기의 미네랄 또는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수행되는 공정은 시멘트가 잘 분쇄되고 시멘트가 나노-크기의 미네랄과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링커 공정은 로터리 킬른을 이용하는 통상적인 공정이다. 석회질 재료와 같은 시멘트 원재료는 먼저 미세한 분말로 분쇄된다. 그런 다음, 이들은 상기 원재료들이 혼합되어 균일한 조성물을 생성하는 킬른에 도입되고, 1000℃ - 1500℃, 바람직하게는 1350℃ - 1450℃에서 가열된다. 마지막으로, 클링커로 명명될 수 있는 혼합물이 냉각기에서 냉각된다.
따라서, 시멘트 제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수성 조성물 및 제1 첨가제 및 제2 첨가제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 클링커를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시멘트에서 클링커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특정 에너지 소비 및 CO2 배출량의 감소를 제공한다.
시멘트에서 분쇄 보조제의 양은 시멘트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3000 g/톤,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500g/톤이다.
클링커는 분쇄 장치에 도입되고, 원하는 시멘트 분말도(fineness)가 수득될 때까지 분쇄가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분쇄 보조제를 포함하는 시멘트의 분말도의 정도는 2000 내지 10000 g/cm2,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6000 g/cm2,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내지 4500 g/cm2이다.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조성물 및/또는 제1 및 제2 첨가제 혼합물의 첨가는 클링커 상에 분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분무는 통상적인 도징 펌프(dosing pump)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조성물 및 제1 및 제2 첨가제의 혼합물은 클링커 상에 개별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제1 첨가제 및 제2첨가제는 분쇄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클링커에 혼합하지 않고 별도로 첨가될 수 있다.
시멘트 생산공정의 분쇄에서, 클링커와 함께 석고가 첨가될 수 있다. 석고는 황산칼슘 이수화물을 포함하는 황산염 미네랄이다. 세팅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분쇄 과정에서 석고가 첨가된다.
시멘트 제조 방법에서 이러한 분쇄 보조제 조성물은 시멘트의 0.1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3 중량% 내지 2.5 중량%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재료, 방법 및 실시예는 예시일 뿐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제 본 발명은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함께 특히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예시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제한되어서도 안 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제1 첨가제 및 제2 첨가제의 혼합물
성분 함량 (gr)
디아미노메탄올 10
디에탄올이소프로판올아민 12.5
2-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12.5
트리에탄올아민 5
글리세롤 4
디에틸렌 글리콜 5
개질된 지방 알코올 1
50
분쇄 보조제의 제조 방법
- 40 ℃에서 물과 우레아 혼합하는 단계,
- 상기 우레아의 혼합물에 디에탄올이소프로판올아민, 2-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및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제1 첨가제를 수득하는 단계,
- 물,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틸렌 글리콜 및 글리세롤을 혼합하여, 제2 첨가제를 수득하는 단계,
- 50°에서 제1 첨가제 제형을 제2 첨가제 제형과 반응시키는 단계,
- 제1 및 제2 첨가제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수성 조성물
성분 함량 (gr)
계면활성제 50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 중합체 (PCE) 500
500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수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카르복실화 아크릴산 단량체의 에테르화 반응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를 제공하는 단계,
-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를 비이온수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혼합기에서 40분 동안 30 ℃에서 희석하는 단계. (pH는 7에서 중성이다)
제1 및 제2 첨가제의 혼합물 및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시멘트 실시예:
상기 혼합물 및 조성물은 시멘트 분쇄 동안 함께 도입된다.
시멘트 실시예 1
성분 (CEM II/A-S 42.5R) 함량 (백분율)
클링커 (K) %80
용광로 슬래그 (S) %13
석회석 (L) %7
미네랄 %5
시멘트 실시예 2
성분 (CEM II/A-V 42.5R-SR) 함량 (백분율)
클링커 (K) %65
비산재 (V) %27
석회석 (L) %8
미네랄 %5
시멘트 실시예 3
성분 (CEM I 42.5R) 함량 (백분율)
클링커 (K) %95
미네랄 %5
시멘트 실시예 1 내지 3를 본 발명의 분쇄 보조제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동일한 시멘트와 비교하였으며, 하기 표의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보조제 조성물로 클링커를 분쇄하는 효과를 예시한다. 시험은 표준 ASTM C150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CEM I 42.5R CEM II/A-S 42.5R CEM IV/A-V 42.5R-SR
%91K+%5 L+%4 M %78K+%12S+%5L+%4M %67K+%24V+%5L+%4M
MPa R- CEMI ECO CEM I R-CEM II ECO CEM II R-CEM IV ECO CEM IV
1 일 20,1 35,7 18,9 25,8 16,3 28,0
2 일 32,3 43,5 29,6 38,8 27,0 44,5
7 일 44,5 50,4 39,8 45,0 36,5 53,8
28 일 52,3 61,0 51,0 55,1 50,4 65,8
분말도 (g/cm2) 3699 3681 4194 4356 4210 4304

Claims (24)

  1. 고성능 시멘트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수성 분쇄 보조제 조성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및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 분쇄 보조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가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 또는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에스테르 중합체인, 수성 분쇄 보조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분자량이 2000 내지 50000인, 수성 분쇄 보조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비이온성인, 수성 분쇄 보조제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0.3%의 양으로 존재하는, 수성 분쇄 보조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분쇄 보조제 조성물은 상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를 비이온수 및 계면활성제로 30 내지 40분 동안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수득되는, 수성 분쇄 보조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성 분쇄 보조제 조성물의 용도로서,
    고성능 시멘트의 제조에서의 용도.
  8. 고성능 시멘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적어도 하나의 유기 아민 및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 알코올을 혼합하여 제1 첨가제를 제공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알칸올아민 및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을 혼합하여 제2 첨가제를 제공하는 단계,
    c) 첨가제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해 제1 첨가제를 제2 첨가제와 혼합하는 단계,
    d)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수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의 수성 조성물을 시멘트의 분쇄에 함께 또는 별도로 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첨가제 및 제2 첨가제가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비이온성인,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첨가제가 적어도 하나의 유기 아민,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 알코올 및 글루콘산나트륨을 혼합함으로써 제공되는,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아민이 2-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민 피리딘,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프로카인, 디벤질아민, N-메틸모르폴린, 디하이드로아비에틸아민, 1-에페나민, 메틸-피페리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아민이 2-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인, 방법.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아민이 제1 첨가제의 35 중량%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 알코올이 1-(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프로판-2-올 (디에탄올이소프로판올아민, DEIPA),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아미노메탄알 (우레아), N-부틸디에탄올아민, M-메틸디에탄올아민, N-에틸디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메틸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테트라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 트리메틸아미노 에틸에탄올아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 알코올이 1-(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프로판-2-올 (DEIPA)인, 방법.
  17. 제8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이 2-(하이드록시에톡시)에탄-2-올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프로판-1,2,3-트리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이 글리세롤 및/또는 디에틸렌 글리콜인, 방법.
  19. 제8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가 30 내지 65 ℃에서 수행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반응 단계 c)가 40 내지 60℃에서 수행되는, 방법.
  21. 제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첨가제 대 제2 첨가제의 비가 1:0.5 내지 4:1인, 방법.
  22. 제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고성능 시멘트로서,
    상기 시멘트는 시멘트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45%의 미네랄 첨가제를 포함하는, 고성능 시멘트.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고성능 시멘트는 시멘트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5%의 미네랄 첨가제를 포함하는, 고성능 시멘트.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첨가제가 규산질 비산재, 석회질 비산재, 용광로 슬래그, 석회석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규사), 천연 포졸란, 산업용 포졸란 및 연소된 셰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성능 시멘트.
KR1020227019951A 2019-11-13 2019-11-13 고성능 시멘트를 위한 신규한 공정 Ceased KR202201041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TR2019/050945 WO2021096445A1 (en) 2019-11-13 2019-11-13 A novel process for high-performance ce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191A true KR20220104191A (ko) 2022-07-26

Family

ID=7591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951A Ceased KR20220104191A (ko) 2019-11-13 2019-11-13 고성능 시멘트를 위한 신규한 공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073013A4 (ko)
KR (1) KR20220104191A (ko)
WO (1) WO20210964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0490B (zh) * 2021-10-26 2022-11-18 宁波海螺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立磨粉磨水泥专用助磨剂及其应用
CN114634322B (zh) * 2022-04-11 2023-03-14 安徽海螺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泥强度抗衰减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907030A (zh) * 2022-05-26 2022-08-16 昌德新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泥生料添加剂及其应用和水泥生产工艺
CN116396001B (zh) * 2022-11-25 2024-09-03 湖南聚仁新材料股份公司 水泥助磨剂及其用途和基于己内酯精馏副产物的制作方法
CN116375395B (zh) * 2023-03-03 2024-05-03 湖北工业大学 一种利用碳化钙基硅酸盐固废制备绿色硅酸钙板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2217A1 (en) * 2009-08-20 2011-02-24 W.R. Grace & Co.-Conn. Robust air-detraining for cement milling
CN103958433A (zh) * 2011-09-29 2014-07-30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包含阴离子和疏水改性纤维素醚的粘固组合物及其应用
US10214472B2 (en) * 2011-12-06 2019-02-26 Sika Technology Ag Stabilization of crude polyols from biomass
EP2794129B1 (de) * 2011-12-22 2021-07-14 Sika Technology AG Effizienzsteigerung bei vorrichtungen zur grössenseparierung von feststoffpartikeln
EP2660218A1 (de) * 2012-05-04 2013-11-06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ydraulischen Bindemittels, entsprechendes Additiv sowie dessen Verwendung.
CN104854056B (zh) * 2012-12-11 2018-04-20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包含非离子型疏水改性纤维素醚的胶结组合物和其用途
US10047008B2 (en) * 2016-05-03 2018-08-14 Gcp Applied Technologies Inc. Low-to-mid range water-reducing polymer with mixed polyoxyalkylene side chains
US10336652B2 (en) * 2017-11-10 2019-07-02 Gcp Applied Technologies Inc. Enhancing calcined clay use with inorganic binders
US11021395B2 (en) * 2018-01-29 2021-06-01 Lawrence L Kuo Method for low-to-mid-range water reduction of cementitious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6445A1 (en) 2021-05-20
EP4073013A4 (en) 2023-10-11
EP4073013A1 (en)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04191A (ko) 고성능 시멘트를 위한 신규한 공정
US8460457B2 (en) Robust air-detraining for cement milling
KR101795611B1 (ko) 미분 보조제
EP1558542B1 (en) A method for grinding cement comprising amine-containing cement processing additives
US8506701B2 (en) Method for producing hydraulic powder
EP2842923A1 (en) Binder comprising calcium sulfoaluminate cement and magnesium compound
JP5737710B2 (ja) 石炭灰混合セメント組成物
CN1315749C (zh) 一种高强度硅酸盐水泥熟料及其制备方法
JP6966012B1 (ja) セメン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22189A (ko) 콘크리트 결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7529426B2 (ja) セメン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耐久性向上混合材
KR20200027632A (ko) 비소성 시멘트 콘크리트용 반응 촉진제 및 이를 포함하는 비소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JP7604109B2 (ja) セメント組成物、及びセメント組成物の製造方法
RU2746338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ортландцементного вяжущего с добавлением высококальциевой золы теплоэлектростанций (варианты)
JP7663321B2 (ja) セメント組成物、及びセメント組成物の製造方法
TR2021019185A2 (tr) Öğütme yardimcisi
EP4433436A1 (en) Grinding aid
EP4403533A1 (en) Activation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admixture for the activation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and activated hydraulic composition
KR20250041792A (ko) 증기양생 콘크리트용 결합재 조성물
AU2022407362A1 (en) Grinding aid
JP2024169595A (ja) セメント組成物、及びセメント組成物の製造方法
EP2878587B1 (en) Cementitious mixture on the basis of beta clinker
CN118930210A (zh) 一种隧道工程用的磷石膏基注浆料及其制备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1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