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91883A - 커넥터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883A
KR20220091883A KR1020200183074A KR20200183074A KR20220091883A KR 20220091883 A KR20220091883 A KR 20220091883A KR 1020200183074 A KR1020200183074 A KR 1020200183074A KR 20200183074 A KR20200183074 A KR 20200183074A KR 20220091883 A KR20220091883 A KR 20220091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housing
terminal unit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3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1883A/ko
Publication of KR20220091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883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커넥터(10)는 내부에 수납공간(12)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11)과, 상기 수납공간(12)에 설치되되 상기 제1하우징(11)에 대해 상대회전가능한 터미널유닛(T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커넥터(100)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유닛(TA)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개구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미널유닛(TA)의 외주면에는 잠금티스(23)가 돌출되며, 상기 제2커넥터(100)에는 상기 잠금티스(23)가 맞물려 상기 터미널유닛(TA)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기어(112)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데, 다양한 형태로 신호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는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로서, 내부의 터미널 들이 서로 결합하여 신호 연결을 수행한다.
최근에 사용되는 커넥터에서는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에 대해 터미널이 구비되는 터미널유닛이 분리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하우징에 터미널유닛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가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서 터미널유닛과 외부와의 사이에 신호 전달을 위해서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의 연장방향은 커넥터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유닛은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케이블의 연장방향이 다양하게 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케이블이 연장되는 방향은 고정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케이블의 자중에 의해 터미널유닛이 하우징에 대해 상대 회전하여 케이블의 연장방향이 달라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이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대 회전되는 범위가 넓어지게 되어 케이블의 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도 있다.
이처럼 터미널유닛 및 케이블의 연장 방향을 고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타이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특정각도로 고정하거나, 하우징에 고정을 위한 부품을 끼워서 터미널유닛을 특정각도로 고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므로 부품수와 작업공수를 늘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커넥터의 제조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8-0011720 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20-0070612 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에 대해 터미널유닛이 자유롭게 회전됨과 동시에, 상대커넥터와 조립된 후에는 터미널유닛의 회전이 잠기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커넥터가 상대커넥터와 조립되면 터미널유닛의 회전이 잠기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커넥터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상대회전가능한 터미널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커넥터는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미널유닛의 외주면에는 잠금티스가 돌출되며, 상기 제2커넥터에는 상기 잠금티스가 맞물려 상기 터미널유닛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기어는 상기 개구부 내주면을 둘러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티스는 상기 터미널유닛을 구성하는 유닛하우징에서 돌출된 링몸체의 외주면을 둘러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기어는 상기 개구부의 입구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잠금기어와 상기 잠금티스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과 조립되는 상기 제1하우징과, 터미널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유닛은 상기 제1하우징에 상대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납공간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2커넥터의 상대터미널과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유닛은 내부에 조립공간이 형성된 유닛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하우징에는 링몸체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링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잠금티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닛하우징에는 신호터미널이 내장되어 상기 제2커넥터의 상대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신호터미널에는 터미널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에는 터미널고정구가 조립되고, 상기 터미널고정구는 상기 링몸체의 후방을 걸어 상기 터미널유닛이 상기 제1하우징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고정구의 중심에는 상기 터미널유닛의 일부가 통과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양쪽에는 상기 링몸체의 후방을 걸어 고정하는 걸림리브가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리브에는 상기 터미널유닛을 둘러 싸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고정구가 제1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터미널유닛이 후방으로 분리가능하고, 상기 터미널고정구가 제2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걸림리브가 상기 링몸체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고정구는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수납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걸림암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걸림암 사이에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를 형성하는 상기 한 쌍의 걸림암의 안쪽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암의 하단에는 상기 제2커넥터의 키코드돌기가 삽입되는 키코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에는 터미널유닛이 구비되는데, 터미널유닛은 회전가능한 상태로 준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터미널유닛을 설치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대커넥터인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에 조립되면, 터미널유닛의 회전도 잠기게 되므로, 작업자는 터미널유닛(케이블)의 회전각도를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체결구조립이나 테이핑을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커넥터조립체의 설치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에는 서로 맞물리는 잠금티스와 잠금기어가 구비되어, 제1커넥터의 터미널유닛은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 커넥터조립체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조립체의 설치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커넥터의 터미널고정구에는 키코드홈이 형성되어서, 만약 터미널고정구가 제1커넥터에 완전히 조립되지 않으면 제2커넥터가 조립될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터미널고정구가 불완전하게 조립되어 터미널유닛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에 의한 커넥터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에서 터미널고정구가 이동함에 따라 터미널유닛이 고정되는 모습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서로 분리되되, 제1커넥터에서 제1하우징이 생략된 상태로 표현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에 결합된 터미널유닛과 케이블이 서로 다른 각도를 형성하는 모습을 각각 단면형태로 보인 정면도.
도 6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서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일실시례가 조립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조립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10)와 상기 제2커넥터(100)는 서로 조립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커넥터(10)에는 터미널유닛(TA)이 구비되고, 제2커넥터(100)에는 상대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터미널유닛(TA)은 회전하면서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는데, 터미널유닛(TA)의 회전은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100)의 조립으로 자연스럽게 잠기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터미널유닛(TA)의 회전가능상태 및 회전잠김상태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상기 제2커넥터(100)가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면에서 제2커넥터(100)의 구조는 매우 간략하게 표현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상기 제2커넥터(100)에 상대터미널과 케이블이 구비될 수 있으나 도면에는 생략되어 있다.
상기 제1커넥터(10)를 먼저 살펴보면, 상기 제1커넥터(10)의 골격은 제1하우징(11)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은 대략 육면체의 입체형상이고,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몸체의 중심에는 수납공간(12)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납공간(12)은 상기 하우징몸체의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유닛(TA)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에는 제1체결장치(13,14,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장치(13,14,15)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100)의 조립을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체결장치(13,14,15)는 후크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장치(13,14,15)에는 작업자가 조립해제를 위해 누르게 되는 파지부(13)와, 상기 파지부(13)의 반대편에서 파지부(13)에 연동하는 체결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13)와 상기 체결부(14)는 그 사이에 구비된 브릿지(미도시)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즉, 상기 파지부(13)가 아래쪽으로 눌리면 상기 체결부(14)가 상승하면서, 상기 체결부(14)의 체결홀(15)에 끼워진 상기 제2커넥터(100)의 체결돌기(104)가 체결홀(15)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수납공간(12) 입구에는 키홈(12a,1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홈(12a,12b)은 상기 수납공간(12)의 입구를 넓히는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키홈(12a,12b)에는 상기 제2커넥터(100)의 키코드돌기가 삽입될 수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10)와 상기 제2커넥터(100)의 조립방향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고,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키홈(12a,12b)은 아래에서 설명될 유닛하우징(20)의 키코드홈(78)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키홈(12a,12b)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상기 키홈(12a,12b)의 개수, 형상 및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에는 고정구장착홀(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장착홀(17)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일종의 조립을 위한 공간이다. 상기 고정구장착홀(17)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부로 개방되고, 상기 고정구장착홀(17)을 통해서 후술할 터미널고정구(70)가 삽입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터미널고정구(70)에 구비된 한 쌍의 걸림암(72)이 상기 고정구장착홀(17)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에는 터미널유닛(TA)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유닛(TA)은 상기 제1하우징(11)에 조립되어 상대커넥터인 제2커넥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인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터미널유닛(TA)은 동축터미널로 구성된다. 도 2를 보면, 상기 터미널유닛(TA)의 골격은 유닛하우징(20)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닛하우징(20)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납공간(12)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닛하우징(2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유닛하우징(20)은 대략 육면체의 입체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유닛하우징(20)은 2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데, 한쪽으로는 전기접속을 위한 신호터미널(39)이 돌출되고, 다른 한 쪽으로는 슬라이브(40)가 돌출될 수 있다. 이들은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는데, 상기 슬라이브(40)의 안쪽에는 케이블(45)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닛하우징(20)의 표면에는 터미널고정단(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고정단(21)은 상기 유닛하우징(2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링형상이다. 상기 터미널고정단(21)의 앞쪽으로는 신호터미널(39) 등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고정단(21)은 상기 터미널유닛(TA)의 회전을 위해서 링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닛하우징(20)의 내부에는 상기 터미널고정단(21)에 맞는 원형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고정단(21)의 전방에는 링몸체(22)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고정단(21)과 링몸체(22) 사이는 이격되고, 이격된 부분은 터미널고정구(70)의 걸림리브(75)에 걸리게 된다. 상기 걸림리브(75)가 상기 링몸체(22)의 후방에 걸리면, 상기 터미널유닛(TA)이 상기 제1하우징(11)으로부터 후방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링몸체(22)는 상기 터미널고정단(21)과 마찬가지로 링형상일 수 있고, 상기 링몸체(22)의 내부에는 상기 신호터미널(39) 등 금속재질의 부품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링몸체(22)와 상기 터미널고정단(21)은 상기 터미널유닛(TA)의 회전을 위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링몸체(22)에는 잠금티스(23)가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잠금티스(23)는 상기 링몸체(22)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데,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티스(23)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100)의 잠금기어(112)에 맞물리는 부분이고, 상기 잠금티스(23)가 상기 잠금기어(112)에 맞물리면 상기 터미널유닛(TA)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잠금티스(23)는 상기 터미널유닛(TA)의 회전을 잠그는 잠금장치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상기 잠금티스(23)는 상기 링몸체(22)의 외주면을 둘러서 돌출되는데, 상기 잠금티스(23)는 얇은 판상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잠금티스(23)들은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잠금기어(112)의 홈에 끼워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터미널유닛(TA)에 가해지는 외부의 강한 토크에도 견딜 수 있다.
상기 유닛하우징(20)에는 케이블가이드부(27)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가이드부(27)는 상기 터미널고정단(21)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케이블가이드부(27)는 상기 터미널고정단(21)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케이블가이드부(27)는 상기 슬라이브(40) 및 케이블(45)의 초기 연장방향을 안내해줄 수 있다.
상기 유닛하우징(20)에 결합되는 터미널(30)의 구조를 보면, 상기 터미널(30)은 크게 접지터미널(35)과 신호터미널(39)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터미널(35)은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배치되고, 상기 신호터미널(39)은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터미널(35)과 상기 신호터미널(39) 사이에는 내부하우징(37)에 배치되어, 상기 접지터미널(35)과 상기 신호터미널(39) 사이가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접지터미널(35)은 상기 유닛하우징(20)과 제2커넥터(100)의 사이의 접지를 위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접지터미널(35)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접지터미널(35)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접지터미널(35)은 다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 조각들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터미널(35)은 제2커넥터(100)의 상대 접지부와 자연스럽게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지터미널(35)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유닛하우징(20)의 일부 구조가 접지연결을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유닛하우징(20)의 내부에는 내부하우징(3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하우징(37)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하우징(37)은 아래에서 설명될 신호터미널(39)과 유닛하우징(20) 사이의 절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내부하우징(37)의 형상과 크기는 상기 유닛하우징(20)의 조립공간에 들어갈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내부하우징(37)의 조립공간은 'T'자 또는 거의 'ㄱ"자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신호터미널(39)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신호터미널(39)의 선단은 제2커넥터(100)의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어 신호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신호터미널(39)의 선단부는 상대 터미널과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신호터미널(39)의 후단에는 결합부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여기에 케이블연결구(미도시)가 압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결합부의 구조는 케이블(45)의 심선과 결합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상기 접지터미널(35) 및 상기 신호터미널(39)과 다른 방향으로는 슬라이브(40)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브(40)는 상기 케이블(45)과 함께 압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브(40)도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슬리이브는 다각형이나 원형의 횡단면형상을 가진다. 상기 슬라이브(40)는 상기 접지터미널(35)에 연결되어 접지기능을 함께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브(40)는 케이블(45)이 유닛하우징(2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시일(미도시) 등을 내부에 유지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브(40)에는 케이블(45)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45)은 상기 신호터미널(39)과 연결되어, 상기 신호터미널(39)의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케이블(45)의 일부만 표현되어 있으나,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45)은 상기 터미널유닛(TA)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터미널유닛(TA)과 함께 상기 제1하우징(11)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유닛(TA)은 상기 제1하우징(11)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를 보면, 케이블(45)을 포함하는 상기 터미널유닛(TA) 전체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도 5(a)의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터미널유닛(TA)이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고정구(70)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조립되더라도, 상기 터미널유닛(TA)은 회전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터미널고정구(70)는 상기 터미널유닛(TA)이 후방으로 분리되는 것만 방지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1커넥터(10)에는 터미널고정구(70)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고정구(70)는 상기 제1하우징(11)에 조립되어서 상기 터미널유닛(TA)이 후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고정구(70)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1차조립되면 제1위치에 있을 수 있고, 2차조립되면 제2위치에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2위치는 상기 터미널유닛(TA)이 상기 터미널고정구(70)에 의해 걸릴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도 2를 보면, 상기 터미널고정구(70)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부로 노출되는 누름부(71)와, 상기 누름부(71)에서 연결되는 한 쌍의 걸림암(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71)는 작업자가 실제로 상기 터미널고정구(70)를 누르거나 당기는 부분일 수 있는데, 대략 평판구조이다.
상기 한 쌍의 걸림암(72)은 상기 누름부(71)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1하우징(11)의 수납공간(12)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걸림암(72)은 상기 제1하우징(11)에 형성된 고정구장착홀(17)을 통해 상기 제1하우징(11)의 안쪽으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걸림암(72) 사이에는 상기 터미널유닛(TA)의 일부가 통과하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를 통해서 상기 신호터미널(39)과 상기 접지터미널(35)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걸림암(72)의 상부에는 조립돌기(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73)는 상기 걸림암(72)의 상부에서 돌출된 부분으로, 상기 고정구장착홀(17)의 안쪽에 형성된 조립홈부(미도시)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73)가 다수개의 조립홈부에 단계적으로 걸리면, 상기 터미널고정구(70)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1차조립 및 2차조립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의 양쪽에는 상기 링몸체(22)의 후방을 걸어 고정하는 걸림리브(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75)는 상기 한 쌍의 걸림암(72)에 각각 구비되므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걸림리브(75)는 서로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돌출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75)에는 상기 터미널유닛(TA)을 둘러 싸는 가이드홈(7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76)은 상기 걸림리브(75)에서 함몰된 형태이므로, 상기 가이드홈(76)은 상기 관통부의 폭을 넓히는 부분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3(a)에서 보듯이 상기 터미널고정구(70)가 제1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가이드홈(76)을 통해 상기 터미널유닛(TA)이 후방으로 분리가능하고, 도 3(b)에서 보듯이 상기 터미널고정구(70)가 제2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걸림리브(75)가 상기 링몸체(22)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암(72)의 하단에는 상기 제2커넥터(100)의 키코드돌기가 삽입되는 키코드홈(7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코드홈(78)은 상기 키홈(12a,12b)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커넥터(100)의 키코드돌기가 상기 키홈(12a,12b)을 거쳐 상기 키코드홈(78)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a)와 도 5(b)에는 상기 키코드홈(78)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 끼워지는 키코드돌기는 생략되어 있다. 상기 키코드홈(78)은 상기 키코드돌기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구조이고,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키코드돌기가 상기 키코드홈(78)에 끼워지므로, 달리 말하면 상기 키코드돌기가 상기 키코드홈(78)에 끼워질 수 없으면 상기 제1커넥터(10)에 상기 제2커넥터(100)가 조립될 수 없다. 즉, 상기 제1커넥터(10)의 터미널고정구(70)에는 키코드홈(78)이 형성되므로, 만약 터미널고정구(70)가 제1커넥터(10)에 완전히 조립되지 않으면 제2커넥터(100)가 조립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터미널고정구(70)가 불완전하게 조립되어 터미널유닛(TA)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커넥터(100)를 살펴보면, 상기 제2커넥터(100)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100)의 내부에는 상대 터미널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상대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유닛(TA)과 접촉하여 전기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커넥터(100)에도 별도의 케이블(45)이 연결될 수 있는데, 도면에는 생략되었다.
상기 제2커넥터(100)의 골격을 구성하는 제2하우징(101)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납공간(1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하우징(101)의 앞부분은 원통형상으로, 상기 수납공간(12)과 대응하는 형상이다.
상기 제2하우징(101)에는 잠금기어(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기어(112)에는 상기 잠금티스(23)가 맞물려 상기 터미널유닛(TA)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잠금기어(112)는 상기 개구부(102) 내주면을 둘러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잠금기어(112)는 개구부(102)의 내주면을 둘러서 형성되는 일종의 기어 또는 요철구조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기어(112)는 상기 개구부(102)의 입구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커넥터(10)와 상기 제2커넥터(100) 사이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잠금기어(112)와 상기 잠금티스(23)가 서로 맞물리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커넥터(10)와 상기 제2커넥터(100)가 완전히 조립되기 전까지는 상기 터미널유닛(TA)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2커넥터(100)의 잠금기어(112)에는 상기 잠금티스(23)가 맞물려 회전잠금상태가 되는데, 도 5(a)와 도 5(b)를 비교하면, 상기 잠금기어(112)에 맞물린 상기 잠금티스(23)의 위치가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즉, 상대커넥터인 제2커넥터(100)가 상기 제1커넥터(10)에 조립되면, 터미널유닛(TA)의 회전도 잠기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104는 체결돌기(104)로, 상기 체결돌기(104)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체결홀(15)에 끼워져 두 커넥터가 서로 조립될 수 있게 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일실시례가 조립되는 과정을 보면, 먼저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유닛(TA)을 상기 제1하우징(11)에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미널유닛(TA)을 구성하는 유닛하우징(20), 접지터미널(35), 내부하우징(37), 신호터미널(39), 슬라이브(40) 및 케이블(45)은 서로 결합된 상태이다.
상기 제1하우징(11)에 상기 터미널유닛(TA)이 조립되면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는 상기 터미널유닛(TA)이 상기 제1하우징(11)의 후방으로 빠질 수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터미널고정구(70)를 눌러 상기 터미널유닛(TA)을 걸어주어야 한다. 도 8의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터미널고정구(70)의 누름부(71)를 누르면, 도 9와 같은 상태가 되고, 상기 터미널유닛(TA)은 상기 터미널고정구(70)에 걸린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는 앞서 도 3(b)로 확인한 바 있다.
도 9를 보면, 상기 터미널유닛(TA)은 제1하우징(11)에 고정되었으나 제1하우징(11)에 대해 회전은 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상기 제2커넥터(100)를 조립하기에 앞서, 설치환경에 맞게 상기 터미널유닛(TA)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도 10의 화살표 ① 또는 ①' 방향으로 상기 터미널유닛(TA)을 회전시키고, 적절한 방향이 되면 이를 고정해주게 된다.
상기 터미널유닛(TA)의 회전을 잠그는 동작은 상기 제1커넥터(10)와 상기 제2커넥터(100)의 조립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미널유닛(TA)의 잠금티스(23)가 상기 제2커넥터(100)의 잠금기어(112)에 맞물리면 상기 터미널유닛(TA)의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10)와 상기 제2커넥터(100)가 조립되면, 상기 체결돌기(104)가 상기 체결홀(15)에 끼워지므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100)가 서로 결합되고, 이에 따라 상기 터미널유닛(TA)의 회전도 방지될 수 있다.
이처럼, 작업자는 터미널유닛(TA)(및 케이블(45))의 회전각도를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체결구조립이나 테이핑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100)에는 서로 맞물리는 잠금티스(23)와 잠금기어(112)가 구비되어, 제1커넥터(10)의 터미널유닛(TA)은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 본 실시례의 커넥터조립체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 제1커넥터 12: 수납공간
20: 유닛하우징 23: 잠금티스
30: 터미널 35: 접지터미널
37: 내부하우징 39: 신호터미널
40: 슬라이브 45: 케이블
70: 터미널고정구 71: 누름부
72: 걸림암 75: 걸림리브
76: 가이드홈 100: 제2커넥터
102: 조립공간 112: 잠금기어
TA: 터미널유닛

Claims (11)

  1.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상대회전가능한 터미널유닛을 포함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유닛의 외주면에는 잠금티스가 돌출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잠금티스가 맞물려 상기 터미널유닛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기어가 구비되는 커넥터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어는 상기 개구부 내주면을 둘러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티스는 상기 터미널유닛을 구성하는 유닛하우징에서 돌출된 링몸체의 외주면을 둘러 다수개가 구비되는 커넥터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어는 상기 개구부의 입구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잠금기어와 상기 잠금티스가 서로 맞물리는 커넥터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과 조립되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상대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납공간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2커넥터의 상대터미널과 접촉될 수 있는 터미널유닛;을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유닛은
    내부에 조립공간이 형성된 유닛하우징;
    상기 유닛하우징에서 돌출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잠금티스가 돌출되는 링형상의 링몸체;
    상기 유닛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상대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터미널;과
    상기 신호터미널에 연결되고, 상기 제1커넥터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터미널고정구가 조립되고, 상기 터미널고정구는 상기 링몸체의 후방을 걸어 상기 터미널유닛이 상기 제1하우징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고정구의 중심에는 상기 터미널유닛의 일부가 통과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양쪽에는 상기 링몸체의 후방을 걸어 고정하는 걸림리브가 대칭되게 구비되는 커넥터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걸림리브에는 상기 터미널유닛을 둘러 싸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고정구가 제1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터미널유닛이 후방으로 분리가능하고, 상기 터미널고정구가 제2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걸림리브가 상기 링몸체를 걸어 고정시키는 커넥터조립체.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고정구는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수납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걸림암;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걸림암 사이에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를 형성하는 상기 한 쌍의 걸림암의 안쪽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걸림암의 하단에는 상기 제2커넥터의 키코드돌기가 삽입되는 키코드홈이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KR1020200183074A 2020-12-24 2020-12-24 커넥터조립체 Pending KR20220091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074A KR20220091883A (ko) 2020-12-24 2020-12-24 커넥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074A KR20220091883A (ko) 2020-12-24 2020-12-24 커넥터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883A true KR20220091883A (ko) 2022-07-01

Family

ID=8239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074A Pending KR20220091883A (ko) 2020-12-24 2020-12-24 커넥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188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2388A (ko) * 2022-08-11 2024-02-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240052454A (ko) * 2022-10-14 2024-04-2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KR20240070059A (ko) * 2022-11-14 2024-05-21 주식회사 경신 정션박스용 버스바
KR20240139779A (ko) * 2023-03-15 2024-09-24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터미널의 접촉 안정성이 강화된 커넥터 장치
KR20240141402A (ko) * 2023-03-20 2024-09-2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터미널의 체결 작업 안정성이 강화된 커넥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720A (ko) 2016-07-25 2018-02-02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동축 커넥터 조립체
KR20200070612A (ko) 2018-12-10 2020-06-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720A (ko) 2016-07-25 2018-02-02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동축 커넥터 조립체
KR20200070612A (ko) 2018-12-10 2020-06-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2388A (ko) * 2022-08-11 2024-02-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240052454A (ko) * 2022-10-14 2024-04-2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KR20240070059A (ko) * 2022-11-14 2024-05-21 주식회사 경신 정션박스용 버스바
KR20240139779A (ko) * 2023-03-15 2024-09-24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터미널의 접촉 안정성이 강화된 커넥터 장치
KR20240141402A (ko) * 2023-03-20 2024-09-2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터미널의 체결 작업 안정성이 강화된 커넥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91883A (ko) 커넥터조립체
JP6730353B2 (ja) コネクタ
JP5105465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4820421B2 (ja) コネクタ
JP4148345B2 (ja) 直角型同軸電気コネクタ
CN110226266B (zh) 屏蔽连接器及阳侧屏蔽端子
WO2013018368A1 (en) Connector
KR101068316B1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JP2014053128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EP3840134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6127803A (ja) コネクタ
US20180241147A1 (en) Plug-in connector
JP2014137913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KR100752082B1 (ko) 동축 커넥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및 커넥터
US9362671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quick-locking connection
JP6847016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312175B2 (ja) コネクタ
JP3606436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6762784B2 (ja) 電気コネクタ
US20190081427A1 (en) Connector
JP7563321B2 (ja) コネクタ
US11888254B2 (en)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module with integrate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ans
JP2010135159A (ja) 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2019204641A (ja) 防水コネクタ及び防水コネクタ構造
CN107819235A (zh) 连接器和线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