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2082B1 - 동축 커넥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082B1
KR100752082B1 KR1020040061197A KR20040061197A KR100752082B1 KR 100752082 B1 KR100752082 B1 KR 100752082B1 KR 1020040061197 A KR1020040061197 A KR 1020040061197A KR 20040061197 A KR20040061197 A KR 20040061197A KR 100752082 B1 KR100752082 B1 KR 100752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axial cable
coaxial
personal computer
connecting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8614A (ko
Inventor
야마네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8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0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03Connection between two cable e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01R13/567Traverse cable outlet or wire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01Connector hood or shell
    • Y10S439/902Angularly disposed contact and conducto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결합길이가 짧아 스페이스를 절약하여 수용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 또 동축 케이블의 방향을 서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축방향에서의 케이블의 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 등이다.
(해결수단) 수 단자 및 암 단자 모두 라이트 앵글 타입의 것을 사용하고, 이들을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동축 커넥터를 사용한다. 또한, 상세하게는 제 1 동축 케이블에 접속된 제 1 단자와 제 2 동축 케이블에 접속된 제 2 단자를 접속하고, 제 1 동축 케이블과 제 2 동축 케이블에 접속하는 동축 커넥터로서, 제 1, 제 2 단자 모두 각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접속수단을 갖고,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를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직접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제 1 단자의 접속수단과 제 2 단자의 접속수단을 서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는 접속 후에도 서로 회전 운동이 자유로워도 된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및 커넥터{COAXIAL CONNECTOR, PERSONAL NOTE TYPE COMPUTER AND CONNECTOR}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동축 커넥터의 수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동축 커넥터의 암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접속상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 는 조립 전의 실드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수 커넥터의 조립 수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동축 커넥터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로의 응용예를 나타낸,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전체의 개념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동축 커넥터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로의 응용예를 나타낸, 커넥터 접속의 개념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동축 커넥터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로의 실제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접속된 커넥터의 상면도를 그 변형상태와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커넥터의 위치결정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스트레이트 타입의 동축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동축 커넥터
2 : 수(雄) 커넥터
4 : 동축 케이블
6 : 암(雌) 커넥터
7 :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21 : 실드 케이스
22 : 단자 절연체
44 : 중심 도체
45 : 중심 콘택트
61 : 콘택트 삽입구
62 : 끼움지지 스프링
71 : 표시부
72 : 조작부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 다시 말하면 동축 커넥터를 형성하는 커넥터끼리를 서로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라이트 앵글 타입의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동축 커넥터는 예컨대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각 커넥터는 그 형상으로부터 스트레이트 타입과 라이트 앵글 타입으로 크게 구별할 수 있다.
스트레이트 타입이란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전기접속에 사용하는 접속수단, 예컨대 접속 핀이나 스프링 부재가 이들 각 커넥터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을 따라 고정되고,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가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접속되는 타입을 말한다. 도 11 에 스트레이트 타입의 동축 커넥터 (9) 의 일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참조번호 91 이 암 커넥터, 92 가 수 커넥터를 각각 나타낸다.
한편, 라이트 앵글 타입이란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접속에 사용하는 접속수단이 이들 각 커넥터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예컨대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고정되고,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가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접속되는 타입을 말한다.
또한, 종래 라이트 앵글 타입의 동축 커넥터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7063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계기판과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고, 스트레이트 타입의 동축 커넥터와 같이 중계기판을 개재시키지 않고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끼리가 직접적으로 접속되지는 않았다.
동축 커넥터는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를 제조할 때에도 동축 커넥터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제조는, 표시부 혹은 조작부의 일방에만 미리 동축 케이블을 내장하 고, 그 일방 부재의 외부로 연장시킨 동축 케이블의 일단에 수 커넥터 혹은 암 커넥터의 일방을 접속해 놓고, 타방의 부재를 제조하고 있는 도중에, 그 타방 부재의 내부에 내장된, 타방의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는 기판에 대해, 상기 일방의 커넥터를 접속하는 방법이 채용되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37062호 소위 스트레이트 타입의 동축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70638호 소위 라이트 앵글 타입의 동축 커넥터가 중계기판을 통해 접속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스트레이트 타입의 동축 커넥터는 그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가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접속되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이 축방향으로 당겨진 경우에, 그 인장력이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 사이의 접속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이 인장력에 견딜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스트레이트 타입의 동축 커넥터에서는,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 사이에 완전 로크 기구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완전 로크 기구는, 각 커넥터, 특히 이들의 접합부 (끼워맞춤부의 직경의 크기) 를 대형화시킨다는 결점이 있다. 특히 각 커넥터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의 직경이 가늘 경우, 동축 커넥터가 동축 케이블에 비하여 매우 대형화되어, 동축 케이블 자체에 큰 수용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접속하는 동축 커넥터를 위해 큰 수용 스페이스를 할애해야 된다는 사태도 생각할 수 있다.
또,예컨대 위에 예시한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로의 사용 태양에 있어서, 표시 부와 조작부를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는, 최종적으로는 표시부 혹은 조작부 중 어느 일방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게 되는데, 스트레이트 타입의 동축 커넥터는 그 축방향으로 비교적 큰 길이를 갖기 때문에, 이를 수용하기 위해 소정 방향으로 비교적 큰 길이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고, 또 이 스페이스 내에서는 동축 케이블의 방향 변경이 곤란하여, 조작부 내에 내장하는 작업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특히 수용 스페이스가 작은 경우, 동축 케이블의 방향 변경이 곤란하기 때문에, 예컨대 동축 케이블의 길이가 너무 긴 경우에는, 동축 케이블의 내장이 불가능해지거나, 혹은 축방향으로 원하지 않는 힘을 받았을 때에 동축 케이블에 악영향을 준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예컨대 비교적 작은 수용 스페이스에 있어서는, 동축 케이블의 길이 변경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결합길이가 짧아 절약된 스페이스에 수용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의 방향을 서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축방향에서의 케이블의 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의 중계, 연장에 이용하여 비교적 작은 수용 스페이스에서도 동축 케이블의 길이를 자유롭게 또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라이트 앵글 타 입의 동축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 즉 수 커넥터 및 암 커넥터 모두 라이트 앵글 타입의 것을 사용하여 이들을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동축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커넥터와 제 2 동축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커넥터를 접속하여,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과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접속수단을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접속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직접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 1 커넥터의 접속수단과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수단을 서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동축 커넥터를 절약된 스페이스 내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는 원통형의 끼워맞춤부를 통해 접속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는 접속 후에도 서로 회전 운동이 자유로워진다.
또,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본체부는 얇은 금속판을 펀칭,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부품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시킨 제 1 동축 케이블에 상기 제 1 커넥터를 접속하고, 제 2 부품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시킨 제 2 동축 케이블에 상기 제 2 커넥터를 접속하며,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 1 커넥터의 접속수단과 상기 제 2 커넥 터의 접속수단을 서로 접속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 1 부품과 제 2 부품 사이의 조립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부품의 내부에 고정되어 설치된 위치결정수단을 이들 사이에 끼워들어가도록 하여 서로 접속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위치를 용이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은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부 또는 조작부이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부품은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조작부 또는 표시부이어도 된다.
또,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의 원통형 끼워맞춤부의 외주의 일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동축 케이블을 커넥터의 본체부에 장착할 때, 동축 케이블을 용이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돌기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지나친 끼워맞춤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의 본체부는, 얇은 금속판을 펀칭,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된, 상기 제 1 커넥터와 접속되는 원통형의 끼워맞춤부를 갖고 있고, 상기 원통형의 끼워맞춤부에서의 상기 금속판 끼리의 맞춤부에 형성된 볼록부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는 부재의 오목부와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금속판의 맞춤부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본 발명은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표시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시킨 제 1 동축 케이블에 제 1 커넥터를 접속하고, 상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조작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시킨 제 2 동축 케이블에 제 2 커넥터를 접속하며,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외부에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 1 커넥터의 접속수단과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수단을 서로 접속하는 상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접속수단을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접속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직접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 1 커넥터의 접속수단과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수단을 서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조립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시킨 제 1 동축 케이블에 제 1 커넥터를 접속하고, 상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조작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시킨 제 2 동축 케이블에 제 2 커넥터를 접속하며,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제 2 부품의 내부에 고정시켜 형성하여 상기 제 1 커넥터의 접속수단과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수단을 상기 제 2 부품의 내부에서 접속하는 상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접속수단을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접속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직접적으로 접속함으로 써, 상기 제 1 커넥터의 접속수단과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수단을 서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조립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방의 동축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커넥터와 타방의 동축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커넥터를 접속하여, 상기 일방의 동축 케이블과 상기 타방의 동축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축 커넥터에 사용하는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접속수단을 갖고, 상기 커넥터끼리를 상기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직접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커넥터의 접속수단끼리를 서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는 결합길이가 짧아 절약된 스페이스 내에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는, 동축 커넥터에 고정된 동축 케이블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축방향에서 원하지 않는 힘을 받기 어렵고, 또 동축 케이블 길이의 허용도가 크다는 이점이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내지 도 3 에 본 발명에 의한 라이트 앵글 타입의 동축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1 은 이 동축 커넥터의 수 커넥터의 측면단면도, 도 2 는 그 암 커넥터의 측면단면도, 도 3 은 이들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접속상태에 있어서의 측 면단면도이다.
1. 수 커넥터의 구성
먼저 수 커넥터의 구성을 설명한다. 수 커넥터 (2) 는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을 갖고, 본체 외부를 형성하는 실드 케이스 (플러그 형상 외부 도체 ; 21) 와, 그 내부에 배치된 단자 절연체 (22)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부재에 중심 도체를 이루는 중심 콘택트 (45) 와 동축 케이블 (4) 이 고정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는 그다지 명확하지는 않지만, 실드 케이스 (21) 는 얇은 금속판을 펀칭,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절삭가공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면서 저가로 수 커넥터 (2) 를 제조할 수 있다. 도 4 에 조립 전의 실드 케이스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도 4 의 (a) 는 그 정면도, (b) 는 단면도, (c) 는 배면도, (d) 는 저면도이다.
실드 케이스 (21) 는 끼워맞춤부로서 기능하는 실드 케이스 원통부 (23) 와, 이 실드 케이스 원통부 (23) 로부터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 (24), 또한 네크부 (25) 를 통해 실드 케이스 원통부 (23) 와 접속되어 실드 케이스 원통부 (23) 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26) 로 이루어지고, 이 연장부 (26) 는 추가로, 연장부 (26) 에 대해 각각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축 케이블 절연체 압착부 (29) 와, 실드 도체 압착부 (30) 및 외피 압착부 (31) 를 갖는다.
1-1. 실드 케이스 원통부
실드 케이스 원통부 (23) 의 배면측 대략 중심 부근에 원통부 (23) 를 형성하기 위해 맞대었을 때에 발생된 맞춤부 (28) 가 존재한다. 용이하게 상상할 수 있도록, 이 맞춤부 (28) 에서 서로 겹쳐지는 금속판 2개의 맞춤면은 금속판을 구부리고 있을 뿐이기 때문에 암 커넥터에 삽입하거나 빼낼 때에 부하를 받아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향이 있다. 맞춤부 (28) 에서의 맞춤면에 큰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 이들을 대략 완전히 밀착시킨 상태로 하기 위해, 맞춤부 (28) 의 상부에 단자 절연체 (22) 의 오목부 (도 5 의 39) 와 끼워맞춰질 수 있는 볼록부 (38) 가 형성되어 있다.
실드 케이스 원통부 (23) 의 선단 부근 외주부에는, 암 커넥터와 로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환형 오목부 (36)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환형 오목부 (36) 보다도 실드 케이스 원통부 (23) 의 선단으로부터 먼 측에서, 또한 실드 케이스 원통부 (23) 의 정면측 외주의 대략 중심 부근에, 공구 (도시되어 있지 않음) 를 사용하여 동축 케이블을 위치결정할 때에 사용되는 돌기 (37) 가 형성되어 있다. 종래 이와 같은 동축 케이블의 위치결정은, 이와 같은 돌기 (37) 대신에 실드 케이스의 일부에 형성된 노치 등 (예컨대 도 2 의 암 커넥터 (6) 의 실드 케이스 (21') 에 형성된 노치 (47) 등) 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그러나 예컨대 수 커넥터를 기준으로 하여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를 끼워맞추는 경우에는, 수 커넥터의 변형을 가능한 한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암 커넥터 (6) 에 형성되어 있는 노치 (47) 를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 노치 대신에 돌기 (37) 를 형성하고, 이 돌기 (37) 를 기준으로 하여, 동축 케이블을 위치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 돌기 (37)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의 끼워맞춤 시에 스토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1-2. 단자 절연체
단자 절연체 (22) 는 실드 케이스 (21) 의 내부에 장착되어 거의 완전히 그곳에 수용된다. 단자 절연체 (22) 는 실드 케이스 (21) 의 맞춤부 (28) 의 볼록부 (38) 에 대응하여 오목부 (39) 를 갖는다. 단자 절연체 (22) 를 실드 케이스 (21) 에 장착할 때, 실드 케이스 (21) 의 맞춤부 (28) 에서 금속판의 맞춤면을 밀착시킨 상태로 맞춤부 (28) 의 볼록부 (38) 에 단자 절연체 (22) 의 오목부 (39) 를 끼워넣음으로써, 실드 케이스 (21) 의 적어도 볼록부 (38) 에서는 맞춤부 (28) 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단 단자 절연체 (22) 가 실드 케이스 (21) 에 장착된 후에는, 실드 케이스 (21) 의 맞춤부 (28) 의 맞춤면이 외측으로 개방되는 힘을 이용하여, 실드 케이스 (21) 의 볼록부 (38) 를 단자 절연체 (22) 의 오목부 (39) 에 밀착시킬 수도 있다.
1-3. 동축 케이블
동축 케이블 (4) 은, 그 선단측에서 외피 (41) 를 벗겨 내측의 실드 도체 (42) 를 노출시킨 상태로 되고, 가장 선단에서는 외피 (41), 실드 도체 (42) 및 동축 케이블 절연체 (43) 의 전체를 벗겨 중심 도체 (44) 를 노출시킨 상태로 되어 있다. 노출된 실드 도체 (42) 는, 그 주위에서 실드 케이스 (21) 에 전기적,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또 노출된 중심 도체 (44) 에는, 동축 케이블 (4) 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컨대 직교하는 방향으로 핀형의 중심 콘택트 (45) 가 납땜된다. 이들 동축 케이블 (4) 이나 중심 콘텍트 (45) 는 단자 절연체 (22) 의 내 부에 장착된다. 동축 케이블 (4) 이나 중심 콘택트 (45) 는 단자 절연체 (22) 를 통해 실드 케이스 (21) 에 위치결정되게 된다. 특히 동축 케이블 (4) 의 중심도체 (44) 는, 단자 절연체 (22) 에 의해 2 방향으로부터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위치결정되고, 한편 중심 콘택트 (45) 는 단자 절연체 (22) 의 특히 단자 절연체 원통부 (32) 의 중심을 관통한 상태에서 위치결정된다.
1-4. 조립 수순
이어서 도 5 를 참조하여 수 커넥터의 조립 수순을 설명한다. 도 5 는 실드 케이스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5의 (a),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단자 절연체 (22) 가 실드 케이스 (21) 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 실드 케이스 (21) 의 볼록부 (38) 가 단자 절연체 (22) 에 형성된 오목부 (39) 에 압입된다. 단자 절연체 (22) 가 실드 케이스 (21) 에 완전히 장착되었을 때, 단자 절연체 (22) 의 단자 절연체 원통부 (32) 가 실드 케이스 (21) 의 실드 케이스 원통부 (23) 의 일부까지 삽입되고, 또 단자 절연체 (22) 의 단자 절연체 원통부 (32) 부근으로부터 대략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33) 의 측면은 그 대략 전체를 실드 케이스 (21) 의 측면부 (24) 에 의해 덮인다.
이어서 도 5 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 (4) 이, 그 선단부 부근에 고정된 중심 콘택트 (45) 를 단자 절연체 (22) 의 단자 절연체 원통부 (32) 중심에 형성된 관통구멍 (34) 을 관통시키도록 하여 단자 절연체 (22) 에 장착된다.
그 후, 실드 케이스 (21) 의 연장부 (26) 를, 네크부 (25) 를 중심으로, 실드 케이스 원통부 (23) 에 접근하는 도시한 화살표 방향 (도면에서 시계방향) 으로 직각으로 구부려, 동축 케이블 (4) 의 상부 측면을 덮는 상태로 한 후, 연장부 (26) 에서 연장되는 동축 케이블 절연체 압착부 (29), 실드 도체 압착부 (30), 외피 압착부 (31) 를 각각, 동축 케이블 (4) 의 측면과 저면을 둘러싸도록 구부리면 완성이다.
또한, 실드 케이스 (21) 의 연장부 (26) 를 구부렸을 때, 이에 수반하여 단자 절연체 (22) 의 일부로서 일체 성형된 단자 절연체 (22) 의 연장부 (35) 도 동시에 구부러진다. 그 결과, 단자 절연체 (22) 의 연장부 (35) 는 실드 케이스 (21) 의 내부에서, 동축 케이블 (4) 의 상부 측면을 덮게 되고, 이에 의해 동축 케이블 (4) 의 내측의 부재, 즉, 중심 도체 (44) 나 중심 콘택트 (45) 와 외측 부재, 즉, 실드 도체 (42) 와의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2. 암 커넥터의 구성
다음에 암 커넥터의 구성을 설명한다. 암 커넥터 (6) 도 위에 설명한 수 커넥터 (2) 와 동일하게,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을 갖고, 본체 외부를 형성하는 실드 케이스 (소켓형상 외부 도체 ; 21') 와, 그 내부에 배치된 단자 절연체 (22')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부재에 중심 도체를 이루는 끼움지지 스프링 (62) 과 동축 케이블 (4') 이 고정된 형태로 되어 있다. 암 커넥터 (6) 의 구성은 수 커넥터 (2) 의 구성과 근사하기 때문에, 그 특징적인 부분만을 설명한다. 또한, 수 커넥터와 동일한 부재에는 참조번호에 「'」을 달아 표시한다.
암 커넥터 (6) 의 단자 절연체 (22') 는 실드 케이스 (21') 의 실드 케이스 원통부 (23') 내부의 대략 전체에 연장된다. 따라서 수 커넥터 (2) 의 실드 케이스 원통부 (23) 와 같이, 쉘부 (도 1 의 참조번호 27) 는 존재하지 않는다. 단자 절연체 (22') 의 중심에는 콘택트 삽입구멍 (61)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콘택트 삽입구멍 (61) 에는 그 구멍을 따라 2 장이 1 세트로 된 판형의 끼움지지 스프링 (62) 이 (지면 수직 방향으로) 병행 배치되어 있다. 이들 끼움지지 스프링 (62) 은, 그 상부에서 중심 볼록 형상 판형 도체 (63) 에 접속되어 있고, 이 중심이 구부러진 판형 도체 (63) 의 단부는 동축 케이블 (4') 의 중심 도체 (44') 에 납땜되어 있다.
3.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접속
도 3 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는 서로 직접적으로 접속된다.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가 접속되었을 때, 수 커넥터 (2) 의 실드 케이스 원통부 (23) 의 선단 부근에 형성된 환형 오목부 (36) 에 암 커넥터 (6) 의 실드 케이스 원통부 (23') 의 선단 부근에 형성된 환형 볼록부 (64) 가 꼭 끼인다. 이 때 양자를 예컨대 핑거 로크와 같은 간이 로크로 접속해도 된다. 이 때에는 돌기 (37) 가 스토퍼로서 기능하므로,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가 지나치게 깊게 끼워맞춰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여기에서는 나선결합 등의 완전 로크는 필요없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서는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가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끼리 접속되므로, 그 접속 방향으로 인하여 그 자체에서 축방향으로 비교적 큰 접속력을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라이트 앵글 타입의 동축 커넥터는, 소형의 간이 로크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혹은 그와 같은 로크를 형성하지 않아도) 필요한 인장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다.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의 접속시에, 암 커넥터 (6) 의 단자 절연체 (22') 선단의 일부는 수 커넥터 (2) 의 쉘부 (27) 에 끼워맞추어진다. 또 수 커넥터 (2) 의 중심 콘택트 (45) 는, 끼움지지 스프링 (62) 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이들 사이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암 커넥터 (6) 의 끼움지지 스프링 (62) 과 수 커넥터 (2) 의 중심 콘택트 (45), 다시 말하면, 끼움지지 스프링 (62) 에 접속된 암 커넥터측의 동축 케이블 (4') 과 중심 콘택트 (45) 에 접속된 수 커넥터 (2) 측의 동축 케이블 (4) 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를 직접 접속함으로써 접속점은 1 지점만으로 되는데, 그 결과 중계 기판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동축 케이블 사이에서의 특성 열화, 예컨대 반사 손실이나 전송 손실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본 발명에서는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의 쌍방이 서로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 (4, 4') 의 축방향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결합 치수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즉 서로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 (4, 4') 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스페이스를 절약하여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가 각각의 원형의 끼워맞춤부인 실드 케이스 원통부 (23, 23') 를 통해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접속될 수 있다. 이 회전 각도는 전혀 제한되지 않고, 360도의 모든 접속 방향에서 접속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은 스페이스의 수용부에 내장하기 위해서는, 동축 케이블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다 해도, 어느 정도의 길이이면 동축 케이블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굳이 동축 케이블의 길이를 짧게 하지 않고도, 또 동축 케이블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도, 이와 같은 길이 부분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의 회전 운동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예컨대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에서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를 무리하게 맞대려고 하는 원하지 않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이에 따라 동축 케이블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에 가해지는 손상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사이에 이들을 서로 맞대는 원하지 않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수 커넥터 (2) 의 실드 케이스 (21) 에 형성된 돌기 (37) 가 암 커넥터 (6) 의 실드 케이스 원통부 (23') 와 충돌하기 때문에, 수 커넥터 (2) 가 암 커넥터 (6) 의 내부에 지나치게 깊은 곳까지 끼워맞춰지지는 않는다.
4. 퍼스널 컴퓨터로의 응용예
도 6 내지 도 1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에 대한 응용예를 설명한다. 도 6, 도 7 은 이 응용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 은 특히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전체의 개념도를, 도 7 은 특히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에 의한 접속의 개념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 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 (1) 를 사용하여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7) 를 제조하는 경우, 표시부 (71) 와 조작부 (72) 는 각각 별개의 라인에서 제조되고, 조립의 최종 단계에서 표시부 (71) 및 조작부 (72) 각각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시킨 각각의 동축 케이블 (4, 4') 의 각 선단에 고정된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를,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7) 의 외부에서 접속하게 된다. 또한, 도 6 에서는 표시부 (71) 에 2개의 안테나 (73) 를 배치한 다이버시티 타입으로 되어 있다.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를 접속했을 때, 예컨대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 (71) 측에 설치한 안테나 (73) 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동축 케이블 (4') 과, 조작부 (72) 측의 각종 장치 (74) 가 배치된 장치 기판 (75) 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 (4) 이, 동축 커넥터 (1) 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또한, 장치 기판 (75) 과의 사이의 접속은, 여기에서는 문제로 하지 않지만, 물론 도 7 의 개념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기판 (75) 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암 커넥터 (6) 와 동일한 커넥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방법은 제조의 자유도를 넓히는 것임은 명확할 것이다. 왜냐면, 이 제조방법에 의하면, 표시부 (71) 와 조작부 (72) 를 완전히 별개의 라인에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고객 필요성에 맞춰 여러 종류의 표시부 (71) 나 조작부 (72) 를 준비하고, 필요에 따라 이들 다른 종류의 표시부 (71) 와 조작부 (72) 를 자유롭게 조합하여, 여러 종류의 퍼스널 컴퓨터를 즉석에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하면, 표시부 (71) 측에 설치하는 동축 케이블 (4) 과 조작부 (72) 측에 설치하는 동축 케이 블을 별개의 것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동축 케이블의 직경 크기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내부 스페이스에 여유가 있는 곳에서는, 동축 케이블의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전송 특성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물론 위의 실시 태양에 있어서, 표시부 (71), 조작부 (72) 중 어느 것에, 수 커넥터 혹은 암 커넥터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8, 도 9 에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7) 로의 실제의 사용예를 나타낸다. 도 8 의 (a) 는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가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조작부측의 절약된 스페이스 내에 수용되었을 때의 상태를, (b) 는 이 수용된 동축 커넥터의 주변부 가로면의 부분확대도를, 도 9 는 도 8 의 (b) 에 나타내는 접속상태의 상면도를 그 변형상태와 함께 나타내는 것이다.
도 8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 (1) 는, 최종적으로는 조작부 (72) 의 스페이스 (76) 내에 수용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도 8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가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접속되므로, 이 동축 커넥터 (1) 는 스트레이트 타입의 동축 커넥터와 같이, 소정 방향 (도면의 좌우방향) 으로 긴 길이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도시한 바와 같은 절약된 스페이스 (76) 에 수납된다. 그리고 이 도 8 의 (b) 에 나타내는 접속 상태는, 위에서 보면 도 9 의 (a) 에 나타내는 상태에 대응한다. 이 상태는 축방향으로 서로 맞대어진 상태로서, 본 발명에서는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가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접속되어 있는 점에서, 예컨대 도 9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접속상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동축 케이블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이 방향의 변경은 스페이스가 작은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마지막에 도 10 을 참조하여 동축 커넥터 (1) 를 소정 스페이스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구조를 설명한다. 도 10 의 (a) 는 이 위치결정 구조의 평면도, (b) 는 그 횡면도이다. 여기에서는 수 커넥터 (2) 혹은 암 커넥터 (6) 의 일방을 소정 위치에 위치결정하기 위해, 예컨대 필름 등으로 만들어진 위치결정 판 (80) 을 사용한다. 위치결정 판 (80) 은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를 배치하는 절약된 스페이스 내에 고정하여 설치한다. 위치결정 판 (80) 에는, 적어도 2개의 구멍 (81, 82) 이 뚫려 있고, 일방의 구멍 (81) 을 사이에 두고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를 양쪽에서 서로 끼워넣음으로써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타방의 구멍 (82) 은 나사 (도시되어 있지 않음) 를 관통시키거나 함으로써, 위치결정 판 (80) 을 소정 스페이스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스페이스 내에 고정된 위치결정 판 (80) 의 일방의 구멍 (81) 에 정합시키도록 하여, 수 커넥터 (2) 를 미리 배치해 놓고, 이 위치결정 판 (80) 을 사이에 오게 하여 끼워넣는 형태로, 나중에 암 커넥터 (6) 를 수 커넥터 (2) 와 접속하면, 이 위치결정 판 (80) 을 통해 스페이스 (76) 내에서의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를 교환하고, 암 커넥터 (6) 를 위치결정 판 (80) 에 의해 미리 배치해 두도록 해 도 된다. 또한, 위치결정 판은 일부러 별개로 설치하지 않고, 퍼스널 컴퓨터 자체의 케이스체나 기판 등에 설치하여, 수 커넥터 (2) 와 암 커넥터 (6) 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5. 기타
위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로의 응용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에 한정하지 않고,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표시부와 조작부를 갖는 휴대전화나 PDA, 그 외의 제 1 부품과 제 2 부품으로 나눌 수 있는 각종 전자기기에 응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외부 도체, 중심 도체의 암수의 조합은 자유롭다. 또한 중심 커넥터와 동축 케이블의 접속은 위에 설명한 납땜에 한정하지 않고, 압착 등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동축 형상이면, 전기적인 동축 케이블뿐만 아니라, 광케이블끼리의 접속에도 본 발명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적인 접속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들 모든 응용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는 장소를 불문하고 방향 변경이 용이하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스페이스에 동축 커넥터를 넣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또,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중계, 연장에 이용할 수도 있다.

Claims (11)

  1. 제 1 동축 케이블에 접속된 제 1 커넥터와 제 2 동축 케이블에 접속된 제 2 커넥터를 접속하여,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과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을 접속하는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접속수단을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접속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직접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 1 커넥터의 접속수단과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수단을 서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는 원통형의 끼워맞춤부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본체부는 얇은 금속판을 펀칭,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동축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부품의 내부로부터 외 부로 연장시킨 제 1 동축 케이블에 상기 제 1 커넥터를 접속하고, 제 2 부품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시킨 제 2 동축 케이블에 상기 제 2 커넥터를 접속하며,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 1 커넥터의 접속수단과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수단을 서로 접속하는 동축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부품의 내부에 고정되어 설치된 위치결정수단을 이들 사이에 끼워넣도록 하여 서로 접속되는 동축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은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부이고, 상기 제 2 부품은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조작부이고, 또는 상기 제 1 부품은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조작부이고, 상기 제 2 부품은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부인 동축 커넥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의 원통형 끼워맞춤부의 외주의 일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의 본체부는, 얇은 금속판을 펀칭,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된 원통형의 끼워맞춤부를 갖고 있고, 이 원통형의 끼워맞춤부는 상기 제 1 커넥터에 접속되며, 상기 원통형의 끼워맞춤부에는 상기 금속판끼리의 맞춤부에 형성된 볼록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본체부에 장착되는 부재의 오목부와 끼워맞춰지는 동축 커넥터.
  9.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표시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시킨 제 1 동축 케이블에 제 1 커넥터를 접속하고, 상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조작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시킨 제 2 동축 케이블에 제 2 커넥터를 접속하며,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외부에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 1 커넥터의 접속수단과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수단을 서로 접속하는 상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접속수단을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접속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직접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 1 커넥터의 접속수단과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수단을 서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10.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시킨 제 1 동축 케이블에 제 1 커넥터를 접속하고, 상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조작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시킨 제 2 동축 케이블에 제 2 커넥터를 접속하며,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조작부의 내부에 고정시켜 형성하여 상기 제 1 커넥터의 접속수단과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수단을 상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조작부의 내부에서 접속하는 상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접속수단을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접속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직접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 1 커넥터의 접속수단과 상기 제 2 커넥터의 접속수단을 서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11. 일방의 동축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커넥터와 타방의 동축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커넥터를 접속하여, 상기 일방의 동축 케이블과 상기 타방의 동축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축 커넥터에 사용하는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접속수단을 갖고,
    상기 커넥터끼리를 상기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직접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커넥터의 접속수단끼리를 서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40061197A 2003-08-08 2004-08-03 동축 커넥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및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752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90122A JP4053950B2 (ja) 2003-08-08 2003-08-08 同軸コネクタ、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及びノート型パソコン
JPJP-P-2003-00290122 2003-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614A KR20050018614A (ko) 2005-02-23
KR100752082B1 true KR100752082B1 (ko) 2007-08-27

Family

ID=3411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1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2082B1 (ko) 2003-08-08 2004-08-03 동축 커넥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945818B2 (ko)
JP (1) JP4053950B2 (ko)
KR (1) KR100752082B1 (ko)
CN (1) CN100472895C (ko)
TW (1) TWI2648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07242U (en) * 2006-07-14 2007-03-01 Insert Entpr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microwave connector for RF communication
JP4916024B2 (ja) * 2006-12-11 2012-04-11 株式会社ヨコオ 中継コネクタ
JP4394708B2 (ja) * 2007-07-04 2010-01-06 Smk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EP2206203B1 (en) * 2007-10-09 2011-03-09 J.S.T. Mfg. Co., Ltd. End connector for a shielded cable
JP5370276B2 (ja) * 2009-08-25 2013-12-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
EP2568536A4 (en) * 2010-05-07 2014-01-08 Shenzhen Electrical Connector Technology Ltd ELECTRIC COAXIAL PLUG WITH BENDING MECHANISM
JP2012230820A (ja) * 2011-04-26 2012-11-22 Daiichi Seiko Co Ltd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5763007B2 (ja) * 2012-04-19 2015-08-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4002990A (ja) * 2012-06-21 2014-01-09 Yazaki Corp 同軸電線の端末と端子と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TWM475045U (zh) 2013-09-23 2014-03-21 Hon Hai Prec Ind Co Ltd 線纜連接器
DE102014116236A1 (de) * 2014-11-07 2016-05-12 Endress + Hauser Conducta Gesellschaft für Mess- und Regeltechnik mbH + Co. KG Sensoranordnung, Sensor und Kabel zum Einsatz in der Prozessautomatisierung
GB2543509B (en) * 2015-10-19 2020-10-14 Creo Medical Ltd Electrosurgical instrument
CN111536465A (zh) * 2020-06-03 2020-08-14 Tcl华瑞照明科技(惠州)有限公司 一种快速接线及安装的灯具底座
JP7643278B2 (ja) * 2021-09-28 2025-03-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764456B1 (ko) * 2022-11-14 2025-02-07 주식회사 경신 정션박스용 버스바
DE102023104462A1 (de) * 2023-02-23 2024-08-29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Berührungsschutzabdeckung, Anschlussteil, Modulverbinder und Batterie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5551A (ja) * 2000-08-25 2002-03-15 Nippon Antenna Co Ltd L型回転同軸コネクタプラ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0244A (en) * 1980-05-12 1982-11-23 Amp Incorporated Miniature coaxial connector assembly
DE8617227U1 (de) * 1986-06-27 1986-08-1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erlängerungskabel für ein mit einer Fahrzeugantenne verbundenes Antennenkabel
US5037329A (en) * 1990-09-27 1991-08-06 Gte Products Corporation Angular connector for a shielded coaxial cable
JP3309240B2 (ja) 1994-07-22 2002-07-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US6074217A (en) * 1995-05-25 2000-06-1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axial connector receptacle
EP1094565A1 (de) * 1999-10-22 2001-04-25 Huber+Suhner Ag Koaxialer Steckverbinder
JP2002170638A (ja) 2000-11-30 2002-06-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6837743B2 (en) * 2002-04-05 2005-01-0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having good insulation function
US6607400B1 (en) * 2002-10-22 2003-08-1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 profile RF connector assembly
US6860761B2 (en) * 2003-01-13 2005-03-01 Andrew Corporation Right angle coaxial connector
US6712645B1 (en) * 2003-04-22 2004-03-30 Input Output Precise Corporation Cable fixture of coaxi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5551A (ja) * 2000-08-25 2002-03-15 Nippon Antenna Co Ltd L型回転同軸コネクタプラ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25631B2 (en) 2006-04-11
JP4053950B2 (ja) 2008-02-27
CN100472895C (zh) 2009-03-25
JP2005063738A (ja) 2005-03-10
US6945818B2 (en) 2005-09-20
US20050255747A1 (en) 2005-11-17
TWI264850B (en) 2006-10-21
US20050032421A1 (en) 2005-02-10
CN1581601A (zh) 2005-02-16
TW200507352A (en) 2005-02-16
KR20050018614A (ko)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082B1 (ko) 동축 커넥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및 커넥터
CA2370898C (en) A plug connector, consisting of a plug-in jack and a plug part
CN105470719B (zh) 插头连接器
JP7032978B2 (ja) L形同軸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83374B1 (ko) 스위치 부착 동축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WO2017146258A1 (ja) ロック機構を有するシェル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US20160187413A1 (en) Cable assembly, connector and semiconductor tester
JP2001015214A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と受け側コネクタの結合部構造
EP3588687B1 (en) Terminal metal fitting
CN111355046B (zh) 包括具有成对的压接片的壳体的同轴线缆连接器
KR20220000457U (ko)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
JP6847016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6024863A (ja) コネクタ
CN118947027A (zh) 用于成角度连接器的成角度子组件和组装其的方法
JP3824269B2 (ja) 電線用コネクタ
US1070047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40186741A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40266785A1 (en) Angled Connector
TWI733045B (zh) 電連接器及電連接器的製造方法
JP6919642B2 (ja) 電気コネクタ
CN117525954A (zh) 弹簧式探针及连接器
CN120073375A (zh) 连接器
JP2024018096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CN114069283A (zh) 抗损耗传输装置组
CN117546376A (zh) 触头、连接器以及线缆组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0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8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