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542A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8542A KR20220088542A KR1020200178206A KR20200178206A KR20220088542A KR 20220088542 A KR20220088542 A KR 20220088542A KR 1020200178206 A KR1020200178206 A KR 1020200178206A KR 20200178206 A KR20200178206 A KR 20200178206A KR 20220088542 A KR20220088542 A KR 202200885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ignment mark
- distance
- disposed
- alignment
- su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 H01L51/5275—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6—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using refractive optical elements, e.g. prisms, i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s and the observ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02B30/29—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lenticular array, e.g. slanted arrays, irregular arrays or arrays of varying shape or siz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02B27/4233—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a diffractive element [DOE] contributing to a non-imaging application
- G02B27/4255—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a diffractive element [DOE] contributing to a non-imaging application for alignment or positioning purposes
-
- H01L27/3213—
-
- H01L51/56—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P1'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P2'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 내지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DP: 표시 패널
LAF: 광학 부재
LS: 렌즈
BS: 베이스 부재
Claims (20)
- 복수의 서브 화소가 배치되는 활성 영역, 상기 활성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비활성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중 상기 활성 영역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정렬 기준 화소로부터 제1 방향의 제1 거리에 위치하는 제1 정렬 마크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가 배열되는 방향에 제1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 및 상기 정렬 기준 화소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상기 제1 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정렬 마크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제2 거리에 위치하는 제2 정렬 마크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입체 영상의 제공을 위한 N개의 복수의 시점을 제공하되, 상기 정렬 기준 화소는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중 (N+1)/2번째 시점을 위한 영상을 표시하는 서브 화소들 중 하나인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복수의 렌즈가 배치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렌즈가 배치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렬 마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는 기설정 오차 범위보다 크며, 상기 기설정 오차 범위는 상기 렌즈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렌즈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정렬 기준 화소의 중심까지의 거리인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서브 화소의 너비보다 큰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렬 마크는 상기 복수의 렌즈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렬 마크는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상기 정렬 기준 화소와 중첩되는 렌즈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마크는 상기 비활성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마크는 상기 정렬 기준 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마크는 상기 정렬 기준 화소의 구동을 위한 패드인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1 각도에 의해 결정되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정렬 기준 화소의 중심, 상기 제1 정렬 마크의 중심 및 상기 제2 정렬 마크의 중심을 기준으로 측정된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마크는 상기 제2 정렬 마크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마크의 일부는 상기 제2 정렬 마크의 일부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표시 장치. - 표시 패널의 제1 정렬 마크 및 광학 부재의 제2 정렬 마크를 상호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정렬하는 단계; 및 복수의 시점 중 특정 시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 기준 화소로부터 상기 제1 정렬 마크까지의 제1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광학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광학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렬 마크의 중심과 상기 제2 정렬 마크의 중심이 제2 거리만큼 이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는 제1 방향으로 측정된 거리이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측정된 거리인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는 기설정 오차 범위보다 크며, 상기 기설정 오차 범위는 상기 렌즈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렌즈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정렬 기준 화소의 중심까지의 거리인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기준 화소는 N개의 시점에 각각 상응하는 N개의 뷰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서브 화소 중 (N+1)/2번째의 시점을 위한 영상을 표시하는 서브 화소들 중 하나인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광학 부재를 합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8206A KR20220088542A (ko) | 2020-12-18 | 2020-12-18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US17/494,967 US11994697B2 (en) | 2020-12-18 | 2021-10-06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N202111420331.7A CN114647093A (zh) | 2020-12-18 | 2021-11-26 | 显示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8206A KR20220088542A (ko) | 2020-12-18 | 2020-12-18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8542A true KR20220088542A (ko) | 2022-06-28 |
Family
ID=81992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8206A Pending KR20220088542A (ko) | 2020-12-18 | 2020-12-18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994697B2 (ko) |
KR (1) | KR20220088542A (ko) |
CN (1) | CN11464709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30328221A1 (en) * | 2022-03-17 | 2023-10-12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panel bond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
WO2024136499A1 (ko) * | 2022-12-23 | 2024-06-27 |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 이종의 다중 정렬 키를 이용한 기판의 정렬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558961B2 (en) * | 2008-04-22 | 2013-10-15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lenticular sheet of the display device |
KR100939214B1 (ko) * | 2008-06-12 | 2010-01-2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정렬 시스템 및 방법 |
KR101476219B1 (ko) * | 2008-08-01 | 2014-12-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
JP5737647B2 (ja) * | 2010-06-30 | 2015-06-17 |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光学シートの貼り合せ方法 |
KR101925459B1 (ko) | 2012-11-20 | 2018-12-0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경계부 오류광을 제거한 렌티큘라 렌즈 필름을 구비한 평판형 입체 표시장치 |
KR102130138B1 (ko) | 2013-12-24 | 2020-07-0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렌티큘러 렌즈 필름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 |
CN106405850A (zh) * | 2016-06-23 | 2017-02-15 |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显示装置及其组立方法 |
-
2020
- 2020-12-18 KR KR1020200178206A patent/KR20220088542A/ko active Pending
-
2021
- 2021-10-06 US US17/494,967 patent/US11994697B2/en active Active
- 2021-11-26 CN CN202111420331.7A patent/CN114647093A/zh active Pend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30328221A1 (en) * | 2022-03-17 | 2023-10-12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panel bond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
WO2024136499A1 (ko) * | 2022-12-23 | 2024-06-27 |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 이종의 다중 정렬 키를 이용한 기판의 정렬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4647093A (zh) | 2022-06-21 |
US20220197054A1 (en) | 2022-06-23 |
US11994697B2 (en) | 2024-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40037B1 (en) | Display for personal immersion apparatus | |
US8149348B2 (en) | Display device and lenticular sheet of the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 |
KR101593515B1 (ko) | 입체영상 표시 장치 | |
JP5697896B2 (ja) | 立体画像表示装置 | |
US8558961B2 (en) | Display device and lenticular sheet of the display device | |
WO2015192476A1 (zh) | 菲涅尔液晶透镜面板、其制备方法及3d显示器 | |
US20130182319A1 (en) |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panel structure | |
US20100027113A1 (en) | Display device | |
US11994697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5286436B1 (ja) | 映像表示装置 | |
JP2018136525A (ja) | 裸眼3d用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シート及び裸眼3d用液晶表示モジュール | |
EP3112928B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2595087B1 (ko) | 렌즈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US12164237B2 (en) | Display device having magnetic alignment marks | |
JP5659660B2 (ja) | 立体画像表示用光学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 |
JP2012181221A (ja) | 立体画像表示用柱状レンズ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 |
US9575326B2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 |
KR101420432B1 (ko) | 렌티큘러 방식 입체영상표시장치 | |
EP3299883B1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lens panel | |
WO2024036638A1 (zh) |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 |
JP5744106B2 (ja) | 映像表示装置 | |
KR20250007078A (ko) | 표시 장치 | |
JP2006276277A (ja) | 立体画像表示装置 | |
CN115598857A (zh) | 显示组件及显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1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