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135A -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 - Google Patents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8135A KR20220088135A KR1020200178868A KR20200178868A KR20220088135A KR 20220088135 A KR20220088135 A KR 20220088135A KR 1020200178868 A KR1020200178868 A KR 1020200178868A KR 20200178868 A KR20200178868 A KR 20200178868A KR 20220088135 A KR20220088135 A KR 202200881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 jack
- elastic fastening
- mounting hole
- fastening hoo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200)의 바깥(out)에서 안쪽(in)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장착공(212)에 삽입되고, (+)(-) 한 쌍의 DC단자(P1,P2)가 구비되어 있고, 바깥에서 안쪽으로 삽입될 때 케이싱(200)의 내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스토핑하기 위한 단차부(112)가 외주면(110a)을 따라서 단차 형성되어 있는 바디(110)와, 단차부(112)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단차부(112)와의 사이에 둘레부(210)가 끼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바디(110)를 체결하는 탄성 체결후크(120,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탄성 체결후크(160)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이 있어서 상기 장착공(212)을 통과할 때는 탄성에 의해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휘어져서 통과가 되고, 장착공(212)을 통과한 후에는 휘어진 상태가 복원되어서 장착공(212)을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고, 이에 의하면 단 1 회의 동작으로 신속하게 편리하게 DC잭을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댑터의 DC(Direct Current)플러그 접속용 DC잭(Direct Current jack)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 1 회의 동작으로 신속하게 편리하게 DC잭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과 같은 전기기기에는 DC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한 DC잭이 전기기기의 케이싱이나 전기기기의 부품(예컨대 공기청정기의 전기필터)의 케이싱에 설치된다.
도 1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의 구성도 및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a)에는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이 장착공(212)에 삽입된 상태의 동작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의 (b)에는 장착공(212)에 삽입된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에 너트(12)로 조여서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이 체결된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00)의 둘레면(210)에는 DC잭(10)을 설치하기 위한 장착공(21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장착공(212)에 DC잭(10)이 삽입되고, 이 삽입된 DC잭(10)의 나사산에 체결너트(12)를 이용하여 조이면 DC잭(10)이 장착공(212)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용교류전원에 연결된 어댑터(30)에서 변환된 DC전류가 입력되는 DC플러그(20)가 DC잭(10)에 접속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DC잭(10)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DC잭(10)을 피부착물인 케이싱(200)의 장착공(212)에 삽입한 후에 작업자가 케이싱(200)의 안쪽(in)에서 너트(12)로 고정해야 했으므로, 너트 체결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즉, DC잭(10)을 장착공(212)에 삽입하고 이후에 체결너트(12)로 나사 체결 작업을 하였으므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용되고 조립 공수가 많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케이싱(200)의 내부에서 나사 조립하는데, 이 케이싱(200)은 공기청정기와 같은 전기기기의 본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나사 조립하였으므로, 나사 체결 작업이 여간 불편한 작업이 아니었다.
그리고, 별도의 부품인 너트(12)를 준비하여 나사체결하므로 부품 분실의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의 목적은,
첫째, 피부착물인 케이싱의 장착공에 단 1회의 밀어넣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서 DC잭을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DC잭의 체결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수를 줄여서 제품의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케이싱의 내부[안쪽]에서 너트로 나사 조립할 필요가 없이 케이싱의 앞에서 밀어 넣기만하면 자동으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DC잭의 조립 시간을 절감하고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조립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간단한 체결후크로 체결을 완료할 수 있어서 제품의 제조 비용을 더욱더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DC잭이 장착공에 한 번 체결된 후에는 바깥에서 다시 빼내지 못하도록 하여서 체결의 견고성이 더욱더 확실하게 되도록 하며,
여섯째, 종래의 DC잭에 탄성 체결링을 끼우기만 하면 본원발명에 의한 DC잭이 완성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DC잭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하여 자원 재활용 및 친환경에도 부합할 수 있도록 하며,
일곱째, 탄성 체결링의 내주면에 걸림돌기를 내향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탄성 체결링을 나사홈테[홈테]가 형성된 바디에 쉽게 끼우도록 하면서도 한 번 끼워진 후에는 빠지지 않도록 하여서 제품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은, DC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기기기나 전기기기의 부품을 보관하는 케이싱의 둘레부에 형성된 장착공에 장착되어서,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화하는 어댑터의 DC플러그에 접속되는 DC잭에 있어서, 케이싱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장착공에 삽입되고, 한 쌍의 DC단자가 구비되어 있고, 바깥에서 안쪽으로 삽입될 때 케이싱의 내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스토핑하기 위한 단차부가 외주면을 따라서 단차 형성되어 있는 바디와, 상기 단차부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단차부와의 사이에 둘레부가 끼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바디를 체결하는 탄성 체결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 체결후크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이 있어서 상기 장착공을 통과할 때는 탄성에 의해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휘어져서 통과가 되고, 상기 장착공을 통과한 후에는 휘어진 상태가 복원되어서 장착공을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피부착물인 케이싱의 장착공에 단 1회의 밀어넣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서 DC잭을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DC잭의 체결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수를 줄여서 제품의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케이싱의 내부[안쪽]에서 너트로 나사 조립할 필요가 없이 케이싱의 앞에서 밀어 넣기만하면 자동으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DC잭의 조립 시간을 절감하고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조립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간단한 체결후크로 체결을 완료할 수 있어서 제품의 제조 비용을 더욱더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DC잭이 장착공에 한 번 체결된 후에는 바깥에서 다시 빼내지 못하도록 하여서 체결의 견고성이 더욱더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종래의 DC잭에 탄성 체결링을 끼우기만 하면 본원발명에 의한 DC잭이 완성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DC잭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자원 재활용 및 친환경에도 부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탄성 체결링의 내주면에 걸림돌기를 내향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탄성 체결링을 나사홈테[홈테]가 형성된 바디에 쉽게 끼우도록 하면서도 한 번 끼워진 후에는 빠지지 않도록 하여서 제품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전방 사시도 및 사용 상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이 장착공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측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DC잭(100)을 90 도 돌린 상태의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장착 상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분리 사시도 및 사용 상태 분리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장착 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다른 각도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의 분해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정면도이고, 도 9의 (b)는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변형된 실시예에 의한 장착 단면도로서, 걸림돌기(170)가 서로 180도 각도로 마주보고 있는 변형예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의 구성도 및 사용 상태도로서, 도 11의 (a)는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이 장착공(212)에 삽입된 상태의 동작도이고, 도 11의 (b)는 장착공(212)에 삽입된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에 너트(12)로 조여서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이 체결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전방 사시도 및 사용 상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이 장착공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측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DC잭(100)을 90 도 돌린 상태의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장착 상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분리 사시도 및 사용 상태 분리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장착 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다른 각도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의 분해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정면도이고, 도 9의 (b)는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변형된 실시예에 의한 장착 단면도로서, 걸림돌기(170)가 서로 180도 각도로 마주보고 있는 변형예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의 구성도 및 사용 상태도로서, 도 11의 (a)는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이 장착공(212)에 삽입된 상태의 동작도이고, 도 11의 (b)는 장착공(212)에 삽입된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에 너트(12)로 조여서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이 체결된 상태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기재되는 방향을 정의하면, '전방'은 케이싱(200)에의 체결방향으로서 케이싱(200)의 장착공(212)이 있는 방향이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방향으로서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은, DC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기기기(공기정화기)나 전기기기(공기정화기)의 부품(전기식 필터)을 보관하는 케이싱(200)의 바닥부(220)에서 직립된 둘레부(210)에 형성된 장착공(212)에 장착되어서,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화하는 어댑터(30)의 DC플러그(20)에 접속되는 DC잭에 있어서, 케이싱(200)의 바깥(out)에서 안쪽(in)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장착공(212)에 삽입되고, (+)(-) 한 쌍의 DC단자(P1,P2)가 구비되어 있고, 바깥에서 안쪽으로 삽입될 때 케이싱(200)의 내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스토핑하기 위한 단차부(112)가 외주면(110a)을 따라서 단차 형성되어 있는 바디(110)와, 상기 단차부(112)로부터 둘레부(210)의 두께(t1)만큼 이격되어서 상기 단차부(112)와의 사이에 둘레부(210)가 끼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바디(110)를 체결하는 탄성 체결후크(120,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160)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이 있어서 상기 장착공(212)을 통과할 때는 탄성에 의해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휘어져서 통과가 되고, 상기 장착공(212)을 통과한 후에는 휘어진 상태가 복원되어서 장착공(212)을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의한 DC잭(100)은 2 가지 종류의 실시예가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에 있어서,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는 상기 바디(110)의 외주면(110a)에서 일체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에 있어서, 상기 바디(110)는 체결대상인 케이싱(200)의 둘레부(210)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고 상기 바디(110)의 외주면(110a)은 원형으로 형성된 원주대 형상이고, 상기 원형의 바디(110)에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의 탄성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평탄면(1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는, 상기 평탄면(114)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와 평탄면(114) 사이에는 탄성공간(S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가 상기 장착공(212)을 통과할 때는 탄성에 의해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휘어져서 통과가 되고, 상기 장착공(212)을 통과한 후에는 휘어진 상태가 복원되어서 장착공(212)을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에 있어서,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의 바깥면(120a)은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인 후방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의 안쪽면(120b)은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인 후방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의 후방측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평탄면(114)과 탄성 체결후크(120)의 안쪽면(120b) 사이에 상기 탄성공간(S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는 서로 마주보는 각도인 180 도 각도의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에 있어서,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의 후단이 상기 단차부(112)와의 사이에 둘레면(210)의 두께(t1)만큼의 간극(g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체결돌기(120)의 사이에서, 외주면에서 외향으로 돌출형성되어서 둘레면(210)을 잡아주는 밸런스 돌기(13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돌기(130)는, 구체적으로 그 형상이, 상기 바디(110)의 외주면(110a)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반경방향의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130a)과, 상기 경사면(130a)의 후단에 외주면(110a)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면(130b)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런스 돌기(130)는 탄성 체결후크(120)보다 외향으로 돌출된 높이가 낮도록 형성되어서 살짝 튀어나온 정도이며, DC잭(100)이 돌아가는 것을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와 밸런스 돌기(130)는 바디(110)의 외주면에 90 도 간격으로 배치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에 있어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관 형상이고,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탄성간극(151)이 형성되어 있어서 반경방향의 내향과 외향으로 축소 및 확대에 의해서 탄성력이 작용되며, 상기 바디(110)의 외주면(110a)에 탄성적으로 끼움 체결되는 탄성 체결링(15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탄성 체결후크(160)는 상기 탄성 체결링(150)의 외주면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에 있어서, 상기 탄성 체결후크(160)가 탄성 작용이 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탄성 체결링(150)에는 탄성개구(1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체결후크(160)는, 상기 탄성개구(152)의 일측변에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에 있어서, 상기 탄성개구(152)는 사각의 개구이고, 상기 탄성 체결후크(160)는, 상기 탄성개구(152)의 전방 내측변(152a)에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체결후크(160)는 구체적으로 그 형상이, 4각의 형상으로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경사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탄성 체결후크(160)가 상기 장착공(212)을 통과할 때는 탄성에 의해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휘어져서 통과가 되고, 상기 장착공(212)을 통과한 후에는 휘어진 상태가 복원되어서 장착공(212)을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체결후크(160)는 탄성개구(152)에서 따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체결후크(160)는 180 도 간격으로 2 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에 있어서, 상기 바디(110)의 외주면에는 홈테(1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테(116)에 걸림체결되는 걸림돌기(170)가 상기 탄성 체결링(150)의 내주면(150a)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테(116)는 나사산이 나사체결되는 나사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기술에 의한 DC잭(10)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170)는 구체적으로 그 형상이, 상기 홈테(116)를 타고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내향으로 경사 형성된 가이드면(170a)과, 상기 탄성 체결링(150)의 내주면(150a)에 대하여 직각이나 예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가이드면(170a)에서 탄성 체결링(150)의 내주면(150a)으로 종단되는 걸림면(170b)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170)는, 상기 탄성 체결링(150)의 외주면에서 타격핀(미도시)으로 찍어서 형성되고, 상기 타격핀으로 찍어서 걸림돌기(170)가 형성된 경우 외주면에는 찍힘홈(S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걸림돌기(170)는 복수로 형성되고(예컨대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3 개로 구성),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170)는 탄성 체결링(150)의 내주면(150a)의 동일 원주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는 공기청정기이고, 상기 케이싱(200)은 공기청정기의 항바이러스 전자식 필터(광촉매 필터)의 케이싱(2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설치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설치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케이싱(200)의 밖(out)에서 DC잭(100)을 장착공(212)에 대하여 밀어넣기만 하면 탄성 걸림후크(120)가 걸려서 체결이 완료된다.
들어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착공(212)에서는 탄성 체결후크(120)의 바깥면(120a)이 장착공(212)의 내주면에서 밀착되면서 안쪽으로 탄성에 의해서 축소되어서 장착공(212)을 통과하게 된다.
이후 장착공(212)을 벗어나서 탄성 체결후크(120)가 케이싱(200)의 안쪽으로 나오게 되면 내향으로 축소된 탄성 체결후크(120)는 다시 복원되어서 외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탄성 체결후크(120)와 단차부(112) 사이에 둘레면(210)이 끼워지므로 DC잭(100)의 체결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100)의 설치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후방으로(N1 방향으로) 탄성 체결링(150)을 바디(110)에 끼우면, 걸림돌기(170)가 홈테(116)에 체결되고, 이때 탄성 체결링(150)은 전방으로 결코 빠지지 않게 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탄성 체결링(150)이 바디(110)에 체결된 DC잭(100)을 케이싱(200)의 밖(out)에서 장착공(212)으로 밀어넣기만 하면(N2 방향) 탄성 걸림후크(160)가 걸려서 체결이 완료된다.
즉, 장착공(212)에서는 탄성 체결후크(160)가 탄성에 의해서 안쪽으로 축소되어서 장착공(212)을 통과하게 되고, 이후 장착공(212)을 벗어나서 탄성 체결후크(160)가 케이싱(200)의 안쪽으로 나오게 되면 내향으로 축소된 탄성 체결후크(160)는 다시 복원되어서 외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탄성 체결후크(160)와 단차부(112) 사이에 둘레면(210)이 끼워지므로 DC잭(100)의 체결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
P1,P2 : DC단자
110 : 바디 110a : 바디의 외주면
112 : 단차부 114 : 평탄면
116 : 바디의 걸림홈테
120 : 탄성 체결후크
120a : 탄성 체결후크의 바깥면 120b : 탄성 체결후크의 안쪽면
S1 : 탄성공간
130 : 밸런스 돌기
130a : 경사면 130b : 단차면
150 : 탄성 체결링 150a : 탄성 체결링의 내주면
151 : 탄성간극 152 : 탄성개구
152a : 탄성개구의 전방 내측변
160 : 탄성 체결후크
170 : 걸림돌기 170a : 가이드면
170b : 걸림면 S2 : 찍힘홈
200 : 케이싱 210 : 둘레면
t1 : 둘레면의 두께 212 : 장착공
220 : 바닥부 20 : DC플러그
30 : 어댑터
P1,P2 : DC단자
110 : 바디 110a : 바디의 외주면
112 : 단차부 114 : 평탄면
116 : 바디의 걸림홈테
120 : 탄성 체결후크
120a : 탄성 체결후크의 바깥면 120b : 탄성 체결후크의 안쪽면
S1 : 탄성공간
130 : 밸런스 돌기
130a : 경사면 130b : 단차면
150 : 탄성 체결링 150a : 탄성 체결링의 내주면
151 : 탄성간극 152 : 탄성개구
152a : 탄성개구의 전방 내측변
160 : 탄성 체결후크
170 : 걸림돌기 170a : 가이드면
170b : 걸림면 S2 : 찍힘홈
200 : 케이싱 210 : 둘레면
t1 : 둘레면의 두께 212 : 장착공
220 : 바닥부 20 : DC플러그
30 : 어댑터
Claims (4)
- DC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기기기나 전기기기의 부품을 보관하는 케이싱(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장착공(212)에 장착되어서,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화하는 어댑터(30)의 DC플러그(20)에 접속되는 DC잭에 있어서,
케이싱(200)의 바깥(out)에서 안쪽(in)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장착공(212)에 삽입되고, (+)(-) 한 쌍의 DC단자(P1,P2)가 구비되어 있고, 바깥에서 안쪽으로 삽입될 때 케이싱(200)의 내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스토핑하기 위한 단차부(112)가 외주면(110a)을 따라서 단차 형성되어 있는 바디(110)와,
상기 단차부(112)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단차부(112)와의 사이에 둘레부(210)가 끼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바디(110)를 체결하는 탄성 체결후크(120,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160)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이 있어서 상기 장착공(212)을 통과할 때는 탄성에 의해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휘어져서 통과가 되고, 상기 장착공(212)을 통과한 후에는 휘어진 상태가 복원되어서 장착공(212)을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는,
상기 바디(110)의 외주면(110a)에서 일체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110)는 체결대상인 케이싱(200)의 둘레부(210)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고 상기 바디(110)의 외주면(110a)은 원형으로 형성된 원주대 형상이고,
상기 원형의 바디(110)에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의 탄성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평탄면(1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는, 상기 평탄면(114)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와 평탄면(114) 사이에는 탄성공간(S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가 상기 장착공(212)을 통과할 때는 탄성에 의해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휘어져서 통과가 되고, 상기 장착공(212)을 통과한 후에는 휘어진 상태가 복원되어서 장착공(212)을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의 바깥면(120a)은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인 후방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의 안쪽면(120b)은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인 후방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체결후크(120)의 후방측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평탄면(114)과 탄성 체결후크(120)의 안쪽면(120b) 사이에 상기 탄성공간(S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
-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탄성간극(151)이 형성되어 있어서 반경방향의 내향과 외향으로 축소 및 확대에 의해서 탄성력이 작용되며, 상기 바디(110)의 외주면(110a)에 탄성적으로 끼움 체결되는 탄성 체결링(15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탄성 체결후크(160)는 상기 탄성 체결링(150)의 외주면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체결후크(160)가 탄성 작용이 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탄성 체결링(150)에는 탄성개구(1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체결후크(160)는, 상기 탄성개구(152)의 일측변에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8868A KR102567740B1 (ko) | 2020-12-18 | 2020-12-18 |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8868A KR102567740B1 (ko) | 2020-12-18 | 2020-12-18 |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8135A true KR20220088135A (ko) | 2022-06-27 |
KR102567740B1 KR102567740B1 (ko) | 2023-08-17 |
Family
ID=82246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8868A Active KR102567740B1 (ko) | 2020-12-18 | 2020-12-18 |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7740B1 (ko)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9133A (ko) | 1987-11-14 | 1989-07-1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링 시그날링에 의한 정보 전송기기의 전원 제어방식 |
JPH0553286U (ja) * | 1991-12-13 | 1993-07-13 | デイエツクスアンテナ株式会社 | 電子機器のユニットの接地構造 |
JPH0869832A (ja) * | 1994-08-30 | 1996-03-12 | Sumitomo Wiring Syst Ltd |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の取付構造 |
JPH09120858A (ja) * | 1995-10-27 | 1997-05-06 | Nec Yonezawa Ltd | Dcコード接続機構 |
JP2000040559A (ja) * | 1998-07-23 | 2000-02-08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の取付け構造 |
KR200356227Y1 (ko) | 2004-04-23 | 2004-07-14 | 박영태 | 직류전원 잭 단자의 하우징 구조 |
KR200424548Y1 (ko) * | 2006-06-08 | 2006-08-22 | 이은주 | 알 에프 커넥터 |
KR20120081442A (ko) * | 2011-01-11 | 2012-07-19 | (주)슈펙스 | 기판 결합용 컨넥터 |
KR20160027949A (ko) * | 2013-05-03 | 2016-03-10 | 캐스코프로닥츠코포레이션 | 자동차용 시가 라이터/전원 콘센트를 직접 대체하기 위한 유에스비 전원 콘센트/충전기 |
-
2020
- 2020-12-18 KR KR1020200178868A patent/KR10256774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9133A (ko) | 1987-11-14 | 1989-07-1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링 시그날링에 의한 정보 전송기기의 전원 제어방식 |
JPH0553286U (ja) * | 1991-12-13 | 1993-07-13 | デイエツクスアンテナ株式会社 | 電子機器のユニットの接地構造 |
JPH0869832A (ja) * | 1994-08-30 | 1996-03-12 | Sumitomo Wiring Syst Ltd |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の取付構造 |
JPH09120858A (ja) * | 1995-10-27 | 1997-05-06 | Nec Yonezawa Ltd | Dcコード接続機構 |
JP2000040559A (ja) * | 1998-07-23 | 2000-02-08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の取付け構造 |
KR200356227Y1 (ko) | 2004-04-23 | 2004-07-14 | 박영태 | 직류전원 잭 단자의 하우징 구조 |
KR200424548Y1 (ko) * | 2006-06-08 | 2006-08-22 | 이은주 | 알 에프 커넥터 |
KR20120081442A (ko) * | 2011-01-11 | 2012-07-19 | (주)슈펙스 | 기판 결합용 컨넥터 |
KR20160027949A (ko) * | 2013-05-03 | 2016-03-10 | 캐스코프로닥츠코포레이션 | 자동차용 시가 라이터/전원 콘센트를 직접 대체하기 위한 유에스비 전원 콘센트/충전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7740B1 (ko) | 2023-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79009A (en) | Mounting arrangement for a loudspeaker to a resonance panel permitting front insertion assembly | |
US11011901B2 (en) | Snap-on screwless wall plate assembly | |
US6382818B1 (en) |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 |
RU2642041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адения и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 |
CN107348927B (zh) | 洗碗机及其内胆与底座的插装结构 | |
KR20220088135A (ko) | 어댑터의 dc플러그 접속용 dc잭 | |
CN108836132B (zh) | 密封条和具有其的密封结构以及烹饪器具 | |
WO2018143257A1 (ja) | ホールプラグ | |
CN214499572U (zh) | 配合安装结构及风扇 | |
CN209800510U (zh) | 一种新型螺母及具有该新型螺母的电子设备 | |
CN107147233B (zh) | 电机端盖总成和电机及电机安装结构 | |
JP2829579B2 (ja) | 脚部材 | |
CN218096514U (zh) | 顶盖组件及空调 | |
CN220324814U (zh) | 一种声学模组的插头结构和控制器壳体结构 | |
JP4518934B2 (ja) | 電気部品用固定具 | |
CN217714722U (zh) | 筒灯及灯光系统 | |
JP4232447B2 (ja) | 照明器具 | |
JP2012043631A (ja) | ネジ落下防止補助具 | |
CN220675290U (zh) | 一种连接牢固的鞋扣 | |
JP3000138U (ja) | 取付ナット | |
CN216691722U (zh) | 一种端塞连接结构 | |
CN210242820U (zh) | 一种传感器及传感器组件 | |
CN211556250U (zh) | 一种快装式多媒体插座模块的固定结构 | |
CN212968357U (zh) | 充电接口 | |
CN210890957U (zh) | 一种吊座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4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