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74866A -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866A
KR20220074866A KR1020227009216A KR20227009216A KR20220074866A KR 20220074866 A KR20220074866 A KR 20220074866A KR 1020227009216 A KR1020227009216 A KR 1020227009216A KR 20227009216 A KR20227009216 A KR 20227009216A KR 20220074866 A KR20220074866 A KR 20220074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dhesive layer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glass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무라시게
도시키 오미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74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866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광학 필름은 유리 필름과 편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 필름의 두께는 50㎛ 이상 150㎛ 이하이고, 상기 유리 필름의 단부에 길이가 20㎛ 이상인 크랙을 가지며,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면에 배치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판은 온도 60℃, 습도 90%의 항온 항습 환경 하에서의 MD 방향 변형량과 TD 방향 변형량 간 차이의 절대값이 0 이상 40×10-6 이하이다.

Description

광학 필름
본 발명은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액정 표시 소자,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등을 이용한 표시 소자는 수납성, 디자인성의 관점에서 경량화 및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에 표시 소자의 가장 바깥쪽 표면으로서 커버 유리가 사용되고 있으며, 편광판을 액정 셀 등에 붙인 후, 층간 충전제를 사이에 두고서 편광판 상에 커버 유리가 구비되어 있다.
국제공개특허공보 제2019/087938호
한편으로, 미리 극박(極薄)의 유리(유리 필름)를 편광판과 미리 일체화시켜 액정 셀 등에 붙임으로써, 층간 충전제(充塡劑)를 사이에 두고 커버 유리와 편광판을 붙이는 프로세스를 간소화하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펜 등과 같이 경도가 큰 돌기물의 접촉에 대해 우수한 강도 및 가요성을 가지는 유리 필름 적층체를 표시 소자, 조명 소자 등의 가장 바깥쪽 표층에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소자에 사용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로서 유리 필름, 접착제층, 보호 필름, 편광자, 점착제층의 순서로 적층된 광학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노트북 컴퓨터 등의 용도에 맞추어 레이저, 절삭 등의 가공에 의해 유리 필름 적층체를 소정 크기로 해서 표시 소자에 붙이고 가습 환경 등에서 내구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정 크기로 가공했을 때에 유리 필름의 단부에 크랙이 발생하고 이 크랙이 가습 환경 등에서 더욱 진행함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항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리 필름의 단부에 소정 크기의 크랙이 존재하더라도 소정의 온도/습도 환경 하에서 크랙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광학 필름은 유리 필름과 편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 필름의 두께는 50㎛ 이상 150㎛ 이하이고, 상기 유리 필름의 단부에 길이가 20㎛ 이상인 크랙을 가지며,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면에 배치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판은 온도 60℃, 습도 90%의 항온 항습 환경 하에서의 MD 방향 변형량과 TD 방향 변형량 간 차이의 절대값이 0 이상 40×10-6 이하이다.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유리 필름의 단부에 소정 크기의 크랙이 존재하더라도 소정의 온도/습도 환경 하에서 크랙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변형 게이지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1)이다.
도 5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2)이다.
도 6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3)이다.
이하에서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학 필름(10)은 유리 필름(11), 접착제층(12), 편광판(13), 점착제층(14)의 순서로 구비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점착제층이라 함은 상온에서 접착성을 가지며 가벼운 압력으로 피점착체에 접착되는 층을 말한다. 따라서, 점착제층에 붙인 피점착체를 박리한 경우에도 점착제층은 실용적인 점착력을 유지한다. 한편, 접착제층이라 함은 물질 사이에 개재(介在)하여 물질을 결합시킬 수 있는 층을 말한다. 따라서, 접착제층에 붙인 피접착체를 박리한 경우에 접착제층은 실용적인 접착력을 갖지 않는다.
편광판(13)은 편광자(131) 및 보호 필름(132)을 갖는다. 보호 필름(132)은 편광자(131)의 적어도 한쪽(한쪽면)에 배치된다. 보호 필름(132)은 적어도 편광자(131)의 접착제층(12) 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편광자(131)의 양쪽(한쪽면 및 다른 한쪽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편광판(13)의 접착제층(12)과는 반대쪽에 위상차층을 배치할 수도 있다. 위상차층은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편광판(13)에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점착제층(14)을 사이에 두고 편광판(13)과는 반대쪽에 이형(離形) 필름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광학 필름(1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유리 필름]
유리 필름(11)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것을 채택할 수 있다. 유리 필름(11)은, 조성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예를 들어, 소다 석회 유리, 붕산 유리, 알루미노 규산 유리, 석영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칼리 성분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무알칼리 유리, 저알칼리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유리의 알칼리 금속 성분(Na2O, K2O, Li2O)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
유리 필름(1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1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14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130㎛이며,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80㎛~120㎛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플렉시블(flexible)성이 우수해서 롤 투 롤(roll to roll) 프로세스에서의 가공이 가능하고 또한 유리 필름이 잘 안 깨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10)을 얻을 수 있다.
유리 필름(11)의 파장 550nm에서의 광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다. 유리 필름(11)의 파장 550nm에서의 굴절율은 바람직하게는 1.4~1.65이다.
유리 필름(11)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2.3g/cm3~3.0g/cm3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3g/cm3~2.7g/cm3이다. 이와 같은 범위의 유리 필름이면, 화상 표시 장치 등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광학 필름(10)을 제공할 수 있다.
유리 필름(11)의 성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서, 유리 필름(11)은, 실리카, 알루미나 등과 같은 주원료와, 황산소다, 산화안티몬 등과 같은 소포제(消泡劑)와, 카본 등과 같은 환원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1400℃~1600℃ 정도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박판 형상으로 성형한 후 냉각시켜 제작할 수 있다. 유리 필름(11)의 성형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슬롯 다운 드로(slot down draw)법, 퓨전(fusion)법, 플로트(float)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해 판 형상으로 성형된 유리 필름은, 박판화하거나 평활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에 따라 불산 등과 같은 용제에 의해 화학적으로 연마할 수도 있다.
[접착제층]
접착제층(12)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접착제를 채용할 수 있다.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매우 양호한 밀착성을 얻을 수 있는 에폭시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접착제층(12)이 열경화형 접착제인 경우에는, 가열하여 경화(고화)시킴으로써 박리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제층(12)이 자외선 경화형 등과 같은 광 경화형 접착제인 경우에는,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照射)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박리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제층(12)이 습기 경화형 접착제인 경우에는, 공기 중의 수분 등과 반응하여 경화될 수 있으므로, 방치해 두는 것만으로도 경화되어 박리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
접착제층(12)으로는, 예를 들어 시판(市販)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각종의 경화형 수지를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접착제 용액(또는 분산액)을 조제할 수도 있다.
접착제층(1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5㎛~8㎛이며,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1㎛~6㎛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가요성이 우수하고 천공 저항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10)을 얻을 수 있다.
접착제층(12)의 탄성율은, 바람직하게는 0.5GPa~15GPa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8GPa~10GPa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GPa~5GPa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가요성이 우수하고 천공 저항성(puncture resistance)이 우수한 광학 필름(10)을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탄성율은 오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아래의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탄성율 측정방법]
측정 온도: 25℃
샘플 크기: 폭 2cm, 길이 15cm
척 간 거리: 10cm
인장 속도: 10mm/min
[편광판]
편광판(13)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3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50㎛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5㎛~200㎛이며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25㎛~100㎛이다.
편광판(13)의 탄성율은, 바람직하게는 1GPa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GPa~10GPa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GPa~7GPa이며,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2GPa~5GPa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라면, 천공 저항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10)을 얻을 수 있다.
편광판(13)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목적에 따라 적절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는데, 일 예로서 장변과 단변을 갖는 사각 형상을 들 수 있다. 편광판(13)이 사각 형상인 경우, 편광판(13)이 갖는 편광자(131)의 흡수축 방향과 편광판(13)의 장변 또는 단변과는 대략 평행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대략 평행"이라 함은, 엄밀하게 평행한 경우뿐 아니라, 두 선이 이루는 각도가 ±10°(바람직하게는 ±5°)인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편광자]
편광자(13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두께를 채용할 수 있다. 편광자(131)의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1㎛~80㎛ 정도이다. 편광자(131)로서 박형의 편광자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편광자(13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편광자(131)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nm~780nm 구간의 파장에서 흡수 이색성(二色性)을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單體)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2.0% 이상,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43.0% 이상이다. 편광자(131)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9.8%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5% 이상이다.
편광자(131)는 바람직하게는 요오드계 편광자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편광자는 요오드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이하, "PVA계 수지"라 함)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PVA계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PVA계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수지를 채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PVA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85몰%~100몰%이고, 바람직하게는 95.0몰%~99.95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0몰%~99.93몰%이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에 준거하여 구해진다. 이와 같은 비누화도의 PVA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비누화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겔(gel)화될 우려가 있다.
PVA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PVA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예를 들어 1000~1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1200~50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4500이다. 한편,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에 준거하여 구해진다.
편광자(131)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PVA계 수지 필름 단체를 연신(延伸)시키고 염색하는 방법(I), 수지 기재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갖는 적층체(i)을 연신시키고 염색하는 방법(II) 등을 들 수 있다. 방법 (I)는 당업계에서 주지 관용의 방법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방법(II)는 바람직하게는,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의 한쪽에 형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갖는 적층체(i)을 연신시키고 염색함으로써 당해 투명 기재 상에 편광자를 제작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적층체(i)은 수지 기재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고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적층체(i)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수지 기재 상에 전사(轉寫)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조방법(II)에 대해 자세하게는,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7358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공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할 수 있다.
[보호 필름]
보호 필름(132)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수지 필름을 채택할 수 있다. 보호 필름(132)의 형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노르보넨계 수지 등과 같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올레핀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다. 한편, "(메타)아크릴계 수지"라 함은 아크릴계 수지 및/또는 메타크릴계 수지를 말한다.
(메타)아크릴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글루탈이미드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사용된다. 글루탈이미드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이하, "글루탈이미드 구조"라고도 함)는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309033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317560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328329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328334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337491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337492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337493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337569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009182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161744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8484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할 수 있다.
보호 필름(132)과 편광자(131)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적층될 수 있다. 편광자(131) 제작시에 사용한 투명 기재는 보호 필름(132)과 편광자(131)를 적층하기 전에 또는 적층한 후에 박리된다.
보호 필름(13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2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0㎛이며,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10㎛~50㎛이다.
보호 필름(132)의 탄성율은 1GPa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GPa~10GPa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GPa~7GP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GPa~5GPa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천공 저항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10)을 얻을 수 있다.
[위상차층]
전술한 바와 같이, 위상차층은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구비된다. 위상차층을 구비하는 경우에, 위상차층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광학적 특성 및/또는 기계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위상차층은 대표적으로는 지연축(slow axis)을 갖는다. 위상차층의 광학적 특성 및/또는 기계적 특성은 액정 셀의 배향 모드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위상차층은 위상차 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따라 커지는 역 분산 파장 특성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위상차 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따라 작아지는 정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위상차 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의해 거의 변화하지 않는 플랫(flat)한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위상차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위상차층은 상기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 필름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한 수지의 대표예로는, 환형 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고분자 액정 수지를 들 수 있다.
[점착제층]
점착제층(14)은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으로 된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된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습윤성과 응집성,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어 내후성, 내열성 등에 있어서도 우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탄소수가 4~12인 아크릴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층(14)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1~400㎛ 정도이다. 또한, 점착제층(14)의 두께는, 점착제에 사용하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제조방법에 의해 적절하게 바람직한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등에 의해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14)의 두께는 1~100㎛임이 바람직하고, 2~50㎛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2~40㎛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5~35㎛이면 특히 더 바람직하다. 또한, 방사선 중합 등에 의해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14)의 두께는 50~400㎛임이 바람직하고, 75~300㎛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100~200㎛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께의 아크릴계 폴리머를 제조할 때에는 용액 중합이 무난하게 적절하다.
점착제층(14)의 23℃에서의 탄성율은 바람직하게는 0.00001GPa~10GPa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GPa~8GPa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GPa~5GPa이다. 이러한 범위에서는 가요성이 우수하며 또한 천공 저항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10)을 얻을 수 있다.
[이형 필름]
전술한 바와 같이, 이형(離形) 필름은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구비된다. 이형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형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2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50㎛이다. 이형 필름은 광학 필름(10)이 액정 셀 등의 광학 소자에 붙여지기 전에 점착제층(14)과의 계면에서 박리된다.
광학 필름(10)은, 예를 들어, 액정 패널을 구성할 때에 시인(視認)측 편광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광학 필름(10)은, 예를 들어, 액정 셀의 시인쪽에 점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구비되며, 액정 패널의 전면(前面)판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시인측이라 함은, 소정 부재를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했을 때에 시인되는 쪽을 향하는 쪽을 의미한다. 광학 필름(10)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인 셀(in cell) 타입의 액정 소자에 사용된다. 인 셀 타입의 액정 소자는 터치 센서가 탑재된 기판을 구비하는 액정 셀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이다.
[유리 필름의 크랙 진행]
유리 필름(11)의 단부에 소정 크기의 크랙이 존재하면, 소정의 온도/습도 환경 하에서 편광판(13)의 팽창 등에 의해 크랙이 더 진행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광학 필름(10)을 제품화하려면, 적어도 온도 60℃ 습도 90%의 항온 항습 환경에서의 유리 필름(11) 단부의 크랙 진행을 억제할 필요가 있으며, 온도 80℃의 항온 항습 환경에서의 유리 필름(11) 단부의 크랙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면 더욱 바람직함을 알았다.
발명자들은, 광학 필름(10)에 있어 소정의 온도/습도 환경에서의 편광판(13)의 MD 방향 변형량과 TD 방향 변형량 간 차이의 절대값인 |MD-TD|의 값을 소정 범위 내로 억제함으로써, 유리 필름(11) 단부에 소정 크기의 크랙이 존재하더라도 소정 온도/습도 환경에서 크랙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았다.
구체적으로, 온도 60℃, 습도 90%의 항온 항습 환경 하에서의 편광판(13)의 |MD-TD|가 0 이상 40×10-6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해, 온도 80℃의 가열 환경 시험 하에서 편광판(13)의 |MD-TD|가 0 이상 250×10-6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요건을 충족함으로써 편광판(13)의 변형량의 절대값이 작아지므로, 편광판(13)의 변형량이 유리 필름(11)에 미치는 영향이 저감되어, 유리 필름(11) 단부에 길이 20㎛ 이상의 크랙이 존재하더라도 크랙의 진행을 억제할 수가 있다. 특히, 편광판(13)과 유리 필름(11)이 접착제층(12)과 같은 탄성율이 높은 층을 사이에 두고 붙여져 일체화되어 있는 경우에, 크랙 진행과 관련해서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MD 방향이라 함은 수지를 용융시켜 틀에서 성형할 때에 틀의 내부에서 용융 수지가 흐르는 방향을 말한다. TD 방향은 MD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온도 60℃, 습도 90%의 항온 항습 환경이나 온도 80℃의 가열 환경 시험 하에서 편광판(13)의 |MD-TD| 값을 작게 하려면, 편광자(131)의 두께를 얇게 하면 된다. 편광자(131)의 두께를 얇게 할수록 편광판(13)의 |MD-TD| 값을 작게 할 수 있다. 유리 필름의 크랙 진행 억제에 대해 상세하게는 실시예에서 후술한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는 층 구조가 다른 광학 필름의 예를 나타낸다. 한편, 제2 실시형태에 있어 이미 설명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학 필름(10A)은 접착제층(12)이 점착제층(15)으로 치환되었다는 점에서 광학 필름(10)(도 1 참조)과 다르다.
점착제층(15)의 재료는, 예를 들어, 점착제층(14)의 재료로서 예시된 것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점착제층(15)의 두께는 20㎛ 이상 500㎛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15)의 두께를 20㎛ 이상으로 함으로써, 편광판(13)의 변형이 유리 필름(11)으로 전달되는 것이 완화된다. 이로써, 유리 필름(11)의 단부에 길이 20㎛ 이상의 크랙이 존재하더라도 크랙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15)의 두께를 500㎛ 이하로 함으로써, 광학 필름(10)을 롤 투 롤(roll to roll) 프로세스로 제조할 때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점착제층(15)은 25℃에서의 탄성율이 1.0×105 Pa 이상 5.5×106 Pa 이하임이 바람직하며, 1.0×105 Pa 이상 1.0×106 Pa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요건을 충족함으로써, 편광판(13)의 변형이 유리 필름(11)으로 전달되는 것이 한층 더 완화된다. 이로써, 유리 필름(11)의 단부에 길이 20㎛ 이상의 크랙이 존재하더라도 크랙의 진행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10)과 같이 유리 필름(11)과 편광판(13)을 붙임에 있어 두께 수㎛ 정도의 접착제층(12)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접착제층(12)의 25℃에서의 탄성율이 1.0×105 Pa 이상 5.5×106 Pa 이하이면 크랙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제층(12)의 25℃에서의 탄성율이 1.0×105 Pa 이상 1.0×106 Pa 이하이면 크랙의 진행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유리 필름의 크랙 진행을 억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뒤에서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이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광학 필름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실시예에 있어 따로 명기하지 않는 한 "~부"와 "~%"는 중량 기준이다.
[제조예 1] 편광판 A의 준비
두께 100㎛의 폴리비닐알코올필름(PVA)을 30℃, 농도 0.3%의 요오드 용액 내에서 1분간 염색하면서 속도비가 서로 다른 롤 사이에서 3배까지 연신(延伸)시켰다. 그 후, 60℃, 농도 4%의 붕산, 농도 10%의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 내에서 0.5분간 침지하면서 종합 연신 배율 6배까지 연신시켰다. 이어서, 30℃, 농도 1.5%의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 내에서 10초간 침지하여 세정한 후에, 50℃에서 4분간 건조시켜 두께 5㎛의 편광자를 얻었다. 이 편광자의 한쪽면에 두께 20㎛, 탄성율 2.5GPa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로 붙임으로써 편광판 A(두께 25㎛)를 얻었다.
[제조예 2] 편광판 B의 준비
두께 40㎛, 탄성율 2.6GPa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사용한 점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판 B(두께 45㎛)를 얻었다.
[제조예 3] 편광판 C의 준비
편광자의 두께를 28㎛로 한 점, 그리고 편광자의 한쪽면에는 비누화 처리한 두께 40㎛, 탄성율 3.6GPa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을, 다른 한쪽면에는 두께 30㎛, 탄성율 2.6GPa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각각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로 붙인 점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판 C(두께 98㎛)를 얻었다.
[제조예 4] 편광판 D의 준비
편광자의 두께를 18㎛로 한 점, 그리고 편광자의 한쪽면에는 비누화 처리한 두께 40㎛, 탄성율 3.6GPa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을, 다른 한쪽면에는 두께 30㎛, 탄성율 2.6GPa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각각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로 붙인 점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판 D(두께 88㎛)를 얻었다.
[제조예 5] 점착제의 준비
(아크릴계 폴리머의 조제)
교반 날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부틸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 아크릴산 5중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075중량부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 중합 용매로서 아세트산부틸 200중량부를 넣고 충분히 질소 치환한 후, 질소 기류 하에서 교반하면서 플라스크 내 액체 온도를 55℃ 부근으로 유지하고서 10시간 동안 중합 반응을 행함으로써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조제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20만이었다.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과산화물로서 디벤조일퍼옥사이드(NYPER BMT、일본 유지社 제조)를 0.2 중량부, 에폭시계 가교제로서 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TETRAD-C, 미츠비시 가스 화학社 제조)을 0.05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부가체(CORONATE L, 일본 폴리우레탄 공업社 제조)를 0.1 중량부, 실란커플링제(KBM403, 신에츠화학공업社 제조)를 0.075중량부 균일하게 혼합 교반함으로써 아크릴계 점착제(고형분 10.9 중량%)를 조제하였다.
[제조예 6] 접착제의 준비
(에폭시계 접착제의 준비)
CELLOXIDE 2021P(다이셀 화학공업社 제조)를 70중량부, EHPE 3150을 5중량부, ARONE OXETANE OXT-221(토아 합성社 제조)를 19중량부, KBM-403(신에츠화학공업社 제조)을 4중량부, CPI 101A(SAN-APRO社 제조)를 2중량부 배합함으로써 에폭시계 접착제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1,2, 비교예 1,2>
[실시예 1]
(광학 필름 A의 제작)
297mm×210mm의 유리 필름(일본 전기 초자社 제조, 상품명 "OA-10G", 두께 100㎛)과 제조예 1에서 제작한 287mm×200mm의 편광판 A를, 제조예 6에서 조제한 접착제로 구성되는 접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붙였다. 이 때, 편광판 A는 아크릴계 필름이 유리 필름쪽으로 되도록 배치하였다. 이어서, 고압 수은 램프에 의해 접착제층에 자외선을 조사(500mJ/cm2)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켰다. 접착제층은 두께를 2㎛, 탄성율을 1.8GPa로 하였다.
이어서, 광학 필름 A의 편광판 A에 대해 유리 필름과는 반대쪽 면에, 제조예 5에서 조제한 점착제로 구성되는 점착제층(두께 30㎛)을 형성함으로써, 광학 필름 A를 얻었다. 한편, 이 점착제층은 이하와 같이 하여 형성하였다. (i)실리콘 처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츠비시 화학 폴리에스테르 필름社 제조, 두께 38㎛) 상에 도포하고 155℃에서 1분간 가열하여 건조 후 두께가 30㎛인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ii)당해 점착제층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부터 편광판 A에 전사(轉寫)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제조예 1에서 제작한 편광판 A 대신에 제조예 2에서 제작한 편광판 B를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 B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제조예 1에서 제작한 편광판 A 대신에 제조예 3에서 제작한 편광판 C를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 C를 제작하였다. 한편, 편광판 C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유리 필름 쪽으로 되도록 배치하였다.
[비교예 2]
제조예 1에서 제작한 편광판 A 대신에 제조예 4에서 제작한 편광판 D를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 D를 제작하였다. 한편, 편광판 D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유리 필름 쪽으로 되도록 배치하였다.
(평가 1)
실시예 1에 얻어진 광학 필름 A에 대해 변형량 측정 등을 실시하였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다이아몬드 커터를 이용해서 광학 필름 A의 유리 필름의 단부에 유리 크랙을 만들었다. 그리고, 350×250mm, 두께 1.0mm의 무알칼리 유리(코닝社 제조, 상품명 "EG-XG")를 준비하고, 각 변 100mm로 가공한 광학 필름 A를, 점착제층이 무알칼리 유리 쪽을 향하도록 하여 무알칼리 유리에 붙였다. 그리고, 유리 크랙을 광학 필름 A의 편광판 단부보다 안쪽으로 더 진행시켜 크랙의 길이가 20㎛ 이상으로 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50℃, 0.5MPa에서 15분간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처리함으로써 광학 필름 A의 점착제층을 무알칼리 유리에 밀착시켰다. 그리고, 항온 항습 시험에 투입하기 전에 육안 확인을 위해 크랙단에 마킹을 해서 평가용 샘플 A를 얻었다.
이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알칼리 유리(100)에 붙인 평가용 샘플 A에 변형 게이지(120)(FLA-3-11-3LJCT, 도쿄 계측 연구소社 제조)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ARONALPHA, 토아 합성社 제조)에 의해 붙였다. 한편, 변형 게이지(120)는, 평가용 샘플 A의 한 모서리로부터 X방향으로 15mm, Y방향으로 15mm 안쪽의 위치에 변형 게이지(120)의 중심이 오도록 붙였다. 이 때, 변형 게이지(120)의 측정축(게이지의 장변 방향)이 평가용 샘플 A의 흡수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하여 편광판 흡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변형량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변형 게이지(120)의 리드선을 데이터 로거(TDS-530, 도쿄 계측 연구소社 제조)에 접속하고서 실온(23℃)에서의 변형량을 0με으로 조정한 후, 변형 게이지(120)를 붙인 평가용 샘플 A를 항온 항습 시험(온도 60℃, 습도 90%)에 15분간 투입하였다. 그리고, 그 사이의 변형량을 15초마다 계측하고 200초 시점(중간점)의 변형량을 읽어내어 평가용 샘플 A의 변형량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변형량의 차이를 (MD 방향 변형량 - TD 방향 변형량)의 절대값에 의해 산출하였다. 그리고, 확대경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크랙의 진행을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은 ◎: 마킹을 실시한 크랙단이 더 진행하지 않았음(합격), ○: 마킹을 실시한 크랙단이 더 진행된 정도가 0mm보다는 크고 10mm 이하이며, 마킹한 크랙 중에서 더 진행된 것이 50% 이하(합격), △: 마킹을 실시한 크랙단이 더 진행된 정도가 0mm보다 크고 10mm 이하이며 마킹한 크랙 중에서 더 진행된 것이 50~75%(합격), ×: 마킹을 실시한 크랙단이 더 진행된 정도가 10mm보다 큼(불합격)이다.
실시예 2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B, 비교예 1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C, 비교예 2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D에 대해, 광학 필름 A와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용 샘플 B~D를 제작하고서, 평가용 샘플 A와 마찬가지로 하여 변형량을 계측하고 변형량의 차이를 산출하며 육안으로 크랙 진행을 판정하였다. 각 평가용 샘플의 구성과 함께 평가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로부터, 편광자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온도 60℃, 습도 90%의 항온 항습 환경에서의 편광판의 MD 방향 변형량과 TD 방향 변형량 간 차이의 절대값 |MD-TD|의 값을 작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편광판은 온도 60℃, 습도 90%의 항온 항습 환경에서의 |MD-TD|의 값이 0 이상 40×10-6 이하이면 바람직하며, 이 범위에서는 유리 필름의 크랙 진행이 억제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2의 결과로부터, 편광판은 온도 60℃, 습도 90%의 항온 항습 환경에서의 |MD-TD|의 값이 0 이상 10×10-6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이 범위에서는 유리 필름의 크랙 진행이 더욱 억제된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3~5, 비교예 3>
[실시예 3]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 E를 얻었댜.
[실시예 4]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 F를 얻었다.
[실시예 5]
제조예 1에서 제작한 편광판 A 대신에 제조예 4에서 제작한 편광판 D를 사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 G를 제작하였다. 한편, 편광판 D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유리 필름 쪽으로 되도록 배치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 H를 얻었다.
(평가 2)
실시예 3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E, 실시예 4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F, 실시예 5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G, 비교예 3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H에 대해, 변형량 측정 등을 실시하였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평가용 샘플 A와 마찬가지로 하여, 길이가 20㎛ 이상인 크랙을 갖는 평가용 샘플 E(실시예 3), 평가용 샘플 F(실시예 4), 평가용 샘플 G(실시예 5), 평가용 샘플 H(비교예 3)를 제작하였다. 그리하여, 시험 조건을 항온 항습 시험(온도 60℃, 습도 90%)에서 가열 환경 시험(온도 80℃)로 변경한 점 이외에는, 평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용 샘플 E~H에 대해 변형량의 계측, 변형량 차이의 산출, 육안으로의 크랙 진행 판정을 실시하였다. 각 평가용 샘플의 구성과 함께 평가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로부터, 편광자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온도 80℃의 가열 환경에서의 편광판의 MD 방향 변형량과 TD 방향 변형량 간 차이의 절대값 |MD-TD|의 값을 작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편광판은 온도 80℃의 가열 환경에서의 |MD-TD|의 값이 0 이상 250×10-6 이하이면 바람직하며, 이 범위에서는 유리 필름의 크랙 진행이 억제된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6~8, 비교예 4,5>
[실시예 6]
제조예 1에서 제작한 편광판 A 대신에 제조예 3에서 제작한 편광판 C를 사용하며, 편광판 C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쪽을, 제조예 6에서 조제한 접착제로 구성되는 접착제층(두께 2㎛, 탄성율 5.27GPa)을 사이에 두고 유리 필름에 붙인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 I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
제조예 1에서 제작한 편광판 A 대신에 제조예 3에서 제작한 편광판 C를 사용하며, 편광판 C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쪽을, 제조예 5에서 조제한 점착제로 구성되는 점착제층(두께 20㎛, 탄성율 0.12GPa)을 사이에 두고 유리 필름에 붙인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 J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
제조예 1에서 제작한 편광판 A 대신에 제조예 3에서 제작한 편광판 C를 사용하며, 편광판 C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쪽을, 제조예 5에서 조제한 점착제로 구성되는 점착제층(두께 250㎛, 탄성율 0.14GPa)을 사이에 두고 유리 필름에 붙인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 K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
제조예 1에서 제작한 편광판 A 대신에 제조예 3에서 제작한 편광판 C를 사용하며, 편광판 C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쪽을, 제조예 6에서 조제한 접착제로 구성되는 접착제층(두께 2㎛, 탄성율 5.78GPa)을 사이에 두고 유리 필름에 붙인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 L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5]
제조예 1에서 제작한 편광판 A 대신에 제조예 3에서 제작한 편광판 C를 사용하며, 편광판 C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쪽을, 제조예 6에서 조제한 접착제로 구성되는 접착제층(두께 2㎛, 탄성율 6.58GPa)을 사이에 두고 유리 필름에 붙인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 M을 제작하였다.
(평가 3)
실시예 6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I, 실시예 7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J, 실시예 8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K, 비교예 4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L, 비교예 5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M에 대해, 평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육안으로 크랙 진행을 판정하였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평가용 샘플 A와 마찬가지로 하여, 길이가 20㎛ 이상인 크랙을 갖는 평가용 샘플 I(실시예 6), 평가용 샘플 J(실시예 7), 평가용 샘플 K(실시예 8), 평가용 샘플 L(비교예 4), 평가용 샘플 M(비교예 5)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평가용 샘플 I를 항온 항습 시험(온도 60℃, 습도 90%)에 15분간 투입하고 꺼낸 직후에 육안으로 크랙의 진행을 판정하였다. 각 평가용 샘플의 구성과 함께 평가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한편, 도 6에 나타내는 탄성율은 25℃에서의 탄성율이다.
도 6에서 편광자의 두께는 모두 28㎛ 이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의 결과를 참조하면, |MD-TD|는 온도 60℃, 습도 90%의 항온 항습 환경과 온도 80℃의 가열 환경에서 유리 필름의 크랙이 더 진행하는 값으로 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도 6의 결과로부터, 이와 같은 경우에도 유리 필름과 편광판을 붙이는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의 25℃에서의 탄성율이 1.0×105 Pa 이상 5.5×106 Pa 이하이면, 유리 필름의 크랙 진행이 억제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리 필름과 편광판을 붙이는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의 25℃에서의 탄성율이 1.0×105 Pa 이상 1.0×106 Pa 이하이면, 유리 필름의 크랙 진행이 한층 더 억제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유리 필름과 편광판을 붙일 때에 두께가 20㎛ 이상인 점착제층을 사용하면, 25℃에서의 탄성율을 1.0×105 Pa에 가까운 값으로 할 수 있어서, 유리 필름의 크랙 진행이 한층 더 억제된다. 한편, 광학 필름(10)을 롤 투 롤(roll to roll) 프로세스로 제조할 때의 취급성의 관점에서, 점착제층의 두께는 500㎛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종합하면, 유리 필름의 크랙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이하의 요건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즉, 편광자의 두께를 얇게 하고, 온도 60℃, 습도 90%의 항온 항습 환경 시험에서의 |MD-TD|를 0 이상 40×10-6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도 80℃의 가열 환경 시험에서의 |MD-TD|를 0 이상 250×10-6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리 필름의 크랙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편광자의 두께를 얇게 하여 |MD-TD|를 소정 범위로 하는 대책 대신에,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의 특성을 선택하는 대책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필름과 편광자를 붙이는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의 25℃에서의 탄성율을 1.0×105 Pa 이상 5.5×106 Pa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105 Pa 이상 1.0×106 Pa 이하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유리 필름과 편광판을 붙일 때에 두께 20㎛ 이상의 점착제층을 사용하면, 25℃에서의 탄성율을 매우 낮은 값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리 필름의 크랙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서, 편광자의 두께를 얇게 하여 |MD-TD|를 소정 범위로 하는 대책과,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의 특성을 선택하여 25℃에서의 탄성율을 소정 범위로 하는 대책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 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실시형태 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일탈하지 않으면서 전술한 실시형태 등에 여러 가지 변형 및 치환을 가할 수 있다.
본 국제출원은, 2019년 9월 27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19-177234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국 특허출원 2019-177234호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0,10A 광학 필름
11 유리 필름
12 접착제층
13 편광판
14,15 점착제층
131 편광자
132 보호 필름

Claims (9)

  1. 유리 필름과 편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 필름의 두께는 50㎛ 이상 150㎛ 이하이고,
    상기 유리 필름의 단부에 길이가 20㎛ 이상인 크랙을 가지며,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면에 배치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판은 온도 60℃, 습도 90%의 항온 항습 환경 하에서의 MD 방향 변형량과 TD 방향 변형량 간 차이의 절대값이 0 이상 40×10-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온도 80℃의 가열 환경 시험 하에서의 MD 방향 변형량과 TD 방향 변형량 간 차이의 절대값이 0 이상 250×10-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 상기 보호 필름, 상기 편광자의 순서로 적층되며,
    상기 유리 필름과 상기 보호 필름은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의 25℃에서의 탄성율이 1.0×105 Pa 이상 5.5×106 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의 25℃에서의 탄성율이 1.0×105 Pa 이상 1.0×106 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5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7. 유리 필름과 편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 필름과 편광판은 점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유리 필름의 두께는 50㎛ 이상 150㎛ 이하이고,
    상기 유리 필름의 단부에 길이가 20㎛ 이상인 크랙을 가지며,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20㎛ 이상 5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25℃에서의 탄성율이 1.0×105 Pa 이상 5.5×106 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25℃에서의 탄성율이 1.0×105 Pa 이상 1.0×106 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KR1020227009216A 2019-09-27 2020-09-16 광학 필름 Pending KR202200748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77234A JP7548651B2 (ja) 2019-09-27 2019-09-27 光学フィルム
JPJP-P-2019-177234 2019-09-27
PCT/JP2020/035082 WO2021060107A1 (ja) 2019-09-27 2020-09-16 光学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866A true KR20220074866A (ko) 2022-06-03

Family

ID=7516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216A Pending KR20220074866A (ko) 2019-09-27 2020-09-16 광학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548651B2 (ko)
KR (1) KR20220074866A (ko)
CN (1) CN114514452B (ko)
TW (1) TWI867048B (ko)
WO (1) WO20210601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9376A1 (ja) 2019-03-06 2020-09-10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ンサー装置
CN115479966A (zh) * 2022-09-06 2022-12-16 深圳市盛波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偏光片对玻璃的抗弯强度测试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938A (ko) 2018-01-17 2019-07-2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미세조류를 이용한 고농도 불포화 지방산 오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8206B2 (en) * 2003-03-10 2007-04-24 Nitto Denko Corporation Glass crack prevention lamin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646294B2 (ja) * 2005-01-12 2011-03-09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板割れ防止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
JP2008083356A (ja) * 2006-09-27 2008-04-10 Optrex Corp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パネルの端縁処理方法
WO2009072357A1 (ja) * 2007-12-05 2009-06-11 Nitto Denko Corporation 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110026A (ja) * 2009-02-12 2009-05-21 Nitto Denko Corp 液晶パネルのガラス割れ防止粘着剤層
US9315412B2 (en) * 2011-07-07 2016-04-19 Corning Incorporated Surface flaw modification for strengthening of glass articles
JP2015106045A (ja) * 2013-11-29 2015-06-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平面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645010B (zh) * 2014-03-17 2018-12-21 日商住友化學股份有限公司 附黏著劑之樹脂膜及使用該樹脂膜之光學積層體
JP6002969B2 (ja) * 2014-06-05 2016-10-05 Dic株式会社 保護粘着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及び携帯電子端末
JP6463167B2 (ja) * 2015-02-26 2019-01-30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および光学積層体
US11148398B2 (en) * 2017-09-15 2021-10-19 Apple Inc. Multilayer composite including metallic glass and polymer with reduced fatigue
KR102411234B1 (ko) * 2017-10-30 2022-06-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WO2019151091A1 (ja) * 2018-01-31 2019-08-0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ロ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938A (ko) 2018-01-17 2019-07-2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미세조류를 이용한 고농도 불포화 지방산 오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67048B (zh) 2024-12-21
CN114514452B (zh) 2025-02-28
WO2021060107A1 (ja) 2021-04-01
JP7548651B2 (ja) 2024-09-10
TW202116556A (zh) 2021-05-01
CN114514452A (zh) 2022-05-17
JP2021056306A (ja)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23609B1 (en) Optical laminate
US11760077B2 (en) Laminate for image display devices
KR20220074866A (ko) 광학 필름
JP7553174B2 (ja) 光学フィルムセット、光学積層体
KR102752873B1 (ko) 센서 장치
TWI736968B (zh) 光學薄膜組及光學積層體
WO2021095516A1 (ja) 光学フィルムセット、液晶パネル
CN113613868B (zh) 玻璃树脂层叠体的制造方法
KR20220023336A (ko)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9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