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65224A -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224A
KR20220065224A KR1020200151510A KR20200151510A KR20220065224A KR 20220065224 A KR20220065224 A KR 20220065224A KR 1020200151510 A KR1020200151510 A KR 1020200151510A KR 20200151510 A KR20200151510 A KR 20200151510A KR 20220065224 A KR20220065224 A KR 20220065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food
printing
swallowing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1791B1 (ko
Inventor
양경미
윤인정
공현주
권지은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1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791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7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30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astes, meal, powders; Products made therefrom, e.g. blocks, flakes, snacks;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5/00Foods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 A23P2020/253Coating food items by printing onto them; Printing layers of foo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병원에서 식사 시간에 맞춰 프린팅하여 보존제 사용 없이 신선한 음식을 즉시 제공할 수 있으며, 환자 개개인 맞춤형으로 저작 강도 및 원하는 맛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3D printing food for persons having difficulty swallowing/masticati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하·저작곤란자, 예를 들어 보살핌이 필요한 고령자는 음식물을 저작하는 기능이나 연하 기능이 쇠약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식재를 먹기 쉬운 형태로 하기 위한 다양한 고안이 필요하다. 간호 시설에서는 이전부터 식재를 잘게 썰거나, 분쇄하거나 하는 조리가 일상적으로 행해져 왔으며, 보통식 이외에 잘게 썬 음식, 매우 잘게 썬 음식, 믹서로 간 음식, 페이스트 음식, 액상 음식물 등이 제공되고 있다.
"잘게 썬 음식(Minced Diet)"란 저작기능의 상태가 좋지 않은 자를 배려하여 이미 저작을 한 것과 같은 형태로 식재를 잘게 써는 것에 의해 저작을 하지 않아도 먹기 쉽게 제조한 것이다. 상기 잘게 썬 음식은 간호 시설 등에서 연하·저작기능이 저하된 고령자에게 널리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잘게 썬 음식은 오연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 발병의 위험을 높인다는 것이 지적되었다. 또한, 보통식보다 오히려 저작 횟수가 증가하였다는 보고도 있다. 이와 같이, 잘게 썬 음식이 보통식보다 반드시 먹기 쉬운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는 것을 최근에 들어서 알게 되었다.
애초에 식재를 저작한다는 행위는 식재를 분쇄한다는 것만이 아니라, 분쇄된 식재가 침과 잘 섞이게 함으로써 음식물 덩어리(bolus)를 형성하여 먹기 쉽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식재를 잘게 써는 것에 의하여 오히려 음식물 덩어리의 형성이 곤란해지고, 결과적으로 모르고 잘못 삼켜버린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특히 고령자의 경우에는 노인성 치매나 시각불량에 의한 선행기 장애나 타액선의 감지·분비불량에 의해 타액이 부족하고, 저작에 의해 음식물 덩어리를 만드는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욱 음식물 덩어리를 만드는 것이 곤란해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연하·저작곤란자들을 위한 음식으로써 섭취가 용이하면서도 식품으로써의 맛도 좋은 제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나 아직까지 그 연구가 미미하다.
일본국특허 제3524359호 공보 일본국특개 2006-36928호 공보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연하·저작곤란자들을 위한 음식으로써 섭취가 용이하면서도 식품으로써의 맛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오랜 기간 연구를 진행하던 중, (a) 가루멥쌀, 호화 쌀가루, 곤충가루, 아몬드 가루, 백옥앙금 및 소금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b) (a)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물과 막걸리를 첨가하고 찌는 단계; (c) 찐 혼합물을 건조하고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d) 물 또는 우유에 타서 으깨는 단계; 및 (e) 3D 프린터기에 넣고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연하· 저작 곤란자용 식품을 제조 시 연하, 저작이 곤란한 사람들이 섭취 시에도 먹기 용이하고 영양가도 풍부한 맛있는 3D 프린팅 식품 제조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 가루멥쌀, 호화 쌀가루, 곤충가루, 아몬드 가루, 백옥앙금 및 소금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b) (a)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물과 막걸리를 첨가하고 찌는 단계; (c) 찐 혼합물을 건조하고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d) 물 또는 우유에 타서 으깨는 단계; 및 (e) 3D 프린터기에 넣고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노인용 3D 프린팅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환자용 3D 프린팅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3D 프린팅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가루멥쌀, 호화 쌀가루, 곤충가루, 아몬드 가루, 백옥앙금 및 소금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b) (a)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물과 막걸리를 첨가하고 찌는 단계; (c) 찐 혼합물을 건조하고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d) 물 또는 우유에 타서 으깨는 단계; 및 (e) 3D 프린터기에 넣고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가루멥쌀, 호화 쌀가루, 곤충가루, 아몬드 가루, 백옥앙금 및 소금은 상기 완성된 혼합물의 총 중량부에 대해, 가루멥쌀을 270 ~ 330 중량부, 호화 쌀가루를 10 ~ 20 중량부, 곤충가루를 10 ~ 20 중량부, 아몬드 가루를 10 ~ 20 중량부, 백옥앙금을 200 ~ 300 중량부 및 소금을 5 ~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물 및 막걸리는 1:1의 부피비로 혼합할 수 있고, 상기 물 및 막걸리의 첨가량은 완성된 혼합물의 총 중량부에 대해 60 ~ 80 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찌는 단계는 90 ~ 110℃에서 30 ~ 50분간 찔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건조는 60 ~ 80℃의 온도에서 25 ~ 35시간 건조기에서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분말화 단계 이후 쑥 가루, 호박 가루, 흑임자 가루, 북어 가루 또는 고구마 가루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타민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노인용 3D 프린팅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타민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환자용 3D 프린팅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타민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3D 프린팅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타민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병원에서 식사 시간에 맞춰 프린팅하여 보존제 사용 없이 신선한 음식을 즉시 제공할 수 있으며, 환자 개개인 맞춤형으로 저작 강도 및 원하는 맛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품의 제조에 물을 용매로 사용하고, 부가 재료로 호박 가루, 쑥 가루, 북어 가루, 흑임자 가루 또는 고구마 가루를 사용하여 제조한 뒤 바로 및 5 ~ 10시간 경과 후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식품의 제조에 일반 우유를 용매로 사용하고, 부가 재료로 호박 가루, 쑥 가루, 북어 가루, 흑임자 가루 또는 고구마 가루를 사용하여 제조한 뒤 바로 및 5 ~ 10시간 경과 후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식품의 제조에 락토프리 우유를 용매로 사용하고, 부가 재료로 호박 가루, 쑥 가루, 북어 가루, 흑임자 가루 또는 고구마 가루를 사용하여 제조한 뒤 바로 및 5 ~ 10시간 경과 후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a) 가루멥쌀, 호화 쌀가루, 곤충가루, 아몬드 가루, 백옥앙금 및 소금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b) (a)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물과 막걸리를 첨가하고 찌는 단계; (c) 찐 혼합물을 건조하고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d) 물 또는 우유에 타서 으깨는 단계; 및 (e) 3D 프린터기에 넣고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단계에서 가루멥쌀, 호화 쌀가루, 곤충가루, 아몬드 가루, 백옥앙금 및 소금은 상기 완성된 혼합물의 총 중량부에 대해, 가루멥쌀을 270 ~ 330 중량부, 호화 쌀가루를 10 ~ 20 중량부, 곤충가루를 10 ~ 20 중량부, 아몬드 가루를 10 ~ 20 중량부, 백옥앙금을 200 ~ 300 중량부 및 소금을 5 ~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루멥쌀을 300 중량부, 호화 쌀가루를 15 중량부, 곤충가루를 15 중량부, 아몬드 가루를 15 중량부, 백옥앙금을 246 중량부 및 소금을 9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물 및 막걸리는 1:1의 부피비로 혼합할 수 있고, 상기 물 및 막걸리의 첨가량은 완성된 혼합물의 총 중량부에 대해 60 ~ 80 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및 막걸리를 각각 35 중량부로 포함시켜, 총 70 중량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b)단계의 찌는 단계는 90 ~ 110℃에서 30 ~ 50분간 찔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40분간 찔 수 있다.
상기 (c)단계의 건조는 자연 건조 또는 기계 건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방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60 ~ 80℃의 온도에서 25 ~ 35시간 건조기에서 건조시킬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의 온도에서 30시간 건조기에서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c)단계의 분말화 단계 이후 쑥 가루, 호박 가루, 흑임자 가루, 북어 가루 또는 고구마 가루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자의 취향과 기호에 맞게 상기 재료들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쑥 가루, 호박 가루, 흑임자 가루, 북어 가루 또는 고구마 가루는 시중 시판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직접 재료를 분말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쑥 가루 및 흑임자 가루는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호박 가루, 북어 가루, 고구마 가루는 직접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호박 가루는 세척 후 등분, 씨를 제거하고 찜기에서 100℃ 15분간 증숙한 다음 껍질 제거 후 온도 40℃, 10시간 동안 건조기(L’EQUIP 모델명 LD-918, 한국) 에서 건조하였다. 그런 다음 분쇄기(NFM-8860, ㈜ 엔유씨전자, 한국)로 분말로 제조하였다.
북어 가루는 국내산(강원도) 북어 제품을 구입하여 분쇄기(NFM-8860, ㈜ 엔유씨전자 후드믹서)를 이용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화구에 약불로 5분 정도 살짝 덖어서 분말로 제조하였다.
고구마 가루는 국내산(전남 해남) 고구마 일반음용수로 세척 후 에어프라이어(AF-5500, 한경희 생활과학, 한국)에서 온도 180℃ 시간 40분 구워 껍질 제거 후 40℃, 8시간 동안 건조기(L’EQUIP 모델명 LD-918, 한국)에서 건조하였다. 그런 다음 분쇄기(NFM-8860, ㈜ 엔유씨전자, 한국)로 분말로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은 비타민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연하와 저작이 곤란한 노인 또는 환자들을 위한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연하 ·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제조방법
본 발명의 기본 분말로 사용된 재료는 가루멥쌀(㈜ 대두식품) , 호화 쌀가루(농업법인회사 홍성풀무), 곤충가루, 아몬드 가루(제조사: 윈푸드, 브랜드: 스웰) , 백옥앙금(㈜ 대두식품) 및 소금(CJ 제일제당 오천년의 신비 명품 천일염)으로 하기 표 1에 사용한 양 및 비율을 자세하게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01
가루멥쌀, 호화 쌀가루, 곤충가루, 아몬드 가루, 백옥앙금 및 소금을 상기 표 1에 기재된 비율에 따라 준비하고, 이들을 잘 섞었다. 상기 조성 혼합물에 물과 막걸리를 1:1(물 35mL, 생막걸리 35mL) 비율로 넣고 잘 섞은 다음 100℃에서 40분간 찜기에서 쪘다.
찐 설기떡을 70℃에서 30시간 건조기(L’EQUIP 모델명 LD-918, 한국)에 넣어서 건조시켰으며, 건조 후 분쇄기(엔유씨전자 후드믹스(NFM-8860, 한국))에 넣어서 분말 상태로 만들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일정량의 기본 분말 혼합물에 색과 향미를 주어 식욕을 촉진할 수 있도록 쑥 가루(달성 참쑥분말 구입(쑥 100% 국산)), 호박 가루, 흑임자 가루(㈜ 대두식품), 북어 가루, 고구마 가루를 각각 넣어주었다. 기호에 따라서 물 혹은 우유에 타서 으깨었으며, 3D 프린트 카트리지에 충전한 다음 3D 프린팅 식품을 프린팅하였다.
Figure pat00002
<실시예 2>
본 발명의 연하 ·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섭취 후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연하· 저작 곤란자용 식품의 식품으로써의 맛을 평가하기 위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기본 분말 혼합물을 물, 일반 우유(남양우유), 락토프리 우유(남양우유)로 으깨었을 때, 부가적으로 쑥 가루, 호박 가루, 흑임자 가루, 북어 가루 또는 고구마 가루를 더 추가하였을 때의 관능평가 조건들을 평가하였다.
관능요원은 대학생, 대학원생, 교수 15명을 선정하여 실험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고 본인의 동의를 얻은 다음,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평가항목으로는 색(color), 맛(taste), 향(flavor), 조직감(texture),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preference), 이취(off flavor), 점도에 대한 5점 평점법(1: 대단히 싫어한다 → 5: 대단히 좋아한다)로 평가하였다. 단 점도와 이취의 경우 1점은 전혀 없다, 5점은 매우 높다로 하여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03
관능평가 결과는 표 3과 같으며, 물, 일반 우유, 락토프리 우유 사용 군 모두 대체적으로 부가 재료로 흑임자를 더 추가하였을 때 전반적인 기호도가 더 좋았으며, 북어가루를 더 추가하였을 때는 전반적인 기호도가 좋지 않았다.
또한, 부가 재료로 쑥을 사용하였을 때는 물과 일반 우유를 용매로 사용하였을 때 전반적인 기호도가 썩 좋지는 않았으나, 락토프리 우유에 으깨었을 때는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아졌다.
그 외에 용매를 무엇으로 사용하였는지에 따라 선호되는 순위는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섭취하는 사람의 기호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을 것 같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연하 ·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의 물성평가
3D 프린팅 식품의 조직감은 식품의 크기를 지름 4.5cm, 높이 1.5cm의 동일 크기로 잘라 Rheometer(CR-100, Sun Scientific CO., LTD.,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얻어진 force-distance curve로 부터 경도(hardness), 탄력성(Springness), 응집성(Cohesivess), 점착성(Gumminess), 깨짐성(Brittleness) 및 부착성(Adhesiveness)을 측정하였다. 사용한 기기의 측정 조건은 type texture 21, distance 5 mm, table speed 60 mm/min, plunger diameter 5mm (33.3%) 이었다.
Figure pat00004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 분말 혼합물을 물, 일반 우유, 락토프리 우유로 으깨었을 때, 부가적으로 쑥 가루, 호박 가루, 흑임자 가루, 북어 가루 또는 고구마 가루를 더 추가하였을 때의 물성(경도,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깨짐성, 부착성)을 평가한 결과, 물, 일반 우유, 락토프리 우유로 용매를 달리하였을 때 부가 재료를 달리하였을 때 경도,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깨짐성, 부착성은 달랐으며, 구체적인 결과는 표 4와 같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연하 ·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의 점도평가
본 발명 3D 프린팅 식품의 점도는 Brookfield viscometer(Model DV-I Prime viscometer, Broolfield, USA)를 사용하여 100mL 정도의 시료를 27℃에서 직경 6.3cm, 높이 9.0cm인 원형비이크에 넣어 spindle 7로 0.3 rpm에서 3분간 회전시키면서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5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 분말 혼합물을 물, 일반 우유, 락토프리 우유로 으깨었을 때, 부가적으로 쑥 가루, 호박 가루, 흑임자 가루, 북어 가루 또는 고구마 가루를 더 추가하였을 때의 점도를 평가한 결과, 구체적인 점도 수치는 상기 표 5와 같으며, 대체적으로 물을 용매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일반 우유를 용매로 사용하였을 때 점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일반 우유를 용매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락토프리 우유를 사용하였을 때 점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표 5 참조).
따라서, 상기 결과를 참고하여 섭취하는 사람의 기호도에 따라 용매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연하 ·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을 3D 프린팅 후 모양 사진
본 발명의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은 3D 프린트기에서 프린팅한 식품으로 제조 후 모양 형태가 계속 유지하는 지를 확인하였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기본 분말 혼합물을 물, 일반 우유, 락토프리 우유로 으깨었을 때, 부가적으로 쑥 가루, 호박 가루, 흑임자 가루, 북어 가루 또는 고구마 가루를 더 추가하여 제조하였을 때의 모양을 사진찍은 것으로서, 제조 후 바로 사진을 찍고, 5 ~ 10시간 경과 후 사진을 찍었다.
그 결과, 5 ~ 10시간 경과 후에도 본 발명의 연하· 저작 곤란자용 식품 모양 형태는 그대로였으며, 48시간이 지나도록 모양의 변형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도 1 내지 3참조).
<실시예 6>
본 발명의 연하 ·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의 영양가 분석
본 발명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의 9대 영양소 분석, 무기질 분석 및 중금속 분석을 하였다.
9대 영양소 분석은 식품공전의 식품의 기준 및 공전에 의거하여 당류는 HPLC(Water Breeze system, USA), 나트륨은 ICP(Iris Interpid Ⅱ XSP, USA), 단백질은 조단백질 자동분석장치(Foss Kjeltec TM 2300, Sweden), 조지방은 Soxhlet 추출관 그리고 콜레스테롤, 트랜스 지방, 불포화지방산은 GC-Fid(Schimadzu 2010,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무기질 분석은 식품공전의 식품 기준 및 규경에 맞추어 습식분해법인 마이크로웨이브법으로 시료를 분해한 다음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ICP-OES(iCAP 6300 Duo/Thermo)기기로 분석하였다.
중금속 분석은 무기질 분석과 마찬가지로 식품공전의 식품 기준 및 규경에 맞추어 습식분해법인 마이크로웨이브법으로 시료를 분해 한 다음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ICP-OES(iCAP 6300 Duo/Thermo)기기로 분석하였다.
Figure pat00006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의 9대 영양소를 분석한 결과, 총 열량은 100g 당 356.69kcal로 나타났고, 탄수화물은 79.10g, 당류 8.85g, 조단백질 10.19g, 조지방 0.91g, 포화지방 0.54g, 트랜스지방 0.02g, 콜레스테롤 2.60g, 나트륨 623.76mg으로 나타났다(표 6 참조).
또한, 불포화지방산은 100g 당 1.7031g으로 나타났고, 칼슘은 7.67mg, 인은 12.56mg, 철분은 0.10mg, 칼륨은 158.07mg으로 나타나 무기질 함량도 풍부한 것으로 보인다(표 6 참조).
한편, 납(Pb)과 주석(Sn)은 불검출되었고, 카드뮴(Cd), 비소(As)는 극미량만 첨가되어 중금속 관련하여 식품으로써의 기준치를 충분히 준수하고 있다(표 6 참조).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a) 가루멥쌀, 호화 쌀가루, 곤충가루, 아몬드 가루, 백옥앙금 및 소금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b) (a)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물과 막걸리를 첨가하고 찌는 단계;
    (c) 찐 혼합물을 건조하고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d) 물 또는 우유에 타서 으깨는 단계; 및
    (e) 3D 프린터기에 넣고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가루멥쌀, 호화 쌀가루, 곤충가루, 아몬드 가루, 백옥앙금 및 소금은 상기 완성된 혼합물의 총 중량부에 대해, 가루멥쌀을 270 ~ 330 중량부, 호화 쌀가루를 10 ~ 20 중량부, 곤충가루를 10 ~ 20 중량부, 아몬드 가루를 10 ~ 20 중량부, 백옥앙금을 200 ~ 300 중량부 및 소금을 5 ~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물 및 막걸리는 1:1의 부피비로 혼합할 수 있고, 상기 물 및 막걸리의 첨가량은 완성된 혼합물의 총 중량부에 대해 60 ~ 80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찌는 단계는 90 ~ 110℃에서 30 ~ 50분간 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건조는 60 ~ 80℃의 온도에서 25 ~ 35시간 건조기에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분말화 단계 이후 쑥 가루, 호박 가루, 흑임자 가루, 북어 가루 또는 고구마 가루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8. 제7항에 있어서,
    비타민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노인용 3D 프린팅 식품.
  10. 제9항에 있어서,
    비타민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용 3D 프린팅 식품.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환자용 3D 프린팅 식품.
  12. 제11항에 있어서,
    비타민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3D 프린팅 식품.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3D 프린팅 식품.
  14. 제13항에 있어서,
    비타민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식품.
KR1020200151510A 2020-11-13 2020-11-13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531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510A KR102531791B1 (ko) 2020-11-13 2020-11-13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510A KR102531791B1 (ko) 2020-11-13 2020-11-13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224A true KR20220065224A (ko) 2022-05-20
KR102531791B1 KR102531791B1 (ko) 2023-05-11

Family

ID=8180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510A Active KR102531791B1 (ko) 2020-11-13 2020-11-13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7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19193A (zh) * 2023-02-01 2023-04-28 北京大学现代农业研究院 一种3d打印食品材料及其制作方法及3d打印食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359B2 (ko) 1972-02-16 1977-02-03
KR20020090193A (ko) * 2002-10-30 2002-11-30 도대홍 연하식품 제조
JP2006036928A (ja) 2004-07-27 2006-02-09 Kao Corp 自動食器洗浄機用洗浄剤組成物
JP2016116450A (ja) * 2014-12-18 2016-06-30 株式会社ヤヨイサンフーズ 餅様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98330B1 (ko) * 2016-08-12 2017-01-20 위미석 식용곤충을 포함하는 쌀 찐빵의 제조방법
KR20190083339A (ko) * 2017-03-22 2019-07-11 산동 유니버시티 오브 테크놀로지 복합 전분 3d 프린팅 재료의 제조 공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359B2 (ko) 1972-02-16 1977-02-03
KR20020090193A (ko) * 2002-10-30 2002-11-30 도대홍 연하식품 제조
JP2006036928A (ja) 2004-07-27 2006-02-09 Kao Corp 自動食器洗浄機用洗浄剤組成物
JP2016116450A (ja) * 2014-12-18 2016-06-30 株式会社ヤヨイサンフーズ 餅様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98330B1 (ko) * 2016-08-12 2017-01-20 위미석 식용곤충을 포함하는 쌀 찐빵의 제조방법
KR20190083339A (ko) * 2017-03-22 2019-07-11 산동 유니버시티 오브 테크놀로지 복합 전분 3d 프린팅 재료의 제조 공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19193A (zh) * 2023-02-01 2023-04-28 北京大学现代农业研究院 一种3d打印食品材料及其制作方法及3d打印食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791B1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315B1 (ko) 자색고구마 및 생강을 포함하는 가래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1333B1 (ko) 한끼 식사용 밀웜 쉐이크와 그 제조방법
Fasuan et al. Physicochemical, functional and economic analysis of complementary food from cereal, oilseed and animal polypeptide.
JP4480173B2 (ja) βグルカンを高濃度に含有する麦顆粒
KR20080063456A (ko) 꽃송이버섯을 첨가한 기능성 빵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2290B1 (ko) 마를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
KR102531791B1 (ko) 연하· 저작 곤란자용 3d 프린팅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06639B1 (ko) 현미껍질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8308244A (zh) 一种预糊化淀粉月饼饼皮坯及其制备方法
CN105982034A (zh) 一种蛋白复合粉、代餐粉和它们的制作方法
JPWO2018096891A1 (ja) 粉末状の胡麻加工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96012B1 (ko) 모시잎 분말을 포함하는 고칼슘 어묵 조성물
CN105361137A (zh) 一种健脾养胃糊
KR101320377B1 (ko) 기능성 인절미 및 이의 제조방법
Kehinde et al. Functional, pasting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n-chin produced from wheat-tiger nut pomace blends
KR101559954B1 (ko) 캐슈 분말을 함유하는 떡의 노화 억제용 조성물
JPH04108362A (ja) 粥状食物繊維とその増強食品
JP2510359B2 (ja) トウモロコシ茶の製造法
Mailoa et al. Instant powdered Eucheuma cottoni as beverages rich in diatery fiber
CN105982002A (zh) 一种制作零热量果冻的果冻粉
KR101323615B1 (ko) 청국장 과자 제조방법
JP2001292730A (ja) 粒状多孔質健康食品及びその使用
Mentari et al. Making Powder of Temulawak Rhizome (Cucum Axanthoriza) to Increase the Application
KR102172033B1 (ko) 맑은 팥 칼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Tsegay et al.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od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