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270A -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59270A KR20220059270A KR1020200144652A KR20200144652A KR20220059270A KR 20220059270 A KR20220059270 A KR 20220059270A KR 1020200144652 A KR1020200144652 A KR 1020200144652A KR 20200144652 A KR20200144652 A KR 20200144652A KR 20220059270 A KR20220059270 A KR 202200592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 gear
- fan
- air conditioner
- gear tr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는 환형 형상을 갖는 고정자와, 고정자와 설정 크기의 공극을 사이에 두고, 고정자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회전자에 연결되며, 회전자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설정 감속비로 감속시켜 회전력을 출력시키는 기어 트레인, 및 기어 트레인에서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며 팬을 구동시키는 출력축을 포함한다. 기어 트레인은 회전자와 동축 상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선 기어, 및 선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며, 선 기어의 회전력을 설정 감속비로 감속시켜 출력하는 유성기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터의 외경을 기존 대비 대략 30%까지 축소시키면서도 필요한 출력 토크를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 실외기용 팬 구동장치로서, 모터(예: 내전형, 외전형 모터 등)로 팬을 직접 구동하는 방식이 소개되어 있다. 다만, 각종 에너지 규제 및 고효율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 실외기용 팬 구동장치는 축류팬과 동일 축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에어컨 실외기용 팬 구동장치의 구조적인 특징 때문에 팬의 구동에 의해 공기 유동이 방해될 수 있어 장치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팬 구동장치의 외경을 작게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팬 구동장치의 출력 토크를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팬 구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팬 구동장치는, 고정자(21)와, 고정자(21)의 내측에서 회전하는 회전자(22)를 포함하는 모터(20), 모터(2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팬을 회전시키는 출력 축(10), 케이스(30)를 포함한다.
출력 축(10)0은 회전자(22)의 중심에 연결되며, 회전자(22)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한다. 출력 축(10)에는 팬이 연결되며, 팬의 구동에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케이스(30)는 출력 축(10)의 일부를 제외한 모터(20)의 외부를 감싸며 결합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일반적인 팬 구동장치는 출력 축에 팬이 동심을 이루어 연결되는데, 팬의 구동에 의해 공기 유동이 방해될 경우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팬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팬 구동장치가 막고 있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팬 구동장치의 외경(D1)을 축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팬 구동장치의 외경(D1)을 작게 할 경우, 팬 구동장치의 출력 토크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따른다.
따라서, 모터의 외경을 축소시켜 팬에 의한 공기의 유동저항을 낮추어 동일 풍량 대비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으면서도, 모터의 출력 밀도를 향상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팬 구동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35776호(1999.05.25. 공개일)(이하, 선행문헌 1)는 기어식 모터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1에 개시된 기어식 모터는 로터 축 끝의 선 기어와 맞물리는 유성 기어를 경유하여 서로 치수가 다른 내치를 구비한 원통형상의 고정 기어와 가동 기어를 맞물려서 이루어진다.
특히, 선행문헌 1은 소형모터의 한쪽의 개방 끝을 덮는 베이스의 외면에, 유성기어를 지지하여 회전하는 캐리어를 안내하는 환상의 가이드부와, 가동기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고정기어와, 축심부에 설치한 로터 축의 관통구멍을 둘러싸도록 하여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하는 기어식 모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선행문헌 1의 기어식 모터는 모터에 유성기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모터와 유성기어를 일체화하여 출력 축이 인출되는 구조에 있어서, 직접 출력 축에 팬을 연결하여 지지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결국, 선행문헌 1의 기어식 모터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단순히 모터에 유성기어를 적용하여 토크를 높이는 내용만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하나의 종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1059(2017.09.05. 공개일)(이하, 선행문헌 2)는 기어 조합을 구비한 전동기 및 응용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2에 개시된 기어 조합을 구비한 전동기는 고정부, 회전부, 자석, 코일, 회전부에 구비되어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는 기어, 복수의 기어를 배열하여 구비되는 기어 조합을 구비한다. 기어 조합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어는 회전부의 일단에 구비된 기어와 맞물리고, 기어 조합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어의 중심에 회전축이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회전부의 회전력이 회전부의 일단에 구비된 기어를 통하여 기어 조합으로 전달된다. 기어 조합을 통해 회전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부의 회전속도 및 회전력과 회전축의 회전속도 및 회전력이 다르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행문헌 2는, 기어 조합을 구비하는 전동기로서 전동기의 회전축과 기어조합의 회전축이 일체화되어 소형화에 유리하며 전동기의 회전력을 응용장치에 동심으로 전달하기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
다만, 선행문헌 2에 따르는 기어 조합을 구비하는 전동기는 유성기어를 사용하지 않는 전기 자전기용 전동기라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2는 내전형이 아닌 외전형 모터이며, 기어비가 높고, 기어 강도가 유성기어와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아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2는 윤활 등이 부실하여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팬 구동장치가 팬과 동일 축 상에 위치하는 경우,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터의 외경을 축소시키면서도 필요한 출력 토크를 확보할 수 있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터의 외경을 축소시킬 경우 발생되는 출력 토크 저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유성기어를 이용한 기어 트레인(Gear Train)을 모터에 일체화시킨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외경을 축소시키면서 팬 구동에 따른 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시켜 동일 풍량 대비 소비전력을 낮추고, 모터의 출력밀도를 높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팬 구동장치가 팬과 동일 축 상에 위치하는 경우,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터의 외경을 축소시키면서도 필요한 출력 토크를 확보할 수 있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터의 외경을 축소시킬 경우 발생되는 출력 토크 저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유성기어를 이용한 기어 트레인(Gear Train)을 모터에 일체화시킨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터의 외경을 축소시키면서 팬 구동에 따른 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시켜 동일 풍량 대비 소비전력을 낮추고, 모터의 출력밀도를 높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기어 트레인, 및 출력축을 포함한다.
모터는 환형 형상을 갖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와 설정 크기의 공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자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자를 포함한다.
기어 트레인은 상기 회전자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자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설정 감속비로 감속시켜 회전력을 출력시킬 수 있다.
출력축은 상기 기어 트레인에서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며 팬을 구동시킬 수 있다.
기어 트레인은, 상기 회전자와 동축 상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선 기어와, 상기 선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선 기어의 회전력을 설정 감속비로 감속시켜 출력하는 유성기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케이스는 상기 모터와 상기 기어 트레인을 내측에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기어 트레인은, 상기 케이스 내에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모터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성기어를 이용한 기어 트레인이 모터의 후미, 더 구체적으로는 모터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으로 모터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어 기어 윤활을 위한 그리스, 오일 등에 의한 모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는, 상기 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출력축을 관통시켜 지지하는 케이스 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 몸체에 수용되지 않은 상기 모터의 나머지 일부, 및 상기 기어 트레인을 수용하며, 상기 기어 트레인을 지지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에서 기어 트레인은, 캐리어를 더 포함한다.
캐리어는 상기 커버와 상기 유성기어 사이에는 구비될 수 있다.
캐리어는, 상기 선 기어를 중심에 두고 상기 유성기어가 상기 선 기어의 외측에 둘러 배치되도록 상기 유성기어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에서, 기어 트레인은 상기 모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팬이 구비되는 반대 편에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의 설치가 용이하며, 기어 트레인이 적용된 경우에도 팬이 출력축에 직접 연결되어 팬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에 의하면 팬 구동장치가 팬과 동일 축 상에 위치하는 경우,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터의 외경을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대비 팬 구동장치의 전체 직경을 대략 30% 정도 축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어 소비전력을 낮추어 장치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인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에 의하면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터의 외경을 축소시킬 경우 발생되는 출력 토크 저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성기어를 이용한 기어 트레인(Gear Train)을 모터의 후미에 일체화시켜, 출력 밀도를 향상시키고 팬과 축 간의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인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에 의하면 모터의 외경을 축소시키면서 팬 구동에 따른 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시켜 동일 풍량 대비 소비전력을 낮추고, 모터의 출력밀도를 높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기존의 팬 구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팬 구동장치가 팬과 동일 축 상에 위치하는 경우,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터의 외경을 축소시키면서도 필요한 출력 토크를 확보할 수 있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1)를 제공한다.
특히, 도시된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1)는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터의 외경을 축소시킬 경우 발생되는 출력 토크 저하의 단점을 보완한다. 예를 들어, 유성기어를 이용한 기어 트레인(Gear Train)(200)을 모터(100)에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100)의 외경(D2)은 기존 동일 풍량 팬 구동장치의 외경(D1, 도 1 참조)과 비교하여 대략 30% 정도 작아질 수 있어 팬 구동에 의한 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시켜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그리고 모터(100)의 출력밀도를 높여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1)는 모터(100), 기어 트레인(200), 및 출력축(10)을 포함한다.
모터(100)는 고정자(110)와, 회전자(120)를 포함한다.
고정자(110)는 환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모터(100)의 구조 중에서 외측에 고정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자(120)는 고정자(110)와 설정 크기의 공극(air gap)을 사이에 두고, 고정자(110)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자(110)의 중심상에 위치할 수 있다.
기어 트레인(200)은 회전자(120)에 연결되며 회전자(120)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설정 감속비로 감속시킨 다음, 팬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회전력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출력축(10)은 기어 트레인(400)에서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며 팬을 구동시킬 수 있다.
기어 트레인(200)은 선 기어(210), 유성 기어(220), 캐리어(230)를 포함한다.
선 기어(210)는 회전자(120)와 동축 상에 연결되며, 회전자(120)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유성 기어(220)는 선 기어(210)와 맞물려 회전하는데, 선 기어(210)의 회전력을 설정 감속비로 감속시켜 출력할 수 있다.
캐리어(230)는 선 기어(210)를 중심에 두고 유성기어(220)가 선 기어(210)의 외측에 둘러 싸도록 배치될 수 있게 유성기어(22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유성 기어 수용부재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1)는 케이스(300)를 더 포함한다.
케이스(300)는 모터(100)와 기어 트레인(200)을 내측에 수용한다. 케이스(300)는 모터(100)와 기어 트레인(200)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며, 모터(100)와 기어 트레인(2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여기서, 기어 트레인(200)은 케이스(300) 내에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모터(100)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성기어(220)를 포함하는 기어 트레인(200)이 모터(100)의 후미 방향, 더 구체적으로는 모터(100)보다 중력 방향으로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기어 윤활을 위한 그리스, 오일 등의 유입에 따른 모터(100)의 오염을 방지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케이스(300)는 케이스 몸체(310)와 커버(320)를 포함한다.
케이스 몸체(310)는 모터(100)의 적어도 일부(예: 모터(100)의 상단부위 등)를 수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케이스 몸체(310)는 모터(1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동시에 출력축(10)을 관통시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출력축(10)은 케이스 몸체(310)를 관통하여 소정 길이 더 돌출되는데, 출력축(10)의 돌출된 부위를 통해 팬, 즉 축류팬이 견고하고 결합될 수 있다.
커버(320)는 케이스 몸체(3100에 결합되어 케이스(300)를 전체적으로 밀봉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커버(320)는 케이스 몸체(310)에 수용되지 않은 모터(100)의 나머지 일부(예: 모터(100)의 하단부위 등)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320)는 기어 트레인(200)을 내측에 수용하며, 기어 트레인(200)이 모터(100)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기어 트레인(200)의 위치를 구속시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캐리어(230)는 커버(320)와 유성기어(220) 사이에는 구비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캐리어(230)는 선 기어(210)를 중심에 두고 유성기어(220)가 선 기어(210)의 외측에 둘러 배치되도록 유성기어(220)를 수용하여 각각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1)에서, 기어 트레인(200)은 모터(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팬이 구비되는 반대 편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축(10)을 통해 팬의 설치가 쉬워지며, 유성기어(220)를 포함한 기어 트레인(200)이 적용된 경우에도 팬의 설치 및 지지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팬 구동장치가 팬(예: 축류팬 등)과 모터의 구동 축이 동일 축 상에 위치하는 경우, 구동장치의 전체적인 외경 사이즈를 축소시켜 팬의 구동에 의한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어 소비전력을 낮추어 장치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대비 팬 구동장치의 전체 직경을 대략 30% 정도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터의 외경을 축소시킬 경우 발생되는 출력 토크 저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동축 감속기능을 갖는 유성기어를 적용하여 모터의 출력 토크를 기어 비만큼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성기어를 이용한 기어 트레인(Gear Train)을 모터의 후미에 일체화시켜 출력 밀도를 향상시키면서 팬과 축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
이때, 유성기어를 이용한 기어 트레인은 모터의 후미, 더 구체적으로는 모터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으로 모터의 하측에 위치시킴으로써, 기어 윤활을 위한 그리스, 오일 등에 의한 모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유성기어를 이용한 기어 트레인를 이용함으로써 팬 구동모터의 메인 베어링의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인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에 의하면 모터의 외경을 축소시켜 팬 구동에 의한 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어 동일 풍량 대비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으며, 모터의 출력밀도를 높여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
100: 모터
110: 고정자
120: 회전자
200: 기어 트레인
210: 선 기어
220: 유성기어
230: 캐리어
300: 케이스
310: 케이스 몸체
320: 커버
100: 모터
110: 고정자
120: 회전자
200: 기어 트레인
210: 선 기어
220: 유성기어
230: 캐리어
300: 케이스
310: 케이스 몸체
320: 커버
Claims (6)
- 환형 형상을 갖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와 설정 크기의 공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자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회전자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자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설정 감속비로 감속시켜 회전력을 출력시키는 기어 트레인; 및
상기 기어 트레인에서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며 팬을 구동시키는 출력축;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 트레인은,
상기 회전자와 동축 상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선 기어; 및
상기 선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선 기어의 회전력을 설정 감속비로 감속시켜 출력하는 유성기어;
를 포함하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기어 트레인을 내측에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케이스;
를 더 포함하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트레인은,
상기 케이스 내에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모터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출력축을 관통시켜 지지하는 케이스 몸체; 및
상기 케이스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 몸체에 수용되지 않은 상기 모터의 나머지 일부, 및 상기 기어 트레인을 수용하며, 상기 기어 트레인을 지지하는 커버;
를 더 포함하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트레인은,
상기 커버와 상기 유성기어 사이에는 구비되는 캐리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는,
상기 선 기어를 중심에 두고 상기 유성기어가 상기 선 기어의 외측에 둘러 배치되도록 상기 유성기어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트레인은,
상기 모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팬이 구비되는 반대 편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4652A KR20220059270A (ko) | 2020-11-02 | 2020-11-02 |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4652A KR20220059270A (ko) | 2020-11-02 | 2020-11-02 |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9270A true KR20220059270A (ko) | 2022-05-10 |
Family
ID=81591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4652A Pending KR20220059270A (ko) | 2020-11-02 | 2020-11-02 |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59270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5776A (ko) | 1996-07-01 | 1999-05-25 | 야스카와 히데아키 | 기어식 모터 |
-
2020
- 2020-11-02 KR KR1020200144652A patent/KR20220059270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5776A (ko) | 1996-07-01 | 1999-05-25 | 야스카와 히데아키 | 기어식 모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17671B2 (ja) | 減速装置付電動弁 | |
US7156191B2 (en) | Motor and gearbox combination | |
JP2008537036A (ja) | 負荷トルク遮断装置を備えた伝動装置駆動ユニット | |
CN1385939A (zh) | 用于动力工具的变速电动机 | |
JP6144484B2 (ja) | ドアクローザ | |
JP6596897B2 (ja) | モータ駆動装置 | |
US12319254B2 (en) | Actuator for brake device | |
CN114341521A (zh) | 用于制动装置的致动器 | |
CN212509373U (zh) | 行星齿轮减速箱 | |
KR20180126107A (ko) |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 |
CN209860726U (zh) | 内转子减速轮毂电机 | |
JP4016804B2 (ja) | 車両用電動モータ | |
KR20220059270A (ko) | 에어컨의 팬 구동장치 | |
KR102478084B1 (ko) | 크랭크축 풀리의 토크증대기구 | |
CN1900551B (zh) | 行星齿轮传动装置和采用了该行星齿轮传动装置并用于驱动阀门的电动致动器 | |
CN212572245U (zh) | 一种带减速力矩的电机 | |
KR101559160B1 (ko) | 전기식 엑추에이터의 배치구조 | |
CN217130228U (zh) | 一种三级行星减速单元及三级行星减速驱动器 | |
KR200410955Y1 (ko) | 차동기어를 포함한 윈치시스템 | |
JP2019140875A (ja) | 減速機付きモータ | |
CN106917560A (zh) | 驱动机构及使用该驱动机构的车辆 | |
CN114977606A (zh) | 多电机耦合结构 | |
KR101553288B1 (ko) | 전기식 엑추에이터 | |
US20140302958A1 (en) | Drive device having an electrical drive machine | |
CN223016374U (zh) | 一种塔式起升机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