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051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59051A KR20220059051A KR1020200144190A KR20200144190A KR20220059051A KR 20220059051 A KR20220059051 A KR 20220059051A KR 1020200144190 A KR1020200144190 A KR 1020200144190A KR 20200144190 A KR20200144190 A KR 20200144190A KR 20220059051 A KR20220059051 A KR 202200590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panel
- back cover
- cover
- display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H01L51/5237—
-
- H01L51/5281—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 H01L2251/5338—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 커버,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 커버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롤러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의 일부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백 커버의 측면 일부를 덮으며, 다수의 단위 측면 커버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의 와인딩 시에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측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롤링 시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감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GIP부 크랙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돌돌 말아도 화상 표시가 가능한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모니터나 TV,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는 스스로 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이 있다.
표시 장치는 컴퓨터의 모니터 및 TV 뿐만 아니라 개인 휴대 기기까지 그 적용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넓은 표시 면적을 가지면서도 감소된 부피 및 무게를 갖는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플렉서블(flexible) 소재인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기판에 표시 소자, 배선 등을 형성하여, 돌돌 말아도 화상 표시가 가능하게 제조되는 롤러블 표시 장치가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복된 롤링(rolling)에 의한 GIP(Gate In Panel)부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 커버,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 커버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롤러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 일부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백 커버의 측면 일부를 덮으며, 다수의 단위 측면 커버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의 와인딩 시에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측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측면 커버를 롤러의 저곡률 접촉부에 접촉하는 표시 패널의 측면에 체결하여 표시 패널을 지지함으로써 롤링 시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GIP부 크랙 및 손상을 방지하여 표시 패널의 구동 불량 및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V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 커버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8b은 도 8a의 XIII-X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측면 커버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9의 측면 커버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측면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단위 측면 커버의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V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 커버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8b은 도 8a의 XIII-X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측면 커버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9의 측면 커버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측면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단위 측면 커버의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면적,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 상에', '~ 상부에', '~ 하부에', '~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면적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면적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롤러블 표시 장치는 돌돌 말아도 화상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는 종래의 일반적인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높은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가질 수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의 사용 유무에 따라, 롤러블 표시 장치는 형상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블 표시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롤러블 표시 장치를 돌돌 말아 부피를 감소시켜 보관할 수 있다. 반대로, 롤러블 표시 장치를 사용할 때는, 돌돌 말린 롤러블 표시 장치를 다시 펼쳐 사용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부(DP) 및 하우징부(HP)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DP)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예를 들어,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롤러블 표시 장치이므로, 표시부(DP)는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DP)는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이 가능하도록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표시 패널 및 백 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DP)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하우징부(HP)는 표시부(DP)가 수납될 수 있는 케이스이다. 표시부(DP)는 와인딩 되어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될 수 있고, 표시부(DP)는 언와인딩 되어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HP)에는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HPO)가 배치된다. 표시부(DP)는 하우징부(HP)의 개구부(HPO)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DP)는 풀 언와인딩(full unwinding)된 상태에서 풀 와인딩(full winding)된 상태로, 또는 풀 와인딩된 상태에서 풀 언와인딩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도 1a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풀 언와인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풀 언와인딩된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표시부(DP)가 언와인딩 되어 하우징부(HP)의 외부에 최대한 배치되고, 더 이상 언와인딩 할 수 없는 상태를 풀 언와인딩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도 1b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풀 와인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풀 와인딩된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되고, 더 이상 와인딩 할 수 없는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되지 않는 것이 외관 측면에서 유리하므로, 표시부(DP)가 와인딩 되어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풀 와인딩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된 풀 와인딩된 상태인 경우, 표시 장치(100)의 부피가 작아지고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표시부(DP)를 풀 언와인딩된 상태 또는 풀 와인딩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표시부(DP)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하는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구동부는, 표시부(DP)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롤러부 및 롤러부의 구동에 맞춰 표시부(DP)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반향으로 회전하며, 롤러부에 고정된 표시부(DP)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4는 전면에서 바라보는 표시 장치(100)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 2 및 도 4는 백 커버(110)가 하부로 연장되어 연장 시트를 일체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백 커버(110)와 연장 시트가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커버부(160)와 측면 커버(180) 및 롤러(171)가 부착되기 전의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의 평면도이며, 도 4는 커버부(160)와 측면 커버(180) 및 롤러(171)가 부착된 후의 표시 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DP)는, 백 커버(110), 표시 패널(120),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백 커버(110)는 복수의 지지 영역(PA) 및 복수의 연성 영역(M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영역(PA)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이고, 복수의 연성 영역(MA)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배치된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백 커버(110)의 최상단에서부터 제1 지지 영역(PA1), 제1 연성 영역(MA1), 제2 지지 영역(PA2), 제2 연성 영역(MA2) 및 제3 지지 영역(PA3)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백 커버(110)의 제1 지지 영역(PA1)은 백 커버(110)의 최상단 영역으로, 헤드 바와 체결되는 영역이다. 제1 지지 영역(PA1)에는 헤드 바와의 체결을 위해, 제1 체결 홀(AH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바와 제1 체결 홀(AH1)을 관통하는 스크류가 배치되어, 헤드 바와 백 커버(110)의 제1 지지 영역(PA1)이 체결될 수 있다. 제1 지지 영역(PA1)이 헤드 바와 체결됨에 따라, 헤드 바에 체결된 링크부가 상승 또는 하강 시에, 백 커버(110)도 함께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으며, 백 커버(110)에 부착된 표시 패널(120) 또한 함께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서는 제1 체결 홀(AH1)이 5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체결 홀(AH1)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2 및 도 4에서는 백 커버(110)가 제1 체결 홀(AH1)을 사용하여 헤드 바와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별도의 체결 홀 없이 백 커버(110)가 헤드 바와 체결될 수도 있다.
제1 연성 영역(MA1)은 제1 지지 영역(PA1)으로부터 백 커버(110)의 하측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그리고, 제1 연성 영역(MA1)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배치되고, 표시 패널(120)이 부착되는 영역이다.
표시부(DP)가 하우징부 내부에 수납되도록, 표시부(DP)가 롤러(171)에 와인딩되는 경우, 백 커버(110)의 제1 연성 영역(MA1) 및 제1 연성 영역(MA1)에 부착된 표시 패널(120)이 롤러(171)에 와인딩될 수 있다. 이때, 백 커버(110)의 제1 연성 영역(MA1)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형성되어 높은 플렉서빌리티를 가질 수 있으며, 표시 패널(120)과 함께 롤러(171)에 용이하게 와인딩될 수 있다.
백 커버(110)의 제1 연성 영역(MA1)은 표시 패널(120)과 함께 롤러(171)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되는 영역이다. 제1 연성 영역(MA1)은 표시부(DP)의 다른 구성 중 적어도 표시 패널(120)에는 중첩할 수 있다.
백 커버(110)의 제1 연성 영역(MA1)에는 복수의 개구부(111)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DP)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때, 복수의 개구부(111)는 표시부(DP)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DP)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때, 백 커버(110)의 제1 연성 영역(MA1)은 복수의 개구부(111)가 수축 또는 팽창함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111)가 수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백 커버(110)의 제1 연성 영역(MA1) 위에 배치된 표시 패널(120)의 슬립(slip) 현상이 최소화되면서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응력, 즉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지지 영역(PA2)은 제1 연성 영역(MA1)으로부터 백 커버(110)의 하측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제2 지지 영역(PA2)에는 표시 패널(120)의 일단에 연결된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 영역(PA2)에는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NA) 일부,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덮도록 커버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표시 패널(120) 하측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를 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배면 폴딩 방식의 경우, 인쇄 회로 기판(140)이 표시 패널(120)의 배면에 위치하고, 플렉서블 필름(130)이 표시 패널(120)의 배면으로 폴딩(folding)되어 인쇄 회로 기판(140)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배면 폴딩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쇄 회로 기판(140)이 표시 패널(110)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면 폴딩 방식 또한 적용 가능하다.
이때, 제2 지지 영역(PA2)은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보호하기 위해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롤러(171)에 곡면이 아닌 평면 형상으로 와인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롤러(171)도 제2 지지 영역(PA2)에 대응하여 일부분이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120)의 표시 영역(AA)이 하우징부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백 커버(110)가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2 연성 영역(MA2) 및 제3 지지 영역(PA3)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연성 영역(MA2)은 제2 지지 영역(PA2)으로부터 백 커버(110)의 하측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또한, 제2 연성 영역(MA2)에는 복수의 개구부(111)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성 영역(MA2)은 표시 패널(120)의 표시 영역(AA)이 하우징부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연장된 영역이다. 예를 들어, 백 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풀 언와인딩된 상태일 때, 롤러(151)에 고정된 백 커버(110)의 제3 지지 영역(PA3)으로부터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부착된 제2 지지 영역(PA2)까지는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표시 패널(120)이 부착된 제1 연성 영역(MA1)과 제1 지지 영역(PA1)은 하우징부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백 커버(110)의 제3 지지 영역(PA3)은 백 커버(110)의 최하단 영역으로 롤러(171)와 체결되는 영역이다. 제3 지지 영역(PA3)에는 롤러(171)와의 체결을 위해 제2 체결 홀(AH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171)와 제2 체결 홀(AH2)을 관통하는 스크류가 배치되어, 롤러(171)와 백 커버(110)의 제3 지지 영역(PA3)이 체결될 수 있다. 제3 지지 영역(PA3)이 롤러(171)와 체결됨에 따라, 롤러(171)의 회전에 의해, 백 커버(110)가 롤러(171)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서는 제2 체결 홀(AH2)이 5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체결 홀(AH2)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백 커버(110)의 상면에 표시 패널(12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커버(110)의 상면에서, 제1 연성 영역(MA1)에 표시 패널(120)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20)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널이다.
표시 패널(12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소자,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자, 표시 소자 및 구동 소자로 각종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는 표시 패널(12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소자는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0)이 액정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소자는 액정 표시 소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표시 패널(12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롤러블 표시 장치이므로, 표시 패널(120)은 롤러(171)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기 위해 플렉서블 표시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20)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AA)은 표시 패널(12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AA)에는 복수의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화소 및 복수의 서브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는 표시 영역(AA)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 표시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는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의 서브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에는 구동 소자 및 배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는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표시 영역(N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의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배선 및 회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와 구동 회로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링크 배선 또는 게이트 드라이버 IC,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구동 IC,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등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120) 하부의 비표시 영역(NA)에 패드부가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에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은, 연성을 가진 베이스 필름에 구동 IC 등의 각종 부품이 배치되어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구동 회로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필름으로, 표시 패널(1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DP)는, 커버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60)는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에 배치되어, 인쇄 회로 기판(140)을 수납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4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에 대응되는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의 일부는 커버부(16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부(160)는 인쇄 회로 기판(140)을 덮도록 배치되어, 인쇄 회로 기판(140)을 지지,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버부(160)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커버부(1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커버부(160)와 백 커버(110)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에 고정 홀이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고정 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커버부(160)와 백 커버(110)가 서로 체결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 커버 플레이트 및 백 커버(110)를 관통하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커버부(160)와 백 커버(110)가 서로 체결될 수도 있다. 이때,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는 인쇄 회로 기판(140)을 커버부(160) 내측에 배치시키기 위해, 인쇄 회로 기판(140)과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부(160) 및 백 커버(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AA)을 둘러싸는 영역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AA)에서 연장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한편, 백 커버(110)는 표시 패널(120),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20),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백 커버(110)는 표시 패널(12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백 커버(110)는 외부로부터 표시부(DP)의 다른 구성을 보호할 수 있다. 백 커버(110)는 강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나, 백 커버(110)의 적어도 일부분은 표시 패널(120)과 함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기 위해 소정의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커버(110)는 SUS(Steel Use Stainless) 또는 인바(Invar) 등의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백 커버(110)의 물질은 설계에 따라 열 변형량, 곡률 반경, 강성 등의 물성 조건을 만족한다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20)은 기판(121), 버퍼층(122), 화소부(123), 봉지층(124), 봉지 기판(125), 배리어 필름(126) 및 편광판(127)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1)은, 표시 패널(120)의 다양한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로,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21)은, 표시 패널(120)이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기 위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21)은 폴리이미드(PI) 등과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층(122)은 기판(121)의 외측으로부터 침투한 수분 및/또는 산소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버퍼층(122)은 실리콘 산화물(SiOx) 및 실리콘 질화물(SiNx)의 단층이나 복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판(121) 및 버퍼층(122)의 상면에 화소부(123)가 배치된다. 화소부(123)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 및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부(123)는 표시 영역(AA)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따라 표시 패널(120)은 탑 에미션(top emission)이나 바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탑 에미션 방식은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유기 발광 소자가 형성된 기판(121)의 상부로 발광되는 방식이다. 탑 에미션 방식인 경우,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을 기판(121)의 상부로, 즉, 캐소드 측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애노드 하부에 반사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바텀 에미션 방식은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유기 발광 소자가 형성된 기판(121)의 하부로 발광되는 방식이다. 바텀 에미션 방식인 경우,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을 기판(121)의 하부로 진행시키기 위해, 애노드는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캐소드는 반사율이 높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장치(100)가 바텀 에미션 방식의 표시 장치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소부(123)에는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회로는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전원 배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표시 장치(10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화소부(123) 상부에 화소부(123)를 덮는 봉지층(124)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24)은 화소부(123)의 유기 발광 소자를 밀봉한다. 봉지층(124)은 외부의 습기, 산소, 충격 등으로부터 화소부(123)의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봉지층(124)은 복수의 무기층과 복수의 유기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봉지층(124) 상부에 봉지 기판(125)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 기판(125)은 봉지층(124)과 함께 화소부(123)의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한다. 봉지 기판(125)은 외부의 습기, 산소, 충격 등으로부터 화소부(123)의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봉지층(124)과 봉지 기판(125) 사이에 제1 접착층(AD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층(AD1)은 봉지층(124)과 봉지 기판(125)을 접착시킬 수 있다. 제1 접착층(AD1)은 접착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열 경화형 또는 자연 경화형의 접착제일 수 있다.
한편, 제1 접착층(AD1)은 봉지층(124) 및 화소부(123)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화소부(123)는 버퍼층(122) 및 봉지층(124)에 의해 밀봉될 수 있고, 봉지층(124) 및 화소부(123)는 버퍼층(122)과 제1 접착층(AD1)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제1 접착층(AD1)은 봉지층(124) 및 봉지 기판(125)과 함께 화소부(123)의 유기 발광 소자를 외부의 습기, 산소,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1 접착층(AD1)은 흡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습제는 흡습성을 가지는 파티클일 수 있고, 외부로부터 수분 및 산소 등을 흡수하여, 화소부(123)에 수분 및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배리어 필름(126)이 기판(121)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 필름(126)은 표시 패널(120)을 외부의 충격, 습기, 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배리어 필름(126)은 가볍고 깨지지 않는 특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편광판(127)이 배리어 필름(126)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127)은 표시 장치(100)로 입사되는 외광이 반사되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예로, 편광판(127)은 표면층(127f), 제1 보호층(127e), 편광층(127d), 제2 보호층(127c), 위상 지연층(127b) 및 접착층(127a)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편광판(124)은 표시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봉지 기판(125) 상부에 백 커버(110)가 배치될 수 있다. 백 커버(110)는 표시 패널(120)의 봉지 기판(125)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표시 패널(120)을 보호할 수 있다.
봉지 기판(125)과 백 커버(110) 사이에 제2 접착층(AD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층(AD2)은 봉지 기판(125)과 백 커버(110)를 접착시킬 수 있다. 제2 접착층(AD2)은 접착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열 경화형 또는 자연 경화형의 접착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측면 커버(180)를 롤러(171)의 저곡률 접촉부에 접촉하는 표시부(DP)의 양 측면에 체결하여 표시 패널(120)을 지지함으로써 롤링 시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감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도 5 내지 도 8a, 도 8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V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 커버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8b은 도 8a의 XIII-X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롤러(171)에 체결된 표시부(DP)의 단면 일부를 보여주며, 도 6은 측면 커버(180)가 체결된 표시부(DP)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도 6의 표시부(DP)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측면 커버(180)가 체결된 표시부(DP)의 단면 구조를 예로 보여주고 있다.
도 5 내지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표시부(DP)는, 백 커버(110), 표시 패널(120),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20)과 백 커버(110) 사이에 제2 접착층(AD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층(AD2)은 표시 패널(120)과 백 커버(110)를 접착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120) 상면에 편광판(127)이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127)은 표시 장치(100)로 입사되는 외광이 반사되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실링층(119)이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에서 버퍼층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층(119)은 비표시 영역에서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봉지층과 봉지 기판 및 제2 접착층(AD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실링층(119)은 표시 장치(100)의 측부를 통한 투습을 방지하고, 후속 공정에서의 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실링층(119)은 마이크로 실(micro seal)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배면 폴딩 방식을 예로 도시하고 있으며, 배면 폴딩 방식의 경우, 인쇄 회로 기판(140)이 표시 패널(120)의 배면에 위치하고, 플렉서블 필름(130)이 표시 패널(120)의 배면으로 폴딩(folding)되어 인쇄 회로 기판(140)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은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롤러(171)에 곡면이 아닌 평면 형상으로 와인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롤러(171)도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에 대응하여 일부분이 평평한 평면부(171F)를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에는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 일부,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덮도록 커버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160)는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에 배치되어, 인쇄 회로 기판(140)을 수납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4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에 대응되는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의 일부는 커버부(16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부(160)는 인쇄 회로 기판(140)을 덮도록 배치되어, 인쇄 회로 기판(140)을 지지,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버부(160)는 베이스 플레이트(161) 및 커버 플레이트(16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베이스 플레이트(161)는 백 커버(110)의 상면의 반대면, 즉,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61)는 표시 패널(120)이 배치되지 않은 백 커버(110)의 배면에서 제2 지지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백 커버(110)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 플레이트(161)와 인쇄 회로 기판(140)이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베이스 플레이트(161)는 제2 지지 영역과 함께 인쇄 회로 기판(14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61)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제2 지지 영역을 평평하게 지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플레이트(163)는 표시부(DP)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63)는 표시부(DP) 및 백 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 위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140)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커버 플레이트(163)의 상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63)는 표시 패널(12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배치된 표시부(DP)의 상면에서 백 커버(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61)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63)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인쇄 회로 기판(140)을 보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DP)의 와인딩 시, 강성을 갖는 커버부(160)의 커버 플레이트(163)는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볼록한 형상을 유지하여 복수의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보호할 수 있다. 볼록한 형상의 커버 플레이트(163)는 롤러(171)의 곡면부(171R)와 함께 대략적인 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평한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61)와 볼록한 형상의 커버 플레이트(163)는 대략적인 D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대략적인 D 형상의 커버부(160)는 롤러(171)의 평면부(171F)에 안착되어 롤러(171)의 곡면부(171R)와 함께 대략적인 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버부(160) 및 롤러(171)는 하나의 대략적인 원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커버부(160) 상에 와인딩 되는 표시 패널(120)의 일부분은 보다 큰 곡률 반경으로 와인딩될 수 있어,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측면 커버(180)를 롤러(171)의 저곡률 접촉부에 접촉하는 표시부(DP)의 양 측면에 체결하여 표시 패널(120)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이미드를 기판으로 사용하는 롤러블 표시 장치(100)에서, 롤링 반복 시 14R, 25R의 곡률반경을 가진 롤러(171)의 저곡률 영역에서 표시 패널(120)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GIP부 크랙에 의한 구동 불량이 이슈가 되고 있다.
인쇄 회로 기판(140)의 고정을 위해, 40R의 곡률반경을 가진 롤러(171)의 일부 표면에 14R, 25R의 곡률반경을 형성한 2단 D-컷 롤러 구조를 적용하게 되면, 14R, 25R의 곡률반경을 가진 롤러(171)의 저곡률 영역에서 표시 패널(120)이 과도하게 접힐 수 있으며, 롤링 시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롤링의 반복 동작을 통해 피로가 누적됨에 따라 GIP부 크랙 및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즉, 40R에서 접히는 표시 패널(120) 대비 25R, 15R에서 접히는 표시 패널(120)이 과도하게 접힐 수 있으며, 이때 봉지 기판 및 제2 접착층(AD2)이 없는 GIP부에 크랙 및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측면 커버(180)를 롤러(171)의 저곡률 접촉부에 접촉하는 표시부(DP)의 양 측면에 체결하여 표시 패널(120)을 지지함으로써 롤링 시에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감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GIP부 크랙 및 손상을 방지하여 표시 패널(120)의 구동 불량 및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면 커버(180)는 다수의 단위 측면 커버(180a)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단위 측면 커버(180a)가 4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단위 측면 커버(180a)의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측면 커버(180)는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의 일부, 예를 들면, 베젤 영역까지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위 측면 커버(180a)는 대략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단위 측면 커버(180a)는 내부에 표시부(DP)의 일 측면이 끼워져 수납되는 수납 공간(184)을 구비할 수 있다.
수납 공간(184)은 표시부(DP)의 측면 형태에 따라 계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수납 공간(184)은 표시부(DP)의 측면보다 돌출한 백 커버(110)의 측면이 수납되는 제1 수납 공간(184a) 및 제1 수납 공간(184a)에 수납된 백 커버(110)의 돌출한 측면을 제외하고 표시부(DP)의 측면이 수납되는 제2 수납 공간(184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수납 공간(184a)과 제2 수납 공간(184b)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이에 제2 수납 공간(184b)에서 제1 수납 공간(184a)으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수납 공간(184a)과 제2 수납 공간(184b)의 표면에, 표시부(DP)의 체결 시 접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소정 박막 코팅(미도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단위 측면 커버(180a)는 제1 수납 공간(184a)으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83)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183)는 백 커버(110) 측면의 다수의 홀(H1, H2, H3, H4)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백 커버(110)의 측면에는 다수의 홀(H1, H2, H3, H4)로 이루어진 개구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다수의 홀(H1, H2, H3, H4)의 형태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수의 홀(H1, H2, H3, H4)은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제3 홀(H1, H3)과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제4 홀(H2, H4)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외측은 상대적으로 백 커버(110)의 엣지 측을 의미하고, 내측은 상대적으로 백 커버(110)의 중심 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제1 홀(H1)은 외측이 타원형 등의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이 직선으로 이루어지며, 제2 홀(H2)은 외측이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이 타원형 등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하 방향의 제1 홀(H1) 사이 및 제2 홀(H2) 사이에는 제1 홀(H1) 및 제2 홀(H2)보다 폭이 줄어든 제3 홀(H3) 및 제4 홀(H4)이 각각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3 홀(H3)은 외측이 타원형 등의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이 직선으로 이루어지며, 제4 홀(H4)은 외측 및 내측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돌출부(183)는 백 커버(110) 측면의 다수의 홀(H1, H2, H3, H4)에 끼워질 수 있다.
단위 측면 커버(180a)는 상, 하단에 이웃하는 단위 측면 커버(180a)와의 체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측면 커버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9의 측면 커버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측면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단위 측면 커버의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롤링 전, 즉, 롤러에 표시부가 와인딩 되기 전의 측면 커버(180)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롤링 시의 측면 커버(180)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2는 단위 측면 커버(180a)를 백 커버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단위 측면 커버(180a)의 상면 및 하면은 실제로 정면 및 후면을 의미한다. 여기서, 정면 및 후면은 표시 패널의 화면을 바라보는 방향에서의 정면 및 후면을 의미한다.
도 9 내지 도 11a,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커버(180)는 다수의 단위 측면 커버(180a)로 구성될 수 있다.
단위 측면 커버(180a)는 상, 하단에 이웃하는 단위 측면 커버(180a)와의 체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H)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체결 홀(H)은 단위 측면 커버(180a)간 연결을 위한 타공부이며, 조립 및 관리의 편의성 향상 등을 위해 와이어(185) 등을 이용하여 단위 측면 커버(180a)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면 커버(180)는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의 일부, 예를 들면, 베젤 영역까지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측면 커버(180)는 롤링 시에는 롤링 정도에 따라 구부러져, 롤러의 저곡률 접촉부에 접촉하는 표시 패널의 양 측면, 즉, GIP부를 전면 지지함으로써 기존 롤링 시 접힘 구조 형성을 방지하고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GIP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77인치 표시 장치의 경우, 베젤 영역이 약 10mm일 때, 측면 커버(180)는 베젤 영역의 약 5mm까지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측면 커버(180)는 표시부의 측면에 체결되는 구조로, 단위 측면 커버(180a) 각각은 'ㄷ'자 형태로 표시부의 정면 및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단위 측면 커버(180a)는 후면의 수납 공간(184)으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83)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측면 커버(180a)는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가진 몸체(181)와 표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82) 및 백 커버와 체결되는 돌출부(183)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81)와 지지부(182)는 표시 패널의 베젤 영역 일부까지 커버하여 GIP부 접힘 구조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183)는 백 커버 측면의 다수의 홀과의 체결을 위해 돌출되어 있으며, 다수의 홀과의 끼워 맞춤을 통해 단위 측면 커버(180a)의 고정을 강화할 수 있다.
지지부(182)는 수납 공간(184)을 제외한 몸체(181)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돌출부(183)는 지지부(182)로부터 수납 공간(184) 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돌출부(183)는 백 커버 측면의 다수의 홀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183)는 백 커버 측면의 다수의 홀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롤링 반복 동작에서 단위 측면 커버(180a)의 탈착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위 측면 커버(180a)는, 도 13a의 측면도를 기준으로 높이는 3mm 내외이고, 폭은 5mm 내외의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위 측면 커버(180a)는, 도 13b의 배면도를 기준으로 길이는 20mm ~ 25mm의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 커버,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 커버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롤러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 일부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백 커버의 측면 일부를 덮으며, 다수의 단위 측면 커버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의 와인딩 시에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측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일단이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의 패드부에 접속되며, 타단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플렉서블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상기 백 커버의 지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수납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롤러는, 상기 백 커버의 지지 영역에 대응하여 일부분이 평평한 평면부 및 적어도 하나의 곡률반경을 가진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백 커버의 배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백 커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이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위 측면 커버는, 직육면체 형태로,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가진 몸체 및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 커버의 측면이 끼워져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위 측면 커버는, 상기 몸체 내부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백 커버와 체결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납 공간을 제외한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보다 돌출한 상기 백 커버의 측면이 수납되는 제1 수납 공간 및 상기 제1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기 백 커버의 돌출한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이 수납되는 제2 수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수납 공간과 상기 제2 수납 공간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2 수납 공간에서 상기 제1 수납 공간으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위 측면 커버는 상기 제1 수납 공간으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백 커버의 측면에는 다수의 홀로 이루어진 개구 패턴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백 커버 측면의 다수의 홀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위 측면 커버는 상, 하단에 이웃하는 상기 단위 측면 커버와의 체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 홀은 와이어를 통해 상기 단위 측면 커버들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다른 일면에 배치되는 편광판,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 커버 사이에서 상기 접착층의 측면에 배치되는 실링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수납 공간 내에 상기 편광판,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실링층 및 상기 백 커버의 측면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편광판의 상면 일부는 상기 몸체에 접하고, 상기 편광판,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실링층의 측면 및 상기 백 커버의 상면 일부는 상기 지지부에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일단이 상기 표시 패널의 패드부에 접속되고,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타단이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으로 폴딩(folding)되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상기 수납 공간의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 커버의 체결 시 접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는 박막 코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장치
110: 백 커버
111: 개구부
119: 실링층
120: 표시 패널
121: 기판
122: 버퍼층
123: 화소부
124: 봉지층
125: 봉지 기판
126: 배리어 필름
127: 편광판
130: 플렉서블 필름
140: 인쇄 회로 기판
160: 커버부
161: 베이스 플레이트
163: 커버 플레이트
171: 롤러
180: 측면 커버
180a: 단위 측면 커버
181: 몸체
182: 지지부
183: 돌출부
184: 수납 공간
184a: 제1 수납 공간
184b: 제2 수납 공간
185: 와이어
DP: 표시부
AA: 표시 영역
H: 체결 홀
H1, H2, H3, H4: 홀
NA: 비표시 영역
110: 백 커버
111: 개구부
119: 실링층
120: 표시 패널
121: 기판
122: 버퍼층
123: 화소부
124: 봉지층
125: 봉지 기판
126: 배리어 필름
127: 편광판
130: 플렉서블 필름
140: 인쇄 회로 기판
160: 커버부
161: 베이스 플레이트
163: 커버 플레이트
171: 롤러
180: 측면 커버
180a: 단위 측면 커버
181: 몸체
182: 지지부
183: 돌출부
184: 수납 공간
184a: 제1 수납 공간
184b: 제2 수납 공간
185: 와이어
DP: 표시부
AA: 표시 영역
H: 체결 홀
H1, H2, H3, H4: 홀
NA: 비표시 영역
Claims (20)
-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 커버;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 커버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롤러;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 일부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백 커버의 측면 일부를 덮으며, 다수의 단위 측면 커버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의 와인딩 시에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을 지지하는 측면 커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일단이 상기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의 패드부에 접속되며, 타단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플렉서블 필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지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수납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백 커버의 지지 영역에 대응하여 일부분이 평평한 평면부; 및
적어도 하나의 곡률반경을 가진 곡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백 커버의 배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백 커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이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측면 커버는,
직육면체 형태로,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가진 몸체; 및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 커버의 측면이 끼워져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측면 커버는, 상기 몸체 내부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백 커버와 체결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납 공간을 제외한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하는, 표시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보다 돌출한 상기 백 커버의 측면이 수납되는 제1 수납 공간; 및
상기 제1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기 백 커버의 돌출한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이 수납되는 제2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 공간과 상기 제2 수납 공간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2 수납 공간에서 상기 제1 수납 공간으로 단턱이 형성되는, 표시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측면 커버는 상기 제1 수납 공간으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측면에는 다수의 홀로 이루어진 개구 패턴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백 커버 측면의 다수의 홀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는,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측면 커버는 상, 하단에 이웃하는 상기 단위 측면 커버와의 체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 홀은 와이어를 통해 상기 단위 측면 커버들이 연결되는, 표시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다른 일면에 배치되는 편광판;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 커버 사이에서 상기 접착층의 측면에 배치되는 실링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납 공간 내에 상기 편광판,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실링층 및 상기 백 커버의 측면 일부가 삽입되는, 표시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상면 일부는 상기 몸체에 접하고,
상기 편광판,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실링층의 측면 및 상기 백 커버의 상면 일부는 상기 지지부에 접하는, 표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일단이 상기 표시 패널의 패드부에 접속되고,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타단이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으로 폴딩(folding)되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표시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의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 커버의 체결 시 접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는 박막 코팅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4190A KR20220059051A (ko) | 2020-11-02 | 2020-11-02 | 표시 장치 |
US17/505,206 US11800659B2 (en) | 2020-11-02 | 2021-10-19 | Display device |
CN202111242131.7A CN114446159B (zh) | 2020-11-02 | 2021-10-25 | 显示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4190A KR20220059051A (ko) | 2020-11-02 | 2020-11-02 | 표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9051A true KR20220059051A (ko) | 2022-05-10 |
Family
ID=8136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4190A Pending KR20220059051A (ko) | 2020-11-02 | 2020-11-02 |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800659B2 (ko) |
KR (1) | KR20220059051A (ko) |
CN (1) | CN114446159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17605A1 (ko) * | 2022-11-29 | 2024-06-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WO2024117604A1 (ko) * | 2022-11-29 | 2024-06-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85775B2 (en) * | 2020-09-03 | 2024-05-14 | Boe Technology Group Co., Ltd. | Flexible display device |
KR20220032742A (ko) * | 2020-09-08 | 2022-03-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JP7616887B2 (ja) * | 2021-01-12 | 2025-01-17 | JDI Design and Development 合同会社 | 表示装置 |
KR20230043303A (ko) * | 2021-09-23 | 2023-03-3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854561A1 (de) | 1998-11-26 | 2000-05-31 | Coronet Werke Gmbh | Roller zum Aufbringen eines Mediums, insbesondere Farbroller |
JP3816457B2 (ja) * | 2003-03-18 | 2006-08-30 | 株式会社東芝 | 表示装置 |
TWM268986U (en) * | 2004-12-10 | 2005-07-01 | Fih Co Ltd | Stylus elastic removal mechanism |
JP5108293B2 (ja) * | 2006-12-20 | 2012-12-26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携帯機器及び撮像装置 |
CN101689066B (zh) * | 2007-04-25 | 2012-12-12 | 创造者科技有限公司 | 包括具有边缘保护器的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 |
US8654519B2 (en) * | 2007-11-21 | 2014-02-18 | Creator Technology B.V. | Electronic device with a flexible display |
WO2010041227A1 (en) * | 2008-10-12 | 2010-04-15 | Barit, Efrat | Flexi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
KR102189784B1 (ko) * | 2013-08-30 | 2020-12-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휘어지는 전자 장치 |
US9772657B2 (en) * | 2015-04-30 | 2017-09-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ollable display device |
EP3796074B1 (en) * | 2015-11-27 | 2023-05-03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
KR102454386B1 (ko) * | 2016-04-29 | 2022-10-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
KR102019509B1 (ko) * | 2016-09-05 | 2019-09-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102708773B1 (ko) * | 2016-12-26 | 2024-09-2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장치 |
KR102369318B1 (ko) * | 2017-08-30 | 2022-03-0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
US10229963B1 (en) * | 2017-11-01 | 2019-03-12 | Google Llc | Display device including support structure for bending |
KR102439590B1 (ko) * | 2017-11-30 | 2022-09-0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446200B1 (ko) * | 2017-12-22 | 2022-09-2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90124410A (ko) | 2018-04-26 | 2019-11-05 | 장태돈 | 배관 단열재용 조립형 보호커버 |
KR102573255B1 (ko) * | 2018-11-15 | 2023-08-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20084698A (ko) * | 2020-12-14 | 2022-06-2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
2020
- 2020-11-02 KR KR1020200144190A patent/KR20220059051A/ko active Pending
-
2021
- 2021-10-19 US US17/505,206 patent/US11800659B2/en active Active
- 2021-10-25 CN CN202111242131.7A patent/CN114446159B/zh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17605A1 (ko) * | 2022-11-29 | 2024-06-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WO2024117604A1 (ko) * | 2022-11-29 | 2024-06-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800659B2 (en) | 2023-10-24 |
CN114446159A (zh) | 2022-05-06 |
US20220141978A1 (en) | 2022-05-05 |
CN114446159B (zh) | 2024-03-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059051A (ko) | 표시 장치 | |
KR102752777B1 (ko) | 표시 장치 | |
KR102736200B1 (ko) | 표시 장치 | |
KR102519817B1 (ko) | 표시 장치 | |
KR102753994B1 (ko) | 표시 장치 | |
KR102717547B1 (ko) | 표시 장치 | |
KR102756017B1 (ko) | 표시 장치 | |
KR20200063774A (ko) | 표시 장치 | |
KR20210029428A (ko) | 표시 장치 | |
KR20200036580A (ko) | 표시 장치 | |
US11521520B2 (en) | Display device | |
CN112396954A (zh) | 显示装置 | |
KR102774200B1 (ko) | 표시 장치 | |
JP2021021946A (ja) | 表示装置 | |
KR102752782B1 (ko) | 표시 장치 | |
KR20220012682A (ko) | 표시 장치 | |
CN112785918A (zh) | 显示装置 | |
KR102833405B1 (ko) | 표시 장치 | |
KR20220032742A (ko) | 표시 장치 | |
KR20210020726A (ko) | 표시 장치 | |
KR102824666B1 (ko) | 표시 장치 | |
KR20220095492A (ko) | 표시 장치 | |
KR20230103259A (ko) | 표시 장치 | |
KR102840857B1 (ko) | 표시 장치 | |
US20250247975A1 (en) |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10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11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