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54373A - 정보 입력 방법, 단말기 및 비임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입력 방법, 단말기 및 비임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373A
KR20220054373A KR1020227010364A KR20227010364A KR20220054373A KR 20220054373 A KR20220054373 A KR 20220054373A KR 1020227010364 A KR1020227010364 A KR 1020227010364A KR 20227010364 A KR20227010364 A KR 20227010364A KR 20220054373 A KR20220054373 A KR 20220054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nformation
command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예 첸
카이후이 리우
잉이 우
잉 판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54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373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5Methods of retrieving data using interactive graphical means or pictorial represen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보 입력 방법, 장치, 단말기 및 기억매체를 제공하고 이것들은 컴퓨터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정보 입력 방법은 제일 지령을 수신할 때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이며, 제일 지령은 단말기가 제일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가 되도록 지시하는 지령이며,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은 현재 유자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팅 페이지이고,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은 현재 유자 인터페이스의 면적보다 작은 스텝과, 저부 모양 화면에 제일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과, 제일 입력 제어부가 촉발될 때 입력신호에 따라 제일 정보를 입력하는 스텝이며, 입력신호는 단말기의 센서를 통하여 단말기에 입력된 신호인 스텝을 포함한다. 단말기는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에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하고, 저부 모양 화면을 통하여 단말기에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본 발명은 정보를 입력하는 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는 중요한 정보를 단말에 신속히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입력 방법, 장치, 단말기 및 기억매체
본 출원은 2019년 8월 30일에 중국전리국(특허청에 상당함)에 출원하고, 출원번호가 201910815339.X이며, 발명의 명칭이 “정보 입력 방법, 장치, 단말기 및 기억매체”인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중국 특허출원의 전문 내용을 본 출원에 인용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의 기술분야에 속하며, 특히는 정보 입력 방법, 장치, 단말기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가 정보를 기록하는 능력이 점점 증가되어 있다. 사용자는 일상생활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소정된 대상에 대응하고 기록 가치가 있는 정보를 기록한다.
예를 들면 단말기에 새로운 연락처(person to contact) 정보를 입력할 때 단말기에는 풀스크린 모양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회사 명칭, 직위, 주석 또는 그룹 등을 설정하기 위한 인풋 박스(Input Box)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입력 방법, 장치, 단말기 및 기억 매체를 제공하며, 이들의 기술적 특징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예시에 있어서, 정보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은
제일 지령을 수신할 때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이며, 상기 제일 지령은 단말기가 제일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로 되도록 지시하는 지령이며,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팅 페이지이며,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은 상기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의 면적보다 작은 스텝과,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제일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제일 입력 제어부가 촉발될 때, 입력신호에 따라 제일 정보를 입력하는 스텝이며, 상기 입력신호는 상기 단말기의 센서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입력하는 신호인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에서 정보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정보 입력 장치는,
제일 지령을 수신할 때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모듈이며, 상기 제일 지령은 단말기가 제일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로 되도록 지시하는 지령이며,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팅 페이지이며,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은 상기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의 면적보다 작은 화면 표시 모듈과,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제일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제어부 표시 모듈과,
상기 제일 입력 제어부가 촉발될 때 입력신호에 따라 단말기에 제일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모듈이며, 상기 입력신호는 상기 단말기의 센서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입력된 신호인 정보 입력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에서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는 처리장치와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억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령이 기억되어 있고, 상기 지령을 상기 처리장치에 송신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령이 기억되어 있고, 상기 지령을 상기 처리장치에 송신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항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도면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주의받고 싶은 것은, 하기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이 기술 분야의 기술자가 창조적인 연구를 하지 않아도 하기 도면에 의하여 다른 도면을 상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도면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부 모양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풀스크린 모양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축소 모양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실시예에서 축소 모양 화면이 꺼진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실시예에서 고정구역 변환 방법을 통하여 저부 모양 화면을 변환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실시예에서 자유 구역 변환 방법을 통하여 저부 모양 화면을 변환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5의 실시예에서 일정을 새로 작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의 실시예에서 메모를 새로 작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의 실시예에서 타임트라이얼을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5의 실시예에서 타깃 패스를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사항 및 발명의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항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설명할 때,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도면 중의 같은 부호는 같거나 비슷한 요소를 가리킨다. 이하,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를 설명하겠지만, 하기 적절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밖에 지나지 않는 것이고,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하기 호적한 실시예뿐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일”, “제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목적은 복수의 사항을 구별하는 것에 있으며, 각 사항의 중요성을 명시하거나 암시할 의도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접속”, “연결”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광의적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연결된다는 것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일체로 연결되거나, 기계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 접속되거나, 간접 부품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사항을 통하여 각 용어의 의미를 적합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복수”라는 용어는 2개 또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와(과)/또는”이라는 용어는 세가지 관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A 과/또는 B”라는 용어는 A만이 존재하거나 A과 B가 동시에 존재하거나 B만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라는 부호는 이 부호 앞뒤에 존재하는 여러 사항들이 “A 또는 B”, “A 또는 B”의 관계로 배열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기 기술적 사항, 즉 정보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은,
제일 지령을 수신할 때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이며, 상기 제일 지령은 단말기가 제일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로 되도록 지시하는 지령이며,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위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팅 페이지 (Floating page)이며,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Floating page)의 면적보다 작은 스텝과,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제일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제일 입력 제어부가 촉발될 때, 입력신호에 따라 제일 정보를 입력하는 스텝이며, 상기 입력신호는 상기 단말기의 센서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입력된 신호인 스텝을 포함한다.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한 후,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은,
제이 지령을 수신할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풀스크린 (full screen)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이며,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의 면적은 상기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의 면적과 같고, 상기 제이 지령은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이 소정된 조작 지령을 수신할 때 이것을 촉발시키는 지령인 스텝, 또는,
제삼 지령을 수신할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축소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이며, 상기 축소 모양 화면의 면적은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보다 작은 스텝을 더 실시한다.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은,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에 m개의 제이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이며, 상기 제이 입력 제어부는 상기 제일 입력 제어부와 다른 제어부이고, m는 정정수인 스텝과,
상기 제이 입력 제어부는 입력된 제이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제이 정보를 상기 단말에 기억하는 스텝을 더 실시한다.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은,
상기 하향 슬라이드 지령을 수신하는 스텝이며, 상기 하향 슬라이드 지령은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의 상부 프레임에 대하여 드래그 다운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지령인 스텝과,
상기 하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일 역치보다 작지 않고 제이 역치보다 작을 때,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을 상기 저부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과,
상기 하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이 역치보다 작지 않을 때,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을 상기 축소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을 더 실시한다.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축소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은,
상기 축소 모양 화면에 기억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기억 제어부가 촉발될 때 상기 제일 정보를 기억하는 스텝을 더 실시한다.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축소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은,
상기 상향 슬라이드 지령을 수신하는 스텝이며, 상기 상향 슬라이드 지령은 상기 축소 모양 화면의 상부 프레임에 대하여 드래그 업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지령인 스텝과,
상기 상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삼 역치보다 작지 않고 제사 역치보다 작을 때, 상기 축소 모양 화면을 상기 저부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과,
상기 상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사 역치보다 작지 않을 때, 상기 축소 모양 화면을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을 더 실시한다.
상기 제이 지령을 수신할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은,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풀스크린 모양 버튼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풀스크린 모양 버튼이 촉발될 (즉 이것이 클릭될)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을 포함한다.
제일 지령을 수신할 때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은,
상기 제일 정보를 입력하는 지령을 수신할 때, 상기 제일 정보에서 편집 횟수가 제일 많은 앞의 n개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스텝이며, n는 정정수인 스텝과,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n개의 파라미터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n개의 파라미터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은, n이 항목수의 역치보다 크지 않을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n개의 파라미터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입력 제어부에 하나씩 대응한다.
상기 제일 지령은 목표 대상의 스토리지 패스 (Storage Path)를 선택하는 지령이며, 상기 목표 대상은 상기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되어 있는 대상이다.
상기 제일 정보는 연락처 정보, 일정 정보, 메모 정보, 타임트라이얼 정보, 패스 정보 또는 메일 정보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일 지령을 수신할 때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제일 지령은 단말기가 제일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로 되도록 지시하는 지령이며, 저부 모양 화면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팅 페이지이며,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은 상기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의 면적보다 작다. 저부 모양 화면에 제일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고, 제일 입력 제어부가 촉발될 때 입력신호에 따라 제일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신호는 단말기의 센서를 통하여 단말기에 입력된 신호이다. 단말기는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에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하고, 저부 모양 화면을 통하여 단말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은 정보를 입력하는 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는 중요한 정보를 단말기에 신속히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항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복수의 명사를 설명한다.
저부 모양 화면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위의 플로팅 페이지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이며,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은 상기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의 면적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은 단말기가 제일 지령을 수신할 때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의 저부를 덮지만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의 상반 (top half)을 덮지 않는다.
저부 모양 화면에 동영상 효과를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효과는 아래에서 위로 팝업 (pop-up)하거나 페이드 (Fade)하는 동영상 효과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부 모양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저부 모양 화면 110과 저부 모양 화면 120을 포함한다. 저부 모양 화면 110은 입력용 키보드가 포함된 저부 모양 화면의 표시 상태이고, 저부 모양 화면 120은 입력용 키보드가 포함되지 않은 저부 모양 화면의 표시 상태이다. 도 1에서 저부 모양 화면 110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100 위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팅 페이지이며, 저부 모양 화면 110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100 의 하반의 내용을 덮는다. 주의 받고 싶은 것은, 저부 모양 화면 120도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100의 일부분의 내용을 덮는다. 도 1에서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100가 연락처의 인터페이스, 즉 어드레스 북 (address book)의 인터페이스일 때 저부 모양 화면 110과 저부 모양 화면 120은 모두 신규 연락처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일 정보는 저부 모양 화면을 통하여 단말기에 입력된 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일 정보는 연락처 정보, 일정 정보, 메모 정보, 타임트라이얼 정보, 패스 정보 또는 메일 정보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일 정보가 연락처 정보일 때 저부 모양 화면은 연락처의 신규 작성 또는 편집에 사용될 수 있다.
제일 정보가 일정 정보일 때 저부 모양 화면은 행정의 신규 작성, 편집 또는 일정의 신규 작성에 사용될 수 있다.
제일 정보가 메모 정보일 때 저부 모양 화면은 메모 정보의 신규 작성 또는 편집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은 단말기에 사용되고, 상기 단말기는 표시패널을 구비하는 한편 정보 입력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일 수 있다. 단말기는 휴대전화, 태블릿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MP4 플레이어, MP5 플레이어, 머신 러닝 (machine learning), 리딩 머신 (reading machine), 이북 (e-book), 전자사전 (Electronic dictionary) 또는 차내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 (block diagram)이다.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는 처리장치 220, 기억장치 240 및 표시패널 260을 포함한다. 상기 기억장치 2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령이 기억되고, 상기 지령을 상기 처리장치 240에 송신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 260은 처리장치에 처리에 의해 형성된 화상데이터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200는 정보 입력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전자장치이다. 단말기 200가 제일 지령을 수신할 때, 단말기 200는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일 지령은 단말기가 제일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로 되도록 지시하는 지령이며, 저부 모양 화면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팅 페이지이며,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의 면적보다 작다. 단말기 200는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제일 입력 제어부를 표시할 수 있다. 제일 입력 제어부가 촉발될 때 단말기 200는 입력신호에 따라 제일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신호는 단말기를 통하여 단말에 입력된 신호이다.
처리장치 220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s)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장치 220는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통하여 단말기 200 내의 각 부분에 접속되며, 처리장치 220는 기억장치 240 내의 지령, 프로그램, 코드 집합 (code set) 또는 지령 집합을 실행하거나 실시하는 것과, 기억장치 240 내의 데이터를 인용하는 것에 의해, 단말기 200의 각 기능을 실시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처리장치 220는 디지털 신호 처리 (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프로그램 가능 논리열 (Programmable Logic Array, PLA)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사용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처리장치 220는 중앙 연산 처리장치 (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장치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및 모뎀 (modem) 중의 임의의 한가지이거나 복수의 조합일 수 있다. CPU는 주로 오퍼레이팅 시스템 (operating system), 유저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application program)을 제어하고, GPU는 표시패널에 표시된 내용의 리조트 (Render)와 표시를 제어하며, 모뎀은 무선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모뎀은 상기 처리장치 220에 집적되지 않고 한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장치 24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하거나 리드 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억장치 240는 비임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를 포함한다. 기억장치 240는 지령, 프로그램, 코드, 코드 집합 또는 지령 집합을 기억하는 것에 사용된다. 기억장치 240는 프로그램 기억 구역과 데이터 기억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기억 구역은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실행에 사용되는 지령, 적어도 하나의 기능 실현에 사용되는 지령(예를 들면 터치 제어 기능, 음성 재생 기능, 화상 재생 기능 등), 각 실시예의 방법의 실시에 사용되는 지령 등을 기억한다. 데이터 기억 구역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표시패널 260은 처리장치 220가 기억 장치 240으로부터 획득하고 리조트가 실시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처리장치 220는 조트가 실시된 화상 프레임(image frame)을 버퍼링 큐(buffering queue)에 배열시키고, 표시패널 260은 버퍼링 큐 중의 화상 프레임의 순서에 따라 화상 프레임을 순서 대로 표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은 도 2의 단말기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은 제일 지령을 수신할 때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 310을 포함한다. 이 스텝에 있어서, 상기 제일 지령은 단말기가 제일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로 되도록 지시하는 지령이며,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팅 페이지이며,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은 상기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의 면적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는 것에 의해 소정된 조작을 하거나, 단말기는 홈페이지(시스템 페이지라고도 함), 설치 페이지, 노티피케이션 바(notification bar) 페이지 또는 네거티브 스크린(Negative screen) 등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소정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현재 단말에 표시되어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라고 총칭한다.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가 단말에 표시되어 있을 때, 단말기는 제일 지령을 수신했는가를 검출한다. 상기 제일 지령은 단말기가 제일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로 되도록 지시하는 지령이다. 주의 받고 싶은 것은, 제일 정보는 저부 모양 화면을 통하여 단말기에 정보를 입력하도록 지시하는 지령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일 지령은 사용자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중의 소정된 터치 제어부를 클릭하는 것에 의해 촉발되는 지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가 도 1에 표시되어 있는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100일 때, 소정된 터치 제어부는 입구 제어부 101일 수 있다. 이럴 경우, 사용자가 “+”형 터치 제어부 101를 클릭하는 것에 의해 제일 지령을 촉발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일 지령은 사용자가 음성 어시스턴트(Voice assistant)를 통하여 입력한 음성에 의해 촉발된 지령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의 음성 어시스턴트가 액티브 상태(Active state)가 되어 있을 때, 이 음성 어시스턴트에 「신규 연락처를 작성한다」고 하는 음성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제일 지령을 촉발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일 지령은 정보 담체(Information Carrier)가 선택된 것에 의해 촉발된 지령일 수도 있다. 주의 받고 싶은 것은, 정보 담체는 이미지, 문자 패러그래프, 메모 또는 음성 세그먼트(segment) 중의 적어도 한가지의 멀티미디어 파일(Multimedia files)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보담체는 이름, 전화번호 또는 일정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이미지는 이름과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를 오래동안 누르는 것을 검출하면 이 조작에 대응하는 제일 지령을 촉발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제일 지령을 수신할 때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한다.
스텝 320에 있어서, 저부 모양 화면에 제일 입력 제어부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저부 모양 화면에 제일 입력 제어부를 표시할 수 있다.
주의 받고 싶은 것은, 제일 입력 제어부는 저부 모양 화면에 제일 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사용된다. 제일 정보의 수량은 하나이거나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표시된 저부 모양 화면 120에 있어서, 제일 정보의 수량은 2개이며, 2개의 제일 정보는 이름과 번호에 각각 대응한다. 이럴 경우, 단말기는 저부 모양 화면 120에 2개의 제일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고, 이 2개의 제일 입력 제어부에 의해 이름과 번호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스텝 330에 있어서, 제일 입력 제어부가 촉발될 때 입력신호에 따라 제일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신호는 단말기의 센서를 통하여 단말기에 입력된 신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제일 입력 제어부가 촉발될 때, 입력신호에 따라 제일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입력신호는 단말기의 센서를 통하여 단말기에 입력된 신호이다. 입력신호는 터치 신호, 음성 신호 또는 화상 신호 중의 적어도 한가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일 정보는 가상 키보드(virtual keyboard)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입력신호는 가상 키보드 위의 가상 키가 클릭될 때 형성된 신호이다.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 위의 가상 키를 클릭할 때 형성된 신호에 따라 단말기는 제일 입력 제어부에 이미 입력한 제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일 정보는 음성 버튼을 토하여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럴 경우, 입력신호는 사용자가 말을 하는 것에 의해 입력한 음성정보이다. 단말기는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이 음성정보를 인식하고, 인식에 의해 형성된 문자 데이터를 제일 입력 제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일 정보는 이미지의 특징에 따라 입력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입력신호는 소정의 이미지에 대하여 이미지 인식을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문자 데이터이다. 단말기는 이미지를 수신함과 동시에 이 이미지를 인식하고, 인식에 의해 형성된 문자 데이터를 제일 입력 제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단말기는 우선 풀스크린 표시 상태로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100를 표시하고, 입구 제어부 101가 클릭될 때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100의 상부에 저부 모양 화면 110이 표시된다. 저부 모양 화면 110의 제일행은 제일 입력 제어부 102이며, 저부 모양 화면 110은 제일 입력 제어부 103를 더 포함한다. 단말기는 저부 모양 화면 110에 가상 키보드 104를 표시한다. 제일 입력 제어부 102와 제일 입력 제어부 103에 정보가 입력되지 않을 때, 저장 제어부 105는 선택 불가능한 상태로 되는 동시에 회색으로 표시된다. 제일 입력 제어부 102와 제일 입력 제어부 103에 정보가 입력될 때, 저장 제어부 105는 선택 가능한 상태가 되는 동시에 흑색 또는 컬러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 104를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자는 격납 버튼 (Stow button) 106을 클릭하는 것에 의해 가상 키보드 104를 숨길 수 있다. 단말기는 격납 버튼 106이 클릭된 것을 검출하면, 가상 키보드 104를 격납시킴과 동시에 저부 모양 화면 110의 표시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저부 모양 화면 120을 표시한다. 주의 받고 싶은 것은, 스크린에 표시되어 있는 저부 모양 화면 120의 높이는 저부 모양 화면 110의 높이보다 낮다. 저부 모양 화면 120 중의 보존 제어부 102가 촉발될 때 단말기는 제일 입력 제어부 102 중의 이름 정보와 제일 입력 제어부 103중의 번호 정보를 신규 연락처로 하여 보존한다. 도 4 중의 신규 연락처는 연락처 107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저부 모양 화면 110과 저부 모양 화면 120에 부가 설정 버튼 130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부가 설정 버튼 130을 클릭할 때 사용자는 연락처의 부가 정보를 더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저부 모양 화면 110의 높이를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저부 모양 화면 110의 최대 높이는 1962px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일 지령을 수신할 때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제일 지령은 단말기가 제일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로 되도록 지시하는 지령이며, 저부 모양 화면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팅 페이지이며,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의 면적보다 작다. 그후 저부 모양 화면에 제일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고 제일 입력 제어부가 촉발될 때 입력신호에 따라 제일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신호는 단말기의 센서를 통하여 단말기에 입력된 신호이다. 단말기는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에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하고, 저부 모양 화면을 통하여 단말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은 정보를 입력하는 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는 중요한 정보를 단말기에 신속히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다양한 조작에 의해 저부 모양 화면을 다른 모양 화면으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인 것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을 상기 단말에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은, 상기 제일 정보를 입력하는 지령을 수신할 때, 상기 제일 정보에서 편집 회수가 제일 많은 앞의 n개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스텝 511을 포함한다. 이 스텝에 있어서 n는 정정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제일 정보를 입력하는 지령을 수신할 때 제일 정보의 기존 편집 회수를 획득한다. 주의 받고 싶은 것은, 기존 편집 횟수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Privacy)와 관련될 우려가 있으므로, 단말기가 기존 편집 횟수를 획득할 때 사용자에게 청구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가 기존 편집 회수를 획득하려고 하는 청구를 허가하면 단말기는 기존 편집 회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존 편집 횟수는 각 대상의 파라미터가 편집된 횟수의 총합을 가리킬 수 있다. 하기 표 1을 참조하면 표 1 중의 대상은 연락처이며, 파라미터는 이름, 번호, 회사 및 인스턴트 메시징 계정의 기존 편집 횟수이다.
Figure pct00001
표 1에 기재된 신규 연락처에 있어서, 단말기가 획득한 이름, 번호, 회사 및 인스턴트 메시징 계정의 기존 편집 횟수는 각각 320, 315, 180 및 296 이다. n이 2일 경우 단말기는 2개의 파라미터, 즉 이름과 번호를 획득한다.
단말기가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데이터를 계속 사용할 경우, 나중의 소정 타이밍에서 전의 편집 횟수를 다시 읽어낸다. 종래의 편집 회수는 표2에 기재되어 있다.
Figure pct00002
표 2의 데이터를 통하여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단말기가 데이터를 계속 사용하고 사용자가 연락처를 새로 작성할 때, 일반적으로 이름과 인스턴트 메시징 계정을 관련시킨다. 표 2에 기재된 기존 편집 횟수를 통하여 알수 있는 바와 같이, 기존 편집 횟수에서 앞의 2개는 이름과 인스턴트 메시징 어카운트이다.
스텝 512에 있어서,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한다.
스텝 513에 있어서, 저부 모양 화면에 n개의 파라미터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저부 모양 화면에 n개의 파라미터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를 표시한다. 주의 받고 싶은 것은 n는 상기 스텝에서 획득한 파라미터이다.
예를 들면 n개의 파라미터가 스텝 511의 표 1에 표시된 데이터를 통하여 획득한 파라미터일 경우, n개의 파라미터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는 이름에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와 번호에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n개의 파라미터가 스텝 511의 표 2에 표시된 데이터를 통하여 획득한 파라미터일 경우, n개의 파라미터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는 이름에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와 인스턴트 메시징 어카운트(Instant messaging account)에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n이 항목수의 역치보다 크지 않을 때, 저부 모양 화면에 n개의 파라미터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를 표시한다. 각 파라미터는 각 입력 제어부에 하나씩 대응한다.
주의 받고 싶은 것은, 저부 모양 화면을 설계하는 목적은 사용자의 입력 정보의 경량화를 실현하는 것에 있고,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이 제공하는 공간에는 한도가 있다. 항목수의 역치를 통하여 저부 모양 화면에 입력 제어부를 표시할 때 단말기는 입력 제어부의 수량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입력된 파라미터의 수량 n이 항목수의 역치보다 크지 않을 경우, 단말기는 저부 모양 화면에 n개의 파라미터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저부 모양 화면에 n개의 파라미터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도 저부 모양 화면의 기능을 사용하고, 인터랙티브 성능이 좋은 기능을 외부 어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다.
스텝 520에 있어서, 제이 지령을 수신할 때 저부 모양 화면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풀스크린 모양 화면의 면적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의 면적과 같고, 제이 지령은 저부 모양 화면이 소정된 조작 지령을 수신할 때 이것을 촉발시키는 지령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이 지령은 저부 모양 화면의 상부 구역이 위로 슬라이드하고, 슬라이드 거리가 상향 슬라이드 거리의 역치를 넘을 때 형성된 지령이다. 상향 슬라이드 거리의 역치는 단말에 미리 설정된 수치일 수 있다. 상향 슬라이드 거리의 역치는 150px일 수 있다.
주의 받고 싶은 것은, 단말기는 제이 지령을 수신할 때 저부 모양 화면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다. 저부 모양 화면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할 때, 단말기는 여러가지 동영상 효과로 저부 모양 화면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저부 모양 화면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제공한 동영상 효과는 아래에서 위로 팝업하는 동영상 효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부 모양 화면에 풀스크린 모양 버튼을 더 표시할 수 있다. 풀스크린 모양 버튼이 촉발될 (즉 이것이 클릭될) 때 저부 모양 화면은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풀스크린 모양 화면이 표시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저부 모양 화면 110 중의 풀스크린 모양 버튼 108이 클릭될 때, 저부 모양 화면 110은 풀스크린 모양 화면 130으로 변환된다.
도 6에 있어서, 저부 모양 화면 110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 130으로 변환시키는 다른 방법에 있어서, 저부 모양 화면 110의 상부 구역 109이 위로 슬라이드하고, 슬라이드 거리가 상향 슬라이드 거리의 역치 150px를 넘을 때 단말기는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100의 상층에 풀스크린 모양 화면 130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부 모양 화면 110의 상부구역 109이 위로 슬라이드하고, 슬라이드 거리가 상향 슬라이드 거리의 역치 150px를 넘을 때, 저부 모양 화면 110의 가상 키보드를 은폐시키고, 동영상 효과로 풀스크린 모양 화면 130을 전개할 수 있다. 풀스크린 모양 화면130이 전개될 때, 이미 입력된 제일 정보를 보류하고, 다른 부분을 전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
스텝 521에 있어서, 풀스크린 모양 화면에 m개의 제이 입력 제어부를 표시한다. 제이 입력 제어부는 제일 입력 제어부와 다른 제어부이며, m는 정정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풀스크린 모양 화면에 m개의 제이 입력 제어부를 표시할 수 있다. 제이 입력 제어부는 제일 입력 제어부와 다른 제어부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이 입력 제어부의 기능은 제일 입력 제어부의 기능과 비슷하고, 제이 입력 제어부와 제일 입력 제어부는 모두 사용자가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제어부이다. 차이점은 저부 모양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입력 제어부는 제일 입력 제어부이고, 풀스크린 모양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입력 제어부는 제이 입력 제어부인 것이다.
도 6에 표시된 예시에 있어서, 이름과 휴대전화가 위치하여 있는 2행에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는 제일 입력 제어부이다. 이름의 표음식 표기(PINYIN), 회사, 직위, 일, 생일, 소셜 소프트웨어(Social Software) 및 커넥티드 퍼슨(connected person)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는 제이 입력 제어부이다.
스텝 522에 있어서, 제이 입력 제어부는 입력된 제이 정보를 수신할 때 제이 정보를 단말에 기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풀스크린 모양 화면에서 다시 입력한 제이 정보를 단말기에 기억한다. 도 6에 표시된 예시에 있어서, 제이 정보는 이름의 표음식 표기, 회사, 직위, 일, 생일, 소셜 소프트웨어 및 커넥티드 퍼슨을 포함한다.
스텝 523에 있어서, 하향 슬라이드 지령을 수신한다. 하향 슬라이드 지령은 풀스크린 모양 화면의 상부 프레임에 대하여 드래그 다운 조작을 할 때 형성된 지령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풀스크린 모양 화면의 상부 프레임에 대하여 드러그 다운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하향 슬라이드 지령을 형성한다.
스텝 524에 있어서, 하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일 역치보다 작지 않고 제이 역치보다 작을 때, 풀스크린 모양 화면을 저부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일 역치보다 작지 않고 제이 역치보다 작을 때, 단말기는 풀스크린 모양 화면을 저부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일 역치와 제이 역치는 소정된 비례를 가지고 있는 수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이 역치는 제일 역치의 k배일 수 있다. k는 1보다 큰 정정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이 역치는 제이 역치보다 크다.
스텝 525에 있어서, 하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이 역치보다 작지 않을 때, 풀스크린 모양 화면을 축소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축소 모양 화면의 면적은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축소 모양 화면은 저부 모양 화면의 상부 구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표시된 예시에 있어서, 저부 모양 화면 110의 상부 구역에 축소 모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스텝 530에 있어서, 제삼 지령을 수신할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축소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축소 모양 화면의 면적은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삼 지령은 저부 모양 화면의 상부 구역을 누르고 이것이 아래로 슬라이드하는 거리가 소정의 거리를 넘을 때 촉발되는 지령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축소 모양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700 의 신규 메일 작성 버튼 701 이 클릭될 때 단말기는 저부 모양 화면 710을 표시한다. 저부 모양 화면 710의 상부 구역 711이 드래그 다운 조작에 의해 150px 이상 이동할 때 저부 모양 화면 710은 축소 모양 화면 720으로 변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700 가 우선 축소 모양 화면 720 을 표시할 때 단말기는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700 의 축소 모양 화면 720 의 부근에 제시 정보 721 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시 정보 721는 축소 모양 화면 720을 저부 모양 화면 710으로 회복시키는 방법을 제시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저부 모양 화면 710의 제시 정보 721에 “상향 슬라이드 조작을 계속 하세요”라고 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축소 모양 화면 720은 송신 제어부 722와 취소 제어부 723를 포함한다.
스텝 531에 있어서, 축소 모양 화면에 기억 제어부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축소 모양 화면에는 기억 제어부가 표시되어 있다.
스텝 532에 있어서, 기억 제어부가 촉발될 때 제일 정보를 기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억 제어부가 촉발될 때 제일 정보를 기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축소 모양 화면에는 송신 제어부가 표시되어 있고, 송신 제어부가 촉발될 때 단말기는 제일 정보를 송신한다.
스텝 533에 있어서, 상향 슬라이드 지령을 수신한다. 상향 슬라이드 지령은 축소 모양 화면의 상부 프레임에 대하여 드러그 업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지령이다.
스텝 534에 있어서, 상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삼 역치보다 작지 않고 제사 역치보다 작을 때, 축소 모양 화면을 저부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삼 역치와 제사 역치는 소정된 비례를 가지고 있는 수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사 역치는 제삼 역치의 L배일 수 있다. L는 1보다 큰 정정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사 역치는 제삼 역치보다 크다.
스텝 535에 있어서, 상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사 역치보다 작지 않을 때, 축소 모양 화면을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한 후, 이 저부 모양 화면을 끌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도 5의 실시예에서 축소 모양 화면이 꺼진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저부 모양 화면 110의 상부 구역 109이 드래그 다운 조작에 의해 150 px 이상 이동할 때 단말기는 저부 모양 화면 110 을 끄는 동시에 풀스크린 표시 상태로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100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구역 변환 방법과 자유 구역 변환 방법을 통하여 저부 모양 화면을 다른 모양 화면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다른 모양 화면은 풀스크린 모양 화면과 축소 모양 화면을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도 5의 실시예에서 고정 구역 변환 방법을 통하여 저부 모양 화면을 변환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실시예에 있어서, 저부 모양 화면 110의 상부 구역 109이 드래그 업 조작에 의해 150px 이상 이동할 때,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100의 구역 191에는 “이 구역에서 손을 떼면 풀스크린 모양으로 변환된다”고 하는 제시 정보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구역 191 에서 (드래그 업 조작을 하는) 손을 떼면 저부 모양 화면 110은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된다.
도 9의 실시예에 있어서, 저부 모양 화면 110의 상부 구역 109이 드러그 다운 조작에 의해 150 px 이상 이동할 때,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100의 구역 192에는 “이 구역에서 손을 떼면 취소된다”고 하는 제시 정보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구역 192에서 (드래그 업 조작을 하는) 손을 떼면 저부 모양 화면 110은 은폐되고, 풀스크린 표시 상태로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100를 표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도 5의 실시예에서 자유 구역 변환 방법을 통하여 저부 모양 화면을 변환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자유 구역 변환 방법을 취소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를 통하여 취소용 거리 역치를 설정할 수 있다.
드러이 조작에 의한 저부 모양 화면 110의 상부 구역 109의 이동 거리가 취소용 거리 역치보다 작을 때, 단말기는 구역 192에 “하향 슬라이드를 계속하세요”라고 하는 제시 정보를 표시한다. 이럴 경우, 사용자가 (하향 슬라이드 조작을 하는) 손을 떼면 단말기는 저부 모양 화면 110을 은폐시키고, 풀스크린 표시 상태로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100를 표시한다.
드러이 조작에 의한 저부 모양 화면 110의 상부 구역 109의 이동 거리가 취소용 거리 역치보다 작지 않을 때, 단말기는 구역 192에 “손을 떼어 주세요”라고 하는 제시 정보를 표시한다. 이럴 경우, 사용자가 손을 떼면 단말기는 저부 모양 화면 110을 다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하기 복수의 응용 장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장면은 일정을 새로 작성하는 장면, 메모를 새로 작성하는 장면, 타임 트라이얼을 설정하는 장면 및 타깃 패스를 선택하는 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통하여 이것들을 각각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도 5의 실시예에서 일정을 새로 작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단말기는 저부 모양 화면 1110에 제일 정보를 입력하고 저부 모양 화면 1110 중의 부가 설정 버튼 1111이 클릭될 때 저부 모양 화면 1110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 1120으로 변환시킨다. 이럴 경우, 사용자는 풀스크린 모양 화면 1120에 제이 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신규 일정 정보를 완비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도 5의 실시예에서 메모의 신규 작성을 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서 단말기는 저부 모양 화면 1210에 제일 정보를 입력하고 저부 모양 화면 1210 중의 시간 설정 버튼 1211이 클릭될 때 저부 모양 화면 1210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 1220으로 변환시킨다. 이럴 경우, 사용자는 풀스크린 모양 화면 1220에 제이 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메모 정보를 완비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은 도 5의 실시예에서 타임 트라이얼의 설정을 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서 단말기는 저부 모양 화면 1310에서 타임 트라이얼을 설정한다. 타임트라이얼을 풀스크린 모양으로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1320과 비교하여 보면, 저부 모양 화면 1310에 타임트라이얼을 표시하는 것을 통하여 시간을 쉽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부 모양 화면의 응용에 있어서,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은 목표 대상인 스토리지 경로를 선택하는 것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응용 장면에 있어서, 제일 지령은 목표 대상의 스토리지 경로를 선택하는 지령이며, 목표 대상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되어 있는 대상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는 도 5의 실시예에서 타깃 패스를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있어서, 단말기는 저부 모양 화면 1410에 사용자가 압축하려는 파일의 경로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패스가 소정된 패스에 적합할 때 단말기는 저부 모양 화면 1410에 완성 버튼 1411을 표시한다. 상기 완성 버튼 1411에 “여기에 압축하세요”라고 하는 제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에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하고 저부 모양 화면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 또는 축소 모양 화면으로 신속하게 변환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는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를 바꾸지 않아도 각 모양 화면을 쉽게 변환시키고, 정보를 신속히 입력하고, 단말기에 정보를 입력하거나 단말기를 설정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기 정보 입력 장치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입력 장치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본 발명의 정보 입력 방법 중의 사항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는 본 발명의 예시에 관련된 정보 입력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정보 입력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 두 조합에 의해 실시되는 단말기의 전부 또는 일부분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입력 장치는,
제일 지령을 수신할 때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모듈이며, 상기 제일 지령은 단말기가 제일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로 되도록 지시하는 지령이며,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팅 페이지이며,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은 상기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의 면적보다 작은 화면 표시 모듈 1510과,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제일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제어부 표시 모듈 1520과,
상기 제일 입력 제어부가 촉발될 때 입력신호에 따라 단말기에 제일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모듈이며, 상기 입력신호는 상기 단말기의 센서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입력된 신호인 정보 입력 모듈 15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장치는 제일 변환 모듈과 제이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일 변환 모듈은 제이 지령을 수신할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의 면적은 상기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의 면적과 같으며, 상기 제이 지령은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이 소정된 조작 지령을 수신할 때 이것을 촉발시키는 지령이다. 제이 변환 모듈은 제삼 지령을 수신할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축소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축소 모양 화면의 면적은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장치는 실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모듈은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에 m개의 제이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이며, 상기 제이 입력 제어부는 상기 제일 입력 제어부와 다른 제어부이고, m는 정정수인 스텝과,
상기 제이 입력 제어부는 입력된 제이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제이 정보를 상기 단말에 기억하는 스텝을 실시하는 것에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 모듈은,
상기 하향 슬라이드 지령을 수신하는 스텝이며, 상기 하향 슬라이드 지령은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의 상부 프레임에 대하여 드래그 다운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지령인 스텝과,
상기 하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일 역치보다 작지 않고 제이 역치보다 작을 때,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을 상기 저부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과,
상기 하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이 역치보다 작지 않을 때,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을 상기 축소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을 실시하는 것에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 모듈은, 상기 축소 모양 화면에 기억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기억 제어부가 촉발될 때 상기 제일 정보를 기억하는 스텝을 실시하는 것에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 모듈은,
상기 상향 슬라이드 지령을 수신하는 스텝이며, 상기 상향 슬라이드 지령은 상기 축소 모양 화면의 상부 프레임에 대하여 드래그 업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지령인 스텝과,
상기 상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삼 역치보다 작지 않고 제사 역치보다 작을 때, 상기 축소 모양 화면을 상기 저부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과,
상기 상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사 역치보다 작지 않을 때, 상기 축소 모양 화면을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을 실시하는 것에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일 변환 모듈은,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풀스크린 모양 버튼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풀스크린 모양 버튼이 촉발될 (즉 이것이 클릭될)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을 실시하는 것에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모듈 1510은,
상기 제일 정보를 입력하는 지령을 수신할 때, 상기 제일 정보에서 편집 횟수가 제일 많은 앞의 n개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스텝이며, n은 정정수인 스텝과,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n개의 파라미터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을 실시하는 것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모듈 1510은 n이 항목수의 역치보다 크지 않을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n개의 파라미터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것에 사용된다.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입력 제어부에 하나씩 대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장치에서 사용하는 상기 제일 지령은 목표 대상의 스토리지 경로를 선택하는 지령이며, 상기 목표 대상은 상기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되어 있는 대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장치에서 사용하는 상기 제일 지령은 연락처 정보, 일정 정보, 메모 정보, 타임트라이얼 정보, 패스 정보 또는 메일 정보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령이 기억되어 있고, 상기 지령을 상기 처리장치에 송신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주의 받고 싶은 것은, 본 발명의 정보 입력 방법을 실시하는 본 발명의 정보 입력 장치를 설명할 때, 소정된 기능 실현 모듈로 소정된 기능을 실시하는 것을 설명해 왔지만, 실제 응용에서 다른 기능 실현 모듈로 동일한 기능을 실시할 수도 있다. 즉, 정보 입력 장치 내부에 다양한 기능 실현 모듈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모든 기능 또는 일부분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입력 장치는 본 발명의 정보 입력 방법에 대응하는 것이고, 정보 입력 장치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정보 입력 방법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첨가된 번호는 각 실시예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고, 각 실시예의 이점과 결점을 나타내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 기술 분야의 기술자가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모든 스텝 또는 일부분의 스텝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거나 또는 프로그램 지령이 인스톨된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될 수 있다. 상기 기억매체는 리드온리 메모리, 자기 디스크 기억장치 또는 광선 디스크 기억장치 등일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해 왔지만,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지나지 않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계의 변경, 대체, 개량 등을 할 수 있고, 이러한 것들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20)

  1. 제일 지령을 수신할 때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이며, 상기 제일 지령은 단말기가 제일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로 되도록 지시하는 지령이며,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팅 페이지이며,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은 상기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의 면적보다 작은 스텝과,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제일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제일 입력 제어부가 촉발될 때 입력신호에 따라 제일 정보를 입력하는 스텝이며, 상기 입력신호는 상기 단말기의 센서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입력된 신호인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한 후,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은,
    제이 지령을 수신할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이며,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의 면적은 상기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의 면적과 같고, 상기 제이 지령은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이 소정된 조작지령을 수신할 때 이것을 촉발시키는 지령인 스텝, 또는,
    제삼 지령을 수신할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축소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이며, 상기 축소 모양 화면의 면적은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보다 작은 스텝을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은,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에 m개의 제이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이며, 상기 제이 입력 제어부는 상기 제일 입력 제어부와 다른 제어부이고, m는 정정수인 스텝과,
    상기 제이 입력 제어부는 입력된 제이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제이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기억하는 스텝을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은,
    상기 하향 슬라이드 지령을 수신하는 스텝이며, 상기 하향 슬라이드 지령은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의 상부 프레임에 대하여 드래그 다운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지령인 스텝과,
    상기 하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일 역치보다 작지 않고 제이 역치보다 작을 때,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을 상기 저부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과,
    상기 하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이 역치보다 작지 않을 때,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을 상기 축소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을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축소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은,
    상기 축소 모양 화면에 기억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기억 제어부가 촉발될 때 상기 제일 정보를 기억하는 스텝을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축소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은,
    상기 상향 슬라이드 지령을 수신하는 스텝이며, 상기 상향 슬라이드 지령은 상기 축소 모양 화면의 상부 프레임에 대하여 드래그 업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지령인 스텝과,
    상기 상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삼 역치보다 작지 않고 제사 역치보다 작을 때, 상기 축소 모양 화면을 상기 저부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과,
    상기 상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사 역치보다 작지 않을 때, 상기 축소 모양 화면을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을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이 지령을 수신할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은,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풀스크린 모양 버튼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풀스크린 모양 버튼이 촉발될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임의의 한항에 있어서,
    제일 지령을 수신할 때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은,
    상기 제일 정보를 입력하는 지령을 수신할 때, 상기 제일 정보에서 편집 횟수가 제일 많은 앞의 n개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스텝이며, n는 정정수인 스텝과,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n개의 파라미터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n개의 파라미터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은 n이 항목수의 역치보다 크지 않을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n개의 파라미터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입력 제어부에 하나씩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일 지령은 목표 대상의 스토리지 경로를 선택하는 지령이며, 상기 목표 대상은 상기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되어 있는 대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일 정보는 연락처 정보, 일정 정보, 메모 정보, 타임트라이얼 정보, 패스 정보 또는 메일 정보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12. 제일 지령을 수신할 때 저부 모양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모듈이며, 상기 제일 지령은 단말기가 제일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로 되도록 지시하는 지령이며,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은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 위에 표시되어 있는 플로팅 페이지이며,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은 상기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의 면적보다 작은 화면 표시 모듈과,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제일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제어부 표시 모듈과
    상기 제일 입력 제어부가 촉발될 때 입력신호에 따라 단말기에 제일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모듈이며, 상기 입력신호는 상기 단말기의 센서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입력된 신호인 정보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장치는 제일 변환 모듈과 제이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일 변환 모듈은 제이 지령을 수신할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의 면적은 상기 현재 유저 인터페이스의 면적과 같으며, 상기 제이 지령은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이 소정된 조작지령을 수신할 때 이를 촉발시키는 지령이며,
    상기 제이 변환 모듈은 제삼 지령을 수신할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축소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축소 모양 화면의 면적은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장치는 실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시 모듈은,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에 m개의 제이 입력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이며, 상기 제이 입력 제어부는 상기 제일 입력 제어부와 다른 제어부이고, m는 정정수인 스텝과,
    상기 제이 입력 제어부는 입력되는 제이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제이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기억하는 스텝을 실시하는 것에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 모듈은,
    상기 하향 슬라이드 지령을 수신하는 스텝이며, 상기 하향 슬라이드 지령은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의 상부 프레임에 대하여 드래그 다운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지령인 스텝과,
    상기 하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일 역치보다 작지 않고 제이 역치보다 작을 때,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을 상기 저부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과,
    상기 하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이 역치보다 작지 않을 때,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을 상기 축소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을 실시하는 것에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 모듈은, 상기 축소 모양 화면에 기억 제어부를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기억 제어부가 촉발될 때 상기 제일 정보를 기억하는 스텝을 실시하는 것에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 모듈은,
    상기 상향 슬라이드 지령을 수신하는 스텝이며, 상기 상향 슬라이드 지령은 상기 축소 모양 화면의 상부 프레임에 대하여 드래그 업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지령인 스텝과,
    상기 상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삼 역치보다 작지 않고 제사 역치보다 작을 때, 상기 축소 모양 화면을 상기 저부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과,
    상기 상향 슬라이드 지령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거리가 제사 역치보다 작지 않을 때, 상기 축소 모양 화면을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을 실시하는 것에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일 변환 모듈은, 상기 저부 모양 화면에 풀스크린 모양 버튼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풀스크린 모양 버튼이 촉발될 때 상기 저부 모양 화면을 상기 풀스크린 모양 화면으로 변환시키는 스텝을 실시하는 것에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19. 처리장치와 상기 처리장치에 접속된 기억장치와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지령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장치가 상기 프로그램 지령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임의의 한항에 기재된 정보 입력 방법을 실시하는 단말기.
  20. 프로그램 지령이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이며, 상기 프로그램 지령이 상기 처리장치에 실행되는 것에 의해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임의의 한항에 기재된 정보 입력 방법을 실시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227010364A 2019-08-30 2020-08-18 정보 입력 방법, 단말기 및 비임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Pending KR202200543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815339.X 2019-08-30
CN201910815339.XA CN110515524B (zh) 2019-08-30 2019-08-30 输入信息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PCT/CN2020/109857 WO2021036871A1 (zh) 2019-08-30 2020-08-18 输入信息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373A true KR20220054373A (ko) 2022-05-02

Family

ID=68628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364A Pending KR20220054373A (ko) 2019-08-30 2020-08-18 정보 입력 방법, 단말기 및 비임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2107988B2 (ko)
EP (1) EP4024185A4 (ko)
JP (1) JP2022546080A (ko)
KR (1) KR20220054373A (ko)
CN (2) CN110515524B (ko)
WO (1) WO20210368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5524B (zh) 2019-08-30 2021-0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输入信息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960716B2 (en) * 2021-07-22 2024-04-16 Hulu, LLC Modeless interaction model for video interface
CN113778580B (zh) * 2021-07-28 2023-12-08 赤子城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模态用户界面显示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7472220B (zh) * 2023-09-15 2024-11-19 荣耀终端有限公司 操作识别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1800B2 (en) * 2004-06-25 2010-07-20 Apple Inc. Unified interest layer for user interface
JP4752584B2 (ja) * 2006-04-11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灯制御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灯制御方法
US20080172208A1 (en) * 2006-12-28 2008-07-17 Dassault System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of computer aided design of a product comprising a set of constrained objects
US9081471B2 (en) * 2008-09-19 2015-07-14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viding modal window views for widgets on web pages
US9367216B2 (en) * 2009-05-21 2016-06-14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Hand-held device with two-finger touch triggered selection and transformation of active elements
US9489078B2 (en) * 2011-02-10 2016-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30091156A1 (en) * 2011-10-06 2013-04-11 Samuel B. Raiche Time and location data appended to contact information
JP5793054B2 (ja) * 2011-10-20 2015-10-1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実行抑制方法
TW201327345A (zh) * 2011-12-16 2013-07-01 Fih Hong Kong Ltd 電子裝置的檔案移動系統及方法
CN103051768B (zh) * 2012-12-28 2016-08-17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更新通讯录中的联系方式的方法及系统
US9916072B2 (en) * 2013-02-20 2018-03-13 Lg Electronics Inc. Application and notification window display management in a mobile terminal
US9552138B2 (en) * 2013-05-10 2017-01-2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3823621B (zh) * 2014-03-17 2017-11-03 联想(北京)有限公司 创建联系人头像的方法和装置
US9483179B2 (en) * 2014-04-15 2016-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mory-area property storage including data fetch width indicator
US9811250B2 (en) * 2014-05-31 2017-11-0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widgets
CN105607816B (zh) * 2015-09-23 2018-12-2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聊天列表的显示方法及装置
CN106855796A (zh) * 2015-12-09 2017-06-1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和智能终端
CN106210916A (zh) * 2016-06-29 2016-12-0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视频通话界面调节方法及装置
CN106293473A (zh) * 2016-08-15 2017-01-04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页面显示方法和装置
CN106406739B (zh) * 2016-09-28 2019-10-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便签生成方法及移动终端
EP3333688B1 (en) * 2016-12-08 2020-09-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066174A (zh) * 2017-04-13 2017-08-18 广州神马移动信息科技有限公司 浮层显示方法、装置及用户终端
CN108052356A (zh) * 2017-11-27 2018-05-18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启动计算器的方法,及终端设备
CN108427588A (zh) * 2018-01-26 2018-08-2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显示会话界面的方法、装置及设备
CN109830233A (zh) * 2019-01-22 2019-05-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语音助手的交互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0062105B (zh) * 2019-03-19 2021-11-23 维沃移动通信(深圳)有限公司 一种界面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10119296B (zh) * 2019-04-30 202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父页面和子页面的方法、相关装置
CN110231910A (zh) * 2019-05-20 2019-09-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10515524B (zh) * 2019-08-30 2021-0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输入信息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24185A1 (en) 2022-07-06
CN110515524B (zh) 2021-02-02
US12107988B2 (en) 2024-10-01
CN110515524A (zh) 2019-11-29
US20220272188A1 (en) 2022-08-25
JP2022546080A (ja) 2022-11-02
CN112486370A (zh) 2021-03-12
WO2021036871A1 (zh) 2021-03-04
EP4024185A4 (en) 2022-10-26
CN112486370B (zh)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54373A (ko) 정보 입력 방법, 단말기 및 비임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CN102033710B (zh) 用于管理文件夹的方法和相关设备
CN101291496B (zh) 使用移动通信终端编辑数据
US9207837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multiple levels of interaction with a program
KR101044320B1 (ko) 가상 키입력수단의 배경화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2640101B (zh) 用于提供用户接口的方法及装置
CN101076166B (zh) 具有显示按钮的装置及用于所述装置的显示方法和介质
CN104303140B (zh) 多窗口提供装置和方法
CN104704494A (zh) 管理具有多页面的文件夹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US20190324777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 run time configurable user interface controller
DE202015003891U1 (de) Vorgefertigte Antworten in Nachrichten
CN103164152A (zh) 用于编辑视频的装置、方法和图形用户接口
CN103348313A (zh) 包含用于列出记录和呈现记录内容的滑动面板的用户界面
US20230117213A1 (en) Pag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210312679A1 (en) Method for generating identification pattern and terminal device
CN105867728B (zh) 一种人机界面显示系统和方法
CN108829686A (zh) 翻译信息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30155112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raphically transitioning between multiple program interface levels of a program
CN108733731A (zh) 一种更改文档中多媒体资源的便捷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0283082B1 (en) Differential opacity position indicator
JPWO2021036871A5 (ko)
KR101727927B1 (ko)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34287B1 (ko)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
CN111651563A (zh) 搜索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4017097A1 (zh) 一种界面显示方法与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3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