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7927B1 -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927B1
KR101727927B1 KR1020110059499A KR20110059499A KR101727927B1 KR 101727927 B1 KR101727927 B1 KR 101727927B1 KR 1020110059499 A KR1020110059499 A KR 1020110059499A KR 20110059499 A KR20110059499 A KR 20110059499A KR 101727927 B1 KR101727927 B1 KR 101727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information
user function
function
tagg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2752A (ko
Inventor
김현경
전진영
박현미
김태연
송민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RU2013137430/08A priority Critical patent/RU2013137430A/ru
Priority to JP2013553360A priority patent/JP6129749B6/ja
Priority to EP12154756A priority patent/EP2487584A3/en
Priority to CA2826929A priority patent/CA2826929A1/en
Priority to PCT/KR2012/000952 priority patent/WO2012108697A2/en
Priority to US13/369,683 priority patent/US20120210201A1/en
Priority to MX2013009267A priority patent/MX2013009267A/es
Priority to BR112013020547A priority patent/BR112013020547A2/pt
Priority to CN2012100311590A priority patent/CN102693259A/zh
Publication of KR20130052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92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른 화면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른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메모 작성을 위한 기능 호출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 정보와 오디오 정보 및 사용자 기능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상기 메모 작성에 따라 작성된 메모에 태깅하여 상기 저장부에 태깅 메모로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모 기능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Operation Method For Memo Function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 작성 및 저장 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함께 태깅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메모 검색 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함께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메모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그 이용의 편리성과 휴대의 용이성 등으로 인하여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기능 제공을 위하여 다양한 입력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휴대 단말기는 터치 패널과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표시부에 출력되는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터치 패널에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해당 사용자 동작에 따른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 이용 중에 특정 사건들에 정보 기입을 위하여 메모 기능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메모 기능은 단순히 메모장을 활성화한 후, 텍스트 정보를 기입하고 저장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정보 기입을 수행하는 경우 보통 약식의 정보만을 기재하거나 함축된 형태로 정보를 기재하기 때문에 추후에 메모 확인을 다시 할 경우 어떠한 내용을 위하여 메모를 작성하였는지 이해하는 것이 쉽지 않은 점이 있다. 또한 작성된 메모는 일괄적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메모 관리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메모 기능은 메모 관리가 불편하며, 작성된 메모의 내용을 유추하고 기억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사용자들이 잘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 작성 및 저장 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함께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 메모 저장이 가능하며, 관리가 용이하며, 해당 메모의 내용 확인이나 유추 및 기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모 기능 운용 방법은 휴대 단말기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모가 작성되는 과정,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 정보와 오디오 정보 및 사용자 기능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상기 메모에 태깅하여 태깅 메모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메모 기능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른 화면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른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메모 작성을 위한 기능 호출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 정보와 오디오 정보 및 사용자 기능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상기 메모 작성에 따라 작성된 메모에 태깅하여 상기 저장부에 태깅 메모로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다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 저장이 가능하며, 저장된 메모 검색을 통하여 메모 내용의 확인이나 유추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기능 운용 방법 중 메모 작성 및 저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기능 운용 방법 중 메모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기능 운용 중 사진 검색 기능 기반의 메모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기능 운용 중 사진 검색 기능 기반으로 생성된 메모 검색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기능 운용 중 동영상 재생 기능 기반의 메모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기능 운용 중 동영상 재생 기능 기반으로 생성된 메모 검색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깅된 메모 검색 기능 지원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기능 운용 중 통화 기능 기반의 메모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기능 운용 중 통화 기능 기반으로 생성된 메모 검색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특정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모가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메모에 현재 활성화되고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함께 태깅하여 저장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저장된 메모 검색 시 메모 정보와 함께 태깅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링크 정보로 제공하거나 사용자 요청에 따라 메모와 태깅 정보를 함께 제공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메모 저장 시 다양한 정보가 태깅된 메모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는 메모 검색 시 태깅된 정보를 함께 검색함으로써 메모 생성 당시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메모 내용을 보다 정확히 이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특정 사용자 기능을 보다 손쉽게 활성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태깅 메모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태깅 메모 기능은 메모 저장 시 활성화되고 있는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해당 메모에 자동으로 함께 저장하도록 기능이다. 상술한 태깅 메모 기능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및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영상이나 메시지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무선통신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통신부(110)는 메모 기능과 함께 운용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를 기반으로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채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메모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00)는 메모가 생성되는 경우 해당 메모에 무선통신부(110)의 활성화 정보를 함께 태깅하여 저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10)의 활성화 정보는 통화 중인 타 휴대 단말기 관련 정보로서 타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폰북에 기 저장된 폰북 정보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무선통신부(110) 활성화 정보가 태깅된 메모 검색을 통하여 메모 작성 당시 누구와 통화 중이었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메모 검색을 이용하여 태깅된 타 휴대 단말기 전화번호로 자동전화걸기 기능을 운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10) 활성화 정보는 폰북 정보뿐만 아니라 화상 통화 중인 경우에는 일정 영상을 포함할 수 도 있다. 화상 통화 영상 중 적어도 한 프레임이 작성된 메모에 태깅될 수 있다. 상기 메모에 태깅되는 화면 정보는 메모 기능 활성화 시점의 화상 통화 화면이거나 메모 저장 시점의 화상 통화 화면이 될 수 있으며, 메모 기능 활성화에서 저장 시까지 일정 주기로 구분된 여러 장의 화상 통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웹 접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110)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특정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통신부(110) 활성화 정보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웹 페이지 중 메모 기능이 활성화되는 시점 또는 메모 저장이 완료된 시점, 또는 웹 페이지 전환이 발생하는 시점들에 표시부(140)에 출력된 웹 페이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서버 접속을 기반으로 일정 동영상을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통신부(110) 활성화 정보는 동영상 시청 중에 메모 기능이 활성화된 시점, 메모 저장 시점, 및 활성화와 저장 시점 사이의 일정 시점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된 일정 동영상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표시부(140) 상에 출력되는 쿼티 키 맵, 3*4 키맵, 4*3 키맵, 메뉴 맵, 제어키 맵 등으로 구현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입력부(12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40)가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 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사용자 기능활 시점에서 메모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 메모 기능 활성화 중 메모 작성을 위한 입력 신호,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가 태깅된 태깅 메모 검색을 위한 입력 신호, 태깅 메모 확인을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입력 신호들은 제어부(160)에 전달되어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운용 수행을 지원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메모 기능 활성화 시 마이크(MIC)를 활성화하고, 메모 작성 중에 오디오 신호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집된 오디오 신호는 해당 메모에 태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는 메모 기능 활성화 중에 수집된 오디오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중이거나 방송 시청 중과 같이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경우 해당 오디오 신호는 메모 기능 활성화 중에 수집되어 메모에 태깅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표시 패널 전면에 터치 패널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 패널은 휴대 단말기(1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은 터치 패널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 패널은 사용자 기능 활성화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메모 기능 활성화를 위한 메뉴나 아이콘을 일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은 특정 사이드 키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은 해당 아이콘 활성화 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과 관련된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모 기능 운용을 위한 메모 작성기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 작성기는 메모 작성을 위한 툴로서, 텍스트 입력과 선이나 이미지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도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모 작성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텍스트 정보를 입력하거나 직선이나 곡선 또는 색 등을 입력하여 일정한 그림이나 약식 지도 등을 기입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 작성기는 사용자 기능 활성화 화면과 함께 표시 패널에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 작성기는 사용자 기능 활성화 화면 상에 오버레이 되어 출력되거나 일정 영역을 할당받아 출력될 수 있다. 일정 영역을 할당받아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 기능 활성화 화면은 리사이징되어 표시 패널의 일정 구역에 재배치될 수 있다. 또는 메모 작성기는 투명도를 가지고 사용자 기능 활성화 화면 상에 오버레이 되어 출력될 수 있어 사용자는 메모 작성기 하부에 출력되고 있는 사용자 기능 활성화 화면을 확인하면서 메모를 작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 패널은 본 발명의 태깅 메모 기능 지원을 위하여 보다 다양한 사용자 기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패널은 통화 중 화면, 웹 페이지 화면, 문서 화면, 게임 화면, 동영상 화면, 달력 화면 등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사용자 기능 관련 화면들을 출력할 수 있다. 각 화면들 또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들은 메모 기능 운용 시 태깅 정보로서 해당 메모에 태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되며 터치 물체 예를 들면 사용자 손가락 접촉에 따라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센서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터치 패널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대하여 해당 위치 정보와 터치 이벤트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160)에 전달된다.
특히 사용자 기능 활성화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메모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터치 패널은 메모 작성기에 대한 터치 기능 지원을 위한 영역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은 메모 기능 활성화를 위한 아이콘이 출력되는 경우 해당 아이콘 터치를 위한 영역 설정을 지원한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은 메모 작성기에서 텍스트 입력을 위한 아이콘, 이미지 입력을 위한 아이콘, 지우기 아이콘 등에 대한 영역 설정을 지원한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사용자 터치에 따라 메모 작성에 필요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메모 저장을 위한 아이콘, 메모 검색을 위한 메모 아이콘 등에 대한 터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상기 표시부(140)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키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휴대 단말기(100)의 다양한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검색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메모 지원 프로그램(151)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 지원 프로그램(151)은 본 발명의 태깅 메모 기능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메모 지원 프로그램(151)은 메모 작성기 출력 루틴, 메모 작성 지원 루틴, 메모 저장 시 활성화되고 있는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 수집 루틴, 수집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메모에 링크시켜 저장하는 루틴, 저장된 태깅 메모 검색 지원 루틴을 포함한다. 태깅 메모 검색 지원 루틴은 작성된 메모 출력 루틴, 메모에 태깅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와 관련된 링크 정보를 출력하는 루틴, 메모에 태깅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메모와 함께 출력하는 루틴, 링크 정보 선택 시 또는 특정 입력 신호 발생 시 메모에 포함된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데이터, 위젯 기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들 및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데이터 영역은 메모 DB(153)를 포함한다. 메모 DB(153)는 앞서 설명한 태깅 메모들을 저장할 수 있다. 태깅 메모는 메모 작성 및 저장 시 활성화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메모와 함께 저장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는 사용자 기능의 제목, 메모 작성 중 또는 저장 시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른 화면 또는 오디오 신호 정보, 사용자 기능 활성화 및 수집 시점에 대한 정보를 위한 링크 정보, 메모 저장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정보는 사용자 기능 변경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동영상이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로 메모와 함께 저장된 이후 해당 동영상이 삭제되면 상기 링크 정보는 링크 기능이 없는 텍스트 정보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태깅 메모 기능 활성화에 필요한 다양한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메모 출력 지원부(161), 메모 작성 지원부(163), 메모 저장 제어부(165)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 출력 지원부(161)는 태깅된 메모 검색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메모 출력 지원부(161)는 사용자가 태깅 메모들을 작성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한 경우,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태깅 메모들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면, 상기 메모 출력 지원부(161)는 저장된 태깅 메모들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부(140)에 출력하거나, 썸네일 형태로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모 출력 지원부(161)는 최근 작성된 태깅 메모들의 우선순위를 높게 부여하여 리스트 상단에 출력하거나 첫 번째 항목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모 출력 지원부(161)는 메모 작성 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게 부여된 태깅 메모를 사용자의 인식이 용이한 표시부(140)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정 태깅 메모가 선택되면 메모 출력 지원부(161)는 저장된 메모 내용만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메모는 표시부(140) 전체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메모 출력 지원부(161)는 표시부(140) 전체 화면으로 출력된 메모의 일정 영역에 태깅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와 메모를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링크 정보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메모 출력 지원부(161)는 사용자 설정이나 요청에 따라 메모 저장 시 함께 저장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와 메모를 동시에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 출력 지원부(161)는 특정 사용자 기능 활성화 시, 해당 사용자 기능과 연관되어 저장된 태깅 메모들을 사용자 기능 활성화 화면 일측에 특정 아이콘 형태로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 기능 활성화 시 이전에 자신이 작성하여 저장한 메모가 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해당 아이콘 선택을 통하여 메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 출력 지원부(161)는 태깅 메모 아이콘 선택에 따른 입력 신호 발생 시 함께 저장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 출력 지원부(161)는 해당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이 메모 작성 또는 저장 당시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사용자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모 작성 지원부(163)는 메모 작성을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메모 작성 지원부(163)는 메모 작성기 호출을 위한 아이콘이나 메뉴 항목을 대기 화면이나 사용자 기능 활성화 화면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메모 작성 지원부(163)는 특정 키를 메모 작성기 호출을 위한 핫 키로 할당할 수 있다. 해당 키가 활성화되거나 아이콘이 선택되면, 메모 작성 지원부(163)는 메모 작성기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때 메모 작성 지원부(163)는 사용자 기능 활성화 중에 메모 작성기 출력 시 이전 출력 중인 사용자 기능 활성화 화면을 리사이징하여 화면 일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영역에 메모 작성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메모 작성 지원부(163)는 사용자 기능 활성화 화면 상에 메모 작성기 오버레이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메모 작성기 투명도 조절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 작성 지원부(163)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텍스트 및 이미지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메모 저장 제어부(165)는 저장 입력 제어에 따라 해당 메모를 저장부(1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메모 작성 지원부(163)는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해당 메모에 자동으로 태깅하여 저장하도록 지원한다. 여기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 특성은 사용자 제어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는 메모 작성기 출력 시점 화면이나 오디오 정보, 메모 저장 시점 화면이나 오디오 정보, 메모 작성기 출력 시점부터 저장 시점 사이의 연속된 또는 일정 간격으로 구분된 화면이나 오디오 정보가 될 수 있다. 태깅 메모에 저장되는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는 사용자 기능 제목, 사용자 기능 활성화 시점의 정보,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필요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와 함께 저장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는 메모 생성 특정 시점의 화면이나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정보가 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사용자 기능 특성에 따라 사용자 기능 제목과, 메모 생성 당시의 시간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기능이 동영상 재생 기능인 경우, 사용자 기능 제목은 해당 동영상 활성화를 위한 제목이 될 수 있으며, 시간 정보는 메모 생성 당시 재생되고 있던 동영상의 재생 시간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기능이 별도의 프레임 저장을 수행하지 않는 방송 시청 기능인 경우 사용자 기능 제목은 메모 생성 당시 캡쳐된 방송 화면에 대한 특정 제목이 될 수 있으며, 시간 정보는 방송 화면 캡쳐 시간 정보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깅 메모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100)는 메모 생성 시 활성화되고 있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 정보를 메모에 자동으로 태깅하여 저장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메모 검색 시 태깅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함께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메모 관련 내용을 보다 확실하게 확인 및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복수개의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모가 생성되는 경우, 복수개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들을 해당 메모에 태깅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설정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메모 작성기가 활성화되는 시점에 최우선 순위를 가지며 실행되어 표시부(140)에 화면을 출력하고 있거나 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사용자 기능에 관한 활성화 정보만을 수집하여 해당 메모에 자동으로 태깅하여 저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메모 기능 운용 방법 중 메모 생성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 제어부(160)는 301 단계에서 메모 작성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발생된 입력 신호가 메모 작성을 요청하는 신호가 아닌 경우, 제어부(160)는 303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 기능인 파일 재생 기능, 파일 검색 기능, 웹 접속 기능, 통화 기능, 달력 기능 등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을 활성화하고 지원할 수 있다.
한편 303 단계에서 메모 작성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60)는 305 단계로 분기하여 현재 실행 중인 사용자 기능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별도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 상태가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307 단계로 분기하여 일반 메모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메모 작성기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텍스트나 이미지 기입을 지원하고 저장 입력 제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50)에 입력되는 메모는 별도의 부가 정보가 없는 메모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만을 포함하는 메모가 될 수 있다.
상기 305 단계에서 현재 실행 중인 사용자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309 단계로 분기하여 메모 저장 시 실행 중인 사용자 기능 관련 정보도 함께 태깅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현재 활성화 중인 사용자 기능의 제목과, 메모 저장 시점이나 메모 작성 시점, 또는 그 사이 시간 동안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라 표시부(140)에 출력된 화면 정보 중 적어도 일부, 오디오 처리부(130)를 통하여 수집된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집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수집된 화면 정보 및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된 메모에 자동으로 태깅하여 저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기 작성된 메모의 갱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기 저장된 태깅 메모를 선택하고, 해당 메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메모 변경과 함께 메모 변경 시점에 활성화되고 있는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이전에 수집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삭제하고 새로운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해당 메모에 태깅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이전 수집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삭제하지 않고 새로운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와 함께 해당 메모에 태깅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메모 기능 운용 방법 중 메모 검색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401 단계에서 입력 신호 발생 시 메모 검색을 위한 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메모 검색을 위한 입력 신호가 아닌 경우 제어부(160)는 403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 신호에 따라 사용자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파일 재생 기능, 파일 검색 기능, 통화 기능, 게임 기능 등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다양한 기능 지원을 제어한다.
한편 403 단계에서 입력된 입력 신호가 메모 검색을 위한 신호인 경우 제어부(160)는 405 단계로 분기하여 메모 리스트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태깅 메모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태깅 메모들을 일정 순서에 따라 리스트 형태 또는 멀티 썸네일 형태 등으로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특정 메모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입력 신호가 메모 검색 기능 종료를 위한 신호인 경우 제어부(160)는 4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태깅 메모들 중에서 특정 메모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 경우, 제어부(160)는 409 단계로 분기하여 현재 설정 상태가 링크 메모 보기 기능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현재 설정 상태가 링크 메모 보기 기능인 경우 제어부(160)는 411 단계로 분기하여 링크 정보가 포함된 메모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표시부(140)는 저장된 메모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되 태깅된 메모 보기를 위한 링크 정보를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409 단계에서 링크 메모 보기 기능이 아니면 제어부(160)는 413 단계에서 현재 설정 상태인 태깅된 메모 보기 기능을 확인하고, 415 단계에서 태깅 정보가 포함된 메모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메모 저장 당시 수집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와 메모를 동시에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링크 메모와 태깅된 메모를 설정 상태에 따라 다르게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411 단계에서 링크 메모가 출력되고 사용자가 링크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태깅된 메모 보기 기능인 415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태깅된 메모 보기 기능 수행에 따라 표시부(140)에 태깅된 메모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링크 메모 보기 화면으로의 전환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417 단계에서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4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기능 운용 방법은 메모 기능이 활성화되는 시점에 운용되고 있는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 정보와 메모를 동시에 태깅 메모로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태깅 메모를 사용자 검색 요청에 따라 표시부(140)에 출력하되 사용자 요청 또는 사전 설정에 따라 메모에 링크 정보가 포함된 형태로 출력하거나, 태깅 정보와 메모가 함께 출력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보다 명확한 메모 인식과 이해 및 유추 기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메모 생성 시에도 다양한 정보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기능 운용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메모 기능 운용 지원을 위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기능 운용 중 사용자 기능이 이미지 검색 기능 예를 들면 사진 검색 기능인 경우 메모 기능 운용을 지원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사진 검색 기능 기반으로 작성된 메모 검색을 지원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사진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진 검색 기능을 위한 입력 신호를 입력부(120)를 통해 생성하면, 제어부(160)는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화면을 501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40)는 다양한 사진 아이템들을 멀티 썸네일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본 발명의 태깅 메모 기능 지원을 위한 메모 아이콘이 포함된 아이콘 영역(50)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멀티 썸네일 형태로 출력된 다양한 사진 아이템들 중 제1 아이템(41)을 선택하는 경우 표시부(140)는 503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된 제1 아이템(41)을 확대하여 제1 아이템 화면(42)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40)는 501 화면에서와 유사하게 메모 아이콘이 포함된 아이콘 영역(50)을 화면 일측 예를 들면 화면 하단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아이템 화면(42)이 표시부(140) 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메모 아이콘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 생성 예를 들면 메모 아이콘 선택 터치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표시부(140)는 505 화면에서와 같이 제1 아이템 화면(42)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모 작성기(60)를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 작성기(60)는 텍스트 입력, 이미지 입력, 지우기, 환경 설정과 같은 선택 메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 키와, 취소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텍스트 입력을 원하는 경우 텍스트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텍스트 아이콘 선택 시 텍스트 입력을 위한 키 맵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미지 그리기나 삽입을 원하는 경우 이미지 입력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펜과 같이 메모 작성기에 선을 그릴 수 있는 도구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 작성기(60)는 제1 아이템 화면(42)이 출력된 표시부(140)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모 작성기(60)는 제1 아이템 화면(42) 출력 화면 중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되어서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투명도 조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메모 작성기(60)는 제1 아이템 화면(42)과 겹치지 않도록 출력될 수 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제1 아이템 화면(42)의 크기를 리사이징하여 표시부(140)의 일정 영역에 배치하고, 메모 작성기(60)는 나머지 영역에 배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모 작성기(60)를 이용하여 일정 메모를 작성하면 507 화면에서와 같이 일정 내용이 기입된 메모(61)가 생성될 수 있다. 메모(61) 생성 완료를 위하여 사용자는 메모 작성기(60)의 저장 키에 해당하는 "Done"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메모 작성기(60)는 메모 생성을 종료함과 아울러 표시부(140)에서 제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 키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인 제1 아이템 화면(42)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제1 아이템 화면(42) 정보를 작성된 메모(61)에 태깅하여 함께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저장이 완료되면, 표시부(140)는 도 6의 601 화면에서와 같이 제1 아이템 화면(42)을 출력하는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40) 일측에는 생성된 메모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하여 일정 위치에 메모 알림 아이콘(62)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모 알림 아이콘(62)을 선택하여 활성화하는 경우, 표시부(140)는 603 화면에서와 같이 메모(61) 생성 시점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6031 화면은 메모(61) 생성 시점인 507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기능이 이미지 검색 기능인 상태에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는 표시부(140)에 출력 중인 이미지의 제목 정보, 상기 이미지가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기능 운용 중 사용자 기능이 동영상 재생 기능인 경우 메모 생성을 지원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동영상 재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동영상 재생 기능을 위한 입력 신호를 입력부(120)를 통해 생성하면, 제어부(160)는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화면을 701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특정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하여 활성화하도록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동영상 컨텐츠 화면(52)이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40)는 동영상 재생에 따른 화면 출력과 함께 본 발명의 메모 기능 지원을 위한 메모 아이콘이 포함된 아이콘 영역(50)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아이콘 영역(50)에 마련된 메모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표시부(140)는 703 화면에서와 같이 메모 작성기(60)를 동영상 컨텐츠 화면(52)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메모 작성기(60)는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메모 작성기(60)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40)는 동영상 컨텐츠 화면(52)의 일정 영역에 이전에 작성된 제1 태깅 메모(69)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태깅 메모(69)는 아이콘 영역(50)의 메모 아이콘 선택에 따라 메모 작성기(60)가 출력되면서 표시부(14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703 화면에 출력된 메모 작성기(60)에 정보를 기입하여 705 화면에서와 같은 메모(61) 작성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61) 작성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메모 작성기(60)의 저장 키에 해당하는 "Done"을 선택할 수 있고, "Done"이 선택되면 표시부(140)는 707 화면에서와 같이 메모(61)를 표시부(140)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메모(61) 저장 시점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수집한다. 즉 제어부(160)는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동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면 동영상 컨텐츠의 제목 정보, 메모(61) 생성 시점의 동영상 컨텐츠 화면(52)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해당 정보 수집이 완료되면 제어부(160)는 작성된 메모(61)에 수집된 정보를 자동으로 태깅하여 저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태깅 메모가 작성되면 제어부(160)는 707 화면에서와 같이 현재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 컨텐츠에 태깅 메모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하여 제1 태깅 메모(69)와 제2 태깅 메모(62)를 화면 일측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면 제1 태깅 메모(69) 및 제2 태깅 메모(62)는 화면의 하단 일정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1 태깅 메모(69) 및 제2 태깅 메모(62)는 동영상 컨텐츠 재생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과 함께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있으며, 또한 제어키 맵의 사라짐과 함께 표시부(140)에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동영상 컨텐츠 재생 화면의 아이콘 영역(50) 중 메모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제1 태깅 메모(69) 등이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휴대 단말기(100)의 저장부(150)에 저장된 동영상 컨텐츠 항목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즉 701 화면에서 상기 제1 태깅 메모(69)가 출력될 수 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기능 운용 중 동영상 컨텐츠를 태깅한 메모의 검색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특정 동영상 컨텐츠 아이템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801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 화면(52)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60)는 동영상 컨텐츠 화면(52)과 관련되어 저장된 태깅 메모들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방식과 같이 제1 태깅 메모(69) 및 제2 태깅 메모(62)가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링크되어 있는 경우 제1 태깅 메모(69) 및 제2 태깅 메모(62)가 링크되어 있음을 지시하기 위한 아이콘들을 동영상 컨텐츠 화면(52) 일측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1 태깅 메모(69) 및 제2 태깅 메모(62)를 지시하는 아이콘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태깅 메모(62)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803 화면에서와 같이 제2 태깅 메모(62)에 포함된 동영상 컨텐츠 화면(52)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제1 메모(63)를 화면 일측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2 태깅 메모(62) 선택에 따라 구성된 803 화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705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제2 태깅 메모(62) 정보를 확인하여 동영상 컨텐츠의 제목을 확인하여 어떠한 동영상 컨텐츠인지를 결정하고, 또한 제2 태깅 메모(62)에 포함된 동영상 컨텐츠 화면(52)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특정 화면이 803 화면과 같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40)에 출력되고 있는 특정 화면은 메모 저장 당시 일정 프레임으로 구성된 경우 사진 파일과 같이 정지 영상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에 출력되고 있는 특정 화면은 제1 메모(63) 생성 시 재생되고 있던 동영상 컨텐츠 화면(52)에 해당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제2 태깅 메모(62)가 선택되면 동영상 컨텐츠를 활성화하는 한편 화면 정보를 참조하여 어떠한 장면이 표시부(140)에 출력되고 있어야 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표시부(140) 출력 화면이 결정되면, 제어부(160)는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되 해당 화면 정보에 해당하는 장면에서 일시 정지된 형태로 재생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태깅 메모(62)에 포함된 제1 메모(63)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입력 신호 예를 들면 메모 작성기(60) 상에서 우측 플릭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805 화면에서와 같이 제1 태깅 메모(69)에 해당하는 화면이 표시부(14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태깅 메모(69)에 해당하는 화면은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다른 장면이 될 수 도 있으며, 제2 메모(68)는 해당 동영상 컨텐츠 화면(52) 장면 상에 출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태깅 메모(69)가 생성될 당시의 동영상 컨텐츠 재생 화면이 제1 태깅 메모(69) 활성화 시에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있고, 해당 재생 화면 상에 제2 메모(68)가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동영상 컨텐츠 화면(52) 상에 출력 중인 제1 태깅 메모(69)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805 화면이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모 기능 운용 지원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는 동영상 재생 중 메모를 작성하는 경우, 작성된 메모와 동영상 컨텐츠의 특정 화면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태깅 메모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깅 메모 검색 시 또는 특정 동영상 컨텐츠 활성화 시 태깅 메모 존재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태깅 메모가 작성될 시점의 화면이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하나의 메모에 하나의 화면이 매칭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어부(160)는 메모 작성 중 재생 중인 동영상 컨텐츠의 복수의 재생 화면을 수집하고, 수집된 복수의 재생 화면을 해당 메모에 태깅하여 태깅 메모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재생 화면이 포함된 태깅 메모가 선택된 경우, 메모의 배경으로 배치되는 재생 화면이 복수개 출력될 수 있도록 지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재생 화면은 일정 크기로 리사이징되어 멀티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부(140)에 출력되거나 일정 순서를 가지고 표시부(140) 상에 슬라이딩 또는 순환 방식 등으로 교번되게 출력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깅 메모 검색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태깅 메모 검색 기능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표시부(140)는 901 화면에서와 같이 태깅된 메모들을 포함하는 태깅 메모 검색 화면(51)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100)는 태깅 메모 검색을 위한 메뉴나 아이콘을 표시부(140)에 배치하거나 특정 키 버튼은 해당 기능을 위한 핫 키로 배정할 수 있다. 901 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태깅된 메모들은 일정 우선순위에 따라 배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해당 메모들이 생성된 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생성된 메모가 일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901 화면에서 특정 태깅 메모(64)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903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된 태깅 메모(64)에 대응하는 링크 메모 화면(44)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링크 메모 화면(44)은 태깅 메모(64)에 포함된 메모 정보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는 영역과 일정 위치에 태깅 정보 검색을 위한 링크 정보를 출력하는 링크 정보 영역(70)을 포함할 수 있다.
903 화면에서 사용자가 링크 정보 영역(70)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제어부(160)는 905 화면에서와 같이 태깅 메모(64) 생성 당시 수집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45)와 메모(61)를 표시부(140)에 동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링크 정보 영역(70)에 링크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45)를 저장부(150)를 이용하여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한 후 그에 대응하는 태깅 메모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45)는 메모 저장 시 수집된 아이템 화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링크 정보 영역(70)에 해당하는 화면 정보가 해당 사용자 기능과 독립적으로 별도 저장된 경우, 저장된 화면 정보만을 호출하여 메모(61)와 함께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901 화면에서 태깅 메모(64)가 선택되면 링크 메모 화면(44)이 출력되고, 링크 메모 화면(44)에서 링크 정보 영역(70)이 선택되면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45)와 메모(61)를 동시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901 화면에서 태깅 메모(64)가 선택되면 903 화면을 거치지 않고 905 화면으로 바로 진입할 수 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모 기능 운용 인터페이스는 태깅된 메모들을 검색하기 위한 태깅 메모 검색 화면(51)을 별도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작성한 다수의 태깅된 메모들을 일괄적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추가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태깅된 메모들을 검색하는 화면에서 각각의 메모들을 삭제할 수 있는 키를 해당 메모(61)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기능 운용 중 사용자 기능이 통화 기능인 경우 메모 생성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통화 기능을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로 태깅한 태깅 메모의 검색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타 휴대 단말기와 통화 중 상태에 해당하는 화면을 100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40)는 본 발명의 메모 작성 기능 지원을 위하여 메모 작성기(60)를 호출할 수 있는 메모 아이콘(55)을 화면 일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1001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는 메모 아이콘(55)을 선택하여 메모 작성을 시도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1003 화면에서와 같이 통화 중 화면 상태에서 메모 작성기(60)를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메모 작성기(60)는 앞서 설명한 메모 작성기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메모 작성기(60)가 호출되면 사용자는 메모 작성기(60)를 이용하여 1005 화면에서와 같이 특정 정보 기입을 수행하여 메모(61)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정보 기입이 완료되어 저장 입력 제어가 발생하면 해당 메모(61)는 표시부(140)에서 제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메모 작성기(60) 및 메모(61)가 제거되면 표시부(140)는 이전 화면 상태인 통화 중 화면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메모(61) 생성 시점에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사용자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로서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통화 중 화면을 캡쳐하여 해당 메모(61)에 자동 태깅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로서 현재 수행 중인 통화 기능에서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폰북 정보를 검색한 후, 이를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로서 해당 메모(61)에 자동 태깅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61)에 태깅되는 정보는 폰북에 기입된 정보에 따라 타 단말기 전화번호, 폰북에 기입된 이름, 생일, 주소, 이메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가 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메모를 생성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메모(61)와 관련된 현재 화면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 기능 수행에 필요한 일정 정보와 연관된 다른 정보들도 해당 메모(61)에 자동 태깅하여 저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태깅된 메모들을 검색하기 위하여 태깅 메모 검색 화면(51) 호출을 위한 입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특정 메뉴나 아이콘 또는 키 입력 신호를 활성화하여 1101 화면에서와 같이 태깅된 메모들이 포함된 태깅 메모 검색 화면(51)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태깅 메모 검색 화면(51)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특정 태깅 메모(6)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특정 태깅 메모(6) 상에서 기 설정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1103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된 태깅 메모(6)에 대응하는 링크 메모 화면(7)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링크 메모 화면(7)에 출력되는 정보는 생성된 메모에 포함된 정보뿐만 아니라 메모(61) 저장 시 함께 저장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즉 링크 메모 화면(7)은 생성된 메모(61)의 내용 정보 영역(8)과 태깅된 폰북 정보 영역(9), 태깅 메모 화면 출력을 위한 링크 정보 영역(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메모 화면(7)에서 링크 정보 영역(70)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1105 화면에서와 같이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46)와 메모(61)를 표시부(140)에 동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105 화면은 1101 화면에서 태깅 메모(6)가 선택되는 경우 1103 화면을 거치지 않고 바로 출력될 수 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기능 운용 인터페이스는 메모 작성 시 활성화되고 있는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 정보를 작성된 메모에 자동으로 태깅하여 저장하도록 지원한다. 한편, 본 발명의 메모 기능 운용이 적용되는 사용자 기능은 사진 검색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통화 기능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메모 기능 운용이 적용되는 사용자 기능은 웹 검색 기능, 문서 작성 및 열람 기능, 게임 기능, 달력 기능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웹 서버 접속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검색하고자 하는 특정 웹 페이지를 해당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웹 페이지 검색을 수행하면서 특정 정보를 메모하고자 할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메모 작성기 호출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메모가 작성되어 저장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메모 생성 시점의 웹 페이지 정보를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로서 수집하여 해당 메모에 자동 태깅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 설정 등에 따라 복수의 웹 페이지 수집을 수행할 수 도 있다. 즉 사용자가 메모 작성 중 웹 페이지 전환을 수행하여 다양한 웹 페이지를 검색한 경우, 메모 저장 시 전환된 웹 페이지들 전체를 해당 메모에 자동 태깅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기반으로 문서 작성 및 열람 기능을 운용할 수 있으며, 이 과정 중에 메모 작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100)는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의 페이지 및 라인 정보를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로서 수집하여 해당 메모에 자동 태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활성화되어 있는 모든 문서의 페이지 및 라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들을 해당 메모에 자동 태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서 관련 생성된 태깅 메모가 검색을 위해 선택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해당 메모에 포함된 문서들을 모두 호출하고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페이지의 특정 라인들이 표시부(14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기(100)는 메모 작성기가 호출된 시점에서 표시부(140) 최상위 레이어에 출력되고 있는 문서 즉 적어도 일부 영역이 메모 작성기와 함께 표시부(140)에 출력되고 있는 문서의 페이지 및 라인 정보만을 수집하여 해당 메모에 태깅할 수 있다. 이 경우 태깅 메모 검색 시 휴대 단말기(100)는 해당 메모에 태깅된 하나의 문서만 호출하여 특정 페이지 및 특정 라인의 화면이 표시부(140)에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모든 문서를 태깅하거나 하나의 문서만을 태깅하거나, 또는 일정 개수의 문서만을 태깅하도록 하는 설정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는 이 설정 세팅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게임 기능을 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게임 기능 운용 중에 메모 작성을 시도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100)는 현재 게임 상태는 일시 정지 상태로 전환하고 메모 작성기를 호출하여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메모 작성이 완료되면, 일시 정된 게임의 현재까지의 진행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메모에 자동 태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게임의 공략집을 손쉽게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00)는 게임을 일시 정지시키지 않고 메모 작성기 호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메모 작성이 완료된 시점까지 진행 중인 게임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메모에 태깅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사용자는 또한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달력 기능을 기반으로 다양한 스케줄 정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달력 기능을 운용하면서 메모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100)는 달력 화면이 표시부(140)에 출력된 상태에서 메모 작성기를 표시부(140)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 작성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메모 작성 시점에 지시되고 있는 달력의 날짜 정보 및 해당 날짜에 기입된 정보를 작성된 메모에 태깅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작성된 메모를 해당 달력에 현재 지시된 날짜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달력을 확인하면서 특정 날짜에 작성된 메모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00)는 달력 화면에서 메모가 있는 날짜를 다른 날짜들과 구분될 수 있도록 일정 색인을 해당 날짜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가 달력 기능으로 작성된 태깅 메모가 확인을 위하여 검색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해당 메모에 태깅된 정보를 기반으로 달력 기능을 활성화한 후 메모가 작성된 날짜에 대응하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작성된 메모를 활성화하여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고, 이후 사용자 제어에 따라 해당 메모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모 기능은 태깅된 메모들을 전체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도, 각 사용자 기능 활성화 시 해당 사용자 기능과 관련하여 저장된 태깅 메모들을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생성한 메모들을 쉽게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메모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터치스크린 150 : 저장부
151 : 메모 지원 프로그램 153 : 메모 DB
160 : 제어부 161 : 메모 출력 지원부
163 : 메모 작성 지원부 165 : 메모 저장 제어부

Claims (22)

  1. 휴대 단말기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모가 작성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 정보, 오디오 정보 및 사용자 기능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상기 메모에 태깅하여 태깅 메모로 저장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 화면에 상기 태깅 메모의 존재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메모의 활성화 화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에 관한 링크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의 활성화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링크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 기능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 메모를 검색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입력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화면 정보, 오디오 정보 및 사용자 기능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상기 링크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 기능 운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 메모를 검색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입력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 및 상기 메모를 상기 표시부에 동시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 기능 운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 및 상기 메모를 상기 표시부에 동시에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 중 상기 메모 생성 시 수집된 상기 화면 정보를 상기 메모와 동시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 기능 운용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선택 시,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 및 상기 메모를 표시부에 동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 기능 운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선택 시, 상기 메모 및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화면 정보, 오디오 정보 및 사용자 기능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상기 링크 정보를 동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 기능 운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링크 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 기능 운용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입력 신호 발생에 따라 상기 태깅 메모들을 리스트 형태로 배치하거나 멀티 썸네일 형태로 배치한 태깅 메모 검색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 기능 운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 메모 검색 화면에서 특정 태깅 메모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해당 태깅 메모에 포함된 메모 정보와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동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 기능 운용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 메모 검색 화면에서 특정 태깅 메모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해당 태깅 메모에 포함된 메모 정보와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 또는 오디오 정보 출력이 링크된 상기 링크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동시 출력하는 과정; 또는
    상기 태깅 메모 검색 화면에서 특정 태깅 메모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해당 태깅 메모에 포함된 메모 정보와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 또는 오디오 정보 출력이 링크된 상기 링크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동시 출력하고 상기 링크 정보의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상기 메모 정보와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동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 기능 운용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능이 통화 기능인 경우, 메모 생성 시 통화 중 화면 정보, 통화 중인 상대 단말기 관련 폰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능이 동영상 기능인 경우, 메모 작성 시작 시점과 메모 저장 시점 및 상기 메모 작성 시작 시점에서 상기 메모 저장 시점 사이의 적어도 한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기능이 웹 접속 기능인 경우, 메모 작성 중 실행 중인 웹 페이지 정보, 메모 작성 시작에서 저장 사이에 페이지 전환 발생 시 전환된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정보, 메모 작성 시작에서 저장 사이에 페이지 전환 발생 시 전환된 웹 페이지 중 마지막에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웹 페이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능이 문서 기능인 경우,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모든 문서의 페이지 및 상기 표시부에 출력 중인 라인 정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모든 문서 중 메모 작성 직전에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고 있는 문서의 페이지 및 상기 표시부에 출력 중인 라인 정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모든 문서 중 기 설정된 일정 개수의 문서의 페이지 및 상기 표시부에 출력 중인 라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기능이 달력 기능인 경우, 현재 지정되고 있는 날짜의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능이 이미지 검색 기능인 경우,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사진의 제목 정보, 저장부에서의 사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기능이 게임 기능인 경우, 상기 메모 작성 시작 시점 또는 상기 메모 저장 시점까지 진행된 게임 진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 기능 운용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능의 제목 정보;
    메모 작성 시작 시점, 메모 저장 시점, 상기 메모 작성 시작 시점부터 상기 메모 저장 시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서 획득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 화면 정보; 및
    상기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 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 기능 운용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태깅 메모를 선택 후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태깅 메모를 편집하는 과정; 또는
    상기 저장된 태깅 메모를 선택 후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태깅 메모를 삭제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 기능 운용 방법.
  15. 메모 기능 운용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저장부;
    표시부;
    입력부; 및
    상기 저장부, 표시부 및 입력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모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 정보, 오디오 정보 및 사용자 기능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상기 메모에 태깅하여 태깅 메모로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 화면에 상기 태깅 메모의 존재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메모의 활성화 화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에 관한 링크 정보를 표시하고, 및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의 활성화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링크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깅 메모를 검색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화면 정보, 오디오 정보 및 사용자 기능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상기 링크 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 및 상기 메모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 선택 시,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 및 상기 메모를 동시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아이콘 선택 시, 상기 메모 및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화면 정보, 오디오 정보 및 사용자 기능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상기 링크 정보를 동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링크 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갱신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신호 발생에 따라 상기 태깅 메모들을 리스트 형태로 배치하거나 멀티 썸네일 형태로 배치하고,
    상기 태깅 메모 검색 화면에서 특정 태깅 메모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해당 태깅 메모에 포함된 메모 정보와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를 동시 출력하고, 및
    상기 태깅 메모 검색 화면에서 특정 태깅 메모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해당 태깅 메모에 포함된 메모 정보와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 또는 오디오 정보 출력이 링크된 상기 링크 정보를 동시 출력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능이 통화 기능인 경우, 메모 생성 시 통화 중 화면 정보, 통화 중인 상대 단말기 관련 폰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능이 동영상 기능인 경우, 메모 작성 시작 시점과 메모 저장 시점 및 상기 메모 작성 시작 시점에서 상기 메모 저장 시점 사이의 적어도 한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기능이 웹 접속 기능인 경우, 메모 작성 중 실행 중인 웹 페이지 정보, 메모 작성 시작에서 저장 사이에 페이지 전환 발생 시 전환된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정보, 메모 작성 시작에서 저장 사이에 페이지 전환 발생 시 전환된 웹 페이지 중 마지막에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웹 페이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능이 문서 기능인 경우,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모든 문서의 페이지 및 상기 표시부에 출력 중인 라인 정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모든 문서 중 메모 작성 직전에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고 있는 문서의 페이지 및 상기 표시부에 출력 중인 라인 정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모든 문서 중 기 설정된 일정 개수의 문서의 페이지 및 상기 표시부에 출력 중인 라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기능이 달력 기능인 경우, 현재 지정되고 있는 날짜의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능이 이미지 검색 기능인 경우,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이미지의 제목 정보, 상기 저장부에서의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기능이 게임 기능인 경우, 상기 메모 작성 시작 시점 또는 상기 메모 저장 시점까지 진행된 게임 진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능 활성화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능의 제목 정보;
    메모 작성 시작 시점, 메모 저장 시점, 상기 메모 작성 시작 시점부터 상기 메모 저장 시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서 획득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 화면 정보; 및
    상기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 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태깅 메모를 선택 후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태깅 메모를 편집하거나, 또는
    상기 저장된 태깅 메모를 선택 후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태깅 메모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1020110059499A 2011-02-11 2011-06-20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727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112013020547A BR112013020547A2 (pt) 2011-02-11 2012-02-09 método de operação para função de memorando e terminal portátil suportando a mesma
EP12154756A EP2487584A3 (en) 2011-02-11 2012-02-09 Operation method for memo function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A2826929A CA2826929A1 (en) 2011-02-11 2012-02-09 Operation method for memo function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PCT/KR2012/000952 WO2012108697A2 (en) 2011-02-11 2012-02-09 Operation method for memo function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RU2013137430/08A RU2013137430A (ru) 2011-02-11 2012-02-09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для функции заметок и поддерживающего ее портативного терминала
MX2013009267A MX2013009267A (es) 2011-02-11 2012-02-09 Metodo de operacion para la funcion de recordatorio y terminal portatil que soporta el mismo.
JP2013553360A JP6129749B6 (ja) 2011-02-11 2012-02-09 メモ機能の運用方法及びこれを支援する携帯端末機
US13/369,683 US20120210201A1 (en) 2011-02-11 2012-02-09 Operation method for memo function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2012100311590A CN102693259A (zh) 2011-02-11 2012-02-13 提供备忘录功能的方法和支持所述方法的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63115P 2011-02-11 2011-02-11
US61/463,115 2011-0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752A KR20130052752A (ko) 2013-05-23
KR101727927B1 true KR101727927B1 (ko) 2017-04-18

Family

ID=4866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499A Expired - Fee Related KR101727927B1 (ko) 2011-02-11 2011-06-20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1727927B1 (ko)
BR (1) BR112013020547A2 (ko)
CA (1) CA2826929A1 (ko)
MX (1) MX2013009267A (ko)
RU (1) RU201313743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8465B (zh) * 2016-05-13 2020-03-03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流式文档的截图类笔记处理的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8753A1 (en) * 2002-02-01 2003-08-0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note related to a phone call
US20070106931A1 (en) * 2005-11-08 2007-05-10 Nokia Corporation Active notes application
KR100829583B1 (ko) * 2006-12-07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 통화 내용을 자동으로 메모하는 방법 및 장치, 통화목록 표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8753A1 (en) * 2002-02-01 2003-08-0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note related to a phone call
US20070106931A1 (en) * 2005-11-08 2007-05-10 Nokia Corporation Active notes application
KR100829583B1 (ko) * 2006-12-07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 통화 내용을 자동으로 메모하는 방법 및 장치, 통화목록 표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26929A1 (en) 2012-08-16
RU2013137430A (ru) 2015-02-20
BR112013020547A2 (pt) 2016-10-18
KR20130052752A (ko) 2013-05-23
JP6129749B2 (ja) 2017-05-17
JP2014505314A (ja) 2014-02-27
MX2013009267A (es)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460B1 (ko)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20120210201A1 (en) Operation method for memo function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8984389B2 (en) Mobile terminal for setting bookmarking area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44903B1 (ko)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1291496B (zh) 使用移动通信终端编辑数据
US8400414B2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and mobile terminal thereof
US10379728B2 (en)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ducting searches on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JP2013542482A (ja) マルチタッチによるリストデータ出力制御方法及びこれを支援する携帯端末機
JP7393541B2 (ja) ビデオ表示方法、電子機器及び媒体
US2011003959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ding sound annotation to picture and for highlighting on photos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evices
KR10223853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4527238A (ja) 携帯端末機の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及び装置
KR101631101B1 (ko) 휴대단말의 폰북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66708B1 (ko)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WO201101946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ding sound annotation to picture and for highlighting on photos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evices
KR101727927B1 (ko)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6129749B6 (ja) メモ機能の運用方法及びこれを支援する携帯端末機
KR20130132189A (ko) 인물 사진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2010224896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データ再生方法
Salama et al. Talking Memories: Android Mobile Accessible Camera Application for Blind and Low-Vision Users
AU2012214976A1 (en) Operation method for memo function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6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