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40649A -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 Google Patents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649A
KR20220040649A KR1020200123586A KR20200123586A KR20220040649A KR 20220040649 A KR20220040649 A KR 20220040649A KR 1020200123586 A KR1020200123586 A KR 1020200123586A KR 20200123586 A KR20200123586 A KR 20200123586A KR 20220040649 A KR20220040649 A KR 20220040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cutting
user
protection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5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현지
Original Assignee
최현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지 filed Critical 최현지
Priority to KR102020012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649A/en
Publication of KR20220040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649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6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2Table-kn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질시 사용자의 손가락을 보호하면서 사용자의 손이 식재료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식재료를 잡아주기 위한 잡음판; 상기 잡음판의 일측단에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칼질시 칼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판; 및 상기 잡음판의 일측 상부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보호하기 위한 손가락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for preventing a user's hand from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food while protecting the user's finger when cutting, comprising: a noise plate for holding food; a guide plate extending upwardly at one end of the noise plate to guide the knife when cutting; and a finger insertion groove formed on one upper surface of the noise plate to insert and protect a user's finger.

Description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본 발명은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칼질시 사용자의 손가락을 보호하면서 사용자의 손이 식재료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for preventing a user's hand from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food while protecting the user's finger when cutting.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각종 요리를 위해 사용되는 식칼(kitchen knife)은 식재료를 절단하기 위해 날카로운 칼날을 가지므로, 칼질시 부주의나 실수로 인하여 식재료를 잡고 있는 손의 손가락을 베게 될 위험이 있었다.In general, a kitchen knife used for various dishes in the kitchen has a sharp blade for cutting ingredients, so there is a risk of cutting the finger of a hand holding the ingredient due to carelessness or mistake when cutting.

최근 외식 산업의 다양화와 음식에 대한 다양한 정보로 외식 산업이 발전하여 요리를 배우는 학생이나 주부들이 많이 늘고 있고 있음에 따라, 이러한 위험을 개선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as the restaurant industry has developed with the diversification of the restaurant industry and various information on food, the number of students or housewives learning to cook is increasing.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2104호(2001.05.15 등록)는 칼질용 손 보호기구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칼날의 왕복이 일어나는 손가락의 전면에 칼날이 손가락과 접촉이 되지 않게 사각의 플라스틱 판을 형성하고, 손가락이 움직임과 동시에 플라스틱 판이 움직여질 수 있도록 손가락과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ABS수지의 물렁한 원통형 패킹을 플라스틱 판과 일체화가 되게 구성하며, 야채류를 잡을때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비스듬히 끼워질 수 있도록 바닥과 수직된 상태의 플라스틱 판과는 30°가량 기울게 하고 세로방향으로 각각 절단된 상태의 원통형 패킹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32104 (registered on May 15, 2001) describes a hand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a square plastic plat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nger where the blade reciprocation occurs so that the blade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nger, and the ABS resin The soft cylindrical packing is configured to be integrated with the plastic plate, and it is tilted about 30° from the vertical plastic plate so that the fingers can fit naturally at an angle when holding vegetabl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titutes the packing.

한국등록특허 제10-1406694호(2014.06.04 등록)는 손가락 보호용 주방 칼 보호용구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도마 위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서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식재료를 썰기 위한 주방용 칼과 맞닿아 주방용 칼이 썰리는 방향으로 넘어와 손가락을 다치지 않게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칼 지지대와; 상기 거치대에 일측에 결합되어 손가락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가락 파지구를 포함하는 손가락 보호용 주방 칼 보호용구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파지구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그 끝단부가 고리 형태로 굴곡지도록 형성되어 파지되는 손가락 엄지를 안정되게 받쳐주도록 형성되는 손가락 걸이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06694 (registered on Jun. 4, 2014) describes a kitchen knife protector for finger protection, and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a holder erected vertically on a cutting board; a knife support that is coupled to be fit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er and is installed to protect a finger from being cros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kitchen knife is cut in contact with a kitchen knife for slicing ingredients; In the kitchen knife protection tool for finger protection comprising a finger gripp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lder and formed to grip a finger, the finger gripper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inger gripper, and its end is formed to be bent in a ring sha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further include a finger hook formed to stably support the thumb of the finger gripped.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칼질용 손 보호기구 또는 손가락 보호용 주방 칼 보호용구는, 플라스틱 판 및 지지대를 통해 손가락을 어느 정도 보호할 수는 있으나, 손가락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칼질시 칼날과 손가락이 맞닿아 여전히 다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며, 칼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식재료를 잡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위생상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hand protector for cutting or kitchen knife protector for finger protection can protect the finger to some extent through the plastic plate and the support, but since the finger is exposed, the blade and the finger are in contact with the knife when cutting. There is still a risk of injury, and in order to cut, the user has to hold the ingredients by hand, so there are several hygiene problems.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2104호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32104 한국등록특허 제10-1406694호Korean Patent No. 10-140669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가락 삽입홈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칼질시 칼로부터 손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잡음판이 식재료를 잡아주어 사용자의 손이 식재료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the user's finger into the finger insertion groove to safely protect the finger from the knife when cutting, and the noise plate holds the food material so that the user's hand Provided is a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to prevent direct contact with food.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식재료를 잡아주기 위한 잡음판; 상기 잡음판의 일측단에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칼질시 칼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판; 및 상기 잡음판의 일측 상부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보호하기 위한 손가락 삽입홈을 포함하는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ise plate for holding food; a guide plate extending upwardly at one end of the noise plate to guide the knife when cutting; and a finger insertion groove formed on one upper surface of the noise plate to insert and protect a user's fing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잡음판은, 일측 하부면에 형성되어, 식재료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noise plat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잡음판의 하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식재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t is formed concave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nois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groove for fixing the foo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잡음판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식재료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nois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on-slip portion for preventing the food material from slipp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잡음판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을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nois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nd for fixing the user's han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가락 삽입홈의 내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t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finger insertion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further comprises a gripping portion for gripping by hand.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 삽입홈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손가락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칼과 손가락의 접촉을 차단하여 칼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을 보호하여 누구나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the user's finger into the finger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fing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ntact between the knife and the finger is blocked to protect the user's finger from the knife, so that anyone can safely use it.

본 발명에 의하면, 잡음판을 통해 식재료를 잡아줌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식재료와 직접 접촉하지 않아 위생적이고,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olding the food material through the noise board, the user's hand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food material, so it is hygienic and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llergic contact dermatitis.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판을 통해 칼을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함으로써, 초보자들도 힘 들이지 않고 일정하게 식재료를 자를 수 있도록 하며, 칼이 사용자의 손가락 쪽으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guiding the knif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guide plate, even beginners can cut ingredients without effort, and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safety by preventing the knife from falling over to the user's finger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vice for protecting a finger for cutt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of a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not intended to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any of them.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vice for protecting a finger for cutt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evice for protecting a finger for cutt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10)는, 잡음판(100), 가이드판(200), 손가락 삽입홈(300)을 포함한다.1 to 2 , the finger protection device 10 for cutting includes a noise plate 100 , a guide plate 200 , and a finger insertion groove 300 .

잡음판(100)은, 칼질하기 위한 식재료(예를 들어, 채소, 고기 등)의 상부에 올려놓아 칼질시 식재료를 잡아준다.The noise plate 100 is placed on top of the ingredients for cutting (eg, vegetables, meat, etc.) to hold the ingredients when cutting.

일 실시 예에서, 잡음판(100)은,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식재료를 받쳐주기 위한 도마로 사용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oise plate 1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the corners may be formed to be rounded, and may be used as a cutting board for supporting food materials.

일 실시 예에서, 잡음판(100)은, 탄력이 있는 재질(예를 들어, 실리콘 등)로 형성되어, 식재료를 잡을 때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압력을 가하면 식재료의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이면서 식재료를 꽉 잡아줄 수 있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noise plate 100 is formed of a resilient material (eg, silicone, etc.), and when the user applies pressure with a finger when holding the food material, it flexibly mov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ood material and tightens the food material. to be able to catch you

또한, 과일의 껍질을 깎을 때 잡음판(100)으로 과일을 잡은 상태에서 깎아낼 수 있으므로, 맨손으로 과일을 잡지 않아도 되어 위생적이고 피부 알레르기를 예방할 수 있으며, 과일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ut the fruit while holding the fruit with the noise plate 100 when peeling the fruit, it is hygienic and prevents skin allergies as it is not necessary to hold the fruit with bare hands, and it provides various effects such as preventing the fruit from slipping can do.

일 실시 예에서, 잡음판(100)은, 일측 하부면에 형성되어, 식재료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식재료를 직접 손으로 만지지 않더라도 식재료의 온도를 파악하여 적절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In an embodiment, the noise plate 100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med on one lower surface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food material. In other words, even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touch the ingredients, the temperature of the ingredients can be grasped and the ingredients can be properly cooked.

가이드판(200)은, 잡음판(100)의 일측단에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칼질시 칼을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해준다.The guide plate 200 is formed to extend upwardly at one end of the noise plate 100, and guides the knif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cutting.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판(200)은, 잡음판(100)의 일측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거나,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5 내지 30°)로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guide plate 200 may be formed vertically upward from one end of the noise plate 100 or may be formed obliquely at a preset angle (eg, 5 to 30°).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판(200)은, 칼을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초보자들도 쉽게 칼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칼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막아줄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guide plate 200 guides the knif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even beginners can easily cut the knife, and can prevent the knife from pass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s finger is positioned.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판(20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시야를 차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guide plate 2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not to block the user's view.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판(200)은, 후술할 손가락 삽입홈(300)의 가로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잡음판(100)의 중앙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며, 가로 길이가 잡음판(100)의 일측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uide plate 200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inger insertion groove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noise plate 100, and the horizontal length is the noise plate ( 100) may be formed to extend to the same length as the one side length.

손가락 삽입홈(300)은, 잡음판(100)의 일측 상부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보호한다.The finger insertion groove 3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noise plate 100 to insert and protect the user's finger.

일 실시 예에서, 손가락 삽입홈(300)은,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 등)로 형성되어, 만약 칼이 넘어오더라도 칼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nger insertion groove 300 is formed of a hard material (eg, stainless steel, etc.), so that even if the knife comes over, it is possible to safely protect the user's finger from the knife.

일 실시 예에서, 손가락 삽입홈(300)은, 5개의 손가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nger insertion groove 300 is formed so that any one or more fingers among the five fingers can be inserted, preferably, as shown in the drawing, to be formed so that one finger can be inserted. ca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10)는, 도 3에 있는 사용상태도와 같이, 잡음판(100)을 식재료(20)의 상부에 위치시켜 잡아주고 손가락을 손가락 삽입홈(300)에 삽입한 후, 칼(30)을 가이드판(200)에 대고 상하로 칼질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The finger protection device 10 for cutting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e usage state diagram in FIG. 3 , holds the noise plate 10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od material 20 and inserts the finger into the finger insertion groove 300 ), the knife 30 can be applied to the guide plate 200 to perform cutting up and down.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이 손가락 삽입홈(300)에 삽입되어, 손가락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칼과 손가락의 접촉이 차단되어, 칼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s finger is inserted into the finger insertion groove 300, the fing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knife and the finger is blocked, it is possible to safely protect the user's finger from the knife.

또한, 잡음판(100)을 통해 식재료를 잡아줌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식재료와 직접 접촉하지 않아 위생적이고,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가이드판(200)을 통해 칼을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함으로써, 초보자들도 힘 들이지 않고 일정하게 식재료를 자를 수 있도록 하며, 칼이 사용자의 손가락 쪽으로 넘어오는 것 자체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holding the food material through the noise plate 100 , the user's hand does not com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ood material, so it is hygienic, an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can be prevented, and the knife is gu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guide plate 200 . By doing so, even beginners can cut ingredients consistently without effort, and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mprove safety by preventing the knife from falling over to the user's finger.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10)는, 잡음판(100), 가이드판(200), 손가락 삽입홈(300), 고정홈(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잡음판(100), 가이드판(200), 손가락 삽입홈(3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10 includes a noise plate 100 , a guide plate 200 , a finger insertion groove 300 , and a fixing groove 400 . Here, the noise plate 100 , the guide plate 200 , and the finger insertion groove 300 are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FIG. 1 , and thus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nly other parts will be described below.

고정홈(400)은, 잡음판(100)의 하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식재료를 고정시킨다.The fixing groove 400 is concave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noise plate 100 to fix the food material.

일 실시 예에서, 고정홈(400)은, 둥근 식재료(예를 들어, 양파, 애호박 등)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시켜줌으로써, 칼질시 식재료가 움직이거나 자리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xing groove 400, by inserting and fixing a part of the round food material (eg, onion, zucchini, etc.),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od material from moving or leaving the seat when cutting.

일 실시 예에서, 고정홈(400)은, 잡음판(100)의 하부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잡음판(100)의 일측 하부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xing groove 400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noise plate 100 , and may be formed only on one lower surface of the noise plate 100 if necessary.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10)는, 미끄럼방지부(50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finger protection device 10 for cutting further includes an anti-slip part 500 .

미끄럼방지부(500)는, 잡음판(10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칼질시 식재료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따라서 마늘 등과 같이 칼질시 쉽게 미끄러지는 식재료를 고정시켜 초보자들도 용이하게 칼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non-slip part 50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noise plate 100, and prevents the sliding of the food material when cutting. Therefore, ingredients that slide easily when cutting, such as garlic, are fixed so that even beginners can easily perform cutting.

일 실시 예에서, 미끄럼방지부(500)는, 실리콘, 고무 패드 또는 복수개의 엠보싱 돌기 등 다양한 미끄럼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nti-slip unit 500 may be formed of various anti-slip means such as silicone, rubber pads, or a plurality of embossing protrusions.

일 실시 예에서, 미끄럼방지부(500)는, 잡음판(100)의 하부면 전체에 형성되거나, 잡음판(100)의 하부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non-slip part 500 may be formed on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noise plate 100 or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noise plate 100 .

일 실시 예에서, 미끄럼방지부(500)는, 잡음판(100)의 하부면에 고정홈(400)이 구비된 경우, 고정홈(400)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the non-slip part 500 may be formed in the fixing groove 400 when the fixing groove 40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noise plate 100 .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10)는, 밴드부(60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finger protection device 10 for cutting further includes a band unit 600 .

밴드부(600)는, 잡음판(100)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을 고정시킨다.The band unit 60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noise plate 100 to fix the user's hand.

일 실시 예에서, 밴드부(600)는, 고무 밴드로서, 신축에 의해 사용자의 손등 또는 손목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손등 또는 손목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잡아주어 손가락이 손가락 삽입홈(300)으로부터 빠지거나 들뜨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nd part 600 is a rubber band, which is fixed to the back of the user's hand or wrist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and holds the user's hand so that it does not flow down from the back or wrist of the user so that the finger does not fall out or lift off from the finger insertion groove 300 . It can be fixed without

일 실시 예에서, 밴드부(600)는, 벨크로 등 길이 조절 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 크기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the band unit 600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ing means such as Velcro, and may be used by adjust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hand.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10)는, 파지부(70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 the finger protection device 10 for cutting further includes a gripping unit 700 .

파지부(700)는, 손가락 삽입홈(3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grip part 700 is formed inside the finger insertion groove 300, and allows the user to grip it by hand.

이때, 손가락 삽입홈(300)은, 사용자의 5개의 손가락 모두를 삽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nger insertion groove 300 may be formed to insert all five fingers of the user.

즉, 도 8의 사용상태도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 삽입홈(300)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파지부(700)를 움켜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칼질시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삽입홈(300)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며, 파지부(700)를 잡고 잡음판(100)을 필요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the usage state diagram of FIG. 8 , the user inserts a finger into the finger insertion groove 300 to grasp the grip portion 700 , thereby providing an excellent fit and inserting the user's ha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knife. It is not easily removed from the groove 300 , and the noise plate 100 can be moved in a required direction by holding the gripper 700 .

일 실시 예에서, 파지부(70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계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gripper 700 may be formed in an egg shape so that a user can easily grip it.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or operation method, but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etc. It may be implemented, and such an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n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d f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10 :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
100 : 잡음판
200 : 가이드판
300 : 손가락 삽입홈
400 : 고정홈
500 : 미끄럼방지부
600 : 밴드부
700 : 파지부
10: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100: noise board
200: guide plate
300: finger insertion groove
400: fixed groove
500: non-slip part
600: band part
700: grip part

Claims (5)

식재료를 잡아주기 위한 잡음판;
상기 잡음판의 일측단에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칼질시 칼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판; 및
상기 잡음판의 일측 상부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보호하기 위한 손가락 삽입홈을 포함하는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
Noise board for holding food;
a guide plate extending upwardly at one end of the noise plate to guide the knife when cutting; and
A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which is formed on one upper surface of the noise plate and includes a finger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and protecting a user's fi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판의 하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식재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concave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noise plate, further comprising a fixing groove for fixing the food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판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식재료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noise plate, the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nti-slip part for preventing the food from slipp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판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을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noise plate,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nd for fixing the user's h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삽입홈의 내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질용 손가락 보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ormed inside the finger insertion groove, the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ripping portion for the user to grip by hand.
KR1020200123586A 2020-09-24 2020-09-24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Ceased KR202200406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586A KR20220040649A (en) 2020-09-24 2020-09-24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586A KR20220040649A (en) 2020-09-24 2020-09-24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649A true KR20220040649A (en) 2022-03-31

Family

ID=8093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586A Ceased KR20220040649A (en) 2020-09-24 2020-09-24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064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74399A (en) * 2022-05-27 2023-12-07 晴彦 平岡 Chopping boar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104Y1 (en) 2001-01-16 2001-07-19 엄승훈 The finger protector for chopping
KR101406694B1 (en) 2012-11-29 2014-06-17 김현민 Protection device against knif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104Y1 (en) 2001-01-16 2001-07-19 엄승훈 The finger protector for chopping
KR101406694B1 (en) 2012-11-29 2014-06-17 김현민 Protection device against knif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74399A (en) * 2022-05-27 2023-12-07 晴彦 平岡 Chopping 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320B2 (en) Blade grip for a knife and method of use
KR20220040649A (en)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cutting
US20150075011A1 (en) Vegetable peeler
KR20220053026A (en) tongs tool
JP5985096B1 (en) Ring prosthesis
US20130305935A1 (en) Peeler
KR101852157B1 (en) A hand protector
JP4848055B2 (en) Cooking grip
KR101406694B1 (en) Protection device against knife
US10856699B2 (en) Cutting board
JP2018050713A (en) Finger tongs
WO2018075101A1 (en) Finger protection shield
JP3200827U (en) kitchenware
JP6559550B2 (en) Food cooker for manual cooker
US20190224875A1 (en) Safety Knife Device
KR101458319B1 (en) Can opener
KR200387986Y1 (en) Cooking vessel tongs
CN220275478U (en) Get a set clamp convenient to stabilize centre gripping
JP3094407U (en) Holder
KR101633021B1 (en) a knife protecting finger
JP4956326B2 (en) Slicer with presser
EP3801161B1 (en) Multi-purpose holding device and method for use of the same
JP3548154B2 (en) Peeler
KR200377364Y1 (en) Hygienic kitchen board using both faces
JP3202403U (en) Pee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3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1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