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090A - 자율 출차 시스템 및 자율 출차 방법 - Google Patents
자율 출차 시스템 및 자율 출차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9090A KR20220039090A KR1020200121745A KR20200121745A KR20220039090A KR 20220039090 A KR20220039090 A KR 20220039090A KR 1020200121745 A KR1020200121745 A KR 1020200121745A KR 20200121745 A KR20200121745 A KR 20200121745A KR 20220039090 A KR20220039090 A KR 202200390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vehicle
-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boar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8—Rendez-vous, i.e. searching a destination where several users can meet, and the routes to this destination for these users; Ride sharing, i.e. searching a route such that at least two users can share a vehicle for at least part of the rou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2—Automatically operated car-par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2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operations
- B60W60/00253—Taxi oper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7—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where the control system corrects or modifies a request from the dri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09—Driver authorisation; Driver identity che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63—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64—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using a remote, e.g. cordless, transmitter or receiver unit, e.g. remote keypad or mobile pho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043—Identity of occupa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049—Number of occupa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15—Selection or confirmation of op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20—Ambient conditions, e.g. wind or ra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10—Historical dat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된 차량의 출차 시, 사용자를 파악하여 사용자 기반 승차 위치를 제안하고 사용자 맞춤형 자율 출차를 제어하는 차량의 자율 출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통신단말과; 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차량의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출차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승차 위치로 상기 차량의 출차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자율 출차 시스템 및 자율 출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된 차량의 출차 시, 사용자를 파악하여 사용자 기반 승차 위치를 제안하고 사용자 맞춤형 자율 출차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자율 주행 기술은 운전자가 직접 브레이크, 핸들 및 가속 페달 등을 제어하지 않아도 차량이 스스로 주변 환경 및 차량 상태를 인식, 판단 및 제어하여 주행하는 기술이다.
디지털 키 기술은 스마트폰으로 차량의 문을 열고 잠그는 것은 물론 시동까지 걸 수 있는 새로운 자동차 키 기술이다. NFC기술을 활용해서 운전석 외부 손잡이에 잠금을 푼 스마트폰을 터치하면 차량의 문의 잠금이 해제된다.
그러나, 디지털 키를 사용해도 차량의 출차를 수행하기 위해서 직접 주차장까지 가서 스마트폰을 태그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자율 주행 기술과 디지털 키의 사용자 인증의 기술을 접목시켜, 사용자가 출차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 기반 승차 위치를 결정해서 자율 주행으로 출차하여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율 출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사용자를 기반으로 맞춤형 승차 위치를 결정하고, 승차 위치로 자율 출차하는 자율 출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사용자의 과거 출차 이력을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자율 출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날씨 정보를 고려하여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자율 출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사용자에게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자율 출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승차 인원 또는 화물의 정보를 고려하여 출차를 수행하는 자율 출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율 출차 시스템은 사용자의 통신단말; 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차량의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출차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승차 위치로 상기 차량의 출차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은, 사용자 인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수단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승차 위치 후보를 선정하고, 상기 승차 위치 후보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별 승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과거 승차 이력을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과거 승차 이력을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에 사용자가 승차하면 상기 사용자별 승차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AVN을 통해 얻은 날씨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승차 인원의 정보 또는 화물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차 인원 또는 상기 화물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승차하거나 상기 화물을 싣기 편리하다고 판단되는 상기 차량 주변의 여유 공간 또는 상기 차량의 트렁크의 방향을 고려하여 주차 또는 정차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좌석 위치, 에어컨, 라디오 및 운전대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환경을 세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승차를 원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승차 위치로 출차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차 중에 상기 날씨와 다른 날씨가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및 상기 다른 날씨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승차 위치 후보를 선정하고, 상기 승차 위치 후보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재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차를 완료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단말에 출차를 완료했다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차를 완료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승차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단말에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단말을 통해 상기 차량이 현재 위치에서 대기할지 아니면 원래 주차 위치로 복귀 후 주차할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획득하고, 상기 선택에 따라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방법은, 통신단말로부터 차량의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차 요청에 따라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승차 위치로 상기 차량의 출차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은, 사용자 인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출차 요청에 따라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증수단을 통해 파악되는 상기 사용자를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출차 요청에 따라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승차 위치 후보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사용자가 승차하면 상기 사용자별 승차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차 요청에 따라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및 사용자별 승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과거 승차 이력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과거 승차 이력을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AVN을 통해 얻은 날씨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승차 인원의 정보 또는 화물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차 위치로 상기 차량의 출차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승차 인원 또는 상기 화물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승차하거나 상기 화물을 싣기 편리하다고 판단되는 상기 차량 주변의 여유 공간 또는 상기 차량의 트렁크의 방향을 고려하여 주차 또는 정차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좌석 위치, 에어컨, 라디오 및 운전대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환경을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승차를 원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차 위치로 상기 차량의 출차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승차 위치로 출차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출차 중 상기 날씨와 다른 날씨가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및 상기 다른 날씨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승차 위치 후보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재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결정된 승차 위치로 출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출차를 완료하면 상기 통신단말에 출차를 완료했다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출차를 완료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승차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단말에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단말을 통해 상기 차량이 현재 위치에서 대기할지 아니면 원래 주차 위치로 복귀 후 주차할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에 따라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 및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를 기반으로 맞춤형 승차 위치를 결정하고, 승차 위치로 자율 출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과거 출차 이력을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날씨 정보를 고려하여 승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승차 인원 또는 화물의 정보를 고려하여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사용자 파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제어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승차 위치로 출차 제어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일 예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승차 위치로 출차 제어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다른 일 예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사용자 파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제어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승차 위치로 출차 제어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일 예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승차 위치로 출차 제어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다른 일 예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차량(120) 외부의 통신단말(110)과 차량(12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단말(110)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통신기기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및 태블릿 PC 등의 통신기능이 있는 어떤 통신기기도 될 수 있다.
차량(120)은 내부 또는 외부에 통신부(121)와 제어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121)와 제어부(122)는 차량(120)의 제어 유닛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별도의 연결 수단 또는 통신 수단에 의해 차량(120)의 제어 유닛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통신부(121)는 사용자의 통신단말(110)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부(121)는 사용자의 통신단말(110)로부터 차량(120)의 출차 요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출차 요청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차량(120)의 출차를 요청하는 내용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통신부(121)는 사용자의 통신단말(110)로부터 사용자가 승차를 원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서, 통신부(121)는 제어부(122)에서 생성된 정보를 사용자의 통신단말(11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통신단말(1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제어부(122)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차량(120)의 내부의 장치들과 차량(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22)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어부(122)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제어부(122)는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고, 승차 위치로 출차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사용자 파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수단(110)은 사용자 인증수단(111)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수단(111)은 사용자를 식별하는 수단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 인증수단(111)은 차량(120)의 보안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120)의 보안 기능은 차량(120)의 도어의 잠금을 유지하는 기능일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차량(120)의 보안 기능을 차량(120)의 시동을 거는 것에 대한 잠금 기능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인증수단(111)은 디지털 키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디지털 키는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무선단말 기반의 원격으로 차량(120)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122)는 사용자 인증수단(111)을 기반으로 사용자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사용자 인증수단(111)으로부터 직접 정보를 얻어 사용자를 파악할 수도 있고, 통신부(121)를 통해 통신단말(110)으로부터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수단(111)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통해 인증 과정을 거치며 얻은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파악할 수도 있다. 제어부(122)는 통신부(121)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수단(111)으로부터 사용자를 파악하는 데에 기반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얻는 과정을 별도로 거칠 수도 있다.
제어부(122)가 사용자를 파악하는 과정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직접 전달받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용자의 정보가 암호화 또는 변형된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사용자에 관한 정보로 변환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어부(122)는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의 과거 승차 이력, 사용자의 성향 또는 사용자의 과거 출차 정보를 고려하여 승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제어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22)는 통신부(121)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22)는 통신부(121)가 수신한 정보들을 전달받을 수 있고, 통신부(121)를 통해 통신단말(110)에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제어부(122)는 사용자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승차 위치 후보를 선정하여 승차 위치 후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통신부(121)는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통신단말(110)에 송신하고, 통신단말(11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2)는 사용자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승차 위치 후보를 선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의 과거 승차 이력, 사용자의 성향 또는 사용자의 과거 출차 정보를 고려하여 승차 위치 후보를 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2)는 사용자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승차 위치 후보에 순위를 매겨서, 예시(1. GS25앞, 2. 운전자 아파트동 앞, 3. 지하주차장 동입구)와 같이 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단말(110)은 사용자에게 선정된 승차 위치 후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단말(110)은 디스플레이 또는 소리를 통해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단말(110)은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형태를 통해 사용자에게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통신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터치스크린, 키보드 자판 또는 마이크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승차 위치 후보 중에서 승차를 희망하는 위치를 선택할 수도 있지만, 승차 위치 후보에 제안되지 않은 위치들 중에서도 승차를 희망하는 위치를 입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22)는 저장부(301)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저장부(301)에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저장부(301)에 저장된 정보를 읽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301)는 차량(120)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차량(120)의 외부에 따로 구비되어 제어부(12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저장부(301)는 사용자별 승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차량(120)을 사용했던 사용자가 다수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저장부(301)는 각각의 사용자 별로 사용자들이 승차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저장부(301)에 저장된 사용자별 승차 정보 및 파악된 사용자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과거 승차 이력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과거 승차 이력을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2)는 사용자를 파악한 후, 저장부(301)에 저장된 사용자별 승차 정보를 파악된 사용자와 대조하여 과거에 사용자의 과거 승차 이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제어부(122)는 사용자의 과거 승차 이력을 확인하여 가장 승차 횟수가 많은 승차 위치 별로 정렬하여 승차 위치를 사용자가 과거에 가장 많이 승차한 승차 위치로 결정하거나, 또는 승차 위치 후보를 과거에 승차한 횟수를 기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차량(120)에 사용자가 승차하면 사용자별 승차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차량(120)에 구비된 AVN(302)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2)는 AVN(302)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AVN(302)은 Audio, Video, Navigation의 약자로 차량(120)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들을 통합하여 부르는 명칭일 수 있다. Audio 기능은 라디오, 음악 재생장치 또는 CD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기능일 수 있다. Video 기능은 DMB 또는 외부 장치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일 수 있다. Navigation 기능은 차량(120)에 탑재된 지도를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일 수 있다.
AVN(302)은 외부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현재 날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AVN(302)을 통해 날씨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날씨 및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2)는 AVN(302)을 통해 얻은 날씨가 비 또는 눈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비 또는 눈을 맞지 않고 승차할 수 있는 실내 위치로 승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차량(120)에 구비된 날씨 감지 센서(303)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22)는 날씨 감지 센서(303)를 통해 감지된 날씨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일 예로 날씨 감지 센서(303)는 차량(120)에 구비된 레인 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122)는 AVN(302)에서 얻은 날씨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해서 출차를 수행하는 중에 AVN(302)에서 얻은 날씨와 다른 날씨를 날씨 감지 센서(303)에서 감지하면, 날씨 감지 센서(303)에서 감지한 날씨 및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 후보를 다시 선정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통신부(121)를 통해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통신단말(110)에 송신하고, 통신단말(110)로부터 통신부(121)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승차 위치 후보 중에서 승차를 희망하는 위치를 선택할 수도 있지만, 승차 위치 후보에 제안되지 않은 위치들 중에서도 승차를 희망하는 위치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출차 요청 및 승차를 원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10).
일 예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사용자로부터 통신단말(110)을 통해 정보를 입력받고, 통신단말(110)이 차량(120)에 구비된 통신부(121)에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일 수 있다. 제어부(122)는 통신부(121)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S420).
그에 따라,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승차 위치로 출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430).
일 예로 자율 출차 시스템(100)이 승차 위치로 출차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S430)는 자율 주행을 이용하여 차량(120)이 승차 위치로 이동하도록 차량(120)의 운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사용자를 기반으로 차량(120)의 환경을 세팅할 수 있다(S440).
차량(120)의 환경은 차량(120)의 좌석 위치, 에어컨, 라디오 및 운전대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미리 저장해 놓은 정보에 따라서 좌석의 등받이의 기울기, 좌석의 헤드레스트의 높이 또는 좌석의 전후 위치를 포함하는 좌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미리 저장해 놓은 정보에 따라서 작동 여부, 작동 모드, 온도 또는 세기를 포함하여 에어컨을 조절할 수 있다.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미리 저장해 놓은 정보에 따라서 작동 여부, 음량 또는 주파수를 포함하여 라디오를 조절할 수 있다.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미리 저장해 놓은 정보에 따라서 높낮이를 포함하여 운전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출차 완료 시 사용자에게 출차 완료했다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450).
일 예로 제어부(122)는 통신부(121)를 통해 통신단말(110)에 출차를 완료했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보내고 사용자는 통신단말(110)을 통해 출차를 완료했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승차하면 사용자별 승차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460).
일 예로, 저장부(301)은 사용자별 승차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122)는 저장부(301)에 저장된 사용자별 승차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기존의 사용자별 승차 정보에 추가로 새로운 승차 정보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별 승차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S420), 먼저 사용자 및 사용자별 승차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과거 승차 이력을 파악할 수 있다(S510).
그 다음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과거 승차 이력 및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 후보를 선정할 수 있다(S520).
그리고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송신하고(S530),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 승차 인원, 또는 화물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40).
결론적으로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S55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승차 위치로 출차 제어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일 예의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승차 위치로 출차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S430)에서 사용자가 승차를 원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승차 위치로 출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시간에 맞추거나 조금 일찍 승차 위치로 출차를 완료할 수 있도록 출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승차 위치로 출차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S430)에서 승차 인원 또는 화물을 기반으로 차량(120) 주변의 여유 공간 또는 차량(120)의 트렁크의 방향을 고려하여 승차 위치로 출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승차 인원이 운전자 한 명인 경우에는 운전자 탑승이 유리하도록 운전석 쪽 여유 공간이 넓도록 출차할 수 있고, 동승자가 있는 경우에는 차량(120)의 양쪽 공간이 비어 있도록 출차할 수 있다.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유모차 등의 화물이 있는 경우에는 화물을 싣기 편하도록 트렁크 방향을 통행로 쪽으로 출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승차 위치로 출차 제어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다른 일 예의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승차 위치로 출차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S430)에서 승차 위치로 출차 제어를 수행하는 도중(S710)에 날씨 감지 센서(303)에서 AVN(302)에서 얻은 날씨와 다른 날씨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720)를 거칠 수 있다.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날씨 감지 센서(303)에서 AVN(302)에서 얻은 날씨와 다른 날씨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720)에서 다른 날씨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원래대로 승차 위치로 출차 제어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S730).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날씨 감지 센서(303)에서 AVN(302)에서 얻은 날씨와 다른 날씨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720)에서 다른 날씨가 감지된 경우, 날씨 감지 센서(303)에서 얻은 날씨 및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 후보를 재선정하는 단계(S7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재선정된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통신부(121)를 통해 통신단말(110)에 송신할 수 있다(S750).
그리고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통신단말(110) 및 통신부(121)를 통해 수신하고(S760),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재결정할 수 있다(S770).
그 후,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다시 재결정된 승차 위치로 출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73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출차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출차를 완료한 후 사용자가 승차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S810).
그리고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일정 시간 경과 후까지 사용자가 승차를 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820).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일정 시간 경과 후까지 사용자가 승차한 경우, 자율 출차를 종료할 수 있다.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일정 시간 경과 후까지 사용자가 승차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830).
일 예로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일정 시간 경과 후까지 사용자가 승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2)는 통신부(121)를 통해 통신단말(110)로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는 통신단말(110)을 통해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S840).
일 예로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원래 주차 위치로 복귀 후 주차하는 선택 또는 현재 위치에서 대기하는 선택을 포함하는 선택지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선택이 현재 위치에서 대기하는 선택인 경우, 다시 출차 완료 후 대기하는 단계로 돌아가서(S810) 일정 시간 경과 후까지 사용자가 승차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20).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선택이 원래 주차 위치로 복귀 후 주차하는 선택인 경우, 원래 주차 위치로 복귀 후 주차할 수 있다(S850).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원래 주차 위치로 복귀 후 주차를 완료하고 자율 출차를 종료 또는 원래 주차 위치로의 주차 완료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2)는 자율 주행을 통해 원래 주차되어 있던 위치로 차량(120)을 제어하여 다시 주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현재 날씨 상태 및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고, 사용자에게 최적의 위치로 승차 인원 또는 화물의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120) 주변의 여유 공간 또는 차량(120)의 트렁크의 방향을 고려하여 자율 출차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맞추어 차량(120)의 환경을 세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직접 출차를 하지 않아도 원하는 위치로 자율 주행을 통해 차량(120)의 출차를 수행하여 탑승에 드는 시간을 줄이고 승차 인원 또는 화물에 따라서 출차하여 대기하는 위치를 정함으로써 탑승 및 화물을 싣고 내림에 있어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자율 출차 시스템(100)은 날씨 및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서 출차 위치를 제안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2)
- 사용자의 통신단말;
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차량의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출차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승차 위치로 상기 차량의 출차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율 출차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은,
사용자 인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수단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를 파악하는 자율 출차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승차 위치 후보를 선정하고, 상기 승차 위치 후보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수신하는 자율 출차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별 승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별 승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과거 승차 이력을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과거 승차 이력을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에 사용자가 승차하면 상기 사용자별 승차 정보를 갱신하는 자율 출차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AVN을 통해 얻은 날씨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자율 출차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승차 인원의 정보 또는 화물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차 인원 또는 상기 화물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승차하거나 상기 화물을 싣기 편리하다고 판단되는 상기 차량 주변의 여유 공간 또는 상기 차량의 트렁크의 방향을 고려하여 주차 또는 정차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자율 출차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좌석 위치, 에어컨, 라디오 및 운전대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환경을 세팅하는 자율 출차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승차를 원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승차 위치로 출차를 제어하는 자율 출차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차 중에 상기 날씨와 다른 날씨가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및 상기 다른 날씨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승차 위치 후보를 선정하고, 상기 승차 위치 후보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재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수신하는 자율 출차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차를 완료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단말에 출차를 완료했다는 정보를 송신하는 자율 출차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차를 완료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승차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단말에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단말을 통해 상기 차량이 현재 위치에서 대기할지 아니면 원래 주차 위치로 복귀 후 주차할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획득하고,
상기 선택에 따라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자율 출차 시스템.
- 통신단말로부터 차량의 출차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차 요청에 따라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승차 위치로 상기 차량의 출차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 출차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은,
사용자 인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출차 요청에 따라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증수단을 통해 파악되는 상기 사용자를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 출차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차 요청에 따라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승차 위치 후보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 출차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사용자가 승차하면 상기 사용자별 승차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차 요청에 따라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및 사용자별 승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과거 승차 이력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과거 승차 이력을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 출차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기반으로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AVN을 통해 얻은 날씨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 출차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승차 인원의 정보 또는 화물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차 위치로 상기 차량의 출차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승차 인원 또는 상기 화물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승차하거나 상기 화물을 싣기 편리하다고 판단되는 상기 차량 주변의 여유 공간 또는 상기 차량의 트렁크의 방향을 고려하여 주차 또는 정차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 출차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좌석 위치, 에어컨, 라디오 및 운전대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환경을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율 출차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승차를 원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차 위치로 상기 차량의 출차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승차 위치로 출차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율 출차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출차 중 상기 날씨와 다른 날씨가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및 상기 다른 날씨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승차 위치 후보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승차 위치 후보를 기반으로 상기 승차 위치를 재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결정된 승차 위치로 출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율 출차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출차를 완료하면 상기 통신단말에 출차를 완료했다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율 출차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출차를 완료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승차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단말에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단말을 통해 상기 차량이 현재 위치에서 대기할지 아니면 원래 주차 위치로 복귀 후 주차할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에 따라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율 출차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1745A KR20220039090A (ko) | 2020-09-21 | 2020-09-21 | 자율 출차 시스템 및 자율 출차 방법 |
US17/404,432 US12030526B2 (en) | 2020-09-21 | 2021-08-17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un-parking of vehicle |
CN202110981263.5A CN114251006A (zh) | 2020-09-21 | 2021-08-25 | 控制车辆的自动取车系统和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1745A KR20220039090A (ko) | 2020-09-21 | 2020-09-21 | 자율 출차 시스템 및 자율 출차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9090A true KR20220039090A (ko) | 2022-03-29 |
Family
ID=8078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1745A Pending KR20220039090A (ko) | 2020-09-21 | 2020-09-21 | 자율 출차 시스템 및 자율 출차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2030526B2 (ko) |
KR (1) | KR20220039090A (ko) |
CN (1) | CN11425100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73755B (zh) * | 2022-05-12 | 2024-01-16 | 广东南方电信规划咨询设计院有限公司 | 一种具有防护功能的智慧停车用视频桩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28059B2 (en) * | 2017-05-24 | 2020-01-07 | Uatc,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s that provide a vehicle service to users |
WO2019010437A1 (en) * | 2017-07-06 | 2019-01-10 | Cubic Corporation | SELF-CONTAINED PRIVATE CAR ROAD BASED ON CLASSIFICATION |
US10508925B2 (en) * | 2017-08-31 | 2019-12-17 | Uber Technologies, Inc. | Pickup location selection and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
JP6731006B2 (ja) * | 2018-01-22 | 2020-07-29 | 株式会社Subaru | 車両呼び出しシステム |
WO2020079746A1 (ja) * | 2018-10-16 | 2020-04-23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乗降地点提供システム、データサーバー及び乗降地点提供方法 |
KR102590914B1 (ko) * | 2018-12-14 | 2023-10-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JP7210336B2 (ja) * | 2019-03-12 | 2023-01-23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2020
- 2020-09-21 KR KR1020200121745A patent/KR20220039090A/ko active Pending
-
2021
- 2021-08-17 US US17/404,432 patent/US12030526B2/en active Active
- 2021-08-25 CN CN202110981263.5A patent/CN114251006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2030526B2 (en) | 2024-07-09 |
CN114251006A (zh) | 2022-03-29 |
US20220089194A1 (en) | 2022-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857920B2 (ja) | 車両及び携帯情報端末 | |
TWI706342B (zh) | 業務執行方法及裝置 | |
CN106921647B (zh) | 汽车管理系统和方法 | |
JP5001028B2 (ja) | 運転環境設定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車載装置用プログラム | |
CN103419790B (zh) | 车辆驾驶员的分级识别和基于该识别的车辆设置激活选择 | |
JP3972738B2 (ja) | 車載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 |
CN105916742A (zh) | 用于激活车辆组件的车辆系统 | |
JP6481993B2 (ja) |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 |
CN111800448A (zh) | 车辆、服务器和用于控制车辆的方法 | |
JPH11311538A (ja) | 車両共用システム | |
JP6837508B2 (ja) | 車両制御システム | |
KR20190046354A (ko) | 차량 및 차량 시스템 | |
JP2007238058A (ja) | 車両用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 |
CN112947409A (zh) | 具备无人驾驶功能的电单车控制方法、系统及存储介质 | |
JP6853724B2 (ja) | 情報システム、車載機器、第一キー、解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20220039090A (ko) | 자율 출차 시스템 및 자율 출차 방법 | |
KR101657654B1 (ko) | Avn 단말, 이를 포함하는 차량, 사용자 단말,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KR102401379B1 (ko) | 복수의 탑승자를 고려하여 차량용 기기의 사용언어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 |
JP2023036011A (ja) | 車両制御のためのユーザ機器の登録及び認証装置、及び方法 | |
CN114900380A (zh) |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 |
KR102626325B1 (ko)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
US20240103511A1 (en) | Remote oper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H11312291A (ja) | 車両共用システム | |
KR20110073692A (ko) |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전동식 운전 편의 장비를 자동 조정하기 위한 장치, 초기 사용자 설정값 등록 방법 및 자동 조정 방법 | |
JP2008273304A (ja) | 車載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