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38144A -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플레어형 서셉터 가열 배열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플레어형 서셉터 가열 배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144A
KR20220038144A KR1020227006257A KR20227006257A KR20220038144A KR 20220038144 A KR20220038144 A KR 20220038144A KR 1020227006257 A KR1020227006257 A KR 1020227006257A KR 20227006257 A KR20227006257 A KR 20227006257A KR 20220038144 A KR20220038144 A KR 20220038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susceptor
cavity
generating device
suscepto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18033B1 (ko
Inventor
루이 누노 바티스타
리카르도 칼리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20038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8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803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10)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유도 가열 배열을 더 포함한다. 유도 가열 배열은 서셉터 배열(14) 및 유도 코일(16)을 포함한다. 서셉터 배열(14)은 적어도 2개의 세장형 서셉터를 포함한다. 서셉터는 공동 내에 배열된다. 서셉터는 하류 단부에서 플레어형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플레어형 서셉터 가열 배열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흡입 가능한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태우지 않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휘발되는 온도까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열 챔버와 같은, 공동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을 위한 로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열 챔버 내로 삽입되면, 가열 배열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해 가열 챔버 주위에 배열될 수 있다. 가열 배열은 유도 가열 배열일 수 있다. 유도 가열 배열은 서셉터 배열 및 유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 서셉터 배열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동 주위에 배열될 수 있다. 서셉터 배열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의 열 전달은 최적이 아닐 수 있다. 또한, 공동 내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고정 유지가 어려은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개선된 유도 가열 배열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개선된 가열 효율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공동 내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고정 유지가 개선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공동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이 개선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유도 가열 배열을 더 포함한다. 유도 가열 배열은 서셉터 배열 및 유도 코일을 포함한다. 서셉터 배열은 적어도 2개의 세장형 서셉터를 포함한다. 서셉터는 공동 내에 배열된다. 서셉터는 하류 단부에서 플레어형 형상을 갖는다.
서셉터의 플레어형 형상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공동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을 최적화한다. 서셉터의 세장형 형상은 공동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 후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가열을 최적화한다. 세장형 서셉터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기재 부분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용어 "플레어형"은 각각의 서셉터의 단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서셉터의 형상을 지칭할 수 있다.
서셉터 배열의 서셉터는 중공 원통형 배열로 배열될 수 있다. 서셉터 배열의 서셉터는 관형 배열로 배열될 수 있다. 서셉터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을 위해 개별 서셉터의 하류 단부에 인접한 링 형상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서셉터 배열은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2개 초과의 서셉터가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서셉터가 제공될 수 있다.
서셉터는 가요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요성 서셉터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공동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서셉터는 공동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 후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가요성 서셉터는 공동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 후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형상에 적응될 수 있다. 특히, 새로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고갈되는 사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서셉터가 강성 구성을 가지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서셉터 내로 새로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 후 서셉터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고갈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의 연관된 감소 동안,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풀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가요성 서셉터를 제공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각각의 서셉터는 서셉터의 상류 영역에 가요성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의 상류 영역은 서셉터의 상류 단부 부근의 영역일 수 있다. 서셉터의 상류 영역은 서셉터의 상류 단부로부터 서셉터 길이의 최대 50%, 바람직하게는 최대 40%,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10%를 포함하는 서셉터의 길이를 따르는 영역일 수 있다. 서셉터의 하류 영역은 서셉터의 하류 단부 부근의 영역일 수 있다. 서셉터의 하류 영역은 서셉터의 하류 단부로부터 서셉터 길이의 최대 50%, 바람직하게는 최대 40%,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10%를 포함하는 서셉터의 길이를 따르는 영역일 수 있다. 가요성 부분은 서셉터의 반경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반경 방향 이동은 서셉터 배열의 내경의 증가 또는 감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서셉터는 가요성 부분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서셉터는 가요성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부분의 수는 서셉터의 수에 대응할 수 있다. 서셉터의 가요성 부분은 가요성 부분의 하류에 있는 서셉터의 일부가 이동 가능한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동시에, 가요성 부분의 상류에 있는 서셉터의 일부는 서셉터의 고정 부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강성일 수 있다.
가요성 부분은 만곡형 돌출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가요성 부분은 서셉터의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만곡형 돌출부는 서셉터의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각각의 서셉터는 공동과 대면하는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용어 "오목한"은 내측으로 만곡되는 윤곽 또는 표면을 지칭할 수 있다. 내부 표면은 접선 방향으로 오목할 수 있다. 내부 표면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형상에 적응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부 표면은 공동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 후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외부 표면과 직접 접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서셉터는 서셉터의 개별 내부 표면이 공동 내에 원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갖는다. 원형 형상은 공동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 후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외부 원주에 적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적어도 제1 서스펜션 스프링 및 제2 서스펜션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스펜션 스프링은 서셉터의 하류 영역에서 서셉터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서스펜션 스프링은 서셉터의 상류 영역에서 서셉터를 둘러쌀 수 있다. 서셉터는 서스펜션 스프링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서스펜션 스프링 및 제2 서스펜션 스프링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서셉터의 반경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 서스펜션 스프링 및 제2 서스펜션 스프링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서셉터 중 하나 이상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서셉터는 서스펜션 스프링 둘 모두에 부착된다. 서셉터의 하류 영역은 제1 서스펜션 스프링에 부착될 수 있다. 서셉터의 상류 영역은 제2 서스펜션 스프링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서스펜션 스프링 및 제2 서스펜션 스프링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탄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서스펜션 스프링 및 제2 서스펜션 스프링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가요성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의 가요성은 서셉터의 반경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 서스펜션 스프링 및 제2 서스펜션 스프링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공동의 측벽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서스펜션 스프링 및 제2 서스펜션 스프링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공동의 측벽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스펜션 스프링 및 제2 서스펜션 스프링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링 형상, 나선형 또는 코일 형상일 수 있다. 제1 서스펜션 스프링 및 제2 서스펜션 스프링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서스펜션 스프링 및 제2 서스펜션 스프링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서셉터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서스펜션 스프링 및 제2 서스펜션 스프링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서셉터의 축방향 이동 및 접선 방향 이동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서셉터는 서셉터의 상류 영역에 배열된 제1 연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공동은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서셉터의 제1 연결 요소와 체결하도록 구성된 제2 연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요소 및 제2 연결 요소는 베이스에 대한 서셉터의 반경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베이스에 대한 서셉터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연결 요소는 수형 연결 요소일 수 있고, 제2 연결 요소는 암형 연결 요소일 수 있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제1 연결 요소는 제2 연결 부분과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요소는 형태 끼워맞춤에 의해 제2 연결 요소와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요소는 돌출부로서 구성될 수 있고, 제2 연결 요소는 오목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서셉터의 반경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서셉터의 반경 방향 이동 동안, 돌출부는 오목부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연결 요소는 서셉터의 반경 방향 이동 동안 돌출부가 오목부로부터 완전히 체결 해제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결 요소는 서셉터의 고정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특히 서셉터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면서, 서셉터의 반경 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서셉터의 반경 방향 이동 동안, 돌출부는 오목부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갭이 서셉터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갭은 세장형 갭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세장형 갭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할 수 있다. 세장형 갭은 세장형 서셉터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갭은 서셉터 사이의 공동 주위에서 대칭일 수 있다. 갭은 개별 서셉터 사이의 기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갭은 공동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 후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로 방사상 기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갭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기재 부분의 전체 길이를 따라 본질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균일한 에어로졸 발생은 갭을 통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로 기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갭의 폭은 갭의 길이에 걸쳐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갭의 폭은 하류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는 상류 방향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로 더 많은 공기가 흐르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갭의 폭은 하류 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는 하류 방향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로 더 많은 공기가 흐르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서셉터는 블레이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공동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 후 서셉터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 사이의 접촉 표면을 개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러한 형상은 서셉터 사이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유지를 개선할 수 있다.
각각의 서셉터의 상류 단부는 공동의 베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은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요소 및 제2 연결 요소에 의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서셉터는 가요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셉터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공동 내에 수용될 수 있을 때,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공동 내의 서셉터에 의해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공동의 베이스에서, 공동의 상류 단부에서 공동 내로 축방향 기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공기 애퍼처가 제공될 수 있다. 공기 애퍼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축 방향으로의 길이방향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공기 애퍼처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공기 애퍼처는 세장형,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공동 내로의 기류는 축 방향으로 가능하게 될 수 있는 반면, 측 방향으로 공동 내로의 기류는 단열 요소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단열 요소를 공동의 베이스에 부착하기 위해, 단열 요소는 공동의 베이스에 접착될 수 있다. 단열 요소의 상류 단부면은 공동의 베이스에 접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열 요소는 단열 요소의 내부 측면이 예컨대 접착에 의해 공동의 베이스에 부착될 수 있도록 공동의 베이스 위로 연장될 수 있다.
단열 요소는 공동의 측벽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형성할 수 있다. 단열 요소는 공동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단열 요소는 공동의 베이스와 직접 접경할 수 있다. 단열 요소는 공동의 베이스에 직접 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열 요소와 베이스 사이의 밀봉 부착을 용이하게 한다.
유도 코일이 배열될 수 있는 구획부는 공동의 하류 단부에서 단열 요소에 의해 공동으로부터 기밀하게 밀봉될 수 있다. 유도 코일이 배열될 수 있는 구획부는 공동을 둘러싸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구획부는 코일 구획부로서 지칭될 수 있다. 코일 구획부는 공동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코일 구획부는 공동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코일 구획부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도 코일 또는 다수의 유도 코일을 수용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코일 구획부와 연결된 하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공동의 상류 단부에 인접한 공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는 공동의 베이스 내의 공기 애퍼처와 유체 연결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직류(DC) 전력 공급부일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제1 유도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전력 공급부는 (약 2.5 W 내지 약 45 W 범위의 DC 전력 공급부에 대응하는) 약 2.5 V 내지 약 4.5 V 범위의 DC 공급 전압 및 약 1 A 내지 약 10 A 범위의 DC 공급 전류를 갖는 DC 전력 공급부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DC 전력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DC 전류를 교류로 변환하기 위한 직류 대 교류(DC/AC) 인버터를 유리하게 포함할 수 있다. DC/AC 컨버터는 클래스-D 또는 클래스-E 전력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교류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 가능 리튬 이온 배터리와 같은 배터리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력 공급부는 커패시터와 같은 다른 형태의 전하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나 이상의 사용을 위해 충분한 에너지의 저장을 허용하는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공급부는 통상의 궐련을 흡연하는 데 걸리는 통상적인 시간에 대응하는 약 6분의 기간 동안, 또는 6분의 여러 배의 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 공급부는 미리 결정된 수의 퍼프 또는 개별적인 활성화를 허용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고주파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고주파 발진 전류"는 500 kHz 내지 30 MHz의 주파수를 갖는 발진 전류를 의미한다. 고주파 발진 전류는 약 1 MHz 내지 약 30 MHz, 바람직하게는 약 1 MHz 내지 약 10 MHz 및 더 바람직하게는 약 5 MHz 내지 약 8 M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유도 가열 배열은 유도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도 가열 배열은 유도 코일 및 서셉터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 유도 코일이 제공될 수 있다. 단일 서셉터 배열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일보다 많은 유도 코일이 제공된다. 제1 유도 코일 및 제2 유도 코일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일보다 많은 서셉터 배열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서셉터 배열 및 제2 서셉터 배열이 제공된다. 유도 코일은 서셉터 배열을 둘러쌀 수 있다. 제1 유도 코일은 제1 서셉터 배열을 둘러쌀 수 있다. 제2 유도 코일은 제2 서셉터 배열을 둘러쌀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2개의 유도 코일들이 단일 서셉터 배열을 둘러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초과의 서셉터 배열이 제공되면, 바람직하게는 전기 절연 요소가 서셉터 배열 사이에 제공된다.
서셉터 배열은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 배열은 다수의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 배열은 블레이드 형상의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형상의 서셉터는 공동을 둘러싸서 배열될 수 있다. 블레이드 형상의 서셉터는 공동의 내부에 배열될 수 있다. 블레이드 형상의 서셉터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공동 내로 삽입될 때,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유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블레이드 형상의 서셉터는 블레이드 형상의 서셉터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레어형 하류 단부를 가질 수 있다. 공기는 공동의 베이스 내의 공기 애퍼처를 통해 공동 내로 흐를 수 있다. 공기는 후속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상류 단부면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로 진입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공기는 바람직하게는 단열 요소에 의해 형성된 공동의 측벽과 블레이드 형상의 서셉터 사이에서 흐를 수 있다. 그 다음, 공기는 블레이드 형상의 서셉터 사이의 갭을 통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로 진입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공기에 대한 균일한 침투는 이러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을 최적화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플럭스 집중기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럭스 집중기는 높은 자기 투과율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플럭스 집중기는 유도 가열 배열을 둘러싸서 배열될 수 있다. 플럭스 집중기는 자기장 라인을 플럭스 집중기의 내부에 집중시킴으로써 유도 코일에 의해 서셉터 배열의 가열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유도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제1 유도 코일 및 제2 유도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유도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 따라서 유도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계 강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 공급부 및 컨트롤러는 유도 코일,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유도 코일에 연결될 수 있고, 사용 시 유도 코일이 각각 교번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서로 독립적으로 유도 코일 각각에 교류 전류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전력 공급부 및 컨트롤러가 제1 유도 코일 자체적으로, 제2 유도 코일 자체적으로, 또는 둘 모두의 유도 코일에 교류 전류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가열 프로파일이 달성될 수 있다. 가열 프로파일은 각각의 유도 코일의 온도를 지칭할 수 있다. 고온으로 가열하기 위해, 교류 전류가 동시에 유도 코일 둘 모두에 공급될 수 있다. 더 낮은 온도까지 가열하거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일부분만을 가열하기 위해, 교류 전류가 제1 유도 코일에만 공급될 수 있다. 후속하여, 교류 전류는 제2 유도 코일에만 공급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유도 코일 및 전력 공급부에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전력 공급부로부터 유도 코일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또는 제어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전자 회로일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추가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유도 코일에 대한 전류 공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활성화 후에 연속적으로 유도 코일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공급될 수 있거나 간헐적으로, 예컨대 퍼핑할 ‹š마다 공급될 수 있다. 
전력 공급부 및 컨트롤러는 제1 유도 코일 및 제2 유도 코일 각각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의 진폭을 독립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 제1 및 제2 유도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의 강도는 각각의 코일에 공급된 전류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독립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는 편리하게 가변적인 가열 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제공된 전류의 진폭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개시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시동 동안 증가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1 유도 코일은 제1 회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회로는 공진 회로일 수 있다. 제1 회로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제1 회로는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도 코일은 제2 회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회로는 공진 회로일 수 있다. 제2 회로는 제2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제1 공진 주파수는 제2 공진 주파수와 상이할 수 있다. 제1 공진 주파수는 제2 공진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회로는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는 각각의 유도 코일의 인덕턴스 및 각각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에 따라 달라진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삽입된 개방 단부를 가질 수 있다. 공동은 개방 단부에 대향하는 폐쇄 단부를 가질 수 있다. 폐쇄 단부는 공동의 베이스일 수 있다. 폐쇄 단부는 베이스에 배열된 공기 애퍼처의 제공을 제외하고는 폐쇄될 수 있다. 공동의 베이스는 편평할 수 있다. 공동의 베이스는 원형일 수 있다. 공동의 베이스는 공동의 상류에 배열될 수 있다. 개방 단부는 공동의 하류에 배열될 수 있다. 길이방향은 개방 단부와 폐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공동의 길이방향 축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할 수 있다.
공동은 가열 챔버로서 구성될 수 있다. 공동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동은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동은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공동은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근위"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자 단부, 또는 마우스 단부를 지칭하고, 용어 "원위"는 근위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를 지칭한다. 공동을 지칭할 때, 용어 "근위"는 공동의 개방 단부에 가장 가까운 영역을 지칭하고, 용어 "원위"는 폐쇄 단부에 가장 가까운 영역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길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성요소의 길이방향으로의 주 치수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폭"은 그의 길이를 따라 특정 위치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성요소의 가로방향으로의 주 치수를 지칭한다. 용어 "두께"는 폭에 수직인 가로방향으로의 치수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기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휘발성 화합물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함으로써 방출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일부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물품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시스템의 근위 단부 또는 사용자측 단부의 마우스피스 상에서 흡인하거나 퍼핑하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물품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일회용일 수 있다. 담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물품은 담배 스틱으로서 지칭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공동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상호 작용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되고 예시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함께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되고 예시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조합을 지칭한다. 시스템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협력하여 호흡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서셉터 배열"은 가변 자기장을 받을 때 가열되는 전도성 요소를 의미한다. 이는 서셉터 배열 내에 유도된 와전류, 히스테리시스 손실, 또는 와전류 및 히스테리시스 손실 둘 모두의 결과일 수 있다. 사용 동안, 서셉터 배열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열 접촉하거나 열적으로 매우 근접하여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이 형성되도록 서셉터 배열에 의해 가열된다. 
서셉터 배열은 바람직하게는 개별 블레이드 형상의 서셉터로 구성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셉터 배열은 대응하는 유도 코일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셉터 배열은, 서셉터 배열이 유도 코일의 내부에 배열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유도 코일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용어 "가열 구역"은 유도 코일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가열 구역에 또는 가열 구열 주위에 놓인 서셉터 배열이 유도 코일에 의해 유도 가열될 수 있는 공동의 길이의 일부분을 지칭한다. 가열 구역은 제1 가열 구역 및 제2 가열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구역은 제1 가열 구역 및 제2 가열 구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가열 구역은 제1 유도 코일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가열 구역은 제2 유도 코일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2개 초과의 가열 구역이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가열 구역이 제공될 수 있다. 유도 코일은 각각의 가열 구역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유도 코일은 가열 구역을 둘러싸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고 가열 구역의 분할 가열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코일"은 용어 "유도성 코일" 또는 "유도 코일" 또는 "인덕터" 또는 "인덕터 코일" 전체와 상호 교환 가능하다. 코일은 전력 공급부에 연결된 구동식(일차) 코일일 수 있다.
가열 효과는 제1 및 제2 유도 코일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가열 효과는 동일한 인가 전류 하에서 각각의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이 상이하도록 상이한 구성의 제1 및 제2 유도 코일을 제공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효과는 동일한 인가 전류 하에서 각각의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이 상이하도록 상이한 유형의 와이어로 제1 및 제2 유도 코일을 형성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가열 효과는 제1 및 제2 유도 코일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동일한 인가 전류 하에서 각각의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이 상이하도록 상이한 구성의 제1 및 제2 코일을 제공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유도 코일(들)은 가열 구역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배치된다. 유도 코일은 가열 구역의 영역에서 공동의 원주 주위로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 있다. 유도 코일은 가열 구역의 영역에서 공동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유도 코일(들)은 공동의 원주의 일부 주위에 또는 공동의 원주 주위에 완전히 배치된 평면형 코일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평면형 코일"은 코일이 놓이는 표면에 수직인 권선 축을 갖는 나선형으로 감긴 코일을 의미한다. 평면형 코일은 편평한 유클리드 평면(Euclidean plane)에 놓일 수 있다. 평면형 코일은 곡면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형 코일은 편평한 유클리드 평면에서 감긴 후에 곡면에 놓이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유도 코일(들)은 나선형이다. 유도 코일은 나선형일 수 있고 공동이 위치되는 중앙 공극 주위에 감길 수 있다. 유도 코일은 공동의 전체 원주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도 코일(들)은 나선형 및 동심원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유도 코일은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유도 코일은 나선형 및 동심원일 수 있고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2개의 코일 중 더 작은 코일은 제1 및 제2 유도 코일 중 더 큰 코일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1 유도 코일의 권선은 제2 코일의 권선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유도 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추가 서셉터와 연관되고,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가열 구역과 연관된, 제3 및 제4 유도 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유도 코일은 상이한 인덕턴스 값을 가진다. 제1 유도 코일은 제1 인덕턴스를 가질 수 있고 제2 유도 코일은 제1 인덕턴스보다 적은 제2 인덕턴스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유도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이 주어진 전류에 대해 상이한 강도를 가질 것임을 의미한다. 이는 양 코일들에 동일한 전류 진폭을 인가하는 동안에 제1 및 제2 유도 코일에 의한 상이한 가열 효과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요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유도 코일이 독립적으로 활성화되는 경우, 더 큰 인덕턴스를 갖는 유도 코일은 더 낮은 인덕턴스를 갖는 유도 코일과 상이한 시간에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큰 인덕턴스를 갖는 유도 코일은 퍼핑 동안과 같은 작동 중에 활성화될 수 있고, 더 낮은 인덕턴스를 갖는 유도 코일은 퍼프 사이와 같은 작동 사이에 활성화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정상적인 사용과 동일한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사용 사이에 공동 내에서 상승된 온도의 유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열'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작동이 재개되면 공동이 원하는 작동 온도까지 복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유도 코일 및 제2 유도 코일은 동일한 인덕턴스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유도 코일은 동일한 유형의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1 유도 코일은 제1 유형의 와이어로 형성되고 제2 유도 코일은 제1 유형의 와이어와 상이한 제2 유형의 와이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 조성물 또는 단면은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유도 코일의 인덕턴스는 전체 코일의 기하학적 구조가 동일하더라도 상이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유도 코일에 대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코일의 기하학적 구조가 사용되게 할 수 있다. 이는 보다 컴팩트한 배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유형의 와이어는 제1 와이어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유형의 와이어는 제1 와이어 재료와 상이한 제2 와이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 재료의 전기 특성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형의 와이어는 제1 저항률을 가질 수 있고, 제2 유형의 와이어는 제1 저항률과 상이한 제2 저항률을 가질 수 있다. 
유도 코일(들)에 적합한 재료는 구리, 알루미늄, 은 및 스틸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유도 코일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제1 유도 코일이 제1 유형의 와이어로 형성되고 제2 유도 코일이 제1 유형의 와이어와 상이한 제2 유형의 와이어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유형의 와이어는 제2 유형의 와이어와 상이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유형의 와이어는 제1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제2 유형의 와이어는 제1 단면과 상이한 제2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형의 와이어는 제1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유형의 와이어는 제1 단면 형상과 다른 제2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유형의 와이어는 제1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제2 유형의 와이어는 제1 두께와 상이한 제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유형의 와이어의 단면 형상과 두께는 상이할 수 있다. 
서셉터 배열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에어로졸화하기에 충분한 온도까지 유도 가열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서셉터 배열에 적합한 재료는 그래파이트, 몰리브덴, 탄화규소, 스테인리스 스틸, 니오븀, 알루미늄, 니켈, 니켈 함유 화합물, 티타늄, 및 금속 재료의 복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서셉터 배열은 금속 또는 탄소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서셉터 배열은 강자성 재료, 예를 들어 페라이트 철, 강자성 합금, 예컨대 강자성 강 또는 스테인리스 강, 강자성 입자, 및 페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적합한 서셉터 배열은 알루미늄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 배열은 5% 초과, 바람직하게는 20%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50% 또는 90% 초과의 강자성 또는 상자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 배열은 250℃를 초과하는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다. 
서셉터 배열은 단일 재료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일 재료 층은 강철 층일 수 있다. 
서셉터 배열은 금속층이 비금속 코어 상에 배치되는 비금속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셉터 배열은 세라믹 코어 또는 기재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금속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 배열은 오스테나이트 강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인리스 강의 하나 이상의 층은 오스테나이트 강의 층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셉터 배열은 그의 상부 및 하부 표면 각각에 스테인리스 스틸 층을 갖는 오스테나이트 강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셉터 배열은 단일 서셉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 배열은 제1 서셉터 재료 및 제2 서셉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셉터 재료는 제2 서셉터 재료에 긴밀하게 물리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서셉터 재료는 긴밀하게 접촉하여 단일형 서셉터를 형성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제1 서셉터 재료는 스테인리스 강이고 제2 서셉터 재료는 니켈이다. 서셉터 배열은 2층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서셉터 배열은 스테인리스 스틸 층 및 니켈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셉터 재료와 제2 서셉터 재료 간의 긴밀한 접촉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셉터 재료는 제1 서셉터 재료 상에 도금, 증착, 코팅, 클래딩(clad) 또는 용접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법은 전기도금, 갈바닉 도금(galvanic plating) 및 클래딩을 포함한다. 
제2 서셉터 재료는 500℃ 보다 낮은 퀴리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서셉터가 교번 전자기장 내에 배치될 때, 제1 서셉터 재료는, 서셉터를 가열하는 데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셉터 재료는 알루미늄일 수 있거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철 재료일 수 있다. 제2 서셉터 재료는 서셉터가 제2 서셉터 재료의 퀴리 온도인 특정 온도에 도달한 때를 표시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서셉터 재료의 퀴리 온도는 작동 동안에 전체 서셉터의 온도를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서셉터 재료의 퀴리 온도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발화점 아래여야 한다. 제2 서셉터 재료로 적합한 재료는 니켈 및 특정 니켈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셉터 재료의 퀴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00℃ 미만, 바람직하게는 380℃ 미만, 또는 360℃ 미만으로 선택될 수 있다. 제2 서셉터 재료는 원하는 최대 가열 온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퀴리 온도를 갖도록 선택된 자성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서셉터 재료의 퀴리 온도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서셉터가 가열되어야 하는 온도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서셉터 재료의 퀴리 온도는, 예를 들어, 200℃ 내지 400℃, 또는 250℃ 내지 36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서셉터 재료 및 제2 서셉터 재료는 공동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공동 적층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셉터 재료의 스트립은 제2 서셉터 재료의 스트립에 용접되거나 확산 접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서셉터 재료의 층은 제1 서셉터 재료의 스트립 상에 증착되거나 도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휴대용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통상의 엽궐련 또는 궐련과 비슷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시스템은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일 수 있다. 시스템은 핸드헬드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대략 30 mm 내지 대략 150 mm의 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대략 5 mm 내지 대략 30 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은 세장형일 수 있다. 하우징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는 금속, 합금, 플라스틱 또는 이들 재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 또는 식품이나 약제학적 적용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재료는 가볍고 비-취성(non-brittle)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은 마우스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는 하나 초과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 중 하나 이상은 에어로졸이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전에 에어로졸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에어로졸이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전에 에어로졸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마우스피스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마우스피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부분으로서, 하우징의 공동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이 직접 흡입되도록 사용자의 입 안에 놓이는 부분을 지칭한다. 
공기 유입구는 반-개방형 유입구로 구성될 수 있다. 반-개방형 유입구는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진입하게 한다. 공기 또는 액체는 반-개방형 유입구를 통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반-개방형 유입구는, 일 방향으로는 공기에 대해서만 투과성이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기밀성 및 액밀성인, 예를 들어 반-투과성 멤브레인일 수 있다. 반-개방형 유입구는 또한, 예를 들어 일방향 밸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개방형 유입구는 특정한 조건,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최소 함몰 또는 밸브나 멤브레인을 통과하는 공기의 체적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공기가 유입구를 통과하도록 한다.
가열 배열의 작동은 퍼프 검출 시스템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열 배열은 온-오프 버튼을 누름으로써 유발되며, 이러한 누름은 사용자의 퍼프 지속 동안 유지될 수 있다. 퍼프 검출 시스템은 센서로서 제공될 수 있고, 이는 기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기류 센서로서 구성될 수 있다. 기류 속도는 사용자에 의해 시간 당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기류 경로를 통해 흡인되는 공기의 양을 특징화하는 파라미터이다. 퍼프의 개시는 기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때 기류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개시는 또한 사용자가 버튼을 활성화할 때에도 검출될 수 있다.
센서는 또한, 퍼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장치의 기류 경로를 통해 흡인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측의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로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측의 주변 공기의 압력과 사용자에 의해 장치를 통해 흡인되는 공기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이 또는 압력 강하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의 압력은 공기 유입구, 장치의 마우스피스, 가열 챔버와 같은 공동 또는 공기가 흐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부의 임의의 다른 통로 또는 챔버에서 검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흡인할 때, 음압이나 진공이 장치 내측에 발생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음압은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용어 "음압"은 주변 공기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사용자가 장치를 흡인할 때, 장치를 통해 흡인되는 공기는 장치 외측의 주변 공기의 압력보다 더 낮은 압력을 가진다. 퍼프의 개시는 압력 차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활성화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열을 개시하는 버튼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조합이다. 그러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전기 작동식 또는 전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있는 내장형 전기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한, 예를 들어 충전 유닛과 같은 추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니코틴을 포함할 수 있다. 니코틴 함유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니코틴 염 매트릭스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식물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가열 시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담배 향미 화합물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비-담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균질화된 식물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균질화된 담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균질화된 담배 재료는 미립자 담배를 응집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균질화된 담배 재료의 주름진 크림핑된 시트(gathered crimped 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권축된 시트'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지(ridge) 또는 물결주름을 갖는 시트를 가리킨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사용 시, 조밀하고 안정적인 에어로졸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시스템의 작동 온도에서 열적 열화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저항하는 임의의 적합한 공지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이다.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으며,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및 글리세린과 같은 다가 알코올; 글리세롤 모노-, 디- 또는 트리아세테이트와 같은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디메틸 도데칸디오에이트(dimethyl dodecanedioate) 및 디메틸 테트라데칸디오에이트(dimethyl tetradecanedioate)와 같은, 모노-, 디-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의 지방족 에스테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다가 알코올 또는 그의 혼합물, 예컨대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이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형성제는 글리세린이다. 균질화된 담배 재료는, 존재하는 경우, 건조 중량 기준으로 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향미제와 같은 다른 첨가제 및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전술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공동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공동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공동 내에 전체적으로 수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형상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실질적으로 세장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길이 및 이 길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둘레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함유하는 에어로졸 형성 세그먼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세그먼트는 형상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세그먼트는 실질적으로 세장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세그먼트는 길이 및 그 길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둘레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대략 30 mm 내지 대략 100 mm의 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대략 45 mm의 총 길이를 가지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대략 5 mm 내지 대략 12 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대략 7.2 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약 7 mm 내지 약 15 mm의 길이를 갖는 에어로졸 형성 세그먼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세그먼트는 대략 1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세그먼트는 대략 12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세그먼트는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외경과 대략 동등한 외경을 갖는다. 에어로졸 형성 세그먼트의 외경은 대략 5 mm 내지 대략 12 mm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세그먼트는 대략 7.2 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필터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플러그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하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필터 플러그는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필터 플러그일 수 있다. 필터 플러그는 중공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필터 플러그일 수 있다. 필터 플러그는 일 구현예에서 길이가 대략 7 mm일 수 있지만, 대략 5 mm 내지 대략 1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상류' 및 '하류'는 사용자의 사용 동안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흡인하는 방향과 관련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일부분의 상대적인 위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외부 종이 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필터 플러그 사이의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부는 대략 18 mm일 수 있으나, 대략 5 mm 내지 대략 25 mm 범위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관해 설명된 특징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유도 가열 배열의 서셉터 배열의 보다 상세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서셉터 배열의 가요성 부분을 도시한다.
도 5는 서스펜션 스프링 및 연결 요소를 도시하며;
도 6은 서셉터 배열의 추가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근위 또는 하류 부분을 보여주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의 삽입을 위한 공동(10)을 포함한다.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은 도 2에서 보일 수 있다. 공동(10)은 가열 챔버로서 구성된다.
공동(10)의 내부에, 서셉터 배열(14)이 배열된다. 서셉터 배열(14)은 다수의 서셉터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개별 서셉터 블레이드는 각각의 하류 단부(42)에서 벌어져 공동(10)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서셉터 배열(14)의 내경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의 외경에 대응하거나 이보다 약간 작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은 공동(10)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의 삽입 후에 서셉터 배열(14)에 의해 유지된다.
서셉터 배열(14)은 유도 가열 배열의 일부이다. 유도 가열 배열은 유도 코일(16)을 포함한다. 유도 코일(16)은 바람직하게는 공동(1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배열된다. 유도 코일(16)은 공동(10)의 전체 원주를 둘러싸고 있다. 유도 코일(16)은 서셉터 배열(14)을 둘러싸서 배열된다. 유도 코일(16)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의 기재 부분(18)이 수용되는 공동(10)의 부분을 둘러싸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의 필터 부분(20)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을 공동(10) 내로 삽입한 후에 공동(10)으로부터 돌출된다. 사용자는 필터 부분(20)을 흡인한다.
서셉터 배열(14)의 개별 서셉터 사이에 갭(40)이 제공된다. 갭(40)은 공동(10)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의 삽입 후 에어로졸 발생 물품(12) 내로 기류를 가능하게 한다. 갭(40)은 단열 요소(22)와 서셉터 배열(14) 사이의 공동(10)의 공간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물품(12) 내로 방사상 기류를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갭(40)은 내부 반경 방향 기류를 가능하게 한다. 갭(40)은 세장형 형상을 갖는다. 갭(40)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의 기재 부분(18)의 길이를 따라 본질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나 초과의 유도 코일(16)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유도 코일(16) 또는 2개 초과의 유도 코일(16)이 제공된다. 유도 코일(16)은 유도 가열 배열의 일부일 수 있다. 유도 코일(16)은 공동(10) 내의 별도의 가열 구역의 가열을 가능하게 하도록 별도로 제어 가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유도 코일은 하류 가열 구역에 대응하는 공동(10)의 하류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열될 수 있는 반면, 제2 유도 코일은 상류 가열 구역에 대응하는 공동(10)의 상류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유도 가열 배열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와 같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유도 가열 배열이 하나 초과의 유도 코일(16)을 포함하면, 개별 코일을 별도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배터리와 같은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전력 공급부로부터 유도 코일(16)로 또는 개별 유도 코일(16)로 전기 에너지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셉터 배열(14)과 유도 코일(16) 사이에, 단열 요소(22)가 배열된다. 단열 요소(22)는 공동(10)의 측벽을 형성한다. 단열 요소(22)는 세장형 연장부를 갖는다. 단열 요소(22)는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단열 요소(22)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24)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단열 요소(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4)의 하류 단부(26)에 부착된다. 또한, 단열 요소(22)는 공동(10)의 하류 단부에서 공동(10)의 베이스(28)에 부착된다. 공동(10)의 베이스(28)에서, 하나 이상의 공기 애퍼처(30)가 배열된다.
공기 애퍼처(3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세장형 연장부를 갖는다. 공기 애퍼처(30)는 공기가 공동(10)의 상류 단부(32)에서 공동(10) 내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단열 요소(22)는 공기가 측방향으로 공동(10)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유도 코일(16)은 코일 구획부(34) 내에 배열된다. 코일 구획부(34)는 단열 요소(22)를 둘러싸서 배열된다. 층상 구조에는 중간의 중앙에 공동(10)을 구비한다. 공동(10)을 둘러싸며, 단열 요소(22)가 제공된다. 단열 요소(22)를 둘러싸며, 코일 구획부(34)가 배열된다. 코일 구획부(34)를 둘러싸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24)이 제공된다.
주변 공기가 코일 구획부(34)에 진입할 수 있도록 공기 유입구(36)가 제공된다. 공기 유입구(36)는 하우징(24)의 하류 단부(26)에 배열된다. 공기 유입구(36)는 코일 구획부(34)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공기 유입구(36)는 하우징(24)의 외부 원주와, 단열 요소(22)에 연결된 하우징(24)의 하류 단부(26)의 부분 사이에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36)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24)의 측벽 내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공기 유입구(36)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24)의 외부 원주 내에 배치된다. 공기 유입구(36)는 공동(10)의 상류 단부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도 1에서, 탄성 밀봉 요소(38)가 공동(10)의 하류 단부에 도시되어 있다. 탄성 밀봉 요소(38)는 공동(10)의 하류 단부를 둘러싸서 배열된다. 탄성 밀봉 요소(38)는 원형 형상을 갖는다. 탄성 밀봉 요소(38)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깔때기 형상을 갖는다. 탄성 밀봉 요소(38)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을 삽입한 후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에 압력을 인가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을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탄성 밀봉 요소(38)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을 통해 벗어나는 것을 제외하고는 공기가 공동(10)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불투과성이다.
도 2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이 공동(10) 내에 삽입될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의 기재 부분(18)이 공동(10) 내에 수용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의 필터 부분(20)은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을 흡인하기 위해 공동(10)으로부터 돌출된다.
삽입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에 더하여, 기류는 도 2에 표시된다. 공기가 공기 유입구(36)를 통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로 흐를 수 있다. 하나 초과의 공기 유입구(36)가 제공될 수 있다. 공기는 코일 구획부(34)를 통해 흐른다. 코일 구획부(34)를 빠져나온 후, 공기는 공동(10)의 베이스(28)에 배열된 공기 애퍼처(30)를 통해 공동(10) 내로 흐른다. 이어서, 공기는 개별 서셉터 블레이드 사이에 제공된 갭을 통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12) 내로 흐른다.
도 3은 서셉터 배열(14)의 더 상세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별 서셉터의 하류 단부(42)는 공동(10)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의 삽입의 용이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벌어진다. 서셉터 배열(14)의 개별 서셉터의 상류 단부는 공동(10)의 베이스(28)에 부착된다.
도 4는 서셉터 배열(14)의 개별 서셉터의 가요성 부분(44)을 도시한다. 각각의 가요성 부분(44)은 돌출부로서 구성된다. 가요성 부분(44)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이 서셉터 배열(14)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서셉터의 반경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서셉터 배열(14)의 내경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2)의 외경에 대응하거나 이보다 약간 작다.
도 5는 서스펜션 스프링(46)을 도시한다. 단일 서스펜션 스프링(46)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도 5b 및 도 5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서스펜션 스프링(46)이 제공된다. 서스펜션 스프링(46) 중 하나는 서셉터 배열(14)의 서셉터의 하류 단부(42)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추가 서스펜션 스프링(46)은 서셉터의 상류 단부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서스펜션 스프링(46)은 단열 요소(22)와 서셉터 배열(14) 사이에 배열된다. 서스펜션 스프링(46)은 도 5a 및 도 5c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서셉터의 반경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가요성이다. 또한, 서스펜션 스프링(46)은 서셉터의 축방향 및 접선 방향 이동 중 하나 이상을 방지한다. 도 5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별 서셉터는 서스펜션 스프링(46)에 부착된다. 서스펜션 스프링(46)은 서셉터와 부착하기 위한 편평한 부분을 갖는다. 서스펜션 스프링(46)은 서셉터와 단열 요소(22) 사이의 거리를 가교하기 위한 돌출부 또는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서스펜션 스프링(46)은 단열 요소(22)에서 지지된다. 서스펜션 스프링(46)은 단열 요소(22)에 장착된다. 서스펜션 스프링(46)은 단열 요소(22)의 대응하는 홈에 장착된다. 서스펜션 스프링(46)은 단열 요소(22)에 부착된다. 서스펜션 스프링(46)은 단열 요소(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서셉터의 제1 연결 요소(50) 및 베이스(28)의 대응하는 제2 연결 요소(48)를 더 도시한다. 도 5b 및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결 요소(50)는 돌출부로서 구성되고, 베이스(28)의 제2 연결 요소(48)는 오목부로서 구성된다. 제1 연결 요소(50) 및 제2 연결 요소(48)는 서로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제1 연결 요소(50) 및 제2 연결 요소(48)는 서셉터 배열(14)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면서 서셉터 배열(14)의 반경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연결 요소(50)는 수형 연결 요소이고, 제2 연결 부분(48)은 암형 연결 요소이며, 그 반대일 수 있다.
도 6은 서셉터 배열(14)의 서셉터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서셉터의 내부 표면은 오목한 표면을 갖는다. 본 구현예에 따른 서셉터 배열(14)은 서셉터의 오목한 내부 표면에 의해 개선될 수 있는 관형 형상을 갖는다.

Claims (15)

  1.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
    유도 가열 배열을 포함하며, 상기 유도 가열 배열은 서셉터 배열 및 유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서셉터 배열은 적어도 2개의 세장형 서셉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셉터들은 상기 공동 내에 배열되고, 상기 서셉터들은 하류 단부에서 플레어형 형상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들은 가요성이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서셉터는 상기 서셉터의 상류 영역에서 가요성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분은 만곡형 돌출부로서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서셉터는 공동에 대면하는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적어도 제1 서스펜션 스프링 및 제2 서스펜션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서스펜션 스프링은 상기 서셉터들의 하류 영역에서 상기 서셉터들을 둘러싸고, 상기 제2 서스펜션 스프링은 상기 서셉터들의 상류 영역에서 상기 서셉터들을 둘러싸고, 상기 서셉터들은 상기 서스펜션 스프링들에 부착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스펜션 스프링 및 제2 서스펜션 스프링은 상기 서셉터들의 반경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가요성이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서셉터는 상기 서셉터의 상류 영역에 배열된 제1 연결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공동은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서셉터의 제1 연결 요소와 체결하도록 구성된 제2 연결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요소 및 상기 제2 연결 요소는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서셉터의 반경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서셉터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요소는 돌출부로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 요소는 오목부로서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갭은 상기 서셉터들 사이에 제공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들은 블레이드 형상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들은 관형 배열로 상기 공동의 측벽 주위에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서셉터의 상류 단부는 상기 공동의 베이스에 부착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들은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셉터들은 가요성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셉터들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상기 공동 내에 수용될 때,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상기 공동 내의 상기 서셉터들에 의해 고정 유지되도록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시스템.
KR1020227006257A 2019-08-28 2020-08-25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플레어형 서셉터 가열 배열 Active KR102718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94028.7 2019-08-28
EP19194028 2019-08-28
PCT/EP2020/073693 WO2021037824A1 (en) 2019-08-28 2020-08-25 Flared susceptor heating arrangement for aerosol-genera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144A true KR20220038144A (ko) 2022-03-25
KR102718033B1 KR102718033B1 (ko) 2024-10-17

Family

ID=6777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257A Active KR102718033B1 (ko) 2019-08-28 2020-08-25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플레어형 서셉터 가열 배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95894A1 (ko)
EP (1) EP4021225B1 (ko)
JP (1) JP7425862B2 (ko)
KR (1) KR102718033B1 (ko)
CN (1) CN114144081B (ko)
WO (1) WO20210378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584A1 (en) * 2022-04-01 2023-10-05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7227A1 (en) * 2019-12-17 2021-06-24 Juul Labs, Inc. Heating system for vaporizable material insert
JP2024505961A (ja) * 2021-02-02 2024-02-08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TW202235017A (zh) * 2021-02-02 2022-09-16 瑞士商傑太日煙國際股份有限公司 氣溶膠產生裝置和氣溶膠產生系統
KR20230142485A (ko) * 2021-02-02 2023-10-11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JP2024504433A (ja) * 2021-02-02 2024-01-31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エアロゾル発生装置
KR102554954B1 (ko) 2021-07-21 2023-07-1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GB2610607A (en) * 2021-09-10 2023-03-15 Dyson Technology Ltd Heating system
AU2022418029A1 (en) * 2021-12-22 2024-07-04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provision device
EP4364595A1 (en) * 2022-11-02 2024-05-08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ng devices and induction heating assemblies theref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235A (ko) * 2016-05-31 2019-02-0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열 확산기
WO2019030364A1 (en) * 2017-08-09 2019-02-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ELASTIC SUSCEPTOR
WO2019030168A1 (en) * 2017-08-09 2019-02-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N INDUCTION HEATING DEVICE WITH A TAPERED INDUCTION COIL
CN110169594A (zh) * 2018-12-25 2019-08-27 惠州市沛格斯科技有限公司 加热模组、可控加热模组以及电子烟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5262A (en) * 1991-03-11 1997-09-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Tubular heater for use in an electrical smoking article
US6615840B1 (en) 2002-02-15 2003-09-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system and method
US6803550B2 (en) * 2003-01-30 2004-10-12 Philip Morris Usa Inc. Inductive cleaning system for removing condensates from electronic smoking systems
US6994096B2 (en) 2003-01-30 2006-02-07 Philip Morris Usa Inc. Flow distributor of an electrically heated cigarette smoking system
US7185659B2 (en) * 2003-01-31 2007-03-06 Philip Morris Usa Inc. Inductive heating magnetic structure for removing condensates from electrical smoking device
US7798319B1 (en) * 2008-03-11 2010-09-21 U.S. Smokeless Tobacco Company Container device for tobacco articles
CN203913391U (zh) * 2014-05-15 2014-11-05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烟及供电装置
US20170055574A1 (en) * 2015-08-31 2017-03-02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Cartridg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KR102558683B1 (ko) * 2016-08-31 2023-07-25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인덕터를 갖춘 에어로졸 발생 장치
EP3664634B1 (en) * 2017-08-09 2021-11-1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detachably insertable heating compartment
CN119014593A (zh) 2018-01-22 2024-11-26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松脱机构及气雾产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235A (ko) * 2016-05-31 2019-02-0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열 확산기
WO2019030364A1 (en) * 2017-08-09 2019-02-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ELASTIC SUSCEPTOR
WO2019030168A1 (en) * 2017-08-09 2019-02-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N INDUCTION HEATING DEVICE WITH A TAPERED INDUCTION COIL
CN110169594A (zh) * 2018-12-25 2019-08-27 惠州市沛格斯科技有限公司 加热模组、可控加热模组以及电子烟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584A1 (en) * 2022-04-01 2023-10-05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44081B (zh) 2024-11-15
JP7425862B2 (ja) 2024-01-31
JP2022546331A (ja) 2022-11-04
CN114144081A (zh) 2022-03-04
WO2021037824A1 (en) 2021-03-04
US20220295894A1 (en) 2022-09-22
EP4021225B1 (en) 2023-06-28
KR102718033B1 (ko) 2024-10-17
EP4021225A1 (en)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26709B1 (ko)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유도 히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718033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플레어형 서셉터 가열 배열
EP3664642B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having an inductor coil with reduced separation
US12137737B2 (en) Resilient sealing element for aerosol-generating device
KR102732290B1 (ko) 중앙 및 주변 서셉터를 포함하는 유도 히터
KR102714560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열 절연
RU2786424C1 (ru)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узел с расширяющимся токоприемником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RU2788648C1 (ru) Упругий уплот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RU2785358C1 (ru) Теплоизоляция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RU2791196C1 (ru)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с аксиально подвижным индукционным нагревателем
RU2782779C1 (ru) Индукционный нагреватель, содержащий центральный и периферийный сусцепторы
RU2798249C1 (ru)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устройство
RU2784281C1 (ru)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входы для воздуха для центрального и периферийного потока воздуха, и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исте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8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