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32468A -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468A
KR20220032468A KR1020210079963A KR20210079963A KR20220032468A KR 20220032468 A KR20220032468 A KR 20220032468A KR 1020210079963 A KR1020210079963 A KR 1020210079963A KR 20210079963 A KR20210079963 A KR 20210079963A KR 20220032468 A KR20220032468 A KR 20220032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iquid
slit
discharge port
shaped discharge
co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쓰토무 니시오
Original Assignee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32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468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54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 B05C5/0258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flow controlled, e.g. by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flat form, e.g. fan-like, sheet-like
    • B05B1/044Slits, i.e. narrow openings defined by two straight and parallel lips; Elongated outlets for producing very wide discharges, e.g. fluid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7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47Apparatus or installatio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 buffer container or an accumulator between the supply source and the appl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26Valve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도포용 노즐(10)을 피도포체(W)의 위에서 피도포체와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도포용 노즐의 도액 수용부(11) 내에 있어서의 도액을 슬릿 형상 토출구(11)로부터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액(P)을 도포하는 도포 장치에 있어서, 도액 수용부 내에서 회전하여 도액 수용부와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의 개폐를 실시하는 셔터 부재(13)와, 도액 수용부 내의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정하는 기체 공급 조정 수단(32)을 설치하고, 기체 공급 조정 수단에 의해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압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셔터 부재를 회전시켜 도액 수용부와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를 개폐시킨다.

Description

도포 장치 {COATING DEVICE}
본 발명은, 도포용 노즐에 있어서의 도액 수용부 내에 도액 공급 장치로부터 도액 공급관을 통해 도액을 공급하는 동시에, 이 도액 수용부 내에서의 도액을 토출시키는 도포용 노즐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슬릿 형상 토출구를 피도포체의 위에 배치하고, 상기의 피도포체와 도포용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의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을, 상기의 슬릿 형상 토출구를 통해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포하는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피도포체와 도포용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도포용 노즐의 선단부에 설치한 슬릿 형상 토출구를 통해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액을 도포할 때, 신속하게 도포의 개시와 정지가 가능하고,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액의 두께 얼룩 등이 생기지 않도록, 도액을 피도포체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간단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종래부터, 도포 장치에 의해 도액을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포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도포 장치로는, 특허문헌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액 공급 장치로부터 도액 공급관을 통해 도액을 도포용 노즐에 공급하는 동시에, 이 도포용 노즐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슬릿 형상 토출구를 피도포체에 대향하도록 하여, 도포용 노즐을 피도포체의 위에 배치시키고, 상기의 도액 공급 장치로부터 도액 공급관을 통해 도액을 도포용 노즐에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여, 이 도액을 슬릿 형상 토출구로부터 피도포체의 표면에 토출시키면서, 피도포체의 위에서 도포용 노즐을 도포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액을 도포시키도록 한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도액 공급 장치로부터 도액을 도포용 노즐에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여, 이 도액을 슬릿 형상 토출구로부터 피도포체의 표면에 토출시키는 경우, 도액 공급 장치로부터 도액 공급관을 통해 도액을 도액 수용부에 공급할 때, 배관 압력 손실 등이 생겨, 신속하게 소정량의 도액을 슬릿 형상 토출구로부터 피도포체의 표면에 토출시킬 수 없고, 도포 개시시부터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포되는 도액의 막 두께가 점차 증가하여,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포되는 도액의 막 두께가 일정하게 될 때까지는 소정의 시간을 요하는 동시에, 피도포체의 표면에의 도액의 도포를 정지시킬 때, 도액 공급 장치로부터 도포용 노즐에 공급하는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압시켜 도포용 노즐로부터 도액이 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에도, 도포용 노즐로부터 도액이 토출되지 않게 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고,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포되는 도액의 막 두께가 점차 감소하게 되어, 도포의 개시시와 정지시에 있어서는, 도액을 피도포체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로 도포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도포 장치에 있어서,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액을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기 위해서는, 도포용 노즐을 피도포체의 위에서 도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속도를, 도포 개시시와 도포 정지 전(前)에 있어서 미묘하게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액을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또한, 종래에 있어서는, 특허문헌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포용 노즐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슬릿 형상 토출구의 아래에, 실린더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의 슬릿 형상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셔터 부재를 설치하고, 이 셔터 부재에 의해 슬릿 형상 토출구를 닫고, 도액 중에 있어서의 휘발성의 용제가 휘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와 같이 셔터 부재를 슬릿 형상 토출구의 아래에서 실린더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슬릿 형상 토출구를 닫도록 한 것에 있어서는, 도액을 도포용 노즐에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여, 이 도액을 슬릿 형상 토출구로부터 피도포체의 표면에 토출시키도록 한 경우, 슬릿 형상 토출구의 아래에 설치된 셔터 부재에 도액에 의한 큰 압력이 가해져, 판상(板狀)의 셔터 부재나 실린더 로드(rod)가 도액에 의해 밀려 구부러져서, 도포용 노즐에 있어서의 도액이 슬릿 형상 토출구와 셔터 부재와의 사이에서 누출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특허 제 4344381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0-280454호 공보
본 발명은, 도포용 노즐에 있어서의 도액 수용부 내에 도액 공급 장치로부터 도액 공급관을 통해 도액을 공급하는 동시에, 이 도액 수용부 내에서의 도액를 토출시키는 도포용 노즐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슬릿 형상 토출구를 피도포체의 위에 배치하고, 상기의 피도포체와 도포용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의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을, 상기의 슬릿 형상 토출구를 통해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포하도록 한 도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피도포체와 도포용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도포용 노즐에 설치한 슬릿 형상 토출구를 통해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액을 도포할 때, 신속하게 도포의 개시와 정지가 가능하고,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액체의 두께 얼룩 등이 생기지 않도록, 도액을 피도포체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간단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도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포용 노즐에 있어서의 도액 수용부 내에 도액 공급 장치로부터 도액 공급관을 통해 도액을 공급하는 동시에, 이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를 토출시키는 도포용 노즐의 선단부에서의 슬릿 형상 토출구 피도포체의 위에 배치하고, 상기의 피도포체와 도포용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의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을, 상기의 슬릿 형상 토출구를 통해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포하는 도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도액 수용부 내에서 회전하여 도액 수용부와 상기의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의 개폐를 실시하는 셔터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의 셔터 부재를 회전시켜, 도액 수용부와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를 개폐하도록 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셔터 부재를 도포용 노즐에 있어서의 도액 수용부 내에 설치했기 때문에, 도액에 큰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특허문헌 2와 같이, 셔터 부재가 구부러져 도액이 누출되는 일이 없고, 또한 상기의 셔터 부재를 도액 수용부 내에서 조금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폭이 넓은 슬릿 형상 토출구를 전폭에 걸쳐 동시에 순식간에 신속히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도액 수용부 내에 설치한 셔터 부재를 약간 회전시켜, 폭이 넓은 슬릿 형상 토출구를 전폭에 걸쳐 신속하게 개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포의 개시와 정지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종래와 같이, 도포 개시시부터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포되는 도액의 막 두께가 점차 증가하여, 도액의 막 두께가 일정하게 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거나, 도포를 정지시키실 때, 도액의 막 두께가 점차 감소하여, 도액의 토출이 정지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도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도액 수용부 내에서 회전시켜 도액 수용부와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의 개폐를 실시하는 셔터 부재를 설치하는 동시에,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 조정 수단을 설치하고, 압력 조정 수단에 의해 도액 수용부 내에 수용된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압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셔터 부재를 회전시켜, 도액 수용부와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를 개폐시키도록 하면, 셔터 부재를 회전시켜 도액 수용부와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를 개구시킨 경우에는, 도액 수용부 내에 수용된 도액이 일정한 압력으로 슬릿 형상 토출구를 통해 피도포체의 표면에 공급되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액이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는 동시에, 셔터 부재를 회전시켜 도액 수용부와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를 폐색시킨 경우에는, 도액 수용부 내에 수용된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압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슬릿 형상 토출구를 통해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액이 공급되는 것이 신속하게 정지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도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의 압력 조정 수단으로서, 상기의 도액 수용부 내에 도액을 공급시킨 상태에서 도액 수용부 내에 기체를 공급해, 상기의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압이 되도록 조정하는 기체 공급 조정 수단을 설치하도록 하고, 혹은 상기의 도액 공급 장치로부터 도액 공급관을 통해 도액 수용부 내에 도액을 공급해 충전시킬 때, 도액 수용부 내에 수용된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압이 되도록 도액의 공급을 조정하는 도액 공급 조정 수단을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압력 조정 수단으로서, 상기와 같이 도액 수용부 내에 도액을 공급시킨 상태에서 도액 수용부 내에 기체를 공급해,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압에 되도록 조정하는 기체 공급 조정 수단을 설치한 경우,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압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도액 공급 장치로부터 도액 공급관을 통해 도액을 도액 수용부 내에 공급할 때, 기포가 도액과 함께 도액 수용부 내에 공급되었다 하더라도,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 기포가 떠올라 도액으로부터 분리되고, 도액 수용부 내에 공급되는 기체와 하나가 되어, 기포가 슬릿 형상 토출구를 통해 피도포체의 표면에 공급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도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의 셔터 부재로서, 도액 수용부 내에서 회전하는 막대 형상 프레임의 바깥둘레부에, 그 축 방향을 따라 상기의 슬릿 형상 토출구보다 길게 뻗은 안내 노치부를 설치한 것을 이용해, 이 셔터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의 안내 노치부를 상기의 슬릿 형상 토출구의 위치로 안내해 상기의 도액 수용부와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를 연통시키고,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을, 안내 노치부로부터 슬릿 형상 토출구를 통해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포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슬릿 형상 토출구의 폭 방향에 있어서, 일제히 도료의 토출의 개시와 정지를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도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도액 수용부 내에서 회전시켜 도액 수용부와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의 개폐를 실시하는 셔터 부재를 설치하는 동시에,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 조정 수단을 설치하고, 압력 조정 수단에 의해 도액 수용부 내에 수용된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압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셔터 부재를 회전시켜, 도액 수용부와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를 개폐하게 했기 때문에, 셔터 부재를 회전시켜 도액 수용부와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를 개구시킨 경우에는, 도액 수용부 내에 수용된 도액이 일정한 압력으로 슬릿 형상 토출구를 통해 신속하게 피도포체의 표면에 공급되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액이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게 되는 동시에, 셔터 부재를 회전시켜 도액 수용부와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를 폐색시킨 경우에는, 도액 수용부 내에 수용된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압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슬릿 형상 토출구를 통해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액이 공급되는 것이 신속하게 정지되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도포 장치에 있어서는, 피도포체와 도포용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도액 수용부 내에서의 도액을, 슬릿 형상 토출구를 통해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포할 때, 상기와 같이 압력 조정 수단에 의해 도액 수용부 내에 수용된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압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셔터 부재를 회전시켜 도액 수용부와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를 개폐시키는 것만으로, 도액 수용부 내에 수용된 도액을 일정한 압력으로 슬릿 형상 토출구를 통해 피도포체의 표면에 신속하게 공급하게 하거나, 정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도포 개시시에 도액의 막 두께가 일정하게 될 때까지 시간을 요하거나, 도포 정지시에 도액의 토출이 정지할 때까지 시간을 요하는 일이 없어져,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액의 두께 얼룩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도액을 피도포체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간단하게 도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도포 장치에 있어서, 도포용 노즐의 도액 수용부 내에 설치한 셔터 부재에 의해 도포용 노즐의 선단부에서의 슬릿 형상 토출구를 닫은 상태에서, 도액 공급 장치로부터 도액 공급관을 통해 도액을 도액 수용부 내에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슬릿 형상 토출구의 긴쪽 방향의 개략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상기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도포 장치에 있어서, 도포용 노즐의 도액 수용부 내에 설치한 셔터 부재에 의해 도포용 노즐의 선단부에서의 슬릿 형상 토출구를 닫은 상태에서, 도액 공급 장치로부터 도액 공급관을 통해 도액을 도액 수용부 내에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슬릿 형상 토출구의 긴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 설명도이다.
도 3은, 상기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도포 장치에 있어서, 도액 공급 장치로부터 도액 공급관을 통해 도액을 도액 수용부 내에 공급한 후, 도액 수용부 내에 기체를 공급해,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슬릿 형상 토출구의 긴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 설명도이다.
도 4는, 상기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도포 장치를 나타내고, (A) ~ (D)는, 소정량의 도액이 공급된 도액 수용부 내에 기체를 공급하여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정한 상태에서, 도포용 노즐을 피도포체의 위에 배치하고, 셔터 부재를 회전해 도액 수용부와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를 개구시켜, 슬릿 형상 토출구로부터 도액을 피도포체의 위에 공급하고,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액을 도포할 때, 기체 공급 조정 수단에 의해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압이 되도록 조정하면서, 피도포체를 도포용 노즐의 아래로 이동시켜,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을, 슬릿 형상 토출구로부터 피도포체 표면에 도포하는 공정을 나타낸 개략 단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도포 장치를 나타내고, (A)는, 도포용 노즐의 도액 수용부 내에 설치한 셔터 부재에 의해 도포용 노즐의 선단부에서의 슬릿 형상 토출구를 닫은 상태에서, 도액 공급 장치로부터 도액 공급관을 통해 도액을 도액 수용부 내에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슬릿 형상 토출구의 긴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 설명도, (B)는, 도액 수용부 내에 도액을 충전시켜, 도액 수용부 내에 수용된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압이 되도록, 도액의 공급을 조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슬릿 형상 토출구의 긴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상기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도포 장치를 나타내고, (A) ~ (D)는, 도액 수용부 내에 충전시켜, 도액 수용부 내에 충전된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압이 되도록 조정한 상태에서, 도포용 노즐을 피도포체의 위에 배치하고, 실린지 펌프를 사용해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압이 되도록 조정하면서, 피도포체를 도포용 노즐의 아래로 이동시켜,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을, 슬릿 형상 토출구를 통해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포하는 공정을 나타낸 개략 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포 장치에 있어서, 셔터 부재에 안내노치부를 설치할 때, (A) ~ (D)는, 셔터 부재에 설치하는 안내 노치부의 형상을 변경시킨 셔터 부재의 개략 전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포 장치에 있어서, 도 7(A) ~ (D)에 나타낸 안내 노치부의 형상을 변경시킨 셔터 부재를 이용해 피도포체에 도액을 도포하는 예를 나타내고, (A) ~ (H)는, 이들 셔터 부재의 회전을 제어해, 피도포체에 도액을 도포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포 장치를 첨부 도면을 근거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도포 장치는, 하기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도포 장치에서는, 도 1 ~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용 노즐(10)의 내부에 도액(P)을 수용한 도액 수용부(11)를 설치하는 동시에, 선단부에 상기의 도액 수용부(11) 내에 수용된 도액(P)을 토출시키는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설치하고, 나아가 상기의 도액 수용부(11) 내에서 회전해 도액 수용부(11)와 슬릿 형상 토출구(12)와의 사이의 개폐를 실시하는 셔터 부재(13)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의 셔터 부재(13)로는, 상기의 도액 수용부(11) 내에서 회전하는 막대 형상 프레임의 바깥둘레부에, 그 축 방향을 따라 상기의 슬릿 형상 토출구(12)보다 길게 뻗은 안내 노치부(13a)를 설치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셔터 부재(13)를 도액 수용부(11) 내에서 회전시켜, 셔터 부재(13)에 있어서의 안내 노치부(13a)를 슬릿 형상 토출구(12)의 위치로 안내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액 수용부(11)와 슬릿 형상 출구(12)와의 사이가 셔터 부재(13)에 의해 폐색되어, 도액 수용부(11) 내에 수용된 도액(P)이 슬릿 형상 토출구(12)로 안내되지 않는 한편, 안내 노치부(13a)가 슬릿 형상 토출구(12)의 위치로 안내된 상태에서는, 도액 수용부(11)와 슬릿 형상 토출구(12)와의 사이가 안내 노치부(13a)를 개재해 연통되고, 도액 수용부(11) 내에 수용된 도액(P)이 안내 노치부(13a)를 통해 슬릿 형상 토출구(12)로 안내되게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 1의 도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의 도포용 노즐(10)에 서의 도액 수용부(11)에 대해, 도액 공급 장치(20)로부터 도액(P)을 공급하는 도액 공급 파이프(21)에 도액 공급 밸브(22)를 설치하고, 도액 공급 장치(20)의 상방으로부터 도액(P)에 압력을 가해, 이 도액 공급 밸브(22)를 개폐시키고, 도액 수용부(11)로의 도액(P)의 공급이나 정지를 실시하도록 하는 동시에, 도액 수용부(11) 내로의 기체의 공급·배기를 실시하는 공급·배기 파이프(31)를 설치하고, 이 공급·배기 파이프(31)에 있어서의 공급측 파이프(31a)에, 기체 공급 조정 수단으로서, 기체 공급 장치(30)로부터 상기의 도액 수용부(11)에 공급하는 기체를 조정하는 기체 공급 조정 밸브(32)를 설치하는 한편, 공급·배기 파이프(31)에 있어서의 배기측 파이프(31b)에 배기 밸브(33)를 설치하고, 이 배기 밸브(33)를 통해 도액 수용부(11) 내에 있어서의 기체를 배기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 1의 도포 장치에 있어서, 도포용 노즐(10)에서의 도액 수용부(11) 내에 도액(P)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용 노즐(10)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상기의 셔터 부재(13)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도액 공급 파이프(21)에 설치한 상기의 도액 공급 밸브(22)를 열고, 도액 공급 장치(20)로부터 도액 공급 파이프(21)를 통해 도액 수용부(11) 내에 소정량의 도액(P)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의 배기측 파이프(31b)에 설치한 배기 밸브(33)를 열고, 이 배기측 파이프(31b)를 통해 도액 수용부(11) 내에 있어서의 기체를 배기(공기 빼기)하는 한편, 상기의 공급측 파이프(31a)에 설치한 기체 공급 조정 밸브(32)를 닫고, 기체 공급 장치(30)로부터 기체를 도액 수용부(11)에 공급시키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한 도액 공급 밸브(22), 기체 공급 조정 밸브(32), 배기 밸브(33)의 개폐에 대해서는, 열린 상태를 흰색으로, 닫힌 상태를 검은 색으로 나타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도포용 노즐(10)에 있어서의 도액 수용부(11) 내에 소정량의 도액(P)을 공급한 후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도포용 노즐(10)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상기의 셔터 부재(13)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도액 공급 파이프(21)에 설치한 상기의 도액 공급 밸브(22)를 닫고, 도액 공급 장치(20)로부터 도액(P)을 도액 수용부(11)에 공급시키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의 배기측 파이프(31b)에 설치한 배기 밸브(33)를 닫고 도액 수용부(11) 내에 있어서의 기체를 배출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의 공급측 파이프(31a)에 설치한 기체 공급 조정 밸브(32)를 열고, 기체 공급 장치(30)로부터 기체를 공급측 파이프(31a)에 설치한 기체 공급 조정 밸브(32)를 통해 도액 수용부(11) 내에 공급해, 도액 수용부(11) 내에 있어서의 도액(P)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압이 되도록 조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 1의 도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도포용 노즐(10)로부터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도포함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도포용 노즐(10)의 선단부에서의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셔터 부재(13)에 의해 닫고, 기체 공급 장치(30)로부터 기체 공급 조정 밸브(32)를 개재하여 기체를 도액 수용부(11) 내에 공급하고, 도액 수용부(11) 내에 있어서의 도액(P)에 가해지는 압력을 소정압으로 조정한 상태에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도포용 노즐(10)을, 슬릿 형상 토출구(12)로부터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의 도포를 개시시키는 위치로 안내하도록 한다.
이어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셔터 부재(13)를 도액 수용부(11) 내에서 신속하게 회전시켜, 셔터 부재(13)에 있어서의 안내 노치부(13a)를 슬릿 형상 토출구(12)의 위치로 안내하고, 도액 수용부(11)와 슬릿 형상 토출구(12)와의 사이를 안내 노치부(13a)에 의해 연통시켜, 도액 수용부(11) 내에 수용된 도액(P)을 소정압으로 상기의 안내 노치부(13a)로부터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통해 피도포체(W)의 표면에 공급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액(P)이 신속하게 셔터 부재(13)에 의해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통해 피도포체(W)의 표면에 공급되게 되어, 종래와 같이, 도포이 개시시부터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포되는 도액(P)의 막 두께의 양이 점차 증가하는 일이 없고, 도포의 개시시부터 피도포체(W)의 표면 전체에 도액(P)이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하여 도포되게 된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기체 공급 조정 밸브(32)에 의해 기체 공급 장치(30)로부터 도액 수용부(11) 내에 공급하는 기체의 양을 조정해, 도액 수용부(11) 내에 있어서의 도액(P)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한 소정압으로 조정한 상태에서, 도액 수용부(11) 내에 있어서의 도액(P)을 일정한 압력으로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통해 피도포체(W)의 표면에 공급하게 하면서, 피도포체(W)를 도포용 노즐(10)의 아래로 이동(혹은, 도포용 노즐(10)을 피도포체(W)의 위로 이동)시켜,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도포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항상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통해 도액(P)이 일정한 압력으로 피도포체(W)의 표면에 공급되어,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이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하여 도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통해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도포시킨 후, 피도포체(W)의 표면에의 도액(P)의 도포를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속하게 상기의 셔터 부재(13)를 회전시켜, 셔터 부재(13)에 있어서의 안내 노치부(13a)를 슬릿 형상 토출구(12)의 위치로부터 떨어지게 하고, 셔터 부재(13)에 의해 도액 수용부(11)와 슬릿 형상 토출구(12)와의 사이를 폐색시켜, 도액 수용부(11) 내에 수용된 도액(P)이 슬릿 형상 토출구(12)로 안내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통해 일정한 압력으로 피도포체(W)의 표면에 공급되어 있던 도액(P)이, 신속하게 셔터 부재(13)에 의해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통해 피도포체(W)의 표면에 공급되지 않게 되어, 종래와 같이, 도포의 종료시에,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포되는 도액(P)의 막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일이 없고, 피도포체(W)의 표면 전체에 도액(P)이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도포된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의 도포 장치에 있어서도,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실시 형태 1의 것과 마찬가지로, 도포용 노즐(10)의 내부에 도액(P)을 수용 시키는 도액 수용부(11)를 설치하는 동시에, 선단부에 상기의 도액 수용부(11) 내에 수용된 도액(P)을 토출시키는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설치하고, 나아가 도액 수용부(11) 내에서 회전시켜 도액 수용부(11)와 슬릿 형상 토출구(12)와의 사이의 개폐를 실시하는 셔터 부재(13)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 2의 도포 장치에 있어서도, 상기의 실시 형태 1의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의 셔터 부재(13)를 도액 수용부(11) 내에서 회전시켜, 셔터 부재(13)에 있어서의 안내 노치부(13a)를 슬릿 형상 토출구(12)의 위치로 안내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액 수용부(11)와 슬릿 형상 토출구(12)와의 사이가 셔터 부재(13)에 의해 폐색되어, 도액 수용부(11) 내에 수용된 도액(P)이 슬릿 형상 토출구(12)로 안내되지 않는 한편, 안내 노치부(13a)가 슬릿 형상 토출구(12)의 위치로 안내된 상태에서는, 도액 수용부(11)와 슬릿 형상 토출구(12)와의 사이가 안내 노치부(13a)를 개재하여 연통되고, 도액 수용부(11) 내에 수용된 도액(P)이 안내 노치부(13a)를 통해 슬릿 형상 토출구(12)로 안내되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2의 도포 장치에 있어서도, 도포용 노즐(10)에서의 도액 수용부(11)에 도액(P)을 공급시킬 때, 상기의 실시 형태 1의 것과 마찬가지로, 도시하고 있지 않은 도액 공급 장치(20)로부터 도액 공급 파이프(21)를 통해 도액(P)을 도포용 노즐(10)에 있어서의 도액 수용부(11)에 공급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 2의 도포 장치에 있어서는, 도액 공급 장치(20)로부터 도액 공급 파이프(21)를 통해 도액(P)을 도포용 노즐(10)에서의 도액 수용부(11)에 공급시킬 때,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도액 공급 파이프(21)의 중간 위치에, 도액 수용부(11) 내에 수용된 도액(P)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압이 되도록 도액(P)의 공급을 조정하는 도액 공급 조정 수단으로서, 실린지 펌프(40)를 설치하고, 실린지 펌프(40)의 상류측에서의 도액 공급 파이프(21)에 설치한 제1 도액 공급 밸브(22a)를 통해 도액(P)을 실린지 펌프(40) 내로 안내하는 동시에, 이 실린지 펌프(40) 내로 안내된 도액(P)을 실린지 펌프(40)의 하류 측에서의 도액 공급 파이프(21)에 설치한 제2 도액 공급 밸브(22b)를 통해 도액 수용부(11) 내에 공급해 충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 2의 도포 장치에 있어서는, 도액 수용부(11) 내에 도액(P)을 공급시키는 경우에, 도액 수용부(11) 내에 있어서의 기체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용 파이프(34)에 배기용 밸브(35)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 2의 도포 장치에 있어서, 도포용 노즐(10)에서의 도액 수용부(11) 내에 도액(P)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용 노즐(10)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상기의 셔터 부재(13)에 의해 닫힌 상태로 하여, 도액 공급 파이프(21)에 설치한 상기의 제1 도액 공급 밸브(22a)와 제2 도액 공급 밸브(22b)를 열고, 도액 공급 파이프(21)를 통해 도액(P)을 실린지 펌프(40) 내에 공급해 충전하고, 이와 같이 실린지 펌프(40) 내에 공급된 도액(P)을 도포용 노즐(10)의 도액 수용부(11) 내에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의 배기용 파이프(34)에 설치한 배기용 밸브(35)를 열어서, 도액(P)이 공급되는 도액 수용부(11) 내의 기체를, 배기용 파이프(34)를 통해 배기(기체 빼기)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도포용 노즐(10)의 도액 수용부(11) 내에 도액(P)을 공급하고, 도액 수용부(11) 내에 도액(P)을 충전시킨 후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제1 도액 공급 밸브(22a)와 배기용 밸브(35)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의 실린지 펌프(40)의 실린더(41)에 의해, 실린지 펌프(40) 내에서의 도액(P)을 도액 수용부(11) 내로 송출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도액 수용부(11) 내에서의 도액(P)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압이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한 제1 도액 공급 밸브(22a), 제2 도액 공급 밸브(22b), 배기용 밸브(35)의 개폐에 대해서는, 열린 상태를 흰색으로, 닫힌 상태를 검은 색으로 나타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 2의 도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도포용 노즐(10)로부터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도포함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도포용 노즐(10)의 선단부에서의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셔터 부재(13)에 의해 닫고, 실린지 펌프(40)에서의 실린더(41)에 의해, 실린지 펌프(40) 내에서의 도액(P)을 도액 수용부(11) 내에 송출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도액 수용부(11) 내에서의 도액(P)에 가해지는 압력을 소정압으로 조정한 상태에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도포용 노즐(10)을, 슬릿 형상 토출구(12)로부터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의 도포를 개시시키는 위치로 안내하게 한다.
이어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셔터 부재(13)를 도액 수용부(11) 내에서 신속하게 회전시켜, 셔터 부재(13)에 있어서의 안내 노치부(13a)를 슬릿 형상 토출구(12)의 위치로 안내하고, 도액 수용부(11)와 슬릿 형상 토출구(12)와의 사이를 안내 노치부(13a)에 의해 연통시켜, 도액 수용부(11) 내에 수용된 도액(P)을 소정압으로 상기의 안내 노치부(13a)로부터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통해 피도포체(W)의 표면에 공급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액(P)이 신속하게 셔터 부재(13)에 의해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통해 피도포체(W)의 표면에 공급되게 되어, 종래와 같이, 도포의 개시시부터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포되는 도액(P)의 막 두께의 양이 점차 증가하는 일이 없고, 도포의 개시시부터 피도포체(W)의 표면 전체에 도액(P)이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하여 도포되게 된다.
그리고,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실린더(41)에 의해 실린지 펌프(40) 내에 있어서의 도액(P)을 도액 수용부(11) 내로 송출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도액 수용부(11) 내에서의 도액(P)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한 소정압으로 조정한 상태에서, 도액 수용부(11) 내에서의 도액(P)을 일정한 압력으로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통해 피도포체(W)의 표면에 공급하면서, 피도포체(W)를 도포용 노즐(10)의 아래로 이동(혹은, 도포용 노즐(10)을 피도포체(W)의 위로 이동)시켜,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도포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통해 도액(P)이 일정한 압력으로 피도포체(W)의 표면에 공급되고,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이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하여 도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통해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도포시킨 후, 피도포체(W)의 표면에의 도액(P)의 도포를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속하게 상기의 셔터 부재(13)를 회전시켜, 셔터 부재(13)에 있어서의 안내 노치부(13a)를 슬릿 형상 토출구(12)의 위치로부터 옮겨서, 셔터 부재(13)에 의해 도액 수용부(11)와 슬릿 형상 토출구(12)와의 사이가 폐색되고, 도액 수용부(11) 내에 수용된 도액(P)이 슬릿 형상 토출구(12)로 안내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통해 일정한 압력으로 피도포체(W)의 표면에 공급되어 있었던 도액(P)이, 셔터 부재(13)에 의해 슬릿 형상 토출구(12)를 통해 피도포체(W)의 표면에 신속하게 공급되지 않게 되고, 종래와 같이, 도포의 종료시에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포되는 도액(P)의 막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일이 없고, 피도포체(W)의 표면 전체에 도액(P)이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하여 도포되게 된다.
그리고, 실린지 펌프(40) 내에 있어서의 도액(P)의 양이 감소한 경우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상기의 제2 도액 공급 밸브(22b)를 닫는 한편, 상기의 제1 도액 공급 밸브(22a)를 열고, 실린지 펌프(40)에 있어서의 실린더(41)를 흡인 방향으로 움직여, 다시, 도액 공급 장치(20)로부터 도액 공급 파이프(21)를 통해 도액(P)을 실린지 펌프(40) 내에 충전시킨다. 또한, 같은 실시 형태의 도면에 있어서는, 1회의 도포로 실린지 펌프(40) 내에 있어서의 도액(P)이 없어지도록 도시했지만, 실린지 펌프(40) 내에 충전되는 도액(P)의 양을 많게 하고, 도포를 복수회 실시하도록 하여, 그 후, 상기와 같이 하여 도액 공급 장치(20)로부터 도액 공급 파이프(21)를 통해 도액(P)을 실린지 펌프(40) 내에 충전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셔터 부재(13)는, 상기의 실시 형태 1, 2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의 셔터 부재(13)에 설치한 안내 노치부(13a)의 형상을, 도 7(A) ~ (D)에 도시한 셔터 부재(13)의 전개도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부재(13)로서, 평면 사각 형상으로 된 커다란 안내 노치부(13a)를 설치한 것을 이용해, 피도포체(W)와 도포용 노즐(10)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도포할 때, 셔터 부재(13)를 일정 시간 개방하고,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도포체(W)의 표면에 상기의 안내 노치부(13a)로부터 도액(P)을 연속 공급하여 피도포체(W)의 표면에 사각 형상으로 도포하고, 또한, 셔터 부재(13)를 간헐적으로 개폐시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상기의 안내 노치부(13a)로부터 간헐적으로 공급해, 셔터 부재(13)의 축 방향으로 뻗은 스트립 형상이 되도록 하여,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복수개 도포시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부재(13)로서, 그 축 방향으로 소요 간격을 개재하도록 하여 사각 형상이 된 안내 노치부(13a)를 복수 설치한 것을 이용해, 피도포체(W)와 도포용 노즐(10)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도포할 때, 셔터 부재(13)를 일정 시간 개방하고,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각 안내 노치부(13a)로부터 연속 공급하여 복수의 세로 줄무늬 형상으로 도포하고, 또한, 셔터 부재(13)를 간헐적으로 개폐시켜,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각 안내 노치부(13a)로부터 간헐적으로 공급해, 사각 형상의 도액(P)을 격자 형상으로 도포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부재(13)로서, 오목 형상이 된 안내 노치부(13a)를 설치한 것을 이용해, 피도포체(W)와 도포용 노즐(10)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도포할 때, 셔터 부재(13)를 적당한 타이밍으로 개폐해, 도 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액자 형상으로 도포하거나, 도 8(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액자의 내부에 가로 줄무늬를 설치한 상태가 되도록 도포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부재(13)로서, 빗살 형상이 된 안내 노치부(13a)를 설치한 것을 이용해, 피도포체(W)와 도포용 노즐(10)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도포할 때, 셔터 부재(13)를 적당한 타이밍으로 개폐해, 도 8(G)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액자의 내부에 세로 줄무늬를 설치한 상태가 되도록 도포하거나, 도 8(H)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도포체(W)의 표면에 도액(P)을 빗살 형상이 된 안내 노치부(13a)로부터 간헐적으로 공급해, 피도포체(W)의 표면에 사각 형상이 된 복수의 비도포부를 배열해, 도액(P)을 격자 형상으로 도포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도포용 노즐
11 도액 수용부
12 슬릿 형상 토출구
13 셔터 부재
13a 안내 노치부
20 도액 공급 장치
21 도액 공급 파이프
22 도액 공급 밸브
22a 제1 도액 공급 밸브
22b 제2 도액 공급 밸브
30 기체 공급 장치
31 공급·배기 파이프
31a 공급측 파이프
31b 배기측 파이프
32 기체 공급 조정 밸브
33 배기 밸브
34 배기용 파이프
35 배기용 밸브
40 실린지 펌프
41 실린더
P 도액
W 피도포체

Claims (5)

  1. 도포용 노즐에 있어서의 도액 수용부 내에 도액 공급 장치로부터 도액 공급관을 통해 도액을 공급하는 동시에, 이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을 토출시키는 도포용 노즐의 선단부에서의 슬릿 형상 토출구를 피도포체의 위에 배치하고, 상기의 피도포체와 도포용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의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을, 상기의 슬릿 형상 토출구를 통해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포하는 도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도액 수용부 내에서 회전하여 도액 수용부와 상기의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의 개폐를 실시하는 셔터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의 셔터 부재를 회전시켜, 도액 수용부와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2. 청구항 1에 기재된 도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도액 수용부 내에서 회전하여 도액 수용부와 상기의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의 개폐를 실시하는 셔터 부재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의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 조정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의 압력 조정 수단에 의해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압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의 셔터 부재를 회전시켜, 도액 수용부와 슬릿 형상 토출구와의 사이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3. 청구항 2에 기재된 도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압력 조정 수단으로서, 상기의 도액 수용부 내에 도액을 공급시킨 상태에서 도액 수용부 내에 기체를 공급하고, 상기의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압이 되도록 조정하는 기체 공급 조정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4. 청구항 2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의 압력 조정 수단으로서, 상기의 도액 공급 장치로부터 도액 공급관을 통해 도액 수용부 내에 도액을 공급해 충전시킬 때, 도액 수용부 내에 수용된 도액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압이 되도록 도액의 공급을 조정하는 도액 공급 조정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5. 청구항 1 ~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셔터 부재로서, 도액 수용부 내에서 회전하는 막대 형상 프레임의 바깥둘레부에, 그 축 방향을 따라 상기의 슬릿 형상 토출구보다 길게 뻗은 안내 노치부를 설치한 것을 이용해, 이 셔터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의 안내 노치부를 상기의 슬릿 형상 토출구의 위치로 안내하여 상기의 도액 수용부와 슬릿 형상 토출구 와의 사이를 연통시키고, 도액 수용부 내에 있어서의 도액을, 안내 노치부로부터 슬릿 형상 토출구를 통해 피도포체의 표면에 도포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KR1020210079963A 2020-09-07 2021-06-21 도포 장치 Pending KR202200324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49543A JP6873586B1 (ja) 2020-09-07 2020-09-07 塗布装置
JPJP-P-2020-149543 2020-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468A true KR20220032468A (ko) 2022-03-15

Family

ID=75896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963A Pending KR20220032468A (ko) 2020-09-07 2021-06-21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01396A1 (ko)
EP (1) EP4212253A4 (ko)
JP (1) JP6873586B1 (ko)
KR (1) KR20220032468A (ko)
CN (1) CN114146831A (ko)
TW (1) TW202210179A (ko)
WO (1) WO20220500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27347B2 (ja) * 2021-09-24 2024-02-05 中外炉工業株式会社 塗布装置
JP7598429B1 (ja) 2023-10-06 2024-12-11 中外炉工業株式会社 スリットダイヘッドおよび該スリットダイヘッドを備える塗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454A (ja) 1999-03-30 2000-10-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4344381B2 (ja) 2006-12-27 2009-10-14 中外炉工業株式会社 塗工液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181A (ja) * 1993-01-30 1994-08-16 Sumitomo Metal Ind Ltd スロットノズルコ−タ型塗装装置
JPH10192762A (ja) * 1997-01-14 1998-07-28 Kiroku Kobayashi 粘性流体塗布用の吐出ノズル装置
EP1155748B1 (en) * 1998-12-28 2017-04-12 Musashi Engineering, Inc. Method and device for injecting a fixed quantity of liquid
JP2002355592A (ja) * 2001-05-30 2002-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体吐出装置及び流体吐出方法
JP2007066744A (ja) * 2005-08-31 2007-03-15 Sony Corp 塗工装置および電極の製造方法
JP2014022545A (ja) * 2012-07-18 2014-02-03 Tokyo Electron Ltd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WO2015001925A1 (ja) * 2013-07-04 2015-01-08 スリーボンドファインケミカル株式会社 塗布装置及び塗布装置の制御方法
JP6339865B2 (ja) * 2013-08-30 2018-06-0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塗布膜形成装置
JP6195806B2 (ja) * 2013-11-13 2017-09-1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塗布装置
CN109574511A (zh) * 2017-09-29 2019-04-05 中外炉工业株式会社 基板的涂布方法以及基板的涂布装置
JP6808304B1 (ja) * 2020-01-14 2021-01-06 中外炉工業株式会社 塗布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454A (ja) 1999-03-30 2000-10-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4344381B2 (ja) 2006-12-27 2009-10-14 中外炉工業株式会社 塗工液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01396A1 (en) 2024-01-04
EP4212253A4 (en) 2024-11-13
JP6873586B1 (ja) 2021-05-19
CN114146831A (zh) 2022-03-08
JP2022044094A (ja) 2022-03-17
WO2022050077A1 (ja) 2022-03-10
EP4212253A1 (en) 2023-07-19
TW202210179A (zh)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32468A (ko) 도포 장치
JP6804850B2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6361658B2 (ja) 塗布装置及び塗布装置の制御方法
US9401291B2 (en) Coating apparatus
CN114260140B (zh) 涂布装置及涂布方法
KR102443901B1 (ko) 기판의 도포 방법 및 기판의 도포 장치
TWI756842B (zh) 塗布裝置
TWI664025B (zh) Applicator, coating device and coating method
KR100442064B1 (ko) 도포막 형성방법 및 장치
CN113000296A (zh) 涂布装置及涂布方法
JP7427347B2 (ja) 塗布装置
JP2002159902A (ja) 塗工装置
JP6856323B2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KR102394013B1 (ko) 기판의 내부면을 코팅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장치
JP6901616B2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7293284B2 (ja) 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JP2023046612A (ja) 塗布装置
WO2018230543A1 (ja) 塗工装置
KR200481209Y1 (ko) 도료 흐름성 측정장치
KR101484286B1 (ko) 슬롯 다이 코팅 장치
JPS61146364A (ja) 塗布用ロ−ラ
JP4779331B2 (ja) ダイヘッド及びこれを用いるダイコーター
JP2006095460A (ja) ダイヘッドの空気抜き方法およびダイコーター
JP2002282761A (ja) 塗布膜形成方法及び塗布膜形成装置
JPS6182866A (ja) 塗布用ロ−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