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28873A -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873A
KR20220028873A KR1020200110473A KR20200110473A KR20220028873A KR 20220028873 A KR20220028873 A KR 20220028873A KR 1020200110473 A KR1020200110473 A KR 1020200110473A KR 20200110473 A KR20200110473 A KR 20200110473A KR 20220028873 A KR20220028873 A KR 20220028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n
shifting
range
interloc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
조현성
박진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0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8873A/ko
Priority to JP2021139877A priority patent/JP2022041972A/ja
Priority to DE202021104678.3U priority patent/DE202021104678U1/de
Priority to CN202122085563.3U priority patent/CN217381574U/zh
Priority to US17/462,887 priority patent/US12264737B2/en
Publication of KR20220028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873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8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16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th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successively actuated by progressiv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18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th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successively actuated by progressiv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comprising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16H2059/0282Lever handles with lock mechanisms, e.g. for allowing selection of reverse gear or releasing lever from park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95Selector apparatus with mechanisms to return lever to neutral or datum position, e.g. by retur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1Range selector apparatus using knops or discs for rotary rang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3Cams or detent arrays for guiding and providing f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7Detents for range se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 레인지를 조정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로서, 하우징 유니트(100)와, 일단이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와,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단속 여부를 조정하고 사전 설정 조건에서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위치를 P 레인지로 자동 정렬 복귀시키는 록킹 컬렉션 인테그레이티드 유니트(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ELECTRICAL TRANSMISSION RANGE SH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스위치로서, 차량 변속 레인지의 선택 동작 및/또는 록킹/언록킹 내지 자기 정렬 복귀 동작 동작 구현을 이루되 이루는 컴팩트한 구조를 이루는 변속 레인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자동차의 스위치에 있어서 다양한 기능의 스위치가 복합적으로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기능의 증대만큼 구조가 복잡해지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도 증대된다.
특히, 차량의 단순 편의 기능 뿐만 아니라, 차량의 필수적인 기능 예를 들어 변속 레인지를 변화시키는 변속 레버의 경우에도 기계 전자식 내지 전자식 스위치로 전환되는데, 이러한 스위치 장치는 유형에 따라 각각 내구성 내지 조작감 내지 조작감에 따른 조작 인지력 등의 장단점을 보유한다.
하지만, 차량용 장치라는 점에서 내구성 및 사용자의 조작을 통한 조작 상태 인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 구조의 경우 구조적 제약으로 인하여 구성요소가 점유하는 공간이 과대하거나 또는 조작 상의 불편감 등의 유발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특히, 스위치의 구성의 개별 동작을 위한 각각의 구성요소의 개별 배치로 인하여 컴팩트한 스위치 장치의 구현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최근 차량 변속 스위치의 경우 쉬프트 바이 와이어로 인한 전자식 구성을 이루고, 전자식 구성의 특성 상 다양한 안전 요소들이 부가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하지만, 기능의 추가로 인한 장치가 복잡해지고, 중첩되는 구성요소로 인한 원가 상승 및 오작동 내지 유지 보수 상의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하고 중첩된 요소를 배제하는 심플한 구조를 통하여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보다 정확한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여 조작 공간의 최소화를 이루되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고 조작 신뢰성 향상을 이루는 구조의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 레인지를 조정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로서, 하우징 유니트(100)와, 일단이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와,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단속 여부를 조정하고 사전 설정 조건에서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위치를 P 레인지로 자동 정렬 복귀시키는 록킹 컬렉션 인테그레이티드 유니트(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 컬렉션 인테그레이티드 유니트(300)는: 단수 개의 싱글 구동기(410)를 포함하는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와, 상기 싱글 구동 유니트(4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단속 여부를 조정하는 인터록킹 유니트(500)와, 상기 싱글 구동 유니트(4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이용하여 사전 설정 조건에서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위치를 P 레인지로 자동 정렬 복귀시킬 수 있는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는: 상기 싱글 구동기(410)와 접촉하여 상기 싱글 구동기(410)에서 생성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 측으로 전달하는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 측과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의 동작 허용을 위한 가동력 및 상기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 측으로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 제공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는 상기 싱글 구동기(410)와 직접 접속하여 상기 싱글 구동기(410)에서 생성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 측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는: 상기 싱글 구동기(410)의 구동축에 배치되는 싱글 구동 제 1 전달부(431)과, 상기 싱글 구동 제 1 전달부(431)과 치합되어 회동하는 싱글 구동 제 2 전달부(43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는, 상기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 측과 직접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의 동작 허용을 위한 가동력 및 상기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 측으로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 제공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는: 상기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 측과 기어비를 달리하되 일체 형성되는 싱글 쉐어링 전달 구동 기어(451)와,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구동 기어(451)와 치합되는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는,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기어부(4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기어부(460)는: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 측과 기어비를 달리하되 일체 형성되는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메인 기어(461)와,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메인 기어(461)와 치합되어 회동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서브 기어(46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는: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트리커 캠핀부(520)와,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트리거 캠핀부(520)에 의하여 직접 접촉 가동하여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을 단속하는 인터록킹 캠핀부(5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리커 캠핀부(520)는: 트리거 핀 수용부(525)와, 일단이 상기 트리거 핀 수용부(525)의 내측에 탄성 지지되는 트리거 핀 탄성부(523)와, 일단이 상기 트리거 핀 탄성부(523)와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는 트리거 핀(521)과, 상기 트리거 핀 수용부(525)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트리거 핀(521)의 타단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되는 트리거 핀 캠(527)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트리거 핀 수용부(525)는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트리거 핀 탄성부(523)는 상기 트리거 핀 수용부(525)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핀 캠(527)은 상기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의 적어도 일측에 일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핀(521)은: 일단이 상기 트리거 핀 탄성부(523)과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트리거 핀 캠(527)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트리거 핀 바디(5211)과, 상기 트리거 핀 바디(5211)의 다른 일측과 일체 연결되고 상기 인터록킹 캠핀부(510) 측과 접촉하는 트리거 핀 인터록킹 컨택터(521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킹 캠핀부(510)는: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와, 상기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의 내측에 탄성 지지되는 인터록킹 핀 탄성부(513)와, 일단이 상기 인터록킹 핀 탄성부(513)와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는 인터록킹 핀(511)과, 상기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터록킹 핀(511)의 타단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는 인터록킹 핀 캠(517)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킹 핀(511)은: 일단이 상기 인터록킹 핀 탄성부(513)과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인터록킹 핀 캠(517)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인터록킹 핀 바디(5111)과, 상기 인터록킹 핀 바디(5111)의 다른 일측과 일체 연결되고 상기 트리거 캠핀부(520) 측과 접촉하는 인터록킹 핀 트리거 컨택터(5113)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캠핀부(520) 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중심을 향하여 가동되는 경우 함께 가동하여 상기 인터록킹 핀 캠(517)과의 접촉 상태 해제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킹 핀 트리거 컨택터(5113)과 상기 트리거 캠핀부(520) 측의 적어도 일부의 접촉점 상에서, 상기 인터록킹 핀 트리거 컨택터(5113)가 상기 트리거 캠핀부(520) 측의 적어도 일부보다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중심 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는: 상기 싱글 구동 유니트(4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받아 가동 가능한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와, 상기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와 접촉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고, 상기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중심을 따라 회동 가능한 셀프 컬렉션 팔로잉 리브(6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는: 상기 싱글 구동기(410)와 직접 접속하여 상기 싱글 구동기(410)에서 생성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 측으로 전달하는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 측과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의 동작 허용을 위한 가동력 및 상기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 측으로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 제공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는: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트리커 캠핀부(520)와,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트리거 캠핀부(520)에 의하여 직접 접촉 가동하여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을 단속하는 인터록킹 캠핀부(510)를 포함하고,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 및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는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셀프 컬렉션 팔로잉 리브(620)는 상기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의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는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의 일측에 일체 연결 배치되고, 상기 셀프 컬렉션 팔로잉 리브(620)는 상기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의 일측에 일체 연결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가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회동하는 경우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동작을 촉각적으로 감지하도록 하는 디텐트 유니트(7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가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회동하는 경우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동작을 촉각적으로 감지하도록 하는 디텐트 유니트(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텐트 유니트(700)는: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하우징 샤프트(130)의 외주에 이격 배치되는 디텐트 프로파일 캠(740)과, 디텐트 수용부(730)와, 적어도 일단이 상기 디텐트 수용부(730)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디텐트 프로파일 캠(740) 측과 직접 접촉하는 디텐트 핀(710)과, 상기 디텐트 핀(710)을 탄성 지지하는 디텐트 탄성부(7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디텐트 수용부(730)는 상기 하우징 샤프트(130)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디텐트 탄성부(72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텐트 수용부(7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단이 상기 디텐트 핀(710)과 접촉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는, 상기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와, 상기 셀프 컬렉션 팔로잉 리브(620)가 맞물리어 함께 가동되는 경우 상기 디텐트 핀(710)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디텐트 프로파일 캠(740) 측과 직접 접촉을 해제시키는 셀프 컬렉션 디텐트 리트랙션부(6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셀프 컬렉션 디텐트 리트랙션부(630)는: 리트랙션 수용부(637)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트랙션 수용부(637)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리트랙션 핀(631)과, 상기 리트랙션 핀(631)을 탄성 지지하는 리트랙션 탄성부(633)와, 상기 리트랙션 핀(631)의 일단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리트랙션 캠(635)와, 상기 디텐트 핀(710)에 일체 형성되고 상기 리트랙션 핀(631)과 접촉 가능하고, 상기 리트랙션 핀(631)이 가동하는 경우 함께 가동 가능한 리트랙션 디텐트 핀 컨택터(639)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리트랙션 수용부(637)는 상기 하우징 샤프트(130)에 형성되고, 상기 리트랙션 탄성부(633)는 일단이 상기 리트랙션 핀(631)과 접촉하여 상기 리트랙션 핀(631)을 탄성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트랙션 디텐트 핀 컨택터(639)와 상기 리트랙션 핀(631) 측의 적어도 일부의 접촉점 상에서, 상기 리트랙션 디텐트 핀 컨택터(639)가 상기 리트랙션 핀(631) 측의 적어도 일부보다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중심 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트랙션 핀(631)은: 상기 리트랙션 탄성부(633)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리트랙션 핀 바디(6311)과, 상기 리트랙션 핀 바디(6311)과 일체 형성되고 상기 리트랙션 디텐트 핀 컨택터(639)과 접촉하는 리트랙션 핀 디텐트 컨택터(631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는: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와 연결되어 함께 가동되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메인 가동부(810)와, 상기 쉬프팅 레인지 센싱 메인 가동부(810)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쉬프팅 레인지 서브 가동부(820)와, 상기 쉬프팅 레인지 서브 가동부(820)에 배치되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가동부(830)와, 상기 쉬프팅 레인지 센싱 가동부(830)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유니트 기판(900) 상에 배치되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고정부(8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 컬렉션 인테그레이티드 유니트(300)는: 단수 개의 싱글 구동기(410)를 포함하는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와, 상기 싱글 구동 유니트(4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단속 여부를 조정하는 인터록킹 유니트(500)와, 상기 싱글 구동 유니트(4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이용하여 사전 설정 조건에서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위치를 P 레인지로 자동 정렬 복귀시킬 수 있는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를 포함하고, 상기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는: 상기 싱글 구동기(410)와 직접 접속하여 상기 싱글 구동기(410)에서 생성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 측으로 전달하는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 측과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의 동작 허용을 위한 가동력 및 상기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 측으로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 제공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는, 상기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 측과 직접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의 동작 허용을 위한 가동력 및 상기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 측으로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 제공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 및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기어부(4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기어부(460)는: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 측과 기어비를 달리하되 일체 형성되는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메인 기어(461)와,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메인 기어(461)와 치합되어 회동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서브 기어(463)를 포함하고, 상기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는: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서브 기어에 배치되는 쉬프팅 레인지 쉐어링 전달 센싱 가동부(860)와, 쉬프팅 레인지 쉐어링 전달 센싱 가동부(860)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유니트 기판(900) 상에 배치되는 쉬프팅 레인지 쉐어링 전달 센싱 고정부(8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는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는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을 제한하는 노브 스톱퍼부(260,2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브 스톱퍼부(260,270)는: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에 배치되는 노브 스톱퍼 바디(260)와,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 측에 배치되고 사전 설정 각도 범위에서 상기 노브 스톱퍼 바디(260)와 맞물려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와 상기 노브 스톱퍼 바디(260) 간의 상대 회동을 제한하는 노브 스톱퍼 대응부(2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변속 레버 장치의 쉬프트 바이 와이어 기능을 구현하되, 조작 신뢰성 및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는 특정 신호의 유입 전에 쉬프팅 노브 유니트의 회동을 록/언록 동작의 인터록킹 동작 구현을 통하여 차량 안전성을 강화시키되, 록/언록 동작 구현의 심플한 구성을 통하여 조립 및 유지 보수성을 증진시킬 수도 있고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는 차량의 시동 오프 후 사전 설정 변속 레인지로의 자동 정렬 복귀 동작 구현을 통하여 차후 시동시 발생하는 안전 사고 위험성을 차단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의 심플한 구성을 통하여 조립 및 유지 보수성을 증진시키고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는, 인터록킹 동작 구현 및 셀프 컬렉션 동작 구현에 있어 중첩된 구성요소를 배제하고 단수 개의 구동 요소를 통한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여 오작동 내지 유지 보수 문제를 차단 내지 최소화시키고 비용 절감을 통한 원가 경쟁령 향상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는 쉬프트 바이 와이어를 구현하기 위한 변속 로터리 스위치 구조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작동 구조는 차량의 다양한 스위칭 기능 구현에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쉬프팅 노브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부분 사시도 및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도 7의 선 H-H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부분 분해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쉬프팅 노브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저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부분 저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P 변속 레인지의 인터록킹 유니트의 록/언록 상태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P 변속 레인지의 노브 스톱퍼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R 변속 레인지의 인터록킹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R 변속 레인지의 노브 스톱퍼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N 변속 레인지의 인터록킹 유니트의 록/언록 상태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N 변속 레인지의 노브 스톱퍼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D 변속 레인지의 인터록킹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D 변속 레인지의 노브 스톱퍼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S 변속 레인지의 인터록킹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S 변속 레인지의 노브 스톱퍼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셀프 컬렉션 유니트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7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셀프 컬렉션 유니트의 셀프 컬렉션 디텐트 리트랙션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 레인지를 조정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는 하우징 유니트(100)와,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와, 록킹 컬렉션 인테그레이티드 유니트(300)를 포함한다.
하우징 유니트(10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는 서로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형성된 내부 공간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배치 가능하다. 하우징 커버(110)에는 하우징 커버 관통구(111)가 배치되어 하기되는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일단이 내부로 배치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 특히 운전자의 조작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 커버(110)의 측면에는 커버 체결부(113)가 구비되고 하우징 베이스(120)의 측면에는 베이스 체결부(123)가 구비되는데, 커버 체결부(113)와 베이스 체결부(123)가 서로 맞물리어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가 원치 않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별도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하여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 간의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후술되는 유니트 기판(900)이 배치되어 다른 구성요소들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고 이는 기판 커넥터(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전기적 연결 구조를 형성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하우징 유니트(100)는 하우징 샤프트(13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 샤프트(130)는 본 발명의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안정적인 회동 지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하우징 샤프트는 하우징 베이스와 함께 일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분리 결합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하우징 샤프트(130)의 상단에는 후술되는 쉬프팅 노브 유니트의 스톱핑 기능을 수행하는 노브 스톱퍼부(260,270)의 일부 구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는 일단이 하우징 유니트(100)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이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배치되되, 하우징 유니트(1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는 노브 아우터 바디(210)와 노브 이너 바디(220)와 노브 스커트 바디(230)와 노브 캡(250)을 포함하는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운전자 등에 의하여 회동 동작을 이루는 범위에서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노브 아우터 바디(210)는 외주면에 노브 아우터 바디 그루브(211)가 형성되어 운전자가 그립하여 회전 동작 실행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노브 아우터 바디(210)의 상단에는 노브 캡(250)이 배치되어 외장 마무리를 형성할 수 있고, 노브 아우터 바디(210)의 내측에는 노브 이너 바디(220)가 맞물리어 노브 아우터 바디(210)는 노브 이너 바디(220)와의 상대 회동이 제한되고 일체 형성된 듯이 함께 회동 동작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노브 아우터 바디(210)와 노브 이너 바디(220)의 사이에는 노브 스커트 바디(230)가 배치되는데, 노브 스커트 바디(230)는 노브 이너 바디(220)보다 넓은 외경을 구비하고 하우징 커버 관통구(111) 측으로 투영시 하우징 커버 관통구(111)를 내부로 포함하고 보다 넓은 유효 면적을 구비하여 이물이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노브 캡(250)은 노브 아우터 바디(210)의 상단 측과 연결되어 외장의 아무미를 이룰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노브 캡(250)의 위치에는 별도의 터치 패드 등의 스위칭 감지 소자가 배치되어 별도의 입력부를 구성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는 변속 레인지 선택을 위한 셀렉터 스위치로 구현된다는 점에서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전 방향은 사전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허용되고 이외의 영역에서는 제한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즉,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는 하우징 유니트(100)의 하우징 샤프트(13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는 노브 스톱퍼부(260,270)를 더 포함하는데, 노브 스톱퍼부(260,270)는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을 제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노브 스톱퍼부(260,270)는 노브 스톱퍼 바디(260)와, 노브 스톱퍼 대응부(270)를 포함한다. 노브 스톱퍼 바디(260)는 하우징 유니트(100)의 하우징 샤프트(130)에 배치되는데, 노브 스톱퍼 바디(260)는 노브 스톱퍼 바디는 노브 스톱퍼 메인 바디(261)와 노브 스톱퍼 샤프트 바디(263)를 포함한다. 노브 스톱퍼 메인 바디(261)에는 사전 설정 각도 범위의 노브 스톱퍼 메인 바디 요홈부(267)가 형성되고, 노브 스톱퍼 메인 바디 요홈부(267)를 구획하는 노브 스톱퍼 메인 바디(261)의 측면에는 노브 스톱퍼 메인 바디 접촉면(265)을 구비한다. 하우징 샤프트(130) 측에 형성되는 하우징 샤프트 체결부(131) 측에는 노브 스톱퍼 샤프트 바디 체결부(269)가 형성되는데, 노브 스톱퍼 샤프트 바디 체결부(269)는 노브 스톱퍼 샤프트 바디(263)와 체결되어 위치 고정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노브 스톱퍼 대응부(270)는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 측에 배치되는데, 노브 스톱퍼 메인 바디 요홈부(267)를 구획하는 노브 스톱퍼 메인 바디(261)의 측면에는 노브 스톱퍼 메인 바디 접촉면(265)을 구비하고, 사전 설정 각도 범위에서 노브 스톱퍼 바디(260)와 맞물리어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와 노브 스톱퍼 바디(260) 간의 상대 회동을 제한을 통해 궁극적으로, 노브 스톱퍼 메인 바디 접촉면(265)는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에 따라 노브 스톱퍼 대응부(270)과 맞물리어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각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3, 도 15, 도 18, 도 20, 도 22에는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에 따라 선택되는 P 변속 레인지, R 변속 레인지, N 변속 레인지, D 변속 레인지, S 변속 레인지의 위치에서의 노브 스톱퍼 바디(260) 및 노브 스톱퍼 대응부(270)의 상대 위치 변동 내지 상대 위치 제한 상태가 도시되는데, 도 13에서의 P 변속 레인지 위치로부터 쉬프트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은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은 제한되고 도 15에서의 R 변속 레인지 및 도 18에서의 N 변속 레인지의 위치에서의 상대 회동은 가능하고 도 20에서의 D 변속 레인지까지의 시계 방향으로의 쉬프트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이 허용되고, 경우에 따라 도 22에서와 같이 S 변속 레인지로의 시계 방향으로의 쉬프트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이 허용되는데, 다만 이 경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는 하방으로 소정의 가압 회동을 이루는 구조를 취하여, 상단에 위치 고정된 노브 스톱퍼 바디(260)와 노브 스톱퍼 대응부(270) 간의 접촉 회동 제한 상태가 해제되고 시계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회동을 통한 S 변속 레인지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 경우 쉬프트 노브 유니트(200)의 하단에는 탄성부(미도시)가 구비되어 반시계 방향으로의 원위치 및 쉬프트 노브 유니트(200)에 대한 가압력의 제거 후 통상적인 변속 레인지 범위 내에서의 노브 스톱퍼 바디(260)와 노브 스톱퍼 대응부(270) 간의 상대 위치 변동 내지 상대 접촉 제한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록킹 컬렉션 인테그레이티드 유니트(300)는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단속 여부를 조정하고 사전 설정 조건에서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위치를 P 레인지로 자동 정렬 복귀시킨다. 즉, 본 발명은 차량 급발진 내지 오조작으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차량의 시동 후 P 레인지 내지 N 레인지에 있더라도 차량 브레이크를 밟아 차량 브레이크 센서로부터의 브레이킹 온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록 상태를 유지하고 차량 브레이크 센서로부터의 브레이킹 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록을 해제하는 회동 단속 구조를 취하고, 또한 동시에 차량의 시동 오프 후 안전하지 않은 D 레인지 등의 위치시 자동 정렬을 통하여 차량의 변속 레인지를 사전 설정 레인지, 즉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P 레인지로 자동 정렬 복귀시켜 추후 재탑승 및 시동시 변속 레인지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의 록킹 컬렉션 이테그레이티드 유니트의 회동 단속 및 자동 정렬 복귀 구동은 단수 개의 구동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록킹 컬렉션 인테그레이티드 유니트(300)는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와, 인터록킹 유니트(500)와,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를 포함한다.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는 단수 개의 싱글 구동기(410)를 포함하는데,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의 싱글 구동기(410)는 본 실시예에서 전기 모터로 구현되며 전기 모터의 타입에 대하여는 소정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인터록킹 유니트(500)는 싱글 구동 유니트(4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이용하여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단속 여부를 조정하고,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는 싱글 구동 유니트(4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이용하여 사전 설정 조건에서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위치를 P 레인지로 자동 정렬 복귀시킨다.
도 7에는 일부 구성의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8에는 도 7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먼저, 구동 측, 즉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를 살펴보면,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의 싱글 구동기(410)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하되, 이러한 구동력은 구동 조건에 따라 속도 내지 토크 등을 달리하여 동작 가능함으로써 회동을 제한시키거나 차량 시도 오프 후의 변속 레인지의 자동 정렬 복귀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는 싱글 구동기(410)를 유지하기 위한 싱글 구동기 홀더(420)를 더 구비하는데, 경우에 따라 싱글 구동기 홀더(420)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는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와,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를 더 포함하는데,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는 싱글 구동기(410)와 접촉하여 싱글 구동기(410)에서 생성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인터록킹 유니트(500) 측으로 전달하며, 본 실시예에서 싱글 구동 전달부(430)와 싱글 구동기(410)는 직접 접속하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다.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는 싱글 구동 제 1 전달부(431)과, 싱글 구동 제 2 전달부(433)를 포함하는데, 싱글 구동 제 1 전달부(431)과, 싱글 구동 제 2 전달부(433)는 기어 전달 구조로 형성되나 이는 일예로서 경우에 따라 벨트 풀리 전달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싱글 구동 제 1 전달부(431)는 싱글 구동기(410)의 구동축에 배치되고, 싱글 구동 제 2 전달부(433)는 싱글 구동 제 1 전달부(431)과 치합되어 회동한다. 싱글 구동 제 1 전달부(431)는 일단이 싱글 구동기(410)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워엄 기어 타입으로 구현되고, 싱글 구동 제 2 전달부(433)는 싱글 구동 제 1 전달부(431)에 치합되는 워엄 휠 기어 타입으로 형성되는데, 싱글 구동 제 2 전달부(433)는 후술되는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의 싱글 쉐어링 전달 구동 기어(451)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는 적어도 일부가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 측과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인터록킹 유니트(500)의 동작 허용을 위한 가동력 및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 측으로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 제공한다.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는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를 포함하는데,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는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 측과 직접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인터록킹 유니트(500)의 동작 허용을 위한 가동력 및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 측으로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 제공한다.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는 싱글 쉐어링 전달 구동 기어(451)와,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싱글 쉐어링 전달 구동 기어(451)와,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가 서로 외접하는 평기어 구조로 형성되는데,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싱글 쉐어링 전달 구동 기어(451)는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 측과 기어비를 달리하되 일체 형성되는데, 서로 동축 구조로 회동 중심을 공유하는데, 서로 상이한 반경의 기어비를 통하여 회전 속도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는 싱글 쉐어링 전달 구동 기어(451)와 치합되는데, 이를 통해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의 회동력은 인터록킹 유니트(500) 및/또는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는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기어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기어부(460)는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제공하여, 하기되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의 일부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기어부(460)는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메인 기어(461)와,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서브 기어(463)를 포함하는데,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메인 기어(461)는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 측과 기어비를 달리하되 일체 형성되고,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서브 기어(463)는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메인 기어(461)와 치합되어 회동한다. 이에는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제공하여, 하기되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의 일부 구성이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후술되는 인터록킹 유니트 및 셀프 컬렉션 유니트의 일부 구성의 위치 상태 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한다.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의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단수 개가 배치되는 싱글 구동기(410)에서 생성되는 구동력은 싱글 구동 전달부 및 싱글 쉐어링 전달부를 인터록킹 유니트(500) 및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의 록/언록 내지 자동 정렬 복귀 동작 구현을 위한 구동력을 생성 전달 제공한다.
인터록킹 유니트(500)는 싱글 구동 유니트(4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이용하여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단속 여부를 조정하는데, 인터록킹 유니트(500)는 트리커 캠핀부(520)와, 인터록킹 캠핀부(510)를 포함한다.
트리커 캠핀부(520)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에 의하여 가동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트리커 캠핀부(520)는 트리거 핀 수용부(525)와, 트리거 핀 탄성부(523)와, 트리거 핀(521)과, 트리거 핀 캠(527)를 포함한다.
트리거 핀 수용부(525)는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형성되는데, 트리거 핀 수용부(525)는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샤프트(130)의 내부에 형성된다. 즉, 하우징 샤프트(130)의 하단 외주에 트리거 핀 수용부(525)가 형성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트리거 핀 수용부(525)의 개방된 일측을 통한 다른 구성요소들이 트리거 핀 탄성부(523)와, 트리거 핀(521)이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될 수 있다.
트리거 핀 탄성부(523)는 트리거 핀 수용부(525)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트리거 핀 수용부(525)의 내측에 탄성 지지되는데, 트리거 핀 탄성부(523)는 코일 타입의 스프링으로 구현되나, 경우에 따라 별도의 핀 타입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탄성력을 제공하는 범위에서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트리거 핀(521)은 일단이 트리거 핀 탄성부(523)와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트리거 핀(521)의 타단은 트리거 핀 수용부(525)의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대응 배치되는 트리거 핀 캠(527)과 접촉하게 된다.
트리거 핀(521)은 트리거 핀 바디(5211)과, 트리거 핀 인터록킹 컨택터(5213)를 포함하는데, 트리거 핀 바디(5211)는 일단이 트리거 핀 탄성부(523)과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고, 타단이 트리거 핀 캠(527)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트리거 핀 인터록킹 컨택터(5213)는 트리거 핀 바디(5211)의 다른 일측과 일체 연결되고 인터록킹 캠핀부(510) 측과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서 트리거 핀 인터록킹 컨택터(5213)는 트리거 핀 바디(5211)의 상단 일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트리거 핀(521)은 본 실시예에서 'ㅗ'자 형상으로 구현되는데, 본 발명의 트리거 핀(521)이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트리거 핀 캠(527)은 트리거 핀 수용부(525)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트리거 핀(521)의 타단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트리거 핀 캠(527)은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의 적어도 일측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싱글 구동 유니트(400)의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의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에 포함되는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의 하단 저면 내측에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데(도 9 및 도 10 참조),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위치 선정이 가능하다. 트리거 핀 캠(527)은 트리거 핀 캠 록부(527l)와 트리거 핀 캠 언록부(527u)를 포함하는데, 트리거 핀 캠 록부(527l)와 트리거 핀(521)가 접하는 경우 트리거 핀(521)은 도면 상 돌출 상태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인터록킹 핀(511)을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고, 트리거 핀 캠 언록부(527u)와 트리거 핀(521)가 접하는 경우 트리거 핀(521)은 도면 상 수용 상태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인터록킹 핀(511)을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여 인터록킹 핀(511)과 인터록킹 핀 캠(517)의 후술하는 P 레인지 내지 N 레인지에서의 맞물림 상태를 언록시키는 해제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인터록킹 캠핀부(510)은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다른 일부가 트리거 캠핀부(520)에 의하여 직접 접촉 가동하여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을 단속한다.
인터록킹 캠핀부(510)는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와, 인터록킹 핀 탄성부(513)와, 인터록킹 핀(511)과, 인터록킹 핀 캠(517)을 포함한다.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는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형성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는 하우징 유니트(100)의 하우징 샤프트(130)의 내부에 형성된다.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는 하우징 샤프트(130)의 외주에 일단이 개방된 구조의 홈 공간 구조로 형성되는데,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에는 인터록킹 핀 탄성부(513)와, 인터록킹 핀(511)이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는 트리거 핀 수용부(525)와 연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데, 경우에 따라 별개의 연결되지 않는 개별 공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인터록킹 핀 탄성부(513)는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의 내측에 탄성 지지되는데, 인터록킹 핀 탄성부(513)는 코일 스프링 타입으로 구현되나 소정의 방향 즉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의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인터록킹 핀(51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인터록킹 핀(511)은 일단이 인터록킹 핀 탄성부(513)와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고, 인터록킹 핀 캠(517)은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인터록킹 핀(511)의 타단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인터록킹 핀 캠(517, 도 11 등 참조)은 후술하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의 쉬프팅 레인지 센싱 메인 가동부(8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구성을 취하는데, 인터록킹 핀(511)은 쉬프팅 레인지 센싱 메인 가동부(810)와 별개물로 형성되되 상대 회동이 발생하지 않고 일체 연결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인터록킹 핀 캠(517)은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의 거리에 따른 캠 프로파일을 구비하는데, 도 11, 도 12, 도 14, 도 16, 도 17, 도 19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킹 핀 캠(517)은 인터록킹 핀 캠 P레인지부(517P)와 인터록킹 핀 캠 R레인지부(517R)와 인터록킹 핀 캠 N레인지부(517N)와 인터록킹 핀 캠 D레인지부(517D)와 인터록킹 핀 캠 S레인지부(517S)를 포함한다.
인터록킹 핀 캠 P레인지부(517P)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의 P 레인지 셀렉션을, 인터록킹 핀 캠 R레인지부(517R)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의 R 레인지 셀렉션을, 인터록킹 핀 캠 N레인지부(517N)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의 N 레인지 셀렉션을, 인터록킹 핀 캠 D레인지부(517D)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의 D 레인지 셀렉션을, 인터록킹 핀 캠 S레인지부(517S)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의 S 레인지 셀렉션을 이루었을 때 취하는 포지션의 캠 프로파일부를 지칭하고, 인터록킹 핀 캠 P레인지부(517P)와 인터록킹 핀 캠 N레인지부(517N)는 회전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더 큰 값을 구비하여 후술하는 인터록킹 핀 바디(5111)의 단부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인터록킹 핀 캠 R레인지부(517R)와 인터록킹 핀 캠 D레인지부(517D)와 인터록킹 핀 캠 S레인지부(517S)는 회전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인터록킹 핀 캠 P레인지부(517P)와 인터록킹 핀 캠 N레인지부(517N)의 경우보다 작은 값을 구비하여 후술하는 인터록킹 핀 바디(5111)의 단부와 접하는 영역을 형성한다.
이때, 인터록킹 핀(511)은 인터록킹 핀 바디(5111)과, 인터록킹 핀 트리거 컨택터(5113)을 포함하는데, 인터록킹 핀 바디(5111)는 일단이 인터록킹 핀 탄성부(513)과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고, 타단이 인터록킹 핀 캠(517)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인터록킹 핀 트리거 컨택터(5113)은 인터록킹 핀 바디(5111)의 다른 일측과 일체 연결되고 트리거 캠핀부(520) 측과 접촉한다. 앞서 기술된 트리거 핀(521)과 마찬가지로 'ㅗ'자 구조를 형성하는데, 구체적 형상은 설계 사양에 따라 변형 가능함은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인터록킹 유니트(500)에서 트리거 캠핀부(520)와 인터록킹 캠핀부(510) 간에는 경우에 따라 간섭 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트리거 캠핀부(520) 측의 적어도 일부는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중심을 향하여 가동되는 경우 함께 가동하여 인터록킹 핀 캠(517)과의 접촉 상태 해제 가능하다.
달리 표현하면, 트리거 캠핀부(520) 측의 적어도 일부가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중심을 향하여 가동되는 경우 인터록킹 캠핀부(510)의 인터록킹 핀(511)의 적어도 일부는 트리거 핀(521)과 함께 가동하여 인터록킹 핀(511)과 인터록킹 핀 캠(517)과의 접촉 상태 해제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킹 핀 트리거 컨택터(5113)과 트리거 캠핀부(520) 측의 적어도 일부의 접촉점 상에서, 인터록킹 핀 트리거 컨택터(5113)가 트리거 캠핀부(520) 측의 적어도 일부보다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중심 측에 위치하여 트리거 캠핀부(520)의 트리거 핀(521)이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중심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트리거 핀(521)의 트리거 핀 인터록킹 컨택터(5213)은 인터록킹 핀 트리거 컨택터(5113)과 맞닿아 트리거 핀 인터록킹 컨택터(5213)이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중심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인터록킹 핀 트리거 컨택터(5113)도 함께 이동하여 인터록킹 핀 바디(5111)의 단부와 인터록킹 캠(517) 간의 맞닿음에 의한 록/언록 상태 형성 내지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는 싱글 구동 유니트(4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이용하여 사전 설정 조건에서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위치를 P 레인지로 자동 정렬 복귀시키는데,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는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와, 셀프 컬렉션 팔로잉 리브(620)를 포함한다.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는 싱글 구동 유니트(4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받아 가동 가능하고, 셀프 컬렉션 팔로잉 리브(620)는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와 접촉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어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중심을 따라 회동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의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는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의 적어도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의 싱글 세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 측에 일체 연결 배치되고, 셀프 컬렉션 팔로잉 리브(620)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의 쉬프팅 레인지 센싱 메인 가동부(810) 측에 일체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는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 및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를 더 포함하는데,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는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의 적어도 일측에 일체 연결 배치되고, 셀프 컬렉션 팔로잉 리브(620)는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의 적어도 일측에 일체 연결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싱글 구동기(410)의 구동력은 싱글 구동 전달부(430)를 통하여 싱글 구동 쉐어링 전달부(440)의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를 통해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가 회동하고,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에 일체 형성되는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의 위치가 변동하고, 이에 다라 셀프 컬렉션 팔로잉 리브(620)를 밀어 소정의 위치, 즉 P 레인지 위치까자 이동시킴으로써 쉐어링 레인지 센싱 메인 가동부(810) 측에 형성되는 인터록킹 캠(517)과의 맞물림 형성 구조를 이룸으로써 시동 오프 후 다시 재탑승하여 시동 온 상태로 절환시 발생하는 쉬프팅 레인지의 오위치로 인한 시동 제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는 디텐트 유니트(7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디텐트 유니트(700)는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가 하우징 유니트(100)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회동하는 경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동작을 촉각적으로 감지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텐트 유니트(700)는 디텐트 프로파일 캠(740)과, 디텐트 수용부(730)와, 디텐트 핀(710)과, 디텐트 탄성부(720)를 포함한다.
디텐트 프로파일 캠(740)은 하우징 유니트(100)의 하우징 샤프트(130)의 외주에 이격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디텐트 프로파일 캠(740)은 별도의 링 타입의 바디 구조에 내측면에 캠 프로파일이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디텐트 프파일 캠(740)의 형상과 패턴은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디텐트 수용부(730)는 하우징 샤프트(130)의 내부에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디텐트 수용부(730)는 하우징 샤프트(130)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디텐트 핀(710)은 적어도 일단이 디텐트 수용부(730)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고 타단이 디텐트 프로파일 캠(740) 측과 직접 접촉하고, 디텐트 탄성부(720)는 적어도 일부가 디텐트 수용부(7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단이 디텐트 핀(710)과 접촉하여 디텐트 핀(710)을 탄성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텐트 핀(710)은 180도 대향하여 배치되는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단수 개만이 배치되는 구성으로 내지 배치 각도가 변형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는 디텐트 핀(710)의 동작 구현을 제한하는 구성을 더 취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는 셀프 컬렉션 디텐트 리트랙션부(630)를 포함하는데, 셀프 컬렉션 디텐트 리트랙션부(630)는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와, 셀프 컬렉션 팔로잉 리브(620)가 맞물리어 함께 가동되는 경우 디텐트 핀(710)의 적어도 일부와 디텐트 프로파일 캠(740) 측과 직접 접촉을 해제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셀프 컬렉션 디텐트 리트랙션부(630)는 리트랙션 수용부(637)와, 리트랙션 핀(631)과, 리트랙션 탄성부(633)와, 리트랙션 캠(635)와, 리트랙션 디텐트 핀 컨택터(639)를 포함한다.
리트랙션 수용부(637)는 하우징 샤프트(130)의 외주에 개방된 형태의 홈 구조로 형성되는데, 리트랙션 수용부(637)는 본 실시예에서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의 180도 반대측 영역에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리트랙션 핀(631)은 적어도 일부가 리트랙션 수용부(637)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고, 리트랙션 탄성부(633)는 일단이 리트랙션 핀(631)과 접촉하고 타단이 리트렉션 수용부(637)의 내측에 의하여 접촉 지지되는 구조를 통하여 리트랙션 핀(631)을 탄성 지지한다. 또한, 리트랙션 캠(635)는 리트랙션 탄성부(633)에 의하여 지지되는 리트랙션 핀(631)의 일단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리트랙션 핀(631)은 리트랙션 핀 바디(6311)과, 리트랙션 핀 디텐트 컨택터(6313)를 포함하는데, 리트랙션 핀 바디(6311)는 리트랙션 탄성부(633)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고, 본 실시예에서 리트랙션 핀 디텐트 컨택터(6313)는 리트랙션 핀 바디(63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일체 형성되고 리트랙션 디텐트핀 컨택터(639)과 접촉한다.
리트랙션 디텐트 핀 컨택터(639)는 디텐트 핀(710)에 일체 형성되고 리트랙션 핀(631)과 접촉 가능하고, 리트랙션 핀(631)이 가동하는 경우 함께 가동 가능하다.
이때, 리트랙션 디텐트 핀 컨택터(639)와 리트랙션 핀(631) 측의 적어도 일부의 접촉점 상에서, 리트랙션 디텐트 핀 컨택터(639)가 리트랙션 핀(631) 측의 적어도 일부보다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중심 측에 위치한다. 즉,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리트랙션 디텐트 핀 컨택터(639)의 외측면은, 리트랙션 핀 디텐트 컨택터(6313)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구조로서, 리트랙션 캠(635)의 캠 프로파일을 따라 리트랙션 핀 바디(6311)와의 접촉 상태가 변화되는 구조를 통하여 리트랙션 핀 바디(6311)가 중심 방향으로 가동되는 경우 리트랙션 핀 디텐트 컨택터(6313)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리트랙션 디텐트 핀 컨택터(639)의 외측면을 통하여 가동력이 전달되고, 리트랙션 디텐트 핀 컨택터(639)에 연결되는 디텐트 핀(710)은 중심 방향으로 후퇴 가동됨으로써 디텐트 프로파일 캠(740)과의 접촉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를 통한 P 변속 레인지의 자기 정렬 복귀 상태 형성을 위한 복귀 동작시 디텐트 유니트(700)의 디텐트 핀(710)과 디텐트 프로파일 캠(740)과의 디텐트 접촉음 내지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를 더 포함하는데,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는 적어도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한다.
즉,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메인 가동부(810)와, 쉬프팅 레인지 서브 가동부(820)와, 쉬프팅 레인지 센싱 고정부(840)를 포함하는데, 쉬프팅 레인지 센싱 메인 가동부(810)는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와 연결되어 함께 가동되고, 쉬프팅 레인지 서브 가동부(820)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메인 가동부(810)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쉬프팅 레인지 센싱 가동부(830)는 쉬프팅 레인지 서브 가동부(820)에 배치되고, 쉬프팅 레인지 센싱 고정부(840)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가동부(830)에 대응하는 위치로 유니트 기판(900) 상에 배치되는데, 유니트 기판(900)는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된다. 쉬프팅 레인지 센싱 가동부(830)는 본 실시예에서 마그네트로 구현되고, 쉬프팅 레인지 센싱 고정부(840)는 자기 감지 센서로 구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는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 이외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의 가동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록킹 컬렉션 인테그레이트티 유니트를 통한 인터록킹 유니트(500)의 쉬프트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록/언록 동작 및/또는 시동 오프 후 사전 설정 변속 레인지 이외 위치의 변속 레인지를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예를 들어 P 변속 레인지로의 자기 정렬 복귀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해당 구성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는 쉬프팅 레인지 쉐어링 전달 센싱 가동부(860)와, 쉬프팅 레인지 쉐어링 전달 센싱 고정부(85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쉬프팅 레인지 쉐어링 전달 센싱 가동부(860)는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서브 기어에 배치되고, 쉬프팅 레인지 쉐어링 전달 센싱 고정부(850)는 쉬프팅 레인지 쉐어링 전달 센싱 가동부(860)에 대응하는 위치로, 유니트 기판(900) 상에 배치되는데, 쉬프팅 레인지 쉐어링 전달 센싱 가동부(860)는 마그네트로 구현되고, 쉬프팅 레인지 쉐어링 전달 센싱 고정부(850)는 자기 감지 센서로 구현되어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 측의 회동을 감지하여 인터록킹 유니트(500) 및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의 동작 상태 내지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는 운전자가 시동을 ON 상태로 절환시키더라도 바로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는 P 변속 레인지를 형성하도록 모드 설정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답입하여 브레이크 센서로부터 브레이크 ON 신호가 생성되어 차량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싱글 구동기(410)로 락/언락 동작 구현을 위한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구동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싱글 구동기(410)는 소정의 회동 동작을 실행하고, 이는 싱글 구동 전달부(430)를 통하여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의 회동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하부 저면에 배치되는 인터록킹 유니트(500)의 트리커 핀 캠(527)과 트리거 핀(521) 간의 상호 접촉 상태의 변화가 발생한다. 즉,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트리거 핀 캠(527)은 트리거 핀 수용부(525)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트리거 핀(521)의 타단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트리거 핀 캠(527)은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의 적어도 일측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싱글 구동 유니트(400)의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의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에 포함되는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의 하단 저면 내측에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트리거 핀 캠(527)은 트리거 핀 캠 록부(527l)와 트리거 핀 캠 언록부(527u)를 포함하는데, 트리거 핀 캠 록부(527l)와 트리거 핀(521)가 접하는 경우 트리거 핀(521)은 도면 상 돌출 상태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인터록킹 핀(511)을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고, 트리거 핀 캠 언록부(527u)와 트리거 핀(521)가 접하는 경우 트리거 핀(521)은 도면 상 수용 상태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인터록킹 핀(511)을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여 인터록킹 핀(511)과 인터록킹 핀 캠(517)의 후술하는 P 레인지에서의 맞물림 상태를 언록시키는 해제 상태를 형성할 수 있고(도 11 및 도 12 참조), 이는 N 레인지에서의 맞물림 상태를 언록시키는 해제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도 16 및 도 17 참조). 이러한 록킹 컬렉션 인테그레이티드 유니트(300)의 단일의 싱글 구동기를 포함하는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로부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인터록킹 유니트(500)의 동작을 통한 록/언록 상태의 절환을 통해 소정의 회동 동작 단속이 가능하다.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에 의하여 R 변속 레인지(도 14 참조), D 변속 레인지(도 19 참조), S 변속 레인지(도 21 참조)에서의 트리거 핀(521)과 트리거 핀 캠 언록부(527u)와의 접촉을 통한 언록 상태 유지를 통한 인터록킹 캠핀부(510)의 언록 상태 형성으로 쉬프팅 노브 유니트(20)의 회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한편,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셀프 컬렉션 유니트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도 27 내지 도 2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의 셀프 컬렉션 유니트의 셀프 컬렉션 디텐트 리트랙션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와 같이, 운전자가 시동을 OFF하여 시동 OFF 신호가 발생하되 운전자의 의도치 않은 조작으로 인하여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의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위치 상태가 P 변속 레인지 내지 N 변속 레인지가 아닌 D 변속 레인지 등을 이루는 경우, 차량의 제어부(미도시)는 변속 레인지의 위치 자동 정렬 복귀 동작을 위하여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로부터의 구동력으로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시동 OFF 신호 발생시, 제어부(미도시)가 현재 변속 레인지가 D 변속 레인지라고 감지한 경우, 제어부는 싱글 구동기(410) 측으로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싱글 구동기(410)의 구동력은 싱글 구동 전달부(430)를 통하여 싱글 구동 쉐어링 전달부(440)의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를 통해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가 회동하고,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에 일체 형성되는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의 위치가 변동하고, 이에 따라 셀프 컬렉션 팔로잉 리브(620)를 밀어 소정의 위치, 즉 P 레인지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쉐어링 레인지 센싱 메인 가동부(810) 측에 형성되는 인터록킹 캠(517)과의 맞물림 형성 구조를 이룸으로써 시동 오프 후 다시 재탑승하여 시동 온 상태로 절환시 발생하는 쉬프팅 레인지의 오위치로 인한 시동 제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디텐트 유니트의 상시 접촉 상태를 해제하여 불필요한 소음 발생 등을 방지하도록 셀프 컬렉션 디텐트 리트랙션부(630)가 작동할 수도 있음은 앞서 본 바와 동일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하우징 유니트 200...쉬프팅 유니트 노브
300...록킹 컬렉션 인테그레이티드 유니트
400...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
500...인터록킹 유니트 600...셀프 컬렉션 유니트
700...디텐트 유니트 800...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

Claims (28)

  1. 차량의 변속 레인지를 조정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로서,
    하우징 유니트(100)와,
    일단이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와,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단속 여부를 조정하고 사전 설정 조건에서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위치를 P 레인지로 자동 정렬 복귀시키는 록킹 컬렉션 인테그레이티드 유니트(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컬렉션 인테그레이티드 유니트(300)는:
    단수 개의 싱글 구동기(410)를 포함하는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와,
    상기 싱글 구동 유니트(4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단속 여부를 조정하는 인터록킹 유니트(500)와,
    상기 싱글 구동 유니트(4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이용하여 사전 설정 조건에서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위치를 P 레인지로 자동 정렬 복귀시킬 수 있는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는:
    상기 싱글 구동기(410)와 접촉하여 상기 싱글 구동기(410)에서 생성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 측으로 전달하는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 측과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의 동작 허용을 위한 가동력 및 상기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 측으로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 제공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는:
    상기 싱글 구동기(410)의 구동축에 배치되는 싱글 구동 제 1 전달부(431)과,
    상기 싱글 구동 제 1 전달부(431)과 치합되어 회동하는 싱글 구동 제 2 전달부(4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는,
    상기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 측과 직접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의 동작 허용을 위한 가동력 및 상기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 측으로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 제공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는:
    상기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 측과 기어비를 달리하되 일체 형성되는 싱글 쉐어링 전달 구동 기어(451)와,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구동 기어(451)와 치합되는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는,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기어부(4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기어부(460)는: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 측과 기어비를 달리하되 일체 형성되는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메인 기어(461)와,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메인 기어(461)와 치합되어 회동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서브 기어(4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는: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트리커 캠핀부(520)와,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트리거 캠핀부(520)에 의하여 직접 접촉 가동하여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을 단속하는 인터록킹 캠핀부(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커 캠핀부(520)는:
    트리거 핀 수용부(525)와,
    일단이 상기 트리거 핀 수용부(525)의 내측에 탄성 지지되는 트리거 핀 탄성부(523)와,
    일단이 상기 트리거 핀 탄성부(523)와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는 트리거 핀(521)과,
    상기 트리거 핀 수용부(525)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트리거 핀(521)의 타단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되는 트리거 핀 캠(52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핀 캠(527)은 상기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의 적어도 일측에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핀(521)은:
    일단이 상기 트리거 핀 탄성부(523)과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트리거 핀 캠(527)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트리거 핀 바디(5211)과,
    상기 트리거 핀 바디(5211)의 다른 일측과 일체 연결되고 상기 인터록킹 캠핀부(510) 측과 접촉하는 트리거 핀 인터록킹 컨택터(52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킹 캠핀부(510)는: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샤프트(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와,
    상기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의 내측에 탄성 지지되는 인터록킹 핀 탄성부(513)와,
    일단이 상기 인터록킹 핀 탄성부(513)와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는 인터록킹 핀(511)과,
    상기 인터록킹 핀 수용부(515)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터록킹 핀(511)의 타단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는 인터록킹 핀 캠(51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킹 핀(511)은:
    일단이 상기 인터록킹 핀 탄성부(513)과 접촉하여 탄성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인터록킹 핀 캠(517)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인터록킹 핀 바디(5111)과,
    상기 인터록킹 핀 바디(5111)의 다른 일측과 일체 연결되고 상기 트리거 캠핀부(520) 측과 접촉하는 인터록킹 핀 트리거 컨택터(5113)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캠핀부(520) 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중심을 향하여 가동되는 경우 함께 가동하여 상기 인터록킹 핀 캠(517)과의 접촉 상태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킹 핀 트리거 컨택터(5113)과 상기 트리거 캠핀부(520) 측의 적어도 일부의 접촉점 상에서, 상기 인터록킹 핀 트리거 컨택터(5113)가 상기 트리거 캠핀부(520) 측의 적어도 일부보다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중심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1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는:
    상기 싱글 구동 유니트(4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받아 가동 가능한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와,
    상기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와 접촉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고, 상기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중심을 따라 회동 가능한 셀프 컬렉션 팔로잉 리브(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는:
    상기 싱글 구동기(410)와 직접 접속하여 상기 싱글 구동기(410)에서 생성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 측으로 전달하는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 측과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의 동작 허용을 위한 가동력 및 상기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 측으로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 제공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는: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트리커 캠핀부(520)와,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트리거 캠핀부(520)에 의하여 직접 접촉 가동하여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을 단속하는 인터록킹 캠핀부(510)를 포함하고,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 및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는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셀프 컬렉션 팔로잉 리브(620)는 상기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1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가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회동하는 경우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동작을 촉각적으로 감지하도록 하는 디텐트 유니트(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가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회동하는 경우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동작을 촉각적으로 감지하도록 하는 디텐트 유니트(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텐트 유니트(700)는: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하우징 샤프트(130)의 외주에 이격 배치되는 디텐트 프로파일 캠(740)과,
    디텐트 수용부(730)와,
    적어도 일단이 상기 디텐트 수용부(730)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디텐트 프로파일 캠(740) 측과 직접 접촉하는 디텐트 핀(710)과,
    상기 디텐트 핀(710)을 탄성 지지하는 디텐트 탄성부(7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는,
    상기 셀프 컬렉션 리드 리브(610)와, 상기 셀프 컬렉션 팔로잉 리브(620)가 맞물리어 함께 가동되는 경우 상기 디텐트 핀(710)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디텐트 프로파일 캠(740) 측과 직접 접촉을 해제시키는 셀프 컬렉션 디텐트 리트랙션부(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컬렉션 디텐트 리트랙션부(630)는:
    리트랙션 수용부(637)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트랙션 수용부(637)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리트랙션 핀(631)과,
    상기 리트랙션 핀(631)을 탄성 지지하는 리트랙션 탄성부(633)와,
    상기 리트랙션 핀(631)의 일단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리트랙션 캠(635)와,
    상기 디텐트 핀(710)에 일체 형성되고 상기 리트랙션 핀(631)과 접촉 가능하고, 상기 리트랙션 핀(631)이 가동하는 경우 함께 가동 가능한 리트랙션 디텐트 핀 컨택터(6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트랙션 디텐트 핀 컨택터(639)와 상기 리트랙션 핀(631) 측의 적어도 일부의 접촉점 상에서, 상기 리트랙션 디텐트 핀 컨택터(639)가 상기 리트랙션 핀(631) 측의 적어도 일부보다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중심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트랙션 핀(631)은:
    상기 리트랙션 탄성부(633)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리트랙션 핀 바디(6311)과,
    상기 리트랙션 핀 바디(6311)과 일체 형성되고 상기 리트랙션 디텐트 핀 컨택터(639)과 접촉하는 리트랙션 핀 디텐트 컨택터(63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24.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는: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와 연결되어 함께 가동되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메인 가동부(810)와,
    상기 쉬프팅 레인지 센싱 메인 가동부(810)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쉬프팅 레인지 서브 가동부(820)와,
    상기 쉬프팅 레인지 서브 가동부(820)에 배치되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가동부(830)와,
    상기 쉬프팅 레인지 센싱 가동부(830)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의 내부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유니트 기판(900) 상에 배치되는 쉬프팅 레인지 센싱 고정부(8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컬렉션 인테그레이티드 유니트(300)는: 단수 개의 싱글 구동기(410)를 포함하는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와, 상기 싱글 구동 유니트(4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 단속 여부를 조정하는 인터록킹 유니트(500)와, 상기 싱글 구동 유니트(40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이용하여 사전 설정 조건에서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위치를 P 레인지로 자동 정렬 복귀시킬 수 있는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를 포함하고,
    상기 인테그레이티드 싱글 구동 유니트(400)는: 상기 싱글 구동기(410)와 직접 접속하여 상기 싱글 구동기(410)에서 생성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 측으로 전달하는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 측과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의 동작 허용을 위한 가동력 및 상기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 측으로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 제공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부(440)는, 상기 싱글 구동기 전달부(430) 측과 직접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터록킹 유니트(500)의 동작 허용을 위한 가동력 및 상기 셀프 컬렉션 유니트(600) 측으로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 제공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 및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기어부(45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기어부(4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기어부(460)는: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메인 기어(453) 측과 기어비를 달리하되 일체 형성되는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메인 기어(461)와,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메인 기어(461)와 치합되어 회동하는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서브 기어(463)를 포함하고,
    상기 쉬프팅 레인지 센싱 유니트(800)는:
    상기 싱글 쉐어링 전달 센싱 서브 기어에 배치되는 쉬프팅 레인지 쉐어링 전달 센싱 가동부(860)와,
    쉬프팅 레인지 쉐어링 전달 센싱 가동부(860)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유니트 기판(900) 상에 배치되는 쉬프팅 레인지 쉐어링 전달 센싱 고정부(8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는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는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의 회동을 제한하는 노브 스톱퍼부(260,2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스톱퍼부(260,270)는:
    상기 하우징 유니트(100)에 배치되는 노브 스톱퍼 바디(260)와,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 측에 배치되고 사전 설정 각도 범위에서 상기 노브 스톱퍼 바디(260)와 맞물려 상기 쉬프팅 노브 유니트(200)와 상기 노브 스톱퍼 바디(260) 간의 상대 회동을 제한하는 노브 스톱퍼 대응부(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10).



KR1020200110473A 2020-08-31 2020-08-31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 Pending KR20220028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473A KR20220028873A (ko) 2020-08-31 2020-08-31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
JP2021139877A JP2022041972A (ja) 2020-08-31 2021-08-30 電子式シフトレンジ切換装置
DE202021104678.3U DE202021104678U1 (de) 2020-08-31 2021-08-31 Elektronische Schaltbereichsschaltvorrichtung
CN202122085563.3U CN217381574U (zh) 2020-08-31 2021-08-31 电子档位切换装置
US17/462,887 US12264737B2 (en) 2020-08-31 2021-08-31 Electronic shift range switc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473A KR20220028873A (ko) 2020-08-31 2020-08-31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873A true KR20220028873A (ko) 2022-03-08

Family

ID=80355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473A Pending KR20220028873A (ko) 2020-08-31 2020-08-31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2264737B2 (ko)
JP (1) JP2022041972A (ko)
KR (1) KR20220028873A (ko)
CN (1) CN217381574U (ko)
DE (1) DE202021104678U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4661B2 (en) * 2001-02-01 2003-05-20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ision Of Jsj Corporation Storable shifter with electronic gear shift reset
DE102004041087A1 (de) 2004-08-24 2006-03-16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DE102004049011A1 (de) * 2004-10-05 2006-04-06 Leopold Kostal Gmbh & Co. Kg Drehsteller
WO2012064899A1 (en) * 2010-11-09 2012-05-18 Kostal Of America Electronic selector switch
KR101404909B1 (ko) * 2013-03-14 2014-06-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레인지 스위치 장치
JP6189731B2 (ja) * 2013-12-03 2017-08-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DE102014225114A1 (de) * 2013-12-09 2015-06-11 Kostal Of America Drehschalter mit programmierbaren Endanschlägen und variabler taktiler Rückmeldung
US20180119888A1 (en) 2015-05-12 2018-05-03 Entegris, Inc. Valve assemblies and fluid storage and dispensing packages comprising same
US20170074391A1 (en) * 2015-09-16 2017-03-16 Ghsp, Inc. Rotatable vehicle transmission shifter apparatus
JP6246183B2 (ja) * 2015-12-21 2017-12-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JP2017114169A (ja) * 2015-12-21 2017-06-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JP2019006138A (ja) * 2017-06-20 2019-01-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JP7088481B2 (ja) * 2017-06-20 2022-06-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US11131381B2 (en) * 2018-02-13 2021-09-28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Shift device
US20190323600A1 (en) * 2018-04-23 2019-10-24 Dura Operating, Llc Rotary shifter with selective locking and position re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65343A1 (en) 2022-03-03
US12264737B2 (en) 2025-04-01
DE202021104678U1 (de) 2022-05-20
CN217381574U (zh) 2022-09-06
JP2022041972A (ja)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8331B2 (en) Shift lock device
EP1682377B1 (en) Vehicle shifter
US9410614B2 (en) Shift operation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US10253878B2 (en) Device for locking an operating element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vehicle, method for operating such a device and switching device for switch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vehicle
JP4068393B2 (ja) シフト装置
JP4668439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910007749Y1 (ko) 변속레버용 로크장치
JP2020521663A (ja) オートリターンおよびカムロック機構を備えたロータリーシフター
JPH01257630A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JP3486339B2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EP1403152B1 (en) Vehicle shift lever device
WO2017004126A1 (en) Vehicle shift lever assembly
US20100212447A1 (en) Shifting device for a vehicle transmission
CN111379849A (zh) 车辆用变速装置
US5255570A (en) Safety shift-lock device for selector of automatic power transmission
JPH06185610A (ja)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ロック装置
KR20220028873A (ko) 전자식 레인지 쉬프팅 장치
US6231476B1 (en) Park-lock shifter cable
JP4758011B2 (ja) シフト装置
JPH09189353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S6346288Y2 (ko)
KR102522916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H0468726B2 (ko)
CN221003715U (zh) 车辆的换挡装置
KR102347764B1 (ko) 차량의 시프트 레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7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8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