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861A -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약 - Google Patents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16861A KR20220016861A KR1020217040180A KR20217040180A KR20220016861A KR 20220016861 A KR20220016861 A KR 20220016861A KR 1020217040180 A KR1020217040180 A KR 1020217040180A KR 20217040180 A KR20217040180 A KR 20217040180A KR 20220016861 A KR20220016861 A KR 202200168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armaceutical composition
- administration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 group
- acceptable sal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01000005569 Gout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01000001431 Hyperuricemia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7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title description 24
- 238000002483 medication Methods 0.000 title 1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5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5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125000001997 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125000004430 oxygen atom Chemical group O*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125000004434 sulfur atom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125000004093 cyano group Chemical group *C#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group [H]*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125000000449 nitro group Chemical group [O-][N+](*)=O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65
- LEHOTFFKMJEONL-UHFFFAOYSA-N Uric Acid Chemical compound N1C(=O)NC(=O)C2=C1NC(=O)N2 LEHOTFFKMJEON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7
- TVWHNULVHGKJHS-UHFFFAOYSA-N Uric acid Natural products N1C(=O)NC(=O)C2NC(=O)NC21 TVWHNULVHGKJH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3
- 229940116269 uric acid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13
- 239000007962 solid disper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6
- 235000010979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29920003088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39000001866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29960003943 hypromellos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7902 hard capsu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1321 prophylax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125000005843 halogen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5
- ZUAAPNNKRHMPKG-UHFFFAOYSA-N acetic acid;butanedioic acid;methanol;propane-1,2-diol Chemical group OC.CC(O)=O.CC(O)CO.OC(=O)CCC(O)=O ZUAAPNNKRHMPK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25000001424 substituent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06010018634 Gouty Arthr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XNGIFLGASWRNHJ-UHFFFAOYSA-L phthalate(2-)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C([O-])=O XNGIFLGASWRNHJ-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3545 alk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5
- 125000004453 alkoxy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5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2485 formyl group Chemical group [H]C(*)=O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0951 phenoxy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O*)C([H])=C1[H] 0.000 claims description 4
- AQCSEGRJFKZDIL-UHFFFAOYSA-N 5-(7-oxo-6h-[1,3]thiazolo[5,4-d]pyrimidin-2-yl)-2-phenoxybenzonitrile Chemical compound N=1C=2C(=O)NC=NC=2SC=1C(C=C1C#N)=CC=C1OC1=CC=CC=C1 AQCSEGRJFKZDI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1
- SZUVGFMDDVSKSI-WIFOCOSTSA-N (1s,2s,3s,5r)-1-(carboxymethyl)-3,5-bis[(4-phenoxyphenyl)methyl-propylcarbamoyl]cyclopentane-1,2-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1[C@@H]([C@](CC(O)=O)([C@H](C(=O)N(CCC)CC=2C=CC(OC=3C=CC=CC=3)=CC=2)C1)C(O)=O)C(O)=O)N(CCC)CC(C=C1)=CC=C1OC1=CC=CC=C1 SZUVGFMDDVSKSI-WIFOCOSTSA-N 0.000 description 69
- 229940126543 compound 14 Drugs 0.000 description 69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0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6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8
- -1 alkali metal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5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1
- WYURNTSHIVDZCO-UHFFFAOYSA-N Tetrahydrofuran Chemical compound C1CCOC1 WYURNTSHIVDZ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8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36470 plasma concen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4
- YLQBMQCUIZJEEH-UHFFFAOYSA-N tetrahydrofuran Natural products C=1C=COC=1 YLQBMQCUIZJE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AZUYLZMQTIKGSC-UHFFFAOYSA-N 1-[6-[4-(5-chloro-6-methyl-1H-indazol-4-yl)-5-methyl-3-(1-methylindazol-5-yl)pyrazol-1-yl]-2-azaspiro[3.3]heptan-2-yl]prop-2-en-1-one Chemical compound ClC=1C(=C2C=NNC2=CC=1C)C=1C(=NN(C=1C)C1CC2(CN(C2)C(C=C)=O)C1)C=1C=C2C=NN(C2=CC=1)C AZUYLZMQTIKGS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634 powder X-ray diff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IAKHMKGGTNLKSZ-INIZCTEOSA-N (S)-colchicine Chemical compound C1([C@@H](NC(C)=O)CC2)=CC(=O)C(OC)=CC=C1C1=C2C=C(OC)C(OC)=C1OC IAKHMKGGTNLKSZ-INIZCTEOSA-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125000000956 methoxy group Chemical group [H]C([H])([H])O*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BQSJTQLCZDPROO-UHFFFAOYSA-N febuxostat Chemical compound C1=C(C#N)C(OCC(C)C)=CC=C1C1=NC(C)=C(C(O)=O)S1 BQSJTQLCZDPRO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29960005101 febuxostat Drug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469 gran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694 spray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40105329 carboxymethyl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179 gran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VVQNEPGJFQJSBK-UHFFFAOYSA-N Methyl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OC(=O)C(C)=C VVQNEPGJFQJSB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108010093894 Xanthine ox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2100033220 Xanthine oxid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503 fine gran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3462 vein Anatomy 0.000 description 7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20003134 Eudragi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6
- DKGAVHZHDRPRBM-UHFFFAOYSA-N Tert-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DKGAVHZHDRPR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125000002777 ace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O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UFVKGYZPFZQRLF-UHFFFAOYSA-N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OC1C(O)C(OC)OC(CO)C1OC1C(O)C(O)C(OC2C(C(O)C(OC3C(C(O)C(O)C(CO)O3)O)C(CO)O2)O)C(CO)O1 UFVKGYZPFZQRL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BDERNNFJNOPAEC-UHFFFAOYSA-N propan-1-ol Chemical compound CCCO BDERNNFJNOPA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60003459 allopurinol Drugs 0.000 description 5
- OFCNXPDARWKPPY-UHFFFAOYSA-N allopurinol Chemical compound OC1=NC=NC2=C1C=NN2 OFCNXPDARWKPP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60001338 colchicine Drug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884 disinteg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145 methacrylic acid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UIIMBOGNXHQVGW-UHFFFAOYSA-M Sodiu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41 X-ray diff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702 enteric coat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505 enteric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132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40117841 methacrylic acid copolymer Drug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URAYPUMNDPQOKB-UHFFFAOYSA-N triacetin Chemical compound CC(=O)OCC(OC(C)=O)COC(C)=O URAYPUMNDPQOK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153 Hydroxyprop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3
- ZMXDDKWLCZADIW-UHFFFAOYSA-N N,N-Dimeth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N(C)C=O ZMXDDKWLCZAD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HNWPMSKXPGLAX-UHFFFAOYSA-N N-Vinyl-2-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CN1CCCC1=O WHNWPMSKXPGLA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CZPWVGJYEJSRLH-UHFFFAOYSA-N Pyrimidine Chemical compound C1=CN=CN=C1 CZPWVGJYEJSRL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IYKJEILNJZQJPU-UHFFFAOYSA-N acetic acid;buta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OC(=O)CCC(O)=O IYKJEILNJZQJP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60000913 crospovido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977 hydroxyprop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863 hydroxyprop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39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acetate succi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61 laser diffra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XNGIFLGASWRNHJ-UHFFFAOYSA-N 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C(O)=O XNGIFLGASWRNH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809 polyvinylpoly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23 polyvinylpoly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333 sodium lauryl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109 sodium starch glyco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9 sodium starch glyco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79832 sodium starch glycolat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47 solid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032147 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3
- 0 **c(cc1)c(*)cc1C(*1)=Nc2c1nc(*)nc2O Chemical compound **c(cc1)c(*)cc1C(*1)=Nc2c1nc(*)nc2O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2
- LZZYPRNAOMGNLH-UHFFFAOYSA-M Cetrimonium bromide Chemical compound [Br-].CCCCCCCCCCCCCCCC[N+](C)(C)C LZZYPRNAOMGNL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0904 Convul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785 Croscarmellose sodiu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ol Natural products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BAPJBEWLBFYGME-UHFFFAOYSA-N Meth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OC(=O)C=C BAPJBEWLBFYGM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DBMJMQXJHONAFJ-UHFFFAOYSA-M Sodium laurylsulph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O DBMJMQXJHONAF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KDYFGRWQOYBRFD-UHFFFAOYSA-N Succin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KDYFGRWQOYBR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OOTYTYQINUNNV-UHFFFAOYSA-N Triethyl citrate Chemical compound CCOC(=O)CC(O)(C(=O)OCC)CC(=O)OCC DOOTYTYQINUN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PXJVFZANSGRMM-UHFFFAOYSA-N acetic acid;2,3,4,5,6-pentahydroxyhexanal;sodium Chemical compound [Na].CC(O)=O.OCC(O)C(O)C(O)C(O)C=O DPXJVFZANSGR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08 ampu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89 atom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2
- KDYFGRWQOYBRFD-NUQCWPJISA-N buta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O[14C](=O)CC[14C](O)=O KDYFGRWQOYBRFD-NUQCWPJISA-N 0.000 description 2
- CJZGTCYPCWQAJB-UHFFFAOYSA-L calc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Ca+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CJZGTCYPCWQAJB-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39 calc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16 calcium stea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309 chloro group Chemical group Cl*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681 croscarmellose sodium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47 crosslinked sodium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DYMFSUJUZBWLH-UHFFFAOYSA-N endosulfan Chemical compound C12COS(=O)OCC2C2(Cl)C(Cl)=C(Cl)C1(Cl)C2(Cl)Cl RDYMFSUJUZBWL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170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754 ethoxy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C(=O)(OCC)* 0.000 description 2
- MVPICKVDHDWCJQ-UHFFFAOYSA-N ethyl 3-pyrrolidin-1-ylpropanoate Chemical compound CCOC(=O)CCN1CCCC1 MVPICKVDHDWCJ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495 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153 fluoro group Chemical group F*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216 fluoro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F)*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40014259 gelat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087 glyceryl tri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773 glyceryl tri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41 hydroxy propyl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31704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phthal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828 hydroxypropyl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31703 low 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DAGIHXWWSANSR-UHFFFAOYSA-N metha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 BDAGIHXWWSANS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160 methoxy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H]C([H])([H])OC(*)=O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2 mixed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72 peristal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82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53 polysorbate 80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AEFZNCEHLXOMS-UHFFFAOYSA-M potassium benzoate Chemical compound [K+].[O-]C(=O)C1=CC=CC=C1 XAEFZNCEHLXO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88 sampl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557 sod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30 sod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APSBXTVYXVQYAB-UHFFFAOYSA-M sodium docus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OC(=O)CC(S([O-])(=O)=O)C(=O)OCC(CC)CCCC APSBXTVYXVQYAB-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29940045902 sodium stearyl fumar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931 tert-butyloxy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H]C([H])([H])C(OC(*)=O)(C([H])([H])[H])C([H])([H])[H]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622 triacet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069 triethyl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MYFZRTXGLUXMZ-UHFFFAOYSA-N triethyl citrate Natural products CCOC(=O)C(O)(C(=O)OCC)C(=O)OCC VMYFZRTXGLUX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769 triethyl ci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23 trifluoromethyl group Chemical group FC(F)(F)*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64 xanthine oxidase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HDTRYLNUVZCQOY-UHFFFAOYSA-N α-D-glucopyranosyl-α-D-glucopyra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1C(O)C(O)C(O)C(CO)O1 HDTRYLNUVZCQ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209 (C1-C8)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002 1,1-difluoroeth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RYHBNJHYFVUHQT-UHFFFAOYSA-N 1,4-Dioxane Chemical compound C1COCCO1 RYHBNJHYFVUH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XPNQXFRVYWDDI-UHFFFAOYSA-N 1-methyl-2,4-dioxo-1,3-diazinane-5-carboximidamide Chemical compound CN1CC(C(N)=N)C(=O)NC1=O IXPNQXFRVYWD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SWFIVFLDKOXQC-UHFFFAOYSA-N 4-(3-methoxy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2C=CC(N)=CC=2)=C1 OSWFIVFLDKOXQ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CYVEMRRCGMTRW-UHFFFAOYSA-N 7553-56-2 Chemical group [I] ZCYVEMRRCGMTR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15068 Acacia senegal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CPELXLSAUQHCOX-UHFFFAOYSA-M Bromide Chemical compound [Br-] CPELXLSAUQHCOX-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WKBOTKDWSSQWDR-UHFFFAOYSA-N Bromine atom Chemical group [Br] WKBOTKDWSSQWD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KPFZGUDAPQIHT-UHFFFAOYSA-N Butyl acetate Natural products CCCCOC(C)=O DKPFZGUDAPQIH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23 Cellulose acetate 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07 Dextr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EWJPZIEWOKRBE-JCYAYHJZSA-N Dextrotart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H](O)C(O)=O FEWJPZIEWOKRBE-JCYAYHJZ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56 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ZSNKZQZMQGXPY-UHFFFAOYSA-N 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CCOCC1OC(OC)C(OCC)C(OCC)C1OC1C(O)C(O)C(OC)C(CO)O1 ZZSNKZQZMQGXP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49 Eudragit® E 10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84 Gum arab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63 Hydroxy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54 Hydroxy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ODKSFYDXXFIFQN-BYPYZUCNSA-N L-argin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N=C(N)N ODKSFYDXXFIFQN-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852 L-argi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64664 L-argin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KLJMWTZIZZHCS-REOHCLBHSA-N L-aspar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O)=O CKLJMWTZIZZHCS-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NTIZESTWPVYFNL-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Chemical compound CC(C)CC(C)=O NTIZESTWPVYFN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IHCLUNTQKBZGK-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Natural products CCC(C)C(C)=O UIHCLUNTQKBZ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XHOOIRPVKKKFG-UHFFFAOYSA-N N,N-Dimethylacetamide Chemical compound CN(C)C(C)=O FXHOOIRPVKKK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79943 Pentagastr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992 Perox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14 Polysorbate 6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OFOBLEOULBTSOW-UHFFFAOYSA-N Propa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O)=O OFOBLEOULBTS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BDQKXXYIPTUBI-UHFFFAOYSA-M Propionate Chemical compound CCC([O-])=O XBDQKXXYIPTUBI-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18 Pullu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3 Pullula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647 Renal Insufficienc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2237 Ren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55 Ste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EWJPZIEWOKRBE-UHFFFAOYSA-N Tartaric acid Natural products [H+].[H+].[O-]C(=O)C(O)C(O)C([O-])=O FEWJPZIEWOKRB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HXVGJBLRPWPCS-UHFFFAOYSA-N Tetrahydropyran Chemical compound C1CCOCC1 DHXVGJBLRPWPC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DTRYLNUVZCQOY-WSWWMNSNSA-N Trehal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O)[C@@H](O)[C@@H](O)[C@@H](CO)O1 HDTRYLNUVZCQOY-WSWWMNSN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92464 Urate Ox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90 Welch's t-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3769 Xanthine oxidase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9 acacia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5 acacia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JHCJDRQFCCTHL-UHFFFAOYSA-N acetic acid 2,3,4,5,6-pentahydroxyhexanal Chemical compound CC(O)=O.OCC(O)C(O)C(O)C(O)C=O VJHCJDRQFCCT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XKVLQRXCPHEJC-UHFFFAOYSA-N acetic acid trimethyl ester Natural products COC(C)=O KXKVLQRXCPH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AMPNQJDUFQVQO-UHFFFAOYSA-N acetic acid;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OC(=O)C1=CC=CC=C1C(O)=O GAMPNQJDUFQV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3476 agar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9 a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56 alcohol bas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211 alkyl trimethyl ammonium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HDTRYLNUVZCQOY-LIZSDCNHSA-N alpha,alpha-trehal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O)[C@@H](O)[C@H](O)[C@@H](CO)O1 HDTRYLNUVZCQOY-LIZSDCNH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69 analep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45 a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704 aspar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29 atom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OQFSQFPPLPISGP-UHFFFAOYSA-N beta-carboxyaspart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O)=O)C(O)=O OQFSQFPPLPIS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1 blood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06 butoxy group Chemical group [*]OC([H])([H])C([H])([H])C(C([H])([H])[H])([H])[H] 0.000 description 1
- NEDGUIRITORSKL-UHFFFAOYSA-N butyl 2-methylprop-2-enoate;2-(dimethylamino)ethyl 2-methylprop-2-enoate;meth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OC(=O)C(C)=C.CCCCOC(=O)C(C)=C.CN(C)CCOC(=O)C(C)=C NEDGUIRITORSK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484 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C([H])([H])[H]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744 butyloxy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HUSUHZRVLBSGBO-UHFFFAOYSA-L calcium;dihydrogen phosphate;hydroxide Chemical compound O.[Ca+2].OP([O-])([O-])=O HUSUHZRVLBSGB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63 capsule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4030 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8138 carmel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45 cartilag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93 cat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734 cellulose acetate phthal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98 cetrim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65 cit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75 co-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9112 corn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078 coronary arte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FBELJLCOAHMRJK-UHFFFAOYSA-L disodium;2,2-bis(2-ethylhexyl)-3-sulfobutanedioate Chemical compound [Na+].[Na+].CCCCC(CC)CC(C([O-])=O)(C(C([O-])=O)S(O)(=O)=O)CC(CC)CCCC FBELJLCOAHMRJK-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12 dispersion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22 dissolution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301 ethoxy group Chemical group [H]C([H])([H])C([H])([H])O*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5 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49 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7 fe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53 for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7119 gastric acid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150 glyc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0 hep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FUZZWVXGSFPDMH-UHFFFAOYSA-N 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O)=O FUZZWVXGSFPD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051 hex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C([H])([H])C([H])([H])C([H])([H])*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47 hydroxy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3 inorganic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87 intox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66 intoxica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510 isobutoxy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H])C([H])([H])O*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959 iso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H])C([H])([H])*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253 isopropoxy group Chemical group [H]C([H])([H])C([H])(O*)C([H])([H])[H]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49 isoprop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H]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370 kidney fail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002 lithium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2 lith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423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66 lys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45 magnesium 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XZKOIWUVFPNLO-UHFFFAOYSA-N magnesium;oxygen(2-) Chemical compound [O-2].[Mg+2] AXZKOIWUVFPN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UPHRSURJSA-N male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UPHRSURJ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76 ma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9 malt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5 malt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QHSOMBJVWLPSR-WUJBLJFYSA-N malt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C@H](O)CO)O[C@H]1O[C@H](CO)[C@@H](O)[C@H](O)[C@H]1O VQHSOMBJVWLPSR-WUJBLJF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436 malt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60 malt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855 mann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AFSTSRULRIERK-UHFFFAOYSA-M monosodium urate Chemical class [Na+].N1C([O-])=NC(=O)C2=C1NC(=O)N2 NAFSTSRULRIERK-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25 nitri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QIQXTHQIDYTFRH-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QIQXTHQIDYTFR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QCDKBAXFALNLD-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QCDKBAXFALN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340 pentafluoro ethyl group Chemical group FC(F)(F)C(F)(F)* 0.000 description 1
- ANRIQLNBZQLTFV-DZUOILHNSA-N pentagastrin Chemical compound C([C@H](NC(=O)[C@H](CC(O)=O)NC(=O)[C@@H](NC(=O)[C@H](CC=1[C]2C=CC=CC2=NC=1)NC(=O)CCNC(=O)OC(C)(C)C)CCSC)C(N)=O)C1=CC=CC=C1 ANRIQLNBZQLTFV-DZUOILHN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444 pentagast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147 pentyl group Chemical group C(CCCC)* 0.000 description 1
- 108040007629 peroxidase activity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25 pharmaceutical prepar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8196 placebo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2 placeb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4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8968 polysorbate 80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92 potato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317 potato 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417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69 prophylac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572 propoxy group Chemical group [*]OC([H])([H])C(C([H])([H])[H])([H])[H]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36 prop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H]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742 propyloxy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3 pullul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71 quen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53 re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0486 rice 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1
- RMAQACBXLXPBSY-UHFFFAOYSA-N silicic acid Chemical compound O[Si](O)(O)O RMAQACBXLXPBS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3 sodium algi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61 sodium algi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5550 sodium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21 sodium hyd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0 sod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2 soft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071117 starch glycol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7 ste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08 synthesis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75 tart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906 tart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213 tert-butoxy group Chemical group [H]C([H])([H])C(O*)(C([H])([H])[H])C([H])([H])[H]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999 tert-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C([H])([H])[H])C([H])([H])[H]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97 therapeu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UHFFFAOYSA-N trans-bute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VZCYOOQTPOCHF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69 treatment regime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29940100445 wheat 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93 xanthan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30 xanthan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5 xanthan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2509 xanthan gum Drug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6—Antigout agents, e.g. antihyperuricemic or uricosuric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6—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9년 6월 4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9-104534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고뇨산혈증은, 통풍이나 신부전 등을 초래하고, 관동맥 질환의 위험 인자라고 생각되고 있다. 또, 고혈압증을 비롯한 생활 습관병의 발증 진전과도 밀접한 관계가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고뇨산혈증의 치료는 단순히 통풍의 치료 뿐만 아니라, 고령화에 수반되는 다양한 생활 습관병의 예방으로 이어진다.
현재, 고뇨산혈증의 치료에는, 주로 알로푸리놀이나 페북소스타트 등의 크산틴옥시다아제 저해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약제는, 요산치를 저하시킨다는 관점에서 매우 우수한 약제이며, 오랜 세월에 걸쳐서 이용되고 있다.
한편, 고뇨산혈증의 치료에는, 통풍 발작을 어떻게 억제할지라는 과제가 있다. 통풍 발작은, 혈액 중의 요산이 과잉이 되어, 요산의 결정이 관절에 쌓임으로써 강한 염증이 일어나는 것에 의해 발증하고, 격심한 통증을 수반한다.
여기서, 요산 저하약과 급성 통풍 발작에는 관련성이 있으며, 혈청 요산의 급격한 저하는, 연골 및 연조직의 요산일나트륨 결정의 일과성의 국재성 침전을 발생시켜, 급성 통풍 발작으로 이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종래의 요산 저하약은, 통풍 발작을 유발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환자에 따라서는 통풍 발작에 의해, 치료의 중지나 치료 방침의 변경이 필요해지는 경우도 있다 (비특허문헌 1).
알로푸리놀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에 대하여 투여 최초의 6 개월간에 통풍 발작에 대한 예방으로서 콜키신을 병용함으로써, 통풍 발작의 발생률이 저하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2). 그러나, 콜키신은 사용에 제한이 있어, 간장 장해나 신장 장해를 갖는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또, 부작용을 갖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페북소스타트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에 대하여 통상의 성인 용량을 1 일 1 회 10 ㎎ 의 저용량에서부터 개시하고, 그 후, 1 일 1 회 20 ㎎, 또한 통상의 유지 용량의 1 일 1 회 40 ㎎ 으로 단계적으로 증량시킴으로써 서서히 요산치를 저하시켜 상기 발작의 발생률을 저감시키고 있다. 또, 통풍 가이드 라인에는 급격하게 요산치를 저하시키면 통풍 발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3 ∼ 6 개월에 걸쳐서 요산치를 저하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고뇨산혈증의 환자에게 유효량의 크산틴옥시다아제 저해제를 개변 방출 투여 형태에 있어서 1 일 1 회, 또는 즉시 방출 투여 형태에 있어서 1 일 2 회 이상 투여함으로써, 적어도 1 회의 통풍 발작을 예방하거나, 또는 통풍 발작의 횟수를 저하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의약과 동일한 메커니즘을 갖는 화합물로서, 국제공개 제2005/121153호 팸플릿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화합물이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실시예 51 의 약리 실험 2 에 있어서 발명 화합물과 상기 알로푸리놀이나 페북소스타트의 혈장 중 요산치 억제율에 대한 비교 실험이 개시되어 있고, 대조의 알로푸리놀이나 페북소스타트와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크산틴옥시다아제 저해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Arthritis Res Ther. 2009 ; 11 : R46
J Rheumatol 2004 ; 31 ; 2429-2432
페브릭 (등록 상표) 정 신청 자료 개요 [2011년 1월] ; 2.7.2 임상 약리 시험, P.30
본 발명자들은, 크산틴옥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의약과 콜키신을 병용하지 않고, 또 크산틴옥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의약의 투여량을 저용량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통풍 발작의 유발 혹은 발작의 정도를 저감시키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에 대해 검토를 실시한 결과, 크산틴옥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의약에 의한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에는, 또한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크산틴옥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의약과 콜키신을 병용하지 않고, 또 크산틴옥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의약의 투여량을 저용량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통풍 발작의 유발 혹은 발작의 정도를 저감시키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크산틴옥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의약에 대해 다양하게 검토를 실시한 결과,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의 특정량을 계속적으로 투여함으로써, 상기 의약 조성물과 콜키신을 병용하지 않고, 또 상기 의약 조성물의 투여량을 서서히 증가시키지 않고, 통풍 발작의 유발을 억제 혹은 발작의 정도를 저감시키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에 유효한 것을 알아내어, 그 지견을 기초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 :
[1] 일반식 (Ⅰ)
[화학식 1]
(식 중, R1 은 무치환의 페닐기, 또는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상기 치환기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탄소수 2 ∼ 8 의 알콕시카르보닐기, 포르밀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페닐기 및 페녹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기를 나타내고, R2 는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X 는 산소 원자 또는 -S(O)n- 를 나타내고, n 은 0 ∼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Y 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 ;
[2] 일반식 (Ⅰ)
[화학식 2]
(식 중, R1 은 무치환의 페닐기, 또는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상기 치환기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탄소수 2 ∼ 8 의 알콕시카르보닐기, 포르밀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페닐기 및 페녹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기를 나타내고, R2 는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X 는 산소 원자 또는 -S(O)n- 를 나타내고, n 은 0 ∼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Y 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통풍 관절염 환자에 있어서의 고뇨산혈증 치료용 의약 조성물 ;
[3] 요산 강하 요법의 개시에 수반되는 통풍 발작의 발현을 억제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4]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5] R1 이, 무치환의 페닐기, 또는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인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6] X 가 산소 원자인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7] Y 가 황 원자인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8]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그 비정질을 포함하고, 상기 비정질의 함유량은,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총 중량에 대하여, 80 중량% 이상인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9] 장용성 제제인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10] 상기 장용성 제제가 하드 캡슐제인 [9] 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11] 추가로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를 포함하는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12]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과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의 중량비가, 1 : 0.1 ∼ 1 : 25 인 [11] 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13]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가, 히프로멜로오스아세트산에스테르숙신산에스테르 또는 히프로멜로오스프탈산에스테르인 [11] 또는 [12] 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14] 고형 제제인 [1]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15]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10 ㎎ ∼ 320 ㎎ 인, [1]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16] 1 투여 단위당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10 ㎎ ∼ 320 ㎎ 인, [1]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17] 1 투여 단위당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10 ㎎ ∼ 160 ㎎ 인, [1] ∼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18] 1 투여 단위당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10 ㎎ ∼ 80 ㎎ 인, [1]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19] 1 투여 단위당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20 ㎎ ∼ 80 ㎎ 인, [1] ∼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20] 투여 1 일째의 투여 12 시간 후에, 투여 전과 비교하여 혈중 요산 농도를 0.5 ∼ 2.0 ㎎/㎗ (예를 들어, 0.5 ∼ 1.5 ㎎/㎗) 저하시키는, [1] ∼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21] 1 회/일, 7 일간의 연속 투여에 의해, 투여 7 일째의 투여 12 시간 후의 혈중 요산 농도가, 투여 전과 비교하여 1.5 ∼ 3.0 ㎎/㎗ (예를 들어, 1.5 ∼ 2.5 ㎎/㎗) 저하되는, [1] ∼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22] 투여 개시로부터 투여 3 주일 후까지,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1 일의 투여량을 증가시키지 않는, [1] ∼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23] 투여 개시로부터 투여 7 주일 후까지,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1 일의 투여량을, 증가시키지 않거나, 또는 1 회 증가시키는, [1] ∼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24] 투여 1 일째의 혈중 요산치의 최대 저하율 ([(투여 전 요산치 - 투여 1 일째의 투여 후 최소 요산치)/투여 전 요산치] × 100) 이 10 ∼ 25 % 인, [1] ∼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25] 투여 7 일째의 혈중 요산치의 최대 저하율 ([(투여 전 요산치 - 투여 7 일째의 투여 후 최소 요산치)/투여 전 요산치] × 100) 이 20 ∼ 45 % 인, [1] ∼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26]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2-(3-시아노-4-페녹시페닐)-7-하이드록시티아졸로[5,4-d]피리미딘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인, [1] ∼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
[27] [1] ∼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패키지로서, 5 ∼ 15 일간의 계속 투여에 필요한 투여 단위의 수의 의약 조성물이 포함되는,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은,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등에 유용하다.
도 1 은, 화합물 14 의 비정질의 습식 레이저 회절법에 의한 입자경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참고예 1a 의 캡슐제와 비교 참고예 1a 의 캡슐제를 개에게 투여하였을 때의 혈장 중 약물 농도-시간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화합물 14 의 결정질의 분말 X 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화합물 14 의 비정질의 분말 X 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보존 전, (b) 는 차광·기밀 및 실온 조건에서 1 주일 보존 후, (c) 는 차광·기밀 및 실온 조건에서 2 주일 보존 후, 및 (d) 는 차광·기밀 및 실온 조건에서 4 주일 보존 후의 분말 X 선 회절 패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참고예 9b 의 고체 분산체의 보존 전과, 40 ℃/75 %RH, 개방 조건하에서 1 주일, 3 주일 및 7 주일 보존 후의 분말 X 선 회절 패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참고예 10b 의 고체 분산체의 보존 전과, 40 ℃/75 %RH, 개방 조건하에서 1 주일, 3 주일 및 7 주일 보존 후의 분말 X 선 회절 패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참고예 11b 의 고체 분산체의 보존 전과, 40 ℃/75 %RH, 개방 조건하에서 1 주일, 3 주일 및 7 주일 보존 후의 분말 X 선 회절 패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참고예 11b 의 고체 분산체의 래트에 있어서의 혈장 요산치 저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실시예 1 에 있어서, 정상 성인 남성에게, 화합물 14 와, 대조약으로서 페북소스타트를 경구 투여하였을 때의 혈청 중에 있어서의 요산치의 저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참고예 1a 의 캡슐제와 비교 참고예 1a 의 캡슐제를 개에게 투여하였을 때의 혈장 중 약물 농도-시간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화합물 14 의 결정질의 분말 X 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화합물 14 의 비정질의 분말 X 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는 보존 전, (b) 는 차광·기밀 및 실온 조건에서 1 주일 보존 후, (c) 는 차광·기밀 및 실온 조건에서 2 주일 보존 후, 및 (d) 는 차광·기밀 및 실온 조건에서 4 주일 보존 후의 분말 X 선 회절 패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참고예 9b 의 고체 분산체의 보존 전과, 40 ℃/75 %RH, 개방 조건하에서 1 주일, 3 주일 및 7 주일 보존 후의 분말 X 선 회절 패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참고예 10b 의 고체 분산체의 보존 전과, 40 ℃/75 %RH, 개방 조건하에서 1 주일, 3 주일 및 7 주일 보존 후의 분말 X 선 회절 패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참고예 11b 의 고체 분산체의 보존 전과, 40 ℃/75 %RH, 개방 조건하에서 1 주일, 3 주일 및 7 주일 보존 후의 분말 X 선 회절 패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참고예 11b 의 고체 분산체의 래트에 있어서의 혈장 요산치 저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실시예 1 에 있어서, 정상 성인 남성에게, 화합물 14 와, 대조약으로서 페북소스타트를 경구 투여하였을 때의 혈청 중에 있어서의 요산치의 저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의약 조성물>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은,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있어서, R1 은 무치환의 페닐기, 또는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낸다.
R1 로 나타내는 페닐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의「탄소수 1 ∼ 8 의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로 나타내는 페닐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의「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로는, 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1,1-디플루오로에틸기, 펜타플루오로에틸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로 나타내는 페닐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의「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로 나타내는 페닐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의「탄소수 2 ∼ 8 의 알콕시카르보닐기」로는,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프로폭시카르보닐기, 부톡시카르보닐기, tert-부톡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로 나타내는 페닐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의「할로겐 원자」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R1 로는, 무치환의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있어서, R2 는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내는데, 시아노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있어서, R3 은 수소 원자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나타내는데,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있어서, X 는 산소 원자 또는 -S(O)n- 를 나타내는데, 산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있어서, Y 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는데, 황 원자가 바람직하다.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으로는, 예를 들어,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리튬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을 들 수 있고, 칼륨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인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이 함유하는 일반식 (Ⅰ) 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또는 국제출원 PCT/JP2019/17439호 명세서에 기재된 합성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이 함유하는 일반식 (Ⅰ) 의 화합물에 있어서,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표 1 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표 중, Me 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표 1]
화합물 1 ∼ 화합물 15 는,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그 중에서도, 화합물 3 ∼ 화합물 5, 화합물 8 ∼ 화합물 10, 화합물 13 ∼ 화합물 14, 또는 이들 화합물의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비정질로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정질이란,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원자 간 또는 분자 간에 단거리 질서를 갖지만, 결정과 같이 장거리 질서를 갖지 않는 상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정질은, X 선 회절에 있어서, 할로 피크를 나타내는 것에 의해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상이 비정질로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 중량% 이상이 비정질로서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중량% 이상이 비정질로서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 중량% 이상이 비정질로서 존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중량% 가 비정질이어도 된다. 또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은 결정이어도 되고, 이 경우 총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미만의 비정질이 존재해도 되고, 40 중량% 이하가 비정질이어도 되고, 30 중량% 이하가 비정질이어도 되고, 20 중량% 이하가 비정질이어도 되고, 10 중량% 가 비정질이어도 되고, 완전히 존재하지 않아도 되다. 상기 비정질의 존재율은, X 선 회절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상기 비정질의 존재율에 있어서, 잔여는 결정질이다. 즉, 각각의 존재율의 기재에 있어서, 비정질과 결정질의 존재율의 합계는 100 중량% 이다.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비정질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분무 건조법 (스프레이 드라이법이라고도 한다) 에 제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원하는 바에 따라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후술하는 용매에 첨가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하고, 상기 용액 또는 현탁액을 회전 원반에 의한 원심 분무 또는 압력 노즐에 의한 가압 분무에 의해 미세한 미스트상으로 하고, 이것을 건조 매체 중 (예를 들어 가열한 공기 또는 질소 가스) 에 분출시킴으로써, 비정질의 분상의 건조물로서 얻을 수 있다. 분무 건조법에 있어서, 건조 매체의 온도는, 예를 들어, 50 ∼ 120 ℃, 바람직하게는 50 ∼ 90 ℃ 이다. 상기 건조 매체는, 일정 방향으로 유동시키고 있어도 되며, 예를 들어, 0.1 ∼ 0.6 ㎥/min 의 풍량으로서 유동시킬 수 있다.
분무 건조법에서 사용되는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tert-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가 1 ∼ 6 인 알코올을 포함하는 알코올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등의 에테르류, 아세토니트릴, 및 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용매를 1 종 단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탄올,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이들 용매와 물의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다.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비정질의 제조 방법의 별법으로는, 동결 건조법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용매에 용해시킨 후, 용액을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동결 건조법에서 사용되는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tert-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가 1 ∼ 6 인 알코올을 포함하는 알코올류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 및 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용매를 1 종 단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비정질의 입자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발명의 효과의 점이나 제제화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체적 평균 입자경 (D50) 으로서, 2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 ∼ 15 ㎛,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5 ㎛, 가장 바람직하게는 2 ∼ 5 ㎛ 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적 평균 입자경 (D50) 의 측정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측정 시료를 물, 또는 에탄올 등의 용매에 분산시키고,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입자경 분포를 측정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시료는 초음파를 조사하거나 함으로써 용매에 분산시켜도 된다. 상기 입자경 분포는, 입자경 분포 측정 장치 (예를 들어, 시마즈 (Shimadzu) 레이저 회절식 입자경 분포 측정 장치 SALD-2200 등)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얻어진 입자경 분포의 결과로부터 체적 평균 입자경 (D50) 을 구할 수 있다. 또,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해 시판되는 소프트웨어 (예를 들어, Shimadzu WingSALD-2200 version 1.02 등) 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결합제, 붕괴제, 부형제, 활택제 등을 적절히 조합하여 필요량 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로는,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프로멜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젤라틴, 한천,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풀루란, 부분 α 화 전분, 덱스트린, 잔탄검, 및 아라비아 고무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프로멜로오스,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붕괴제로는, 예를 들어, 결정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멜로오스라고도 한다),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크로스포비돈, 하이드록시프로필 스타치, 전분, 부분 α 화 전분, 및 전분 글리콜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전분 글리콜산나트륨, 또는 크로스포비돈 등이 바람직하고, 크로스포비돈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붕괴제의 배합량은, 예를 들어,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입자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 30 중량% 가 바람직하고, 5 ∼ 15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정제에 배합하는 경우에는,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타정용 과립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 10 중량% 가 바람직하고, 2 ∼ 6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부형제는, 의약 제제의 혼련 공정, 조립 (造粒) 공정 또는 조립 후말 공정의 어느 때에도 배합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결정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프로멜로오스라고도 한다) 등의 셀룰로오스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부분 α 화 전분,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스타치 등의 전분류, 포도당, 젖당, 백당, 정제 백당, 분당, 트레할로오스, 덱스트란, 및 덱스트린 등의 당류, D-만니톨,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합성 하이드로탈사이드, 무수 인산칼슘, 침강 탄산칼슘, 규산칼슘, 인산수소칼슘 수화물, 및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무기염 등을 들 수 있고, 결정 셀룰로오스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택제로는, 스테아르산, 푸마르산스테아릴나트륨,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칼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경질 무수 규산, 경화유,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탤크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푸마르산스테아릴나트륨,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칼슘, 또는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장용성 고분자와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과포화 용액으로부터의 재결정화가 억제될 수 있다.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과 장용성 고분자가 혼합되어 있을 때에는, 그것들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과 상기 장용성 고분자의 중량비는, 1 : 0.5 ∼ 1 : 10, 바람직하게는 1 : 1 ∼ 1 : 5,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 ∼ 1 : 5,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 ∼ 1 : 4 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장용성 고분자로는, 상기 코팅용의 장용성 고분자를 들 수 있으며,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등이 바람직하고,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숙시네이트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과 장용성 고분자의 혼합시, 상기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장용성 제제>
본 발명에 관련된 의약 조성물은, 장용성 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장용성 제제」란, 유효 성분의 위 내에서의 분해를 방지하거나, 또는 유효 성분을 위 내에서 방출하지 않고, 주로 소장 내에서 방출하도록 설계된 제제이다. 장용성 제제 그 자체는 일본 약국방에 기재되어 있다. 장용성 제제로는, 정제, 과립제, 세립제 및 캡슐제 등의 제형이 알려져 있다. 이들 제형의 제법으로는, (ⅰ) 유효 성분, 혹은 유효 성분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한 장용성 과립을 제조하고, 이것을 함유하는 정제, 과립제, 세립제, 혹은 캡슐제로 하는 방법, (ⅱ) 유효 성분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정제, 과립제, 세립제, 혹은 캡슐제를 제조하고, 이들 제제를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하는 방법, 또는 (ⅲ) 장용성의 기제로 이루어지는 하드 캡슐에 유효 성분, 혹은 유효 성분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수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된 장용성 제제로는, (ⅰ) 유효 성분, 혹은 유효 성분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한 장용성 과립을 함유하는 정제, 과립제, 세립제, 혹은 캡슐제, (ⅱ)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된, 유효 성분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정제, 과립제, 세립제, 혹은 캡슐제, 또는 (ⅲ) 장용성의 기제로 이루어지는 하드 캡슐에 유효 성분, 혹은 유효 성분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가 수용된 하드 캡슐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장용성의 기제는, 그 자체 공지된 장용성 고분자로 구성되는 기제를 의미하며, 당해 장용성 고분자로는, 후술하는 코팅용의 장용성 고분자로서 예시한 장용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코팅용의 장용성 고분자로는,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S (예를 들어, Eudragit (등록 상표) L100, Eudragit (등록 상표) S100, Evonik 사 제조),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LD (예를 들어, Eudragit (등록 상표) L100-55, Eudragit (등록 상표) L30D-55, Evonik 사 제조), 아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 코폴리머 (예를 들어, Eudragit (등록 상표) FS30D, Evonik 사 제조) 등의 장용성의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히프로멜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라고도 한다), 히프로멜로오스아세트산에스테르숙신산에스테르 (신에츠 화학사 제조, HPMCAS 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히프로멜로오스프탈산에스테르 (신에츠 화학사 제조, HPMCP 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프로인트 산업 주식회사 제조, CMEC 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및 셀라세페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라고도 한다) 등의 장용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및 폴리비닐알코올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컬러콘사 제조) 등의 장용성의 비닐알코올계 폴리머를 들 수 있는데, 장용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등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숙시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장용성 과립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 유동층 조립 및 유동 조립 등의 유동 조립법, 원심 전동 조립법 등의 전동 조립법, 또는 교반 조립법 등에 의해 과립을 제조한 후, 장용성 코팅액으로 피복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장용성 코팅액은, 상기 장용성 고분자를 용매에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 용매를 농축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장용성 코팅액의 조제에 사용되는 용매로는, 물, 혹은 메탄올 및 에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또는 이것들의 혼합액 등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결합제, 가소제, 피복 기제, 계면 활성제 및 부형제 등의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용매의 양은 특별히는 제한되지 않지만, 용해물의 전체 중량 (즉, 상기 장용성 고분자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의 전체 중량) 에 대하여 3 ∼ 10 배량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된, 유효 성분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정제, 과립제, 세립제, 또는 캡슐제는, 유효 성분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정제, 과립제, 세립제, 또는 캡슐제를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제조하고, 얻어진 이들 제제를 상기 장용성 코팅액으로 피복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장용성의 기제로 이루어지는 하드 캡슐로는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숙시네이트를 포함하는 장용성의 기제로 이루어지는 하드 캡슐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Vcaps (등록 상표) Enteric (캡슈겔사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장용성 제제에는, 필요에 따라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결합제, 붕괴제, 부형제, 활택제 등을 적절히 조합하여 필요량 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상기 의약 조성물에서 예시한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장용성 제제는, 생체 내에 있어서 높은 흡수성을 나타낼 수 있다.
<고체 분산체>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추가로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란, 히프로멜로오스 그 자체 (HPMC 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및 히프로멜로오스의 유기산 에스테르를 나타낸다. 히프로멜로오스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라고도 칭해지며, 셀룰로오스의 메틸기 및 하이드록시프로필기와의 혼합 에테르이다. 히프로멜로오스와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유기산으로는, 아세트산, 숙신산 또는 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히프로멜로오스는, 상기 유기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유기산과 에스테르를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히프로멜로오스, 히프로멜로오스아세트산에스테르숙신산에스테르 (HPMCAS 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히프로멜로오스프탈산에스테르 (HPMCP 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히프로멜로오스아세트산에스테르숙신산에스테르, 히프로멜로오스프탈산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히프로멜로오스로는, 1 모노머 단위당의 치환 비율이, 메톡시기에 대해 28 ∼ 30 %, 하이드록시프로폭시기에 대해 7 ∼ 12 % 인 히프로멜로오스가 예시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히프로멜로오스아세트산에스테르숙신산에스테르로는, 1 모노머 단위당의 치환 비율이, 메톡시기에 대해 20 ∼ 26 %, 바람직하게는 21 ∼ 25 % 이고, 하이드록시프로폭실기에 대해 5 ∼ 10 %, 바람직하게는 5 ∼ 9 % 이고, 아세틸기에 대해 5 ∼ 14 %, 바람직하게는 7 ∼ 11 % 이고, 숙시노일기에 대해 4 ∼ 18 %, 바람직하게는 10 ∼ 14 % 인 히프로멜로오스아세트산에스테르숙신산에스테르가 예시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히프로멜로오스프탈산에스테르로는, 1 모노머 단위당의 치환 비율이, 메톡시기에 대해 18 ∼ 24 % 이고, 하이드록시프로폭시기에 대해 5 ∼ 10 %, 카르복시벤조일기에 대해 21 ∼ 35 % 인 히프로멜로오스프탈산에스테르가 예시된다.
상기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에 있어서의 메톡시기, 하이드록시프로폭시기, 아세틸기, 숙시노일기 또는 카르복시벤조일기 등의 함유량은, 제 17 개정 일본 약국방에서 규정되어 있는 히프로멜로오스, 히프로멜로오스아세트산에스테르숙신산에스테르 및 히프로멜로오스프탈산에스테르의 치환도의 측정 방법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의 점도로는,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4 ∼ 204 mPa·s 를 들 수 있고, 2.4 ∼ 3.6 mPa·s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의 점도는, 제 17 개정 일본 약국방에서 규정되어 있는 히프로멜로오스, 히프로멜로오스아세트산에스테르숙신산에스테르 및 히프로멜로오스프탈산에스테르의 점도의 측정 방법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과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의 중량비는, 1 : 0.1 ∼ 1 : 25 의 범위에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과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의 중량비의 하나의 예는 1 : 0.1 ∼ 1 : 10 이고, 다른 예는 1 : 0.1 ∼ 1 : 4 이고, 또 다른 예는 1 : 1 ∼ 1 : 10 이고, 추가로 다른 예는 1 : 2 ∼ 1 : 5 이고, 추가로 또 다른 예는 1 : 3 ∼ 1 : 4 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로는, 2-(3-시아노-4-페녹시페닐)-7-하이드록시티아졸로[5,4-d]피리미딘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과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의 중량비가 1 : 0.1 ∼ 1 : 25 이고, 다른 실시양태로는, 1 : 0.1 ∼ 1 : 10 이고, 또 다른 실시양태로는, 1 : 0.1 ∼ 1 : 4 이고, 또 다른 실시양태로는, 1 : 1 ∼ 1 : 10 이고, 추가로 다른 실시양태로는, 1 : 2 ∼ 1 : 5 이고, 추가로 또 다른 실시양태로는, 1 : 3 ∼ 1 : 4 인 고체 분산체를 들 수 있다.
「고체 분산체」란, 적어도 2 개의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의 계로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된 계를 형성하고 있는 고체의 조성물을 의미한다. 또, 상기 고체 분산체에 있어서, 적어도 1 개의 성분은, 통상적으로 상기 계의 전체에 걸쳐서 분산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된「고체 분산체」의 하나의 실시양태는,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과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를 포함하고,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가 균일하게 혼합된 계를 형성하고 있는 고체의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고체 분산체」의 다른 실시양태는,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의 전체에 걸쳐서 분산된 계를 형성하고 있는 고체의 조성물이다. 이 경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분산질로서 분산상을 구성하고,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가 분산매로서 연속상을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고체 분산체」는,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 및 원하는 바에 따라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로 구성되어 있다. 원하는 바에 따라 함유되는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계면 활성제, pH 조정제, 당류 및 가소제 등에서 선택되는 첨가제가 예시된다. 이것들은 적절히 조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고체 분산체에 필요량 배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계면 활성제로는, 비스-(2-에틸헥실)술포숙신산나트륨 (도큐세이트나트륨), 브롬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예를 들어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세트리미드)) 과 같은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라우릴황산나트륨과 같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예를 들어 트윈 (Tween™ 20, 40, 60, 80 또는 85)),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Span™ 20, 40, 60, 80 또는 85) 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pH 조정제로는, 숙신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스파르트산 등의 산, 수산화나트륨이나 산화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탄산수소나트륨, L-아르기닌 등의 알칼리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당류로는, 젖당, 백당, 포도당, 과당, 자당, 말토오스 (맥아당), 환원 맥아당, 말티톨, 만니톨, 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등을 들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가소제로는, 시트르산트리에틸,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아세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고체 분산체」는, 상기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되지만, 그것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과 상기 계면 활성제의 중량비는, 1 : 0.01 ∼ 1 : 2,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0.02 ∼ 1 :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03 ∼ 1 : 1.2 이고,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과 상기 pH 조정제의 중량비는, 1 : 0.01 ∼ 1 : 2,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0.02 ∼ 1 :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03 ∼ 1 : 1.2 이고,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과 상기 당류의 중량비는, 1 : 0.02 ∼ 1 :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0.15 ∼ 1 : 10 이고,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과 상기 가소제의 중량비는, 1 : 0.02 ∼ 1 :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0.15 ∼ 1 : 10 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고체 분산체」에 있어서, 상기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는, 고체 분산체의 분산상을 구성해도 되고, 연속상을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고체 분산체」에 있어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비정질로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고체 분산체는, 그 자체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혼합 분쇄법 (메카노케미컬법), 용매법, 용융법, 가열 혼련 용융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혼합 분쇄법이란,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과,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와, 원하는 바에 따라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혼합한 후, 볼 밀, 해머 밀 등의 혼합기 및 분쇄기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용매법이란,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 그리고 원하는 바에 따라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용매 (유기 용매, 물 또는 그 혼액) 에 용해 또는 현탁시키고, 그 후, 상기 용매를 제거하여 고체 분산체를 석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용매 중, 고체 분산체를 석출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용매는, 분무법 (실시양태에 따라, 유동층법, 분무 건조법 (스프레이 드라이법이라고도 한다), 전동층법, 교반법, 또는 초임계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과법, 이배퍼레이션법, 동결 건조법 등의 방법에 의해 제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분무법을 들 수 있고, 그 중 분무 건조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고체 분산체를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용매는,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용매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에탄올, 메탄올, 2-프로판올, 아세톤, 2-부타논, 메틸이소부틸케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테트라하이드로피란, 1,4-디옥산, 디에틸에테르, 톨루엔, 아세토니트릴,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 포름산,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 중,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원하는 바에 따라 배합되는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는 용해되어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분무 건조법에 있어서는, 그 자체 공지된 방법에 의해 고체 분산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 그리고 원하는 바에 따라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상기 용매에 첨가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하고, 상기 용액 또는 현탁액을 회전 원반에 의한 원심 분무 혹은 압력 노즐에 의한 가압 분무에 의해 미세한 미스트상으로 하고, 이것을 건조 매체 중 (가열한 공기 또는 질소 가스) 에 분출시켜, 분상의 건조물로서 고체 분산체를 얻을 수 있다.
분무 건조법에 있어서, 건조 매체의 온도는, 예를 들어, 50 ∼ 120 ℃, 바람직하게는 50 ∼ 90 ℃ 이다. 상기 건조 매체는, 일정 방향으로 유동시키고 있어도 되며, 예를 들어, 0.1 ∼ 0.6 ㎥/min 의 풍량으로서 유동시킬 수 있다.
용매법에 있어서 석출시키는 방법은 공침법이 바람직하고,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 그리고 원하는 바에 따라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용매에 용해 또는 현탁시키고, 용해된 상기 화합물 (Ⅰ)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 그리고 원하는 바에 따라 첨가되는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가 불용인 용매의 첨가나, 온도의 저하 등으로 용해 농도를 낮추는 것에 의해 석출시킴으로써 고체 분산체를 얻을 수 있다.
용융법이란,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 그리고 원하는 바에 따라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의 융점 또는 연화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교반하거나 함으로써,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원하는 바에 따라 첨가되는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이어서 급랭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그 때, 원하는 바에 따라 시트르산트리에틸,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아세틴 등의 가소제나 계면 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제조는, 가열 장치가 형성된 교반 조립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가열 혼련 용융법이란, 가열 장치를 구비한 압출기, 예를 들어 2 축 익스트루더 등에 의해,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 그리고 원하는 바에 따라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가열·가압하에서 혼합하여, 고체 분산체를 얻는 방법을 말하며, 얻어지는 플라스틱형의 고체 분산체를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함으로써 고체 분산체의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고체 분산체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임의의 입자경을 갖는 고체 분산체의 입자로 할 수 있고, 상기 고체 분산체의 입자를, 그대로 산제 또는 과립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고체 분산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은, 상기 고체 분산체와,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포함하고,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로서, 예를 들어 결합제, 붕괴제, 부형제, 활택제 등을 적절히 조합하여 필요량 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상기 의약 조성물에서 예시한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고체 분산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은, 그 자체 공지된 제제화 공정에 제공함으로써,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등의 고형 제제, 또는 주사제 등의 액상 제제로 제제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을 고형 제제로서 제공하고, 용시 (用時) 에 주사제로 조제하여 사용하는 형태여도 된다.
본 발명은 타정 장해의 억제 효과도 갖는 점에서, 특히 고형 제제가 정제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또, 이들 고형 제제는, 원하는 바에 따라 코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고체 분산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의 고체 분산체의 함량은, 의약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 90 중량% 여도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85 중량% 여도 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고체 분산체는, 생체 내에 있어서의 높은 흡수성과 보존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은,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그 밖의 포유 동물에게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 보다 바람직하게는 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은, 인간에게 투여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은, 고뇨산혈증, 또는 통풍의 치료약 또는 예방약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는,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된 장용성 과립을 함유하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의약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된 장용성 과립을 함유하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의 정제, 과립제, 세립제, 또는 캡슐제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정제, 과립제, 세립제, 또는 캡슐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된 장용성 과립을 함유하고, 또한 상기 장용성 과립 중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추가로 장용성 고분자와 혼합되어 있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의약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된 장용성 과립을 함유하고, 또한 상기 장용성 과립 중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추가로 장용성 고분자와 혼합되어 있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의 정제, 과립제, 세립제, 또는 캡슐제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정제, 과립제, 세립제, 또는 캡슐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가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된 장용성 과립을 함유하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의약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가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된 장용성 과립을 함유하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의 정제, 과립제, 세립제, 또는 캡슐제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정제, 과립제, 세립제, 또는 캡슐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가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된 장용성 과립을 함유하고, 또한 상기 장용성 과립 중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가 추가로 장용성 고분자와 혼합되어 있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의약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가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된 장용성 과립을 함유하고, 또한 상기 장용성 과립 중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가 추가로 장용성 고분자와 혼합되어 있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의 정제, 과립제, 세립제, 또는 캡슐제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정제, 과립제, 세립제, 또는 캡슐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의약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의 정제, 과립제, 세립제, 또는 캡슐제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정제, 과립제, 세립제, 또는 캡슐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가 추가로 장용성 고분자와 혼합되어 있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의약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장용성 고분자로 코팅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가 추가로 장용성 고분자와 혼합되어 있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의 정제, 과립제, 세립제, 또는 캡슐제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정제, 과립제, 세립제, 또는 캡슐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장용성의 기제로 이루어지는 하드 캡슐에,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수용된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의 하드 캡슐제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하드 캡슐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장용성의 기제로 이루어지는 하드 캡슐에,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가 수용된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의 하드 캡슐제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하드 캡슐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장용성의 기제로 이루어지는 하드 캡슐에,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수용되고, 또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추가로 장용성 고분자와 혼합되어 있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의 하드 캡슐제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하드 캡슐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장용성의 기제로 이루어지는 하드 캡슐에,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가 수용되고, 또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가 추가로 장용성 고분자와 혼합되어 있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의 하드 캡슐제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하드 캡슐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서의 사용을 위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으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서의 사용을 위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및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의약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서의 사용을 위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고체 분산체 또는 상기 고체 분산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고체 분산체 또는 상기 고체 분산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약의 제조를 위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사용으로서,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상기 사용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을,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대상에,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를 적어도 7 일간 계속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본 발명에 관련된 고체 분산체 또는 상기 고체 분산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대상에,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경구 투여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를 적어도 7 일간 계속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투여량은,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또, 투여 방법, 투여 대상의 연령, 체중, 성별, 증상, 약제에 대한 감수성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지만, 증상의 개선의 상황에 따라 투여량을 조절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일정한 투여량을 계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용성 제제의 투여량은, 예를 들어, 성인에게 있어서는,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으로 환산하여, 통상적으로 1 일당 10 ∼ 320 ㎎, 바람직하게는 20 ∼ 3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2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20 ㎎,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 100 ㎎ 경구 투여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를 적어도 7 일간 계속하여 투여할 수 있지만, 연령, 증상 등에 따라 증감시킬 수 있다. 또, 투여 횟수로는, 예를 들어, 1 일당, 1 ∼ 3 회, 바람직하게는 1 ∼ 2 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1 회를 들 수 있다.
고뇨산혈증은, 혈액 중의 요산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이다. 고뇨산혈증에서는, 요산의 일부가 다 용해되지 않게 되어 요산이 결정화된다. 이 결정화된 요산이 관절에 쌓여 염증을 일으키면 통풍 관절염이 되고, 격통을 수반하는 통풍 발작으로 불리는 증상을 나타낸다. 고뇨산혈증에는, 이와 같은 통풍 관절염이라는 임상 증상을 나타내는 고뇨산혈증과, 통풍 관절염 등의 임상 증상이 없는 무증후성 고뇨산혈증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의 투여 대상은, 통풍 관절염 환자 (예를 들어, 고뇨산혈증을 발증하고 있는 통풍 관절염 환자) 일 수 있고, 또는 고뇨산혈증환자로서, 통풍 발작을 발증한 적이 있는 환자, 나아가서는 무증후성의 고뇨산혈증환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을, 통풍 관절염 환자의 고뇨산혈증의 치료에 사용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통풍 발작의 억제」,「통풍 발작의 유발의 억제」또는「통풍 발작의 발현의 억제」의 용어는, 예를 들어, 알로푸리놀이나 페북소스타트 등의 종래의 요산 저하약의 투여 대상군 또는 플라세보군과 비교하여,「통풍 발작」의 빈도 또는 중독도 (重篤度) (예를 들어 통증의 정도 등), 바람직하게는 빈도가 저하되는 것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통풍 발작」이 발현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통풍 관절염 환자에게 혈중 요산치의 저하를 위한 치료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통풍 발작이 관해 (寬解) 된 후 (통증이 가라앉은 후) 에 요산 강하약이 투여되는데, 투여는 저용량에서부터 개시하고, 혈중 요산치가 목표치까지 서서히 저하되도록 용량을 점증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요산 강하약의 투여에 의해 혈중 요산치를 급격하게 저하시키면 관절 내에 부착된 요산염 결정의 재용해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그 결과, 박리되기 쉬워져, 통풍 발작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요산 강하약에 의한 급격한 요산치의 저하에 의해 야기되는 통풍 발작은, 요산의 이동에 의한 발작 (mobilization flare-up) 으로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은, 서서히 혈중 요산 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요산의 이동에 의한 발작 (mobilization flare-up) 등의 급성의 통풍 발작을 점증없이, 또는 보다 적은 점증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크산틴옥시다아제 저해제인 페북소스타트는, 일본에 있어서, 혈중 요산치의 급격한 저하에 의한 통풍 발작 (요산의 이동에 의한 발작 (mobilization flare-up)) 의 유발을 억제하기 위해, 10 ㎎ 1 일 1 회의 투여부터 개시하고, 투여 개시로부터 2 주일 이후에 20 ㎎ 1 일 1 회, 투여 개시로부터 6 주일 이후에 40 ㎎ 1 일 1 회 투여로 하는 등, 서서히 증량시키는 것이 추장되고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은, 요산 강하 요법의 개시에 수반되는 통풍 발작 (요산의 이동에 의한 발작 (mobilization flare-up)) 의 발현을 억제하기 위해 1 일당의 투여량을 점증시킬 필요는 없고, 투여 개시로부터 3 주일에 있어서, 1 일당의 투여량을 증가시키지 않아도 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은, 요산 강하 요법의 개시에 수반되는 통풍 발작 (요산의 이동에 의한 발작 (mobilization flare-up)) 의 발현을 억제하기 위해 1 일당의 투여량을 점증시킬 필요는 없고, 투여 개시로부터 7 주일에, 1 일당의 투여량을 증가시키지 않거나, 또는 1 일당의 투여량의 증가가 1 회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혈중 요산치를 서서히 저하시키는 효과는, 예를 들어, 1 일당 10 ∼ 320 ㎎ (예를 들어, 10 ∼ 160 ㎎, 20 ∼ 160 ㎎, 40 ∼ 160 ㎎, 80 ∼ 160 ㎎, 10 ∼ 80 ㎎, 20 ∼ 80 ㎎, 40 ∼ 80 ㎎, 10 ㎎, 20 ㎎, 40 ㎎, 80 ㎎, 100 ㎎, 120 ㎎, 140 ㎎ 또는 160 ㎎) 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경구 투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 1 일당 10 ∼ 320 ㎎ (예를 들어, 10 ∼ 160 ㎎, 20 ∼ 160 ㎎, 40 ∼ 160 ㎎, 80 ∼ 160 ㎎, 10 ∼ 80 ㎎, 20 ∼ 80 ㎎, 40 ∼ 80 ㎎, 10 ∼ 40 ㎎, 20 ∼ 40 ㎎, 10 ㎎, 20 ㎎, 40 ㎎, 80 ㎎, 100 ㎎, 120 ㎎, 140 ㎎ 또는 160 ㎎) 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연일 투여함으로써, 혈중 요산치를 서서히 저하시켜도 되며, 예를 들어, 7 일 이상 (예를 들어, 1 개월간, 2 개월간 또는 3 개월간) 연일 투여함으로써, 혈중 요산치를 서서히 저하시켜도 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은,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된다. 이와 같은 실시양태에 의해, 환자의 요산치를 급격하게 저하시키지 않고, 서서히 저하시키므로, 통풍 발작의 유발 혹은 발작의 정도를 저감시키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달성되는 혈중 요산치를 서서히 저하시키는 효과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을 정상 성인 (예를 들어, 남성) 에게 7 일간의 연속 투여하고, 투여 전과 투여 후의 혈중 요산치를 측정하고, 투여 1 일째의 혈중 요산치의 최대 저하율 ([(투여 전 요산치 - 투여 1 일째의 투여 후 최소 요산치)/투여 전 요산치] × 100) 이, 약 35 % 이하 (예를 들어, 1 ∼ 35 % 의 저하, 10 ∼ 30 % 의 저하, 10 ∼ 25 % 의 저하, 10 ∼ 20 % 의 저하, 15 ∼ 25 % 의 저하) 인 것 ; 및/또는, 투여 7 일째의 혈중 요산치의 최대 저하율 ([(투여 전 요산치 - 투여 7 일째의 투여 후 최소 요산치)/투여 전 요산치] × 100) 이 약 55 % 이하 (예를 들어, 1 ∼ 55 % 의 저하, 10 ∼ 50 % 의 저하, 15 ∼ 45 % 의 저하, 20 ∼ 45 % 의 저하, 20 ∼ 40 % 의 저하, 20 ∼ 35 % 의 저하) 인 것에 의해, 확인해도 된다.
혈중 요산치 (혈중 요산 농도) 는, 공지된 우리카아제·퍼옥시다아제법에 의해 측정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투여 개시로부터」로 표현되는 시간 또는 기간은, 예를 들어, 1 개의 치료 계획에 있어서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초회의 투여시를 기산점으로 하여 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투여 개시로부터 투여 3 주일 후」란, 초회의 투여시로부터 3 주일 후의 대응하는 시각을 의미하고,「투여 개시로부터 투여 7 주일 후」란, 초회의 투여시로부터 7 주일 후의 대응하는 시각을 의미한다.
용어「투여」에 계속해서, 시간 또는 기간으로 표현되는 경우, 투여시를 기산점으로 하여, 계속되는 시간 또는 기간 경과 후의 시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투여 12 시간」이란, 투여시로부터 12 시간 경과한 시점을 의미하고,「투여 7 일」이란, 투여시로부터 7 일간 경과한 시점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일」,「월」또는「년」으로 정하는 시간에 대해,「기간」의 용어를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투여 X 일째」라고 표현되는 경우, 그 의미는, 문맥에 있어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투여 1 일째」란, 1 개의 치료 계획에 있어서의, 초회의 투여시로부터 1 일간 (24 시간) 경과한 시점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면, 초회의 투여시로부터 1 일간 (24 시간) 경과하는 시점의 직전까지의 기간을 의미하는 경우, 또는 초회의 투여시로부터 1 일간 (24 시간) 경과한 시점의 전후, 예를 들어 ± 12 시간, 바람직하게는 ± 6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 2 시간의 시간을 의미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투여 1 일째의 투여 후 최소 요산치」란, 예를 들어, 1 개의 치료 계획에 있어서의, 초회의 투여시로부터 1 일간 경과 후 (24 시간 경과 후) 까지, 1 시간마다 투여 대상으로부터 채혈하고, 그 자체 공지된 방법으로 요산치를 측정한 것 중에서 최소의 요산치를 의미한다. 또,「투여 7 일째의 투여 후 최소 요산치」란, 예를 들어, 1 개의 치료 계획에 있어서의, 초회의 투여시로부터 6 일간 경과 후 (144 시간 경과 후) 의 시점에서 7 일간 경과 후까지, 1 시간마다 투여 대상으로부터 채혈하고, 그 자체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한 요산치 중에서 최소의 요산치를 의미한다. 「투여 전」으로는, 1 개의 치료 계획에 있어서의, 초회의 투여 전 12 시간이 바람직하고, 초회의 투여 전 6 시간이 보다 바람직하고, 초회의 투여 전 2 시간이 더욱 바람직하고, 초회의 투여 전 1 시간이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투여 전 요산치」란, 예를 들어, 1 개의 치료 계획에 있어서의, 초회의 투여 전 12 시간, 바람직하게는 초회의 투여 전 6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초회의 투여 전 2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초회의 투여 전 1 시간에 있어서, 투여 대상으로부터 채혈하고, 그 자체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한 요산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량은,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량은, 10 ∼ 320 ㎎ (예를 들어, 10 ∼ 160 ㎎, 20 ∼ 160 ㎎, 40 ∼ 160 ㎎, 80 ∼ 160 ㎎, 10 ∼ 80 ㎎, 20 ∼ 80 ㎎, 40 ∼ 80 ㎎, 10 ∼ 40 ㎎, 20 ∼ 40 ㎎, 10 ㎎, 20 ㎎, 40 ㎎, 80 ㎎, 100 ㎎, 120 ㎎, 140 ㎎ 또는 160 ㎎) 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은, 1 투여 단위일 수 있다. 1 투여 단위당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0 ∼ 320 ㎎ (예를 들어, 10 ∼ 160 ㎎, 20 ∼ 160 ㎎, 40 ∼ 160 ㎎, 80 ∼ 160 ㎎, 10 ∼ 80 ㎎, 20 ∼ 80 ㎎, 40 ∼ 80 ㎎, 10 ∼ 40 ㎎, 20 ∼ 40 ㎎, 10 ㎎, 20 ㎎, 40 ㎎, 80 ㎎, 100 ㎎, 120 ㎎, 140 ㎎ 또는 160 ㎎) 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의 포장 형태는,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포장 형태의 예로는, 플라스틱 용기, 유리 용기, PTP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은, 5 ∼ 15 일간의 계속 투여에 필요한 투여 단위의 수의 의약 조성물이 포함되는 패키지로서 제공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은, 5 ∼ 15 (예를 들어, 6, 7, 8, 10, 12 또는 14) 투여 단위를 포함하는 PTP 시트로서 제공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투여 단위」란, 제제의 단위를 나타내고,「1 투여 단위」란, 제제의 최소 단위를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정제라면, 투여 단위는 각 정제이고, 1 투여 단위는, 1 개의 정제를 나타낸다. 주사제라면, 투여 단위는, 앰플 또는 바이알 등의 밀봉 용기에 넣어진 주사제이고, 1 투여 단위는, 1 개의 앰플 또는 바이알 등의 밀봉 용기에 넣어진 주사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이, 인간 또는 그 밖의 포유 동물에게 투여되는 경우, 1 회당, 1 또는 2 이상의 상기 투여 단위가 투여되어도 되고, 상기 1 투여 단위가 분할되어 투여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의 예로는 이하를 들 수 있다.
<1-1>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에 있어서의 사용을 위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1-2> 통풍 관절염 환자에 있어서의 고뇨산혈증의 치료에 있어서의 사용을 위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1-3> 요산 강하 요법의 개시에 수반되는 통풍 발작의 발현을 억제하는, <1-1> 또는 <1-2> 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4>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1-1>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5> R1 이, 무치환의 페닐기, 또는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인 <1-1>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6> X 가 산소 원자인 <1-1>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7> Y 가 황 원자인 <1-1> ∼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8> <1-1>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그 비정질을 포함하고, 상기 비정질의 함유량은, <1-1>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총 중량에 대하여, 80 중량% 이상인 <1-1>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9> 장용성 제제인 <1-1> ∼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10> 상기 장용성 제제가 하드 캡슐제인 <1-9> 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11> 추가로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를 포함하는 <1-1> ∼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12>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과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의 중량비가, 1 : 0.1 ∼ 1 : 25 인 <1-11> 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13>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가, 히프로멜로오스아세트산에스테르숙신산에스테르 또는 히프로멜로오스프탈산에스테르인 <1-11> 또는 <1-12> 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14> 고형 제제인 <1-1> ∼ <1-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15>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10 ㎎ ∼ 320 ㎎ 인, <1-1> ∼ <1-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16> 1 투여 단위당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10 ㎎ ∼ 320 ㎎ 인, <1-1> ∼ <1-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17> 1 투여 단위당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10 ㎎ ∼ 160 ㎎ 인, <1-1> ∼ <1-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18> 1 투여 단위당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10 ㎎ ∼ 80 ㎎ 인 <1-1> ∼ <1-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19> 1 투여 단위당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20 ㎎ ∼ 80 ㎎ 인, <1-1> ∼ <1-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20> 투여 1 일째의 투여 12 시간 후에, 투여 전과 비교하여 혈중 요산 농도를 0.5 ∼ 2.0 ㎎/㎗ (예를 들어, 0.5 ∼ 1.5 ㎎/㎗) 저하시키는, <1-1> ∼ <1-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21> 1 회/일로 7 일간의 연속 투여에 의해, 투여 7 일째의 투여 12 시간 후의 혈중 요산 농도가, 투여 전과 비교하여 1.5 ∼ 3.0 ㎎/㎗ (예를 들어, 1.5 ∼ 2.5 ㎎/㎗) 저하되는, <1-1> ∼ <1-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22> 의약 조성물이 1 회/일로 연속 투여되고, 투여 개시로부터 투여 3 주일 후까지,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1 일의 투여량을 증가시키지 않는, <1-1> ∼ <1-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23> 의약 조성물이 1 회/일로 연속 투여되고, 투여 개시로부터 투여 7 주일 후까지,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1 일의 투여량을, 증가시키지 않거나, 또는 1 회 증가시키는, <1-1> ∼ <1-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24> 의약 조성물이, 1 회/일로 연속 투여되고, 투여 1 일째의 혈중 요산치의 최대 저하율 ([(투여 전 요산치 - 투여 1 일째의 투여 후 최소 요산치)/투여 전 요산치] × 100) 이 10 ∼ 25 % 인, <1-1> ∼ <1-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25> 의약 조성물이, 1 회/일로 연속 투여되고, 투여 7 일째의 혈중 요산치의 최대 저하율 ([(투여 전 요산치 - 투여 7 일째의 투여 후 최소 요산치)/투여 전 요산치] × 100) 이 20 ∼ 45 % 인, <1-1> ∼ <1-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26>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2-(3-시아노-4-페녹시페닐)-7-하이드록시티아졸로[5,4-d]피리미딘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인, <1-1> ∼ <1-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
<1-27> <1-1> ∼ <1-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을 위한 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패키지로서, 5 ∼ 15 일간의 계속 투여에 필요한 투여 단위의 수의 의약 조성물이 포함되는, 패키지.
<2-1>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사용.
<2-2> 통풍 관절염 환자에 있어서의 고뇨산혈증의 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사용.
<2-3> 요산 강하 요법의 개시에 수반되는 통풍 발작의 발현을 억제하는, <2-1> 또는 <2-2> 에 기재된 사용.
<2-4>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2-1> ∼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5> R1 이, 무치환의 페닐기, 또는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인 <2-1> ∼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6> X 가 산소 원자인 <2-1> ∼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7> Y 가 황 원자인 <2-1> ∼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8> <2-1> ∼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그 비정질을 포함하고, 상기 비정질의 함유량은, <2-1> ∼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총 중량에 대하여, 80 중량% 이상인 <2-1> ∼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9> 의약 조성물이 장용성 제제인 <2-1> ∼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10> 상기 장용성 제제가 하드 캡슐제인 <2-9> 에 기재된 사용.
<2-11> 의약 조성물이 추가로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를 포함하는 <2-1> ∼ <2-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12>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과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의 중량비가, 1 : 0.1 ∼ 1 : 25 인 <2-11> 에 기재된 사용.
<2-13>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가, 히프로멜로오스아세트산에스테르숙신산에스테르 또는 히프로멜로오스프탈산에스테르인 <2-11> 또는 <2-12> 에 기재된 사용.
<2-14> 의약 조성물이 고형 제제인 <2-1> ∼ <2-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15>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10 ㎎ ∼ 320 ㎎ 인, <2-1> ∼ <2-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16> 의약 조성물의 1 투여 단위당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10 ㎎ ∼ 320 ㎎ 인, <2-1> ∼ <2-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17> 의약 조성물의 1 투여 단위당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10 ㎎ ∼ 160 ㎎ 인, <2-1> ∼ <2-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18> 의약 조성물의 1 투여 단위당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10 ㎎ ∼ 80 ㎎ 인 <2-1> ∼ <2-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19> 의약 조성물의 1 투여 단위당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20 ㎎ ∼ 80 ㎎ 인, <2-1> ∼ <2-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20> 의약 조성물이, 투여 1 일째의 투여 12 시간 후에, 투여 전과 비교하여 혈중 요산 농도를 0.5 ∼ 2.0 ㎎/㎗ (예를 들어, 0.5 ∼ 1.5 ㎎/㎗) 저하시키는, <2-1> ∼ <2-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21> 의약 조성물이, 1 회/일로 7 일간 연속 투여되고, 투여 7 일째의 투여 12 시간 후의 혈중 요산 농도가, 투여 전과 비교하여 1.5 ∼ 3.0 ㎎/㎗ (예를 들어, 1.5 ∼ 2.5 ㎎/㎗) 저하되는, <2-1> ∼ <2-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22> 의약 조성물이 1 회/일로 연속 투여되고, 투여 개시로부터 투여 3 주일 후까지,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1 일의 투여량을 증가시키지 않는, <2-1> ∼ <2-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23> 의약 조성물이 1 회/일로 연속 투여되고, 투여 개시로부터 투여 7 주일 후까지,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1 일의 투여량을, 증가시키지 않거나, 또는 1 회 증가시키는, <2-1> ∼ <2-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24> 의약 조성물이, 1 회/일로 연속 투여되고, 투여 1 일째의 혈중 요산치의 최대 저하율 ([(투여 전 요산치 - 투여 1 일째의 투여 후 최소 요산치)/투여 전 요산치] × 100) 이 10 ∼ 25 % 인, <2-1> ∼ <2-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25> 의약 조성물이, 1 회/일로 연속 투여되고, 투여 7 일째의 혈중 요산치의 최대 저하율 ([(투여 전 요산치 - 투여 7 일째의 투여 후 최소 요산치)/투여 전 요산치] × 100) 이 20 ∼ 45 % 인, <2-1> ∼ <2-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26>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2-(3-시아노-4-페녹시페닐)-7-하이드록시티아졸로[5,4-d]피리미딘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인, <2-1> ∼ <2-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2-27> <2-1> ∼ <2-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패키지로서, 5 ∼ 15 일간의 계속 투여에 필요한 투여 단위의 수의 의약 조성물이 포함되는, 패키지를 제조하기 위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사용.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참고예, 비교 참고예 및 시험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a 및 비교 참고예 1a, 장용성 캡슐의 제조>
화합물 14 (2-(3-시아노-4-페녹시페닐)-7-하이드록시티아졸로[5,4-d]피리미딘) 9 g 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에탄올, 및 물의 혼합 용매 (중량비 : THF/에탄올/물 = 1600.5/254.5/81) 1936 g 에 용해시킨 후 (약간 데워서 용해), 페리스탈틱 펌프 경유로 약 5 ㎖/분의 속도로 스프레이 드라이어에 퍼올리고, 2 유체 노즐 (직경 508 ㎛) 로부터 입구 온도 80 ℃, 출구 온도 약 60 ℃, 건조 공기 풍량 0.30 ㎥/분, 및 노즐 분무 공기 압력 1.0 ㎏f/㎠ 의 조건에서 분무 건조 및 조립하였다. 얻어진 건조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방치하여, 화합물 14 의 100 % 비정질을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 14 의 비정질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 은, 시료 약 2 ㎎ 을 0.2 % Aerosol OT 수용액에 첨가하고, 30 초간 초음파를 조사하여 분산시키고, 이 분산액을 사용하여, 시마즈 (Shimadzu) 레이저 회절식 입자경 분포 측정 장치 SALD-2200 에 의해 측정하였다. Shimadzu WingSALD-2200 version 1.02 소프트웨어를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화합물 14 의 비정질의 입자경 분포의 결과를 도 1 에 나타낸다. 상기 입자경 분포로부터 구해지는 화합물 14 의 비정질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 은 2.949 ㎛ 였다.
얻어진 화합물 14 의 비정질을 표 2A 에 나타내는 캡슐에 각 40 ㎎ 충전하여, 화합물 14 의 비정질의 캡슐제를 얻었다.
[표 2A]
<시험예 1a, 화합물 14 의 비정질의 개에 있어서의 흡수성>
투여일 전일 저녁부터 절식한 비글견 (1 ∼ 5 세, 키타야마 라베스 (주)) 에게, 참고예 1a 의 캡슐제 및 비교 참고예 1a 의 캡슐제를, 1 주일의 투여 간격을 설정한 크로스오버법으로, 1 회에 1 캡슐씩 (화합물 14 로서 40 ㎎/body)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채취 시점은, 투여 전, 투여 후 0.5, 1, 3, 5, 8 및 24 시간으로 하고, 요측피정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얻어진 혈액을 10000 × g, 4 ℃ 에서 5 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얻었다. 이 혈장 중의 화합물 14 의 농도를 HPLC ((주) 오사카 소다) 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개는 위 내 pH 가 높은 점에서, 위산 분비 자극제인 펜타가스트린을 캡슐제 투여의 30 분 전 및 직전에 각각 0.01 ㎎/㎏ 의 용량으로 근육 주사하였다. 그 후, 위 내 용액의 pH 를 측정하여, 위 내 pH 가 낮은 것을 확인하고 캡슐 시료를 투여하였다.
얻어진 측정치로부터 혈장 중 약물 농도-시간 곡선을 작성하였다. 결과를 도 2 에 나타냈다. 또한, 도면 중의 약물 농도는 4 예의 평균치 ±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참고예 1a 의 장용성의 캡슐제를 사용하면, 비교 참고예 1a 의 장용성을 갖지 않는 통상적인 위용성의 캡슐제를 사용하였을 때에 비해, 높은 약물 농도를 나타낸 점에서, 화합물 14 의 비정질은 장용성으로 함으로써 흡수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2a, 화합물 14 의 비정질 상태의 평가 (분말 X 선 회절)>
비정질이 경일 (經日) 보관 후에 있어서도 비정질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참고예 1a 의 화합물 14 의 비정질을 차광·기밀로 실온 보존하고, X 선 회절 장치 (D2 Phaser, Bruker) 를 사용하여, 화합물 14 의 비정질 상태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도 4(a) ∼ (d) 에 나타냈다. 비교로서 도 3 에 화합물 14 의 결정의 분말 X 선 회절을 나타낸다.
참고예 1a 의 캡슐제를 차광·기밀로 실온 보존한 경우, 검토한 4 주일까지의 보존에 있어서, 화합물 14 의 경일적인 분말 X 선 회절 패턴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참고예 1b 및 비교 참고예 1b ∼ 9b. 고체 분산체 (폴리머, 25 배량) 의 제조>
화합물 14 의 250 ㎎ 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용해시켜 100 ㎖ 로 하였다. 표 2B 에 나타내는 폴리머 각 125 ㎎ 에 혼합 용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50/15) 5 ㎖ 를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화합물 14 의 용액 2 ㎖ 를 시험관에 넣고, 상기 폴리머 용액 5 ㎖ 를 첨가하고, 볼텍스 믹서로 혼합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또, 폴리머를 첨가하지 않는 시료도 조제하였다 (비교 참고예 9b). 이들 시료에 질소 기류를 분사함으로써 용매를 증류 제거한 후, 하룻밤 감압 건조시켜 화합물 14 의 고체 분산체 시료를 얻었다.
참고예 1b 에 있어서 사용한 HPMCAS 는 MF 형 (즉, 1 모노머 단위당의 치환 비율이, 메톡시기 : 21.0 ∼ 25.0 %, 하이드록시프로폭실기 : 5.0 ∼ 9.0 %, 아세틸기 : 7.0 ∼ 11.0 % 이고, 숙시노일기 : 10.0 ∼ 14.0 %, 점도 : 2.4 ∼ 3.6 mPa·s) 이다.
[표 2B]
<시험예 1b. 용해도 시험>
참고예 1b 및 비교 참고예 1b ∼ 8b 의 고체 분산체 그리고 비교 참고예 9b 의 시료에 일본 약국방 용출 시험 제 1 액 (pH 1.2) 5 ㎖ 또는 제 2 액 (pH 6.8) 5 ㎖ 를 첨가하고, 유리봉 또는 스패튤라로 고체 분산체를 분쇄한 후, 37 ℃ 에서 2 시간 진탕하였다. 0.45 ㎛ 의 필터로 여과한 시료 용액 600 ㎕ 에 즉시 혼합 용액 (아세토니트릴/물 = 3/2) 400 ㎕ 를 첨가하고, HPLC ((주) 시마즈 제작소) 에 의해 시료 용액 중의 화합물 14 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B 에 나타냈다. 또한, 표 중의 값은 반복 2 회의 평균치이다.
[표 3B]
비교 참고예 9b 에 있어서의 화합물 14 의 용해도는 제 1 액에서 0.39 ㎍/㎖, 제 2 액에서 0.49 ㎍/㎖ 였지만, 참고예 1b, 비교 참고예 3b 및 4b 에서는 용해도가 상승하여 5.0 ㎍/㎖ 이상이 되었다. 특히, 산성 조건의 제 1 액에서는 비교 참고예 3b 의 염기성 폴리머인 Eudragit E-100 이, 중성 조건의 제 2 액에서는 참고예 1b 의 산성 폴리머인 HPMCAS 가, 화합물 14 의 용해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컸다.
<참고예 2b, 비교 참고예 10b 및 11b. 고체 분산체 (폴리머, 25 배량) 의 제조>
화합물 14 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용해시켜, 2.5 ㎎/㎖ 로 조제하였다. 표 4B 에 나타내는 각 폴리머를 혼합 용매 (메탄올/디클로로메탄 = 3/4) 에 용해시켜, 약 45 ㎎/㎖ 로 조제하였다. 화합물 14 와 폴리머의 중량비가 1 : 25 가 되도록, 교반하면서 상기 폴리머 용액에 화합물 14 용액을 첨가하였다. 또, 폴리머를 첨가하지 않는 시료도 조제하였다. 즉시 가지형 플라스크로 옮기고, 로터리 이배퍼레이터 (N-1100, 토쿄 이화 기계 (주)) 로 유기 용제를 증류 제거하였다. 가지형 플라스크를 데시케이터로 옮기고, 진공 펌프로 약 16 시간 감압 건조시켜, 화합물 14 의 고체 분산체를 얻었다. 고체 분산체는 건조 후, 마노 막자사발로 분쇄, 또는 포터블 고속 분쇄기 (LM-PLUS, 오사카 케미컬 (주)) 로 분쇄 후, 체 여과 (메시 : 150 ㎛) 하였다.
[표 4B]
<시험예 2b. 화합물 14 의 고체 분산체의 래트에 있어서의 흡수성>
절식하, 웅성 래트 (8 주령, Crl : CD (SD), 일본 찰스·리버 (주)) 에게, 1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에 현탁시킨 참고예 2b 및 비교 참고예 10b 의 고체 분산체, 비교 참고예 11b 의 시료를 화합물 14 로서 10 ㎎/㎏, 또는 30 ㎎/㎏ 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대조로서, 화합물 14 의 결정성의 원약을 사용하였다 (비교 참고예 12b). 채취 시점은, 투여 후 0.5, 1, 2, 4, 8 및 24 시간으로 하고, 미정맥으로부터 1 시점당 약 300 ㎕ 채혈하였다 (n = 3). 얻어진 혈액을 1500 × g, 4 ℃ 에서 15 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얻었다. 이 혈장 중의 화합물 14 의 농도를 HPLC ((주) 시세이도 및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에 의해 측정하였다. 얻어진 혈장 중 농도 추이로부터 최고 혈장 중 농도 도달 시간 (Tmax), 최고 혈장 중 농도 (Cmax) 및 혈장 중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 (AUC) 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5B 에 나타냈다. 또한, 표 중의 값은 3 예의 평균치 ± 표준 편차이다.
참고예 2b 및 비교 참고예 10b 의 고체 분산체, 그리고 비교 참고예 11b 의 시료는 원약에 비해, Cmax, AUC 모두 높은 흡수 개선 효과를 나타낸 점에서 화합물 14 는 아모르퍼스화, 나아가서는 고체 분산체화됨으로써 흡수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또, HPMCAS 와의 고체 분산체는 Eudragit 와의 고체 분산체보다 높은 흡수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표 5B]
<참고예 3b, 4b 및 5b. 고체 분산체 (폴리머, 25 배량) 의 제조>
화합물 14 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용해시켜, 2.5 ㎎/㎖ 로 조제하였다. 표 6B 에 나타내는 각 폴리머를 혼합 용매 (메탄올/디클로로메탄 = 3/4) 에 용해시켜, 약 45 ㎎/㎖ 로 조제하였다. 화합물 14 와 폴리머의 중량비가 1 : 25 가 되도록 혼합한 후, 로터리 이배퍼레이터 (N-1100, 토쿄 이화 기계 (주)) 에 의해 감압하, 약 50 ℃ 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1 차 건조물을 추가로 진공 펌프로 2 차 건조 (실온/하룻밤) 시키고, 2 차 건조물에 대해 적절히 포터블 고속 분쇄기 (LM-PLUS, 오사카 케미컬 (주)) 로 분쇄 후, 체 여과 (메시 : 300 ㎛) 하였다.
참고예 3b 에 있어서 사용한 HPMCAS 는 LG 형 (즉, 1 모노머 단위당의 치환 비율이, 메톡시기 : 20.0 ∼ 24.0 %, 하이드록시프로폭실기 : 5.0 ∼ 9.0 %, 아세틸기 : 5.0 ∼ 9.0 % 이고, 숙시노일기 : 14.0 ∼ 18.0 %, 점도 : 2.4 ∼ 3.6 mPa·s) 이다.
참고예 4b 에 있어서 사용한 HPMCAS 는 MG 형 (즉, 1 모노머 단위당의 치환 비율이, 메톡시기 : 21.0 ∼ 25.0 %, 하이드록시프로폭실기 : 5.0 ∼ 9.0 %, 아세틸기 : 7.0 ∼ 11.0 % 이고, 숙시노일기 : 10.0 ∼ 14.0 %, 점도 : 2.4 ∼ 3.6 mPa·s) 이다.
참고예 5b 에 있어서 사용한 HPMCAS 는 HG 형 (즉, 1 모노머 단위당의 치환 비율이, 메톡시기 : 22.0 ∼ 26.0 %, 하이드록시프로폭실기 : 6.0 ∼ 10.0 %, 아세틸기 : 10.0 ∼ 14.0 % 이고, 숙시노일기 : 4.0 ∼ 8.0 %, 점도 : 2.4 ∼ 3.6 mPa·s) 이다.
[표 6B]
<시험예 3b. 화합물 14 의 고체 분산체의 래트에 있어서의 흡수성>
절식하, 웅성 래트 (7 - 9 주령, Crl : CD (SD), 일본 찰스·리버 (주)) 에게, 1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에 현탁시킨 참고예 3b, 참고예 4b 및 참고예 5b 의 고체 분산체를 화합물 14 로서 10 ㎎/㎏ 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채취 시점은, 투여 후 0.5, 1, 2, 4, 8 및 24 시간으로 하고, 미정맥으로부터 1 시점당 약 300 ㎕ 채혈하였다 (n = 3). 얻어진 혈액을 1500 × g, 4 ℃ 에서 15 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얻었다. 이 혈장 중의 화합물 14 의 농도를 HPLC ((주) 시세이도 및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에 의해 측정하였다. 얻어진 혈장 중 농도 추이로부터 최고 혈장 중 농도 도달 시간 (Tmax), 최고 혈장 중 농도 (Cmax) 및 혈장 중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 (AUC) 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7B 에 나타냈다. 또한, 표 중의 값은 3 예의 평균치 ± 표준 편차이다.
참고예 4b 의 고체 분산체에 있어서, Cmax, AUC 모두 가장 높은 혈장 중 농도를 나타냈다.
[표 7B]
<참고예 6b ∼ 12b. 고체 분산체 (HPMCAS-MG, 1 ∼ 10 배량) 의 제조>
화합물 14 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용해시켜, 2.5 ㎎/㎖ 로 조제하였다. HPMCAS-MG 를 혼합 용매 (에탄올/물 = 4/1) 에 용해시켜, 약 45 ㎎/㎖ 로 조제하였다. 화합물 14 와 표 8B 에 나타내는 폴리머의 중량비가 1 : 1 ∼ 1 : 10 이 되도록 혼합한 후, 페리스탈틱 펌프 경유로 약 5 ㎖/분의 속도로 스프레이 드라이어 (GB22, 야마토 과학 (주)) 에 퍼올리고, 2 유체 노즐 (직경 406 또는 508 ㎛) 로부터 입구 온도 80 ℃, 출구 온도 약 60 ℃, 건조 공기 풍량 0.32 내지 0.47 ㎥/분, 노즐 분무 공기 압력 1.0 내지 3.1 ㎏f/㎠ 의 조건에서 분무 건조 및 조립을 개시하였다. 얻어진 1 차 건조물을 추가로 진공 펌프로 2 차 건조 (실온/하룻밤 또는 실온/하룻밤·40 ℃/1 일) 시키고, 체 여과 (메시 : 300 ㎛) 하였다.
[표 8B]
<시험예 4b. 화합물 14 의 고체 분산체의 래트에 있어서의 흡수성>
절식하, 웅성 래트 (7 - 9 주령, Crl : CD (SD), 일본 찰스·리버 (주)) 에게, 1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에 현탁시킨 참고예 6b ∼ 8b, 10b ∼ 12b 의 고체 분산체를 화합물 14 로서 10 ㎎/㎏ 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채취 시점은, 투여 후 0.5, 1, 2, 4, 8 및 24 시간으로 하고, 미정맥으로부터 1 시점당 약 300 ㎕ 채혈하였다 (n = 3). 얻어진 혈액을 1500 × g, 4 ℃ 에서 15 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얻었다. 이 혈장 중의 화합물 14 의 농도를 HPLC ((주) 시세이도 및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에 의해 측정하였다. 얻어진 혈장 중 농도 추이로부터 최고 혈장 중 농도 도달 시간 (Tmax), 최고 혈장 중 농도 (Cmax) 및 혈장 중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 (AUC) 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9B 에 나타냈다. 또한, 표 중의 값은 3 예의 평균치 ± 표준 편차이다.
참고예 6b ∼ 8b, 10b ∼ 12b 의 고체 분산체에 있어서, 화합물 14 에 대한 HPMCAS-MG 의 중량비가 1, 2 및 3 배에서는 혈장 중 농도는 중량비에 의존하여 상승하였지만, 4, 5 및 10 배의 범위에서는 혈장 중 농도에 중량비에 의존한 상이는 보이지 않았다.
[표 9B]
<시험예 5b. 화합물 14 의 고체 분산체의 비정질 상태의 평가 (분말 X 선 회절)>
고체 분산체가 경일 보관 후에 있어서도 비정질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참고예 9b ∼ 11b 의 고체 분산체를 40 ℃/75 %RH, 개방 조건하에서 보존하고, X 선 회절 장치 (D2 Phaser, Bruker) 를 사용하여 비정질 상태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도 5 ∼ 7 에 나타냈다.
참고예 9b ∼ 11b 의 고체 분산체를 40 ℃/75 %RH, 개방 조건에서 보존한 경우, 검토한 7 주일까지의 보존에 있어서, 경일적인 분말 X 선 회절 패턴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시험예 6b. 화합물 14 의 고체 분산체의 비정질 상태의 평가 (래트에 있어서의 흡수성)>
참고예 9b ∼ 11b 의 고체 분산체를 40 ℃/75 %RH, 개방 조건하에서 보존하고, 비정질 상태의 변화를 래트 흡수성에 의해 평가하였다.
절식하, 웅성 래트 (7 - 9 주령, Crl : CD (SD), 일본 찰스·리버 (주)) 에게, 1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에 현탁시킨 참고예 9b ∼ 11b 의 고체 분산체를 화합물 14 로서 10, 30 ㎎/㎏ 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채취 시점은, 투여 후 0.5, 1, 2, 4, 8 및 24 시간으로 하고, 미정맥으로부터 1 시점당 약 300 ㎕ 채혈하였다 (n = 3). 얻어진 혈액을 1500 × g, 4 ℃ 에서 15 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얻었다. 이 혈장 중의 화합물 14 의 농도를 HPLC ((주) 시세이도 및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에 의해 측정하였다. 얻어진 혈장 중 농도 추이로부터 최고 혈장 중 농도 도달 시간 (Tmax), 최고 혈장 중 농도 (Cmax) 및 혈장 중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 (AUC) 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0B 에 나타냈다. 또한, 표 중의 값은 3 예의 평균치 ± 표준 편차이다. 참고예 9b ∼ 11b 의 고체 분산체를 40 ℃/75 %RH 에서 개방 보존한 경우, 검토한 7 주일까지의 보존에 있어서, 경일적인 혈장 중 농도의 저하는 보이지 않았다.
[표 10B]
<시험예 7b. 화합물 14 의 고체 분산체의 래트에 있어서의 혈장 요산치 저하 작용>
절식하, 웅성 래트 (8 주령, Crl : CD (SD), 일본 찰스·리버 (주)) 에게, 1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에 현탁시킨 참고예 11b 의 고체 분산체를 화합물 14 로서 30 ㎎/㎏ 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대조로서, 1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채취 시점은, 투여 전 (0), 투여 후 2, 6, 12 및 24 시간으로 하고, 미정맥으로부터 1 시점당 약 300 ㎕ 채혈하였다 (n = 5). 얻어진 혈액을 1500 × g, 4 ℃ 에서 15 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얻었다. 이 혈장 중의 요산의 농도를 HPLC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에 의해 측정하였다. 대조군과 참고예 11b 의 각 시점의 혈장 요산치에 대해, 웰치의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유의 수준은 p < 0.05 (양측) 로 하였다. 결과를 도 8 에 나타냈다.
참고예 11b 의 고체 분산체를 투여 후의 혈장 요산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낮은 값을 나타내고, 그 요산치 저하 작용은 지속적이었다.
<참고예 13b 및 14b. 고체 분산체 (HPMCAS-MG 3 배량, 계면 활성제 0.03 배량) 의 제조>
화합물 14 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용해시켜, 2.5 ㎎/㎖ 로 조제하였다. HPMCAS-MG 를 혼합 용매 (에탄올/물 = 4/1) 에 용해시켜, 약 45 ㎎/㎖ 로 조제하였다. 화합물 14 와 표 11B 에 나타내는 폴리머, 계면 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80 : Tween 80, 라우릴황산나트륨 : SLS) 의 중량비가 1 : 3 : 0.03 이 되도록 혼합한 후, 페리스탈틱 펌프 경유로 약 5 ㎖/분의 속도로 스프레이 드라이어 (GB22, 야마토 과학 (주)) 에 퍼올리고, 2 유체 노즐 (직경 406 또는 508 ㎛) 로부터 입구 온도 80 ℃, 출구 온도 약 60 ℃, 건조 공기 풍량 0.32 내지 0.47 ㎥/분, 노즐 분무 공기 압력 1.0 내지 3.1 ㎏f/㎠ 의 조건에서 분무 건조 및 조립을 개시하였다. 얻어진 1 차 건조물을 추가로 진공 펌프로 2 차 건조 (실온/하룻밤 또는 실온/하룻밤·40 ℃/1 일) 시키고, 체 여과 (메시 : 300 ㎛) 하였다.
[표 11B]
<시험예 8b. 화합물 14 의 고체 분산체의 래트에 있어서의 흡수성>
절식하, 웅성 래트 (7 - 9 주령, Crl : CD (SD), 일본 찰스·리버 (주)) 에게, 1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에 현탁시킨 참고예 13b 및 14b 의 고체 분산체를 화합물 14 로서 10 ㎎/㎏ 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채취 시점은, 투여 후 0.5, 1, 2, 4, 8 및 24 시간으로 하고, 미정맥으로부터 1 시점당 약 300 ㎕ 채혈하였다 (n = 3). 얻어진 혈액을 1500 × g, 4 ℃ 에서 15 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얻었다. 이 혈장 중의 화합물 14 의 농도를 HPLC ((주) 시세이도 및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에 의해 측정하였다. 얻어진 혈장 중 농도 추이로부터 최고 혈장 중 농도 도달 시간 (Tmax), 최고 혈장 중 농도 (Cmax) 및 혈장 중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 (AUC) 을 산출하였다. 참고예 8b 와 함께 결과를 표 12B 에 나타냈다. 또한, 표 중의 값은 3 예의 평균치 ± 표준 편차이다.
참고예 13b 및 14b 의 고체 분산체에 있어서,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참고예 8b 의 혈장 중 농도와 상이는 보이지 않았다.
[표 12B]
<실시예 1>
정상 성인 남성 6 예에, 화합물 14 를 제제예 1 의 고체 분산체 캡슐을 사용하여, 1 일 1 회 80 ㎎ 으로 7 일간 반복 투여하고, 혈청 중에 있어서의 요산치 저하 작용을 검토하였다. 비교 참고로서 비특허문헌 3 에 기재된 페북소스타트 (40 ㎎) 를 사용한 예와 함께 결과를 도 9 에 나타낸다.
그 결과, 페북소스타트에서는 투여 1 일째에서 혈중 요산치의 최대 저하율이 약 35 % (투여 후 약 15 시간) 에 도달하여, 혈청 중 요산치의 급격한 저하를 나타냈다. 이것에 대하여, 화합물 14 의 투여 1 일째의 혈중 요산치의 최대 저하율은 약 17 % (투여 후 12 시간) 로서 혈청 중 요산치를 마일드하게 저하시켰다. 그 후, 혈청 중 요산치는 투여 기간 내내 시간 경과적으로 서서히 저하되고, 7 일째에서는 혈중 요산치의 최대 저하율은 약 30 % (투여 후 약 8 시간) 에 도달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화합물 14 는 통풍 발작을 예방하거나, 또는 통풍 발작의 횟수의 저감이 기대된다.
또, 화합물 14 를, 제제예 1 의 고체 분산체 캡슐을 사용하여, 1 일 1 회 20 ㎎ 으로 7 일간 반복 투여한 결과, 혈청 요산치는, 투여 기간 내내, 상기 1 일 1 회 80 ㎎ 의 결과와 동일하게, 시간 경과적으로 서서히 저하되고, 최종 투여 24 시간 후의 혈청 요산치는, 투여 전의 혈청 요산치 (초기치) 와 비교하여 10 ∼ 20 % 정도 저하되었다.
또, 미분화된 화합물 14 를 함유한 캡슐 (고체 분산체 캡슐은 아님) 을 사용하여, 화합물 14 를 1 일 1 회 40 ㎎ 으로 7 일간 반복 투여한 결과, 혈청 요산치는, 상기 고체 분산체 캡슐을 사용한 경우의 결과와 동일하게, 투여 기간 내내, 시간 경과적으로 서서히 저하되었다.
<제제예 1, 고체 분산체 캡슐의 제조>
화합물 14 (2-(3-시아노-4-페녹시페닐)-7-하이드록시티아졸로[5,4-d]피리미딘) 0.18 ㎏ 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무수 에탄올, 및 정제수의 혼합 용매 (중량비 : 32.01/5.09/1.62) 38.72 ㎏ 에 가온시키면서 용해시킨 후, HPMCAS-MG 를 0.72 ㎏ 투입·교반하여 피드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입열 온도 100 ℃, 배열 온도 60 ℃, 피드액량 100 g/분 및 2 유체 노즐 질소 분무압 0.30 ㎫ 의 조건에서 분무 건조시켰다. 얻어진 분무 건조품을 건조 온도 25 ℃ 에서 16 시간, 40 ℃ 에서 24 시간 진공 건조시켰다. 그 후, 실온에서 24 시간 자연 건조시켜, 화합물 14 의 고체 분산체를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 14 의 고체 분산체를 체 (메시 300 ㎛) 로 체 여과를 실시한 후, 그 250 g 에 전분 글리콜산나트륨 50 g 을 첨가·혼합하여, 화합물 14 의 고체 분산체 혼합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 14 의 고체 분산체 혼합 분말을 캡슐 2 호 백색 젤라틴에 각 60 ㎎ 또는 120 ㎎ 충전하여, 화합물 14 의 고체 분산체 캡슐을 얻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은, 환자의 요산치를 급격하게 저하시키지 않고, 서서히 저하시키므로, 통풍 발작의 유발 혹은 발작의 정도를 저감시키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약 조성물은,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어도 된다. 또, 상기 의약 조성물이 장용성 제제이면, 생체 내에 있어서 높은 흡수성을 나타내는 점에서,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 등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의약 조성물이 고체 분산체를 포함하면, 생체 내에 있어서의 높은 흡수성과 보존 안정성을 나타내는 점에서,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 등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할 수 있다.
Claims (27)
- 일반식 (Ⅰ)
(식 중, R1 은 무치환의 페닐기, 또는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상기 치환기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탄소수 2 ∼ 8 의 알콕시카르보닐기, 포르밀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페닐기 및 페녹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기를 나타내고, R2 는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X 는 산소 원자 또는 -S(O)n- 를 나타내고, n 은 0 ∼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Y 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용 의약 조성물. - 일반식 (Ⅰ)
(식 중, R1 은 무치환의 페닐기, 또는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상기 치환기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탄소수 2 ∼ 8 의 알콕시카르보닐기, 포르밀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페닐기 및 페녹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기를 나타내고, R2 는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X 는 산소 원자 또는 -S(O)n- 를 나타내고, n 은 0 ∼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Y 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을 함유하는, 통풍 관절염 환자에 있어서의 고뇨산혈증 치료용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요산 강하 요법의 개시에 수반되는 통풍 발작의 발현을 억제하는,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치료 또는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하여, 1 일당 10 ∼ 320 ㎎ 경구 투여되고, 또한 상기 경구 투여가 적어도 7 일간 계속되도록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이, 무치환의 페닐기, 또는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페닐기인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 가 산소 원자인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 가 황 원자인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그 비정질을 포함하고, 상기 비정질의 함유량은,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총 중량에 대하여, 80 중량% 이상인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용성 제제인 의약 조성물.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용성 제제가 하드 캡슐제인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 제 11 항에 있어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과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의 중량비가, 1 : 0.1 ∼ 1 : 25 인 의약 조성물.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히프로멜로오스 유도체가, 히프로멜로오스아세트산에스테르숙신산에스테르 또는 히프로멜로오스프탈산에스테르인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형 제제인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10 ㎎ ∼ 320 ㎎ 인,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투여 단위당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10 ㎎ ∼ 320 ㎎ 인,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투여 단위당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10 ㎎ ∼ 160 ㎎ 인,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투여 단위당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10 ㎎ ∼ 80 ㎎ 인,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투여 단위당의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함유량이 20 ㎎ ∼ 80 ㎎ 인,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 1 일째의 투여 12 시간 후에, 투여 전과 비교하여 혈중 요산 농도를 0.5 ∼ 1.5 ㎎/㎗ 저하시키는,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회/일로 7 일간의 연속 투여에 의해, 투여 7 일째의 투여 12 시간 후의 혈중 요산 농도가, 투여 전과 비교하여 1.5 ∼ 3.0 ㎎/㎗ 저하되는,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 개시로부터 투여 3 주일 후까지,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1 일의 투여량을 증가시키지 않는,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 개시로부터 투여 7 주일 후까지,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의 1 일의 투여량을, 증가시키지 않거나, 또는 1 회 증가시키는,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 1 일째의 혈중 요산치의 최대 저하율 ([(투여 전 요산치 - 투여 1 일째의 투여 후 최소 요산치)/투여 전 요산치] × 100) 이 10 ∼ 25 % 인,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 7 일째의 혈중 요산치의 최대 저하율 ([(투여 전 요산치 - 투여 7 일째의 투여 후 최소 요산치)/투여 전 요산치] × 100) 이 20 ∼ 45 % 인,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2-(3-시아노-4-페녹시페닐)-7-하이드록시티아졸로[5,4-d]피리미딘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인, 의약 조성물. -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패키지로서, 5 ∼ 15 일간의 계속 투여에 필요한 투여 단위의 수의 의약 조성물이 포함되는,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104534 | 2019-06-04 | ||
JPJP-P-2019-104534 | 2019-06-04 | ||
PCT/JP2020/022039 WO2020246528A1 (ja) | 2019-06-04 | 2020-06-04 | 痛風又は高尿酸血症の治療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6861A true KR20220016861A (ko) | 2022-02-10 |
Family
ID=73653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40180A Pending KR20220016861A (ko) | 2019-06-04 | 2020-06-04 | 통풍 또는 고뇨산혈증의 치료약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323441A1 (ko) |
EP (1) | EP3981469B1 (ko) |
JP (2) | JPWO2020246528A1 (ko) |
KR (1) | KR20220016861A (ko) |
CN (1) | CN113924145A (ko) |
AU (1) | AU2020287549A1 (ko) |
CA (1) | CA3149714A1 (ko) |
WO (1) | WO202024652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528840A (zh) * | 2020-12-08 | 2023-08-01 | 学校法人东日本学园 | 细胞内atp增强剂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121153A1 (ja) | 2004-06-14 | 2005-12-22 | Nippon Chemiphar Co., Ltd. | 縮合ピリミジン誘導体、及び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 |
JP2016520133A (ja) | 2013-05-31 | 2016-07-11 | タケダ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を用いた治療方法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780270B (zh) * | 2017-11-28 | 2022-10-11 | 靜岡縣公立大學法人 | 固體分散體 |
JP2019104534A (ja) | 2017-12-13 | 2019-06-27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ロール体梱包箱 |
-
2020
- 2020-06-04 JP JP2021524890A patent/JPWO2020246528A1/ja active Pending
- 2020-06-04 KR KR1020217040180A patent/KR20220016861A/ko active Pending
- 2020-06-04 AU AU2020287549A patent/AU2020287549A1/en active Pending
- 2020-06-04 WO PCT/JP2020/022039 patent/WO2020246528A1/ja unknown
- 2020-06-04 EP EP20817851.7A patent/EP3981469B1/en active Active
- 2020-06-04 CA CA3149714A patent/CA3149714A1/en active Pending
- 2020-06-04 CN CN202080040395.1A patent/CN113924145A/zh active Pending
- 2020-06-04 US US17/615,611 patent/US20220323441A1/en active Pending
-
2025
- 2025-01-23 JP JP2025010012A patent/JP2025061775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121153A1 (ja) | 2004-06-14 | 2005-12-22 | Nippon Chemiphar Co., Ltd. | 縮合ピリミジン誘導体、及び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 |
JP2016520133A (ja) | 2013-05-31 | 2016-07-11 | タケダ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を用いた治療方法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Arthritis Res Ther. 2009 ; 11 : R46 |
J Rheumatol 2004 ; 31 ; 2429-2432 |
페브릭 (등록 상표) 정 신청 자료 개요 [2011년 1월] ; 2.7.2 임상 약리 시험, P.3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981469B1 (en) | 2024-11-20 |
US20220323441A1 (en) | 2022-10-13 |
CA3149714A1 (en) | 2020-12-10 |
JPWO2020246528A1 (ko) | 2020-12-10 |
EP3981469A1 (en) | 2022-04-13 |
JP2025061775A (ja) | 2025-04-11 |
WO2020246528A1 (ja) | 2020-12-10 |
EP3981469A4 (en) | 2023-06-21 |
CN113924145A (zh) | 2022-01-11 |
AU2020287549A1 (en) | 2022-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9912B1 (ko) | 1종 이상의 푸마르산 에스테르를 침식 매트릭스에 함유하는 제제 | |
TWI564008B (zh) | 難溶性藥物之溶解性改善製劑 | |
JP2025061775A (ja) | 痛風又は高尿酸血症の治療薬 | |
JP7217890B2 (ja) | 固体分散体 | |
WO2012153313A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febuxostat | |
JP3547009B1 (ja) | 5−[(1z,2e)−2−メチル−3−フェニル−2−プロペニリデン]−4−オキソ−2−チオキソ−3−チアゾリジン酢酸の新規結晶、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結晶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 | |
JP6903252B2 (ja) |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含有腸溶性製剤 | |
EP4260860A1 (en) | Intracellular atp enhancer | |
HK40073463B (en) | Therapeutic for gout or hyperuricemia | |
HK40073463A (en) | Therapeutic for gout or hyperuricemia | |
HK40027115A (en) | Solid dispersion | |
KR20250040943A (ko) | 노르-udca의 약제학적 조성물 | |
CN116437902A (zh) | 包含美洛昔康的医药组成物 | |
AU2006207396A1 (en) | Medicament that is intended for oral administration, comprising a cyclooxygenase-2 inhibit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JP2008162949A (ja) | チアゾリジンジオン化合物を含有する糖尿病治療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2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