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286A -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9286A KR20220009286A KR1020200087798A KR20200087798A KR20220009286A KR 20220009286 A KR20220009286 A KR 20220009286A KR 1020200087798 A KR1020200087798 A KR 1020200087798A KR 20200087798 A KR20200087798 A KR 20200087798A KR 20220009286 A KR20220009286 A KR 202200092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sill
- vehicle
- reinforcing material
- coupled
- reinforc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는, 차량의 플로어에 연결되고,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사이드실; 및 상기 사이드실의 후방단에 연결된 리어 휠하우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실은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아웃터 사이드실과,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인너 사이드실과, 상기 아웃터 사이드실 및 상기 인너 사이드실 사이에 배치된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리어 휠하우스까지 연장되며, 상기 보강재의 단면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에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함으로써 비틀림 등과 같은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플로어의 좌우 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실(side sill)을 포함한다. 한 쌍의 사이드실은 차량의 측면충돌 및 전방 충돌 등으로부터 승객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센터필러가 각 사이드실의 중간부에 연결될 수 있고, 각 사이드실의 후방단이 보강재를 통해 리어 휠하우스(rear wheel house)에 연결될 수 있다.
종래의 사이드실 장착구조는, 각 사이드실의 후방단과 보강재가 매칭되기 위하여 그 각각의 형상이 급변하므로 그 각각의 재질 및 두께가 서로 상이하고, 사이드실, 리어플로어, 보강재 사이의 연결강성이 취약하다. 이에, 차량의 측면충돌 시에 사이드실의 후방단 및 보강재가 소성변형을 일으키고, 이에 충돌 초기에 하중이 리어플로어로 균일하게 전달되지 못하므로 사이드실의 비틀림이 과도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해 센터필러가 함께 과도하게 변형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이드실의 후방단에 대한 강성을 강화함으로써 비틀림하중 등과 같은 충돌하중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차량의 측면 충돌 시에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할 수 있는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는, 차량의 플로어에 연결되고,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사이드실; 및 상기 사이드실의 후방단에 연결된 리어 휠하우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실은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아웃터 사이드실과,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인너 사이드실과, 상기 아웃터 사이드실 및 상기 인너 사이드실 사이에 배치된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리어 휠하우스까지 연장되며, 상기 보강재의 단면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사이드실의 후방단에 연결된 실내측 리어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인너 사이드실 및 상기 실내측 리어보강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사이드실 및 상기 실내측 리어보강재는 상기 플로어의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내측 리어보강재의 실내측면에 결합된 플로어 사이드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 사이드멤버는 상기 플로어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휠하우스는 상기 사이드실의 후방단이 결합되는 휠하우스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휠하우스 연장부는 상기 보강재의 후방단이 매칭되는 연결부재를 가지며, 상기 보강재의 후방단이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의 후방단에 삽입되는 인서트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보강재는 구조용 접착제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상기 인너 사이드실 및 상기 실내측 리어보강재에 결합되는 상측플랜지 및 상기 상측플랜지의 후방측에 위치한 후방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후방플랜지는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의 후방부에 결합된 실외측 리어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외측 리어보강재는 상기 보강재로부터 차량의 실외를 향해 돌출하며, 상기 실외측 리어보강재는 상기 아웃터 사이드실의 후방부 및 상기 휠하우스 연장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상기 인너 사이드실 및 상기 실내측 리어보강재에 결합되는 하측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실외측 리어보강재는 상기 보강재의 하측플랜지에 결합되는 하측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실의 비틀림강성을 강화함으로써 비틀림하중 등과 같은 충돌하중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차량의 측면 충돌 시에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웃터사이드실 보강재가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리어 휠하우스까지 연장되고, 특히 아웃터사이드실 보강재의 후방단이 리어 휠하우스에 직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사이드실의 비틀림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측면충돌 발생 시에 사이드실의 후방단이 변형됨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이드실의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고, 충돌하중이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인서트 보강재 및 보강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인서트 보강재 및 보강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10)는 차량의 플로어(5)에 연결된 사이드실(20)과, 사이드실(20)의 후방단에 연결된 리어 휠하우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플로어(5)의 양측가장자리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실(20)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사이드실(20)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좌측의 사이드실(20)이 플로어(5)의 좌측에 연결되고, 우측의 사이드실(미도시)이 플로어(5)의 우측에 연결된다. 플로어(5)는 센터플로어패널 및 센터프롤어패널의 후방단에 연결된 리어플로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사이드실(20)은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아웃터 사이드실(21) 및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인너 사이드실(2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웃터 사이드실(21) 및 인너 사이드실(22)은 플로어(5)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인너 사이드실(22)은 아웃터 사이드실(21)의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보강재(24)가 아웃터 사이드실(21) 및 인너 사이드실(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보강재(24)는 아웃터 사이드실(21) 및/또는 인너 사이드실(22)에 결합될 수 있다. 보강재(24)는 아웃터 사이드실(21)의 길이방향 및 인너 사이드실(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보강재(24)의 단면은 보강재(24)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보강재(24)의 길이는 아웃터 사이드실(21)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인너 사이드실(22)은 상측플랜지(22a) 및 하측플랜지(22b)를 가질 수 있다. 상측플랜지(22a)는 인너 사이드실(2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하측플랜지(22b)는 인너 사이드실(22)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내측 리어보강재(23)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인너 사이드실(22)의 후방단에 결합될 수 있고, 실내측 리어보강재(23)는 인너 사이드실(22)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인너 사이드실(22) 및 실내측 리어보강재(23)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될 수 있다. 실내측 리어보강재(23)는 인너 사이드실(22)과 함께 차량의 실내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내측 리어보강재(23)의 후방단이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리어 휠하우스(30)에 결합될 수 있고, 실내측 리어보강재(23) 및 인너 사이드실(22)은 리어 휠하우스(30)로부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내측 리어보강재(23)는 상측플랜지(23a) 및 하측플랜지(23b)를 가질 수 있다. 상측플랜지(23a)는 실내측 리어보강재(23)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하측플랜지(23b)는 실내측 리어보강재(23)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인너 사이드실(22)의 길이와 실내측 리어보강재(23)의 길이의 합은 아웃터 사이드실(21)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이에 아웃터 사이드실(21)은 인너 사이드실(22) 및 실내측 리어보강재(23)를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내측 리어보강재(23)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플로어(5)의 사이드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측 리어보강재(23)는 플로어(5)의 리어플로어패널의 사이드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인너 사이드실(22)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플로어(5)의 사이드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너 사이드실(22)은 플로어(5)의 센터플로어패널의 사이드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플로어 사이드멤버(27)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실내측 리어보강재(23)의 실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플로어 사이드멤버(27)는 플로어(5)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재(24)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인너 사이드실(22) 및 실내측 리어보강재(23)에 결합될 수 있고, 보강재(24)는 인너 사이드실(22) 및 실내측 리어보강재(23) 보다 차량의 실외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강재(24)의 후방부(24c)는 실내측 리어보강재(23) 및 아웃터 사이드실(21)의 후방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재(24)의 길이는 아웃터 사이드실(21)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재(24)는 아웃터 사이드실의 전방단 또는 프론트필러(미도시)로부터 리어 휠하우스(30)의 휠하우스 연장부(31)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강재(24)의 후방부(24c)가 리어 휠하우스(30)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재(24) 및 아웃터 사이드실(21)은 플로어(5)의 사이드 가장자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보강재(24)는 상측플랜지(24a) 및 하측플랜지(24b)를 가질 수 있다. 상측플랜지(24a)는 보강재(24)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하측플랜지(24b)는 보강재(24)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재(24)의 상측플랜지(24a)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인너 사이드실(22)의 상측플랜지(22a) 및 실내측 리어보강재(23)의 상측플랜지(23a)에 결합될 수 있다. 보강재(24)의 하측플랜지(24b)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인너 사이드실(22)의 하측플랜지(22b) 및 실내측 리어보강재(23)의 하측플랜지(23b)에 결합될 수 있다.
보강재(24)의 후방부(24c)는 후방플랜지(24d)를 가질 수 있고, 후방플랜지(24d)는 상측플랜지(24a)의 후방측에 위치할 수 있다. 후방플랜지(24d)는 연결부재(35) 및 휠하우스 연장부(3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후방플랜지(24d)는 연결부재(35) 및 휠하우스 연장부(31)에 대해 결합되지 않는다. 차량의 측면충돌 시에 작용하는 비틀림하중에 의해 보강재(24)의 후방부(24c)가 피벗할 때(도 3의 화살표 R 방향 참조) 후방플랜지(24d)가 연결부재(35) 및 휠하우스 연장부(31)와 접촉하고 정지할 수 있고(도 3의 점선 참조), 이에 의해 보강재(24)는 비틀림하중에 의한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센터필러의 보강재(6a)가 보강재(24)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휠하우스(30)는 사이드실(20)의 후방단이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휠하우스 연장부(31)를 가질 수 있고, 휠하우스 연장부(31)는 리어 휠하우스(30)의 전방측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휠하우스 연장부(31)는 연결부재(35)를 가질 수 있고, 연결부재(35)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휠하우스 연장부(31)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35)는 리어 휠하우스(30)의 강성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35)는 실내측 리어보강재(23)의 후방단 및 보강재(24)의 후방단에 매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실내측 리어보강재(23)의 후방단 및 보강재(24)의 후방단이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연결부재(35)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보강재(24)는 차량의 실내를 향해 개방된 캐비티를 가질 수 있고, 인서트 보강재(37)가 보강재(24)의 후방단에 삽입되고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서트 보강재(37)는 보강재(24)의 캐비티에 매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인서트 보강재(37)는 보강재(24)의 내면에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인서트 보강재(37)는 각 모서리 부분에 개별적으로 제공된 복수의 개구(37a)를 가질 수 있다. 인서트 보강재(37)는 구조용 접착제를 통해 휠하우스 연장부(31)의 연결부재(35)에 결합될 수 있다. 인서트 보강재(37)가 보강재(24)의 후방단에 결합됨에 따라 보강재(24)의 강성이 강화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이드실(20)의 비틀림 강성이 강화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측면충돌 시에 사이드실(20) 및 센터필러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실외측 리어보강재(38)가 보강재(24)의 후방부(24c)에 결합될 수 있고, 실외측 리어보강재(38)는 보강재(24)의 후방부(24c)로부터 차량의 실외를 향해 돌출할 수 있다. 실외측 리어보강재(38)는 하측플랜지(38b)를 가질 수 있다. 실외측 리어보강재(38)의 하측플랜지(38b)는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보강재(24)의 하측플랜지(24b)에 결합될 수 있고, 실외측 리어보강재(38)의 일부는 보강재(24)의 후방부(24c)와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다. 실외측 리어보강재(38)는 아웃터 사이드실(21)의 후방측 하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실외측 리어보강재(38)는 리어 휠하우스(30)의 휠하우스 연장부(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외측 리어보강재(38)가 아웃터 사이드실(21)의 후방부, 보강재(24)의 후방부, 및 리어 휠하우스(30)의 휠하우스 연장부(31)를 연결함으로써 아웃터 사이드실(21)의 후방부로 입력된 하중은 실외측 리어보강재(38)를 통해 보강재(24), 휠하우스 연장부(31), 및 인서트 보강재(37)로 전달될 수 있고, 아웃터 사이드실(21)의 비틀림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실외측 리어보강재(38)는 아웃터 사이드실(21)과 동일하거나 아웃터 사이드실(21)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보강재(24), 인너 사이드실(22), 및 플로어 사이드멤버(27)는 차체의 강성을 유지하고, 충돌하중을 전달하는 부품일 수 있다. 실외측 리어보강재(38), 실내측 리어보강재(23), 휠하우스 연장부(31), 및 인서트 보강재(37)는 차체의 인접한 부품들을 연결하는 연결부품이고, 하중의 이동경로 역할을 한다. 연결부재(35) 및 아웃터 사이드실(21)은 휠가드 및 차체의 후방구조를 지지하는 주요부재일 수 있다.
차량의 측면충돌 시에 발생된 충돌하중이 사이드실(20)의 아웃터 사이드실(21)의 후방부에 입력될 때, 아웃터 사이드실(21)로 입력된 충돌하중은 실외측 리어보강재(38)를 통해 보강재(24), 휠하우스 연장부(31), 및 인서트 보강재(37)로 전달된다. 그리고, 충돌하중은 휠하우스 연장부(31)를 거쳐 실내측 리어보강재(23)로 전달된 이후에, 플로어 사이드멤버(27) 및 플로어(5)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돌하중이 사이드실(20)의 후방부로부터 보강재(24), 휠하우스 연장부(31), 인서트 보강재(37), 실내측 리어보강재(23) 등을 통해 균일하게 분배된 이후에 플로어 사이드멤버(27) 및 플로어(5)로 전달됨으로써 생존공간이 기존에 비해 14% 이상 증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 플로어
10: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
20: 사이드실 21: 아웃터 사이드실
22: 인너 사이드실 23: 실내측 리어보강재
24: 보강재 27: 플로어 사이드멤버
30: 리어 휠하우스 31: 휠하우스 연장부
35: 연결부재 37: 인서트 보강재
38: 실외측 리어보강재
20: 사이드실 21: 아웃터 사이드실
22: 인너 사이드실 23: 실내측 리어보강재
24: 보강재 27: 플로어 사이드멤버
30: 리어 휠하우스 31: 휠하우스 연장부
35: 연결부재 37: 인서트 보강재
38: 실외측 리어보강재
Claims (10)
- 차량의 플로어에 연결되고,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사이드실; 및
상기 사이드실의 후방단에 연결된 리어 휠하우스;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실은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아웃터 사이드실과,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인너 사이드실과, 상기 아웃터 사이드실 및 상기 인너 사이드실 사이에 배치된 보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재는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리어 휠하우스까지 연장되며, 상기 보강재의 단면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너 사이드실의 후방단에 연결된 실내측 리어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인너 사이드실 및 상기 실내측 리어보강재에 결합되는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너 사이드실 및 상기 실내측 리어보강재는 상기 플로어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리어보강재의 실내측면에 결합된 플로어 사이드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 사이드멤버는 상기 플로어의 아래에 위치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어 휠하우스는 상기 사이드실의 후방단이 결합되는 휠하우스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휠하우스 연장부는 상기 보강재의 후방단이 매칭되는 연결부재를 가지고, 상기 보강재의 후방단이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후방단에 삽입되는 인서트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보강재는 구조용 접착제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인너 사이드실 및 상기 실내측 리어보강재에 결합되는 상측플랜지 및 상기 상측플랜지의 후방측에 위치한 후방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후방플랜지는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이격되는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후방부에 결합된 실외측 리어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외측 리어보강재는 상기 보강재로부터 차량의 실외를 향해 돌출하며,
상기 실외측 리어보강재는 상기 아웃터 사이드실의 후방부 및 상기 휠하우스 연장부에 연결되는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인너 사이드실 및 상기 실내측 리어보강재에 결합되는 하측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실외측 리어보강재는 상기 보강재의 하측플랜지에 결합되는 하측플랜지를 가지는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7798A KR20220009286A (ko) | 2020-07-15 | 2020-07-15 |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 |
US17/086,891 US11383765B2 (en) | 2020-07-15 | 2020-11-02 | Side sill structure for vehicle |
CN202011245147.9A CN113942578B (zh) | 2020-07-15 | 2020-11-10 | 用于车辆的下边梁结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7798A KR20220009286A (ko) | 2020-07-15 | 2020-07-15 |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9286A true KR20220009286A (ko) | 2022-01-24 |
Family
ID=7929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7798A Pending KR20220009286A (ko) | 2020-07-15 | 2020-07-15 |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383765B2 (ko) |
KR (1) | KR20220009286A (ko) |
CN (1) | CN113942578B (ko)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25417B2 (ja) * | 2001-03-14 | 2004-05-10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体におけるサイドパネルの製造方法 |
JP2007131264A (ja) * | 2005-11-14 | 2007-05-31 | Suzuki Motor Corp | 車両の後部車体構造 |
JP5092777B2 (ja) * | 2007-02-07 | 2012-12-05 | トヨタ車体株式会社 | 自動車のロッカー後端部とリヤピラー下端部の結合部構造 |
JP5201442B2 (ja) * | 2007-09-13 | 2013-06-05 | マツダ株式会社 | 車両の車体後部構造 |
US20100207428A1 (en) * | 2009-02-16 | 2010-08-19 | Mazda Motor Corporation | Side vehicle-body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
JP5707933B2 (ja) * | 2010-12-27 | 2015-04-30 | マツダ株式会社 | 発泡補強部材が配設された中空構造物の製造方法 |
FR2993850B1 (fr) * | 2012-07-27 | 2014-07-25 |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 Cote d’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dont la partie inferieure comporte un renfort de longeron en materiau composite |
JP6540237B2 (ja) * | 2015-05-29 | 2019-07-10 | スズキ株式会社 | 車両側部構造 |
KR102567277B1 (ko) * | 2016-12-07 | 2023-08-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사이드실 구조 |
US10647362B2 (en) * | 2017-03-27 | 2020-05-12 | Mazda Motor Corporation | Rear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
JP6870416B2 (ja) * | 2017-03-27 | 2021-05-12 | スズキ株式会社 | 車両側部構造 |
-
2020
- 2020-07-15 KR KR1020200087798A patent/KR20220009286A/ko active Pending
- 2020-11-02 US US17/086,891 patent/US11383765B2/en active Active
- 2020-11-10 CN CN202011245147.9A patent/CN113942578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3942578A (zh) | 2022-01-18 |
CN113942578B (zh) | 2025-02-28 |
US20220017149A1 (en) | 2022-01-20 |
US11383765B2 (en) | 2022-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99520B2 (en) | Vehicle body structure | |
EP0908371B1 (en) | Automobile frontbody structure | |
CA2554164C (en) | Hood structure with crush initiators | |
US7862108B2 (en) | Vehicle lower body structure | |
KR102552505B1 (ko) | 차량용 하중분배구조 | |
US11260913B2 (en) | Front pillar structure for vehicle | |
US10549787B2 (en) | Vehicle body floor structure | |
CN101765535A (zh) | 车身结构 | |
KR102153029B1 (ko) | 차량 후방 하중전달구조 | |
WO2018029941A1 (ja) | 車体構造 | |
US10745056B2 (en) | Front pillar for a vehicle body | |
KR20220009286A (ko) | 차량용 사이드실 장착구조 | |
US8100464B2 (en) | Vehicle substructure | |
KR20220036616A (ko) | 차체구조 | |
KR102621715B1 (ko) | 차량용 격벽구조 | |
KR20220055293A (ko) | 차량용 리어 프레임 | |
US20220161859A1 (en) | Vehicle body structure | |
KR102175959B1 (ko) |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 | |
US11124244B2 (en) | Front body for vehicle | |
KR20230151262A (ko) | 차체 구조 | |
CN114228840B (zh) | 一种用于车辆的门槛梁结构 | |
US11167801B2 (en) | Front body for vehicle | |
US20230312002A1 (en) | Side sill structure of vehicle | |
US11628890B2 (en) | Floor connection structure of vehicle under body | |
US11993317B2 (en) | Vehicle center pillar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