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01860A - 인쇄장치의 용지롤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인쇄장치의 용지롤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860A
KR20220001860A KR1020200080309A KR20200080309A KR20220001860A KR 20220001860 A KR20220001860 A KR 20220001860A KR 1020200080309 A KR1020200080309 A KR 1020200080309A KR 20200080309 A KR20200080309 A KR 20200080309A KR 20220001860 A KR20220001860 A KR 20220001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upport
pulley
guide
paper ro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to KR1020200080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860A/ko
Priority to US17/072,619 priority patent/US11332334B2/en
Publication of KR2022000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860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6Supporting web roll both-end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8Conveyor belts or lik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6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characterised by being applied to printers having stationary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4Both ends type arrangement
    • B65H2301/41346Both ends type arrangement separate elements engaging each end of the roll (e.g. chu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65H2403/411Double rack cooperating with one pinion, e.g. for performing symmetrical displacement relative to pin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12Single-function printing machines, typically table-top machines

Landscapes

  • Unwinding Webs (AREA)

Abstract

인쇄장치에 구비되는 용지롤 지지장치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인쇄용지가 권취된 용지롤을 양쪽에서 지지하는 제1용지가이드와 제2용지가이드, 상기 제1용지가이드와 상기 제2용지가이드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패널, 상기 제1용지가이드와 상기 제2 용지가이드 각각에 일단이 고정되고, 내측면에 서로 대향하는 랙 기어가 형성되어 하나의 피니언 기어에 치합됨으로써, 서로 동조하여 이동하는 제1이송로드 및 제2이송로드, 상기 피니언 기어와 동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풀리; 일정한 길이를 갖고 연장되어 상기 풀리의 외주에 걸리되, 일단은 상기 풀리의 외주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이송로드와 상기 제2이송로드 중 하나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는 벨트, 그리고 상기 벨트가 상기 풀리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풀리에 역방향의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풀리를 원위치로 역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장치의 용지롤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PAPER ROLL}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인쇄장치 내에 수납되어 인쇄용지를 공급하는 인쇄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용지롤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소형의 인쇄장치가 이용된다. 영수증이나 라벨뿐 아니라, 각종 티켓이나 교환권, 번호표 등의 실시간 출력을 위해 소형 인쇄장치가 결합된 키오스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키오스크 장치에 설치되는 인쇄장치는 일반적으로 롤(Roll) 형태로 감긴 인쇄용지를 권출하며 인쇄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한편 용지롤은 중심에 원통형의 지관이 있고, 지관의 외주에 인쇄용지가 권취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용지롤은 인쇄장치 내의 지지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쇄용지 선단이 이송수단에 의해 배출구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데이터가 인쇄될 때, 용지롤이 회전하면서 인쇄용지가 공급된다.
용지롤의 지지장치는 용지롤의 양단에서 지관의 관통부로 일부 삽입되면서 용지롤을 양쪽에서 지지한다. 이를 위해 지지장치는 용지롤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용지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용지가이드 사이의 간격은 용지롤의 높이, 즉 인쇄용지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조절되어야 하고, 용지가이드가 용지롤의 지관 내로 삽입되는 부분은 지관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을 가짐으로써 용지롤을 흔들림 없이 고정해야 한다.
그러나 인쇄장치가 이용되는 환경에 따라 필요로 하는 인쇄용지의 폭이 다르고, 인쇄용지의 규격이나 제조 주체에 따라 용지롤의 지관의 직경이 상이하다.
그러므로 인쇄장치 내의 인쇄용지 지지장치는 용지롤의 규격에 맞게 용지가이드의 간격과 지관 내에 삽입되는 지지부가 갖는 폭이 자유롭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도 이러한 용지가이드의 조절이 가능한 인쇄용지 지지장치가 이용되어 왔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9348호에는, 지관 일단 측의 용지가이드는 고정되고, 타단 측의 용지가이드에는 탄성부재를 채용하여 용지롤의 높이에 따른 용지가이드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한 롤용지 지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지장치에 의하면, 고무벨트나 압축 또는 인장력을 갖는 코일스프링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지지장치에 대해 높은 내구성과 오랜 수명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폭이 큰 용지롤을 오래 끼워두면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소성변형되어 추후 폭이 적은 용지롤을 이용할 때 충분히 고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장치나 부품을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인쇄장치에서 내구성과 수명을 향상시킨 용지롤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용지롤 지지장치의 용지가이드의 조절 구조를 콤팩트하고 간결하게 구성한 용지롤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용지롤 지지장치에서 용지롤의 지관에 삽입되는 지지부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용지롤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장치에 구비되는 용지롤 지지장치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인쇄용지가 권취된 용지롤을 양쪽에서 지지하는 제1용지가이드와 제2용지가이드, 상기 제1용지가이드와 상기 제2용지가이드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패널, 상기 제1용지가이드와 상기 제2 용지가이드 각각에 일단이 고정되고, 내측면에 서로 대향하는 랙 기어가 형성되어 하나의 피니언 기어에 치합됨으로써, 서로 동조하여 이동하는 제1이송로드 및 제2이송로드, 상기 피니언 기어와 동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풀리;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고 연장되어 상기 풀리의 외주에 걸리되, 일단은 상기 풀리의 외주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이송로드와 상기 제2이송로드 중 하나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는 벨트, 그리고 상기 벨트가 상기 풀리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풀리에 역방향의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풀리를 원위치로 역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용지롤 지지장치의 내구성과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용지롤 지지장치의 용지가이드의 조절 구조를 콤팩트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용지롤 지지장치에서 용지롤의 지관에 삽입되는 지지부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의 용지가이드에서 지지기둥의 조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의 용지가이드에서 지지기둥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의 용지가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의 용지가이드의 관통공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의 용지가이드의 지지기둥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를 채용한 인쇄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프린트헤드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동일한 명칭과 한 쌍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는 한 쌍의 구성요소 중 하나가 도면 내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비록 도면부호는 부여되었더라도 도면 내에 해당 도면부호가 표기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구성요소 중 하나만 도면에 나타낸 경우라도, 나머지 하나는 도면에 나타낸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과 기능을 가지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용지롤 지지장치(1000)와 이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용지롤 지지장치(10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먼저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의 용지가이드에서 지지기둥의 조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의 용지가이드에서 지지기둥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나아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의 용지가이드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의 용지가이드의 관통공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의 용지가이드의 지지기둥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용지롤 지지장치(1000)는 인쇄장치 내에 구비되어, 지관을 중심으로 인쇄용지가 권취된 용지롤을 수용하고, 지관을 양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인쇄용지 선단이 이송롤러(미도시)에 의해 이송력을 제공받을 때 용지롤이 회전하면서 급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용지롤 지지장치(1000)는, 인쇄용지의 폭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용지가이드(10, 20)를 포함한다.
한편 한 쌍의 용지가이드(10, 20)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한 쌍의 용지가이드(10, 20)는 용지롤(미도시)의 지관 양단을 지지하도록 지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지가이드(10, 20)는 후술할 지지패널(3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바(Bar)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저면을 향해서도 연장되어 하방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의 몸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용지가이드(10, 20)는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요입되는 파지부(11, 12)를 구비할 수 있다. 파지부(11, 12)는 한 쌍의 용지가이드(10, 20)의 내측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의 외력을 가하기 용이하도록, 한 쌍의 용지가이드(10, 20)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이 각각 바깥쪽을 향해 부드러운 곡면을 형성하며 요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손가락, 예를 들어 엄지를 이용하여 한 쌍의 용지가이드(10, 20) 중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11, 21)를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한 쌍의 용지가이드(10, 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용지가이드(10, 20)의 전단에는 각각 가이드부(12, 2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2, 22)는 용지가이드(10, 20)의 전단에 각각 형성되어, 용지롤에서 권출되는 인쇄용지의 양단을 전방으로 안내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12, 22)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용지가이드(10, 2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내부하우징(100)에 형성되는 용지지지부(101)의 상면 위까지 일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2, 22)는 일정한 높이를 가짐으로써 인쇄용지를 양단에서 전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2, 22)의 상면은 각각 내측, 즉 가이드부(12, 22) 서로를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되어 각각 ‘ㄱ’과 ‘┍’ 형상의 안내턱(12a, 22a)을 형성한다. 그에 따라 인쇄용지가 이송될 때 안내턱(12a, 22a)에 의해 인쇄용지가 상방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규제될 수 있다.
한편 용지가이드(10, 20)의 후방에는 관통공(13, 23)과, 관통공(13, 23)에 끼워지는 지지기둥(14, 24)이 구비된다. 관통공(13, 23)은 용지가이드(10, 20)의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관통공(13, 23)에는 지지기둥(14, 24)이 끼워지는데, 지지기둥(14, 24)은 관통공(13, 23)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통공(13, 23)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몸체부(14b, 24b)와, 몸체부(14b, 24b)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몸체부(14b, 24b)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단면을 갖고, 몸체부(14b, 24b)의 중심축에서 벗어난 편심축을 갖는 지지부(14a, 24a)가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14a, 24a)는 용지롤의 중앙에 형성되는 지관에 걸어져 용지롤을 지지한다. 여기서 몸체부(14b, 24b)의 내측면은 원기둥 형상의 몸체부(14b, 24b) 각각의 두 밑면 중 내측, 즉 다른 몸체부(14b, 24b)와 마주하는 밑면을 지시하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한편 지지기둥(14, 24)은 관통공(13, 23)에 높이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13, 2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 방향, 즉 용지가이드(10, 20)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되 회전 방향 이동은 자유롭고, 관통공(13, 23)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 방향 이동이 제한되며 회전 방향 이동도 제한될 수 있다.
이처럼 지지기둥(14, 24)이 관통공(13, 23)에 높이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 방향 이동은 제한되되 회전 방향 이동은 자유로운 상태를 이하에서 ‘가결합 상태’라고 하고, 높이 전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 방향 이동이 제한되며 회전 방향 이동이 모두 제한되는 상태를 ‘결합 상태’라고 하겠다.
이와 같이 지지기둥(14, 24)이 관통공(13, 23)에 ‘가결합 상태’, 그리고 ‘결합 상태’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상태로 천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관통공(13, 23)의 내주면에는, 내주를 따라 일정 높이에 후술할 제1걸림돌기(14c, 24c)와 제2걸림돌기(14d, 24d)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턱(13a, 2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13a, 23a)은 관통공(13, 23)의 내주면에 내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는데, 걸림턱(13a, 23a)은 일정 높이, 즉 관통공(13, 23)에 지지기둥(14, 24)이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특정 높이에 일정하게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특정 높이에 내주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걸림턱(13a, 23a)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특정 위치에서 후술할 제3걸림돌기(14e, 24e)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단절됨으로써, 제3걸림돌기(14e, 24e)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돌기안착부(13b, 23b)를 형성할 수 있다. 돌기안착부(13b, 23b)에는 후술할 제1걸림돌기(14c, 24c)가 걸림턱(13a, 23a)에 걸어졌을 때 제3걸림돌기(14e, 24e)가 안착되어, 지지기둥(14, 24)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돌기안착부(13b, 23b)는 제1걸림돌기(14c, 24c)가 걸림턱(13a, 23a)에 걸어지는 결합상태에서, 제3걸림돌기(14e, 24e)의 양단을 구속함으로써, 지지기둥(14, 24)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돌기안착부(13b, 23b)는, 지지부(14a, 24a)의 편심축이, 관통공(13, 23)의 주변에 미리 설정된 고정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 또는 가장 먼 위치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제3걸림돌기(14e, 24e)가 돌기안착부(13b, 23b)에 안착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걸림턱(13a, 23a)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주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 위치에서 외측으로 테이퍼지는 돌기안내부(13c, 23c)를 구비할 수 있다. 돌기안내부(13c, 23c)는 걸림턱(13a, 23a)의 일부 구간에 형성될 수 있고, 걸림턱(13a, 23a)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단차에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제1걸림돌기(14c, 24c)가 걸림턱(13a, 23a)에 걸어진 상태, 즉 결합상태에서 용이하게 빠져 나와 가결합상태로 천이되도록 하거나, 가결합상태에서 용이하게 결합상태로 천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돌기안내부(13c, 13c)의 폭은 후술할 제1걸림돌기(14c, 24c)의 폭 이상이고, 제2걸림돌기(14d, 24d)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기둥(14, 24) 각각의 몸체부(14b, 24b)의 외주면에는, 일정 높이에 외주를 따라 삽입 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1걸림돌기(14c, 24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 방향은 도 5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둥(14, 24)의 높이방향, 즉 관통공(13, 23)에 대한 지지기둥(14, 24)의 결합 또는 이탈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몸체부(14b, 24b)의 옆면, 즉 외주면에는 외주방향 전체에 걸쳐 일정 높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몸체부(14b, 24b)가 삽입 방향으로, 내측 일정 높이까지의 직경이 더 크고, 외측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기둥(14, 24)의 몸체부(14b, 24b)가 관통공(13, 23)에 삽입될 때, 몸체부(14b, 24b)의 삽입 방향 전체가 관통공(13, 23) 내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몸체부(14b, 24b)의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작은 외측은 관통공(13, 23)의 내주에 형성되는 걸림턱(13a, 23a)에 간섭 받지 않고 걸림턱(13a, 23a)을 지나 관통공(13, 23)의 외측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부(14b, 24b)의 외측의 직경은 걸림턱(13a, 23a)의 내주면이 이루는 횡단면의 직경 이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몸체부(14b, 24b)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차는, 걸림턱(13a, 23a)이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4b, 24b)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차는, 관통공(13, 23)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13a, 23a)에 의해 형성되는 두 개의 단차 중 내측 단차에 맞물리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측 방향은 두 개의 용지가이드(10, 20)가 서로 바라보는 방향이고, 외측 방향은 두 개의 용지가이드(10, 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지시한다.
한편 제1걸림돌기(14c, 24c)는 지지기둥(14, 24)이 관통공(13, 23)에 완전히 삽입된 결합상태일 때, 걸림턱(13a, 23a)에 의해 형성되는 두 개의 단차 중 외측 단차에 걸어지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걸림돌기(14c, 24c)는, 내측단부는 몸체부(14b, 24b)에 일체로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고, 돌기가 형성되는 외측단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내측단부를 중심으로 돌기가 형성되는 외측단부가 소정 범위 내에서 휘어져 움직임으로써 전술한 돌기안내부(13c, 23c)를 따라 걸림턱(13a, 23a)의 외측 단차에 걸어지도록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지지기둥(14, 24) 각각의 몸체부(14b, 24b)의 외주면의 외측단부에는, 외주를 따라 삽입 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2걸림돌기(14d, 24d)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걸림돌기(14d, 24d)는 제1걸림돌기(14c, 24c)가 형성되는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외측에 형성될 수 있고, 외주를 따라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술한 걸림턱(13a, 23a)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단차에 걸어질 수 있다. 제2걸림돌기(14d, 24d)는 몸체부(14b, 24b)의 외측단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2걸림돌기(14d, 24d)가 걸림턱(13a, 23a)의 외측 단차에 걸어진 상태에서 몸체부(14b, 24b)는 삽입 방향 일부가 관통공(13, 23)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처럼 제2걸림돌기(14d, 24d)가 걸림턱(13a, 23a)의 외측 단차에 걸어진 상태는 상술한 가결합상태에 해당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걸림턱(13a, 23a)의 외측 단차에는 제2걸림돌기(14d, 24d)가 걸리고, 내측 단차에는 후술할 제3걸림돌기(14e, 24e)가 걸어져 관통공(13, 23)에 대한 지지기둥(14, 24)의 높이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그러나 가결합상태에서 지지기둥(14, 24)의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지 않는다. 가결합상태에서 제3걸림돌기(14e, 24e)의 단부는 상술한 걸림턱(13a, 23a)의 내측 단차에 접하지만, 제3걸림돌기(14e, 24e)의 양단은 구속되지 않으므로 지지기둥(14, 24)의 회전이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제2걸림돌기(14d, 24d)도 제1걸림돌기(14c, 24c)와 같이 내측단부는 몸체부(14b, 24b)에 일체로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고, 돌기가 형성되는 외측단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지지기둥(14, 24)의 몸체부(14b, 24b)의 내측면과 지지부(14a, 24a)의 내측면에는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보가 인쇄되거나 음각 또는 양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용지가이드(10, 20)의 관통공(13, 23)의 주변에도 정보가 인쇄되거나 음각 또는 양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용지가이드(10, 20)에 끼워지는 용지롤의 지관의 크기에 맞게 지지기둥(14, 24)의 지지부(14a, 24a)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4b, 24b)의 내측면과 지지부(14a, 24a)의 내측면에 표시되는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14a, 24a)에 의해 지지되는 지관의 직경, 예를 들어 1.0” 또는 1.5” 등과 같은 수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된 직경의 지관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14a, 24a)의 배열 위치가, 각각 몸체부(14b, 24b)의 내측면이나 관통공(13, 23)의 주변에 선이나 화살표 등의 모양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가결합상태에서, 관통공(13, 23) 주변에 표시된 화살표에, 지지기둥(14, 24)에 표시된 화살표가 서로 대향하게 배열되도록 지지기둥(14, 24)을 회전시킨 후 지지기둥(14, 24)을 가압하여 결합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관통공(13, 23) 주변에 표시된 정보와, 지지기둥(14, 24)에 표시된 정보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되면, 제3걸림돌기(14e, 24e)가 돌기안착부(13b, 23b)와 나란히 배열되도록 각각의 위치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처럼 제3걸림돌기(14e, 24e)가 돌기안착부(13b, 23b)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나란히 배열되면, 외력에 의해 지지기둥(14, 24)이 관통공(13, 23) 내로 추가적으로 삽입되면서, 제1걸림돌기(14d, 24d)는 걸림턱(13a, 23a)을 넘어 걸림턱(13a, 23a)의 외측 단차에 걸어지고, 제3걸림돌기(14e, 24e)는 돌기안착부(13b, 23b) 내에 안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기둥(14, 24)은 관통공(13, 23)에 결합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제3걸림돌기(14e, 24e)가 돌기안착부(13b, 23b)에 나란히 배열되지 않고 걸림턱(13a, 23a)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지지기둥(14, 24)이 관통공(13, 23) 내로 삽입되지 않고 가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처럼 관통공(13, 23)의 주변에 정보가 표시된 위치를 상술한 것처럼 ‘고정위치’라고 표현하면, 돌기안착부(13b, 23b)는, 지지부(14a, 24a)의 편심축이, 관통공(13, 23)의 주변에 표시된 고정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 또는 가장 먼 위치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제3걸림돌기(14e, 24e)가 돌기안착부(13b, 23b)에 안착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위치는 도 4에서 직선 모양의 음각으로 표시된 위치를 지시한다.
한편 상술한 것처럼 지지부(14a, 24a)는 지지기둥(14, 24)의 본체부(14b, 24b)의 중심축에서 벗어난 편심축을 가지므로, 두 지지부(14a, 24a)의 편심축이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에서는, 용지가이드(10, 20)에 의해 지지 가능한 용지롤의 지관의 직경이 지지부(14a, 24a)의 직경에 대응한다.
그러나 두 지지부(14a, 24a) 중 하나, 예를 들어 제1지지부(14a)의 편심축은 고정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열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부, 예를 들어 제2지지부(24a)의 편심축은 고정위치에서 가장 먼 위치에 배열된 상태에서 각각의 지지부(14a, 24a)가 결합상태를 이루면, 두 개의 지지부(14a, 24a)의 두 편심축 사이의 거리와 지지부(14a, 24a)의 직경의 합에 대응하는 길이의 직경을 갖는 지관의 고정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상태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고정위치가 도 6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열된 것으로 예시하면, 제1지지부(14a)의 편심축이 고정위치에 가장 가깝게 배열된 상태로 제1지지기둥(14)이 제1관통공(13)에 끼워지고, 제2지지부(24a)의 편심축이 고정위치에서 가장 멀게 배열된 상태로 제2지지기둥(24)이 제2관통공(23)에 끼워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한 쌍의 지지기둥(14, 24)이 지지할 수 있는 용지롤의 직경(L)은 지지부(14a, 24a)의 직경(l)에 두 지지부(14a, 24a)의 축간 거리, 즉 제1지지부(14a)의 편심축과 제2지지부(24a)의 편심축 사이의 거리를 더한 길이가 된다. 이때 각 지지부(14a, 24a)의 ‘편심축’은, 각 지지부(14a, 24a)의 중심축을 지시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몸체부(14b, 24b)의 중심축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이와 같이 표현하였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한 쌍의 지지부(14a, 24a)는, 각각 제1지지부(14a)의 편심축은 고정위치에 가장 가깝게, 그리고 제2지지부(24a)의 편심축은 고정위치에서 가장 멀게 배열되었으므로, 두 지지부(14a, 24a)의 축간 거리는, 몸체부(14d, 24d)의 중심축으로부터 각 지지부(14a, 24a)의 편심축까지의 거리, 즉 편심 거리의 2배가 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한 쌍의 지지부(14a, 24a)가 고정위치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거리를 갖도록 배열됨으로써, 용지가이드(10, 20)에 끼워질 수 있는 용지롤 지관의 직경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용지가이드(10, 20)에 형성되는 관통공(13, 23)과 지지기둥(14, 24)의 구조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른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일 실시예와의 구분을 위해 각 구성요소의 도면부호에 프라임 부호(′)를 붙여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서도, 지지기둥(14′, 24′)의 상태는, 삽입 방향 이동은 제한되되 회전 방향 이동은 자유로운 ‘가결합 상태’와 삽입 방향 이동과 회전 방향 이동이 모두 제한되는 ‘결합 상태’ 사이에서 천이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지기둥(14′, 24′)은 가결합 상태와 결합 상태에서 모두 몸체부(14b′, 24b′)의 삽입 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공(13′, 23′)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3′, 23′)의 내주에는 걸림턱(13a′, 23a′)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3a′, 23a′)은 일 실시예에 의한 걸림턱(13a, 23a)와 마찬가지로 관통공(13′, 23′)의 내주면에 내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턱(13a′, 23a′)은 일정 높이, 즉 관통공(13′, 23′)에 지지기둥(14′, 24′)이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특정 높이에 일정하게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특정 높이에 내주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걸림턱(13a′, 23a′)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 구간에서는 단절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13a′, 23a′)에는 후술할 걸림돌기(14d’, 24d’)가 걸어진다. 구체적으로 걸림턱(13a′, 23a′)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단차에 걸림돌기(14d’, 24d’)가 걸어짐으로써, 지지기둥(14′, 24′)의 삽입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공(13′, 23′)의 삽입 방향 외측에는 래치(13d′, 23d′)가 형성될 수 있다. 래치(13d′, 23d′)는 관통공(13′, 23′)이 구비되는 용지가이드(10′, 20′)의 몸체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관통공(13′, 23′)의 내주로부터 삽입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외측 단부는 다시 관통공(13′, 23′)의 중심축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는 캔틸레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래치(13d′, 23d′)의 외측 단부는 그 선단의 폭이 넓어져 대략 알파벳 대문자 ‘T’ 형태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13d′, 23d′)의 외측 단부는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래치(13d′, 23d′)를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용지가이드(10′, 20′)의 몸체는 전체적으로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되는 래치(13d′, 23d′)도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합성수지의 탄성에 의해 래치(13d′, 23d′)는 외력을 받으면,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외측으로 휘어지는 래치(13d′, 23d′)의 절곡 부위에는, 관통공(13′, 23′)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3e, 23e)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e, 23e)는 래치(13d′, 23d′)의 절곡 부위로부터 관통공(13′, 23′)의 내주에 삽입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3e′, 23e′)의 폭은 후술할 그루브(14g′, 24g′)의 폭에 대응함으로써, 돌출부(13e′, 23e′)가 그루브(14g′, 24g′)에 끼워져 양단이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래치(13d′, 23d′)는 후술할 범프(14f′, 24f′)의 외측 단부와 접하여, 지지기둥(14′, 24′)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기둥(14′, 24′)에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돌기(24d′)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24d′)는 지지기둥(14′, 24′)이 관통공(13′, 23′)에 끼워질 때, 관통공(13′, 23′) 내주에 형성된 걸림턱(13a′, 23a′)을 타고 넘어 걸림턱(13a′, 23a′)의 외측 단차에 걸어짐으로써, 지지기둥(14′, 24′)이 관통공(13′, 2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 방향에 대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기둥(14′, 24′)의 몸체부(14b′, 24b′)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부(14a′, 24a′)가 형성되는 밑면, 즉 내측면은 막혀있고, 외측면은 뚫려있는 속이 빈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뚫려있는 외측에서 살펴보면, 지지기둥(14′, 24′)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지지기둥(14′, 24′)의 삽입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범프(14f′, 24f′)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범프(14f′, 24f′)는 도시된 것처럼 지지기둥(14′, 24′)의 삽입 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되거나, 적어도 지지기둥(14′, 24′)의 삽입 방향 일부에 형성되되, 외측단 부분에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범프(14f′, 24f′)의 외측단은 관통공의 삽입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래치(13d′, 23d′)와 접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범프(14f′, 24f′)는 평행하게 돌출됨으로써 그 가운데에 길고 좁게 요입되는 그루브(14g′, 24g′)를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그루브(14g′, 24g′)는 한 쌍의 범프(14f′, 24f′)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그루브(14g′, 24g′)의 폭은, 상술한 돌출부(13e′, 23e′)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하여 지지기둥(14′, 24′)이 관통공(13′, 23′)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루브(14g′, 24g′)가 래치(13d′, 23d′)의 절곡 부위에 형성된 돌출부(13e′, 23e′)에 대응하는 위치로 회전하면, 돌출부(13e′, 23e′)가 그루브(14g′, 24g′)에 끼워질 수 있다. 돌출부(13e′, 23e′)가 그루브(14g′, 24g′)에 끼워지면, 돌출부(13e′, 23e′)의 양단은 각각 한 쌍의 범프(14f′, 24f′)에 구속되어 지지기둥(14′, 24′)의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또 다른 실시예로, 래치(13d′, 23d′)의 절곡 부위에 그루브가 형성되고, 지지기둥(14′, 24′)의 내주면에 그루브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돌출부가 그루브에 끼워지는 형태로 회전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위에 설명한 바에 의해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기둥(14′, 24′)은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 방향 이동과 삽입 방향 이동이 모두 제한되는 ‘결합 상태’로 관통공(13′, 2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상태에서 지지기둥(14′, 24′)은 관통공(13′, 23′)에 삽입되어 지지기둥(14′, 24′)의 걸림돌기(14d′, 24d′)는 걸림턱(13a′, 23a′)을 타고 넘어 걸림턱(13a′, 23a′)의 외측 단부에 걸어지고, 지지기둥(14′, 24′) 내주면에 형성된 그루브(14g′, 24g′)에는 돌출부(13′e, 23e′)가 끼워질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기둥(14′, 24′)은, 회전 방향 이동은 자유롭고 삽입 방향 이동만이 제한되는 ‘가결합 상태’가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결합 상태에서 돌출부(13e′, 23e′)는 그루브(14g′, 24g′)에 끼워지지 않는다. 즉, 외력에 의해 래치(13d′, 23d′)가 삽입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면서, 돌출부(13e′, 23e′)가 그루브(14g′, 24g′)에서 이탈하면, 지지기둥(14′, 24′)은 회전이 제한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가결합 상태에서 지지기둥(14′, 24′)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이후 외력이 제거되고 지지기둥(14′, 24′)이 회전하면서 다시 그루브(14g′, 24g′)가 돌출부(13e′, 23e′)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면 그루브(14g′, 24g′)에 돌출부(13e′, 23e′)가 끼워지면서 다시 지지기둥(14′, 24′)은 결합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그루브(14g′, 24g′)는 서로 다른 위치에 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13e′, 23e′)는 둘 이상의 그루브(14g′, 24g′)에 선택적으로 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두 그루브(14g′, 24g′)가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돌출부(13e′, 23e′)는 지지기둥(14′, 24′)을 두 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결합 상태가 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특히 그루브(14g′, 24g′)는 지지부(14a′, 24a′)의 편심축이 관통공(13′, 23′)의 주변에 미리 설정된 고정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 또는 가장 먼 위치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술한 돌출부(13e′, 23e′)가 그루브(14g′, 24g′)에 끼워지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위치는 반드시 위에서 상술한 것처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다른 실시예에서도 지지기둥(14′, 24′)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14a′, 24a′)의 편심축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됨으로써, 한 쌍의 지지기둥(14′, 24′)이 지지할 수 있는 용지롤의 직경이 필요에 따라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 내지 3에서, 한 쌍의 용지가이드(10, 20)가 지지패널(30)과 접하는 후단에는, 후술할 지지패널(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송로드(40, 50)의 연결부(44, 54)와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15, 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5, 25)는 이송로드(40, 50)의 본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44, 54)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방이 타방에 억지끼움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연결부(44, 54)와 결합부(15, 25)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연결부(44, 54)와 결합부(15, 25)를 단단히 고정하기 위한 결합 수단, 예를 들어 볼트 등이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용지가이드(10, 20)는 지지패널(30)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패널(30)은, 대략 사각 판상의 패널로서, 용지가이드(10, 20)의 연장 방향에 수직으로 배열된다.
지지패널(30)은 용지가이드(10, 20)의 후방에서 용지가이드(10, 20)의 이동을 안내하며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용지가이드(10, 20)의 이동 범위에 걸쳐 길게 연장되고, 소정의 높이와 두께를 갖는다.
그리고 지지패널(30)에는, 각각 제1용지가이드(10)와 제2용지가이드(20)의 이동경로 상에 관통 형성되어, 제1용지가이드(10)와 제2용지가이드(20)의 이동을 안내하고, 지지패널(30)을 중심으로 한 쌍의 용지가이드(10, 20)가 각각 후술할 한 쌍의 이송로드(40, 50)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1안내슬롯(31)과 제2안내슬롯(32)이 구비된다.
한 쌍의 안내슬롯(31, 32)은 지지패널(30)에 대략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관통 형성되며, 제1안내슬롯(31)은 제1용지가이드(10)의 이동경로 상에, 제2안내슬롯(32)은 제2용지가이드(20)의 이동경로 상에 형성된다.
그에 따라, 지지패널(30)의 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용지가이드(10, 20)의 결합부(15, 25)와, 지지패널(30)의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로드(40, 50)에 형성되는 연결부(44, 54)가, 관통 형성되는 안내슬롯(31, 32)을 통해 서로 결합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안내슬롯(31, 32)을 따라 지지패널(30)에 의해 지지되면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1안내슬롯(31)과 제2안내슬롯(32)은, 지지패널(30)의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양쪽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서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제1안내슬롯(31)과 제2안내슬롯(32) 사이에는 지지패널(30)의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원통형의 회전축(33)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33)은 지지패널(30)과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되거나, 지지패널(30)의 배면에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회전축(33)의 외주에는 후술할 피니언기어(60)와 풀리(70)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패널(30)의 배면에는,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안내슬롯(31, 32)을 중심으로,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후술할 한 쌍의 이송로드(40, 50)가 끼워지는 이송레일(34, 35)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송레일(34, 35)은 지지패널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며, 한 쌍의 이송레일(34, 35)은 서로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1이송레일(34)과 제2이송레일(35) 중 하나는, 제1안내슬롯(31) 및 제2안내슬롯(3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제1안내슬롯(31)과 제2안내슬롯(32)의 위쪽에 배열되며, 제1이송레일(34)과 제2이송레일(35) 중 나머지 하나는, 제1안내슬롯(31)과 제2안내슬롯(3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제1안내슬롯(31)과 제2안내슬롯(32)의 아래쪽에 배열될 수 있다.
이송레일(34, 35)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지지패널(3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패널(30)과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송레일(34, 35)은 지지패널(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이송로드(40, 50)는 이송레일(34, 35)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레일(34, 35)에 끼워진다.
한편 지지패널(30)의 배면에는 지지패널(30)로부터 일체로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패널(36)이 구비될 수 있다. 연장패널(36)은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패널(30)이 인쇄장치 내의 다른 구성, 예를 들어 내부하우징(100) 등과 결합함에 있어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장패널(36)의 일측에는 후크(36’)가 구비되어 후술할 탄성부재(90)가 걸어질 수 있다.
한편 이송로드(40, 50)는 헤드부(41, 51)와, 헤드부(41, 51)로부터 연장되는 테일부(42, 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41, 51)에는 상술한 용지가이드(10, 20)의 결합부(15, 25)와 안내슬롯(31, 32)을 통해 결합되는 연결부(44, 54)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44, 54)는 안내슬롯(31, 32)을 통과하여 용지가이드(10, 20)를 향해 연장되어 각각 결합부(15, 25)와의 결합부위를 이룬다.
그리고 테일부(42, 52)는 헤드부(41, 51)로부터 이송레일(34, 35)을 따라 내측으로 길게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도 1과 2를 기준으로, 제1이송로드(40)의 헤드부(41)는 회전축(33)을 중심으로 제1안내슬롯(31)이 형성되는 도면상의 우측에 배치되고, 제1이송로드(40)의 테일부(42)는 헤드부(41)로부터 좌측으로 제1이송레일(34)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한편 제2이송로드(50)의 헤드부(51)는 회전축(33)을 중심으로 제2안내슬롯(32)이 형성되는 도면상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이송로드(50)의 테일부(52)는 헤드부(42)로부터 우측으로 제2이송레일(35)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테일부(42, 52)는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하나의 피니언 기어(60)와 치합되는 랙 기어(43, 5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한 쌍의 이송로드(40, 5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이송로드(40)가 이동하면, 제1이송로드(40)의 테일부(42)에 형성된 랙 기어(43)의 이동에 따라, 랙 기어(43)에 치합된 피니언 기어(60)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피니언 기어(60)의 회전력이, 함께 맞물려 있는 제2이송로드(50)의 테일부(52)의 랙 기어(53)에 전달되어 제2이송로드(50)도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이송로드(40, 50)에는 각각 테일부(42, 52)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랙 기어(43, 53)가 형성되고, 하나의 피니언 기어(60)에 서로 평행하게, 즉 서로 반대의 접선방향으로 치합되기 때문에, 피니언 기어(60)는 이송로드(40, 50) 중 어느 하나의 이동에 의한 동력을 다른 하나에 반대방향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이송로드(40, 50) 중 하나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다른 하나는 좌측으로 이동한다. 즉 이송로드(40, 5)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다른 하나도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송로드(40, 5) 중 하나가 다른 하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다른 하나도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제1이송로드(40)가 도 1이나 2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면, 피니언 기어(60)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이송로드(50)로 좌측 방향으로의 힘을 가한다.
이처럼 두 개의 이송로드(40, 50)는 서로 동조하여 이동하되, 이동방향은 언제나 서로 반대가 될 수 있다.
한편 이송로드(40, 5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벨트결합부(45, 55)가 구비될 수 있다. 벨트결합부(45, 55)는 이송로드(40, 50)의 헤드부(41, 5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의 돌기이되, 외주에는 후술할 벨트(80)의 길이방향 양단 중 어느 하나가 끼워지고,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벨트결합부(45, 55)와 벨트(80)를 나사가 함께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피니언 기어(60)는, 지지패널(30)의 배면으로부터 제1안내슬롯(31)과 제2안내슬롯(32)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33)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피니언 기어(60)는 대략 링 형상을 갖되, 내주의 직경은 회전축(33)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축(3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에는 랙 기어(43, 53)에 대응하는 피치의 이가 형성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지롤 지지장치(1000)에는 피니언 기어(60)와 동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풀리(70)가 포함된다.
풀리(70)는 전체적으로 원반 형태를 갖고, 지지패널(3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후술할 탄성부재(9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후술할 벨트(80)를 권취할 수 있다.
풀리(70)에는, 외주를 따라 벨트(80)가 선택적으로 감기는 외주레일(71)이 형성된다. 외주레일(71)은 외주를 따라 외주의 높이 방향 전단과 후단이 각각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벨트(80)가 이탈하지 않도록 감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풀리(70)의 중앙에는 회전축(33)에 끼워지는 관통기둥(72)이 형성되는데, 관통기둥(72)은 풀리(70)의 높이 방향, 즉 풀리(70)가 회전축(3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풀리(70)를 원형의 단면으로 관통하되, 관통된 구멍의 주변은 풀리(70)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속이 빈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관통기둥(72)의 외주에는 후술할 탄성부재(90)가 끼워진다.
이때 관통기둥(72)은 관통기둥(72)에 끼워지는 탄성부재(90)의 높이 이상의 높이를 가질 수 있고, 피니언 기어(60)와 관통기둥(72)이 모두 끼워지는 회전축(33)의 높이는 피니언 기어(60)의 높이와 관통기둥(72)의 높이의 합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풀리(70)의 배면 일측에는 후크(7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후크(73)는 풀리(70)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대략 갈고리 모양을 가짐으로써 후술할 탄성부재(80)의 단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걸어질 수 있다. 후크(73)는 풀리(70)의 배면에, 관통기둥(72)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풀리(70)의 외주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풀리(70)의 일측에는 벨트고정부(74)가 구비될 수 있다. 벨트고정부(74)는 후술할 벨트(80)의 길이방향 양단 중 하나를 고정한다. 이를 위해 벨트고정부(74)는 벨트(80)의 길이방향 양단 중 하나의 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일측에 나사 등의 결합수단이 끼워지는 나사산이 형성된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고정부(74)는 실시예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도시된 것처럼 풀리(7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1000)는 벨트(80)를 포함한다. 벨트(80)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연장되어 풀리(70)의 외주레일(71)에 걸리되, 길이방향 일단(81)은 풀리(70)의 외주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82)은 제1이송로드(40)와 제2이송로드(50) 중 하나의 일단에 고정되어 풀리(70)를 회전시킨다.
즉, 벨트(80)의 타단(82)이 이송로드(40, 50)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송로드(40, 50)가 이동하면, 벨트(80)가 당겨지면서 풀리(7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벨트(80)의 길이방향 양단은 각각 풀리(70)의 배면에 형성된 벨트고정부(74)와 이송로드(40, 50)의 헤드부(41, 51)에 형성되는 벨트결합부(45, 55)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벨트(80)의 일단(81)은 벨트고정부(74)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벨트고정부(74)에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 결합될 수 있고, 벨트(80)의 타단(82)은 벨트결합부(45, 55)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벨트결합부(45, 55)에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용지롤 지지장치(1000)에는 벨트(80)가 풀리(7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풀리(70)에 역방향의 회전력을 가하여, 풀리(70)를 원위치로 역회전시키는 탄성부재(90)가 구비된다. 탄성부재(90)는 탄성변형에 의해 풀리(70)의 회전 방향으로의 비틀림 힘을 가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때 풀리(70)의 원위치는 두 용지가이드(10, 20)가 서로 가까워진 상태, 즉 두 개의 이송로드(40, 50)가 회전축(33)을 중심으로 서로 가깝게 배열되어 벨트(80)가 풀리(70)에 권취된 상태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상태와 같다.
그리고 풀리(70)가 회전한 상태는, 두 개의 이송로드(40, 5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송로드(40, 50)에 형성된 벨트결합부(45, 55)가 멀어지고, 그에 따라 벨트(80)의 타단(82)이 당겨져 풀리(70)에서 권출되면서 벨트(80)의 장력이 작용하여 풀리(70)를 회전시킨 상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상태와 같다.
탄성부재(90)는, 풀리(7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기둥(72)에 풀리(70)와 동축으로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90)의 일단(91)은 풀리(70)의 외측에 고정되고, 타단(92)은 지지패널(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풀리(70)에 회전방향의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원위치시킬 수 있다. 즉 풀리(70)가 회전하면, 풀리(70)의 배면 외주측에 형성되는 후크(73)가 풀리(7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지지패널(30)에 고정된 타단(92)에 대해 상대적으로 탄성부재(90)의 일단(91)이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며 탄성부재(90)가 탄성변형되고, 그에 따라 탄성부재(90)는 풀리(70)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풀리(70)가 원위치로 역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90)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토션스프링’은 코일스프링의 양 끝에 지지대를 형성하여, 비틀림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으로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Torsional Coil Spring)을 의미하는 용어로 이용된다.
한편 탄성부재(90)의 양단은 각각, 풀리(70)의 배면에, 풀리(70)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된 후크(73)와, 지지패널(30)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패널(36)의 후단에 형성된 후크(36’)에 각각 걸어진 상태에서, 일단(91)만이 선택적으로 풀리(7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어, 탄성부재(90)의 두 지지대의 상대적인 각도가 변경되고 그에 따라 비틀림 힘이 풀리(70)에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3)에는 순차적으로 피니언 기어(60), 풀리(70), 그리고 탄성부재(90)가 끼워진 상태에서 마감부재로 각각의 구성이 회전축(3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용지롤 지지장치(1000)의 용지가이드(10, 20)는 외력, 예를 들어 파지부(11, 21)를 사람이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바깥쪽으로 가하는 힘에 의하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용지가이드(10, 20) 중 외력이 가해지는 하나, 예를 들어, 제2용지가이드(20)가 바깥쪽으로 이동하면, 제2용지가이드(20)에 결합되어 있는 제2이송로드(50)가 바깥쪽, 즉 도면의 왼쪽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그에 따라 제2이송로드(50)에 형성된 랙 기어(53)에 맞물린 피니언기어(60)가 회동하고, 피니언기어(60)의 회동은 랙 기어(43)에 가해져, 제1이송로드(40)를 바깥쪽, 즉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 이송로드(40, 5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예를 들어 제1이송로드(40)의 헤드부(41)에 형성된 벨트결합부(45)에 타단(82)이 고정되어 있는 벨트(80)가 오른쪽으로 당겨지면서, 벨트(80)의 장력이 전달되어 벨트(80)의 일단(81)도 타단(82)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벨트(80)의 일단(81)이 고정되어 있는 풀리(70)가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풀리(70)의 회동에 의해, 후크(73)에 걸어져 있는 탄성부재(90)의 일단(91)이 이동하면서, 탄성부재(90)가 탄성 변형되고 비틀림 힘이 응축된다.
그에 따라 파지부(21)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90)의 탄성력에 의하여 풀리(70)는 다시 원위치로 역회전하고, 벨트(80)는 다시 풀리(70)에 권취되며, 이송로드(40, 50)도 각각 회전축(33)을 향해 되돌아온다. 따라서 두 용지가이드(10, 20)도 다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에 따라 용지가이드(10, 20) 사이에 끼워지는 용지롤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용지가이드(10, 20)에 용지롤을 끼울 때에는 파지부(11, 21)에 힘을 가하여 두 용지가이드(10, 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벌어진 용지가이드(10, 20) 사이에 용지롤을 끼울 수 있다. 그에 따라 이송로드(40, 50)가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벨트(80)가 풀리(70)에서 권출되어 풀리(70)를 회전시키고, 풀리(70)의 회전에 의해 탄성부재(90)가 탄성 변형된다. 이후 사용자가 파지부(11, 21)에 가하던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90)가 다시 풀리(70)를 역회전 시킴으로써 벨트(80)가 풀리(70)에 감기고, 그에 따라 이송로드(40, 50)와 두 용지가이드(10, 20)가 안쪽으로 다시 이동하려는 힘을 받아, 그 사이에 수용된 용지롤을 지지한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9를 참조하여, 상술한 용지롤 지지장치(1000)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부가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롤 지지장치를 채용한 인쇄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과 도 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의 프린트헤드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인쇄장치의 내부에는 내부하우징(100)이 구성될 수 있다.
용지롤 지지장치(1000)는 힌지 결합되는 본체(미도시)와 커버(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본체와 커버의 외관은 각각 본체하우징(미도시)와 커버하우징(미도싱)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 본체하우징과 커버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 공간에는, 용지롤에 권취된 인쇄용지에 정보를 인쇄하는데 필요한 각종 구성요소가 수용될 수 있다. 특히 본체하우징과 커버하우징 사이에는 용지롤이 수용되는 공간, 즉 후술할 용지수용부(110)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체하우징 내에는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구획하여, 용지수용부(110)와 다른 구성요소가 수용되는 공간을 분리하고, 커버의 개방에 의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구성을 간결하게 마감하는 내부하우징(100)이 구비된다.
내부하우징(100)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에 용지가이드(10, 20)의 이동 공간을 제공하고, 용지가이드(10, 20) 사이에 끼워지는 용지롤을 수용하기 위하여, 대략 반원기둥 형상의 용지수용부(11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내부하우징(100)의 외측은 본체하우징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내부하우징(100)은 본체하우징과 커버하우징 사이에 배열되어, 커버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일부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기판이나 전선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하되, 용지롤을 사용자가 보충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용지수용부(110)와 용지가이드(10, 20)가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내부하우징(100)에는 용지가이드(10, 20)의 후방 일측에 지지패널(30)이 끼워지되, 지지패널(30)의 전면이 내부하우징(100)과 하나의 면을 형성하여, 용지수용부(110)의 내측면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 내부하우징(100)에는 지지패널(30)이 단차 없이 끼워질 수 있도록 지지패널(30)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패널(30)의 배면에 구비되는 이송로드(40, 50), 피니언기어(60), 풀리(70), 벨트(80), 그리고 탄성부재(90) 등의 구성은 본체하우징과 내부하우징(100)에 의해 마감되어 커버가 개방되더라도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내부하우징(100)의 후방에는 상술한 용지가이드(10, 20)의 가이드부(12, 22)의 아래에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용지지지부(101)가 구비될 수 있다. 용지지지부(101)는 내부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되되, 용지가이드(10, 20)의 후단으로부터 내부하우징(100)의 후단에 형성되는 용지배출구(미도시)까지 연장되어 인쇄용지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용지지지부(101)는 인쇄용지의 폭 이상의 폭을 갖고, 인쇄용지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대략 사각판상을 갖는다. 이때 용지지지부(101)의 상면에는 인쇄용지의 이송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하우징(110)과 커버하우징 사이에는 용지수용부(110)가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때 용지수용부(110)는 미도시된 커버하우징이 내부하우징(110)과 협력하여 형성하는 공간을 지시한다.
용지수용부(110) 내에는 용지가이드(10, 20)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용지가이드(10, 20) 사이에 끼워지는 용지롤이 수용될 수 있도록 대략 반원기둥 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용지지지부(101)의 후단에는 롤러(120)가 배열될 수 있다. 롤러(120)는 인쇄용지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회전함으로써, 용지롤에 권취된 인쇄용지가 배출구를 향해 이송되도록 이송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롤러(120)의 상방에는 후술할 프린트헤드(1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프린트헤드(170)는 저면이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커버에 고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롤러(120)는 프린트헤드(170)의 노출된 저면을 향해 인쇄용지를 가압하면서 회전하여, 인쇄용지에 정보가 인쇄되면서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롤러(120)가 본체에, 그리고 프린트헤드(170)가 커버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롤러(120)가 커버 측에, 그리고 프린트헤드(170)가 본체 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의한 용지롤 지지장치(1000)에는 용지지지부(101)의 상방에 배열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레버(130)가 구비된다. 레버(130)는 커버 내에 구비되되, 그 후단이 커버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레버(130)의 후단을 들어올리거나 누르는 등, 외력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레버(130)의 전단은 후술할 샤프트(140)에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레버(130)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레버(130)가 샤프트(14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샤프트(140)는 커버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되 양단이 커버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하우징에 마련된 회전축에 샤프트(140)의 양단이 끼워진 채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140)의 양단에는 각각 푸시로드(141, 142)가 결합될 수 있다. 푸시로드(141, 142)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 일단에 샤프트(14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헤드(141a, 142a)가, 그리고 길이방향 타단에 후술할 록킹부재(150, 160)의 록킹부(151, 161)를 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푸시부(141b, 142b)가 형성된다.
따라서 레버(13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샤프트(140)가 회동하면, 푸시로드(141, 142)의 푸시부(141b, 142b)가 이동할 수 있다. 만약 레버(130)의 후단을 사용자가 들어올리면, 샤프트(140)는 도 9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에 따라 푸시부(141b, 142b)는 모두 후방을 향해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용지지지부(101)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내부하우징(110)의 아래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일부가 노출되는 록킹부재(150, 160)가 구비된다. 록킹부재(150, 160)는 전체적으로 대략 ‘T’자 형으로 형성되어, 3개의 단부를 구비하고, 하나의 단부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록킹부(151, 161)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회동축(152, 162)에 걸어져 회동 중심이 되며, 나머지 하나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토션스프링(154, 164)의 결합 부위를 이룬다. 이러한 록킹부재(150, 160)는 본체하우징과 내부하우징(110)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록킹부재(150, 160)는 내부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내부하우징(110) 바깥으로 노출되는 록킹부(151, 161)를 갖는다. 록킹부(151, 161)는 상단에 전방을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단차를 가짐으로써, 커버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공(미도시)에 걸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록킹부(151, 161)는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열리지 않도록 잠글 수 있다.
한편 록킹부재(150, 160)의 다른 하나의 단부는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회동축(152, 162)에 끼워져 회동한다. 회동축(152, 162)을 중심으로 록킹부재(150, 160)가 회동함에 따라 록킹부(151, 161)는 일정 범위 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록킹부(151, 161)가 전방에 고정된 상태에서 록킹부(151, 161)에 형성된 단차에 커버가 걸어져 잠기고, 록킹부(151, 161)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커버가 열릴 수 있다.
이때 록킹부(151, 161)는 상술한 푸시로드(141, 142)의 회동 범위 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록킹부(151, 161)의 이동범위 중 적어도 일부가 푸시로드(141, 142)의 회동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배치된다. 푸시로드(141, 142)의 푸시부(141b, 142b)는 샤프트(140)의 회동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데, 푸시부(141b, 142b)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전방 위치에 유지되고 있는 록킹부(151, 161)를 후방으로 일정 거리 밀어낼 수 있도록 두 구성요소가 배열된다.
한편 록킹부(151, 161)의 상단은 전방으로 사면을 가짐으로써, 상술한 푸시부(141b, 142b)가 사면을 따라 록킹부(151, 161)를 후방으로 밀어내어 록킹부재(150, 16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버가 닫힐 때, 커버의 걸림공에 록킹부(151, 161)가 다시 걸어질 때에도, 커버의 걸림공이 록킹부(151, 161)의 상단 전방에 형성된 사면을 따라 록킹부(151, 161)를 후방으로 밀어내면서 록킹부(151, 161)에 체결되도록 한다.
나아가 록킹부재(150, 160)의 나머지 단부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토션스프링(154, 164)이 걸어지는 스프링고정부(153, 163)를 형성한다. 스프링고정부(153, 163)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축이 끼워지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토션스프링(154, 164)이 걸어진다. 이때 토션스프링(154, 164)의 두 지지대 중 일단은 록킹부재(150, 160)에 걸어지고, 타단은 내부하우징(100)의 일측에 고정되어, 록킹부재(150, 160)의 록킹부(151, 161)가 전방을 향해 이동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토션스프링(154, 164)은 록킹부(151, 16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다시 전방으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방향으로 비틀림 힘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커버는 록킹부재(150, 160)의 록킹부(151, 161)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유지되는 힘에 의하여 커버에 형성된 걸림공에 체결됨으로써 잠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커버에 형성된 레버(130)의 움직임에 의해 샤프트(140)가 회동하면 푸시로드(141, 142)의 푸시부(141b, 142b)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록킹부(151, 161)를 후방으로 밀어낸다. 그에 따라 록킹부(151, 161)는 커버의 걸림공에서 벗어나고 커버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후 록킹부(151, 161)는 커버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다시 토션스프링(154, 164)의 힘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한다. 커버를 다시 닫을 때에는 커버를 하방으로 미는 외력에 의하여, 커버의 걸림공의 전단이 록킹부(151, 161) 상단 전방에 형성된 사면을 따라 다시 록킹부(151, 161)를 후방으로 밀어내면서 커버가 닫히고, 걸림공을 통과하여 커버하우징 내로 삽입된 록킹부(151, 161)가 다시 토션스프링(154, 164)의 힘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록킹부(151, 161)의 단차가 걸림공 전방에 걸어져 체결된다.
이와 같은 레버(130)를 이용한 구조에 의해 인쇄장치의 커버와 본체가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커버하우징의 후방에 일부 노출된 레버(130)의 후단을 당겨 올려 샤프트(140)를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록킹부재(150, 160)를 체결 상태에서 해제하여 커버를 열고 닫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것처럼 인쇄장치의 본체와 커버에는 각각 롤러(120)와 프린트헤드(170)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버에 프린트헤드(170)가 구비되는 실시예를 예로 들어, 프린트헤드(170)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헤드(17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장치로서, 인쇄용지의 폭 이상의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발열체(172)를 포함할 수 있고, 발열체(172)는 롤러(120)와 대향하여 커버 저면에 노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인쇄용지의 상면은 롤러(120)에 의해 발열체(172)에 밀착되어 정보가 인쇄되면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프린트헤드(170)를 상방에서 감싸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71)은 그 저면에 프린트 헤드가 끼워져 안착되고, 상면은 커버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171)과 커버하우징 사이에는 가압부재(18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재(180)는 지지프레임(171)에 탄성력을 가하여, 프린트헤드(170)와 인쇄용지가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가압부재(180)는 길이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지지프레임(171)의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171a)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고정돌기(171a)에는 상술한 가압부재(180)가 끼워진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71)의 상면에는 고정돌기(171a)를 중심으로 길이방향 양쪽에 하나 이상의 완충부(171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완충부(171b)는 지지프레임(17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되 고무나 실리콘 등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완충부(171b)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후술할 간격유지부(191)의 형상이나 구조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180)는 바로 커버하우징에 고정되지 않고, 지지부재(190)를 통해 커버하우징에 고정된다. 지지부재(190)는 가압부재(180)에 끼워져 프린트헤드(170)의 지지프레임(171)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지지하는 구성으로, 프린트헤드(170)의 길이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커버하우징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가압부재(180)는 상술한 것처럼 그 일단이 지지프레임(171)의 고정돌기(171a)에 끼워지는데, 지지부재(190)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부재(180)의 타단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둘 이상의 끼움돌기(1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둘 이상의 끼움돌기(192)는 지지부재(1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일정한 높이를 갖는다. 끼움돌기(192)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지지부재(190)의 기부(193)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이때 프린트헤드(170)와 롤러(120) 사이의 압력이 인쇄 품질에 영향을 주는데 압력이 너무 적으면 인쇄가 잘 되지 않아 흐릿하게 인쇄되고, 압력이 과도하면 너무 진하게 인쇄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인쇄용지의 두께에 따라 적정한 압력이 달라진다. 따라서 지지부재(190)는 프린트헤드(170)와 롤러(120) 사이에 인쇄용지에 대한 적절한 인쇄 압력이 형성되도록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인쇄용지의 두께에 따라 인쇄 압력을 조절할 필요성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술한 지지부재(190)에 형성되는 복수의 끼움돌기(192)는 지지부재(190)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끼움돌기(192)가 돌출되는 기부(193)는 지지부재(19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 끼움돌기(192)가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갖도록 계단식의 단차를 갖는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부(193)는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장 왼쪽이 가장 낮고 오른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도록 총 5개의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단차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 단차마다 하나의 끼움돌기(192)가 형성되어, 1번 끼움돌기(192)가 가장 낮은 높이, 5번 끼움돌기(192)가 가장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가압부재(180)가 1번 끼움돌기(192)에 끼워질 때 지지프레임(171)으로 가장 낮은 압력을 가하고, 가압부재(180)가 5번 끼움돌기(192)에 끼워질 때, 끼움돌기(192)와 고정돌기(171a) 사이의 간격이 가장 좁아져 가장 높은 압력을 지지프레임(172)에 가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끼움돌기(192)의 수나 기부(193)에 형성된 단차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180)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92)가 선택적으로 가압부재(180)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190)는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가압부재(180)는 커버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커버하우징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조절레일(20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그리고 지지부재(19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간격유지부(191)가 배치된다. 간격유지부(191)는 양단에서 같은 길이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지프레임(171)의 상면에 형성된 완충부(171b)에 선택적으로 접한다. 간격유지부(191)는 지지프레임(171)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압력이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가압부재(180)가 과도하게 압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조절레일(200)은 지지부재(190)의 이동범위를 포괄하도록 길게 연장되고, 조절레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부재(190)가 끼워지는 이동슬롯(20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부재(190)는 이동슬롯(20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는 지지부재(190)를 적절하게 이동시켜, 가압부재(180)를 통해 프린트헤드(170)로 적절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끼움돌기(192)에 선택적으로 가압부재(180)의 타단을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린트헤드(170)에 적절한 압력을 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바에 따라 압력을 조절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용지롤 지지장치 10, 20: 용지가이드
11, 21: 파지부 12, 22: 가이드부
12a, 22a: 안내턱 13, 23, 13', 23': 관통공
13a, 13a, 23a, 23a': 걸림턱 13b, 23b: 돌기안착부
13c, 23c: 돌기안내부 13d', 23d': 래치
13e', 23e': 돌출부 14, 24, 14’, 24’: 지지기둥
14a, 24a, 14a’, 24a’: 지지부 14b, 24b, 14b’, 24b’: 몸체부
14c, 24c: 제1걸림돌기 14d, 24d: 제2걸림돌기
14d', 24d': 제2걸림돌기 14e, 24e: 제3걸림돌기
14f', 24f': 범프 14g', 24g': 그루브
15, 25: 결합부 30: 지지패널
31, 32: 안내슬롯 33: 회전축
34, 35: 이송레일 36: 연장패널
36': 제2후크 40, 50: 이송로드
41, 51: 헤드부 42, 52: 테일부
43, 53: 랙 기어 44, 54: 연결부
45, 55: 벨트결합부 60: 피니언기어
70: 풀리 71: 외주레일
72: 관통기둥 73: 제1후크
74: 벨트고정부 80: 벨트
90: 탄성부재 100: 내부하우징
101: 용지지지부 110: 용지수용부
120: 롤러 130: 레버
140: 샤프트 141, 142: 푸시로드
141a, 142a: 결합헤드 141b, 142b: 푸시부
150, 160: 록킹부재 151, 161: 록킹부
152, 162: 회동축 153, 163: 스프링고정부
154, 164: 토션스프링 170: 프린트헤드
171: 지지프레임 171a: 고정돌기
171b: 완충부 172: 인쇄라인
180: 가압부재 190: 지지부재
191: 간격유지부 192: 끼움돌기
200: 조절레일 201: 이동슬롯

Claims (16)

  1. 인쇄장치에 구비되는 용지롤 지지장치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인쇄용지가 권취된 용지롤을 양쪽에서 지지하는 제1용지가이드와 제2용지가이드;
    상기 제1용지가이드와 상기 제2용지가이드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패널;
    상기 제1용지가이드와 상기 제2 용지가이드 각각에 일단이 고정되고, 내측면에 서로 대향하는 랙 기어가 형성되어 하나의 피니언 기어에 치합됨으로써, 서로 동조하여 이동하는 제1이송로드 및 제2이송로드;
    상기 피니언 기어와 동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풀리;
    일정한 길이를 갖고 연장되어 상기 풀리의 외주에 걸리되, 일단은 상기 풀리의 외주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이송로드와 상기 제2이송로드 중 하나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는 벨트; 그리고
    상기 벨트가 상기 풀리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풀리에 역방향의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풀리를 원위치로 역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지롤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풀리의 중앙에 동축으로 끼워지되, 일단은 상기 풀리의 외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패널의 일측에 고정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풀리를 원위치시키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용지롤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에는,
    각각 상기 제1용지가이드와 상기 제2용지가이드의 이동경로 상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용지가이드와 상기 제2용지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지지패널을 중심으로 상기 제1용지가이드와 상기 제2용지가이드가 각각 상기 제1이송로드와 상기 제2이송로드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1안내슬롯과 제2안내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지지패널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1안내슬롯과 상기 제2안내슬롯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지롤 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제1이송로드 및 상기 제2이송로드가 각각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제1이송로드 및 상기 제2이송로드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이송레일과 제2이송레일이 서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용지롤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로드와 상기 제2이송로드는,
    각각 그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슬롯과 상기 제2안내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제1용지가이드와 상기 제2용지가이드를 향해 연장되어 각각 상기 제1용지가이드와 상기 제2용지가이드와의 결합부위를 이루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각각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제1이송레일과 제2이송레일을 따라 내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도록 내측면에 서로 대향하는 랙 기어가 형성되는 테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지롤 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배면의 외주 일측에 상기 벨트의 일단이 고정되는 벨트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는,
    일단이 상기 벨트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이송로드와 상기 제2이송로드 중 하나의 헤드부에 고정되는, 용지롤 지지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슬롯과 상기 제2안내슬롯은,
    상기 지지패널의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양쪽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서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1이송레일과 상기 제2이송레일 중 하나는,
    상기 제1안내슬롯과 상기 제2안내슬롯과 평행하게 상기 제1안내슬롯과 상기 제2안내슬롯의 위쪽에 배열되며,
    상기 제1이송레일과 상기 제2이송레일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안내슬롯과 상기 제2안내슬롯과 평행하게 상기 제1안내슬롯과 상기 제2안내슬롯의 아래쪽에 배열되는, 용지롤 지지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의 배면에는,
    상기 풀리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패널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패널의 후단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후크가 형성되는, 용지롤 지지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지가이드와 상기 제2용지가이드는,
    상기 지지패널과 접하는 후단에, 상기 연결부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를 각각 구비하고, 전단에는 용지롤의 중앙에 형성되는 지관을 걸어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기둥과 제2지지기둥이 고정되는 관통공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1지지기둥과 상기 제2지지기둥은,
    각각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 단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단면을 갖고,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에서 벗어난 편심축을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용지롤 지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기둥과 상기 제2지지기둥은,
    상기 관통공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 방향 이동이 제한되되 회전 방향 이동은 자유롭고, 상기 관통공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 방향 이동이 제한되며 회전 방향 이동도 제한되는, 용지롤 지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기둥과 상기 제2지지기둥 각각의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일정 높이에 외주를 따라 삽입 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1걸림돌기가, 외측단에 외주를 따라 삽입 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2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일정 높이에 회전 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제3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내주를 따라 일정 높이에 상기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2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턱, 그리고 상기 제1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어졌을 때 상기 제3걸림돌기가 안착되어 상기 몸체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돌기안착부가 형성되는, 용지롤 지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안착부는,
    상기 지지부의 편심축이,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미리 설정된 고정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 또는 가장 먼 위치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제3걸림돌기가 상기 돌기안착부에 안착되도록 하는 위치에 둘 이상 형성되는, 용지롤 지지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기둥과 상기 제2지지기둥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 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회전 방향 이동은 선택적으로 제한되는, 용지롤 지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기둥과 상기 제2지지기둥에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의 외측단에 외주를 따라 삽입 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걸림돌기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삽입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범프에 의해 형성되는 그루브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내주를 따라 일정 높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어지는 걸림턱과, 상기 관통공의 삽입 방향 외측에서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되 외측 단부가 관통공의 중심축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는 캔틸레버 형태의 래치가 형성되며,
    상기 래치의 절곡 부위에는 상기 관통공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그루브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지지기둥의 회전 방향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용지롤 지지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지지부의 편심축이,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미리 설정된 고정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 또는 가장 먼 위치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그루브에 끼워지도록 하는 위치에 둘 이상 형성되는, 용지롤 지지장치.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용지롤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인쇄장치.
KR1020200080309A 2020-06-30 2020-06-30 인쇄장치의 용지롤 지지장치 Pending KR20220001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309A KR20220001860A (ko) 2020-06-30 2020-06-30 인쇄장치의 용지롤 지지장치
US17/072,619 US11332334B2 (en) 2020-06-30 2020-10-16 Paper roll support device for prin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309A KR20220001860A (ko) 2020-06-30 2020-06-30 인쇄장치의 용지롤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860A true KR20220001860A (ko) 2022-01-06

Family

ID=7903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309A Pending KR20220001860A (ko) 2020-06-30 2020-06-30 인쇄장치의 용지롤 지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32334B2 (ko)
KR (1) KR202200018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94762B2 (en) * 2022-10-31 2025-01-14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Media support within a media proces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6259A (en) * 1994-01-05 1996-01-23 Monarch Marking Systems, Inc. Labeler with adjustable roll mounting means
US5813343A (en) * 1995-10-23 1998-09-29 Eltron International, Inc. Printing media roll mounting and positioning mechanism
US6158342A (en) * 1999-09-27 2000-12-12 Axiohm Transaction Solutions, Inc. Paper supply adjustment mechanism
US6431492B1 (en) * 1999-10-27 2002-08-13 Zih Corp. Integrated adjustable core support and medium guide device
US6503008B2 (en) * 2001-05-25 2003-01-07 Zih Corp. Print media roll holder with multi-diameter core adapter
US7004462B2 (en) * 2002-01-25 2006-02-28 Zih Corp. Print media guide system
WO2006060228A1 (en) * 2004-11-24 2006-06-08 Zih Corp. Self-centering media support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WM355238U (en) * 2008-09-08 2009-04-21 Tsc Auto Id Technology Co Ltd Recovery mechanism of paper roll fixture of barcode printer
JP5574100B2 (ja) * 2010-05-28 2014-08-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収容カセット、記録装置
US8870113B2 (en) * 2013-03-25 2014-10-28 Tsc Auto Id Technology Co., Ltd. Dual-direction positioning device
JP6299280B2 (ja) * 2014-02-28 2018-03-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6701970B2 (ja) * 2016-05-30 2020-05-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403265A1 (en) 2021-12-30
US11332334B2 (en)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5500B2 (en) Paper holding device for label printer
DE112014005713B4 (de) Medienverarbeitungsvorrichtung mit verbesserten Medien- und Farbbandlade- und -entlademerkmalen
JP6852613B2 (ja) 印刷装置
JP6891610B2 (ja) 印刷装置
KR101691842B1 (ko) 보빈고정장치
US9682577B2 (en) Paper storage, printer and method for using multiple types of mediums
KR20220001860A (ko) 인쇄장치의 용지롤 지지장치
JP4776023B2 (ja) ラベルプリンタ
EP2824228B1 (en) Thread holding mechanism of sewing machine, needle threader thereof, and sewing machine
RU2556505C2 (ru) Удерживающий механизм в выдачном устройстве для удерживания сменного рулона материала, удерживающая система, выда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ставки рулона материала в такой удерживающий механизм
JP3682515B2 (ja) 帯状体の支持リール
CN104786674A (zh) 供纸装置、剥离辅助装置及打印机
JP2000238937A (ja) ロール物の支持装置
EP2821237B1 (en) Opening/closing device and printer comprising opening/closing device
US10994642B2 (en) Headrest moving device
JP2004292158A (ja) プリンタのロール紙支持装置
US10392164B2 (en) Tube squeeze device
DE60300868T2 (de) Drucker
JPH0920042A (ja) 熱転写リボンカセット装置
JP5548155B2 (ja) ラベルプリンタ
JP2001063198A (ja) 刻印装置
US6305855B1 (en) Integrated ribbon mechanism
CN211713337U (zh) 一种大圆机的调节装置
JP6900635B2 (ja) ロール状媒体給送装置
CN216733021U (zh) 一种3d打印安全带卡扣的打印机执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4